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8766A - 모바일 결제 소매 시스템 및 매장 내 모바일 충전 솔루션을 위한 모바일 사물 인터넷(IoT) 박스 - Google Patents

모바일 결제 소매 시스템 및 매장 내 모바일 충전 솔루션을 위한 모바일 사물 인터넷(IoT)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8766A
KR20210018766A KR1020200095708A KR20200095708A KR20210018766A KR 20210018766 A KR20210018766 A KR 20210018766A KR 1020200095708 A KR1020200095708 A KR 1020200095708A KR 20200095708 A KR20200095708 A KR 20200095708A KR 20210018766 A KR20210018766 A KR 202100187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yment
portable
charging
interface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57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한진
Original Assignee
코암텍 인코퍼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암텍 인코퍼레이티드 filed Critical 코암텍 인코퍼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2100187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8766A/ko
Priority to KR10202400582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650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06Q20/3223Realising banking transactions through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08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the Internet of Thing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20Point-of-sale [POS] network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20Point-of-sale [POS] network systems
    • G06Q20/202Interconnection or interaction of plural electronic cash registers [ECR] or to host computer, e.g. network details, transfer of information from host to ECR or from ECR to EC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20Point-of-sale [POS] network systems
    • G06Q20/204Point-of-sale [POS] network systems comprising interface for record bearing medium or carrier for electronic funds transfer or payment credi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20Point-of-sale [POS] network systems
    • G06Q20/208Input by product or record sensing, e.g. weighing or scanner 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22Payment schemes or models
    • G06Q20/24Credit schemes, i.e. "pay af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6Payment applications installed on the mobile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7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06Q20/3278RFID or NFC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GREGISTERING THE RECEIPT OF CASH, VALUABLES, OR TOKENS
    • G07G1/00Cash registers
    • G07G1/0018Constructional details, e.g. of drawer, printing means, input mea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GREGISTERING THE RECEIPT OF CASH, VALUABLES, OR TOKENS
    • G07G1/00Cash registers
    • G07G1/0036Checkout procedures
    • G07G1/0045Checkout procedures with a code reader for reading of an identifying code of the article to be registered, e.g. barcode reader or radio-frequency identity [RFID] reader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GREGISTERING THE RECEIPT OF CASH, VALUABLES, OR TOKENS
    • G07G1/00Cash registers
    • G07G1/0036Checkout procedures
    • G07G1/0045Checkout procedures with a code reader for reading of an identifying code of the article to be registered, e.g. barcode reader or radio-frequency identity [RFID] reader
    • G07G1/0081Checkout procedures with a code reader for reading of an identifying code of the article to be registered, e.g. barcode reader or radio-frequency identity [RFID] reader the reader being a portable scanner or data reade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22Electrical actu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concerning the insertion or the connection of the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2207/30Charge provided using DC bus or data bus of a computer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rket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Abstract

판매 거래를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된다. 실시예는 구매될 물품으로부터 식별 정보를 획득하고, 구매 가격을 결정하고, 구매 가격에 대한 결제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구매 장치의 휴대 가능한, 전기 포인트를 포함한다. 구매 장치의 포인트는 통신 장치, 카메라, 스캐너 및 식별 정보 및/또는 결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센서 시스템과 같은 하나 이상의 입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구매 장치의 포인트는 또한 전자 디스플레이, 모바일 폰, BLE 비콘 및/또는 외부 서버와 같은 연결 가능한 장치로/장치로부터 정보를 전송 및/또는 수신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근거리 통신 인터페이스, 로컬 영역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블루투스® 구성 등)포함할 수 있다. 휴대용 충전 포인트 장치의 제공을 통해 쇼핑객에 의한 배터리 고갈 불안을 피하는 실시예가 추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모바일 결제 소매 시스템 및 매장 내 모바일 충전 솔루션을 위한 모바일 사물 인터넷(IoT) 박스{INTERNET OF THINGS(IoT) BOX FOR MOBILE PAYMENT RETAIL SYSTEM AND IN STORE MOBILE CHARGING SOLUTION}
설명
본 출원은 본 명세서에 전체가 참조로서 포함되는 2019년 8월 9일 제출된 U.S. 가출원 번호 62/884,927로부터 우선권을 주장한다.
기술 분야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휴대용 전자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판매 거래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에서 개선된 모바일 결제 옵션을 갖는 휴대용 사물 인터넷(IoT) 기반 셀프 체크아웃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POS(Point of Sale)에서 모바일 결제를 위해 모바일 장치(스마트 폰, 태블릿 등)를 사용하는 시스템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기술은, 예를 들어 현금 데스크의 디스플레이로부터 모바일 장치로 바코드를 스캐닝하거나 캐셔(cashier)에 의해 스캐닝되거나 타이핑된 모바일 장치 상에 숫자 코드, 바코드 또는 2차원 코드를 표시하거나 동일한 표준을 지원하는 단말기에서 NFC(Near-Field-Communication) 표준을 지원하는 모바일 장치를 탭핑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러한 유형의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모바일 장치를 사용하여 제품 식별 및 가격 정보를 수집하는 셀프 체크아웃을 포함하여 고객에게 편리하고 빠른 체크아웃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된다. 체크아웃 시에, 사용자는 소매점 시설의 레거시 스캐닝 시스템(legacy scanning system)에 모바일 장치를 제시하고, 바코드 또는 다른 그래픽 정보 심볼이 스캐너에 제시되어 빠른 체크아웃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효과적이기 위해서는, 이러한 시스템은 모바일 장치가 그 장치에 다운로드된 스토어로부터의 애플리케이션(“앱”)을 가질 것을 요구한다. 많은 사용자는 개인 정보 문제뿐만 아니라 불편함을 포함하여 다양한 이유로 개별 스토어용 앱을 다운로드하는 것을 꺼려한다.
또한, 위에서 설명된 시스템 및 솔루션의 일부는 구매 및/또는 체크아웃 프로세스 과정에서 추가 고객 조치가 필요하며, 고객이 검출되지 않은 미지급 품목으로 체크아웃을 통과하는 것을 막을 수 없다. 스토어를 떠날 때 결제 확인 및 체크아웃을 위한 많은 공지된 시스템은 고객이 여전히 체크아웃 벨트 등에 그의 아이템을 놓아야 한다고 요구하고, 고객 또는 캐셔는 품목을 스캔해야 하고 적어도 아이템을 다시 카트, 바스켓 또는 백으로 포장해야 하여 주장된 시간 이득이 전체 체크아웃 프로세스에서 거의 눈에 뛰지 않는다. 따라서, 이러한 시스템은 추가 제어 직원 및/또는 중량 시스템과 같은 복잡하고 부담스러운 기술 수단이 필요하다. 어쨌든 셀프 체크아웃을 위해 고객에 의해 몇 가지 수동적이고 시간 소모적인 프로세스를 수행해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유형의 시스템은 이러한 시스템의 주장된 이점을 실제로 제공하는 보다 편리하고 빠른 모바일 결제 기술에 대한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한다. 대안적으로, 일부 공지된 시스템은 상기 언급된 단점의 일부를 제거할 수 있는 “스캔 앤 고(scan and go)” 형태의 시스템이지만, 이러한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선택된(사전 식별된) 고객에 대해 무작위 검증을 수행하므로 손실될 수 있으며, 고객의 전화에 다운로드된 스토어 애플리케이션에만 독점적으로 적용되며, 현재 공지된 “자율 쇼핑” 시스템에서도 유사한 문제점이 보고된다.
이러한 비효율성 때문에 고객과 판매자는 지금까지 모바일 장치를 통해 모바일 결제 기술의 이점에 의문을 제기하고 보다 편리하고 빠른 모바일 결제 기술을 요청한다.
따라서, 소매점에서 모바일 결제 서비스에 의한 비현금(cashless) 및 비카드(cardless) 결제를 이용하는 셀프 체크아웃에서와 같이 모바일 결제를 이용하는 실제 셀프 체크아웃을 가능하게 하는 요구가 여전히 존재하며, 여기서 고객은 구매 및/또는 체크아웃 프로세스의 과정에서 추가 조치를 수행할 필요가 없다.
증강된 스토어 모바일 상거래 솔루션 및 충전 시스템에 대한 추가 요구가 여전히 존재한다. 일반적으로 쇼핑객의 대략 80%가 오프라인 매장(brick and mortar store)에서 모바일 장치를 사용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쇼핑 중 고객이 모바일 폰을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이 중요해지면서 쇼핑객의 80% 중에서 쇼핑객의 60%가 모바일 장치에서 배터리 충전량이 고갈되어갈 때 “배터리 불안”이라고 하는 것을 경험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실제 스토어에서 고객 체류 시간을 크게 단축시키며 소비자가 일반적으로 다른 곳에서 모바일 장치를 재충전하기 위해 스토어를 조기에 나가므로 스토어 구매에 매우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배터리 불안을 방지하고 스토어 구매를 증가시키기 위해 스토어 내 모바일 충전 솔루션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또한, 스토어 내 고객이 모바일 장치에서 스토어 내 제품을 검색하고 찾을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고 모바일 장치에서 모두 동일한 제품 스캐닝 및 지불을 제공할 수 있는 완전 디지털 경험을 갖는 솔루션을 보강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솔루션은 기존 스토어 내 쇼핑과 완전 자동화된 체크아웃 솔루션 사이의 격차를 해소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일반적으로 상술한 단점을 제거하는 사물 인터넷(IoT) 유형 시스템 내에서 휴대용 장치(박스)를 사용하여 POS(Point of Sale) 거래를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 및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IoT 박스 상의 전자 디스플레이에서 사용자의 모바일 장치와 인터페이스할 수 있어 사용자의 모바일 장치에 주어진 스토어 앱을 다운로드할 필요 없이 다양한 모바일 결제 방식으로 셀프 체크아웃이 가능하게 하는 주어진 스토어 앱을 자동으로 개시 및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자동 쇼핑 앱 런칭 모듈을 포함하는 방법을 갖는 휴대용 POP(Point of Purchase) 장치(본 명세서에서 IoT 박스로 지칭됨)에 관한 것이다. 이를 제공함에 있어서, 본 발명은 기존의 Bluetooth® 또는 저전력 블루투스(BLE) 비콘 아키텍쳐를 전제로 할 수 있고,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스토어 특정 앱을 다운로드할 필요가 없고 체크아웃 스테이션에서 고정식 스캐너를 사용할 필요 없이 완전히 상이한 결제 시스템(AliPay®, ApplePay®, Samsung Pay®, Google Pay® 등)을 통해 비현금 결제 (및 선택적인 실시예에서는 비카드 결제)를 가능하게 한다. IoT 박스는 상이한 전자 결제 시스템으로부터 POS(Point of Sale) 애플리케이션을 고객의 모바일 장치에 일방적인 방식으로 또는 IoT 박스 자체에서 대안적인 방식으로 실행할 수 있게 하는 유연성을 가진다. 어느 쪽이든, 모든 범위의 사용자 선호도가 제공될 수 있도록 고객의 모바일 장치의 추가적인 스토어 특정 앱 다운로드는 필요하지 않다 (원하는 경우 그러한 다운로드와 호환됨).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용 전자 장치는 상품을 입력하고(ring up), 결제 정보를 수신하고, 결제 승인을 수신하기 위해 외부 서버와 통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전체 판매 거래를 완료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물품 정보 및 결제 정보를 검색하기 위해 근거리 통신(NFC) 인터페이스, 카메라 및 스캐너와 같은 입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또한 결제 정보를 수신하도록 다른 장치와의 통신 링크를 설정하기 위해 장치 식별 네트워킹 프로토콜을 사용할 수 있다. 장치 또는 보다 일반적으로 고객 모바일 장치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은 지불 금액을 계산할 수 있고 판매자의 서버로부터 재고 및 가격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또한 일 실시예에서 실제 체크아웃 레인에서 전자적으로 자동적으로 판독될 수 있는 결제의 확인으로서 기능하는 빠른 응답(QR) 코드 또는 바코드를 포함하여 품목 체크아웃 확인 및 결제 확인을 전달(relay)할 때 판매자의 서버와 통신하기 위한 실제 체크아웃 레인에 하나 이상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실제 체크아웃 레인에서의 추가 양태는 실제 체크아웃 레인을 통해 반입되는 품목의 자동 검증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서, 전술한 “배터리 불안” 및 그에 따른 영향을 받는 고객에 의한 스토어 판매의 감소를 극복할 수 있는 휴대용 충전 포인트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기술이 제공된다. 휴대용 충전 포인트 장치는 가장 넓은 범위에서 사용자의 모바일 장치를 고정하기 위한 다용도 케이스 구조체 및 모바일 장치 보유 구조체를 가지며, 사용자의 모바일 장치를 충전하기 위한 재충전 가능한 배터리 및 충전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휴대용 충전 포인트 장치의 재충전 가능한 배터리가 재충전을 필요로 할 때, 이는 전기 콘센트(power outlet), 유선 또는 무선 전자 컨택트 포인트 또는 잠금 가능 또는 도난 방지 알람 센서 가능 충전 인터페이스 또는 충전 스테이션에 도킹될 수 있다. 기기 잠금/잠금 해제, 앱 사용의 목적을 위해 및/또는 키오스크와 레지스터의 유무에 관계없이 직접 구매를 위해 결제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스캐너, 실제 신용 카드 처리 인터페이스 또는 표시된 가상 결제 인터페이스)와 결합된 경우 선택적인 전자 디스플레이가 부착된다. 추가 증강에 의해, 충전 인터페이스는 가변 속도(느린, 빠른) 충전 옵션뿐만 아니라 바이오 센서 및 향균성 특징과 같은 부가 기능을 위한 회로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는 장치의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충전하고 그리고/또는 장치가 사용자에게 보유될 때 사용자의 모바일 장치를 직접 충전하기 위해 휴대용 충전 포인트 장치가 배치되는 수반 쇼핑 카트(accompanying shopping cart)의 움직임을 이용하는 선택적인 “그린 충전” 옵션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예시적인 방식으로 개시된 실시예의 특정 양태는 독자에게 본 명세서에 개시 및/또는 청구된 발명이 취할 수 있는 특정 형태의 간략한 요약을 제공하기 위해 제시되며, 이러한 양태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및/또는 청구된 임의의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실제로, 본 명세서에 개시 및/또는 청구된 임의의 발명은 아래에 설명되지 않을 수 있는 다양한 양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언급된 특징의 다양한 개선 및 추가 특징이 또한 포함될 수 있고 개별적으로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존재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이들 및 다른 특징, 양태 및 장점은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문자가 유사한 부분을 나타내는 첨부된 비제한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읽을 때 더 잘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셀프 체크아웃 시스템의 전자 장치(“모바일 결제를 위한 IoT 박스”) 중심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예시적인 모바일 결제를 위한 IoT 박스를 수신하고 마찰식으로 보유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선택적인 크래들(cradle)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을 도시한다.
도 3은 고객이 사용하지 않을 때 모바일 결제를 위한 IoT 박스를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선택적인 충전 스테이션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을 도시한다.
도 4는 모바일 결제를 위한 IoT 박스 내의 전자 아키텍쳐의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5는 스토어의 IoT 환경 내에서 통신할 때 모바일 결제를 위한 IoT 박스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선택적인 BLE 비콘의 예를 도시하는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6a 및 도 6b는 자동 전자 방식으로 레인을 통해 수행된 결제 및 품목 모두를 검증할 수 있는 체크아웃 레인을 제공함으로써 예시적인 모바일 결제를 위한 IoT 박스를 보강할 수 있는 선택적인 셀프 체크아웃 스테이션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을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체 셀프 체크아웃 절차에서 초기 중앙 단계의 개략도(diagrammatic representation)를 도시하며, 여기서 사용자는 결제 시스템을 사용할 때 자신의 모바일 장치에 스토어 앱을 다운로드 할 필요가 없다.
도 8a, 8b, 8c 및 8d는 어느 것이 페어링 프로세스를 개시했는지에 따라, 사용자와 IoT 박스 장치 (또는 하나의 추가 실시예에서 휴대용 충전 포인트 장치로 지칭됨) 사이의 페어링을 위한 일반적인 흐름 프로세스를 도시한다.
도 9a, 9b 및 9c는 예시적인 충전기, 충전 스테이션 및 일 유형의 상황 사용에서 사용자 모바일 장치와의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모바일 장치 인스토어 충전 시스템의 예시적인 도면을 도시한다.
도면에서, 개별 블록 또는 엔티티를 상호 연결하는 선/화살표는 일반적으로 물리적 및/또는 논리적 결합일 수 있고, 한편으로는 이는 일반적으로 구현에 무관하며(예를 들어 유선 또는 무선), 다른 한편으로는 도시되지 않은 임의의 수의 중간 기능 블록 또는 엔티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비 제한적인 예 및 현재 본 발명의 구현 가능한 실시예인 것으로 간주되는 것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이들 예에 제한되지 않으며, 보다 광범위하게 적용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 및 구현예 및 그 양태가 몇몇 변형 및/또는 대안을 사용하여 설명된다. 특정 요구 및 제약에 따라, 설명된 모든 변형 및/또는 대안은 단독으로 또는 임의의 구현 가능한 조합 (또는 다양한 변형 및/또는 대안의 개별 특징의 조합을 포함함)으로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이 일반적으로 주목된다. 이 설명에서 “포함하는(comprising)” 및 “포함하는(including)”이라는 용어는 설명된 예시적인 실시예 및 구현예가 언급된 특징만으로 구성되도록 제한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 및 구현예는 또한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특징, 구조, 유닛,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일반적인 용어로, 비현금 및 비카드 결제를 이용하는 셀프 체크아웃에서와 같이 모바일 결제를 이용하는 셀프 체크아웃을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된다. 이러한 지불 거래는 소매점에서 POS에서 품목을 구매하기 위해 현금 및/또는 직불 카드, 신용 카드 등을 요구하지 않지만, 이러한 결제방식에 대해서도 대안적으로 또한 제공된다. 일반적인 전자 결제 거래는 Google Pay®, AliPay®, ApplePay® 등과 같은 모바일 결제 시스템에 의해 처리될 수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본 발명은 모바일 결제를 이용하여 실제 셀프 체크아웃을 가능하게 하며 이로써 고객은 사용 중인 모바일 장치 상에 스토어 앱을 다운로드할 필요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구매 및/또는 체크아웃 과정에서 추가 작업을 수행할 필요가 없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체 셀프 체크아웃 시스템의 중심인 IoT 박스(100)의 일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는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은 스캐너(102), 디스플레이(104), 선택적인 무선(유도) 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유선 충전부(108)를 갖는 선택적인 모바일 폰/장치 도킹 스테이션(106), 선택적인 NFC 모듈(110), 선택적인 스피커(112), 선택적인 GPS(114) 및 선택적인 충전 핀(116)을 포함하는 박스형(또는 다른 형상)일 수 있는 가장 단순한 레벨의 다목적 여닫이(casement) 구조체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여닫이의 구조는 다목적이며, 이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이해되는 바와 같이 다양한 실제 형태로 존재할 수 있으며, 이는 일 실시예에서 재충전 가능 배터리, 충전 및/또는 재충전 인터페이스, 임의의 통신 모듈 및/또는 전자 디스플레이 및 모바일 장치 도킹 스테이션 또는 보유 구조와 같은 원하는 기본 구성요소(elemental component)를 유지하기에 충분히 큰 다양한 형상의 구조를 수반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전자 장치는 또한 무선 네트워크, 개인 영역 네트워크, 근거리 통신 채널 등을 통해 판매자의 서버와 통신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는 스마트 선택 방법을 사용하여 데이터 전송 속도, 보안 특징 및 다른 사용자 선호도에 기초하여 가장 적합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또한 제품 위치 정보, 제품 정보 및 판매자 보상 프로그램과 같은 다양한 개인화 및 위치 기반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쇼핑 카트 등에서 IoT 박스(100)를 수용하고 마찰식으로 또는 다른 방식으로 유지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IoT 박스 크래들(150)의 하나의 예시적인 예를 도시하는 개략도를 도시한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그 정확한 형태는 광범위하게 변할 수 있으며, 고객이 일반적으로 사용 전후에 장치를 스토어에 보관하는 도 3에 도시된 랙 또는 충전 스테이션(190)으로부터 장치를 가져와서 장치를 사용하기로 결정하면 IoT 박스(100)의 쉬운 배치 및 보유를 위한 선택적인 양태이다.
도 4는 모바일 결제를 위한 IoT 박스 내의 전자 아키텍쳐의 예를 도시하는 개략도를 도시하며, 여기서 장치(100)의 작동은 중앙 처리 장치(CPU, 450) 및 운영 체제, 프로그램, 디스플레이(104) 및 장치(100)의 임의의 다른 기능을 실행하는데 필요한 처리 능력을 제공하는 제어 회로(미도시)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CPU(450)는 단일 프로세서를 포함하거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PU(450)는 "범용(general purpose)"마이크로 프로세서, 범용 및 특수 목적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조합, 명령 세트 프로세서, 그래픽 프로세서, 비디오 프로세서 및/또는 관련 칩 세트를 포함하지만, 일 실시예에서 특수 목적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제공한다. 제어 회로는 장치(100)의 구성요소 사이에서 데이터 및 명령을 전송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데이터 버스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회로는 또한 캐싱 목적으로 온보드 메모리(on board memory)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저장부는 이미지로부터 텍스트 또는 인코딩된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이미지 처리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 처리 프로그램은 신용 카드의 사진으로부터 신용 카드 정보를 추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이미지 처리 프로그램은 물품의 사진을 사용하여 저장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물품을 식별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장기 저장부는 판독 전용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하드 드라이브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광학, 자기 또는 고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뿐만 아니라 이들의 조합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통신 모듈(인터페이스)은 정보를 수신 및 전달하기 위한 연결 채널을 제공할 수 있다. 이 모듈은 유선 및 무선(Bluetooth®, BLE, NFC 등)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모달리티(modality), NFC의 경우, IoT 박스(100)를 고객 모바일 장치와 페어링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104) 상에 개별 스토어 앱을 자동으로 런칭하기 위한 그리고 다른 통신 요구를 위한 프롬프트로 사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은 IoT 박스(100)의 근거리 통신(NFC) 모듈을 통해 발생할 수 있다. NFC 모듈은 근거리 통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모바일 장치 등과 같은 주변 장치의 NFC 인터페이스와 함께 동작할 수 있다. NFC 모듈은 별도의 구성요소로서 존재할 수 있거나, 다른 칩셋에 통합될 수 있거나 예를 들어 SoC(시스템 온 칩)의 일부로서 NFC 장치와 통합될 수 있다. NFC 인터페이스는 다른 NFC 가능한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 인터페이스 및 프로토콜(NFCIP-1)과 같은 하나 이상의 프로토콜을 포함할 수 있다. 포로토콜은 통신 속도를 적응시키고 연결된 장치 중 하나를 근거리 통신을 제어하는 개시 장치로 지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하드웨어 세부 사항에서 중요한 특징은 자동화된 쇼핑 앱 런칭 모듈이 고객의 모바일 장치와 인터페이싱할 수 있는 주어진 스토어 앱을 자동으로 개시하고 (IoT 박스(100)의 전자 디스플레이(104) 상에서)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CPU(450) 및 상기 통신 모듈에 연결되며 IoT 박스(100) 내에서 위치되는 특수 목적 회로이다. 이 특수 목적 회로는 상술한 통신 모듈을 통해 스토어 서버 등으로부터 업데이트된 앱 정보를 가져오는 경로를 촉구하는 고객의 모바일 장치 및 IoT 박스(100)의 페어링에 의해 생성된 특수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이는 고객의 모바일 장치와 통신하는 것과 결합할 때 고객의 모바일 장치 상에 주어진 앱을 다운로드하는 요구를 제거함으로써 "스토어 앱 다운로드" 없는 셀프 체크아웃을 가능하게 하는 자동 앱 런칭을 가능하게 한다.
입/출력(I/O) 컨트롤러(미도시)는 제어 회로와 디스플레이(104), 스캐너(102)등과 같은 입/출력 장치 사이에서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한 인프라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I/O 컨트롤러는 하나 이상의 집적 회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어 회로 내에 통합되거나 개별 구성요소로서 존재할 수 있다. I/O 컨트롤러는 I/O 포트(미도시)를 통해 외부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인프라구조를 제공할 수 있고 장치(100)를 외부 컴퓨터 등에 연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IoT 박스(100)는 사용자가 제어 가능하거나 인클로저에 고정될 수 있는 리튬 이온 배터리와 같은 전원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포고 핀의 독점적 연결(또는 대안적으로, USB 또는 다른 유선 케이블 및 유도 충전 방법)은 배터리를 재충전하기 위해 충전 스테이션(190)에서 전원에 장치(100)를 연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5는 스토어의 IoT 환경 내에서 통신할 때 모바일 결제를 위한 IoT 박스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특수 목적 BLE 칩 및 수반 안테나를 갖는 선택적인 BLE 비콘의 예를 도시하는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6a 및 6b는 자동 전자 방식으로 레인을 통해 수행되는 결제 및 품목 모두를 검증할 수 있는 체크아웃 레인을 제공함으로써 모바일 결제를 위한 예시적인 IoT 박스를 보강할 수 있는 고정식 및 이동식 셀프 체크아웃 스테이션의 예를 각각 도시한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이템 인식을 위해 공지된 머신 러닝 기술을 갖는 복수의 방향 분산 카메라와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RFID 리더는 레인을 통해 이동하는 아이템 유효성 검사를 제공한다. 유사하게, 이들 카메라는 결제 검증을 판독하는데 사용되며, 일 실시예에서 이는 디스플레이(104)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QR, 바코드 또는 숫자 코드일 수 있다. 이는 품목을 제거할 필요성 또는 공지된 시스템에서 요구되는 바와 같은 결제 인터페이싱을 위해 사용자 휴대 전화를 키오스크 NFC 등의 바로 옆에 위치시킬 필요성을 없애는 자동 전자 결제 및 품목 검증을 제공한다. 고객과 그가 픽업할 수 있는 제품을 추적하기 위해 카메라(종종 머신 러닝 또는 AI 기술과 결합하여)를 사용하는 시스템(그리고 허용할 수 없는 높은 오류율과 이와 관련된 잘못된 가격/수량 평가가 있음)과 달리, 일 실시예에서, 이 카메라에 대한 접근은 최종 구매 품목 및 수량인 것으로 알려진 것을 확인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마찬가지로, 도 6b는 상기 특징을 포함하지만, 도 6a에서 상술된 고정 구성과 비교할 때 상이한 각도의 인터페이싱 (및 카메라에 더하여 가능성 있게 더 많은 및/또는 상이한 센서의 어레이)을 제공할 수 있는 카트 레일 등을 추가로 제공한다. 어느 경우에나, 초음파 센서 등과 같은 다양한 센서는 하나의 추가 실시예에서 사용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체 셀프 체크아웃 절차에서 초기 중앙 단계의 개략도를 도시하며, 여기서 사용자는 결제 시스템을 사용할 때 그의 모바일 장치에 스토어 앱을 다운로드할 필요가 없다. IoT 박스를 스토어 앱을 런칭하는 중개 에이전트로 사용함으로써 꺼리는 사용자가 스토어 앱의 다운로드를 위한 필요성을 완전히 제거한다. 명백하게, 사용자가 앱을 다운로드하기 원한다면, 본 명세서에 공개된 시스템은 이를 인식하고 여전히 설명된 바와 같은 구매의 실행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에는 적어도 4 개의 변형이 존재한다: (i) 쇼핑객이 자신의 개인 모바일 장치를 전화/장치 도킹 스테이션(106)에 놓고 NFC 태그를 판독하여 디스플레이(104)에서 스토어 앱을 런칭시키는 프로세스(705); (ii) 쇼핑객이 IoT 박스(100)의 QR 코드를 판독한 다음 디스플레이(104)에서 스토어 앱을 여는 프로세스(710); (iii) IoT 박스(100)가 스토어 BLE 비콘을 들은 다음 디스플레이(104)에 스토어 앱을 런칭시키는 프로세스(715); 및/또는 (iv) 쇼핑객이 충전 케이블(108)을 플러그하여(이는 또한 두 장치 사이의 통신 도관으로서 두 배로 될 수 있음), 이에 의해 디스플레이(104)에 스토어 앱을 런칭하는 프로세스(720).
그러나, 사용자가 그의 모바일 장치에 스토어 앱을 다운로드할 필요가 없게 되기 전에, 먼저 예시적으로 블루투스 또는 BLE를 통해 모바일 장치와 IoT 박스 쌍을 서로 페어링할 필요가 있다. IoT 박스에서 페어링을 개시하거나 사용자가 페어링을 개시할 수 있는 페어링을 수행하는 두 가지 방법이 있다. IoT 박스(100)의 통신 모듈이 사용자 모바일 장치와의 페어링 프로세스를 완료할 때 통신 모듈이 페어링 완료 신호를 수신하면 사용자 모바일 장치의 고유한 식별을 나타내는 코드를 생성하기 위한 코드 생성기(미도시)가 발생한다. 코드 및/또는 페어링 완료 신호를 수신하면 자동 쇼핑 앱 런칭 모듈은 주어진 스토어 앱의 런칭 및 디스플레이를 자동으로 시작한다. 어느쪽이든, IoT 박스(100)는 IoT 박스(100) 내에서 이 단계가 자동화되고 사용자 참여를 요구하지 않도록(사용자 모바일 장치가 IoT 박스(100)에 의한 페어링 제안을 수락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 이외에) 주어지는 프라이버시를 제공하면서 사용 편의성이 추가 이점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페어링을 위한 장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코드(예시적으로 임의의 숫자)를 생성한다. 각각의 경우에 그리고 도 8a 및 8b를 참조하여, 예시적인 페어링 단계는 다음을 포함할 수 있다:
방법 1 - IoT 박스 장치(100)는 (1) IoT 박스(100)는 랜덤하게 생성된 수를 갖는 QR 코드를 디스플레이(104) 상에 디스플레이하고; (2) 사용자는 스마트폰 카메라를 통해 IoT 박스(100)의 디스플레이(104) 상의 QR 코드를 판독하고; (3) 고객 스마트 폰은 난수(random number)로 알리기(advertising) 시작하고; (4) IoT 박스(100)는 난수와의 페어링을 요청하고; (5) 고객 스마트 폰은 KOAMTAC IoT 박스로부터의 페어링 요청을 수락하고 둘 다 서로 연결할 준비가 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페어링을 개시한다.
또는
방법 2 - 사용자 스마트폰은 (1) 사용자가 스토어로부터 자동 페어링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고; (2) 사용자는 난수를 갖는 QR 코드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애플리케이션을 런칭하고; (3) 사용자는 IoT 박스(100)와 전기 통신하는 바코드 스캐너(102)를 통해 이 QR 코드를 판독하고; (4) 고객 스마트폰은 난수와의 페어링을 요청하고; (5) IoT 박스(100)는 사용자 스마트 폰으로부터의 페어링 요청을 수락하고 둘 다 서로 연결할 준비가 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페어링을 개시한다.
따라서, 전반적인 서비스 흐름은 다음과 같다: (1) 사용자는 스토어를 방문하고; (2) 사용자는 IoT 박스(100)를 가져와 바람직하게는 IoT 박스(100)를 카트에 유지하기 위해 잠금 메커니즘을 갖는 크래들(cradle, 150)을 이용하는 쇼핑 카트에 넣고; (3) 사용자는 전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여 또는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a) IoT 박스(100) 상에 위치된 케이블을 모바일 장치에 플러깅하는 것과 같은 물리적 연결 또는 (b) 블루투스를 가능하게 하거나, IoT 박스(100) 상에 바코드를 스캐닝하거나 또는 IoT 박스(100) 상에 NFC 태그를 판독함으로써 무선 연결을 통해 IoT 박스로 스마트폰을 페어링하며; (4) 사용자는 쇼핑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거나 또는 핀 패드, 지문 인식 및 물리적 잠금과 같은 전통적인 잠금 방법을 통해 쇼핑 카트 크래들의 IoT 박스에 모바일 장치를 선택적으로 잠글 수 있으며; (5) 사용자 또는 대안적으로 IoT 박스(100)는 (a) iPhone(MFI®) 프로토콜을 위해 만들어진 Apple®은 8핀 라이트닝 커넥터(lightning connector)와 같은 Apple 커넥터에 플러그인될 때 런칭함; (b) IoT 박스 상의 NFC 태그는 스토어 쇼핑 웹사이트를 자동으로 런칭함; (c) 스토어 WiFi 연결은 스토어 쇼핑 웹사이트를 자동으로 런칭함; (d) 스토어 쇼핑 사이트 URL 바코드를 스캐닝하여 스토어 쇼핑 웹사이트를 자동으로 런칭함; (e) 쇼핑 웹사이트를 런칭할 수 있는 Android Eddysstone®과 같은 BLE 비콘과의 연결을 통하는 것;과 같은 기술을 통해 쇼핑 애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런칭하며; (6) 사용자는 결제/셀프 체크아웃 단계를 준비하기 위해 모바일 폰(또는 대안적으로 스캐너(102))으로 제품 바코드를 스캔함으로써 구매 단계를 시작하며, 일 실시예에서 쇼핑 보조 특징이라고 불리는 다양한 쇼핑 보조 서비스는 맞춤형 제품 정보, 개인 할인 쿠폰, 스토어 내비게이션 맵 및 사용자 위치 등과 같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BLE 비콘 기술과 통합될 수 있으며; (7) 지불 및 셀프 체크아웃 단계: 이전 단계에서 스캐닝된 모든 품목을 계산하고 지불 처리하며(등록된 신용 카드를 사용하여 쇼핑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지불을 하거나, Alipay(전자 결제 시스템 기반 비신용카드) 등과 같이 지불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지불하거나 또는 IoT 박스(100)가 선택적인 신용 카드 지불 유닛을 구비하는 경우 신용 카드 또는 Apple Pay, Google Pay, Samsung Pay 등과 같은 전자 결제 툴 기반 기타 신용 카드를 사용하여 지불함); 결제 바코드는 IoT 박스(100) 디스플레이(104) 상에 디스플레이되며; IoT 박스(100)는 셀프 체크아웃 부스를 검출하거나 카메라 등과 같은 셀프 체크아웃 부스 센서 또는 RFID 리더는 IoT 박스를 검출하고 스토어 서버에 쇼핑 리스트를 전송하며; 바람직하게는 카메라 및/또는 RFID 기술이 구비된 셀프 체크아웃 부스는 쇼핑 카트에서 쇼핑된 아이템을 검증하고, 마지막으로 사용자는 셀프 체크아웃 부스를 빠져나가고 IoT 박스(100)를 충전 스테이션(190)으로 반환하고 쇼핑을 마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IoT 박스(100)를 사용하여 판매 거래를 수행할 때 일반적으로 품목 가격은 품목에 위치된 바코드 또는 초고주파수(UHF) 태그 상에 인코딩된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 IoT 박스(100)는 수신된 식별 정보를 사용하여 가격 정보를 질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IoT 박스(100)는 SKU 번호(SKU number)를 서버와 같은 외부 장치로 전송하여 해당 SKU 번호와 관련된 가격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수신된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IoT 박스(100)는 사용자의 모바일 장치로 전송되거나 사용자 모바일 장치가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보유될 수 있는 결제 금액 또는 지불 금액을 결정할 수 있다. IoT 박스(100)는 또한 스토어 서버(미도시)를 통한 통신을 통해 결제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결제 정보는 품목(들)에 대한 결제를 처리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제 정보는 IoT 신용 카드 유닛에 의해 또는 사용된 전자 결제 시스템(Google Pay®, Ali Pay®, ApplePay® 등) 에 의해 생성된 결제 코드(QR 등)를 등록시킴으로써 스와이프되거나 삽입된(칩 판독) 신용 카드 정보(가능한 경우, 본 시스템과 관련하여 키오스크에서 별도로 제공될 수 있음)를 포함할 수 있다. 인증 코드 또는 메시지를 수신하면, IoT 박스(100)는 결제가 처리되었음을 판매자에게 경고하는(일 실시예에서 체크아웃 출구 레인에서 고정된 카메라 등에 의해 자동으로 스캔됨) 디스플레이(104) 상의 알림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특정 상황에서, 물품은 스캐닝을 통해 적절하게 입력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UHF 태그 또는 바코드가 손상되어 판독할 수 없다. 이러한 상황에서, 그래픽 요소는 물품 식별 정보를 수동으로 입력하기 위한 키패드를 표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숫자와 문자를 나타내는 키 또는 버튼이 물품의 식별 정보를 입력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바코드 또는 UHF 태그 상에 디스플레이된 정보는 가상 키패드를 통해 입력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특히 사용자가 모바일 폰을 갖지 않는 경우 키패드는 물품의 이름 또는 모델 번호를 입력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임의의 경우에,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태그가 완전히 정확하지 않기 때문에, 일 실시예에서 RFID 검증은 상기 언급된 바코드 스캔과 관련하여 사용되고, 정확도 목적을 위해 추가 센서로 추가로 보강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된다.
부가적으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언급된 쇼핑 보조의 일부로서 IoT 박스(100)는 페어링 후 쇼핑객의 근접성을 측정하기 위한 IoT의 신호 강도를 결정할 때 (백엔드 스토어 서버와 함께) 스토어 IoT 시스템(미도시)의 임의의 BLE 비콘이 사용할 수 있는 고정된 장치 번호를 사용할 수 있다. 이 번호는 상점에서 고객의 존재를 표시하고 캐셔 시스템에 의해 요청되는 거래에 사용자를 할당하고 제품 위치 찾기 서비스를 위한 식별자로서 사용자 토큰으로 또는 Microsoft Kinect®과 같은 사용자 이동 장치와 함께 모바일 페어링으로 사용될 수 있다. IoT 박스(100) 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BLE 비콘은 방송 위치 정보를 유지하여 비콘 등을 저장하고, 각각의 고객의 위치를 스토어 서버에 제공한다. 스토어 서버는 위에서 언급한 맞춤화된 쇼핑 보조 정보를 고객의 모바일 장치 또는 대안적으로 IoT 박스(100) 디스플레이(104)에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Apple iBeacon® 및 Google EddyStone®과 같은 다양한 비콘 표준이 고객의 위치의 정확성을 강화하는 RSSI 정보와 함께 BLE AoA(Angle of Arrival) 및 AoD(Angle of Departure)로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모바일 장치가 예를 들어 캐셔 시스템의 미리 정의된 근접 영역, 즉 그 근접 빔의 내부 림(rim)에 도달할 때 검출 센서는 사용자의 쇼핑 품목에 부착된 RFID 태그와 같은 제품 식별 태그를 스캔할 수 있으며, 스토어 서버 장치는 진행중인 쇼핑 거래에 대한 결제를 확인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스캐닝된 쇼핑 품목은 모바일 결제 서비스, 즉 모바일 결제 서비스 내의 사용자/고객 및 상점의 각각의 계정에 의해 결제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고객은 결제 프로세스 직후 또는 특히 서버와의 무선 연결이 부족한 경우 서버에 무선 연결이 재개된 후 나중에(at a later time), 예를 들어 상점의 빌딩을 떠난 후에 쇼핑 거래에 대한 영수증을 수신할 수 있다. 캐셔 시스템은 사용자/고객이 결제 프로세스 후에 상점을 떠날 수 있도록 레인을 차단 해제하기 위해 물리적 게이트웨이/게이트를 열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IoT 박스(100)에 의해 암호화가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시스템의 임의의 엔티티 사이의 임의의 데이터 전송은 암호화를 사용하거나 사용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암호화는 AED(Advanced Encryption Standard)와 같은 일반적인 암호화 표준 및 Microsoft PPTP와 같은 점대점(point to point) 터널링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적용될 수 있다.
도 8a 내지 8d는 전체적인 본 발명의 시스템 컨셉 내에서 추가 실시예에 대한 예시적인 사용자 사용 흐름을 상세히 도시한다. 도 8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고레벨에서, 하나의 사용자 개시 프로세스는 사용자가 스토어 또는 다른 상업 시설(802)로 들어갔을 때 시작되고, 선택적으로 충전기 수용 부착부로 쇼핑 카트를 입수하기 위해 진행하고, 충전기 벽(806)으로 진행하고, 여기서 사용자는 전기 콘센트, 무선 충전 및/또는 유선 전자 접점과 같은 인터페이스를 통해 휴대용 충전 포인트 장치(902)를 충전하는 충전 스테이션의 재충전 리셉터클(904)로부터 휴대용 충전 포인트 장치(902)를 잠금 해제함으로써 휴대용 충전 포인트 장치(902)(또는 대안적으로 상술한 실시예에서 IoT 박스(100))를 사용할 수 있다. 임의의 판촉(810)이 런칭되고, 그 후에 품목은 체크아웃(814)을 위해 스캐닝된다(812). 프로세스는 고객이 스토어를 떠나기(818) 전에 휴대용 충전 포인트 장치(902)를 잠금(816)으로써 완료된다. 도난 방지 근접 센서는 휴대용 충전 포인트 장치(902)가 실수로 또는 의도적으로 스토어 내에서 제거되지 않도록 사용될 수 있다. (도 8b의 820에서 결정된 바와 같이) 이미 스토어 앱을 소유한 고객에 대해 상술한 바와 같은 유사한 프로세스가 단계(822-828)에서 알 수 있으며, 기존의 앱 사용자가 바코드를 스캔하기 위해(842), 휴대용 충전 포인트 장치(902)의 잠금을 해제하기 위한(844) 후속적으로 처리되는 도 8c의 프로세스 및 및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852에서 충전 개시를 위한 프로세스를 따르면서 구현될 수 있다.
추가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휴대용 충전 포인트 장치(902)의 모바일 폰 도킹 스테이션(106) 또는 사용자 모바일 장치 재충전 인터페이스(914)는 가변 속도 충전 옵션을 위한 회로(미도시)를 포함하며, 이는 사용자 식별 또는 동작에 따른 적어도 2 개 이상의 빠른 충전 vs 느린 충전 설정을 허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VIP 사용자 또는 아마도 모바일에서 선호하는 AP의 다운로드를 선택한 사용자를 결정하여 식별되면 더 느린 충전 옵션 대신 빠른 충전 옵션 중 하나를 사용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소유자가 지정한 충전 옵션을 허용하는 능력은 이러한 원하는 선호도에 따라 서비스 로직에 의해 구동되며, 내부 회로는 이를 수행하기 위해 코드로 사전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효과적으로, 논리 게이트는 2 개(또는 그 이상)의 더 빠른 또는 더 느린 충전 경로 중 하나를 통해 세션 사용 흐름을 전환한다. 더 빠른 vs 더 느린 충전 옵션을 제공하는데 사용되는 회로의 구조는 예시적인 USB 유선 충전 실시예에서 다음과 같이 예시적으로 설명된다: (1) 더 느린 충전 옵션 - 2.5 와트(W)에서 5 볼트(V)를 사용하여 0.5 앰프(A)의 전류만을 보내는 기본 USB 사양을 사용한다; (2) 더 빠른 충전 옵션 - Qualcomm, Inc. Quick Charge, Huawei, Inc. Super Charge, Oppo, Inc. VOOC, Motorola, Inc. Turbo Power, OnePlus Inc. Warp Charge 등과 같은 유사한 방식의 구현에 따라 변할 수 있지만 7.5+ W 또는 심지어 15+ W에서 작동하는 USB Power Delivery 옵션을 사용한다. 상기 예시적인 가변 속도 충전 프레임워크 내에서, 다른 유선 및 무선(유도) 충전 방식이 명시적으로 고려되고,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전체 신규 시스템 내에 쉽게 배치될 수 있다.
도 9a-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적인 휴대용 충전 포인트 장치(902)는 다른 실시예에서 설명되거나 여기에 예시된 바와 같이 충전 인터페이스(904)(도 9a에 휴대용 충전 포인트 장치(902)를 호스팅 또는 도킹할 수 있는 충전 스테이션으로 도시됨)를 통해 다양한 방식으로 충전될 수 있다. 휴대용 충전 포인트 장치(902)는 스크린(910), 사용자 모바일 장치(920)를 보유 또는 유지하기 위한 모바일 장치 보유 구조체(912), 다목적 여닫이 구조체 내에 고정 또는 포함된 재충전 가능한 배터리(미도시) 및 무선(유도) 또는 유선일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두 장치 사이의 통신 도관으로서 두 배가 될 수 있는 사용자 모바일 장치 재충전 인터페이스(91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제 인터페이스(932)에 대한 추가 제공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는 실제 신용 카드 처리 인터페이스(본 명세서에 예시적인 신용 카드(934)로 도시됨) 및/또는 전자 디스플레이(910) 또는 사용자 모바일 장치(920)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가상 결제 인터페이스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여닫이 구조체의 "다목적" 양태는 본 명세서의 다른 곳에서 논의되었지만, 특정 실시예의 하나의 추가 특징은 사람 손의 다양한 형상(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음)의 사람 손에 의해 잡힐 수 있으며, 동시에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유의 스토어 내 바스켓 또는 카트(930)와 같은 기계적 구조체 상에 쉽게 스냅될 수 있도록 빠른 부착 "스냅 온" 유형 특징을 갖는 전체 치수를 갖는 긴 프로파일을 가짐으로써 여닫이를 진정으로 휴대 가능하게 만드는 능력이다. 현대적인 쇼핑객이 매력적으로 느낄 수 있는 고유의 특징을 위해 "다목적"신규성 내에서 추가적인 옵션 제공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목적 여닫이 구조체에 부착되거나 통합된 다양한 유형의 바이오 센서가 제공되어 쇼핑객이 쇼핑하는 동안 건강 모니터링에 편리하게 액세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바이오 센서는 이미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하지만 휴대용 충전 포인트 장치(902)에 사용하기에 적합할 수 있는 피트니스 모니터, 포도당 및 산소 모니터링, 온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많은 현대의 쇼핑객은 박테리아가 함유된 스토어 표면(예를 들어, 스토어에서 제공하는 박테라이 방지 와이프를 사용하여 종종 소독되는 쇼핑 카트 핸들)에 대해 우려하기 때문에 다목적 여닫이를 형성하는 플라스틱을 공지된 것과 같은 이온 또는 다른 보조제(adjunct)로의 함침과 같이 미생물 성장을 억제하는 박테리아 방지 특성으로 함침시키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하나의 추가 실시예는 휴대용 충전 포인트 장치(902)의 재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 및/또는 이 것을 잡고 있을 때 사용자 모바일 장치(920)를 직접 충전하기 위해 배치된 휴대용 충전 포인트 장치(902)가 동반 쇼핑 카트(930)의 움직임을 이용하는 선택적인 "그린 충전" 시스템을 제공한다. 가장 넓은 레벨에서, "그린 충전" 기능은 쇼핑 카트(930)의 휠(미도시)의 모션을 이용하여 쇼핑객에 의해 밀려져서 휴대용 충전 포인트 장치(902) 및/또는 사용자 모바일 장치(920)의 재충전 가능한 배터리에 카트 충전 와이어(미도시)를 통해 전달될 수 있는 전기를 생성 및 수확한다. 에너지 절약 및 "에코" 장치에 관심이 있는 쇼핑객은 주어진 스토어에 의해 제공되는 이 선택적 실시예를 이용하는데 관심이 있을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는 휴대용 충전 포인트 장치(902)에게 바이패스 또는 대안적으로 재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증분시키도록 지시하는 기계적 스위치(미도시) 또는 "가상 스위치" 앱을 통해 이 옵션을 선택하여 그린 충전으로 생성된 전기는 본 발명의 재충전 설정으로 전달될 수 있다.
추가의 구조적 설명에 의해, 그린 충전 시스템은 전기적으로 연결된 휴대용 충전 포인트 장치(902)이며, 압전 기반, 자기장 기반 또는 다른 유형의 전기 생성 장치를 이용하여 쇼핑 카트(930)의 휠의 회전 운동을 통해 전기를 물리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설명을 위해 Cho에 의해 200년 1월 18일에 제출된 "자전거를 위한 전기 생성 시스템"이라는 제목의 미국 특허 제 6,016,022호 및 Ohkura에 의해 1999년 12월 14일에 제출된 "자전거 전기 생성기 및 자전거에 전기 생성기를 부착시키는 방법"이라는 제목의 미국 특허 제 6,002,187호는 휠 회전에 의해 생성된 전기를 상세하게 수집한다. 본 발명이 이들 공보에 의해 기술된 임의의 기술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이들 특허 모두는 그 전체가 참고로서 본 명세서에 명백하게 포함된다.
개시된 주제의 그래픽적으로 도시된 실시예를 포함하는 실시예의 전술한 설명은 단지 예시 및 설명의 목적으로 제시되었으며, 주제를 개시된 정확한 형태로 철저하게 하거나 제한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이 주제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수의 수정, 개조 및 사용이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예시적인 예는 본 명세서에서 논의된 일반적인 주제를 독자에게 소개하기 위해 제공되며 개시된 개념의 범위를 제한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Claims (19)

  1. 구매 장치의 휴대용 포인트로서,
    (a) 다목적 여닫이 구조체;
    (b) 상기 다목적 여닫이 구조체에 부착된 스캐너;
    (c) 전자 디스플레이;
    (d) 통신 모듈로서, 상기 통신 모듈은:
    (i) 주변 NFC 가능 물품으로의 연결을 감지하고 하나 이상의 NFC 태그된 물품으로부터 식별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근거리 통신(NFC) 장치;
    (ii) 주변 저전력 블루투스(BLE) 비콘으로의 연결을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BLE 인터페이스;
    (iii) WiFi, 블루투스 또는 휴대 전화 연결(cellular connection)을 통해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연결 모듈; 및
    (iv) 유선 연결; 중 적어도 하나를 가지는, 통신 모듈;
    (e) 상기 통신 모듈이 사용자 모바일 장치로 페어링 프로세스를 완료했을 때 상기 통신 모듈로부터 페어링 완료 신호를 수신할 시 사용자 모바일 장치를 위한 코드를 생성하기 위한 코드 생성기; 및
    (f) 상기 코드의 수신 시 자동으로 개시하고 그 후에 상기 전자 디스플레이 상에 주어진 스토어 앱을 디스플레이 하며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사용자 모바일 장치와 인터페이싱 하기 위한 자동 쇼핑 앱 런칭 모듈;을 포함하는,
    구매 장치의 휴대용 포인트.
  2. 제1항에 있어서,
    (g) 상기 스캐너, 상기 전자 디스플레이 및 상기 통신 모듈과 전기 연결되는 프로세서로서, 상기 프로세서는:
    (i) 원격 위치 및 연결된 모바일 장치에서 외부 서버로부터 그리고 외부 서버로 제품 식별 및 결제 정보를 전송하고 수신하며; 그리고
    (ii) 주어진 시장에 대한 전자 상거래 정보를 검색하여 이를 하나의 상기 전자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
    (h) 상기 통신 모듈과 연결되는 결제 모듈로서, 상기 결제 모듈은:
    (i) 상기 제품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외부 장치로 거래 정보를 전송하고 수신하며;
    (ii) 상기 거래 정보에 기초하여 거래 승인을 수신하며; 그리고
    (iii)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상기 거래 승인을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되는, 결제 모듈;을 더 포함하는,
    구매 장치의 휴대용 포인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치는 수동 결제 키오스크, 사용자 모바일 폰 또는 서버를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구매 장치의 휴대용 포인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여닫이 구조체는 모바일 폰 홀더; 무선 충전 스테이션; 및 유선 충전 스테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모바일 폰 도킹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구매 장치의 휴대용 포인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은 쇼핑객 위치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쇼핑객 위치 모듈은 비콘 삼각 측량 실행(Beacon triangulation effectuation), Wifi 삼각 측량 위치 실행(Wifi triangulation location effectuation), 도달 각도(AoA) 및 출발 각도(AoD) 정보 기반 위치 결정을 포함하는 비콘 RSSI 신호, 및 GPS(Global Positioning Satellite) 삼각 측량 위치 실행(GPS triangulation location effectuation)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회로를 포함하는,
    구매 장치의 휴대용 포인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셀프 체크아웃 시스템과 전기 통신하며, 상기 셀프 체크아웃 시스템은:
    (a) 카트 및 결제 검증 스테이션;
    (b) 상기 카트 및 결제 시스템과 전기 통신하는 근접 시스템으로서, 상기 근접 시스템은:
    (i) 상기 장치의 근처에서 모바일 결제 서비스의 사용자의 모바일 장치와 전기 연결되고, 상호 근접성의 검출 시에 상기 모바일 장치와 통신하며 ― 상기 모바일 장치의 사용자는 고객임 ―;
    (ii) 카트 및 결제 검증 스테이션에 근접할 때 상기 고객의 쇼핑 품목을 전기 인식하고, 쇼핑 바스켓 컨텐츠 및 인식된 쇼핑 품목의 총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쇼핑 정보를 생성하며; 그리고
    (iii) 상기 모바일 장치 및 상기 디스플레이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결제 정보를 검증하도록; 구성되는, 근접 시스템;을 포함하는,
    구매 장치의 휴대용 포인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폰 도킹 스테이션은 가변 속도 충전 옵션을 위한 회로를 포함하는,
    구매 장치의 휴대용 포인트.
  8. 휴대용 충전 포인트 장치로서,
    (a) 다목적 여닫이 구조체;
    (b) 상기 다목적 여닫이 구조체에 연결되는 모바일 장치 보유 구조체;
    (c) 재충전 가능한 배터리;
    (d) 사용자 모바일 장치 충전 인터페이스; 및
    (e) 상기 휴대용 충전 포인트 장치의 충전을 위한 충전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휴대용 충전 포인트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인터페이스는 충전 스테이션, 전원 콘센트 또는 유선 전자 컨택트 포인트를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휴대용 충전 포인트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도난 방지 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장치는 근접성 기반 도난 방지 알람 센서 기반 시스템, 및 잠금부를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며, 상기 잠금부는 상기 휴대용 충전 포인트 장치 또는 사용자 모바일 장치에 의해 생성된 검증된 전자 신호의 수신 시에 해제되는,
    휴대용 충전 포인트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다목적 여닫이 구조체에 부착되는 전자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충전 포인트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재충전 인터페이스는 전자 컨택트 인터페이스 및 유도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선택되는,
    휴대용 충전 포인트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다목적 여닫이 구조체에 부착되는 결제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충전 포인트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인터페이스는 실제 신용 카드 처리 인터페이스 또는 상기 전자 디스플레이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가상 결제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휴대용 충전 포인트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다목적 여닫이 구조체에 부착되는 스캐너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충전 포인트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인터페이스는 가변 속도 충전 옵션을 위한 회로를 포함하는,
    휴대용 충전 포인트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다목적 여닫이 구조체에 바이오 센서가 부착되는,
    휴대용 충전 포인트 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충전 포인트 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그린 충전 시스템을 더 포함하는,
    휴대용 충전 포인트 장치.
  19. 제16항에 있어서,
    통신 모듈로서, 상기 통신 모듈은:
    (i) 주변 NFC 가능 물품으로의 연결을 감지하고 하나 이상의 NFC 태그된 물품으로부터 식별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근거리 통신(NFC) 장치;
    (ii) 주변 저전력 블루투스(BLE) 비콘으로의 연결을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BLE 인터페이스;
    (iii) WiFi, 블루투스 또는 휴대 전화 연결을 통해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연결 모듈; 및
    (iv) 유선 연결; 중 적어도 하나를 가지는, 통신 모듈;
    (f) 상기 통신 모듈이 사용자 모바일 장치로 페어링 프로세스를 완료했을 때 상기 통신 모듈로부터 페어링 완료 신호를 수신할 시 사용자 모바일 장치를 위한 코드를 생성하기 위한 코드 생성기; 및
    (g) 상기 코드의 수신 시 자동으로 개시하고 그 후에 상기 전자 디스플레이 상에 주어진 스토어 앱을 디스플레이 하며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사용자 모바일 장치와 인터페이싱 하기 위한 자동 쇼핑 앱 런칭 모듈;을 더 포함하는,
    휴대용 충전 포인트 장치.
KR1020200095708A 2019-08-09 2020-07-31 모바일 결제 소매 시스템 및 매장 내 모바일 충전 솔루션을 위한 모바일 사물 인터넷(IoT) 박스 KR202100187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58291A KR20240065054A (ko) 2019-08-09 2024-05-02 모바일 결제 소매 시스템 및 매장 내 모바일 충전 솔루션을 위한 모바일 사물 인터넷(IoT) 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962884927P 2019-08-09 2019-08-09
US62/884,927 2019-08-09
US16/739,954 US11501278B2 (en) 2019-08-09 2020-01-10 Internet of things (IoT) box for mobile payment retail system and in store mobile charging solution
US16/739,954 2020-01-10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58291A Division KR20240065054A (ko) 2019-08-09 2024-05-02 모바일 결제 소매 시스템 및 매장 내 모바일 충전 솔루션을 위한 모바일 사물 인터넷(IoT) 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8766A true KR20210018766A (ko) 2021-02-18

Family

ID=7449866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5708A KR20210018766A (ko) 2019-08-09 2020-07-31 모바일 결제 소매 시스템 및 매장 내 모바일 충전 솔루션을 위한 모바일 사물 인터넷(IoT) 박스
KR1020240058291A KR20240065054A (ko) 2019-08-09 2024-05-02 모바일 결제 소매 시스템 및 매장 내 모바일 충전 솔루션을 위한 모바일 사물 인터넷(IoT) 박스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58291A KR20240065054A (ko) 2019-08-09 2024-05-02 모바일 결제 소매 시스템 및 매장 내 모바일 충전 솔루션을 위한 모바일 사물 인터넷(IoT) 박스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501278B2 (ko)
JP (1) JP7486376B2 (ko)
KR (2) KR2021001876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913589A4 (en) * 2019-01-17 2022-10-05 Teraoka Seiko Co., Ltd. WEIGHING/PRICING DEVICE, VENDING SYSTEM, GOODS REGISTRATION PROCESSING PROCEDURE, PROGRAM AND RECORDING MEDIA
KR20210061856A (ko) * 2019-11-20 2021-05-2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방법
US11347823B2 (en) 2020-02-18 2022-05-31 The DTX Company Refactoring of static machine-readable codes
US11205105B1 (en) 2020-08-09 2021-12-21 The DTX Company Machine-readable label generator
US11593579B2 (en) 2021-01-04 2023-02-28 The DTX Company Multiplexed quick response (“QR”) code experience derivation
US11599757B1 (en) 2021-08-24 2023-03-07 The DTX Company Collectible machine-readable codes
US11989763B1 (en) * 2021-12-09 2024-05-21 Inmar Clearing, Inc. Self-checkout verification system and related methods
US11334779B1 (en) 2022-01-14 2022-05-17 The DTX Company Dynamic embedding of machine-readable codes within video and digital media
US11741331B1 (en) * 2022-02-23 2023-08-29 The DTX Company Electronic tag with two scanning modalities
US11946688B2 (en) 2022-05-24 2024-04-02 Fff Enterprises, Inc. Portable platform based product storage and expansion systems, devices and method
US11734533B1 (en) 2022-06-08 2023-08-22 The DTX Company Secure scanning of machine-readable codes
EP4343724A1 (en) * 2022-09-21 2024-03-27 Pentland Firth Software GmbH A shopping cart having a detachable terminal
US20240106896A1 (en) * 2022-09-23 2024-03-28 T-Mobile Innovations Llc Iot device one tap activation
US11709907B1 (en) 2023-02-01 2023-07-25 The DTX Company Offline to online conversion linkage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22563B2 (ja) 2002-12-27 2006-09-20 株式会社東芝 充電スタンド、充電システム及び充電サービスの提供方法
JP2006350726A (ja) 2005-06-16 2006-12-28 Ricoh Co Ltd アクセス権制御方法
JP5201861B2 (ja) 2007-03-27 2013-06-05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情報提供方法
JP2011229239A (ja) 2010-04-16 2011-11-10 Panasonic Corp 充電器
US10121133B2 (en) 2010-10-13 2018-11-06 Walmart Apollo, Llc Method for self-checkout with a mobile device
EP2442600B1 (en) * 2010-10-14 2013-03-06 Research In Motion Limited Near-field communication (NFC) system providing nfc tag geographic position authentication and related methods
KR20140022034A (ko) 2011-03-25 2014-02-21 비자 인터네셔널 서비스 어소시에이션 직접적인 원-탭 구매 장치, 방법 및 시스템
JP2014521292A (ja) 2011-07-11 2014-08-25 アールピーティー 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携帯機器ドッキングステーション
JP5460820B2 (ja) 2012-11-01 2014-04-02 株式会社ゼンリンデータコム 属性特定システム、属性特定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EP2913807B1 (en) * 2014-02-28 2020-08-05 Otto Group Digital Solutions GmbH Self-checkout with mobile payment
US10043171B2 (en) * 2014-12-10 2018-08-07 Mastercard International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automatic payment transactions
JP6479649B2 (ja) 2015-12-28 2019-03-06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モバイルバッテリー交換サービスシステム、モバイルバッテリー交換方法
JP2017174047A (ja) 2016-03-23 2017-09-2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決済支援システム
EP3444765A4 (en) * 2016-04-29 2019-04-24 Huawei Technologies Co., Ltd. PROCESS AND DEVICE FOR TRANSACTION BASED ON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JP6737058B2 (ja) 2016-08-10 2020-08-05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6827743B2 (ja) 2016-09-14 2021-02-10 東芝テック株式会社 顧客管理システム、顧客管理装置及び接客プログラム
SG10201610474TA (en) * 2016-12-14 2018-07-30 Mastercard International Inc Methods and systems for processing a payment transaction
US20190347626A1 (en) * 2016-12-20 2019-11-14 Pbv Kaufmann Systeme Gmbh System for offline payment with e-money using a mobile device with a short transaction time and final settlement
US9949065B1 (en) * 2016-12-30 2018-04-17 Capital One Services, Llc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bluetooth pairing
US10360763B2 (en) * 2017-08-03 2019-07-23 Igt System and method for utilizing a mobile device to facilitate fund transfers between a cashless wagering account and a gaming establishment retail account
JP6522822B2 (ja) 2018-03-20 2019-05-29 シャープ株式会社 販売管理装置および販売管理システム
JP3220340U (ja) 2018-12-18 2019-02-28 コリア エレクトロニクス テクノロジー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携帯端末用ケース型充電モジュ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486376B2 (ja) 2024-05-17
US11501278B2 (en) 2022-11-15
US20210042730A1 (en) 2021-02-11
KR20240065054A (ko) 2024-05-14
JP2021028826A (ja) 2021-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18766A (ko) 모바일 결제 소매 시스템 및 매장 내 모바일 충전 솔루션을 위한 모바일 사물 인터넷(IoT) 박스
US11488174B2 (en) Method and system for performing mobile device-to-machine payments
US10140602B2 (en) Drive-thru / point-of-sale automated transaction technologies and apparatus
Curran et al. Near field communication
US20170221043A1 (en) Transaction facilitation methods and apparatuses
US20130103537A1 (en) Interactive consumer self-service shopping system
CN107209974A (zh) 利用移动支付的自助结账
US20150120473A1 (en) Vendor-facilitated guaranty provisioning
US20090192912A1 (en) Charge-for-service near field communication transactions
EP3109838A1 (en) Mobile device based digital wallet for retail shopping, related system and method
US2024012731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building a shopping list with a sensor unit
WO2015066016A1 (en) Mobile device-facilitated guaranty provisioning
EP3036697A1 (en) Mechanism for secure in-vehicle payment transaction
WO2012146951A1 (en) Payment processing
TW201913582A (zh) 購物結算方法、智慧型購物設備以及智慧型超市系統
JP2014513825A (ja) 安全な2者照合取引システム
US20200410793A1 (en) Portable power bank, vending system and associated methods
KR102286946B1 (ko) 무인 자판기 상품 구매 및 관리 시스템
US20220218125A1 (en) Utilizing a multi-function transaction card to capture item data and enable expedited checkout for purchased items
KR20130135615A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자가결제 시스템
US20230153807A1 (en) Smart chip payment acceptance
KR20130126048A (ko) 결제 방법 및 그 시스템
Jadhav et al. Smart shopping application using NFC
KR20200109482A (ko) 비컨(beacon)을 이용한 주문 결제방법 및 시스템
KR20170040558A (ko) 오프라인 결제 처리 시스템, 모션 패턴을 이용한 2차 인증 기반의 오프라인 결제 처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