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3853B1 - 파이프 조인트 - Google Patents

파이프 조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3853B1
KR101163853B1 KR1020100009002A KR20100009002A KR101163853B1 KR 101163853 B1 KR101163853 B1 KR 101163853B1 KR 1020100009002 A KR1020100009002 A KR 1020100009002A KR 20100009002 A KR20100009002 A KR 20100009002A KR 101163853 B1 KR101163853 B1 KR 1011638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pipe joint
inserting portion
hole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90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9554A (ko
Inventor
이광남
Original Assignee
이광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광남 filed Critical 이광남
Priority to KR10201000090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3853B1/ko
Publication of KR201100895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95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38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38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44Leg joints; Corner joints
    • F16B12/50Metal corner conn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016Node corner connectors, e.g. cub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40Joints for furniture tubing
    • F16B12/42Joints for furniture tubing connecting furniture tubing to non-tubular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 F16B7/04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in angled relationship
    • F16B7/0446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in angled relationship for tubes using the innerside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이프 조인트에 관한 것으로서, 내향단턱이 형성된 프레임용 파이프를 연결하는 파이프 조인트로서, 통공이 형성된 제1몸체와, 나사공이 형성된 제2몸체로 분리 구성된 몸체부와, 상기 제1몸체와 제2몸체에서 대응되게 각각 연장되어 상기 파이프에 함께 삽입되는 제1삽입부와 제2삽입부로 분리 구성된 관삽입부와, 상기 내향단턱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1삽입부와 제2삽입부에 길이방향으로 각각 형성된 제1가압홈과 제2가압홈으로 분리 구성된 가압홈부, 및 상기 통공을 관통하여 나사공에 체결됨으로써 제1몸체와 제2몸체를 가압 밀착시키는 조절나사를 포함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간편하게 프레임용 파이프를 조립 및 해체를 할 수 있고 반복하여 재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큰 고정력으로 매우 견고하게 프레임용 파이프를 고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파이프 조인트 {Pipe Joint}
본 발명은 파이프 조인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진열대, 선반 등과 같은 조립식 구조물의 골조로 기능하는 프레임용 파이프를 편리하면서도 큰 고정력으로 매우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으며, 간편한 해체를 통해 계속적으로 반복하여 재사용을 할 수 있는 파이프 조인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열대나 선반 등과 같은 구조물은 다양한 경, 중량 물건을 진열할 목적으로 용도에 맞게 조립하여 사용되는 것으로서, 근래에는 스테인레스나 알루미늄 등의 재질로 이루어진 일정한 길이의 금속파이프를 조인트를 이용하여 서로 조립함으로써 원하는 구조로 조립할 수 있는, 소위 콤비락(combilock)이라는 상품명으로 널리 알려진 조립식 진열대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조립식 진열대는 조립 및 해체가 비교적 용이한 편이어서 진열대의 크기 및 구조를 원하는 형태로 쉽게 변경시킬 수 있음과 함께 전체적인 무게가 가벼워 이동이 용이한 장점으로 인하여, 실내 인테리어용으로는 물론이고 상품의 진열용이나 전시용 구조물 등으로도 다양하게 널리 활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조립식 진열대는 크게 볼 때 프레임용 파이프와 상기 파이프를 다양한 형태로 연결하기 위한 조인트로 구성이 되는데, 상기 파이프는 금속제 또는 플라스틱제 강관으로서 진열대를 구성하는 프레임, 즉 골조로서 기능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조인트는 통상 2개 ~ 5개의 관삽입부가 서로 수직방향으로 연장 배출된 구조로서 이들 관삽입부에 상기 파이프를 끼워 2개 이상의 파이프를 서로 연결시켜 주는 기능을 하게 되는데, 이러한 조인트는 연결하고자 하는 파이프의 갯수, 즉 관삽입부의 갯수에 따라서 2지형(二枝形), 3지형, 4지형 및 5지형 등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또한 각 관삽입부의 배치구조에 따라 직선 연결형, 직각 연결형, 평면 연결형, 입체 연결형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조인트의 종래 결합구조는 관삽입부를 연결할 파이프의 내경에 억지끼움시켜 고정하는 구조로 되어 있는 바, 파이프의 내경과 관삽입부의 외경이 일치하지 않으면 견고하게 조립하기가 곤란하여 구조가 매우 취약하게 되고, 한번 조립후 해체하여 재사용하기가 어려워 다양한 구조와 형태로 변경할 수가 없는 등 많은 문제점이 지적되어 왔다.
이에, 이러한 문제점의 해결을 위해 대한민국 특허공보 제10-0497921호에 조립식 진열대용 파이프 연결구가 개시되었는 바, 상기 파이프 연결구는 제1커플러와 제2커플러를 이격시켜 두 끼움봉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면서 파이프 내경을 지지하게 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그런데, 상기 특허공보에 개시된 종래의 파이프 연결구는 조립 및 해체가 종래에 비해 비교적 간편한 장점이 있지만, 끼움봉 사이 간격을 벌려 파이프 내경에 밀착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조절나사의 체결력이 벌려진 끼움봉 전체로 분사되어 파이프 내경에 미치게 되므로 견고한 고정력을 발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모든 끼움봉에 파이프가 삽입된 상태가 아니면 조절나사가 제2커플러를 밀어낼 때 끼움봉들의 균형이 잡히지 않아 제대로 파이프를 고정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예컨대, 3지형의 경우 상황에 따라 두 개의 끼움봉에만 파이프를 연결시켜 사용할 수도 있어야 하는데, 이 경우 제2커플러를 밀어내면, 파이프가 끼워지지 않은 끼움봉의 간격이 과도하게 벌어져 버리면서 끼움봉들간의 균형이 깨져 나머지 파이프가 삽입된 끼움봉들 또한 파이프를 제대로 고정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간편하게 조립 및 해체를 할 수 있고 반복하여 재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큰 고정력으로 파이프를 매우 견고하게 연결 고정시킬 수 있는 파이프 조인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과제해결수단으로서,
내향단턱이 형성된 프레임용 파이프를 연결하는 파이프 조인트로서, 통공이 형성된 제1몸체와, 나사공이 형성된 제2몸체로 분리 구성된 몸체부와, 상기 제1몸체와 제2몸체에서 대응되게 각각 연장되어 상기 파이프에 함께 삽입되는 제1삽입부와 제2삽입부로 분리 구성된 관삽입부와, 상기 내향단턱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1삽입부와 제2삽입부에 길이방향으로 각각 형성된 제1가압홈과 제2가압홈으로 분리 구성된 가압홈부, 및 상기 통공을 관통하여 나사공에 체결됨으로써 제1몸체와 제2몸체를 가압 밀착시키는 조절나사를 포함하는 파이프 조인트가 개시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조인트는, 상기 제2몸체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며, 중간에 절개부를 갖는 수직가압홈부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됨과 함께 직경이 점감하는 경사면이 상단부에 형성되는 수직관삽입부와, 상기 수직관삽입부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경사면에 대응하는 경사부가 저면에 형성됨과 함께 내부에 상기 조절나사의 체결이 가능한 나사공이 형성되는 조임캡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조임캡의 경사부에는 상기 절개부 사이로 돌출되어 상기 조임캡의 회전을 억제하는 걸림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절나사에 외삽되어 상기 제1몸체와 제2몸체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홈부는 그 양측단이 소정 각도 테이퍼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조인트는,
나사체결을 통한 체결력이 가압홈부와 내향돌턱에 집중되므로 종래기술에 비해 매우 큰 고정력을 가지고 파이프를 견고하게 연결 고정시킬 수 있으며, 그에 따라 한번 조립하면 장시간 안정적인 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의 밀어내는 이격방식과 달리 밀착 조여주는 힘으로 파이프를 고정하므로 모든 관삽입부에 파이프가 끼워지지 않아도 동일한 고정력으로 사용이 가능하며, 따라서 예컨대 3지형 타입의 경우에도 필요에 따라 두 개의 파이프만 견고하게 연결시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파이프를 매우 간편하게 연결시킬 수 있으며 해체도 용이하여 여러번 반복해서 재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상기한 바와 같이 구체적으로 명시한 효과 이외에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으로부터 용이하게 도출되고 기대될 수 있는 특유한 효과 또한 본 발명의 효과에 포함될 수 있음을 첨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지형 파이프 조인트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4지형 파이프 조인트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조인트의 분해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조인트의 가압 전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조인트의 가압 후 단면도,
도 8은 도 6을 파이프 내부에서 바라본 확대도,
도 9는 도 7을 파이프 내부에서 바라본 확대도,
도 10은 본 발명의 파이프 조인트에 연결되는 프레임용 파이프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5지형 파이프 조인트의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분해 사시도,
도 13은 도 11의 저면사시 부분확대도,
도 14는 도 11의 가압 전 단면도,
도 15는 도 11의 가압 후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조인트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원칙적으로 관련된 공지의 기능이나 공지의 구성과 같이 이미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지형 파이프 조인트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4지형 파이프 조인트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파이프 조인트의 분해 단면도이고, 도 6 및 7은 파이프 조인트의 가압 전/후 단면도이며, 도 8 및 9는 가압 전/후를 파이프 내부에서 바라본 확대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파이프 조인트에 연결되는 프레임용 파이프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상기한 도면들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조인트(1)는 몸체부(10)와, 관삽입부(20)와, 가압홈부(30)와, 조절나사(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몸체부(10)는 제1몸체(11)와 제2몸체(12)로 분리되어 구성되며, 상기 제1몸체(11)에는 후술할 조절나사(40)에 의해 관통되는 통공(13)이 형성되고, 상기 제2몸체(12)에는 상기 통공(13)을 관통한 조절나사(40)가 삽입 체결되는 나사공(14)이 상기 통공(13)과 같은 방향으로 형성이 된다.
상기 관삽입부(20)는 제1삽입부(21)와 제2삽입부(22)로 분리되어 구성되는데, 상기 제1삽입부(21)는 상기 몸체부(10)의 제1몸체(11)에서 일정 길이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2삽입부(22)는 상기 제1삽입부(21)에 대응되도록 상기 몸체부(10)의 제2몸체(12)에서 일정 길이로 연장 형성이 된다.
이러한 제1삽입부(21)와 제2삽입부(22)는 서로 대응되어 관 형상을 이루면서 연결하고자 하는 파이프(2)의 내부로 함께 삽입이 된다.
상기한 구성의 관삽입부(20)는 연결시킬 파이프의 형상에 따라 원형관의 형상이나 사각형관의 형상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도 1에는 몸체부(10)에 3개의 관삽입부(20)가 X축, Y축, Z축 방향으로 직각 배치된 3지형이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몸체부(10)에 4개의 관삽입부(20)가 X축, Y축, Z축 방향으로 배치된 4지형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러한 관삽입부(20)의 갯수 및 그 배치구조는 연결시킬 파이프의 갯수나 구조물의 형태에 따라 당업자가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는 설계사항에 불과한 것으로서, 2지형, 3지형, 4지형의 구조가 되도록 상기 몸체부(10)에 2개 ~ 4개가 상호 수평, 수직, 60° 등 다양한 각도로 배치될 수 있음은 당연히 알 수 있으며, 모두 본 발명의 영역 내임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가압홈부(30)는 상호 대응되도록 분리된 제1가압홈(31)과 제2가압홈(32)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제1가압홈(31)은 상기 제1삽입부(21)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제2가압홈(32)은 상기 제2삽입부(22)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이러한 가압홈부(30)의 제1가압홈(31)과 제2가압홈(32)은 상기 파이프(2)에 길이방향을 따라 내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내향단턱(3)(도 10 참조)에 대응되며, 따라서 상기 관삽입부(20)가 연결시킬 파이프(2)의 내부로 삽입되면 상기 가압홈부(30)의 내측에는 상기 파이프(2)의 내향단턱이 위치되게 된다.
이 때, 상기 가압홈부(30)는 도 8과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그 양측면부(31a, 32a)가 소정 각도 테이퍼지게 형성될 수 있는데, 즉 제1가압홈(31)의 측면부(31a)와 이에 대응하는 제2가압홈(32)의 측면부(32a)가 대칭을 이루어 각각 바깥쪽으로 소정각도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후술할 조절나사(40)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제1가압홈(31)과 제2가압홈(32)이 상호 밀착됨으로써 그 내측에 위치된 상기 내향단턱(3)을 조여 고정시킬 때 조임력을 증대시켜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따라서 상기 내향단턱(3)의 양측단 또한 이에 대응하여 테이퍼지게 형성될 수 있음은 당연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조절나사(40)는 몸체부(10)를 구성하는 상기 제1몸체(11)와 제2몸체(12)를 가압하여 서로 근접시키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이를 위해 상기 제2몸체(12)의 나사공(14)과 체결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1몸체(11)의 통공(13)을 관통하여 몸체부(10)에 설치가 된다.
이에 의해,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관삽입부(20)가 연결시킬 파이프(2)에 삽입된 상태(물론, 이 때 파이프(2)의 내향단턱(3)은 관삽입부(20)에 형성된 가압홈부(30)의 내측에 위치가 된 상태임.)에서 렌치를 이용하여 상기 조절나사(40)가 제2몸체(12)의 나사공(14)에 체결되도록 조절나사(40)를 회전시키게 되면,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조절나사(40)와 나사공(14)의 체결깊이가 증가하게 되면서 증가되는 체결깊이만큼 제2몸체(12)가 제1몸체(11)쪽으로 밀착하게 된다.
이렇게 제1몸체(10)와 제2몸체(20)가 가압 밀착하게 됨에 따라 각각에서 연장 형성된 제1삽입부(21)와 제2삽입부(22)가 밀착되고, 그에 따라 결국, 가압홈부(30)가 파이프(2)의 내향단턱(3)에 밀착되면서 조여주게 되어 파이프(2)를 견고하게 고정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조인트(1)는 제1몸체(11)를 관통한 조절나사(40)와 제2몸체(12)에 형성된 나사공(14)의 체결정도에 따라 파이프(2)의 내향단턱(3)을 조여주는 가압홈부(30)의 고정력이 결정되는데, 이러한 고정력의 증대 및 조절나사(40)에 의한 가압 해제시 제1몸체(11)와 제2몸체(12)의 원활한 이격을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조인트(1)는 탄성체(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체(50)는 바람직하게는 코일스프링으로서, 상기 조절나사(40)에 외삽되어 상기 제1몸체(11)와 제2몸체(12)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체(50)는 상기 조절나사(40)와 나사공(14)의 체결깊이 증가에 따라 제1몸체(11)와 제2몸체(12)가 밀착하게 되는 가압시에는 압축이 되었다가 체결깊이의 감소에 따른 가압 해제시에는 제1몸체(11)와 제2몸체(12)에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기능을 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5지형 파이프 조인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13은 도 11의 저면사시 부분확대도이고, 도 14 및 15는 5지형 파이프 조인트의 가압 전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이다.
상기 도 11내지 도 15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5지형 파이프 조인트는 앞에서 상술한 실시예의 구성들과 동일하되, 관삽입부(20)가 4개로 이루어져 동일 평면상에 각각 90°각도로 몸체부(10)에 배치되어 있으며, 몸체부(10)의 제2몸체(12)에 수직관삽입부(60)가 수직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조임캡(70)이 구비되는 구성상 특징을 갖는다.
동일 평면상에 배치된 4개의 관삽입부(20)와 파이프(2)의 고정방식은 전술한 것과 동일하게 제1몸체(11)와 제2몸체(12)의 가압 밀착을 통해 이루어지는 바,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면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이하에서는 특징적인 구성인 상기 수직관삽입부(60)와 조임캡(70)의 구조 및 파이프와의 고정방식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수직관삽입부(60)에는 수직가압홈부(61)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그 상단부에는 직경이 점감하는 경사면(63)이 형성된다.
상기 수직가압홈부(61)는 전술한 가압홈부(30)와 동일하게 파이프(2)의 내향단턱(3)에 대응하여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다만, 상기 수직가압홈부(61)는 두 부분으로 완전히 분리되지는 않으며 그 중간부분에 상부로부터 하향 절개된 절개부(62)가 형성되어 절개부(62)의 사이공간만큼 좁힘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수직가압홈부(61)의 양측면부도 역시 조임력 증대를 위해 테이퍼지게 형성되는 것은 당연하다.
상기 조임캡(70)은 상기 수직관삽입부(60)의 상부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그 저면에는 상기 수직관삽입부(60)의 경사면(63)에 대응하는 경사부(71)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조절나사(40)와 체결이 가능하도록 나사공(7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조임캡(70)의 경사부(71)에는 상기 수직가압홈부(61)의 절개부(62) 사이공간으로 돌출되는 걸림단턱(73)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걸림단턱(73)에 의해 상기 조임캡(70)의 회전이 억제되는 바, 조임캡(70)이 상기 조절나사(40)에 체결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걸림단턱(73)의 두께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조임캡(70)의 가압시 절개부(62)가 좁혀질 수 있도록 절개부(62) 사이의 폭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선정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해, 상기 수직관삽입부(60)가 연결대상 파이프(2)에 삽입된 상태(물론, 이 때 파이프(2)의 내향단턱(3)은 수직관삽입부(60)에 형성된 수직가압홈부(61)의 내측에 위치가 된 상태임.)에서 조절나사(40)가 조임캡(70)의 나사공(72)에 체결되도록 조절나사(40)를 회전시키게 되면, 조임캡(70)은 걸림단턱(73)이 절개부(62)에 걸려 회전이 억제되는 바, 체결깊이가 증가하게 되면서 수직관삽입부(60)를 누루면서 하향 이동을 하게 된다.
이렇게 하향 이동하는 조임캡(70)은 그 저면의 경사부(71)가 대응하는 수직관삽입부(60)의 경사면(63)을 가압하게 되면서 절개부(62)의 사이공간이 좁혀지게 되고 결국, 수직가압홈부(61)가 파이프의 내향단턱(3)에 밀착되면서 조여주게 되어 파이프를 견고하게 고정시키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도면들 중 미설명 부호 15는 제1몸체(10)에서 돌출되는 맞춤돌기이고, 16은 제2몸체(10)에 형성된 맞춤홈으로서, 서로 대응하여 가압시 제1삽입부(21)와 제2삽입부(22)의 위치가 잘 맞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설명에서는 4개의 관삽입부(20)가 90°각도로 배치된 5지형 파이프 조인트에 대한 실시예만을 설명하였으나, 3개의 관삽입부(20)를 동일 평면상에서 60°각도로 배치하고 그 수직방향으로 상기 수지관삽입부(60)를 형성시켜 4지형 파이프 조인트로 구성하는 것도 설계변경의 범주 내에서 충분히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몸체(11)를 관통한 조절나사(40)와 제2몸체(12)의 나사공(14) 및 조임캡(70)의 나사공(72)이 나사체결됨에 따라 그 체결력에 대응하는 힘으로 가압홈부(30) 및 수직가압홈부(61)가 파이프(2)의 내향단턱(3)을 가압하여 조여주게 되므로, 즉 나사체결을 통한 체결력이 가압홈부(30) 및 수직가압홈부(61)의 가압력으로 집중되므로 간격을 이격시킴으로써 체결력이 분산되는 종래의 밀어내는 방식에 비하여 보다 견고하게 그리고 안정적으로 파이프를 연결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조인트의 구성 및 작동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 및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라 할 것이다.
첨부된 도면들의 주요 부위에 대한 부호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파이프 조인트 2: 파이프
3: 내향단턱
10: 몸체부 11: 제1몸체
12: 제2몸체 13: 통공
14: 나사공 20: 관삽입부
21: 제1삽입부 22: 제2삽입부
30: 가압홈부 31: 제1가압홈
32: 제2가압홈 40: 조절나사
50: 탄성체 60: 수직관삽입부
61: 수직가압홈부 62: 절개부
63: 경사면 70: 조임캡
71: 경사부 72: 나사공
73: 걸림단턱

Claims (5)

  1. 삭제
  2. 내향단턱(3)이 형성된 프레임용 파이프(2)를 연결하기 위한 파이프 조인트(1)로서,
    통공(13)이 형성된 제1몸체(11)와, 나사공(14)이 형성된 제2몸체(12)로 분리 구성된 몸체부(10);
    상기 제1몸체(11)와 제2몸체(12)에서 대응되게 각각 연장되어 상기 파이프(2)에 함께 삽입되는 제1삽입부(21)와 제2삽입부(22)로 분리 구성된 관삽입부(20);
    상기 내향단턱(3)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1삽입부(21)와 제2삽입부(22)에 길이방향으로 각각 형성된 제1가압홈(31)과 제2가압홈(32)으로 분리 구성된 가압홈부(30);
    상기 통공(13)을 관통하여 나사공(14)에 체결됨으로써 제1몸체(11)와 제2몸체(12)를 가압 밀착시키는 조절나사(40);
    상기 제2몸체(12)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며, 중간에 절개부(62)를 갖는 수직가압홈부(61)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됨과 함께 직경이 점감하는 경사면(63)이 상단부에 형성되는 수직관삽입부(60); 및
    상기 수직관삽입부(60)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경사면(63)에 대응하는 경사부(71)가 저면에 형성됨과 함께 내부에 상기 조절나사(40)의 체결이 가능한 나사공(72)이 형성되는 조임캡(7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조인트.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캡(70)의 경사부(71)에는 상기수직가압홈부(61)의 절개부(62) 사이로 돌출되어 상기 조임캡(70)의 회전을 억제하는 걸림단턱(7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조인트.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나사(40)에 외삽되어 상기 제1몸체(11)와 제2몸체(12)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체(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조인트.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홈부(30)는 그 양측면부(31a, 32a)가 소정 각도 테이퍼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조인트.



KR1020100009002A 2010-02-01 2010-02-01 파이프 조인트 KR1011638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9002A KR101163853B1 (ko) 2010-02-01 2010-02-01 파이프 조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9002A KR101163853B1 (ko) 2010-02-01 2010-02-01 파이프 조인트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6938A Division KR101365047B1 (ko) 2012-02-20 2012-02-20 파이프 조인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9554A KR20110089554A (ko) 2011-08-09
KR101163853B1 true KR101163853B1 (ko) 2012-07-09

Family

ID=44927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9002A KR101163853B1 (ko) 2010-02-01 2010-02-01 파이프 조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38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9374B1 (ko) * 2012-06-25 2013-07-29 권택주 구조물용 조인트
KR102436032B1 (ko) * 2022-02-08 2022-08-24 주식회사 크로바가구 자성체 내입형 홀더부재에 의한 상판 조립식 테이블 체결구조 및 체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14132A (ja) 2005-09-05 2008-01-24 Shigeki Nakamura 管継手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14132A (ja) 2005-09-05 2008-01-24 Shigeki Nakamura 管継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9554A (ko) 2011-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5047B1 (ko) 파이프 조인트
US5605410A (en) Connecting mechanism for tubular frame members
US20090152225A1 (en) Shelving system
US20160051044A1 (en) Shelving brace
US11071392B2 (en) Structure for connecting a stand pole and a beam of a bunk bed and a bunk bed using the structure
JP2020526715A (ja) マウント
US6203239B1 (en) Wedge plug tubing connector
KR20150122675A (ko) 커플링 부재 및 이것을 이용한 조립 선반
KR101163853B1 (ko) 파이프 조인트
JP5619497B2 (ja) 互いに直交するよう配向された2つの要素の強制固定用装置
KR101423244B1 (ko) 조립식 옷장
KR101997169B1 (ko) 봉 형태 부재 연결장치
US11022251B1 (en) Modular rigging system using hexagonal support pieces
TW300272B (ko)
KR200366190Y1 (ko) 조립식 프레임 체결장치
KR200473592Y1 (ko) 화이트보드 스탠드
KR101656736B1 (ko) 조립식 가구용 연결구 및 그 연결구를 이용한 조립식 가구
JP2023044433A (ja) ジョイント部材、組み立てフレーム、組み立てキット、及び、ジョイント部材セット
KR102033766B1 (ko) 프레임 체결체
KR20140018613A (ko) 프레임 조립체
KR20120090441A (ko) 파이프 연결 고정장치
KR200187816Y1 (ko) 파이프 연결구
KR101208341B1 (ko) 다리 연결구를 갖는 테이블
GB2433302A (en) Connector
KR100509885B1 (ko) 척추내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1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