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6397A - 신종 항암제 후보로서, 매우 강력한 tacc3 억제제 - Google Patents

신종 항암제 후보로서, 매우 강력한 tacc3 억제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6397A
KR20210016397A KR1020207037075A KR20207037075A KR20210016397A KR 20210016397 A KR20210016397 A KR 20210016397A KR 1020207037075 A KR1020207037075 A KR 1020207037075A KR 20207037075 A KR20207037075 A KR 20207037075A KR 20210016397 A KR20210016397 A KR 202100163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cc3
cancer
cells
compound
breast canc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70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에르덴 바놀루
부주 찰리스칸
오즈귀 샤힌
데니즈 렌겔리
오즈게 악불루트
Original Assignee
에르덴 바놀루
오즈귀 샤힌
부주 찰리스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르덴 바놀루, 오즈귀 샤힌, 부주 찰리스칸 filed Critical 에르덴 바놀루
Publication of KR202100163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63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1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13/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hetero atoms as chain lin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5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at least one nitrogen and one oxygen as the ring hetero atoms, e.g. 1,2-oxazines
    • A61K31/53751,4-Oxazines, e.g. morpholine
    • A61K31/53771,4-Oxazines, e.g. morpholine not condensed and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e.g. timol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61K45/06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without chemical characterisation, e.g. antiphlogistics and cardia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Abstract

신종 항암제 후보로서, 매우 강력한 TACC3 억제제
본 발명은 유방암 및 기타 다른 암의 치료를 위한 유사 분열 차단제로서 높은 효력을 가지며, TACC3 단백질을 표적으로 하는 새로운 억제제 화학형(chemotype), [3-(4-methoxyphenyl)-N-(2-morpholinopyrimidin-4-yl) isoxazol-5-amine (BO-264)]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신종 항암제 후보로서, 매우 강력한 TACC3 억제제
본 발명은 TACC3(transforming acidic coiled-coil protein)을 표적으로 하는 새로운 억제제 화학형, 3-(4-methoxyphenyl)-N-(2-morpholinopyrimidin-4-yl)isoxazol-5-amine (BO-264)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TACC3 억제제 분자: BO-264의 항암제 역할에 관한 것이다.
암이란 제어되지 않는 세포 분열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질환(complex disease)이다. 암의 유형 중, 유방암은 여성에게 가장 흔한 암이며 암 사망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이다. 종양 생물학에 대한 이해와 더불어, 표적 치료법은 환자의 생존율을 높이기 위해 지속적으로 발전되어 왔다.
미국 식약청(FDA)은 유방암 치료에 사용할 20여 가지의 약을 승인하였지만, 전 세계적으로 여전히 매년 50 만 명의 유방암 사망자가 발생하고 있다. 특히, 현재 이용 가능한 화학 요법제의 부작용을 고려할 때, 독성이 감소된 표적 치료의 개발은 최근 몇 년 동안의 주요 관심사가 되어왔다. 암은 신체의 다른 부분으로 침입하거나 악성 종양으로 퍼질 가능성이 있는 비정상적이고 제어할 수 없는 세포 성장이 특징임으로, 종양 세포의 증식 및 생존을 담당하는 특정 거대 분자의 기능을 표적화 및 억제하는 약이나 물질이 유방암 표적 치료에 사용된다.
미세소관 재구성(microtubule re-organization)은 세포 분열 과정에서 중요한 단계이기 때문에, 해당 과정을 방해하는 약물이 암 연구에 있어 주된 관심사가 되어 왔다. 항유사분열 약제는 중기에서 후기로의 전환을 방지하는 방추체형성요주의점(SAC)을 활성화하여, 미세 소관의 중합 역학을 방해한다. 결과적으로 세포는 분열을 멈추고, 이렇게 유사 분열이 정지된 세포는 결국 사멸한다. 유사 분열 사건의 메커니즘에 대한 지속적인 조사는 새로운 표적 단백질 후보 및/또는 경로로 이어질 수 있으며, 이는 암 환자들에게 더욱 효과적인 치료 옵션을 제공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하다. 빈카 알칼로이드(vinca alkaloids), 메이탄시노이드(maytansinoids) 및 탁산(taxanes)과 같은 항-미세소관제는 다양한 종양의 화학 치료제로 널리 사용되는 약물의 예이다(Marzo & Naval, 2013). 그러나, 이러한 약물에 대한 중대한 우려는 비-종양형성 세포에 대한 약물 독성으로, 이는 심각한 부작용을 초래하게 된다.
약물 내성은 이러한 약물에 대한 환자의 반응을 매우 예측하기 어렵게 만드는 또 다른 주요한 문제이다(Gascoigne & Taylor, 2009). 이러한 문제점들을 극복하고 화학치료 반응을 개선하기 위해, 유사 분열 특이적 키나아제 및 미세소관 운동 단백질을 표적으로 하는 항 유사 분열성, 암 특이적 요법이 발견되었다 (Dominguez-Brauer et al., 2015). 세포 주기 조절 및 방추 조립에서 인산화가 중요한 단계이기 때문에, 이러한 과정에서 역할을 수행하는 키나아제는 잠재적 표적으로 오랫동안 중요하게 연구되어 왔다. 그 중 사이클린-의존성 키나아제(CDK), 오로라 키나아제(Aurora kinases) 및 폴로-유사 키나아제(PLKs)에 대한 특이적 억제제가 개발되었고, 임상적으로 시험되었다(Sanchez-Martinez, Gelbert, Lallena, & de Dios, 2015; Strebhardt & Ullrich, 2006; Tang et al., 2017). 항 미세소관제와 미교할 때, 이러한 항 유사 분열제들은 그들의 낮은 독성 특성에도 불구하고 뛰어난 임상 결과를 보여주지 않아 임상 효율성의 한계에 이르렀다(Chan, Koh, & Li, 2012). 따라서, 분열하는 암세포를 선택적 및 효과적으로 표적화하는 대체적인 표적 분자는 여전히 밝혀지고, 개발되어야 하겠다.
TACC의 구성원 중 하나인 TACC3는 비-키나아제 미세 소관 결합 단백질이며, 중심체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미세 소관의 안정성을 보장한다(Singh, Thomas, Gireesh, & Manna, 2014). 이 TACC3 유전자는 또한 중심체 미세소관의 핵 형성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의 높은 수준이 전립선 암, 간세포 암, 비소 세포성 폐암 및 유방암을 포함한 많은 암의 유형에서 관찰된다. 따라서, TACC3의 녹다운(knockdown)은 신세포암(RCC)에서의 종양 발생 및 세포 성장을 억제한다(Guo & Liu, 2018). TACC3 기능의 붕괴는 또한, 유사 분열의 정지로 이어지는 다극 방추 형성(Yao et al., 2012), 카스파제-의존성 세포사멸(Schneider et al., 2007) 및 일부 경우, 노화(Schmidt et al., 2010)를 포함하여 세포의 다양한 결과를 유발한다. 이 연구는 TACC3이 암세포의 방추 조립에 관여하는 중요한 분자임을 보여주며, 그로인해 암 표적 치료의 중요한 잠재적 표적이 되게 한다.
소분자 TACC3 억제제인 KHS101은 랫에서 신경 분화를 촉진하는 것으로 처음 확인되었다(Wurdak et al., 2010). 비록 KHS101 치료를 통해 교모세포종(GBM) 이종 이식의 종양 성장이 억제되었지만(Polson et al., 2018), 낮은 전신 안전성 및 높은 작동 용량으로 인하여 임상으로 전환되기 위해서는 약리학적으로 최적화되어야 한다(Wurdak et al., 2010). 또 다른 TACC3 억제제인 SPL-B는 난소 암 세포에서 중심체 미세 소관 핵 형성을 억제하고, 난소 암 이종 이식에서의 종양 성장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Yao et al., 2014). 결론적으로; 현재 이용가능한 TACC3 억제제인 KHS101 및 SPL-B는 각각 교모세포종 및 난소 암 이종 이식에서의 종양 성장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높은 IC50(50% inhibitory concentration) 또는 낮은 전신 안정성으로 인해, 이들 억제제 중 어느것도 아직 임상 단계에 도달하지 않았으며, 이는 임상으로 전환될 가능성이 있는 새로운 강력한 TACC3 억제제의 개발을 장려한다.
암 치료에서 보편적인 유사 분열 차단제로 사용될 수 있는, 시험관 내 및 생체 내 시스템에서 TACC3 기능을 길항하는 새로운 화학형에 대한 최근의 선별 접근 방식의 틀 안에서, 화합물 5 (3-(4-methoxyphenyl)-N-(2-morpholinopyrimidin-4-yl)isoxazol-5-amine, BO-264)이 발견되었다. BO-264는 높은 TACC3 단백질 수준을 발현하며 마우스 모델과 여러 인간 세포 배양 시스템에서 잘 기록된 과정의 종양 원성을 보여주고(Saatci et al., 2018; Tanner et al., 2004), JIMT-1 유방암 세포주의 증식을 현저하게 억제하였다(IC50 = 232 nM).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암 치료상에서 현재 이용가능한 특이적 억제제보다 적은 용량의 TACC3 억제제를 사용함으로써 바람직하지 않은 부작용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TACC3 단백질을 표적화함으로써 유방암 및 잠재적인 다른 암의 치료를 위한 높은 효능을 갖는 유사 분열 차단제로서 새로운 TACC3 억제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암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새로운 화학형 BO-264를 제공하는 것이다.
BO-264는 다른 서브타입을 가진 유방암 세포주에서는 기존의 알려진 TACC3 억제제보다 우수한 항-증식 효과를 보였지만 정상적인 유방 세포주에서는 미비한 효과를 미쳤다. 유방암 세포 외에도 BO-264는 NCI-60 패널의 대장암, 흑색종암, 폐암, 중추신경계 암, 난소암, 백혈병 암, 신장암인 및 전립선암 세포주를 포함하여 여러 종류의 암에 대해 매우 효과적인 세포 독성(~90%는 1 μM 미만의 GI50값)을 보여주었다.
뿐만 아니라, BO-264는 다른 두가지 TACC3 억제제에 비해 더 낮은 용량으로 유사 분열 정지, 세포 사멸 및 DNA 손상을 유도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중요하게도, BO-264의 경구 투여는 면역 결핍 마우스의 유방암 이종 이식에서의 종양 성장을 억제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유방암 및 잠재적인 다른 암의 치료를 위한 유사 분열 차단제로서 높은 효능을 갖는 새로운 TACC3 억제제이다.
본 발명은 (i)유방암 세포주에 대한 BO-264의 포괄적인 분석을 제공하고, (ii)이 화합물은 이용 가능한 다른 TACC3 억제제보다 유사 분열 정지, DNA 손상 및 세포 사멸과 같은 다양한 세포 과정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냄을 보여주며, (iii)유방암 이종 이식에서 경구적으로, BO-264의 독성 없는 항종양 효과를 입증하여 잠재적으로 유방암 치료를 위한 유사 분열 차단제로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ACC3-BO-264 결합은 표적 결합 분석(target engagement assay) 및 등온선 적정 열량 측정(ITC)방법을 통해 검증되었다.
도 1. TACC3은 여러 종류의 암에서 상향 조절되며(upregulated) 이의 높은 수준은 다양한 종류의 암에서 전체 생존율을 악화시킨다. (도 1a)TCGA 환자의 종양과 정상 조직 사이의 TACC3에 대한 차등 mRNA 발현 플롯은 RPKM(Reads Per Kilobase Million)(log2)값으로 표시된다. ***: p < 0.001. (방광 요로 세포암종 (BLCA: Bladder Urothelial Carcinoma); 유방 침윤성 암종 (BRCA: Breast Invasive Carcinoma); 식도암 (ESCA: Esophageal Carcinoma); 두경부 편평 세포 암종 (HNSC: Head and Neck Squamous Cell Carcinoma); 신장 코호트 (KIPAN: Pan Kidney Cohort (KICH+KIRC+KIRP)); 신장 투명 세포 암종 (KIRC: Kidney Renal Clear Cell Carcinoma); 간세포 암종 (LIHC: Liver Hepatocellular Carcinoma); 폐선암 (LUAD: Lung Adenocarcinoma); LUSC: 폐 편평 세포 암종(Lung Squamus Cell Carcinoma); 위 선암 (STAD: Stomach Adenocarcinoma); 위 및 식도 암종 (STES: Stomach and Esophageal Carcinoma); 자궁 내막 암종 (UCEC: Uterine Corpus Endometrial Carcinoma); (도 1b)KM Plotter 데이터베이스에서의 TACC3 수준에 따른 유방암(도 1b의 a), 폐암(도 1b의 b) 및 위암(도 1b의 c) 환자의 전체 생존율에 대한 효과(Gyorffy, Lanczky et al. 2010; Gyorffy, Surowiak et al. 2013; Szasz, Lanczky et al. 2016).
도 2. 유사 분열 및 DNA 복구 과정은 높은 TACC3 수준을 가진 환자에서 풍부하게 발생하고, TACC3의 억제는 유사 분열 정지, DNA 손상 및 세포 사멸을 유도한다. (도 2a)TACC3 발현 수준에 대한 유방암 METABRIC 검증 데이터 세트(n = 995)(Curtis et al. 2012)에서의 유사 분열 및 DNA 복구와 관련된 유전자 세트의 유전자 세트 농축 분석(GSEA). 데이터의 유의성은 NES (Normalized Enrichment Score) 및 FDR (q) 값으로 표시된다. (도 2b)유방암 세포주에서 TACC3-특이적 siRNA의 녹다운 효율을 보여주는 qRT-PCR. 세포들은 TACC3에 대한 20nM의 두 개의 서로 다른 siRNA로 형질 감염되었고, TACC3 mRNA 수준은 형질 감염 48시간 후에 조사되었다. 그래프의 백분율은 녹다운 효율을 나타낸다. (도 2c)두 개의 다른 siRNA로 TACC3를 녹다운하였을 때의 유방암 세포의 증식. 세포들은 TACC3을 표적으로 하는 siRNA로 형질 감염되었고, 세포 생존율(viability)은 형질 감염 72시간 후에 측정되었다. (도 2d)TACC3 녹다운시 유방암 세포에서의 유사 분열 정지, 세포 사멸 및 DNA 손상 마커의 웨스턴 블롯 분석. GAPDH는 단백질 로딩 컨트롤(loading control)로 사용되었다. *: p < 0.05; **: p < 0.01; ***: p < 0.001.
도 3. 새로운 TACC3 억제제: BO-264의 화학 구조
도 4. BO-264의 합성 방식. 시약 및 조건: (a) SOCl2, EtOH, 환류(reflux), 3h; (b) NaH, MeCN, 톨루엔(toluene), 환류, 2h; (c) H2N.OH HCl, NaOH, H2O, 환류, 4h; (d) t-BuOK, 2,4-dichloropyrimidine, t-BuOH, rt, 24h; (e) 모르폴린(morpholine), n-butanol, 환류, 5h.
도 5. BO-264는 TACC3에 결합하는 새로운 TACC3 억제제이다. (도 5a)정상(intact) JIMT-1세포에서 TACC3 단백질에 대한 BO-264의 표적 결합. JIMT-1세포를 비히클(vehicle), BO-264 (1 uM) 또는 SPL-B (1 uM)(양성대조군)으로 6시간 처리하고, 세포를 수집하고, 표시된 온도에서 가열한 다음 용해시켰다. 상층액의 가용성 단백질을 웨스턴 블롯 처리하였고, TACC3 단백질 수준을 검출하였다. 웨스턴 블롯에 대한 동일한 노출 시간으로 3개의 처리 그룹을 비교하였다. Ponceu staining은 로딩 컨트롤(loading control)로 사용되었다. CETSA 곡선은 상대적인 밴드 강도 %를 나타내며 처리 그룹 간의 변화를 보여준다. 이미지들은 두 개의 독립적인 실험을 나타낸다(n=2). (도 5b)등온선 적정 열량계를 이용한 TACC3 및 BO-264 상호 작용의 측정. 상단 트레이스는 원형 데이터를 나타내고, 하단 트레이스는 TACC3을 BO-264로 적정한 통합 데이터를 나타낸다(시린지에서 10배 더 높은 농도). 단일 상호작용 모델(single interaction model)에서의 모델 피팅은 ITC200 기기와 함께 제공된 Origin 7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적용되었다.
도 6. BO-264는 현재 이용 가능한 TACC3 억제제인 SPL-B 및 KHS101보다 더 강력하다. (도 6a)세 가지 다른 억제제를 이용한 TACC3의 약리학적 억제 및 유방암 세포주의 세포 생존율에 그들이 미치는 영향(IC50: inhibitory concentration 50%). 다음의 모든 세포 생존율 실험에서 세포의 생존율은 Cell Titer Glo kit에 의해 3회씩 측정되었다. (도 6b)12일 동안 3개의 상이한 TACC3 억제제로 처리된 JIMT-1 세포의 콜로니 형성 분석(Colony formation assay). 콜로니는 크리스털 바이올렛으로 염색되었다. 콜로니의 수를 세고, ImageJ 소프트웨어(하부 패널)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데이터는 평균 ± SD으로 표시된다. (도 6c)유사 분열 정지, DNA 손상 및 세포 사멸 마커에 대한 용량 반응의 효과를 테스트하기 위한 BO-264, SPL-B 또는 KHS101로 처리된 JIMT-1 세포의 웨스턴 블롯 분석. 이들 마커에 대한 세 가지 약물의 효과를 비교하기 위해 동일한 양의 단백질 및 동일한 노출 시간이 웨스턴 블롯 실험에 사용되었습니다. *: p < 0.05; **: p < 0.01; ***: p< 0.001.
도 7. NCI-60 5-dose 스크리닝은 여러 가지 다양한 종양 유형에서 BO-264의 현저한 항암 활성을 보여준다. (도 7a)BO-264에 대한 NCI-60 5-dose 스크린에서 결정된 평균 GI50 값(M). 수평 점선은 1μM 임계 값을 나타낸다. (도 7b)NCI-60 인간 암 세포주 패널에 대한 BO-264의 GI50 농도를 나타내는 히트맵 데이터.
도 8. BO-264는 특이적이고 효율적으로 암 세포를 겨냥하지만, TACC3 발현 수준이 낮은 정상 세포에는 그러하지 않다. (도 8a)72시간 동안 3가지의 다른 TACC3 억제제의 증가된 용량으로 처리된 정상 유방 세포주, MCF-12A의 용량 반응. (도 8b)정상 유방 세포주 및 유방암 세포주의 TACC3 단백질 수준. TACC3 단백질 수준은 웨스턴 블롯에 의해 분석되었다. 베타 액틴(beta actin)은 로딩 컨트롤로 사용되었다. 오른쪽 패널은 B-actin으로 정규화된 TACC3 밴드의 강도를 나타낸다.
도 9. BO-264는 동일한 저용량 및 투여 경로에서, SPL-B보다 종양 성장을 더 잘 억제한다. 동일한 투여량 및 투여 경로로 BO-264 및 SPL-B 그룹을 적용시킨 후의 종양 부피 변화 및 동일한 투여량 및 투여 경로로, BO-264 및 SPL-B그룹으로 치료하는 과정 동안의 마우스 체중 변화.
도 10. BO-264의 저용량 및 각기 다른 투여 경로는 마우스의 체중에 영향을 주지 않고 생체 내 JIMT-1 이종 이식에서 종양 성장을 억제한다. (도 10a)다른 용량 및 투여 경로의 세 가지 BO-264 그룹을 적용한 후의 종양 부피 변화. (도 10b)다른 용량 및 투여 방법으로의 치료 과정 동안의 마우스 체중 변화.
도 11. BO-264는 마우스 체중에 영향을 주지 않고 생체 내 이종 이식에서 종양 성장을 효과적으로 억제한다. (도 11a)비히클(Vehicle) 또는 BO-264로 치료한 후의 종양 부피 변화. 종양이 약 90-100 mm3에 도달했을 때, 치료가 시작되었다. (도 11b)비히클(Vehicle) 또는 BO-264로 처리된 마우스에서 분리된 종양의 무게. (도 11c)치료 과정 동안의 마우스 체중 변화. **: p < 0.01; ***: p< 0.001
도 12. 도 12는 표 1 및 그에 대한 설명을 나타낸다.
표 1 - 약물 특이적 물리 화학 특성의 요약. 2시간 후 25℃, pH 7.4에서의 인산 나트륨 완충제의 aKinetic solubility(aKinetic solubility in sodium phosphate buffer at pH 7.4 at 25°C after 2 h)(Buttar et al., 2010). bLogD: 옥타놀/인산 나트륨 완충액(50 mM, pH 7.4)의 분배계수(distrubution coefficient in octanol/sodium phosphate buffer(50 mM, pH 7.4))(Unger et al., 1978). cPPB: 37℃에서 인간의 평형 투석에 의해 평가된 혈장 단백질 결합(plasma protein binding assessed by equilibrium dialysis in human at 37°C)(Buttar et al., 2010). dT1/2: 마우스 및 인간 간 마이크로솜의 반감기(각각 MLM 및 HLM)(half-life in mouse and human liver microsomes (MLM and HLM respectively))(Kalvass et al., 2001). eClint: MLM 및 HLM의 고유 청소율(intrinsic clearance in MLM and HLM(Kalvass et al., 2001). fCYP: HLM에서 평가된, BO-264에 의한 사이토크롬 P450 동위원소의 억제(cytochrome P450 isozymes inhibition by BO-264 evaluated in HLM)(Bourrie et al., 1996). gPapp: Caco-2 세포 단층의 겉보기 투과 계수(apperant permeability coefficients in Caco-2 cell monolayer)(Camenisch et al., 1998).
발명의 구성요소 및 부분에 대한 설명
새로운 TACC3 억제제 BO-264와 그의 합성 및 분석에 대한 더 나은 설명을 위해 준비된 도면에 표시된 성분은 별도로 번호가 매겨져 있으며, 각 번호에 대한 설명은 이하에 서술한다.
(1) 에틸 4- 메톡시벤조산 (Ethyl 4-methoxybenzoate)
(2) 3- (4 - 메톡시페닐)-3-옥소프로파네니트릴(3-(4-Methoxyphenyl)-3-oxopropanenitrile)
(3) 3-(4-메톡시페닐) 이소작졸-5-아민(3-(4-Methoxyphenyl)isoxazol-5-amine)
(4) N-(2-클로로피리미디-4-닐)-3-(4-메톡시페닐)이소작졸-5-아민(N-(2-Chloropyrimidin-4-yl)-3-(4-methoxyphenyl)isoxazol-5-amine)
(5) 3- (4-메톡시페닐)-N-(2-몰포리노피리미디-4-닐) 이소작졸-5-아민(3-(4-Methoxyphenyl)-N-(2-morpholinopyrimidin-4-yl)isoxazol-5-amine)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은 암 치료에서 전신 효과를 감소시키기 위해 다른 다른 TACC3 억제제보다 5배 더 적은 용량으로 사용되는, 새로운 TACC3 억제제에 관한 것이다.
상승된 TACC3 수준은 다양한 암의 유형에서 관찰되므로, 암 치료에 있어서 매우 주요한 표적이 된다. TACC3은 미세소관과 중심체를 조절하고 방추체 안정성을 유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Schneider et al., 2007; Thakur et al., 2013). 각기 다른 종양 유형에서 TACC3 수준의 역할에 대해 보다 자세히 조사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먼저 다양한 암의 유형 및 그들의 정상 조직 대응물에서의 TACC3 수준을 분석하였다(도 1a). TACC3은 유방암을 포함하여 다양한 암의 유형에서 과발현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런 다음, KM 플로터 툴을 이용하여 다양한 환자의 생존 데이터세트를 분석하였다. 높은 TACC3 수준은 유방암, 폐암 및 위암의 전반적 생존율의 악화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도 1b). 이러한 환자 데이터의 분석은 TACC3 발현 수준이 질병의 중증도와 환자의 생존을 규정하는 중요한 요소임을 나타낸다. 따라서, TACC3의 억제를 초래하도록 하는 개입(interventions)은 유방암 환자의 생존을 향상시키기 위한 유망한 치료 전략이 될 수 있을 것이다.
힐라 세포(Hela cells)에서의 TACC3 수준의 감소는 유사 분열 정지(Schneider et al., 2007) 및 카스파제 의존성 세포사멸을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Kimura et al., 2013). 본 발명에서, 높은 TACC3 수준을 나타내는 유방암 환자는, 유사 분열 진행 및 유방암 발생에서 TACC3의 종양 형성 역할을 돕는 DNA 복구 유전자가 풍부하게 발견되었다(도 2a). 다음으로, 각기 다른 유방암 세포주의 세포 생존율에 대한 TACC3 고갈의 효과를 테스트하였다. 상이한 분자 서브타입을 가진 4개의 각기 다른 유방암 세포주 모델이 이용되었다. JIMT-1은 HER2-양성 유방암 세포주인 반면, BT-474 T-DM1R(T-DM1 내성)은 높은 TACC3 수준을 갖는 것으로 나타난 Luminal B 서브타입 유방암 세포주이다(Saatci et al., 2018). 반면, MDA-MB-436과 MDA-MB-157은 모두 삼중음성 유방암(TNBC) 세포주이다. 본 발명에서, 먼저 짧은 간섭 RNA(siRNA)를 이용하여 이들 세포주에서 TACC3 수준을 감소시켰다. 도 2b는 모든 세포주에서 siRNA 처리 48시간 후, 전체 TACC3 수준이 약 60-70% 감소했음을 보여준다. 이와 일관되게, TACC3의 녹다운이 유방암 세포의 상당한 성장 억제를 유도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도 2b). 그런 다음, TACC3의 녹다운이 유발할 수 있는 가능한 관련 메커니즘을 조사하였다. 테스트된 모든 유방암 세포주에서 siRNA를 사용한 TACC3 수준의 억제는 유사 분열 정지, 세포 사멸 및 DNA 손상을 활성화하였다(도 2d).
앞서 언급했듯이, KHS101 및 SPL-B와 같은 현재 이용 가능한 TACC3 억제제는 아직 임상 연구로 발전하지 않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TACC3을 표적으로 하는 새로운 암 치료제 및 보다 강력한 억제제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TACC3이 비정상적으로 발현되는 유방암 세포에서 항-증식 효과를 테스트하여 일련의 소분자들에 대한 자체 스크리닝을 수행하였다(Ma et al., 2003; Song et al., 2018). 구체적으로, JIMT-1 세포주는 시험된 다른 유방암 세포주에 비해 높은 TACC3 단백질 수준과 생체 내 종양 형성으로 인해 세포 생존율에 대한 화합물의 효과를 스크리닝하기 위해 선택되었다(Saatci et al., 2018; Tanner et al., 2004)(각각 도 8과 9-10에서 논의될 것임).
본 발명에서, 자체 선별의 노력은 232nM의 상당히 낮은 IC50을 가지는(도 3) 잠재적인 TACC3 억제제로서 BO-264의 발견으로 이어졌다. BO-264합성을 위한 일반적인 절차는 도 4에 표시되었다.
BO-264가 TACC3을 표적으로 하는지 알아내기 위해, 온도 증가에 따른 약물-표적 안정화에 기초한 표적 결합 분석(target engagement assay)이 본 발명에서 수행되었다(Martinez Molina et al., 2013). 이를 위해, 비히클(vehicle), BO-264 또는 SPL-B(양성 대조군)가 있는 JIMT-1 세포를 수시간 배양한 다음, 세포 용해물을 수거하였다. JIMT-1 유방암 세포를 BO-264로 처리하면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세포의 TACC3을 상당히 안정화시키며, 이는 BO-264가 JIMT-1 세포에서 TACC3과 특이적으로 상호작용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도 5a). 단백질 열 용해 곡선(세포 열 이동 분석; CETSA) 또한, 비히클(vehicle) 및 BO-264 처리된 밴드 강도(band intensity) 사이의 열 이동(thermal shift)을 보여준다. 이러한 상호작용은 등온 적정 열량계(ITC)로 검증되었다. TACC3를 BO-264로 적정하였고, 열량 및 열 변화를 기록하여 모니터링하였다. 도 5b에서 볼 수 있듯이, 25℃에서 TACC3에 결합하는 BO-264의 열역학 매개 변수(K: 6.23E8; △H: 4.929E7 cal/mol; △S: 1.65E5 cal/mol/deg, N: 0.704)는 이들 두 분자 간의 상호 작용을 나타낸다.
그런 다음, TACC3 억제제 BO-264와, 이용 가능한 TACC3 억제제 KHS101 및 SPL-B의 세포 생존율에 대한 상대적 효과를 비교하였다. JIMT-1, MDA-MB-436, MDA-MB-157 및 BT-474 T-DM1R 세포주들이 이러한 세 가지 약물에 대한 그들의 반응에 대해 테스트되었다. BO-264는 테스트된 모든 세포주에서, 두 가지 이용 가능한 TACC3 억제제보다 훨씬 낮은 IC50값을 갖는 것으로 밝혀졌다(도 6a). 더욱이, 유방암 모델의 다양한 분자 서브타입에서 BO-264로 더 낮은 IC50값을 얻은 것은, 본 발명의 새로운 억제제가 분자 서브타입과 관계없이 유방암에 대한 유망한 항암 효과를 가지고 있음을 나타낸다. 또한 JIMT-1 세포를 이용한 콜로니 형성 분석으로, BO-264로 처리된 다양한 암 세포주에서 KSH101 및 SPL-B에 비해 세포 생존율이 현저한 감소됨이 검증되었다. 결과적으로, BO-264 처리한 JIMT-1 세포의 평균 콜로니 수는 동일한 용량으로 다른 두 억제제를 처리한 세포들보다 현저히 낮았다(도 6b). 따라서, Cell Titer Glo 분석에서 검출된 낮은 세포 생존율 및 JIMT-1 세포의 적은 수의 콜로니는 BO-264가 시험관 내에서 다른 두 TACC3 억제제인 KHS101 및 SPL-B보다 더 효과적이고 더 강력함을 나타낸다. 유방암 세포주에서 siTACC3 처리의 경우에서와 같이 유사 분열 정지, 세포 사멸 및 DNA 손상 과정의 유도는 BO-264, SPL-B 및 KHS101 처리에 대해 추가적으로 테스트되었다. siTACC3 유도 유사 분열 정지, DNA 손상 및 세포 사멸이 용량(dose) 의존적 방식으로 BO-264에 의해 재현될 수 있음이 검증되었다(도 6c). 반면에, SPL-B 및 KHS101 처리에 의한 상기 마커들의 유사한 유도 수준은 BO-264 처리 세포에 비해 상당히 높은 용량에서 관찰되었다. 비록 다른 실험에서 더 높은 KHS101의 용량이 포함되었지만(Campo & Breuer, 2018), 이러한 마커들의 유도는 오직 매우 높은 용량에서만 관찰되었다. 분명히, 이러한 결과는 세 가지 억제제의 처리에 의한 세포 생존율 데이터 및 IC50값과 일치한다(도 6a 참조). 이러한 결과는 1) nM 범위의 작동 용량과 관련하여 BO-264의 높은 효능 및 2) siRNA를 이용한 TACC3 하향 조정에 의해 얻어진 유사한 분자적 변형에 관련하여 특이성을 추가적으로 입증하였다.
유방암 세포주에서의 이러한 유망한 결과는 본 발명자들로 하여금 다른 유형의 암에서 BO-264를 테스트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BO-264는 NCI-60 인간 세포주에서 항-증식 활성에 대해 스크리닝되었다. 5-dose 스크린 분석에 따르면 거의 모든 세포주가 1μM 미만의 GI50(50% growth inhibition)값으로 BO-264의 처리에 민감한 것으로 밝혀져, 이는 다른 유형의 암에서의 응용도 가능하다는 것을 시사한다(도 7a). 각 NCI-60 세포 주에 대한 GI50 농도를 시각화하기 위해 히트맵을 구성하였다(도 7b). 전반적으로, 각기 다른 유형의 암들은 BO-264에 대해 매우 유사한 생존율 프로파일을 보여주었다.
다음으로, 정상 세포와 비교하여 암 세포주에 대한 BO-264의 특이성을 테스트하였다. 따라서, 정상 유방 상피 세포, MCF-12A의 BO-264에 대한 민감도를 조사하였다. 놀랍게도, 고용량(5, 10 μM)의 BO-264를 사용한 치료에서도 세포의 50% 성장 억제에 도달하지 못하였다(도 8a). 즉, BO-264는 종양 세포를 특이적으로 표적으로 삼는 반면, 정상 유방 세포에는 효과가 없는 것이다. 도 8b에 나타난 바와 같이, MDA-MB-157, MDA-MB-436, JIMT-1 및 BT-474 T-DM1R 세포들은 높은 수준의 TACC3을 발현하는 반면 정상 세포주 MCF-12A 세포는 낮은 TACC3 수준을 발현한다. 이는 BO-264에 대한 민감도가 암세포에서의 비정상적 TACC3 발현 수준과 관련이 있음을 보여준다. 게다가, 낮은 TACC3 수준은 MCF-12A 세포가 저용량에서 TACC3 억제제에 반응하지 않는 이유를 설명할 것이다.
전술한 결과들은 높은 TACC3 수준을 발현하는 유방암 세포가 시험관 내에서, 본 발명의 신규한 TACC3 억제제, BO-264에 더 민감하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따라서, 면역 결핍 마우스에서 고도의 종양 형성 세포주인 JIMT-1(Barok et al., 2007; Tanner et al., 2004)의 종양 형성에 미치는 BO-264의 효과가 SPL-B와 비교하여 테스트되었다. 이를 위해, 암컷 누드 마우스에 JIMT-1 세포를 MFP(mammary fat pad)에 주입한 후, 비히클(vehicle), 또는 5mg/kg(경구)의 BO-264 또는 SPL-B를 적용하였다. 약물 치료는 30일 동안 2일마다 수행되었다. BO-264는 SPL-B와 비교하여 종양 성장의 현격한 감소를 보였으며, 마우스의 체중에 부정적 영향도 없는 것으로 결론 내려졌다(도 9).
다음으로, 각기 다른 용량 및 투여 경로로 저용량의 BO-264에 대해 JIMT-1 이종 이식을 이용하여 테스트하였다. BO-264 2 mg/kg (경구 또는 정맥 내) 또는 5 mg/kg(경구)을 30일 동안 2일마다 마우스에 투여하였다(도 10). 모든 BO-264 투여 그룹의 종양 성장률은 대조군과 비교했을 때 감소하였으며, 이들 그룹 중 5 mg/kg(경구) 투여한 그룹이 종양 성장에 가장 큰 영향을 나타냈다(도 10a). BO-264의 적용이 마우스의 체중에 어떠한 부정적 영향도 미치지 않음을 도 10b에서 나타낸다.
게다가, 보다 나은 항 종양 효과를 얻고 그 내약성을 테스트하기 위해 이전 실험들에 비해 더 높은 용량의 BO-264의 종양 성장에 대한 효과를 테스트하고자, 암컷 누드 마우스에 JIMT-1 세포를 MFP(mammary fat pad)에 주입한 후, 비히클(vehicle) 또는 BO-264(경구로 25mg/kg)를 23일 동안 처리하였다(도 11). BO-264는 비히클(vehicle) 처리된 마우스와 비교하여 종양 형성의 매우 현격한 감소를 나타냈다(도 11a). 종양의 무게는 비히클(vehicle) 그룹의 종양 무게와 비교할 때 상당히 낮았다(도 11b). 중요한 것은, 처리가 마우스 체중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기 때문에, BO-264은 내성이 좋다는 사실이다(도 11c).
전반적 프로파일을 기반으로, BO-264는 그의 물리 화학적 특성 및 대사 안정성에 대해 평가되었다. BO-264는 2.3의 log D7.4 값으로 중간의 친유성을 가지며 인간 및 마우스의 간 마이크로솜 모두에서 낮은 용해도 및 낮은 안정성을 보였으며, 상대적으로 높은 혈장 단백질 결합(비결합 부분 1.13%)을 나타냈으나, 낮은 유출 비율의 좋은 Caco-2 투과율을 나타냈다(AB = 190 x10-6 nm/s, ratio = <2.0)(도 12). 이와 일치되게, 잠재적인 약물-약물 간의 상호작용을 평가하기 위해 인간 간 마이크로솜에서의 BO-264에 의한 사이토크롬 P450의 억제 또한 특징지어졌다. 따라서, BO-264는, CYP2C9(IC50 = 2.63 μM) 및 CYP3A (기질로서 테스토스테론; IC50 = 8.59 μM)의 적당한(moderate) 억제제인 반면, CYP2CD6(IC50 = 18.46 μM) 및 CYP3A (IC50 = 기질로서 미다졸람(midazolam); 30.04 μM)에 대해서는 약한 억제제이거나 억제제가 아니며, 이는 BO-264가 실험된 P450 사이토크롬에서 낮은 활성을 가짐을 나타낸다.
재료 및 방법
세포 배양 및 시약
MDA-MB-436, MDA-MB-157 및 MCF-12A 세포주는 ATCC에서 입수하였다. T-DM1 내성인 HER2 양성 유방암 세포주 BT-474 T-DM1R를 성장시켰으며, 전술한 바와 같이 특징지어진다(Saatci et al., 2018). 세포는 10%의 소 태아 혈청(Lonza), 1%의 비필수 아미노산 및 50 U/ml의 페니실린/스트렙토 마이신이 보충된 둘베코 수정 이글배지(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Lonza, NJ, USA)에서 배양되었다. BT-474 T-DM1R 세포에도 0.1 %의 인슐린 (Sigma Aldrich, MO, USA)이 보충되었다. 또한, MCF-12A 세포는 20ng/ml의 표피 성장 인자(EGF) 및 500ng/ml의 하이드로 코르티손을 함유한 배지에서 배양되었다. 모든 세포주는 MycoAlert Mycoplasma Detection 키트(Lonza)를 사용하여 규칙적으로 테스트되었다.
BO-264의 합성 및 분석
BO-264의 합성을 위하여 도 4에 요약된 바와 같은 합성 절차가 활용되었다. 4-methoxybenzoic acid로부터 시작하여 카르복실산기의 에스테르화(esterification)를 통해 ethyl 4-methoxybenzoate (1)를 생성하였다. 도 4에 기재된 조건에 따라, 3-(4-methoxyphenyl)-3-oxopropanenitrile (2)를 얻었다. 3-(4-methoxyphenyl)-3-oxopropanenitrile (2) 중간체를 히드록실아민(hydroxylamine)으로 처리하여 3-(4-methoxyphenyl) isoxazol-5-amine (3)을 얻었다. 5-Aminoisoxazol 중간체(3)과 2,4-dichloropyrimidine의 친핵성 방향족 치환 반응(nucleophilic aromatic substitution reaction)을 거쳐 N-(2-chloropyrimidin-4-yl)-3-(4-methoxyphenyl) isoxazol-5-amine (4)를 수득하였다. 마지막으로, 화합물 4를 모르폴린으로 처리하여 최종 화합물인 3-(4-methoxyphenyl)-N-(2-morpholinopyrimidin-4-yl) isoxazol-5-amine (5, BO-264)를 얻었다.
Figure pct00001
Ethyl 4-methoxybenzoate (1)
Thionyl chloride (SOCl2)(34.4 mmol, 2.27 당량)를 무수 에탄올(25ml) 중의 4-methoxybenzoic acid (15.15 mmol, 1 당량) 용액에 실온에서 드롭와이즈(dropwise)방식으로 첨가하였다. 반응은 80℃에서 3시간동안 교반되었다. 반응이 완료된 후, 생성된 혼합물은 감압 하에 농축하여 무색 액체를 얻었다(수율 86%). HRMS (m/z): C10H13O3에 대해 계산된 [M+H]+: 181.0865; 실측치:181.0858.
Figure pct00002
3-(4-Methoxyphenyl)-3-oxopropanenitrile (2)
Sodium hydride(NaH)(광유에 60%분산)(27.501mmol, 3 당량) 및 acetonitrile (MeCN)(27.501mmol, 3 당량)을 실온의 건조 톨루엔 하에서 ethyl 4-methoxybenzoate (1) (9.167 mmol, 1 당량) 용액에 첨가한 후, 질소 대기 하에서 2시간 동안 환류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식혔다. 얻어진 염을 석유 에테르(petroleum ether)로 세척한 후, 진공에서 여과하였다. 염을 물에 용해시킨 다음, 진한 염산(concentrated hydrochloric acid; HCL)으로 산성화시켰다. 생성된 고체를 여과하고 sodium bicarbonate (NaHCO3)용액으로 분쇄한 후, 여과하여 연노랑색 고체를 얻었다. 수율: 77%. MP: 127.5-129.4oC. HRMS (m/z): C10H8NO2에 대해 계산된 [M-H]-: 174.0561; 실측치: 174.0564.
Figure pct00003
3-(4-Methoxyphenyl)isoxazol-5-amine (3)
3-(4-methoxyphenyl)-3-oxopropanenitrile (2) (2.8571 mmol, 1 당량) 및 hydroxylamine hydrochloride (H2NOH.HCl) (2.8856 mmol, 1.05 당량)을 sodium hydroxide (NaOH) (5.8570 mmol, 2.05 당량) 수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4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식히고 난 뒤, 물로 희석하고 dichloromethane(DCM)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organic layer)을 건조, 여과 및 증발시켜 조생성물(crude product)을 수득하였고, 이는 헥세인에 ethyl acetate (EtOAc)를 0-60%의 구배로 용리한 실리카겔(24g) 상의 자동-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automated-flash chromatography)로 정제되었다. 수율 59%. MP: 135.4-137.2oC. HRMS (m/z): C10H11N2O2에 대해 계산된 [M+H]+: 191.0821; 실측치: 191.0812.
Figure pct00004
N-(2-Chloropyrimidin-4-yl)-3-(4-methoxyphenyl) isoxazol-5-amine (4)
Potassium tert-butoxide (t-BuOK) (2.4025 mmol, 2.5 당량)을 tert-butanol 상의 3-(4-methoxyphenyl)isoxazol-5-amine (3) solution (0.961 mmol, 1 당량)에 첨가하였고, 그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2,4-Dichloropyrimidine (1.441 mmol, 1.5 당량)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였고,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 혼합물을 ammonium chloride (NH4Cl) 수용액으로 급냉시킨 다음 EtOAc로 추출하였다. 유기층(organic layer)을 건조, 여과 및 증발시켜 조생성물(crude product)을 수득하였고, 이는 DCM에 EtOAc를 0-60%의 구배로 용리한 실리카겔(24g) 상의 자동-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automated-flash chromatography)로 정제되었다. 수율: 42%. MP: 197-198.8oC (dec). HRMS (m/z): C14H12N4O2Cl에 대해 계산된 [M+H]+: 303.0649; 실측치: 303.0645. 1H NMR (400 MHz, DMSO): δ 3.82 (3H, s), 6.68 (1H, s), 7.01 (1H, d, J=5.8 Hz), 7.07 (2H, d, J=8.6 Hz), 7.77 (2H, d, J=8.6 Hz ), 8.40 (1H, d, J=5.8 Hz), 11.73 (1H, s). 13C NMR (100 MHz, DMSO): δ 55.22, 85.54, 106.48, 114.42, 121.06, 127.86, 158.60, 158.72, 159.40, 160.69, 161.51, 162.26.
Figure pct00005
3-(4-Methoxyphenyl)-N-(2-morpholinopyrimidin-4-yl)isoxazol-5-amine (5) (BO-264)
모르폴린 (1.0746 mmol, 3 당량)을 n-부탄올 상의 N-(2-chloropyrimidin-4-yl)-3-(4-methoxyphenyl)isoxazol-5-amine(4) (0.3582 mmol, 1 당량) 수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질소 대기 하에서 5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반응이 완료된 후, 혼합물을 실온에서 식힌 뒤에 얼음물로 급냉시켜 연노랑색의 고체를 얻었다. 생성된 고체를 여과 및 건조시켜 조생성물(crude product)을 수득하였고, 이는 DCM에 EtOAc를 0-60%의 구배로 용리한 실리카겔(24g) 상의 자동-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automated-flash chromatography)로 정제되었다. 수율: 70%. MP: 192.5-194.2 ℃. HRMS (m/z): C18H20N5O3에 대해 계산된 [M+H]+: 354.1566; 실측치: 354.1572. 1H NMR (400 MHz, DMSO): δ 3.68-3.70 (8H, m), 3.80 (3H, s), 6.24 (1H, d, J=5.6 Hz), 6.54 (1H, s), 7.04 (2H, d, J=9.0 Hz), 7.74 (2H, d, J=9.0 Hz), 8.11 (1H, d, J=5.6 Hz), 10.98 (1H, s). 13C NMR (100 MHz, DMSO): δ 44.10, 55.24, 65.99, 84.03, 97.00, 114.43, 121.43, 127.87, 157.38, 157.45, 160.61, 161.37, 162.13, 162.61.
타겟 결합 분석(Target engagement assay)
정상 세포에서의 BO-264 (5)와 TACC3 간의 상호작용을 분석하기 위해, 세포 열 이동 분석(CETSA)를 전술한 바에서 소폭 변경하여 수행하였다(Martinez Molina et al., 2013). 간략히, JIMT-1세포는 비히클(vehicle), BO-264 (5) 또는 SPL-B와 함께 6시간 동안 배양되었다. 처리 후, 세포 펠렛을 프로테아제 및 포스파타제 억제제를 함유하는 TBS(Tris-buffered saline)에 재현탁시켰다. 세포 현탁액을 6개의 PCR 튜브에 나누고 45, 46, 47, 48, 49, 50 oC로 5분동안 가열하였다. 그런 다음, 세포를 액체 질소에서 동결-해동의 3회 반복 주기로 용해시켰다. 가용성 단백질은 4 oC에서 20분 동안 20000g로 원심분리하여 수집하고, SDS-PAGE(sodium dodecyl sulfate 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에 이어 웨스턴 블롯으로 분석하였다.
등온 적정 열량계(Isothermal titration calorimetry; ITC)
정제된 TACC3 재조합 단백질(TP310754; Origene, MD, USA)과 BO-264 (5)는 25mM Tris.HCl, pH 7.3, 100mM 글리신, 10 % 글리세롤 용액에서 제조되었다. BO-264 (5)를 샘플 세포에 로드하고, 중복된 실험에서 TACC3 단백질(시린지에서 10배 더 높은 농도)로 적정하였다. 적정은 25oC에서 Microcal 200 장비(GE Healthcare, Austria)를 이용하여 수행되었다. 각 적정은 6분 간격으로 10회의 주입이 이루어졌다. 기준 전력(reference power)은 2 μcal/sec으로 설정되었고, 샘플 세포는 500 rpm에서 연속적으로 교반되었다. 약물과 단백질 사이의 결합 효율을 평가하기 위하여, 단백질만을 완충액에 주입하여 얻은 백그라운드 데이터는 실험의 등온 곡선에서 감하였다. 데이터는 ITC200과 함께 제공되는 Origin 7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분석되었고, 결합 상수(Ka), 결합 부위 수(N) 및 엔탈피(△H)와 같은 결합 매개 변수가 계산되었다.
억제제 처리 및 세포 생존율 분석(Inhibitor treatments and cell viability assay)
KHS101 및 SPL-B를 100%의 DMSO에 용해시켜 50mM의 스톡농도(stock concentration)를 얻었다. 새로 합성된 분자를 100 % DMSO에 용해시켜 10mM의 스톡 농도를 얻었다. 세포 생존율 분석의 경우, JIMT-1(3x103 cells/well), BT-474 T-DM1R(6x103 cells/well), MDA-MB-436(4x103 cells/well), MDA-MB-157 (3x103 cells/well) and MCF-12A (5x103 cells/well) 세포들이 시딩되었고, 세포 시딩 24시간 후에 억제제 처리가 각기 다른 농도에서 이루어졌다. 세포 생존율은 제조업체에서 권장하는 바와 같이 처리 72시간 후에 Cell Titer Glo 분석으로 측정되었다. 웨스턴 블롯팅을 위해, 각기 다른 농도의 KHS101, SPL-B 또는 BO-264가 JIMT-1 세포(1.5x105 cells/well)에 24시간 동안 제공되었다.
siRNAs를 이용한 일시적인 형질감염(Transient transfection with siRNAs)
세포 생존율 분석에서는 JIMT-1(3x103 cells/well), BT-474 T-DM1R(6x103 cells/well), MDA-MB-436(4x103 cells/well) and MDA-MB-157(3x103 cells/well), 세포들을 P/S-free 성장 배지에서 96-well 플레이트에 접종하였다. 접종 24시간 후, 세포를 전술한 바와 같이(Mutlu et al., 2016) Lipofectamine 2000TM (Invitrogen, CA) 형질 감염 시약을 이용하여 20nM의 최종 농도에서(siTACC3#1: D-004155-03 and siTACC3#2: D-004155-02) TACC3을 표적으로 하는 두 개의 서로 다른 siRNA로(Dharmacon, CO, USA) 형질 감염시켰다. 형질 감염 72시간 후, Cell Titer Glo 분석을 이용하여 세포 생존율을 측정하였다. siRNA 형질 감염 시에 TACC3 녹다운 수준을 평가하기 위해, JIMT-1 (1.5x105cells/well), BT-474 T-DM1R (2x105 cells/well), MDA-MB-436 (1.5x105cells/well) and MDA-MB-157 (1.5x105 cells/well) 세포들을 48시간 동안 두 개의 다른 TACC3 siRNA로 형질 감염시켰다. mRNA 및 단백질 수준의 녹다운 효율은 qRT-PCR(quantitative real-time PCR) 및 웨스턴 블롯팅으로 각각 분석되었다.
콜로니 형성 분석(Colony Formation Assay)
단층 배양(monolayer culture)에서는 JIMT-1 세포(3x103 cells/well)의 단일-세포 현탁액을 12-well 플레이트에 플레이팅하였다. 6시간의 배양 후, 세포를 각기 다른 용량의 BO-264 (5), SPL-B and KHS101로 처리하였다. 두 실험의 설정 모두에서 배지는 4일마다 갈았으며, 세포는 12일 동안 배양되었다. 이어서 세포를 2%의 파라포름알데히드(paraformaldehyde)로 15분 동안 고정시키고 1%의 크리스탈 바이올렛(Merck, Darmstadt, Germany)으로 상온에서 15분 동안 염색시켰다. 생존한 콜로니(적어도 50개의 세포로 구성된)를 ImageJ software (NIH)로 계수하였다.
NCI-60 암 세포주 패널 스크리닝(NCI-60 cancer cell line panel screening)
BO-264 (5)는 다양한 유형의 암의 60개의 인간 세포주로 구성된 NCI-60 인간 세포주 스크리닝을 위해 NCI(National Cancer Institute)에 제출되었다(NCI 번호 S807620). BO-264(5)는 먼저 10 μM농도의 단일-용량 스크린을 위해 승인되었으며, 이는 각 세포주에서의 성장 억제 비율을 조사하는 것이다. 그런 다음, 10 nM - 100 μM 범위의 용량에서 5-dose NCI-60 스크리닝을 위해 선별되었고, 이는 60개 세포주에서 GI50 (50% growth inhibition), TGI(total growth inhibition) and LC50(lethal dose concentration inducing 50% cell death) 값을 측정한다. 자세한 스크리닝 방법은 https://dtp.cancer.gov/discovery_development/nci-60/methodology.htm 웹 페이지에서 확인 가능하다. 간략히, 세포를 96-well 플레이트에 시딩한지 24시간 후에, 5-logM 농도 범위의 화합물로 2일 동안 처리되었다. 세포 독성은 SRB(sulphorhodamine B) 분석을 이용하여 평가되었다.
유방암 이종 이식 실험(Breast cancer xenograft experiments)
6-8주 된 암컷 무흉선(athymic) 누드 마우스는 온도 조절의, 그리고 12시간 빛/12시간 암흑주기의 환경에 수용되었다. 본 연구는 Institutional Animal Care 및 Use Committee of Bilkent University에 따라 시행되었으며, 기관의 지침 및 동물 연구 원칙에 따라 수행되었다. 생체 내 종양 성장을 위해, 4x106 JIMT-1세포가 150 μl, 1:1의 DMEM 및 Matrigel (Corning, NY, USA), v/v)에 준비되었고 암컷 누드 마우스의 유방 지방 패드(MFP)에 주입되었다. 마우스 체중과 종양의 부피는 캘리퍼를 사용하여 매일 측정되었다. 종양 부피는 길이 x 너비2 x 0.5로 계산되었다. 종양 부피가 약 90-100 mm3에 도달한 때에, 이종 이식 개체들을 무작위의 그룹으로 나누었다. 동물들은 비히클(vehicle)(ddH2O 및 10%의 Tween-800의 75% HPMC (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또는 BO-264 (격일 마다 다른 용량 및 투여 방식으로)으로 처리하였다. 종양 성장에 대한 BO-264의 효과는 또한 SPL-B와 비교되었다. 마우스는 치료 시작 20-30일 후에 희생되었고, 종양은 수집되어 다음 분석을 위해 저장하였다.
생물정보학 분석(Bioinformatics analysis)
http://firebrowse.org/에서 다운로드 한 The Cancer Genome Atlas (TCGA) 데이터(Akbani et al., 2014)를 이용하여 다양한 종양 및 정상 조직에서의 TACC3 발현을 분석하였다. TACC3 발현과 환자의 전체 생존율 간의 연관성은 1402 유방암 환자(Gyorffy et al., 2010), 1926 폐암 환자(Gyorffy, Surowiak, Budczies, & Lanczky, 2013) and 876 위암 환자(Szasz et al., 2016)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Kaplan Meier plotter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여 분석되었다. Broad Institute의 웹 사이트 (http://software.Broadinstitute.org/gsea/index.jsp)에서 제공되는 유사 분열 및 DNA 복구-관련 유전자 세트의 GSEA (Gene set enrichment analysis)는, 환자들을 TACC3 발현 수준에 따라 2가지 그룹으로 (high vs low)로 나눈 유방암 METABRIC Validation 데이터 세트(n=995)를 이용하여 수행되었다.
통계 분석(Statistical analysis)
데이터는 GraphPad Prism 소프트웨어(GraphPad Software, Inc)를 이용하여 분석되었고, 세 번의 독립적인 실험에서 평균 ± 표준 편차로 표현되었다. 통계적 유의성은 양측 스튜던트 t-검정에 의해 측정되었다. A p 및 0.05 미만으로 조정된 p (q) 값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간주되었다.
[참고문헌]
- Akbani, R., Ng, P. K., Werner, H. M., Shahmoradgoli, M., Zhang, F., Ju, Z., . . . Mills, G. B. (2014). A pan-cancer proteomic perspective on The Cancer Genome Atlas. Nat Commun, 5, 3887. doi:10.1038/ncomms4887
- Barok, M., Isola, J., Palyi-Krekk, Z., Nagy, P., Juhasz, I., Vereb, G., . . . Szollosi, J. (2007). Trastuzumab causes antibody-dependent cellular cytotoxicity-mediated growth inhibition of submacroscopic JIMT-1 breast cancer xenografts despite intrinsic drug resistance. Mol Cancer Ther, 6(7), 2065-2072. doi:10.1158/1535-7163.MCT-06-0766
- Campo, L., & Breuer, E. K. (2018). Inhibition of TACC3 by a small molecule inhibitor in breast cancer. Biochem Biophys Res Commun, 498(4), 1085-1092. doi:10.1016/j.bbrc.2018.03.125
- Chan, K. S., Koh, C. G., & Li, H. Y. (2012). Mitosis-targeted anti-cancer therapies: where they stand. Cell Death Dis, 3, e411. doi:10.1038/cddis.2012.148
- Curtis, C., Shah, S. P., Chin, S. F., Turashvili, G., Rueda, O. M., Dunning, M. J., . . . Aparicio, S. (2012). The genomic and transcriptomic architecture of 2,000 breast tumours reveals novel subgroups. Nature, 486(7403), 346-352. doi: 10.1038/nature10983
- Dominguez-Brauer, C., Thu, K. L., Mason, J. M., Blaser, H., Bray, M. R., & Mak, T. W. (2015). Targeting Mitosis in Cancer: Emerging Strategies. Mol Cell, 60(4), 524-536. doi:10.1016/j.molcel.2015.11.006
- Gascoigne, K. E., & Taylor, S. S. (2009). How do anti-mitotic drugs kill cancer cells? J Cell Sci, 122(Pt 15), 2579-2585. doi:10.1242/jcs.039719
- Guo, F., & Liu, Y. (2018). Knockdown of TACC3 Inhibits the Proliferation and Invasion of Human Renal Cell Carcinoma Cells. Oncol Res, 26(2), 183-189. doi:10.3727/096504017X14837020772250
- Gyorffy, B., Lanczky, A., Eklund, A. C., Denkert, C., Budczies, J., Li, Q., & Szallasi, Z. (2010). An online survival analysis tool to rapidly assess the effect of 22,277 genes on breast cancer prognosis using microarray data of 1,809 patients. Breast Cancer Res Treat, 123(3), 725-731. doi:10.1007/s10549-009-0674-9
- Gyorffy, B., Surowiak, P., Budczies, J., & Lanczky, A. (2013). Online survival analysis software to assess the prognostic value of biomarkers using transcriptomic data in non-small-cell lung cancer. PLoS One, 8(12), e82241. doi:10.1371/journal.pone.0082241
- Kimura, M., Yoshioka, T., Saio, M., Banno, Y., Nagaoka, H., & Okano, Y. (2013). Mitotic catastrophe and cell death induced by depletion of centrosomal proteins. Cell Death Dis, 4, e603. doi:10.1038/cddis.2013.108
- Lin, J. H., & Lu, A. Y. (1998). Inhibition and induction of cytochrome P450 and the clinical implications. Clin Pharmacokinet, 35(5), 361-390. doi:10.2165/00003088-199835050-00003
- Ma, X. J., Salunga, R., Tuggle, J. T., Gaudet, J., Enright, E., McQuary, P., . . . Sgroi, D. C. (2003). Gene expression profiles of human breast cancer progression. Proc Natl Acad Sci U S A, 100(10), 5974-5979. doi:10.1073/pnas.0931261100
- Martinez Molina, D., Jafari, R., Ignatushchenko, M., Seki, T., Larsson, E. A., Dan, C., . . . Nordlund, P. (2013). Monitoring drug target engagement in cells and tissues using the cellular thermal shift assay. Science, 341(6141), 84-87. doi:10.1126/science.1233606
- Marzo, I., & Naval, J. (2013). Antimitotic drugs in cancer chemotherapy: promises and pitfalls. Biochem Pharmacol, 86(6), 703-710. doi:10.1016/j.bcp.2013.07.010
- Mutlu, M., Saatci, O., Ansari, S. A., Yurdusev, E., Shehwana, H., Konu, O., . . . Sahin, O. (2016). miR-564 acts as a dual inhibitor of PI3K and MAPK signaling networks and inhibits proliferation and invasion in breast cancer. Sci Rep, 6, 32541. doi:10.1038/srep32541
- Polson, E. S., Kuchler, V. B., Abbosh, C., Ross, E. M., Mathew, R. K., Beard, H. A., . . . Wurdak, H. (2018). KHS101 disrupts energy metabolism in human glioblastoma cells and reduces tumor growth in mice. Sci Transl Med, 10(454). doi:10.1126/scitranslmed.aar2718
- Saatci, O., Borgoni, S., Akbulut, O., Durmus, S., Raza, U., Eyupoglu, E., . . . Sahin, O. (2018). Targeting PLK1 overcomes T-DM1 resistance via CDK1-dependent phosphorylation and inactivation of Bcl-2/xL in HER2-positive breast cancer. Oncogene, 37(17), 2251-2269. doi:10.1038/s41388-017-0108-9
- Sanchez-Martinez, C., Gelbert, L. M., Lallena, M. J., & de Dios, A. (2015). Cyclin dependent kinase (CDK) inhibitors as anticancer drugs. Bioorg Med Chem Lett, 25(17), 3420-3435. doi:10.1016/j.bmcl.2015.05.100
- Schmidt, S., Schneider, L., Essmann, F., Cirstea, I. C., Kuck, F., Kletke, A., . . . Piekorz, R. P. (2010). The centrosomal protein TACC3 controls paclitaxel sensitivity by modulating a premature senescence program. Oncogene, 29(46), 6184-6192. doi:10.1038/onc.2010.354
- Schneider, L., Essmann, F., Kletke, A., Rio, P., Hanenberg, H., Wetzel, W., . . . Piekorz, R. P. (2007). The transforming acidic coiled coil 3 protein is essential for spindle-dependent chromosome alignment and mitotic survival. J Biol Chem, 282(40), 29273-29283. doi:10.1074/jbc.M704151200
- Singh, P., Thomas, G. E., Gireesh, K. K., & Manna, T. K. (2014). TACC3 protein regulates microtubule nucleation by affecting gamma-tubulin ring complexes. J Biol Chem, 289(46), 31719-31735. doi:10.1074/jbc.M114.575100
- Song, H., Liu, C., Shen, N., Yi, P., Dong, F., Li, X., . . . Huang, T. (2018). Overexpression of TACC3 in Breast Cancer Associates With Poor Prognosis. Appl Immunohistochem Mol Morphol, 26(2), 113-119. doi:10.1097/PAI.0000000000000392
- Strebhardt, K., & Ullrich, A. (2006). Targeting polo-like kinase 1 for cancer therapy. Nat Rev Cancer, 6(4), 321-330. doi:10.1038/nrc1841
- Szasz, A. M., Lanczky, A., Nagy, A., Forster, S., Hark, K., Green, J. E., . . . Gyorffy, B. (2016). Cross-validation of survival associated biomarkers in gastric cancer using transcriptomic data of 1,065 patients. Oncotarget, 7(31), 49322-49333. doi:10.18632/oncotarget.10337
- Tang, A., Gao, K., Chu, L., Zhang, R., Yang, J., & Zheng, J. (2017). Aurora kinases: novel therapy targets in cancers. Oncotarget, 8(14), 23937-23954. doi:10.18632/oncotarget.14893
- Tanner, M., Kapanen, A. I., Junttila, T., Raheem, O., Grenman, S., Elo, J., . . . Isola, J. (2004). Characterization of a novel cell line established from a patient with Herceptin-resistant breast cancer. Mol Cancer Ther, 3(12), 1585-1592.
- Thakur, H. C., Singh, M., Nagel-Steger, L., Prumbaum, D., Fansa, E. K., Gremer, L., . . . Piekorz, R. P. (2013). Role of centrosomal adaptor proteins of the TACC family in the regulation of microtubule dynamics during mitotic cell division. Biol Chem, 394(11), 1411-1423. doi:10.1515/hsz-2013-0184
- Wurdak, H., Zhu, S., Min, K. H., Aimone, L., Lairson, L. L., Watson, J., . . . Schultz, P. G. (2010). A small molecule accelerates neuronal differentiation in the adult rat. Proc Natl Acad Sci U S A, 107(38), 16542-16547. doi:10.1073/pnas.1010300107
- Yao, R., Kondoh, Y., Natsume, Y., Yamanaka, H., Inoue, M., Toki, H., . . . Noda, T. (2014). A small compound targeting TACC3 revealed its different spatiotemporal contributions for spindle assembly in cancer cells. Oncogene, 33(33), 4242-4252. doi:10.1038/onc.2013.382
- Yao, R., Natsume, Y., Saiki, Y., Shioya, H., Takeuchi, K., Yamori, T., . . . Noda, T. (2012). Disruption of Tacc3 function leads to in vivo tumor regression. Oncogene, 31(2), 135-148. doi:10.1038/onc.2011.235

Claims (8)

  1.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학상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
    Figure pct00006

    [화학식 1].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TACC3 단백질 억제제인,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학상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암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것인,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학상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
  4. 제3항에 있어서,
    대상이 되는 상기 암은 NCI-60 panel의 유방암, 대장암, 흑색종암, 폐암, 중추신경계 암, 난소암, 백혈병 암, 신장암인 및 전립선암 세포주(cell line)인,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학상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유사 분열 정지(mitotic arrest), 세포 사멸(apoptosis) 및 DNA 손상을 유도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학상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
  6. 제1항에 있어서,
    이 때, 화학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모르폴린(morpholine)과 중간체 화합물 4, N-(2-클로로피리미디-4-닐)-3-(4-메톡시페닐)이소작졸-5-아민 (N-(2-chloropyrimidin-4-yl)-3-(4-methoxyphenyl) isoxazol-5-amine)의 반응에 의해 합성되는 것인,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학상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
  7. 제1항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제약학상 허용되는 화학요법제를 더 포함하는,
    조성물.
KR1020207037075A 2018-05-25 2019-03-14 신종 항암제 후보로서, 매우 강력한 tacc3 억제제 KR2021001639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R201807464 2018-05-25
TR2018/07464 2018-05-25
PCT/TR2019/050164 WO2020018039A2 (en) 2018-05-25 2019-03-14 Highly potent tacc3 inhibitor as a novel anticancer drug candidat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6397A true KR20210016397A (ko) 2021-02-15

Family

ID=69165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7075A KR20210016397A (ko) 2018-05-25 2019-03-14 신종 항암제 후보로서, 매우 강력한 tacc3 억제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622966B2 (ko)
EP (1) EP3801529B1 (ko)
JP (1) JP7301958B2 (ko)
KR (1) KR20210016397A (ko)
CN (1) CN112469414A (ko)
WO (1) WO2020018039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6397A (ko) 2018-05-25 2021-02-15 에르덴 바놀루 신종 항암제 후보로서, 매우 강력한 tacc3 억제제
EP4058447A4 (en) * 2019-11-14 2023-12-27 A2A Pharmaceuticals, Inc. ISOXAZOLE DERIVATIVES DIRECTED AGAINST TACC3 AS ANTICANCER AGENTS
WO2023183520A1 (en) 2022-03-24 2023-09-28 A2A Pharmaceuticals,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cancer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15617B2 (en) 2001-08-22 2006-10-03 Amgen Inc. Amino-substituted pyrimidinyl derivatives and methods of use
US20080207572A1 (en) 2005-07-14 2008-08-28 Ab Science Use of Dual C-Kit/Fgfr3 Inhibitors for Treating Multiple Myeloma
WO2008005538A2 (en) 2006-07-05 2008-01-10 Exelixis, Inc. Methods of using igf1r and abl kinase modulators
EP2552214A4 (en) * 2010-03-26 2013-10-16 Glaxo Group Ltd PYRAZOLYL-PYRIMIDINES AS KINASE INHIBITORS
EP2857392B1 (en) 2012-05-02 2018-06-13 Japanese Foundation For Cancer Research Small compound targeting at tacc3
KR101813830B1 (ko) 2013-12-05 2017-12-29 에프. 호프만-라 로슈 아게 친전자성 작용기를 갖는 헤테로아릴 피리돈 및 아자-피리돈 화합물
EP3091008B1 (en) 2013-12-31 2018-06-27 Xuanzhu Pharma Co., Ltd. Kinase inhibitor and use thereof
JP6682221B2 (ja) * 2014-09-24 2020-04-15 公益財団法人がん研究会 Tacc3阻害剤のスクリーニング方法
JP6423229B2 (ja) 2014-09-30 2018-11-14 日信工業株式会社 バーハンドル車両用ブレーキ制御装置
EP3070084A1 (en) 2015-03-18 2016-09-21 Rottapharm Biotech S.r.l. New fyn kinase inhibitors
CN106083823A (zh) 2015-04-30 2016-11-09 中国科学院上海药物研究所 一类具有激酶抑制活性的化合物、制备方法和用途
RU2017145650A (ru) 2015-06-02 2019-07-15 Фармасайкликс Элэлси Ингибиторы тирозинкиназы брутона
TWI620748B (zh) 2016-02-05 2018-04-11 National Health Research Institutes 氨基噻唑化合物及其用途
CN109641882B (zh) 2016-06-30 2022-10-28 杨森制药有限公司 作为nik抑制剂的杂芳族衍生物
WO2018045957A1 (zh) 2016-09-07 2018-03-15 江苏豪森药业集团有限公司 一种cdk4/6抑制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WO2018124001A1 (ja) 2016-12-27 2018-07-05 国立研究開発法人理化学研究所 Bmpシグナル阻害化合物
CN107089968B (zh) 2017-04-12 2019-06-18 南方医科大学 1-(2-氨基吡啶-4-基)-3-哌啶甲酰胺衍生物及其合成方法和应用
TWI667236B (zh) 2017-06-13 2019-08-01 財團法人國家衛生研究院 作為蛋白激酶抑制劑的胺基噻唑化合物
RU2020115534A (ru) 2017-11-23 2021-11-08 Биомед Икс Гмбх ИНГИБИТОРЫ ТРОПОМИОЗИН-РЕЦЕПТОРНОЙ КИНАЗЫ A (TrkA) И ИХ ПРИМЕНЕНИЕ ДЛЯ ЛЕЧЕНИЯ БОЛИ И РАКА
BR112020015431A2 (pt) 2018-02-15 2020-12-08 Nuvation Bio Inc. Compostos heterocíclicos como inibidores de quinase
WO2019177374A1 (ko) 2018-03-13 2019-09-19 포로노이바이오 주식회사 2, 4, 5-치환된 피리미딘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또는 염증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210016397A (ko) 2018-05-25 2021-02-15 에르덴 바놀루 신종 항암제 후보로서, 매우 강력한 tacc3 억제제
AU2020329288A1 (en) 2019-08-14 2022-03-10 Nuvation Bio Inc. Heterocyclic compounds as kinase inhibito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469414A (zh) 2021-03-09
EP3801529A2 (en) 2021-04-14
JP2021528486A (ja) 2021-10-21
US11622966B2 (en) 2023-04-11
JP7301958B2 (ja) 2023-07-03
WO2020018039A3 (en) 2020-03-19
EP3801529B1 (en) 2023-10-11
WO2020018039A2 (en) 2020-01-23
US20210220369A1 (en) 2021-07-22
EP3801529A4 (en) 2022-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uan et al. KDM4/JMJD2 histone demethylase inhibitors block prostate tumor growth by suppressing the expression of AR and BMYB-regulated genes
EP3801529B1 (en) Highly potent tacc3 inhibitor as a novel anticancer drug candidate
US9321737B2 (en) CDK8-CDK19 selective inhibitors and their use in anti-metastatic and chemopreventative methods for cancer
Sestito et al. Design and synthesis of 2-oxindole based multi-targeted inhibitors of PDK1/Akt signaling pathway for the treatment of glioblastoma multiforme
Li et al. Structure–activity relationship studies of naphthol AS-E and its derivatives as anticancer agents by inhibiting CREB-mediated gene transcription
WO2013093508A2 (en) Wnt pathway inhibitors
Jiang et al. BUB1 drives the occurrence and development of bladder cancer by mediating the STAT3 signaling pathway
Gao et al. Design, synthesis and evaluation of novel phenothiazine derivatives as inhibitors of breast cancer stem cells
CA3017645A1 (en) 1,5-disubstituted 1,2,3-triazoles are inhibitors of rac/cdc42 gtpases
WO2021195279A2 (en) Small molecule inhibitors of oncogenic chd1l with preclinical activity against colorectal cancer
Menna et al. Novel non-covalent LSD1 inhibitors endowed with anticancer effects in leukemia and solid tumor cellular models
Phoa et al. Pharmacology of novel small-molecule tubulin inhibitors in glioblastoma cells with enhanced EGFR signalling
Jing et al. SAR study on N 2, N 4-disubstituted pyrimidine-2, 4-diamines as effective CDK2/CDK9 inhibitors and antiproliferative agents
Satoh et al. Discovery of new benzhydrol biscarbonate esters as potent and selective apoptosis inducers of human melanomas bearing the activated ERK pathway: SAR studies on an ERK MAPK signaling modulator, ACA-28
Zhou et al. Small molecules inhibit STAT3 activation, autophagy, and cancer cell anchorage-independent growth
Shi et al. Rottlerin inhibits cell growth, induces apoptosis and cell cycle arrest, and inhibits cell invasion in human hepatocellular carcinoma
WO2018001084A1 (zh) 热休克蛋白抑制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AU2013331764B2 (en) N-substituted 3,4-bis (catechol) pyrrole compounds, and the preparation and use thereof in the treatment of cancer
EP4058447A1 (en) Isoxazole derivatives targeting tacc3 as anticancer agents
Wu et al. Synthesis and evaluation of biarylquinoline derivatives as novel HIF-1α inhibitors
US20230302030A1 (en) COMPOUNDS,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ND USE THEREOF AS INHIBITORS OF RAN GTPase
US20200246365A1 (en) Compounds,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nd use thereof as inhibitors of ran gtpase
Du et al. Discovery of novel EGFR-PROTACs capable of degradation of multiple EGFR-mutated proteins
Neale Protein Phosphatase 2A as a Key Player in Disease Pathways: Potential for Therapeutic Intervention
Helmy et al. Novel sulfonamide-indolinone hybrids targeting mitochondrial respiration of breast cancer cel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