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8283A - 화상처리 시스템, 촬상 장치, 화상처리 장치, 전자기기, 이것들의 제어 방법, 및 이것들의 제어 방법을 기억한 기억 매체 - Google Patents

화상처리 시스템, 촬상 장치, 화상처리 장치, 전자기기, 이것들의 제어 방법, 및 이것들의 제어 방법을 기억한 기억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8283A
KR20210018283A KR1020207035540A KR20207035540A KR20210018283A KR 20210018283 A KR20210018283 A KR 20210018283A KR 1020207035540 A KR1020207035540 A KR 1020207035540A KR 20207035540 A KR20207035540 A KR 20207035540A KR 20210018283 A KR20210018283 A KR 202100182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ata
predetermined area
subject
information indicating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55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츠시 고토
타카시 스기모토
요시카즈 카와이
요사토 히타카
토모키 쿠로다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claimed from PCT/JP2019/021094 external-priority patent/WO2019230724A1/ja
Publication of KR202100182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82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04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hysiological signal transmitted
    • A61B5/0013Medical image da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33Features or image-related aspects of imaging apparatus classified in A61B5/00, e.g. for MRI, optical tomography or impedance tomography apparatus; arrangements of imaging apparatus in a ro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77Devices for viewing the surface of the body, e.g. camera, magnifying le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7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7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1079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using optical or photograph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integumentary system, e.g. skin, hair or nails
    • A61B5/441Skin evaluation, e.g. for skin disorder diagnosis
    • A61B5/445Evaluating skin irritation or skin trauma, e.g. rash, eczema, wound, bed so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integumentary system, e.g. skin, hair or nails
    • A61B5/441Skin evaluation, e.g. for skin disorder diagnosis
    • A61B5/447Skin evaluation, e.g. for skin disorder diagnosis specially adapted for aiding the prevention of ulcer or pressure sore development, i.e. before the ulcer or sore has develop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0002Inspection of images, e.g. flaw detection
    • G06T7/0012Biomedical image insp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50Depth or shape recovery
    • G06T7/521Depth or shape recovery from laser ranging, e.g. using interferometry; from the projection of structured ligh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60Analysis of geometric attributes
    • G06T7/62Analysis of geometric attributes of area, perimeter, diameter or volume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3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 G16H3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for handling medical images, e.g. DICOM, HL7 or PAC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3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 G16H3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for processing medical images, e.g. edit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3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local opera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17Identification of pers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024Color ima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20Special algorithmic details
    • G06T2207/20081Training; Lear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20Special algorithmic details
    • G06T2207/20084Artificial neural networks [AN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004Biomedical image processing
    • G06T2207/30088Skin; Derm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hysi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ometr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udio Device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Image Analysis (AREA)

Abstract

환부영역을 평가할 때의 편리성을 향상시키는 화상처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 화상처리 장치는, 피사체로부터의 광을 수광해서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한 화상 데이터를 통신 네트워크에 출력하는 촬상 장치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고, 취득한 화상 데이터로부터 피사체의 소정의 영역을 추출하고, 추출한 소정의 영역의 추출 결과를 나타내는 정보를 통신 네트워크에 출력하는 화상처리 장치를, 가지고, 촬상 장치의 표시 수단이,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취득한 소정의 영역의 추출 결과를 나타내는 정보에 근거하는 표시를 행하는 화상처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화상처리 시스템, 촬상 장치, 화상처리 장치, 전자기기, 이것들의 제어 방법, 및 이것들의 제어 방법을 기억한 기억 매체
본 발명은, 화상으로부터 피사체의 소정의 영역의 평가를 행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사람이나 동물이 가로 누워 있는 상태에서는, 체중에 의해, 몸 밑에 있는 바닥, 매트리스, 혹은, 요와 몸의 접촉 부위가 압박된다.
같은 자세가 계속되면, 바닥과 몸의 접촉 부위가 혈행부전이 되어 주변조직이 괴사를 일으킨다. 이 조직이 괴사한 상태를, 욕창 또는 압박궤양이라고 부르고 있다. 이 욕창을 발증한 환자에게는, 체압분산 케어나 스킨 케어 등의 욕창 케어를 실시하고, 정기적으로 욕창을 평가 및 관리해 갈 필요가 있다.
욕창을 평가하기 위한 방법의 하나로서, 욕창의 크기를 측정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욕창의 크기를 평가하여서 사용하는 예로서는, 비특허문헌1에 기재가 있는 것처럼, 일본 욕창 학회 학술교육위원회가 개발한 욕창의 평가 지표인, DESIGN-R(등록상표)이 알려져 있다.
이 DESIGN-R(등록상표)은, 욕창을 비롯한 상처의 치유 과정을 평가하기 위한 툴이다. 이 툴의 명명은, 깊이(Depth), 삼출액(Exudate), 크기(Size), 염증·감염(Inflammation/Infection), 육아조직(Granulation), 괴사 조직(Necrotic tissue)의 각 평가 항목의 머리 문자를 취하고 있다. 또한, 머리 문자의 대상으로는 되어 있지 않지만, 평가 항목에는, 상기 이외에 포켓(Pocket)이 포함되어 있다.
DESIGN-R(등록상표)은, 일상의 간편한 평가를 위한 중증도 분류용, 및 상세히 치유 과정의 흐름이 표시되는 경과 평가용의 2개가 있다. 중증도 분류용의 DESIGN-R(등록상표)은, 6개의 평가 항목을 경도와 중도의 2개로 구분하고, 경도는 알파벳의 소문자를 사용하여 나타내고, 중도는 대문자를 사용하여 나타낸다.
처음 병을 고칠 때에 중증도 분류용을 사용하여 평가함으로써, 욕창의 대충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어느 항목이 문제인지를 알기 위해서, 치료 방침을 용이하게 결정할 수 있다.
한편, 경과 평가용으로서, 경과 평가에 더해 환자간의 중증도 비교도 할 수 있는 DESIGN-R(등록상표)도 정해져 있다. R은 rating(평가·평점)을 나타낸다. 각 항목에 다른 가중을 하고 있고, 깊이이외의 6항목의 합계 점(0∼66점)이 그 욕창의 중증도를 나타낸다. 치료 시작후에 치료 경과를 상세하고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고, 개인의 경과 평가뿐만 아니라, 환자간의 중증도 비교도 할 수 있다.
여기서, DESIGN-R(등록상표)의 크기의 평가는, 피부손상 범위의 긴 지름과 짧은 지름(긴 지름과 직교하는 최대 지름)을 측정해(cm), 각각을 곱한 수치인 크기를 7단계로 분류하는 것이다. 이 7단계란, sO: 피부손상 없음, s3: 4미만, s6: 4이상 16미만, s8: 16이상 36미만, s9: 36이상 64미만, s12: 64이상 100미만, s15: 100이상이다.
현재 상태에서는, 욕창의 크기의 평가는, 환부에 메이저(measure)를 대서 수작업으로 계측된 값에 근거해서 결정되는 것이 많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피부의 손상 범위 중 가장 긴 직선거리의 2점을 측정하고, 그것을 긴 지름으로 한다. 더욱, 긴 지름과 직행하는 길이를 짧은 지름으로 하고, 긴 지름과 짧은 지름을 곱한 값을 욕창의 크기로 하고 있다.
[선행기술문헌]
[비특허문헌]
비특허문헌1: 쇼린샤 욕창 가이드 북 제2판 욕창 예방·관리 가이드 라인(제4판)준거 편집 일본 욕창 학회ISBN13 978-4796523608 23페이지
그러나, 수작업에 의한 욕창의 크기의 평가는, 욕창의 형태가 복잡한 경우가 많고, 메이저를 어떻게 댈지를 조정할 필요가 있다. 이 작업을 긴 지름과 짧은 지름을 측정하기 위해서 최저 2회 행할 필요가 있어, 시간이 걸려버리기 때문에, 작업 부하가 크다. 더욱, 욕창이 평가되는 환자에 있어서도, 작업중은 같은 자세를 유지해야만 하기 때문에, 부담이 크다고 생각될 수 있다.
DESIGN-R(등록상표)은, 1주간부터 2주간에 1회 채점하는 것이 추장되어 있고, 반복 계측할 필요가 있다. 덧붙여, 수작업에 의한 계측에서는, 개인에 의해 욕창의 긴 지름이라고 판단하는 위치가 다를 가능성이 높고, 측정의 정밀도를 담보하는 것이 어렵다.
또한, 여기에서는 DESIGN-R(등록상표)에 근거해서 욕창의 평가를 행하는 것을 예로 들어서 설명을 행했지만, DESIGN-R(등록상표)의 케이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욕창의 크기를 측정하려고 하면, 같은 과제는 생긴다.욕창의 면적을 구하려고 하는 것이라면, 복수의 개소에 대해서 수작업에 의한 측정이 필요해져, 작업 부하가 생기게 된다.
또, 다른 과제로서, 욕창의 평가 항목으로서는, 크기와 같이 측정하는 것 이외에도, 목시에 의해 판단한 쪽이 바람직한 것도 있다. 목시에 의해 판단해야 할 평가 항목에 대해서는, 평가자가, 촬영된 화상 데이터를 보면서, 전자 진단 기록 카드나 종이매체에 나중에 입력하게 된다. 이 경우, 크기를 나타내는 정보와 그 밖의 정보에서 입력 디바이스가 다르기 때문에, 입력 작업이 번잡해져, 기입 누락도 생기기 쉬워져버린다.
그리고, 이것들의 과제는 욕창에 한정된 이야기가 아니고, 화상이나 열상등의 체표에 있어서의 환부영역에 있어서도, 같은 과제가 생긴다.
본 발명의 하나의 측면은, 촬상 장치와 화상처리 장치로 이루어지는 화상처리 시스템이며, 상기 촬상 장치는, 피사체로부터의 광을 수광해서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촬상 수단과, 상기 화상 데이터를 통신 네트워크에 출력하는 제1의 통신 수단과, 상기 촬상 수단에서 생성된 화상 데이터에 근거하는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수단을 가지고, 상기 화상처리 장치는, 상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는 제2의 통신 수단과, 상기 화상 데이터로부터 상기 피사체의 소정의 영역을 추출하는 연산 수단을 가지고, 상기 제2의 통신 수단은, 상기 연산 수단에서 추출한 상기 소정의 영역의 추출 결과를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통신 네트워크에 출력하고, 상기 제1의 통신 수단은, 상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소정의 영역의 추출 결과를 나타내는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표시 수단은, 상기 소정의 영역의 추출 결과를 나타내는 정보에 근거하는 표시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측면은, 촬상 장치이며, 피사체로부터의 광을 수광해서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촬상 수단과, 상기 화상 데이터를,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장치에 출력하는 통신 수단과, 상기 촬상 수단에서 생성된 화상 데이터에 근거하는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수단을 가지고, 상기 통신 수단은,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상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화상 데이터에 있어서의 상기 피사체의 소정의 영역의 추출 결과를 나타내는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표시 수단은, 상기 소정의 영역의 추출 결과를 나타내는 정보에 근거하는 표시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측면은, 화상처리 장치이며, 촬상 장치로부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화상 데이터와, 상기 화상 데이터에 포함되는 피사체에 대응하는 거리정보를 취득하는 통신 수단과, 상기 화상 데이터로부터 상기 피사체의 소정의 영역을 추출하고, 상기 거리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소정의 영역의 크기를 구하는 연산 수단을 가지고, 상기 통신 수단은, 상기 연산 수단에서 추출한 상기 소정의 영역의 추출 결과를 나타내는 정보와, 상기 크기를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촬상 장치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측면은, 촬상 장치이며, 촬상 장치 피사체로부터의 광을 수광해서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촬상 수단과, 상기 화상 데이터에 있어서의, 상기 피사체의 소정의 영역의 추출 결과를 취득하는 제어 수단과, 상기 피사체의 소정의 영역에 있어서의, 미리 정해진 복수의 평가 항목의 평가 값을, 유저에 입력시키는 인터페이스 수단을 가지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입력된 복수의 평가 항목의 평가 값과, 상기 화상 데이터를 관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측면은, 전자기기이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촬상 장치로 생성된 화상 데이터, 및, 상기 촬상 장치에 있어서, 유저에 의해 입력된, 상기 화상 데이터에 있어서의 피사체의 환부영역에 대한 복수의 평가 항목의 평가 값을 나타내는 정보를 취득하는 통신 수단과, 표시 수단에, 상기 화상 데이터에 근거하는 화상과 상기 복수의 평가 항목의 평가 값을 표시시키는 제어 수단과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1은, 제1의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화상처리 시스템의 개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2는, 화상처리 시스템에 포함되는 촬상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3은, 화상처리 시스템에 포함되는 화상처리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4는, 제1실시형태에 관련되는 화상처리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워크 플로우도다.
도5는, 영역의 면적의 계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다.
도6a는, 환부영역을 포함하는 화상 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다.
도6b는, 환부영역의 추출 결과를 나타내는 정보, 및, 환부영역의 크기를 나타내는 정보를 화상 데이터에 중첩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다.
도7a는, 환부영역의 추출 결과를 나타내는 정보, 및, 환부영역의 긴 지름과 짧은 지름을 포함하는 환부영역의 크기를 나타내는 정보를 화상 데이터에 중첩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다.
도7b는, 환부영역의 추출 결과를 나타내는 정보, 및, 환부영역의 긴 지름과 짧은 지름을 포함하는 환부영역의 크기를 나타내는 정보를 화상 데이터에 중첩하는 다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다.
도7c는, 환부영역의 추출 결과를 나타내는 정보, 및 환부영역의 긴 지름과 짧은 지름을 포함하는 환부영역의 크기를 나타내는 정보를 화상 데이터에 중첩하는 또 다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다.
도8a는, 환부영역의 부위의 정보를 유저에 입력시키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다.
도8b는, 환부영역의 부위의 정보를 유저에 입력시키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다.
도8c는, 환부영역의 평가 값의 정보를 유저에 입력시키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다.
도8d는, 환부영역의 평가 값의 정보를 유저에 입력시키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다.
도8e는, 환부영역의 평가 값의 정보를 유저에 입력시키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다.
도8f는, 환부영역의 부위의 정보를 유저에 입력시키는 다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다.
도8g는, 환부영역의 부위의 정보를 유저에 입력시키는 다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다.
도9는, 제2의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화상처리 시스템의 동작을 도시하는 워크 플로우도다.
도10은, 제3의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화상처리 시스템의 개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11은, 제3의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화상처리 시스템의 동작을 도시하는 워크 플로우도다.
도12a는, 과거에 평가 값을 취득한 환부영역의 부위의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다.
도12b는, 과거에 취득한 환부영역의 평가 값의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다.
도13은, 단말장치의 브라우저에 표시되는 데이터 선택 화면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다.
도14는, 단말장치의 브라우저에 표시되는 데이터 일람 화면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다.
도15는, 제3의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화상처리 시스템의 동작의 변형 예를 도시하는 워크 플로우도다.
본 실시형태의 목적의 하나는, 피사체의 소정의 영역을 평가할 때의 편리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1의 실시형태)
이하,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화상처리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1은, 제1의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화상처리 시스템1의 개요를 도시한 도면이다. 촬상 시스템1은, 소지 가능한 포터블 디바이스의 촬상 장치200과, 화상처리 장치300으로 구성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피사체101의 환부영역102의 병의 용태의 일례를, 둔부에 생긴 욕창으로서 설명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화상처리 시스템1에서는, 촬상 장치200이 피사체101의 환부영역102를 촬영함과 아울러, 피사체 거리를 취득하고, 그것들의 데이터를 화상처리 장치300에 송신한다. 화상처리 장치300은, 수신한 화상 데이터로부터 환부영역을 추출하고, 피사체 거리등의 정보에 근거해서 화상 데이터의 1픽셀당의 면적을 계측하고, 환부영역102의 추출 결과와 1픽셀당의 면적으로부터, 환부영역102의 면적을 계측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환부영역102가 욕창인 경우를 예로 들어서 설명을 행하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환부영역102는 화상이나 열상이여도 좋다.
도2는, 화상처리 시스템1에 포함되는 촬상 장치200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촬상 장치200은, 일반적인 일안 카메라, 컴팩트 디지탈 카메라, 혹은, 오토포커스 기능 부착의 카메라를 구비한 스마트 폰이나 타블렛 단말등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촬상 유닛211은, 렌즈 군212, 셔터213, 이미지 센서214를 가진다. 렌즈 군212에 포함되는 복수의 렌즈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포커스 위치와 줌 배율을 변경할 수 있다. 렌즈 군212는, 노출량을 조절하기 위한 조리개도 구비한다.
이미지 센서214는, 광학상을 화상 데이터로 변환하는 CCD나 CMOS센서 등의 전하축적형의 고체 이미지 센서로 구성된다. 렌즈 군212 및 셔터213을 통과한 피사체로부터의 반사광은 이미지 센서214에 결상되고, 이미지 센서214는 피사체상에 따른 전기신호를 생성하고, 이 전기신호에 근거하는 화상 데이터를 출력한다.
셔터213는, 셔터 블레이드 부재의 개폐 동작을 행하는 것에 의해, 이미지 센서214에의 노출이나 차광을 행하고, 이미지 센서214의 노광 시간을 제어한다. 또한, 셔터213 대신에, 이미지 센서214의 구동에 의해 노광 시간을 제어하는 전자 셔터를 사용해도 좋다. CMOS 센서로 전자 셔터를 행할 경우에는, 화소마다, 혹은, 복수화소로 이루어진 영역마다(예를 들면, 라인마다), 화소의 축적 전하량을 제로로 하는 리셋트 주사를 행한다. 그 후, 리셋트 주사를 행한 화소 혹은 영역마다, 각각 소정의 시간을 경과하고 나서 전하의 축적량에 따른 신호를 판독하는 주사를 행한다.
줌 제어 회로215는, 렌즈 군212에 포함되는 줌렌즈를 구동하기 위한 도시되지 않은 모터를 제어하고, 렌즈 군212의 광학배율을 제어한다. 또한, 렌즈 군212는 줌 기능이 없는 단초점의 렌즈 군이여도 좋고, 그 경우는, 줌 제어 회로215는 불필요하다.
측거 시스템216은, 피사체까지의 거리정보를 산출한다. 측거 시스템216으로서, 일안 레플렉스 카메라에 탑재된 일반적인 위상차 방식의 측거 센서를 사용해도 좋고, TOF(Time Of Flight)센서를 사용한 시스템을 사용해도 좋다. TOF 센서는, 조사파의 송신 타이밍과, 해당 조사파가 물체로 반사된 파인 반사파의 수신 타이밍과의 시간차(또는 위상차)에 근거하여, 해당물체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센서다. 더욱, 측거 시스템에는 수광소자에 PSD(Position Sensitive Device)를 사용한 PSD방식등을 사용해도 좋다.
혹은, 이미지 센서214를, 화소마다 복수의 광전변환 영역을 가지고, 공통의 화소내에 포함되는 복수의 광전변환 영역에 대응하는 동공위치를 다르게 하는 구성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측거 시스템216은, 이미지 센서214로부터 출력된, 각각의 동공영역에 대응하는 광전변환 영역으로부터 얻어진 화상간의 위상차로부터, 화소 혹은 영역의 위치마다 거리정보를 구할 수 있다.
측거 시스템216은, 화상내의 미리 정해진 소정의 1개, 혹은, 복수의 측거 에어리어에 있어서의 거리정보를 구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고, 화상내의 다수의 화소 혹은 영역의 거리정보의 분포를 나타내는 거리 맵을 구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혹은, 측거 시스템216은, 화상 데이터의 고주파성분을 추출해서 적분하고, 적분 값이 최대가 되는 포커스 렌즈의 위치를 결정하는 TV-AF 또는 콘트라스트 AF를 행하고, 이 포커스 렌즈의 위치로부터 거리정보를 얻도록 해도 좋다.
화상처리 회로217은, 이미지 센서214로부터 출력된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소정의 화상 처리를 실시한다. 화상처리 회로217은, 촬상 유닛211로부터 출력된 화상 데이터, 혹은 내부 메모리221에 기록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화이트 밸런스 조정, 감마 보정, 색보간 또는 디모자이킹, 필터링, 등, 여러가지 화상처리를 행한다. 또한, 화상처리를 행한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JPEG등의 규격으로, 압축 처리를 행한다.
AF제어 회로218은, 측거 시스템216에서 얻어진 거리정보에 근거하여, 렌즈 군202에 포함되는 포커스 렌즈의 위치를 결정하고, 포커스 렌즈를 구동하는 모터를 제어한다.
통신 장치219는, 촬상 장치200이 무선의 통신 네트워크(도시되지 않음)를 통하여, 화상처리 장치300등의 외부기기와 통신을 행하기 위한 무선통신 모듈이다. 네트워크의 구체적인 일례로서는, Wi-Fi규격에 근거하는 네트워크를 들 수 있다. 또한, Wi-Fi를 사용한 통신은 루터를 통해 실현되어도 좋다. 또한, 통신 장치219는 USB나 LAN등 유선의 통신 인터페이스에 의해 실현되어도 좋다.
시스템 제어 회로220은, CPU(Central Processing Unit)를 가지고, 내부 메모리221에 기억된 프로그램에 따라서, 촬상 장치200의 각 부를 제어 함에 의해 전체 제어를 행한다. 또한, 시스템 제어 회로220은, 촬상 유닛211, 줌 제어 회로215, 측거 시스템216, 화상처리 회로217, 및, AF 제어 회로218등의 전체의 제어를 행한다. 또한, 시스템 제어 회로220은, CPU 대신에,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이나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등을 사용해도 좋다.
또한, 내부 메모리221은, 플래시 메모리나 SDRAM등의 개서가능한 메모리로 구성된다. 내부 메모리221은, 촬상 장치200의 동작에 필요한 촬상시의 핀트 위치의 정보나 줌 배율등의 각종의 설정 정보나, 촬상 유닛211이 촬상한 화상 데이터나 화상처리 회로217에 의한 화상처리가 행해진 화상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한다. 또한, 통신 장치219가 화상처리 장치300과 통신해서 수신한, 화상 데이터나 피사체의 크기를 나타내는 정보등의 해석 데이터등을 일시적으로 기록해도 좋다.
외부 메모리I/F(Interface)222는, 촬상 장치200에 장전가능한 SD카드나 CF카드 등의 불휘발성의 기억 매체와의 인터페이스다. 외부 메모리I/F222는, 화상처리 회로217에서 처리된 화상 데이터나, 통신 장치219가 화상처리 장치300과 통신해서 수신한 화상 데이터나 해석 데이터등을 장전가능한 기억 매체에 기록한다. 또한, 외부 메모리I/F222는, 재생시에는, 장전가능한 기억 매체에 기록된 화상 데이터를 판독하고, 촬상 장치의 외부에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표시장치223은, TFT(Thin Film Transistor)액정이나 유기EL디스플레이나, EVF(전자 뷰 파인더)등으로 구성된 디스플레이 장치다. 표시장치223은, 내부 메모리221에 일시적으로 보존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에 근거하는 화상, 장전가능한 기억 매체에 보존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에 근거하는 화상, 및 촬상 장치10의 설정 화면등을 표시한다.
조작 부재224는, 예를 들면, 촬상 장치200에 설치된 버튼, 스위치, 키, 모드 다이얼, 혹은, 표시장치223과 겸용되는 터치패널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유저에 의한 모드 설정이나 촬영 지시등의 지령은, 조작 부재224를 경유하여, 시스템 제어 회로220에 도달한다.
공통 버스225는, 촬상 유닛211, 줌 제어 회로215, 측거 시스템216, 화상처리 회로217, AF제어 회로218, 통신 장치219, 시스템 제어 회로220, 내부 메모리221, 외부 메모리I/F222, 표시장치223, 및, 조작 부재224가 접속되어 있다. 공통 버스225는, 각 블록간에 신호의 송수신을 행하기 위한 신호 선이다.
도3은, 화상처리 시스템1에 포함되는 화상처리 장치300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화상처리 장치300은, CPU로 구성된 연산장치311, 기억장치312, 통신 장치313, 출력 장치314, 및, 보조 연산장치317을 구비한다. 기억장치312는 주기억장치315(ROM이나 RAM등)와 보조 기억장치316(자기 디스크 장치나 SSD(Solid State Drive)등)으로 구성된다.
통신 장치313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기기와 통신을 행하기 위한 무선통신 모듈로서 구성된다. 출력 장치314는, 화상처리 장치300에 접속된 디스플레이, 프린터, 혹은 외부 네트워크에, 연산장치311로 가공된 데이터나, 기억장치312에 기억된 데이터를 출력한다.
보조 연산장치317은 연산장치311의 제어 아래에서 사용할 수 있는 보조 연산용 IC이며, 보조 연산장치의 일례로서 GPU(Graphic Processing Unit)를 사용할 수 있다. GPU는, 원래는 화상처리용의 프로세서이지만, 복수의 곱합연산기를 가지고, 행렬 계산을 특기로 하고 있기 때문에, 신호 학습용의 처리를 행하는 프로세서로서도 사용할 수 있는 것이 많다. 그리고, 심층학습을 행하는 처리에 있어서도, GPU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예를 들면, 보조 연산장치317로서, NVIDIA사의 Jetson TX2 module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보조 연산장치317로서, FPGA나 ASIC등을 사용해도 좋다. 보조 연산장치317은, 화상 데이터로부터 피사체101의 환부영역102의 추출 처리를 행한다.
연산장치311은, 기억장치312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보조 연산장치317에 의해 추출된 환부영역102의 크기나 길이를 구하기 위한 연산 처리를 포함하는, 각종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더욱, 연산장치311은 각 기능을 실행하는 순번을 제어한다.
또한, 화상처리 장치300이 구비하는 연산장치311 및 기억장치312는 1개이여도 복수이여도 좋다. 다시 말해, 적어도 1이상의 처리 장치(CPU)와 적어도 1개의 기억장치가 접속되어 있고, 적어도 1이상의 처리 장치가 적어도 1이상의 기억장치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실행했을 경우에, 화상처리 장치300은 후술하는 각 기능을 실행한다. 또한, 연산장치311은 CPU 대신에, FPGA나 ASIC등을 사용해도 좋다.
도4는, 제1실시형태에 관련되는 화상처리 시스템1의 동작을 도시하는 워크 플로우도다. 도4에 있어서, 스텝을 S로 도시한다. 다시 말해, 스텝401을 S401로 나타낸다. 후술하는 도9, 도11 및 도15도 마찬가지다.
도4에 있어서, 스텝401 내지 스텝420이 촬상 장치200에 의한 처리이며, 스텝431, 스텝441 내지 스텝445, 및 스텝451 내지 스텝456이 화상처리 장치300에 의한 처리다.
처음에, 촬상 장치200과 화상처리 장치300이, 무선 LAN규격인 Wi-Fi규격의 네트워크(도시되지 않음)에 각각 접속한다. 화상처리 장치300은, 스텝431에 있어서, 접속하는 촬상 장치200의 탐색 처리를 행하고, 촬상 장치200은, 스텝401에 있어서, 이것에 대한 응답 처리를 행한다. 네트워크를 통해 기기를 탐색하는 기술로서는, 예를 들면, UPnP(Universal Plug and Play)를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UPnP에 있어서 각각의 장치의 식별은 UUID(Universally Unique IDentifier)에 의해 행해진다.
촬상 장치200은, 화상처리 장치300과의 접속이 이루어지면, 스텝402에 있어서 라이브 뷰 처리를 시작한다. 촬상 유닛211이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 화상 데이터에 화상처리 회로217이 라이브 뷰 표시용의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해서 필요한 현상 처리를 적용한다. 이것들의 처리를 반복해 행하는 것으로, 소정의 프레임 레이트의 라이브 뷰 영상이 표시장치223에 표시된다.
스텝403에 있어서, 측거 시스템216이 상술한 어느 한 쪽의 방법에 의해 피사체의 거리정보를 구하고, AF 제어 회로218이 피사체에 핀트가 맞도록 렌즈 군212의 구동제어를 행하는 AF처리를 시작한다. TV-AF 또는 콘트라스트AF로 핀트 위치의 조정을 행했을 경우에는, 핀트를 맞춘 상태의 포커스 렌즈의 위치부터, 핀트를 맞춘 대상의 피사체101까지의 거리정보를 구한다. 핀트를 맞추는 위치는, 화상 데이터의 중앙에 위치하는 피사체이어도 좋고, 촬상 장치200에 대하여 가장 지근측의 위치에 존재하는 피사체이어도 좋다. 피사체의 거리 맵이 얻어져 있는 경우에는, 거리 맵으로부터 주목해야 할 영역을 추정하고, 그 위치에 대하여 핀트를 맞추도록 해도 좋다. 혹은, 이미 화상처리 장치300에 의해 라이브 뷰 화상에 있어서의 욕창102의 위치가 특정되어 있으면, 그 위치에 대하여 핀트를 맞추도록 해도 좋다. 촬상 장치200은, 후술하는 스텝410에서 릴리즈 버튼이 눌린 것을 검지할 때까지, 라이브 뷰 영상의 표시와 함께 AF처리를 반복해 행한다.
스텝404에 있어서, 화상처리 회로217은, 라이브 뷰를 위해 촬상된 화상 데이터 중 어느 한쪽의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화상 데이터의 현상 및 압축 처리를 행하고, 예를 들면 JPEG규격의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그리고, 압축 처리된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리사이즈 처리를 행하고, 화상 데이터의 사이즈를 작게 한다.
스텝405에 있어서, 통신 장치219가, 스텝404에서 생성된 리사이즈 처리가 이루어진 화상 데이터와, 스텝403에서 구한 거리정보를 취득한다. 더욱, 줌 배율의 정보와, 리사이즈 처리된 화상 데이터의 사이즈(픽셀수)의 정보도 취득한다. 촬상 유닛211이 단초점에서 줌 기능이 없는 것이라면, 줌 배율의 정보는 불필요하다.
스텝406에 있어서, 통신 장치219가 스텝405에서 취득한 화상 데이터와, 거리정보를 포함하는 1이상의 정보를, 무선통신에 의해 화상처리 장치300에 송신한다.
여기서, 송신하는 화상 데이터의 사이즈가 클수록 무선통신에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스텝405에 있어서의 리사이즈 후의 화상 데이터의 사이즈는, 허용되는 통신 시간을 고려해서 결정된다. 단, 화상 데이터를 지나치게 작게 하면, 화상처리 장치300이 후술하는 스텝433에 있어서 행하는 환부영역의 추출 처리의 정밀도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통신 시간에 더하여, 환부영역의 추출 처리의 정밀도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또한, 스텝404 내지 스텝406의 처리는, 프레임마다 행해도 좋고, 수 프레임에 1회의 비율로 행하도록 해도 좋다.
여기서, 화상처리 장치300에 의한 처리의 설명으로 이행한다.
스텝441에 있어서, 화상처리 장치300의 통신 장치313이, 촬상 장치200의 통신 장치219로부터 출력된 화상 데이터, 및, 거리정보를 포함하는 1이상의 정보를 수신한다.
스텝442에 있어서, 화상처리 장치300의 연산장치311 및 보조 연산장치317이, 스텝441에서 수신한 화상 데이터로부터 피사체101의 환부영역102를 추출한다. 환부영역102를 추출하는 수법으로서, 심층학습에 의한 의미적 영역분할을 행한다. 다시 말해, 미리 도시되지 않은 학습용의 고성능 컴퓨터에, 복수의 실제의 욕창의 화상을 교사 데이터로서 사용하여 뉴럴네트워크의 모델을 학습시켜서, 학습된 모델을 생성한다. 보조 연산장치317은, 고성능 컴퓨터로부터 생성된 학습된 모델을 받고, 이 학습된 모델에 근거해서 화상 데이터로부터, 환부영역102인 욕창의 에어리어를 추정한다. 뉴럴네트워크의 모델의 일례로서, 심층학습을 사용한 세그멘테이션·모델인 완전 합성곱 네트워크(FCN(Fully Convolutional Network))를 적용했다. 여기에서, 심층학습의 추론은 곱합연산의 병렬 실행을 득의로 하는 보조 연산장치317에 의해 처리된다. 또한, 추론 처리는 FPGA나 ASIC등에 의해 실행되어도 좋다. 또한, 다른 심층학습의 모델을 사용해서 영역분할을 실현해도 좋다. 또한, 세그멘테이션 수법은 심층학습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그래프 커트나 영역성장, 엣지 검출, 통치 분할법 등을 사용해도 좋다. 더욱, 보조 연산장치317의 내부에서, 욕창의 화상을 교사 데이터로 한 뉴럴 네트워크의 모델의 학습을 행해도 좋다.
스텝443에 있어서, 연산장치311이, 보조 연산장치317에 의해 추출된 환부영역102의 크기를 나타내는 정보로서, 환부영역102의 면적을 계산한다.
도5는, 환부영역102의 면적의 계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다. 일반적인 카메라인 촬상 장치200은, 도5와 같은 핀홀 모델로서 취급할 수 있다. 입사 광501은 렌즈212a의 주요점을 통과하여, 이미지 센서214의 촬상면에서 수광한다. 여기에서, 렌즈 군212를 두께가 없는 단일의 렌즈212a에 근사해서 생각했을 경우에는, 앞측 주요점과 뒤측 주요점의 2개의 주요점은 일치한다고 간주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214의 평면에 상이 결상하도록 렌즈212의 핀트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촬상 장치는 피사체504에 초점을 맞출 수 있다. 촬상면으로부터 렌즈 주요점까지의 거리인 초점거리502를 변경함으로써, 화각θ503이 변경되어, 줌 배율이 바뀐다. 이 때, 촬상 장치의 화각θ503과 피사체 거리505의 관계로부터, 기하학적으로 합초면에 있어서의 피사체의 폭506이 결정된다. 이 피사체의 폭506은, 삼각함수를 사용해서 계산된다. 다시 말해, 피사체의 폭506은, 초점거리502에 따라서 변화되는 화각θ503과, 피사체 거리505와의 관계에 의해 결정한다. 그리고, 피사체의 폭506의 값을 화상 데이터의 라인상의 픽셀수로 제산 함에 의해, 화상 데이터상의 1픽셀에 대응하는 합초면상의 길이가 얻어진다.
따라서, 연산장치311은, 스텝442의 환부영역의 추출 결과로부터 얻어지는 추출 영역의 픽셀수와, 화상상의 1픽셀에 대응하는 합초면상의 길이로부터 얻어지는 1픽셀의 면적의 적으로서, 환부영역102의 면적을 계산한다. 또한, 초점거리502와 피사체 거리505의 조합에 따른 화상상의 1픽셀에 대응하는 합초면상의 길이를 미리 구해 두고, 테이블 데이터로서 미리 준비해 두어도 좋다. 화상처리 장치300이, 촬상 장치200에 따른 테이블 데이터를 미리 기억해 두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한 방법에서 확실히 환부영역102의 면적을 구하기 위해서는, 피사체504가 평면이며, 또한 이 평면이 광축에 대하여 수직한 것이 전제가 된다. 스텝441에서 취득한 거리정보가, 화상 데이터내의 복수의 위치에 있어서의 거리정보나, 거리 맵이면, 피사체의 깊이 방향의 기울기나 변화를 검출하고, 검출한 기울기나 변화에 근거해서 면적을 산출하도록 해도 좋다.
스텝444에 있어서, 연산장치311이, 환부영역102의 추출에 사용한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환부영역102의 추출 결과를 나타내는 정보와, 환부영역102의 크기를 나타내는 정보를 중첩한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도6a 및 도6b는, 환부영역102의 추출 결과를 나타내는 정보, 및 환부영역102의 크기를 나타내는 정보를 화상 데이터에 중첩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다. 도6a의 화상601은, 중첩 처리전의 화상 데이터를 사용해서 표시된 화상이며, 피사체101 및 환부영역102을 포함한다. 도6b의 중첩 화상602는, 중첩 처리후의 화상 데이터에 근거하는 화상이다. 도6a 및 도6b는, 환부영역102가 둔부의 근방에 있는 것을 도시한다.
연산장치311은, 중첩 화상602의 좌상 구석에, 환부영역102의 크기를 나타내는 정보로서, 검은 땅의 배경에 백색의 문자로, 환부영역102의 면적값을 의미하는 문자열612를 표시한 라벨611을 중첩한다.
또한, 라벨611의 배경색과 문자열의 색은 보기 쉬운 것이면 블랙, 화이트에 한정하지 않아도 좋다. 또한, 투과량을 설정해서 α블렌드 함으로써, 라벨이 겹친 부분의 화상을 확인할 수 있게 해도 좋다.
더욱, 중첩 화상602에는, 스텝442에 있어서 추출된, 환부영역102의 추정 에어리어를 나타내는 지표613이 중첩 표시되어 있다. 추정 에어리어가 존재하는 위치에 있어서, 추정 에어리어를 나타내는 지표613과, 화상601의 원래가 되는 화상 데이터를 α블렌드 해서 중첩 표시함으로써, 환부영역의 면적의 원래가 되는 추정 에어리어가 타당한가 아닌가를 유저가 확인할 수 있다. 추정 에어리어를 나타내는 지표613의 색은, 피사체의 색과 겹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α블렌드의 투과율은 추정 에어리어를 인식할 수 있고, 원래의 환부영역102도 확인할 수 있는 범위가 좋다. 또한, 환부영역102의 추정 에어리어를 나타내는 지표613이 중첩 표시되어 있으면, 라벨611의 표시는 없더라도, 유저는 추정 에어리어가 타당한가 아닌가를 확인할 수는 있기 때문에, 스텝443은 생략해도 개의치 않는다.
스텝445에 있어서, 화상처리 장치300의 통신 장치313이, 추출한 환부영역102의 추출 결과를 나타내는 정보와, 환부영역102의 크기를 나타내는 정보를 촬상 장치200에 송신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통신 장치313은, 스텝 스텝444에서 생성한, 환부영역102의 크기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화상 데이터를, 촬상 장치200에 무선통신에 의해 송신한다.
여기서, 촬상 장치200에 의한 처리의 설명으로 되돌아간다.
스텝407에서, 촬상 장치200의 통신 장치219는, 화상처리 장치300에서 환부영역102의 크기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화상 데이터가 새롭게 생성되어 있으면, 이것을 수신한다.
스텝408에서, 시스템 제어 회로220은, 스텝407에서 환부영역102의 크기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화상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면 스텝409에 진행되고, 수신되어 있지 않으면 스텝410에 진행된다.
스텝409에 있어서, 표시장치223이 스텝407에서 수신한 환부영역102의 크기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화상 데이터를 소정시간 표시한다. 여기에서는, 표시장치223은 도6b에 나타내는 중첩 화상602를 표시한다. 이렇게, 라이브 뷰 화상에 대하여, 환부영역102의 추출 결과를 나타내는 정보를 중첩 표시함으로써, 유저는 환부영역의 면적 및 추정 에어리어가 타당한지를 확인한 후에, 본 촬영에 참석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환부영역102의 추정 에어리어를 나타내는 지표613과, 환부영역102의 크기의 정보의 양쪽을 표시하는 예를 제시해서 설명을 행했지만, 어느 한쪽만이어도 좋다.
스텝410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 회로220은 조작 부재224에 포함되는 릴리즈 버튼이 눌린 것인가 아닌가를 검지한다. 릴리즈 버튼이 눌려 있지 않으면, 촬상 장치200은 스텝404의 처리에 되돌아가고, 릴리즈 버튼이 눌려 있으면, 촬상 장치는 스텝411의 처리로 진행된다.
스텝411에 있어서, 스텝403과 같은 방법에 의해, 측거 시스템216이 피사체의 거리정보를 구하고, AF 제어 회로218이 피사체에 핀트가 맞도록 렌즈 군212의 구동제어를 행하는 AF처리를 행한다. 라이브 뷰 화상으로부터 환부영역102를 추출할 수 있으면, 환부영역102가 존재하는 위치에 있어서의 피사체의 거리정보를 구하면 좋다.
스텝412에 있어서, 촬상 장치200은 정지 화상의 촬영을 행한다.
스텝413에 있어서, 화상처리 회로217이 스텝412에서 생성된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현상 및 압축 처리를 행하고, 예를 들면 JPEG규격의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그리고, 압축 처리된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리사이즈 처리를 행하고, 화상 데이터의 사이즈를 작게 한다. 스텝413에서 리사이즈 처리가 행해진 화상 데이터의 사이즈는, 스텝404에서 리사이즈 처리가 행해진 화상 데이터와 같은 크기이거나, 혹은, 그것보다도 크다. 이것은, 환부영역102를 계측할 때의 정밀도를 우선하기 위해서다. 여기에서는, 1440픽셀×1080픽셀로 4비트 RGB칼라로서, 화상 데이터의 사이즈가 약 4.45메가바이트가 되도록 리사이즈했다. 또한, 리사이즈의 크기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혹은, 리사이즈 처리를 하지 않고, 생성한 JPEG규격의 화상 데이터를 사용해서 다음 스텝으로 진행되어도 좋다.
스텝414에 있어서, 통신 장치219가, 스텝413에서 생성된 리사이즈 처리가 이루어진(혹은, 리사이즈 처리가 이루어지지 않은) 화상 데이터와, 스텝411에서 구한 거리정보를 취득한다. 더욱, 줌 배율의 정보나, 리사이즈 처리된 화상 데이터의 사이즈(픽셀수)의 정보도 취득한다. 또한, 촬상 유닛211이 단초점에서 줌 기능이 없는 것이라면, 줌 배율의 정보는 불필요하고, 화상처리 장치300이 미리 화상 데이터의 사이즈의 정보를 가지고 있는 것이라면, 화상 데이터의 정보는 불필요하다.
스텝415에서는, 통신 장치219가 스텝414에서 취득한 화상 데이터와, 거리정보를 포함하는 1이상의 정보를, 무선통신에 의해 화상처리 장치300에 송신한다.
여기서, 다시 화상처리 장치300에 의한 처리의 설명으로 옮겨진다.
스텝451에 있어서, 화상처리 장치300의 통신 장치313이, 촬상 장치200의 통신 장치219로부터 출력된 화상 데이터와, 거리정보를 포함하는 1이상의 정보를 수신한다.
스텝452에 있어서, 화상처리 장치300의 연산장치311 및 보조 연산장치317이, 스텝 스텝441에서 수신한 화상 데이터로부터 피사체101의 환부영역102를 추출한다. 처리의 상세한 것은 스텝442와 같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스텝453에 있어서, 연산장치311이, 보조 연산장치317에 의해 추출된 환부영역102의 크기를 나타내는 정보의 일례로서, 환부영역102의 면적을 계산한다. 처리의 상세한 것은 스텝443과 같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스텝454에 있어서, 연산장치311은, 스텝453에서 구한 화상상의 1픽셀에 대응하는 합초면상의 길이에 근거하여, 추출한 환부영역의 긴 지름과 짧은 지름의 길이, 및 환부영역에 외접하는 구형의 면적을 산출하는 화상해석을 행한다. 욕창의 평가 지표의 DESIGN-R(등록상표) 중에서, 욕창의 크기는 긴 지름과 짧은 지름의 적의 값을 계측하는 것이 정해져 있다. 본 발명의 화상처리 시스템에서는 긴 지름과 짧은 지름의 해석을 행하는 것으로, 지금까지 DESIGN-R(등록상표)에서 계측된 데이터와의 호환성을 확보할 수 있다. DESIGN-R(등록상표)은 엄밀한 정의가 없기 때문에, 수학적으로는 복수의 긴 지름, 짧은 지름의 산출 방법이 생각된다.
긴 지름, 짧은 지름의 산출 방법의 일례로서는, 우선, 연산장치311이, 환부영역102에 외접하는 직사각형 중, 면적이 최소가 되는 직사각형(Minimum bounding rectangle)을 산출한다. 그리고, 이 직사각형의 긴 변과 짧은 변의 길이를 산출하고, 긴 변의 길이를 긴 지름으로 하고 짧은 변의 길이를 짧은 지름으로 하여서 산출한다. 그리고, 스텝453에서 구한 화상상의 1픽셀에 대응하는 합초면상의 길이에 근거하여, 이 직사각형의 면적을 산출한다.
또, 긴 지름과 짧은 지름의 산출 방법의 다른 일례로서는, 긴 지름으로서 최대의 캘리퍼(caliper) 길이인 최대 페렛경(Feret diameter)을, 짧은 지름으로서 최소 페렛경을 선택해도 좋다. 혹은, 긴 지름으로서 최대의 캘리퍼 길이인 최대 페렛경을, 짧은 지름으로서, 최대 페렛경의 축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계측한 길이를 선택해도 좋다. 긴 지름과 짧은 지름의 계산 방법은, 종래의 계측결과와의 호환성에 근거해서 임의의 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이 환부영역102의 긴 지름 및 짧은 지름의 길이와 직사각형 면적의 산출은, 스텝441에서 받은 화상 데이터에 대해서는 실행하지 않는 처리다. 라이브 뷰중은, 환부영역102의 추출 결과를 유저를 확인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스텝454의 화상해석의 스텝을 생략하는 것으로, 처리 시간을 삭감하고 있다.
또, DESIGN-R(등록상표)에 근거하는 크기의 평가를 행하지 않고, 욕창의 실제의 면적의 정보를 얻는 것이 목적일 경우에는, 스텝454의 처리를 생략할 수 있다. 그 경우, 이후의 처리에 있어서, DESIGN-R(등록상표)에 있어서의 평가 항목으로서의 크기의 정보가 없는 것으로 처리하게 된다.
스텝455에 있어서, 연산장치311이, 환부영역102의 추출의 대상으로 한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환부영역102의 추출 결과를 나타내는 정보와, 환부영역102의 크기를 나타내는 정보를 중첩한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도7a 내지 도7c는, 환부영역102의 추출 결과를 나타내는 정보, 및 환부영역102의 긴 지름과 짧은 지름을 포함하는 환부영역의 크기를 나타내는 정보를 화상 데이터에 중첩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다. 환부영역102의 크기를 나타내는 정보가 복수 생각될 수 있기 때문에, 도7a의 중첩 화상701, 도7b의 중첩 화상702, 및 도7c의 중첩 화상703으로 나누어서 설명한다.
도7a의 중첩 화상701은, 긴 지름, 짧은 지름의 산출 방법으로서 Minimum bounding rectangle을 사용한 것이다. 중첩 화상701의 좌상 구석에, 환부영역102의 크기를 나타내는 정보로서, 도6b와 마찬가지로, 검은 바탕의 배경에 백색의 문자로 환부영역102의 면적값의 문자열612를 표시한 라벨611을 중첩한다. 더욱, 중첩 화상701의 우상 구석에, 환부영역102의 크기를 나타내는 정보로서, Minimum bounding rectangle에 근거해서 산출한 긴 지름 및 짧은 지름을 표시한 라벨712를 중첩한다. 문자열713은 긴 지름의 길이(단위는 cm)를 나타내고, 문자열714는 짧은 지름의 길이(단위는 cm)를 나타낸다. 그것으로부터, 중첩 화상701에는, 환부영역102에, Minimum bounding rectangle을 나타내는 직사각형의 프레임715를 표시한다. 직사각형의 프레임715를 긴 지름 및 짧은 지름의 길이와 함께 중첩함으로써, 유저는 화상중의 어느 개소의 길이가 계측되어 있는 것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또, 중첩 화상701의 우하 구석에는 스케일 바716이 중첩되어 있다. 스케일 바716은 환부영역102의 크기를 측정하기 위한 것이고, 거리정보에 따라서, 화상 데이터에 대한 상기 스케일 바의 사이즈가 변경된다. 구체적으로는, 스케일 바716은, 스텝 스텝453에서 얻어진 화상상의 1픽셀에 대응하는 합초면상의 길이에 근거하여, 1cm단위로 5cm까지의 눈금을 새긴 바이며, 촬상 장치의 합초면상 즉, 피사체상의 사이즈에 대응한 것이다. 유저는 스케일 바를 참조함으로써, 피사체 혹은 환부영역의 크기를 대략 파악할 수 있다.
더욱, 전술한 DESIGN-R(등록상표)의 Size의 평가 값을 중첩 화상701의 좌하 구석에 중첩한다. DESIGN-R(등록상표)의 Size의 평가 값에서는, 피부손상 범위의, 긴 지름과 짧은 지름(긴 지름과 직교하는 최대 지름)을 측정해(단위는 cm), 각각을 곱셈한 수치로부터 상술한 7단계로 분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긴 지름과 짧은 지름을 각각의 산출 방법에 의해 출력된 값으로 치환해서 얻어지는 평가 값을 중첩한다.
도7b의 중첩 화상702는, 긴 지름으로서 최대 페렛경521을, 짧은 지름으로서 최소 페렛경522를 사용한 것이다. 중첩 화상702의 우상 구석에 긴 지름의 문자열723 및 짧은 지름의 문자열724를 표시한 라벨722를 중첩한다. 더욱, 중첩 화상702에는, 환부영역102에, 최대 페렛경521의 계측위치에 해당하는 보조 선725와, 최소 페렛경522에 해당하는 보조 선726을 표시한다. 보조 선을 긴 지름 및 짧은 지름의 길이와 함께 중첩함으로써, 유저는 화상중 어느 개소의 길이가 계측되어 있는 것인가를 확인할 수 있다.
도7c의 중첩 화상703은, 긴 지름은 중첩 화상702와 같지만, 짧은 지름을 최소 페렛경이 아닌 최대 페렛경의 축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계측한 길이로서 계측한 것이다. 중첩 화상702의 우상 구석에 긴 지름의 문자열723 및 짧은 지름의 문자열734를 표시한 라벨732를 중첩한다. 더욱, 중첩 화상702에는, 환부영역102에, 최대 페렛경521의 계측위치에 해당하는 보조 선725와, 최대 페렛경의 축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계측한 길이에 해당하는 보조 선736을 표시한다.
또한, 도7a 내지 도7c의 각각에 나타낸, 화상 데이터에 중첩하는 각종 정보는, 어느 한 개, 또는, 복수의 조합으로 하여도 좋고, 유저가 표시하는 정보를 선택할 수 있게 해도 좋다. 또한, 도6b 및 도7a 내지 도7c에 나타낸 중첩 화상은 1개의 예이며, 환부영역102 및 환부영역102의 크기를 나타내는 정보의 표시 형태, 표시 위치, 폰트의 종류, 폰트 사이즈, 폰트의 색, 혹은, 위치 관계등은 여러가지 조건에 따라서 변경할 수 있다.
스텝456에 있어서, 화상처리 장치300의 통신 장치313이, 추출한 환부영역102의 추출 결과를 나타내는 정보와, 환부영역102의 크기를 나타내는 정보를 촬상 장치200에 출력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통신 장치313은, 스텝455에서 생성한, 환부영역102의 크기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화상 데이터를, 촬상 장치200에 무선통신에 의해 출력한다.
여기서, 다시 촬상 장치200에 의한 처리의 설명으로 되돌아간다.
스텝416에서, 촬상 장치200의 통신 장치219는, 화상처리 장치300에서 생성된 환부영역102의 크기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화상 데이터를 수신한다.
스텝417에 있어서, 표시장치223이 스텝416에서 수신한 환부영역102의 크기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화상 데이터를 소정시간 표시한다. 여기에서는, 표시장치223은 도7a 내지 도7c에 나타내는 중첩 화상701 내지 703중 어느 하나를 표시하고, 소정시간 경과 후에 스텝418의 처리로 이행한다.
스텝418에 있어서, 값이 입력되어 있지 않은 환부영역정보의 유무를 판정한다. 여기서 환부영역정보란, 환부의 부위를 나타내는 정보, 및 전술한 DESIGN-R(등록상표)의 각 평가 항목의 평가 값을 가리킨다. Size에 관한 평가 항목의 평가 값에 대해서는, 스텝416에서 수신한 크기를 나타내는 정보에 근거하여, 자동적으로 입력된다.
스텝418에 있어서 값이 입력되어 있지 않은 환부영역정보가 있을 경우는 스텝419에 이행하고, 모든 환부영역정보가 입력되어 있으면, 스텝402로 되돌아가 라이브 뷰를 재개한다.
스텝419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 회로220은, 표시장치223에 환부영역정보의 입력을 재촉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한다.
스텝420에 있어서, 유저에 의해 환부영역정보가 입력되면, 스텝418로 되돌아간다.
도8a 내지 도8g는 스텝419 및 스텝420에 있어서, 환부영역정보를 유저에 입력시키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다.
도8a는 환부영역정보 중, 환부영역의 부위의 입력을 촉진시키는 표시다.
표시장치223에 환부영역의 부위, Head(머리), Shoulder(어깨), Arm(팔), Back(등), Waist(허리), Hip(엉덩이), Leg(다리)를 지정하기 위한 부위선택 항목801이 표시된다. 또한, 이 부위선택 항목801의 가장 아래에는, 환부영역정보의 입력을 완료하기 위한 항목이 있고, 이것을 선택함으로써, 환부영역정보의 일부가 미입력이여도, 환부영역정보의 입력 작업을 종료할 수 있다.
유저는 조작 부재224를 조작함으로써, 촬영한 환부영역이 존재하는 부위를 지정할 수 있다. 유저에 의해 선택된 항목은 프레임선802로 둘러싸여져서 표시된다. 도8a에서는 Hip(엉덩이)이 선택된 모양을 나타내고 있다. 부위선택 항목801이 나타내는 1개의 부위에, 2개이상의 환부영역이 존재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다시, Hipl, Hip2, Hip3과, 다시 복수의 항목을 선택할 수 있게 해도 좋다.
도8b는, 도8a에서 환부영역이 존재하는 부위를 선택한 후, 선택한 부위에서 좋은 것인가 아닌가를 유저에 확인하기 위한 표시다. 유저 조작에 의해 선택한 부위에서 좋은 것이 확인되면, 표시장치223은 도8c에 나타내는 화면의 표시를 행한다.
도8c는 환부영역정보 중, DESIGN-R(등록상표)의 각 평가 항목의 평가 값의 입력을 촉진시키는 표시다.
화면좌측에는 평가 항목 선택부804가 표시된다. D(깊이:Depth), E(삼출액:Exudate), S(크기:Size), I(염증·감염: Inflammation/Infection), G(육아조직:Granulation), N(괴사 조직:Necrotic tissue), P(포켓:Pocket)의 각 항목과, 각각의 항목이 입력된 것인가 아닌가를 나타내는 정보가, 환부영역의 화상과 함께 표시된다. 도8c에서는, 화상으로부터 해석된 것인 S(크기:Size)에 대해서는 평가 값 「s9」이 표시되고, 그 이외의 평가 항목에 대해서는 미확인인 것을 나타내는 「non」이 표시되어 있다. S(크기:Size)의 항목이 해칭 표시가 되어 있는 것은, 이 항목이 입력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유저는 조작 부재224를 조작함으로써 평가 항목을 지정할 수 있고, 선택된 평가 항목(여기서는 D(깊이:Depth))은 프레임선805로 둘러싸여져서 표시된다.
이때, 화면하부에는 중증도 선택부806으로서 화면좌측에서 선택된 평가 항목의 중증도의 평가 값이 중첩 표시된다. 도8c에서는, D(깊이:Depth)의 중증도를 나타내는 평가 값인 dO, dl, d2, D3, D4, D5, DU가 표시되어 있다.
유저는 조작 부재224를 조작해서 어느 하나의 평가 값을 선택할 수 있고, 선택된 평가 값은 프레임선807로 둘러싸여져서 표시됨과 아울러, 그 평가 값의 설명문808(평가 항목Depth, 중증도d2의 설명:진피까지의 손상)이 표시된다. 또한, 유저가 문자열을 입력함으로써, 평가 값의 입력을 행하도록 해도 좋다.
도8d는, 도8c에서 평가 값을 선택한 후, 선택한 평가 값에서 좋은 것인가 아닌가, 유저에 문의하기 위한 확인 통지809를 나타낸다.
유저가 조작 부재224로, 선택한 평가 값에서 문제 없는 것을 선택하면, 도8e에 나타내는 표시에 화면이 천이한다.
도8e는, 평가 값이 입력된 것에 의해, D(깊이:Depth)의 평가 항목810의 표시가 「non」으로부터 「d2」로 변함과 아울러, 평가 항목810이 해칭 표시가 된다.
마찬가지로, 미입력의 평가 항목이 없어질 때까지, E(삼출액:Exudate), I(염증·감염: Inflammation/Infection), G(육아조직:Granulation), N(괴사 조직:Necrotic tissue), P(포켓:Pocket)에 대해서, 유저에게 평가 값의 입력을 촉구하는 표시가 된다.
모두의 평가 항목의 평가 값이 입력되면, 환부영역정보의 입력이 완료한 취지를 유저에 통지한 후, 스텝402에 되돌아가, 라이브 뷰 처리를 시작한다.
이와 같이, 제1의 실시형태에서는 스텝418∼스텝420의 처리에 있어서, 환부영역이 촬영된 후, 자동해석되지 않은 평가 항목의 평가 값이나 환부영역의 부위의 정보의 입력을 촉진시키는 표시를 행하고, 유저에 환부영역정보를 입력시키는 기능을 갖춘다. 이렇게 함으로써, 종래, 다른 매체에서 입력하고 있었던 환부영역정보를 촬상 장치만으로 입력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다음 환부를 촬영하기 전에 환부영역정보가 모두 입력한 것인가 아닌가 판정하고, 미입력의 평가 항목의 입력을 순차로 재촉하는 것으로, 환부영역정보의 입력 누락을 막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1의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조작 부재224는, 음성인식에 의한 입력 수단을 사용해도 좋다.
또, 도8a에서는 환부부위 입력시, 부위를 「Head」「Shoulder」등의 문자로 항목표시하여, 선택했다. 이것에 대하여, 도8f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장치223에 인체 모델811을 표시하고, 표시장치223에 설치된 터치 센서에서, 유저에 환부영역의 부위를 지정시키도록 구성해도 좋다.
또, 그 때, 도8g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체 모델811을 확대, 축소, 혹은, 회전시킴으로써, 보다 환부영역의 부위를 선택하기 쉽게 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또, 도8e에서는, 평가 값의 입력이 완료한 평가 항목인 것을 나타내는 수단으로서 해칭 표시를 사용했지만, 문자의 휘도를 떨어뜨려도, 반전 표시해도 좋고, 유저에게 명시할 수 있는 것이라면, 이것들의 표시 방법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입력가능한 욕창의 평가 지표로서 DESIGN-R(등록상표)을 사용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Bates-Jensen Wound Assessment Tool(BWAT), Pressure Ulcer Scale for Healing(PUSH), Pressure Sore Status Tool(PSST)등의, 다른 평가 지표를 사용해도 좋다. 다시 말해, 욕창의 영역의 추출 결과와, 추출한 영역의 크기의 정보가 얻어진 것에 따라서, 이것들 BWAT, PUSH, PSST등에 있어서의 평가 항목을 입력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해도 좋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욕창의 평가 항목의 평가 값의 입력을 목적으로 한 구성의 예를 제시해서 설명을 행하고 있지만, 시각적인 평가 항목이면, 다른 피부질환에 있어서의 평가 항목의 평가 값이어도 좋다. 예를 들면, 아토피성 피부염에 있어서의 Severity Scoring of Atopic Dermatitis(SCORAD)이나 건선에 있어서의 Body Surface Area, Psoriasis Area and Severity Index(PASI)등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유저가 촬상 장치200에서 환부영역102를 촬상하는 것에 의해, 촬상 장치200의 표시장치223에 환부영역의 크기를 나타내는 정보가 표시되는 화상처리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욕창의 환부영역의 크기의 평가를 의료관계자의 부하, 및 평가를 하는 환자측의 부하를 경감할 수 있다. 또한, 환부영역의 크기의 산출을 프로그램에 근거해서 실행함으로써, 의료관계자가 수동으로 계측할 경우와 비교하여 개인차를 억제할 수 있고, 욕창의 크기의 평가의 정확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욕창의 규모를 보다 정확히 나타내기 위해서 평가 값으로서의 환부면적을 산출해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라이브 뷰 표시일 때, 유저가 환부영역의 추정 에어리어가 타당한지를 확인하는 기능은 필수가 아니기 때문에, 스텝406, 스텝407, 및, 스텝441 내지 스텝445를 생략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화상처리 장치300은, 환부영역102의 추출 결과를 나타내는 정보, 환부영역102의 크기를 나타내는 정보, 및, 이것들의 정보를 중첩한 중첩 화상의 화상 데이터를 기억장치312에 기억하도록 해도 좋다. 그리고, 출력 장치314는, 접속된 디스플레이등의 출력 기기에, 기억장치312에 기억한 어느 한 개 이상의 정보, 혹은, 화상 데이터를 출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에 중첩 화상을 표시함으로써, 환부영역102를 촬영하는 유저와는 다른 유저가, 실시간으로, 혹은, 과거에 얻어진 환부영역102의 화상과 크기를 나타내는 정보를 얻을 수 있게 된다. 화상처리 장치300의 연산장치311은, 출력 장치314로부터 디스플레이에 송신하는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임의로 위치 및 각도를 변경하는 스케일 바등을 표시하는 기능을 설치해도 좋다. 이러한 스케일 바를 표시함으로써, 디스플레이를 보고 있는 유저가 환부영역102의 임의의 개소의 길이를 계측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스케일 바의 메모리의 폭은, 스텝451에서 수신한 거리정보, 줌 배율의 정보, 및 리사이즈 처리된 화상 데이터의 사이즈(픽셀수)의 정보등에 근거해서 자동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상처리 장치300을, 고정측에서 상시 전원이 공급된 상태로 사용하면, 배터리 고갈이 될 걱정이 없고, 언제든지 임의의 타이밍에서 환부영역102의 화상과 크기를 나타내는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고정형 디바이스인 화상처리 장치300은 기억 용량이 많기 때문에, 다수의 화상 데이터를 보존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유저가 촬상 장치200에서 환부영역102을 촬상하였을 때에, 화상을 화상해석하는 것에 의해 얻어지는 정보와는 다른, 환부영역102에 관한 정보를, 유저가 입력하고, 기록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나중에, 촬영된 화상 데이터를 보면서, 전자 진단기록 카드나 종이매체에 환부영역의 평가를 입력할 수고가 불필요해진다. 더욱, 미입력의 항목을 알 수 있도록 유저에게 제시함으로써, 유저가 환부영역을 촬영했을 때에, 이것들의 정보의 입력을 잊어버리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2의 실시형태)
제1의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화상처리 시스템에서는, 화상처리 장치300이, 환부영역의 추출 결과를 나타내는 정보 및 환부영역의 크기를 나타내는 정보를, 화상 데이터에 중첩하는 처리를 행했다. 이것에 대하여, 제2의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화상처리 시스템에서는, 촬상 장치200의 화상처리 회로217이, 환부영역의 추출 결과를 나타내는 정보 및 환부영역의 크기를 나타내는 정보를 화상 데이터에 중첩하는 처리를 행한다.
도9는, 제2의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화상처리 시스템1의 동작을 나타내는 워크 플로우도다.
도9에는, 도4에 나타내는 워크 플로우 중, 화상처리 장치300에 의한 스텝444 및 스텝455의 중첩 처리가 없고, 대신에, 촬상 장치200에 의한 스텝901 및 스텝902의 중첩 처리가 추가되어 있다. 또한, 도9에 기재된 스텝 중, 도4에 나타내는 스텝과 같은 번호가 부여된 스텝은, 도4의 대응하는 스텝과 같은 처리를 행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촬상 장치200이 중첩 화상을 생성하기 때문에, 스텝445 및 스텝456에 있어서, 화상처리 장치300으로부터 촬상 장치200에 보내는 데이터는 칼라 스케일의 화상 데이터일 필요는 없다. 화상처리 장치300은, 화상 데이터는 송신하지 않고, 추정된 환부영역의 크기를 나타내는 메타데이터 및 환부영역의 위치를 의미하는 데이터를 송신하게 되므로, 통신 트래픽을 경감하고, 통신을 고속화할 수 있다. 추정된 환부영역의 위치를 의미하는 데이터는 보다 사이즈가 가벼운 벡터 형식의 데이터다. 또한, 2값의 래스터 형식의 데이터이여도 좋다.
또, 촬상 장치200은, 스텝407 혹은 스텝416에서 화상처리 장치300로부터 추정된 환부영역의 크기를 나타내는 메타데이터 및 환부영역의 위치를 의미하는 데이터를 수신하면, 스텝901 또는 스텝902에 있어서, 중첩 화상을 생성한다.
구체적으로는, 스텝901에 있어서, 촬상 장치200의 화상처리 회로217은, 도4의 스텝444에서 설명한 방법으로, 중첩 화상을 생성한다. 추정된 환부영역의 크기 및 위치를 의미하는 정보를 중첩하는 화상 데이터는, 스텝406에서 촬상 장치200으로부터 화상처리 장치300에 송신한 화상 데이터이어도 좋고, 라이브 뷰용의 화상으로서 표시에 사용되고 있는 최신의 프레임의 화상 데이터이어도 좋다.
또, 스텝902에 있어서, 촬상 장치200의 화상처리 회로217은, 도4의 스텝455에서 설명한 방법으로, 중첩 화상을 생성한다. 추정된 환부영역의 크기 및 위치를 의미하는 정보를 중첩하는 화상 데이터는, 스텝415에서 촬상 장치200으로부터 화상처리 장치300에 송신한 화상 데이터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1의 실시형태와 비교하여, 화상처리 장치300으로부터 촬상 장치200에 보내는 데이터를 경감할 수 있으므로, 촬상 장치200과 화상처리 장치300의 사이의 통신 트래픽을 경감하고, 통신을 고속화 할 수 있다.
(제3의 실시형태)
도10은, 제3의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화상처리 시스템11의 개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10에 나타내는 화상처리 시스템11은, 제1 및 제2의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촬상 장치200 및 화상처리 장치300에 더하여, Web액세스가 가능한 전자기기인 단말장치1000을 가지고 있다. 단말장치1000은, 예를 들면 타블렛 단말로 구성되고, Web 브라우저의 기능을 가지고, Web서버에의 액세스와 취득한 HTML 파일의 표시를 할 수 있다. 또한, 단말장치1000은 타블렛 단말에 한정하지 않고, Web 브라우저, 혹은, 전용의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로 화상을 표시할 수 있는 디바이스이면 좋고, 예를 들면 스마트 폰이나 퍼스널 컴퓨터이여도 좋다. 여기에서, 촬상 장치200과 단말장치1000이 다른 장치인 것으로서 설명을 행하지만, 이것들을 단일의 장치로 하여도 좋다. 단말장치1000이 카메라 기능 부착의 스마트 폰이나 타블렛 단말이면, 단말장치1000이 촬상 장치200의 역할을 다하는 것도 가능하다.
화상처리 장치300의 연산장치311은, 제1 및 제2의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처리에 더하여, 화상 데이터로부터 피사체를 식별하는 처리를 행한다. 더욱이, 이 연산장치311은, 추정된 환부영역의 크기 및 위치에 관한 정보와, 환부영역의 화상 데이터를, 식별한 피사체마다 기억장치312에 기억시키는 처리를 실행한다. 단말장치1000은, 화상처리 장치300의 기억장치312에 기억된, 피사체에 관련 있던 추정된 환부영역의 크기를 나타내는 정보와 환부영역의 화상 데이터를, Web브라우저, 혹은, 전용의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는 것으로 유저에 확인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는, Web브라우저를 사용해서 유저에 화상 데이터를 확인시키는 것으로 하여서 설명을 행한다.
또한, 화상 데이터로부터 피사체를 식별하는 기능, 식별한 피사체마다 환부영역의 정보 혹은 화상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능, 혹은, Web서비스의 처리를 행하는 기능은, 본 실시형태에서는 화상처리 장치300이 실시하는 것으로 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것들의 기능의 일부 또는 모두는, 화상처리 장치300과는 다른 네트워크상의 컴퓨터에 의해 실현되어도 좋다.
도10에 있어서, 피사체101에는 피사체를 식별하는 정보로서 바코드 태그103이 부가되어 있고, 촬영한 환부영역102의 화상 데이터와, 바코드 태그103이 나타내는 피사체의 ID를 관련지어 서로 연결시킬 수 있다. 또한, 피사체를 식별하는 태그는 바코드 태그에 한정한 것이 아니고, QR 코드(등록상표)등의 2차원 코드나 수치이여도 좋다. 혹은, 피사체를 식별하는 태그로서 텍스트를 기재해서 태그를 사용하고, 화상처리 장치300에 탑재된 OCR(Optical Character Recognition/Reader)기능으로 판독하도록 해도 좋다.
화상처리 장치300의 연산장치311은, 촬영된 화상 데이터에 포함되는 바코드 태그를 해석해서 얻어진 ID와, 미리 기억장치312에 등록되어 있는 피사체ID를 대조하여, 피사체101의 이름을 취득한다. 또한, ID의 해석을 촬상 장치200이 행하고, 얻어진 ID를 화상처리 장치300에 송신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연산장치311은, 환부영역102의 화상 데이터, 피사체의 환부영역102의 크기를 나타내는 정보, 피사체ID와, 취득한 피사체의 이름, 및 촬영 일시등에 근거하는 레코드를 생성하고, 기억장치312의 데이타베이스에 등록한다.
더욱, 연산장치311은, 단말장치1000으로부터의 리퀘스트에 반응하여, 기억장치312의 데이타베이스에 등록된 정보를 반송한다.
도11은, 제3의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화상처리 시스템11의 동작을 나타내는 워크 플로우도다. 도11에 기재된 스텝 중, 도4에 나타내는 스텝과 같은 번호가 부여된 스텝은, 도4의 대응하는 스텝과 마찬가지의 처리를 행한다.
도11에 있어서, 촬상 장치200은, 화상처리 장치300과의 접속이 이루어지면, 스텝1101에 있어서, 표시장치223에 유저에게 바코드 태그103의 촬영을 행하게 하는 취지의 지시를 표시하고, 유저의 릴리즈 조작에 따라서 바코드 태그103의 촬영을 행한다. 그것으로부터 스텝402로 진행된다. 바코드 태그103에는 환자를 식별하는 환자ID의 정보가 포함된다. 바코드 태그103을 촬영한 후에 환부영역102의 촬영을 함으로써, 촬영 일시등으로 촬영 순서를 관리하고, 1개의 바코드 태그의 화상으로부터 다음 바코드 태그의 화상의 앞까지가, 동일 피사체의 화상으로서 피사체ID에 의해 식별된다. 물론, 환부영역102를 촬영한 후에, 바코드 태그103을 촬영하는 순서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스텝410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 회로220이, 릴리즈 버튼이 눌린 것을 검지하고, 스텝411 내지 스텝414를 거쳐, 스텝415에 있어서 통신 장치219가 화상 데이터와, 거리정보를 포함하는 1이상의 정보를, 무선통신에 의해 화상처리 장치300에 송신한다. 이 스텝415에서 송신되는 화상 데이터에는, 환부영역102를 촬영한 화상 데이터에 더하여, SlOOl에서 바코드 태그103을 촬영한 화상 데이터가 포함된다.
화상처리 장치300은, 스텝455에 있어서 중첩 화상의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스텝1111로 진행된다.
스텝1111에 있어서, 연산장치311은, SlOOl에서 촬영한 바코드 태그103의 화상 데이터에 포함되는 1차원 바코드(도시되지 않음)를 판독하여, 피사체를 식별하는 피사체ID를 판독하는 처리를 행한다.
스텝1112에 있어서, 판독된 피사체ID와, 기억장치312에 등록되어 있는 피사체ID의 대조를 행한다.
스텝1113에 있어서, 피사체ID의 대조에 성공했을 경우는, 기억장치312의 데이타베이스에 등록된 환자의 이름, 및, 과거의 환부영역정보를 취득한다. 여기에서는, 최근에 기억된 환부영역정보를 취득하는 것으로 한다.
스텝456에 있어서, 화상처리 장치300의 통신 장치313이, 추출한 환부영역102의 추출 결과를 나타내는 정보, 환부영역102의 크기를 나타내는 정보, 및, 기억장치312로부터 취득한 과거의 환부영역정보를 촬상 장치200에 출력한다.
스텝416에서, 촬상 장치200의 통신 장치219는, 화상처리 장치300으로부터 송신되어 온 화상 데이터 및 환부영역정보를 수신한다.
스텝417에 있어서, 표시장치223이 스텝416에서 수신한 환부영역102의 크기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화상 데이터를 소정시간 표시한다.
스텝418에 있어서, 값이 입력되어 있지 않은 환부영역정보의 유무를 판정한다.
스텝418에 있어서 값이 입력되어 있지 않는 환부영역정보가 있을 경우는 스텝1102에 이행하고, 모든 환부영역정보가 입력되어 있으면, 스텝1104로 진행된다.
스텝1102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 회로220은, 과거의 환부영역정보도 사용하여, 표시장치223에 환부영역정보의 입력을 재촉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한다.
도12a 및 도12b는, 과거에 취득한 환부영역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다. 도12a에서는, 과거에 평가 항목의 평가 값이 입력된 부위에 대해서는, 화면좌측의 부위선택 항목1101에 표시되는 항목1102의 문자 사이즈가 크게 표시된다. 도12a에서는, Back(등)과 Hip(엉덩이)에 있어서, 과거에 환부영역의 평가 항목의 평가 값이 입력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스텝420에 있어서 유저에 의해 환부영역의 정보가 입력되면, 스텝1103에 있어서, 과거의 평가 항목의 평가 값과 비교하여, 증상이 양호화했는지, 악화했는지를 판별할 수 있는 표시를 행한다.
도12b에서는, 평가 항목 선택부1103이 3열 표기로 되어, 왼쪽으로부터, 평가 항목 이름, 과거의 평가 값, 현재의 평가 값의 순으로 표시된다.
또, 여기에서는, 현재와 과거의 평가 값을 비교하여, 증상이 양호화했다고 판정할 수 있는 항목은 녹색의 평가 값이 표시되고, 악화했다고 판정할 수 있는 항목은 적색의 평가 값이 표시된다.
모두의 평가 항목의 평가 값이 입력되면, 환부영역정보의 입력이 완료한 취지를 유저에 통지한 후, 스텝1104로 진행된다.
스텝1104에 있어서, 일련의 각 평가 항목의 평가 값이 입력된 환부영역정보나 화상 데이터를 화상처리 장치300에 무선통신에 의해 출력하고, 스텝402로 되돌아간다.
스텝1114에 있어서, 화상처리 장치300은, 촬상 장치200으로부터 송신된 환부영역정보나 화상 데이터를 수신한다.
스텝1115에 있어서, 연산장치311은, 환부영역을 촬영한 화상 데이터, 환부영역102의 부위의 정보, 환부영역102의 각 평가 항목의 평가 값, 피사체ID, 취득한 피사체의 이름, 및 촬영 일시 등에 근거하는 레코드를 작성한다. 더욱, 연산장치311은, 작성한 레코드를 기억장치312의 데이타베이스에 등록한다.
스텝1116에 있어서, 연산장치311은, 단말장치1000으로부터의 요구에 반응하여, 기억장치312의 데이타베이스에 등록된 정보를 단말장치1000에 송신한다.
여기서, 단말장치1000의 브라우저의 표시의 일례를, 도13과 도14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도13은, 단말장치1000의 브라우저에 표시되는 데이터 선택 화면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다. 데이터 선택 화면1301은, 날짜1302마다 구획선1303으로 구획되고, 각각의 날짜의 영역에는 촬상 시간1304마다 아이콘1305이 표시되어 있다. 아이콘1305에는, 피사체ID와 피사체의 이름이 표시되어 있고, 아이콘1305는 같은 시간대에 촬영된 동일한 피사체의 데이터 세트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데이터 선택 화면1301에는 검색창1306이 설치되고, 검색창1306에 날짜, 피사체ID, 또는 피사체의 이름을 입력함으로써, 데이터 세트를 검색할 수 있다. 더욱, 스크롤 바1307을 조작함으로써, 한정된 표시 영역에 있어서 복수의 데이터를 확장해서 표시할 수 있다. 단말장치1000의 브라우저의 유저는, 아이콘1305를 선택해서 클릭함으로써, 브라우저가 데이터 열람화면으로 천이하여, 그 데이터 세트의 화상, 및 피사체의 크기를 나타내는 정보를 열람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화상처리 장치300에는, 단말장치1000에 있어서 지정된 피사체 및 일시를 나타내는 요구가 단말장치1000으로부터 송신된다. 그리고, 화상처리 장치300은, 이 요구에 대응하는 화상 데이터, 및, 피사체의 크기를 나타내는 정보를 단말장치1000에 송신한다.
도14는, 단말장치1000의 브라우저에 표시되는 데이터 일람 화면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다. 데이터 열람 화면1401에는, 데이터 선택 화면1301에서 선택한 데이터 세트의 피사체ID 및 피사체의 이름1402와, 촬영 일시 및 시간1403이 표시되어 있다. 더욱, 1회의 촬영마다 화상 데이터에 근거하는 화상1404와, 이 화상1404에 있어서의 환부영역정보에 근거하는 데이터1405가 표시된다. 더욱, 동일한 피사체의 환부영역을 연속해서 복수촬영했을 경우의, 촬영 번호가 번호1406으로 도시되어 있다. 화면우단의 슬라이더1407을 이동시키는 것으로, 동일한 피사체ID의, 다른 촬영 일시의 화상 데이터 및 환부영역정보에 근거하는 데이터를 표시시킬 수 있다. 또한, 설정을 변경함으로써, 복수의 촬영 일시의 및 환부영역정보에 근거하는 데이터를 표시시킬 수도 있고, 이렇게 함으로써, 환부영역의 증상의 변화를 비교하는 것이 쉬워진다.
또한, 도14에서는, 환부영역의 촬상을 행하고 나서, 피사체ID의 대조나, 환부영역이 존재하는 부위의 선택을 유저에게 행하게 하는 처리를 행했지만, 이것들을 먼저 행하도록 해도 좋다.
도15는, 제3의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화상처리 시스템11의 동작의 변형 예를 나타내는 워크 플로우 도다. 도15에 기재된 스텝 중, 도11에 나타내는 스텝과 같은 번호가 부여된 스텝은, 도11의 대응하는 스텝과 마찬가지의 처리를 행한다.
스텝1101에 있어서, 바코드 태그103의 촬영을 행하면, 스텝1501에 있어서, 통신 장치219가 바코드 태그103을 촬영한 화상 데이터를 화상처리 장치300에 송신한다.
스텝1511에 있어서, 화상처리 장치의 통신 장치313이, 촬상 장치200으로부터 송신된 바코드 태그103을 촬영한 화상 데이터를 수신한다.
스텝1512에 있어서, 연산장치311은, 수신한 바코드 태그103의 화상 데이터에 포함되는 1차원 바코드를 판독하여, 피사체를 식별하는 피사체ID를 판독하는 처리를 행한다.
스텝1513에 있어서, 판독된 피사체ID와, 기억장치312에 등록되어 있는 피사체ID의 대조를 행한다.
스텝1514에 있어서, 피사체ID의 대조에 성공했을 경우는, 기억장치312의 데이타베이스에 등록된 환자의 이름을 취득한다. 만약에 대조에 실패했을 경우에는, 그 취지를 환자의 이름 대신에 취득한다.
스텝1515에 있어서, 화상처리 장치의 통신 장치313이, 환자의 이름, 혹은, 피사체ID의 대조에 실패한 취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촬상 장치200에 송신한다.
스텝1502에 있어서, 촬상 장치200의 통신 장치219가, 화상처리 장치300으로부터 송신된 환자의 이름을 수신한다.
스텝1503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 회로220은, 표시장치223에 환자의 이름을 표시한다.
스텝1504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 회로220은, 표시장치223에 환자의 이름을 표시한다. 여기에서, 유저에 환자의 이름이 옳은지를 확인하기 위한 입력을 행하게 해도 좋고, 만약 환자의 이름이 옳지 않은 경우, 혹은, 환자의 이름의 대조에 실패하고 있었을 경우에는, 스텝1101로 되돌아가도록 해도 좋다. 환부영역의 화상을 촬영하기 전에, 환자의 이름을 표시함으로써, 나중에 취득하는 환부영역의 화상 데이터나 환부영역정보와, 피사체ID가, 잘못 관련시켜질 수 있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스텝1505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 회로220은, 표시장치223에 환부영역정보 중, 환부영역이 존재하는 부위의 정보의 입력을 촉진시키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한다. 이것은, 제1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도8a 및 도8b와 마찬가지로, 환부영역의 부위, Head(머리), Shoulder(어깨), Arm(팔), Back(등), Waist(허리), Hip(엉덩이), Leg(다리)를 지정하기 위한 부위선택 항목801을 표시하여, 유저에 선택시킨다.
스텝1506에 있어서, 유저에 의해 환부영역의 정보가 입력되면, 스텝402로 진행된다. 이렇게, 이것으로부터 촬영하려고 하는 환부영역의 부위의 정보를 선택시키고 나서, 환부영역의 촬영을 행하는 처리로 진행하므로, 환부영역의 부위의 정보를 잘못 선택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스텝1513으로 피사체ID의 대조를 행하고 있기 때문에, 화상처리 장치300은, 환부영역을 포함하는 화상 데이터를 취득한 후에 피사체ID의 대조를 행할 필요는 없다. 또한, 스텝1506으로 환부영역의 부위의 정보를 입력하고 있기 때문에, 환부영역을 포함하는 화상 데이터를 취득한 후의 스텝1507 및 스텝1508에서는, 환부영역의 부위의 정보의 입력은 불필요하여, 각 평가 항목의 평가 값의 입력만을 행하면 좋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화상처리 시스템11에서는, 환부영역102의 화상 데이터와 그 해석 결과를, 피사체마다 식별해서 기억할 수 있고, 또한, 각 평가 항목이 양호화했는지, 악화했는지가 유저가 보유하고 있는 촬상 장치만으로 확인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때문에, 과거에 등록된 환부의 관리정보를 보유하고 있는 촬상 장치만으로 환부 촬영 직후에 확인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현시점에서 확인한 중증도를 최근의 관리 정보와 비교하여 표시함으로써, 증상이 양호화하고 있는지, 악화하고 있는지가 한눈에 확인 가능해진다.
또, 유저는 타블렛 단말등의 단말장치1000으로부터, Web브라우저나 전용의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피사체ID나 피사체의 이름과 관련시켜서, 환부영역102의 화상 데이터의 해석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어느 것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촬상 장치200에 보조 연산장치317에 해당하는 회로를 탑재하는 것에 의해, 도4, 도9 및 도11에 나타내는 워크 플로우와 동일한 효과를 얻기 위한 처리를, 촬상 장치200단체에서 행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경우, 촬상 장치200만으로, 상술한 촬상 장치200과 화상처리 장치300으로 이루어진 화상처리 시스템과 동일한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외부의 컴퓨터로 생성된 새로운 학습된 모델을 받으므로, 환부영역의 추론 처리의 정밀도를 향상시키거나, 새로운 종류의 환부영역의 추출을 하거나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기타의 실시형태)
또, 본 발명은, 상술의 실시형태의 1이상의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을, 네트워크 또는 기억 매체를 통해 시스템 또는 장치에 공급하고, 그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있어서의 1개이상의 프로세서가 프로그램을 판독해 실행하는 처리로도 실현된. 또한, 1이상의 기능을 실현하는 회로(예를 들면, ASIC)에 의해서도 실현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로부터 이탈하지 않고, 여러가지 변경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를 밝히기 위해서 이하의 청구항을 첨부한다.
본원은, 2018년 5월 31일 제출의 일본국특허출원 특원2018-104922와 2019년 2월 5일 제출의 일본국특허출원 특원2019-018653과 2019년 5월 22일 제출의 일본국특허출원 특원2019-095938을 기초로 하여서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며, 그 기재 내용의 모두를 여기에 인용한다.

Claims (60)

  1. 촬상 장치와 화상처리 장치로 이루어지는 화상처리 시스템이며,
    상기 촬상 장치는,
    피사체로부터의 광을 수광해서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촬상 수단과,
    상기 화상 데이터를 통신 네트워크에 출력하는 제1의 통신 수단과,
    상기 촬상 수단에서 생성된 화상 데이터에 근거하는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수단을 가지고,
    상기 화상처리 장치는,
    상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는 제2의 통신 수단과,
    상기 화상 데이터로부터 상기 피사체의 소정의 영역을 추출하는 연산 수단을 가지고,
    상기 제2의 통신 수단은, 상기 연산 수단에서 추출한 상기 소정의 영역의 추출 결과를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통신 네트워크에 출력하고,
    상기 제1의 통신 수단은, 상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소정의 영역의 추출 결과를 나타내는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표시 수단은, 상기 소정의 영역의 추출 결과를 나타내는 정보에 근거하는 표시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수단은, 상기 소정의 영역의 추출 결과가 중첩된, 상기 연산 수단이 상기 소정의 영역의 추출을 행할 때에 사용한 화상 데이터에 근거하는 화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수단은, 상기 소정의 영역의 추출 결과가 중첩된, 상기 촬상 수단으로 생성된 라이브 뷰 화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 시스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 수단은, 상기 화상 데이터로부터 추출한 상기 소정의 영역의 크기를 나타내는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2의 통신 수단은, 상기 연산 수단이 생성한 상기 크기를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통신 네트워크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장치는, 상기 촬상 장치로부터 상기 피사체까지의 거리에 관한 거리정보를 생성하는 생성 수단을 가지고,
    상기 제1의 통신 수단은, 상기 거리정보를 상기 통신 네트워크에 출력하고,
    상기 제2의 통신 수단은, 상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거리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연산 수단은, 상기 거리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소정의 영역의 크기를 나타내는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 시스템.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수단은, 상기 소정의 영역의 추출 결과를 나타내는 정보와 상기 크기를 나타내는 정보에 근거하는 표시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 시스템.
  7. 제 4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영역의 크기를 나타내는 정보는, 상기 소정의 영역의 적어도 2개의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 상기 소정의 영역의 면적, 상기 소정의 영역에 외접하는 직사각형의 영역의 면적, 및, 상기 소정의 영역의 크기를 측정하기 위한 스케일 바 중, 적어도 1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 수단은, 상기 소정의 영역의 상기 화상 데이터상의 사이즈를, 상기 화상 데이터의 화각 혹은 화소의 크기를 나타내는 정보, 및 상기 거리정보에 근거해서 변환함으로써, 상기 소정의 영역의 크기를 나타내는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 시스템.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 수단은, 상기 소정의 영역의 크기를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소정의 영역을 가지는 피사체마다 식별해서 기억 수단에 기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 수단은, 상기 소정의 영역의 크기를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소정의 영역을 가지는 피사체, 및 상기 소정의 영역의 추출을 행할 때에 사용한 상기 화상 데이터가 생성된 일시에 근거해서 식별하고,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 시스템.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 수단은, 외부의 단말장치로부터의 리퀘스트에 대하여, 상기 리퀘스트에 있어서 지정된 피사체에 대응하는 상기 소정의 영역의 크기를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단말장치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 장치.
  12. 제 9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통신 수단은, 더욱, 상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제1의 통신 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상기 피사체를 식별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고,
    상기 연산 수단은, 상기 피사체를 식별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화상 데이터로부터, 상기 소정의 영역을 가지는 피사체를 식별하는 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 시스템.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 수단은, 상기 소정의 영역의 추출 결과를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표시 수단과는 다른 제2의 표시 수단에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 시스템.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 수단은, 상기 제2의 표시 수단에, 상기 소정의 영역의 추출 결과를 중첩한 화상 데이터에 근거하는 화상과, 상기 제2의 통신 수단이 취득한 상기 화상 데이터에 근거하는 화상을, 나란히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 시스템.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수단은, 상기 소정의 영역에 있어서의, 미리 정해진 복수의 평가 항목의 평가 값을, 유저에 입력시키기 위한 표시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 시스템.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수단은, 상기 소정의 영역의 추출 결과를 취득한 것에 따라서, 상기 복수의 평가 항목의 평가 값을 유저에 입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 시스템.
  17.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영역은 환부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 시스템.
  18. 피사체로부터의 광을 수광해서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촬상 수단과,
    상기 화상 데이터를,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장치에 출력하는 통신 수단과,
    상기 촬상 수단에서 생성된 화상 데이터에 근거하는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수단을 가지고,
    상기 통신 수단은,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상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화상 데이터에 있어서의 상기 피사체의 소정의 영역의 추출 결과를 나타내는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표시 수단은, 상기 소정의 영역의 추출 결과를 나타내는 정보에 근거하는 표시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수단은, 상기 소정의 영역의 추출 결과가 중첩된, 상기 외부장치에 출력한 화상 데이터에 근거하는 화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수단은, 상기 소정의 영역의 추출 결과가 중첩된, 상기 촬상 수단으로 생성된 라이브 뷰 화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21. 제 18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수단은,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상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화상 데이터에 있어서의 상기 소정의 영역의 크기를 나타내는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표시 수단은, 상기 소정의 영역의 추출 결과를 나타내는 정보와, 상기 크기를 나타내는 정보에 근거하는 표시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장치는, 상기 촬상 장치로부터 상기 피사체까지의 거리에 관한 거리정보를 생성하는 생성 수단을 가지고,
    상기 통신 수단은, 상기 거리정보를, 상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외부장치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23. 제 21 항 또는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영역의 크기를 나타내는 정보는, 상기 소정의 영역의 적어도 2개의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 상기 소정의 영역의 면적, 상기 소정의 영역에 외접하는 직사각형의 영역의 면적, 및, 상기 소정의 영역의 크기를 측정하기 위한 스케일 바 중, 적어도 1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24. 제 18 항 내지 제 2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수단은, 상기 소정의 영역을 가지는 피사체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상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외부장치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25. 제 18 항 내지 제 2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수단은, 상기 소정의 영역에 있어서의, 미리 정해진 복수의 평가 항목의 평가 값을, 유저에 입력시키기 위한 표시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수단은, 상기 소정의 영역의 추출 결과를 취득한 것에 따라서, 상기 복수의 평가 항목의 평가 값을 유저에 입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27. 제 18 항 내지 제 2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영역은 환부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28. 촬상 장치로부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화상 데이터와, 상기 화상 데이터에 포함되는 피사체에 대응하는 거리정보를 취득하는 통신 수단과,
    상기 화상 데이터로부터 상기 피사체의 소정의 영역을 추출하고, 상기 거리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소정의 영역의 크기를 구하는 연산 수단을 가지고,
    상기 통신 수단은, 상기 연산 수단에서 추출한 상기 소정의 영역의 추출 결과를 나타내는 정보와, 상기 크기를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촬상 장치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 장치.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정보는, 상기 촬상 장치로부터 상기 피사체까지의 거리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 장치.
  30. 제 28 항 또는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 수단은, 표시 수단에, 상기 소정의 영역의 추출 결과를 나타내는 정보, 및, 상기 소정의 영역의 크기를 나타내는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중첩한 화상 데이터에 근거하는 화상과, 상기 취득 수단이 취득한 상기 화상 데이터에 근거하는 화상을, 나란히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 장치.
  31. 제 28 항 내지 제 3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 수단은, 상기 소정의 영역의 상기 화상 데이터상의 사이즈를, 상기 화상 데이터의 화각 혹은 화소의 크기를 나타내는 정보, 및 상기 거리정보에 근거해서 변환함으로써, 상기 소정의 영역의 크기를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 장치.
  32. 제 28 항 내지 제 3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 수단은, 상기 소정의 영역의 크기를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소정의 영역을 가지는 피사체마다 식별해서 기억 수단에 기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 장치.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 수단은, 상기 소정의 영역의 크기를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소정의 영역을 가지는 피사체, 및, 상기 소정의 영역의 추출을 행할 때에 사용한 상기 화상 데이터가 생성된 일시에 근거하여 식별하여,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 장치.
  34. 제 32 항 또는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 수단은, 외부의 단말장치로부터의 리퀘스트에 대하여, 상기 리퀘스트에 있어서 지정된 피사체에 대응하는 상기 소정의 영역의 크기를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단말장치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 장치.
  35. 제 32 항 내지 제 3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수단은, 더욱, 상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피사체를 식별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고,
    상기 연산 수단은, 상기 피사체를 식별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화상 데이터로부터, 상기 소정의 영역을 가지는 피사체를 식별하는 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 장치.
  36. 제 28 항 내지 제 3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영역은 환부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 장치.
  37. 촬상 수단, 표시 수단, 및 제1의 통신 수단을 가지는 촬상 장치와, 연산 수단 및 제2의 통신 수단을 가지는 화상처리 장치로 이루어지는, 화상처리 시스템의 제어 방법이며,
    상기 촬상 수단이, 피사체로부터의 광을 수광해서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공정과,
    상기 제1의 통신 수단이, 상기 화상 데이터를 통신 네트워크에 출력하는 공정과,
    상기 제2의 통신 수단이, 상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는 공정과,
    상기 연산 수단이, 상기 화상 데이터로부터 상기 피사체의 소정의 영역을 추출하는 공정과,
    상기 제2의 통신 수단이, 상기 소정의 영역의 추출 결과를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통신 네트워크에 출력하는 공정과,
    상기 제1의 통신 수단이, 상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소정의 영역의 추출 결과를 나타내는 정보를 취득하는 공정과,
    상기 표시 수단이, 상기 소정의 영역의 추출 결과를 나타내는 정보에 근거하는 표시를 행하는 공정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 시스템의 제어 방법.
  38. 촬상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피사체로부터의 광을 수광해서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공정과,
    상기 화상 데이터를,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장치에 출력하는 공정과,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상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화상 데이터에 있어서의 상기 피사체의 소정의 영역의 추출 결과를 나타내는 정보를 취득하는 공정과,
    표시 수단에, 상기 소정의 영역의 추출 결과를 나타내는 정보에 근거하는 표시를 행하게 하는 공정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의 제어 방법.
  39. 화상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촬상 장치로부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화상 데이터와, 상기 화상 데이터에 포함되는 피사체에 대응하는 거리정보를 취득하는 공정과,
    상기 화상 데이터로부터 상기 피사체의 소정의 영역을 추출하고, 상기 거리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소정의 영역의 크기를 구하는 공정과,
    상기 소정의 영역의 추출 결과를 나타내는 정보와, 상기 크기를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촬상 장치에 출력하는 공정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40. 컴퓨터에 촬상 장치의 제어 방법의 각 공정을 행하게 하기 위한 지시를 기억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불휘발성의 기억 매체이며,
    상기 촬상 장치의 제방법은,
    피사체로부터의 광을 수광해서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공정과,
    상기 화상 데이터를,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장치에 출력하는 공정과,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상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화상 데이터에 있어서의 상기 피사체의 소정의 영역의 추출 결과를 나타내는 정보를 취득하는 공정과,
    표시 수단에, 상기 소정의 영역의 추출 결과를 나타내는 정보에 근거하는 표시를 행하게 하는 공정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억 매체.
  41. 컴퓨터에 화상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의 각 공정을 행하게 하기 위한 지시를 기억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불휘발성의 기억 매체이며,
    상기 화상처리 방법의 제어 방법은,
    촬상 장치로부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화상 데이터와, 상기 화상 데이터에 포함되는 피사체에 대응하는 거리정보를 취득하는 공정과,
    상기 화상 데이터로부터 상기 피사체의 소정의 영역을 추출하고, 상기 거리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소정의 영역의 크기를 구하는 공정과,
    상기 소정의 영역의 추출 결과를 나타내는 정보와, 상기 크기를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촬상 장치에 출력하는 공정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억 매체.
  42. 피사체로부터의 광을 수광해서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촬상 수단과,
    상기 화상 데이터에 있어서의, 상기 피사체의 소정의 영역의 추출 결과를 취득하는 제어 수단과,
    상기 피사체의 소정의 영역에 있어서의, 미리 정해진 복수의 평가 항목의 평가 값을, 유저에 입력시키는 인터페이스 수단을 가지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입력된 복수의 평가 항목의 평가 값과, 상기 화상 데이터를 관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43.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은, 상기 피사체의 소정의 영역의 추출 결과를 취득한 것에 따라서, 상기 복수의 평가 항목의 평가 값을 유저에 입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44. 제 42 항 또는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피사체의 소정의 영역의 추출 결과는, 상기 소정의 영역의 크기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45. 제 42 항 내지 제 4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은, 상기 소정의 영역이 존재하는 상기 피사체의 부위의 정보를 유저에 입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46. 제 45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은, 상기 소정의 영역의 추출 결과를 취득하기 전에, 상기 소정의 영역이 존재하는 부위의 정보를 유저에 입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47. 제 42 항 내지 제 4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은, 상기 복수의 평가 항목 중, 평가 값이 입력된 평가 항목과 평가 값이 입력되어 있지 않은 평가 항목을, 상이한 형태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48. 제 42 항 내지 제 4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소정의 영역을 가지는 피사체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소정의 영역이 추출된 화상 데이터와, 상기 복수의 평가 항목의 평가 값을, 피사체마다 관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49. 제 4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과거에, 동일한 피사체에 대해서 관련시켜진 상기 복수의 평가 항목의 평가 값을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50. 제 49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은, 새롭게 얻어진 상기 복수의 평가 항목의 평가 값과, 과거에 얻어진 상기 복수의 평가 항목의 평가 값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51. 제 48 항 내지 제 5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은, 상기 소정의 영역을 가지는 피사체를 식별한 결과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52. 제 42 항 내지 제 5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수단으로 생성된 화상 데이터를,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장치인 화상처리 장치에 보내고, 상기 화상처리 장치로부터, 상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화상 데이터로부터 상기 소정의 영역의 추출 결과에 관한 정보를 받아들이는 통신 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53. 제 52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수단은, 상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화상 데이터와, 상기 촬상 장치로부터 상기 피사체까지의 거리정보를 상기 화상처리 장치에 송신하고, 상기 화상처리 장치로부터, 상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소정의 영역의 크기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소정의 영역의 추출 결과에 관한 정보를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54. 제 42 항 내지 제 5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영역은 환부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55. 촬상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피사체로부터의 광을 수광해서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공정과,
    상기 화상 데이터에 있어서의, 상기 피사체의 소정의 영역의 추출 결과를 취득하는 공정과,
    상기 피사체의 소정의 영역에 있어서의, 미리 정해진 복수의 평가 항목의 평가 값을, 유저에 입력시키는 공정과,
    상기 입력된 복수의 평가 항목의 평가 값과, 상기 화상 데이터를 관련시키는 공정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의 제어 방법.
  56. 컴퓨터에 촬상 장치의 제어 방법의 각 공정을 행하게 하기 위한 지시를 기억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불휘발성의 기억 매체이며,
    상기 촬상 장치의 제어 방법은,
    피사체로부터의 광을 수광해서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공정과,
    상기 화상 데이터에 있어서의, 상기 피사체의 소정의 영역의 추출 결과를 취득하는 공정과,
    상기 피사체의 소정의 영역에 있어서의, 미리 정해진 복수의 평가 항목의 평가 값을, 유저에 입력시키는 공정과,
    상기 입력된 복수의 평가 항목의 평가 값과, 상기 화상 데이터를 관련시키는 공정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억 매체.
  57.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촬상 장치로 생성된 화상 데이터, 및 유저가 상기 촬상 장치를 사용해서 입력한, 상기 화상 데이터에 있어서의 피사체의 환부영역에 대한 복수의 평가 항목의 평가 값을 나타내는 정보를 취득하는 통신 수단과,
    표시 수단에, 상기 화상 데이터에 근거하는 화상과 상기 복수의 평가 항목의 평가 값을 표시시키는 제어 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58. 제 5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표시 수단에, 상기 화상 데이터에 근거하는 화상과 상기 복수의 평가 항목의 평가 값을, 상기 소정의 영역을 가지는 피사체, 및, 상기 소정의 영역의 추출을 행할 때에 사용한 상기 화상 데이터가 생성된 일시에 근거하여 식별해서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59.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촬상 장치로 생성된 화상 데이터, 및 유저가 상기 촬상 장치를 사용해서 입력한, 상기 화상 데이터에 있어서의 피사체의 환부영역에 대한 복수의 평가 항목의 평가 값을 나타내는 정보를 취득하는 공정과,
    표시 수단에, 상기 화상 데이터에 근거하는 화상과 상기 복수의 평가 항목의 평가 값을 표시시키는 공정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제어 방법.
  60. 컴퓨터에 전자기기의 제어 방법의 각 공정을 행하게 하기 위한 지시를 기억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불휘발성의 기억 매체이며,
    상기 전자기기의 제어 방법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촬상 장치로 생성된 화상 데이터, 및, 유저가 상기 촬상 장치를 사용해서 입력한, 상기 화상 데이터에 있어서의 피사체의 환부영역에 대한 복수의 평가 항목의 평가 값을 나타내는 정보를 취득하는 공정과,
    표시 수단에, 상기 화상 데이터에 근거하는 화상과 상기 복수의 평가 항목의 평가 값을 표시시키는 공정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억 매체.
KR1020207035540A 2018-05-31 2019-05-28 화상처리 시스템, 촬상 장치, 화상처리 장치, 전자기기, 이것들의 제어 방법, 및 이것들의 제어 방법을 기억한 기억 매체 KR2021001828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104922 2018-05-31
JP2018104922 2018-05-31
JPJP-P-2019-018653 2019-02-05
JP2019018653 2019-02-05
JPJP-P-2019-095938 2019-05-22
JP2019095938A JP2020123304A (ja) 2018-05-31 2019-05-22 画像処理システム、撮像装置、画像処理装置、電子機器、これら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PCT/JP2019/021094 WO2019230724A1 (ja) 2018-05-31 2019-05-28 画像処理システム、撮像装置、画像処理装置、電子機器、これらの制御方法、および、これらの制御方法を記憶した記憶媒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8283A true KR20210018283A (ko) 2021-02-17

Family

ID=71992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5540A KR20210018283A (ko) 2018-05-31 2019-05-28 화상처리 시스템, 촬상 장치, 화상처리 장치, 전자기기, 이것들의 제어 방법, 및 이것들의 제어 방법을 기억한 기억 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10068742A1 (ko)
JP (2) JP2020123304A (ko)
KR (1) KR20210018283A (ko)
CN (1) CN112638239A (ko)
DE (1) DE112019002743T5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45144A1 (ko) * 2017-08-31 2019-03-07 (주)레벨소프트 의료용 항법 장치를 위한 의료 영상 처리 장치 및 의료 영상 처리 방법
CA3205896A1 (en) * 2021-02-01 2022-08-04 Skinopathy Inc. Machine learning enabled system for skin abnormality interventions
CN113706473B (zh) * 2021-08-04 2024-03-01 青岛海信医疗设备股份有限公司 超声图像中病灶区域的长短轴确定方法和超声设备
KR20230144797A (ko) * 2022-04-08 2023-10-17 (주)파인헬스케어 병원에서 욕창 상태를 결정하고 치료하기 위한 장치 및 장치의 동작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93167B1 (en) * 1999-11-12 2006-01-31 Polartechnics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examining, recording and analyzing dermatological conditions
US8407065B2 (en) * 2002-05-07 2013-03-26 Polyremedy, Inc. Wound care treatment service using automatic wound dressing fabricator
JP2006271840A (ja) 2005-03-30 2006-10-12 Hitachi Medical Corp 画像診断支援システム
JP2007072649A (ja) 2005-09-06 2007-03-22 Fujifilm Corp 読影レポート作成装置
US8330807B2 (en) * 2009-05-29 2012-12-11 Convergent Medical Solutions, Inc. Automated assessment of skin lesions using image library
JP6202827B2 (ja) 2013-01-30 2017-09-27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影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60058673A1 (en) * 2013-05-01 2016-03-03 Nathania Alexandra Francis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dministration of nutrition
JP2016112024A (ja) * 2013-08-08 2016-06-23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画像処理方法
WO2015175837A1 (en) * 2014-05-14 2015-11-19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Systems and methods for medical image segmentation and analysis
JP6451350B2 (ja) * 2015-01-28 2019-01-16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医療画像処理装置、医療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16149632A1 (en) * 2015-03-18 2016-09-22 Bio1 Systems, Llc Digital wound assessment device and method
JP6309504B2 (ja) 2015-12-26 2018-04-11 株式会社キャピタルメディカ 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JP6793325B2 (ja) * 2016-05-25 2020-12-0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肌診断装置および肌診断方法
CN106236117B (zh) * 2016-09-22 2019-11-26 天津大学 基于心电和呼吸信号同步性特征的情绪检测方法
CN107007278A (zh) * 2017-04-25 2017-08-04 中国科学院苏州生物医学工程技术研究所 基于多参数特征融合的自动睡眠分期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0123304A (ja) 2020-08-13
US20210068742A1 (en) 2021-03-11
JP2021144752A (ja) 2021-09-24
JP7322097B2 (ja) 2023-08-07
CN112638239A (zh) 2021-04-09
DE112019002743T5 (de) 2021-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22097B2 (ja) 撮像装置、撮像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US11600003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that extract a region of interest based on a calculated confidence of unit regions and a modified reference value
WO2019230724A1 (ja) 画像処理システム、撮像装置、画像処理装置、電子機器、これらの制御方法、および、これらの制御方法を記憶した記憶媒体
CN103516976B (zh) 图像摄取装置及其控制方法
JP2006271840A (ja) 画像診断支援システム
US9569838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US11599993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method of processing image, and program
JP2008209306A (ja) カメラ
US20210401327A1 (en) Imag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US11475571B2 (en) Apparatus,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JP7317498B2 (ja) 処理システム、処理装置、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7248039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1049248A (ja) 画像処理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JP2021049262A (ja) 画像処理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JP2021137344A (ja) 医療用画像処理装置、医療用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317528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システムおよび制御方法
JP2020151461A (ja) 撮像装置、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
JP2020156082A (ja) 撮像装置、画像処理装置および制御方法
US20240000307A1 (en) Photography support device, image-captur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image-capturing device
US20230131704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learning device, imaging apparatus, control method of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program
WO2024090218A1 (ja) 診断システム、診断装置、プログラム、診断方法、肌診断方法およびストレス診断方法
WO2022004302A1 (ja) 画像処理装置、撮像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6213689A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22147595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4176058A (ja) 撮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