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7149A - 역방향 미러링 콘텐츠 실행 시스템 - Google Patents

역방향 미러링 콘텐츠 실행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7149A
KR20210017149A KR1020190095948A KR20190095948A KR20210017149A KR 20210017149 A KR20210017149 A KR 20210017149A KR 1020190095948 A KR1020190095948 A KR 1020190095948A KR 20190095948 A KR20190095948 A KR 20190095948A KR 20210017149 A KR20210017149 A KR 202100171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unit
content
top box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59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71898B1 (ko
Inventor
이운우
Original Assignee
이운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운우 filed Critical 이운우
Priority to KR10201900959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1898B1/ko
Publication of KR202100171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71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18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18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2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0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content on demand, e.g. video on dem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15Electronic shop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셋톱박스와 연결되어 콘텐츠 또는 서비스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장치; 상기 셋톱박스와 연결되는 어플리케이션을 내장하고, 상기 셋톱박스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출력될 상기 콘텐츠 또는 상기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으며, 상기 셋톱박스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와 동일한 화면을 수신해 사용자의 터치 조작으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출력되는 화면을 조작할 수 있는 사용자단말기; 및 상기 셋톱박스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고, 복수의 상기 콘텐츠 및 복수의 상기 서비스를 제공하며, 상기 셋톱박스를 통해 선택되는 상기 콘텐츠 또는 상기 서비스를 상기 셋톱박스로 전송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역방향 미러링 콘텐츠 실행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단말기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장치에 출력되는 콘텐츠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

Description

역방향 미러링 콘텐츠 실행 시스템 { Reverse Mirroring Content Execution System }
본 발명은 콘텐츠 실행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출력되는 콘텐츠가 사용자단말기로 미러링되고, 사용자단말기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장치에 출력되는 콘텐츠를 조작할 수 있는 역방향 미러링 콘텐츠 실행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미러링(mirroring) 기술은 복수의 장치들 간에 화면에 출력되는 데이터를 공유하고 조작할 수 있게 한다.
예를들어, 미러링 기술을 이용하면 태블릿으로 영화를 스트리밍 받는 동시에, 이를 거실에 있는 TV에서 재생하여 볼수 있다.
또한, 미러링 기술은 Wi-Fi Direct와 같은 장치간 연결 기술로 빠르게 발전하고 있으며, 스마트폰, 태블릿, 노트북, TV 및 게임 콘솔 등과 같은 화면을 출력할 수 있는 모든 전자기기에 적용할 수 있도록 널리 개발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121565호 (2015.10.29) "미러링 서비스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한국등록특허 제10-1545384호 (2015.08.11) "디스플레이 미러링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단말기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장치에 출력되는 콘텐츠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는 역방향 미러링 콘텐츠 실행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하나의 특징에 따른 역방향 미러링 콘텐츠 실행 시스템은, 셋톱박스와 연결되어 콘텐츠 또는 서비스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장치; 상기 셋톱박스와 연결되는 어플리케이션을 내장하고, 상기 셋톱박스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출력될 상기 콘텐츠 또는 상기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으며, 상기 셋톱박스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와 동일한 화면을 수신해 사용자의 터치 조작으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출력되는 화면을 조작할 수 있는 사용자단말기; 및 상기 셋톱박스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고, 복수의 상기 콘텐츠 및 복수의 상기 서비스를 제공하며, 상기 사용자단말기를 통해 선택되는 상기 콘텐츠 또는 상기 서비스를 상기 셋톱박스로 전송하는 서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콘텐츠는, 동영상, VOD, 모바일 게임 및 교육용 게임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셋톱박스는,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된 상기 콘텐츠 또는 상기 서비스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출력하는 콘텐츠출력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출력되는 화면을 캡쳐하여 미러링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미러링데이터를 압축해 압축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압축데이터를 상기 사용자단말기로 전송하는 미러링부; 및 상기 사용자단말기를 이용한 사용자의 조작을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출력되는 화면에 반영하는 조작반영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단말기는, 상기 압축데이터를 수신하고, 압축을 해제하여 상기 콘텐츠데이터로 변환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와 동일한 화면을 출력하는 압축해제부; 및 사용자가 터치 조작으로 화면을 조작하는 신호를 나타내는 조작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조작데이터를 상기 조작반영부로 전송하는 화면조작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는,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데이터를 생성하여 고유계정을 발급하고, 이후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접속되는 상기 고유게정과 상기 사용자데이터를 연동하는 사용자인식부; 상기 사용자데이터가 보유하고 있는 복수의 상기 콘텐츠를 저장하는 콘텐츠저장부; VOD 서비스를 제공하는 VOD서비스부; 동영상 플랫폼과 연결되는 플랫폼서비스부; 인터넷을 이용 할 수 있는 인터넷서비스부; 복수의 콘텐츠를 구매 및 다운로드 할 수 있는 마켓서비스부; 상기 사용자데이터가 보유하고 있는 복수의 상기 콘텐츠를 다른 사용자와 거래할 수 있는 트레이드서비스부; 홈쇼핑채널 또는 인터넷 쇼핑사이트와 연결되어 쇼핑정보를 제공하는 쇼핑서비스부; 및 상기 VOD서비스부, 상기 인터넷서비스부, 상기 플랫폼서비스부, 상기 마켓서비스부, 상기 트레이드서비스부 및 상기 쇼핑서비스부와 연동되어 사용자가 콘텐츠 또는 물건을 구매할 수 있도록 결제서비스를 제공하는 결제서비스부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서버는, 사용자가 구매한 콘텐츠 또는 물건 정보를 상기 사용자데이터 별로 구매데이터를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는 사용자관리부; 및 상기 사용자관리부에 저장된 상기 구매데이터를 통해 사용자가 이전에 구매한 콘텐츠 또는 물건과 유사한 콘텐츠 또는 물건에 대한 광고를 추천 또는 노출시키는 광고서비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셋톱박스는, 키보드 및 마우스와 연결되어 상기 키보드 및 마우스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반영하는 OA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버는, OA프로그램 및 OA프로그램 파일을 저장하여 문서작업 및 이메일을 사용할 수 있는 OA서비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셋톱박스는, 휴대가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고,
복수의 상기 사용자단말기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출력되는 화면과 동일한 화면을 전송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역방향 미러링 콘텐츠 실행 시스템에 따르면,
첫째, 사용자단말기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장치에 출력되는 콘텐츠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
둘째, 스마트폰 및 태블릿PC와 같은 사용자단말기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장치에 출력되는 화면을 조작하므로 기존의 리모콘보다 반응속도가 더 빠르다.
셋째, 셋톱박스를 휴대할 수 있어 사용장소가 한정되지 않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넷째, 셋톱박스에 의해 사용자의 조작을 디스플레이장치에 실시간으로 반영할 수 있고 변화되는 화면을 사용자단말기에 실시간으로 전송할 수 있다.
다섯째, 셋톱박스가 복수의 사용자단말기로 화면을 전송할 수 있어 복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동일한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다.
여섯째, 사용자단말기를 통해 결제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어 편리하게 결제과정을 진행할 수 있다.
일곱째, 사용자의 구매 내역을 저장하고 관리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광고를 추천 및 노출할 수 있어 광고효과를 높일 수 있다.
여덟째, OA프로그램을 이용한 문서작업이 가능하여 이동하며 여러사람과 작업 내용을 공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방향 미러링 콘텐츠 실행 시스템을 대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셋톱박스의 개략적인 블럭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사용자단말기의 개략적인 블럭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서버의 개략적인 블럭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 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방향 미러링 콘텐츠 실행 시스템을 대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셋톱박스의 개략적인 블럭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사용자단말기의 개략적인 블럭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서버의 개략적인 블럭도이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역방향 미러링 콘텐츠 실행 시스템(100)은 셋톱박스(110), 디스플레이장치(120), 사용자단말기(130) 및 서버(140)를 포함한다.
셋톱박스(110)는 휴대 가능하도록 마련되고, 사용자단말기(130)와 서버(140) 사이의 매개 역할을 하여 사용자단말기(130)를 통해 선택되는 콘텐츠 및 서비스를 디스플레이장치(120)에 출력한다.
그리고, 셋톱박스(110)는 콘텐츠출력부(111), 미러링부(112), 조작반영부(113), OA입력부(114) 및 제어부(115)를 포함한다.
콘텐츠출력부(111)는 서버(140)로부터 수신된 콘텐츠 또는 서비스를 디스플레이장치(120)에 출력한다.
여기서, 콘텐츠는 동영상, VOD, 모바일게임 및 교육용게임일 수 있고, 서비스는 콘텐츠 구매, 쇼핑, 인터넷 서핑 및 결제일 수 있다.
미러링부(112)는 디스플레이장치(120)에서 출력되는 화면을 캡쳐하여 미러링데이터를 생성하고, 미러링데이터를 압축해 압축데이터를 생성하여 사용자단말기(130)로 전송한다.
조작반영부(113)는 사용자단말기(130)를 이용한 사용자의 화면 조작을 디스플레이장치(120)에 출력되는 화면에 반영한다.
따라서, 사용자의 조작을 디스플레이장치(120)에 실시간으로 반영할 수 있고 변화되는 화면을 사용자단말기(130)에 실시간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단말기(130)를 이용하므로 리모콘 조작보다 반응속도를 높일 수 있고, 리모콘 조작보다 입력이 간단하다.
OA입력부(114)는 키보드 및 마우스와 연결되어 키보드 및 마우스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디스플레이장치(120)에 반영한다.
그리고, 제어부(115)는 셋톱박스(1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추가적으로, 셋톱박스(110)는 복수의 사용자단말기(130)로 디스플레이장치(120)에 출력되는 화면과 동일한 화면을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동일한 콘텐츠를 조작할 수 있어 동시에 여러사람과 이용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20)는 셋톱박스(110)와 연결되어 콘텐츠 또는 서비스를 출력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장치(120)는 TV 또는 빔프로젝터가 될 수 있다.
사용자단말기(130)는 셋톱박스(110)와 연결되는 어플리케이션을 내장하고, 셋톱박스(110)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돼 디스플레이장치(120)에서 출력될 상기 콘텐츠 또는 상기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으며, 셋톱박스(110)로부터 디스플레이장치(120)에서 출력되는 화면을 수신해 사용자의 터치 조작으로 디스플레이장치(120)에서 출력되는 화면을 조작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단말기(130)는 스마트폰 및 태블릿PC와 같은 통신이 가능하고 사용자가 휴대할 수 있는 단말기일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단말기(130)는 압축해제부(131) 및 콘텐츠조작부(132)를 포함한다.
압축해제부(131)는 셋톱박스(110)로부터 압축데이터를 수신하고, 압축데이터의 압축을 해제하여 콘텐츠데이터로 변환해 디스플레이장치(120)와 동일한 화면을 출력한다.
화면조작부(132)는 사용자의 터치 조작에 의해 화면이 조작되는 신호를 나타내는 조작데이터를 생성하고, 조작데이터를 셋톱박스(110)의 조작반영부로 전송한다.
여기서, 사용자의 터치조작은 드래그앤드롭, 클릭, 확대 및 축소 일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3)는 사용자단말기(13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서버(140)는 셋톱박스(110)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고, 복수의 콘텐츠 및 복수의 서비스를 제공하며, 사용자단말기(130)를 통해 선택되는 콘텐츠 또는 서비스를 셋톱박스(110)로 전송한다.
서버(140)는 사용자인식부(141), 콘텐츠저장부(142), VOD서비스부(143), 플랫폼서비스부(144), 인터넷서비스부(145), 마켓서비스부(146), 트레이드서비스부(147), 쇼핑서비스부(148), 결제서비스부(149), 사용자관리부(151), 광고서비스부(152), OA저장부(153) 및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사용자인식부(141)는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데이터를 생성하여 고유계정을 발급하고, 이후 사용자단말기(130)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접속되는 고유계정과 사용자데이터를 연동한다.
콘텐츠저장부(142)는 사용자데이터가 보유하고 있는 복수의 콘텐츠를 저장한다.
여기서, 콘텐츠저장부(142)가 저장하는 콘텐츠는 후술할 마켓서비스부(146)에서 구매하거나 다운로드한 게임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별로 콘텐츠 관리가 용이하다.
VOD서비스부(143)는 VOD를 서비스하고, 플랫폼서비스부(144)는 동영상 플랫폼과 연결되며, 인터넷서비스부(145)는 인터넷 검색 및 서핑 서비스를 제공한다.
마켓서비스부(146)는 복수의 콘텐츠를 구매 및 다운로드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마켓서비스부(146)에서 구매 또는 다운로드된 콘텐츠는 콘텐츠저장부(142)에 저장된다.
트레이드서비스부(147)는 사용자데이터가 보유하고 있는 복수의 콘텐츠를 다른 사용자와 거래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쇼핑서비스부(148)는 홈쇼핑채널 또는 인터넷 쇼핑사이트와 연결되어 쇼핑정보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물건을 구매할 수 있다.
결제서비스부(149)는 VOD서비스부(143), 마켓서비스부(146), 트레이드서비스부(147) 및 쇼핑서비스부(148)와 연동되어 사용자가 콘텐츠 또는 물건을 구매할 수 있도록 결제서비스를 제공한다.
여기서, 결제서비스부(149)는 사용자단말기(130)에 내장된 결제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결제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어 간편한 결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관리부(151)는 사용자가 구매한 콘텐츠 또는 물건 정보를 사용자데이터 별로 구매데이터를 생성하여 관리한다.
그리고, 광고서비스부(152)는 사용자관리부(151)에 저장된 구매데이터를 통해 사용자가 이전에 구매한 콘텐츠 또는 물건과 유사한 콘텐츠 또는 물건에 대한 광고를 추천 또는 노출시킨다.
따라서, 사용자에게 광고를 효율적으로 노출할 수 있다.
OA서비스부(153)는 OA프로그램 및 OA프로그램 파일을 저장하여 문서작업 및 이메일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OA프로그램은 문서작업 및 이메일을 이용할 수 있는 모든 프로그램일 수 있다.
따라서, 문서작업을 디스플레이장치(120)에 출력할 수 있어 여러사람들과 과정을 공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역방향 미러링 콘텐츠 실행 시스템(100)의 사용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사용자는 사용자단말기(130)는 셋톱박스(110)와 무선통신으로 연결한다.
그리고, 사용자단말기(130)에 내장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셋톱박스(110)와 서버(140)를 연결한다.
여기서, 사용자는 사용자단말기(130)
이후, 사용자가 사용자단말기(130)를 통해 서버(140)의 콘텐츠저장부(142)에 저장된 콘텐츠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셋톱박스(110)는 이를 디스플레이장치(120)에 출력한다.
동시에, 셋톱박스(110)는 디스플레이장치(120)에 출력되는 화면과 동일한 화면을 캡쳐하여 압축데이터를 생성한 후 사용자단말기(130)에 전송하면,
사용자단말기(130)는 압축데이터를 압축해제하여 디스플레이장치(120)와 동일한 화면을 출력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사용자단말기(130)를 이용하여 화면을 조작하면 사용자단말기(130)는 이러한 조작데이터를 셋톱박스(110)로 전송하고, 셋톱박스(110)는 조작데이터를 디스플레이장치(120)에 적용한다.
이후, 사용자가 다른 서비스를 실행할 때 까지 셋톱박스(110)는 조작데이터가 반영되어 변화된 화면을 캡쳐, 압축하여 사용자단말기(130)에 전송하고, 사용자가 화면을 조작하면 이를 디스플레이장치(120)에 반영하는 과정을 반복합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10...셋톱박스 111...콘텐츠출력부
112...미러링부 113...조작반영부
114...OA입력부 120...디스플레이장치
130...사용자단말기 131...압축해제부
132...콘텐츠조작부 140...서버
141...사용자인식부 142...콘텐츠저장부
143...VOD서비스부 144...플랫폼서비스부
145...인터넷서비스부 146...마켓서비스부
147...트레이드서비스부 148...쇼핑서비스부
149...결제서비스부 151...사용자관리부
152...광고서비스부 153...OA서비스부

Claims (10)

  1. 셋톱박스와 연결되어 콘텐츠 또는 서비스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장치;
    상기 셋톱박스와 연결되는 어플리케이션을 내장하고, 상기 셋톱박스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출력될 상기 콘텐츠 또는 상기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으며, 상기 셋톱박스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와 동일한 화면을 수신해 사용자의 터치 조작으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출력되는 화면을 조작할 수 있는 사용자단말기; 및
    상기 셋톱박스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고, 복수의 상기 콘텐츠 및 복수의 상기 서비스를 제공하며, 상기 사용자단말기를 통해 선택되는 상기 콘텐츠 또는 상기 서비스를 상기 셋톱박스로 전송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역방향 미러링 콘텐츠 실행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는,
    동영상, VOD, 모바일 게임 및 교육용 게임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방향 미러링 콘텐츠 실행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셋톱박스는,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된 상기 콘텐츠 또는 상기 서비스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출력하는 콘텐츠출력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출력되는 화면을 캡쳐하여 미러링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미러링데이터를 압축해 압축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압축데이터를 상기 사용자단말기로 전송하는 미러링부; 및
    상기 사용자단말기를 이용한 사용자의 조작을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출력되는 화면에 반영하는 조작반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방향 미러링 콘텐츠 실행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단말기는,
    상기 압축데이터를 수신하고, 압축을 해제하여 상기 콘텐츠데이터로 변환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와 동일한 화면을 출력하는 압축해제부; 및
    사용자가 터치 조작으로 화면을 조작하는 신호를 나타내는 조작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조작데이터를 상기 조작반영부로 전송하는 화면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방향 미러링 콘텐츠 실행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데이터를 생성하여 고유계정을 발급하고, 이후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접속되는 상기 고유게정과 상기 사용자데이터를 연동하는 사용자인식부;
    상기 사용자데이터가 보유하고 있는 복수의 상기 콘텐츠를 저장하는 콘텐츠저장부;
    VOD 서비스를 제공하는 VOD서비스부;
    동영상 플랫폼과 연결되는 플랫폼서비스부;
    인터넷을 이용 할 수 있는 인터넷서비스부;
    복수의 콘텐츠를 구매 및 다운로드 할 수 있는 마켓서비스부;
    상기 사용자데이터가 보유하고 있는 복수의 상기 콘텐츠를 다른 사용자와 거래할 수 있는 트레이드서비스부;
    홈쇼핑채널 또는 인터넷 쇼핑사이트와 연결되어 쇼핑정보를 제공하는 쇼핑서비스부; 및
    상기 VOD서비스부, 상기 인터넷서비스부, 상기 플랫폼서비스부, 상기 마켓서비스부, 상기 트레이드서비스부 및 상기 쇼핑서비스부와 연동되어 사용자가 콘텐츠 또는 물건을 구매할 수 있도록 결제서비스를 제공하는 결제서비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방향 미러링 콘텐츠 실행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사용자가 구매한 콘텐츠 또는 물건 정보를 상기 사용자데이터 별로 구매데이터를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는 사용자관리부; 및
    상기 사용자관리부에 저장된 상기 구매데이터를 통해 사용자가 이전에 구매한 콘텐츠 또는 물건과 유사한 콘텐츠 또는 물건에 대한 광고를 추천 또는 노출시키는 광고서비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방향 미러링 콘텐츠 실행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셋톱박스는,
    키보드 및 마우스와 연결되어 상기 키보드 및 마우스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반영하는 OA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방향 미러링 콘텐츠 실행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OA프로그램 및 OA프로그램 파일을 저장하여 문서작업 및 이메일을 사용할 수 있는 OA서비스부를 더 포함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방향 미러링 콘텐츠 실행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셋톱박스는,
    휴대가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방향 미러링 콘텐츠 실행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셋톱박스는,
    복수의 상기 사용자단말기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출력되는 화면과 동일한 화면을 전송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방향 미러링 콘텐츠 실행 시스템.


KR1020190095948A 2019-08-07 2019-08-07 역방향 미러링 콘텐츠 실행 시스템 KR1022718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5948A KR102271898B1 (ko) 2019-08-07 2019-08-07 역방향 미러링 콘텐츠 실행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5948A KR102271898B1 (ko) 2019-08-07 2019-08-07 역방향 미러링 콘텐츠 실행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7149A true KR20210017149A (ko) 2021-02-17
KR102271898B1 KR102271898B1 (ko) 2021-06-30

Family

ID=74731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5948A KR102271898B1 (ko) 2019-08-07 2019-08-07 역방향 미러링 콘텐츠 실행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189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15749A (ko) * 2011-08-04 2013-02-14 훈 백 슬레이브 디스플레이 장치, 셋톱박스 및 이를 포함하는 디지털 콘텐츠 제어 시스템
KR101545384B1 (ko) 2013-04-30 2015-08-18 주식회사 엘지화학 유동층 반응기 및 이를 이용한 카본나노구조물의 제조방법
KR20150121565A (ko) 2014-04-21 2015-10-29 삼성전자주식회사 미러링 서비스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60108732A (ko) * 2015-03-06 2016-09-20 (주)케이지일렉트론 터치형 더미 디스플레이 장치와 스마트폰을 무선으로 연동시키는 미러링 터치조작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양방향 제어방법
KR20180106696A (ko) * 2017-03-21 2018-10-01 (주)인크렉비젼 셋톱박스 제어에 스마트기기를 이용하는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15749A (ko) * 2011-08-04 2013-02-14 훈 백 슬레이브 디스플레이 장치, 셋톱박스 및 이를 포함하는 디지털 콘텐츠 제어 시스템
KR101545384B1 (ko) 2013-04-30 2015-08-18 주식회사 엘지화학 유동층 반응기 및 이를 이용한 카본나노구조물의 제조방법
KR20150121565A (ko) 2014-04-21 2015-10-29 삼성전자주식회사 미러링 서비스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60108732A (ko) * 2015-03-06 2016-09-20 (주)케이지일렉트론 터치형 더미 디스플레이 장치와 스마트폰을 무선으로 연동시키는 미러링 터치조작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양방향 제어방법
KR20180106696A (ko) * 2017-03-21 2018-10-01 (주)인크렉비젼 셋톱박스 제어에 스마트기기를 이용하는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1898B1 (ko) 2021-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380336B (zh) 利用演示资料的问卷系统及方法
CN105611364B (zh) 便携数码设备与大屏幕互动的方法、装置及系统
CN103535028A (zh) 用于提供与显示的内容相关的附加内容的方法和系统
KR102591292B1 (ko) 디스플레이 장치와 방법 및 광고 서버
CN113344677B (zh) 直播界面控制的方法、装置、存储介质与电子设备
KR20140083654A (ko) 객체에 대한 부가정보를 생성하는 장치 및 방법 그리고, 부가정보를 공유하는 서버
CN108810132B (zh) 动画显示方法、装置、终端、服务器及存储介质
US20170337722A1 (en) Augmented reality kiosk system and method
CN112685106A (zh) 应用程序的启动方法、系统、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1461697A (zh) 支付通信方法、装置和电子设备
JP7156735B1 (ja) プログラム、管理サーバ装置、コンテンツ配信管理方法、コンテンツ配信方法
KR101708153B1 (ko) 비가청 음파를 이용한 광고플랫폼 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플랫폼 장치
KR102271898B1 (ko) 역방향 미러링 콘텐츠 실행 시스템
CN111178918A (zh) 导购系统和方法、智能货架系统以及电子设备
KR101352798B1 (ko) 스마트 티브이를 위한 양방향 컨텐츠 제공 방법
US10291883B1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receiving device instructions from one user to be overlaid on an image or video of the device for another user
CN111782877A (zh) 服务器、显示设备及其视频搜索排序方法
TW201721553A (zh) 商家訊息整合系統及使用其之方法
CN117196596A (zh) 基于数字货币的支付方法、装置和系统
CN109963509A (zh) 用于向内容消费者推荐内容服务的系统和方法
CN115040866A (zh) 云游戏图像处理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1423998B1 (ko) 상품 광고 방송을 이용한 상품 구매 시스템 및 방법
TWI841979B (zh) 支付語音播放系統
CN104572864A (zh) 一种用于分享用户的关注信息的方法和装置
KR101418680B1 (ko) 로봇 동작용 콘텐츠 저작 툴을 갖는 지능형 단말기 및 이를 통한 로봇 동작용 콘텐츠 생성방법, 이를 이용한 로봇 동작용 콘텐츠 거래 기능의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로봇 게임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