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8970A - 장치-대-장치 동기화 소스 선택 - Google Patents

장치-대-장치 동기화 소스 선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8970A
KR20210018970A KR1020217003884A KR20217003884A KR20210018970A KR 20210018970 A KR20210018970 A KR 20210018970A KR 1020217003884 A KR1020217003884 A KR 1020217003884A KR 20217003884 A KR20217003884 A KR 20217003884A KR 20210018970 A KR20210018970 A KR 202100189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nchronization
source
hops
metric
network n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38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37798B1 (ko
Inventor
수주안 펭
릴레이 왕
히데토시 스즈키
프라티크 바수 말릭
Original Assignee
선 페이턴트 트러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 페이턴트 트러스트 filed Critical 선 페이턴트 트러스트
Publication of KR202100189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89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77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77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1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 H04W56/0015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one node acting as a reference for the oth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1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 H04W56/0025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synchronizing potentially movable access poi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4Synchronisation arrangements compensating for timing error of reception due to propagation de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07Relay station based processing for cell extension or control of cove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지국 (네트워크 노드) 등의 네트워크, 또는 기지국으로부터 다른 수의 홉을 거쳐서 가능하게 동기화 신호를 수신하는 사용자 장비로부터 동기화 신호를 결정하는 소스들을 포함하고, 및 네트워크로부터 그 동기화 신호들을 결정하지 않는 소스를 더 포함하는, 다양한 동기화 소스들 중에서 동기화 소스를 선택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동기화 소스의 선택은, 고려된 각각의 소스에 대해서 계산된 메트릭에 기초하여 가장 신뢰할 만한 동기화 신호를 갖는 소스를 선택함으로서 실행된다. 특히, 메트릭은 소스 유형, 네트워크와 소스 사이의 홉의 수, 및/또는 수신된 신호 품질에 기초한다. 소스를 선택한 후, 장치의 타이밍이 이에 따라서 조정된다.

Description

장치-대-장치 동기화 소스 선택{DEVICE TO DEVICE SYNCHRONIZATION SOURCE SELECTION}
본 발명은 무선 통신에 대한 동기화 소스의 선택 또는 재선택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WCDMA 무선 액세스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3세대 이동 시스템 (3G) 이 전 세계에 널리 배포되고 있다. 이 기술을 강화시키거나 진화시키는 첫 번째 단계는, 매우 경쟁력있는 무선 액세스 기술을 제공하는, 고속 다운 링크 패킷 액세스 (HSDPA: High-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및 고속 업링크 패킷 액세스 (HSUPA: 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로 불리는 향상된 업링크를 도입하는 것을 수반한다. 더 증가하는 사용자 요구에 대비하고 새로운 무선 액세스 기술에 대해서 경쟁력을 가지도록, 3GPP는 LTE (Long Term Evolution)로 칭해지는 새로운 이동 통신 시스템을 도입하였다. LTE는, 향후 10년까지 대용량 음성 지원뿐 아니라 고속 데이터 및 미디어 전송을 위한 캐리어 요구를 충족하도록 설계되었다. 높은 비트 전송률을 제공하는 기능이 LTE의 핵심 척도이다. 진화 UMTS 지상파 무선 액세스 (UTRA: Evolved 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및 UMTS 지상파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UTRAN: 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로 불리는 LTE (Long Term Evolution)에 대한 작업 항목 (WI: work item)에 대한 사양은 릴리즈 8 (Rel.8 LTE)로 마무리된다. LTE 시스템은 짧은 대기 시간 및 저 비용으로 풀 IP-기반 기능을 제공하는 효율적인 패킷-기반 무선 액세스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를 나타낸다. 상세한 시스템 요구 사항은 3GPP 사양 TR 25.913, "진화 UTRA 및 진화 UTRAN에 대한 요구 사항", 버전 9.0.0에 주어져 있으며, www.3gpp.org에서 무료로 이용가능하다.
LTE에서, 주어진 스펙트럼을 사용하는 유연한 시스템 배치를 달성하기 위해 1.4, 3.0, 5.0, 10.0, 15.0, 및 20.0 MHz 등 여러 확장가능한 전송 대역폭이 지정되어 있다. 다운 링크에서, 무선 액세스기반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 (OFDM: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이, 낮은 심볼 레이트로 인한 다중 경로 간섭 (MPI: multipath interference)에 대한 고유 내성, 주기적 전치 부호 (CP: cyclic prefix)의 사용, 및 상이한 전송 대역폭 배열에 대한 관련성으로 인해, 채택되었다. 광역 커버리지 제공이 사용자 장비 (UE: user equipment)의 제한된 전송 전력을 고려한 피크 데이터 레이트의 향상에 대해서 우선시되기 때문에, 무선 액세스 기반 단일-반송파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 (SC-FDMA: single-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이 업링크에서 채택되었다. 다중 입력 다중 출력 (MIMO: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채널 전송 기술을 포함하는 많은 주요 패킷 무선 액세스 기술이 채택되고, 고효율 제어 신호 구조가 릴리즈 8 LTE에서 취득된다.
전반적인 구조가 도 1에 도시되고, E-UTRAN 구조의 보다 자세한 표현이 도 2에 제공된다. E-UTRAN은 eNB 들을 포함하며, UE에 대해서 E-UTRA 사용자 면 (PDCP/RLC/MAC/PHY) 및 제어면 (RRC) 프로토콜 종단을 제공한다. eNB는 사용자 평면 헤더 압축 및 암호화 기능을 구비하는, 물리 (PHY), 매체 액세스 제어 (MAC: Medium Access Control), 무선 링크 제어 (RLC: Radio Link Control), 및 패킷 데이터 제어 프로토콜 (PDCP: Packet Data Control Protocol) 계층을 호스팅한다. 또한 제어면에 해당하는 무선 자원 제어 (RRC: Radio Resource Control) 기능을 제공한다. 무선 자원 관리, 승인 제어, 스케쥴링, 협상된 UL QoS의 강화, 셀 정보 방송, 사용자 및 제어 평면 데이터의 암호화/해독, 및 DL/UL 사용자 평면 패킷 헤더의 압축/압축 해제를 포함하는 많은 기능을 행한다. eNB는 X2 인터페이스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다. eNB는 S1 인터페이스에 의해서 EPC (Evolved Packet Core)에 또한 연결되고, 더 구체적으로 S1-MME에 의해서 MME (Mobility Management Entity)에, S1-U에 의해 서빙 게이트웨이(S-GW: Serving Gateway)에 연결되어 있다. S1 인터페이스는 MME/서빙 게이트웨이와 eNB 사이의 다-대-다 관계를 지원한다. SGW는, 상호-eNB 핸드오버시 사용자 평면에 대한 이동성 앵커 및 LTE와 다른 3GPP 기술 (S4 인터페이스를 종료하고, 2G/3G 시스템과 PDN GW 사이의 트래픽을 중계하는) 사이의 이동성에 대한 앵커로서 동작하면서, 사용자 데이터 패킷을 라우팅 및 전달한다. 아이들 상태의 UE에 대해서, SGW는 DL 데이터 경로를 종료하고, DL 데이터가 UE에 도착할 때 페이징을 트리거한다. 이것은 UE 컨텍스트, 예를 들면, IP 베어러 서비스의 파라미터, 및 네트워크 내부 라우팅 정보를 관리 및 저장한다. 이것은 또한 합법적인 차단의 경우 사용자 트래픽의 복제를 행한다.
MME는 LTE 액세스-네트워크에 대한 주요한 제어 노드이다. 이것은 아이들 모드 UE 트래킹 및 재전송을 포함한 페이징 절차에 대한 책임이 있다. 이것은 베어러 활성화/비활성화 프로세스를 수반하고, 또한 초기 연결시 및 코어 네트워크 (CN) 노드 재배치와 관련된 내부 LTE 핸드오버시 UE에 대해 SGW를 선택하는데 책임이 있다. 이것은 (HSS와 상호 작용하여) 사용자 인증에 대해 책임진다. NAS (Non-Access Stratum) 시그널링은 MME에서 종료하고, 또한 UE에 대해서 임시 ID를 생성하고 할당하는 것에 대해 책임이 있다. 그것은 UE의 인증이 서비스 제공 업체의 PLMN (Public Land Mobile Network) 상에 캠프하는 것을 검사하고 UE 로밍 제한을 강화한다. MME는 NAS 시그널링에 대한 암호화/완전성 보호를 위해 네트워크에서 종료 포인트이며, 보안 키 관리를 처리한다. 신호의 합법적인 차단은 또한 MME에 의해 지원된다. MME도 SGSN으로부터 MME에서 종료하는 S3 인터페이스를 갖는 LTE와 2G/3G 액세스 네트워크 사이의 이동성을 위한 제어 면 기능을 제공한다. MME는 또한 UE를 로밍하기 위해 홈 HSS을 향한 S6a 인터페이스를 종료한다.
3GPP LTE 시스템의 다운링크 컴포넌트 캐리어(component carrier)는 소위 서브-프레임에서 시간-주파수 영역에서 세분화된다. 3GPP LTE에서 각 서브-프레임은 도 3에 도시된 것 같이 2개의 다운링크 슬롯으로 분할되고, 제1 다운링크 슬롯은 처음 OFDM 심볼 내에서 제어 채널 영역 (PDCCH 영역)을 포함한다. 각 서브-프레임은 시간 도메인에서 주어진 수의 OFDM 심볼로 구성되고 (3GPP LTE (릴리즈 8)에서 12 또는 14개의 OFDM 심볼), 각 OFDM 심볼은 컴포넌트 캐리어의 전체 대역폭에 걸쳐 있다. 따라서, 각 OFDM 심볼은 도 3에 나타낸 것 같이 각
Figure pat00001
서브캐리어 상에서 전송되는 많은 수의 변조 심볼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3GPP LTE (Long Term Evolution (LTE))에서 사용되는 것 같이, 예를 들면, OFDM을 사용하는, 다중 반송파 통신 시스템을 가정하여, 케줄러가 할당할 수 있는 자원의 최소 단위는 1 "리소스 블록"이다. 물리적 리소스 블록은 도 3에 예시되어 있는 것 같이, 시간 도메인에서
Figure pat00002
개의 연속적인 OFDM 심볼과 주파수 도메인에서
Figure pat00003
개의 연속적인 서브캐리어로 정의된다. 3GPP LTE (릴리즈 8)에서, 물리적 리소스 블록은, 따라서, 시간 도메인에서 1 슬롯 및 주파수 도메인에서 180 kHz에 대응하는
Figure pat00004
개의 리소스 요소로 이루어진다 (다운링크 리소스 그리드에 대한 더 상세한 내용은, 예를 들면, 3GPP TS 36.211,"E-UTRA (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물리 채널 및 변조 (릴리즈 8)", 버전 8.9.0 또는 9.0.0, 섹션 6.2를 참조하며, http://www.3gpp.org에서 무료로 이용가능하며 여기에 참조로 포함되어 있음). 용어 “컴포넌트 캐리어”는 여러 리소스 블록의 조합을 의미한다. LTE의 이후 릴리즈에서, 용어 "컴포넌트 캐리어"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고, 대신에, 그 용어는 “셀”로 변경되어, 다운 링크 리소스 및 선택적으로 업링크 리소스의 조합을 의미한다. 다운링크 리소스의 캐리어 주파수와 업링크 리소스의 캐리어 주파수 사이의 연결은 다운링크 리소스에서 전송되는 시스템 정보에 표시된다.
셀 검색 과정은 초기 파워-업 후 셀룰러 시스템의 이동 장치에 의해 행해지는 첫번째 세트의 작업이다. 검색 및 등록 과정 후에만, 이동 장치는 음성 및 데이터 콜을 수신 및 시작할 수 있다. LTE에서 일반적인 셀 검색 과정은 캐리어 주파수 결정, 타이밍 동기 및 고유 셀 식별자의 식별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들 과정은 기지국 (BTS)에 의해 송신되는 특정 동기 신호에 의해 가능해진다. 그러나, 이들 동기화 신호는 이동 장치에 대한 접속 모드에서 연속적으로 사용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전력, 서브캐리어 할당 및 타임 슬라이스의 관점에서 최소 리소스만이 동기화 신호에 대해서 할당된다.
셀 검색 과정으로 인해서, UE는, 다운링크를 복조하고 정확한 타이밍으로 업링크 신호를 전송하는데 필요한 시간 및 주파수 파라미터들을 결정할 수 있다. 셀 검색의 처음 단계는 초기 동기화를 포함한다. 따라서, UE는 LTE 셀을 검출하고, 검출된 셀에 등록하는데 필요한 모든 정보를 디코딩한다. 이들 과정은 각 셀의 중심의 62개의 서브캐리어에서 브로드캐스트되는 2 개의 물리적인 신호, 상기 일차 동기화 신호 및 이차 동기화 신호 (각각, PSS 및 SSS로 표기)를 사용한다. 이들 신호는 시간 및 주파수 동기화를 가능하게 한다. 성공적인 검출을 통해서, 물리적 셀 ID, 사이클릭 프리픽스 길이 및 FDD 또는 TDD가 사용되었는지에 관한 정보가 UE에 제공된다. 특히, LTE에서, 단말이 온(ON)으로 전환되면, FDD에 대해서 무선 프레임에서 제1 서브프레임 (서브프레임 0)의 제1 타임 슬롯의 최종 OFDM 심볼에서 송신되는 기본 동기화 신호를 검출한다 (TDD에 대해서 위치는 약간 다르지만 여전히 양호하게 결정된다). 이로 인해, 단말은 셀에 대해서 선택된 선택 싸이클릭 프레픽스와 별도로 슬롯 경계를 얻을 수 있다. 이동 단말기는 이동 단말이 5 ms의 타이밍(슬롯 경계)을 발견한 후 보조 동기화 신호를 찾는다. PSS와 SSS는 모두 DC 캐리어 주위의 72 예약 서브캐리어중 62 캐리어에서 송신된다. 다음 단계에서, UE는 PSS 및 SSS에 유사하게 셀의 중앙 72 서브캐리어에 대해서만 매핑된 PBCH (physical broadcast channel)를 검출한다. PBCH는 시스템 리소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MIB(Master Information Block)를 포함한다. 릴리즈 10까지 LTE에서, MIB는 24 비트 (14 비트는 현재 사용되고 10 비트는 예비)의 길이를 갖는다. MIB는 다운 링크 시스템 대역폭, PHICH (physical HARQ Indicator Channel) 구조, 및 SFN (System Frame Number)의 8개의 가장 중요한 비트의 관련 정보를 포함한다.
셀로의 초기 액세스에 대해 필수적인, 제한된 수의, 가장 자주 전송된 파라미터 변수를 포함하는 마스터 정보 블록 (MIB)의 성공적인 검색 후, 단말은 시스템 대역폭을 활성화하고, 이것은 표시된 다운 링크 시스템 대역폭에 걸쳐 신호를 수신 및 감지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운 링크 시스템 대역폭을 확보한 후, UE는 소위 시스템 정보 블록 (SIB: System Information Blocks)에 대해서 더 필요한 시스템 정보의 수신을 진행할 수 있다. LTE 릴리즈 10에서, 특정 작업에 대해서 필요한 상이한 정보 요소를 갖는, SIB 유형 1 내지 SIB 유형 13가 정의된다. 예를 들어, FDD의 경우, SIB 유형 2 (SIB2)는 UL 반송파 주파수와 UL 대역폭을 포함 한다. 다양한 SIB가 PDSCH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을 통해 전송되므로, (PDSCH와 PDCCH의 아래 세부 사항 비교) 각각의 할당이 PDCCH (Physical Downlink 제어 채널)에 의해 할당된다. 단말 (UE)이 이러한 (또는 임의의) PDCCH를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기 전에, MIB에서 다운 링크 시스템 대역폭을 알 필요가 있다.
상술한 셀-ID (Cell identity)는 PLMN 내에서 유일하게 셀을 식별한다. 셀-ID는 운영 및 유지 보수 (OAM: Operation and Maintenance) 관점에서 셀을 식별하는데 사용되는 글로벌 셀 ID이다. 이것은 시스템 정보에서 전송되고, 코어 네트워크에서 eNodeB 관리를 위해 설계된 것이다. 글로벌 셀 id는 UE가 RRC NAS 레이어 처리의 용어에서 특정 셀을 식별하기 위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물리 셀 id는 물리 계층에서의 셀 id이다. 물리 셀 id는 0 내지 503의 범위를 갖고, 이동 단말이 다른 송신기들로부터 정보를 분리하는 것을 돕기 위해 데이터를 스크램블하는데 사용된다. 물리 셀 id는 기본 및 보조 동기화 신호 순서를 결정한다. 이것은 UMTS에서 스크램블링 코드(Scrambling Code)와 유사하다. 504개의 고유한 물리 계층 셀 id가 있다. 물리 계층 셀 id는 168 고유한 물리 계층 셀 식별 그룹으로 그룹화되며, 각 그룹은 3 개의 고유한 id를 갖는다. 그룹화는 각 물리 계층 셀 id가 하나의 일부 및 오직 한 개의 물리 계층 셀-식별 그룹이 되도록 이루어진다. 물리 계층 셀 id
Figure pat00005
는, 물리 계층 셀 id 그룹을 나타내는 0 내지 167의 범위에서 숫자
Figure pat00006
및 물리 계층 셀 식별 그룹 내에서 물리 계층 id를 나타내는 0 내지 2의 범위에서 숫자
Figure pat00007
에 의해 고유하게 정의된다.
동기화 신호는 기본 동기화 신호 (PSS) 및 보조 동기화 신호 (SSS)로 구성된다. 기본 동기화 신호를 위해 사용하는 시퀀스는 주파수 도메인 Zadoff-Chu 시퀀스에서 생성된다. 기본 동기화 신호를 검출하여,
Figure pat00008
가 검출될 수 있다. 보조 동기화 신호를 위해 사용하는 시퀀스는 31 비트의 길이의 2 개의 이진 시퀀스의 인터리브 연결(concatenation)이다. 연결된 시퀀스 기본 동기화 신호에 의해 주어진 스크램블링 시퀀스로 스크램블된다. SSS 시퀀스는 M-시퀀스로 알려진, 최대 길이 시퀀스를 기반으로 하며, 길이 n의 시프트 레지스터의 모든 가능한 상태를 순환하는 생성된 b일 수 있다. 이것은 길이
Figure pat00009
의 시퀀스를 생성한다. 특히, 연결되는 2개의 31 비트 길이의 이진 시퀀스가 이러한 M-시퀀스이다. 기본 및 보조 동기화 신호에 대한 자세한 내용에 대해서, 예를 들면, 3GPP TS 36.211, "E-UTRA (Physical Channels and Modulatio); 물리 채널 및 변조 (릴리즈 12) ", 버전 12.1.0, 섹션 6.11을 참조하며, http://www.3gpp.org에서 무료로 이용가능하고 여기에 참조로 포함되어 있다.
PPS 및 SSS를 수신한 후, 타이밍이 수신 UE에 의해 조정된다. 특히, UE는 수신기를 동기화 소스 (eNB)로부터 수신된 다운 링크 전송에 동기화한다. 그 다음, 업링크 타이밍이 조정된다. 이것은, 다른 UE에 대해서 변화하는 전파 지연을 보상하기 위해, 수신된 다운링크 타이밍에 대해서, UE 송신기에서 시간 어드밴스를 적용하여 수행된다. 타이밍 어드밴스 과정은, 책 “LTE The UMTS Long Term Evolution: From theory to practice"(2nd 판, S. Sesia, I. Toufik, M. Baker, Wiley 작성, 2011)의 섹션 18.2.2에 간략하게 설명되어 있다.
근접-기반 응용 프로그램 및 서비스는 신흥 사회 기술 트렌드를 나타낸다. 현재 및 의도된 사용은 사업자와 사용자에 대한 관심이 되는 상용 서비스와 공공 안전에 관련된 서비스를 포함한다. LTE에서 근접 서비스(ProSe: Proximity Services)를 도입함으로써 3GPP 업계는 발전 시장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하고, 동시에, LTE에 공동으로 관여하는 여러 공공 안전 커뮤니티의 긴급한 필요를 제공한다.
장치 대 장치 (D2D: Device-to-Device) 통신은 LTE-A, 릴리즈 12에 대한 기술 구성 요소이다. 장치 대 장치 (D2D) 통신 기술은 셀룰러 네트워크에 대한 언더레이로서 D2D가 스펙트럼 효율성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셀룰러 네트워크가 LTE이면, 실제 채널에 실리는 모든 데이터는 D2D 시그널링에 대해서 SC-FDMA를 사용한다. LTE에서 D2D 통신은 두가지 영역: 디스커버리와 통신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D2D 통신에서, UE는 기지국 (BS, eNodeB, eNB)을 통하는 대신에 셀룰러 리소스를 사용한 직접 링크를 통해 데이터 신호를 서로 전송한다. D2D 사용자들은 직접 통신하지만, 네트워크하에서, 즉, 적어도 eNB의 범위에 있을 때, 여전히 통제될 수 있다. 그러므로, D2D는 셀룰러 리소스를 재사용하여 시스템 성능을 개선시킬 수 있다. D2D는 업링크 LTE 스펙트럼 (FDD의 경우에) 또는 커버리지가 있는 셀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에서 (커버리지를 벗어난 경우를 제외하고 TDD의 경우에) 동작하는 것으로 현재 가정한다. 또한, D2D 송신/수신은 주어진 캐리어에서 풀 듀플렉스를 사용하지 않는다. 개별 UE 관점에서, 주어진 캐리어 D2D 신호 수신 및 LTE 업링크 송신은 풀 듀플렉스를 사용하지 않고, 즉, 동시 D2D 신호 수신 및 LTE UL 송신이 가능하지 않다. LTE의 D2D에 대한 무선 액세스에 관한 현재의 작업 가정이, 3GPP TS 36.843, v c.0.1 "LTE 장치 대 장치 근접 서비스에 관한 연구: 무선 측면" (이후, "TS 36.843"로 칭한다)에 기술되어 있으며, www 3qpp.org에서 무료로 이용 가능하다.
D2D 통신에서, UE1이 송신의 기능을 할 때, UE1은 데이터를 송신하고, UE2는 이것을 수신한다. UE1 및 UE2는 그들의 송신 및 수신 기능을 바꿀수 있다. UE1으로부터의 송신은 UE2와 같이 하나 이상의 UE에 의해 수신가능하다. 도 4 및 도 5는 상이한 채널 유형의 송신에 대해서 각각 다운링크 및 업링크에서 프로토콜 레이어, 서비스 포인트 및 멀티플렉싱을 나타낸다.
동기화 소스는 D2D 동기화 신호 (D2DSS: D2D synchronization signal)를 송신하는 임의의 노드라는 작업 가정으로서 3GPP RAN 1에서 합의되었다. 이것은 eNB 또는 통상 UE일 수 있다. 동기화 소스가 eNB일 때, D2DSS는 Rel-8 PSS및 SSS와 같다. D2D UE는 D2D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타이밍을 결정하기 위한 동기화 신호를 사용한다. D2DSS의 송신을 시작하기 전에 D2D UE가 동기화 소스를 스캔한다는 작업 가정으로서 또한 합의되었다. 동기화 소스가 검출되면, UE는 D2DSS를 송신하기 전에 송신기를 그 동기화 소스에 동기화시킬 수 있다. 동기화 소스가 검출되지 않으면, 그럼에도 불구하고 UE는 D2DSS를 송신할 수 있다. UE가 D2D 동기화 소스의 변화를 검출하면, D2DSS의 송신을 위한 타이밍 기준으로서 사용되는 D2D 동기화 소스를, 다음의 메트릭스에 기초하여, (재)선택할 수 있다.
- 동기화 소스 유형. eNB 또는 UE
- 수신된 D2DSS 품질
- eNB로부터의 홉의 수.
본 발명의 목적은 동기화 소스의 선택을 행하기 위한 효율적인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것은 독립 항들에 기재된 특징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종속항들의 주제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네트워크 노드 및 동기화 생성 무선 장치로부터 그 타이밍을 도출하는 동기화 소스를 포함하는 동기화 소스로부터 소정의 무선 동기화 신호를 수신하는 동기화 수신부; 각각의 동기화 소스에 대해서 다음의 적어도 2개에 기초하여 선택 메트릭을 결정하는 메트릭 취득부 - 상기 수신된 동기화 신호의 품질; - 상기 동기화 소스가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그 타이밍을 도출하는지 또는 네트워크 노드와 독립하여 그 타이밍을 도출하는지 여부; 및 - 네트워크 노드에 대한 홉의 수; 상기 메트릭 취득부에 의해 결정된 상기 메트릭에 따라서 상기 동기화 소스를 선택하는 동기화 소스 선택부; 및 상기 동기화 소스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상기 동기화 소스의 상기 동기화 신호에 따라서 데이터의 송신 또는 수신을 위한 타이밍을 결정 또는 조정하는 타이밍부를 구비하는 동기화 수신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사용자 장비로서, 동작 중에, 동기화 소스로부터 동기화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 및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회로는, 동작 중에, 수신된 상기 동기화 신호의 품질을 측정하고, 측정된 상기 품질이 규정된 스레스홀드를 초과하면 상기 동기화 소스를 동기화 소스 후보로서 결정하고, 이하의 우선 순위: - 측정된 품질의 가장 높은 결과를 갖고 커버리지내에 있는 동기화 소스 후보, - 동기화 신호가 측정된 품질의 가장 높은 결과를 갖고 네트워크 기반인 동기화 소스 후보, - 커버리지 밖에 있는 동기화 소스 후보, 및 측정된 품질의 가장 높은 결과를 갖고 네트워크 독립인 상기 동기화 소스 후보의 동기화 신호,에 따라 동기화 소스 후보로부터의 동기화 레퍼런스(synchronization reference) 사용자 장비(UE)를 선택하며, 선택된 동기화 레퍼런스 사용자 장비(UE)의 동기화 신호에 따라 데이터의 송신 타이밍 또는 수신 타이밍을 조정하며, 상기 회로는 재선택 타이머에 의해 설정된 정의된 기간의 종료시 히스테리시스 타이머가 종료되면 동기화 레퍼런스를 반복적으로 재선택하고, 상기 재선택 타이머의 종료시 상기 히스테리시스 타이머가 종료되지 않으면 메트릭에 따라서 동기화 소스를 재선택하지 않으며, 상기 히스테리시스 타이머는 새로운 동기화 소스를 선택할 시에 시작하고 미리 결정된 히스테리시스 기간 후 종료하는, 사용자 장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네트워크 노드 및 동기화 생성 무선 장치로부터 동기화 신호를 도출하는 동기화 소스를 포함하는 동기화 소스로부터 소정의 무선 동기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각각의 동기화 소스에 대해서 다음의 적어도 2개에 기초하여 선택 메트릭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동기화 신호의 품질; - 상기 동기화 소스가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발신된 동기화 신호를 송신하는지 또는 네트워크 노드와 독립한 동기화 신호를 송신하는지 여부; 및 - 네트워크 노드에 대한 홉의 수; 상기 결정된 메트릭에 따라서 상기 동기화 소스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동기화 소스의 상기 동기화 신호에 따라서 데이터의 송신 또는 수신을 위한 타이밍을 결정 또는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기화 수신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사용자 장비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으로서, 동기화 소스로부터 동기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상기 동기화 신호의 품질을 측정하는 단계, 측정된 품질이 규정된 스레스홀드를 초과하면 상기 동기화 소스를 동기화 소스 후보로서 결정하는 단계; 이하의 우선 순위: - 측정된 품질의 가장 높은 결과를 갖고 커버리지내에 있는 동기화 소스 후보, - 동기화 신호가 측정된 품질의 가장 높은 결과를 갖고 네트워크 기반인 동기화 소스 후보, - 커버리지 밖에 있는 동기화 소스 후보, 및 측정된 품질의 가장 높은 결과를 갖고 네트워크 독립인 상기 동기화 소스 후보의 동기화 신호, 에 따라 동기화 소스 후보로부터의 동기화 레퍼런스 사용자 장비(UE)를 선택하는 단계, 선택된 동기화 레퍼런스 사용자 장비(UE)의 동기화 신호에 따라 데이터의 송신 타이밍 또는 수신 타이밍을 조정하는 단계, 및 재선택 타이머에 의해 설정된 정의된 기간의 종료시 히스테리시스 타이머가 종료되면 동기화 레퍼런스를 반복적으로 재선택하고, 상기 재선택 타이머의 종료시 상기 히스테리시스 타이머가 종료되지 않으면 메트릭에 따라서 동기화 소스를 재선택하지 않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히스테리시스 타이머는 새로운 동기화 소스를 선택할 시에 시작하고 미리 결정된 히스테리시스 기간 후 종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 코드가 포함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구비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장치는 집적 회로에서 구현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 및 다른 목적과 특징은, 첨부 도면과 함께 주어진, 다음의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분명해진다.
도 1은 전체 LTE 구조의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LTE 액세스 네트워크 구조의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시간 및 주파수 도메인에서 OFDM 변조 리소스의 격자의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는 계층 2 다운링크 프로토콜 및 구성된 캐리어 집합을 갖는 멀티플렉싱 구조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계층 2 업링크 프로토콜 및 구성된 캐리어 집합을 갖는 멀티플렉싱 구조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장치 대 장치 동기화 신호의 다른 소스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7은 신호 품질과 선택 바이어스 값을 갖는 테이블에 따른 메트릭에 기초하여 동기화 소스를 선택하는 일 예의 시나리오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9는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무선 시스템에서 동기화 신호의 수신 및 동기화 신호 소스의 선택에 관한 것이며, 동기화 신호의 송신기는 기지국 등의 네트워크 노드뿐 아니라 사용자 장비 (단말) 등의 네트워크 노드가 아닌 무선 장치이고,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 노트북 또는 다른 컴퓨터일 수 있다. 또한, 무선 장치는 네트워크로부터 또는 네트워크에 독립적으로 그것의 타이밍을 도출할 수 있다.
용어 "네트워크 노드"는 이 맥락에서 셀룰러 네트워크에 연결된 임의의 노드로서 이해된다. 용어 "셀룰러 네트워크" 또는 "셀"은 매크로 셀, 마이크로 셀, 피코 셀, 펨토 셀을 포함하는 셀의 임의의 배열 또는 다른 개념을 지칭하는 것에 주의한다. 따라서, 네트워크 노드는 eNodeB 등의 기지국 또는 네트워크의 일부로서 제공되는 중계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네트워크 전송, 즉, 기지국과 사용자 장비 사이의 무선 송신뿐 아니라 동일한 리소스를 공유하는 사용자 장비들 사이의 직접 통신을 지원하는 시스템에서 공존하는 장치 대 장치 통신을 목적으로 복수의 동기화 소스들 사이에서 동기화 소스를 선택하는 효율적인 접근 방법을 바람직하게 제공한다.
다음에 LTE 사양에 기초한 실시예가 제공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LTE에 제한되지 않는다. 여기에 설명되는 개념 및 예들은, 동기화 소스가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노드와 사용자 단말 등의 네트워크 노드가 아닌 하나 이상의 무선 장치를 포함하는 동기화 소스들 사이에서 선택되는 임의의 무선 시스템에 적용가능하다. 무선 장치는 네트워크, 즉, 네트워크 노드에서 그들의 동기화를 도출할 수 있거나 네트워크 타이밍과 별도로 동기화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 장비(UE)가 장치 대 장치 (D2D) 신호를 송신하면, UE가 D2D 신호의 송신을 위한 타이밍 기준으로서 사용하는 D2D 동기화 소스를 결정하는 규칙은 다음과 같다:
1. eNodeB인 D2D 동기화 소스는 UE인 D2D 동기화 소스보다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다.
2. 커버리지 내의 UE인 D2D 동기화 소스는 커버리지 밖의 UE인 D2D 동기화 소스보다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다.
커버리지 내의 UE 다음에 eNodeB인 D2D 동기화 소스에 우선 순위를 준 뒤, D2D 동기화 소스가 선택된다. 커버리지 내의 UE는 기지국의 커버리지 내에 위치하는 UE이며, 따라서 네트워크로부터 동기화(타이밍)를 도출할 수 있다. 커버리지 밖의 UE는 네트워크의 커버리지 밖에 있는 UE이다. 네트워크 타이밍으로부터 타이밍을 도출하는, 다른 UE의 커버리지 밖에 있으면, 이러한 커버리지 밖의 UE는 네트워크의 타이밍과 별도로 그 타이밍을 생성한다.
D2D 동기화 소스 선택 과정에서, 수신된 D2DSS 품질 및 eNB로부터의 홉(hop)의 수 등의 다른 요인이 고려되지 않았기 때문에, 이들 기준은 충분하지 않다. 여러 요인에 기초한 소프트 기준은 하나의 요인에만 기초하는 것보다 더 신뢰가능하다.
도 6은 네트워크-단말 통신 및 2개 이상의 단말들 사이의 직접 통신을 모두 지원하는 시스템에서 통신 시 발생하는 일반적인 시나리오를 도시한다. 기지국인 eNB(610)는 원 601로 표시된 커버리지를 갖는다. eNB(610)는 장치 대 장치 동기화 신호(D2DSS) 615를 송신하며, 이것은 릴리즈 8 기본 동기화 신호(PSS)와 보조 동기화 신호(SSS)와 같은 형태를 갖는다. 단말(620)은 네트워크 커버리지-내 UE, 즉, 기지국(610)의 커버리지(601) 내에 위치하는 UE이다. 네트워크 커버리지-내 UE(620)는 eNB(610)로부터 PSS/SSS를 수신하고, eNB(610)에 동기화된다. eNB(610)는 620과 같은 일부 네트워크 커버리지-내 UE에 D2DSS를 송신할 것을 요구한다. 따라서, 파선으로 표시된 것처럼, 네트워크 커버리지-내 UE(620)는 eNB(610)에 의해 D2DSS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므로 D2DSS(625)를 송신한다. 따라서, UE(620)는 또한 네트워크로부터, 특히 네트워크 노드(610)로부터 동기화(타이밍)을 도출하는 동기화 소스이다.
또한, 도 6은 네트워크 커버리지-밖 UE(630)를 나타낸다. 네트워크 커버리지-밖 UE, 즉, eNB(610)의 커버리지(601) 밖에 위치하는 단말이 특정 소정의 또는 미리 정의된 스레스홀드를 초과하는 수신 품질을 갖는 임의의 D2DSS를 수신하지 않으면, 이러한 UE는 자신의 D2DSS를 생성 및 송신한다. 따라서, 네트워크 근접의 부재에도, 이러한 UE(630)는 장치 대 장치 통신을 행할 수 있다. 이 예에서 네트워크 커버리지-밖 UE(630)는 D2DSS(615)를 수신하지 않고, eNB(610)로부터 수신된 타이밍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커버리지-내 UE(620)에 의해 생성된 신호(625)를 또한 수신하지 않으므로, D2DSS(615, 625)의 수신 품질은 소정의 수신 품질 스레스홀드를 초과하지 않는다. 따라서, 네트워크 커버리지-밖 UE(630)는 자신의 D2DSS(635)를 생성 및 송신한다.
도 6은 D2D UE(660), 즉, 네트워크뿐 아니라 다른 단말과 직접 통신할 수 있는 단말을 또한 나타낸다. D2D UE(660)는 기지국(610)의 커버리지(601) 밖에 위치한다. D2D UE(660)는 eNB(610)로부터 D2DSS(615)를 여전히 수신하지만, 수신 품질이 낮고, 즉, 수신된 D2DSS(615)는 오히려 약하다. D2DSS 신호(615)와 달리, D2D UE(660)은 네트워크 커버리지-밖 UE(630)로부터 D2DSS(635)를 또한 수신한다. 또한, 네트워크 커버리지-내 UE(620)는 또한 D2DSS(625)를 송신하므로, D2D UE(660)는 eNB(610)로부터 직접 발신된 D2DSS(615)보다 높은 품질로 D2DSS(625)를 또한 수신하고 있다. 따라서, D2D UE(660)는 다음의 3개의 동기화 소스로부터 D2DSS(615, 635)를 수신한다:
- eNB(610): 대응하는 D2DSS(615)는 매우 약하지만, eNB로부터 직접 발신된 것이고, 즉, D2D UE(660)와 소스(610) 사이에 홉이 없다.
- 네트워크 커버리지-내 UE(620): 대응하는 D2DSS(625)는 강하고 네트워크로부터 발신된 것이지만, eNB(610)에 의해 D2D UE(660) 까지 표현된 네트워크로부터 1개의 홉에 관련하며, 홉은 네트워크 커버리지-내 UE(620)이다.
- 네트워크 커버리지-밖 UE(630): 대응하는 D2DSS(635)는 또한 강하지만, 네트워크로부터, 즉, 이 경우에 eNB(610)로부터 발신된 것이 아니다.
위의 상황에 기초하여, 질문은 D2D UE(660)가 자신의 수신기 (및/또는 송신기)를 동기화하기 위해 어느 동기화 소스를 선택해야 하는가이다: 매우 약한 신호를 갖지만 홉이 없는 eNB(610), 강한 신호를 갖지만 몇 개(이 경우에, 1개)의 홉을 갖는 네트워크 커버리지-내 UE(620), 또는 강한 신호를 갖지만 알 수 없는 수의 홉을 갖는(네트워크로부터 발신되지 않은 신호) 네트워크 커버리지-밖 UE(630).
이 문제에 가능한 해결책은, eNB에서 도출된 (그리고 eNB(610) 또는 UE(620)로부터 전송된) D2DSS(615, 625)에 630 등의 네트워크 타이밍과 개별적으로 D2DSS(635)를 생성한, UE로부터 수신된 D2DSS보다 항상 더 높은 우선 순위를 할당하는 것이다. 그러나, 네트워크에서 직접 수신되거나 발생된 이러한 동기화 신호가 일반적으로 가장 정확하다는 사실 외에,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 eNB(610)로부터 직접 수신된 신호(615) 또는 거기로부터 도출된 신호 (신호 625 등)는, 630 등의 UE에 의해 발생 및 수신된 신호보다 더 약하고 따라서 덜 신뢰가능하고, 및/또는
- eNB(610)로부터 도출된 신호는 eNB로부터 상이한 수의 홉을 통과할 수 있고, 수신된 신호 세기는 변화할 수 있다.
따라서, 일부 확장된 원리는, UE가 동기화 소스를 선택해야 하는 보다 명확하고 효율적인 규칙을 주는데 유익하다.
다음의 규칙을 제안하는 "D2D 동기화 절차에 대한 토론" 명칭의 번호 R1-140330를 갖는 3GPP RAN 1에서 LGE에 의한 기여가 있다: D2DSS 신호 품질은 예비 선택의 기준으로 사용된다. 최소 신호 품질 요구 사항을 충족하지 않는 임의의 D2DSS가 선택 규칙을 적용하지 않는 추가 선택 절차에서 사전에 제거된다. 예비 선택을 통과하는 D2DSS에 대해서, 소스 유형의 우선 순위 또는 홉의 수의 우선 순위가 사용된다. 예를 들어, 얼마나 많은 홉을 갖는가에 상관없이, UE는 eNB에서 발신된 D2DSS를 항상 선택한다. 한편, D2DSS가 모두 신호 품질 요구 사항을 통과하지 못하면, 소스 유형 및 홉의 수에 상관없이, 가장 높은 신호 품질을 갖는 D2DSS가 선택된다. 이 접근 방법의 문제는, 예를 들어, 최소 신호 요구 사항을 일단 통과하면, 신호 품질이 선택 규칙에서 고려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2개의 신호가 모두 위의 최소 신호 요구 사항을 초과하지만 하나의 신호가 다른 것보다 훨씬 강하면, 더 강한 신호가 선택 과정에서 장점을 갖지는 않는다. eNB로부터 발신된 D2DSS는 네트워크 커버리지-밖 UE로부터 발신된 것보다 훨씬 약하지만, 양 D2DSS가 예비 요구 사항을 통과하면, UE는 여전히 eNB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모든 D2DSS가 신호 요구사항 미달일 때, 신호 품질만 고려된다. 이로 인해, UE는, 네트워크 커버리지-밖 UE로부터의 신호 품질이 eNB로부터의 것보다 조금 좋을지라도, 네트워크 커버리지-밖 UE를 선택할 수 있게 한다.
여기 설계의 목표는 동기화 소스의 선택에서 더 많은 요인을 고려하고, 가장 신뢰할 수 있는 소스를 선택하는 것, 즉, 동기화 신호 선택의 효율성을 개선하는 것이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다음의 적어도 2개의 요인을 고려하는, 우선 순위 기능이 제공된다: 원래 동기화 소스 유형, 수신 신호 품질, 및 eNB로부터 계수된 홉의 수. 따라서, UE는 가장 신뢰할 수 있는 소스로서 가장 높은 우선 순위 값을 갖는 동기화 소스를 선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발신된 신호를 송신하는 소스, 및 네트워크 노드가 아니라 사용자 장비인 동기화 생성 무선 장치를 포함하는 상이한 동기화 소스로부터 소정의 동기화 신호를 수신하는 동기화 수신부를 구비하는 동기화 수신기가 제공된다. 동기화 수신기는, 거기로부터 동기화 신호를 수신하는 각 동기화 소스의 각 메트릭(metric)을 결정하는 메트릭 계산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메트릭은 다음 중 적어도 2개의 사항에 기초한다: 수신된 동기화 신호의 품질; 소스 유형, 즉, 동기화 소스가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발신된 신호를 송신하는 소스인가 또는 동기화 신호를 발생하는 무선 장치인가: 및 네트워크 노드로의 홉의 수. 상기 동기화 수신기는 메트릭에 따라서 동기화 소스를 선택하는 동기화 소스 선택부, 및 동기화 소스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동기화 소스의 동기화 신호에 따라서 데이터의 송신 및/또는 수신용 타이밍을 조정하는 타이밍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기술된 것 같이 동기화 수신기는 단말 또는 임의의 사용자 장비와 같은 무선 통신 장치의 일부를 유리하게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동기화 수신기는 릴레이일 수 있으며, 이동 릴레이의 경우에 특히 유리할 수 있다. 여기에서 실시예는 LTE 시스템, 즉, 이동 통신 시스템의 맥락에서 기술된 것이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제한되지 않는 것에 주목한다. 오히려, 그 수신을 위한 타이밍을 따라서 조절할 수 있는,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수신기에 적용가능하다. 멀티 캐스트/브로드캐스트 수신기는 LTE 표준에 근거하여 또한 작동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도 디지털 비디오 방송 등의 다른 시스템에 적용가능하다.
동기화 신호는 이들 신호의 수신기 및 송신기 (소스) 양측에 미리 알려진 소정의 신호이다. 동기화 신호 또는 그들의 특성 및/또는 그들에게 기대되는 리소스는 일반적으로 표준에 지정되어 있다. 예를 들면, 기술적 배경과 관련하여 상기 서술한 것 같이 LTE의 PSS 및 SSS에 대한 경우에서와 같이, 고정적으로 미리 정의되어 있거나, 또는 이용가능한 동기화 신호의 세트로부터 선택가능(결정가능)하다. 동기화 소스는, 기지국, 중계기, UE 등과 같이 동기화 신호를 전송하는 임의의 엔티티이다.
선택부는 메트릭에 기초하여 동기화 소스를 선택한다. 예를 들면, 선택부는 가장 높은 신뢰성을 나타내는 메트릭의 값을 갖는 소스를 선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것은, 소스가 평가되면 예를 들면 메트릭 값중 가장 높은 메트릭값을 갖는 소스를 선택함으로써 실행될 수 있다. 그러나, 메트릭의 설계에 따라서, 가장 신뢰성이 높은 메트릭이 가장 높은 메트릭 값에 대응하는 것이 아니라 가장 낮은 메트릭 값에 대응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최소의 메트릭 값을 갖는 소스가 선택된다. 그러나, 선택부는 메트릭에 따라서 임의의 방식으로 선택을 행할 수 있는 것에 주목한다.
또한, 선택은 원하는 송신의 초기에 행해지는 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오히려, 선택은, 적절한 동기화 소스가 사용되는지 검사하기 위해, 또한 동일한 또는 또 다른 소스를 재선택하도록 정기적으로 행해질 수 있다.
타이밍 부는 선택된 동기화 소스로부터 수신된 동기화 신호로부터 타이밍을 도출한다. 타이밍은 데이터의 송신 또는 수신을 위한 타이밍을 결정 또는 조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데이터의 송신 또는 수신을 위한 타이밍은 동기화 신호의 수신을 위한 타이밍과 동일할 수 있거나, 수신된 타이밍에서 고정 또는 설정된 오프셋을 감산한 것이다. 처음(최초) 소스 선택에서, UE는 수신된 동기화 신호에 따라서 그 타이밍을 결정한다. 재선택 (최초 선택 뒤에 행해진 선택)에서, UE는 그 타이밍을 단순히 결정하는 대신에 새로운 동기화 소스에 따라서 조정한다. 여기에서, 최초 소스 선택은 예를 들면 UE를 스위칭 온한 때의 선택일 수 있다. 타이밍 부는 수신 및 송신 타이밍을 상이한 방식으로 도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신을 위한 타이밍은 수신된 동기화 신호의 타이밍으로서 직접 결정될 수 있는 반면, 송신에 대해서 타이밍은 수신을 위한 타이밍에 대해서 타이밍 어드밴스, 즉, 오프셋을 적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오프셋은 LTE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결정될 수 있다. 송신 타이밍은 수신된 동기화 신호의 타이밍으로서 직접 결정될 수도 있거나, 소정의 오프셋을 적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들 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일반적으로, 타이밍 부는 동기화 신호로부터 임의의 방식으로 타이밍을 도출할 수 있다.
유리하게, 메트릭 취득부는, 수신된 동기화 신호의 품질 및 홉의 수에 기초하여 그리고/또는 네트워크-기반 소스 또는 네트워크에 기여하지 않고 동기화 신호를 생성하는 무선 장치 등의 네트워크-독립 소스인 동기화 소스의 유형에 기초하여 결정된 선택 바이어스의 조합으로서 메트릭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우선 순위 기능 (즉, 메트릭)은 수신 신호 품질과 도출된 우선 순위 바이어스(선택 바이어스)의 합일 수 있다. 수신 신호 품질은, 예를 들면, 동기화 신호 수신기에서 측정된다. 신호 품질의 측정은, 임의의 방법으로, 예를 들면, 동기화 신호에 기초하여 행해질 수 있다. 따라서, 동기화 소스는 소정된 전력을 갖는 소정의 리소스 신호에서 송신한다. 리소스와 파워는, 직접 품질 파라미터일 수 있는 수신된 신호의 전력을 측정하는 수신기에 알려져 있다. 그러나, 메트릭에서 사용되는 품질 파라미터는 또한 측정된 수신 신호 전력의 함수로서 결정될 수 있다. 이것은 신호 저하를 나타내는, 송신 신호와 수신 신호 사이의 비율 또는 차이일 수 있다. 측정은, LTE (3GPP TS 36.331, v 12.1.0, "RRC (Radio Resource Control); 프로토콜 사양")에서 행해지는 것 같이 셀 참조 신호(CRS: cell reference signal) 측정에 또한 대응할 수 있다.
선택 바이어스 (수신 신호 품질의 오프셋)는 홉의 수 및 소스의 유형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소스 유형과 홉의 수의 값의 일부 조합에 대응하는 선택 바이어스 값이 사양에 정의되어 있을 수 있다. 정의하는 한 가지 방법은 테이블을 통해서이다. 특히, 메트릭 취득부는 소정의 선택 바이어스 값과 각각의 홉의 수의 연관에 따라서 선택 바이어스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연관은, 수신기에 저장되어 있는 룩업 테이블일 수 있고, 홉의 수와 소스의 유형의 특정 조합을 특정 값의 바이어스에 연관시키는 테이블일 수 있다. 또는, 바이어스는 홉의 수 및 소스 유형 중 하나에 기초해서만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룩업 테이블은 오직 홉의 수를 특정 바이어스 값과 연관시킨다. 또는, 바이어스 값은 소스 유형에만 의존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테이블은 소스 유형 (네트워크-기반 소스, 네트워크-독립 소스)을 각각 특정 값의 선택 바이어스와 연관시킨다.
상기 오프셋은 양의 오프셋 (보너스)일 수 있는 것에 주의한다. 예를 들면, 소스가 네트워크로부터 그 동기화 신호를 도출하는 기지국 또는 UE 등의 네트워크 노드이면, 오프셋은 양의 소정값이다. 소스가 네트워크-독립 UE이면, 오프셋의 값은 네트워크 노드에 대한 오프셋의 값보다 작다. 그것은 또한 0과 같을 수 있다. 소스 유형은 네트워크 노드인 소스와 동기화 신호가 네트워크 동기화 신호로부터 도출되는 (즉, 네트워크로부터 발신되는) 무선 장치인 소스를 구분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고, 오프셋은 또한 음수 오프셋 (페널티)일 수 있다. 따라서, 상이한 페널티 값이 소스 유형과 홉의 수의 각각의 다른 조합에 연관된다. 또는, 페널티 (또는 보너스)는 소스 유형에 대해서 별도로 및 홉의 수에 대해서 별도로 제공될 수 있다. 또는, 페널티는 홉의 수에 대해서만 또는 소스 유형에 대해서만 제공될 수 있다.
유사하게, 페널티 또는 보너스는 홉의 수에 기초할 수 있다. 홉의 수는
- 동기화 소스로부터 카운트-다운 (그 동기화 소스에 대해서 소정의 최대 수로부터 시작) 또는
- 동기화 소스로부터 카운트-업 (예를 들면, 동기화 소스에서 0으로부터 시작).
즉, eNB로부터 홉의 수는 eNB에 대해서 증가하는 홉의 수 또는 감소하는 홉의 수로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eNB로부터 카운트-업은 eNB(610)가 동기화 신호의 소스이면, 동기화 수신 UE(660)를 향해 0 홉이 있는 (신호 615의 경우와 같이) 것을 의미한다. 네트워크 커버리지-내 UE(620)가 동기화 신호의 소스이면, eNB(610)로부터 수신 UE(660)까지 한 개의 홉이 있고, 이 한 개의 홉은 네트워크 커버리지-내 UE(620)에 의해 표현된다 (신호 620의 경우에서와 같이). eNB(610)와 수신 UE(660) 사이에 더 많은 홉이 있을 수 있다. 이 모든 경우에, 동기화 신호의 원래 소스는 eNB(610)이고, 620과 같은 홉은 동일한 동기화 신호 또는 eNB(610)로부터 수신된 원래의 동기화 신호에 기초하여 재생된 동기화 신호를 단순히 송신하는 것이다. 원래의 소스 (이 경우에, 네트워크 소스 eNB(610))로부터의 홉의 카운트-업 하면 양수의 홉 및 제로가 된다.
그러나, 그 대신에 동기화 수신기로부터 동기화 소스로 홉이 카운트-다운될 수 있다. 특히, 동기화가 UE(660) (신호 615)에 의해 eNB(610)로부터 직접 수신되면, eNB로부터 수신 UE까지의 홉의 수는 그 네트워크 노드 (eNB(660))에 대해서 지원되는 최대 홉의 수 NHmax로 설정될 수 있다. 상이한 네트워크 노드는 상이한 최대 홉의 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매크로 eNB가 더 높은 정확도의 타이밍과 주파수를 가지므로, 매크로 eNB는 마이크로 eNB보다 높은 홉의 수를 가진다. 다운-카운팅은, 최대 홉의 수가 eNB에 대해서 설정가능하면 UE는 최대 홉의 수를 알 필요가 없다는 장점을 갖는다. 동기화 수신 장치(660)가 UE(620)로부터 동기화 신호(625)를 수신하면, eNB(610)으로부터 카운트-다운된 홉의 수는 수신 UE(660)에서 NHmax-1이다. 위의 예에서와 같이, 홉의 수는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발신된 동기화 신호를 받아서 송신하는 (또는, 수신된 동기화 신호로부터 재구성된 동기화 신호를 송신하는) 하나 이상의 장치(원래의 소스(610)와 수신 UE(660) 사이에 위치하는)에 대응하는, NHmax-2, NHmax-3, …, 0와 같이 더 작다. 즉, 홉을 카운트-다운할 때, 주어진 eNB(610)에 대해서 미리 결정된 홉의 최대 수로부터 시작한다. 특히, 홉의 최대 수는 상이한 eNB들에 대해서 상이한 값으로서 설정/결정될 수 있다. 홉의 소정의 최대 수는 네트워크에 의해 eNB에 대해서 설정될 수 있다. UE는 eNB로부터의 시그널링을 통한 홉의 최대 수에 관한 정보를 취득한다. 이것은 D2D 제어 채널, 브로드캐스트 시그널링을 통해서 또는 동기화 신호 내에서 행해질 수 있다.
상기 서술된 증가하는 홉의 수가 사용되고, 즉, 홉의 수가 네트워크 노드에서 0으로부터 시작되면, 홉의 수가 증가할 때 바이어스 값이 감소하도록 우선 순위 바이어스 함수가 유리하게 설계된다. 한편, 감소하는 홉의 수가 사용되고, 즉, 홉의 수가 네트워크 노드에서 NHmax으로부터 시작되면, 홉의 수가 증가할 때 바이어스 값이 증가하도록 우선 순위 바이어스 함수가 유리하게 설계된다. 여기서, 용어 "우선 순위 바이어스 함수"는 바이어스의 값을 홉의 수 (홉의 카운트)의 값과 연관시키는 함수 또는 규칙을 지칭한다.
선택 오프셋(바이어스)와 홉의 수 및/또는 소스 유형 사이의 연관의 상기 서술된 예는 본 발명을 제한시키는 것은 아니다. 또 다른 예에 따르면, 페널티 및 보너스가 또한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보너스가 소스인 네트워크 노드에 대해서 제공될 수 있는 반면, 다른 소스에 대해서 보너스가 제공되지 않고, 양의 홉의 수에 대해서 페널티가 제공될 수 있고, 또 그 역도 가능하다.
상기 서술된 것 같이, 보너스, 소스 유형, 및 홉의 수 사이의 관계가 룩업 테이블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이 테이블은 표준에 지정될 수 있고, 즉, 미리 정의될 수 있다. 또는, 페널티 또는 보너스가 특정 함수에 기초하여 계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페널티는 홉의 수 (업-카운트된)에 비례할 수 있고, 예를 들면, 페널티의 값은 홉의 수의 두 배일 수 있다. 또는, 이 함수는 다운-카운트된 홉의 수 에 반비례할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은 일 예이고, 이 함수는, 단순 승산 이외의 다른 형태 또는 2 이외의 배율을 가질 수 있다. 함수 (테이블 값뿐 아니라)의 특정 선택은 메트릭에서 홉의 수 및/또는 소스 유형의 원하는 영향에 따른다.
요약하면, 바이어스는 동기화 신호의 소스인 네트워크 노드에 대해서 신호의 소스인 무선 장치보다 더 높은 값(보너스 또는 페널티)으로서 유리하게 결정된다. 이로 인해, 네트워크 노드에 독립적인, 즉, 그 동기화 신호가 네트워크로부터 도출되지 않은 무선 장치보다 동기화 소스로서 네트워크 노드를 선호할 수 있다. D2D 통신 및 네트워크-장치 통신이 동일한 대역폭과 시간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이러한 선호는 유익이 될 수 있다. 그래서, 네트워크의 타이밍으로 조정된 타이밍은 간섭을 줄이는데 도움이 될 수 있고, 수신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장치 송신 및 D2D 송신 사이의 일부 조정이 네트워크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또는 추가적으로, 바이어스는 네트워크 노드와 동기화 수신 장치 사이의 홉의 수의 증가에 따라서 감소하는 값(보너스 또는 패널티)으로서 결정될 수 있으며 홉의 수는 양의 정수이거나, 또는 네트워크 노드와 동기화 수신 장치 사이의 홉의 수의 증가에 따라서 증가하는 값으로서 결정될 수 있으며 홉의 수는 또한 양의 정수이다. 이들 2개의 가능성은 동기화 수신 장치가 네트워크 소스에 근접하면 메트릭의 값을 증가시키고, 네트워크 소스에서 멀면 메트릭의 값을 감소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여기서, 근접성은 동기화 신호의 소스인 네트워크 노드와 동기화 수신 노드 사이의 노드들 (무선 장치)의 수로 표현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하며, eNB(710)은 타원 701으로 표시된 커버리지를 갖는다. D2D UE(770)는 -100 dBm의 수신 신호 품질을 갖는 eNB(710)로부터의 동기화 신호(715)를 수신한다. D2D UE(770)는 -80 dBm의 수신 신호 품질을 갖는 네트워크 커버리지-내 UE(720)에 의해 형성된 홉에 걸쳐서 eNB(710)로부터 발신된 동기화 신호(725)를 또한 수신한다. 결국, D2D UE(770)는 -78 dBm의 수신 신호 품질을 갖는 네트워크 커버리지-밖 UE(730)으로부터 동기화 신호(735)를 수신한다. 따라서, 수신 신호 품질에 따라서만 동기화 소스를 선택할 때, 가장 높은 수신 신호 품질을 갖기 때문에 네트워크 커버리지-밖 UE(730)가 선택되고, UE(720)가 뒤에 오고, 마지막으로 eNB(710)가 온다. 이 실시예에서, 그러나, 동기화의 선택이 다르게 실행된다. 도 7의 아래에 있는 테이블은 보너스 값 (세번째 칼럼)과 소스 유형(첫번째 칼럼) 및 홉의 수(두번째 칼럼)의 조합 사이의 연관을 나타낸다. 원래의 소스 유형은 eNB(710) 또는 무선 장치일 수 있으며, 네트워크 노드, 즉, 여기서, 네트워크 커버리지-밖 UE(730)로부터 동기화 신호를 도출하지 않는다. 본 예에서 특징인 홉의 수는 0, 1 또는 1 이상이다. 이 경우에 선택 바이어스는 소스 유형 및 홉의 수에 따라서 10, 6, 3 또는 0의 값을 가질 수 있는 보너스이다. 특히, 소스가 무선 장치(730)이면, 노드의 수에 상관없이, 수신 신호 품질 (전력)에 보너스가 추가되지 않는다 (0의 값을 갖는 보너스가 추가된다). 이 예에서, 무선 장치(730)는 동기화 신호를 생성하는 것에 주목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동기화 신호는 몇몇 다른 무선 장치에 의해서 생성될 수 있으므로, 홉의 수는 이 소스 유형에 대해서 또한 구별될 수 있다.
도 7의 소스에 대해서, 각각의 메트릭이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 eNB 710: -100 dBm의 수신 신호 전력에 보너스 값 10이 추가되어 (0 홉, 테이블의 첫번째 행에서 소스 eNB), 메트릭 값 -90이 된다.
- UE 720: -80 dBm의 수신 신호 전력에 보너스 값 6이 추가되어 (1 홉, 테이블의 두번째 행에서 소스 eNB), 메트릭 값 -74이 된다.
- UE 730: -78 dBm의 수신 신호 전력에 보너스 값 0이 추가되어 (임의의 수의 홉, 테이블의 마지막 행에서 소스 UE), 메트릭 값 -78이 된다.
따라서, -74의 가장 높은 수신 품질을 갖는 소스가 UE(720)이고, 다음에 UE(730)과 eNB(710)이 온다. 따라서, D2D UE(770)는 메트릭의 가장 높은 값을 가지므로, 동기화 소스로서 네트워크 커버리지-내 UE(720)를 선택한다. 이 예에서는 홉의 수에 대해서 업-카운트가 사용된다.
메트릭을 도출할 수 있도록, 동기화 수신 UE는, 동기화 신호를 송신하는 홉으로부터 소스 유형 및 홉의 수에 관한 정보를 유리하게 취득한다. 동기화 소스가 UE이면 (네트워크-기반 또는 네트워크-독립 동기화 신호로), 이것은 D2D 동기화 신호 또는 D2D 동기화 제어 채널을 디코딩하여 실행될 수 있다. 소스가 eNB이면, 동기화 신호에 셀-ID에 의해 이미 정보가 실려 있고, 거기에 기초하여, 소스는 eNB이므로 홉의 수는 0 (또는 적용된 홉-카운팅 전략에 따라서, NHmax)인 것이 분명하다. 소스 유형 및 홉의 수에 기초한 테이블을 사용하여 선택 바이어스 값을 결정하는 대신에, 바이어스 값은 D2D 동기화 신호를 통해서 직접 또는 D2D 제어 채널 등의 제어 채널을 통해서 표시될 수 있다. 즉, 선택 바이어스는 각 동기화 소스로부터 송신된 시그널링 정보 내에서 이것을 수신함으로서 결정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바이어스 값의 결정은 보다 유연하고, 테이블에서 계산이나 룩업은 수신기에서 필요하지 않다. 예를 들면, 도 7의 UE(720)는 D2D 동기화 신호 또는 D2D 제어 채널 등의 제어 채널을 통해서 6의 보너스 값을 직접 송신한다.
상기 서술된 할당 테이블은 제어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동기화 수신 장치에 대해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7의 표는 RRC 시그널링을 통해서 수신 장치(UE)로 송신될 수 있다. 또는, 디폴트 테이블이 적용가능할 수 있으며, 또한, RRC 접속이 네트워크에 설정된 후 수정된 테이블을 송신할 가능성이 있을 수 있다. 또 다른 대안은 여러 테이블이 사양에 미리 정의되어 있는 것이다. 테이블의 선택은 eNB 형식에 근거할 수 있거나 또는 더 높은 계층 시그널링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메트릭 취득부는 수신된 동기화 신호의 품질; 동기화 소스가 네트워크 노드인지 또는 무선 장치인지를 나타내는 수; 및 네트워크 노드로의 홉의 수의 선형 조합으로서 메트릭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함수는 M = a*T + b*H + c*Q에 의해 주어질 수 있으며, 여기서, T는 원래의 동기화 소스 유형이며, 예를 들면, 원래의 소스가 eNB이면 T=1, 아니면 T=0; H는 홉의 카운트, 즉, 동기화의 원래의 소스와 원래의 소스와 동기화 수신기 사이의 홉의 수를 나타내도록 또한 고려될 수 있는 동기화 송신 홉 사이의 홉의 수; Q는 신호 품질이며, 예를 들면 수신된 신호 전력에 의해 dBm로 주어질 수 있고; a, b, c는 상기 각각의 3개의 파라미터 T, H, 및 Q에 가중을 주기 위한 웨이트이다. 웨이트 a, b, 및 c는 일반적으로 실수일 수 있다. 그러나, 구현을 단순화하기 위해 웨이트는 정수일 수 있다. 신호 품질이 반드시 측정된 수신 전력을 직접 나타내는 것이 아닌 것에 주의한다. 또는, 수신 품질은 측정된 신호 전력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소정 수의 레벨에 의해 표현될 수 있다. 상이한 카테고리는, 예를 들면, dBm 값에 따라서, "우수", "양호", "타당", "나쁨", "아주 나쁨"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들 카테고리는 정수로 표현될 수 있으며, 이것은 위의 방정식을 계산하는데 더 쉽다. 예를 들면, 우수한 품질은 5, 양호한 품질은 숫자 4, 타당한 품질은 3, 나쁜 품질은 2, 매우 나쁜 품질은 1이 할당된다.
예를 들면, eNB로부터 도출된 D2DSS는 다른 소스로부터 도출된 D2DSS보다 더 높은 우선 순위를 가지므로, 가중 팩터 a는 유리하게 a>0의 양의 정수이다. 홉의 수가 eNB로부터 카운트-업되면, 가중 팩터 b는 유리하게 b<0의 음의 수인 반면, 홉의 수가 카운트-다운되면, b>0이다. 수신 신호 품질이 더 높으면, 메트릭 값이 더 높게 된다. 따라서, 상기 예시된 것 같이 수신 품질이 dBm으로 표현되면 c>0이고, 이러한 경우에 수신된 품질이 음의 수이고, 이것은 품질 값이 높을 수록 품질이 더 양호한 것을 의미한다. c<0, 예를 들면 -1이면, -l00 dBm이 -90 dBm 보다 양호하다. 수신된 품질이 음의 수이면 메트릭 M은 <0일 수 있다. 그러나, 이들은 단지 일 예이다. 본 기술에서 숙련된 자에게 분명한 것 같이, 메트릭은 소스 신뢰성을 표현하도록 설계된다. 홉의 업/다운 카운팅의 사용 또는 파라미터 T, H, Q, 및 이에 대응하여, 가중 팩터 a, b, c 의 양/음의 값의 사용 등의 특정 설계가 임의의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가중 팩터 및 메트릭이 각 UE (수신 장치)에 대해서 구성될 수 있다. 네트워크 커버리지-밖 UE에 대해서, 가중 팩터 a, b, 및 c는 OAM을 통해서 미리 구성될 수 있거나 또는 D2D 제어 채널을 통해서 네트워크 커버리지-내 UE에 의해서 전달될 수 있다.
네트워크 커버리지-내 UE에 대해서, 가중 팩터 a, b, 및 c는 eNB에 의해서 미리 구성될 수 있거나 구성될 수 있다. eNB마다 구성하는 것이 유리하고, 예를 들면, RRC 시그널링 또는 다른 제어 시그널링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메트릭의 구성 가능성은 각 UE가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UE가 eNB에서 포워드되는 데이터를 가지면, 이러한 UE가 eNB에 동기화되는 것이 유리하다. 가중 팩터는 다른 UE보다 이 UE에 대해서 더 크게 구성될 수 있다. UE가 낮은 수신 능력 (저품질로 신호를 검출/디코딩하는 능력)을 가지면, 이러한 가장 높은 신호 품질을 갖는 D2DSS와 동기화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 경우에 가중 팩터 c가 다른 UE보다 이러한 UE에 대해서 더 크게 구성되는 것은 아니다.
요약하면, 선형 조합이 M = a*T + b*H + c*Q로서 유리하게 정의되어 있으며, T는 동기화의 소스, H는 홉의 수 및 Q는 수신 신호 품질이고; a, b, 및 c는 가중 팩터이다. 메트릭 취득부는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송신된 시그널링 정보 내에서 수신함으로서 가중 팩터 a, b, 또는 c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동기화 소스 선택부는 품질이 좋지 않은 D2DSS를 제거하는 예비 단계를 행하도록 또한 구성된다. 특히, 예비 단계는 선택을 위해서 고려되는 소스의 세트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예비 선택을 통과하는 D2DSS에 대해서만, 메트릭은 신호 품질과 바이어스에 기초하여 또는 상기 서술된 것 같이 선형 메트릭에 기초하여 또한 메트릭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으며, 동기화 소스가 선택된다. 이것은, 제외된 소스는, 동기화 소스들로 더 고려되는 것들로부터 예비 제거 단계에서 제외되는 것을 의미한다.
동기화 수신 장치에 관련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동기화 수신 장치에서, 동기화 소스 선택부는 소정의 홉의 스레스홀드를 초과하는 네트워크 노드로의 홉의 수를 갖는 후보 동기화 소스의 세트로부터 제외함으로써 동기화 소스의 예비-선택을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소정의 스레스홀드는 3과 같을 수 있고, 이것은 3보다 큰 홉의 수를 갖는 임의의 홉(홉을 카운트-업하는 경우에)이 또 다른 선택으로부터 제외되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이것은 일 예이며, 스레스홀드는 1, 2, 4, 또는 그 이상의 다른 값을 취할 수 있다.
홉의 수에 기초한 예비 선택 대신에 또는 추가하여, 소정의 품질 스레스홀드를 초과하지 않는 신호 품질을 갖는 소스를 후보 동기화 소스의 세트로부터 제외함으로써, 동기화 소스의 예비 선택이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소정의 스레스홀드는 -100 dBm과 같을 수 있다. 그래서, -100 dBm 미만의 전력을 갖는 동기화 신호가 수신되는 임의의 홉(소스)이 선택으로부터 제외된다. 그러나, -100 dBm의 값은 일 예이고, 스레스홀드는 -110 dBm 또는 -105 dBm과 같이 다른 값, 또는 임의의 다른 값을 취할 수 있다. 또한, 스레스홀드를 원래의 소스의 유형에 따라서 상이한 값에 설정하는 것이 유익하다. 특히, 품질 스레스홀드는 네트워크 커버리지-밖 UE(730) 등의 비-네트워크 소스에 대해서 더 높을 수 있고, 이러한 UE로부터의 신호는 네트워크 (eNB(710) 또는 네트워크 커버리지-내 UE(720))로부터의 동기화 신호에 기초하여 그 신호를 결정하는 소스보다 예비-선택을 통과하는데 더 높은 품질을 가질 필요가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 실시예에서, 메트릭 취득부는 동기화 소스 선택부에 의해 행해진 예비-선택 뒤에 후보 동기화 소스의 세트에 남아 있는 동기화 소스에 대해서만 메트릭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용어 “후보 동기화 소스의 세트”는 동기화 신호가 동기화 수신 장치에 의해 수신되는 소스를 지칭한다.
예비-선택의 장점 중 하나는 저품질을 갖는 D2DSS가 선택되지 않는 것이다. 그래서, 신뢰할 수 없는 동기화 소스에 대해서 메트릭을 결정하지 않아도, 그것을 선택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그래서, 선택이 이러한 방식으로 단순화될 수 있다.
동기화 소스의 메트릭 취득 및 선택이 행해지는 방법에 관한 상기 서술된 실시예는 히스테리시스를 갖는 소스의 재선택을 제어함으로서 더욱 개선될 수 있다. 특히, 동기화 수신 장치는 상이한 동기화 소스로부터 동기화 신호를 수신한다. 수신된 소스에 대한 메트릭을 결정하고 따라서 가장 신뢰할 수 있는 소스를 선택함으로서 동기화 소스의 재선택을 정기적으로 행할 수 있다. 수신 신호 품질이 상당히 변경하면, 이러한 정기적인 재선택은 동기화 소스의 빈번한 변경을 가져 올 수 있다. 이러한 핑-퐁 효과를 방지하기 위해 히스테리시스가 유리하게 추가될 수 있다. 이것은, UE가 동기화 소스를 선택할 때, 특정 기간 동안 소스를 유지하므로, UE는 동기화 소스를 빈번하게 변경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동기화 소스의 안정성에 도움이 된다. 히스테리시스는 시간에서 감소되므로, 최상의 동기화 소스가 선택된다.
동기화 수신 장치는 재선택 타이머, 및 메트릭 취득부가 메트릭을 결정하도록 제어하고 동기화 소스 선택부가 재선택 타이머에 따라서 동기화 소스를 선택하도록 제어하는 선택 제어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말은 동기화 신호를 수신한 소스를 10초마다 평가할 수 있다. 평가는 상기 서술된 메트릭의 결정 또는 계산 및 최적의 소스, 즉, 가장 높은 값의 메트릭 또는 일반적으로 베스트 소스를 나타내는 메트릭의 값을 갖는 소스의 선택을 포함한다. 이로 인해, 동기화 신호 수신기 (단말, 또는 더 일반적으로, 사용자 장비 등)는 동기화 소스를 가능하게 변경된 송신 환경에 정기적으로 적응시킬 수 있다. 재선택 구간에 대해서 상기 예의 10초는 단지 일 예이며 예를 들면, 1, 2, 5 또는 15 초의 상이한 값 또는 다른 구간에 설정될 수 있다. 재선택 타이머의 값은, eNB와 같은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더 높은 계층 프로토콜에 의해 고정될 수 있거나 구성가능할 수 있다. 타이머의 구성 능력은 UE의 송신 환경에 재선택 작업을 적응시키는 장점을 제공한다. UE가 이동 UE이면, 채널 품질 변화가 더 빈번하여, 더 짧은 재선택 기간을 구성하는 것이 유익하다. 한편, UE가 (현재) 이동하지 않고 환경이 실질적으로 변화하고 있지 않으면, 재선택 기간을 더 길게 구성하는 것(재선택 기간을 증가시키는 것)이 유익하다.
동기화 수신 장치는, 새로운 동기화 소스를 선택할 때 시작하고 소정의 히스테리시스 기간 후 종료하는 히스테리시스 타이머를 유익하게 더 포함하며, 상기 재선택 타이머는 소정의 재선택 기간에 설정되어 있다. 재선택 기간은 트워크로부터, 예를 들면, 기지국 (eNB) 등의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제어 신호 내에 동기화 수신장치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선택 제어부은 메트릭 취득부에게 메트릭을 결정하도록 지시하고, 동기화 소스 선택부에게, 재선택 타이머의 종료시 히스테리시스 타이머가 종료하면, 상기 메트릭에 따라서 동기화 소스를 선택하도록 지시하고, 재선택 타이머의 종료시 히스테리시스 타이머가 종료하지 않으면, 상기 메트릭에 따라서 동기화 소스를 선택하지 않도록 지시한다. 그래서, 히스테리시스 타이머는 동기화 소스의 빈번한 변화를 방지하는데 도움이 된다.
소정의 히스테리시스 기간은 시간에 따라서 바람직하게 줄어들 수 있다. 특히, 재선택 타이머의 증가되는 수가 종료하면서 히스테리시스 기간이 감소 될 수 있다.
현재 동기화 소스의 수신 신호 품질이 특정 기간 동안 특정 임계값 미만으로 떨어지면 재선택이 또한 트리거될 수 있다. 동기화 소스가 갑자기 사라지는 것 또는 이 동기화 소스로부터 신호 품질의 급격한 열화를 방지하는데 유리하다.
상기 실시예에 서술된 것 같이 본 발명은, 수신 품질에 기초할 뿐 아니라, 소스의 유형 및 거리를 구별하는 이점을 제공한다. 따라서, UE는 훨씬 높은 신호 품질을 가진 D2DSS를 선택한다. eNB의 우선 순위와 홉의 수는 신호 품질에 대해서 오프셋으로 간주될 수 있다. 630 등의 네트워크 커버리지-밖 UE로부터의 D2DSS의 신호 품질이 eNB(610)로부터의 D2DSS보다 훨씬 나쁘면, UE는 eNB를 선택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동기화 신호를 수신하는 장치(800)를 도시한다. 장치(800)는 사용자 장비와 같은 무선 장치이다. 이 무선 장치는 각각 상이한 세기를 갖는 상이한 소스로부터 다양한 신호를 수신한다. 특히, 이 장치는, eNB 등의 네트워크 노드(810)로부터, 또는 eNB(810)의 커버리지(810) 내에 위치한 또 다른 무선 사용자 장치(820)로부터, 또는 네트워크 및 특히 eNB(810)의 커버리지(801) 밖에 위치한 사용자 장비(830)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 장치는 동기화 신호 수신부(840), 메트릭 취득부(850), 동기화 소스 선택부(860) 및 타이밍부(870)를 구비하며, 이들은 상기 실시예에 서술된 것 같이 구성된다. 특히, 동기화 신호 수신부(840)는 다양한 D2D 동기화 소스에서 동기화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수신된 동기화 신호 또는 적어도 소스 유형에 기초하여 소스를 식별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정보는 시그널링을 통해 나중에 전달될 수 있다. 메트릭 취득부(850)는, 이것에 기초하여 동기화 소스 선택부(860)가 동기화 소스를 선택하는 메트릭을 결정 또는 선택하도록 구성된다. 소스 선택 후, 장치(800)는 그 타이밍을 (처음에) 결정하거나 또는 (초기 결정 완료후) 조정한다. 특히, 수신을 위해서 타이밍으로서 수신된 동기화를 취할 수 있거나 또는 거기에 오프셋을 추가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전송 타이밍이 도출되고, 이 도출된 수신을 위한 타이밍에 따라서 수행될 수 있다.
이 장치(800)는, 장치가 재선택을 실행하는 타임을 제어하는 재선택 제어부(880)를 더 구비한다. 따라서, 재선택부(880)는 메트릭 취득부(850)와 선택부(860)가 그 기능, 즉, 메트릭 계산 및 특정 시간 경우에 소스 선택을 행하도록 제어한다. 이들 시간 인스턴스는, 장치 (800)의 일부를 형성하는, 재선택 타이머 (885)로부터 유리하게 도출된다. 재선택 타이머(885)는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된 시그널링에 의해서 구성가능하다. 네트워크로부터 시그널링의 수신은 신호 수신부(89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블록도에서, 신호 수신부(890)와 동기화 신호 수신부(840)는 별개로 그려져 있다. 이것은 그들이 기능 블록이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장치(800)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 증폭기, 복조기 및 디코더 (신호 수신에 대해서 적용가능한)에 의해 형성된 일반적인 수신 프런트를 갖는다. 이 신호와 동기화는, 분리된 블록(840, 890)으로 도 8에 도시된 것 같이, 상이한 목적을 위해 사용된다.
시그널링 수신부는 메트릭 결정에 대한 설정을 갖는 시그널링을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가중 계수 a, b, c 및/또는 선택 바이어스 오프셋 및/또는 보너스 또는 페널티 값에 대한 설정이 수신되어 메트릭 취득부(850)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히스테리시스 타이머(865)는 장치의 일부이고, 850에서 결정된 메트릭에 기초하여 선택부(860)가 새로운 동기화 소스, 즉, 현재 적용된 동기화 소스 이외의 동기화 소스를 선택하면, 동기화 소스부(860)가 동기화 소스를 변경하거나 변경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재선택 제어부(880)에 의해 사용되어도 된다. 히스테리시스 타이머(865)는 시그널링 수신부(890)에 의해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된 시그널링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도 9는 상기 서술된 시스템에서 동기화 소스를 선택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특히, 이러한 동기화 수신 방법은, 네트워크 노드 및 동기화 생성 무선 장치로부터 동기화 신호를 도출하는 동기화 소스를 포함하는 동기화 소스로부터 소정의 무선 동기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910를 포함한다. 수신된 동기화 신호는 소스의 유형 또는 홉의 수 등의 일부 정보를 이미 가지고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이 정보는 다른 방식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이 방법은, 다음 중 적어도 2개의 사항에 기초하여 각각의 동기화 소스에 대한 선택 메트릭을 결정하는 단계 930을 포함한다: 수신된 동기화 신호의 품질; 소스 유형 (동기화 소스가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발신된 동기화 신호를 전송하는가 혹은 네트워크 노드 독립 동기화 신호를 전송하는가); 및 네트워크 노드로의 홉의 수. 결정된 메트릭에 따라서 동기화 소스를 선택하는 다음의 단계 940에서, 선택된 동기화 소스의 동기화 신호에 따라서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타이밍을 결정하거나 또는 조정하는 단계 950을 위해서 사용되는 소스가 선택된다.
메트릭은 수신된 동기화 신호의 품질 및 홉의 수 및/또는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또는 네트워크-독립 무선 장치로부터 동기화 신호를 도출하는 동기화 소스의 유형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선택 바이어스의 조합으로서 바람직하게 결정된다. 소정의 선택 바이어스 값과 룩업 테이블 등의 각각의 홉의 수의 연관에 따라서 선택 바이어스가 결정될 수 있다. 특히, 선택 바이어스는 다음 중 하나의 값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신호의 소스인 무선 장치보다 동기화 신호의 소스인 네트워크 노드에 대해서 더 높은 값;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시작하여 홉의 수가 증가하여 계수될 때 네트워크 노드와 동기화 수신 장치 사이의 홉의 수의 증가에 따라서 감소하는 값; 또는 소정의 최대 홉의 수를 갖는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시작하여 홉의 수가 감소하여 계수될 때 네트워크 노드와 동기화 수신 장치 사이의 홉의 수의 증가에 따라서 증가하는 값. 또는, 선택 바이어스는 각 동기화 소스로부터 송신된 시그널링 정보 내에서 이것을 수신함으로서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메트릭을 결정하는 것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서술된 것 같이 및 일반적으로, 동기화 신호의 품질; 동기화 소스가 네트워크 노드인지 또는 무선 장치인지를 나타내는 수; 및 네트워크 노드로의 홉의 수의 선형 조합으로서 메트릭이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선형 조합이 M = a*T + b*H + c*Q로서 유리하게 정의되어 있으며, T는 동기화의 소스, H는 홉의 수 및 Q는 수신 신호 품질이고; a, b, 및 c는 가중 팩터이다.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송신된 시그널링 정보 내에서 그들을 수신함으로서 가중 팩터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가 결정될 수 있다.
이 방법은, 소정의 홉의 스레스홀드를 초과하는 네트워크로의 홉의 수를 갖는 소스 및/또는 소정의 품질 스레스홀드를 초과하지 않는 신호 품질을 갖는 소스를 후보 동기화 소스의 세트로부터 제외함으로써, 동기화 소스를 예비-선택하는 단계 9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동기화 소스 선택부에 의해 행해진 예비-선택 뒤에 후보 동기화 소스의 세트에서 동기화 소스에 대해서만 메트릭이 결정된다.
동기화 방법은 재선택 타이머를 실행(유지)하고, 메트릭의 결정 및 재선택 타이머에 따라서 동기화 소스의 선택을 제어하는(960)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방법은, 새로운 동기화 소스를 선택할 때 시작하고 소정의 히스테리시스 기간 후 종료하고, 상기 재선택 타이머가 소정의 기간에 설정되어 있는, 히스테리시스 타이머를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 방법은 메트릭을 결정하도록 지시하고, 재선택 타이머의 종료시 히스테리시스 타이머가 종료하면, 상기 메트릭에 따라서 동기화 소스를 선택하도록 지시하고, 재선택 타이머의 종료시 히스테리시스 타이머가 종료하지 않으면, 상기 메트릭에 따라서 동기화 소스를 선택하지 않도록 지시하는 단계를 유리하게 포함한다.
상기 기술 배경에 주어진 설명은 여기에 설명된 특정 실시예를 더 잘 이해하기 위해 의도된 것이며, 본 발명을 3GPP 표준을 준수하는 네트워크와 같은 이동 통신 네트워크에서 처리와 기능의 상기 설명된 특정 구현에 제한시키는 것으로 이해되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기에 제안된 개선예는 기술 배경에 설명된 구조/시스템에 쉽게 적용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이들 구조/시스템의 표준 및 개선된 절차를 또한 이용할 수 있다. 넓게 기술된 본 발명의 진의와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특정 실시예에 나타낸 것 같이, 본 기술에서 숙력된 자에 의해, 본 발명에 대해서 많은 변형 및/또는 수정이 행해질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사용한 상기 설명된 다양한 실시예의 구현에 관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컴퓨팅 장치 (프로세서)를 사용하여 구현 및 실행될 수 있는 것으로 인식된다. 컴퓨팅 장치 또는 프로세서는 예를 들면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DSP: digital signal processors), 응용 프로그램 특정 통합 회로 (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 (FPG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또는 다른 프로그램가능 논리 장치 등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이들 장치의 조합에 의해 구현 또한 실행될 수 있다.
또한,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가, 프로세서에 의해 또는 하드웨어에서 직접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모듈 및 하드웨어 구현의 조합이 가능하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임의의 종류의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예를 들어 RAM, EPROM, EEPROM, 플래시 메모리, 레지스터, 하드 디스크, CD-ROM, DVD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요약하면, 본 발명은, 기지국 (네트워크 노드) 등의 네트워크, 또는 기지국으로부터 다른 수의 홉을 거쳐서 가능하게 동기화 신호를 수신하는 사용자 장비로부터 동기화 신호를 결정하는 소스들을 포함하고, 및 네트워크로부터 그 동기화 신호들을 결정하지 않는 소스를 더 포함하는, 다양한 동기화 소스들 중에서 동기화 소스를 선택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동기화 소스의 선택은, 고려된 각각의 소스에 대해서 계산된 메트릭에 기초하여 가장 신뢰할 만한 동기화 신호를 갖는 소스를 선택함으로서 실행된다. 특히, 메트릭은, 소스의 유형, 네트워크와 소스 사이의 홉의 수 및/또는 수신 신호 품질에 기초한다. 소스를 선택한 뒤, 그에 따라서 장치의 타이밍이 조정된다.

Claims (15)

  1. 동기화 수신 장치(800)로서,
    네트워크 노드 및 무선 장치로부터 동기화 신호를 도출하는 동기화 소스를 포함하는 동기화 소스들로부터 미리 결정된 무선 동기화 신호들을 수신하기 위한 동기화 수신부(840);
    메트릭에 따라 상기 동기화 소스들 중에서 동기화 소스를 선택하기 위한 동기화 소스 선택부(860); 및
    상기 동기화 소스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상기 동기화 소스의 동기화 신호에 따라 데이터 송신 또는 수신을 위한 타이밍을 결정하거나 또는 조정하기 위한 타이밍부(870)를 포함하며,
    - 선택 바이어스로서,
    1. 홉의 수가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시작하여 증가하여 계수될 때, 네트워크 노드(710)와 동기화 수신 장치(800) 사이의 홉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서 감소하는 값;
    2. 미리 결정된 최대 홉의 수를 갖는 네트워크 노드(710)로부터 시작하여 홉의 수가 감소하여 계수될 때, 네트워크 노드(710)와 동기화 수신 장치(800) 사이의 홉의 수의 증가에 따라서 증가하는 값 중 하나로서 결정되는 선택 바이어스; 및
    - 수신된 동기화 신호의 품질
    의 조합에 기초하여 상기 동기화 소스들의 각각에 대한 선택 메트릭을 결정하기 위한 메트릭 취득부(850)를 특징으로 하는, 동기화 수신 장치(800).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트릭 취득부는,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동기화 신호를 도출하는 동기화 소스 또는 네트워크-독립 무선 장치 중 하나인 동기화 소스의 형태에 추가로 기초하여 상기 메트릭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동기화 수신 장치(800).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메트릭 취득부는, 미리 결정된 선택 바이어스 값들과 홉의 각각의 수 사이의 연관에 따라 상기 선택 바이어스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동기화 수신 장치(800).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메트릭 취득부(850)는, 각각의 동기화 소스로부터 송신된 시그날링 정보 내에서 상기 선택 바이어스를 수신함에 의해 상기 선택 바이어스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동기화 수신 장치(800).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트릭 취득부(850)는, 수신된 동기화 신호의 품질; 동기화 소스가 네트워크 노드(710) 또는 무선 장치인지를 나타내는 수; 및 네트워크 노드(710)로의 홉의 수의 선형 조합으로서 상기 메트릭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동기화 수신 장치(800).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선형 조합은, M = a*T + b*H + c*Q 로서 정의되며, 여기서, T는 동기화의 소스이며, H는 홉의 수이며, Q는 수신된 신호 품질이며, a, b, c는 가중 인자이며,
    상기 메트릭 취득부(850)는, 상기 네트워크 노드(710)로부터 송신된 시그날링 정보 내에서 가중 인자 a, b, 또는 c를 수신함에 의해 가중 인자 a, b, 또는 c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동기화 수신 장치(800).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 소스 선택부(860)는, 후보 동기화 소스들의 세트로부터,
    - 미리 결정된 홉의 스레스홀드를 초과하는 네트워크 노드로의 홉의 수를 갖는 소스들, 및/또는
    - 미리 결정된 품질 스레스홀드를 초과하지 않는 신호 품질을 갖는 소스들을
    제외함으로써 동기화 소스의 예비-선택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메트릭 취득부(850)는, 상기 동기화 소스 선택부(860)에 의해 수행된 예비-선택 후의 후보 동기화 소스들의 세트 내의 동기화 소스들에 대해서만 상기 메트릭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동기화 수신 장치(800).
  8. 청구항 1에 있어서,
    재선택 타이머(885), 및
    상기 재선택 타이머(885)에 따라 동기화 소스를 선택하도록 상기 메트릭 및 상기 동기화 소스 선택부(860)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메트릭 취득부(850)를 제어하는 선택 제어부(880)를 추가로 포함하는, 동기화 수신 장치(800).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새로운 동기화 소스의 선택시 시작되고 미리 결정된 히스테리시스 기간 후에 종료되는 히스테리시스 타이머(865)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재선택 타이머(885)는 미리 결정된 시간 기간으로 설정되고,
    상기 선택 제어부(880)는,
    상기 메트릭 취득부(850)가 상기 메트릭을 결정하고,
    상기 동기화 소스 선택부(860)가, 상기 히스테리시스 타이머(865)가 종료되면 상기 재선택 타이머(885)의 종료시 상기 메트릭에 따라 동기화 소스를 선택하며 상기 히스테리시스 타이머(865)가 종료되지 않으면 상기 재선택 타이머(885)의 종료시 상기 메트릭에 따라 동기화 소스를 선택하지 않도록 지시하는, 동기화 수신 장치(800).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히스테리시스 기간은 상기 재선택 타이머(885)의 종료의 수에 따라서 감소하는, 동기화 수신 장치(800).
  11. 동기화 수신 방법으로서,
    네트워크 노드 및 무선 장치로부터 동기화 신호를 도출하는 동기화 소스를 포함하는 동기화 소스들로부터 미리 결정된 무선 동기화 신호들을 수신하는 단계(910);
    메트릭에 따라 상기 동기화 소스들 중에서 동기화 소스를 선택하는 단계(940); 및
    선택된 동기화 소스의 동기화 신호에 따라 데이터 송신 또는 수신을 위한 타이밍을 결정하거나 또는 조정하는 단계(950)를 포함하며,
    - 우선 순위 선택 바이어스로서,
    1. 홉의 수가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시작하여 증가하여 계수될 때, 네트워크 노드(710)와 동기화 수신 장치(800) 사이의 홉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서 감소하는 값;
    2. 미리 결정된 최대 홉의 수를 갖는 네트워크 노드(710)로부터 시작하여 홉의 수가 감소하여 계수될 때, 네트워크 노드(710)와 동기화 수신 장치(800) 사이의 홉의 수의 증가에 따라서 증가하는 값 중 하나로서 결정되는 우선 순위 선택 바이어스; 및
    - 수신된 동기화 신호의 품질
    의 조합에 기초하여 상기 동기화 소스들의 각각에 대한 선택 메트릭을 결정하는 단계(930)를 특징으로 하는, 동기화 수신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메트릭은, 수신된 동기화 신호의 품질; 동기화 소스가 네트워크 노드 또는 무선 장치인지를 나타내는 수; 및 네트워크 노드로의 홉의 수의 선형 조합으로서 결정되는, 동기화 수신 방법.
  13. 청구항 11 또는 청구항 12에 있어서,
    후보 동기화 소스들의 세트로부터,
    - 미리 결정된 홉의 스레스홀드를 초과하는 네트워크 노드로의 홉의 수를 갖는 소스들, 및/또는
    - 미리 결정된 품질 스레스홀드를 초과하지 않는 신호 품질을 갖는 소스들을 제외함으로써
    동기화 소스를 예비-선택하는 단계(920)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메트릭은, 상기 동기화 소스를 선택하는 단계에 의해 수행된 예비-선택 후의 후보 동기화 소스들의 세트 내의 동기화 소스들에 대해서만 결정되는, 동기화 수신 방법.
  14. 청구항 11 내지 청구항 1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재선택 타이머를 유지하는 단계, 및
    상기 재선택 타이머에 따라 동기화 소스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메트릭을 결정하는 단계를 제어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동기화 수신 방법.
  15. 동작 중에, 동기화 수신 장치의 프로세스를 제어하는 집적 회로로서, 상기 프로세스는,
    네트워크 노드 및 무선 장치로부터 동기화 신호를 도출하는 동기화 소스를 포함하는 동기화 소스들로부터 미리 결정된 무선 동기화 신호들을 수신하는 것(910);
    메트릭에 따라 상기 동기화 소스들 중에서 동기화 소스를 선택하는 것(940); 및
    선택된 동기화 소스의 동기화 신호에 따라 데이터 송신 또는 수신을 위한 타이밍을 결정하거나 또는 조정하는 것(950)을 포함하며,
    - 우선 순위 선택 바이어스로서,
    1. 홉의 수가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시작하여 증가하여 계수될 때, 네트워크 노드(710)와 동기화 수신 장치(800) 사이의 홉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서 감소하는 값;
    2. 미리 결정된 최대 홉의 수를 갖는 네트워크 노드(710)로부터 시작하여 홉의 수가 감소하여 계수될 때, 네트워크 노드(710)와 동기화 수신 장치(800) 사이의 홉의 수의 증가에 따라서 증가하는 값 중 하나로서 결정되는 우선 순위 선택 바이어스; 및
    - 수신된 동기화 신호의 품질
    의 조합에 기초하여 상기 동기화 소스들의 각각에 대한 선택 메트릭을 결정하는 것(930)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 회로.
KR1020217003884A 2014-05-09 2014-05-09 장치-대-장치 동기화 소스 선택 KR1023377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4/077130 WO2015168931A1 (en) 2014-05-09 2014-05-09 Device to device synchronization source selection
KR1020167031233A KR102216830B1 (ko) 2014-05-09 2014-05-09 장치-대-장치 동기화 소스 선택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1233A Division KR102216830B1 (ko) 2014-05-09 2014-05-09 장치-대-장치 동기화 소스 선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8970A true KR20210018970A (ko) 2021-02-18
KR102337798B1 KR102337798B1 (ko) 2021-12-10

Family

ID=5439201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3884A KR102337798B1 (ko) 2014-05-09 2014-05-09 장치-대-장치 동기화 소스 선택
KR1020167031233A KR102216830B1 (ko) 2014-05-09 2014-05-09 장치-대-장치 동기화 소스 선택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1233A KR102216830B1 (ko) 2014-05-09 2014-05-09 장치-대-장치 동기화 소스 선택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4) US10165533B2 (ko)
EP (3) EP4287529A3 (ko)
JP (1) JP6436403B2 (ko)
KR (2) KR102337798B1 (ko)
CN (2) CN106464396B (ko)
AU (1) AU2014393235B2 (ko)
BR (1) BR112016023592A2 (ko)
MX (1) MX363176B (ko)
RU (1) RU2648278C1 (ko)
WO (1) WO2015168931A1 (ko)
ZA (1) ZA20160753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133880B1 (en) * 2014-04-14 2020-11-04 Innovative Technology Lab Co., Ltd.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transmitting synchronization signal for direct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BR112016023592A2 (pt) * 2014-05-09 2017-08-15 Sun Patent Trust dispositivo e método de recepção de sincronização, e produto de programa de computador
US10225810B2 (en) * 2014-08-06 2019-03-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synchronization signal in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system
US20160072601A1 (en) * 2014-09-10 2016-03-10 Silicon Image, Inc. Enhanced Communication Link Using Synchronization Signal as Link Command
EP3198956B1 (en) 2014-09-25 2022-04-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nchronization procedure and resource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on in d2d system
CN106211027B (zh) * 2014-12-25 2021-06-18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一种实现d2d终端时频同步的方法和设备
CN111867044B (zh) * 2015-09-24 2021-11-30 华为技术有限公司 同步方法、用户设备和基站
BR112018008564A2 (pt) 2015-11-06 2018-10-30 Sony Corporation ?dispositivo e método de comunicação?
EP3404971A4 (en) * 2016-01-13 2019-08-14 LG Electronics Inc. -1- METHOD AND DEVICE FOR SYNCHRONIZING THROUGH A D2D DEVIC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7027164A (zh) * 2016-01-29 2017-08-08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同步方法及装置
US11064451B2 (en) * 2016-02-05 2021-07-1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election of time reference type for device-to-device radio communication
EP3437424A4 (en) * 2016-03-30 2019-11-13 Sharp Kabushiki Kaisha SYNCHRONIZATION FOR VEHICLE (V2X) COMMUNICATIONS
KR101785461B1 (ko) * 2016-04-08 2017-10-16 국방과학연구소 무선 애드 혹 네트워크에서 Weighted DESYNC 기반의 계층 간 자원할당 기법
CN112911552B (zh) 2016-05-13 2022-08-26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终端的同步方法及终端
EP3855814A1 (en) * 2016-08-11 2021-07-28 Huawei Technologies Co., Ltd.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RU2717553C1 (ru) * 2016-09-30 2020-03-24 Телефонактиеболагет Лм Эрикссон (Пабл) Автономная коррекция временной диаграммы для беспровод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US11039410B2 (en) 2017-03-24 2021-06-1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Resource allocation methods and nodes with self-adapting to different synchronizations
GB2567700B (en) * 2017-10-23 2021-03-10 Bradenburg Uk Ltd An insect trap
US11533695B2 (en) 2018-08-10 2022-12-20 Apple Inc. Synchronization for sidelink based on prioritization of synchronization signals
EP3629639A1 (en) * 2018-09-28 2020-04-01 Intel IP Corporation Methods and devices for communications in device-to-device networks
CN110972106B (zh) * 2018-09-29 2021-08-20 华为技术有限公司 同步方法、通信装置和网络设备
WO2020144304A1 (en) * 2019-01-11 2020-07-16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Sidelink synchronization update
KR20210067743A (ko) * 2019-11-29 2021-06-08 주식회사 쏠리드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및 통신 네트워크의 동기화 방법
RU2727060C1 (ru) * 2020-02-27 2020-07-17 Сан Пэтент Траст Выбор источника синхронизации устройство-устройство
WO2021253339A1 (en) * 2020-06-18 2021-12-2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synchronization source selection
KR20220023396A (ko) * 2020-08-21 2022-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D2d 통신 환경에서 동기화를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에 관한 방법
US20220069893A1 (en) * 2020-08-25 2022-03-03 Qualcomm Incorporated Autonomous acquisition of configuration information in radio frequency repeaters
US20220240207A1 (en) * 2021-01-25 2022-07-28 Qualcomm Incorporated Synchronization signal selection across multiple transceiver nodes
WO2022205095A1 (zh) * 2021-03-31 2022-10-06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无线通信的方法及终端设备
CN113452465B (zh) * 2021-05-17 2023-12-26 新华三信息安全技术有限公司 一种时钟同步方法及装置
WO2023230947A1 (en) * 2022-06-01 2023-12-07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selecting communication parameters based on sidelink synchronization signal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65761A1 (en) * 2004-11-25 2008-07-10 Fraunhofer-Gesellschaft Zur Fo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Method for Synchronization and Data Transmission in a Multi-Hop Network
KR20100113148A (ko) * 2008-02-01 2010-10-20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무선 네트워크 동기화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553735A1 (en) * 2002-10-17 2005-07-1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Packet transmission/reception device
US7773578B2 (en) 2004-07-13 2010-08-10 Utstarcom Telecom Co., Ltd. Packet transmission method for wireless signals in a wireless base station system
EP2073403B1 (en) * 2007-12-18 2010-09-15 Thales Alenia Space Italia S.p.A. Method of synchronising nodes of a network, system and device therefor
CN101465707B (zh) 2008-12-15 2013-03-2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在同步网中保护时间传递的方法及其系统
EP2200394B1 (en) 2008-12-19 2012-08-15 Rtx A/S Cell for self-configuring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N101938824B (zh) * 2009-06-29 2013-01-23 中国移动通信集团公司 空口同步方法、设备及系统
CN101998563B (zh) * 2009-08-13 2013-02-2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避免相邻小区间发生乒乓切换的方法及演进节点b
CN102625438B (zh) 2011-01-31 2015-08-26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进行同步的方法、系统和设备
US8954104B2 (en) * 2011-02-15 2015-02-10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Synchronization of PICO-nodes in a heterogeneous cellular network deployment
JP5357209B2 (ja) 2011-05-19 2013-12-04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方法
US9036550B2 (en) * 2011-09-14 2015-05-19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terminal for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EP2826164B1 (en) * 2012-03-16 2018-10-24 Intel Corporation Down-sampling of cell-specific reference signals (crs) for a new carrier type (nct)
US9479298B2 (en) * 2013-07-08 2016-10-25 Intel IP Corporation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s (DMRS)for side information for interference cancellation
CN104618926B (zh) * 2013-11-01 2018-07-03 电信科学技术研究院 D2d信号的传输方法和装置
WO2015115795A1 (ko) * 2014-01-28 2015-08-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장치 대 장치 단말의 동기 획득 방법 및 장치
CN110769496B (zh) * 2014-03-19 2022-07-08 交互数字专利控股公司 Wtru及由wtru执行的方法
US10117200B2 (en) * 2014-04-22 2018-10-30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cquiring synchronization for device to device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813068B2 (en) * 2014-05-08 2020-10-20 Apple Inc.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synchronization source selection for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BR112016023592A2 (pt) * 2014-05-09 2017-08-15 Sun Patent Trust dispositivo e método de recepção de sincronização, e produto de programa de computador
CN107027164A (zh) * 2016-01-29 2017-08-08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同步方法及装置
JP6646860B2 (ja) 2018-11-01 2020-02-14 サン パテント トラスト 装置間同期源の選択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65761A1 (en) * 2004-11-25 2008-07-10 Fraunhofer-Gesellschaft Zur Fo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Method for Synchronization and Data Transmission in a Multi-Hop Network
KR20100113148A (ko) * 2008-02-01 2010-10-20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무선 네트워크 동기화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1-140329 *
3GPP R1-140330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ZA201607532B (en) 2019-04-24
BR112016023592A2 (pt) 2017-08-15
EP3140931B1 (en) 2021-06-23
AU2014393235A1 (en) 2016-09-22
EP3140931A4 (en) 2018-01-10
US20210092701A1 (en) 2021-03-25
WO2015168931A1 (en) 2015-11-12
CN111867047A (zh) 2020-10-30
US10165533B2 (en) 2018-12-25
KR102216830B1 (ko) 2021-02-18
EP3140931A1 (en) 2017-03-15
US20240007978A1 (en) 2024-01-04
EP3866522B1 (en) 2023-12-06
CN111867047B (zh) 2023-07-04
MX2016014625A (es) 2017-03-06
JP6436403B2 (ja) 2018-12-12
JP2017519414A (ja) 2017-07-13
CN106464396A (zh) 2017-02-22
EP4287529A3 (en) 2024-03-06
EP3866522A1 (en) 2021-08-18
US10887854B2 (en) 2021-01-05
AU2014393235B2 (en) 2019-03-14
KR20170003930A (ko) 2017-01-10
RU2648278C1 (ru) 2018-03-23
EP4287529A2 (en) 2023-12-06
US20190082411A1 (en) 2019-03-14
CN106464396B (zh) 2020-08-14
MX363176B (es) 2019-03-12
US11800471B2 (en) 2023-10-24
KR102337798B1 (ko) 2021-12-10
US20170086158A1 (en) 2017-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00471B2 (en) Device to device synchronization source selection
KR101975037B1 (ko) 비허가된 라디오 주파수 스펙트럼을 통한 무선 통신들
US10440636B2 (en) Synchronization for LTE licensed assisted access in unlicensed bands
JP6190808B2 (ja) セルを発見する方法、ユーザ端末及び基地局
JP2019146271A (ja) 標準および拡張カバレッジモードにおけるセル選択および再選択
US11240828B2 (en) Methods for adapting over-the-air synchronization to radio conditions
JP6646860B2 (ja) 装置間同期源の選択
JP6865405B2 (ja) 装置間同期源の選択
JP2018531541A (ja) 遠隔通信デバイス及び方法
JP2018531541A6 (ja) 遠隔通信デバイス及び方法
RU2717341C2 (ru) Выбор источника синхронизации устройство-устройство
RU2727060C1 (ru) Выбор источника синхронизации устройство-устройство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