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4626A - 파이프 연결구 및 파이프 연결 방법 - Google Patents

파이프 연결구 및 파이프 연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4626A
KR20210014626A KR1020207032671A KR20207032671A KR20210014626A KR 20210014626 A KR20210014626 A KR 20210014626A KR 1020207032671 A KR1020207032671 A KR 1020207032671A KR 20207032671 A KR20207032671 A KR 20207032671A KR 20210014626 A KR20210014626 A KR 202100146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ylindrical
hollow
cylindrical portion
sem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26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64737B1 (ko
Inventor
타카오 카미야마
마코토 이시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쇼난 고세이쥬시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쇼난 고세이쥬시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쇼난 고세이쥬시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2100146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46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47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47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8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ba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 F16B7/04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in angled relationship
    • F16B7/048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in angled relationship for rods or for tubes without using the innerside thereof
    • F16B7/0493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in angled relationship for rods or for tubes without using the innerside thereof forming a crossed-over conn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02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with separate coupling elements
    • E04G7/06Stiff scaffolding clamps for connecting scaffold members of common shape
    • E04G7/12Clamps or clips for crossing members
    • E04G7/14Clamps or clips for crossing members for clamping the members independent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 F16B7/04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in angled relationshi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2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 F16L3/237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for two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한쪽의 원기둥 파이프(51)가 경질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제 1과 제 2 유지체(20, 30)의 중공 원기둥부(21, 31)에 삽입되고, 다른쪽의 원기둥 파이프(52)가 중공 반원기둥부(22, 32)에 삽입된다. 제 1과 제 2 파이프 유지체는 각각 맞댐면(23, 33)에서 합쳐진다. 합쳐진 중공 원기둥부 내부에 삽입된 원기둥 파이프(51)가 체결구(60)를 이용해서 중공 원기둥부에 유지되고, 합쳐진 중공 원기둥으로 된 원기둥부 내부에 삽입된 원기둥 파이프(52)가 체결구(60)를 이용해서 중공 반원기둥부에 유지된다.

Description

파이프 연결구 및 파이프 연결 방법
본 발명은 2개의 원기둥 파이프를 교차시켜서 연결하는 파이프 연결구 및 파이프 연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가설 발판이나 토목건설장에 있어서, 한쌍의 클램프 부재를 사용해서 각각 파이프를 클램프하고, 양 클램프 부재를 회동시킴으로써 클램프된 파이프의 교차 각도를 바꾸어서 파이프를 연결하는 연결 금구가 알려져 있다(하기 특허문헌 1).
또한, U자 형상으로 절곡된 부재의 상부에서 파이프를 유지함과 아울러, 절곡된 부분에 형성된 수용부에서 파이프를 유지하고, 양 파이프 사이에 쐐기를 압입해서 파이프를 연결하는 연결 금구가 알려져 있다(하기 특허문헌 2).
또한, 종래부터 세그먼트를 둘레방향으로 연결해서 관 유닛을 조립하고, 관 유닛을 관 길이방향으로 연결해서 이루어지는 갱생관을 사용해서 기설관을 갱생하는 공법이 알려져 있다. 이 공법에서는, 기설관 내에 세그먼트를 조립해서 갱생관을 구축하고나서, 기설관과 갱생관 사이에 충전한 충전재가 경화될 때까지의 동안, 갱생관 내에 지보공을 조립하여 갱생관의 변형을 방지하고 있다(하기 특허문헌 3).
일본 특허공개 2014-125850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08-38942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15-24561호 공보
갱생관 내에서의 지보공의 조립은, 금속제의 파이프를 교차시켜 연결 금구로 연결하는 작업을 좁은 갱생관 내에서 행할 필요가 있고, 연결 금구가 무거운 것도 있어서, 지보공을 조립하는 작업 효율을 나쁘게 하고 있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연결 개소가 다수 있어, 연결에 시간이 걸린다고 하는 문제도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2개의 원기둥 파이프를 교차시켜서 간단히 연결할 수 있는 경량의 파이프 연결구 및 파이프 연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청구항 1)은,
2개의 원기둥 파이프를 교차시켜서 연결하는 파이프 연결구에 있어서,
한쪽의 원기둥 파이프를 내부에 삽입 가능한 중공 원기둥부와, 다른쪽의 원기둥 파이프의 지름방향 절반을 삽입 가능한 단면이 반원형인 중공 반원기둥부와, 맞댐면을 갖고, 상기 맞댐면에 있어서 중공 반원기둥부의 직경측 끝면과 중공 원기둥부의 일방측 끝면이 동일면으로 되어 있고, 중공 원기둥부와 중공 반원기둥부가 양 원기둥 파이프의 교차 각도에 따라서 교차하는 경질 플라스틱제의 제 1 파이프 유지체와,
상기 한쪽의 원기둥 파이프를 내부에 삽입 가능한 중공 원기둥부와, 다른쪽의 원기둥 파이프의 다른 지름방향 절반을 삽입 가능한 중공 반원기둥부와, 맞댐면을 갖고, 상기 맞댐면에 있어서 중공 반원기둥부의 직경측 끝면과 중공 원기둥부의 일방측 끝면이 동일면으로 되어 있고, 중공 원기둥부와 중공 반원기둥부가 양 원기둥 파이프의 교차 각도에 따라서 교차하는 경질 플라스틱제의 제 2 파이프 유지체와,
제 1 및/또는 제 2 파이프 유지체의 중공 원기둥부 외주를 조이는 체결구와,
제 1과 제 2 파이프 유지체의 중공 반원기둥부 외주를 조이는 체결구를 구비하고,
상기 제 1과 제 2 파이프 유지체는, 중공 원기둥부의 각각의 끝면이 합쳐져서 그 내부에 한쪽의 원기둥 파이프가 유지되고, 또한, 각각의 중공 반원기둥부의 끝면이 합쳐져서 중공 원기둥으로 된 원기둥부 내부에 다른쪽의 원기둥 파이프가 유지되도록, 각 맞댐면이 합쳐지고,
상기 제 1 및/또는 제 2 파이프 유지체는, 상기 중공 원기둥부 외주를 조이는 체결구에 의해 조여져서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한쪽의 원기둥 파이프를 유지하고, 상기 제 1과 제 2 파이프 유지체는, 상기 중공 반원기둥부 외주를 조이는 체결구에 의해 조여져서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다른쪽의 원기둥 파이프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파이프 연결구를 사용해서 2개의 원기둥 파이프를 교차해서 연결하는 파이프 연결 방법에 있어서,
한쪽의 원기둥 파이프를 제 1과 제 2 유지체의 중공 원기둥부에 삽입하고,
다른쪽의 원기둥 파이프를 제 1과 제 2 유지체의 어느 한쪽의 파이프 유지체에 삽입하고,
중공 원기둥부의 각각의 끝면이 합쳐져서 그 내부에 한쪽의 원기둥 파이프가 유지되고, 또한, 각각의 중공 반원기둥부의 끝면이 합쳐져서 중공 원기둥으로 된 원기둥부 내부에 다른쪽의 원기둥 파이프가 유지되도록, 제 1과 제 2 파이프 유지체의 각 맞댐면이 합쳐지고,
제 1 및/또는 제 2 파이프 유지체의 중공 원기둥부 외주를 체결구에 의해 조여서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한쪽의 원기둥 파이프를 유지시키고, 제 1과 제 2 파이프 유지체의 중공 반원기둥부 외주를 체결구에 의해 조여서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다른쪽의 원기둥 파이프를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한쪽의 원기둥 파이프는 제 1과 제 2 파이프 유지체의 중공 원기둥부의 축방향 길이에 걸쳐서 그 전체 둘레면에 있어서 견고하게 유지되고, 또한, 다른쪽의 원기둥 파이프는, 제 1과 제 2 파이프 유지체의 중공 반원기둥부의 축방향 길이에 걸쳐서 그 전체 둘레면에 있어서 견고하게 유지되므로, 2개의 원기둥 파이프를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제 1과 제 2 파이프 유지체는 경질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져 있으므로, 경량이며, 파이프의 연결이 간단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파이프 연결구를 2개의 파이프 유지체로 분리했을 때의 사시도이다.
도 3a는 한쪽의 파이프 유지체의 정면도이다.
도 3b는 한쪽의 파이프 유지체의 저면도이다.
도 3c는 한쪽의 파이프 유지체의 배면도이다.
도 4a는 한쪽의 파이프 유지체의 우측면도이다.
도 4b는 한쪽의 파이프 유지체의 좌측면도이다.
도 5a는 다른쪽의 파이프 유지체의 정면도이다.
도 5b는 다른쪽의 파이프 유지체의 저면도이다.
도 5c는 다른쪽의 파이프 유지체의 배면도이다.
도 6a는 다른쪽의 파이프 유지체의 우측면도이다.
도 6b는 다른쪽의 파이프 유지체의 좌측면도이다.
도 7은 2개의 원기둥 파이프를 연결하는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연결된 2개의 원기둥 파이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체결구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0은 체결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1은 다른 체결구를 사용해서 2개의 원기둥 파이프를 연결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파이프 연결구를 지보공에 사용했을 때의 설명도이다.
도 13은 2개의 원기둥 파이프를 직각과 다른 각도로 교차시켜서 연결하는 연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2개의 원기둥 파이프를 직각과 다른 각도로 교차시켜서 연결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을, 첨부 도면에 나타내는 실시예에 의거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은, 갱생관 내에 지보공을 조립할 때, 또는 가설 발판이나 토목건설장에 있어서 파이프를 교차시켜서 연결할 때에 사용되지만, 다른 분야에서 파이프를 교차시켜서 연결하고, 연결한 파이프로 물체를 지지하는 기술분야에도 응용할 수 있는 것이다.
실시예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구(10)는, 각각 경질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제 1 파이프 유지체(20)와 제 2 파이프 유지체(30)를 갖고, 도 1에는 제 1과 제 2 파이프 유지체(20, 30)가 맞대어진 상태로, 도 2에는 분리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경질 플라스틱으로서는, 경질 염화비닐, 경질 폴리프로필렌, 경질 폴리카보네이트, 경질 ABS, 경질 PET 등을 들 수 있다.
제 1 파이프 유지체(20)는, 각각 2개의 원기둥 파이프를 내부에 삽입할 수 있는 중공 원기둥부를 교차시킨 파이프 유지체의 한쪽의 중공 원기둥부를, 단면이 반원형인 중공 반원기둥부로 되도록 2체로 절단했을 때의 한쪽의 파이프 유지체에 상당하고, 제 2 파이프 유지체(30)는, 그 다른쪽의 파이프 유지체에 상당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연결되는 2개의 원기둥 파이프는, 그 외경(d2)(도 7)이 같게 되어 있다. 또, 본명세서에 있어서, 중공 원기둥부, 중공 반원기둥부란, 중공으로 된 내부의 형상이 원기둥부, 반원기둥부로 되어 있는 것을 표현하고 있다.
제 1 파이프 유지체(20)는, 도 3a, 도 3b, 도 3c, 도 4a,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되는 다른쪽의 원기둥 파이프의 외경(d2)보다 약간 큰 내경(d1)의 중공 원기둥부(21)를 갖고, 이 중공 원기둥부(21) 내에 상기 한쪽의 원기둥 파이프를 삽입할 수 있다.
또한, 제 1 파이프 유지체(20)는 연결해야 할 2개의 원기둥 파이프의 교차 각도에 따른 각도, 본 실시예에서는 90도의 각도로 중공 원기둥부(21)와 교차하고, 중공 원기둥부(21)와 일체로 형성된 단면이 반원형인 중공 반원기둥부(22)를 갖는다. 중공 반원기둥부(22)의 내경은, 도 3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른쪽의 원기둥 파이프의 외경(d2)보다 약간 작은 내경(d1')을 갖고, 다른쪽의 원기둥 파이프의 거의 지름방향 절반을 삽입할 수 있다.
제 1 파이프 유지체(20)의 일방측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 2 파이프 유지체(30)와 맞대어지는 맞댐면(23)으로 되어 있고, 도 4a,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맞댐면(23)에서 중공 원기둥부(21)의 일방측 끝면(21a)과 중공 반원기둥부(22)의 직경측의 끝면(22a, 22b)(도 2에서 우측의 면, 도 3c에서는 지면)이 동일면으로 되어 있다.
제 1 파이프 유지체(20)의 맞댐면(23)과 반대측에는, 중공 반원기둥부(22)의 반원 만곡부가 있고, 중공 원기둥부(21)는 상기 만곡부로부터 연장되어서 타방측 끝면(21b)을 형성하고 있다.
중공 반원기둥부(22)의 길이방향의 일단면(22c)측에는 부착부(22d)가 설치되고, 이 부착부(22d)에,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 1과 제 2 파이프 유지체(20, 30)의 중공 반원기둥부를 조이는 체결구가 부착된다. 이 부착부(22d)의 양측에서, 중공 반원기둥부(22)는 대구경부(22e, 22f)로 되어 있다. 또한, 중공 반원기둥부(22)의 길이방향의 타단면(22g)측은, 후술하는 체결구로서의 캡이 삽입 부착되기 쉽도록, 경사면(22h)으로 되어 있다.
중공 원기둥부(21)는, 중공 반원기둥부(22)와 그 길이방향의 중심과 어긋난 위치에서 교차하고 있고, 도 3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공 반원기둥부(22)의 일단면(22g)으로부터 중공 원기둥부(21)의 중심을 지나는 수직면까지의 거리(w1)는, 타단면(22c)으로부터 동 수직면까지의 거리(w2)보다 짧게 되어 있다. 또한,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공 원기둥부(21)의 끝면(21a, 21b)간의 거리는 w1로 되어 있다.
제 2 파이프 유지체(30)는, 도 5a, 도 5b, 도 5c, 도 6a,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되는 다른쪽의 원기둥 파이프의 외경(d2)보다 약간 큰 내경(d1)의 중공 원기둥부(31)를 갖고, 이 중공 원기둥부(31) 내에 상기 다른쪽의 원기둥 파이프를 삽입할 수 있고, 제 1 파이프 유지체(20)의 중공 원기둥부(21)와 같은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 중공 원기둥부(31)에는 원기둥 파이프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고, 유지력을 높이기 위한 절개부(31c)가 축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2 파이프 유지체(30)는 연결해야 할 2개의 원기둥 파이프의 교차 각도에 따른 각도, 본 실시예에서는 90도의 각도로 중공 원기둥부(31)와 교차하고, 중공 원기둥부(31)와 일체로 형성된 단면이 반원형인 중공 반원기둥부(32)를 갖는다. 중공 반원기둥부(32)의 내경(d1')은, 도 5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른쪽의 원기둥 파이프의 외경(d2)보다 약간 작고, 다른쪽의 원기둥 파이프의 다른쪽의 거의 지름방향 절반을 삽입할 수 있다. 중공 반원기둥부(32)는, 제 1 파이프 유지체(20)의 중공 반원기둥부(22)와 중공 원기둥부(31)의 지름방향 단면에 관해서 면대칭으로 되어 있다.
제 2 파이프 유지체(30)의 일방측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 1 파이프 유지체(20)과 맞대어지는 맞댐면(33)으로 되어 있고, 도 6a,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맞댐면(33)에서 중공 원기둥부(31)의 일방측 끝면(31a)과 중공 반원기둥부(32)의 직경측의 끝면(32a, 32b)(도 2로 좌측의 면, 도 5c에서는 지면)이 동일면으로 되어 있다.
제 2 파이프 유지체(30)의 맞댐면(33)과 반대측에는, 중공 반원기둥부(32)의 반원 만곡부가 있고, 중공 원기둥부(31)는 상기 만곡부로부터 연장되어 타방측 끝면(31b)을 형성하고 있다.
중공 반원기둥부(32)의 길이방향의 일단면(32c)측에는 부착부(32d)가 설치되고, 이 부착부(32d)에,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 1과 제 2 파이프 유지체(20, 30)의 중공 반원기둥부(22, 32)를 조이는 체결구가 부착된다. 이 부착부(32d)의 양측에서, 중공 반원기둥부(32)는 대구경부(32e, 32f)로 되어 있고, 중공 반원기둥부(32)의 길이방향의 타단면(32g)측은, 후술하는 캡이 삽입 부착되기 쉽도록 경사면(32h)으로 되어 있다.
중공 원기둥부(31)는, 중공 반원기둥부(32)와 그 길이방향의 중심과 어긋난 위치에서 교차하고 있고, 도 5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공 반원기둥부(32)의 일단면(32g)으로부터 중공 원기둥부(31)의 중심을 지나는 수직면까지의 거리(w1)는, 타단면(32c)으로부터 동 수직면까지의 거리(w2)보다 짧게 되어 있다. 또한,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공 원기둥부(31)의 끝면(31a, 31b)간의 거리는 w2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제1과 제 2 파이프 유지체(20, 30)는 중공 원기둥부(21, 31)의 각각의 끝면(21a, 31a)이 동일하게 되고, 중공 원기둥부(21, 31)가 합쳐져서 그 내부에 한쪽의 원기둥 파이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맞댐면(23, 33)을 맞댈 수 있고, 그 때, 제 1 파이프 유지체(20)의 중공 반원기둥부(22)의 끝면(22a, 22b)이 제 2 파이프 유지체(30)의 중공 반원기둥부(32)의 끝면(32a, 32b)과 합쳐서 중공 원기둥부가 형성되고, 그 내부에 다른쪽의 원기둥 파이프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7, 도 8에는, 제 1과 제 2 파이프 유지체(20, 30)에 의해 원기둥 파이프(51, 52)를 연결하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중공 원기둥부(21, 31)의 내경(d1)은, 상술한 바와 같이, 원기둥 파이프(51)의 외경(d2)보다 약간 크게 되어 있으므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기둥 파이프(51)를 중공 원기둥부(31, 21)에 삽입할 수 있고, 또한, 중공 반원기둥부(22)의 내경(d1')은 원기둥 파이프(52)의 외경(d2)보다 약간 작아, 원기둥 파이프(52)의 거의 지름방향 절반을 중공 반원기둥부(22)에 삽입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공 원기둥부(21, 31)의 끝면(21a, 31a)을 합쳐서 원기둥 파이프(51)를 유지한다. 또한, 중공 반원기둥부(22)의 끝면(22a, 22b)과 중공 반원기둥부(32)의 끝면(32a, 32b)이 합쳐져서 중공 원기둥부가 형성되므로, 그 내부에 원기둥 파이프(52)를 유지한다. 또, 중공 반원기둥부(22, 32)의 내경(d1')은 원기둥 파이프(52)의 외경(d2)보다 약간 작으므로, 중공 반원기둥부(22)의 끝면(22a, 22b)과 중공 반원기둥부(32)의 끝면(32a, 32b)은 완전히는 맞대어지지 않고, 끝면(22a, 22b)과 끝면(32a, 32b) 사이에는, d2과 d1'의 차에 따른 약간의 간극이 발생한다. 이 상태로, 도 9에 나타낸 체결구(60)를 이용하여 원기둥 파이프(51, 52)를 제 1과 제 2 파이프 유지체(20, 30)에 확실하게 유지하도록 한다.
체결구(60)는 가요성이 있는 금속제의 밴드(61)의 양단(61a, 61b)에 너트(63, 64)를 고정하고, 한쪽의 너트(63)에 볼트(62)를 통과시키는 구멍을 형성하고, 다른쪽의 너트(64)에 볼트(62)의 나사부와 나사결합하는 나사부를 설치한 호스밴드로서 구성된다. 밴드(61)의 지름은, 볼트(62)를 너트(63, 64)가 접촉할 때까지 너트(64)에 비틀어 넣으면, 중공 원기둥부(31)의 외경, 또는 맞춘 중공 반원기둥부(22, 32)의 외경보다 작아지고, 볼트(62)가 너트(64)로부터 빠졌을 경우에는, 상기 외경보다 커져서, 밴드(61)가 중공 원기둥부(31)의 외주 또는 중공 반원기둥부(22, 32)의 부착부(22d, 32d)에 부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체결구(60)를 제 2 파이프 유지체(30)의 중공 원기둥부(31)의 단부 외주에 부착하여 볼트 체결하면, 중공 원기둥부(31)에는, 도 5a,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개부(31c)(도 8에서는 보이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중공 원기둥부(31)가 휘고, 그 휨에 의해 중공 원기둥부(31)가 중공 원기둥부(31) 내에 삽입되어 있는 원기둥 파이프(51)를 압박하여, 원기둥 파이프(51)가 중공 원기둥부(31) 내에 견고하게 유지되게 된다.
또한, 체결구(60)를 제 1과 제 2 파이프 유지체(20, 30)의 중공 반원기둥부(22, 32)에 설치된 부착부(22d, 32d)에 부착하여 볼트 체결하면, 중공 반원기둥부(22, 32)의 끝면(22a, 22b)과 끝면(32a, 32b) 사이에 발생하고 있던 간극이 감소하고, 그 내부에 유지된 원기둥 파이프(52)가 조여져서 원기둥 파이프(52)가 중공 반원기둥부(22, 32) 내에 견고하게 유지되게 된다.
이와 같이, 제 1과 제 2 파이프 유지체(20, 30)는 체결구(60)에 의한 체결력으로 견고하게 연결되어 있고, 또한, 그 내부에 유지된 원기둥 파이프(51, 52)는 중공 원기둥부(31), 중공 반원기둥부(22, 32)의 축방향 길이에 걸쳐서 그 전체 둘레면에서 견고하게 유지되므로, 원기둥 파이프(51, 52)를 견고하게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원기둥 파이프(51)에 대한 유지력을 높이기 위해서, 중공 원기둥부(31)에 절개부(31c)를 복수 형성하도록 해도 좋다. 절개부를 다수 형성함으로써 중공 원기둥부(31)가 보다 휘게 되므로, 원기둥 파이프(51)를 보다 강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절개부를 중공 원기둥부(31) 뿐만 아니라 중공 원기둥부(21)에도 하나 또는 복수 형성하고, 중공 원기둥부(21)를 체결구(60)로 조여 원기둥 파이프(51)를 중공 원기둥부(21)에 있어서도 유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체결구(60)는 중공 원기둥부(31) 또는 중공 원기둥부(21)의 한쪽, 또는 양쪽에 설치하고, 각각의 외주를 조이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원기둥 파이프(52)에 대한 유지력을 높이기 위해서, 원기둥 파이프(51)의 외경(d2)과 중공 반원기둥부(22, 32)의 내경(d1')의 차를 크게 하도록 해도 좋다. 원기둥 파이프(52)는 원기둥 파이프(51)와 같이, 전체가 삽입되는 것이 아니라 절반씩 삽입되므로, 중공 반원기둥부(22, 32)에 삽입시키는 것이 용이해서, 파이프를 삽입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d2과 d1'의 차를 크게 하면 원기둥 파이프(51)에 대한 유지력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또, 체결구로서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은 캡(70)을 사용하도록 해도 좋다. 캡(70)은 중공 원기둥부(21, 31) 또는 합쳐져서 중공 반원기둥부(22, 23)의 외부에 압입할 수 있는 내경이 d3인 중공 원기둥부(70a)를 갖는다. 또한, 캡(70)은 중공 원기둥부(70a)와 반대측에, 원기둥 파이프(51, 52)의 외경(d2)보다 약간 큰 지름(d4)을 갖고, 원기둥 파이프(51, 52)를 통과시킬 수 있는 중공 원기둥부(70b)를 갖고 있다.
도 11에는, 체결구(60) 대신에 캡(70)을 사용해서 제 1과 제 2 유지체(20, 30)의 중공 반원기둥부(22, 32)를 조이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캡(70)은 원기둥 파이프(52)의 한쪽 단부로부터 중공 원기둥부(70b)를 통과해서 중공 반원기둥부(22, 32)의 단부에 압입되어, 상기 단부를 조인다. 이 조임에 의해, 내부에 삽입된 원기둥 파이프(52)가 조여져서 중공 반원기둥부(22, 32)에 견고하게 유지된다.
또,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호스밴드형의 체결구(60)로 한쪽 단부를 조임과 아울러,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캡(70)을 사용해서 다른쪽 단부를 조이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중공 반원기둥부(22, 32)의 양단부에서 조임이 행하여지므로, 더욱 견고한 파이프 연결이 가능하게 된다.
도 12에는 원기둥 파이프(51, 52)를 직각에 교차시켜서 연결하고, 하수도 등의 기설관 내에 부설된 세그먼트로 이루어지는 갱생관의 변형을 방지하는 지보공에 응용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동 도면에 있어서, 원기둥 파이프(51)는 제 1과 제 2 파이프 유지체(20, 30)의 중공 원기둥부(21, 31)에 삽입되고, 호스밴드형의 체결구(60)에 의해 조여져서 중공 원기둥부(21, 31)에 유지된다. 또한, 원기둥 파이프(52)는 제 1과 제 2 파이프 유지체(20, 30)이 맞대어진 중공 반원기둥부(22, 32) 내에 삽입되어, 캡(70)형의 체결구에 의해 조여져서 중공 반원기둥부(22, 32)에 유지된다. 원기둥 파이프(51, 52)는 지름방향으로 동 거리로 연장되어서 단부가 세그먼트(80)에 닿고, 세그먼트(80)를 지지한다. 원기둥 파이프(51, 52)는 중공 원기둥부(21, 31), 중공 반원기둥부(22, 32)의 축방향 길이에 걸쳐서, 그 전체 둘레면에서 견고하게 유지되므로, 기설관과 갱생관의 사이에 충전재가 주입되어 각각의 세그먼트(80)에 충전재 주입에 의한 하중이 걸려도, 갱생관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 1과 제 2 파이프 유지체(20, 30)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져 있으므로, 경량이며, 어두운 기설관의 내부에서도 지보공을 조립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도 13, 도 14에는, 원기둥 파이프(51, 52)를 비스듬히 교차시켜서 연결하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동 도면에서는, 제 1 유지체(20)의 중공 원기둥부(21', 31')가 제 1과 제 2 파이프 유지체(20, 30)의 중공 반원기둥부(22, 32)과 직각으로부터 약간 왼쪽으로 경사진 각도로 교차하고 있다. 맞댐면에서의 중공 원기둥부(21', 31')의 끝면의 위치 및 형상이, 교차 각도에 따라서 변화되는 것 뿐이며, 직교할 경우와 그 구성, 기능은 같아서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10 : 연결구
20 : 제 1 유지체
21 : 중공 원기둥부
22 : 중공 반원기둥부
23 : 맞댐면
30 : 제 2 유지체
31 : 중공 원기둥부
32 : 중공 반원기둥부
33 : 맞댐면
51, 52 : 원기둥 파이프
60 : 체결구
61 : 밴드
70 : 캡
80 : 세그먼트

Claims (7)

  1. 2개의 원기둥 파이프를 교차시켜서 연결하는 파이프 연결구에 있어서,
    한쪽의 원기둥 파이프를 내부에 삽입 가능한 중공 원기둥부와, 다른쪽의 원기둥 파이프의 지름방향 절반을 삽입 가능한 단면이 반원형인 중공 반원기둥부와, 맞댐면을 갖고, 상기 맞댐면에 있어서 중공 반원기둥부의 직경측 끝면과 중공 원기둥부의 일방측 끝면이 동일면으로 되어 있고, 중공 원기둥부와 중공 반원기둥부가 양 원기둥 파이프의 교차 각도에 따라서 교차하는 경질 플라스틱제의 제 1 파이프 유지체와,
    상기 한쪽의 원기둥 파이프를 내부에 삽입 가능한 중공 원기둥부와, 다른쪽의 원기둥 파이프의 다른 지름방향 절반을 삽입 가능한 중공 반원기둥부와, 맞댐면을 갖고, 상기 맞댐면에 있어서 중공 반원기둥부의 직경측 끝면과 중공 원기둥부의 일방측 끝면이 동일면으로 되어 있고, 중공 원기둥부와 중공 반원기둥부가 양 원기둥 파이프의 교차 각도에 따라서 교차하는 경질 플라스틱제의 제 2 파이프 유지체와,
    제 1 및/또는 제 2 파이프 유지체의 중공 원기둥부 외주를 조이는 체결구와,
    제 1과 제 2 파이프 유지체의 중공 반원기둥부 외주를 조이는 체결구를 구비하고,
    상기 제 1과 제 2 파이프 유지체는, 중공 원기둥부의 각각의 끝면이 합쳐져서 그 내부에 한쪽의 원기둥 파이프가 유지되고, 또한, 각각의 중공 반원기둥부의 끝면이 합쳐져서 중공 원기둥으로 된 원기둥부 내부에 다른쪽의 원기둥 파이프가 유지되도록, 각 맞댐면이 합쳐지고,
    상기 제 1 및/또는 제 2 파이프 유지체는, 상기 중공 원기둥부 외주를 조이는 체결구에 의해 조여져서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한쪽의 원기둥 파이프를 유지하고, 상기 제 1과 제 2 파이프 유지체는, 상기 중공 반원기둥부 외주를 조이는 체결구에 의해 조여져서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다른쪽의 원기둥 파이프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 원기둥부 외주를 조이는 체결구가 호스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 원기둥부 외주를 조이는 체결구가, 중공 원기둥부의 단부에 압입되고, 한쪽의 원기둥 파이프를 통과시킬 수 있는 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 반원기둥부 외주를 조이는 체결구가 호스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 반원기둥부 외주를 조이는 체결구가, 합쳐진 중공 반원기둥부의 단부에 압입되고, 다른쪽의 원기둥 파이프를 통과시킬 수 있는 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구.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또는 제 2 파이프 유지체의 중공 원기둥부에, 한쪽의 원기둥 파이프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고, 유지력을 높이기 위한 절개부를 축방향으로 하나 또는 복수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구.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파이프 연결구를 사용해서 2개의 원기둥 파이프를 교차해서 연결하는 파이프 연결 방법에 있어서,
    한쪽의 원기둥 파이프를 제 1과 제 2 유지체의 중공 원기둥부에 삽입하고,
    다른쪽의 원기둥 파이프를 제 1과 제 2 유지체의 어느 한쪽의 파이프 유지체에 삽입하고,
    중공 원기둥부의 각각의 끝면이 합쳐져서 그 내부에 한쪽의 원기둥 파이프가 유지되고, 또한, 각각의 중공 반원기둥부의 끝면이 합쳐져서 중공 원기둥으로 된 원기둥부 내부에 다른쪽의 원기둥 파이프가 유지되도록, 제 1과 제 2 파이프 유지체의 각 맞댐면이 합쳐지고,
    제 1 및/또는 제 2 파이프 유지체의 중공 원기둥부 외주를 체결구에 의해 조여서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한쪽의 원기둥 파이프를 유지시키고, 제 1과 제 2 파이프 유지체의 중공 반원기둥부 외주를 체결구에 의해 조여서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다른쪽의 원기둥 파이프를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 방법.
KR1020207032671A 2018-05-31 2019-05-15 파이프 연결구 및 파이프 연결 방법 KR1026647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105239 2018-05-31
JP2018105239 2018-05-31
PCT/JP2019/019276 WO2019230398A1 (ja) 2018-05-31 2019-05-15 パイプ連結具及びパイプ連結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4626A true KR20210014626A (ko) 2021-02-09
KR102664737B1 KR102664737B1 (ko) 2024-05-08

Family

ID=68696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2671A KR102664737B1 (ko) 2018-05-31 2019-05-15 파이프 연결구 및 파이프 연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319975B2 (ko)
JP (1) JPWO2019230398A1 (ko)
KR (1) KR102664737B1 (ko)
CN (1) CN112204265A (ko)
TW (1) TW202004034A (ko)
WO (1) WO2019230398A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64795A (en) * 1987-05-22 1989-09-12 Uni Corp. Structural framework system and clamp assembly
US4939923A (en) * 1988-05-25 1990-07-10 Sharp Bruce R Method of retrofitting a primary pipeline system with a semi-rigid pipeline
JP2008038942A (ja) 2006-08-02 2008-02-21 Toto Kogyo Co Ltd 交差パイプ用連結金具
KR20110070655A (ko) * 2009-12-18 2011-06-24 도한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파이프 연결용 클램프
KR20120007694A (ko) * 2010-07-15 2012-01-25 심병섭 파이프의 티자형 교차부위 고정장치
JP2013194762A (ja) * 2012-03-16 2013-09-30 Star Seiki Co Ltd パイプジョイント
JP2014125850A (ja) 2012-12-27 2014-07-07 Takenaka Komuten Co Ltd 連結金具、および連結方法
JP2015024561A (ja) 2013-07-26 2015-02-05 株式会社湘南合成樹脂製作所 更生管の支保工装置および支保工工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46375A (en) * 1971-07-08 1977-09-06 Marion Pasteur Lelong Rotatable swing
GB2077837B (en) 1980-06-10 1984-06-06 Cambridge Store Syst Ltd A pipe clamp and a method of making a pipe clamp
US5015116A (en) * 1988-08-22 1991-05-14 United Technologies Corporation Structural joints of high dimensional stability
JPH06300018A (ja) * 1993-04-08 1994-10-25 Nippon Steel Corp 繊維強化樹脂製管体用の交差継手部材
KR0131510Y1 (ko) * 1996-02-27 1999-01-15 서춘식 간이 구조물조립용 체결형 접속자
US6343891B1 (en) * 1997-10-24 2002-02-05 Trevor L. Combs Cantilevered helically twisted bicycle stem clamp
US7062836B1 (en) * 2001-01-12 2006-06-20 Quixxsmart Structures, Inc. Pipe fitting apparatus and methods
US20080290655A1 (en) * 2007-05-22 2008-11-27 Chou-Lian Yang Polygonal tube rack connector
TW200951313A (en) * 2008-04-09 2009-12-16 Yazaki Ind Chem Co Ltd Structure of divided-type joint for increasing pipe connection strength
JP5297890B2 (ja) * 2008-12-03 2013-09-2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パイプハンドル保持機構
US20140223745A1 (en) * 2013-02-08 2014-08-14 Davis Eberhart Bolted Structural Connection Systems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64795A (en) * 1987-05-22 1989-09-12 Uni Corp. Structural framework system and clamp assembly
US4939923A (en) * 1988-05-25 1990-07-10 Sharp Bruce R Method of retrofitting a primary pipeline system with a semi-rigid pipeline
JP2008038942A (ja) 2006-08-02 2008-02-21 Toto Kogyo Co Ltd 交差パイプ用連結金具
KR20110070655A (ko) * 2009-12-18 2011-06-24 도한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파이프 연결용 클램프
KR20120007694A (ko) * 2010-07-15 2012-01-25 심병섭 파이프의 티자형 교차부위 고정장치
JP2013194762A (ja) * 2012-03-16 2013-09-30 Star Seiki Co Ltd パイプジョイント
JP2014125850A (ja) 2012-12-27 2014-07-07 Takenaka Komuten Co Ltd 連結金具、および連結方法
JP2015024561A (ja) 2013-07-26 2015-02-05 株式会社湘南合成樹脂製作所 更生管の支保工装置および支保工工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319975B2 (en) 2022-05-03
KR102664737B1 (ko) 2024-05-08
JPWO2019230398A1 (ja) 2021-06-24
TW202004034A (zh) 2020-01-16
CN112204265A (zh) 2021-01-08
WO2019230398A1 (ja) 2019-12-05
US20210207631A1 (en) 2021-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08495C1 (ru) Способ восстановления существующей трубы
JP6865289B2 (ja) 機械的および構造的な管類に対する機械的結合具
KR20060046606A (ko) 갱생관 및 갱생관 부설방법
KR101634142B1 (ko) 세그먼트의 연결 방법 및 연결구
KR20210014626A (ko) 파이프 연결구 및 파이프 연결 방법
KR102632684B1 (ko) 관 갱생 공법
EP1834123A1 (en) Flange
JP6300609B2 (ja) 離脱防止装置
JP6262544B2 (ja) フランジ接合部補強構造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環状保護部材
KR20120042782A (ko) 파이프 조인트
RU2302561C1 (ru) Угловое разъемное соединение труб, угловой элемент для углового разъемного соединения труб, распорная втулка для разъемного соединения труб
KR20160026450A (ko) 클램프 조립체 및 그것을 이용한 배기관 연결구조
US4300792A (en) Pipe assembly
JP4980296B2 (ja) パイプ接続構造
KR101163853B1 (ko) 파이프 조인트
WO2022024519A1 (ja) 管更生工法
WO2022107457A1 (ja) 管更生工法
US20170299095A1 (en) Pipe joint
WO2024062847A1 (ja) 連結機構
JP5419295B2 (ja) パイプ接続構造
KR20150024106A (ko) 타이로드 조립체
JP2003343085A (ja) セパレータの鉄筋側結合金具
WO2022219938A1 (ja) 管更生工法
JP6408234B2 (ja) ダクトスリーブ、ハンドホール、及びフランジ部材の製造方法
JP2020066905A (ja) 棒材の連結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