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3740A - 정수기 - Google Patents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3740A
KR20190083740A KR1020180001539A KR20180001539A KR20190083740A KR 20190083740 A KR20190083740 A KR 20190083740A KR 1020180001539 A KR1020180001539 A KR 1020180001539A KR 20180001539 A KR20180001539 A KR 20180001539A KR 20190083740 A KR20190083740 A KR 201900837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drain
plug
hole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15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보
정순기
배정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015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83740A/ko
Publication of KR201900837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37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2Liquid-dispensing valves having operating members arranged to be pressed upwards, e.g. by the rims of receptacles held below the delivery orif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02Purifying means
    • B67D2210/00005Fil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는, 외형을 형성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고, 외부에서 유입된 원수를 정화시키는 필터부재와, 상기 케이스의 전면에 설치되어, 상기 필터부재를 통과한 물을 상기 케이스 외측으로 공급하는 출수노즐과, 상기 출수노즐의 하방에 이격 배치되는 집수부를 포함하되, 상기 집수부는,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바닥면에 배수구가 형성된 용기형상의 집수통과, 상기 집수통의 상단을 커버하도록 상기 집수통의 상단에 거치되며, 복수의 홀이 형성된 메쉬부재와, 상기 집수통의 배수구와 연결되고, 상기 배수구로 토출된 물을 상기 케이스 외측으로 안내하는 배수호스 및 복수의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배수구에 끼워져, 이물질을 걸러내는 거름마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정수기 {water purifier}
본 발명은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기는 상수원에서 공급되는 상수를 물리적, 화학적인 방법으로 여과시켜 불순물을 제거한 후 공급하는 장치이다.
상기와 같은 정수기는 정수원리나 방식에 따라 자연여과식, 직결여과식, 이온교환수지식, 증류식, 역삼투압식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또한, 정수기는 형태에 따라 필터를 통과하여 정화된 정수를 저수조에 저장하였다가 가열 또는 냉각하여 출수하는 저장형 정수기와, 저수조 없이 필터를 통과하여 정화된 정수(淨水)를 가열 또는 냉각하여 출수하는 직수형 정수기가 있다.
일 예로, 온수 출수기능을 갖는 정수기의 경우, 필터를 통과한 정수가 온수모듈을 경유하도록 유로를 형성하여 온수를 생성하고, 생성된 온수를 출수노즐을 통해서, 정수기 외부로 공급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정수기에서, 물을 취출하는 과정에서, 출수노즐의 하방에 위치된 트레이에는 다양한 이유로 물이 고이게 된다. 이때, 순수한 물 외에 각종 이물질도 트레이에 투입되기 마련이다.
상기와 같이 이물질이 트레이에 투입되면, 이물질에 의해 트레이의 배수구가 막히고, 결과적으로 트레이에 고인 물이 배출되지 못하면서, 트레이의 수위가 높아진다. 또한, 수위가 높아지다 보면, 트레이 밖으로, 오버플로우(overflow)가 발생하고, 정수기의 청결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한국등록특허공보 10-1308124호(2013.09.06 등록)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정수기에서 버려지는 물을 집수통으로 집수한 뒤, 배수호스를 통해서 외부로 버릴 수 있어 위생적인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집수통으로 유입되는 물에 포함된 이물질이 메쉬부재의 홀을 통해서 1차적으로 여과하고, 집수통을 빠져나가는 물에 포함된 이물질이 거름마개의 통공을 통해 2차적으로 여과되면서, 이물질에 의해 배수구 및 배수호스가 막히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사용자가 손쉽게 거름마개를 끼우고, 또 손쉽게 분리할 수 있어, 거름마개를 탈착하는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거름마개에 걸러진 이물질을 손쉽게 제거할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기존에 설치된 정수기에도 적용 가능한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집수통에 물이 고이면서, 수위가 높아지더라도 부력에 의해 거름마개가 상승하면서, 거름마개가 임의로 배수구에서 분리되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배수구에서 거름마개가 임의로 분리되면서, 여과력이 상실되고 이물질에 의해 배수구 및 배수호스가 막히는 문제가 해결될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거름마개의 상단이 집수통의 바닥면과 이격되어, 그 갭을 통해 사용자가 거름마개를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고, 파지력이 확보되면서 결과적으로 거름마개를 손쉽게 분리할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는, 외형을 형성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고, 외부에서 유입된 원수를 정화시키는 필터부재와, 상기 케이스의 전면에 설치되어, 상기 필터부재를 통과한 물을 상기 케이스 외측으로 공급하는 출수노즐과, 상기 출수노즐의 하방에 이격 배치되는 집수부를 포함하되, 상기 집수부는,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바닥면에 배수구가 형성된 용기형상의 집수통과, 상기 집수통의 상단을 커버하도록 상기 집수통의 상단에 거치되며, 복수의 홀이 형성된 메쉬부재와, 상기 집수통의 배수구와 연결되고, 상기 배수구로 토출된 물을 상기 케이스 외측으로 안내하는 배수호스 및 복수의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배수구에 끼워져, 이물질을 걸러내는 거름마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거름마개는, 상기 배수구에 끼워지는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집수통에 거치되는 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통부는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몸통부의 바닥면에는 상기 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름마개에 형성된 통공의 크기는 상기 메쉬부재에 형성된 홀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름마개는, 상기 배수구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집수통은 상기 배수구의 둘레를 따라 하측으로 연장된 연장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름마개 또는 상기 배수구에는, 상기 거름마개가 배수구에 끼워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고정력을 제공하는 탈착수단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탈착수단은, 상기 거름마개의 외측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고정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탈착수단은, 상기 고정돌기가 삽입되게 상기 배수구의 내측면에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고정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돌기는, 상부에서 하부로 그 돌출 높이가 점차 줄어드는 형태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돌기는, 탄성을 갖는 후크(hook)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거름마개의 외측면의 둘레를 따라서 복수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름마개는, 상기 배수구에 끼워진 상태에서, 그 상단이 상기 집수통의 바닥면 보다 상부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수구에는, 상기 거름마개의 하단을 지지하도록 내측으로 돌출된 걸림턱이 내측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정수기에서 버려지는 물을 집수통으로 집수한 뒤, 배수호스를 통해서 외부로 버릴 수 있어, 정수기의 오염을 줄이고, 위생적인 효과가 있다.
또한, 집수통으로 유입되는 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메쉬부재의 홀을 통해서 1차적으로 여과하고, 집수통을 빠져나가는 물에 포함된 이물질이 거름마개의 통공을 통해 2차적으로 여과하면서, 이물질에 의해 배수구 및 배수호스가 막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손쉽게 거름마개를 끼우고, 또 손쉽게 분리할 수 있어, 거름마개를 탈착하는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거름마개에 걸러진 이물질을 한번에 손쉽게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존에 설치된 정수기의 집수통의 배수구에도 곧 바로 적용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집수통에 물이 고이면서, 집수된 물의 수위가 높아지더라도 부력에 의해 거름마개가 상승하면서, 거름마개가 임의로 배수구에서 분리되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배수구에서 거름마개가 임의로 분리되면서, 여과력이 상실되고 이물질에 의해 배수구 및 배수호스가 막히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거름마개의 상단이 집수통의 바닥면과 이격되어, 그 갭을 통해 사용자가 거름마개를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고, 파지력이 확보되면서 결과적으로 거름마개를 손쉽게 분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일 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도 1에서, 케이스의 일부를 제거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부 구성요소인 집수부를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이다.
도 4는 집수부에서 메쉬부재가 제거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5는 집수통의 배수구에 거름마개가 끼워진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6은 집수통의 배수구에서 거름마개가 분리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7은 집수통의 배수구에 거름마개가 끼워진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8은 거름마개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수배관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하에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및 추가 등에 의해서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이하의 실시예에 첨부되는 도면은, 같은 발명 사상의 실시예이지만, 발명 사상이 훼손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미세한 부분의 표현에 있어서는 도면별로 서로 다르게 표현될 수 있고, 도면에 따라서 특정 부분이 표시되지 않거나, 도면에 따라서 과장되게 표현되어 있을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일 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는 상기 도 1에서, 케이스의 일부를 제거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는 외부에서 공급된 원수를 필터를 통과시켜 정화시킨 뒤, 정수의 상태로 공급하거나, 필요에 따라 냉각 또는 가열시켜 냉수 또는 온수의 상태로 공급한다.
상세히,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10)는 외형을 형성하는 케이스(11)와, 상기 케이스(11)의 내부에 배치되고, 외부에서 유입된 원수를 정화시키는 필터부재(12)와, 상기 케이스(11)의 전면에 노출되게 설치되어, 상기 필터부재(12)를 통과한 물을 상기 케이스(11)의 외측으로 공급하는 출수노즐(13) 및 상기 출수노즐(13)의 하방에 이격 배치되어 버려지는 물을 회수하는 집수부(100)를 포함한다.
일 예로, 상기 케이스(11)는 대략 직육면체의 형태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수노즐(13)은 온수가 취출되는 온수출수노즐과, 냉수와 정수가 취출되는 냉정출수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정수, 냉수, 온수는 하나의 출수노즐을 통해서 정수기의 외측으로 취출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11)의 전면에는 상기 출수노즐(13)의 상측에 각종 정보를 표시하거나, 각종 명령을 입력하는 패널부(1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널부(14)는 정수기의 각종 기능을 제어하거나 조작하기 위해 조작버튼을 구비할 수 있으며, 정수기의 상태 및 각종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수단을 구비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케이스(11)의 내부에는, 상수도와 같은 급수원으로부터 원수를 공급받아 정화시키기 위해 필터부재(12)가 구비되고,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필터부재(12)를 통과하면서, 생성된 정수가 저장되는 정수탱크(15)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가 냉수 출수 기능을 구비하는 경우, 상기 케이스(11)의 내부에는, 상기 필터부재(12)를 통과한 정수를 공급받아, 냉수로 냉각시킴과 동시에 냉각된 냉수를 저장하는 냉수모듈(16)이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냉수모듈(16)의 외부는 단열재 등으로 둘러싸여서 냉수모듈(16)을 주위로부터 열적으로 차단하게 된다. 또한, 상기 냉수모듈(16)은 정수가 유입되는 쿨링탱크 및 상기 쿨링탱크로 유입된 정수를 냉각시키는 냉각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만일, 본 발명의 정수기가 온수기능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케이스(11)의 내부에는, 상기 필터부재(12)를 통과한 정수를 공급받아, 온수로 가열하고, 가열된 온수를 저장하는 온수모듈이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온수모듈은, 정수가 유입되는 온수탱크 및 상기 온수탱크로 유입된 정수를 가열시키는 가열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박스 형태의 케이스(11)의 전면은 상기 출수노즐(13)이 장착된 부분이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캐비티(11a)를 형성한다.
상기 캐비티(11a)의 상측에는 출수노즐(13)이 장착되고, 캐비티(11a)의 하측에는 집수부(100)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캐비티(11a)의 구성으로, 컵 등의 용기를 출수노즐(13) 하측에 위치시킬 수 있으며, 정수, 냉수, 온수를 취출동작이 용이하게 진행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물을 취출하는 과정에서, 상기 집수부(100)에는 물이 고이게 된다. 이때, 순수한 물 외에 각종 이물질도 집수부(100)에 같이 투입된다.
상기와 같이 이물질이 집수부(100)에 투입되면, 집수부(100)의 배수구가 막히면서, 집수부(100)에 고인 물이 배출되지 못하게 된다. 또한, 집수부(100)의 수위가 높아지고, 결국 오버플로우(overflow)가 발생하는 문제가 생긴다. 뿐만 아니라, 정수기의 청결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하, 본 발명의 메인 구성요소인 '집수부'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부 구성요소인 집수부를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집수부에서 메쉬부재가 제거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집수통의 배수구에 거름마개가 끼워진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6은 집수통의 배수구에서 거름마개가 분리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집수부(100)는, 출수노즐(13)의 하방에 이격 배치되고, 사용자가 컵 등의 용기에 물을 받던 중 물이 넘치면서 용기 밖으로 버려지는 물 또는 사용자가 임의로 버린 물 등이 집수된다.
상기 집수부(100)는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물이 수집되는 수용공간(111)을 형성하고, 바닥면에 배수구(112)가 형성된 용기형상의 집수통(110)과, 상기 집수통(110)의 개방된 상단을 커버하도록 상기 집수통(110)의 상단에 거치되며, 물이 통과되게 복수의 홀(121)이 형성된 그릴 형상의 메쉬부재(120)와, 상기 집수통(110)의 배수구(112)와 연결되고, 상기 배수구(112)로 토출된 물을 상기 케이스(11) 외측으로 안내하는 배수호스(130), 및 물이 통과되게 복수의 통공(143)이 형성되고, 상기 배수구(112)에 끼워져, 이물질을 걸러내는 거름마개(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집수부(100)로 물이 유입되면, 집수부(100)의 배수구(112)와 연결된 별도의 호스(130)에 의해, 자동 배수가 이루어진다. 하지만, 집수부(100)에 물 외의 이물질이 투입된 경우, 이물질에 의해 배수구(112) 또는 호스(130) 등이 막히면서, 배수가 진행되지 않아, 집수통(110)에는 물이 고이게 되고, 시간이 지나면서 수위가 높아지면 고인 물이 집수통(110)의 외부로 넘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집수통(110)에 유입된 물이 곧바로 배수되기 위해서는, 배수구(112) 및 배수호스(130)가 이물질에 의해 막히는 현상을 예방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경우, 배수구(112)에 이물질을 걸러주는 거름마개(140)를 끼워, 집수통(110)에 투입된 이물질이 배수구(112) 및 배수호스(130)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하였다.
즉, 상기 거름마개(140)에 의해 물을 비롯한 액체류만 배수구(112)로 빠져나갈 수 있고, 이물질은 걸러질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거름마개(140)는, 상기 배수구(112)에 끼워지고, 하방으로 오목한 공간(141)을 형성하는 몸통부(142)와, 상기 몸통부(142)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집수통(110)의 바닥면에 거치되는 플랜지 형상의 걸림부(144)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몸통부(142)의 바닥면 또는 측면에는 액체류가 배수되는 통공(143)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거름마개(140)에 형성된 통공(143)의 크기는 상기 메쉬부재(120)에 형성된 홀(121)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비교적 크기가 큰 이물질은 메쉬부재(120)의 홀(121)에서 1차적으로 걸러지고, 상기 홀(121)을 통과한 비교적 크기가 작은 이물질은 거름마개(140)의 통공(143)에서 2차적으로 걸러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정에서, 거름마개(140)의 통공(143)이 이물질에 의해 막히게 되면, 거름마개(140)를 배수구(112)에서 분리해서, 이물질을 제거할 뒤, 다시 배수구(112)에 끼운다. 이러한 과정에 의해 배수구(112)와 배수호스(130)가 이물질로 인해 막히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거름마개(140)에 걸러진 이물질 제거를 위해, 상기 거름마개(140)는, 상기 배수구(112)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거름마개(140)는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거름마개(140)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름마개(140)는 배수구(112)에 압입 방식으로 끼워질 수 있다. 따라서, 거름마개(140)와 배수구(112) 사이에는 고정력이 발생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거름마개(140)는 별도의 고정수단을 통해서 상기 배수구(112)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거름마개(140) 또는 집수통(110)과 별도로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거름마개(140) 또는 집수통(110)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밖에도, 상기 거름마개(140)는 공지의 다양한 방법에 의해 배수구(112)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집수통(110)은 내측면의 상단에 상기 메쉬부재(120)의 하단에 안착되는 단턱부(113)를 내측 둘레를 따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집수통(110)은 내측면에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보강리브(114)가 상호 이격하여 복수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집수통의 배수구에 거름마개가 끼워진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8은 거름마개의 사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집수통(110)은 저면에, 상기 배수구(112)의 둘레를 따라 하측으로 연장된 연장부(115)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연장부(115)는 중공관의 형태로 구비되고, 이에 따라 배수구(112)의 길이가 길어질 수 있고, 결과적으로, 상기 거름마개(140)의 몸통부(142)가 상기 배수구(112)의 내부에 삽입 방식으로 끼워지면서, 배수구(112)와 거름마개(140)의 결합력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장부(115)가 배수호스(130)에 끼워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배수호스(130)와 배수구(112)는 연통하면서, 배수호스(130)와 집수통(110)의 결합력이 확보될 수 있다.
즉, 상기와 같은 연장부(115)의 구성으로, 집수통(110)의 배수구(112)와 거름마개(140)의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면서 고정력도 확보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집수통(110)의 배수구(112)과 배수호스(130)의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면서 고정력이 확보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연장부(115)는 상기 집수통(110)과 단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름마개(140) 또는 상기 배수구(112)에는, 상기 거름마개(140)가 배수구(112)에 끼워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고정력을 제공하는 탈착수단(116,145)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탈착수단(116,145)은, 상기 거름마개(140)의 몸통부(142) 외측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고정돌기(14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탈착수단(116,145)은, 상기 고정돌기(145)가 삽입되게 상기 배수구(112)의 내측면에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고정홈(116)을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연장부(115)의 내측면에 고정홈(11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고정돌기(145) 및 고정홈(116)이 형성되면, 고정돌기(145)가 고정홈(116)에 끼워지면서, 거름마개(140)가 집수통(110)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세히, 고정돌기(145)를 배수구(112)에 압입방식으로 강제로 끼우다 보면, 소정의 깊이에서, 고정돌기(145)가 고정홈(116)에 끼워지면서, 거름마개(140)와 집수통(110) 사이에는 고정력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의도적으로 거름마개(140)를 배수구(112)에서 빼내기 전까지, 거름마개(140)는 집수통(110)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거름마개(140)가 집수통(110)에 고정되면, 집수통(110)에 물이 고이더라도, 부력에 의해 거름마개(140)가 상승하면서 배수구(112)에서 거름마개(140)가 임의로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돌기(145)는, 상부에서 하부로 그 돌출 높이가 점차 줄어드는 형태로 돌출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고정돌기(145)는 상면(145a)이 평면이고, 상기 배수구(112)와 대면하는 측면(145b)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홈(116)은 상기 고정돌기(145)의 형상과 대응하도록 상단이 평면이고, 측면이 상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경사진 측면(145b)에 의해서 거름마개(140)를 배수구(112)에 끼우지는 용이한 반면, 평면인 상면(145a)에 의해, 거름마개(140)는 배수구(112)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고정돌기(145)는, 탄성을 갖는 후크(hook)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고정돌기(145)는 탄성 변형되는 구조를 갖을 수 있다.
따라서, 고정돌기(145)가 배수구(112)에 끼워질 때, 고정돌기(145)가 수축하게 되고, 고정홈(116)에서는 고정돌기(145)가 원상태로 복원되면서, 고정돌기(145)가 고정홈(116)에 끼워져, 거름마개(140)는 배수구(112)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고정돌기(145)는 상기 거름마개(140)의 몸통부(142) 외측면의 둘레를 따라서 복수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홈(116)은 상기 배수구(112)의 둘레를 따라 링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고정돌기(145)가 복수 배치되고, 고정홈(116)이 링의 형태로 연속해서 형성되면, 거름마개(140)와 집수통(110)의 고정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거름마개(140)의 방향을 정렬하지 않고, 집수통(110)의 배수구(112)에 거름마개(140)를 끼우기만 하면, 고정돌기(145)가 고정홈(116)에 삽입 및 고정될 수 있다.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상기 거름마개(140)의 몸통부(142) 외측 하단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배수구(112)에는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수직홈부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직홈부의 하단은 배수구(112)의 내주면 방향으로 형성된 수평홈부와 연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름마개(140)의 걸림부(144)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회전돌기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의 경우, 몸통부(142)의 돌기부를 배수구(112)의 수직홈부에 끼우면서, 몸통부(142)를 배수구(112)에 끼울 수 있다. 이후, 몸통부(142)의 돌기부가 수직홈부의 하단에 도달하면, 거름마개(140)을 회전시키면서, 몸통부(142)의 돌기부를 배수구(112)의 수평홈부에 끼운다. 상기와 같이 돌기부가 수평홈부에 끼워지면, 거름마개(140)는 집수통(110)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거름마개(140)를 회전시켜, 몸통부(142)의 돌기부를 배수구(112)의 수평홈부에서 분리하고, 몸통부(142)의 돌기부를 배수구(112)의 수직홈부를 따라 상부로 빼내면, 거름마개(140)는 집수통(110)에서 분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거름마개(140)를 회전시키는 동작은 걸림부(144)에 형성된 회전돌기에 의해 용이하게 진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름마개(140)는, 상기 배수구(112)에 끼워진 상태에서, 그 상단이 상기 집수통(110)의 바닥면 보다 상부로 이격되면서 소정의 높이만큼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거름마개(140)의 몸통부(142)가 상기 배수구(112)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걸림부(144)는 상기 집수통(110)의 바닥면 보다 상부에 위치된다. 이때, 상기 걸림부(144)와 집수통(110)의 바닥면 사이에는 갭(G)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걸림돌기(145)가 걸림홈(116)에 끼워진 상태에서도, 상기 걸림부(144)는 상기 집수통(110)의 바닥면 보다 상부에 위치된다. 이때, 상기 걸림부(144)와 집수통(110)의 바닥면 사이에는 갭(G)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걸림부(144)와 집수통(110)의 바닥면 사이에는 갭(G)이 형성되면, 추후, 사용자는 배수구(112)에 고정된 거름마개(140)를 손쉽게 분리할 수 있다.
즉, 걸림부(144)와 집수통(110)의 바닥면 사이에는 갭(G)을 통해, 사용자는 걸림부(144)를 손쉽게 파지할 수 있고, 상부로 잡아당겨 거름마개(140)를 외부로 빼낼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수구(112)에는, 상기 거름마개(140)의 몸통부(142)의 하단을 지지하도록 내측으로 돌출된 걸림턱(117)이 내측 둘레를 따라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걸림턱(117)이 형성되면, 거름마개(140)의 몸통부(142)가 배수구(112)에 삽입되는 깊이를 제한할 수 있다. 즉, 거름마개(140)의 몸통부(142) 전체가 배수구(112)에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걸림부(144)와 집수통(110)의 바닥면 사이에 갭(G)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턱(117)은 상기 걸림부(144)와 집수통(110)의 바닥면 사이에 갭(G)이 형성되는 범위에서, 다양한 높이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배수호스(130)의 일측단부는 상기 배수구(112)와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정수기의 내부 또는 외부에 마련된 별도의 배수통(미도시)과 연결되어, 상기 배수구(112)를 빠져나와 상기 배수호스(130)를 통과한 물은 상기 배수통(미도시)에 수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수호스(130)의 일측단부는 상기 배수구(112)와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하수구와 직접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배수구(112)를 빠져나와 상기 배수호스(130)를 통과한 물은 하수구로 바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정수기에서 버려지는 물을 집수통으로 집수한 뒤, 배수호스를 통해서 외부로 버릴 수 있다.
또한, 집수통으로 유입되는 물에 포함된 이물질이 메쉬부재의 홀을 통해서 1차적으로 여과하고, 집수통을 빠져나가는 물에 포함된 이물질이 거름마개의 통공을 통해 2차적으로 여과되면서, 이물질에 의해 배수구 및 배수호스가 막히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손쉽게 거름마개를 끼우고, 또 손쉽게 분리할 수 있어, 거름마개를 탈착하는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이점도 있다.
또한, 거름마개에 걸러진 이물질을 손쉽게 제거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또한, 기존에 설치된 정수기에도 적용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집수통에 물이 고이면서, 수위가 높아지더라도 부력에 의해 거름마개가 상승하면서, 거름마개가 임의로 배수구에서 분리되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또한, 배수구에서 거름마개가 임의로 분리되면서, 여과력이 상실되고 이물질에 의해 배수구 및 배수호스가 막히는 문제가 해결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또한, 거름마개의 상단이 집수통의 바닥면과 이격되어, 그 갭을 통해 사용자가 거름마개를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거름마개를 손쉽게 분리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유로구조 및 정수, 냉수, 온수의 취출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수배관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정수기(10)의 급수배관(101)은 수도 등과 연결되어 원수를 입력받게 된다. 상기 급수배관(101)은 감압 밸브(102)와 연결되며, 상기 감압 밸브(102)를 통과하는 원수는 상기 정수기(10)의 동작을 위해 설정된 압력으로 감압된다.
그리고, 감압된 원수는 감압 밸브(102)와 상기 필터부재(12)를 연결하는 배관을 따라서 상기 필터부재(12) 측으로 유동하게 된다. 상기 필터부재(12)를 통과하는 원수는 이물질이 제거되어 정수 상태가 된다. 그리고, 급수 밸브(103)의 개방에 의해 상기 정수는 출수배관(30)을 따라서 상기 급수 밸브(103)를 지나 유량 센서(104)를 차례로 통과하게 된다.
이때, 상기 급수 밸브(103)와 유량 센서(104)는 컨트롤러(50)에 포함된 메인 피시비(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메인 피시비(미도시)에서 전달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급수 밸브(103)의 개방 정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유량 센서(104)에서 감지된 유량이 상기 메인 피시비(미도시)로 전달되어 상기 정수기의 제어에 필요한 데이터로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유량 센서(104)를 통과한 정수는 분지관(105)을 통해서 냉정수측(105a)과 온수측(105b)으로 분지될 수 있다.
또한, 냉정수측(105a)으로 분지된 정수는 T커넥터(106)에 의해 재차 냉수측(106a)과 정수측(106b)으로 분지되어 각각 정수배관(31)과 냉수배관(32)으로 유동한다. 상기 정수배관(31)과 냉수배관(32)에는 각각 냉수 출수밸브(107)와 정수 출수밸브(108)가 설치된다. 상기 정수 출수밸브(108)와 냉수 출수밸브(107)는 상기 메인 피시비(미도시)와 연결되어 개폐가 결정될 수 있다.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상기 정수 출수밸브(108)와 냉수 출수밸브(107)가 선택될 수 있으며, 정수기 외측에 마련된 출수버튼의 조작을 통해 선택된 밸브가 개방되어 물이 취출될 수 있다.
이때, T커넥터(106)의 냉수측(106a)과 연결된 냉수배관(32) 및 냉수 출수밸브(107)를 통과한 물은 쿨링 탱크(230) 내부의 쿨링 코일을 통과하게 된다. 상기 쿨링 코일을 따라 유동되는 물은 상기 쿨링 탱크(230) 내부의 냉각수와 열교환되어 냉수로 냉각된다. 이를 위해 상기 냉각수는 설정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냉각된다.
상기 냉각수의 냉각을 위해 상기 메인 피시비(미도시)와 연결된 압축기가 구동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의 구동은 상기 쿨링 탱크(230)의 내부에 구비된 냉수 온도센서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냉각수는 항상 설정된 온도를 유지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압축기의 구동이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는 인버터 압축기로 필요한 부하에 대응하여 주파수가 조절되며, 냉각 능력이 조절될 수 있다. 즉, 상기 압축기는 인버터 제어에 의해 구동될 수 있으며 상기 냉각수를 최적의 효율로 냉각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압축기는 사용자가 정수기의 조작부를 조작하여 동작을 강제 오프(off)상태로 설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냉수의 소비가 적은 동계나 절전이 필요한 시기, 또는 냉수의 사용을 원하지 않을 때에는 강제로 상기 압축기가 오프 상태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쿨링 탱크(230)를 지난 냉수는 T커넥터(109)를 통해 정수 공급호스(34)로 유입되며, 상기 정수 공급호스(34)를 지나 출수 노즐(13)을 통해 외부로 취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정수 출수밸브(108)가 개방된 경우에는 T커넥터(106)의 정수측(106b)과 연결된 정수배관(31) 및 정수 출수밸브(108)를 통과한 정수는 상기 T커넥터(109)를 통해 상기 정수 공급호스(34)로 유입되며, 상기 정수 공급호스(34)를 지나 상기 출수 노즐(13)을 통해 외부로 취출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출수배관(30)은 정수배관(31)과 하나의 배관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출수배관(30)은 정수배관(31)과 하나의 배관으로 형성되고, 냉수배관(32)과 온수배관(33)은 출수배관(30)에서 분지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수배관(30)은 상기 정수배관(31), 냉수배관(32), 온수배관(33)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온수의 취출을 선택한 경우 정수는 분지관(105)의 온수측(105b)으로 유동한 뒤, 온수배관(33)으로 유동한다.
이때, 메인 피시비(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유량 조절 밸브(20)가 개방되며, 상기 유량 조절 밸브(20)를 통해서 온수배관(33)을 유동하는 물은 온수의 가열에 적절한 유량으로 조절될 수 있다. 즉, 상기 온수모듈에 의해 설정된 온도로 물이 가열될 수 있도록 상기 온수모듈의 온수 탱크 측으로 공급되는 정수의 양을 조절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유량 조절 밸브(20)를 지난 정수는 상기 온수 탱크(41)를 통과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온수 탱크(41)를 지나는 과정에서 설정된 온도로 가열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온수 탱크(41)는 유도 가열 방식으로 가열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서 컨트롤러(50)의 제어에 의해 워킹 코일의 자기력의 출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온수모듈의 구동을 위해서는 메인 피시비에 비해 고전압이 필요하게 되며, 이러한 고전압의 공급을 위해 전원선과 연결된 컨트롤러(5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게 된다. 상기 컨트롤러(50)는 상기 온수모듈의 구동 여부에 따라 적합한 전력을 공급하게 되며, 상기 메인 피시비에도 적합한 전력을 공급하게 된다.
상기 온수모듈의 구동에 의해 상기 온수 탱크(41) 내부의 물은 설정된 온도로 가열될 수 있다.
상기 온수 탱크(41)를 통과하면서 가열된 온수는, 상기 온수 공급호스(33) 및 온수밸브(240)를 거쳐 상기 출수 노즐(13)로 유동된 후, 외부로 취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온수 탱크(41)의 출구측은 분지되어 증기 배관(23)과 더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증기 배관(23)은 상기 온수 탱크 내부의 물이 끓게 되는 경우 발생되는 증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증기 배관(23)에는 세이프티 밸브(231)가 구비되어 설정된 압력 이상의 압력이 발생될 경우 상기 세이프티 밸브(231)가 개방되어 증기를 외부로 배출한다.
상세히, 상기 세이프티 밸브(231)는 상기 온수 탱크 내에서 온수의 가열시 발생하는 증기를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온수 탱크의 내부가 증기에 의해 압력이 과도하게 증가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세이프티 밸브(231)는 설정된 압력에서 개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온수 탱크 내부의 증기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세이프티 밸브(231)의 출구는 상기 정수기(10)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드레인 배관과 연결될 수 있다.

Claims (16)

  1. 외형을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고, 외부에서 유입된 원수를 정화시키는 필터부재;
    상기 케이스의 전면에 설치되어, 상기 필터부재를 통과한 물을 상기 케이스 외측으로 공급하는 출수노즐;
    상기 출수노즐의 하방에 이격 배치되는 집수부를 포함하되,
    상기 집수부는: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바닥면에 배수구가 형성된 용기형상의 집수통;
    상기 집수통의 상단을 커버하도록 상기 집수통의 상단에 거치되며, 복수의 홀이 형성된 메쉬부재;
    상기 집수통의 배수구와 연결되고, 상기 배수구로 토출된 물을 상기 케이스 외측으로 안내하는 배수호스; 및
    복수의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배수구에 끼워져, 이물질을 걸러내는 거름마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름마개는,
    상기 배수구에 끼워지는 몸통부;
    상기 몸통부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집수통에 거치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는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몸통부의 바닥면에는 상기 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름마개에 형성된 통공의 크기는 상기 메쉬부재에 형성된 홀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름마개는, 상기 배수구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통은 상기 배수구의 둘레를 따라 하측으로 연장된 연장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름마개 또는 상기 배수구에는, 상기 거름마개가 배수구에 끼워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고정력을 제공하는 탈착수단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수단은, 상기 거름마개의 외측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고정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수단은, 상기 고정돌기가 삽입되게 상기 배수구의 내측면에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고정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돌기는, 상부에서 하부로 그 돌출 높이가 점차 줄어드는 형태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돌기는, 탄성을 갖는 후크(hook)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2.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거름마개의 외측면의 둘레를 따라서 복수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름마개는, 상기 배수구에 끼워진 상태에서, 그 상단이 상기 집수통의 바닥면 보다 상부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에는, 상기 거름마개의 하단을 지지하도록 내측으로 돌출된 걸림턱이 내측 둘레를 따라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호스의 단부는, 별도로 마련된 배수통과 연결되어, 상기 배수호스를 통과한 물은 상기 배수통에 수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호스의 단부는, 하수구와 연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KR1020180001539A 2018-01-05 2018-01-05 정수기 KR201900837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1539A KR20190083740A (ko) 2018-01-05 2018-01-05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1539A KR20190083740A (ko) 2018-01-05 2018-01-05 정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3740A true KR20190083740A (ko) 2019-07-15

Family

ID=67257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1539A KR20190083740A (ko) 2018-01-05 2018-01-05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8374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4062A (ko) * 2019-07-29 2021-02-08 박연규 반려 동물을 위한 정수 장치
KR200494403Y1 (ko) * 2020-12-07 2021-10-06 강범식 정수기의 배수구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8124B1 (ko) 2010-03-31 2013-09-12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기 내부 유로의 살균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8124B1 (ko) 2010-03-31 2013-09-12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기 내부 유로의 살균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4062A (ko) * 2019-07-29 2021-02-08 박연규 반려 동물을 위한 정수 장치
KR20210014064A (ko) * 2019-07-29 2021-02-08 박연규 반려 동물을 위한 정수 장치
KR200494403Y1 (ko) * 2020-12-07 2021-10-06 강범식 정수기의 배수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0300B1 (ko) 물분배기
KR101470110B1 (ko) 음료수 공급 장치
KR20190083740A (ko) 정수기
KR101398674B1 (ko) 더치식 커피 추출기
KR100993891B1 (ko) 정수기
KR100586061B1 (ko) 정수기의 배출수를 이용한 두채류 재배 장치
US7396455B2 (en) Brine container with filter system
CN104787910A (zh) 水渣油混合物分离装置
CN218348754U (zh) 换热设备
JPH09206747A (ja) 濾過器および濾過器を備えた温水機器
KR0146834B1 (ko) 정수기의 필터고정장치
KR102028415B1 (ko) 직수형 정수기용 온수 탱크
CN204281446U (zh) 水渣油混合物分离装置
CN112939374A (zh) 一种中水回用型地埋式污水处理装置及其处理方法
KR20210153992A (ko) 온수기
KR101793916B1 (ko) 취수코크 살균이 가능한 수처리장치
CN209307681U (zh) 衣物护理设备及其供排水装置
KR100538650B1 (ko) 커피메이커를 겸할 수 있는 정수기
KR20150042469A (ko) 얼음저장고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CN210993207U (zh) 一种夹持式的液体过滤装置
CN210857363U (zh) 一种家用应急自动储水箱
KR100993892B1 (ko) 냉온수조 분리형 정수기
CN212174906U (zh) 一种山茶油生产用油水分离装置
KR102160366B1 (ko) 티 브루어
GB2443169A (en) Skimm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