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8622A - 차량의 운전 조작부 튜닝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의 운전 조작부 튜닝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8622A
KR20210018622A KR1020190095876A KR20190095876A KR20210018622A KR 20210018622 A KR20210018622 A KR 20210018622A KR 1020190095876 A KR1020190095876 A KR 1020190095876A KR 20190095876 A KR20190095876 A KR 20190095876A KR 20210018622 A KR20210018622 A KR 202100186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ning
article
product
vehicle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58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86131B1 (ko
Inventor
김태림
류기령
이동원
강혜란
강호준
신석산
권성진
이봉현
Original Assignee
한국자동차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자동차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자동차연구원
Priority to KR10201900958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6131B1/ko
Publication of KR202100186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86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61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61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60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ir location or relative disposition in or on vehicles
    • B60K37/0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10Input arrangements, i.e. from user to vehicle,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8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the output information, e.g. video entertainment or vehicle dynamics information;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output information, e.g. for attracting the attention of the dri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K2370/11
    • B60K2370/175
    • B60K2370/178
    • B60K2370/193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운전 조작부 튜닝 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량에 부착하는 방식으로 튜닝을 실시하여 차량에 기본으로 장착되어 있는 운전 조작부의 기능을 대신하거나 겸용하여 차량을 조작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튜닝용품; 및 상기 튜닝용품이 사용자에 의해 조작됨에 따라 각 튜닝용품별 조작 신호를 수신하여 차량의 전자제어장치(ECU : Electronic Control Unit)가 인식할 수 있는 포맷의 조작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전자제어장치(ECU)에 전달하는 튜닝용품 인터페이스 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의 운전 조작부 튜닝 장치 및 그 제어 방법{APPARATUS FOR TUNING AN OPERATING PART OF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차량의 운전 조작부 튜닝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차량의 개조나 차량에 기본으로 장착되어 있는 부품을 변경하지 않고, 차량에 기본으로 장착되어 있는 운전 조작부의 기능을 대신하거나 겸용할 수 있는 튜닝용품을 추가로 부착하는 간편한 튜닝을 실시함으로써, 상기 튜닝용품을 이용한 운전 조작을 통해서 운전 조작의 재미나 조작감을 느끼게 하거나 기존에 차량을 조작하던 익숙한 방식으로 차량을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운전 조작부 튜닝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차량의 대중화와 함께 차량에 장착되는 각종 부품을 튜닝하기 위한 튜닝 용품을 개인이 구입하여 장착하는 튜닝 문화가 활성화되는 추세에 있다.
예컨대 차량에는 안테나, 카오디오, 타이어 휠 및 서스펜션 등의 각종 부품이 장착되며, 차량 소유주는 이러한 각종 부품들을 튜닝하기 위한 튜닝 부품을 구입하여 차량에 장착함으로써 자신의 취향에 맞게 차량을 튜닝하게 된다.
이러한 튜닝은 주로 차량 내부의 인테리어 디자인이나 운전 조작과 관계없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한 튜닝, 및 차량의 서스펜션이나 외관에 대한 튜닝으로 한정되어 있었으며, 운전 조작부(예 : 변속기, 클러치, 핸들, 풋 브레이크, 핸드 브레이크, 시동키 등)와 관련된 것은 사실상 개조나 부품 변경의 범주에 해당하기 때문에 개인이 차량 용품점에서 간편하게 구입하여 튜닝할 수 없었다. 예컨대 기존에 운전 조작부와 관련된 튜닝은 단순히 디자인이나 패드를 덧붙이거나 캐릭터 용품을 부착하거나 엘이디 조명을 부착하는 것이었다.
하지만 최근 차량의 구동 방식이 전기자동차나 자율주행차량으로 변화되는 추세에 따라, 기존의 차량에서 레버를 이용한 조작할 수 있는 변속기가 스위치이나 패들쉬프트 형태로 변경되고 있으며, 또한 전기자동차의 종류에 따라서는 변속기가 없는 차량도 출시되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기존의 차량 조작부에 익숙한 운전자는 최근 출시되는 신차에 적용된 조작방식에 이질감을 느끼거나 오히려 불편함을 느낄 수 있고, 또한 운전자에 따라서는 운전 조작을 통해 느끼던 재미(또는 조작감)를 느낄 수 없게 됨으로써, 단순히 운전 조작부의 외관 디자인에 관련된 튜닝이 아니라 운전 조작부의 기능적인 조작에 관련 튜닝이 요구되고 있는 상황이다.
즉, 사용자는 차량의 개조나 기본으로 장착되어 있는 부품을 변경하는 것이 아니라, 즉, 새로운 운전 조작 기술이 적용된 차량의 기능은 그대로 유지하면서(예 : 운전 조작 편의성과 안전성을 유지하면서), 차량에 기본으로 장착되어 있는 운전 조작부의 기능을 대신(또는 겸용)할 수 있는 튜닝용품을 추가로 부착하는 간편한 튜닝(즉, 개인이 차량 용품점에서 구입하여 부착할 수 있는 튜닝)을 실시한 후, 상기 튜닝용품을 이용한 운전 조작을 통해서 적은 튜닝 비용으로 운전 조작의 재미(또는 조작감)를 느끼거나, 기존에 차량을 조작하던 익숙한 방식으로 차량을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튜닝이 요구되고 있는 상황이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6-0012550호(2006.02.08. 공개, 자동차 페달에 부착되는 진동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차량의 개조나 차량에 기본으로 장착되어 있는 부품을 변경하지 않고, 차량에 기본으로 장착되어 있는 운전 조작부의 기능을 대신하거나 겸용할 수 있는 튜닝용품을 추가로 부착하는 간편한 튜닝을 실시함으로써, 상기 튜닝용품을 이용한 운전 조작을 통해서 운전 조작의 재미나 조작감을 느끼게 하거나 기존에 차량을 조작하던 익숙한 방식으로 차량을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운전 조작부 튜닝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의 운전 조작부 튜닝 장치는, 차량에 부착하는 방식으로 튜닝을 실시하여 차량에 기본으로 장착되어 있는 운전 조작부의 기능을 대신하거나 겸용하여 차량을 조작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튜닝용품; 및 상기 튜닝용품이 사용자에 의해 조작됨에 따라 각 튜닝용품별 조작 신호를 수신하여 차량의 전자제어장치(ECU : Electronic Control Unit)가 인식할 수 있는 포맷의 조작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전자제어장치(ECU)에 전달하는 튜닝용품 인터페이스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튜닝용품은, 사용자의 손이나 발에 의해 작동하는 운전 조작부로서, 변속기, 클러치, 핸들, 풋 브레이크, 핸드 브레이크, 및 시동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운전 조작부의 기능을 대신하거나 겸용할 수 있는 튜닝용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자제어장치는, 상기 튜닝용품 인터페이스 장치로부터 전달되는 튜닝용품별 조작 신호에 대응하여 차량을 구동하며, 또한 상기 차량에 기본으로 장착되어 있는 운전 조작부의 조작에 대응하여 차량을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튜닝용품 인터페이스 장치는, 사용자가 착각하지 않고 차량에 정상 인터페이스 된 튜닝용품의 조작에 의해 차량을 구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튜닝용품이 물리적 및 전기적으로 정상 인터페이스 된 상태인지 체크하여 조작 가능한 상태인지 여부를 알람하도록 구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튜닝용품 인터페이스 장치는, 상기 튜닝용품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나 신호를 전달하는 제1 통신부; 상기 튜닝용품의 조작 신호를 상기 전자제어장치(ECU)가 인식할 수 있는 포맷의 조작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전자제어장치(ECU)에 전달하는 조작신호 출력부; 상기 튜닝용품으로부터 전달받은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튜닝용품의 상태 또는 상기 튜닝용품과의 인터페이스 여부에 대한 상태 정보나 상태 알람을 출력하는 상태 알람부; 사용자가 튜닝용품의 조작 시 상기 조작되는 튜닝용품의 종류에 대응하는 조작반응 정보를 미리 저장하는 조작반응 저장부; 및 상기 제1 통신부, 조작신호 출력부, 상태 알람부, 및 조작반응 저장부를 제어하여 상기 튜닝용품을 상기 전자제어장치(ECU)에 인터페이스하고, 상기 튜닝용품의 조작에 대응하는 조작반응 정보를 미리 지정된 장치에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나 신호는, 튜닝용품의 전원 온/오프 정보, 튜닝용품의 조작 신호, 튜닝용품의 탈부착 감지 신호, 및 튜닝용품의 조작에 따라 출력할 조작반응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작반응은, 배기음, 변속음, 엔진음, 및 햅틱반응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태 알람부, 조작반응 출력수단이 구비된 튜닝용품, 및 차량의 AVN(Audio Video Navigation)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튜닝용품의 조작에 대응하는 조작반응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튜닝용품은, 상기 튜닝용품 인터페이스 장치와 통신 연결하여 튜닝용품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태에 관련된 정보를 전달하는 제2 통신부; 사용자의 손이나 발을 통해 튜닝용품의 종류에 해당하는 조작이 수행되는 조작부; 상기 조작부의 조작 정보 및 상기 튜닝용품이 차량의 지정된 튜닝용품 부착부에 부착되는지에 대한 탈부착 정보를 검출하는 센서부; 및 상기 튜닝용품의 구동을 위한 전원의 공급, 전원의 온오프 스위칭, 및 전원 잔량의 체크 기능을 구비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튜닝용품의 종류에 해당하는 조작은, 레버 조작, 핸들 조작, 클러치 조작, 브레이크 조작, 및 시동키 조작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 통신부는, 전원부가 스위칭 온 상태에 있는 동안 센서부 및 전원부에서 상태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여 이 수집한 정보를 상기 튜닝용품 인터페이스 장치에 전달하되, 상기 수집한 정보는, 튜닝용품의 전원 온/오프 정보, 튜닝용품의 조작 신호, 및 튜닝용품의 탈부착 감지 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튜닝용품은, 튜닝용품의 조작에 대응하여 지정된 조작반응을 출력할 수 있는 조작반응 출력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조작반응 출력수단은, 상기 튜닝용품 인터페이스 장치로부터 전달받은 조작반응 정보를 출력하되, 상기 조작반응 정보는, 배기음, 변속음, 엔진음, 및 햅틱반응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튜닝용품 인터페이스 장치는, 튜닝용품과 통신이 연결될 경우, 상기 튜닝용품에서 전달되는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튜닝용품의 전원 잔량을 체크하고, 상기 튜닝용품의 전원 잔량을 체크한 결과, 상기 튜닝용품의 전원 잔량이 미리 설정된 기준 이하인 경우 알람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튜닝용품 인터페이스 장치는, 튜닝용품과 통신이 연결될 경우, 상기 튜닝용품에서 전달되는 정보를 바탕으로 해당 튜닝용품이 차량의 지정된 튜닝용품 부착부에 부착되었는지 감지하고, 상기 튜닝용품이 차량의 지정된 튜닝용품 부착부에 정상적으로 부착된 상태에서 해당 튜닝용품의 조작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튜닝용품의 조작 신호를 전자제어장치(ECU)가 인식할 수 있는 포맷의 조작 신호로 변환하여 전자제어장치(ECU)에 전달하며, 사용자가 튜닝용품의 조작 시 상기 조작되는 튜닝용품의 종류에 대응하는 조작반응을 지정된 조작반응 출력장치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튜닝용품 인터페이스 장치는, 튜닝용품이 차량에 부착되어 주행중인 경우, 상기 부착된 튜닝용품의 전원 공급 상태 및 통신 연결 상태를 지속적으로 감시하고, 상기 튜닝용품의 상태가 미리 지정된 상태가 아닌 경우 알람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튜닝용품 인터페이스 장치는, 튜닝용품이 차량에 부착되어 주행중인 경우, 상기 부착된 튜닝용품의 탈착 여부를 지속적으로 감시하고, 상기 튜닝용품이 안정적으로 부착되지 않아 탈부착 신호가 간헐적으로 수신되거나 탈착되는 경우 알람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튜닝용품 인터페이스 장치는, 튜닝용품과 통신이 연결될 경우, 미리 지정된 방식으로 튜닝용품이 조작됨에 따라, 상기 튜닝용품에서 전달되는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튜닝용품의 감도 설정 정보가 입력되는지 체크하고, 상기 감도 설정 정보가 입력됨에 따라 해당 튜닝용품의 감도 설정 정보를 내부 메모리에 저장하며, 상기 튜닝용품과 통신이 연결된 상태에서 감도 설정 정보가 입력되지 않고 내부 메모리에 해당 튜닝용품의 감도 설정 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경우, 상기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튜닝용품의 감도 설정 정보를 로딩하고, 상기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튜닝용품의 감도 설정 정보가 로딩된 상태에서, 상기 튜닝용품에서 전달되는 정보를 바탕으로, 해당 튜닝용품의 조작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로딩된 감도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튜닝용품에서 출력된 조작 신호를 상기 전자제어장치(ECU)가 인식할 수 있는 포맷의 조작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전자제어장치(ECU)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의 운전 조작부 튜닝 장치의 제어 방법은, 차량에 부착되는 튜닝용품과 상기 튜닝용품을 차량의 전자제어장치(ECU)와 인터페이스 하여 차량에 기본으로 장착되어 있는 운전 조작부의 기능을 대신하거나 겸용하여 차량을 조작할 수 있게 하는 튜닝용품 인터페이스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의 운전 조작부 튜닝 장치를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튜닝용품 인터페이스 장치의 제어부가, 상기 튜닝용품과 통신이 연결될 경우, 상기 튜닝용품에서 전달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튜닝용품의 전원 잔량을 체크하는 단계; 및 상기 튜닝용품의 전원 잔량을 체크한 결과, 상기 튜닝용품의 전원 잔량이 미리 설정된 기준 이하인 경우 알람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튜닝용품과 통신이 연결될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튜닝용품에서 전달되는 정보를 바탕으로 해당 튜닝용품이 차량의 지정된 튜닝용품 부착부에 부착되었는지 감지하는 단계; 상기 튜닝용품이 차량의 지정된 튜닝용품 부착부에 정상적으로 부착된 상태에서 해당 튜닝용품의 조작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튜닝용품의 조작 신호를 전자제어장치(ECU)가 인식할 수 있는 포맷의 조작 신호로 변환하여 전자제어장치(ECU)에 전달하는 단계; 및 사용자가 튜닝용품의 조작 시 상기 조작되는 튜닝용품의 종류에 대응하는 조작반응을 지정된 조작반응 출력장치에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튜닝용품이 차량에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튜닝용품의 전원 공급 상태 및 통신 연결 상태를 감시하는 단계; 및 상기 튜닝용품의 전원 공급 상태 및 통신 연결 상태가 미리 지정된 상태가 아닌 경우 알람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튜닝용품이 차량에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부착된 튜닝용품의 탈착 여부를 지속적으로 감시하는 단계; 및 상기 튜닝용품이 안정적으로 부착되지 않아 탈부착 신호가 간헐적으로 수신되거나 탈착되는 경우 알람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튜닝용품과 통신이 연결될 경우, 상기 제어부가, 지정된 방식으로 튜닝용품이 조작됨에 따라 상기 튜닝용품에서 전달되는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튜닝용품의 감도 설정 정보가 입력되는지 체크하는 단계; 상기 감도 설정 정보가 입력됨에 따라 해당 튜닝용품의 감도 설정 정보를 내부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튜닝용품과 통신이 연결된 상태에서 감도 설정 정보가 입력되지 않고 내부 메모리에 해당 튜닝용품의 감도 설정 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경우, 상기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튜닝용품의 감도 설정 정보를 로딩하는 단계; 및 상기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튜닝용품의 감도 설정 정보가 로딩된 상태에서, 상기 튜닝용품에서 전달되는 정보를 바탕으로, 해당 튜닝용품의 조작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로딩된 감도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튜닝용품에서 출력된 조작 신호를 상기 전자제어장치(ECU)가 인식할 수 있는 포맷의 조작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전자제어장치(ECU)에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사용자가 차량의 개조나 차량에 기본으로 장착되어 있는 부품을 변경하지 않고, 차량에 기본으로 장착되어 있는 운전 조작부의 기능을 대신하거나 겸용할 수 있는 튜닝용품을 추가로 부착하는 간편한 튜닝을 실시하는 것만으로, 상기 튜닝용품을 이용한 운전 조작을 통해서 적은 튜닝 비용으로 운전 조작의 재미나 조작감을 느끼게 하거나 기존에 차량을 조작하던 익숙한 방식으로 차량을 익숙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운전 조작부 튜닝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운전 조작부 튜닝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운전 조작부 튜닝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운전 조작부 튜닝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운전 조작부 튜닝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운전 조작부 튜닝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운전 조작부 튜닝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운전 조작부 튜닝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운전 조작부 튜닝 장치는, 차량의 내부 바디에 구현되는 튜닝용품 부착부(300)와 전원 및 통신 연결부(400)를 포함한다.
즉, 상기 튜닝용품 부착부(300)와 전원 및 통신 연결부(400)는 튜닝용품(200)을 물리적 및 전기적으로 부착(또는 연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차량의 내부 바디에 미리 구현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다만 상기 가정(즉 상기 튜닝용품 부착부(300)와 전원 및 통신 연결부(400)가 차량의 내부 바디에 미리 구현되어 있는 것)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기재된 것이며, 반드시 차량 내부에 미리 구현되어 있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튜닝용품 부착부(300)와 전원 및 통신 연결부(400)가 차량의 내부 바디에 미리 구현되어 있지 않더라도 튜닝용품(200) 자체에 차량 부착을 위한 구성요소(예 : 볼트, 너트, 테이프, 접착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기존에 차량에 구비되어 있는 전원 콘센트(예 : 12V 용, 24V 용)를 이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구성요소(즉, 튜닝용품 부착부(300)와 전원 및 통신 연결부(400))는 튜닝용품(200) 부착 시 차량의 내부 미관과 부착의 편의성을 고려한 것임에 유의한다.
여기서 상기 튜닝용품(200)은 운전 조작부(예 : 변속기, 클러치, 핸들, 풋 브레이크, 핸드 브레이크, 시동키 등)에 대응하는 것이다. 따라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튜닝용품(200)이 차량 내부에 부착(또는 탈착)될 수 있다.
즉, 상기 튜닝용품(200)은 차량에 기본으로 장착되어 있는 운전 조작부의 기능을 대신하거나 겸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 튜닝용품(200)을 차량에 추가로 부착하는 간편한 튜닝을 실시하는 것만으로, 상기 차량에 기본으로 장착되어 있는 운전 조작부의 기능을 대신하거나 겸용하여 차량을 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차량 내부에 부착된 튜닝용품(200)이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면, 이 튜닝용품(200)의 조작 신호가 차량 내부에 미리 구비되어 있는 전자제어장치(ECU : Electronic Control Unit)에 전달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전자제어장치(ECU)는 튜닝용품(200)으로부터 조작 신호가 입력되면 이 조작 신호에 대응하여 차량을 구동한다.
그런데 본래 차량에는 운전 조작부용 튜닝용품(200)을 인터페이스할 수 있도록 구현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상기 튜닝용품(200)의 조작 신호를 상기 전자제어장치(ECU)에 전달하기 위해서, 본 실시예에는 튜닝용품 인터페이스 장치(1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튜닝용품 인터페이스 장치(100)는 차량 내부에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튜닝용품(200)에 통신 연결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튜닝용품(200)의 조작 신호를 각기 검출하여 각 튜닝용품별 조작 신호를 상기 전자제어장치(ECU)가 인식할 수 있는 포맷의 조작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전자제어장치(ECU)에 전달한다.
또한 상기 튜닝용품 인터페이스 장치(100)는 튜닝용품(200)의 조작에 의해 차량을 구동할 수 있는 상태인지 체크하여(즉, 각 튜닝용품이 전자제어장치(ECU)에 인터페이스 되어 있는지 체크하여) 조작 가능한 상태인지 여부를 알람 함으로써, 운전자의 착각(예 : 튜닝용품이 전자제어장치(ECU)에 인터페이스 되어 있지 않은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튜닝용품의 조작에 의해 차량을 구동한다고 착각)에 의한 안전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튜닝용품 인터페이스 장치(100)는 사용자(즉, 운전자)가 튜닝용품(200)의 조작 시 상기 조작되는 튜닝용품의 종류에 대응하는 조작반응(예 : 배기음, 변속음, 엔진음, 햅틱반응(진동) 등)을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운전 조작을 통해 느끼던 재미(또는 조작감)를 더욱 느낄 수 있도록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튜닝용품 인터페이스 장치(100)는, 제어부(110), 제1 통신부(120), 상태 알람부(130), 조작신호 출력부(140), 및 조작반응 저장부(15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튜닝용품(200)은 조작부(또는 운전 조작부)용 튜닝용품으로서, 조작부(210), 센서부(220), 제2 통신부(230), 및 전원부(24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통신부(120)는 상기 튜닝용품(200)의 제2 통신부(230)와 유무선 방식으로 통신 연결하여 상기 튜닝용품(200)으로부터 전송되는 정보(예 : 전원 온/오프, 조작 신호, 탈부착 감지 신호 등)를 수신한다.
상기 조작신호 출력부(140)는 상기 튜닝용품(200)으로부터 수신한 정보(예 : 전원 온/오프, 조작 신호, 탈부착 감지 신호 등)를 차량의 전자제어장치(ECU)에 전송한다. 예컨대 상기 조작신호 출력부(140)는,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상기 튜닝용품(200)의 조작 신호를 상기 전자제어장치(ECU)가 인식할 수 있는 포맷의 조작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전자제어장치(ECU)에 전달한다.
상기 상태 알람부(130)는 상기 튜닝용품(200)으로부터 수신한 정보(예 : 전원 온/오프, 조작 신호, 탈부착 감지 신호 등)를 바탕으로 상기 튜닝용품(200)의 상태 또는 상기 튜닝용품(200)과의 인터페이스 여부(즉, 통신 연결)에 대한 상태 정보를 출력하거나 상태 알람을 출력한다.
예컨대 상기 상태 알람부(13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각적인 수단(예 : 엘이디, 엘시디 등)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청각적인 수단(예 : 스피커, 부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태 알람부(130)의 기능은 차량에 장착되어 있는 AVN(Audio, Video, Navigation) 장치로 대체될 수도 있다.
상기 조작반응 저장부(150)는 사용자(즉, 운전자)가 튜닝용품(200)의 조작 시 상기 조작되는 튜닝용품의 종류에 대응하는 조작반응(예 : 배기음, 변속음, 엔진음, 햅틱반응(진동) 등)을 미리 저장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110)는 지정된 조건이 되었을 때 튜닝용품(200)의 조작에 대응하는 조작반응을 인출하여 출력(예 : 상태 알람부를 통한 출력, 튜닝용품(조작반응 출력수단이 구비된 튜닝용품)을 통한 출력, 또는 AVN 장치를 통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구성요소(120 ~ 150)를 제어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튜닝용품(200)을 인터페이스 한다.
상기 제2 통신부(230)는 상기 튜닝용품 인터페이스 장치(100)의 제1 통신부(120)와 유무선 방식으로 통신 연결하여 튜닝용품(200)의 정보(예 : 전원 온/오프, 조작 신호, 탈부착 감지 신호 등)를 전달한다. 즉, 상기 제2 통신부(230)는 상기 전원부(240)가 스위칭 온 상태에 있는 동안 상기 센서부(220) 및 전원부(240)에서 상태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여 이 수집한 정보(예 : 전원 온/오프, 조작 신호, 탈부착 감지 신호 등)를 상기 제1 통신부(120)를 통해 전달한다.
이때 도면에는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만약 튜닝용품(200)에 조작반응 출력수단이 구비된 경우, 상기 제1 통신부(120)로부터 튜닝용품(200)의 조작에 대응하는 조작반응(예 : 배기음, 변속음, 엔진음, 햅틱반응(진동) 등)을 수신하여 튜닝용품(200)에 구비된 조작반응 출력수단(미도시)을 통해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조작부(210)는 사용자의 손이나 발을 통해 튜닝용품(200)의 종류(예 : 변속기, 클러치, 핸들, 풋 브레이크, 핸드 브레이크, 시동키 등)에 따라 해당하는 조작(예 : 레버 조작, 핸들 조작, 클러치 조작, 브레이크 조작, 시동키 조작 등)이 수행된다.
상기 센서부(220)는 상기 조작부(210)의 조작 정보 및 상기 튜닝용품(200)이 차량의 튜닝용품 부착부(300)에 부착되는지에 대한 탈부착 정보를 검출한다. 예컨대 상기 센서부(220)는 변위센서, 압력센서, 적외선센서, 초음파센서, 접촉센서 등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한다.
상기 전원부(240)는 상기 튜닝용품(200)의 구동을 위한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전원부(240)는 배터리(BAT)를 이용해 구동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차량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컨대 상기 전원부(240)는 전원 온오프 스위치 및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 미도시)이나 배터리 잔량 검출 수단(미도시)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 미도시)이나 배터리 잔량 검출 수단(미도시)은 칩(chip)을 이용해 소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차량의 운전 조작부 튜닝 장치의 동작에 대해서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운전 조작부 튜닝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튜닝용품 인터페이스 장치(100)의 제어부(110)는 튜닝용품(200)과 통신이 연결될 경우(S101의 예), 상기 튜닝용품(200)에서 전달되는 정보(예 : 전원 온/오프, 조작 신호, 탈부착 감지 신호 등)를 바탕으로 상기 튜닝용품(200)의 전원 잔량을 체크한다(S102).
상기 튜닝용품(200)의 전원 잔량을 체크한 결과, 상기 튜닝용품(200)의 전원 잔량이 미리 설정된 기준(예 : 30% 이하) 이하인 경우(S103의 예), 상기 제어부(110)는 상태 알람을 출력한다(S104).
왜냐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튜닝용품(200)는 단순히 미관을 위한 튜닝용품이 아니라, 차량에 기본으로 장착되어 있는 운전 조작부(예 : 변속기, 클러치, 핸들, 풋 브레이크, 핸드 브레이크, 시동키 등)를 대신하여(또는 겸용으로) 운전 조작을 수행할 수 있는 튜닝용품이기 때문에 만약 조작 중 전원의 불안정 공급으로 조작 오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상태 알람을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즉, 운전자)는 튜닝용품(200)에 의한 운전 조작을 중지하고, 차량에 기본으로 장착되어 있는 운전 조작부(예 : 변속기, 클러치, 핸들, 풋 브레이크, 핸드 브레이크, 시동키 등)를 통해 운전 조작을 실시함으로써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운전 조작부 튜닝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튜닝용품 인터페이스 장치(100)의 제어부(110)는 튜닝용품(200)과 통신이 연결될 경우(S201의 예), 상기 튜닝용품(200)에서 전달되는 정보(예 : 전원 온/오프, 조작 신호, 탈부착 감지 신호 등)를 바탕으로 해당 튜닝용품(200)이 튜닝용품 부착부(300)에 부착되었는지 감지한다(S202).
즉, 상기 튜닝용품(200)의 종류에 따라 조작을 수행할 수 있는 지정된 위치에 정상적으로 부착되었는지 체크한다. 이는 상기 튜닝용품(200)이 지정된 위치에 정상적으로 부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불안정 조작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안전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통신이 연결된 튜닝용품(200)이 차량의 지정된 위치에 정상적으로 부착된 상태(S202의 예)에서 해당 튜닝용품(200)의 조작 신호가 수신되면(S203의 예),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튜닝용품(200)의 조작 신호를 전자제어장치(ECU)에 전달한다(S204).
이때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튜닝용품(200)의 조작 신호를 상기 전자제어장치(ECU)가 인식할 수 있는 포맷의 조작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전자제어장치(ECU)에 전달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사용자(즉, 운전자)가 튜닝용품(200)의 조작 시 상기 조작되는 튜닝용품의 종류에 대응하는 조작반응(예 : 배기음, 변속음, 엔진음, 햅틱반응(진동) 등)을 출력(예 : 상태 알람부를 통한 출력, 튜닝용품(조작반응 출력수단이 구비된 튜닝용품)을 통한 출력, 또는 AVN 장치를 통한 출력)한다(S205).
이에 따라 사용자는 튜닝용품(200)을 이용한 운전 조작의 재미(또는 조작감)을 더욱 느낄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운전 조작부 튜닝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10)는 튜닝용품(200)이 차량에 부착되어 주행중인 경우, 상기 부착된 튜닝용품(200)의 상태(예 : 전원 공급 상태, 통신 연결 상태)를 지속적으로 감시한다(S301).
이에 따라 상기 튜닝용품(200)의 상태(예 : 전원 공급 상태, 통신 연결 상태)가 미리 지정된 정상 상태(예 : 전원 잔량이 30% 이하, 통신 단절이나 통신 속도 저하)가 아닌 경우(S302의 아니오), 상기 제어부(110)는 상태 알람을 출력한다(S303).
상기와 같이 상태 알람을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즉, 운전자)는 튜닝용품(200)에 의한 운전 조작을 중지하고, 차량에 기본으로 장착되어 있는 운전 조작부(예 : 변속기, 클러치, 핸들, 풋 브레이크, 핸드 브레이크, 시동키 등)를 통해 운전 조작을 실시함으로써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차량이 자율주행 차량인 경우, 자동 모드(또는 자율주행 모드)로 전환되어 상기 제어부(110)가 전자제어장치(ECU)를 통해 자동으로 운전 조작을 수행하게 한다(S304).
이에 따라 사용자가 차량에 기본으로 장착되어 있는 운전 조작부(예 : 변속기, 클러치, 핸들, 풋 브레이크, 핸드 브레이크, 시동키 등)를 통해 운전 조작으로 전환하는 동안에 발생할 수 있는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운전 조작부 튜닝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10)는 튜닝용품(200)이 차량에 부착되어 주행중인 경우, 상기 부착된 튜닝용품(200)의 탈착 여부를 지속적으로 감시한다(S401).
이에 따라 상기 튜닝용품(200)이 안정적으로 부착되지 않거나(예 : 부착 신호가 간헐적으로 수신되는 경우) 탈착되는 경우(S402의 예), 상기 제어부(110)는 상태 알람을 출력한다(S403).
상기와 같이 상태 알람을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즉, 운전자)는 튜닝용품(200)에 의한 운전 조작을 중지하고, 차량에 기본으로 장착되어 있는 운전 조작부(예 : 변속기, 클러치, 핸들, 풋 브레이크, 핸드 브레이크, 시동키 등)를 통해 운전 조작을 실시함으로써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차량이 자율주행 차량인 경우, 자동 모드(또는 자율주행 모드)로 전환되어 상기 제어부(110)가 전자제어장치(ECU)를 통해 자동으로 운전 조작을 수행하게 한다(S404).
이에 따라 사용자가 차량에 기본으로 장착되어 있는 운전 조작부(예 : 변속기, 클러치, 핸들, 풋 브레이크, 핸드 브레이크, 시동키 등)를 통해 운전 조작으로 전환하는 동안에 발생할 수 있는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운전 조작부 튜닝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튜닝용품 인터페이스 장치(100)의 제어부(110)는 튜닝용품(200)과 통신이 연결될 경우(S501의 예), 미리 지정된 방식으로 튜닝용품(200)이 조작됨에 따라, 상기 튜닝용품(200)에서 전달되는 정보(예 : 전원 온/오프, 조작 신호, 탈부착 감지 신호 등)를 바탕으로, 상기 튜닝용품(200)의 감도 설정 정보(예 : 핸들의 조향 각도, 브레이크의 압력이나 변위, 조작반응의 크기 등)가 입력되는지 체크한다(S502).
만약 동일 차량을 조작하는 사용자(운전자)가 복수일 경우, 각기 별도의 감도 설정 정보가 저장될 수 있으며, 상기 감도 설정 정보가 입력됨에 따라(S502의 예) 상기 제어부(110)는 해당 튜닝용품(200)의 감도 설정 정보를 내부 메모리(미도시)에 저장한다(S503).
이때 상기 내부 메모리(미도시)에는 튜닝용품(200)별 디폴트 감도 설정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튜닝용품(200)과 통신이 연결된 상태에서 감도 설정 정보가 입력되지 않고(S502의 아니오) 내부 메모리(미도시)에 해당 튜닝용품(200)의 감도 설정 정보(디폴트 감도 설정 정보 포함)가 저장되어 있을 경우(S504의 예),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내부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된 튜닝용품(200)의 감도 설정 정보를 로딩한다(S506).
그런데 만약 내부 메모리(미도시)에 해당 튜닝용품(200)의 감도 설정 정보(디폴트 감도 설정 정보 포함)가 저장되어 있지 않거나 다른 임의의 이유에 의해 삭제된 경우(S504의 아니오), 상기 제어부(110)는 상태 알람부(130) 또는 차량의 AVN 장치(미도시)를 통해 해당 튜닝용품(200)의 감도 설정 정보를 설정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S505).
이에 따라 상기 내부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된 튜닝용품(200)의 감도 설정 정보가 로딩된 상태(S506)에서, 상기 튜닝용품(200)에서 전달되는 정보(예 : 전원 온/오프, 조작 신호, 탈부착 감지 신호 등)를 바탕으로, 해당 튜닝용품(200)의 조작 신호가 수신되면(S507의 예),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로딩된 감도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튜닝용품(200)에서 출력된 조작 신호를 상기 전자제어장치(ECU)가 인식할 수 있는 포맷의 조작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전자제어장치(ECU)에 전달한다(S508).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는 사용자가 차량의 개조나 기본으로 장착되어 있는 부품을 변경하지 않고, 차량에 기본으로 장착되어 있는 운전 조작부의 기능을 대신하거나 겸용할 수 있는 튜닝용품을 추가로 부착하는 간편한 튜닝을 실시하는 것만으로, 상기 튜닝용품을 이용한 운전 조작을 통해서 적은 튜닝 비용으로 운전 조작의 재미나 조작감을 느끼게 하거나 기존에 차량을 조작하던 익숙한 방식으로 차량을 익숙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구현은, 예컨대, 방법 또는 프로세스, 장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데이터 스트림 또는 신호로 구현될 수 있다. 단일 형태의 구현의 맥락에서만 논의(예컨대, 방법으로서만 논의)되었더라도, 논의된 특징의 구현은 또한 다른 형태(예컨대, 장치 또는 프로그램)로도 구현될 수 있다. 장치는 적절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펌웨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방법은, 예컨대, 컴퓨터, 마이크로프로세서, 집적 회로 또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로직 디바이스 등을 포함하는 프로세싱 디바이스를 일반적으로 지칭하는 프로세서 등과 같은 장치에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최종-사용자 사이에 정보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컴퓨터, 셀 폰, 휴대용/개인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및 다른 디바이스 등과 같은 통신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100 : 튜닝용품 인터페이스 장치 110 : 제어부
120 : 제1 통신부 130 : 상태 알람부
140 : 조작신호 출력부 150 : 조작반응 저장부
200 : 튜닝용품 210 : 조작부
220 : 센서부 130 : 제2 통신부
240 : 전원부 300 : 튜닝용품 부착부
400 : 전원 및 통신 연결부

Claims (21)

  1. 차량에 부착하는 방식으로 튜닝을 실시하여 차량에 기본으로 장착되어 있는 운전 조작부의 기능을 대신하거나 겸용하여 차량을 조작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튜닝용품; 및
    상기 튜닝용품이 사용자에 의해 조작됨에 따라 각 튜닝용품별 조작 신호를 수신하여 차량의 전자제어장치(ECU : Electronic Control Unit)가 인식할 수 있는 포맷의 조작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전자제어장치(ECU)에 전달하는 튜닝용품 인터페이스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운전 조작부 튜닝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튜닝용품은,
    사용자의 손이나 발에 의해 작동하는 운전 조작부로서,
    변속기, 클러치, 핸들, 풋 브레이크, 핸드 브레이크, 및 시동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운전 조작부의 기능을 대신하거나 겸용할 수 있는 튜닝용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운전 조작부 튜닝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제어장치는,
    상기 튜닝용품 인터페이스 장치로부터 전달되는 튜닝용품별 조작 신호에 대응하여 차량을 구동하며, 또한
    상기 차량에 기본으로 장착되어 있는 운전 조작부의 조작에 대응하여 차량을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운전 조작부 튜닝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튜닝용품 인터페이스 장치는,
    사용자가 착각하지 않고 차량에 정상 인터페이스 된 튜닝용품의 조작에 의해 차량을 구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튜닝용품이 물리적 및 전기적으로 정상 인터페이스 된 상태인지 체크하여 조작 가능한 상태인지 여부를 알람하도록 구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운전 조작부 튜닝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튜닝용품 인터페이스 장치는,
    상기 튜닝용품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나 신호를 전달하는 제1 통신부;
    상기 튜닝용품의 조작 신호를 상기 전자제어장치(ECU)가 인식할 수 있는 포맷의 조작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전자제어장치(ECU)에 전달하는 조작신호 출력부;
    상기 튜닝용품으로부터 전달받은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튜닝용품의 상태 또는 상기 튜닝용품과의 인터페이스 여부에 대한 상태 정보나 상태 알람을 출력하는 상태 알람부;
    사용자가 튜닝용품의 조작 시 상기 조작되는 튜닝용품의 종류에 대응하는 조작반응 정보를 미리 저장하는 조작반응 저장부; 및
    상기 제1 통신부, 조작신호 출력부, 상태 알람부, 및 조작반응 저장부를 제어하여 상기 튜닝용품을 상기 전자제어장치(ECU)에 인터페이스하고, 상기 튜닝용품의 조작에 대응하는 조작반응 정보를 미리 지정된 장치에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운전 조작부 튜닝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나 신호는,
    튜닝용품의 전원 온/오프 정보, 튜닝용품의 조작 신호, 튜닝용품의 탈부착 감지 신호, 및 튜닝용품의 조작에 따라 출력할 조작반응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운전 조작부 튜닝 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반응은,
    배기음, 변속음, 엔진음, 및 햅틱반응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태 알람부, 조작반응 출력수단이 구비된 튜닝용품, 및 차량의 AVN(Audio Video Navigation)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튜닝용품의 조작에 대응하는 조작반응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운전 조작부 튜닝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튜닝용품은,
    상기 튜닝용품 인터페이스 장치와 통신 연결하여 튜닝용품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태에 관련된 정보를 전달하는 제2 통신부;
    사용자의 손이나 발을 통해 튜닝용품의 종류에 해당하는 조작이 수행되는 조작부;
    상기 조작부의 조작 정보 및 상기 튜닝용품이 차량의 지정된 튜닝용품 부착부에 부착되는지에 대한 탈부착 정보를 검출하는 센서부; 및
    상기 튜닝용품의 구동을 위한 전원의 공급, 전원의 온오프 스위칭, 및 전원 잔량의 체크 기능을 구비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운전 조작부 튜닝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튜닝용품의 종류에 해당하는 조작은,
    레버 조작, 핸들 조작, 클러치 조작, 브레이크 조작, 및 시동키 조작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운전 조작부 튜닝 장치.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통신부는,
    전원부가 스위칭 온 상태에 있는 동안 센서부 및 전원부에서 상태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여 이 수집한 정보를 상기 튜닝용품 인터페이스 장치에 전달하되,
    상기 수집한 정보는,
    튜닝용품의 전원 온/오프 정보, 튜닝용품의 조작 신호, 및 튜닝용품의 탈부착 감지 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운전 조작부 튜닝 장치.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튜닝용품은,
    튜닝용품의 조작에 대응하여 지정된 조작반응을 출력할 수 있는 조작반응 출력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조작반응 출력수단은,
    상기 튜닝용품 인터페이스 장치로부터 전달받은 조작반응 정보를 출력하되,
    상기 조작반응 정보는,
    배기음, 변속음, 엔진음, 및 햅틱반응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운전 조작부 튜닝 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튜닝용품 인터페이스 장치는,
    튜닝용품과 통신이 연결될 경우, 상기 튜닝용품에서 전달되는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튜닝용품의 전원 잔량을 체크하고,
    상기 튜닝용품의 전원 잔량을 체크한 결과, 상기 튜닝용품의 전원 잔량이 미리 설정된 기준 이하인 경우 알람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운전 조작부 튜닝 장치.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튜닝용품 인터페이스 장치는,
    튜닝용품과 통신이 연결될 경우, 상기 튜닝용품에서 전달되는 정보를 바탕으로 해당 튜닝용품이 차량의 지정된 튜닝용품 부착부에 부착되었는지 감지하고,
    상기 튜닝용품이 차량의 지정된 튜닝용품 부착부에 정상적으로 부착된 상태에서 해당 튜닝용품의 조작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튜닝용품의 조작 신호를 전자제어장치(ECU)가 인식할 수 있는 포맷의 조작 신호로 변환하여 전자제어장치(ECU)에 전달하며,
    사용자가 튜닝용품의 조작 시 상기 조작되는 튜닝용품의 종류에 대응하는 조작반응을 지정된 조작반응 출력장치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운전 조작부 튜닝 장치.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튜닝용품 인터페이스 장치는,
    튜닝용품이 차량에 부착되어 주행중인 경우, 상기 부착된 튜닝용품의 전원 공급 상태 및 통신 연결 상태를 지속적으로 감시하고,
    상기 튜닝용품의 상태가 미리 지정된 상태가 아닌 경우 알람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운전 조작부 튜닝 장치.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튜닝용품 인터페이스 장치는,
    튜닝용품이 차량에 부착되어 주행중인 경우, 상기 부착된 튜닝용품의 탈착 여부를 지속적으로 감시하고,
    상기 튜닝용품이 안정적으로 부착되지 않아 탈부착 신호가 간헐적으로 수신되거나 탈착되는 경우 알람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운전 조작부 튜닝 장치.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튜닝용품 인터페이스 장치는,
    튜닝용품과 통신이 연결될 경우, 미리 지정된 방식으로 튜닝용품이 조작됨에 따라, 상기 튜닝용품에서 전달되는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튜닝용품의 감도 설정 정보가 입력되는지 체크하고,
    상기 감도 설정 정보가 입력됨에 따라 해당 튜닝용품의 감도 설정 정보를 내부 메모리에 저장하며,
    상기 튜닝용품과 통신이 연결된 상태에서 감도 설정 정보가 입력되지 않고 내부 메모리에 해당 튜닝용품의 감도 설정 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경우, 상기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튜닝용품의 감도 설정 정보를 로딩하고,
    상기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튜닝용품의 감도 설정 정보가 로딩된 상태에서, 상기 튜닝용품에서 전달되는 정보를 바탕으로, 해당 튜닝용품의 조작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로딩된 감도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튜닝용품에서 출력된 조작 신호를 상기 전자제어장치(ECU)가 인식할 수 있는 포맷의 조작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전자제어장치(ECU)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운전 조작부 튜닝 장치.
  17. 차량에 부착되는 튜닝용품과 상기 튜닝용품을 차량의 전자제어장치(ECU)와 인터페이스 하여 차량에 기본으로 장착되어 있는 운전 조작부의 기능을 대신하거나 겸용하여 차량을 조작할 수 있게 하는 튜닝용품 인터페이스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의 운전 조작부 튜닝 장치를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튜닝용품 인터페이스 장치의 제어부가,
    상기 튜닝용품과 통신이 연결될 경우, 상기 튜닝용품에서 전달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튜닝용품의 전원 잔량을 체크하는 단계; 및
    상기 튜닝용품의 전원 잔량을 체크한 결과, 상기 튜닝용품의 전원 잔량이 미리 설정된 기준 이하인 경우 알람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운전 조작부 튜닝 장치의 제어 방법.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튜닝용품과 통신이 연결될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튜닝용품에서 전달되는 정보를 바탕으로 해당 튜닝용품이 차량의 지정된 튜닝용품 부착부에 부착되었는지 감지하는 단계;
    상기 튜닝용품이 차량의 지정된 튜닝용품 부착부에 정상적으로 부착된 상태에서 해당 튜닝용품의 조작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튜닝용품의 조작 신호를 전자제어장치(ECU)가 인식할 수 있는 포맷의 조작 신호로 변환하여 전자제어장치(ECU)에 전달하는 단계; 및
    사용자가 튜닝용품의 조작 시 상기 조작되는 튜닝용품의 종류에 대응하는 조작반응을 지정된 조작반응 출력장치에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운전 조작부 튜닝 장치의 제어 방법.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튜닝용품이 차량에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튜닝용품의 전원 공급 상태 및 통신 연결 상태를 감시하는 단계; 및
    상기 튜닝용품의 전원 공급 상태 및 통신 연결 상태가 미리 지정된 상태가 아닌 경우 알람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운전 조작부 튜닝 장치의 제어 방법.
  20.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튜닝용품이 차량에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부착된 튜닝용품의 탈착 여부를 지속적으로 감시하는 단계; 및
    상기 튜닝용품이 안정적으로 부착되지 않아 탈부착 신호가 간헐적으로 수신되거나 탈착되는 경우 알람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운전 조작부 튜닝 장치의 제어 방법.
  21.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튜닝용품과 통신이 연결될 경우,
    상기 제어부가,
    지정된 방식으로 튜닝용품이 조작됨에 따라 상기 튜닝용품에서 전달되는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튜닝용품의 감도 설정 정보가 입력되는지 체크하는 단계;
    상기 감도 설정 정보가 입력됨에 따라 해당 튜닝용품의 감도 설정 정보를 내부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튜닝용품과 통신이 연결된 상태에서 감도 설정 정보가 입력되지 않고 내부 메모리에 해당 튜닝용품의 감도 설정 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경우, 상기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튜닝용품의 감도 설정 정보를 로딩하는 단계; 및
    상기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튜닝용품의 감도 설정 정보가 로딩된 상태에서, 상기 튜닝용품에서 전달되는 정보를 바탕으로, 해당 튜닝용품의 조작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로딩된 감도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튜닝용품에서 출력된 조작 신호를 상기 전자제어장치(ECU)가 인식할 수 있는 포맷의 조작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전자제어장치(ECU)에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운전 조작부 튜닝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190095876A 2019-08-07 2019-08-07 차량의 운전 조작부 튜닝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2861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5876A KR102286131B1 (ko) 2019-08-07 2019-08-07 차량의 운전 조작부 튜닝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5876A KR102286131B1 (ko) 2019-08-07 2019-08-07 차량의 운전 조작부 튜닝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8622A true KR20210018622A (ko) 2021-02-18
KR102286131B1 KR102286131B1 (ko) 2021-08-06

Family

ID=74688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5876A KR102286131B1 (ko) 2019-08-07 2019-08-07 차량의 운전 조작부 튜닝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613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83417A (ko) * 2012-12-26 2014-07-04 광주과학기술원 햅틱 보조 핸들 및 이의 동작 방법
KR20150128060A (ko) * 2014-05-08 2015-11-18 (주)스마트시스텍 원격조향구동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16151683A (ja) * 2015-02-18 2016-08-22 ▲福衛▼ 澤田 教習車及びそれを利用した教習方法
KR20170101536A (ko) * 2016-02-29 2017-09-06 전광섭 전자식 액셀 페달을 이용한 차량의 드라이브 성능 테스트 장치
KR20180046718A (ko) * 2016-10-28 2018-05-09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차량용 복합 무선 조작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83417A (ko) * 2012-12-26 2014-07-04 광주과학기술원 햅틱 보조 핸들 및 이의 동작 방법
KR20150128060A (ko) * 2014-05-08 2015-11-18 (주)스마트시스텍 원격조향구동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16151683A (ja) * 2015-02-18 2016-08-22 ▲福衛▼ 澤田 教習車及びそれを利用した教習方法
KR20170101536A (ko) * 2016-02-29 2017-09-06 전광섭 전자식 액셀 페달을 이용한 차량의 드라이브 성능 테스트 장치
KR20180046718A (ko) * 2016-10-28 2018-05-09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차량용 복합 무선 조작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6131B1 (ko) 2021-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093619B (zh) 在机动车中向车辆驾驶员发出警报的警报装置
JP6249303B2 (ja) 車両の停止維持装置
JP2010509120A (ja) 自動車用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アセンブリ、及び可搬式機能要素を動作させる方法
US10053002B2 (en) Trailer light check activation system
JP4923868B2 (ja) 自動制御装置
CN113147740B (zh) 车辆的底盘线控系统及其模式切换方法、车辆
KR20210018622A (ko) 차량의 운전 조작부 튜닝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008521678A (ja) 自動車の電気ブレーキ装置
US20090153313A1 (en) Control and Warning Device for a Lane Keeping System in Particular
EP3800102B1 (en) Automatic driving control system
US9296394B2 (en) Engine non-stop warning apparatus
JPH11263179A (ja) 車載制御装置
JP2004122993A (ja) 車載機器接続システム
KR102622388B1 (ko) 차량용 복합 무선 조작계
US20100034243A1 (en) Circuit Configuration for a Serial Communication With Wake Up Function
KR200448093Y1 (ko) 네비게이션 장치
JP6681021B2 (ja) 車両用情報提供装置
JP7285036B1 (ja) ペダル操作検知装置
JP4144937B2 (ja) 車両用盗難防止装置
JP5494505B2 (ja) 電源オフ誘導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230167820A (ko) 이륜차 장착식 단말기 제어용 리모컨 및 이의 구동방법
JP7406956B2 (ja) 車両緊急停止装置
US20230192110A1 (en) Method and system for vehicle drive mode selection
JP2016112953A (ja) 車両用計器
JP4776647B2 (ja) 遠隔操作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