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5206A - 표준형 증기발생기의 노튜브레인 검사장치 - Google Patents

표준형 증기발생기의 노튜브레인 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5206A
KR20210015206A KR1020190093706A KR20190093706A KR20210015206A KR 20210015206 A KR20210015206 A KR 20210015206A KR 1020190093706 A KR1020190093706 A KR 1020190093706A KR 20190093706 A KR20190093706 A KR 20190093706A KR 20210015206 A KR20210015206 A KR 202100152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tube
steam generator
endoscop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37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42530B1 (ko
Inventor
박찬종
Original Assignee
박찬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찬종 filed Critical 박찬종
Priority to KR10201900937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2530B1/ko
Publication of KR202100152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52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25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25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37/00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 F22B37/002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specially adapted for nuclear steam generators, e.g. maintenance, repairing or inspecting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2B37/003Maintenance, repairing or inspecting equipment positioned in or via the header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7/00Monitoring; Testing ; Maintaining
    • G21C17/017Inspection or maintenance of pipe-lines or tubes in nuclear install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lasma & Fusion (AREA)
  • Instrument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Nuclear Rea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준형 증기발생기(OPR-1000)에 설치한 후 내시경 장치를 관판 상부의 전열관(튜브)의 묶음 사이인 노튜브레인으로 삽입하여 육안검사를 할 수 있는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원자력발전소의 표준형 증기발생기 하부에 180°간격으로 존재하는 2개의 점검용 핸드홀을 통하여 노튜브레인에 설치되고, 다양한 증기발생기에 사용이 가능하도록 레일의 위치를 좌우 수평방향으로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레일을 따라 내시경부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부의 전후 위치를 쉽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가이드부의 전후 이동이 고정된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하여 내시경부가 함께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노튜브레인으로 상기 내시경부가 안정적으로 삽입되도록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관판 상부에 쌓인 슬러지 및 이물질을 안정적으로 검사할 수 있는 표준형 증기발생기의 노튜브레인 검사장치에 관한 기술분야가 개시된다.

Description

표준형 증기발생기의 노튜브레인 검사장치{No-tube Lane Inspection System for Standard Steam Generators}
본 발명은 표준형 증기발생기(OPR-1000)에 설치한 후 내시경 장치를 관판 상부의 전열관(튜브)의 묶음 사이인 노튜브레인으로 삽입하여 육안검사를 할 수 있는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원자력발전소의 표준형 증기발생기 하부에 180°간격으로 존재하는 2개의 점검용 핸드홀을 통하여 노튜브레인에 설치되고, 다양한 증기발생기에 사용이 가능하도록 레일의 위치를 좌우 수평방향으로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레일을 따라 내시경부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부의 전후 위치를 쉽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가이드부의 전후 이동이 고정된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하여 내시경부가 함께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노튜브레인으로 상기 내시경부가 안정적으로 삽입되도록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관판 상부에 쌓인 슬러지 및 이물질을 안정적으로 검사할 수 있는 표준형 증기발생기의 노튜브레인 검사장치에 관한 기술분야이다.
일반적으로, 원자력발전소에서의 증기발생기는 증기터빈과 발전기로부터 전력을 생산하는 데 필요한 증기를 발생시키는 가장 중요한 핵심기기 중의 하나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증기발생기 내부에는 다발로 이루어진 다수의 전열관이 마련되어 있으며, 이 전열관은 방사능을 포함하는 1차 계통수와 터빈을 돌리는 2차 계통수 사이에 열 교환 기능을 제공하며, 1차 계통수와 2차 계통수를 분리시켜 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
증기의 발생과정을 살펴보면, 원자로를 통과하면서 가열된 1차 계통수가 관로를 따라 증기발생기 전열관 내부를 흐르고 이 전열관 외부로 공급되는 2차 계통수가 전열관의 외부로 교차하면서 전열관의 관벽을 사이에 두고 1차 계통수와 2차 계통수가 열교환을 통해 1차 계통수는 폐회로의 관로를 따라 다시 원자로로 순환되고 2차 계통수는 증기로 변환된다.
즉, 전열관을 사이로 전열관 내부에는 고온 고압의 방사성 물(1차 계통수)이 흐르고, 외부로는 비방사성 물(2차 계통수)이 흐르기 때문에 전열관 손상이 있을 경우 전열과 내부를 관통하는 방사성 물(1차 계통수)이 외부로 누설되면서 비방사성 물(2차 계통수)과 혼합되면서 오염이 되고, 이로 인해 비방사성 물(2차 계통수)이 증기로 변환되어 공급되는 영역 전체가 방사능 오염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전열관의 건전성을 확보하는 것은 원자력 발전소에 있어 최우선적으로 중요한 과제이다.
도 1은 증기발생기를 나타낸 단면 사시도이고, 이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증기발생기(10)는 1차 계통의 원자로냉각로가 들어오는 입구노즐(1)과,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전열관(2)과, 상기 입구노즐(1)을 통해 들어오는 원자로냉각재를 바깥쪽에 있는 2차 계통 냉각수에 열을 전달하는 출구노즐(3)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전열관(2)은 관판(16)의 상부에 안치되고, 안치된 상기 전연관(2)은 일정 수직 높이 간격마다 관지지판(4)으로 지지되록 하며, 하단의 관지지판(4)과 관판(16) 사이에는 도너츠판상의 유량분패판을 안치시켜 상기 전열관(2)을 지지하도록 하는 한편, 다수의 일정 수직 간격의 관지지판(4) 및 전열관(2)은 하부가 개방되고 상단에 증기배출구를 가지는 래퍼를 결합하고, 상기 래퍼는 물을 외부하우징(5) 내벽을 따라 아래로 공급받으며, 공급받은 물은 전열관(2)에 의하여 증기가 발생되어 상부로 배출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증기발생기(10)는 1차 계통의 원자로냉각재가 입구노즐(1)로 들어와서 다수의 전열관(2) 안쪽으로 흐르면서 출구노즐(3)을 통과하여 바깥쪽에 있는 2차 계통 냉각수에 열을 전달하고 이때 증기가 생성되게 한다.
이때, 증기발생기(10)에서 원자로냉각재가 흐르는 부분을 1차측, 급수 및 증기가 흐르는 부분을 2차측 이라하고, 2차 계통은 주증기계통, 터빈계통, 복수 및 급수계통 등으로 구성되며, 증기발생기(10) 2차측에서 생성된 수증기는 주증기관을 따라 이동하여 터빈을 회전시키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증기발생기(10)는 증기를 만들기 위해 2차 측에 공급되는 2차수가 여과와 화학처리를 통해 공급되지만 관로 내부를 순환하면서 여러 가지 경로를 통해 발생한 이물질과 슬러지를 동반하여 증기발생기 내부로 유입되어, 관판(tube sheet)(16)과 관지지판(tube support plate)(4) 및 유량분배판(Flow Distribution Baffle) 등에 침전되거나 전열관(2) 외벽에 들러붙게 되어 전열효과를 저하시키거나 손상을 초래한다.
즉, 상기 증기발생기(10)는 수천 개의 U자형 전열관(2)이 다발형태를 이루면서 전열관 다발 최하부의 관판(Tube Sheet)(16)에 전열관(2) 양단이 고정되고 약 1m 간격으로 전열관 상부까지 다단으로 구성된 관지지판(Tube Support Plate)(4)에 의해 지지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운전 연수가 지나면서 다양한 경로를 통해 유입 또는 생성되는 불순물이 전열관(2) 외부표면에 스케일이 되어 열교환력을 저하시키고 전열관(2)과 관지지판(4) 사이에서 슬러지로 침적되어 점차 고형화되면 관지지판(4)과 전열관(2) 사이에 덴팅을 유발하여 전열관(2) 손상을 야기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전열관(2) 표면의 스케일 제거와 관지지판(4)의 슬러지 제거는 증기발생기(10) 효율과 전열관(2) 건전성 확보를 위한 필수적인 수단이 되고 있다.
이를 위하여 유량분배판과 전열관(2) 및 관판(16)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소형 내시경 카메라를 이용하여 확인하는 실정이다. 그러나 소형 내시경 카메라와 같은 장비는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가이드 관을 통해 내시경카메라를 약 2.9㎜의 전열관(2) 틈새로 밀어 넣는 방식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자체적으로 지지하는 수단이 없어 원하는 위치를 찾아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으며, 증기발생기(10) 주변은 고방사선 구역으로서 작업자가 방사선 쪼임에 노출되어 효율적인 육안검사 또는 이물질 제거작업을 수행하기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501843호(2015.03.05)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기술로서, 종래의 증기발생기의 전열관 틈새를 검사하는 장치는 자체적으로 지지하는 수단이 없어 원하는 위치를 찾아 확인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안정적인 상태에서 조작되어 틈새의 상태를 확인하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하여, 이에 대한 해결점으로 레일의 위치를 좌우 수평방향으로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고, 내시경부가 결합되는 가이드부의 전후 위치를 쉽게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부의 전후 이동이 고정된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하여 상기 가이드부에 슬라이딩 되도록 결합된 내시경부가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안정적으로 관판 상부에 쌓인 슬러지 및 이물질을 검사할 수 있는 표준형 증기발생기의 노튜브레인 검사장치를 통하여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증기발생기의 핸드홀에 구비된 플랜지에 고정설치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좌우방향으로 수평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되, 상기 핸드홀에 내입되는 레일부와 상기 레일부를 따라 전후방으로 이동되도록 설치되는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증기발생기 내부로 인입출되는 내시경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준형 증기발생기의 노튜브레인 검사장치를 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베이스부는 전면 상부가 상기 플랜지의 후면 상부에 결합되고, 하부에 설치홈이 형성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의 후면에 고정결합되어 후방으로 돌출되는 베이스몸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레일부는 상기 베이스몸체의 일측과 타측에 좌우방향으로 수평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되, 상기 핸드홀에 전방이 내입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레일부는 전방 말단에 설치되고, 하부에 바퀴가 구비되는 스탠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스탠드부는 상기 레일부의 전방 말단에 하부방향으로 결합되는 제1지지프레임과 상기 제1지지프레임의 하부에 하부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되되, 전방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고, 하부에 바퀴가 구비되는 제2지지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레일부를 따라 전후방으로 이동되고,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관통홀이 형성되는 이동몸체와 후방이 상기 이동몸체의 관통홀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가이드몸체 및 상기 가이드몸체의 후방에 결합되어 상기 핸드홀을 관통하는 가이드튜브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부는 하부에 일측이 결합되고, 타측에 상기 가이드튜브의 후방이 내입되어 고정되는 지지베어링홀이 형성되는 튜브가이드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지지베어링홀은 내주연에 설치되는 롤러베어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가이드몸체는 상기 이동몸체의 관통홀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홀이 관통형성되는 원통형상의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전방에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한 쌍의 가이드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가이드프레임의 사이 후방 상부와 전방 하부에 설치되어 각각 내시경부의 상부와 하부를 지지하는 가이드베어링 및 상기 한 쌍의 가이드프레임의 사이에 설치되되, 상기 가이드베어링의 전방에 위치되도록 설치되고, 후면에 절곡홈이 형성되는 절곡가이드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한 쌍의 가이드프레임은 전방 상부에 대향되어 형성되는 착탈홀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절곡가이드부재는 상기 한 쌍의 가이드프레임의 사이에 전방 상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고, 양측에 측방향으로 탄성지지되는 결합돌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내시경부는 상기 가이드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띠와 상기 띠의 양측에 구비되고, 합성수지 재질의 튜브나 인장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관 형태의 내시경튜브와 상기 띠의 일측 내시경튜브의 전방에 설치되는 카메라모듈 및 상기 띠의 타측 내시경튜브의 전방에 설치되는 LED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제시된 본 발명에 의한 표준형 증기발생기의 노튜브레인 검사장치는 베이스부에 레일부가 좌우 수평방향으로 미세 조절될 수 있도록 설치되고 상기 레일부에 가이드부가 전후로 이동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양한 증기발생기에 사용이 가능한 효과와 상기 레일부의 전방에 스탠드부를 설치하여 관판의 상부에 안정적으로 레일부가 지지도록 하는 효과 및 내시경부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된 가이드부가 전후 이동이 고정된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하여 상기 내시경부를 함께 회전시키고, 이에 따라 상기 내시경부가 안정적으로 지지된 상태를 유지하며 노튜브레인으로 삽입됨으로써, 관판 상부에 쌓인 슬러지 및 이물질의 검사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증기발생기를 나타낸 사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검사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부분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베이스부와 레일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베이스부와 레일부를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튜브가이드부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2의 "B"부분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스탠드부를 나타낸 측면도(a)와 배면도(b).
도 9는 도 2의 "C"부분 확대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가이드몸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가이드몸체를 나타낸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내시경부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내시경부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
본 발명은 표준형 증기발생기(OPR-1000)에 설치한 후 내시경 장치를 관판(16) 상부의 전열관(튜브)의 묶음 사이인 노튜브레인으로 삽입하여 육안검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원자력발전소의 표준형 증기발생기 하부에 180°간격으로 존재하는 2개의 점검용 핸드홀(12)의 외측 플랜지(14)에 베이스부(100)를 설치하여 내시경부(400)가 상기 노튜브레인에 위치되도록 하고, 베이스부(100)의 좌우 수평방향으로 레일부(200)가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레일부(200)를 따라 전후방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가이드부(300)를 통해 다양한 증기발생기에 사용가능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상기 가이드부(300)의 가이드튜브(330)가 베이스부(100)의 튜브가이드부재(130)에 의해 전후 이동이 고정된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하여 내시경부(400)가 안정적으로 상기 가이드부(300)에 슬라이딩되며 상기 가이드부(300)와 함께 회전되어 안정적으로 관판(16) 상부에 쌓인 슬러지 및 이물질을 검사하도록 하는 표준형 증기발생기의 노튜브레인 검사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은 증기발생기(10)의 핸드홀(12)에 구비된 플랜지(14)에 고정설치되는 베이스부(100);와 상기 베이스부(100)에 좌우방향으로 수평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되, 상기 핸드홀(12)에 내입되는 레일부(200);와 상기 레일부(200)를 따라 전후방으로 이동되도록 설치되는 가이드부(300); 및 상기 가이드부(30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증기발생기(10) 내부로 인입출되는 내시경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베이스부(100)는 전면 상부가 상기 플랜지(14)의 후면 상부에 결합되고, 하부에 설치홈(112)이 형성되는 베이스플레이트(110);와 상기 베이스플레이(110)의 후면에 고정결합되어 후방으로 돌출되는 베이스몸체(12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레일부(200)는 상기 베이스몸체(120)의 일측과 타측에 좌우방향으로 수평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되, 상기 핸드홀(12)에 전방이 내입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레일부(200)는 전방 말단에 설치되고, 하부에 바퀴가 구비되는 스탠드부(21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스탠드부(210)는 상기 레일부(200)의 전방 말단에 하부방향으로 결합되는 제1지지프레임(212);과 상기 제1지지프레임(212)의 하부에 하부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되되, 전방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고, 하부에 바퀴가 구비되는 제2지지프레임(214);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가이드부(300)는 상기 레일부(200)를 따라 전후방으로 이동되고,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관통홀(312)이 형성되는 이동몸체(310);와 후방이 상기 이동몸체(310)의 관통홀(312)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가이드몸체(320); 및 상기 가이드몸체(320)의 후방에 결합되어 상기 핸드홀(12)을 관통하는 가이드튜브(33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부(100)는 하부에 일측이 결합되고, 타측에 상기 가이드튜브(330)의 후방이 내입되어 고정되는 지지베어링홀(132)이 형성되는 튜브가이드부재(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지지베어링홀(132)은 내주연에 설치되는 롤러베어링(132a);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가이드몸체(320)는 상기 이동몸체(310)의 관통홀(312)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홀(322a)이 관통형성되는 원통형상의 결합부(322);와 상기 결합부(322)의 전방에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한 쌍의 가이드프레임(324);과 상기 한 쌍의 가이드프레임(324)의 사이 후방 상부와 전방 하부에 설치되어 각각 내시경부(400)의 상부와 하부를 지지하는 가이드베어링(326); 및 상기 한 쌍의 가이드프레임(326)의 사이에 설치되되, 상기 가이드베어링(326)의 전방에 위치되도록 설치되고, 후면에 절곡홈(328a)이 형성되는 절곡가이드부재(328);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한 쌍의 가이드프레임(324)은 전방 상부에 대향되어 형성되는 착탈홀(324a);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절곡가이드부재(328)는 상기 한 쌍의 가이드프레임(324)의 사이에 전방 상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고, 양측에 측방향으로 탄성지지되는 결합돌기(328b)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내시경부(400)는 상기 가이드부(30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띠(410);와 상기 띠(410)의 양측에 구비되고, 합성수지 재질의 튜브나 인장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관 형태의 내시경튜브(420);와 상기 띠(410)의 일측 내시경튜브(420)의 전방에 설치되는 카메라모듈(430); 및 상기 띠(410)의 타측 내시경튜브(420)의 전방에 설치되는 LED모듈(44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1 내지 13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원자력발전소의 표준형 증기발생기(OPR-100)의 하부에 180°간격으로 존재하는 2개의 점검용 핸드홀(12)의 외측에 형성되어 있는 플랜지(14)에 설치되되, 상기 핸드홀(12)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관판(16) 상부의 전열관(2)의 묶음 사이인 노튜브레인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표준형 증기발생기(이하, '증기발생기(10)'라 한다.)의 전열관(2)과 전열관의 사이 즉, 틈새(노튜브레인에 해당)는 약 2.9㎜의 크기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틈새인 노튜브레인에 설치되는 본 발명의 검사장치는 상기 노튜브레인에 설치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됨은 자명할 것이고, 상기 노튜브레인에 설치되는 본 발명의 구성으로서는 레일부(200)와 가이드부(300)가 해당되고, 상기 노튜브레인의 수평방향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내시경부(400)가 상기 가이드부(300)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이동됨과 동시에 상기 가이드부(300)의 내시경튜브(330)가 회전되어 상기 내시경부(400)가 함께 회전됨으로써, 노튜브레인의 상하방향 즉, 관판(16)의 상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베이스부(100)는
증기발생기(10)의 핸드홀(12)에 구비된 플랜지(14)에 고정설치되는 것으로서,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레일부(200)가 안정적으로 상기 핸드홀(12)을 통해 노튜브레인에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베이스부(100)는 전면 상부가 상기 플랜지(14)의 후면 상부에 결합되고, 하부에 설치홈(112)이 형성되는 베이스플레이트(110)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의 후면에 고정결합되어 후방으로 돌출되는 베이스몸체(1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는 상기 플랜지(14)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홀(미표시)과 대응되는 체결홀(미표시)이 복수 개가 형성되어 있어, 본 발명의 베이스부(100)가 상기 플랜지(14)에 고정결합되도록 하고,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설치홈(112)을 통해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레일부(200)와 가이드부(300) 및 내시경부(400)가 핸드홀(12)의 내측인 노튜브레인에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부가 플랜지(14)와 고정결합되어 베이스몸체(120)를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상기와 연관하여, 상기 베이스몸체(120)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의 후면에 복수 개의 볼트(미도시)에 의해 고정결합되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의 후방으로 돌출되고, 양측에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레일부(200)가 설치되어 상기 레일부(2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베이스몸체(120)는 양측에 돌출형성되는 복수 개의 가이드봉(미표시)과 상기 가이드봉의 말단에 결합되는 이탈방지플레이트(미표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상기 가이드봉에 레일부(200)의 후방 상부가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됨으로써, 상기 레일부(200)의 좌우 수평방향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베이스몸체(120)는 상부면 일측과 타측에 각각 형성되는 고정결합홀(미표시)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고정결합홀은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레일부(200)의 장공홀(미표시)과 대응됨으로써, 상기 레일부(200)가 좌우 수평방향으로 이동된 후 고정될 수 있도록 하며, 이에 따라 플랜지(14)의 결합홀이 증기발생기(10)마다 다른 경우에도 상기 레일부(200)가 노튜브레인의 위치에 맞게 좌우 수평방향으로 이동되어 고정되므로 다양한 증기발생기(10)에 사용이 가능한 효과를 실현케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베이스부(100)는 하부 일측 또는 타측에 일측 또는 타측이 결합되고, 타측 또는 일측에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가이드부(300)의 가이드튜브(330)의 후방이 내입되어 고정되는 지지베어링홀(132)이 형성되는 튜브가이드부재(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달리 설명하면, 상기 튜브가이드부재(130)는 상기 지지베어링홀(132)에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가이드부(300)의 가이드튜브(330)의 후방이 관통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튜브(330)가 전후 이동될 때, 안정적으로 이동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내시경부(400)를 이용하여 상기 가이드튜브(330)와 수직방향의 노튜브레인을 검사할 때에는 전후방향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고정시켜 안정적으로 검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일실시예의 상기 튜브가이드부재(130)는 베이스부(100) 즉, 베이스플레이트(110)의 하부 일측에 일측이 고정결합되고, 타측에 상부가 개방된 안착홈(미표시)이 형성된 안착부재(134)와, 상기 안착부재(134)의 타측 상부에 결합되되, 상기 안착홈과 대응되는 고정홈(미표시)이 형성된 고정부재(136)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착부재(134)는 상기 안착홈의 상부에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가이드튜브(330)의 후방하부를 지지하고, 상기 고정부재(136)는 상기 안착부재(134)의 타측 상부에 고정결합됨으로써, 전후방으로 이동이 조절된 가이드튜브(330)의 후방상부를 지지하여 상기 가이드튜브(330)가 전후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상기 지지베어링홀(132)은 상기 안착부재(134)의 타측 상부에 상기 고정부재(136)가 결합됨으로써, 상기 안착홈과 상기 고정홈이 대향되어 형성된다.
즉, 본 발명의 검사장치는 상기 튜브가이드부재(130)의 고정부재(136)를 안착부재(134)에 결합하기 전에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가이드부(300)를 레일부(200)를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고정부재(136)를 상기 안착부재(134)에 고정결합시킴으로써, 상기 튜브가이드부재(130)가 전후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되어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내시경부(400)가 안정적으로 가이드부(300)에 슬라이딩되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상기와 연관하여, 상기 지지베어링홀(132)은 내주연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롤러베어링(132a)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상기 롤러베어리이(132a)은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가이드튜브(330)가 전후방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상기 지지베어링홀(132)에 설치된 후 회전될 수 있도록 하고, 이에 따라 가이드부(300)에 결합된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내시경부(400)가 함께 회전될 수 있도록 하여 관판(16) 상부를 보다 효율적이고 안정적으로 검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이때, 상기 롤러베어링(132a)은 상기 가이드튜브(330)의 전후이동을 방지하며 길이방향을 축으로하여 회전되도록 하는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롤러베어링으로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레일부(200)는
상기 베이스부(100)에 좌우방향으로 수평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되, 상기 핸드홀(12)에 전방이 내입되는 것으로서, 상기 베이스부(100) 즉, 베이스몸체(120)의 일측 또는 타측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설치되어 전방이 상기 핸드홀(12)에 내입되어 노튜브레인에 설치되고,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가이드부(300)가 하부에 설치되어 전후방으로 안정되게 이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레일부(200)는 전후방향으로 일정의 길이를 가지는 레일몸체(미표시)와, 상기 레일몸체의 후방 상부에 돌출형성되고, 앞서 설명된 베이스몸체(120)의 가이드봉과 대응되도록 좌우방향으로 복수 개의 가이드봉홀(미표시)이 관통형성되는 결합몸체(미표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레일부(200)는 상기 베이스몸체(120)의 일측과 타측에 상기 가이드봉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수평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는 관판(16)의 상부 일측과 타측을 한 쌍의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내시경부(400)에 의해 검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더욱더 검사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이때, 상기 결합몸체는 상부에 내측방향 즉, 베이스몸체(120)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베이스몸체(120)의 상부면에 형성된 고정결합홀과 대응되는 장공홀이 형성된 결합부재(미표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결합부재의 장공홀에 의해 본 발명의 레일부(200)가 좌우 수평방향으로 조절된 후 상기 베이스몸체(120)에 볼트 등의 결합수단에 의해 고정결합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레일부(200)는 전방 말단에 설치되고, 하부에 바퀴(미표시)가 구비되는 스탠드부(2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상기 스탠드부(210)에 의해 전방이 지지됨으로써, 안정적으로 노튜브레인에 설치되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스탠드부(210)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레일부(200)의 전방 말단에 하부방향으로 결합되는 제1지지프레임(212)과, 상기 제1지지프레임(212)의 하부에 하부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되되, 전방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고, 하부에 바퀴가 구비되는 제2지지프레임(214)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지지프레임(212)은 레일부(200) 즉, 레일부몸체의 전방 말단에 상부가 고정결합되고, 하부에 회전몸체(212a)가 구비되며, 상기 제2지지프레임(214)은 상부가 상기 회전몸체(212a)의 내측에 내입되어 결합되되, 회전가능하도록 힌지결되는 한편, 하부에 바퀴가 구비되어 상기 레일부(200)를 핸드홀(14)의 내부 즉, 노튜브레인에 삽입하여 설치할 때, 상기 레일부(200)의 전방이 안정적으로 지지된 상태로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전열관(2)의 손상 및 관판(16)의 손상을 최소화하며 상기 레일부(200)가 설치되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이때, 상기 회전몸체(212a)는 일측 또는 타측에 호 형상의 안내홈(212a-1)이 형성되고, 상기 제2지지프레임(214)은 상부 일측 또는 타측에 상기 안내홈(212a-1)과 대응되는 탄성돌기(214a)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전방(하부에 위치할 때) 또는 하부방향(전방에 위치할 때)으로 회전시 상기 탄성돌기(214a)가 상기 안내홈(212a-1)을 따라 이동되어 안정적으로 회전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전방과 하부방향으로 회전되는 각도가 상기 안내홈(212a-1)에 의해 제한된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상기 안내홈(212a-1)은 상부말단과 하부말단에 폭의 크기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확장홈(미표시)이 형성되고, 상기 탄성돌기(214a)는 상부가 상기 안내홈(212a-1)의 폭의 크기 대응되는 직경을 가지되, 중단부(미표시)가 상기 확장홈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가짐으로써, 상기 제2지지프레임(214)이 전방과 하부방향에 회전되어 위치되는 경우 고정되도록 하여 안정적으로 전방과 하부방향으로 회전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탄성돌기(214a)는 하부가 상기 제2지지프레임(214)의 내측에 관통되어 결합되고, 상기 제2지지프레임(214)의 내측에는 상기 탄성돌기(214a)의 하부를 상부방향(제2지지프레임(214)을 기준으로 할 때 측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스프링(214b)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탄성돌기(214a)를 가압한 후 제2지지프레임(214)을 전방 또는 하부방향으로 회전한 후 고정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스탠드부(210)는 레일부(200)를 노튜브레인에 삽입하여 설치할 때, 바퀴가 관판(16)의 상부면과 접촉되어 상기 레일부(200)의 전방을 안정적으로 지지한 상태에서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가이드부(300)는
상기 레일부(200)를 따라 전후방으로 이동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레일부(200)를 따라 노튜브레인으로 이동되고,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내시경부(400)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함께 노튜브레인으로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내시경부(400)가 노튜브레인의 구석구석으로 즉, 상기 레일부(200)가 설치되지 않은 노튜브레인으로 삽입되어 검사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내시경부(4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가이드부(300)는 상기 레일부(200)를 따라 전후방으로 이동되고,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관통홀(312)이 형성되는 이동몸체(310)와, 후방이 상기 이동몸체(310)의 관통홀(312)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가이드몸체(320) 및 상기 가이드몸체(320)의 후방에 결합되어 상기 핸드홀(12)을 관통하는 가이드튜브(3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몸체(310)는 상기 레일부(200)의 레일몸체의 하부에 상부가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레일몸체의 길이방향 즉, 전후방으로 이동되고, 하부에 길이방향 즉, 레일몸체와 수평한 방향으로 관통홀(312)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몸체(320)는 후방이 상기 관통홀(312)과 대응되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관통홀(312)에 관통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되,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가이드튜브(330)의 전방이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튜브(330)가 회전되면 함께 회전되며, 결과적으로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내시경부(400)가 함께 회전되어 노튜브레인을 원활하게 검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상기 가이드몸체(320)는 상기 이동몸체(310)의 관통홀(312)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홀(322a)이 관통형성되며, 후방이 가이드튜브(330)의 전방과 결합되는 원통형상의 결합부(322)와, 상기 결합부(322)의 전방에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한 쌍의 가이드프레임(324)과, 상기 한 쌍의 가이드프레임(324)의 사이 후방 상부와 전방 하부에 설치되어 각각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내시경부(400)의 상부와 하부를 지지하는 가이드베어링(326) 및 상기 한 상의 가이드프레임(326)의 사이에 설치되되, 상기 가이드베어링(326)의 전방에 위치되도록 설치되고, 후면에 절곡홈(328a)이 형성되는 절곡가이드부재(328)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부(322)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몸체(310)의 관통홀(312)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이동몸체(310)의 이동에 따라 전후방으로 이동되고, 후방에 가이드튜브(330)의 전방이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튜브(330)에 의해 길이방향을 축으로 회전되며, 상기 가이드홀(322a)에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내시경부(400)가 관통되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됨으로써, 내시경부(400)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길이방향으로 축으로 회전되도록 하여 관판(16)의 상부 즉, 노튜브레인 구석구석을 용이하게 검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상기 가이드프레임(324)은 상기 결합부(322)의 전면 일측과 타측에 연장형성되어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결합부(322)의 가이드홀(322a)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내시경부(400)의 측면을 보호하고, 상기 내시경부(400)가 안정적으로 전방으로 슬라이딩되어 이동 즉,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노튜브레인으로 원활하게 삽입되도록 한다.
상기 가이드베어링(326)은 상기 한 쌍의 가이드프레임(324)의 사이 후방 상부에 설치되는 제1가이드베어링(미표시)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가이드베어링은 상기 결합부(322)의 가이드홀(322a)을 관통한 내시경부(400)의 상부가 상기 가이드프레임(324) 사이 상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중앙에 설치된 롤러베어링(미표시)에 의해 상기 내시경부(400) 안정적으로 슬라이딩되어 전방으로 이동 즉,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베어링(326)은 상기 한 쌍의 가이드프레임(324)의 사이 전방에 설치되되, 상기 제1가이드베어링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되는 제2가이드베어링(미표시)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가이드베어링은 상기 제1가이드베어링을 통과한 내시경부(400)의 하부를 지지하여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절곡가이드부재(328)에 의해 상기 내시경부(400)가 안정적으로 절곡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중앙에 설치된 롤러베어링(미표시)에 의해 절곡된 내시경부(400)의 전방이 안정적으로 슬라이딩되어 노튜브레인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가이드베어링(326)은 앞서 설명된 튜브가이드부재(130)의 롤베어링(132a)과 마찬가지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롤러베어링의 단위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절곡가이드부재(328)는 상기 한 쌍의 가이드프레임(326)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베어링(326) 즉, 상기 제2가이드베어링의 전방에 위치되고, 후면에 절곡홈(328a)이 형성되어 상기 제2가이드베어링을 통과한 내시경부(400)가 상기 절곡홈(328a)에 의해 하부방향으로 절곡되도록 함으로써, 레일부(200)가 설치되지 않은 노튜브레인을 검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절곡가이드부재(328)는 상기 한 쌍의 가이드프레임(324)의 사에 전방 상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고, 양측에 측방향으로 탄성지지되는 결합돌기(328b)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는 상기 제2가이드베어링을 통과한 내시경부(400)의 전방말단을 하부방향으로 원활하게 절곡되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절곡가이드부재(328)는 상기 한 쌍의 가이드프레임(324)의 사이에 전방 상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됨으로써, 힌지축을 중심으로 전방으로 회전된 후 다시 후방으로 회전되어 상기 제2가이드베어링을 통과한 내시경부(400)의 말단을 하부방향으로 절곡시켜 상기 내시경부(400)의 설치가 용이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때, 상기 한 쌍의 가이드프레임(324)는 전방 상부에 대향되어 형성되되, 상기 절곡가이드부재(328)의 결합돌기(328b)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착탈홀(324a)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상기 착탈홀(324a)에 상기 결합돌기(328b)가 결합 또는 결합이 해제되어 상기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절곡가이드부재(328)의 결합돌기(328b)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절곡가이드부재(328)의 양측에 후방이 내입되어 설치되고, 상기 절곡가이드부재(328)의 내측에 구비되는 스프링(미도시)에 의해 외측방향으로 탄성지지되어 간편하게 탈착할 수 있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내시경부(400)는
상기 가이드부(30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증기발생기(10) 내부로 인입출되는 것으로서, 앞서 설명된 가이드부(300)의 가이드몸체(32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즉, 다시 말해 상기 가이드몸체(320)의 결합부(322)에 관통형성된 가이드홀(322a)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노튜브레인에 안정적으로 삽입됨으로써, 관판(16) 상부를 검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다시 한번 설명하면, 본 발명의 내시경부(400)는 본 발명의 베이스부(100)의 외측에 구비된 상태에서 앞서 설명된 가이드튜브(330)를 통과하여 상기 가이드몸체(320)의 결합부(322)에 관통형성된 가이드홀(322a)을 통과하고, 앞서 설명된 가이드베어링(326)을 통과하여 절곡가이드부재(328)에 의해 절곡됨으로써, 상기 노튜브레인에 삽입되기 위해 인입되거나 상기 노튜브레인에서 제거되기 위해 인출될 수 있도록 슬라이딩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내시경부(400)는 전방 말단에 영상을 확보할 수 있는 카메라와 원활한 영상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조명장치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내시경부(400)는 상기 가이드부(30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띠(410)와, 상기 띠(410)의 양측에 구비되고, 합성수지 재질의 튜브나 인장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관 형태의 내시경튜브(420)와, 상기 띠(410)의 일측 내시경튜브(420)의 전방에 설치되는 카메라모듈(430) 및 상기 띠(410)의 타측 내시경튜브(420)의 전방에 설치되는 LED모듈(44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띠(410)는 재질이 유연성 즉, 탄성력을 가지되, 복원력이 강한 철판 또는 합성수지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앞서 설명된 가이드베어링(326)과 가이드몸체(320)의 결합부(322)에 형성된 가이드홀(322a)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상기 띠(41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탄성력을 갖는 재질 중 스프링강판(금속판) 또는 스프링봉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고, 약 2.5m ~ 10m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시경튜브(420)는 상기 띠(410)와 마찬가지로 유연성을 가지되, 복원력이 강한 스프링관(미도시) 또는 합성수지 재질의 튜브로 이루어지는 관 형태로 이루질 수 있고, 상기 띠(410)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될 뿐만 아니라 상기 띠(410)와 함께 절곡되어 노튜브레인으로 삽입된다.
또한, 상기 내시경튜브(420)는 코일스프링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상기 띠(410)의 변형에 따라 함께 대응되어 유연하게 대응되어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카메라모듈(430)과 LED모듈(440)의 파손 및 전원선의 파단 등을 방지하고, 코일 스프링, 인장 코일 스프링, 비틀림 코일 스프링, 원통 코일 스프링, 원추 코일 스프링, 장고꼴 코일 스프링, 볼록통 코일 스프링 등 어느 것으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나, 스프링의 중심선 방향의 인장 하중에 의해 신장이 용이하도록 인장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상기 띠(410)의 양측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한번 설명하면,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띠(410)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금속판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이에 따라 상기 내시경튜브(420)는 인장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띠(410)와 내시경튜브(420)의 결합은 견고한 결합을 위해 용접으로 이루어지거나, 합성수지가 외측에 코팅되어 융착 또는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모듈(430)과 LED모듈(440)은 각각 상기 띠(410)의 일측과 타측에 위치한 상기 내시경튜브(420)의 전방 말단에 설치되어 관판(16) 상부를 검사할 수 있도록 하고, 전원공급 및 영상자료 송수신은 상기 내시경튜브(420)의 중공을 통해 전원공급부와 메인서버 또는 메인컴퓨터와 연결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 언급되는 증기발생기(10)는 내부에 수분이 많이 잔존하므로 상기 띠(410)와 내시경튜브(420)는 방수성능이 우수하고 부식에 강한 스테인레스 재질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띠(410)와 내시경튜브(420)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 불소수지 PTFE(Poly Tetra Fluoro Ethylene)를 합성한 테프론(Teflon) 및 폴리머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코팅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띠(410)와 내시경튜브(420)의 부식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상기 띠(410)와 내시경튜브(420)의 밴딩에 의한 파손을 최소화하며 자기 자신의 표면과 전열관(2)의 표면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표준형 증기발생기의 노튜브레인 검사장치는 레일부(200)를 좌우 수평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고, 가이드부(300)를 상기 레일부(200)를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픽스(fix) 즉, 고정시킨 다음 길이방향을 축으로 회전시켜 내시경부(400)가 노튜브레인에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안정적으로 관판(16) 상부 즉, 전열관(2)의 사이를 검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며,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10 : 증기발생기 12 : 핸드홀 14 : 플랜지
16 : 관판 100 : 베이스부 110 : 베이스플레이트
112 : 설치홀 120 : 베이스몸체 130 : 튜브가이드부재
132 : 지지베어링홀 132a : 롤베어링 200 : 레일부
210 : 스탠드부 212 : 제1지지프레임 214 : 제2지지프레임
300 : 가이드부 310 : 이동몸체 312 : 관통홀
320 : 가이드몸체 322 : 결합부 322a : 가이드홀
324 : 가이드프레임 324a : 착탈홀 326 : 가이드베어링
328 : 절곡가이드부재 328a : 절곡홈 328b : 결합돌기
330 : 가이드튜브 400 : 내시경부 410 : 띠
420 : 내시경튜브 430 : 카메라모듈 440 : LED모듈

Claims (10)

  1. 증기발생기(10)의 핸드홀(12)에 구비된 플랜지(14)에 고정설치되는 베이스부(100);와
    상기 베이스부(100)에 좌우방향으로 수평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되, 상기 핸드홀(12)에 내입되는 레일부(200);와
    상기 레일부(200)를 따라 전후방으로 이동되도록 설치되는 가이드부(300); 및
    상기 가이드부(30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증기발생기(10) 내부로 인입출되는 내시경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준형 증기발생기의 노튜브레인 검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100)는
    전면 상부가 상기 플랜지(14)의 후면 상부에 결합되고, 하부에 설치홈(112)이 형성되는 베이스플레이트(110);와
    상기 베이스플레이(110)의 후면에 고정결합되어 후방으로 돌출되는 베이스몸체(12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레일부(200)는
    상기 베이스몸체(120)의 일측과 타측에 좌우방향으로 수평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되, 상기 핸드홀(12)에 전방이 내입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준형 증기발생기의 노튜브레인 검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부(200)는
    전방 말단에 설치되고, 하부에 바퀴가 구비되는 스탠드부(2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준형 증기발생기의 노튜브레인 검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부(210)는
    상기 레일부(200)의 전방 말단에 하부방향으로 결합되는 제1지지프레임(212);과
    상기 제1지지프레임(212)의 하부에 하부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되되, 전방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고, 하부에 바퀴가 구비되는 제2지지프레임(214);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준형 증기발생기의 노튜브레인 검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300)는
    상기 레일부(200)를 따라 전후방으로 이동되고,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관통홀(312)이 형성되는 이동몸체(310);와
    후방이 상기 이동몸체(310)의 관통홀(312)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가이드몸체(320); 및
    상기 가이드몸체(320)의 후방에 결합되어 상기 핸드홀(12)을 관통하는 가이드튜브(3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준형 증기발생기의 노튜브레인 검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100)는
    하부에 일측이 결합되고, 타측에 상기 가이드튜브(330)의 후방이 내입되어 고정되는 지지베어링홀(132)이 형성되는 튜브가이드부재(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준형 증기발생기의 노튜브레인 검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베어링홀(132)은
    내주연에 설치되는 롤러베어링(132a);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준형 증기발생기의 노튜브레인 검사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몸체(320)는
    상기 이동몸체(310)의 관통홀(312)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홀(322a)이 관통형성되는 원통형상의 결합부(322);와
    상기 결합부(322)의 전방에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한 쌍의 가이드프레임(324);과
    상기 한 쌍의 가이드프레임(324)의 사이 후방 상부와 전방 하부에 설치되어 각각 내시경부(400)의 상부와 하부를 지지하는 가이드베어링(326); 및
    상기 한 쌍의 가이드프레임(326)의 사이에 설치되되, 상기 가이드베어링(326)의 전방에 위치되도록 설치되고, 후면에 절곡홈(328a)이 형성되는 절곡가이드부재(328);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준형 증기발생기의 노튜브레인 검사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가이드프레임(324)은
    전방 상부에 대향되어 형성되는 착탈홀(324a);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절곡가이드부재(328)는
    상기 한 쌍의 가이드프레임(324)의 사이에 전방 상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고, 양측에 측방향으로 탄성지지되는 결합돌기(328b)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준형 증기발생기의 노튜브레인 검사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시경부(400)는
    상기 가이드부(30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띠(410);와
    상기 띠(410)의 양측에 구비되고, 합성수지 재질의 튜브나 인장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관 형태의 내시경튜브(420);와
    상기 띠(410)의 일측 내시경튜브(420)의 전방에 설치되는 카메라모듈(430); 및
    상기 띠(410)의 타측 내시경튜브(420)의 전방에 설치되는 LED모듈(44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준형 증기발생기의 노튜브레인 검사장치.
KR1020190093706A 2019-08-01 2019-08-01 표준형 증기발생기의 노튜브레인 검사장치 KR1022425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3706A KR102242530B1 (ko) 2019-08-01 2019-08-01 표준형 증기발생기의 노튜브레인 검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3706A KR102242530B1 (ko) 2019-08-01 2019-08-01 표준형 증기발생기의 노튜브레인 검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5206A true KR20210015206A (ko) 2021-02-10
KR102242530B1 KR102242530B1 (ko) 2021-04-19

Family

ID=74560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3706A KR102242530B1 (ko) 2019-08-01 2019-08-01 표준형 증기발생기의 노튜브레인 검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253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7974B1 (ko) * 2021-02-18 2021-09-02 박찬종 증기발생기용 노튜브레인 자동검사로봇
CN113758867A (zh) * 2021-08-09 2021-12-07 国核电站运行服务技术有限公司 用于蒸汽发生器传热管的检测装置
KR102597635B1 (ko) * 2022-08-22 2023-11-02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증기발생기 검사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1837B1 (ko) * 2005-05-27 2006-09-19 한국전력공사 고압수 분사방식을 이용한 증기발생기 세정장치
JP2010518324A (ja) * 2007-02-01 2010-05-27 シャエフラー カーゲー 軸受構造
KR101086344B1 (ko) * 2009-07-01 2011-11-23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증기발생기 2차측 관판 상부의 전열관 다발 틈새 육안 검사 및 이물질 제거장치
KR20120025637A (ko) * 2010-09-06 2012-03-16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열교환기 관판 상단의 스케일 및 슬러지 제거를 위한 분절형 초음파 세정장치
KR101501843B1 (ko) 2013-10-22 2015-03-12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원자력 발전소 증기발생기 내부 검사용 내시경 가이드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1837B1 (ko) * 2005-05-27 2006-09-19 한국전력공사 고압수 분사방식을 이용한 증기발생기 세정장치
JP2010518324A (ja) * 2007-02-01 2010-05-27 シャエフラー カーゲー 軸受構造
KR101086344B1 (ko) * 2009-07-01 2011-11-23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증기발생기 2차측 관판 상부의 전열관 다발 틈새 육안 검사 및 이물질 제거장치
KR20120025637A (ko) * 2010-09-06 2012-03-16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열교환기 관판 상단의 스케일 및 슬러지 제거를 위한 분절형 초음파 세정장치
KR101501843B1 (ko) 2013-10-22 2015-03-12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원자력 발전소 증기발생기 내부 검사용 내시경 가이드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7974B1 (ko) * 2021-02-18 2021-09-02 박찬종 증기발생기용 노튜브레인 자동검사로봇
CN113758867A (zh) * 2021-08-09 2021-12-07 国核电站运行服务技术有限公司 用于蒸汽发生器传热管的检测装置
CN113758867B (zh) * 2021-08-09 2024-02-27 国核电站运行服务技术有限公司 用于蒸汽发生器传热管的检测装置
KR102597635B1 (ko) * 2022-08-22 2023-11-02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증기발생기 검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2530B1 (ko) 2021-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2530B1 (ko) 표준형 증기발생기의 노튜브레인 검사장치
US8485139B2 (en) Apparatus for visually inspecting and removing foreign object in gaps of bundle of heating tubes of upper portion of tube sheet of secondary side of steam generator
KR101442798B1 (ko) 증기발생기 전열관 틈새 원격검사설비
JP4357298B2 (ja) 蒸気発生チューブを遠隔検査する装置
KR101599573B1 (ko) 마그네틱 검사 차량을 이용한 검사 시스템 및 검사 프로세스
US4661309A (en) Equipment transporter for nuclear steam generator
DE2850437C2 (de) Vorrichtung zum Orten eines defekten Rohres
RU2232346C2 (ru) Сегментированный узел пики
KR100855117B1 (ko) 원자력발전용 증기발생기의 전열관 표면 검사장치
KR102073089B1 (ko) 증기발생기 전열관다발의 틈새 검사장치
KR102297974B1 (ko) 증기발생기용 노튜브레인 자동검사로봇
KR102197774B1 (ko) 증기발생기 검사장치
JP7036618B2 (ja) 撮影装置
US5544206A (en) Reactor head work station
KR102162126B1 (ko) 증기발생기의 튜브시트용 검사 장치
KR20200124039A (ko) 증기발생기 검사장치
KR20110001768A (ko) 증기 발생기용 유량 분배판의 체결 볼트 육안 검사 장치
US20230138837A1 (en) Apparatus and method of removing foreign substances from steam generator
KR102597635B1 (ko) 증기발생기 검사장치
KR102458945B1 (ko) F-타입 증기발생기용 중앙통로부 자동검사장치
US8978493B2 (en) Conduit length adjustment apparatus and method
JP2011017155A (ja) 取水路点検装置
KR101807947B1 (ko) 원자력발전소 증기발생기의 내부 이물질 제거 및 세정장비용 안내레일
KR20240006166A (ko) 증기발생기용 세정로봇
CN111052261A (zh) 核反应堆燃料通道组件的检查工具和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