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8715A - 고온 안정성을 개선한 배니싱 크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고온 안정성을 개선한 배니싱 크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8715A
KR20210018715A KR1020190097494A KR20190097494A KR20210018715A KR 20210018715 A KR20210018715 A KR 20210018715A KR 1020190097494 A KR1020190097494 A KR 1020190097494A KR 20190097494 A KR20190097494 A KR 20190097494A KR 20210018715 A KR20210018715 A KR 202100187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vanishing cream
cream composition
tromethamine
stearic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74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98401B1 (ko
Inventor
박찬호
박현정
김기선
박명삼
Original Assignee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스맥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974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8401B1/ko
Publication of KR202100187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87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84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84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1Carboxylic acids having more than seven carbon atoms in an unbroken chain;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1Am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24Thermal proper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8Thickener, Thickening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 A61K2800/5922At least two compounds being classified in the same subclass of A61K8/18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로메타민 함량을 조절하여 제조한 고온 안정성이 개선된 배니싱 크림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고온에서도 외관 및 경도 변화없이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고온 안정성을 개선한 배니싱 크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VANISHING CREAM COMPOSITION WITH IMPROVED HIGH TEMPERATURE STABILIT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고온 안정성을 개선한 배니싱 크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에 개발한 배니싱 크림의 경우, 고온 보관 후(45℃) 실온 정치시 표면이 단단하게 굳어 밤(balm) 형태로 변형된다는 점에서 안정성에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해, 제품의 유통시 제품의 변형을 예방하기 위해 실온 내지 냉장 유통(해외 항공 운송 시)을 해야 하므로 유통비용이 크게 상승한다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고온에서 보관하더라도 제형의 변형이 없는 고온안정성을 개선한 제품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77161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9-0060649호
본 발명자들은 고온에서도 안정성을 유지하는 배니싱 크림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였다. 그 결과, 스테아릭애씨드에 대한 트로메타민 함량을 조절하여 배니싱 크림을 제조하면 고온에서도 외관 및 경도의 변화가 없다는 것을 규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테아릭애씨드 및 트로메타민을 포함하는 고온 안정성이 개선된 배니싱 크림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온 안정성이 개선된 배니싱 크림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스테아릭애씨드(stearic acid) 1.0 내지 20.0 중량% 및 트로메타민(tromethamine)을 포함하고, 상기 스테아릭애씨드 및 트로메타민의 중량비는 40 내지 60:1인, 배니싱 크림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용어 "배니싱 크림"은 피부에 도포하였을 때 피막을 만들지 않고 바로 흡수되는 피부 보습 용도의 크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스테아릭애씨드는 배니싱 크림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1.0 내지 20.0 중량%, 2.0 내지 20.0 중량%, 3.0 내지 20.0 중량%, 4.0 내지 20.0 중량%, 5.0 내지 20.0 중량%, 6.0 내지 20.0 중량%, 7.0 내지 20.0 중량%, 1.0 내지 18.0 중량%, 2.0 내지 18.0 중량%, 3.0 내지 18.0 중량%, 4.0 내지 18.0 중량%, 5.0 내지 18.0 중량%, 6.0 내지 18.0 중량%, 7.0 내지 18.0 중량%, 1.0 내지 15.0 중량%, 2.0 내지 15.0 중량%, 3.0 내지 15.0 중량%, 4.0 내지 15.0 중량%, 5.0 내지 15.0 중량%, 6.0 내지 15.0 중량%, 7.0 내지 15.0 중량%, 1.0 내지 13.0 중량%, 2.0 내지 13.0 중량%, 3.0 내지 13.0 중량%, 4.0 내지 13.0 중량%, 5.0 내지 13.0 중량%, 6.0 내지 13.0 중량%, 7.0 내지 13.0 중량%, 1.0 내지 11.0 중량%, 2.0 내지 11.0 중량%, 3.0 내지 11.0 중량%, 4.0 내지 11.0 중량%, 5.0 내지 11.0 중량%, 6.0 내지 11.0 중량%, 7.0 내지 11.0 중량%, 1.0 내지 10.0 중량%, 2.0 내지 10.0 중량%, 3.0 내지 10.0 중량%, 4.0 내지 10.0 중량%, 5.0 내지 10.0 중량%, 6.0 내지 10.0 중량%, 7.0 내지 10.0 중량%, 1.0 내지 9.0 중량%, 2.0 내지 9.0 중량%, 3.0 내지 9.0 중량%, 4.0 내지 9.0 중량%, 5.0 내지 9.0 중량%, 6.0 내지 9.0 중량% 또는 7.0 내지 9.0 중량% 포함된 것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8.0 중량% 포함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스테아릭애씨드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벗어날 경우, 크림 제형이 형성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트로메타민은 배니싱 크림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15 내지 0.5 중량%, 0.03 내지 0.5 중량%, 0.05 내지 0.5 중량%, 0.07 내지 0.5 중량%, 0.1 내지 0.5 중량%, 0.11 내지 0.5 중량%, 0.12 내지 0.5 중량%, 0.13 내지 0.5 중량%, 0.015 내지 0.45 중량%, 0.03 내지 0.45 중량%, 0.05 내지 0.45 중량%, 0.07 내지 0.45 중량%, 0.1 내지 0.45 중량%, 0.11 내지 0.45 중량%, 0.12 내지 0.45 중량%, 0.13 내지 0.45 중량%, 0.015 내지 0.4 중량%, 0.03 내지 0.4 중량%, 0.05 내지 0.4 중량%, 0.07 내지 0.4 중량%, 0.1 내지 0.4 중량%, 0.11 내지 0.4 중량%, 0.12 내지 0.4 중량%, 0.13 내지 0.4 중량%, 0.015 내지 0.35 중량%, 0.03 내지 0.35 중량%, 0.05 내지 0.35 중량%, 0.07 내지 0.35 중량%, 0.1 내지 0.35 중량%, 0.11 내지 0.35 중량%, 0.12 내지 0.35 중량%, 0.13 내지 0.35 중량%, 0.015 내지 0.3 중량%, 0.03 내지 0.3 중량%, 0.05 내지 0.3 중량%, 0.07 내지 0.3 중량%, 0.1 내지 0.3 중량%, 0.11 내지 0.3 중량%, 0.12 내지 0.3 중량%, 0.13 내지 0.3 중량%, 0.015 내지 0.25 중량%, 0.03 내지 0.25 중량%, 0.05 내지 0.25 중량%, 0.07 내지 0.25 중량%, 0.1 내지 0.25 중량%, 0.11 내지 0.25 중량%, 0.12 내지 0.25 중량% 또는 0.13 내지 0.25 중량% 포함된 것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0.15 중량% 포함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트로메타민 함량이 상기 범위를 벗어날 경우, 크림 제형이 형성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배니싱 크림 조성물에서 트로메타민이 0.45 중량% 이상으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크림 형태의 제형이 제조되지 않고, 0.15 중량% 미만, 0.3 중량% 이상으로 포함되는 경우 고온 보관 후 제형이 단단하게 변하게 된다.
본 발명의 배니싱 크림 조성물에 포함되는 스테아릭애씨드 및 트로메타민의 중량비는 40 내지 60:1, 42 내지 60:1, 44 내지 60:1, 46 내지 60:1, 48 내지 60:1, 50 내지 60:1, 51 내지 60:1, 52 내지 60:1, 40 내지 58:1, 42 내지 58:1, 44 내지 58:1, 46 내지 58:1, 48 내지 58:1, 50 내지 58:1, 51 내지 58:1, 52 내지 58:1, 40 내지 56:1, 42 내지 56:1, 44 내지 56:1, 46 내지 56:1, 48 내지 56:1, 50 내지 56:1, 51 내지 56:1, 52 내지 56:1, 40 내지 54:1, 42 내지 54:1, 44 내지 54:1, 46 내지 54:1, 48 내지 54:1, 50 내지 54:1, 51 내지 54:1 또는 52 내지 54:1일 수 있고, 예를 들어, 53 내지 54:1일 수 있다. 배니싱 크림 조성물에 포함되는 스테아릭애씨드 및 트로메타민의 중량비가 상기 범위일 때 고온 보관 후 외관 및 제형의 변화없이 경도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스테아릭애씨드 및 트로메타민의 중량비가 20 초과 내지 40 이하:1 또는 60 초과 내지 80 이하:1인 배니싱 크림은 45℃ 항온조실에 1주일간 보관 후 실온(25℃)에서 하루 정치하였을 때 경도 측정값이 약 2.5 내지 3배 증가하였으나, 스테아릭애씨드 및 트로메타민의 중량비가 40 초과 내지 60 이하:1인 본 발명의 배니싱 크림에서는 경도 변화가 거의 없이 안정한 상태를 유지하였다.
본 발명의 배니싱 크림 조성물은 정제수, 금속이온봉쇄제, 폴리올류, 점증제 및 피부컨디셔닝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배니싱 크림 조성물에 있어서, 정제수는 배니싱 크림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50 내지 80 중량%, 55 내지 80 중량%, 60 내지 80 중량%, 63 내지 80 중량%, 50 내지 75 중량%, 55 내지 75 중량%, 60 내지 75 중량%, 63 내지 75 중량%, 50 내지 70 중량%, 55 내지 70 중량%, 60 내지 70 중량%, 63 내지 70 중량%, 50 내지 68 중량%, 55 내지 68 중량%, 60 내지 68 중량% 또는 63 내지 68 중량% 포함된 것일 수 있고, 예를 들어, 65 내지 67 중량% 포함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나머지 성분에 대하여 잔량을 차지한다.
상기 금속이온봉쇄제는 소듐파이테이트, 다이소듐 EDTA, 테트라소듐 EDTA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소듐파이테이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배니싱 크림 조성물에 있어서, 금속이온봉쇄제는 배니싱 크림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1 내지 0.1 중량%, 0.005 내지 0.1 중량%, 0.01 내지 0.1 중량%, 0.015 내지 0.1 중량%, 0.001 내지 0.05 중량%, 0.005 내지 0.05 중량%, 0.01 내지 0.05 중량%, 0.015 내지 0.05 중량%, 0.001 내지 0.03 중량%, 0.005 내지 0.03 중량%, 0.01 내지 0.03 중량% 또는 0.015 내지 0.03 중량% 포함된 것일 수 있고, 예를 들어, 0.02 중량% 포함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폴리올류는 글리세린, 디글리세린, 폴리글리세린, 글리세리톨, 글리실알콜, 프로필렌글라이콜, 디프로필렌글라이콜, 부틸렌글라이콜, 디에틸렌글라이콜, 트리에틸렌글라이콜, 헥실렌글라이콜, 펜틸렌글라이콜, 폴리에틸렌글라이콜, 1,2-헥산디올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고, 예를 들어, 글리세린, 부틸렌글라이콜 및 1,2-헥산디올의 조합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배니싱 크림 조성물에 있어서, 폴리올류로서 포함되는 글리세린은 배니싱 크림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1.0 내지 20.0 중량%, 2.0 내지 20.0 중량%, 4.0 내지 20.0 중량%, 6.0 내지 20.0 중량%, 8.0 내지 20.0 중량%, 9.0 내지 20.0 중량%, 1.0 내지 18.0 중량%, 2.0 내지 18.0 중량%, 4.0 내지 18.0 중량%, 6.0 내지 18.0 중량%, 8.0 내지 18.0 중량%, 9.0 내지 18.0 중량%, 1.0 내지 16.0 중량%, 2.0 내지 16.0 중량%, 4.0 내지 16.0 중량%, 6.0 내지 16.0 중량%, 8.0 내지 16.0 중량%, 9.0 내지 16.0 중량%, 1.0 내지 14.0 중량%, 2.0 내지 14.0 중량%, 4.0 내지 14.0 중량%, 6.0 내지 14.0 중량%, 8.0 내지 14.0 중량%, 9.0 내지 14.0 중량%, 1.0 내지 12.0 중량%, 2.0 내지 12.0 중량%, 4.0 내지 12.0 중량%, 6.0 내지 12.0 중량%, 8.0 내지 12.0 중량% 또는 9.0 내지 12.0 중량% 포함된 것일 수 있고, 예를 들어, 10 중량% 포함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배니싱 크림 조성물에 있어서, 폴리올류로서 포함되는 부틸렌글라이콜은 배니싱 크림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2.0 내지 15.0 중량%, 4.0 내지 15.0 중량%, 6.0 내지 15.0 중량%, 2.0 내지 13.0 중량%, 4.0 내지 13.0 중량%, 6.0 내지 13.0 중량%, 2.0 내지 11.0 중량%, 4.0 내지 11.0 중량%, 6.0 내지 11.0 중량%, 2.0 내지 9.0 중량%, 4.0 내지 9.0 중량%, 6.0 내지 9.0 중량%, 2.0 내지 8.0 중량%, 4.0 내지 8.0 중량% 또는 6.0 내지 8.0 중량% 포함된 것일 수 있고, 예를 들어, 7.0 중량% 포함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배니싱 크림 조성물에 있어서, 폴리올류로서 포함되는 1,2-헥산디올은 배니싱 크림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5 내지 5.0 중량%, 0.1 내지 5.0 중량%, 0.5 내지 5.0 중량%, 1.0 내지 5.0 중량%, 1.2 내지 5.0 중량%, 1.4 내지 5.0 중량%, 0.05 내지 4.0 중량%, 0.1 내지 4.0 중량%, 0.5 내지 4.0 중량%, 1.0 내지 4.0 중량%, 1.2 내지 4.0 중량%, 1.4 내지 4.0 중량%, 0.05 내지 2.0 중량%, 0.1 내지 2.0 중량%, 0.5 내지 2.0 중량%, 1.0 내지 2.0 중량%, 1.2 내지 2.0 중량% 또는 1.4 내지 2.0 중량% 포함된 것일 수 있고, 예를 들어, 1.5 중량% 포함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점증제는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폴리글리세릴메타크릴레이트, 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젤라틴, 메칠셀룰로오스, 카보머, 소듐 카르복시 메틸 셀룰로오스, 구아검, 스테아린산, 폴리비닐알코올, 콜라겐, 만난, 카라기난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배니싱 크림 조성물에 있어서, 점증제는 배니싱 크림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2.0 중량%, 0.05 내지 2.0 중량%, 0.1 내지 2.0 중량%, 0.15 내지 2.0 중량%, 0.01 내지 1.0 중량%, 0.05 내지 1.0 중량%, 0.1 내지 1.0 중량%, 0.15 내지 1.0 중량%, 0.01 내지 0.5 중량%, 0.05 내지 0.5 중량%, 0.1 내지 0.5 중량%, 0.15 내지 0.5 중량%, 0.01 내지 0.3 중량%, 0.05 내지 0.3 중량%, 0.1 내지 0.3 중량% 또는 0.15 내지 0.3 중량% 포함된 것일 수 있고, 예를 들어, 0.2 중량% 포함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피부컨디셔닝제는 폴리글리세릴-3메틸글루코오스다이스테아레이트, 에틸헥실팔미테이트, 글리세릴로지네이트,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 아세틸레이티드라놀린, 에틸헥실에틸헥사노에이트, 사이클로펜타실록산, 아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이소부텐,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C6-14올레핀), 동백오일, 토코페릴아세테이트, 호호바씨오일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상기 피부컨디셔닝제는 피부의 특성에 변화를 주는 성분으로, 그 기능에 따라 피부를 부드럽고 유연하게 유지하는 데 도움을 주는 유연제와, 피부 외층의 수분보유를 증대시키기 위한 습윤제와, 피부표면으로부터 수분의 증발을 지연시키는 수분차단제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배니싱 크림 조성물에 포함되는 상기 피부컨디셔닝제는 유연제인 에틸헥실팔미테이트, 수분차단제인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C6-14올레핀) 및 유연제인 폴리글리세릴-3메틸글루코오스다이스테아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2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보다 구체적인 구현예에 따르면, 피부컨디셔닝제는 에틸헥실팔미테이트,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C6-14올레핀) 및 폴리글리세릴-3메틸글루코오스다이스테아레이트의 조합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배니싱 크림 조성물에 있어서, 피부컨디셔닝제로서 포함되는 에틸헥실팔미테이트는 배니싱 크림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1.0 내지 10.0 중량%, 2.0 내지 10.0 중량%, 1.0 내지 8.0 중량%, 2.0 내지 8.0 중량%, 1.0 내지 6.0 중량%, 2.0 내지 6.0 중량%, 1.0 내지 5.0 중량%, 2.0 내지 5.0 중량%, 1.0 내지 4.0 중량% 또는 2.0 내지 4.0 중량% 포함된 것일 수 있고, 예를 들어, 3.0 중량% 포함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배니싱 크림 조성물에 있어서, 피부컨디셔닝제로서 포함되는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C6-14올레핀)는 배니싱 크림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1.0 내지 10.0 중량%, 2.0 내지 10.0 중량%, 1.0 내지 8.0 중량%, 2.0 내지 8.0 중량%, 1.0 내지 6.0 중량%, 2.0 내지 6.0 중량%, 1.0 내지 5.0 중량%, 2.0 내지 5.0 중량%, 1.0 내지 4.0 중량% 또는 2.0 내지 4.0 중량% 포함된 것일 수 있고, 예를 들어, 3.0 중량% 포함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배니싱 크림 조성물에 있어서, 피부컨디셔닝제로서 포함되는 폴리글리세릴-3메틸글루코오스다이스테아레이트는 배니싱 크림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5 내지 5.0 중량%, 0.1 내지 5.0 중량%, 0.5 내지 5.0 중량%, 0.7 내지 5.0 중량%, 0.9 내지 5.0 중량%, 0.05 내지 4.0 중량%, 0.1 내지 4.0 중량%, 0.5 내지 4.0 중량%, 0.7 내지 4.0 중량%, 0.9 내지 4.0 중량%, 0.05 내지 3.0 중량%, 0.1 내지 3.0 중량%, 0.5 내지 3.0 중량%, 0.7 내지 3.0 중량%, 0.9 내지 3.0 중량%, 0.05 내지 2.0 중량%, 0.1 내지 2.0 중량%, 0.5 내지 2.0 중량%, 0.7 내지 2.0 중량%, 0.9 내지 2.0 중량%, 0.05 내지 1.5 중량%, 0.1 내지 1.5 중량%, 0.5 내지 1.5 중량%, 0.7 내지 1.5 중량% 또는 0.9 내지 1.5 중량% 포함된 것일 수 있고, 예를 들어, 1.0 중량% 포함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배니싱 크림 조성물은 보존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존제는 카프릴릴글라이콜, 파라옥시향산에스테르류, 페녹시에탄올, 카프릴일글라이콜, 글리세릴카프릴레이트, 폴리글리세릴카프레이트, 라우로일락틸레이트, 페네틸알콜, 카프릴하이드록사믹애씨드, 에틸헥실글리세린, 이미다졸리디닐우레아, 페노닙, 페복시에탄올, 벤질알코올, 소듐벤조에이트, 페녹시에탄올, 데하이드로아세틱애씨드 또는 이의 조합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카프릴릴글라이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배니싱 크림 조성물에 있어서, 보존제는 배니싱 크림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2.0 중량%, 0.05 내지 2.0 중량%, 0.1 내지 2.0 중량%, 0.15 내지 2.0 중량%, 0.01 내지 1.0 중량%, 0.05 내지 1.0 중량%, 0.1 내지 1.0 중량%, 0.15 내지 1.0 중량%, 0.01 내지 0.5 중량%, 0.05 내지 0.5 중량%, 0.1 내지 0.5 중량%, 0.15 내지 0.5 중량%, 0.01 내지 0.3 중량%, 0.05 내지 0.3 중량%, 0.1 내지 0.3 중량% 또는 0.15 내지 0.3 중량% 포함된 것일 수 있고, 예를 들어, 0.2 중량% 포함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배니싱 크림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배니싱 크림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다음 단계를 포함하는 고온 안정성이 개선된 배니싱 크림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제수에 금속이온봉쇄제, 폴리올류 및 점증제를 혼합하여 교반 및 분산시키는 단계; 및
상기 교반 및 분산 단계를 마친 결과물에 스테아릭애씨드, 트로메타민 및 피부컨디셔닝제를 혼합하는 단계.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스테아릭애씨드는 배니싱 크림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1.0 내지 20.0 중량% 포함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트로메타민은 배니싱 크림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15 내지 0.5 중량% 포함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스테아릭애씨드 및 트로메타민의 중량비는 40 내지 60:1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본 발명은 구체적으로 다음 단계를 포함하는 배니싱 크림 조성물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배니싱 크림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정제수 50 내지 80 중량%에 금속이온봉쇄제 0.001 내지 0.1 중량%, 폴리올류 3.0 내지 40 중량% 및 점증제 0.01 내지 2.0 중량%를 첨가하여 교반 및 분산하는 단계;
상기 교반 및 분산 단계를 마친 결과물에 배니싱 크림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스테아릭애씨드 1.0 내지 20.0 중량% 및 피부컨디셔닝제 2.0 내지 25.0 중량%를 용해하여 혼합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 단계를 마친 결과물에 트로메타민 0.015 내지 0.5 중량%를 첨가하여 혼합하는 단계.
상기 교반 및 혼합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호모믹서(Homo mixer)와 같은 혼합기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교반 및 혼합에서의 시간 및 속도(rpm) 등은 작업장의 주변온도 및 혼합기의 용량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이러한 교반 및 혼합은 당업자에게는 경험적으로나 또는 혼합기의 제조업자의 지시에 따라 적절히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교반 및 분산 단계는 50 내지 80℃, 50 내지 75℃, 55 내지 80℃, 55 내지 75℃, 60 내지 80℃, 60 내지 75℃, 65 내지 80℃ 또는 65 내지 75℃ 온도 조건에서 실시할 수 있고, 예를 들어, 70℃에서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스테아릭애씨드 및 피부컨디셔닝제의 용해는 50 내지 80℃, 50 내지 75℃, 55 내지 80℃, 55 내지 75℃, 60 내지 80℃, 60 내지 75℃, 65 내지 80℃ 또는 65 내지 75℃ 온도 조건에서 실시할 수 있고, 예를 들어, 70℃에서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혼합 단계를 마친 결과물을 30 내지 60℃, 30 내지 55℃, 30 내지 50℃, 30 내지 47℃, 35 내지 60℃, 35 내지 55℃, 35 내지 50℃, 35 내지 47℃, 40 내지 60℃, 40 내지 55℃, 40 내지 50℃, 40 내지 47℃, 43 내지 60℃, 43 내지 55℃, 43 내지 50℃ 또는 43 내지 47℃, 예를 들어, 45℃로 냉각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혼합 단계를 마친 결과물에 트로메타민 외 보존제를 추가적으로 첨가할 수 있다.
상기 배니싱 크림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 상기 배니싱 크림 조성물과 중복되는 내용은 본 명세서의 복잡성을 고려하여 생략한다.
본 발명은 스테아릭애씨드에 대한 트로메타민 함량을 조절하여 제조한 고온 안정성이 개선된 배니싱 크림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고온에서도 외관 및 경도 변화없이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와 비교예에 의해 제조된 배니싱 크림 조성물을 45℃ 항온조실에 1주일 보관한 다음 실온(25℃)에서 하루 정치 후 외관을 비교한 사진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 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3: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스테아릭애씨드 및 트로메타민을 포함하는 실시예 1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인 제조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표 1의 성분 1에 성분 2 내지 6을 70℃에서 교반 분산시켰다. 그 다음, 성분 7 내지 10을 70℃에서 가온용해 후 투입 및 혼합시켰다. 혼합물을 45℃까지 냉각 후, 성분 11, 12를 넣어 혼합하였다.
그 결과, 크림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이 얻어졌다.
비교예 1은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비교예 2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비교예 3은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으나 크림 제형이 형성되지 않았다.
표 1에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3에 따라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의 구체적인 성분 및 함량을 나타냈다. 본 명세서에서 다르게 언급되지 않는 한, 성분 함량은 중량%이다.
번호 성분 구분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1 정제수 용제 To 100 To 100 To 100 To 100
2 소듐파이테이트 금속이온봉쇄제 0.02 0.02 0.02 0.02
3 글리세린 폴리올류 10 10 10 10
4 부틸렌글라이콜 폴리올류 7 7 7 7
5 1,2-헥산디올 폴리올류 1.5 1.5 1.5 1.5
6 아크릴레이트/C10-30
알킬아크릴레이트
크로스폴리머
점증제 0.2 0.2 0.2 0.2
7 스테아릭애씨드 유화제 8 8 8 8
8 폴리글리세릴-3메틸글루코오스
다이스테아레이트
피부컨디셔닝제 1 1 1 1
9 에틸헥실팔미테이트 피부컨디셔닝제 3 3 3 3
10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
(C6-14올레핀)
피부컨디셔닝제 3 3 3 3
11 트로메타민 pH 조절제 0.15 0.1 0.3 0.45
12 카프릴릴글라이콜 보존제 0.2 0.2 0.2 0.2
실험예 1: 경도 비교 평가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3에 따라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의 경도를 평가하기 위한 실험을 하였다(비교예 3의 경우 제조 시, 제형이 분리 되었기 때문에 실험 데이터에서 제외하였다).
구체적으로, 화장료 경도 측정 및 비교를 위해,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2에 따라 제조 후, 45℃ 항온조실에 1주일간 보관 및 실온(25℃)에서 하루 정치 후, 경도 측정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값을 표 2에 나타냈다. 경도 측정은 Sunscientific Co., LTD사의 CR-3000EX-L을 이용하여, 봉 9호, 직경 15 pi, Range 500, S.ADJ 25 mm, T.Speed 2 cm/min 조건에서 진행하였다.
구분 제조 직후 경도 45℃ 항온조실에 1주일간 보관 및 실온(25℃)에서 하루 정치 후 경도
실시예 1 28 29
비교예 1 21 63
비교예 2 24 62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테아릭애씨드 및 트로메타민의 비율이 40 초과 내지 60 이하: 1 일 때(실시예 1)는 화장료 제조 직후 경도측정 값과, 45℃ 항온조실에 1주일간 보관 및 실온(25℃)에서 하루 정치 후 경도 측정 값이 거의 일치하였다.
반면, 스테아릭애씨드 및 트로메타민의 비율이 60 초과 80 이하 : 1 일 때(비교예 1) 화장료 제조 직후 경도측정 값과, 45℃ 항온조실에 1주일간 보관 및 실온(25℃)에서 하루 정치 후 경도 측정 값이 약 3배 차이가 있었다.
스테아릭애씨드 및 트로메타민의 비율이 20 초과 내지 40 이하 : 1 일 때(비교예 2) 화장료 제조 후 경도측정 값과 45℃ 항온조실에 1주일간 보관 및 실온(25℃)에서 하루 정치 후 경도 측정 값이 약 2.5배 차이가 있었다.
실험예 2: 화장료 제형 및 외관 변화 비교 평가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2에 따라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의 외관을 평가하기 위한 실험을 하였다.
구체적으로, 화장료 조성물의 외관을 평가하기 위해,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3에 따라 제조 후 실온(25℃)에서 관찰한 외관과, 화장료 조성물을 45℃ 항온조실에 1주일간 보관 및 실온(25℃)에서 하루 정치 후 외관을 비교해 보았다. 결과 분석은 실온 보관 화장료와 45℃ 항온조실에 1주일간 보관하여 실온에서 하루 정치한 화장료의 외관을 각각 비교평가 하였다. Sony A7R 카메라를 이용하여 측정 이미지를 얻은 후, 외관을 비교 분석하였다.
도 1의 결과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제조 후 실온(25℃)에서는 실시예 1 및 비교예 1-2에서 외관이나 제형의 변화가 눈에 띄지 않았다. 그러나, 45℃ 항온조실에서 1주일간 보관한 후 실온(25℃)에서 하루 정치한 경우에는 실시예 1의 화장료의 외관 및 제형에는 변화가 없었으나,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2의 화장료는 단단하게 굳어 외관 및 제형이 밤(balm)과 같은 형태로 변형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해 제조된 화장료가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2에 의해 제조된 화장료에 비해 고온 안정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Claims (11)

  1. 스테아릭애씨드(stearic acid) 1.0 내지 20.0 중량% 및 트로메타민(tromethamine)을 포함하고, 상기 스테아릭애씨드 및 트로메타민의 중량비는 40 내지 60:1인, 고온 안정성이 개선된 배니싱 크림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로메타민은 배니싱 크림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15 내지 0.5 중량% 포함하는 것인, 고온 안정성이 개선된 배니싱 크림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니싱 크림 조성물은 금속이온봉쇄제, 폴리올류, 점증제 및 피부컨디셔닝제를 포함하는 것인, 고온 안정성이 개선된 배니싱 크림 조성물.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이온봉쇄제는 소듐파이테이트, 다이소듐 EDTA, 테트라소듐 EDTA 또는 이들의 조합인 것인, 고온 안정성이 개선된 배니싱 크림 조성물.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류는 글리세린, 디글리세린, 폴리글리세린, 글리세리톨, 글리실알콜, 프로필렌글라이콜, 디프로필렌글라이콜, 부틸렌글라이콜, 디에틸렌글라이콜, 트리에틸렌글라이콜, 헥실렌글라이콜, 펜틸렌글라이콜, 폴리에틸렌글라이콜, 1,2-헥산디올 또는 이들의 조합인 것인, 고온 안정성이 개선된 배니싱 크림 조성물.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점증제는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폴리글리세릴메타크릴레이트, 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젤라틴, 메칠셀룰로오스, 카보머, 소듐 카르복시 메틸 셀룰로오스, 구아검, 스테아린산, 폴리비닐알코올, 콜라겐, 만난, 카라기난 또는 이들의 조합인 것인, 고온 안정성이 개선된 배니싱 크림 조성물.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컨디셔닝제는 폴리글리세릴-3메틸글루코오스다이스테아레이트, 에틸헥실팔미테이트, 글리세릴로지네이트,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 아세틸레이티드라놀린, 에틸헥실에틸헥사노에이트, 사이클로펜타실록산, 아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이소부텐,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C6-14올레핀), 동백오일, 토코페릴아세테이트, 호호바씨오일 또는 이들의 조합인 것인, 고온 안정성이 개선된 배니싱 크림 조성물.
  8. 다음 단계를 포함하는 고온 안정성이 개선된 배니싱 크림 조성물 제조방법:
    정제수에 금속이온봉쇄제, 폴리올류 및 점증제를 혼합하여 교반 및 분산시키는 단계; 및
    상기 교반 및 분산 단계를 마친 결과물에 스테아릭애씨드, 트로메타민 및 피부컨디셔닝제를 혼합하는 단계.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아릭애씨드는 배니싱 크림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1.0 내지 20.0 중량% 포함되는 것인, 고온 안정성이 개선된 배니싱 크림 조성물 제조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트로메타민은 배니싱 크림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15 내지 0.5 중량% 포함되는 것인, 고온 안정성이 개선된 배니싱 크림 조성물 제조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아릭애씨드 및 트로메타민의 중량비는 40 내지 60:1인 것인, 고온 안정성이 개선된 배니싱 크림 조성물 제조방법.
KR1020190097494A 2019-08-09 2019-08-09 고온 안정성을 개선한 배니싱 크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984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7494A KR102298401B1 (ko) 2019-08-09 2019-08-09 고온 안정성을 개선한 배니싱 크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7494A KR102298401B1 (ko) 2019-08-09 2019-08-09 고온 안정성을 개선한 배니싱 크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8715A true KR20210018715A (ko) 2021-02-18
KR102298401B1 KR102298401B1 (ko) 2021-09-08

Family

ID=74688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7494A KR102298401B1 (ko) 2019-08-09 2019-08-09 고온 안정성을 개선한 배니싱 크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8401B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44866A (ja) * 2006-08-11 2008-02-28 Shiseido Co Ltd クリーム組成物
KR20090116755A (ko) * 2007-02-28 2009-11-11 유니레버 엔.브이. C12-c20 지방산을 포함하는 신규한 화장품용 크림 조성물
KR101042717B1 (ko) * 2003-12-12 2011-06-2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클렌징 조성물
KR20150107224A (ko) * 2014-03-13 2015-09-23 (주)아모레퍼시픽 한천을 이용하여 물성을 개질시킨 크림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KR20150111225A (ko) * 2014-03-25 2015-10-0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안정성이 개선된 겔 타입 피부 세정 조성물
KR20160054347A (ko) * 2014-11-06 2016-05-1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인-샤워 피부 보습용 조성물
KR101628252B1 (ko) * 2014-08-25 2016-06-08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고온 안정성이 우수한 페이스트 타입의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003189A (ko) * 2015-06-30 2017-01-09 (주)아모레퍼시픽 지방산 및 중화제를 포함하는 다층 세라마이드 라멜라 구조체
KR101977161B1 (ko) 2019-03-18 2019-05-10 에이앤에이치 인터내셔널 코스메틱스 식물성천연왁스를 이용하여 피부결 개선 및 보습력 증대를 기대할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060649A (ko) 2017-11-24 2019-06-03 (주)아모레퍼시픽 살리실산 가용화 수용액,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2717B1 (ko) * 2003-12-12 2011-06-2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클렌징 조성물
JP2008044866A (ja) * 2006-08-11 2008-02-28 Shiseido Co Ltd クリーム組成物
KR20090116755A (ko) * 2007-02-28 2009-11-11 유니레버 엔.브이. C12-c20 지방산을 포함하는 신규한 화장품용 크림 조성물
KR20150107224A (ko) * 2014-03-13 2015-09-23 (주)아모레퍼시픽 한천을 이용하여 물성을 개질시킨 크림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KR20150111225A (ko) * 2014-03-25 2015-10-0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안정성이 개선된 겔 타입 피부 세정 조성물
KR101628252B1 (ko) * 2014-08-25 2016-06-08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고온 안정성이 우수한 페이스트 타입의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
KR20160054347A (ko) * 2014-11-06 2016-05-1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인-샤워 피부 보습용 조성물
KR20170003189A (ko) * 2015-06-30 2017-01-09 (주)아모레퍼시픽 지방산 및 중화제를 포함하는 다층 세라마이드 라멜라 구조체
KR20190060649A (ko) 2017-11-24 2019-06-03 (주)아모레퍼시픽 살리실산 가용화 수용액,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77161B1 (ko) 2019-03-18 2019-05-10 에이앤에이치 인터내셔널 코스메틱스 식물성천연왁스를 이용하여 피부결 개선 및 보습력 증대를 기대할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8401B1 (ko) 2021-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78664A (en) Mineral oil gels
KR102635195B1 (ko) 살리실산 가용화 수용액,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328408B1 (ko) 가변적 투명도를 갖는 수중유 형태의 오르가노겔 화장료 조성물
WO2007039974A1 (ja) 乳剤性ローション剤
KR102394535B1 (ko) 칼라민 고함량 내상 안정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KR101503923B1 (ko) 수중유형의 화장료 조성물
PL177710B1 (pl) Miejscowa kompozycja przeciwzapalna, sposób wytwarzania miejscowej kompozycji przeciwzapalnej i sposób rozpuszczania piroksikamu
JP2007119437A (ja) ゴマージュ化粧料
KR20200084153A (ko) 고체 유성 성분을 안정화한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
KR20200049151A (ko) 실리콘 분체를 안정화시킨 무 계면활성제의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KR102298401B1 (ko) 고온 안정성을 개선한 배니싱 크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17099B1 (ko) 킬레이팅 효과가 있는 폴리머를 이용한 알진 캡슐 붕해용 화장료 조성물
AU666119B2 (en) Cosmetic gel
KR20170084457A (ko) 투명 또는 반투명 젤 타입 화장료 조성물
US10555881B2 (en) Stabilization of nonionic polysaccharides with butylene glycol
KR102434543B1 (ko) 탄성력 및 밀착력이 향상된 마스크팩용 하이드로겔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신축성 마스크팩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18872B1 (ko) 끈적임이 적은 배니싱 크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644391B1 (ko) 안정도가 개선된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KR102273241B1 (ko) 젤란검을 포함하는 겔형 화장료 조성물의 대량생산 방법
KR102483531B1 (ko) 연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20090085246A (ko) 입술 화장료 조성물
KR20210000375A (ko) 무계면활성제형 화장료 조성물
KR20180067182A (ko) 휘발안정성 및 경도형성능이 개선된 수중유형 고형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07164B1 (ko) 폴리글리세릴계 에스테르 오일을 포함하는 샤베트 질감의 화장료 조성물
EP4212144A1 (en) Sanitizer composition in emulsion formul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