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3291B1 - 원자력 발전소의 증기발생기 내부검사용 내시경 안내장치 - Google Patents

원자력 발전소의 증기발생기 내부검사용 내시경 안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3291B1
KR101203291B1 KR1020110019963A KR20110019963A KR101203291B1 KR 101203291 B1 KR101203291 B1 KR 101203291B1 KR 1020110019963 A KR1020110019963 A KR 1020110019963A KR 20110019963 A KR20110019963 A KR 20110019963A KR 101203291 B1 KR101203291 B1 KR 1012032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generator
holes
endoscope
pair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99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01879A (ko
Inventor
정우태
김석태
김희근
공태영
Original Assignee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199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3291B1/ko
Publication of KR201201018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18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32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32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7/00Monitoring; Testing ; Maintaining
    • G21C17/017Inspection or maintenance of pipe-lines or tubes in nuclear install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37/00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 F22B37/002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specially adapted for nuclear steam generators, e.g. maintenance, repairing or inspecting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5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shape of the object to be examined
    • G01N21/954Inspecting the inner surface of hollow bodies, e.g. bo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lasma & Fus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strument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자력 발전소의 증기발생기 내부검사용 내시경 안내장치에 관한 것으로, 증기발생기의 작업구 및 개구부를 통해 투입되고, 증기발생기의 전열관을 감싸고 있는 덮개와 전열관을 지지하는 격자모양의 관지지판 가장자리 사이의 협소한 공간으로 진입하는데, 검사하고자 하는 위치까지 하강하고서, 제1안내부의 일측 단부가 증기발생기의 공동부를 향해 방향전환시킨다. 그런 다음에, 내시경과 케이블을 구비한 제2안내부가 제1안내부의 안내방향으로 활주되고 공동부 근방까지 접근되어 필요한 부분을 촬영하여 외부로 전송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원자력 발전소의 증기발생기 내부검사용 내시경 안내장치 {Endoscope guide for visual inspection of nuclear steam generator}
본 발명은 원자력 발전소의 증기발생기 내부에 배열된 다수의 구성부재, 예컨대 관지지판 주변의 협소한 공간으로 용이하게 접근하여 내부를 내시경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하는 안내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원자력 발전소의 증기발생기의 내부에는 다수의 전열관(tube)이 조밀하게 배치되어 원자로에서 발생하는 열을 수단으로 하여 증기를 생산한다. 증기발생기 내부에는 다수의 전열관을 고정하기 위한 관지지판(egg-crate) 뿐만 아니라 다수의 부품들이 설치되어 있는데, 예컨대 다수의 전열관 표면과 이를 지지하는 관지지판 상단에 이미 알려진 바와 같이 열교환이 일어나면서 스케일 및/또는 슬러지가 침적된다. 이러한 구성부재 상에 금속성 스케일 및/또는 슬러지가 침적되어 열교환 효율을 저하시키거나 원자력 발전소의 출력에 영향을 미치게 될 뿐만 아니라 증기발생기의 부식을 초래하여 증기발생기의 수명주기를 단축시키는 결과를 초래한다.
이에, 원자력발전소에서는 전열관에 손상을 입히지 않도록 주기적으로 예방정비기간마다 금속성 스케일 및/또는 슬러지와 같은 이물질의 존재 여부에 대한 검사를 실시하고 있다. 가장 일반적인 검사방법으로는 카메라 혹은 내시경을 투입하여 영상신호로 이를 분석하는 것이다.
하지만, 한국표준형 원자력발전소 증기발생기는 다른 유형의 증기발생기 보다 내부에 전열관이 많이 설치되어 전열관 사이의 간격이 매우 협소하여 카메라 혹은 내시경이 증기발생기의 중앙부까지 접근이 용이하지 않아, 그 내부를 육안으로 확인하기에 상당한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은 강한 방사선과 증기발생기 내부의 협소한 공간으로 인해 작업자가 현장에 접근하기 곤란한 원자력 발전소의 증기발생기의 전열관 다발 및 내부 구조물의 건전성을 시각적으로 검사할 수 있도록 창출된 것으로, 내시경 혹은 소형 카메라가 증기발생기의 공동부(혹은 중앙부)까지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안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증기발생기의 작업구 및 개구부를 통해 투입되고, 증기발생기의 전열관을 감싸고 있는 덮개와 전열관을 지지하는 격자모양의 관지지판 가장자리(rim) 사이의 협소한 공간으로 진입하는데, 검사하고자 하는 위치까지 하강하고서, 제1안내부의 일측 단부가 증기발생기의 공동부를 향해 방향전환시킨 다음에, 내시경과 케이블을 갖춘 제2안내부를 제1안내부의 연장방향으로 활주시켜 공동부 근방까지 접근시켜 필요한 부분을 촬영하여 외부로 전송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상 본 발명의 설명에 의하면, 본 발명은 일반적인 상용 내시경 혹은 가이드튜브 등으로 접근이 용이하지 않은 협소한 공간, 예컨대 증기발생기 공동부 인근의 구조물의 건전성을 육안으로 검사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본 발명은 와이어의 인장력 제어를 통해 간단하게 협소한 공간 내부로 진입될 수 있다.
도 1은 원자력 발전소의 증기발전소 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 안내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 안내장치의 제1안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제1안내부를 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c는 도 3b에 도시된 제1안내부를 아래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제1안내부를 구성하는 제1방향전환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제1안내부를 구성하는 길이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 안내장치의 제1안내부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 안내장치의 제2안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안내부를 구성하는 제2방향전환부재의 사시도이다.
이제, 본 발명에 따른 원자력 발전소의 증기발생기 내부검사용 내시경 안내장치는 첨부도면을 참조로 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원자력 발전소의 증기발생기의 단면도이고, 증기발생기 내부로 유입될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 안내장치의 이동경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 안내장치는 카메라 혹은 내시경을 원자력발전소의 증기발생기(100)의 내부에 구비된 덮개(102;wrapper)와 관지지판(103) 사이의 협소한 공간을 통해 수직방향으로 하강하면서 공동부(104), 즉 증기발생기의 중앙부를 향해 굴곡되어 안내하여 공동부 근방까지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 안내장치의 제1안내부는 증기발생기(100)의 작업구(108)와 덮개(102) 및 개구부(109)를 통해 증기발생기(100) 내부로 투입되고, 관지지판(103)의 가장자리와 덮개(102) 사이의 틈새를 지나 검사하고자하는 위치까지 하강한다. 그런 다음에, 제1안내부에 구비된 제2와이어를 긴장시켜 인장력을 가하게 되면, 제1방향전환부는 강제로 굴절되면서 제1안내부의 단부를 증기발생기 내부중심을 향하도록 한다. 제1안내부에서 활주가능하게 결합된 제2안내부는 제1안내부의 연장방향을 따라 활주이동하고, 제2안내부에 구비된 내시경은 제1안내부로 확보된 경로를 따라 증기발생기 내부로 안내되어 그 근방을 촬영하여 증기발생기 외부에서 작업하는 작업자가 전열관과 관지지판의 상황을 내시경으로 전송된 영상을 통해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참고로, 도 1에 표기된 화살표는 증기발생기 내부에서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 안내장치의 이동경로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 안내장치의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로 하면,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 안내장치(1)는 제1안내부(10)와 제2안내부(2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안내부(10)는 수직하방으로 길이연장되는 길이부재(11)와 굴절가능하게 연결된 제1방향전환부재(12)로 구성되되, 작업자는 증기발생기의 작업구를 통해 증기발생기의 검사위치까지 수직하방으로 길이부재(11)를 내려뜨리고 나서, 제1안내부(10)의 제2와이어에 인장력을 가해 일렬로 배열된 길이부재(11) 전단에 배열된 다수의 제1방향전환부재(12)를 증기발생기 내부를 향해 도시된 바와 같이 굴절되게 한다.
제2안내부(20)는 제1안내부(10)의 경로를 따라서 활주가능하게 결속되고, 제2안내부(20)에 구비된 내시경(30)을 통해 내부를 촬영할 수 있도록 돕는다.
제1안내부(10)와 제2안내부(20)는 아래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 안내장치의 제1안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참고로 제1와이어와 제2와이어를 이완시켜 각 구성부재를 펼쳐지게 도시한 것이다.
도 3a를 참조로 하면, 제1안내부(10)는 소정의 길이부를 가진 다수의 길이부재(11)와, 굴절가능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다수의 제1방향전환부재(12), 다수의 길이부재(11)를 일렬로 연결하는 제1와이어(13), 다수의 길이부재(11)와 함께 다수의 제1방향전환부재(12)를 일렬로 연결하는 제2와이어(14), 및 판 스프링(15)으로 이루어진다.
제1와이어(13)는 가늘고 긴 형상으로 되어 있고, 각각의 길이부재(11)에 형성된 관통구멍(111;도 4b 참조)을 지나 다수의 길이부재(11)를 일렬로 연결한다. 제1와이어(13)의 일측 단부는 제1와이어 헤드(131)를 구비하는 반면에 제1와이어의 타측 단부(도시되지 않음)는 클램프(clamp)에 부착된다.
제1와이어 헤드(131)는 길이부재(11)의 관통구멍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클램프를 수단으로 하여 제1와이어(13)에 인장력을 제공할 경우에, 제1와이어 헤드(131)가 관통구멍(111)으로 빠져나가지 않고 길이부재(11)에 걸쳐지게 되며 제1와이어(13)는 일렬로 연결된 다수의 길이부재(11)를 더욱 긴장시켜 다수의 길이부재(11)를 일직선 방향으로 하강할 수 있도록 돕는다.
제2와이어(14)는 가늘고 긴 형상으로 되어 있고, 각각의 길이부재(11)에 형성된 한쌍의 관통구멍(112;도 4b 참조)과 각각의 제1방향전환부재(12)에 형성된 한쌍의 관통구멍(122;도 4a 참조)을 지나 길이부재(11)와 제1방향전환부재(12)를 일렬로 연결한다. 상기 한쌍의 관통구멍(112)과 상기 한쌍의 관통구멍(122)은 동일한 이격거리로 천공되어 있다. 제2와이어(14)의 일측 단부는 제2와이어 헤드(141)를 구비하는 반면에 제2와이어의 타측 단부(도시되지 않음)는 클램프에 부착된다.
제2와이어 헤드(141)는 제1방향전환부재(12)의 관통구멍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클램프를 수단으로 하여 제2와이어(14)에 인장력을 제공할 경우에, 제2와이어(14)는 일렬로 연결된 다수의 제1방향전환부재(12)를 더욱 긴장시켜 다수의 제1방향전환부재(12)를 소정의 각도, 바람직하게는 90°로 굴절될 수 있게 돕는다.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제1안내부를 위에서 바라본 사시도로서, 도 3a와는 달리 제1와이어를 긴장시켜 길이부재(11)를 밀착상태로 유지되게 도시한 것이다.
다시 말하자면, 도 3b는 제2와이어(14;도 3a 참조)를 느슨한 상태로 되어 있어 다수의 제1방향전환부재(12)를 길이부재(11)의 길이방향으로 일직선으로 뻗도록 되어 있다.
제2와이어(14)가 클램프를 통해 인장력을 받게 되면, 도 5에 도시되었듯이 다수의 제1방향전환부재(12)가 더욱 밀착되면서 증기발생기의 중앙부를 향해 그리고 길이부재(11)의 길이방향과 수직되게 굴절될 수 있다.
도 3c는 도 3b에 도시된 제1안내부를 아래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 안내장치의 제1안내부(10)는 일련의 길이부재(11)와 일련의 제1방향전환부재(12)의 경계 부위에 판스프링(15)을 추가로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판스프링(15)은 클램프의 인장력이 해제되거나 제2와이어(14;도 3a 참조)를 느슨한 상태로 유지할 경우에 굴절상태로 만곡되어 있는 다수의 제1방향전환부재(12)를 판스프링의 복원력을 통해 신속하게 직선상태로 복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a는 본 발명의 제1안내부를 구성하는 제1방향전환부재의 사시도이다.
제1방향전환부재(12)는 U자형상의 단면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내부에는 제2안내부(20)의 제2방향전환부재(22)를 수용하고 활주이동할 수 있게 제1방향전환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양측면에 오목부(123)를 형성한다. 오목부(123)는 제2방향전환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양측면에 형성된 돌출부(223;도 7 참조)를 수용할 수 있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게 뻗어 있는 다수의 제1방향전환부재(12) 내부에 일직선으로 배열된 하나 이상의 오목부(123)는 제2방향전환부재의 돌출부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동시에 제1안내부(10)에서 제2안내부(20)의 활주이동을 제외한 불필요한 이탈을 방지하도록 한다.
이와 더불어서, 제1방향전환부재(12)는 길이방향으로 2개의 관통구멍(122)을 구비한다. 관통구멍(122)은 전술된 바와 같이 제2와이어(14)의 삽입경로를 제공할 것이다.
바람직하기로, 제1방향전환부재(12)의 측면은 등변사다리꼴형상 혹은 직각사다리꼴형상으로 형성되는바, 제2와이어를 매개로 하여 일직선으로 길게 일렬로 배열될 하나 이상의 제1방향전환부재(12)가 인장력으로 상호 밀착되면, 접촉된 등변사다리꼴형상의 등변 혹은 직각사다리꼴형상의 경사면을 통해 다수의 제1방향전환부재는 소정의 각도로 굴절될 수 있다.
제1방향전환부재(12)는 전술된 바와 같이 측면에서 바라볼 때 등변사다리꼴형상 혹은 직각사다리꼴형상으로 형성되되, 이는 제1방향전환부재(12)의 일 측단면 혹은 양 측단면을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여기서, "측단면"이라는 용어는 제1방향전환부재의 길이방향과 직각으로 형성된 양 측면을 의미하며, 일렬로 배열된 제1방향전환부재(12)들이 밀착될 때 직접 접촉하는 부분을 나타낸다.
도 4b는 본 발명의 제1안내부를 구성하는 길이부재의 사시도이다.
길이부재(11)는 U자형상의 단면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내부에는 제2안내부(20)의 제2방향전환부재(22;도 6 참조)를 수용하고 활주이동할 수 있게 길이부재(11)의 길이방향으로 양측면에 오목부(113)를 형성한다. 오목부(113)는 제1방향전환부재(12)의 오목부(123)와 동일하게 제2방향전환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양측면에 돌출부(223;도 6 참조)를 수용할 수 있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게 뻗어 있는 다수의 길이부재(11) 내부에 일직선으로 배열된 오목부(113)들은 제2방향전환부재의 돌출부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동시에 제1안내부(10)에서 제2안내부(20)의 활주이동을 제외한 불필요한 이탈을 방지하도록 한다.
이와 더불어서, 길이부재(11)는 길이방향으로 한쌍의 관통구멍(111)과 한쌍의 관통구멍(112)을 각각 구비한다. 한쌍의 관통구멍(111)은 전술된 바와 같이 제1와이어(13)의 삽입경로를 제공하는 반면에, 한쌍의 관통구멍(112)은 제2와이어(14)의 삽입경로를 제공할 것이다. 상기 한쌍의 관통구멍(111)은 상기 한쌍의 관통구멍(112)보다 큰 이격거리로 천공되어, 상기 한쌍의 관통구멍(111)을 통과하는 한쌍의 제1와이어(13)에 의해 다수의 길이부재(11)가 연결되고, 상기 한쌍의 관통구멍(111)의 내측으로 형성된 한쌍의 관통구멍(112)과 제1방향전환부재(12)에 형성된 한쌍의 관통구멍(122)을 통과하는 한쌍의 제2와이어(14)에 의해 다수의 길이부재(11)와 제1방향전환부재(12)가 연결된다.
바람직하기로, 길이부재(11)의 측면은 사각형상으로 형성되는바, 제1 및 제2와이어를 매개로 하여 일직선으로 길게 일렬로 배열될 하나 이상의 길이부재(11)가 인장력으로 상호 밀착되어도, 굽혀지지 않고 일직선으로 곧게 뻗을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 안내장치의 제1안내부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내시경 안내장치(1)는 제1와이어(13;도 3a 참조)와 제2와이어(14;도 3a 참조)를 매개로 하여 일렬로 배열된 다수의 길이부재(11)와 제2와이어(14)를 매개로 하여 일렬로 배열된 다수의 제1방향전환부재(12)로 구성된 제1안내부(10) 내부를 따라 활주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제2안내부(20)로 이루어진다. 제2안내부(20)는 제3와이어(미도시)를 매개로 하여 일렬로 배열된 다수의 제2방향전환부재(22)로 구성된다.
도면을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내시경 안내장치(1)는 작업자의 필요에 따라서 제2와이어(14)에 인장력을 제공하여 제1방향전환부재(12)를 90°로 굴절시켜, 수직하방으로 뻗어 있던 제1안내부의 말단부(예컨대 다수의 제1방향전환부재)를 특정방향, 다시 말하자면 증기발생기의 중앙부를 향해 경로 설정할 수 있다. 제2안내부(20)는 전반적으로 "ㄴ"자형상으로 설정된 제1안내부(10)를 따라 증기발생기의 중앙부까지 안내될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 안내장치의 제2안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제2안내부(20)는 굴절가능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다수의 제2방향전환부재(22)와 다수의 제2방향전환부재(22)를 일렬로 연결하는 제3와이어(23)로 이루어진다.
제3와이어(23)는 가늘고 긴 형상으로 되어 있고, 각각의 제2방향전환부재(22)에 형성된 관통구멍(221;도 7 참조)을 지나 다수의 제2방향전환부재(22)를 일렬로 연결한다. 제3와이어(23)의 일측 단부는 제3와이어 헤드(231)를 구비하는 반면에 제3와이어의 타측 단부(도시되지 않음)는 클램프에 부착된다.
제3와이어 헤드(231)는 제2방향전환부재(22)의 관통구멍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클램프를 수단으로 하여 제3와이어(23)에 인장력을 제공할 경우에, 제3와이어(23)는 일렬로 연결된 다수의 제2방향전환부재(22)를 더욱 긴장시켜 다수의 제2방향전환부재(22)를 일직선되게 고정하여 제1안내부(10) 내부에 길이연장된 오목부(123)를 따라 활주이동을 돕는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안내부를 구성하는 제2방향전환부재의 사시도이다.
제2방향전환부재(22)는 전반적으로 관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내부에는 내시경(30;도 2 참조)을 수용하는 중공부(222)와 제1안내부를 따라 활주이동할 수 있게 제2방향전환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양측면 하부에 돌출부(223)를 형성한다. 돌출부(223)는 길이부재(11)의 오목부(113)와 제1방향전환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양측면에 형성된 오목부(123) 내에 수용될 수 있다(도 2 참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를 수단으로 하여 상호연결된 길이부재(11)와 제1방향전환부재(12) 내부에 형성된 오목부(113,123)로 형성된 이동경로를 따라서 제2방향전환부재의 돌출부가 활주되게 하는 동시에 제1안내부(10)에서 제2안내부(20)의 활주이동을 제외한 다른 불필요한 이탈을 방지하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돌출부(223)의 이동을 자유롭게 보장하기 위해, 상기 오목부(112,123)의 크기가 상기 돌출부(223)보다 크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더불어서, 제2방향전환부재(22)는 길이방향으로 2개의 관통구멍(221)을 구비한다. 관통구멍(221)은 전술된 바와 같이 제3와이어(23)의 삽입경로를 제공할 것이다.
바람직하기로, 제2방향전환부재(22)의 상부 측면은 등변사다리꼴형상 혹은 직각사다리꼴형상으로 형성되는바, 제3와이어를 매개로 하여 일직선으로 길게 일렬로 배열될 하나 이상의 제2방향전환부재(22)가 제1안내부를 따라 안내(혹은 활주)되면, 제1방향전환부재(22)의 측단면 상부에 형성된 경사면(224)을 통해 제1안내부를 구성하는 다수의 제1방향전환부재의 굴절 정도에 따라서 만곡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제2방향전환부재(22)의 하부 측면은 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근접한 제2방향전환부재(22)와 밀착될 수 있게 편평한 접촉면(225)으로 되어 있다. 이 접촉면(225)은 제3와이어를 매개로 하여 제2방향전환부재(22)의 일직선으로 길게 일렬로 배열되도록 돕는다.
선택가능하기로, 관통구멍(221)은 접촉면(225)의 윗부분, 즉 경사면(224)과 근접한 부위에 형성되도록 하여, 와이어로 장력을 제공하여도 다수의 제2방향전환부재의 쳐짐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굴절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추가로, 제2방향전환부재(22)의 일측 측단면에는 홈(226)을 형성하는 한편 제2방향전환부재(22)의 타측 측단면에는 반원형상의 돌기(227)를 형성한다. 제2방향전환부재의 돌기(227)는 바로 전단에 놓여진 다른 제2방향전환부재의 홈(226) 내에 수용된다.
본 발명은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이 원자력 발전소의 증기발생기 내에 협소한 공간으로 카메라 또는 내시경의 접근을 용이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데, 증기발생기 이외에도 예컨대 맨홀(manhole)과 같은 다른 협소한 공간에서 작업자의 선택에 따라 충분히 적용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 기술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첨부도면으로 국한되지 않고 아래의 청구범위의 범주 내에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함을 밝혀둔다.
1 ----- 내시경 안내장치,
10 ----- 제1안내부,
11 ----- 길이부재,
12 ----- 제1방향전환부재,
13, 14, 23 ----- 와이어,
15 ----- 판 스프링,
20 ----- 제2안내부,
22 ----- 제2방향전환부재,
30 ----- 내시경.

Claims (9)

  1. 길이방향으로 한쌍의 관통구멍(111)과 한쌍의 관통구멍(112)을 각각 대칭되게 천공하고, 내측면의 길이방향으로 한쌍의 오목부(113)를 형성한 U자형상의 단면을 가진 다수의 길이부재(11)와,
    길이방향으로 한쌍의 관통구멍(122)을 대칭되게 천공하고, 내측면의 길이방향으로 한쌍의 오목부(123)를 형성하며, 측단면이 소정의 각도로 경사져 있는 U자형상의 단면을 가진 다수의 제1방향전환부재(12),
    상기 다수의 길이부재(11)의 관통구멍(111)을 가로질러 배열되도록, 제1와이어 헤드(131)를 일측 단부에 형성한 가늘고 긴 제1와이어(13),
    상기 다수의 길이부재(11)의 관통구멍(112)과 상기 다수의 제1방향전환부재(12)의 관통구멍(122)을 가로질러 배열되도록, 제2와이어 헤드(141)를 일측 단부에 형성한 가늘고 긴 제2와이어(14), 및
    상기 길이부재(11)와 제1방향전환부재(12)의 경계부위 하부면에 부착된 판 스프링(15)으로 구성된 제1안내부와;
    길이방향으로 중공부(222)를 구비하고 한쌍의 관통구멍(221)을 대칭되게 천공하고, 길이방향의 측면으로 한쌍의 돌출부(223)를 형성하며, 측단면 상부는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져 있는 경사면(224)과 측단면 하부는 편평한 접촉면(225)으로 된 관형상의 다수의 제2방향전환부재(22)와,
    상기 제2방향전환부재(22)의 관통구멍(221)을 가로질러 배열되도록, 제3와이어 헤드(231)를 형성한 가늘고 긴 제3와이어(23)로 구성된 제2안내부(20); 및
    상기 중공부(222)로 삽입되는 내시경(3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안내부(20)의 돌출부(223)가 상기 제1안내부(10)의 오목부(113,123)에 끼워 넣어져 길게 뻗어 있는 상기 일렬로 배열된 오목부(113,123)의 경로를 따라 활주되어 협소한 공간 내부로 상기 내시경(30)을 접근가능하게 하는, 원자력 발전소의 증기발생기 내부검사용 내시경 안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관통구멍(112)과 상기 한쌍의 관통구멍(122)은 동일한 이격거리로 천공되어 있는, 원자력 발전소의 증기발생기 내부검사용 내시경 안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관통구멍(111)은 상기 한쌍의 관통구멍(112) 보다 큰 이격거리로 천공되어 있는, 원자력 발전소의 증기발생기 내부검사용 내시경 안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향전환부재(12)의 측면은 등변사다리꼴형상 혹은 직각사다리꼴형상으로 형성되는, 원자력 발전소의 증기발생기 내부검사용 내시경 안내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방향전환부재(22)의 일측 측단면에는 홈(226)을 형성하는 한편 제2방향전환부재(22)의 타측 측단면에는 반원형상의 돌기(227)를 형성하고 있는, 원자력 발전소의 증기발생기 내부검사용 내시경 안내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홈(226)과 돌기(227)는 상기 경사면(224)과 근접한 상기 접촉면(225)에 구비되는, 원자력 발전소의 증기발생기 내부검사용 내시경 안내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안내부(10)의 제1방향전환부재(12)는 90°로 굴절가능하게 형성되는, 원자력 발전소의 증기발생기 내부검사용 내시경 안내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223) 이동을 자유롭게 보장하기 위해, 상기 오목부(113,123)의 크기가 상기 돌출부(223) 보다 크게 형성되는, 원자력 발전소의 증기발생기 내부검사용 내시경 안내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13,14,23)는 클램프를 통해 인장력이 제어되는, 원자력 발전소의 증기발생기 내부검사용 내시경 안내장치.


KR1020110019963A 2011-03-07 2011-03-07 원자력 발전소의 증기발생기 내부검사용 내시경 안내장치 KR1012032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9963A KR101203291B1 (ko) 2011-03-07 2011-03-07 원자력 발전소의 증기발생기 내부검사용 내시경 안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9963A KR101203291B1 (ko) 2011-03-07 2011-03-07 원자력 발전소의 증기발생기 내부검사용 내시경 안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1879A KR20120101879A (ko) 2012-09-17
KR101203291B1 true KR101203291B1 (ko) 2012-11-20

Family

ID=47110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9963A KR101203291B1 (ko) 2011-03-07 2011-03-07 원자력 발전소의 증기발생기 내부검사용 내시경 안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329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1843B1 (ko) * 2013-10-22 2015-03-12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원자력 발전소 증기발생기 내부 검사용 내시경 가이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6961B1 (ko) * 2017-03-22 2018-08-10 (주)대신피엔에스 상,하수관내 내시경을 이용한 연결관의 검사장치
KR102248505B1 (ko) * 2020-05-29 2021-05-06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이송 가능한 가요성의 구조를 가지는 내시경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검사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1480B1 (ko) 2006-08-28 2008-03-10 김만수 원자력 발전소 증기발생기 전열관검사 이송장치
KR100855117B1 (ko) 2006-12-07 2008-08-28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원자력발전용 증기발생기의 전열관 표면 검사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1480B1 (ko) 2006-08-28 2008-03-10 김만수 원자력 발전소 증기발생기 전열관검사 이송장치
KR100855117B1 (ko) 2006-12-07 2008-08-28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원자력발전용 증기발생기의 전열관 표면 검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1843B1 (ko) * 2013-10-22 2015-03-12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원자력 발전소 증기발생기 내부 검사용 내시경 가이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1879A (ko) 2012-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57298B2 (ja) 蒸気発生チューブを遠隔検査する装置
KR101203291B1 (ko) 원자력 발전소의 증기발생기 내부검사용 내시경 안내장치
KR101700070B1 (ko) 내시경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원격 검사장치
US5091141A (en) Device for inserting and positioning a tool inside a heat exchanger and use of this device
KR100811480B1 (ko) 원자력 발전소 증기발생기 전열관검사 이송장치
ES2600859T3 (es) Procedimiento de detección de la existencia de una pieza suelta en un generador de vapor de una central nuclear
KR101721938B1 (ko) 증기 발생기의 용접부 검사 장치
KR100936256B1 (ko) 원자력발전소 증기발생기 유량분배판 고정볼트의 육안검사장치
KR101291881B1 (ko) 인장 시험용 지그
ATE468588T1 (de) Kernbrennstabbündel mit einer für dessen versteifung bestimmten innenvorrichtung
CN211348662U (zh) 蒸汽发生器检查装置
KR101937626B1 (ko) 증기발생기 상부다발 이물질 처리장치
KR100855117B1 (ko) 원자력발전용 증기발생기의 전열관 표면 검사장치
KR20110001768A (ko) 증기 발생기용 유량 분배판의 체결 볼트 육안 검사 장치
KR100977274B1 (ko) 증기 발생기 육안 검사 장치
KR20090031155A (ko) 증기 발생기용 유량 분배판의 고정 볼트 검사 장치
JP2008281389A (ja) 光ファイバ信頼性評価方法及び評価用治具
EP1462787A1 (de) Einrichtung zum Inspizieren eines Rohrabzweigs
US20130299670A1 (en) Tubesheet gripping mechanism and method
ES2356203B1 (es) Sistema y procedimiento para desplegar un enlace de fibra óptica a través de la red saneamiento urbano.
RU2153709C2 (ru) Парогенератор для интегральных ядерных реакторов
JPH04256896A (ja) 燃料集合体内観察装置
KR101051321B1 (ko) 라인광 조사장치
RU139831U1 (ru) Манипулятор контроля герметичности оболочек тепловыделяющих элементов
WO1994004869A1 (de) Manipulator zur inspektion schwer zugänglicher stellen eines dampferzeug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