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4062A - 반려 동물을 위한 정수 장치 - Google Patents

반려 동물을 위한 정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4062A
KR20210014062A KR1020200041065A KR20200041065A KR20210014062A KR 20210014062 A KR20210014062 A KR 20210014062A KR 1020200041065 A KR1020200041065 A KR 1020200041065A KR 20200041065 A KR20200041065 A KR 20200041065A KR 20210014062 A KR20210014062 A KR 202100140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path
water
discharge
unit
driv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1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59735B1 (ko
Inventor
박연규
Original Assignee
박연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연규 filed Critical 박연규
Publication of KR202100140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40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97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97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00Watering equipment for stock or game
    • A01K7/02Automatic devices ; Medication dispensers
    • A01K7/06Automatic devices ; Medication dispensers actuated by the anim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01D35/04Plug, tap, or cock filters filtering elements mounted in or on a fauc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57Flow control valves: Damping or calibrated passages
    • B01D35/1573Flow control valv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Feeding And Watering For Cattle Raising And Animal Husband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반려 동물을 위한 정수 장치는 내부 공간을 제공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통과하고, 기존에 수압이 형성된 외부 유로와 연결되고, 물이 흐르는 경로를 제공하는 유로부; 상기 유로부와 연결되고, 상기 유로부에서 전달받은 물을 정화시키도록 구성된 필터부; 상기 유로부 내의 물의 유동을 차단 또는 허용하도록 구성된 유로 밸브부; 상기 유로부와 연결되고, 상기 필터부에 의해 정화된 물을 외부로 토출시키도록 구성된 토출부; 상기 토출부의 하부에 있고, 상기 토출부에서 토출된 물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물통부; 반려 동물이 오르고 내리는 공간을 제공하고, 반려 동물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 구동 플레이트; 및 상기 유로 밸브부 및 상기 구동 플레이트를 연결시키고, 상기 구동 플레이트의 상하 방향의 이동에 기초하여 유로 밸브부를 조절하는 구동 연결부로서, 상기 구동 플레이트가 하향 이동할 경우 상기 유로부가 개방되도록 상기 유로 밸브부를 조절하고, 상기 구동 플레이트가 상향 이동할 경우 상기 유로부가 차단되도록 상기 유로 밸브부를 조절하도록 구성된 상기 구동 연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반려 동물을 위한 정수 장치{WATER PURIFIER FOR COMPANION ANIMAL}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정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반려 동물을 위한 정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반려 동물에 관련한 시장은 세계적으로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우리 나라의 경우 사회적인 핵가족화와 고령화의 진행으로 독신자와 노년층이 증가함에 따라 반려 동물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반려 동물을 위한 많은 제품들이 출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구체적으로, 반려 동물의 건강을 위한 많은 제품들이 출시되고 있다.
반려 동물은 그들의 건강을 위해 깨끗한 물을 자주 마실 필요성이 있다. 예를 들어, 고양이들이 충분한 수분 섭취를 하지 못하거나 깨끗한 물을 마시지 못하는 경우, 고양이들의 신장 기능에 이상이 생길 수 있다. 해외 연구에 의하면, 수명이 15년 이상인 고양이들 중 약 30%가 충분한 수분 섭취를 하지 못해 만성신부전증을 앓고 있다. 또한, 만성신부전증을 앓는 고양이의 치료는 많은 비용을 발생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 중 하나는 소음이 적은 반려 동물을 위한 정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 중 하나는 반려 동물이 목이 마를 때 흐르는 정수를 제공할 수 있는 정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 중 하나는 반려 동물의 물 마시는 재미를 유발시킬 수 있는 정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로, 내부 공간을 제공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통과하고, 기존에 수압이 형성된 외부 유로와 연결되고, 물이 흐르는 경로를 제공하는 유로부; 상기 유로부와 연결되고, 상기 유로부에서 전달받은 물을 정화시키도록 구성된 필터부; 상기 유로부 내의 물의 유동을 차단 또는 허용하도록 구성된 유로 밸브부; 상기 유로부와 연결되고, 상기 필터부에 의해 정화된 물을 외부로 토출시키도록 구성된 토출부; 상기 토출부의 하부에 있고, 상기 토출부에서 토출된 물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물통부; 반려 동물이 오르고 내리는 공간을 제공하고, 반려 동물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 구동 플레이트; 및 상기 유로 밸브부 및 상기 구동 플레이트를 연결시키고, 상기 구동 플레이트의 상하 방향의 이동에 기초하여 유로 밸브부를 조절하는 구동 연결부로서, 상기 구동 플레이트가 하향 이동할 경우 상기 유로부가 개방되도록 상기 유로 밸브부를 조절하고, 상기 구동 플레이트가 상향 이동할 경우 상기 유로부가 차단되도록 상기 유로 밸브부를 조절하도록 구성된 상기 구동 연결부;
를 포함하는 반려 동물을 위한 정수 장치를 제공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물통부는 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 홀을 갖고, 상기 정수 장치는, 상기 배출 홀과 연결되고, 상기 물통부의 상기 배출 홀을 통해 전달된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구성된 배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정수 장치는, 일 측이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고, 타 측이 구동 플레이트와 결합되고, 상기 구동 플레이트에 상하 방향의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탄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구동 연결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있는 도르래; 상기 구동 플레이트 및 상기 도르래를 연결시키도록 구성된 제1 와이어로서, 일 측은 상기 구동 플레이트와 결합되고, 타 측은 상기 도르래와 결합된 상기 제1 와이어; 및 상기 도르래를 감싸는 제2 와이어로서, 일 측은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고, 타 측은 상기 유로 밸브부와 결합되는 상기 제2 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에는 복수의 고정 홀들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와이어의 일 측은 반려 동물의 무게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고정 홀들 중 어느 하나에 삽입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물통부는 중앙 부분; 및 가장자리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중앙 부분은, 상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이고, 상기 가장자리 부분은, 상기 토출부에서 토출된 물을 저장하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오목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을 상하 방향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된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플레이트는,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있고, 상기 지지부가 통과하는 관통 홀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구동 플레이트의 상면의 면적은, 상기 하우징의 상면의 면적보다 크고, 상기 구동 플레이트는, 상기 하우징의 정면에 마련되고, 외부에 노출된 제1 영역; 및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마련되고, 외부에 노출된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 플레이트의 일 측면은 상기 하우징의 일 측면과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구동 플레이트는 뒤집어 쓸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구동 플레이트를 뒤집어 쓰는 경우에도, 상기 구동 플레이트의 일 측면은 상기 하우징의 일 측면과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반려 동물을 위한 정수 장치는 상기 구동 플레이트와 연결되고, 상기 구동 플레이트에 상하 방향의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탄성부; 및 상기 탄성부가 구동 플레이트에 가하는 탄성력의 세기를 조절하도록 구성된 탄성 조절부로서,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 고정되고, 상기 탄성부와 연결되고, 제1 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탄성부를 수축 또는 인장시키도록 구성된 제1 기어; 및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 기어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된 제2 기어; 를 포함하는 상기 탄성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제2 기어의 일 면은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노출되고, 상기 하우징에 의해 노출되는 상기 제2 기어의 일 면은 회전 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토출부는, 토출 케이싱에 의해 둘러싸이고, 중력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정수를 토출하여 상기 토출 케이싱의 상부에 정화된 물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반려 동물을 위한 정수 장치는 상기 물통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광을 조사하도록 구성된 제1 발광 소자; 및 상기 토출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광을 조사하도록 구성된 제2 발광 소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로, 내부 공간을 제공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통과하고, 기존에 수압이 형성된 외부 유로와 연결되고, 물이 흐르는 경로를 제공하는 유로부; 상기 유로부 내의 물의 유동을 차단 또는 허용하도록 구성된 유로 밸브부; 상기 유로부와 연결되고, 물을 외부로 토출시키도록 구성된 토출부; 상기 토출부의 하부에 있고, 상기 토출부에서 토출된 물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물통부;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마련되고, 반려 동물이 오르고 내리는 공간을 제공하고, 반려 동물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 구동 플레이트; 및 상기 유로 밸브부 및 상기 구동 플레이트를 연결시키고, 상기 구동 플레이트의 상하 방향의 이동에 기초하여 유로 밸브부를 조절하는 구동 연결부로서, 상기 구동 플레이트가 하향 이동할 경우 상기 유로부가 개방되도록 상기 유로 밸브부를 조절하고, 상기 구동 플레이트가 상향 이동할 경우 상기 유로부가 차단되도록 상기 유로 밸브부를 조절하도록 구성된 상기 구동 연결부;를 포함하는 반려 동물을 위한 급수 장치를 제공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반려 동물을 위한 급수 장치는, 상기 유로부의 일부와 연결되고, 상기 유로부 내의 수압을 조절하도록 구성된 제1 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반려 동물을 위한 정수 장치는 반려 동물이 구동 플레이트에 가하는 외력에 의해 작동될 수 있어서, 정수 장치는 모터, 펌프와 같은 구동 장치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개시의 반려 동물을 위한 정수 장치는 소음이 적을 수 있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반려 동물을 위한 정수 장치는 물통부 내에 정수를 일시적으로 저장한 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정수 장치가 제공하는 정수는 물통부 내에서 오염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정수 장치의 물통부의 관리가 용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반려 동물을 위한 정수 장치는 반려 동물에 의해 작동될 수 있어서, 반려 동물의 물 마시는 재미를 유발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반려 동물을 위한 정수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제1 작동 상태에서의 반려 동물을 위한 정수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제2 작동 상태에서의 반려 동물을 위한 정수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반려 동물을 위한 정수 장치의 평면도들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반려 동물을 위한 정수 장치의 하부를 입체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반려 동물을 위한 정수 장치의 유로 밸브부를 확대한 도면들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반려 동물을 위한 정수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X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9의 Y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반려 동물을 위한 정수 장치의 유로부 및 토출부를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반려 동물을 위한 정수 장치의 내부의 일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반려 동물을 위한 정수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반려 동물을 위한 정수 장치의 내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반려 동물을 위한 정수 장치의 일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반려 동물을 위한 장치를 활용하여 물을 마시는 반려 동물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8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반려 동물을 위한 정수 장치의 일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개시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로 인해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개시를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 해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동일한 부호는 시종 동일한 요소를 의미한다. 나아가, 도면에서의 다양한 요소와 영역은 개략적으로 그려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 개념은 첨부한 도면에 그려진 상대적인 크기나 간격에 의해 제한되어지지 않는다.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여기에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기술 용어와 과학 용어를 포함하여 본 발명 개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공통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바와 동일한 의미를 지닌다. 또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바와 같은 용어들은 관련되는 기술의 맥락에서 이들이 의미하는 바와 일관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여기에 명시적으로 정의하지 않는 한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될 것임은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반려 동물을 위한 정수 장치(10)의 단면도이다. 본 개시의 반려 동물을 위한 정수 장치(10)는 반려 동물에 의해 직접 작동되고, 반려 동물에게 깨끗한 물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장치일 수 있다.
도 1을 참조할 때, 본 개시의 반려 동물을 위한 정수 장치(10)는 하우징(110), 필터부(120), 유로부(130), 구동 플레이트(140), 유로 밸브부(150), 구동 연결부(160), 토출부(170), 물통부(180), 및 배수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하우징(110)은 내부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하우징(110)은 상기 내부 공간에서 필터부(120), 연결부(160), 및 유로 밸브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유로부(130) 및 배수부(190)는 하우징(110)의 상기 내부 공간을 통과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필터부(120)는 유로부(130)에 흐르는 물을 정화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유로부(130)에 흐르는 물은 필터부(120)를 거치면서 정화될 수 있다. 또한, 필터부(120)는 복수의 필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서 필터부(120)는 3개의 필터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필터부(120)는 다양한 개수의 필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에 한정되지 않고, 필터부(120)는 1개의 필터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필터부(120)는 침전 필터, 카본 필터, 중공사막 필터, 역삼투압 필터, 이온 교환 수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필터부(120)는 물을 정화시키기 위한 다양한 종류의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유로부(130)는 물이 흐르는 경로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유로부(130)는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을 통과할 수 있다. 유로부(130) 내의 물은 압력에 의해 필터부(120)를 거쳐 토출부(170)로 흐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유로부(130)의 일 측은 기존에 수압이 형성된 외부 유로(101)와 결합될 수 있다. 유로부(130)의 일 측이 기존에 수압이 형성된 외부 유로(101)와 결합될 수 있어서, 본 개시의 반려 동물을 위한 정수 장치(10)는 유로부(130) 내의 물이 토출부(170)로 흐를 수 있도록 유압을 제공하는 모터 및 펌프와 같은 동력 장치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존에 수압이 형성된 외부 유로(101)는 화장실의 수압이 형성된 배관, 싱크대의 수압이 형성된 배관, 베란다의 수압이 형성된 배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유로부(130)의 타 측은 토출부(170)와 결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유로부(130)는 기존에 수압이 형성된 외부 유로(101)와 결합될 수 있어서, 유로부(130) 내의 물은 별도의 동력 장치 없이 필터부(120)를 거쳐 토출부(170)로 토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개시의 반려 동물을 위한 정수 장치(10)는 소음이 적을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구동 플레이트(140)는 하우징(110)의 하부에 마련된플레이트일 수 있다. 또한, 구동 플레이트(140)는 반려 동물이 오르고 내릴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 플레이트(140)는 반려 동물이 오르고 내리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구동 플레이트(140)는 본 개시의 정수 장치(10)를 작동시키기 위한 플레이트일 수 있다. 구동 플레이트(140)는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려 동물이 구동 플레이트(140) 상에 오를 때, 구동 플레이트(140)는 반려 동물의 무게에 의해 하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또한, 반려 동물이 구동 플레이트(140)에서 내릴 때, 구동 플레이트(140)는 후술할 제1 와이어(w1)의 외력 또는 도 13의 탄성부(400)의 탄성력에 의해 상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반려 동물을 위한 정수 장치(10)는 반려 동물이 구동 플레이트(140) 상에 올라탈 때 작동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반려 동물이 구동 플레이트(140) 상에 올라탈 때, 토출부(170)로부터 정수의 토출이 시작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정수 장치(10)는 반려 동물이 구동 플레이트(140)에서 내릴 때, 토출부(170)로부터 정수의 토출이 중단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유로 밸브부(150)는 유로부(130) 내의 물의 유동을 차단 또는 허용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로 밸브부(150)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유로 밸브부(150)는 유로부(130) 내의 물의 유동을 차단시킬 수 있다. 유로 밸브부(150)의 상기 제1 위치는 토출부(170)에서 정수가 외부로 토출되지 않을 때의 유로 밸브부(150)의 위치일 수 있다.
또한, 유로 밸브부(150)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유로 밸브부(150)는 유로부(130) 내의 물의 유동을 허용할 수 있다. 유로 밸브부(150)의 상기 제2 위치는 토출부(170)에서 정수가 외부로 토출될 때의 유로 밸브부(150)의 위치일 수 있다.
구동 플레이트(140)에 반려 동물이 올라타지 않을 때, 유로 밸브부(150)는 상기 제1 위치에 있을 수 있다. 또한, 구동 플레이트(140)에 반려 동물이 올라탈 때, 유로 밸브부(150)는 상기 제2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구동 연결부(160)는 유로 밸브부(150) 및 구동 플레이트(140)를 연결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구동 연결부(160)는 구동 플레이트(140)의 상하 방향의 이동에 기초하여 유로 밸브부(150)를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동 연결부(160)는 반려 동물이 구동 플레이트(140)에 가하는 외력을 유로 밸브부(150)에 전달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구동 연결부(16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르래(161), 제1 와이어(w1) 및 제2 와이어(w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와이어(w1)의 일 측은 구동 플레이트(140)와 결합될 수 있고, 제1 와이어(w1)의 타 측은 도르래(161)와 결합될 수 있다. 제2 와이어(w2)의 일 측은 하우징(110)과 결합될 수 있고, 타 측은 유로 밸브부(150)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2 와이어(w2)의 일부는 도르래(161)를 감쌀 수 있다.
구동 플레이트(140)가 하향으로 움직일 때(즉, 반려 동물이 구동 플레이트(140) 상에 올라탈 때), 제1 와이어(w1)는 도르래(161)에 하향의 외력을 가할 수 있다. 도르래(161)가 제1 와이어(w1)에 의해 하향으로 움직일 때, 도르래(161)는 제2 와이어(w2)에 하향의 외력을 가할 수 있다.
제2 와이어(w2)가 도르래(161)에 의해 하향으로 움직일 때, 제2 와이어(w2)는 유로 밸브부(150)에 하향의 외력을 가할 수 있다. 유로 밸브부(150)는 제2 와이어(w2)의 외력에 의해 전술한 상기 제2 위치에 있을 수 있고, 유로부(130)를 개방할 수 있다. 이 때, 정수는 유로부(130)에서 토출부(170)로 흐를 수 있고, 토출부(170)는 정수를 토출할 수 있다.
반려 동물이 구동 플레이트(140)에서 내릴 때, 유로 밸브부(150)는 전술한 상기 제1 위치로 회복될 수 있고, 유로부(130)를 차단할 수 있다. 이 때, 정수는 유로부(130)에서 토출부(170)로 흐르지 않을 수 있고, 토출부(170)는 정수의 토출을 중단할 수 있다. 제2 와이어(w2)가 도르래(161)에 가하는 상향의 외력에 의해, 도르래(161)는 상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도르래(161)가 상향으로 움직임에 따라, 제1 와이어(w1)는 구동 플레이트(140)에 상향의 외력을 가할 수 있다. 이 때, 구동 플레이트(140)는 상향으로 이동하여 원래의 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토출부(170)는 필터부(120)에 의해 정화된 물을 외부로 토출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토출부(170)는 중력 방향으로 정수를 떨어뜨리도록 구성된 노즐일 수 있다. 토출부(170)가 중력 방향으로 정수를 떨어뜨림에 따라, 반려 동물은 토출부(170)에서 떨어지는 정수를 마실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토출부(170)는 토출 케이싱(175)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토출 케이싱(175)은 노즐의 측면들을 둘러싸고, 노즐의 분사 면을 노출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노즐의 분사 면은 토출 케이싱(175)의 하부에서 노출될 수 있다. 또한, 토출 케이싱(175)은 하우징(110)의 전면에 결합된 부채꼴 형상의 케이싱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물통부(180)는 토출부(170)의 하부에 마련되고, 상기 토출부(170)에서 토출된 물을 저장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물통부(180)는 물통 케이싱(181) 및 배출 홀(H1)을 포함할 수 있다. 물통 케이싱(181)은 토출부(170)로부터 토출된 정수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물통 케이싱(181)은 토출된 정수를 일시적으로 저장한다.'의 내용은 '물통 케이싱(181)은 토출된 정수를 반려 동물이 구동 플레이트(140)에 올라타서 정수를 마시는 동안에만 저장한다.'의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반려 동물은 물통 케이싱(181)에 일시적으로 저장된 물을 마실 수 있다.
물통부(180)는 하우징(110)과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통부(180)는 다양한 높이를 형성하면서 하우징(110)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물통부(180)는 하우징(11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물통부(180)에 외력을 가해, 물통부(180)를 하우징(110)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물통부(180) 및 하우징(110)은 일체화될 수 있다.
물통 케이싱(181)의 내부의 중앙 부분은 테이퍼(tapered) 형상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물통 케이싱(181)의 내부의 중앙 부분은 상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토출부(170)에서 물통 케이싱(181)으로 떨어지는 정수가 외부에 튀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물통 케이싱(181)의 가장자리 부분은 토출부(170)에서 토출된 정수를 저장하기 위해 오목한 형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토출부(170)에서 토출된 정수는 물통 케이싱(181)의 가장자리 부분에 저장될 수 있다.
물통부(180)는 배출 홀(H1)을 포함할 수 있다. 물통 케이싱(181)에 저장된 정수는 배출 홀(H1)에 의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물통 케이싱(181)에 저장된 정수는 배출 홀(H1) 및 배수부(190)를 순차적으로 거쳐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물통부(180)가 배출 홀(H1)을 포함할 수 있어서, 물통 케이싱(181)에는 정수가 오랜 시간 고여있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술한 바와 같이, 물통 케이싱(181)은 토출부(170)로부터 토출된 정수를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물통부(180)가 배출 홀(H1)을 통해 외부로 물을 배출할 수 있어서, 외부 환경으로부터의 물통 케이싱(181) 내의 정수가 오염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고, 물통 케이싱(181)의 관리가 용이할 수 있다.
배수부(190)는 물통부(180)의 배출 홀(H1)과 연결될 수 있고, 물통부(180) 내이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반려 동물이 본 개시의 반려 동물을 위한 정수 장치(10)의 구동 플레이트(140)에 올라탈 때, 토출부(170)는 정수의 토출을 시작할 수 있다. 또한, 반려 동물이 반려 동물을 위한 정수 장치(10)의 구동 플레이트(140)에서 내릴 때, 토출부(170)는 정수의 토출을 중단시킬 수 있다. 즉, 본 개시의 반려 동물을 위한 정수 장치(10)는 반려 동물이 구동 플레이트(140)에 가하는 하향의 외력(즉, 반려 동물의 무게)을 통해 작동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반려 동물을 위한 정수 장치(10)는 반려 동물이 구동 플레이트(140)에 가하는 외력에 의해 작동될 수 있어서, 정수 장치(10)는 모터, 펌프와 같은 구동 장치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어서 소음이 적을 수 있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반려 동물을 위한 정수 장치(10)는 물통부(180) 내에 정수를 일시적으로 저장한 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어서, 정수 장치(10)가 제공하는 정수는 물통부(180) 내에서 오염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정수 장치(10)의 물통부(180)의 관리가 용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반려 동물을 위한 정수 장치(10)는 반려 동물에 의해 작동될 수 있어서, 반려 동물의 물 마시는 재미를 유발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제1 작동 상태에서의 반려 동물을 위한 정수 장치(10)의 단면도이다. 상기 제1 작동 상태는 반려 동물이 구동 플레이트(140)의 무게 중심과 인접한 영역에 올라타서 정수 장치(10)를 작동시키는 상태일 수 있다. 또한 도 2를 참조할 때, 상기 제1 작동 상태는 구동 플레이트(140)의 상면과 하우징(110)의 하면이 실질적 평행을 유지하면서 구동 플레이트(140)가 하향으로 움직이는 상태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반려 동물을 위한 정수 장치(10)가 상기 제1 작동 상태에 있을 때, 구동 플레이트(140)는 구동 연결부(160)에 하향의 외력을 가하여 구동 연결부(160)를 하향으로 구동시킬 수 있다. 또한, 구동 연결부(160)가 하향으로 구동될 때, 구동 연결부(160)는 유로 밸브부(150)에 하향의 외력을 가할 수 있다. 이 때, 유로 밸브부(150)는 전술한 상기 제2 위치에 있을 수 있고, 토출부(170)는 정수를 토출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작동 상태에서 제1 와이어(w1)는 도르래(161)에 하향의 외력을 가할 수 있다. 도르래(161)가 제1 와이어(w1)에 의해 하향으로 움직일 때, 도르래(161)는 제2 와이어(w2)에 하향의 외력을 가할 수 있다. 제2 와이어(w2)가 도르래(161)에 의해 하향으로 움직일 때, 제2 와이어(w2)는 유로 밸브부(150)에 하향의 외력을 가할 수 있다. 유로 밸브부(150)는 제2 와이어(w2)의 외력에 의해 전술한 상기 제2 위치에 있을 수 있고, 토출부(170)는 정수를 토출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제2 작동 상태에서의 반려 동물을 위한 정수 장치(10)의 단면도이다. 상기 제2 작동 상태는 반려 동물이 구동 플레이트(140)의 무게 중심과 인접하지 않은 영역에 올라타서 정수 장치(10)를 작동시키는 상태일 수 있다. 또한 도 3을 참조할 때, 상기 제2 작동 상태는 구동 플레이트(140)의 상면과 하우징(110)의 하면이 평행하지 않으면서 구동 플레이트(140)가 하향으로 움직이는 상태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반려 동물을 위한 정수 장치(10)가 상기 제2 작동 상태에 있을 때, 구동 플레이트(140)는 구동 연결부(160)에 하향의 외력을 가하여 구동 연결부(160)를 하향으로 구동시킬 수 있다. 또한, 구동 연결부(160)가 하향으로 구동될 때, 구동 연결부(160)는 유로 밸브부(150)에 하향의 외력을 가할 수 있다. 이 때, 유로 밸브부(150)는 전술한 상기 제2 위치에 있을 수 있고, 토출부(170)는 정수를 토출할 수 있다.
즉, 반려 동물이 구동 플레이트(140)의 무게 중심과 인접한 영역 및 무게 중심과 인접하지 않은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에 올라타는 경우, 반려 동물을 위한 정수 장치(10)는 작동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반려 동물을 위한 정수 장치(10)의 평면도들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할 때, 구동 플레이트(140)의 상면의 면적은 하우징(110)의 상면의 면적보다 클 수 있다. 구동 플레이트(140)는 제1 영역(A) 및 제2 영역(B)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반려 동물을 위한 정수 장치(10)를 평면적 관점에서 봤을 경우, 구동 플레이트(140)의 제1 영역(A)은 하우징(110)의 정면에 마련되고, 외부에 노출된 구동 플레이트(140)의 일 영역일 수 있다.
또한, 구동 플레이트(140)의 제2 영역(B)은 하우징(110)의 측면에 마련되고, 외부에 노출된 구동 플레이트(140)의 일 영역일 수 있다. 반려 동물은 제1 영역(A) 및 제2 영역(B)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영역에 올라타서, 정수 장치(10)가 제공하는 물을 마실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구동 플레이트(140)의 일 측면은 하우징(110)의 일 측면과 자기 정렬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정수 장치(10)를 위에서 아래로 내려다 볼 때, 구동 플레이트(140)의 상기 일 측면과 하우징(110)의 상기 일 측면은 정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반려 동물을 위한 정수 장치(10)의 상기 일 측면은 벽에 용이하게 부착될 수 있고, 상기 반려 동물을 위한 정수 장치(10)가 화장실 또는 주방 내에서 차지하는 공간이 줄어들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구동 플레이트(140)는 뒤집어서 쓰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함께 참조할 때, 구동 플레이트(140)를 뒤집어 쓸 때에도, 구동 플레이트(140)의 일 측면과 하우징(110)의 일 측면은 동일 선상에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개시의 정수 장치(10)의 공간적 활용이 증대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반려 동물을 위한 정수 장치(10)의 하부를 입체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구동 플레이트(140)는 관통 홀(H2)을 가질 수 있다. 관통 홀(H2)은 하우징(110)에 형성된 지지부(111)의 단면보다 큰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111)는 하우징(110)의 하부에 있고, 상기 하우징(110)을 상하 방향으로 지지하기 위한 구조물일 수 있다. 또한, 지지부(111)는 구동 플레이트(140)의 관통 홀(H2)을 통과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와이어(w1)는 구동 플레이트(140)와 결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와이어(w1)는 고정 부재(201)와 결합될 수 있고, 고정 부재(201)는 구동 플레이트(140)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반려 동물을 위한 정수 장치(10)의 유로 밸브부(150)를 확대한 도면들이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2 와이어(w2)는 유로 밸브부(150)와 결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와이어(w2)는 별도의 연결 부재를 통해 유로 밸브부(150)와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와이어(w2) 및 유로 밸브부(150)는 각각 결합 링들을 포함하여, 상호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2 와이어(w2)는 유로 밸브부(150)와 직접적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도 7을 참조할 때, 유로 밸브부(150)는 전술한 상기 제1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유로 밸브부(150)가 상기 제1 위치에 있을 때, 유로 밸브부(150)는 유로부(130) 내의 물의 유동을 차단시킬 수 있고, 토출부(170)는 정수를 외부로 토출시키지 않을 수 있다.
도 8을 참조할 때, 유로 밸브부(150)는 전술한 상기 제2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유로 밸브부(150)가 상기 제2 위치에 있을 때, 유로 밸브부(150)는 유로부(130) 내의 물의 유동을 허용할 수 있고, 토출부(170)는 정수를 외부로 토출시킬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유로 밸브부(150)는 복수의 밸브 홀들(150H)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와이어(w2)는 복수의 밸브 홀들(150H)중 어느 하나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와이어(w2)의 결합 위치에 따라, 유로 밸브부(150)의 개방에 인가에 필요한 외력의 세기가 달라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와이어(w2)는 반려 동물의 무게에 기초하여, 복수의 밸브 홀들(150H)중 어느 하나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개시의 반려 동물용 정수 장치(10)는 반려 동물의 무게를 고려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반려 동물용 정수 장치(10)는 반려 동물이 성장하는 동안 계속하여 사용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반려 동물을 위한 정수 장치(10)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X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고, 도 11은 도 9의 Y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을 함께 참조할 때, 하우징(110)의 전면에는 복수의 고정 홀들(H3)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와이어(w2)의 일 측은 복수의 고정 홀들(H3) 중 어느 하나에 삽입 결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고정 홀들(H3)은 제2 와이어(w2)가 결합될 수 있는 복수의 홀들일 수 있다.
또한, 제2 와이어(w2)가 결합되는 고정 홀(H5)의 위치에 기초하여, 제2 와이어(w2)의 장력이 변경될 수 있다. 제2 와이어(w2)는 반려 동물의 무게에 기초하여, 복수의 고정 홀들(H3) 중 어느 하나에 삽입 결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사용자는 반려 동물의 무게에 따라 제2 와이어(w2)가 결합되는 고정 홀(H3)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개시의 반려 동물용 정수 장치(10)는 반려 동물의 무게를 고려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반려 동물용 정수 장치(10)는 반려 동물이 성장하는 동안 계속하여 사용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1을 함께 참조할 때, 물통부(180)는 물통 케이싱(181) 및 배출 홀(H1)을 포함할 수 있다. 물통 케이싱(181)은 토출부(170)로부터 토출된 정수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물통 케이싱(181)의 내부의 중앙 부분은 테이퍼 형상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물통 케이싱(181)의 내부의 중앙 부분은 상향으로 갈수록 단면이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일 수 있다. 또한, 물통 케이싱(181)의 가장자리 부분은 토출부(170)에서 토출된 물을 저장하기 위한 오목한 형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토출부(170)에서 토출된 물은 물통 케이싱(181)의 내부의 가장자리 영역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토출부(170)는 정수를 물통 케이싱(181)의 내부의 중앙 부분에 떨어뜨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토출된 정수는 물통 케이싱(181)의 상기 내부 중앙 부분의 형상에 의해 외부로 튀지 않을 수 있고, 물통 케이싱(181)의 가장자리 영역에 저장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물통부(180)는 배출 홀(H1)을 포함할 수 있다. 물통 케이싱(181)에 저장된 물은 배출 홀(H1)에 의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물통 케이싱(181)에 저장된 물은 배출 홀(H1) 및 배수부(190)를 순차적으로 거쳐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려 동물이 구동 플레이트(140)에 올라타서 정수를 마신 후 구동 플레이트(140)에서 내릴 때, 케이싱(181)에 저장된 정수는 배출 홀(H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물통부(180)가 배출 홀(H1)을 포함할 수 있어서, 물통부(180)는 정수를 일시적으로 저장한 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정수 장치(10)가 제공하는 정수는 물통 케이싱(181) 내에서 오염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2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반려 동물을 위한 정수 장치(10)의 유로부(130) 및 토출부(170)를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12를 참조할 때, 본 개시의 토출부(170)는 체크 밸브(310)를 포함할 수 있다. 체크 밸브(310)는 정수 장치(10)가 작동되지 않을 때, 정수의 역류를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체크 밸브(310)는 토출부(170) 내의 정수가 유로부(130) 내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3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반려 동물을 위한 정수 장치(10)의 내부의 일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할 때, 본 개시의 반려 동물을 위한 정수 장치(10)는 탄성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탄성부(400)의 일 측은 하우징(110)의 내측과 결합될 수 있고, 탄성부(400)의 타 측은 구동 플레이트(140)와 결합될 수 있다. 탄성부(400)는 구동 플레이트(140)에 상하 방향의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예를 들어 탄성부(400)는 코일 스프링일 수 있다.
반려 동물이 구동 플레이트(140)에서 내려갈 때, 탄성부(400)는 구동 플레이트(140)에 상향의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동 플레이트(140)는 상향으로 용이하게 움직일 수 있고, 유로 밸브부(150)는 유로부(130) 내의 물의 유동을 차단시킬 수 있다.
도 14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반려 동물을 위한 정수 장치(20)의 단면도이고, 도 15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반려 동물을 위한 정수 장치(20)의 내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14 및 15의 반려 동물을 위한 정수 장치(20) 및 도 1의 반려 동물을 위한 정수 장치(10)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도 14 및 도 15를 함께 참조할 때, 반려 동물을 위한 정수 장치(20)는 탄성부(400) 및 탄성 조절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 조절부(500)는 제1 기어(510) 및 상기 제1 기어(510)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된 제2 기어(520)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탄성부(400)의 일 측은 탄성 조절부(500)의 일 부분과 연결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탄성부(400)의 일 측은 탄성 조절부(500)의 제1 기어(51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탄성부(400)의 타 측은 구동 플레이트(140)와 결합될 수 있다. 탄성부(400)는 구동 플레이트(140)에 상하 방향의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예를 들어, 탄성부(400)는 스프링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탄성부(400)가 구동 플레이트(140)에 가하는 탄성력의 세기는 탄성 조절부(500)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 플레이트(140) 상에 올라타는 반려 동물의 무게에 기초하여, 탄성 조절부(500)는 탄성부(400)가 구동 플레이트(140)에 가하는 탄성력의 세기를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탄성 조절부(500)의 제1 기어(510)는 하우징(110)의 내면에 고정되고, 제1 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방향은 하우징(110)의 측면을 수직으로 관통하는 방향과 평행한 방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기어(510)는 제1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 나선형 기어(spiral gear)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기어(510)는 탄성부(400)의 일 측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기어(510)가 회전함에 따라, 탄성부(400)는 수축 또는 인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기어(510)의 회전 정도에 기초하여, 탄성부(400)가 구동 플레이트(140)에 가하는 탄성력의 세기의 정도가 조절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탄성 조절부(500)의 제2 기어(520)는 하우징(110) 내에서 제2 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제1 기어(510)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제1 방향과 수직인 방향이고, 하우징(110)의 전면을 수직으로 관통하는 방향과 평행한 방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기어(520)는 제1 기어를 회전시키기 위해 제2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 웜 기어(worm gear)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2 기어(520)의 일 측은 하우징(110)의 내면에 결합될 수 있고, 제2 기어(520)의 타 측은 하우징(110)의 전면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2 기어(520)의 일 면은 하우징(110)의 전면으로부터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제2 기어(520)의 노출된 일 면은 회전 홈(520H)을 가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회전 홈(520H)에 드라이버 등과 같은 부재를 삽입하여, 제2 기어(52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기어(510)의 회전 정도가 조절될 수 있고, 또한, 탄성부(400)가 구동 플레이트(140)에 가하는 탄성력의 세기의 정도가 조절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반려 동물을 위한 정수 장치(20)는 제1 밸브(5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밸브(570)는 기존에 수압이 형성된 외부 유로(101) 및 필터부(120) 사이의 유로부(130)와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전술한 바에 한정되지 않고, 제1 밸브(570)는 필터부(120) 및 토출부(170) 사이의 유로부(130)에 결합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밸브(570)는 유로부(130) 내의 수압을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밸브(570)는 유로부(130) 내의 물의 압력을 떨어뜨리도록 구성된 감압 밸브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밸브(570)는 유로부(130)의 단면적을 조절하여, 물의 압력 및 속도 등을 조절할 수 있다.
도 16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반려 동물을 위한 정수 장치(30)의 일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16의 반려 동물을 위한 정수 장치(30) 및 도 1의 반려 동물을 위한 정수 장치(10)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토출부(670)는 토출 케이싱(680)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토출 케이싱(680)은 노즐의 측면들을 둘러싸고, 분사 면을 노출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노즐의 분사 면은 토출 케이싱(680)의 상부에서 노출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토출부(670)는 필터부(120)에 의해 정화된 물을 토출 케이싱(680)의 상부에 토출시키도록 구성된 노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토출부(670)는 중력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정수를 토출하여, 토출 케이싱(680)의 상부에 정수를 제공할 수 있다. 토출부(670)가 중력 반대 방향으로 정수를 토출함에 따라, 반려 동물은 토출 케이싱(680)의 상부에 있는 물을 마실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토출 케이싱(680)의 상부에는 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홈(680H)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토출부(670)에서 토출된 정수는 토출 케이싱(680)의 홈(680H)을 통해 흐를 수 있다. 토출 케이싱(680)이 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홈(680H)을 가질 수 있어서, 상기 홈(680H) 내에 있는 정수는 좁은 폭을 가지면서 물통부(180)로 떨어질 수 있다.
도 17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반려 동물을 위한 장치(30)를 활용하여 물을 마시는 반려 동물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도 17의 (a)를 참조할 때, 토출부(670)가 중력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정수를 토출하여, 토출 케이싱(680)의 상부에 정수를 제공하는 경우, 반려 동물은 토출 케이싱(680)의 상부에 있는 물을 마실 수 있다.
또한, 도 17의 (b)를 참조할 때, 토출 케이싱(680)의 상부에 있는 물은 중력 방향으로 흐를 수 있다. 이에 따라, 반려 동물은 토출 케이싱(680)에서부터 물통부(180)로 떨어지는 물을 마실 수도 있다.
또한, 도 17의 (c)를 참조할 때, 반려 동물은 물통부(180) 내에 저장된 물을 마실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토출부(670)가 중력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정수를 토출시킬 수 있어서, 본 개시의 정수 장치(30)는 반려 동물의 물 마시는 재미를 유발시킬 수 있고, 반려 동물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8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반려 동물을 위한 정수 장치(40)의 일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18의 반려 동물을 위한 정수 장치(40) 및 도 1의 반려 동물을 위한 정수 장치(10)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반려 동물을 위한 정수 장치(40)는 제1 발광 소자(810) 및 제2 발광 소자(8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발광 소자(810)는 토출 케이싱(680)의 하면에 결합될 수 있고, 물통부(180)를 향하는 방향으로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발광 소자(810)는 토출 케이싱(680)의 하면에 결합되어, 물통부(180)를 향하는 방향으로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물통부(180) 내의 미생물의 증식이 억제될 수 있고, 물통부(180)의 세척 주기가 증대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2 발광 소자(820)는 하우징(110)의 전면에 결합될 수 있고, 토출부(170)를 향하는 방향으로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발광 소자(820)는 하우징(110)의 전면에 결합되어, 토출부(170)를 향하는 방향으로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토출부(170) 내의 미생물 증식이 억제될 수 있고, 토출부(170)의 세척 주기가 증대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반려 동물을 위한 정수 장치(40)는 제2 밸브(9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밸브(910)는 필터부(120) 및 토출부(170) 사이의 유로부(130)와 결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2 밸브(910)는 유로부(130) 내의 수압을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밸브(910)는 유로부(130) 내의 물의 압력을 떨어뜨리도록 구성된 감압 밸브 또는 솔레노이드 밸브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밸브(910)는 유로부(130)의 단면적을 조절하여, 물의 압력 및 속도 등을 조절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반려 동물을 위한 급수 장치(미도시)는 도 1의 반려 동물을 위한 정수 장치(10)에서 필터부(120)를 제외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아리수와 같은 수돗물이 가정에 깨끗하게 공급되는 실정을 고려하여, 본 개시의 반려 동물을 위한 급수 장치는 도 1의 반려 동물을 위한 정수 장치(10)에서 필터부(120)를 제외시킬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반려 동물을 위한 급수 장치는 도 1의 하우징(110), 유로부(130), 구동 플레이트(140), 유로 밸브부(150), 구동 연결부(160), 토출부(170), 물통부(180), 및 배수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유로부(130)의 일 측은 기존에 수압이 형성된 외부 유로(101)와 연결될 수 있고, 유로부(130)의 타 측은 토출부(17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유로 밸브부(150)는 유로부(130) 내의 물의 유동을 차단 또는 허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반려 동물을 위한 급수 장치는 도 14의 제1 밸브(5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밸브(570)는 기존에 수압이 형성된 유로부(130)의 일부와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밸브(570)는 기존에 수압이 형성된 외부 유로(101)와 인접한 유로부(130)의 일부에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전술한 바에 한정되지 않고, 제1 밸브(570)는 토출부(170)와 인접한 유로부(130)의 일부에도 결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밸브(570)는 유로부(130) 내의 수압을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밸브(570)는 유로부(130) 내의 물의 압력을 떨어뜨리도록 구성된 감압 밸브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밸브(570)는 유로부(130)의 단면적을 조절하여, 물의 압력 및 속도 등을 조절할 수 있다.
반려 동물을 위한 급수 장치의 기타 구성 요소들에 대한 기술적 사상에 대한 내용은 전술한 바와 유사할 수 있으므로 자세한 내용은 생략한다.
본 개시의 반려 동물을 위한 급수 장치가 필터부를 제외시킬 수 있어서, 본 개시의 반려 동물을 위한 급수 장치는 도 1의 반려 동물을 위한 정수 장치(10) 보다 작은 크기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개시의 반려 동물을 위한 급수 장치의 공간적 활용도가 증대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전술한 실시예들 및 첨부된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Claims (15)

  1. 내부 공간을 제공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통과하고, 기존에 수압이 형성된 외부 유로와 연결되고, 물이 흐르는 경로를 제공하는 유로부;
    상기 유로부와 연결되고, 상기 유로부에서 전달받은 물을 정화시키도록 구성된 필터부;
    상기 유로부 내의 물의 유동을 차단 또는 허용하도록 구성된 유로 밸브부;
    상기 유로부와 연결되고, 상기 필터부에 의해 정화된 물을 외부로 토출시키도록 구성된 토출부;
    상기 토출부의 하부에 있고, 상기 토출부에서 토출된 물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물통부;
    반려 동물이 오르고 내리는 공간을 제공하고, 반려 동물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 구동 플레이트; 및
    상기 유로 밸브부 및 상기 구동 플레이트를 연결시키고, 상기 구동 플레이트의 상하 방향의 이동에 기초하여 유로 밸브부를 조절하는 구동 연결부로서, 상기 구동 플레이트가 하향 이동할 경우 상기 유로부가 개방되도록 상기 유로 밸브부를 조절하고, 상기 구동 플레이트가 상향 이동할 경우 상기 유로부가 차단되도록 상기 유로 밸브부를 조절하도록 구성된 상기 구동 연결부;
    를 포함하는 반려 동물을 위한 정수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물통부는 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 홀을 갖고,
    상기 정수 장치는,
    상기 배출 홀과 연결되고, 상기 물통부의 상기 배출 홀을 통해 전달된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구성된 배출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 동물을 위한 정수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 장치는,
    일 측이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고, 타 측이 구동 플레이트와 결합되고, 상기 구동 플레이트에 상하 방향의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탄성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 동물을 위한 정수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연결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있는 도르래;
    상기 구동 플레이트 및 상기 도르래를 연결시키도록 구성된 제1 와이어로서, 일 측은 상기 구동 플레이트와 결합되고, 타 측은 상기 도르래와 결합된 상기 제1 와이어; 및
    상기 도르래를 감싸는 제2 와이어로서, 일 측은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고, 타 측은 상기 유로 밸브부와 결합되는 상기 제2 와이어;
    를 포함하는 반려 동물을 위한 정수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복수의 고정 홀들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와이어의 일 측은 반려 동물의 무게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고정 홀들 중 어느 하나에 삽입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 동물을 위한 정수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물통부는 중앙 부분; 및 가장자리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중앙 부분은,
    상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이고,
    상기 가장자리 부분은,
    상기 토출부에서 토출된 물을 저장하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오목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 동물을 위한 정수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을 상하 방향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된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플레이트는,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있고, 상기 지지부가 통과하는 관통 홀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 동물을 위한 정수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플레이트의 상면의 면적은,
    상기 하우징의 상면의 면적보다 크고,
    상기 구동 플레이트는,
    상기 하우징의 정면에 마련되고, 외부에 노출된 제1 영역; 및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마련되고, 외부에 노출된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 플레이트의 일 측면은 상기 하우징의 일 측면과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 동물을 위한 정수 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플레이트는 뒤집어 쓸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구동 플레이트를 뒤집어 쓰는 경우에도, 상기 구동 플레이트의 일 측면은 상기 하우징의 일 측면과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 동물을 위한 정수 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플레이트와 연결되고, 상기 구동 플레이트에 상하 방향의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탄성부; 및
    상기 탄성부가 구동 플레이트에 가하는 탄성력의 세기를 조절하도록 구성된 탄성 조절부로서,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 고정되고, 상기 탄성부와 연결되고, 제1 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탄성부를 수축 또는 인장시키도록 구성된 제1 기어; 및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 기어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된 제2 기어;를 포함하는 상기 탄성 조절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 동물을 위한 정수 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어의 일 면은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노출되고,
    상기 하우징에 의해 노출되는 상기 제2 기어의 일 면은 회전 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 동물을 위한 정수 장치.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부는,
    토출 케이싱에 의해 둘러싸이고, 중력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정수를 토출하여 상기 토출 케이싱의 상부에 정화된 물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 동물을 위한 정수 장치.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물통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광을 조사하도록 구성된 제1 발광 소자; 및
    상기 토출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광을 조사하도록 구성된 제2 발광 소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 동물을 위한 정수 장치.
  14. 내부 공간을 제공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통과하고, 기존에 수압이 형성된 외부 유로와 연결되고, 물이 흐르는 경로를 제공하는 유로부;
    상기 유로부 내의 물의 유동을 차단 또는 허용하도록 구성된 유로 밸브부;
    상기 유로부와 연결되고, 물을 외부로 토출시키도록 구성된 토출부;
    상기 토출부의 하부에 있고, 상기 토출부에서 토출된 물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물통부;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마련되고, 반려 동물이 오르고 내리는 공간을 제공하고, 반려 동물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 구동 플레이트; 및
    상기 유로 밸브부 및 상기 구동 플레이트를 연결시키고, 상기 구동 플레이트의 상하 방향의 이동에 기초하여 유로 밸브부를 조절하는 구동 연결부로서, 상기 구동 플레이트가 하향 이동할 경우 상기 유로부가 개방되도록 상기 유로 밸브부를 조절하고, 상기 구동 플레이트가 상향 이동할 경우 상기 유로부가 차단되도록 상기 유로 밸브부를 조절하도록 구성된 상기 구동 연결부;
    를 포함하는 반려 동물을 위한 급수 장치.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부의 일부와 연결되고, 상기 유로부 내의 수압을 조절하도록 구성된 제1 밸브;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 동물을 위한 급수 장치.
KR1020200041065A 2019-07-29 2020-04-03 반려 동물을 위한 정수 장치 KR1024597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092004 2019-07-29
KR1020190092004 2019-07-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4062A true KR20210014062A (ko) 2021-02-08
KR102459735B1 KR102459735B1 (ko) 2022-10-27

Family

ID=7456041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1065A KR102459735B1 (ko) 2019-07-29 2020-04-03 반려 동물을 위한 정수 장치
KR1020200048300A KR102441770B1 (ko) 2019-07-29 2020-04-21 반려 동물을 위한 정수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8300A KR102441770B1 (ko) 2019-07-29 2020-04-21 반려 동물을 위한 정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459735B1 (ko)

Citation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00928A (ja) * 1995-10-02 1997-04-15 Sekisui Plant Syst Kk 貯液槽の緊急遮断装置
JP2005105681A (ja) * 2003-09-30 2005-04-21 Toto Ltd 人体検出装置及びそれを搭載した自動水栓装置
KR100488810B1 (ko) * 2002-06-05 2005-05-12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정수기 오,폐수 자동배출시스템
KR200433891Y1 (ko) * 2006-09-28 2006-12-13 박옥교 벽체 배수판 설치 구조
KR20120037141A (ko) * 2010-10-11 2012-04-1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Uv led를 갖는 정수기
KR20140093413A (ko) * 2013-01-18 2014-07-28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정수기용 드레인 트레이
JP2016042795A (ja) * 2014-08-20 2016-04-04 ジェックス株式会社 ペット用給水器
KR20160056223A (ko) * 2014-11-11 2016-05-19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2중 필터 교체 모드의 직수형 정수기
KR101758886B1 (ko) * 2015-02-12 2017-07-26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센서 패드를 이용한 스마트 자동 급식시스템
KR20180067824A (ko) * 2016-12-13 2018-06-21 정정복 선택적으로 개폐가 가능한 애완동물용 급식대
KR20190061805A (ko) * 2017-11-28 2019-06-05 이상종 애완동물용 정수 장치
KR20190065848A (ko) * 2017-12-04 2019-06-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20190083740A (ko) * 2018-01-05 2019-07-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Patent Citation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00928A (ja) * 1995-10-02 1997-04-15 Sekisui Plant Syst Kk 貯液槽の緊急遮断装置
KR100488810B1 (ko) * 2002-06-05 2005-05-12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정수기 오,폐수 자동배출시스템
JP2005105681A (ja) * 2003-09-30 2005-04-21 Toto Ltd 人体検出装置及びそれを搭載した自動水栓装置
KR200433891Y1 (ko) * 2006-09-28 2006-12-13 박옥교 벽체 배수판 설치 구조
KR20120037141A (ko) * 2010-10-11 2012-04-1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Uv led를 갖는 정수기
KR20140093413A (ko) * 2013-01-18 2014-07-28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정수기용 드레인 트레이
JP2016042795A (ja) * 2014-08-20 2016-04-04 ジェックス株式会社 ペット用給水器
KR20160056223A (ko) * 2014-11-11 2016-05-19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2중 필터 교체 모드의 직수형 정수기
KR101758886B1 (ko) * 2015-02-12 2017-07-26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센서 패드를 이용한 스마트 자동 급식시스템
KR20180067824A (ko) * 2016-12-13 2018-06-21 정정복 선택적으로 개폐가 가능한 애완동물용 급식대
KR20190061805A (ko) * 2017-11-28 2019-06-05 이상종 애완동물용 정수 장치
KR20190065848A (ko) * 2017-12-04 2019-06-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20190083740A (ko) * 2018-01-05 2019-07-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1770B1 (ko) 2022-09-08
KR20210014064A (ko) 2021-02-08
KR102459735B1 (ko) 2022-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37968B2 (en) Watering device for animals
US7294257B2 (en) Water filter
US20140251223A1 (en) Animal Watering Fountain Offering Multi-Dimensional Fluid Circulation
US11510392B2 (en) Flow-controlled pet water fountain
US8006646B2 (en) Self cleaning aquarium system
CN1131936A (zh) 瓶装水的消毒装置
JP6784529B2 (ja) ペット用循環式給水器
CN101340838B (zh) 油炸机
US9157644B2 (en) Air humidifier
EP3906380B1 (en) Air treatment apparatus
KR20220119356A (ko) 반려동물 급수기
US20220178561A1 (en) Air treatment apparatus
US20220082273A1 (en) Air treatment apparatus
KR20210014062A (ko) 반려 동물을 위한 정수 장치
US20220106205A1 (en) Air treatment apparatus
KR101894277B1 (ko) 물놀이 및 수경시설의 수중 수처리 시스템
US9078419B1 (en) Protein skimmer with self-regulating internal water level control
KR102264142B1 (ko) 어항
US20220113043A1 (en) Air treatment apparatus
EP2311778B1 (en) Pond water filtration apparatus
GB2580460A (en) Air treatment apparatus
CA2761144A1 (en) A circulating liquid dispenser with ozone gas disinfection
KR20130018637A (ko) 수조용 이물질 제거편 및 이를 이용한 수조 물순환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