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1768A - 증기 발생기용 유량 분배판의 체결 볼트 육안 검사 장치 - Google Patents

증기 발생기용 유량 분배판의 체결 볼트 육안 검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1768A
KR20110001768A KR1020090059455A KR20090059455A KR20110001768A KR 20110001768 A KR20110001768 A KR 20110001768A KR 1020090059455 A KR1020090059455 A KR 1020090059455A KR 20090059455 A KR20090059455 A KR 20090059455A KR 20110001768 A KR20110001768 A KR 201100017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ribution plate
endoscope
visual inspection
flow distribution
steam gen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94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우태
김석태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0900594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1768A/ko
Publication of KR201100017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17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7/00Monitoring; Testing ; Maintaining
    • G21C17/003Remote inspection of vessels, e.g. pressure vessels
    • G21C17/013Inspection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37/00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 F22B37/002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specially adapted for nuclear steam generators, e.g. maintenance, repairing or inspecting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내시경을 체결 볼트(6) 인근까지 안내하는 굽힘성 있는 내시경 안내부(7); 및 상기 내시경 안내부(7)에 대해 증기발생기(1) 내부에 투입되는 그 길이와 좌우 위치를 조절시키는 본체부(8)를 포함하는 증기 발생기용 유량 분배판의 체결 볼트 육안 검사 장치가 제공된다.
이에 의하면, 검사하고자 하는 체결 볼트가 있는 위치까지 카메라나 내시경 등을 용이하게 안내할 수 있어 체결 볼트의 손상 여부를 시각적으로 검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증기 발생기, 유량 분배판, 체결 볼트, 육안 검사, 내시경, 링크, 와이어

Description

증기 발생기용 유량 분배판의 체결 볼트 육안 검사 장치{Device for Visual inspection of the FDP(flow distribution plate) bolts of steam generator}
본 발명은 증기 발생기용 유량 분배판의 체결 볼트 육안 검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증기 발생기의 유량 분배판을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 볼트의 이상 유무를 시각적으로 검사할 수 있는 증기 발생기용 유량 분배판의 체결 볼트 육안 검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자력 발전소의 증기 발생기 내부에는 복수의 전열관이 조밀하게 배치되어 원자로에서 발생하는 열을 증기로 변환시킨다.
그런데 증기 발생기의 내부에는 전열관을 고정시키기 위한 다수의 부품들이 설치되어 있어 이들 부품이 구조물에서 분리되어 증기 발생기의 내부에서 움직이면서 전열관에 손상을 주지 않도록 카메라나 내시경(videoprobe)를 투입하여 이물질 존재 여부를 검사하게 된다.
첨부된 도 1은 일반적인 증기 발생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유량 분배판 및 체결 볼트를 도시한 요부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증기 발생기(1)는 그 내부에 복수 의 전열관(도시 생략)이 설치되고, 상기 전열관을 고정시키기 위한 격자 모양의 에그 크레이트(2)가 설치된다.
상기 에그 크레이트(2)의 중앙에는 유속을 제어하기 위해 복수의 유속 조절용 홀(39)이 형성된 유량 분배판(38)이 체결 볼트(6)로 고정 설치되는데, 상기 체결 볼트(6)는 유체의 유동 현상으로 발생하는 진동으로 손상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손상 여부를 시각적으로 검사할 필요가 있다.
이상에서 미 설명된 도면부호인 '3'은 하부 수실, '4'는 하부 작업구, '5'는 튜브 시트이다.
그런데 유량 분배판(38)이 설치된 위치는 증기 발생기(1)의 중앙 부분이므로 체결 볼트(6)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카메라나 내시경을 삽입할 때 유량 분배판(38)과 덮개 사이의 좁은 틈새를 지나 수직 하강한 후 90도 방향을 바꾸어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체결 볼트(6)를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검사할 수 있는 검사 장치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유량 분배판을 고정하는 체결 볼트를 시각적으로 검사할 수 있는 검사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체결 볼트의 손상 여부를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검사할 수 있도록 한 증기 발생기용 유량 분배판의 체결 볼트 육안 검사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증기 발생기용 유량 분배판의 체결 볼트 육안 검사 장치는 내시경을 체결 볼트(6) 인근까지 안내하는 굽힘성 있는 내시경 안내부(7); 및 상기 내시경 안내부(7)에 대해 증기발생기(1) 내부에 투입되는 그 길이와 좌우 위치를 조절시키는 본체부(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내시경 안내부(7)는, 상기 복수의 링크(9)가 연속 결합된 긴 막대 모양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링크(9)에는, 내시경이 지나가는 내시경 안내구(10)와, 링크(9)들을 서로 이어주는 와이어가 관통하는 인장 와이어 구멍(11)과, 링크(9)들의 일단부에 장착되는 방향전환장치(12)의 방향을 조절하는 와이어가 관통하는 제어 와이어 구멍(13)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향전환장치(12)는, 복수의 세그먼트(22)가 서로 힌지(23)로 연결되며, 힌지(23)의 회전 방향과 수직한 세그먼트(22)의 두 면이 경사지게 설치되 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링크(9)에는, 인장 와이어로 연결될 시 인장력이 가해진 링크(9)가 일방향으로는 유연성을 갖도록 하며, 그 반대방향으로는 결합된 내시경 안내부(7)가 굽혀지지 않도록 하는 원형모따기(16)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부(8)는, 상기 증기발생기(1)의 상부 작업구(17) 외부에 부착되는 마운트장치(30)와, 이 마운트장치(30) 위에 장착되어 내시경 안내부(7)의 좌우 위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한 쌍의 좌우이동 가이드(31)와, 활모양 부재(33)를 장착한 상태에서 앞뒤로 위치 조절이 가능하게 하는 전후이동 가이드(34)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좌우이동 가이드(31)는, 볼스크류(32)에 부착된 핸들(40)의 회전에 의하여 내시경 안내부(7)가 검사 부위에 좌우로 정렬될 수 있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후이동 가이드(34)는, 상기 활모양 부재(33)를 수동으로 앞뒤로 움직여서 내시경 안내부(7)의 종단부가 증기발생기(1)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활모양 부재(33)에는, 수나사가 구비된 브레이크용 회전 손잡이(35)를 돌려 그 하단의 브레이크 패드 부분이 링크(9)에 접촉하게 함으로써 내시경 안내부(7)의 전후 위치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브레이크장치(37)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증기 발생기용 유량 분배판의 체결 볼트 육안 검사 장치에 의하면, 검사하고자 하는 체결 볼트가 있는 위치까지 카메라나 내시경 등을 용이하게 안내할 수 있어 체결 볼트의 손상 여부를 시각적으로 검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증기 발생기용 유량 분배판의 체결 볼트 육안 검사 장치에 대해 상세하게 살펴본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증기 발생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유량 분배판 및 체결 볼트를 도시한 요부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증기 발생기용 유량 분배판의 체결 볼트 육안 검사 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내시경 안내부의 단부를 확대해 보인 사시도, 도 5는 도 3의 단일개 링크를 확대해 보인 사시도, 도 6은 도 4의 제1클램프를 확대해 보인 사시도, 도 7은 도 3의 제2클램프를 확대해 보인 사시도, 도 8은 도 4의 방향전환장치를 확대해 보인 사시도, 도 9은 도 8의 세그먼트를 확대해 보인 사시도, 및 도 10은 도 3의 롤러를 확대해서 보인 사시도이다.
다만, 종래 일반적인 증기 발생기의 주요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증기 발생기용 유량 분배판의 체결 볼트 육안 검사 장치는 미도시한 내시경을 체결 볼트(6) 인근까지 안내하는 굽힘성이 있는 내시경 안내부(7)와, 상기 내시경 안내부(7)가 증기발생기(1)의 내부에 투입되는 길이와 좌우 위치를 조절하는 본체부(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내시경 안내부(7)는 복수의 링크(9)가 연속 결합된 긴 막대 모양으로 각 링크(9)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시경이 지나가는 내시경 안내구(10)와, 복수의 링크(9)들을 서로 이어주는 와이어가 관통하는 인장 와이어 구멍(11), 그리고 그 단부에 장착되는 후술할 방향전환장치(12)의 방향을 조절하는 와이어가 관통하는 제어 와이어 구멍(13)이 형성된다.
상기한 인장 와이어 구멍(11)에는 복수의 링크(9)를 이어주는 인장 와이어(도시 생략)가 삽입되며, 이 인장 와이어의 양단에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클램프(14)와 제2클램프(15)가 각각 부착된다.
상기 제1클램프(14)에 인장 와이어가 삽입되면 볼트를 사용하여 인장 와이어 가 고정되도록 하는바, 상기 인장 와이어 구멍(11)의 직경을 인장 와이어의 직경보다 조금 크게 형성하여 볼트로 제1클램프(14)을 구성하는 두 판을 결합시켜 인장 와이어를 고정한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클램프(14)의 판면에는 제어 와이어에 인장력 또는 압축력을 가한 상태, 즉 세그먼트(22)가 원위치 또는 90도 방향 전환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와이어 고정 나사(29)를 설치한다.
또한, 제2클램프(15)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시경 안내구(10)와, 인장 와이어 구멍(11), 그리고 제어 와이어 구멍(13)이 형성되어 상기 각 링크(9)의 구멍들과 각각 대응하며, 인장와이어의 다른 쪽 끝부분이 적절한 장력이 가해지도록 당겨진 상태에서 볼트 체결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인장 와이어에 적절한 인장력이 가해지도록 함으로써 연결된 복수의 링크(9)가 서로 상대적으로 약간씩 움직일 수 있다.
복수의 링크(9)를 인장 와이어를 사용하여 연결할 때 원형모따기(16)가 있는 부분이 같은 방향을 향하도록 하는바, 인장력이 가해진 링크(9)가 원형모따기(16)가 있는 방향으로는 유연성을 갖도록 하며, 원형모따기(16)가 없는 반대방향으로는 결합된 내시경 안내부(7)가 굽혀지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본 내시경 안내부(7)는 증기발생기(1)의 내부 삽입 방향으로는 유연성을 가지면서 반대 방향으로는 굽힘성이 없는 것이 특징이다.
이렇게 하여 증기발생기(1) 상부 작업구(17)로 투입된 내시경 안내부(7)가 증기발생기(1) 아래로 90도로 방향 전환한 다음 증기발생기(1) 내부 원통형 구조물 의 좁은 틈새로 내시경 안내부(7)가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다.
도 3과 도 5를 참조하면, 증기발생기(1)의 상부 작업구(17)로 내시경 안내부(7)를 투입할 때 증기발생기 아래 방향으로는 유연하게 굽혀질 수 있도록 링크(9)이 원형 모따기(16)가 있는 부분들이 아래로 향하고 있다.
그리고, 5미터 이상 떨어진 위치에 있는 좁은 틈새로 내시경 안내부(7)를 투입하기 위해서는 유연성이 많이 필요한 곡선 구간에는 짧은 링크를, 유연성이 덜 필요한 구간에는 긴 링크를 배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전체 내시경 안내부(7)가 적절한 유연성을 가지면서 유연성이 덜 필요한 부분은 막대처럼 직선 형상이 되어 전체적으로 검사부위로의 접근이 용이하게 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1클램프(14)에는 좁은 틈새에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도록 두 개의 핑거(20)와, 방향전환장치(12), 그리고 방향전환 장치(12)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대(21)가 장착된다.
상기 방향전환장치(12)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 개의 세그먼트(22)가 서로 힌지(23)로 연결되며, 힌지(23)의 회전 방향과 수직한 세그먼트(22)의 두 면이 5도 내외로 약간 경사지게 설치됨으로써 각 세그먼트(22)들이 힌지(23)를 축으로 회전할 때 첫번째 세그먼트(24)와 마지막 세그먼트(25)는 90도 만큼 방향이 전환되도록 한다.
그리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세그먼트(22)의 힌지(23)는 서로 핀으로 결합하며, 각 핀을 체결한 후 분리되지 않도록 두 개의 안전 와이어 구멍(26)에 강선을 삽입한다.
또, 각 세그먼트(22)에 형성된 두 개의 제어 강선용 홀(27)에는 강선이 각각 삽입되며, 이 강선은 여러 개의 세그먼트(22)와 링크(9)를 관통하여 제2클램프(15)까지 연결되며, 인장력을 가하면 마지막 세그먼트(22)가 90도 만큼 방향이 전환되고, 압축력을 가하면 원래의 위치로 돌아간다.
한편, 상기 본체부(8)는 상부 작업구 (17) 외부에 부착되는 마운트장치(30)와, 이 마운트장치(30) 위에 장착되어 내시경 안내부(7)의 좌우 위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한 쌍의 좌우이동 가이드(31)와, 단일의 볼스크류(32), 그리고 활모양 부재(33)를 장착한 상태에서 앞뒤로 위치 조절이 가능하게 하는 전후이동 가이드(34)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볼스크류(32)에 부착된 핸들(40)의 회전에 의하여 내시경 안내부(7)가 검사 부위에 좌우로 정확하게 정렬될 수 있도록 좌우이동 가이드(31)의 위치를 제어한다.
또한, 전후 이동은 전후이동 가이드(34) 위에 부착된 활모양 부재(33)를 수동으로 앞뒤로 움직여서 내시경 안내부(7)의 종단부가 증기발생기(1) 내부의 좁은 틈새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활모양 부재(33)에 장착되는 롤러(36)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단차가 형성되어 있어 상대적으로 폭이 넓은 핑거(20) 부분과 폭이 좁은 링크(9) 부분이 동시에 장착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활모양 부재(33)에 장착되는 브레이크장치(37)는 수나사가 구 비된 브레이크용 회전 손잡이(35)를 돌려 그 하단의 브레이크 패드 부분이 링크(9)에 접촉하게 함으로써 내시경 안내부(7) 전체의 전후 위치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다만, 이 상태에서도 브레이크용 회전 손잡이(35)를 돌려 내시경 안내부(7)의 좌우 위치 조절은 가능하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한 본 발명 증기 발생기용 유량 분배판의 체결 볼트 육안 검사 장치의 작용에 대해 살펴본다.
먼저 본체부(8)를 증기발생기(1)의 상부 작업구(17)에 마운트장치(30)를 통해 볼트로 고정한다.
다음으로 내시경 안내부(7)의 세그먼트(22)가 있는 부분을 본체부(8)의 활모양 부재(33) 위의 롤러(36) 부분에 장착한 다음 증기발생기(1)의 내부로 밀어 넣는다.
이 때 제어 와이어는 압축력을 가한 후 와이어 고정 나사(29)로 고정한 상태에서 밀어 넣음으로써 세그먼트(22)의 방향이 증기발생기(1) 하부로 향하도록 한다.
제어 와이어에 압축력을 가하지 않은 상태에서 내시경 안내부(7)를 삽입하면 세그먼트(22)들이 들려 있는 상태이므로 좁은 틈새로 진입할 수 없다.
그리고, 세그먼트(22)의 끝 부분이 검사 부위에 도달하면 브레이크장치(37)를 이용하여 내시경 안내부(7)를 활모양 부재(33)에 고정시킨다.
이 상태에서 와이어 고정 나사(29)를 풀고, 제어 와이어를 당겨 와이어에 인장력을 가해 세그먼트(22) 부분이 90도 방향 전환 위치가 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내시경을 내시경 안내부(7)의 제2클램프(15)에 형성된 내시경 안내구(10)을 통해 마지막 세그먼트(25)까지 도달하게 한다.
내시경과 연결된 화면을 보면서 내시경을 유량 분배판(38) 상의 체결 볼트(6)가 있는 곳으로 진입시킨다.
화면에 체결 볼트(6)가 보이면 내시경의 기록 기능과 줌 기능 등을 이용하여 검사하고자 하는 체결 볼트(6)들의 화상을 기록한 다음 내시경을 제거하고 설치 순서와 역순으로 검사 장비를 제거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증기 발생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유량 분배판 및 체결 볼트를 도시한 요부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증기 발생기용 유량 분배판의 체결 볼트 육안 검사 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내시경 안내부의 단부를 확대해 보인 사시도,
도 5는 도 3의 단일개 링크를 확대해 보인 사시도,
도 6은 도 4의 제1클램프를 확대해 보인 사시도,
도 7은 도 3의 제2클램프를 확대해 보인 사시도,
도 8은 도 4의 방향전환장치를 확대해 보인 사시도,
도 9은 도 8의 세그먼트를 확대해 보인 사시도, 및
도 10은 도 3의 롤러를 확대해서 보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증기발생기 2: 에그 크레이트
3: 하부 수실 4: 하부 작업구
5: 튜브 시트 6: 체결 볼트
7: 내시경 안내부 8: 검사 장비 본체
9: 링크 10: 내시경 안내구
11: 인장 와이어 구멍 12: 방향전환장치
13: 제어 와이어 구멍 14: 제1클램프
15: 제2클램프 16: 원형 모따기
17: 상부 작업구 20: 핑거
21: 보호대 22: 세그먼트
23: 힌지 24: 첫번째 세그먼트
25: 마지막 세그먼트 26: 안전 와이어 구멍
27: 강선용 홀 28: 구멍 위치 조절 부품
29: 와이어 고정 나사 30: 마운트 장치
31: 좌우이동 가이드 32: 볼스크류
33: 활모양 부재 34: 전후이동 가이드
35: 브레이크용 회전 손잡이 36: 롤러
37: 브레이크 장치 38: 유량 분배판
39: 유속 조절용 홀 40: 핸들

Claims (9)

  1. 내시경을 체결 볼트(6) 인근까지 안내하는 굽힘성 있는 내시경 안내부(7); 및
    상기 내시경 안내부(7)에 대해 증기발생기(1) 내부에 투입되는 그 길이와 좌우 위치를 조절시키는 본체부(8)
    를 포함하는 증기 발생기용 유량 분배판의 체결 볼트 육안 검사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시경 안내부(7)는,
    상기 복수의 링크(9)가 연속 결합된 긴 막대 모양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발생기용 유량 분배판의 체결 볼트 육안 검사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링크(9)에는,
    내시경이 지나가는 내시경 안내구(10)와, 링크(9)들을 서로 이어주는 와이어가 관통하는 인장 와이어 구멍(11)과, 링크(9)들의 일단부에 장착되는 방향전환장치(12)의 방향을 조절하는 와이어가 관통하는 제어 와이어 구멍(13)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발생기용 유량 분배판의 체결 볼트 육안 검사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전환장치(12)는,
    복수의 세그먼트(22)가 서로 힌지(23)로 연결되며, 힌지(23)의 회전 방향과 수직한 세그먼트(22)의 두 면이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발생기용 유량 분배판의 체결 볼트 육안 검사 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링크(9)에는,
    인장 와이어로 연결될 시 인장력이 가해진 링크(9)가 일방향으로는 유연성을 갖도록 하며, 그 반대방향으로는 결합된 내시경 안내부(7)가 굽혀지지 않도록 하는 원형모따기(16)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발생기용 유량 분배판의 체결 볼트 육안 검사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8)는,
    상기 증기발생기(1)의 상부 작업구(17) 외부에 부착되는 마운트장치(30)와, 이 마운트장치(30) 위에 장착되어 내시경 안내부(7)의 좌우 위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한 쌍의 좌우이동 가이드(31)와, 활모양 부재(33)를 장착한 상태에서 앞뒤로 위치 조절이 가능하게 하는 전후이동 가이드(34)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발생기용 유량 분배판의 체결 볼트 육안 검사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이동 가이드(31)는,
    볼스크류(32)에 부착된 핸들(40)의 회전에 의하여 내시경 안내부(7)가 검사 부위에 좌우로 정렬될 수 있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발생기용 유량 분배판의 체결 볼트 육안 검사 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이동 가이드(34)는,
    상기 활모양 부재(33)를 수동으로 앞뒤로 움직여서 내시경 안내부(7)의 종단부가 증기발생기(1)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발생기용 유량 분배판의 체결 볼트 육안 검사 장치.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활모양 부재(33)에는,
    수나사가 구비된 브레이크용 회전 손잡이(35)를 돌려 그 하단의 브레이크 패드 부분이 링크(9)에 접촉하게 함으로써 내시경 안내부(7)의 전후 위치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브레이크장치(37)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발생기용 유량 분배판의 체결 볼트 육안 검사 장치.
KR1020090059455A 2009-06-30 2009-06-30 증기 발생기용 유량 분배판의 체결 볼트 육안 검사 장치 KR201100017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9455A KR20110001768A (ko) 2009-06-30 2009-06-30 증기 발생기용 유량 분배판의 체결 볼트 육안 검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9455A KR20110001768A (ko) 2009-06-30 2009-06-30 증기 발생기용 유량 분배판의 체결 볼트 육안 검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1768A true KR20110001768A (ko) 2011-01-06

Family

ID=43610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9455A KR20110001768A (ko) 2009-06-30 2009-06-30 증기 발생기용 유량 분배판의 체결 볼트 육안 검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176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1843B1 (ko) * 2013-10-22 2015-03-12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원자력 발전소 증기발생기 내부 검사용 내시경 가이드 장치
CN108098791A (zh) * 2017-12-28 2018-06-01 中广核研究院有限公司 异形截面悬伸臂及悬伸检测机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1843B1 (ko) * 2013-10-22 2015-03-12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원자력 발전소 증기발생기 내부 검사용 내시경 가이드 장치
CN108098791A (zh) * 2017-12-28 2018-06-01 中广核研究院有限公司 异形截面悬伸臂及悬伸检测机构
CN108098791B (zh) * 2017-12-28 2024-03-26 中广核研究院有限公司 异形截面悬伸臂及悬伸检测机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85139B2 (en) Apparatus for visually inspecting and removing foreign object in gaps of bundle of heating tubes of upper portion of tube sheet of secondary side of steam generator
CA2257681C (en) Inspection device
KR100950241B1 (ko) 증기 발생기 튜브의 원격 검사 장치
KR101700070B1 (ko) 내시경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원격 검사장치
KR101184262B1 (ko) 증기발생기 2차측 전열관 상부다발 원격 검사장치
KR20110001768A (ko) 증기 발생기용 유량 분배판의 체결 볼트 육안 검사 장치
KR102242530B1 (ko) 표준형 증기발생기의 노튜브레인 검사장치
CN107152886A (zh) 一种蒸汽发生器全段式清洗装置及清洗方法
CA2346914C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visual inspection of concealed soldered joints
KR101501843B1 (ko) 원자력 발전소 증기발생기 내부 검사용 내시경 가이드 장치
KR101203291B1 (ko) 원자력 발전소의 증기발생기 내부검사용 내시경 안내장치
KR102581778B1 (ko) 관로 검사용 반자동 내시경 장치
KR101721938B1 (ko) 증기 발생기의 용접부 검사 장치
KR101939534B1 (ko) 증기발생기의 이물질 검사 및 제거 툴 안내장치와, 이를 구비한 이물질 검사 및 제거장치
JP2001159696A (ja) ジェットポンプの検査補修方法および装置
KR100936256B1 (ko) 원자력발전소 증기발생기 유량분배판 고정볼트의 육안검사장치
DE2833763A1 (de) Inspektions- und pruefeinrichtung
KR20160000778A (ko) 배관내부이동장치
KR102212469B1 (ko) 증기발생기 검사장치
KR100920114B1 (ko) 증기 발생기용 유량 분배판의 고정 볼트 검사 장치
KR102197774B1 (ko) 증기발생기 검사장치
KR20210028407A (ko) 착탈식 레일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증기발생기 세관 검사용 프로브장치
KR100977274B1 (ko) 증기 발생기 육안 검사 장치
CN115421069B (zh) 一种配电线路故障巡查装置
EP1462787A1 (de) Einrichtung zum Inspizieren eines Rohrabzweig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