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5848A - 정수기 - Google Patents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5848A
KR20190065848A KR1020170165404A KR20170165404A KR20190065848A KR 20190065848 A KR20190065848 A KR 20190065848A KR 1020170165404 A KR1020170165404 A KR 1020170165404A KR 20170165404 A KR20170165404 A KR 20170165404A KR 20190065848 A KR20190065848 A KR 201900658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outflow
pipe
nozzle
water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54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26082B1 (ko
Inventor
박종호
박범철
김영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654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6082B1/ko
Priority to PCT/KR2018/004715 priority patent/WO2019112123A1/en
Publication of KR201900658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58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60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60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7Cleaning beverage-dispensing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03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a single liquid
    • B67D1/0014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a single liquid the beverage being supplied from water m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01D35/04Plug, tap, or cock filters filtering elements mounted in or on a fauc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42Details of specific parts of the dispensers
    • B67D1/0081Dispensing valves
    • B67D1/0085Dispensing valves electro-mechan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78Safety, warning or controll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78Safety, warning or controlling devices
    • B67D1/0887Sanitary protection means for dispensing nozzles or taps, e.g. outlet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 C02F1/3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light
    • C02F1/325Irradiation devices or lamp constru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9/00Multistage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9/20Portable or detachable small-scale multistage treatment devices, e.g. point of use or laboratory water purificat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57Cool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95Heat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277Flow control valves
    • B67D1/1279Flow control valves regulating the 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2001/0093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7Cleaning beverage-dispensing apparatus
    • B67D2001/075Sanitising or sterilising the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02Purifying means
    • B67D2210/00005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02Purifying means
    • B67D2210/00013Sterilising means
    • B67D2210/00015UV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047Pip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32Details relating to UV-irradiation devices
    • C02F2201/322Lamp arrangement
    • C02F2201/3222Units using UV-light emitting diodes [LED]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32Details relating to UV-irradiation devices
    • C02F2201/326Lamp control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14Maintenance of water treatment install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7/00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 C02F2307/10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as part of a potable water dispenser, e.g. for use in homes or off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oxicology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형을 형성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어 외부에서 유입된 원수를 여과시키는 필터를 포함하는 정수기 본체와, 상기 정수기 본체의 전면에 노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필터를 통과한 물을 상기 정수기 본체의 외부로 공급하는 출수노즐과, 상기 출수노즐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출수노즐의 내측면에 자외선을 방출하는 자외선 램프와, 상기 필터를 통과한 물을 상기 출수노즐 측으로 안내하는 출수배관과, 상기 출수배관 상에 설치되어, 상기 출수배관을 통과하는 물의 흐름을 단속하도록 상호 이격 배치되는 적어도 두 개의 밸브들을 포함하고, 출수 종료 시, 상기 출수노즐의 끝단에 맺힌 물은 내측으로 오목하게 맺히도록 상기 밸브들은 기설정된 시간차를 두고 닫히도록 제어된다.

Description

정수기{water purifier}
본 발명은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기는 물을 걸러 불순물을 제거하는 기구로서 가정용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상세히, 정수기는 수도와 연결되어 수돗물에 함유된 부유물이나 유해성분 등을 필터를 이용하여 제거하게 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원하는 만큼의 물을 정수하여 취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정수기는 정수는 물론 온수와 냉수의 취출이 가능한 다양한 제품이 출시되고 있다. 그리고, 근래에는 크기가 작고 다양한 설치환경에 설치될 수 있는 정수기가 개발되고 있다.
하지만, 정수기를 각 가정이나 기관, 사무실에서 사용하다 보면, 손의 세균과 공기 중에 떠다니는 세균 또는 먼지 등이 정수,냉수, 온수가 선택적으로 취출되는 출수노즐에 묻게 되면서, 출수노즐이 오염된다. 또한, 커피 등을 마시기 위해 출수노즐을 통해 물을 취출하는 과정에서 출수노즐로 커피 등의 불순물이 접촉하면서 출수노즐이 오염되고, 출수노즐은 필연적으로 다량의 세균이 존재할 수밖에 없다.
또한, 정수기의 출수노즐에는 물이 항상 고여있으며 공기에 노출되어 세균이 번식 할 수 있는 상태에 놓여질 수 밖에 없다.
하지만, 출수노즐을 매일 청소하는 것은 일반적인 사용자에게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출수노즐에는 세균이 번식할수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자외선을 방출하는 조명을 출수노즐 내에 장착한 정수기(한국실용신안 20-0393066)가 개시된 바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정수기는 자외선이 출수노즐의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의 안전을 위협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자외선을 출수 노즐의 하측에서 조사하는 정수기(한국측허출원 10-2010-0098721)가 개시된 바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정수기는 자외선 살균 시, 외부 덮개를 덮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었고, 정수 취출 시, 외부 덮개를 열어야 하는 번거로움도 있었다. 또한, 출수 노즐의 단부만 살균되고, 출수 노즐의 내측까지는 살균력이 확보될 수 없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정수기의 출수 노즐이 자외선에 의해 항시 살균 처리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자외선으로 살균 처리된 출수노즐을 통해 항상 깨끗한 상태의 물을 공급받을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별도의 부품을 추가하거나, 출수노즐을 변형시킬 필요 없이, 기존에 설치된 밸브들의 닫히는 순서 및 시간차를 설정하여, 출수 노즐 끝단에 맺힌 물의 형상을 오목하게 형성할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오목하게 형성된 물에 의해, 출수 노즐 외측으로 노출되는 자외선이 확산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자외선 램프에서 방출된 자외선이 출수노즐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거나, 노출되더라도 그 양이 미비하여, 출수 노즐 외부로 노출된 자외선에 의해 사용자의 신체에 상해가 가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출수노즐로 유동하는 물이 자외선 램프에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자외선 램프에서 방출된 자외선을 손실 없이 100% 가까이 출수노즐로 전달하여, 자외선 램프에서 방출된 자외선에 의한 출수노즐의 살균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는, 외형을 형성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어 외부에서 유입된 원수를 여과시키는 필터를 포함하는 정수기 본체와, 상기 정수기 본체의 전면에 노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필터를 통과한 물을 상기 정수기 본체의 외부로 공급하는 출수노즐과, 상기 출수노즐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출수노즐의 내측면에 자외선을 방출하는 자외선 램프와, 상기 필터를 통과한 물을 상기 출수노즐 측으로 안내하는 출수배관과, 상기 출수배관 상에 설치되어, 상기 출수배관을 통과하는 물의 흐름을 단속하도록 상호 이격 배치되는 적어도 두 개의 밸브들을 포함하고, 출수 종료 시, 상기 출수노즐의 끝단에 맺힌 물은 내측으로 오목하게 맺히도록 상기 밸브들은 기설정된 시간차를 두고 닫히도록 제어된다.
또한, 상기 밸브들은, 상기 필터와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필터를 통과한 물의 흐름을 단속하는 급수밸브 및 상기 출수노즐과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급수밸브를 통과한 물의 흐름을 단속하는 출수밸브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출수배관은, 상기 필터와 상기 급수밸브 사이를 연결하는 제1출수배관과, 상기 급수밸브와 상기 출수밸브 사이를 연결하는 제2출수배관 및 상기 출수밸브와 상기 출수노즐 사이를 연결하는 제3출수배관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출수노즐에서 출수가 종료되면, 상기 급수밸브가 먼저 닫히고, 기설정된 시간 이후 상기 출수밸브가 닫힌다.
또한, 상기 출수밸브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3출수배관은 대기압 상태이고, 상기 제2출수배관은 대기압보다 작은 내압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출수밸브는, 닫힌 상태에서, 제2출수배관에서 제3출수배관 방향으로 물의 흐름은 차단하고, 제3출수배관에서 제2출수배관 방향으로 물의 흐름은 허용한다.
또한, 상기 출수밸브는, 중심부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중심챔버와, 일측이 상기 제2출수배관 측을 향해 개방되고, 타측이 상기 중심챔버의 상측과 연결된 제1안내유로와, 타측이 상기 제3출수배관 측을 향해 수평방향으로 개방되고, 일측이 상기 중심챔버의 하측과 연결된 제2안내유로와, 상기 중심 챔버의 상측에 형성되고, 상기 중심챔버의 내측으로 출몰하면서, 상기 중심챔버의 적어도 일부를 차폐하는 개폐부 및 상기 개폐부의 상측에 형성되고, 상기 개폐부를 하측의 중심챔버 측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개폐부는, 밸브 개방 시, 하측 단부가 상기 제1안내유로 보다 상부에 위치하고, 밸브 차폐 시, 하측 단부가 상기 제1안내유로와 제2안내유로 사이에 위치한다.
또한, 밸브 차폐 시, 상기 제3출수배관의 물은 상기 중심 챔버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유동하면서, 상기 개폐부를 가압하고, 그 가압력에 의해 상기 탄성부재가 변형되면서, 상기 개폐부가 상기 제1안내유로를 개방하여, 제3출수배관의 물이 제2출수배관으로 유동한다.
또한, 상기 출수밸브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1출수배관의 내압은 원수의 압력과 동일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2출수배관 및 제3출수배관의 내압보다 크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출수노즐은 상기 밸브들보다 상측에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정수기의 출수 노즐이 자외선에 의해 항시 살균 처리된 상태를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살균 처리된 출수노즐을 통해 항상 깨끗한 물을 공급받을 수 있다.
또한, 별도의 부품을 추가하거나, 출수노즐을 변형시킬 필요 없이, 기존에 설치된 밸브들의 닫히는 순서 및 시간차를 설정하여, 출수 노즐 끝단에 맺힌 물의 형상을 오목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오목하게 형성된 물에 의해, 출수 노즐 외측으로 노출되는 자외선이 확산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자외선 램프에서 방출된 자외선이 출수노즐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거나, 노출되더라도 그 양이 미비하여, 출수 노즐 외부로 노출된 자외선에 의해 사용자의 신체에 상해가 가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출수노즐로 유동하는 물이 자외선 램프에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자외선 램프에서 방출된 자외선을 손실 없이 100% 가까이 출수노즐로 전달하여, 자외선 램프에서 방출된 자외선에 의한 출수노즐의 살균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배관과 밸브를 개략적으로 보인 보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부 구성요소인 출수모듈의 부분절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있어서, 케이스를 제거한 출수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6은 출수노즐 끝단에 맺힌 물 형상에 따른 자외선 빛의 출력 변화를 보인 도면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배관과 밸브를 개략적으로 보인 보인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부 구성요소인 출수밸브의 다양한 작동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9는 출수노즐에 맺힌 물 끝단의 형상에 따른 출수노즐 외측에서의 UV조사량을 측정한 비교표이다.
도 10은 급수밸브와 출수밸브가 닫히는 시간차에 따른 출수노즐 외측에서의 UV조사량을 출수되는 물의 온도별로 측정한 비교표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하에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및 추가 등에 의해서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이하의 실시예에 첨부되는 도면은, 같은 발명 사상의 실시예이지만, 발명 사상이 훼손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미세한 부분의 표현에 있어서는 도면별로 서로 다르게 표현될 수 있고, 도면에 따라서 특정 부분이 표시되지 않거나, 도면에 따라서 과장되게 표현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배관과 밸브를 개략적으로 보인 보인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10)는 외부에서 유입된 원수를 여과시키는 필터(120)를 구비하고, 정수기(10)의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하는 정수기 본체(100), 상기 정수기 본체(100)의 전면에 형성되고 상기 필터(120)를 통과한 물을 상기 정수기 본체(100)의 외부로 공급하는 출수노즐(210)을 포함하는 출수모듈(200) 및, 상기 출수노즐(210)의 하측에 구비되는 트레이(3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수기 본체(100)의 외형은 하우징(110)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0)은 전면의 외관을 형성하는 프론트 커버(111)와 후면의 외관을 형성하는 리어 커버(112), 하면을 형성하는 베이스(113), 상면을 형성하는 탑 커버(114) 그리고 좌우 양측면을 형성하는 사이드 패널(115)로 구성된다. 상기 프론트 커버(111)와 리어 커버(112), 베이스(113)와 탑 커버(114) 그리고 한 쌍의 사이드 패널(115)은 서로 조립되어 상기 정수기 본체(100)의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110)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정수기 본체(100)의 전면에는 출수모듈(200)이 형성된다.
일 예로, 상기 출수모듈(200)은 상기 프론트 커버(111)의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하방으로 돌출되는 출수노즐(210)을 통해 정수된 물이 외부로 취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수기 본체(100)의 내측에는, 원수를 필터(120)로 공급하는 원수배관(410)과, 상기 필터(120)를 통과한 물을 상기 출수노즐(210) 측으로 안내하는 출수배관(420,430,441,442,44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수배관(410) 상에는 원수의 압력을 조절하여 필터(120)로 공급하는 감압밸브(350)가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수배관(420,430,441,442,443) 상에는 출수배관(420,430,441,442,443)을 통과하는 물의 흐름을 단속하도록, 복수의 밸브(310,320,330,340)가 상호 이격하여 장착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밸브(310,320,330,340)는 상기 필터(120) 측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필터(120)를 통과한 정수의 흐름을 단속하는 급수밸브(310)와, 상기 출수노즐(210) 측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상기 급수밸브(310)를 통과한 물이 출수노즐(210)로 공급되는 것을 단속하는 출수밸브(320,330,3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수배관(420,430,441,442,443)은, 상기 필터(120)와 상기 급수밸브(310) 사이를 연결하는 제1출수배관(420)과, 상기 급수밸브(310)와 상기 출수밸브(320,330,340) 사이를 연결하는 제2출수배관(430,441a,442a,443a) 및 상기 출수밸브(320,330,340)와 상기 출수노즐(210) 사이를 연결하는 제3출수배관(441b,442b,443b,45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급수밸브(310)와 상기 출수밸브(320,330,340) 사이에는 상기 급수밸브(310)를 통과한 물을 복수의 배관(441,442,443)으로 분기시키는 분기부(380)가 형성되고, 상기 분기된 각각의 배관(441,442,443)에는 출수밸브(320,330,340)가 개별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배관(441,442,443)은, 상기 필터(120)를 통과한 물을 상기 출수노즐(210) 측으로 안내하는 정수배관(441)과, 상기 필터(120)를 통과한 물을 냉수로 냉각시킨 후, 상기 출수노즐(210) 측으로 안내하는 냉수배관(442)과, 상기 필터(120)를 통과한 물을 온수로 가열시킨 후, 상기 출수노즐(210) 측으로 안내하는 온수배관(44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출수밸브(320,330,340)는, 정수배관(441) 상에 설치된 정수밸브(320)와, 냉수배관(442) 상에 설치된 냉수밸브(330)와, 온수배관(443) 상에 설치된 온수밸브(3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정수배관(441)과 냉수배관(442)과 온수배관(443)은 각각 상기 밸브(320,330,340)를 기준으로, 제2출수배관(441a,442a,443a)과 제3출수배관(441b,442b,443b)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수배관(441), 냉수배관(442) 및 온수배관(433)는 상기 출수밸브(320,330,340)와 출수노즐(210) 사이에 형성된 합류부(390)에서 합류되고, 상기 각각의 배관(441,442,443)을 통과한 물은 하나의 공통배관(450)을 거쳐 상기 하나의 출수노즐(210)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수배관(442) 상에는 상기 냉수밸브(330)를 통과한 정수를 냉각하여 냉수를 만들기 위해 쿨링탱크(150)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쿨링탱크(150)에는 정수와 열교환을 위한 냉각수가 채워진다. 그리고, 상기 쿨링 탱크(150) 내부에는 상기 냉각수의 냉각을 위한 증발기 등이 수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정수가 상기 쿨링탱크(150) 내부를 경유하면, 정수가 냉각되면서 냉수가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온수배관(443) 상에는 상기 필터(120)를 통과한 정수를 가열하여 온수를 만들기 위한 온수탱크(160)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온수탱크(160)는 유도 가열(IH:induction heating) 방식으로 정수를 가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유도 가열 방식의 경우, 온수 취출 조작시 즉각적이고 빠른 속도로 물을 가열할 수 있으며, 자기장의 출력을 제어하여 원하는 온도로 정수를 가열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원하는 온도의 온수를 취출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정수기(10)의 전반적인 출수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정수기(10)의 입수배관(410)은 수도꼭지 등과 연결되어 원수를 공급받게 된다. 상기 입수배관(410) 상에는 감압 밸브(350)가 설치된다. 상기 감압 밸브(350)를 통과하는 원수는 상기 정수기(10)의 동작을 위해 설정된 압력으로 감압된다.
그리고, 감압된 원수는 필터(120)로 유동하게 된다. 상기 필터(120)를 통과하는 원수는 이물질이 제거된 정수 상태이며, 제1출수배관(420)를 통해서, 급수밸브(310)로 유동한다. 그리고, 급수 밸브(310)가 개방되면, 정수는 급수 밸브(310)를 지나 제2출수배관(430)를 통해서 출수밸브(320,330,340) 측으로 유동한다. 이때, 상기 제2출수배관(340) 상에는 유량 센서(370)가 설치될 수 있다.
유량센서(370)를 통과한 정수는 분지관(380)을 통해서 정수배관(441), 냉수배관(442), 온수배관(443)로 분지된다. 이때, 상기 분지관(380)은 복수 구비될 수 있다.
먼저, 정수 취출 시, 정수밸브(320)가 개방되고, 유량센서(370)를 통과한 정수는 정수배관(441)로 유동한 후, 출수 노즐(210)을 통해 사용자에게 공급된다. 이때, 냉수밸브(330)와 온수밸브(340)는 닫힌 상태이다.
반면, 냉수 취출 시, 냉수밸브(330)가 개방되고, 유량센서(370)를 통과한 정수는 냉수배관(442)로 유동한다. 이후, 쿨링탱크(150)를 통과하면서, 정수는 냉수로 냉각되고, 출수 노즐(210)을 통해 사용자에게 공급된다. 이때, 정수밸브(320)와 온수밸브(340)는 닫힌 상태이다.
또한, 온수 취출 시, 온수밸브(340)가 개방되고, 유량센서(370)를 통과한 정수는 온수배관(443)로 유동한다. 이후, 가열탱크(160)를 통과하면서, 정수는 온수로 가열되고, 출수 노즐(210)을 통해 사용자에게 공급된다. 이때, 정수밸브(320)와 냉수밸브(330)는 닫힌 상태이다.
또한, 정수배관(441), 냉수배관(442), 온수배관(443)를 통과한 물은 합류관(390)에 의해 합류될 수 있으며, 이후 하나의 공통배관(450)를 통해서, 출수노즐(210)로 공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합류관(390)은 복수 구비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구성요소인 ‘출수모듈’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부 구성요소인 출수모듈의 부분절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3에 있어서, 케이스를 제거한 출수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4을 참조하면, 상기 출수모듈(200)은, 하단에 상기 출수노즐(210)이 노출되는 케이스(220)와, 상기 케이스(220)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출수노즐(210)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출수노즐(210)의 내측면에 자외선을 방출하는 자외선 램프(230)를 포함한다.
상기 자외선 램프(230)는 상기 출수노즐(210)의 상측에 구비되어, 자외선을 방출한다. 상기 자외선 램프(230)에서 방출된 자외선은 상기 출수노즐(210)의 내측 공간을 살균시킨다. 따라서, 사용자는 살균 처리된 출수노즐(210)을 통해 항상 깨끗한 물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자외선 램프(230)는 자외선을 방출하는 UV LED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외선 램프(230)는 300nm ~ 400nm, 구체적으로는 380nm 파장의 자외선을 방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외선 램프(230)는, 간헐적으로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다.
자외선 램프(230)는 지속적으로 자외선을 방출할 수 있지만, 켜짐과 꺼짐을 반복하면서 출수노즐(210)을 살균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자외선 램프(230)가 간헐적으로 자외선을 출력하면, 자외선에 의한 출수노즐(210)의 살균 성능은 확보하면서, 전력소모는 줄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자외선 램프(230)는 5분 동안 온(on)되고, 55분 동안 오프(off)되는 동작을 반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외선 램프(230)는 온(on)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출수명령이 입력되면, 자동으로 오프(off)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UV LED는 UV LED PCB(280)에 실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외선 램프(230)의 하측에는, 상기 자외선램프(230)를 물로부터 보호하는 광투과성 재질의 보호창(240)이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보호창(240)은 상기 출수모듈(200) 내부를 따라 흐르는 물이 상기 자외선 램프(230) 측으로 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된다.
상세히, 상기 보호창(240)은 투명한 유리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져, 자외선 램프(230)에서 출력된 자외선을 출수노즐(210)로 전달한다. 또한, 출수노즐(210)을 통과하는 물이 자외선 램프(230)로 튀지 않게 차단한다.
일 예로, 상기 보호창(240)은, 투명한 석영 유리로 구비될 수 있다.
석영(SiO2 99.9%)의 경우, 투광률(透光率, light transmission ratio)이 96%에 달한다. 특히, 고도의 자외선 투과율을 구비하면서 내수성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석영 재질로, 보호창(240)을 형성하면, 출수모듈(200) 내부를 흐르는 물이 자외선 램프(230)에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자외선 램프(230)에서 방출된 자외선을 손실 없이 100% 가까이 출수노즐(210)로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자외선 램프(230)에서 방출된 자외선에 의한 출수노즐(210)의 살균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출수노즐(210)의 상부에는 상기 자외선 램프(230)가 안착되는 상부프레임(290)이 구비될 수 있다.
만약, 상기 자외선 램프(230)가 UV LED로 구비된 경우, 상기 상부프레임(290)에는 UV LED PCB(210)가 안착되는 수납홈(291)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부프레임(290)에는 UV LED PCB(210)의 저면에 실장된 UV LED가 상기 출수노즐(210)을 향해 노출되게 개구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UV LED에서 방출된 자외선이 개구를 통해 출수노즐(210)로 조사되어, 출수노즐(210)의 자외선 살균이 진행될 수 있다.
한편, 사람의 피부에 하루 동안 허용되는 자외선의 누적 노출량은 3mJ/cm2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만일, 자외선 램프(230)에서 방출된 자외선이 출수노즐(210)의 외부로 노출된 다면, 사용자가 상해를 입을 우려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자외선이 출수노즐(210)의 끝단까지 조사되지 않도록 자외선 램프(230)의 위치 및 사양을 조절하면, 자외선으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할 수 있으나, 출수노즐(210)의 끝단까지 자외선 살균이 이뤄질 수 없는 문제가 있다.
한편, 빛은 오목렌즈를 통과하면, 확산된다. 만약, 출수노즐(210) 끝단에서 자외선이 확산될 경우, 출수노즐(210) 끝단까지 자외선으로 살균시킬 수 있고, 외부로 자외선 빛이 노출되더라도, 자외선 빛이 넓게 퍼지기 때문에, 사용자가 자외선 빛에 의해 상해입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출수노즐(210) 끝단에 오목렌즈를 별도로 설치할 수 있겠으나, 이 경우 오목렌즈의 수납을 위한 별도의 공간을 형성해야 하고, 오목렌즈가 물의 흐름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오목렌즈를 출몰시켜야 하는 등, 복잡하고 번거로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경우, 출수노즐(210)에 맺힌 물의 형상을 오목하게 형성하여, 자외선 빛이 오목한 물의 끝단을 통과하면서 확산되어 퍼져 나가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이 자외선 램프(230)에서 방출된 자외선이 물의 끝단에서 확산되어 퍼져나가면, 출수노즐(210) 외측으로 방출된 자외선 빛의 세기가 약해져, 사용자가 정수기의 출수노즐(210)에 손가락을 노출하더라도 상해를 입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출수모듈(200)의 상면에는 조작부(410)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출수모듈(200)의 전면에는 출수버튼(42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조작부(410)가 출수모듈(200)의 상면에 구비되기 위해서, 상기 케이스(220)의 상면에는 조작부(410)가 수용되는 수납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조작부(410)에는 온수버튼, 정수버튼, 냉수버튼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온수버튼의 경우 온도의 온도를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출수용량을 설정하는 용량 선택 버튼 및 연속 출수를 선택하는 연속 버튼도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조작부(410)의 조작을 일시적으로 차단하는 잠금버튼도 구비될 수 있고, UV 살균을 온,오프하는 살균버튼이 구비될 수 있다.
참고로, 살균버튼을 통해 UV 살균 명령이 입력되면, 출수노즐(210)의 자외선 살균이 진행된다.
상세히, 정수기의 전원이 온(on)된 상태에서, 살균버튼(416)을 누르면, 메인 피시비(미도시)는 UV LED PCB(280)를 통해 자외선 램프(230)를 온 시키고, 출수노즐(210)의 자외선 살균이 진행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조작부(410)가 출수모듈(200)의 상면에 구비되어, 키가 큰 어른 사용자의 경우 손쉽게 정수기(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조절할 수 있다. 반면, 키가 작은 아이 사용자의 경우, 출수모듈(200)의 상면에 구비된 조작부(410)를 인지할 수 없고, 인지하더라도 쉽게 조작할 수 없어, 무작위로 조작부(410)를 눌러 뜨거운 물이 출수되면서 손에 화상을 입는 등의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반면, 출수버튼(420)은 출수모듈(200)의 전면에 구비되어, 어른 사용자는 물론 키가 작은 아이 사용자까지 출수버튼(420)을 인지할 수 있고, 출수를 원할 경우 손쉽게 출수버튼(420)을 조작하여, 출수를 진행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조작부(410)는 터치패널로 구비되고, 출수 용량을 선택하는 용량버튼(411), 온수를 선택하고, 나아가 출수되는 온수의 온도를 선택하는 온수버튼(412), 정수를 선택하는 정수버튼(413), 냉수를 선택하는 냉수버튼(414), 연속출수를 선택하는 연속버튼(415) 및, UV살균을 온,오프하는 살균버튼(416)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6은 출수노즐 끝단에 맺힌 물 형상에 따른 자외선 빛의 출력 변화를 보인 도면이다.
먼저, 도 5는 출수노즐(210) 끝단에서 물이 오목하게 맺힌 상태이다.
이 경우, 자외선 램프(230)에서 출력된 빛은 오목하게 맺힌 물의 끝단(WP1)을 통과하면서 확산(산란)되어 출수노즐(210) 외부로 퍼져 나가면서 조사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물방울이 오목렌즈 역할을 하여, UV를 산란시키고, 이에 따라 출수노즐(210) 외부로 조사되는 UV량을 줄일 수 있다. 이와 같은 현상을 이용하여, 출수노즐(210) 내에서, 물이 맺히는 높이와, 출수노즐(210)의 끝단의 거리를 알맞게 조절하면, 출수노즐(210) 외부로 조사되는 UV량을 0에 맞출 수도 있다.
반면, 도 6은 일반적인 경우로서, 출수노즐(210) 끝단에서 물이 볼록하게 맺힌 상태이다.
이 경우, 자외선 램프(230)에서 출력된 빛은 볼록하게 맺힌 물의 끝단(WP2)을 통과하면서 집광되어 출수노즐(210) 외부로 조사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집광되면서 세기가 커진 강한 자외선 빛이 출수노즐(210) 외부로 조사되어, 사용자가 상해를 입을 우려가 있다.
즉, 출수노즐(210)에 맺힌 물의 형상을 오목하게 만들 경우, 출수노즐(210) 외부로 노출되는 자외선 빛이 넓게 퍼지면서, 산란될 수 있다. 그리고, 출수노즐(210) 외부로 자외선 빛이 노출되더라도, 그 세기가 약해져, 출수노즐(210) 외부에서 자외선 빛에 의해 사용자가 상해를 입는 불상사가 방지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출수노즐(210)에 맺힌 물을 오목하게 형성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급수밸브(310)와 출수밸브(320,330,340)가 닫히는 시간에, 시간차를 두는 간단한 방식으로, 출수노즐(210)에 맺힌 물을 오목하게 형성할 수 있다.
상세히, 출수노즐(210)을 통해 정수,냉수,온수의 취출이 완료된 후, 급수밸브(310)와 출수밸브(320,330,340)가 닫힐 때, 급수밸브(310)를 먼저 닫고, 설정 시간 이후 출수밸브(320,330,340)가 닫히도록 제어하여, 출수노즐(210)에 맺힌 물을 오목하게 형성할 수 있다.
다시,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출수노즐(210)은, 정수배관(441), 냉수배관(442), 온수배관(443) 측과 연결되고, 보호창(240)의 하측에 형성된 제1챔버(211)와, 상기 제1챔버(211)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챔버(211)와 연통하는 중공부(212)를 구비하는 내측부재(21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중공부(212)는 그 내경이 점차 좁아지게 형성되어 경사면(213)을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중공부(212)에 경사면(213)이 형성되면, 상기 자외선 램프(230)에서 수직방향으로 조사된 자외선 빛이 중공부(213)의 내측면 전체에 조사될 수 있고, 따라서 중공부(212)의 경사면(213) 전체가 살균처리될 수 있다.
또한, 제1챔버(211)와 연결된 상부의 내경이 하부보다 크게 형성되어, 제1챔버(211)의 물이 중공부(212)로 유동하기가 수월하다.
또한, 상기 중공부(212)에는 내측면에 중심부를 향해 돌출된 복수의 리브(미도시)가 출수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리브(미도시)는 물줄기 모양을 잡아주고, 와류 등을 개선한다.
상기와 같이 출수노즐(210)이 형성된 경우, 물은 상기 중공부(212)의 끝단에 맺힐 수 있다.
또한, 상기 출수노즐(210)은 상기 내측부재(214)의 외측하단에 연결되고 상기 케이스(220)의 외부로 노출되는 외측부재(21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측부재(215)는 상기 내측부재(214) 보다 하측으로 연장된 형태를 취한다.
상기와 같이 외측부재(215)가 형성되면, 내측부재(214)의 중공부(212) 끝단에 오목하게 맺힌 물을 통과하면서 확산된 자외선 빛은, 외측부재(215)에 의해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고 차단될 수 있다. 따라서, 외측으로 노출되는 자외선 빛이 최소한으로 줄어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측부재(215)는 스테인레스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케이스(220)의 외부로 노출되는 외측부재(215)가 스테인레스 재질로 형성되면, 녹이 슬지 않아 위생적이며, 잦은 사용시 발생하는 파손 및 변형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외관상 미려하고, 정수기(10)에 고급스러운 이미지를 더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내측부재(214)와 외측부재(215)는 일체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여기서, 외측부재(212)는 금속 재질로 구비되며, 내측부재(211)와 외측부재(212)는 인서트 사출 방식으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내측부재(211)와 외측부재(212) 결합력이 높아져,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조립 방식에 비해 제작이 쉽게 이뤄질 수도 있다.
도 7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배관과 밸브를 개략적으로 보인 보인 구성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정수기는, 원수가 유입된 후, 출수노즐(210)로 토출되는 유로 상에 급수밸브(310)와 출수밸브(320,330,34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유로는 급수밸브(310)를 기준으로, 제1유로(FP1)와, 제2유로(FP2)로 구분되고, 출수밸브(320,330,340)를 기준으로 제2유로(FP2)와 제3유로(FP3)로 구분된다.
여기서, 제1유로(FP1)는 원수배관(410)과, 제1출수배관(420)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제2유로(FP2)는 급수밸브(310)와 상기 출수밸브(320,330,340) 사이를 연결하는 제2출수배관(430,441a,442a,443a)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제3유로(FP3)는 상기 출수밸브(320,330,340)와 상기 출수노즐(210) 사이를 연결하는 제3출수배관(441b,442b,443b,450)을 의미할 수 있다. (도 2 참조)
출수과정에서, 물의 흐름은 제1유로(FP1), 제2유로(FP2), 제3유로(FP3) 순서로 진행된다.
이때, 급수밸브(310)가 먼저 닫히면, 관성에 의해 제2유로(FP2)의 물의 일부는 출수밸브(320,330,340)를 지나 제3유로(FP3)로 유동하게 된다. 이후, 출수밸브(320,330,340)가 닫히면, 제3유로(FP3)는 대기압과 동일한 압력이 형성되고, 제2유로(FP2)는 대기압 보다 낮은 압력이 형성된다.
또한, 제1유로(FP1)는 원수압과 동일한 압력이 형성된다.
즉, 제1유로(FP1), 제2유로(FP2), 제3유로(FP3)의 압력을 비교하면, 원수압과 동일한 제1유로(FP1)의 압력이 제일 크고, 대기압 보다 낮은 제2유로(FP2)의 압력이 제일 작으며, 대기압과 동일한 제3유로(FP3)의 압력이 제1유로(FP1)와 제2유로(FP2)의 중간값을 갖는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2유로(FP2), 제3유로(FP3)의 압력차에 의해, 제3유로(FP3)의 물은 그 일부가 출수밸브(320,330,340)을 지나 제2유로(FP2) 측으로 역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3유로(FP3)의 물이 제2유로(FP2) 측으로 역류할 경우, 출수노즐(210)에 맺힌 물의 끝단 형상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출수밸브(320,330,340)는, 닫힌(close) 상태에서, 제2유로(FP2)에서 제3유로(FP3) 방향으로 물의 흐름은 차단하고, 제3유로(FP3)에서 제2유로(FP2) 방향으로 물의 흐름은 허용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출수밸브(320,330,340)는 체크밸브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수밸브(320,330,340)는 솔레노이드 타입으로 작동할 수 있다.
변형 예로, 상기 출수밸브(320,330,340)는 단순히 개폐기능만을 구비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유로(FP2)와 제3유로(FP3) 사이에는 상기 출수밸브(320,330,340)를 우회하도록 제2유로(FP2)와 제3유로(FP3)를 연결하는 보조유로(미도시)를 형성하고, 상기 보조유로(미도시) 상에는 상기 출수밸브(320,330,340)와 병렬로 배치되고, 제3유로(FP3)에서 제2유로(FP2) 방향으로만 물의 흐름을 허용하는 반면, 제2유로(FP2)에서 제3유로(FP3) 방향으로 물의 흐름은 차단하는 별도의 체크밸브(미도시)가 설치될 수도 있다.
따라서, 출수밸브(320,330,340) 개방 시, 출수밸브(320,330,340)를 통해서 제2유로(FP2)에서 제3유로(FP3) 방향으로 물의 흐르고, 출수밸브(320,330,340) 차폐 시, 제2유로(FP2)에서 제3유로(FP3) 방향으로 물의 흐름은 차단된 반면, 보조유로(미도시) 및 체크밸브(미도시)를 거쳐, 제3유로(FP3)에서 제2유로(FP2) 방향으로 물이 역류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부 구성요소인 출수밸브의 다양한 작동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출수밸브(320,330,340)는, 중심부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중심챔버(301)와, 일측이 상기 제2유로(FP2) 측을 향해 개방되고, 타측이 상기 중심챔버(301)의 상측과 연결된 제1안내유로(302)와, 타측이 상기 제3유로(FP3) 측을 향해 수평방향으로 개방되고, 일측이 상기 중심챔버(301)의 하측과 연결된 제2안내유로(303)와, 상기 중심챔버(301)의 상측에 형성되고, 상기 중심챔버(301)의 내측으로 출몰하면서, 상기 중심챔버(301)의 적어도 일부를 차폐하는 개폐부(304), 및 상기 개폐부(304)의 상측에 형성되고, 상기 개폐부(304)를 중심챔버(301) 측으로 가압하는 코일 스프링 등의 탄성부재(305)를 포함한다.
먼저, 도 8의 (a)를 참조하면, 개방 신호 인가 시, 상기 개폐부(304)는 강제로 상승되고, 출수밸브(320,330,340)는 개방된다.
상기와 같은, 개방상태에서 개폐부(304)는 하측 단부가 상기 제1안내유로(302)와 중심챔버(301)의 연결부위(C1) 보다 상부에 위치한다.
따라서, 제2유로(FP2)의 물은 제1안내유로(302), 중심챔버(301), 제2안내유로(303)를 거쳐, 제3유로(FP3)로 유동할 수 있다.
반면, 도 8의 (b)를 참조하면, 차단 신호 인가 시, 상기 개폐부(304)에 가해졌던 상승력을 해제되고, 탄성부재(305)에 의해 개폐부(304)는 하강하며, 출수밸브(320,330,340)는 차단된다.
상기와 같은, 차단 상태에서 개폐부(304)는 하측 단부가 상기 제1안내유로(302)와 중심챔버(301)의 연결부위(C1), 제1안내유로(302)와 중심챔버(301)의 연결부위(C2) 사이에 위치한다.
따라서, 제2유로(FP2)의 물은 제1안내유로(302)에서 중심챔버(301) 측으로 유동하지 못하고, 결과적으로 제2유로(FP2)의 물은 제3유로(FP3)로 유동할 수 없다.
한편, 도 8의 (c)를 참조하면, 출수밸브(320,330,340)가 닫힌 상태에서, 제3유로(FP3)의 물이 제2유로(FP2) 측으로 역류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상세히, 탄성부재(305)에 의해 개폐부(304)가 하강된 상태에서, 상기 제3유로(FP3)의 물은 제2안내유로(303)를 거쳐, 상기 중심챔버(301)의 하측으로 유동한다. 이후, 중심챔버(301) 하측으로 유입된 수압에 의해, 탄성부재(305)가 변형되고, 개폐부(304)는 상측으로 이동한다.
이후, 개폐부(304)가 제1안내유로(302)와 중심챔버(301)의 연결부위(C1)를 개방하면, 제3유로(FP3)의 물은 제2안내유로(303), 중심챔버(301), 제1안내유로(302)를 거쳐, 제2유로(FP2)로 유동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정에 의해, 출수밸브(320,330,340)가 닫힌 상태에서 제3유로(FP3)의 물이 제2유로(FP2)로 유동하면, 출수노즐(210)에 맺힌 물도 역류하면서, 물의 끝단 형상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출수노즐(210)에 맺힌 물의 역류가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상기 출수노즐(210)은 상기 출수밸브(320,330,340) 보다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출수노즐(210)이 출수밸브(320,330,340) 보다 상측에 위치할 경우, 상측에 위치한 출수노즐(210)에 맺힌 물은 유로에 남아있는 잔수의 무게영향을 덜 받게 되고, 출수밸브(320,330,340) 측으로 유동하기가 수월하며, 이에 따라 출수노즐(210)에 맺힌 물의 끝단 형상도 보다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9는 출수노즐에 맺힌 물 끝단의 형상에 따른 출수노즐 외측에서의 UV조사량을 측정한 비교표이다.
측정방법은, 출수노즐(210)의 하단에 조도계를 두고 출수노즐(210) 끝단과 조도계의 거리를 변경해가면서, 조사된 UV량을 측정하였다.
도 9를 참조하면, 출수노즐(210)에 맺힌 물의 끝단이 오목한 경우, 볼록한 경우보다 전체적으로 측정된 UV량이 작게 측정됨을 확인할 수 있다.
또, 출수노즐(210)에 맺힌 물의 끝단이 오목한 경우, 측정된 UV량이 0에 가까운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0은 급수밸브와 출수밸브가 닫히는 시간차에 따른 출수노즐 외측에서의 UV조사량을 출수되는 물의 온도별로 측정한 비교표이다.
측정방법은, 출수노즐(210)의 하단에 조도계를 두고, 급수밸브(310)가 닫힌 후 출수밸브(320,330,340)가 닫히는 시간을 0.01초, 0.02초, 0.1초, 0.15초로 변경하면서, 출수노즐(210) 외측으로 노출되는 조사된 UV량을 출수되는 물의 온도별로 측정하였다.
도 10을 참조하면, 냉수의 경우, 시간차(급수밸브가 닫힌 후 출수밸브가 닫히는 시간)가 0.1초 이상일 경우, 출수노즐(210) 외측에서 측정되는 UV량이 0에 도달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정수 및 온수의 경우, 시간차가 0.01초일 경우, UV량이 0에 도달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취출되는 물의 온도 및 각 배관의 길이, 밸브의 성능, 밸브의 설치위치, 유량 등의 요인에 따라 차이는 있겠으나, 대략적으로, 급수밸브(310)가 닫힌 후 출수밸브(320,330,340)가 닫히는 시간차는 0.01초 ~ 0.15초 내에서 선택됨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정수기의 출수 노즐이 자외선에 의해 항시 살균 처리된 상태를 유지될 수 있어, 사용자는 살균 처리된 출수노즐을 통해 항상 깨끗한 물을 공급받을 수 있다. 또한, 별도의 부품을 추가하거나, 출수노즐을 변형시킬 필요 없이, 기존에 설치된 밸브들의 닫히는 순서 및 시간차를 설정하여, 출수 노즐 끝단에 맺힌 물의 형상을 오목하게 형성할 수 있으며, 그 끝단이 오목하게 형성된 물에 의해, 출수 노즐 외측으로 노출되는 자외선이 확산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자외선 램프에서 방출된 자외선이 출수노즐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거나, 노출되더라도 그 양이 미비하여, 출수 노즐 외부로 노출된 자외선에 의해 사용자의 신체에 상해가 가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10 : 정수기
100 : 정수기 본체
110 : 하우징
120 : 필터
200 : 출수모듈
300 : 트레이

Claims (18)

  1. 외형을 형성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어 외부에서 유입된 원수를 여과시키는 필터를 포함하는 정수기 본체;
    상기 정수기 본체의 전면에 노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필터를 통과한 물을 상기 정수기 본체의 외부로 공급하는 출수노즐;
    상기 출수노즐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출수노즐의 내측면에 자외선을 방출하는 자외선 램프;
    상기 필터를 통과한 물을 상기 출수노즐 측으로 안내하는 출수배관;
    상기 출수배관 상에 설치되어, 상기 출수배관을 통과하는 물의 흐름을 단속하도록 상호 이격 배치되는 적어도 두 개의 밸브들을 포함하고,
    출수 종료 시, 상기 밸브들은 기설정된 시간차를 두고 닫히도록 제어되어, 상기 출수노즐의 끝단에 맺힌 물은 내측으로 오목하게 맺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들은:
    상기 필터와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필터를 통과한 물의 흐름을 단속하는 급수밸브;및
    상기 출수노즐과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급수밸브를 통과한 물의 흐름을 단속하는 출수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출수배관은:
    상기 필터와 상기 급수밸브 사이를 연결하는 제1출수배관;
    상기 급수밸브와 상기 출수밸브 사이를 연결하는 제2출수배관; 및
    상기 출수밸브와 상기 출수노즐 사이를 연결하는 제3출수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출수노즐에서 출수가 종료되면, 상기 급수밸브가 먼저 닫히고, 기설정된 시간 이후 상기 출수밸브가 닫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출수밸브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3출수배관은 대기압 상태이고, 상기 제2출수배관은 대기압보다 작은 내압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출수밸브는, 닫힌 상태에서, 제2출수배관에서 제3출수배관 방향으로 물의 흐름은 차단하고, 제3출수배관에서 제2출수배관 방향으로 물의 흐름은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출수밸브는:
    중심부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중심챔버;
    일측이 상기 제2출수배관 측을 향해 개방되고, 타측이 상기 중심챔버의 상측과 연결된 제1안내유로;
    타측이 상기 제3출수배관 측을 향해 수평방향으로 개방되고, 일측이 상기 중심챔버의 하측과 연결된 제2안내유로;
    상기 중심 챔버의 상측에 형성되고, 상기 중심챔버의 내측으로 출몰하면서, 상기 중심챔버의 적어도 일부를 차폐하는 개폐부;
    상기 개폐부의 상측에 형성되고, 상기 개폐부를 하측의 중심챔버 측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밸브 개방 시, 하측 단부가 상기 제1안내유로 보다 상부에 위치하고,
    밸브 차폐 시, 하측 단부가 상기 제1안내유로와 제2안내유로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9. 제 8항에 있어서,
    밸브 차폐 시,
    상기 제3출수배관의 물은 상기 중심 챔버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유동하면서, 상기 개폐부를 가압하고, 그 가압력에 의해 상기 탄성부재가 변형되면서, 상기 개폐부가 상기 제1안내유로를 개방하여, 제3출수배관의 물이 제2출수배관으로 유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0.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출수밸브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1출수배관의 내압은 원수의 압력과 동일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2출수배관 및 제3출수배관의 내압보다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1.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밸브와 상기 출수밸브 사이에는
    상기 급수밸브를 통과한 물을 복수의 출수배관으로 분기시키는 분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분기된 각각의 출수배관에는 출수밸브가 개별적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출수배관은:
    상기 필터를 통과한 물을 상기 출수노즐 측으로 안내하는 정수배관;
    상기 필터를 통과한 물을 냉수로 냉각시킨 후, 상기 출수노즐 측으로 안내하는 냉수배관;
    상기 필터를 통과한 물을 온수로 가열시킨 후, 상기 출수노즐 측으로 안내하는 온수배관 중 적어도 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배관 및 냉수배관 또는 온수배관은 상기 출수밸브와 출수노즐 사이에 형성된 합류부에서 합류되고, 상기 각각의 유로를 통과한 물은 하나의 공통배관을 거쳐 상기 출수노즐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출수노즐은 상기 밸브들보다 상측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램프는 UV LED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출수노즐의 상부에는, 상기 자외선램프의 하측에서, 상기 자외선램프를 물로부터 보호하는 광투과성 재질의 보호창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램프는, 간헐적으로 자외선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램프는,
    상기 출수노즐에서 물이 취출되면, 오프(off)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KR1020170165404A 2017-12-04 2017-12-04 정수기 KR1024260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5404A KR102426082B1 (ko) 2017-12-04 2017-12-04 정수기
PCT/KR2018/004715 WO2019112123A1 (en) 2017-12-04 2018-04-24 Water purifi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5404A KR102426082B1 (ko) 2017-12-04 2017-12-04 정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5848A true KR20190065848A (ko) 2019-06-12
KR102426082B1 KR102426082B1 (ko) 2022-07-28

Family

ID=66750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5404A KR102426082B1 (ko) 2017-12-04 2017-12-04 정수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26082B1 (ko)
WO (1) WO2019112123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4062A (ko) * 2019-07-29 2021-02-08 박연규 반려 동물을 위한 정수 장치
WO2021125737A1 (en) * 2019-12-20 2021-06-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ter purifi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WO2023158182A1 (ko) * 2022-02-15 2023-08-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및 이를 위한 필터모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303379A1 (en) * 2022-03-22 2023-09-28 B/E Aerospace, Inc. Sanitiz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beverage devices
NL2033419B1 (en) * 2022-10-28 2024-05-17 Aquablu Holding B V Dispensing unit for dispensing mixed fluid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16673A (en) * 1992-03-11 1994-05-31 Harmony Brook, Inc. Spout assembly for self-service purified water dispenser
KR20090085825A (ko) * 2008-02-05 2009-08-10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온수 온도 제어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정수기
KR20130006268A (ko) * 2011-07-08 2013-0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20130009328A (ko) * 2011-07-15 2013-0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3404B1 (ko) * 2004-02-13 2006-05-26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기능성 정수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16673A (en) * 1992-03-11 1994-05-31 Harmony Brook, Inc. Spout assembly for self-service purified water dispenser
KR20090085825A (ko) * 2008-02-05 2009-08-10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온수 온도 제어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정수기
KR20130006268A (ko) * 2011-07-08 2013-0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20130009328A (ko) * 2011-07-15 2013-0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4062A (ko) * 2019-07-29 2021-02-08 박연규 반려 동물을 위한 정수 장치
KR20210014064A (ko) * 2019-07-29 2021-02-08 박연규 반려 동물을 위한 정수 장치
WO2021125737A1 (en) * 2019-12-20 2021-06-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ter purifi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WO2023158182A1 (ko) * 2022-02-15 2023-08-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및 이를 위한 필터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6082B1 (ko) 2022-07-28
WO2019112123A1 (en) 2019-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65848A (ko) 정수기
KR101918383B1 (ko) 정수기
EP3354288B1 (en) Sterilization apparatus
US10926990B2 (en) Liquid dispensor
US7002140B2 (en) Ultraviolet water treatment system
KR20180070354A (ko) 정수기
KR101945831B1 (ko) 정수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60112953A (ko) 살균용 정수기 꼭지 구조
KR20180103580A (ko) 정수기 및 그의 제어방법
KR20200047102A (ko) 워터 디스펜싱 장치
KR20100131802A (ko) 코크
WO2018124668A1 (ko) 정수기의 살균 제어 방법
KR102177297B1 (ko) 필터 결합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KR101945839B1 (ko) 정수기
KR102223818B1 (ko) 정수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409605B1 (ko) 수처리 장치용 살균키트
KR102123683B1 (ko) 출수모듈
KR20220131125A (ko) 자가 살균이 가능한 정수기
CN212127601U (zh) 净水器用取水水龙头单元及具备其的净水器
CN208519969U (zh) 一体化净水软水镜面热水器
KR102502949B1 (ko) 순간 냉온수기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KR20190011800A (ko) 정수기
KR20120012710A (ko) 살균유닛을 갖는 정수기
WO2016022391A1 (en) Cold water dispenser with ultraviolet disinfection
CN215048865U (zh) 一种带杀菌消毒功能的水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