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9381A - 에너지 절약용 이중 에어커튼 장치 - Google Patents

에너지 절약용 이중 에어커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9381A
KR20210019381A KR1020200080221A KR20200080221A KR20210019381A KR 20210019381 A KR20210019381 A KR 20210019381A KR 1020200080221 A KR1020200080221 A KR 1020200080221A KR 20200080221 A KR20200080221 A KR 20200080221A KR 20210019381 A KR20210019381 A KR 202100193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urtain
curtain device
air
external
dou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02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우
Original Assignee
김성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우 filed Critical 김성우
Publication of KR202100193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93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9/00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e.g. air curta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9/00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e.g. air curtains
    • F24F2009/005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e.g. air curtains combined with a do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urtains And 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나 특정 공간의 온도가 보다 더 효율적으로 유지되게 하여 에너지절감이 되게 하고, 부가적으로 곤충이나 모기 및 파리 등의 해충들이나 매연이 실내나 특정의 공간으로 들어오는 것을 최대한 억제하도록 하는 에너지 절약용 이중 에어커튼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사람들이 출입하는 일반 가정의 현관문 및 방문, 각종 영업장의 출입문 및 물품출입문, 축사의 출입문, 공장의 출입문, 연구소의 출입문, 캬라반, 레져용 차량, 텐트 등의 출입문 또는 창문 등에 설치하여, 실내나 공간의 냉기나 온기가 바깥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최대한 억제하도록 하는 에너지 절약용 이중 에어커튼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에너지 절약용 이중 에어커튼 장치 {DUAL AIR CURTAIN DEVICE FOR ENERGY SAVING }
본 발명은 실내나 특정 공간의 온도가 보다 더 효율적으로 유지되게 하여 에너지절감이 되게 하고, 부가적으로 곤충이나 모기 및 파리 등의 해충들이나 매연이 실내나 특정의 공간으로 들어오는 것을 최대한 억제하도록 하는 에너지 절약용 이중 에어커튼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사람들이 출입하는 일반 가정의 현관문 및 방문, 각종 영업장의 출입문 및 물품출입문, 축사의 출입문, 공장의 출입문, 연구소의 출입문, 캬라반, 레져용 차량, 텐트 등의 출입문 또는 창문 등에 설치하여, 실내나 공간의 냉기나 온기가 바깥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최대한 억제하도록 하는 에너지 절약용 이중 에어커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특징은, 출입구나 창문에 내부공기 유입부, 필터, 내부공기 송풍기, 내부공기 취출부로 구성되는 내측 에어커튼장치와, 외부공기 유입부, 외부공기 송풍기, 외부공기 취출부로 구성되는 외측 에어커튼 장치를 일체형으로 하여 일측 방향에만 설치하여서 구성시킨 것에 특징이 있다.
즉, 내부공기는 내측에어커튼을 형성시킨 후 다시 내부로 돌아가게 하고, 외부공기는 외측에어커튼을 형성시킨 후 다시 외부로 돌아가게 하여서 외부공기와 내부공기가 최대한 섞이지 않게 함으로 에너지 절약이 되도록 구성시킨 것이 특징이다.
에어커튼은 서로 다른 공기조건을 갖는 경계부에 양측의 공기가 혼합되지 않도록 고압의 공기를 분사함으로써, 냉/온기의 유입을 차단하고 보전하거나 이물질 유입을 억제하거나 방지하는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출입하는 출입구의 에어커튼 장치들은 출입구의 위측이나 측면에 설치되어 단순히 위에서 아래로 또는 측면에서 다른 측 측면으로 송풍시키는 형태들이었는데, 이러한 종류들의 에어커튼장치들은 공기를 차단시키는 효과가 미흡하며, 실내공기를 정화하는 측면을 고려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선행 개시된 에어커튼장치들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의 특허등록번호 10-0819103호(발명의 명칭: 에어커튼장치, 등록일: 2008. 03. 27.)에 의하면, 일측에서 에어를 송출하고 타측에서는 에어를 흡입시키는 제안을 하였으나, 양측에 값비싼 기계장치들을 설치해야하기 때문에 제조원가가 너무 비싸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그리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의 특허등록번호 10-1312070호(발명의 명칭: 횡류형 에어커튼장치, 등록일: 2013. 09. 09.)에 양측에서 바깥 측으로 에어를 송출하는 안을 제안하였으나, 역시 양측에 값비싼 기계장치들을 설치해야 하며, 내부의 공기가 바깥 측으로 쉽게 빠져나가는 구조이기 때문에 에너지절약 효과가 매우 미흡하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그리고, 더운 여름에 각종 수많은 영업매장에서 에어컨을 가동시킨 상태에서 현관문을 열어둔 채로 영업을 하는 관계로 에너지낭비를 하는 경우가 많다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문헌1] KR. 특허등록번호 10-0819103호(발명의 명칭: 에어커튼장치, 등록일: 2008. 03. 27.) [문헌2] KR. 특허등록번호 10-1312070호(발명의 명칭: 횡류형 에어커튼장치, 등록일: 2013. 09. 09.)
본 발명은 사람들이 출입하는 다양한 건물의 출입구나 창문 또는 특정 공간의 입구에 설치하는 이중 에어커튼 장치로서, 특정한 공간의 내부의 공기와 외부의 공기가 혼합되는 것을 최대한 억제하여 에너지가 손실되는 것을 줄이고, 매연 및 해충들의 실내 유입을 차단하며, 실내의 공기를 필터와 음이온발생 장치로 공기정화도 되게 하는 이중 에어커튼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본 발명의 이중 에어커튼장치에 소독약 분사기를 장착시켜서, 각종 바이러스들이 실내로 침투하는 것을 최대한 억제하는 이중 에어커튼장치를 제공하는 데에도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람들이 출입하는 출입구나 특정 구조물의 공간의 입구나 창문에 설치하는 이중 에어커튼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에어커튼에 내부공기 유입부와 내부공기 송풍기와 내부공기 취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내측 에어커튼 장치와, 외부공기 유입부와 외부공기 송풍기와 외부 공기 취출부로 포함하여 구성되는 외측 에어커튼 장치를 일체형으로 구성시킨 것에 특징이 있으며, 특정 공간의 입구의 상하좌우 측중에서 일 측에만 설치하여 제조원가를 줄이도록 구성시키고, 내부공기는 내측 에어커튼을 형성시킨 후 다시 내부로 돌아가게 하고, 외부공기는 외측에어커튼을 형성시킨 후 다시 외부로 돌아가게 하여서, 내부공기와 외부공기가 최대한 섞이지 않게 함으로 에너지 절약이 되도록 구성시킨 것에 특징이 있다.
그리고 경우에 따라서는, 이들 이중 에어커튼장치들을 이동식으로 구성시키거나, 지지대와 죄임쇠를 구비시켜서 문털 사이에 죄여서 고정하거나, 천장과 바닥에 죄여서 사용하도록 구성시킨 것에도 특징이 있다.
또한 그리고, 내부공기 측면 취출부와 외부공기 측면 취출부를 추가로 구비시켜서, 각 본류 에어커튼(내부 에어커튼, 외부외어커튼)의 사각지대인 측면부에 부가적으로 측면 에어커튼이 형성되도록 하여서, 내부공기와 외부공기가 최대한 섞이지 않도록 구성시킨 것에도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에너지 절약용 이중 에어커튼 장치를 사용할 경우, 외부의 공기와 특정 공간의 내부의 공기가 혼합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에너지 손실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고, 도로가의 매연이나, 모기 및 파리 등과 같은 해충들이 실내로 들어오는 것도 최대한 억제할 수 있으며, 미세먼지나 사스(SARS),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조류독감바이러스, 코로나19 등과 같은 바이러스들이 실내로 침투하는 것을 최대한 억제하도록 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문틀의 좌우상하 측중에서 1측에만 설치하기 때문에 제조원가를 획기적으로 내리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제 1실시 예에 따른 이중 에어커튼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제 1실시 예에 따른 이중 에어커튼 장치에서 분사되는 에어방향을 표시한 이중 에어커튼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제 1실시 예에 따른 이중 에어커튼 장치에서 분사되는 에어방향을 표시한 이중 에어커튼장치의 개략적인 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제 2실시 예에 따른 이중 에어커튼 장치에서 분사되는 에어방향을 표시한 이중 에어커튼장치의 개략적인 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제 3실시 예에 따른 이중 에어커튼 장치에서 분사되는 에어방향을 표시한 이중 에어커튼장치의 개략적인 종단면도.
도 6의 (가)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제 4실시 예에 따른 이중 에어커튼 장치에서 분사되는 에어방향을 표시한 이중 에어커튼장치의 개략적인 횡단면도이며, (나)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제 4실시 예에 따른 이중 에어커튼 장치의 개략적인 배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제 5실시 예에 따른 이중 에어커튼 장치에서 분사되는 에어방향을 표시한 이중 에어커튼장치의 개략적인 종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제 5실시 예에 따른 이중 에어커튼 장치가 캬라반에 적용된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제 4실시 예에 따른 이중 에어커튼 장치가 차량에 적용된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제 5실시 예에 따른 이중 에어커튼 장치가 텐트에 적용된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제 6실시 예에 따른 이중 에어커튼 장치가 이동식 보조문틀에 적용된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제 7실시 예에 따른 이중 에어커튼 장치가 문틀에 장착된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제 8실시 예에 따른 이중 에어커튼 장치가 문틀에 수직으로 장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 이중 에어커튼 장치
110, 210, 310, 710, 810 ; 문틀
120, 220, 320, 420, 520 ; 내측 에어커튼 장치
121, 221, 321, 421, 521 ; 내부공기 유입부
123, 223, 323, 423, 523 ; 내부공기 송풍기
124, 224, 324, 424, 524, 624 ; 내부공기 취출부
130, 230, 330, 430, 530 ; 외측 에어커튼 장치
131, 231, 331, 431, 531 ; 외부공기 유입부
133, 233, 333, 433 ; 외부공기 송풍기
134, 234, 334, 434, 534, 634 ; 외부공기 취출부
140, 240, 340, 440, 640 ; 내측 에어커튼
141, 241, 341, 441, 641 ; 내부공기
150, 250, 350, 450, 650 ; 외측 에어커튼
151, 251, 351, 451, 651 ; 외부공기
160, 260 ; 출입문
580 ; 에어컨
694 ; 이동식 보조문털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제 1실시 예에 따른 이중 에어커튼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제 1실시 예에 따른 이중 에어커튼 장치에서 분사되는 에어방향을 표시한 이중 에어커튼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제 1실시 예에 따른 이중 에어커튼 장치에서 분사되는 에어방향을 표시한 이중 에어커튼장치의 개략적인 횡단면도로서,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가장 중요한 특징은, 문틀(110)의 문틀좌측부(112) 또는 문틀우측부(113)에 구비되는 내부공기 송풍기(123)가 IR센서(미도시) 및 스위치(미도시)의 작동에 의하여 가동되면, 내부공기 유입부(121)로 내부공기(141)가 유입되어 필터(122)를 거쳐, 내부공기 취출부(124)로 토출되면서 내측 에어커튼(140)을 형성시키는 내측 에어커튼 장치(120)와, 외부공기 송풍기(133)가 동일한 스위치(미도시)의 작동에 의하여 가동되면, 외부공기 유입부(131)로 외부공기(151)가 유입되어, 외부공기 취출부(134)로 토출되면서 외측 에어커튼(150)을 형성시키는 외측 에어커튼 장치(130)를 동시에 일체형으로 구비시키고, 동시에 작동되도록 구비시킨 이중 에어커튼 장치(100)인 것이다.
즉, 출입문(160)의 내측에 있는 내부공기(141)는 내부공기 송풍기(123)의 압력에 의하여 내측 에어커튼(140)을 형성시킨 후, 다시 내측의 실내로 순환되게 하고, 출입문(160)의 외측에 있는 외부공기(151)는 외부공기 송풍기(133)의 압력에 의하여 외측 에어커튼(150)을 형성시킨 후, 다시 외측의 실외로 순환내지는 배출되도록 하는 과정에서, 내부공기(141)와 외부공기(151)가 일정한 각도(0도~ 90도)를 유지하면서 거의 대등한 속도로 이동되면서 힘의 균형이 이루어져 혼합되지 않도록 한 것이 중요한 특징이다.
이때, 내측 에어커튼 장치(120)의 필터(122)는 생략시킬 수 있으며, 내부공기 취출부(124)에 소독약 분사장치나, 음이온 발생장치나, 방향장치나, 산소발생장치 중에서 적어도 1가지 이상의 장치를 추가적으로 장착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문틀 좌측부(112)에서 문틀 우측부(113)로 공기를 토출되게 하는 것이나, 문틀 우측부(113)에서 문틀 좌측부(112)로 공기를 토출되게 하는 것은 같은 내용으로 해석한다.
또한, 내부공기 송풍기(123)와 외부공기 송풍기(133)는 팬이 없는 송풍기나 에어탱크 및 컴프레셔로 대체시킬 수 있으며, 역시 같은 내용으로 해석한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도 1 내지는 도 3의 내용은 건물 신축시나 건물의 개보수시에 벽체에 출입문을 장착하고자 할 때 적용하는 실시 예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의 내용에서, 출입문의 중심선으로부터 각 에어커튼들이 벌어지는 각도는 0도 ~ 45도 이고, 내측 에어커튼 장치와 외측 에어커튼 장치는 일체형으로 구성되며, 특정 공간의 입구의 좌우상하 측중에서 일 측에만 설치하여 제조원가를 내릴 수 있도록 구성된다.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제 2실시 예에 따른 이중 에어커튼 장치에서 분사되는 에어방향을 표시한 이중 에어커튼장치의 개략적인 횡단면도이다.
이중 에어커튼 장치(200)는 내부공기 유입부(221)와 내부공기 송풍기(223)와 필터(222)와 내부공기 취출부(224)로 구성된 내측 에어커튼 장치(220)와, 외부공기 유입부(231)와 외부공기 송풍기(233)와 외부공기 취출부(234)로 구성된 외측 에어커튼 장치(230)로 구성되어 있다는 내용이 도시되어 있는데, 출입문(260)에 내측 에어커튼 장치(220)와, 외측 에어커튼 장치(230)가 일체형으로 장착된 경우의 예이며, 주로 이미 출입문 설치공사가 진행된 기존의 자동문에 설치되는 경우에 해당된다.
도면에서는, 내부공기(241)와 외부공기(251)가 토출되어 내부 에어커튼(240)과 외부 에어커튼(250) 형성시키는 내용을 설명하고 있으며, 출입문(260)이 개방될 때, 내부 에어커튼(240)과 외부 에어커튼(250)이 갈림판 역할을 하면서 내부공기(241)와 외부공기(251)를 더욱 완벽히 분리시킨다는 내용을 설명하고 있다.
미설명부호(270)은 벽체이며, 출입문(260)이 열고 닫힐 때 작동하는 IR센서와 스위치는 생략되었다.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제 3실시 예에 따른 이중 에어커튼 장치에서 분사되는 에어방향을 표시한 이중 에어커튼장치의 개략적인 종단면도이다.
도면에서는, 내부공기 유입부(321)과 내부공기 송풍기(323)와 내부공기 취출부(324)로 구성되는 내측 에어커튼장치(320)와, 외부공기 유입부(331)과 외부공기 송풍기(333)와 외부공기 취출부(334)로 구성되는 외측 에어커튼장치(330)가 바닥패널(380)에 구비되어, 각각 내부공기(341)와 외부공기(351)를 바닥패널(380)의 상부측으로 토출시키면서 내측 에어커튼(340)과 외측 에어커튼(350)을 형성시키는 경우를 설명하고 있다.
도 6의 (가)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제 4실시 예에 따른 이중 에어커튼 장치에서 분사되는 에어방향을 표시한 이중 에어커튼장치의 개략적인 횡단면도이며, (나)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제 4실시 예에 따른 이중 에어커튼 장치의 개략적인 배면도이며,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의 각 도면에는, 이중 에어커튼 장치(400)는 내부공기(441)가 유입되는 내부공기 유입부(421)와 내부공기 송풍기(423)와 필터(422)와 내부공기 취출부(424)로 구성된 내측 에어커튼 장치(420)와, 외부공기(451)가 유입되는 외부공기 유입부(431)와 외부공기 송풍기(433)와 외부공기 취출부(434)로 구성된 외측 에어커튼 장치(430)로 구성되어 있다는 내용이 도시되어 있는데, 내측 에어커튼(440)과 외측 에어커튼(450)에 의하여 내부공기(441)와 외부공기(451)가 서로 믹스되지 않게 한다는 내용을 설명하고 있다.
미설명 부호 (θ)는 출입문(460)을 지나는 중심선과 에어커튼과의 각도로서 0도~ 45도 사이에서 정해지며, 에어커튼장치의 각도 조절기(미도시)로서 조절하게 할 수 있게 되어있고, 다만 내측 에어커튼 장치(420)를 선풍기 용도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90°까지도 벌어지게 할 수 있도록 구성시킬 수 있다.
또한, (470)은 균형공간으로써, 내측 에어커튼(440)과 외측 에어커튼(450)과 내부공기 측면취출구(425)에서 토출되는 에어로 형성되는 에어커튼(미도시)과 외부공기 측면취출구(435)에서 토출되는 에어로 형성되는 에어커튼(미도시)에 의하여 각 에어커튼으로 밀폐되는 공간이며, 어느 한쪽으로 공기가 쏠리지 않도록 하는 힘의 균형 지역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제 5실시 예에 따른 이중 에어커튼 장치에서 분사되는 에어방향을 표시한 이중 에어커튼장치의 개략적인 종단면도로서, 내측 에어커튼장치(520)에 에어컨(580)이 장착된 경우의 예이다.
도면에는, 이중 에어커튼장치(500)가 내부공기 유입부(521), 에어컨(580), 내부공기 취출부(524)로 구성된 내측 에어커튼장치(520)와, 외부공기 유입부(531), 외부공기 송풍기(533), 외부공기 취출부(534)로 구성된 외측 에어커튼장치(530)로 구성된다는 내용이 도시되어 있다.
특정의 공간에 에어컨이 설치되지 않았을 때 활용되는 예이다.
내측 에어커튼장치(520)에 에어컨(580)이 장착되고 에어컨(580)의 송풍구가 내부공기 취출부(524)가 되는 것이며, 도면으로 설명은 하지 못하였으나, 에어컨(580)의 방열판(미도시)은 외측 에어커튼장치(530)에 장착되게 할 수 있으며, 에어컨(580)을 냉난방겸용 장치로 대체시킬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제 5실시 예에 따른 이중 에어커튼 장치가 캬라반에 적용된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로서, 이중 에어커튼장치(500)가 이동식 주택인 캬라반(591)에 장착되어, 캬라반(591)의 내부를 저렴한 에너지비용으로 냉방 및 난방을 하도록 하며, 출입문을 닫지 않고서 휴식을 즐길 수 있기 때문에, 사람들의 출입을 매우 용이하게 하고, 모기, 파리, 풀벌레 등의 유입을 막을 수 있게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제 4실시 예에 따른 이중 에어커튼 장치가 차량에 적용된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로서, 이중 에어커튼 장치(400)가 차량(492)에 설치되어서 야영을 할 때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경우의 예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제 5실시 예에 따른 이중 에어커튼 장치가 텐트에 적용된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로서, 이중 에어커튼 장치(500)가 텐트(593)에 설치되어서 야영을 할 때 등의 경우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예이다.
도면에 도시된 텐트(593)는 장난감 전기자동차 겸용 이동식 텐트로서, 바닥 패널(593a)과 바퀴(593b)와 차양막(593c)으로 구성되었으며, 운전대(593d)와 의자(593e)가 구비된 전기자동차 위에 텐트가 장착된 형태이다. 이러한 경우의 예는 주로 실내의 거실에 설치되어서, 텐트(593)의 내부만 냉방 및 난방 하고자 하는 경우에 많이 활용될 수 있으며, 전기자동차 장난감으로도 활용될 수 있는 경우의 예이다.
그러나, 바닥에 설치하는 단순형의 텐트에 적용시킬 수 도 있으며, 텐트(593)를 걷어내고, 모기장(미도시)으로 대체시켜서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텐트(593)의 내부에 탁구공 발사기(미도시)와 탁구대(미도시)를 설치하여 탁구연습도 즐기는 형태로도 구비시킬 수가 있으며, 스크린(미도시)과 빔프로젝터(미도시)를 텐트(593)의 내부에 설치하여, 모바일 게임 등 각종 화상전자게임이나 외국어학습이나 영화감상 등을 즐길 수 있도록 구비시킬 수도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제 6실시 예에 따른 이중 에어커튼 장치가 이동식 보조문틀에 적용된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로서, 이중 에어커튼장치(600)가 바퀴(694a)가 장착된 이동식 보조문틀(694)에 장착된 경우의 예이다.
주방의 공간 등 특정한 공간만 냉방 및 난방을 하고자 할 때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경우의 예이다.
미설명 부호 (694b)는 커텐으로써, 이동식 보조문틀(694)의 내부에 감긴 형태로 보관되며, 입구의 폭이 넓을 때 풀어서 사용되는 차단막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제 7실시 예에 따른 이중 에어커튼 장치가 문틀에 장착된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로서, 이중 에어커튼장치(700)가 지지대(796)와 죄임쇠(795)에 의하여 문틀(710)에 죄여져서, 에너지 절감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경우의 예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제 8실시 예에 따른 이중 에어커튼 장치가 문틀에 수직으로 장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이중 에어커튼 장치(800)가 문틀에 수직으로 장착되어 사용되는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로서, 이중 에어커튼장치(800)가 죄임쇠(897a, 897b)에 의하여 하부지지대(896a)와 상부지지대(896b)가 문틀(810)의 바닥부와 상부를 죄여져서, 에너지 절감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예이다.
상기의 기술내용 이외에도, 낚시용 좌대 등 각종 레져시설이나 레져용품, 선박, 들마루 또는 침대 등의 생활기구 등에도 본 발명의 이중 에어커튼 장치를 장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로 간주한다.
이상으로 몇가지 실시 예를 나열하여 본 발명의 내용을 설명하였으나, 사상적 법률적 범위 내에서 사상적 법률적 치환 및 변환이 가능하다.

Claims (6)

  1. 사람들이 출입하는 출입구나 특정 구조물의 공간의 입구나 창문에 설치하는 이중 에어커튼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중 에어커튼을 내부공기 유입부와, 내부공기 송풍기와, 내부공기 취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내측 에어커튼 장치를 구비시키고;
    외부공기 유입부와, 외부공기 송풍기와, 외부공기 취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외측 에어커튼 장치를 구비시키고;
    상기 내측 에어커튼 장치와, 외측 에어커튼 장치를 일체형으로 구비시켜서; 구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절약용 이중 에어커튼 장치.
  2. 사람들이 출입하는 출입구나 특정 구조물의 공간의 입구나 창문에 설치하는 이중 에어커튼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중 에어커튼을 내부공기 유입부와, 에어컨과, 내부공기 취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내측 에어커튼 장치를 구비시키고;
    외부공기 유입부와, 외부공기 송풍기와, 외부공기 취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외측 에어커튼 장치를 구비시키고;
    상기 내측 에어커튼 장치와, 외측 에어커튼 장치를 일체형으로 구비시켜서; 구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절약용 이중 에어커튼 장치.
  3. 사람들이 출입하는 출입구나 특정 구조물의 공간의 입구나 창문에 설치하는 이중 에어커튼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중 에어커튼을 내부공기 유입부와, 내부공기 송풍기와, 내부공기 취출부와, 내부공기 측면 취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내측 에어커튼 장치를 구비시키고;
    외부공기 유입부와, 외부공기 송풍기와, 외부공기 취출부와, 외부공기 측면 취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외측 에어커튼 장치를 구비시키고;
    상기 내측 에어커튼 장치와, 외측 에어커튼 장치를 일체형으로 구비시켜서; 구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절약용 이중 에어커튼 장치.
  4. 사람들이 출입하는 출입구나 특정 구조물의 공간의 입구나 창문에 설치하는 이중 에어커튼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중 에어커튼을 내부공기 유입부와, 내부공기 송풍기와, 내부공기 취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내측 에어커튼 장치를 구비시키고;
    외부공기 유입부와, 외부공기 송풍기와, 외부공기 취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외측 에어커튼 장치를 구비시키고;
    상기 내측 에어커튼 장치와, 외측 에어커튼 장치를 일체형으로 구비시키고;
    상기 일체형으로 구비된 에어커튼장치에 지지대와 죄임쇠를 구비시켜서; 구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절약용 이중 에어커튼 장치.
  5. 제 1항 내지는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 에어커튼장치를 이동식 보조문틀에 일체형으로 결합시켜서 구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절약용 이중 에어커튼 장치.
  6. 제 1항 내지는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 에어커튼장치를 캬라반이나, 차량이나, 텐트에 결합시켜서 구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절약용 이중 에어커튼 장치.
KR1020200080221A 2019-08-12 2020-06-30 에너지 절약용 이중 에어커튼 장치 KR2021001938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098240 2019-08-12
KR1020190098240 2019-08-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9381A true KR20210019381A (ko) 2021-02-22

Family

ID=74687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0221A KR20210019381A (ko) 2019-08-12 2020-06-30 에너지 절약용 이중 에어커튼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1938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2280A (ko) * 2022-02-14 2023-08-22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결로방지 창문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9103B1 (ko) 2007-09-03 2008-04-03 진아엔지니어링(주) 에어커튼 장치
KR101312070B1 (ko) 2011-05-30 2013-09-25 (주)세기시스템 횡류형 에어커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9103B1 (ko) 2007-09-03 2008-04-03 진아엔지니어링(주) 에어커튼 장치
KR101312070B1 (ko) 2011-05-30 2013-09-25 (주)세기시스템 횡류형 에어커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2280A (ko) * 2022-02-14 2023-08-22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결로방지 창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19381A (ko) 에너지 절약용 이중 에어커튼 장치
KR20140023709A (ko) 열교환 기능을 갖는 이중창호 장치
US3687053A (en) Vestibule air curtain door system
CN103216905B (zh) 增强风幕阻隔功能的方法及风幕机
KR101417641B1 (ko) 제연덕트를 이용한 환기 시스템
JP2015055433A (ja) 空調システム
NL1021131C2 (nl) Kozijn met geïntegreerde ventilatie.
JPH11201515A (ja) 強制給気ユニット
JP3046944B2 (ja) 快適住環境機能を備えた住宅
JP2000257937A (ja) 換気装置
JP2008057289A (ja) ユニット式建物
JPH0466034A (ja) 動物飼育装置
KR20200142437A (ko) 냉풍 또는 온풍을 선택적으로 분출하는 기능을 구비한 텐트
CN110847456A (zh) 建筑立面框架及建筑立面系统
JP2000146223A (ja) 窓面結露防止システム
CN215837879U (zh) 一种柜子用通风除湿集成盒
JP3897876B2 (ja) 建物の換気構造及び該建物の換気構造における換気システム
KR102338263B1 (ko) 공기 조절기 일체형 창짝 및 공기 조절기 일체형 문짝
JPH0376987A (ja) スクリーンシェイド装置及び該装置装着の出窓
CN208830551U (zh) 建筑立面框架及建筑立面系统
JP3897877B2 (ja) 建物の換気構造及び該建物の換気構造における換気システム
KR101329302B1 (ko) 창틀의 통풍장치
KR200422771Y1 (ko) 무동력 댐퍼를 이용한 환기시스템
KR20050096016A (ko) 자연 풍압을 이용한 자동 환기 조절 창호
JP2007132154A (ja) 建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