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0366B1 - 티 브루어 - Google Patents

티 브루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0366B1
KR102160366B1 KR1020190176593A KR20190176593A KR102160366B1 KR 102160366 B1 KR102160366 B1 KR 102160366B1 KR 1020190176593 A KR1020190176593 A KR 1020190176593A KR 20190176593 A KR20190176593 A KR 20190176593A KR 102160366 B1 KR102160366 B1 KR 1021603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discharge
annular
cas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65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영봉
Original Assignee
진영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영봉 filed Critical 진영봉
Priority to KR10201901765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03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03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03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 A47J31/461Valves, e.g. drain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 A47J31/462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with an intermediate liquid storage tank
    • A47J31/465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with an intermediate liquid storage tank for the heated wa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 A47J31/469Details of hydraulic circui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50Urns with devices for keeping beverages hot or cool
    • A47J31/505Urns with devices for keeping beverages hot or cool with heat-supply reg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티 브루어는, 직수관이 한쪽에 연결되는 정수부를 구비한 케이스;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며, 직수관과 제1 파이프에 의해 연결되는 히터 보일러; 히터 보일러에 제2 파이프에 의해 연결되며, 케이스의 전면부에 설치되는 토출부; 케이스의 하부에 설치되며, 토출부의 물을 배수 처리하는 배수부; 제1 파이프 및 제2 파이프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솔레노이드 밸브; 및 케이스의 전면부에 설치되며 솔레노이드 밸브를 작동시키는 토출 버튼을 구비한 제어부를 포함하며, 히터 보일러는, 제1 파이프에 연결되는 코일 형상의 코일 파이프; 및 코일 파이프를 가열하는 히터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뜨거운 물을 받는 과정에서 물의 토출 압력이 일정 압력 이하로 조절됨으로써 뜨거운 물의 비산에 따른 손상을 방지하고, 배출량을 적절히 조절하여 다른 내용물과의 적절한 혼합액을 만들 수 있다.

Description

티 브루어{Tea brewer}
본 발명은 물을 데워 온수를 공급하는 티 브루어에 관한 것이다.
티 브루어는 냉수 및 온수 정수기에 구성된 바와 같이 원하는 양만큼 뜨거운 물을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티 브루어는 수도관과 같은 수관에 연결되거나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받으며, 그 공급된 물을 히터에 의해 데워 물탱크에 저장하고, 펌프 작동과 함께 밸브를 열어 일정량씩 토출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기존의 티 브루어는 펌프 압력에 의해 물의 배출구에서 물줄기가 조금씩 흩어지거나 물의 토출 압력이 세고 적절히 조절되지 못해 뜨거운 물을 받으면서 물이 튀어 오르고, 적절한 토출량을 조절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었다.
이처럼 기존의 티 브루어는, 뜨거운 물의 배출구의 작용 압력에 따른 물의 압력이 적절히 조절되지 않아서 화상을 입거나 다른 내용물과의 적절한 혼합액을 만들기 어려웠다.
본 발명은, 뜨거운 물을 받는 과정에서 물의 토출 압력이 일정 압력 이하로 조절됨으로써 뜨거운 물의 비산에 따른 손상을 방지하고, 배출량을 적절히 조절하여 다른 내용물과의 적절한 혼합액을 만들 수 있는 티 브루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티 브루어는, 직수관이 한쪽에 연결되는 정수부를 구비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직수관과 제1 파이프에 의해 연결되는 히터 보일러; 상기 히터 보일러와 제2 파이프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케이스의 전면부에 설치되는 토출부;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토출부의 물을 배수 처리하는 배수부; 상기 제1 파이프 및 제2 파이프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솔레노이드 밸브; 및 상기 케이스의 전면부에 설치되며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를 작동시키는 토출 버튼을 구비한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히터 보일러는, 복수로서, 상기 제1 파이프에 연결되는 코일 형상의 코일 파이프; 및 상기 코일 파이프를 가열하는 히터를 포함하며, 상기 토출부는, 상기 케이스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하 가이드를 구비하며, 상기 제2 파이프가 상부에 인입되며, 원추 형상의 원추부에 토출구가 마련된 토출통; 및 상기 토출통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2 파이프에 연결되되, 상기 토출통의 원추부에 물을 뿌리는 노즐이 마련되고 내주면 안쪽 공간에 녹차(티)가 팩형태로 장착되는 환상관을 포함하며, 상기 환상관의 노즐에서 토출되는 유량보다 상기 원추부의 토출구의 토출 유량이 더 커서 상기 원추부에는 공동이 형성된다.
상기 환상관의 노즐은, 분사 방향이 상방과 하방을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환상관은, 제1 환상관과 제2 환상관을 포함하며, 상기 제1, 2 환상관 중 하나의 노즐은, 상기 토출통의 상면부를 향해 형성되며, 상기 토출통의 상면부는 하방 물 흘림을 위한 곡면 또는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환상관의 노즐이 상기 토출통의 상면부를 향하고, 상기 제2 환상관의 노즐이 상기 원추부를 향하되, 상기 제1 환상관보다 제2 환상관이 작고, 상기 제1 환상관은 상기 토출통의 내벽부에 인접하며, 상기 제2 환상관은 상기 원추부에 인접하며, 상기 제1 환상관과 제2 환상관은 환형으로 배치되는 지지대로 연결되며, 상기 토출통의 내벽부에는 상기 제1 환상관이 거치되는 거치대들이 원주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히터는 상기 코일 파이프를 따라 코일 형상으로 배치되며, 상기 코일 파이프를 감싸도록 설치되되, 상기 히터는 상기 코일 파이프에 코팅된 탄소판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원추부에 설치되는 압력센서; 상기 원추부에 설치되는 온도센서; 및 상기 제2 파이프에 설치되는 유량조절밸브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력센서와 온도센서에서 각각 감지되는 압력과 온도에 따라 상기 히터와 유량조절밸브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수량과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토출구에는 수온에 따라 다른 색을 나타내는 환형 도광부가 설치되되, 상기 환형 도광부는 삼색파장을 갖는 엘이디를 광원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의 전면부에는 상기 상하 가이드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 통로가 마련되되, 상기 상하 가이드는, 상기 가이드 통로를 통과하는 가이드 바; 상기 가이드 바에 결합되며, 상기 케이스의 내벽에 지지되는 가이드 롤러; 및 상기 가이드 바의 위치하여 상기 케이스의 내벽 측으로 상기 가이드 롤러를 가압하는 가이드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수부는,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위치하는 배수본체; 상기 배수본체의 상면부에 위치하며, 상기 토출구를 통해 유출되는 물을 받는 실리콘 물받이; 및 상기 물받이의 하부에 연결되며 상기 배수본체의 내부를 통과하는 실리콘 배수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물받이는 깔때기 형상으로 마련되되, 상기 깔때기의 테이퍼진 각도는 30도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티 브루어는 상기 배수본체의 저면부에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복수의 슬립방지 고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티 브루어는 상기 히터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히터의 과부하를 차단하는 퓨즈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기술된 본 발명은, 뜨거운 물을 받는 과정에서 물의 토출 압력이 일정 압력 이하로 조절됨으로써 뜨거운 물의 비산에 따른 손상을 방지하고, 배출량을 적절히 조절하여 다른 내용물과의 적절한 혼합액을 만들 수 있는 티 브루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티 브루어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다.
도 3은 히터 보일러의 개념도이다.
도 4는 도 1의 토출부의 상세도이다.
도 5는 도 1의 토출부 환상관의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특정 실시 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티 브루어는, 직수관(10)이 한쪽에 연결되는 정수부를 구비한 케이스(110), 케이스(1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직수관(10)과 제1 파이프(118)에 의해 연결되는 히터 보일러(120), 히터 보일러(120와 제2 파이프(128)에 의해 연결되며 케이스(110)의 전면부에 설치되는 토출부(130), 케이스(110)의 하부에 설치되며 토출부(130)의 물을 배수 처리하는 배수부(160), 제1 파이프(118)에 설치되는 솔레노이드 밸브(150), 및 케이스(110)의 전면부에 설치되며 솔레노이드 밸브(150)를 작동시키는 토출 버튼(151)을 구비한 제어부(170)를 포함한다.
케이스(110)는 페인트 코팅 처리된 철판이나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직육면체 형상으로서, 배수부(160) 위에 설치되며, 히터 보일러(120, 제1 파이프(118), 및 제2 파이프(128)가 내부에 설치된다.
케이스(110)는 컴퓨터 케이스와 같이 한쪽 면부가 개방이 가능한 조립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처럼 케이스(110)는 내부 부품의 정비 관리가 용이하게 만들어진 것을 사용한다.
케이스(110)에서 직수관(10)은 제1 파이프(118)에 연결된다. 솔레노이드 밸브(150)가 열림에 따라 제1 파이프(118)의 물은 히터 보일러(120)를 통과하여 제2 파이프(128) 측으로 유동되며, 히터 보일러(120)에서 순간 가열되어 토출부(130) 측으로 배출된다.
티 브루어의 작동은 제어부(170)에 있는 토출 버튼(151)의 가압에 따라 진행된다. 토출 버튼(151)은 멤브레인 접점 구조의 스위치가 내부에 마련된 것이다. 제어부(170)는 토출 버튼(151)의 스위칭과 함께 솔레노이드 밸브(150)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마이크로 컨트롤러와 그 회로부 및 프로그램이 내장된 것이나 PCL 컨트롤러를 사용할 수 있다.
토출부(130)에서 배출되는 물 중 사용되지 않는 잔수는 배수부(160)를 통해 배수 처리된다.
이처럼 티 브루어는 제1 파이프(118)에 있는 솔레노이드 밸브(150)의 개방과 함께 제1 파이프(118) 측으로 물이 유입되고, 토출부(130)에서 온수가 배출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토출 버튼(151)에 스위칭 시간에 따라 온수량을 조절할 수 있다.
도 1과 도 3을 참조하면, 히터 보일러(120)는 온수 가열 성능을 높이기 위해서 복수로 배치되며, 제1 파이프(118)에 연결되는 코일 형상의 코일 파이프(121), 및 코일 파이프(121)를 가열하는 히터(122)를 포함한다.
코일 파이프(121)는 코일 형상으로 물이 유동되면서 가열될 수 있는 충분한 관로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파이프가 나선 방향으로 형성되면서 일정한 높이를 갖는 것이다.
히터(122)는 나선 형상의 코일 파이프(121)의 상하 방향을 따라 코일 파이프(121)에 접촉되도록 구성된다.
히터(122)는 코일 파이프(121)의 내부에 배치된 원통 형상으로서, 코일 파이프(121)의 외주면에 접촉되는 나선 홈부가 마련되는 히팅본체(123)와, 히팅본체(123)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수단(125)을 포함할 수 있다. 가열수단(125)으로는 니크롬선과 같은 고저항선이 사용될 수 있다. 히팅본체(123)의 나선 홈부는 상하로 배치되는 나선 형상의 홈부일 수 있다.
다른 예로, 히터(122)는 코일 파이프(121)를 따라 코일 형상으로 배치되며, 코일 파이프(121)를 감싸도록 설치된다. 히터(122)는 코일 파이프(121)에 코팅된 탄소판(126)으로 마련될 수 있다. 탄소판(126)은 코일 파이프(121)를 플렉서블하게 감싸거나 코일 파이프(121)에 코팅 처링되어 코일 파이프(121)를 감쌀 수 있다.
히터 보일러(120)의 코일 파이프(121)와 히터(122)는, 제1 파이프(118)로부터 공급된 물을 순간 가열하기 위한 구조로서, 물은 코일 파이프(121)를 통과하면서 연속적으로 시간에 따라 가열되어 온수로 변화될 수 있다.
티 브루어에는 히터(122)에 연결되어 있으며, 히터(122)의 과부하를 차단하는 퓨즈(127)가 설치된다. 퓨즈(127)는 히터(122)의 과열이나 작동에 따른 화재를 차단할 수 있다.
도 1과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토출부(130)는 케이스(110)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하 가이드(131)를 구비함으로써 배수부(160) 상에 놓이는 용기의 높이에 따라 케이스(110)에서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케이스(110)의 전면부에는 상하 가이드(131)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 통로(111)가 마련된다.
상하 가이드(131)는 가이드 통로(111)를 통과하는 가이드 바(132), 가이드 바(132)에 결합되며 케이스(110)의 내벽에 지지되는 가이드 롤러(133), 및 가이드 바(132)의 위치하여 케이스(110)의 내벽 측으로 가이드 롤러(133)를 가압하는 가이드 스프링(134)을 포함할 수 있다.
토출부(130)는 상하 가이드(131)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가이드 스프링(134)의 스프링력이 작용하는 가이드 롤러(133)에 의해 가이드 통로(111) 측에서 위치가 이동된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다.
상기에서 토출부(130)에 연결되는 관로나 도선은 토출부(130)의 상하 이동에 대응하여 여유 있게 길이가 설정되거나, 코일 형상과 같이 신축한 가능한 것을 사용한다.
도 1과 도 2 및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토출부(130)는 제2 파이프(128)가 상부에 인입되며 원추 형상의 원추부(137)와 토출구(139)가 하부에 마련된 토출통(135), 및 토출통(135)의 상부에 위치하여 제2 파이프(128)에 연결되며 토출통(135)의 원추부(137)에 물을 뿌리는 노즐(141)이 마련되고 내주면 안쪽 공간에 녹차(티)가 팩형태로 장착되는 환상관(140)을 포함한다.
토출부(130)는 환상관(140)의 노즐(141)에서 물이 분사되어 원추부(137)에 고이는 물을 중력에 의해 토출구(139)를 통해 배출시킬 수 있는 구조이다.
토출통(135)의 상면부에서 흘러내리는 물은 원추부(137)에 고여 토출구(139)를 통해 중력에 의해 자연스럽게 배출될 수 있다.
토출부(130)는 환상관(140)과 토출구(139)의 수압이 분리되어 있으므로, 토출구(139)를 통해 토출되는 물의 압력이 중력에 의해서 형성된다.
토출구(139)의 물은 중력에 의해 자연스럽게 배수되므로 토출 압력이 작아서 용기에 받을 때 튀거나 물줄기가 세게 갈라지는 현상이 방지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온수를 받는 과정에서 발생 가능한 위험으로부터 자유롭게 된다.
토출부(130)는 환상관(140)의 노즐(141)에서 토출되는 유량보다 원추부(137)의 토출구(139)의 토출 유량이 더 커서 원추부(137)에는 공동(138)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토출부(130)에 공급되는 유량보다 토출구(139)를 통해 유출되는 유량이 크므로, 내부 공동(138)이 생성되어 수압의 연결이 차단됨으로써 토출구(139)의 토출 압력이 작게 된다. 토출부(130) 측에는 진공을 방지하기 위해서 내부 측으로 에어가 유입될 수 있도록 홀들이 마련될 수 있다.
환상관(140)은 하나의 환형 관로로 마련되며, 노즐(141)들은 분사 방향이 상방과 하방을 향하도록 형성되며, 내주면 안쪽 공간에 녹차(티)가 팩형태로 장착된다.
노즐(141)들의 분사 방향이 상호 반대로 형성되어 일정 간격을 두고 마련됨으로써 환상관(140)에 작용하는 노즐(141)들의 분사 방향에 따른 작용 압력이 상쇄되어 환상관(140)의 위치가 안정될 수 있다.
환상관(140) 중 제1 환상관(145)의 노즐(141)은, 토출통(135)의 상면부를 향해 형성되며, 토출통(135)의 상면부는 하방 물 흘림을 위한 곡면 또는 경사면(136)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환상관(145)보다 제2 환상관(146)이 작고, 제1 환상관(145)은 토출통(135)의 내벽부에 인접하며, 제2 환상관(146)은 원추부(137)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제1 환상관(145)과 제2 환상관(146)은 환형으로 배치되는 지지대(147)로 연결되며, 토출통(135)의 내벽부에는 제1 환상관(145)이 거치되는 거치대들이 원주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환상관(145)의 노즐(141)이 토출통(135)의 상면부를 향하고, 제2 환상관(146)의 노즐(141)이 원추부(137)를 향하도록 형성된다.
제1 환상관(145)과 제2 환상관(146)은 토출통(135)의 내부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제1 환상관(145)에서 노즐(141)은 상부로 제2 환상관(146)의 노즐(141)은 하부를 향하므로, 제1 환상관(145)이 거치대에 배치된 상태에서 노즐(141)의 분사 압력이 상쇄되어 거치대에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그 분사에 따른 진동과 충격이 방지된다.
상기의 변형 가능한 다른 예로서, 환상관(140)은 제1 환상관(145)과 제2 환상관(146)이 단지 하나의 환형 관로이며, 노즐이 상하 양측에 형성된 것일 수 있다.
한편,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원추부(137)에는 압력센서(171)와 온도센서(172)가 설치된다. 제2 파이프(128)에는 유량조절밸브(175)가 설치된다.
제어부(170)는 압력센서(171)와 온도센서(172)에서 각각 감지되는 압력과 온도에 따라 히터(122)와 유량조절밸브(175)를 조절함으로써 토출구(139)를 통해 토출되는 수량과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물은 코일 파이프(121)를 통과하면서 가열되어 압력이 상승되고, 제2 파이프(128)를 통과하면서 유량이 증가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원추부(137)에서 감지되는 온수의 온도와 압력을 수집하고, 온도와 압력이 과하게 높거나 그 반대로 작은 경우, 히터(122)에 공급되는 전류를 적절히 조절하며, 유량조절밸브(175)에 의해 원추부(137) 측으로 공급되는 유량이 조절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토출부(130)에서는 공동(138)이 유지되며, 토출구(139)에서는 일정하게 온수가 배출된다.
도 1과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토출구(139)에는 수온에 따라 다른 색을 나타내는 환형 도광부(180)가 설치되며, 환형 도광부(180)는 삼색파장을 갖는 엘이디를 광원(181)으로 사용할 수 있다.
제어부(170)에는 토출 버튼(151)과 함께 온도 버튼(152)이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온도 버튼(152)에 의해 조정된 온도의 온수가 토출구(139)에서 배출된다.
환형 도광부(180)는 고온, 중온, 및 저온에 따라 색상이 변화된다. 이처럼 토출구(139)는 온수에 따라 다른 색상이 표시되며, 사용자는 이를 인식하면서 적정 온도의 온수를 선택적으로 식별 사용할 수 있다.
배수부(160)는 케이스(110)의 하부에 위치하는 배수본체(161), 배수본체(161)의 상면부에 위치하며 토출구(139)를 통해 유출되는 물을 받는 실리콘 물받이(162), 및 실리콘 물받이(162)의 하부에 연결되며 배수본체(161)의 내부를 통과하는 실리콘 배수라인(163)을 포함한다. 실리콘 물받이(162)와 실리콘 배수라인(163)은 온수에 의한 변형이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실리콘 물받이(162)는 깔때기 형상으로 마련되되, 깔때기의 테이퍼진 각도는 30도보다 작을 수 있다. 실리콘 물받이(162)의 각도는 물을 넓은 영역으로 받을 수 있으며, 실리콘 배수라인(163) 측으로 원활하게 배수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티 브루어는 배수본체(161)의 저면부에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복수의 슬립방지 고무(18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슬립방지 고무(185)는 티 브루어의 설치와 고정을 견고하게 만들어주며, 진동이나 충격을 차단하여 기기를 보호한다.
상기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티 브루어는, 보일러에 정체되어 있는 물이 아닌 듀얼 히터 보일러를 통해 신선한 물을 사용하여 최적의 온도 유지로 녹차(티)의 맛을 최상으로 추출하는 티 전용 온수기로 충분히 사용할 수 있으며, 티의 추출 즉시 워터 필터를 통과하여 필요한 양만큼 토출부인 헤드에 물이 공급되므로 물이 보일러로 들어갔을 때와 나올 때의 성분변화가 나타나지 않는 장점이 있다.
히터 보일러는 듀얼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열 보존 효율이 매우 우수하며, 온수는 토출구를 통해 녹차(티)를 우리는 동안 상에서 하로 천천히 이동하며 녹차(티) 우리기가 끝나면 멈추게 된다.
또한, 토출구가 상하로 자유로이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어 다양한 용기로 추출할 수가 있어 편리하며, 추출할 때 토출구에 샤워기 구조를 적용하면, 녹차(티)표면에 골고루 분사해 충분히 우려낼 수 있고, 뜨거운 물의 높은 압력으로 인해 튀는 현상이 없어 화상의 위험으로부터 안전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를 기초로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본질적인 기술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
10: 직수관 110: 케이스
111: 가이드 통로 118: 제1 파이프
120: 히터 보일러 121: 코일 파이프
122: 히터 123: 히팅본체
125: 가열수단 126: 탄소판
127: 퓨즈 128: 제2 파이프
130: 토출부 131: 상하 가이드
132: 가이드 바 133: 가이드 롤러
134: 가이드 스프링 135: 토출통
136: 경사면 137: 원추부
138: 공동 139: 토출구
140: 환상관
141: 노즐 145: 제1 환상관
146: 제2 환상관 147: 지지대
150: 솔레노이드 밸브 151: 토출 버튼
160: 배수부 161: 배수본체
162: 실리콘 물받이 163: 실리콘 배수라인
170: 제어부
171: 압력센서 172: 온도센서
175: 유량조절밸브 180: 환형 도광부
181: 광원 185: 슬립방지 고무

Claims (10)

  1. 직수관이 한쪽에 연결되는 정수부를 구비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직수관과 제1 파이프에 의해 연결되는 히터 보일러;
    상기 히터 보일러와 제2 파이프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케이스의 전면부에 설치되는 토출부;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토출부의 물을 배수 처리하는 배수부;
    상기 제1 파이프 및 제2 파이프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솔레노이드 밸브; 및
    상기 케이스의 전면부에 설치되며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를 작동시키는 토출 버튼을 구비한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히터 보일러는,
    상기 제1 파이프에 연결되는 코일 형상의 코일 파이프; 및
    상기 코일 파이프를 가열하는 히터를 포함하며,
    상기 토출부는,
    상기 케이스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하 가이드를 구비하며,
    상기 제2 파이프가 상부에 인입되며, 원추 형상의 원추부에 토출구가 마련된 토출통; 및
    상기 토출통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2 파이프에 연결되되, 상기 토출통의 원추부에 물을 뿌리는 노즐이 마련되고, 내주면 안쪽 공간에 녹차(티)가 팩형태로 장착되는 환상관을 포함하며,
    상기 환상관의 노즐에서 토출되는 유량보다 상기 원추부의 토출구의 토출 유량이 더 커서 상기 원추부에는 공동이 형성되며,
    상기 환상관의 노즐은, 분사 방향이 상방과 하방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녹차(티)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 브루어.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환상관은,
    제1 환상관과 제2 환상관을 포함하며,
    상기 제1, 2 환상관 중 하나의 노즐은, 상기 토출통의 상면부를 향해 형성되며, 상기 토출통의 상면부는 하방 물 흘림을 위한 곡면 또는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티 브루어.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환상관의 노즐이 상기 토출통의 상면부를 향하고, 상기 제2 환상관의 노즐이 상기 원추부를 향하되, 상기 제1 환상관보다 제2 환상관이 작고,
    상기 제1 환상관은 상기 토출통의 내벽부에 인접하며, 상기 제2 환상관은 상기 원추부에 인접하며,
    상기 제1 환상관과 제2 환상관은 환형으로 배치되는 지지대로 연결되며,
    상기 토출통의 내벽부에는 상기 제1 환상관이 거치되는 거치대들이 원주 방향으로 배치되는 티 브루어.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는 상기 코일 파이프를 따라 코일 형상으로 배치되며, 상기 코일 파이프를 감싸도록 설치되되,
    상기 히터는 상기 코일 파이프에 코팅된 탄소판으로 마련된 티 브루어.
  6. 제1 항, 제3 항 내지 제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원추부에 설치되는 압력센서;
    상기 원추부에 설치되는 온도센서; 및
    상기 제2 파이프에 설치되는 유량조절밸브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력센서와 온도센서에서 각각 감지되는 압력과 온도에 따라 상기 히터와 유량조절밸브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수량과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티 브루어.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에는 수온에 따라 다른 색을 나타내는 환형 도광부가 설치되되, 상기 환형 도광부는 삼색파장을 갖는 엘이디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티 브루어.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전면부에는 상기 상하 가이드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 통로가 마련되되,
    상기 상하 가이드는,
    상기 가이드 통로를 통과하는 가이드 바;
    상기 가이드 바에 결합되며, 상기 케이스의 내벽에 지지되는 가이드 롤러; 및
    상기 가이드 바의 위치하여 상기 케이스의 내벽 측으로 상기 가이드 롤러를 가압하는 가이드 스프링을 포함하는 티 브루어.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부는,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위치하는 배수본체;
    상기 배수본체의 상면부에 위치하며, 상기 토출구를 통해 유출되는 물을 받는 실리콘 물받이; 및
    상기 물받이의 하부에 연결되며 상기 배수본체의 내부를 통과하는 실리콘 배수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물받이는 깔때기 형상으로 마련되되,
    상기 깔때기의 테이퍼진 각도는 30도보다 작은 티 브루어.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히터의 과부하를 차단하는 퓨즈를 더 포함하는 티 브루어.
KR1020190176593A 2019-12-27 2019-12-27 티 브루어 KR1021603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6593A KR102160366B1 (ko) 2019-12-27 2019-12-27 티 브루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6593A KR102160366B1 (ko) 2019-12-27 2019-12-27 티 브루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0366B1 true KR102160366B1 (ko) 2020-09-25

Family

ID=72707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6593A KR102160366B1 (ko) 2019-12-27 2019-12-27 티 브루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036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05857A (ja) * 1996-05-09 1997-11-28 Sanyo Electric Co Ltd コーヒー飲料自動販売機
JP2012059096A (ja) * 2010-09-10 2012-03-22 Fuji Electric Retail Systems Co Ltd カップ式自動販売機
JP2019517899A (ja) * 2016-04-14 2019-06-27 メルツ リミテッド ライアビリティ カンパニー 制御された液体食品または飲料製品作製用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05857A (ja) * 1996-05-09 1997-11-28 Sanyo Electric Co Ltd コーヒー飲料自動販売機
JP2012059096A (ja) * 2010-09-10 2012-03-22 Fuji Electric Retail Systems Co Ltd カップ式自動販売機
JP2019517899A (ja) * 2016-04-14 2019-06-27 メルツ リミテッド ライアビリティ カンパニー 制御された液体食品または飲料製品作製用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58502A (en) Beverage brewer
US6158328A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making beverages
EP0392254B1 (en) Drink extraction apparatus
EP1600086B1 (en) Electric coffee maker for the production of espresso coffee
US7347137B2 (en) Espresso coffeemaker with removable water reservoir
US3479949A (en) Beverage brewing machine
NO122550B (ko)
KR101190168B1 (ko) 차 제조장치
US3368476A (en) Apparatus for making a beverage, for example coffee
US4133354A (en) Coffee brewer with means for dispensing controlled quantities of hot water
US3552298A (en) Drip-type coffee maker
US4402257A (en) Electric coffee maker
KR102160366B1 (ko) 티 브루어
KR101116227B1 (ko) 휴대용 에스프레소 제조기
US4653389A (en) Boilers or tanks for hot water
JP2006263028A (ja) エスプレッソコーヒーマシーン
JP6799781B2 (ja) 注出装置
JP2018110694A (ja) 給湯装置
JP5061702B2 (ja) コーヒーメーカー
JP5056140B2 (ja) コーヒーメーカー
US7066080B2 (en) Automatic drip coffee maker
KR101930624B1 (ko) 응축 진공을 이용한 식물 성분 축출 장치
KR101496057B1 (ko) 열수공급장치
KR101369875B1 (ko) 정수기용 순간 온수장치
KR20120121898A (ko) 급속 보일러 및 그러한 보일러를 포함하는 가전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