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4804A - 의료폐기물 밀폐 배출장치 - Google Patents

의료폐기물 밀폐 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4804A
KR20210014804A KR1020190092433A KR20190092433A KR20210014804A KR 20210014804 A KR20210014804 A KR 20210014804A KR 1020190092433 A KR1020190092433 A KR 1020190092433A KR 20190092433 A KR20190092433 A KR 20190092433A KR 20210014804 A KR20210014804 A KR 202100148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cal waste
fusion
film
unit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24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35619B1 (ko
Inventor
채승석
Original Assignee
채승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채승석 filed Critical 채승석
Priority to KR10201900924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5619B1/ko
Priority to CN201911276187.7A priority patent/CN112298645A/zh
Publication of KR202100148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48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56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56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26Housings, cabinets or enclosures for refuse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1/00Wrapping, e.g. partially or wholly enclosing,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in strips, sheets or blanks, of flexible material
    • B65B11/06Wrapping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by conveying wrapper and contents in common defined paths
    • B65B11/08Wrapping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by conveying wrapper and contents in common defined paths in a single straight pa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1/00Supplying or feeding container-forming sheets or wrapping material
    • B65B41/12Feeding webs from rolls
    • B65B41/16Feeding webs from rolls by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1/00Devices for, or methods of, sealing or securing package folds or closures; Devices for gathering or twisting wrappers, or necks of bags
    • B65B51/10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 B65B51/14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by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65B57/02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binding or wrapp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57/04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binding or wrapp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and operating to control, or to stop, the feed of such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1/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61/04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severing webs, or for separating joined packages
    • B65B61/06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severing webs, or for separating joined packages by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1/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61/04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severing webs, or for separating joined packages
    • B65B61/06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severing webs, or for separating joined packages by cutting
    • B65B61/1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severing webs, or for separating joined packages by cutting using heated wires or cut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9/00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e.g. liquids or semiliquids, in flat, folded, or tubula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Subdividing filled flexible tubes to form packages
    • B65B9/02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between opposed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6Lid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2001/1653Constructional features of lid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02Absorbing means
    • B65F2210/1026Absorbing means for smelling substa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26Cut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67Sea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68Sens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40/00Types of refuse collected
    • B65F2240/132Diap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료폐기물 밀폐 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는, 의료폐기물 처리공간을 제공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상측에 설치되며 투입되는 의료폐기물을 통과시키면서 의료폐기물의 크기를 감지하는 도어부와; 상기 의료폐기물을 감싸 밀폐하기 위한 필름을 공급하는 필름공급부와; 상기 도어부의 감지내용을 기초로 의료폐기물의 크기를 계산하여 상기 필름공급부를 통한 필름 공급 길이를 결정하는 제어부와; 상기 필름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필름을 유도하여 겹친 후 하부로 내려 보냄과 동시에, 상기 도어부를 통해 투입된 의료폐기물을 그 사이로 통과시키며 필름 사이에서 압축시키는 한 쌍의 피딩롤러와; 상기 피딩롤러를 구동하는 롤러구동부와; 상기 피딩롤러의 하부에 위치하며 의료폐기물을 그 사이에 갖는 필름의 주변부를 열융착하는 융착부와; 상기 융착부의 융착 완료 후 필름을 절단하여, 밀폐된 상태의 의료폐기물을 하부로 낙하시키는 절단부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의료폐기물 밀폐 배출장치는, 실링효과가 뛰어나 악취를 완벽히 차단함은 물론 2차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투입되는 폐기물의 크기를 센싱하여 폐기물의 크기에 맞는 길이의 필름을 제공하므로 필름의 과다소모가 없다.

Description

의료폐기물 밀폐 배출장치{Medical waste sealing and discharging device}
본 발명은 병원이나 요양원 등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의료폐기물을 밀봉 후 배출하는 의료폐기물 밀폐 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의료폐기물의 사이즈를 파악하고 사이즈에 맞는 적절한 넓이의 밀폐필름을 공급하여 완벽한 실링을 구현할 수 있는 의료폐기물 밀폐 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 병원은 물론 보건소나 노인 요양시설 등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의료폐기물이 발생한다. 이러한 의료폐기물에는, 가령, 일회용 주사기, 거즈, 붕대, 기저귀, 인체 적출물, 분비물 등이 포함되며, 모두 다 병원균을 가져 감염을 유발할 위험이 있으므로, 철저한 폐기물 관리를 통해 2차, 3차 감염을 방지하고 악취를 차단하여야 한다. 보통, 의료용 폐기물은 전문 처리업체가 수거하여 소각이나 화학처리 또는 매립 등의 방법으로 처리한다.
한편, 근래 노인인구의 증가에 따라 요양시설이 늘어나고 그에 비례하여 의료폐기물 배출량도 증가하고 있다. 그런데 폐기물 처리업체의 처리 능력에는 한계가 있는 것이고, 또한 요양시설의 입장으로는 처리에 비용이 소요되기 때문에, 의료폐기물을 일반폐기물과 함께 몰래 버리거나 노출된 곳에 방치하기도 한다.
노인 요양시설의 경우, 거동을 할 수 없거나 치매를 앓고 있는 환자 들이 많으므로 특히 기저귀의 사용량이 많다. 기저귀는 환자의 대소변을 받아내는 것이니 만큼 악취가 심하므로 완벽히 처리하지 않으면 주변 환경을 크게 훼손하고 사람들에게 불쾌감을 주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구더기 등의 벌레를 발생시킨다는 문제를 야기한다.
사용된 기저귀를 대충 말은 후 벌어지지만 않도록 오므린 상태로 버리는 것이 아니라, 전용 처리 장치를 이용해 보다 위생적으로 처리해야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775523호와 같은 다양한 방식의 의료용 폐기물 처리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런데 종래 의료폐기물 처리장치는, 폐기물의 밀폐가 완벽하지 않아, 악취를 발생하며 폐기물이 외부로 새어나올 수도 있다는 단점을 갖는다. 더욱이 부패가 진행되어 내부 압력 상승에 의해 팽창할 경우 필름의 일부가 터져 밀폐기능을 완전히 상실하게 된다.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72667호 (의료용 감염성 폐기물 수거함)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775523호 (냄새 제거 기능을 갖는 대소변 기저귀 포장장치)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출한 것으로서, 실링효과가 뛰어나 악취를 완벽히 차단함은 물론 2차 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폐기물의 크기에 맞는 길이의 필름을 제공하므로 필름의 과다소모가 없는 의료폐기물 밀폐 배출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과제의 해결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의 의료폐기물 밀폐 배출장치는, 의료폐기물 처리공간을 제공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상측에 설치되며 투입되는 의료폐기물을 통과시키면서 의료폐기물의 크기를 감지하는 도어부와; 상기 의료폐기물을 감싸 밀폐하기 위한 필름을 공급하는 필름공급부와; 상기 도어부의 감지내용을 기초로 의료폐기물의 크기를 계산하여 상기 필름공급부를 통한 필름 공급 길이를 결정하는 제어부와; 상기 필름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필름을 유도하여 겹친 후 하부로 내려 보냄과 동시에, 상기 도어부를 통해 투입된 의료폐기물을 그 사이로 통과시키며 필름 사이에서 압축시키는 한 쌍의 피딩롤러와; 상기 피딩롤러를 구동하는 롤러구동부와; 상기 피딩롤러의 하부에 위치하며 의료폐기물을 그 사이에 갖는 필름의 주변부를 열융착하는 융착부와; 상기 융착부의 융착 완료 후 필름을 절단하여, 밀폐된 상태의 의료폐기물을 하부로 낙하시키는 절단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도어부는; 토션스프링에 의해 상향 지지되어 상시 닫힘 상태를 유지하고, 의료폐기물의 투입 시 의료폐기물의 무게에 눌려 하부로 회전하여 개방되는 한 쌍의 차단플랩과, 상기 차단플랩의 최대 회전각도를 감지하는 각도감지센서와, 상기 차단플랩을 통과하는 동안의 의료폐기물의 하단부와 상단부의 길이를 감지하는 높이감지센서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피딩롤러는; 상호 평행하게 이격된 한 쌍의 코어샤프트와, 일정 외경을 가지며 상기 코어샤프트를 감싸고, 의료폐기물을 그 사이로 통과시킬 때 탄성 변형되는 스폰지롤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코어샤프트의 중앙부에는, 양단부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가져 스폰지롤의 탄성 변형을 유도하는 홈부가 마련된다.
아울러, 상기 융착부는; 직립된 상태로 상호 대응 배치되며 액츄에이터에 의해 상호 진퇴 가능한 푸셔와, 상기 각 푸셔에 대해 스프링을 통해 탄력 지지되며 푸셔와의 간격 조절이 가능하고 겹쳐진 상태의 필름을 가열 융착 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필름의 폭에 대응하는 간격을 가지며 수직을 이루는 한 쌍의 세로융착바, 상기 세로융착바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가로융착바를 구비한 한 쌍의 융착프레임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절단부는, 양측 가로융착바 중 일측 가로융착바에 설치되고, 양측 융착바가 필름을 사이에 두고 밀착하여 필름을 융착한 상태에서 타측 가로융착바를 향해 이동하며 필름을 절단하는 블레이드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일측 가로융착바에는, 수평을 이루며 상기 블레이드를 수용하는 블레이드통로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 가로융착바에는, 상기 블레이드통로로부터 빠져나와 필름을 절단한 블레이드의 날부를 수용하는 블레이드홈이 형성되며, 상기 절단부는, 상기 푸셔에 고정된 상태로 블레이드를 수평으로 지지하는 홀더를 더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양측 가로융착바의 융착면에는 상호 밀착 가능한 융착톱니면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블레이드와 블레이드홈은, 가로융착바에 의해 융착된 융착면의 중앙부위를 커팅할 수 있도록, 가로융착바의 높이방향 중앙부에 위치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는 처리공간 내부의 공기를 탈취하는 탈취필터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피딩롤러의 하부에는, 융착 및 커팅과정을 통해 밀폐가 완료된 결과물을 받아 임시 저장하며, 필요시 케이스 외부로 인출 가능한 수거통이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는, 상기 도어부를 커버하는 커버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의료폐기물 밀폐 배출장치는, 실링효과가 뛰어나 악취를 완벽히 차단함은 물론 2차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투입되는 폐기물의 크기를 센싱하여 폐기물의 크기에 맞는 길이의 필름을 제공하므로 필름의 과다소모가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폐기물 밀폐 배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의료폐기물 밀폐 배출장치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4a 및 4b는 도 3에 도시한 피딩롤러의 세부 구조와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한 융착부를 별도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a,6b,6c는 도 5에 도시한 절단부의 작동 원리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10은 도 2에 도시한 융착부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의료폐기물 밀폐 배출장치는, 의료폐기물을 두 장의 비닐 필름 사이에 위치시킨 상태로 필름의 테두리부를 가열 융착하는 구성을 갖는다. 특히 투입되는 폐기물의 크기를 계산하여 폐기물의 크기에 맞는 길이의 필름을 사용하므로 필름의 과다소모가 없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의료폐기물 밀폐 배출장치의 기본 구조는, 의료폐기물 처리공간을 제공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상측에 설치되며 투입되는 의료폐기물을 통과시키면서 의료폐기물의 크기를 감지하는 도어부와; 상기 의료폐기물을 감싸 밀폐하기 위한 필름을 공급하는 필름공급부와; 상기 도어부의 감지내용을 기초로 의료폐기물의 크기를 계산하여 상기 필름공급부를 통한 필름 공급 길이를 결정하는 제어부와; 상기 필름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필름을 유도하여 겹친 후 하부로 내려 보냄과 동시에, 상기 도어부를 통해 투입된 의료폐기물을 그 사이로 통과시키며 필름 사이에서 압축시키는 한 쌍의 피딩롤러와; 상기 피딩롤러를 구동하는 롤러구동부와; 상기 피딩롤러의 하부에 위치하며 의료폐기물을 그 사이에 갖는 필름의 주변부를 열융착하는 융착부와; 상기 융착부의 융착 완료 후 필름을 절단하여, 밀폐된 상태의 의료폐기물을 하부로 낙하시키는 절단부로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폐기물 밀폐 배출장치(10)의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밀폐 배출장치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밀폐 배출장치(10)는, 케이스(11), 도어부(20), 필름공급부, 제어부(16), 한 쌍의 피딩롤러(33), 롤러구동부, 융착부(40), 절단부(42), 수거통(17)을 구비한다.
케이스(11)는 의료폐기물(A)의 밀폐가 이루어지는 처리공간(11d)을 제공하는 박스의 형태를 취하며 상부와 측부로 개방된다. 케이스(11)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측부개방구(11c)는 수거통(17)을 장착하거나 인출하기 위한 통로이다.
수거통(17)은 후술할 피딩롤러(33)의 하부에 배치되며 밀폐처리가 완료된 의료 폐기물을 임시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즉, 뒤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융착 및 커팅과정을 통해 밀폐가 완료된 결과물을 받아 수용하며 필요시 케이스(11) 외부로 인출되는 빈 통이다. 수거통(17)에 의료폐기물이 어느 정도 쌓이면 관리자가 수거통(17)을 빼내어 비운 후 다시 장착한다.
또한 케이스(11)의 상측 개방구(도면부호 없음)에는 도어부(20)가 장착된다. 도어부(20)는, 투입구(13)를 통해 투입되는 의료폐기물을 하부로 통과시킴과 아울러 통과하는 의료폐기물의 크기를 감지하는 역할을 겸한다.
이러한 도어부(20)는, 지지축(22)에 지지되며 상하로 회전 가능한 한 쌍의 차단플랩(21), 각 차단플랩(21)을 상향 탄력 지지하는 토션스프링(23), 차단플랩(21)의 최대 회전각도를 감지하는 각도감지센서(24), 높이감지센서(25)를 구비한다.
차단플랩(21)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완전히 닫힌 상태로 하부로 경사진 형태를 취한다. 또한 양측 차단플랩(21)의 자유단부에는 상호 끼움 결합하는 돌출부(21a)와 홈부(21b)가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21a)는 홈부(21b)에 끼워져 내부의 악취가 상부로 누설되는 것을 차단한다.
또한, 일측 차단플랩(21)이 타측 차단플랩(21)과 만나지 않더라도, 토션스프링(23)의 작용에 의해 상부로 회전하지 못하도록 적절한 지점에 차단플랩 스토퍼(미도시)를 적용할 수 있다. 토션스프링(23)은 지지축(22)을 화살표 b방향으로 탄력 지지하여 차단플랩(21)이 항상 닫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각도감지센서(24)는 양측 차단플랩(21)의 하향 회전 각도를 측정하는 역할을 한다. 하향 회전 각도를 측정하는 이유는, 차단플랩(21)의 화살표 a방향 개방시 차단플랩(21) 자유단부의 벌어짐 거리(w)를 알기 위한 것이다. 차단플랩(21)의 각도변화를 통한 벌어짐 거리(w)의 측정은, 삼각함수의 원리에 기초하여 제어부(16)에 의해 계산된다.
양측 차단플랩(21)을 화살표 a방향으로 벌리며 하부로 내려가는 의료폐기물(A)의 두께가, 각도감지센서(24) 및 제어부(16)에 의해 파악될 수 있는 것은, 의료폐기물(A)이 차단플렙(21)의 자유단부를 스쳐 지나가기 때문이다.
또한 높이감지센서(25)는, 투입구(13)를 통해 투입되는 의료폐기물(A)의 수직방향 최대 길이, 의료폐기물의 하단부와 상단부 사이의 길이를 파악하는 역할을 한다. 소정 경로를 지나가는 대상물의 길이를 파악하는 기술은 일반적인 것이다.
결국, 본 실시예의 밀폐 배출장치(10)는, 투입구(13)를 거쳐 도어부(20)를 통과하는 의료폐기물(A)의 수직방향 길이와 두께가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필름공급부로 하여금, 해당 의료폐기물의 사이즈에 맞는 정도의 필름을 공급하게 한다.
상기 투입구(13)의 상부에는 커버(12)가 설치된다. 커버(12)는 케이스(11)에 대해 힌지부(12a)로 연결되며 상하 회전운동하며 투입구(13) 및 차단플랩(21)을 커버한다. 커버(12)에 의해 처리공간(11d)이 이중으로 밀폐되어 악취가 상부로 새어나오지 않는다.
또한 상기 투입구(13)의 양측에는 디스플레이부(14)와 제어패널(15)이 배치되어 있다. 디스플레이부(14)는 현재 밀폐 배출장치(10)의 사용과 관련된 전반적인 정보를 나타내는 터치패널이다. 가령, 케이스(11) 내부의 온도나 습도 또는 수거통(17) 내부의 수거량 등을 나타내는 것이다. 제어패널(15)은 제어부(16)와 접속되며 밀폐 배출장치(10)의 운전에 필요한 사항을 입력하는 입력부이다.
아울러 케이스(11)의 하부에는 다수의 바퀴(11a)가 설치되어 있다. 바퀴(11a)가 적용되어 있으므로 밀폐 배출장치(10)의 이동이 편리하다. 도면부호 11b 는 밀폐 배출장치(10)의 운반 시 사용하는 손잡이이다.
한편, 상기 차단플랩(21)의 하측부에는 한 쌍의 피딩롤러(33)가 설치되어 있고, 각 피딩롤러(33)의 측부에는 필름공급부로서의 권취롤(35)이 평행하게 위치한다. 권취롤(35)은 의료폐기물(A)을 밀폐하기 위한 비닐 필름이 감겨 있는 롤로서, 상기 제어부(16)에 의해 회전하여 필름(36)을 필요한 길이만큼씩 풀어 공급한다. 각 권취롤(35)에 감겨 있는 필름은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융착 가능한 비닐 필름이다.
피딩롤러(33)는 두 개가 하나의 쌍을 이루며, 양측의 권취롤(35)로부터 공급되는 필름(36)을 유도하여 그 사이에서 겹친 후 하부로 내려 보낸다. 두 장의 필름(36)이 피딩롤러(33)를 통과하며 겹쳐진 상태로 융착부(40)로 보내지는 것이다. 아울러 피딩롤러(33)는 차단플랩(21)을 통해 하부로 내려온 의료폐기물을 그 사이로 통과시키며 필름 사이에서 압축시키는 역할을 겸한다.
결국, 투입된 의료폐기물(A)은 도어부(20)에 의해 그 크기가 읽힌 후, 피딩롤러(33)의 사이에서 필름(36)에 쌓인 상태로 어느 정도 압축된 후 융착부(40)로 내려가 밀폐된다.
도 4a 및 4b는 도 3에 도시한 피딩롤러(33)의 세부 구조와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b는 피딩롤러(33) 사이에 의료폐기물(A)이 통과하는 모습을 도시한 모습니다.
도시한 바와 같이, 피딩롤러(33)는, 상호 평행하게 이격된 한 쌍의 코어샤프트(33a)와, 코어샤프트(33a)를 감싸는 스폰지롤(33d)로 구성된다.
코어샤프트(33a)의 양단부는 케이스(11) 내부의 베어링(미도시)에 축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일단부에는 종동기어(34)를 구비한다. 종동기어(34)는 상호 치합하며 롤러구동부로부터 인가된 회전력을 받아 도 2의 화살표 d방향으로 회전한다.
또한 코어샤프트(33a)의 중앙부에는 홈부(33b)가 형성되어 있다. 홈부(33b)는 코어샤프트의 양단부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가지는 부분으로서, 스폰지롤(33d)의 보다 충분한 탄성 변형을 유도한다.
스폰지롤(33d)은 일정 외경을 가지며 코어샤프트(33a)를 감싸는 탄성부재로서 외력에 의해 탄성 변형된다. 즉, 의료폐기물(A)이 피딩롤러(33) 사이를 통과할 때,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 변형되는 것이다. 피딩롤러(33)는, 의료폐기물이 완전히 통과한 후에 처음의 형상으로 복원된다.
피딩롤러(33)에 스폰지롤(33d)을 적용한 이유는, 의료폐기물(A)을 어느 정도 압축함과 동시에, 의료폐기물(A)을 커버하고 있는 비닐 필름(36)의 폭방향 양단부를 화살표 e방향으로 밀착시키기 위함이다. 만약, 피딩롤러(33)가 금속으로 제작되었다면, 의료폐기물이 개재된 상태에서 필름(36)의 폭방향 양단부를 밀착시킬 수 없을 것이다.
상기 롤러구동부는, 모터(31)와 모터의 구동축에 고정되는 구동기어(32)를 포함한다. 구동기어(32)는 일측 종동기어(34)에 치합하며, 의료폐기물이 투입될 때마다, 종동기어(34)를 화살표 d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피딩롤러(33)의 회전각도는 제어부(16)에 의해 조절된다. 제어부(16)는 도어부(20)를 통해 투입되는 의료폐기물(A)의 크기를 파악하고 있으므로, 피딩롤러(33)의 화살표 d방향 회전각도를 조절하여 필름(36)을 필요한 만큼만, 즉, 최적 길이만큼만 이송시키게 한다. 필름(36)의 최적 면적은, 필름(36)이 의료폐기물(A)을 커버한 상태에서, 4변의 마진이 2cm 내지 4cm 정도가 될 정도의 면적이다.
도면부호 11f는 탈취필터이다. 탈취필터(11f)는 처리공간(11d) 내부의 공기를 정화처리 하는 역할을 한다. 탈취필터(11f)에 의해 탈취된 공기는 케이스(11)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상기 융착부(40)는, 피딩롤러(33)의 하부에 위치하며, 의료폐기물(A)과 함께 내려온 필름(36)의 테두리부를 열융착하는 역할을 한다. 즉, 필름(36)의 폭방향 양단부와 상단부를 열융착 방식으로 접합하는 것이다.
이 때, 필름의 하단부는 융착할 필요가 없다. 그 이유는, 먼저 번 처리했던 의료폐기물의 밀폐 시 열융착한 상단부의 일부가, (피딩롤러(33)의 화살표 d방향 회전에 따라 하부로 내려가) 새로 처리하는 의료폐기물을 감싸는 필름의 하단에 위치하기 때문이다. 이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도 5는 도 2에 도시한 융착부(40)를 별도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a,6b,6c는 도 5에 도시한 절단부(42)의 작동 원리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또한, 도 7 내지 도 10은 도 2에 도시한 융착부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융착부(40)는, 직립된 상태로 상호 이격 배치된 한 쌍의 푸셔(41), 각 푸셔(41)의 내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융착프레임(43)을 구비한다.
상기 두 개의 푸셔(41)는 동일한 구조를 가지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츄에이터(46)에 의해 화살표 g방향이나 그 반대방향으로 직선운동 한다. 필름을 열 융착하기 위해 화살표 g방향으로 이동함은 물론이다.
각 푸셔(41)는 수평의 가로빔(41a), 가로빔(41a) 양단에 수직을 이루는 세로빔(41b)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일측 세로빔(41b)의 측부에는 슬라이더(41k)가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더(41k)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11)의 내벽면에 수평으로 형성되어 있는 도브테일홈(11k)에 끼워져 지지된 상태로 수평방향 슬라이딩 운동한다. 푸셔(41)의 일부가 케이스의 내벽면에 지지되는 것이다.
또한 반대편 세로빔(41b)에는 액츄에이터(46)의 피스톤로드(46b)를 세로빔(41b)에 고정시키는 로드고정부(41f)가 구비된다. 액츄에이터(46)의 작동에 의해 양측 푸셔(41)의 수평방향 왕복운동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로드고정부(41f)의 상하부에는 지지블록(41g)이 구비된다. 지지블록(41g)은 수평의 얼라인유지빔(45)을 통과시키며 양측 푸셔(41)의 수직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융착프레임(43)은 푸셔(41)과 마찬가지의 구조를 갖는다. 즉, 융착프레임(43)은 수평의 가로융착바(43a), 가로융착바(43a) 양단부에 고정된 세로융착바(43k)를 갖는다. 한 쌍의 융착프레임(43)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필름(36)을 사이에 둔 상태로 상호 밀착하여 필름을 가열 융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융착프레임(43)의 내부에는 외부로부터 전력을 인가받아 발열하는 발열수단(미도시)이 내장된다.
특히 양측 가로융착바(43a)의 전면에는 융착톱니면(43c)이 형성되어 있다. 융착톱니면(43c)은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필름(36)을 사이에 두고 상호 밀착하여, 두 겹의 필름을 보다 강력하게 융착시킨다.
아울러 융착프레임(43)의 상단부 양측과 하단부에는 스프링유지바(43d)가 고정된다. 스프링유지바(43d)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환봉형 부재로서 융착프레임(43)에 고정된 상태로 푸셔(41)를 통과한다. 또한 각 스프링유지바(43d)에는 스프링(44)이 채워진다. 각 푸셔(41)와 융착프레임(43)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융착프레임(43)은 푸셔(41)를 화살표 g방향으로 가압할 때 푸셔(41)의 가압력을 스프링(44)을 통해 전달받는다. 스프링(44)의 작용에 의해 융착프레임(43)이 필름(36)을 탄력적으로 가압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6a 및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측 가로융착바(43a)에는 블레이드통로(43e)가 형성되어 있고, 반대편 가로융착바(43a)에는 블레이드홈(43b)이 형성되어 있다.
블레이드통로(43e)는 후술할 블레이드(42b)를 도 6b의 화살표 k방향으로 통과시키는 통로이다. 또한 블레이드홈(43b)은 블레이드통로(43e)와 대응하는 홈으로서 블레이드(42b)의 날부(42c)를 수용한다.
특히, 블레이드통로(43e)는 가로융착바(43a)의 높이방향 중앙부에 위치하고, 블레이드홈(43b)도 가로융착바(43a)의 높이방향 중앙부에 위치한다. 따라서 가로융착바(43a)의 사이에서 융착되는 융착영역의 중앙부가 블레이드(42b)에 의해 절단되어 상하로 나뉜다.
블레이드에 의해 절단된 융착부 중, 하부에 위치한 융착부는, 현재 의료폐기물(A)을 담고 있는 필름의 상단부가 되며, 상부에 위치한 융착부는 추후 투입된 의료폐기물(A)을 밀폐한 필름의 하단부가 된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밀폐 처리가 완료된 의료폐기물이 커팅되어 낙하한 후에, 필름(36)의 하단부에 선융착면(36a)가 남아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절단부(42)는, 융착부(40)의 융착 완료 후 필름을 절단하여, 밀폐된 상태의 의료폐기물을 하부로 낙하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절단부는, 일측 가로빔(41a)에 고정되며 수평으로 연장된 홀더(42a), 홀더(42a)의 단부에 고정되며 블레이드통로(43e)에 수용 지지되는 블레이드(42b)로 이루어진다. 블레이드(42b)의 선단부에는 필름(36)을 절단하기 위한 날부(42c)가 형성되어 있다.
블레이드(42b)는 필름(36)을 사이에 두고 융착프레임(43)이 상호 밀착하고 있는 상태에서, 푸셔(41)를 화살표 g방향으로 더욱 이동시킴에 따라, 블레이드통로(43e)로부터 화살표 k방향으로 이동하며,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필름(36)을 관통한 후 블레이드홈(43b)으로 삽입된다. 그동안 필름(36)이 상하로 절단됨은 물론니다.
특히 상기한 바와 같이, 양측 가로융착바(43a)의 전면에 융착톱니면(43c)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융착톱니면(43c)에 물려 있는 필름(36)이 날부(42c)에 대해 소정 각도(θ)만큼 기울어져 있으므로, 블레이드(42b)의 단순한 직선운동에도 필름(36)의 절단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한편,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처리공간(11d)의 하부에는 배터리(18)가 설치된다. 배터리는 충전형 전원으로서, 밀폐 배출장치(10)를 일반 AC전기시설이 없는 장소에서 사용할 때 가동한다.
상기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의 밀폐 배출장치(10)의 작동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먼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융착프레임(43)이 최대한 벌어진 상태에서 투입구(13)를 통해 의료폐기물을 투입한다. 투입된 의료폐기물(A)이 차단플렙(21)을 화살표 a방향으로 재끼면서 하강하면, 도어부(20) 및 제어부(16)가 의료폐기물의 사이즈를 계산하여 필요한 만큼의 필름(36)을 공급하기 시작한다. 이 때 피딩롤러(33)가 화살표 d방향으로 회전함은 위에 설명한 바와 같다.
이와 동시에 차단플랩(21)을 완전히 통과한 의료폐기물은, 하단부가 막혀 있으며 양측부는 개방되어 있는, 필름(36)의 사이로 삽입된 상태로 하강하여,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융착프레임(43)의 사이에 위치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액츄에이터(46)를 통해 푸셔(41)를 화살표 g방향으로 이동시켜 융착프레임(43)의 가로융착바(43a)와 세로융착바(43k)가, 두 겹의 필름(36)의 양면을 가압 가열하게 한다. 이 때 선융착면(36a)는 세로융착바(43k)의 사이에 포함되어 있어야 함은 물론이다.
상기 열융착이 완료됨과 동시에 푸셔(41)를 화살표 g방향으로 더욱 이동시킨다. 푸셔(41)를 더욱 이송시킴에 따라 블레이드(42b)가 필름(36)을 절단한 후 블레이드홈(43b)에 삽입된다. 가로융착바(43a)에 물려 융착된 융착면이, 블레이드 상부의 선융착면(36a)와 후융착면(36b)로 나뉜 것이다. 선융착면(36a)는 추후 투입될 의료폐기물을 감싸는 두 장의 필름 하단의 융착된 부분이다.
상기 커팅이 완료된 후, 푸셔(41)를 화살표 g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격시키면, 융착프레임(43)의 사이에서 밀폐가 완료된 결과물(Z)이 하부로 떨어져 수거통(17)에 담긴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0:밀폐배출장치 11:케이스 11a:바퀴
11b:손잡이 11c:측부개방구 11d:처리공간
11f:탈취필터 11k:도브테일홈 12:커버
12a:힌지부 13:투입구 14:디스플레이부
15:제어패널 16:제어부 17:수거통
18:배터리 20:도어부 21:차단플랩
21a:돌출부 21b:홈부 22:지지축
23:토션스프링 24:각도감지센서 25:높이감지센서
31:모터 32:구동기어 33:피딩롤러
33a:코어샤프트 33b:홈부 33d:스폰지롤
34:종동기어 35:권취롤 36:필름
36a:선융착면 36b:후융착면 40:융착부
41:푸셔 41a:가로빔 41b:세로빔
41f:로드고정부 41g:지지블록 41k:슬라이더
42:절단부 42a:홀더 42b:블레이드
42c:날부 43:융착프레임 43a:가로융착바
43b:블레이드홈 43c:융착톱니면 43d:스프링유지바
43e:블레이드통로 43k:세로융착바 44:스프링
45:얼라인유지빔 46:액츄에이터 46b:피스톤로드

Claims (11)

  1. 의료폐기물 처리공간을 제공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상측에 설치되며 투입되는 의료폐기물을 통과시키면서 의료폐기물의 크기를 감지하는 도어부와;
    상기 의료폐기물을 감싸 밀폐하기 위한 필름을 공급하는 필름공급부와;
    상기 도어부의 감지내용을 기초로 의료폐기물의 크기를 계산하여 상기 필름공급부를 통한 필름 공급 길이를 결정하는 제어부와;
    상기 필름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필름을 유도하여 겹친 후 하부로 내려 보냄과 동시에, 상기 도어부를 통해 투입된 의료폐기물을 그 사이로 통과시키며 필름 사이에서 압축시키는 한 쌍의 피딩롤러와;
    상기 피딩롤러를 구동하는 롤러구동부와;
    상기 피딩롤러의 하부에 위치하며 의료폐기물을 그 사이에 갖는 필름의 주변부를 열융착하는 융착부와;
    상기 융착부의 융착 완료 후 필름을 절단하여, 밀폐된 상태의 의료폐기물을 하부로 낙하시키는 절단부를 포함하는 의료폐기물 밀폐 배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부는;
    토션스프링에 의해 상향 지지되어 상시 닫힘 상태를 유지하고, 의료폐기물의 투입 시 의료폐기물의 무게에 눌려 하부로 회전하여 개방되는 한 쌍의 차단플랩과,
    상기 차단플랩의 최대 회전각도를 감지하는 각도감지센서와,
    상기 차단플랩을 통과하는 동안의 의료폐기물의 하단부와 상단부의 길이를 감지하는 높이감지센서를 구비하는 의료폐기물 밀폐 배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딩롤러는;
    상호 평행하게 이격된 한 쌍의 코어샤프트와,
    일정 외경을 가지며 상기 코어샤프트를 감싸고, 의료폐기물을 그 사이로 통과시킬 때 탄성 변형되는 스폰지롤을 포함하는 의료폐기물 밀폐 배출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샤프트의 중앙부에는, 양단부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가져 스폰지롤의 탄성 변형을 유도하는 홈부가 마련된 의료폐기물 밀폐 배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융착부는;
    직립된 상태로 상호 대응 배치되며 액츄에이터에 의해 상호 진퇴 가능한 푸셔와,
    상기 각 푸셔에 대해 스프링을 통해 탄력 지지되며 푸셔와의 간격 조절이 가능하고 겹쳐진 상태의 필름을 가열 융착 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필름의 폭에 대응하는 간격을 가지며 수직을 이루는 한 쌍의 세로융착바, 상기 세로융착바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가로융착바를 구비한 한 쌍의 융착프레임을 구비하는 의료폐기물 밀폐 배출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는, 양측 가로융착바 중 일측 가로융착바에 설치되고,
    양측 융착바가 필름을 사이에 두고 밀착하여 필름을 융착한 상태에서 타측 가로융착바를 향해 이동하며 필름을 절단하는 블레이드를 갖는 의료폐기물 밀폐 배출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 가로융착바에는, 수평을 이루며 상기 블레이드를 수용하는 블레이드통로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 가로융착바에는, 상기 블레이드통로로부터 빠져나와 필름을 절단한 블레이드의 날부를 수용하는 블레이드홈이 형성되며,
    상기 절단부는, 상기 푸셔에 고정된 상태로 블레이드를 수평으로 지지하는 홀더를 더 구비한 의료폐기물 밀폐 배출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양측 가로융착바의 융착면에는 상호 밀착 가능한 융착톱니면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블레이드와 블레이드홈은, 가로융착바에 의해 융착된 융착면의 중앙부위를 커팅할 수 있도록, 가로융착바의 높이방향 중앙부에 위치하는 의료폐기물 밀폐 배출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는 처리공간 내부의 공기를 탈취하는 탈취필터가 구비된 의료폐기물 밀폐 배출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딩롤러의 하부에는, 융착 및 커팅과정을 통해 밀폐가 완료된 결과물을 받아 임시 저장하며, 필요시 케이스 외부로 인출 가능한 수거통이 포함된 의료폐기물 밀폐 배출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는, 상기 도어부를 커버하는 커버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의료폐기물 밀폐 배출장치.
KR1020190092433A 2019-07-30 2019-07-30 의료폐기물 밀폐 배출장치 KR1022356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2433A KR102235619B1 (ko) 2019-07-30 2019-07-30 의료폐기물 밀폐 배출장치
CN201911276187.7A CN112298645A (zh) 2019-07-30 2019-12-12 医疗废物密封排放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2433A KR102235619B1 (ko) 2019-07-30 2019-07-30 의료폐기물 밀폐 배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4804A true KR20210014804A (ko) 2021-02-10
KR102235619B1 KR102235619B1 (ko) 2021-04-02

Family

ID=74336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2433A KR102235619B1 (ko) 2019-07-30 2019-07-30 의료폐기물 밀폐 배출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35619B1 (ko)
CN (1) CN112298645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4246B1 (ko) * 2021-02-16 2021-06-14 쓰리에스씨 주식회사 투명플라스틱 재활용을 위한 파쇄기
KR102373653B1 (ko) * 2021-04-23 2022-03-14 주식회사 오톰 의료용 랩핑장치
CN114455222A (zh) * 2022-03-21 2022-05-10 安徽瀚昱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医疗垃圾回收设备
KR102404091B1 (ko) * 2022-03-03 2022-06-02 주식회사 선진씨앤씨 생리대 수거함
EP4035575A1 (en) 2021-02-02 2022-08-03 LG Electronics Inc. Electric kettle
WO2022203096A1 (ko) * 2021-03-24 2022-09-29 주식회사 위스 생활오염물 밀폐 처리장치
KR20230016903A (ko) 2021-07-27 2023-02-03 주식회사 위스 악취 발생 폐기물 자동 밀봉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37995B (zh) * 2021-03-10 2023-08-01 王土林 一种管状工件运输保护用保护膜覆盖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2667Y1 (ko) 2004-10-15 2005-01-14 황선복 의료용 감염성 폐기물 수거함
KR20140002109A (ko) * 2012-06-28 2014-01-08 이상설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WO2017052031A1 (ko) * 2015-09-22 2017-03-30 김선종 분사부가 구비된 밀봉장치
KR101775523B1 (ko) 2015-04-26 2017-09-06 노재혁 냄새 제거 기능을 갖는 대소변 기저귀 포장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41229B1 (fr) * 2002-06-19 2006-05-26 Aa Man Dispositif de collecte de dechets
CN100567096C (zh) * 2004-12-13 2009-12-09 翁晓晖 垃圾桶
WO2013134124A1 (en) * 2012-03-05 2013-09-12 Steven Charles Cohn Facility operations coordinating waste disposal apparatus and system
CN105366091B (zh) * 2014-08-22 2018-02-09 深圳市富云帝科技有限公司 薄膜包装机及其包装方法及方形包装盒
CN205056484U (zh) * 2015-11-02 2016-03-02 武汉轻工大学 一种自动检测果蔬大小的分级装置
CN208560471U (zh) * 2018-07-20 2019-03-01 福州智澜科技有限公司 分类式全自动套袋垃圾桶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2667Y1 (ko) 2004-10-15 2005-01-14 황선복 의료용 감염성 폐기물 수거함
KR20140002109A (ko) * 2012-06-28 2014-01-08 이상설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775523B1 (ko) 2015-04-26 2017-09-06 노재혁 냄새 제거 기능을 갖는 대소변 기저귀 포장장치
WO2017052031A1 (ko) * 2015-09-22 2017-03-30 김선종 분사부가 구비된 밀봉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35575A1 (en) 2021-02-02 2022-08-03 LG Electronics Inc. Electric kettle
KR102264246B1 (ko) * 2021-02-16 2021-06-14 쓰리에스씨 주식회사 투명플라스틱 재활용을 위한 파쇄기
WO2022203096A1 (ko) * 2021-03-24 2022-09-29 주식회사 위스 생활오염물 밀폐 처리장치
KR20220132742A (ko) 2021-03-24 2022-10-04 주식회사 위스 생활오염물 밀폐 처리장치
KR102373653B1 (ko) * 2021-04-23 2022-03-14 주식회사 오톰 의료용 랩핑장치
KR20230016903A (ko) 2021-07-27 2023-02-03 주식회사 위스 악취 발생 폐기물 자동 밀봉장치
KR102404091B1 (ko) * 2022-03-03 2022-06-02 주식회사 선진씨앤씨 생리대 수거함
CN114455222A (zh) * 2022-03-21 2022-05-10 安徽瀚昱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医疗垃圾回收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298645A (zh) 2021-02-02
KR102235619B1 (ko) 2021-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5619B1 (ko) 의료폐기물 밀폐 배출장치
KR102134243B1 (ko) 의료폐기물 밀봉 배출장치
JP5849372B2 (ja) 医療用具封止装置
US5536356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abricating breather bags
JPH0958603A (ja) 固形製剤包装装置
CN114906505B (zh) 一种医用全自动智能垃圾桶
KR101716276B1 (ko) 지정폐기물 회수용 테이프 및 그 테이프를 이용한 폐기물 회수장치
KR102134881B1 (ko) 감염성 폐기물의 처리장치
CN212494508U (zh) 一种医疗废弃物处理系统
CN114212413A (zh) 一种智能物联全自动控制医疗废弃物专用垃圾桶
KR102028276B1 (ko) 생리대 수거함
JP4205284B2 (ja) 医療廃棄物の無害化処理装置
WO2009109759A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making gloves
CN205548701U (zh) 一种可计数的分离式血纱布处理器
KR101719073B1 (ko) 생리대 위생처리장치
KR20210060809A (ko) 의료폐기물 자동 밀봉장치
KR20230128839A (ko) 악취발생 폐기물 자동 밀봉 배출장치
KR102495530B1 (ko) 폐생리대 개별 포장 수거장치
CN216036605U (zh) 一种医用废弃口罩回收装置
KR102459442B1 (ko) 생활오염물 밀폐 처리장치
US11345492B2 (en) Packaging process and apparatus
KR20230161613A (ko) 위생폐기물 처리장치
CN115072212A (zh) 一种医用免接触智能垃圾桶
KR20240060756A (ko) 위생 폐기물 회수장치
KR20150080888A (ko) 포장이 가능한 수거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