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6777A - 보행자 안전을 위한 엘이디 펜스 - Google Patents

보행자 안전을 위한 엘이디 펜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6777A
KR20210016777A KR1020190094975A KR20190094975A KR20210016777A KR 20210016777 A KR20210016777 A KR 20210016777A KR 1020190094975 A KR1020190094975 A KR 1020190094975A KR 20190094975 A KR20190094975 A KR 20190094975A KR 20210016777 A KR20210016777 A KR 202100167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weight
parts
led
f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49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혜경
Original Assignee
최혜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혜경 filed Critical 최혜경
Priority to KR10201900949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16777A/ko
Publication of KR202100167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67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15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illumin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00Lighting devices or systems using a string or strip of light sources
    • F21S4/20Lighting devices or systems using a string or strip of light sources with light sources held by or within elongate supports
    • F21S4/28Lighting devices or systems using a string or strip of light sources with light sources held by or within elongate supports rigid, e.g. LED ba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04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using feather joints, e.g. tongues and grooves, with or without fri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6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sensing the level of ambient illumination, e.g. dawn or dusk sen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70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85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행자 안전을 위한 엘이디 펜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발광 바의 내부 구조를 간소화하여 제조 원가를 대폭 감소시키고, 내부에 내장되는 엘이디 모듈이 외부로부터 완전히 방수되어 비 등과 같은 수분에 의한 오작동을 일으키지 않고, 보행자가 감지되는 경우에만 발광 또는 점멸하여 에너지 효율을 증대시키고, 제어기에 의해 펜스에 장착된 엘이디 모듈의 다양한 색상/점멸 방식을 연출하여 펜스 자체가 설치 장소의 미관을 증진시키는 엘이디 펜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보행자 안전을 위한 엘이디 펜스로서, 인도의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되며 중간 일측에 체결 공이 형성된 복수의 지주기둥; 상기 지주기둥의 최상단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인접한 지주 기둥에 연결되어 지주기둥을 보강 및 지지하는 상부 연결 바; 및 일측은 상기 지주기둥의 상기 중간 일측에 연결되며, 타측은 인접하는 지주기둥의 상기 중간 일측에 대응되게 연결되는 중간 발광 바;를 포함하고, 상기 중간 발광 바는 서로 맞물려 결합되며, 결합 시 내부에 중공을 형성하는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 또는 제2 하우징의 중간 일측에 각각 대응되게 결합되어 하측으로 엘이디 광을 조사하는 엘이디 모듈; 상기 엘이디 모듈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엘이디의 색상 및 점멸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1 하우징의 하부 일측에 각각 대응되게 결합되어, 상기 엘이디 모듈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확산시키는 확산판을 포함하고, 상기 중간 발광 바의 양쪽 단부는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 사이에 상기 엘이디 모듈 및 확산판이 결합된 상태에서, 복수의 지주기둥의 체결 공에 끼움 결합 및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보행자 안전을 위한 엘이디 펜스{LED FENCE}
본 발명은 보행자 안전을 위한 엘이디 펜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발광 바의 내부 구조를 간소화하여 제조 원가를 대폭 감소시키고, 내부에 내장되는 엘이디 모듈이 외부로부터 완전히 방수되어 비 등과 같은 수분에 의한 오작동을 일으키지 않고, 보행자가 감지되는 경우에만 발광 또는 점멸하여 에너지 효율을 증대시키고, 제어기에 의해 펜스에 장착된 엘이디 모듈의 다양한 색상/점멸 방식을 연출하여 펜스 자체가 설치 장소의 미관을 증진시키는 엘이디 펜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변에 설치되는 안전펜스(safety fence)는 가드레일(guard rail)이라고 하는데, 차도의 경계를 분명히 하면서 차량이 인도로 돌진하는 것을 방지하고 인도를 통행하는 통행자 또는 애완동물들이 무단으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가도로나 항만 도로 등에 설치되어 차량이 이탈이 되어 추락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것이다. 또한, 무단횡단 방지, 어린이 보호구역, 교량난간, 보도난간, 울타리 등에 설치하여 사고의 위험요소를 예방하여 사람이나 기타 다른 목적을 위해 사용되고 있다. 특히, 도로의 양측으로 인도가 설치되는데, 이는 자동차 도로를 주행하던 차량이 불의의 사고나 운전 미숙 등으로 인하여 인도를 침범하거나 무단횡단으로 인해 발생하는 사고의 우려가 다분한데, 이러한 사고로부터 보행자를 보호하기 위해 스틸, 스테인리스스틸 등과 같은 재질을 사용하여 펜스를 제작하게 된다.
또, 사고가 빈번하게 일어나는 도로경계구역이나 높은 축대, 다리, 인도, 인도가 설치되지 않는 도로 등과 같은 장소에 설치되어 도로를 통행하는 보행인을 보호하기 위하여 설치가 이루어지고, 그외 주택이나 건물의 경계용, 인도변 시설물, 아파트 베란다의 난간 및 계단의 난간 등 목적이나 장소에 따라 다양하게 설치된다.
또한 공원의 잔디밭 등과 사람 또는 동물의 출입을 제한하기 위한 장소에서 설치되는 안전펜스는 최근 상기와 같은 이유를 더불어 각 도시, 지역의 특성을 부각시켜 홍보하기 위한 용도로도 사용되고 있다. 즉, 지역안전을 위해 설치된 안전펜스에 그 고장, 도시를 대표할 수 있는 특산물이나 대표적인 관광명소 등을 표시하거나 공원을 대표하는 상징이나 상표를 넣어 그 장소의 홍보를 극대화 시켜 경제적 이점을 얻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안전펜스는 단순히 구역을 경계하거나 안전을 주는 기존의 기본적인 기능에서 벗어나 주변과 조화를 이루면서 그 곳의 특성을 최대한 살려주는 기능을 하고 있다. 특히, 최근의 안전 펜스는 일부 발광 기능을 구비하도록 설계되는데, 이는 인적이 드문 공원 또는 도로에서 펜스 자체가 도보를 밝혀주어서 도보자가 도보를 정확히 파악하여 안전 사고의 위험을 줄이기 위함이다.
그러나, 종래의 발광형 안전 펜스는 내부가 복잡한 구조를 가져 제조 원가를 대폭 상승시킴은 물론, 특히 내부에 내장되는 엘이디 모듈이 비 등과 같은 수분에 노출되어 오작동하는 경우가 많았고, 나아가 밤에 항시 엘이디 모듈이 켜진 상태로 유지되어 전력 효율을 저하시키고, 끝으로 단지 조명 역할만 할뿐 다양한 조명 색상/점멸 연출을 할 수 없는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1.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10-2019-0080673호 [보행자의 안전을 도모하는 안전펜스] 2. 대한민국 특허특허 제10-1283089호 [조립형 안전펜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발광 바의 내부 구조를 간소화하여 제조 원가를 대폭 감소시키고, 내부에 내장되는 엘이디 모듈이 외부로부터 완전히 방수되어 비 등과 같은 수분에 의한 오작동을 일으키지 않고, 보행자가 감지되는 경우에만 발광 또는 점멸하여 에너지 효율을 증대시키고, 제어기에 의해 펜스에 장착된 엘이디 모듈의 다양한 색상/점멸 방식을 연출하여 펜스 자체가 설치 장소의 미관을 증진시키도록 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보행자 안전을 위한 엘이디 펜스로서, 인도의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되며 중간 일측에 체결 공이 형성된 복수의 지주기둥; 상기 지주기둥의 최상단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인접한 지주 기둥에 연결되어 지주기둥을 보강 및 지지하는 상부 연결 바; 및 일측은 상기 지주기둥의 상기 중간 일측에 연결되며, 타측은 인접하는 지주기둥의 상기 중간 일측에 대응되게 연결되는 중간 발광 바;를 포함하고, 상기 중간 발광 바는 서로 맞물려 결합되며, 결합 시 내부에 중공을 형성하는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 또는 제2 하우징의 중간 일측에 각각 대응되게 결합되어 하측으로 엘이디 광을 조사하는 엘이디 모듈; 상기 엘이디 모듈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엘이디의 색상 및 점멸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1 하우징의 하부 일측에 각각 대응되게 결합되어, 상기 엘이디 모듈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확산시키는 확산판을 포함하고, 상기 중간 발광 바의 양쪽 단부는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 사이에 상기 엘이디 모듈 및 확산판이 결합된 상태에서, 복수의 지주기둥의 체결 공에 끼움 결합 및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움직임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여, 펜스 근처에 움직임이 감지될 경우에만 상기 엘이디 모듈을 발광시키고, 상기 제1 하우징의 상측 끝단에 형성된 요홈부에 상기 제2 하우징의 상측 끝단에 형성된 돌출부가 끼움 결합되고, 상기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의 중간 일측에는 상기 엘이디 모듈이 삽입될 수 있도록, 서로 내측 방향으로 대응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제1 요홈부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의 하부 일측에는 상기 확산판이 삽입될 수 있도록, 서로 내측 방향으로 대응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제2 요홈부가 형성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확산판이 삽입된 상기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의 외측면은 에폭시로 방수 처리되고, 상기 제1 및 하우징 및 제2 하우징은 외면에 소정 간격으로 구비되는 다공층, 상기 다공층 상부에 구비되는 발열층, 및 상기 다공층과 발열층을 포함하여 외면 전체를 덮는 보호층을 포함하는 보호막으로 코팅되고, 상기 다공층은 발포폴리스티렌 100 중량부 대비, 안티모니 트리옥사이드(Sb2O3) 5 중량부, 멜라민 폴리포스페이트 7 중량부 및 팽창 흑연 10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발열층은 테트라클로로금(Ⅲ)산 100 중량부 대비, 이산화망간 5 중량부 및 실리카겔 3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층은 테트라에톡시실란 5 중량%와 메틸트리에톡시실란 5 중량%와 잔량의 물을 포함하는 실리카 결합수 100 중량부 대비, 포졸란 10 중량부, 계면활성제 3 중량부, 벤토나이트 1 중량부, 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40 중량부 및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테이트 3 중량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발광 바의 내부 구조를 간소화하여 제조 원가를 대폭 감소시키고, 내부에 내장되는 엘이디 모듈이 외부로부터 완전히 방수되어 비 등과 같은 수분에 의한 오작동을 일으키지 않고, 보행자가 감지되는 경우에만 발광 또는 점멸하여 에너지 효율을 증대시키고, 제어기에 의해 펜스에 장착된 엘이디 모듈의 다양한 색상/점멸 방식을 연출하여 펜스 자체가 설치 장소의 미관을 증진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 펜스의 설치 사시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 펜스에 설치된 중간 발광 바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고, 도 2b는 중간 발광 바가 지주기둥의 체결 공에 결합되는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외측 하우징에 도포되는 보호층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 펜스의 설치 사시도이고,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 펜스에 설치된 중간 발광 바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고, 도 2b는 중간 발광 바가 지주기둥의 체결 공에 결합되는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보행자 안전을 위한 엘이디 펜스(100)는, 인도의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되며 중간 일측에 체결 공(12)이 형성된 복수의 지주기둥(10), 상기 지주기둥(10)의 최상단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인접한 지주 기둥에 연결되어 지주기둥을 보강 및 지지하는 상부 연결 바(20), 및 일측은 상기 지주기둥의 상기 중간 일측에 연결되며, 타측은 인접하는 지주기둥의 상기 중간 일측에 대응되게 연결되는 중간 발광 바(3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중간 발광 바(30)는 서로 맞물려 결합되며, 결합 시 내부에 중공을 형성하는 제1 하우징(30a)과 제2 하우징(30b), 상기 제1 하우징(30a)과 제2 하우징(30b)의 중간 일측에 각각 대응되게 결합되어 하측으로 엘이디 광을 조사하는 엘이디 모듈(32), 상기 엘이디 모듈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엘이디의 색상 및 점멸을 제어하는 제어부(도시되지 않음), 및 상기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의 하부 일측에 각각 대응되게 결합되어, 상기 엘이디 모듈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확산시키는 확산판(34)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중간 발광 바(30)의 양쪽 단부는 제1 하우징(30a)과 제2 하우징(30b) 사이에 상기 엘이디 모듈(32) 및 확산판(34)이 결합된 상태에서, 복수의 지주기둥(10)의 체결 공(12)에 끼움 결합된다. 끼움 결합된 상태에서 볼트 또는 피스(14)에 의해 지주기둥(10)의 체결 공(12)에 끼워진 중간 발광 바(30)를 견고하게 고정한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은 움직임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여, 보행자가 근처에 감지되는 경우에만 발광 또는 점멸하도록 구성할 수 있고, 그 결과 불필요한 에너지 소비를 줄여 에너지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1 하우징(30a)의 상측 끝단에 형성된 요홈부에 상기 제2 하우징(30b)의 상측 끝단에 형성된 돌출부가 끼움 결합되고, 상기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의 중간 일측에는 상기 엘이디 모듈(32)이 삽입될 수 있도록, 서로 내측 방향으로 대응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제1 요홈부(36a, 36b)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의 하부 일측에는 상기 확산판(34)이 삽입될 수 있도록, 서로 내측 방향으로 대응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제2 요홈부(38a, 38b)가 형성된다.
특히, 확산판이 삽입된 제1 하우징(30a) 및 제2 하우징(30b)의 외측면은 외부 환경에 상시 노출됨은 물론, 간극을 통해 외부로부터 물이 침투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적절하게 보호될 필요가 있는데,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에폭시로 코팅 처리함과 동시에, 제1 및 제2 하우징 전체에 적용되는 고유한 특징과 물성을 가져 보호 효과가 탁월한 보호막을 제시하고자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및 제2 하우징의 외면에는, 소정 간격으로 구비되는 다공층(G1), 이 다공층(G1) 상부에 구비되는 발열층(G2), 및 다공층(G1)과 발열층(G2)을 포함하여 마개 본체(20)의 외면 전체를 덮는 보호층(G3)을 포함하는 보호막(G)이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다공층(G1)은 보호막(G)에 완충성을 부가하는 구성으로, 발포폴리스티렌 100 중량부 대비, 안티모니 트리옥사이드(Sb2O3) 5 중량부, 멜라민 폴리포스페이트 7 중량부 및 팽창 흑연 10 중량부를 포함한다.
각 조성물 별로, 발포폴리스티렌(Expanded Polystyrene)은 난연성에 취약하다는 단점이 있지만 단열성능이 뛰어나고 제조단가가 저렴하다는 장점 때문에 사용되었다. 다공층(G1)의 각 조성물은 발포스트렌의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결정된다.
그리고 안티모니 트리옥사이드(Sb2O3)는 휘안석으로부터 취득되는 금속산화물로, 기타 난연재에 비해 우수한 난연성을 갖는다는 장점에 사용되었다. 이러한 안티모니 트리옥사이드는 발포스티렌 100 중량부 대비, 5 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를 초과하여 사용되는 경우 연소 시에 발생하는 라디칼 화합물이 인체에 유해할 수 있고, 상대적으로 고가인 이유로 경제성이 저하된다.
그리고 멜라민 폴리포스페이트(Melamine Polyphosphate)는 폴리인산화?d물의 일종으로, 유리도막을 형성하여 산소접근을 차단하는 기능을 위해 첨가된다. 반복 실험 결과, 유리도막의 적정 두께 형성을 위한 최적의 사용량은 발포스티렌 100 중량부 대비, 7 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이다.
그리고 팽창 흑연(Expanded Graphite)은 연소 시 탄화물을 생성함으로써 난연 기능을 부가하는 흑연화합물로서 첨가되며, 바람직한 사용량은 10 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인데, 반복 실험 결과 상기한 멜라민 폴리포스페이트와의 중량 비율이 0.7 : 1로 사용될 때 난연 효과가 최대로 발현되었으며, 이 결과 10 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결론을 내렸다.
상기 다공층(G1)은 상기 구성들을 물을 용매로 하여 분산시킨 후 소정의 경화 작업을 거쳐 제조된다. 여기에서, 다공층(G1)의 경화에 관한 사항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기 공지된 기술 및 통상의 기술자의 일반 상식을 따르는 것으로 한다.
다음으로, 발열층(G2)은 다공층(G1)의 상부에 구비되어, 태양광을 받아 자체 발열하여, 마개 본체(20)내로 침투한 수분 또는 습기를 제거함은 물론, 상기한 다공층(G1)과 보호층(G3) 간의 융화와 혼련이 자체적으로 이루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부가되며, 상온에서는 이 혼련 시간이 24시간 이상으로 길기 때문에, 약 40 ~ 60℃의 온도 조건을 제공하여 혼련 시간을 30분 이내로 단축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발열층(G2)은 테트라클로로금(Ⅲ)산 100 중량부 대비, 이산화망간 5 중량부 및 실리카겔 3 중량부를 포함한다.
각 조성물 별로, 테트라클로로금(Ⅲ)산(HAuCl4)은 금을 왕수(王水)에 녹이거나 염화금(Ⅲ)을 염산에 용해시켜 취득하는 담황색의 결정으로, 입경에 따라 발열 효율이 다르기 때문에 평균 입경이 15 ~ 30nm인 것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열층(G2)을 구성하는 이하의 조성물은 테트라클로로금(Ⅲ)산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결정된다.
그리고 이산화망간(MnO2)은 망간과 상소가 결합한 화합물로, 발열층(G2)의 분산을 용이하게 하고 태양광 파장의 활용 영역을 최적화하기 위해 첨가되며, 티타늄, 크롬, 니켈, 구리 등 4주기의 전이금속 중 원적외선 영역에서의 복사율 및 복사에너지 효율이 좋아 채택되었다. 이러한 이산화망간은 산소 존재 하에서 약 1000℃로 소결시켜 제조되며, 입경이 작을수록 유도 가열 효과가 증대되므로 평균 입경이 10 ~ 100nm인 것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사용량은 반복 실험 결과 최적의 열전도 효율을 보였던 5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실리카겔(Silica Gel)은 발열층(G2)의 발열 효과를 지속시키고 발열 포화 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해 첨가되며, 반복 실험 결과 3 중량부가 포함될 때 최적의 발열 효율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기 발열층(G2)은 테트라클로로금(Ⅲ)산 수용액을 약 100℃에서 10분간 가열한 후에 소량의 구연산을 첨가하여 수용액 상태로 만든 다음, 이에 상기 배합 비율로 이산화망간 및 실리카겔을 혼합 및 분산시킨 후, 소정의 건조 과정을 거쳐 제조된다. 여기에서, 건조 과정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기 공지된 기술 및 통상의 기술자의 일반 상식을 따르는 것으로 한다.
다음으로, 보호층(G3)은 보호막(G)의 기본 구성으로, 상기한 다공층(G1)과 발열층(G2)을 포함한 보호 부위 전체를 덮어서 보호한다. 이러한 보호층(G3)은 테트라에톡시실란 5 중량%와 메틸트리에톡시실란 5 중량%와 잔량의 물을 포함하는 실리카 결합수 100 중량부 대비, 포졸란 10 중량부, 계면활성제 3 중량부, 벤토나이트 1 중량부, 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40 중량부 및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테이트 3 중량부를 포함한다.
각 구성 별로, 실리카 결합수는 포졸란의 지오 폴리머 반응을 위해 첨가되며, 다량의 실리카(SiO)가 함유된 것이 좋다. 이러한 실리카 결합수는 결합수 전체 중량 대비, 테트라에톡시실란(TEOS) 5 중량%와 메틸트리에톡시실란(MTES) 5 중량%와 잔량의 물을 포함하는데, 테트라에톡시실란은 실리카 분자의 안정된 네트워크 구조를 형성하며, 메틸트리에톡시실란은 네트워크의 유연성을 증가시킨다. 테트라에톡시실란이 상기 조성비 미만으로 첨가되는 경우 보호층(G3)의 경도 저하가 발생하고, 상기 조성비를 초과하여 첨가되는 경우 실리카 전구체 함량이 높아져 건조 시의 크랙 발생 우려가 있다. 또한 메틸트리에톡시실란이 상기 조성비 미만으로 사용되는 경우 유연성이 저하되며, 상기 조성비를 초과하여 사용되는 경우 보호층(G3)의 경도가 저하된다. 보호층(G3)을 구성하는 이하의 조성물은 실리카 결합수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한다.
그리고 포졸란은 지오 폴리머 반응의 주요한 결합재로서, 화산재 등과 같은 천연 포졸란, 슬래그 미분말, 플라이 애쉬, 실리카 흄 등과 같은 인공 포졸란 중 어느 것이 선택되어도 무방하다. 이러한 포졸란은 10 중량부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너무 과도하지 않는다는 것을 전제할 때 상기 조성비를 초과하여도 무방하나, 상기 조성비 미만인 경우에는 강도 발현이 어렵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리고 계면활성제는 작업성 개선을 위해 첨가되고, 벤토나이트는 탈락 방지를 위한 점탄성 조절제로서 첨가되어 요변제의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계면활성제와 벤토나이트는 공지된 기술 및 일반 상식을 참고하여 시판되는 제품을 상기 조성비로 첨가되면 족하다. 상기 조성비를 벗어나는 경우, 흐름성이 기준치에 과도하거나 또는 미달되게 된다.
그리고 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Hydroxyethylacrylate)는 부착증진제로서 첨가되며, 특히 경화성이 뛰어나다는 장점이 있어 채용되었다. 반복 실험 결과, 바람직한 사용량은 40 중량부이며, 상기 조성비 미만으로 사용되는 경우 부착 증진 효과 발현이 미미하며, 상기 조성비를 초과하여 사용되는 경우 휘발도가 높아지고 독성이 강해진다.
그리고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테이트(Ehtylenediaminetetracetate)는 흡착강화제로서 첨가되며, 보호막(G)의 초기 시공 시의 흡착력을 강화하여 결과적으로 부착력을 향상시킨다. 반복 실험 결과, 최적의 흡착 강화 효과를 발현하는 사용량은 3중량부로 확인되었다.
상기 보호층(G3)은 상기 구성들을 교반기에 투입하여 혼합 및 교반한 다음, 소정의 건조 및 경화 과정을 거쳐 제조된다.
상기 보호막(G)의 시공에 관한 실시예로, 시험용 블록에 다공층(G1), 발열층(G2) 및 보호층(G3) 순으로 구비한 다음, 태양광이 조사되는 환경 하에 1시간동안 방치하여 혼련 과정을 거치고, 경화시켜 보호막(G)을 형성하였다. 이 보호막(G)에 크로스-컷(cross-cut) 시험, 스크래칭 시험, 화염 분사를 통한 연소 시험, 물 분사를 통한 내부 침습도 시험을 수행한 결과, 박리율은 1% 미만이었으며, 파손율은 5% 미만이었고, 다공층(G1)의 연소가 발생하지 않았으며, 내부 침습이 검출되지 않았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실시 예에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은 특정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당 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도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다.

Claims (3)

  1. 보행자 안전을 위한 엘이디 펜스로서,
    인도의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되며 중간 일측에 체결 공이 형성된 복수의 지주기둥;
    상기 지주기둥의 최상단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인접한 지주 기둥에 연결되어 지주기둥을 보강 및 지지하는 상부 연결 바; 및
    일측은 상기 지주기둥의 상기 중간 일측에 연결되며, 타측은 인접하는 지주기둥의 상기 중간 일측에 대응되게 연결되는 중간 발광 바;를 포함하고,
    상기 중간 발광 바는 서로 맞물려 결합되며, 결합 시 내부에 중공을 형성하는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 또는 제2 하우징의 중간 일측에 각각 대응되게 결합되어 하측으로 엘이디 광을 조사하는 엘이디 모듈; 상기 엘이디 모듈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엘이디의 색상 및 점멸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1 하우징의 하부 일측에 각각 대응되게 결합되어, 상기 엘이디 모듈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확산시키는 확산판을 포함하고,
    상기 중간 발광 바의 양쪽 단부는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 사이에 상기 엘이디 모듈 및 확산판이 결합된 상태에서, 복수의 지주기둥의 체결 공에 끼움 결합 및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이디 펜스.
  2. 제1항에 있어서, 움직임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여, 펜스 근처에 움직임이 감지될 경우에만 상기 엘이디 모듈을 발광시키고, 상기 제1 하우징의 상측 끝단에 형성된 요홈부에 상기 제2 하우징의 상측 끝단에 형성된 돌출부가 끼움 결합되고, 상기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의 중간 일측에는 상기 엘이디 모듈이 삽입될 수 있도록, 서로 내측 방향으로 대응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제1 요홈부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의 하부 일측에는 상기 확산판이 삽입될 수 있도록, 서로 내측 방향으로 대응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제2 요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이디 펜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판이 삽입된 상기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의 외측면은 에폭시로 방수 처리되고, 상기 제1 및 하우징 및 제2 하우징은 외면에 소정 간격으로 구비되는 다공층, 상기 다공층 상부에 구비되는 발열층, 및 상기 다공층과 발열층을 포함하여 외면 전체를 덮는 보호층을 포함하는 보호막으로 코팅되고,
    상기 다공층은 발포폴리스티렌 100 중량부 대비, 안티모니 트리옥사이드(Sb2O3) 5 중량부, 멜라민 폴리포스페이트 7 중량부 및 팽창 흑연 10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발열층은 테트라클로로금(Ⅲ)산 100 중량부 대비, 이산화망간 5 중량부 및 실리카겔 3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층은 테트라에톡시실란 5 중량%와 메틸트리에톡시실란 5 중량%와 잔량의 물을 포함하는 실리카 결합수 100 중량부 대비, 포졸란 10 중량부, 계면활성제 3 중량부, 벤토나이트 1 중량부, 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40 중량부 및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테이트 3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이디 펜스.
KR1020190094975A 2019-08-05 2019-08-05 보행자 안전을 위한 엘이디 펜스 KR202100167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4975A KR20210016777A (ko) 2019-08-05 2019-08-05 보행자 안전을 위한 엘이디 펜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4975A KR20210016777A (ko) 2019-08-05 2019-08-05 보행자 안전을 위한 엘이디 펜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6777A true KR20210016777A (ko) 2021-02-17

Family

ID=74731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4975A KR20210016777A (ko) 2019-08-05 2019-08-05 보행자 안전을 위한 엘이디 펜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16777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3089B1 (ko) 2013-03-11 2013-07-05 유한회사 도유 탈부착식 사인패널을 구비하는 조립형 안전펜스
KR20190080673A (ko) 2017-12-28 2019-07-08 진주희 보행자의 안전을 도모하는 안전펜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3089B1 (ko) 2013-03-11 2013-07-05 유한회사 도유 탈부착식 사인패널을 구비하는 조립형 안전펜스
KR20190080673A (ko) 2017-12-28 2019-07-08 진주희 보행자의 안전을 도모하는 안전펜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97123B2 (en) Dwelling
CN210829285U (zh) 对称拱肋式渐变隧道遮光棚
KR20210016777A (ko) 보행자 안전을 위한 엘이디 펜스
KR200399118Y1 (ko) Led모듈이 내장되는 실내외 장식재
CN208056336U (zh) 一种轻质钢骨架的阻燃保温结构
DK179211B1 (en) A Bridge Construction
KR20200132192A (ko) 인공파도 발생장치
KR100625078B1 (ko) 미관개선용 도로방호블록을 이용한 도로방호벽구조
CN200940417Y (zh) 楼体窗口组合防盗装置
Oliver The Works
JP2767223B2 (ja) 瓦屋根用天窓枠
CN207405652U (zh) 一种通行和排水一体化下水道
KR20210013439A (ko) 건축용 엘이디 경관봉
KR20070012153A (ko) Led모듈이 내장되는 실내외 장식재 및 시공방법
JP2007198124A (ja) 祭壇付き複合墓碑
CN205558026U (zh) 一种安全型墙板
KR20210001044U (ko) 가드레일 지주용 반사밴드
Sayigh The Beach House at Bexhill, England, UK
KR20120018026A (ko) 블록조합형 고정발광부를 구비한 보행자 보호용 휀스
Komarzynska-Swiesciak LIVING, WORKING AND RELAXING UNDER BRIDGES AND FLYOVERS–OVERVIEW OF THE DESIGN SOLLUTIONS IMPROVING THE OUTPUT ENVIRONMENTAL CONDITIONS IN SPACES UNDER ELEVATED INFRASTRUCTURE WITHIN THE EUROPEAN CITIES
JPH06336772A (ja) 風除室
Dengle Organic Cum Futuristic
Day Sports barns: two significant new sports halls confirm a genre of architecture which arises from advances in structural technology
KR20110023554A (ko) 가로등 컨트롤 박스
JPH11256751A (ja) 勾配屋根上の屋上建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