KR20170079453A - 누름식 진공 형성부를 포함하는 주서기 - Google Patents

누름식 진공 형성부를 포함하는 주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9453A
KR20170079453A KR1020150190050A KR20150190050A KR20170079453A KR 20170079453 A KR20170079453 A KR 20170079453A KR 1020150190050 A KR1020150190050 A KR 1020150190050A KR 20150190050 A KR20150190050 A KR 20150190050A KR 20170079453 A KR20170079453 A KR 201700794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uum forming
forming part
vacuum
screw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900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희
박만욱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900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79453A/ko
Publication of KR201700794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94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6Juice presses for vege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2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 A47J19/025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including a pressing screw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 형성부를 구비한 주서기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착즙물을 용기에 담은 후 해당 용기에 진공을 형성함으로써 보관력을 상승시킬 수 있는 주서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누름식 진공 형성부를 포함하는 주서기{A juicer with push type vacuum system}
본 발명은 진공 형성부를 구비한 주서기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착즙물을 용기에 담은 후 해당 용기에 진공을 형성함으로써 보관력을 상승시킬 수 있는 주서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수직형 원심분리식 주서기(예를 들어, 한국등록특허 제1013504호, 이하, 주서기)는, 과일, 채소 등의 착즙대상물을 투입되어 절단, 이송, 분쇄, 압착되는 스크류를 포함한다. 스크류는 드럼 내측에 구비되고, 메쉬망을 포함하여, 착즙대상물이 메쉬망과 드럼의 사이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스크류의 회전에 의하여 착즙이 이루어지고 착즙물과 펄프로 구분된다.
착즙물과 펄프는 드럼 하부에 별도로 모이며, 각각의 배출구를 통하여 분리되어 배출된다.
경우에 따라 스크류에 메쉬망이 구비되지 않고, 드럼과 스크류 사이에 별도의 망드럼이 구비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주서기를 사용하여 착즙물을 분리하여 음용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주서기의 착즙물 배출부 아래에 적절한 높이의 용기를 위치시킨 후에 주서기를 작동시키면, 착즙물이 용기에 수용된다.
컵에 모이는 착즙물의 양은 투입된 착즙대상물의 양, 착즙대상물의 특성이나 주서기에 의한 착즙 정도 등에 따라 상이하다.
그런데, 최초 사용자가 생각한 것 보다 착즙물의 양이 너무 많은 경우, 또는 다른 특별한 사정이 있는 경우, 사용자는 착즙물을 1회에 모두 음용하지 못하고 별도로 보관하고자 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컵에 모인 착즙물은, 과일이나 채소와 같은 착즙대상물의 특성상 그대로 상온에 보관하는 경우는 물론, 냉장고와 같은 저온보관장치에 위치시켜도, 쉽게 부패된다.
이에, 많은 사용자는, 별도의 밀폐용기에 착즙물을 옮긴 후 저온보관장치에 위치시키지만, 이 경우에도 밀폐용기에 공기가 함께 유입되기 때문에 보관 가능 기간이 그렇게 길어지지도 못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한국특허 2009-0121537호, 2008-0036265호와 같이, 믹서기에 진공 펌프를 결합시키려는 시도가 있었다. 그러나, 본 종래기술은 믹서기에 진공 펌프를 단순 결합시킨 것이어서 사용이 불편하며 특히 주로 컵에 착즙물이 모이게 되는 주서기에 적절하지 못하다.
(특허문헌 1) KR 10-2009-0121537 A1
(특허문헌 2) KR 10-2008-0036265 A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이다.
구체적으로, 주서기를 이용하여 착즙물이 모인 용기를 진공 밀폐시킬 수 있는 진공 장치를 주서기와 일체형으로 제공하되,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주서기를 제안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스크류(200)의 회전에 의하여 투입된 착즙대상물을 착즙하는 주서기에 있어서, 상기 주서기는 진공 펌프에 연결된 진공 형성부(800)를 포함하며, 상기 진공 형성부(800)가 눌리는 경우 접점이 연결됨으로써 상기 진공 펌프가 작동하는, 주서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 상기 진공 형성부(800)는, 상기 진공 펌프에 연결되는 진공 주입부(840); 및 상기 진공 주입부(840)를 감싸는 진공 형성부 하우징(82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진공 형성부 하우징(820)이 눌리는 경우 접점이 연결됨으로써 상기 진공 펌프가 작동하는, 주서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진공 형성부(800)는, 상기 진공 형성부 하우징(820)에 연결되어, 상기 진공 형성부 하우징(820)이 눌리는 경우 이와 함께 상하 운동하는 제 1 접점부(831); 및 상기 진공 형성부 하우징(820)에 연결되지 않아 상기 진공 형성부 하우징(820)이 눌리는 경우 이와 함께 상하 운동하지 않는 제 2 접점부(832)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진공 형성부(800)가 눌리는 경우 상기 제 1 접점부(831)와 상기 제 2 접점부(832)가 연결됨으로써 상기 진공 펌프가 계속 작동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주서기는, 드럼(300); 및 상기 드럼(300)이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도록 위치되는 본체(4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크류(200)는 상기 드럼(300)의 내측 공간에 위치하여 회전 가능하며, 상기 본체(400)에 상기 진공 형성부(800)가 위치하며, 상기 진공 펌프와 상기 제 2 접점부(832)는 상기 본체(400) 내측에 구비되며, 상기 진공 형성부 하우징(820)이 눌리는 경우 상기 본체(40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상기 진공 형성부 하우징(820)만이 상하 운동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400)에는 결합부(890)가 구비되며, 상기 진공 형성부 하우징(820)은 상기 결합부(890) 내측에서 상하 운동 가능하며, 그리고 상기 제 2 접점부(832)는 상기 결합부(890)에 고정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 접점부(831)는 상기 결합부(890)에 고정된 탄성 부재(835)에 연결되며, 상기 진공 형성부 하우징(820)이 눌리는 경우, 상기 본체(40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상기 진공 형성부 하우징(820)만이 하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 1 접점부(831)와 상기 제 2 접점부(832)가 연결됨으로써 상기 진공 펌프가 작동하고, 상기 진공 형성부 하우징(820)의 눌림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탄성 부재(835)에 의하여 상기 진공 형성부 하우징(820)이 상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 1 접점부(831)와 상기 제 2 접점부(832)의 연결이 해제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진공 형성부(800)는 눌림에 의한 상하 운동과 별도로 회전축에 의한 힌지 운동이 가능하며, 상기 진공 형성부(800)가 힌지 운동함으로써, 상기 진공 형성부 하우징(820)이 상기 본체(400)에서 외부로 돌출되어 상하 운동할 수 있는 제 1 위치와, 상기 본체(400)의 내측으로 내삽되고 상기 진공 형성부 하우징(820)이 상하 운동할 수 없는 제 2 위치 사이에서 변경 가능한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 2 및 제 3 실시예에서, 상기 진공 형성부(800)는, 상기 진공 펌프에 연결되는 진공 주입부(840); 상기 진공 주입부(840)를 감싸는 진공 형성부 하우징(820); 및 상기 진공 형성부 하우징(820)의 일측에 구비된 진공 형성부 누름면(825)을 포함하며, 상기 진공 형성부 누름면(825)이 눌리는 경우 접점이 연결됨으로써 상기 진공 펌프가 작동하는, 주서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진공 형성부(800)는, 상기 진공 형성부 누름면(825)에 연결되어, 상기 진공 형성부 누름면(825)이 눌리는 경우 이와 함께 상하 운동하는 제 1 접점부(831); 및 상기 진공 형성부 누름면(825)에 연결되지 않아 상기 진공 형성부 누름면(825)이 눌리는 경우 눌리는 경우 이와 함께 상하 운동하지 않도록 상기 진공 형성부 하우징(820)에 연결되는 제 2 접점부(832)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진공 형성부(800)가 눌리는 경우 상기 제 1 접점부(831)와 상기 제 2 접점부(832)가 연결됨으로써 상기 진공 펌프가 작동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주서기는, 드럼(300); 및 상기 드럼(300)이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도록 위치되는 본체(4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크류(200)는 상기 드럼(300)의 내측 공간에 위치하여 회전 가능하며, 상기 본체(400)에 상기 진공 형성부(800)가 위치하며, 상기 진공 펌프는 상기 본체(400) 내측에 구비되며, 상기 진공 형성부 누름면(825)이 눌리는 경우 상기 본체(40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상기 진공 형성부 누름면(825)만이 상하 운동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진공 형성부 누름면(825)은 상기 진공 형성부 하우징(820)에 고정된 탄성 부재(835)에 연결되며, 상기 진공 형성부 누름면(825)이 눌리는 경우, 상기 본체(40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상기 진공 형성부 누름면(825)만이 하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 1 접점부(831)와 상기 제 2 접점부(832)가 연결됨으로써 상기 진공 펌프가 작동하고, 상기 진공 형성부 누름면(825)의 눌림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탄성 부재(835)에 의하여 상기 진공 형성부 누름면(825)이 상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 1 접점부(831)와 상기 제 2 접점부(832)의 연결이 해제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진공 형성부 누름면(825)은 상기 진공 형성부 하우징(820) 상부에서 이를 관통하도록 위치하고, 상기 진공 형성부 누름면(825)은 상기 진공 주입부(840)를 감싼 상태에서 상하 운동이 가능하며, 상기 탄성 부재(835)는 상기 진공 주입부(840)를 감싸면서 상기 진공 형성부 누름면(825)의 하측에 위치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진공 형성부(800)는 회전축에 의한 힌지 운동이 가능하며, 상기 진공 형성부(800)가 힌지 운동함으로써, 상기 진공 형성부 하우징(820)이 상기 본체(400)에서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진공 형성부 누름면(825)이 상하 운동할 수 있는 제 1 위치와, 상기 본체(400)의 내측으로 내삽되고 상기 진공 형성부 누름면(825)이 상하 운동할 수 없는 제 2 위치 사이에서 변경 가능한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진공 형성부(800)는, 상기 진공 주입부(840)의 일측에 구비된 진공 연결관(841)을 더 포함하며, 상기 진공 연결관(841)과 상기 진공 펌프가 튜브에 의하여 연결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진공 형성부(800)는, 상기 진공 주입부(840)의 하측에 구비된 탄성 재질의 용기 결착부(85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주서기이되, 상기 스크류(200)의 하부에 메쉬망(270)이 위치하고, 상기 본체(400) 내측에는 상기 스크류(200)에 연결되는 동력 부재가 위치하여, 상기 동력 부재에 의하여 상기 스크류(200)가 회전하는 경우, 상기 스크류(200) 외측에 위치한 착즙대상물이 착즙되어 착즙물과 펄프로 구분되고, 착즙물은 상기 메쉬망(270)을 통과하여 상기 스크류(200) 내측으로 유동하고, 펄프는 상기 메쉬망(270)을 통과하지 못하여 상기 스크류(200) 외측에서 외부면을 따라 유동함으로써, 착즙대상물이 착즙물과 펄프로 구분되어 배출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드럼(300)의 하부면에는, 상기 스크류(200)의 외측 하부면에 삽입되는 안내턱(339); 상기 안내턱(339)의 방사상 외측에 위치하는 제 1 가이드홈(331); 및 상기 안내턱(339)의 방사상 내측에 위치하는 제 2 가이드홈(351)이 위치하며, 상기 스크류(200) 외측에서 외부면을 따라 유동한 펄프는 상기 제 1 가이드홈(331)을 따라 유동하여 외부로 배출되고, 상기 스크류(200) 내측으로 유동한 착즙물은 상기 제 2 가이드홈(351)을 따라 유동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진공 펌프가 상기 동력 부재에 의하여 동력을 전달받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주서기이되, 상기 스크류(200)의 외측에 망드럼이 구비되고, 상기 본체(400) 내측에는 상기 스크류(200)에 연결되는 동력 부재가 위치하여, 상기 동력 부재에 의하여 상기 스크류(200)가 회전하는 경우, 상기 스크류(200) 외측에 위치한 착즙대상물이 착즙되어 착즙물과 펄프로 구분되고, 착즙물은 상기 망드럼을 통과하여 상기 망드럼 외측으로 유동하고, 펄프는 상기 망드럼을 통과하지 못하여 상기 망드럼 내측에서 유동함으로써, 착즙대상물이 착즙물과 펄프로 구분되어 배출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드럼(300)의 하부면에는, 방사상 외측에 위치하는 제 1 가이드홈 및 방사상 내측에 위치하는 제 2 가이드홈이 위치하며, 상기 망드럼 외측에서 유동한 착즙물은 상기 제 1 가이드홈을 따라 유동하여 외부로 배출되고, 상기 망드럼 내측에서 유동한 펄프는 상기 제 2 가이드홈을 따라 유동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주서기에 사용되는 진공 형성부를 제공한다.
종래 단순히 주서기(또는 믹서기)와 진공 장치가 결합된 것과 달리,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진공 장치 일체형의 주서기를 제공한다.
특히, 진공 장치를 사용하지 않는 평상시에는 본체에 삽입되어 사용에 불편함이 없다가, 사용시에만 돌출되어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진공 형성부를 간편하게 두드림으로써 편리하게 진공을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주서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주서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주서기에서 덮개, 스크류 및 드럼 부분의 단면 사시도로서, 도 2의 B-B'에 따른 단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주서기의 드럼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에 따른 주서기의 진공 형성부의 제 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5a는 도 1의 A-A'에 따른 단면 사시도이고, 도 5b는 이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5c 및 도 5d는 도 2의 C-C'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에 따른 주서기의 진공 형성부의 제 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6a는 진공 형성부의 제 2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6b는 도 6a의 D-D'에 따른 단면 사시도이고, 도 6c는 이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에 따른 주서기의 진공 형성부의 제 3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7a는 진공 형성부의 제 2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7b는 도 7a의 E-E'에 따른 단면 사시도이고, 도 7c는 이에 따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주서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동일한 원리가 주서기 이외의 기기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믹서기, 녹즙기 등에도 본 발명의 범위가 미칠 것이다.
본 발명을 이루는 구성요소들은 필요에 따라 일체형으로 사용되거나 각각 분리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사용 형태에 따라 일부 구성 요소를 생략하여 사용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주서기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기술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진공 생성", 또는 "진공 형성"은 대상 공간에서 공기를 유출시켜 실질적인 진공 상태를 형성함으로써 부패 없이 보관될 수 있는 상태를 형성함을 의미하는 것인바, 공기가 전혀 없는 학술적 의미의 완전 진공 분위기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본 기술분야에서 널리 통용되는 진공 상태임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이하에서, "착즙대상물"은 주서기에 의하여 착즙되는 대상물이다. 예를 들어, 과일, 야채 등이 이에 포함될 수 있으나, 그 종류에 제한이 없음은 당연하다.
또한, 이하에서, "착즙"은 착즙대상물이 주서기 내에서 절단, 이송, 압착, 분쇄 등의 작용이 복합적으로 이루어지는 과정을 의미한다.
또한, 이하에서, "착즙물"은 착즙대상물이 메쉬망을 통과할 수 있을 정도의 소정의 수준으로 착즙되어 배출되는 일종의 액체이고 "펄프"는 메쉬망을 통과할 수 있을 정도로 착즙되지 못하여 배출되는 일종의 고체를 의미한다. 물론, 액체와 고체로 완전히 구분되는 것은 아니며, 결과적으로 메쉬망을 통과하는지 여부에 따라 착즙물과 펄프의 구분이 가능하다. 즉, 메쉬망을 구성하는 공극의 크기를 달리 함으로써 착즙물과 펄프의 비율이 달라질 수도 있다.
"펄프"는 찌꺼기일 수도 있으나, 또는 음용시 식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착즙물에 포함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오렌지를 착즙한 경우 오렌지주스가 착즙물이 되고 알갱이 등이 펄프가 될 수 있는데, 사용자에 따라 펄프(즉, 오렌지 알갱이 등)를 오렌지주스와 함께 음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펄프가 찌꺼기가 되어 별도로 배출되어 벼려질 수 있으나, 함께 음용하고자 하는 경우 펄프(즉, 오랜지 알갱이 등)가 착즙물과 함께 배출되어 사용자가 음용하게 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주서기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1. 주서기의 설명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주서기를 설명한다.
주서기는 덮개(100), 스크류(200), 드럼(300), 본체(400)를 포함한다.
본체(400)에는 본 발명의 주된 특징인 진공 형성부(800)가 구비되는데, 이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용기(500)는 주서기와 별도의 구성이되, 후술할 바와 같이 진공 형성부(800)에 맞추어지도록 그 높이와 입구 크기가 구성된다.
1.1 덮개(100)
덮개(100)는 드럼(300)의 상부면을 덮도록 고정되는 구성으로, 착즙대상물이 착즙되는 과정에서 착즙물의 유출 방지 및 사용자 보호를 위하여 드럼(300)의 내부 공간 및 여기에 구비된 스크류(200)가 외부로 드러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덮개(100)는 사용자의 주서기 세척을 용이하게 하도록 드럼(300)으로부터 분리 가능하다.
덮개(100)에는 주입구(130)가 구비되며, 사용자는 주입구(130)를 통하여 덮개(100)를 열지 않은 상태에서 착즙대상물을 드럼(300)의 내부 공간으로 주입할 수 있다.
덮개(100)의 하부 중앙에는 회전축 고정홈(110)이 구비되며(도 3 참조), 스크류(200)의 회전축 상부(211)가 이에 삽입되고 고정될 수 있어서, 스크류(200)의 회전시 그 위치를 고정해준다.
덮개(100)의 하부 측면에는 결착턱(120)이 구비되어(도 3 참조), 덮개(100)와 드럼(300)을 분리 가능하게 고정한다.
1.2 스크류(200)
스크류(200)는 본체(400) 내측에 구비되는 모터 등의 동력 부재(미도시)에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여,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된 드럼(300)과 함께 작용하여 착즙대상물을 착즙한다.
스크류(200) 내부에는 회전축(210)이 구비되며, 회전축 상부(211)는 덮개(100) 하부의 회전축 고정홈(110)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회전축(210)의 하측에는 각형축공(212)이 위치하여 이는 본체(400)의 각형축(410)에 함께 회전하도록 연결된다.
즉, 본체(400)의 각형축(410)이 모터 등의 동력 부재(미도시)에 의하여 회전함에 따라 회전축(210)이 회전하여 스크류(200)가 회전하게 된다.
스크류(200)는 메쉬망(270)이 구비된 하부와 메쉬망(270)이 구비되지 않은 상부로 구분할 수 있다.
스크류(200)의 상부는 원뿔형 몸체이며, 여기에는 다수의 스크류 리브(220)가 구비된다.
스크류(200) 상부가 원뿔형 몸체를 구비함에 따라,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드럼(300)의 상부와의 사이에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고, 주입구(130)로부터 착즙대상물이 주입되면 해당 공간에 투입되어 착즙될 준비가 이루어진다.
스크류(200) 상부에는 그 크기가 비교적 큰 스크류 리브(220)가 위치하여, 스크류(200)가 회전함에 따라 스크류 리브(220)가 해당 공간에 투입된 착즙대상물을 1차로 주로 절단 및 분쇄하고, 절단 및 분쇄된 착즙대상물은 중력에 의하여 점차 아래로 이송된다. 물론, 절단 및 분쇄와 함께 압착도 이루어질 수 있다.
스크류(200) 하부는 실질적으로 원통형 몸체이되, 드럼(300)과 스크류(200) 하부 사이의 공간이 매우 좁다(도 3 참조). 이를 통하여 1차 분쇄된 착즙대상물이 드럼(300)의 내벽면과 스크류(200)의 하부 사이에서 압착되며 착즙물과 펄프로 더욱 구분된다.
특히, 드럼(300)의 내벽면에 구비된 드럼 리브(320)와, 스크류(200) 하부의 외벽면에 구비된 스크류 리브(220)의 상호 작용에 의하여 더욱 착즙되어, 착즙대상물이 착즙물과 펄프로 구분된다.
스크류(200)의 하부에는 메쉬망(270)이 위치한다.
메쉬망(270)의 외벽면에는 스크류(200)의 상부에서부터 시작되는 스크류 리브(220)가 연결되어 위치한다(도 2 참조).
메쉬망(270)은 소정의 크기의 공극을 포함하는바, 착즙물은 메쉬망(270)을 통과하고 펄프는 메쉬망(270)을 통과하지 못한다.
즉, 착즙물과 펄프는 메쉬망(270)에 의하여 구분되며, 착즙물은 메쉬망(270)을 통과하여 스크류(200)의 내측으로 유동하게 되고, 펄프는 메쉬망(270)을 통과하지 못하여 스크류(200)의 외벽면을 따라 외측으로 유동하게 된다.
한편, 스크류(200) 역시 덮개(100) 및 드럼(300)으로부터 분리 가능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세척할 수 있다.
1.3 드럼(300)
드럼(300)은, 본체(400) 상부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된다.
드럼(300)의 내부 공간에는 스크류(200)가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이를 위하여, 드럼(300)의 하부 중앙에는 원통형의 스크류 고정부(315)가 위치하며(도 3 및 도 4 참조), 스크류 고정부(315)의 상부 중앙에는 개구부가 위치하여 스크류(200)의 회전축(210)이 이를 통과하고 본체(400)의 각형축(410)이 이에 연결되어, 본체(400)에서 각형축(410)을 통하여 스크류(200)를 회전시키는 경우에도 드럼(300)과 이에 결착된 덮개(100)는 회전되지 않고 고정된다.
드럼(300)의 내벽면에는 드럼 리브(320)가 위치하여 스크류(200) 회전에 따른 착즙대상물의 착즙을 원활하게 돕는다.
구체적으로, 드럼 리브(320)는, 스크류(200)의 상부 몸체와 하부 몸체의 길이에 이르는 상대적으로 높은 높이의 제 1 드럼 리브(321)와, 스크류(200)의 하부 몸체의 길이에 이르는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의 제 2 드럼 리브(322)를 각각 다수 포함하도록 구성된다(도 3 참조).
드럼(300)의 내측 하부면에는, 안내턱(339)에 의하여 구분되는 방사상 외측의 제 1 가이드홈(331)과 방사상 내측의 제 2 가이드홈(351)이 구비된다(도 4 참조).
안내턱(339)은 스크류(200)의 하부면 외측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도 3 참조).
이에 따라, 안내턱(339)의 방사상 외측인 제 1 가이드홈(331)에는 메쉬망(270)을 통과하지 못하고 스크류(200)의 외부면을 따라 유동하면서 중력에 의하여 하강한 펄프만이 유동하게 되고, 안내턱(339)의 방사상 내측인 제 2 가이드홈(351)에는 메쉬망(270)을 통과하여 스크류(200)의 내측으로 유동한 착즙물만이 유동하게 된다.
제 1 가이드홈(331)을 따라 유동하는 펄프는 제 1 배출공(332)에 이르게 되어 제 1 배출부(34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며, 제 2 가이드홈(351)을 따라 유동하는 착즙물은 제 2 배출공(352)에 이르게 되어 제 2 배출부(36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사용자가 펄프 없는 주스를 음용하고자 하는 경우, 제 2 배출부(360) 앞에 용기(500)를 위치시켜서 착즙물만을 여기에 담고, 제 1 배출부(340) 앞에는 별도의 용기(미도시)를 위치시켜 펄프만을 수거하여 버리게 된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 1 배출부(340)에 배출 저항 부재(342)가 구비될 수 있다. 즉, 드럼(300)에서 연장된 배출 부재(341)의 외측에 배출 저항 부재(342)가 위치할 수 있으며, 이는 일정한 저항을 갖지 못하는 비교적 무른 펄프가 제 1 배출부(340)에서 배출되지 못하도록 한다.
배출 저항 부재(342)의 저항면(342b)에 의하여, 미리 설정된 일정한 저항을 갖지 못하는 비교적 무른 펄프들은 외부로의 배출이 막히고,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는 펄프들은 다시 제 2 가이드홈(351)으로 유입되어 착즙물과 함께 제 2 배출부(360)를 통하여 배출된다.
저항면(342b)에 의하여 배출이 막히는 기준인 저항 정도는, 비대칭인 저항면(342b)의 회전 정도에 따라 사용자가 용이하게 조절된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가 펄프를 착즙물과 함께 음용하고자 하는 경우, 저항면(342b)을 회전시켜 조절함으로써 펄프가 제 1 배출부(340)가 아닌 제 2 배출부(360)에서 배출되도록 할 수 있으며, 용기(500)를 제 2 배출부(360) 앞에 위치시켜서 비교적 무른 펄프와 착즙물을 함께 모아서 음용할 수 있다.
사용자의 저항 조절을 위하여, 배출 저항 부재(342)에는 탄성이 있으며 비대칭인 저항면(342a)이 구비된다. 즉, 배출 저항 부재(342)가 회전됨으로써 비대칭인 저항면(342a)이 제 1 배출부(340)의 배출 관을 막는 정도가 0 내지 100% 사이에서 달라지며, 펄프가 일정한 저항이 있어야 탄성이 있는 저항면(342a)을 밀면서 외부로 유출되기에, 결과적으로 배출 저항 부재(342)의 회전 정도에 따라 펄프의 유출 여부를 결정하는 저항 수준이 변경된다.
배출 저항 부재(342)에는 저항 부재 삽입 돌기(342a)가 위치하고, 이는 배출 조절부(343)의 중앙에 위치한 저항 부재 삽입공(343a)에 삽입됨으로써, 사용자는 가장 외측의 배출 조절부(343)를 회전시킴으로써 배출 저항 부재(342)의 회전이 가능하다.
회전을 용이하게 하도록 이들을 연결하는 연결부(344)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제 2 배출부(360)는 드럼(300)에서 연장된 배출 부재(361)과 그 외측에 구비되는 덮개(362)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미사용시 덮개(362)를 폐쇄함으로써, 제 2 배출부(360) 앞에 용기(500)가 위치하지 않음에도 드럼(300) 외부로 착즙물이 누수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어서 보다 위생적인 사용이 가능하다.
한편, 드럼(300) 역시 본체(400)로부터 분리 가능하다.
즉, 사용자는 본체(400)로부터 덮개(100), 스크류(200) 및 드럼(300)을 각각 분리할 수 있어서, 전원이 직접 인가되는 본체(400) 외에 덮개(100), 스크류(200) 및 드럼(300)을 각각 분리하여 이들만을 세척할 수 있다.
1.4 본체(400)
본체(400)는 외부 전원과 연결되는 구성이자, 드럼(300)을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체(400) 내측에는 모터 등의 동력 부재(미도시)가 실장되며,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력이 인가되면 각형축공(410)을 통하여 스크류(200)에 회전력을 제공한다.
후술하는 진공 펌프(미도시)에도 동력이 인가되어야 하는데, 동일한 동력 부재(미도시)에 연결되어 동력이 인가될 수도 있다.
한편, 각형축공(410) 주변에는 다수의 드럼 고정 돌기(440)가 위치하며, 이는 드럼(300)의 하부면에 삽입될 수 있어서, 스크류(200)가 회전하는 경우에도 드럼(300)이 회전하지 않도록 단단히 고정한다.
본체(400)의 일측에는 상부를 향하여 연장되되 도 1과 같이 드럼(300)의 외부 일측이 닿을 수 있는 드럼 지지체(430)가 위치한다.
즉, 드럼(300)이 본체(400)에 고정되는 경우, 드럼(300)의 외부 일측이 드럼 지지체(430)의 드럼 지지면(432)에 닿게 된다.
드럼 지지 조절부(431)가 구비되어, 드럼(300)이 본체(400) 상에서 정위치된 이후 이를 조절함으로써 드럼(300)을 보다 단단히 고정한다.
본체(400)의 일측에는 진공 형성부(800)가 위치한다. 이에 대하여서는 아래에서 상세히 후술한다.
특히, 진공 형성부(800)는 사용하지 않을 경우 주서기 자체의 수납 또는 거치에 불편함을 주지 않도록 힌지 운동에 의하여 내측으로 접이 가능한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1에서 용기(500)가 없는 경우 힌지 운동에 의하여 본체(400) 외부면에서 돌출됨 없이 삽입될 수 있는 구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체(400)에는 조작버튼(미도시) 또는 디스플레이부(미도시) 등이 더 구비될 수 있어서, 전원 인가, 착즙 모드 선택 등을 조절하고 그 상황을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1.5 다른 방식의 주서기
도시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스크류(200)의 하부에 메쉬망(270)이 위치하는 것이 아니라, 스크류가 어떠한 메쉬망도 구비되지 않는 솔리드(solid) 형태의 단단한 스크류 및 이와 별도로 스크류의 외측에 위치하는 망드럼(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투입된 착즙대상물은 스크류의 외부면을 따라 절단, 분쇄, 압착되어 착즙물과 펄프로 구분되는데, 착즙물은 그 외측의 망드럼(미도시)을 통과하여 주서기 외부로 배출되고, 펄프는 망드럼(미도시)을 통과하지 못하여 주서기 외부로 배출된다.
다시 말해, 스크류의 외측과 드럼(300)의 내측 사이에 망드럼(미도시)이 구비되고, 동력 부재에 의하여 스크류가 회전하는 경우, 스크류 외측에 위치한 착즙대상물이 착즙되어 착즙물과 펄프로 구분되고, 착즙물은 망드럼(미도시)을 통과하여 외측으로 유동하고, 펄프는 망드럼(미도시)을 통과하지 못하여 내측에서 유동함으로써, 착즙대상물이 착즙물과 펄프로 구분되어 배출되는 것이다.
도 1에서 도시된 실시예와 비교하여, 착즙물과 펄프의 위치가 변경된다.
이에 따라, 드럼(300)의 하부면의 방사상 외측에 위치하는 제 1 가이드홈 및 방사상 내측에 위치하는 제 2 가이드홈에도 앞선 실시예와 반대로 배출된다. 즉 망드럼 외측에서 유동한 착즙물은 제 1 가이드홈을 따라 유동하여 외부로 배출되고, 망드럼 내측에서 유동한 펄프는 제 2 가이드홈을 따라 유동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이러한 방식의 주서기의 경우에도, 후술하는 진공 형성부(800)의 적용이 가능하다.
2. 진공 형성부(800)의 설명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주서기의 진공 형성부(800)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2.1 진공 형성부 제 1 실시예
도 5a 내지 도 5d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진공 형성부(800)의 제 1 실시예를 설명한다.
진공 형성부(800)는 진공 펌프(미도시)에 연결된다.
진공 펌프(미도시)는 예를 들어 본체(400) 내측에 위치하며 스크류(200)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동력 부재(미도시)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을 수도 있으며, 또는 별도의 동력 부재가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진공 형성부(800)가 사용자에 의하여 하방으로 눌리는 경우, 내측에 구비된 접점들이 연결됨으로써 진공 펌프(미도시)가 작동하여, 용기(500)에 진공을 제공한다.
즉, 사용자는 용기(500)를 진공 형성부(800) 아래에 위치시킨 후, 진공 형성부(800)를 가볍게 누름으로써 진공 펌프(미도시)가 동작하여 용기(500)를 진공 밀폐시킬 수 있어서 사용이 용이하다.
구체적으로, 진공 형성부(800)는, 외부를 형성하는 진공 형성부 하우징(820), 제 1 접점부(831)와 제 2 접점부(832), 탄성 부재(835), 진공 주입부(840), 진공 연결관(841) 및 용기 결착부(850)를 포함한다.
진공 형성부 하우징(820)은, 제 1 접점부(831), 탄성 부재(835), 진공 주입부(840), 진공 연결관(841) 및 용기 결착부(850) 등을 감싸서 보호하는 부재로서, 사용자는 이를 눌러서 진공 펌프(미도시)를 작동시킬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진공 형성부 하우징(820)를 누르는 경우 본체(400)는 고정된 상태에서 진공 형성부 하우징(820)만이 전체적으로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며, 사용자가 손을 놓아서 누름을 해제하면 후술하는 탄성 부재(835)에 의하여 원래의 정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제 1 접점부(831)는 진공 형성부 하우징(820)에 연결되어, 사용자에 의하여 진공 형성부 하우징(820)이 눌리는 경우 이와 함께 상하 운동한다.
제 2 접점부(832)는 진공 형성부 하우징(820)에 연결되지 않아 진공 형성부 하우징(820)이 눌리는 경우 이와 함께 상하 운동하지 않는다.
여기에서, 제 2 접점부(832)는 진공 펌프(미도시)에 인가되는 전력을 단속하는 전선 등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진공 형성부 하우징(820)을 누르지 않는 경우 제 1 접점부(831)와 제 2 접점부(832)가 연결되지 않지만,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진공 형성부 하우징(820)을 누르는 동안에는 제 1 접점부(831)와 제 2 접점부(832)가 연결되어 진공 펌프(미도시)가 계속 작동하게 된다.
사용자가 누름을 해제하면, 탄성 부재(835)가 제 1 접점부(831)를 밀어내어 도 5c의 정위치로 복귀한다.
한편, 진공 형성부 하우징(820) 내측에는 진공 주입부(840), 진공 연결관(841) 및 용기 결착부(850)가 구비된다.
진공 펌프(미도시)는 진공 연결관(841)과 튜브(미도시) 등을 통하여 연결되고, 진공 연결관(841)는 진공 주입부(840)에 연결되며, 진공 주입부(840)가 다시 용기 결착부(850)에 연결된다. 튜브(미도시)는 설명을 위하여 도면에서는 모두 생략되었다.
용기 결착부(850)는 제조자에 의하여 주서기와 함께 제공되는 용기(500)의 입구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탄성 재질로 이루어져서, 진공 형성부(800)와 용기(500)의 보다 밀봉된 결합을 제공함이 바람직하다.
다른 실시예에서, 어떠한 용기(500)에도 적용 가능하도록 하나의 주서기에 용기 결착부(850)가 다수 제공되어, 사용자가 용기(500)의 입구부 크기에 따라 알맞은 용기 결착부(850)를 선택하여 진공 형성부(800)에 결합시킬 수도 있다.
한편, 진공 형성부(800)는 본체(400)에 구비된 결합부(890)에 연결될 수도 있다(도 1 및 도 5a 참조).
즉, 본체(400)의 일측에는 결합부(890)가 구비되며, 진공 형성부 하우징(820)은 결합부(890) 내측에서 상하 운동 가능하다.
이 때에 제 2 접점부(832)와 탄성 부재(835)가 결합부(890)에 고정됨으로써, 진공 형성부 하우징(820)의 상하 운동과 무관하게 이동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
진공 형성부 하우징(820)은 사용자의 눌림에 의한 결합부(890) 내에서의 상하 운동과 별도로 회전축에 의한 힌지 운동이 가능하다. 다시 말해, 도 1에서 용기(500)를 멀리 떨어뜨린 후 진공 형성부(800)를 힌지 운동시켜서 본체(400)의 외부면에서 돌출되지 않도록 내삽된다.
이를 통하여, 진공 형성부(800)가 본체(400)의 내측으로 내삽될 수 있어서, 사용자의 거치 및 보관에 편의성을 제공한다.
이 경우, 진공 형성부 하우징(820)이 본체(400)에서 외부로 돌출되어 상하 운동할 수 있는 위치를 제 1 위치로 지칭하고, 본체(400)의 내측으로 내삽되고 진공 형성부 하우징(820)이 상하 운동할 수 없는 위치가 제 2 위치로 지칭될 수 있다.
2.2 진공 형성부 제 2 실시예
도 6a 내지 도 6c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진공 형성부(800)의 제 2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 1 실시예와 비교하여, 제 1 실시예는 진공 형성부 하우징(820) 자체를 누름으로써 접점이 연결되어 진공 펌프(미도시)가 작동하였지만, 제 2 실시예는 진공 형성부 하우징(820) 자체는 눌리지 않고 그 일측에 구비된 진공 형성부 누름면(825)만이 눌려서 진공 펌프(미도시)가 작동한다.
또한, 제 1 실시예에서 제 2 접점부(832) 및 탄성 부재(835)는 본체(400)에 구비된 결합부(890)에 고정되었으나, 제 2 실시예에서 제 2 접점부(832) 및 탄성 부재(835)가 진공 형성부 하우징(820) 내측에 고정된다. 진공 형성부 하우징(820) 자체가 고정되어 있는 구성이기 때문이다.
도 6b 및 도 6c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진공 형성부 하우징(820)의 상측에 진공 형성부 누름면(825)이 위치하며, 여기에 제 1 접점부(831)가 위치한다.
진공 형성부 누름면(825)은 진공 주입부(840)의 외면을 따라 상하 운동하게 구성된다.
또한, 진공 주입부(840)의 외면에는 탄성 부재(835)가 위치하여, 사용자가 진공 형성부 누름면(825)의 누름을 해제하면 정위치로 복귀된다.
한편, 진공 주입부(820) 주변이되, 제 1 접점부(831) 하측에 제 2 접점부(832)가 위치한다. 이 때에 제 2 접점부(832)의 형상은 용수철과 같은 형상이어서, 진공 형성부 누름면(825)의 누름이 해제되면 함께 정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즉, 누름이 해제되면 진공 형성부 누름면(825) 및 이에 연결된 제 1 접점부(831)는 탄성 부재(835)에 의하여 정위치로 복귀하고, 제 2 접점부(832)는 자체 형상에 의하여 정위치로 복귀하는 것이다.
사용자가 진공 형성부 누름면(825)을 누르면 제 1 접점부(831)와 제 2 접점부(832)가 연결되어 진공 펌프(미도시)가 작동되고, 누름을 해제하면 진공 형성부 누름면(825)과 제 1 접점부(831)와 제 2 접점부(832)가 모두 정위치로 복귀하면서 진공 펌프(미도시)의 작동이 중단된다.
제 2 실시예에서도 진공 형성부(800)는 힌지 운동이 가능하다. 즉, 진공 형성부 하우징(820)이 본체(400)에서 외부로 돌출되어 진공 형성부 누름면(825)이 상하 운동할 수 있는 제 1 위치와, 진공 형성부 하우징(820)이 본체(400)의 내측으로 내삽되고 진공 형성부 누름면(825)이 상하 운동할 수 없는 제 2 위치 사이에서 변경 가능하다.
2.3 진공 형성부 제 3 실시예
도 7a 내지 도 7c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진공 형성부(800)의 제 3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 2 실시예와 유사하게, 진공 형성부 하우징(820) 자체는 눌리지 않고 그 일측에 구비된 진공 형성부 누름면(825)만이 눌려서 진공 펌프(미도시)가 작동하며, 제 2 접점부(832) 및 탄성 부재(835)가 진공 형성부 하우징(820) 내측에 고정된다.
도 7b 및 도 7c를 참조하여 제 2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면, 제 2 접점부(832)가 접힌 판 형상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진공 형성부 누름면(825)을 누르면 제 1 접점부(831)가 하강하여 접힌 판 형상의 제 2 접점부(832)를 접으면서 연결되어 진공 펌프(미도시)가 작동되고, 누름을 해제사면 진공 형성부 누름면(825)과 제 1 접점부(831)가 정위치로 복귀함과 동시에 판 형상의 제 2 접점부(832) 역시 접힌 판 형상으로 복귀하면서 진공 펌프(미도시)의 작동이 중단된다.
3. 사용자의 작동 방식의 설명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주서기를 사용하여 착즙대상물을 착즙하고 용기에 보관시킨 후 이를 진공 밀폐하여 포장하고자 하는 경우, 다음의 절차에 따를 수 있다.
먼저, 본체(400)에 덮개(100), 스크류(200) 및 드럼(300)을 모두 결합하고, 용기(500)를 제 2 주입부(360) 아래에 위치시킨다.
진공 형성부 하우징(820)을 힌지 운동시켜 제 1 위치로 위치시킨다.
다음, 주입구(130)를 통하여 착즙대상물 드럼(300) 내측으로 주입하고, 전원을 인가하여 스크류(200)를 회전시킨다.
이를 통하여 착즙대상물은 착즙물과 펄프로 구분되며, 펄프는 제 1 배출부(34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고, 착즙물은 제 2 배출부(36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어 용기(500)에 수용된다.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배출 저항 부재(342)에 의하여 일정한 저항의 펄프가 제 2 배출부(360)를 통하여 착즙물과 함께 용기(500)에 수용될 수도 있다.
착즙이 완료되었으면, 사용자는 스크류(200)의 작동을 중단시키고, 착즙물이 모인 용기(500)를 진공 형성부(800) 하단에 위치시킨다.
다음, 용기(500)의 입구를 용기 결착부(850)와 결착시키고, 제 1 실시예에 따른 주서기라면 진공 형성부 하우징(820)을 누르고, 제 2 실시예 또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주서기라면 진공 형성부 누름면(825)을 누른다.
이에 따라 진공 펌프(미도시)가 작동하기 시작하여 용기(500) 내부의 착즙물을 제외한 공간이 진공화된다.
진공화가 완료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 1 실시에에 따른 주서기라면 진공 형성부 하우징(820)을 누름을 해제하고, 제 2 실시예 또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주서기라면 진공 형성부 누름면(825)을 누름을 해제함으로써, 진공 펌프(미도시)의 작동이 중단된다.
이상, 본 명세서에는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덮개
110: 회전축 고정홈
120: 결착턱
130: 주입구
200: 스크류
210: 회전축
211: 회전축 상부
212: 각형축공
220: 스크류 리브
270: 메쉬망
300: 드럼
315: 스크류 고정부
320 드럼 리브
321: 제 1 드럼 리브
322: 제 2 드럼 리브
331: 제 1 가이드홈
332: 제 1 배출공
339: 안내턱
340: 제 1 배출부
341: 배출 부재
342: 배출 저항 부재
342a: 저항 부재 삽입돌기
342b: 저항면
343: 배출 조절부
343a: 저항 부재 삽입공
344: 연결부
351: 제 2 가이드홈
352: 제 2 배출공
360: 제 2 배출부
361: 배출 부재
400: 본체
410: 각형축
430: 드럼 지지체
431: 드럼 지지 조절부
432: 드럼 지지면
440: 드럼 고정 돌기
500: 용기
800: 진공 형성부
820: 진공 형성부 하우징
825: 진공 형성부 누름면
831: 제 1 접점부
832: 제 2 접점부
835: 탄성 부재
840: 진공 주입부
841: 진공 연결관
850: 용기 결착부
890: 결합부

Claims (21)

  1. 스크류(200)의 회전에 의하여 투입된 착즙대상물을 착즙하는 주서기에 있어서,
    상기 주서기는 진공 펌프에 연결된 진공 형성부(800)를 포함하며,
    상기 진공 형성부(800)가 눌리는 경우 접점이 연결됨으로써 상기 진공 펌프가 작동하는,
    주서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 형성부(800)는,
    상기 진공 펌프에 연결되는 진공 주입부(840); 및
    상기 진공 주입부(840)를 감싸는 진공 형성부 하우징(82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진공 형성부 하우징(820)이 눌리는 경우 접점이 연결됨으로써 상기 진공 펌프가 작동하는,
    주서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 형성부(800)는,
    상기 진공 형성부 하우징(820)에 연결되어, 상기 진공 형성부 하우징(820)이 눌리는 경우 이와 함께 상하 운동하는 제 1 접점부(831); 및
    상기 진공 형성부 하우징(820)에 연결되지 않아 상기 진공 형성부 하우징(820)이 눌리는 경우 이와 함께 상하 운동하지 않는 제 2 접점부(832)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진공 형성부(800)가 눌리는 경우 상기 제 1 접점부(831)와 상기 제 2 접점부(832)가 연결됨으로써 상기 진공 펌프가 계속 작동하는,
    주서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주서기는,
    드럼(300); 및
    상기 드럼(300)이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도록 위치되는 본체(4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크류(200)는 상기 드럼(300)의 내측 공간에 위치하여 회전 가능하며,
    상기 본체(400)에 상기 진공 형성부(800)가 위치하며,
    상기 진공 펌프와 상기 제 2 접점부(832)는 상기 본체(400) 내측에 구비되며,
    상기 진공 형성부 하우징(820)이 눌리는 경우 상기 본체(40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상기 진공 형성부 하우징(820)가 상하 운동하는,
    주서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400)에는 결합부(890)가 구비되며,
    상기 진공 형성부 하우징(820)은 상기 결합부(890) 내측에서 상하 운동 가능하며, 그리고
    상기 제 2 접점부(832)는 상기 결합부(890)에 고정되는,
    주서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점부(831)는 상기 결합부(890)에 고정된 탄성 부재(835)에 연결되며,
    상기 진공 형성부 하우징(820)이 눌리는 경우, 상기 본체(40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상기 진공 형성부 하우징(820)가 하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 1 접점부(831)와 상기 제 2 접점부(832)가 연결됨으로써 상기 진공 펌프가 작동하고,
    상기 진공 형성부 하우징(820)의 눌림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탄성 부재(835)에 의하여 상기 진공 형성부 하우징(820)이 상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 1 접점부(831)와 상기 제 2 접점부(832)의 연결이 해제되는,
    주서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 형성부(800)는 눌림에 의한 상하 운동과 별도로 회전축에 의한 힌지 운동이 가능하며,
    상기 진공 형성부(800)가 힌지 운동함으로써, 상기 진공 형성부 하우징(820)이 상기 본체(400)에서 외부로 돌출되어 상하 운동할 수 있는 제 1 위치와, 상기 본체(400)의 내측으로 내삽되고 상기 진공 형성부 하우징(820)이 상하 운동할 수 없는 제 2 위치 사이에서 변경 가능한,
    주서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 형성부(800)는,
    상기 진공 펌프에 연결되는 진공 주입부(840);
    상기 진공 주입부(840)를 감싸는 진공 형성부 하우징(820); 및
    상기 진공 형성부 하우징(820)의 일측에 구비된 진공 형성부 누름면(825)을 더 포함하며,
    상기 진공 형성부 누름면(825)이 눌리는 경우 접점이 연결됨으로써 상기 진공 펌프가 작동하는,
    주서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 형성부(800)는,
    상기 진공 형성부 누름면(825)에 연결되어, 상기 진공 형성부 누름면(825)이 눌리는 경우 이와 함께 상하 운동하는 제 1 접점부(831); 및
    상기 진공 형성부 하우징(820)에 연결되되 상기 진공 형성부 누름면(825)에 연결되지 않아, 상기 진공 형성부 누름면(825)이 눌리는 경우 이와 함께 상하 운동하지 않는 제 2 접점부(832)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진공 형성부(800)가 눌리는 경우 상기 제 1 접점부(831)와 상기 제 2 접점부(832)가 연결됨으로써 상기 진공 펌프가 작동하는,
    주서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주서기는,
    드럼(300); 및
    상기 드럼(300)이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도록 위치되는 본체(4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크류(200)는 상기 드럼(300)의 내측 공간에 위치하여 회전 가능하며,
    상기 본체(400)에 상기 진공 형성부(800)가 위치하며,
    상기 진공 펌프는 상기 본체(400) 내측에 구비되며,
    상기 진공 형성부 누름면(825)이 눌리는 경우 상기 본체(40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상기 진공 형성부 누름면(825)가 상하 운동하는,
    주서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 형성부 누름면(825)은 상기 진공 형성부 하우징(820)에 고정된 탄성 부재(835)에 연결되며,
    상기 진공 형성부 누름면(825)이 눌리는 경우, 상기 본체(40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상기 진공 형성부 누름면(825)가 하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 1 접점부(831)와 상기 제 2 접점부(832)가 연결됨으로써 상기 진공 펌프가 작동하고,
    상기 진공 형성부 누름면(825)의 눌림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탄성 부재(835)에 의하여 상기 진공 형성부 누름면(825)이 상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 1 접점부(831)와 상기 제 2 접점부(832)의 연결이 해제되는,
    주서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 형성부 누름면(825)은 상기 진공 형성부 하우징(820) 상부에서 이를 관통하도록 위치하고,
    상기 진공 형성부 누름면(825)은 상기 진공 주입부(840)를 감싼 상태에서 상하 운동이 가능하며,
    상기 탄성 부재(835)는 상기 진공 주입부(840)를 감싸면서 상기 진공 형성부 누름면(825)의 하측에 위치하는,
    주서기.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 형성부(800)는 회전축에 의한 힌지 운동이 가능하며,
    상기 진공 형성부(800)가 힌지 운동함으로써, 상기 진공 형성부 하우징(820)이 상기 본체(400)에서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진공 형성부 누름면(825)이 상하 운동할 수 있는 제 1 위치와, 상기 본체(400)의 내측으로 내삽되고 상기 진공 형성부 누름면(825)이 상하 운동할 수 없는 제 2 위치 사이에서 변경 가능한,
    주서기.
  14. 제 2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 형성부(800)는,
    상기 진공 주입부(840)의 일측에 구비된 진공 연결관(841)을 더 포함하며,
    상기 진공 연결관(841)과 상기 진공 펌프가 튜브에 의하여 연결되는,
    주서기.
  15. 제 2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 형성부(800)는,
    상기 진공 주입부(840)의 하측에 구비된 탄성 재질의 용기 결착부(850)를 더 포함하는,
    주서기.
  16. 제 4, 5, 6, 7, 10, 11, 12 및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200)의 하부에 메쉬망(270)이 위치하고,
    상기 본체(400) 내측에는 상기 스크류(200)에 연결되는 동력 부재가 위치하여,
    상기 동력 부재에 의하여 상기 스크류(200)가 회전하는 경우, 상기 스크류(200) 외측에 위치한 착즙대상물이 착즙되어 착즙물과 펄프로 구분되고, 착즙물은 상기 메쉬망(270)을 통과하여 상기 스크류(200) 내측으로 유동하고, 펄프는 상기 메쉬망(270)을 통과하지 못하여 상기 스크류(200) 외측에서 외부면을 따라 유동함으로써, 착즙대상물이 착즙물과 펄프로 구분되어 배출되는,
    주서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300)의 하부면에는,
    상기 스크류(200)의 외측 하부면에 삽입되는 안내턱(339);
    상기 안내턱(339)의 방사상 외측에 위치하는 제 1 가이드홈(331); 및
    상기 안내턱(339)의 방사상 내측에 위치하는 제 2 가이드홈(351)이 위치하며,
    상기 스크류(200) 외측에서 외부면을 따라 유동한 펄프는 상기 제 1 가이드홈(331)을 따라 유동하여 외부로 배출되고, 상기 스크류(200) 내측으로 유동한 착즙물은 상기 제 2 가이드홈(351)을 따라 유동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주서기.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 펌프가 상기 동력 부재에 의하여 동력을 전달받는,
    주서기.
  19. 제 4, 5, 6, 7, 10, 11, 12 및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의 외측에 망드럼이 구비되고,
    상기 본체(400) 내측에는 상기 스크류에 연결되는 동력 부재가 위치하여,
    상기 동력 부재에 의하여 상기 스크류가 회전하는 경우, 상기 스크류 외측에 위치한 착즙대상물이 착즙되어 착즙물과 펄프로 구분되고, 착즙물은 상기 망드럼을 통과하여 상기 망드럼 외측으로 유동하고, 펄프는 상기 망드럼을 통과하지 못하여 상기 망드럼 내측에서 유동함으로써, 착즙대상물이 착즙물과 펄프로 구분되어 배출되는,
    주서기.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300)의 하부면에는, 방사상 외측에 위치하는 제 1 가이드홈 및 방사상 내측에 위치하는 제 2 가이드홈이 위치하며,
    상기 망드럼 외측에서 유동한 착즙물은 상기 제 1 가이드홈을 따라 유동하여 외부로 배출되고, 상기 망드럼 내측에서 유동한 펄프는 상기 제 2 가이드홈을 따라 유동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주서기.
  21.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주서기에 포함되는,
    진공 형성부.
KR1020150190050A 2015-12-30 2015-12-30 누름식 진공 형성부를 포함하는 주서기 KR201700794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90050A KR20170079453A (ko) 2015-12-30 2015-12-30 누름식 진공 형성부를 포함하는 주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90050A KR20170079453A (ko) 2015-12-30 2015-12-30 누름식 진공 형성부를 포함하는 주서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9453A true KR20170079453A (ko) 2017-07-10

Family

ID=59355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90050A KR20170079453A (ko) 2015-12-30 2015-12-30 누름식 진공 형성부를 포함하는 주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7945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10064A (zh) * 2018-10-30 2020-05-08 广东美的生活电器制造有限公司 抽气嘴组件、机座组件及食物处理机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10064A (zh) * 2018-10-30 2020-05-08 广东美的生活电器制造有限公司 抽气嘴组件、机座组件及食物处理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640763B (zh) 搅拌机的真空装置
JP5877165B2 (ja) コーヒー飲料を調製するための装置、そのような装置と共に使用するための挽いたコーヒー包装カートリッジ、そのような装置によって飲料を調製する方法、及びそのような挽いたコーヒー包装カートリッジから挽いたコーヒーを供給する方法
US9844292B2 (en) Coffee maker with multi and single cup modes
CA2745419C (en) System, package, apparatus and method for dosing coffee beans
US8555774B2 (en) Disposable flavor insert for water dispenser
US8839832B2 (en) Ergonomic service arrangement for beverage machine
CA2804947A1 (en) Secure cup support for beverage machine
RU2673046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озлива напитка
US5906844A (en) Coffee maker
JP2003525671A (ja) 自動抽出モードと半自動抽出モードとを有する飲料抽出装置
JP2005527309A (ja) エスプレッソ・コーヒー製造装置
US20190389605A1 (en) Beverage cartridge filling and sealing system
US9868626B2 (en) Beverage dispenser
KR20170079453A (ko) 누름식 진공 형성부를 포함하는 주서기
KR20170050978A (ko) 커피분말 조절구를 구비한 휴대용 커피 빈 그라인더
KR20170039459A (ko) 진공형성부를 포함하는 주서기
KR101968520B1 (ko) 휴대용 커피 그라인더 조립체
EP3189001A1 (en) Liquid dispensing device and valve assembly for use therewith
EP3638986B1 (en) Manually-operated granular substance dispenser
KR20160006278A (ko) 원두커피 캡슐 밀봉장치
KR20170078404A (ko) 당도 측정 기능을 구비한 주서기
KR200488895Y1 (ko) 음료 제조 장치
JP6398593B2 (ja) 組立式加圧抽出器
KR200474091Y1 (ko) 커피 원두 분쇄 장치
JP2023508836A (ja) 飲料抽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5732;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71128

Effective date: 201909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