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9605B1 - 수처리 장치용 살균키트 - Google Patents

수처리 장치용 살균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9605B1
KR102409605B1 KR1020170052731A KR20170052731A KR102409605B1 KR 102409605 B1 KR102409605 B1 KR 102409605B1 KR 1020170052731 A KR1020170052731 A KR 1020170052731A KR 20170052731 A KR20170052731 A KR 20170052731A KR 102409605 B1 KR102409605 B1 KR 1024096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water
controller
treatment device
water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27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9249A (ko
Inventor
윤희상
이명훈
이재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527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9605B1/ko
Priority to US16/607,281 priority patent/US11148084B2/en
Priority to MYPI2019006266A priority patent/MY195826A/en
Priority to PCT/KR2018/004053 priority patent/WO2018199497A2/en
Publication of KR201801192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92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96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96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8Heating or cooling the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7/00Processes of filtration
    • B01D37/04Controlling the filtration
    • B01D37/043Controlling the filtration by flow meas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8Control or steering system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subclass C02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2209/00Details of machines or methods for cleaning hollow articles
    • B08B2209/02Details of apparatuses or methods for cleaning pipes or tubes
    • B08B2209/027Details of apparatuses or methods for cleaning pipes or tubes for 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2Tempera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0Liquid flow rate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 장치용 살균키트는, 외부에서 공급된 원수를 필터를 통과시켜 정화시킨 뒤, 필요에 따라 냉각 또는 가열시켜 배출하는 수처리장치에 온수를 공급하여 살균시키는 것으로, 외부에서 원수가 유입되는 입수유로와, 상기 입수유로를 통해 유입된 원수가 수용되는 온수탱크와, 상기 온수탱크에 수용된 물을 가열시키는 발열수단과, 상기 온수탱크의 외측에 이격 배치되어 상기 발열수단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온수모듈과, 상기 온수모듈에서 가열된 온수를 상기 수처리장치로 배출하는 출수유로를 포함하되, 상기 입수유로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컨트롤러를 경유하여, 상기 컨트롤러와 열교환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처리 장치용 살균키트{sterilization kit for water treatment apparatus}
본 발명은 수처리 장치용 살균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기는 상수원에서 공급되는 상수를 물리적, 화학적인 방법으로 여과시켜 불순물을 제거한 후 공급하는 장치이다.
상기와 같은 정수기는 정수원리나 방식에 따라 자연여과식, 직결여과식, 이온교환수지식, 증류식, 역삼투압식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또한, 정수기는 형태에 따라 필터를 통과하여 정화된 정수를 저수조에 저장하였다가 가열 또는 냉각하여 출수하는 저장형 정수기와, 저수조 없이 필터를 통과하여 정화된 정수(淨水)를 가열 또는 냉각하여 출수하는 직수형 정수기가 있다.
정수기와 같은 음용수 공급장치는 사람이 직접 마시는 정수, 냉수 또는 온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공급하기 때문에, 위생성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정수기를 장시간 사용하는 경우, 물이 흐르는 정수기 내부 유로, 밸브 그리고 코크 등에 이물질이 끼일 수 있으며, 미생물 등의 세균이 번식하여 위생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정수기의 오염을 제거하기 위해, 살균 키트가 정수기의 내부에 장착되거나, 정수기와 독립적으로 구비되어 필요시에 정수기와 연결됨에 따라, 정수기를 살균할 수 있다.
일 예로, 종래의 살균 키트는 전해조에서 물을 전기분해하여 살균 물질이 포함된 살균수를 생성하고, 상기 살균수를 수조, 배관 등으로 흘려주면서 동시에 배수시키거나, 순환시켜 정수기를 살균시킨다.
다른 예로, 종래의 살균 키트는 온수모듈에 의해 온수를 생성하고, 생성된 온수를 수조, 배관 등으로 흘려주면서 동시에 배수시키거나, 순환시켜 정수기를 살균시킨다.
다만, 상기와 같이 온수를 이용한 살균 키트의 경우, 온수 모듈에 포함된 물을 가열시키는 발열부 또는 발열부를 구동시키는 구동부(예를 들어, 'triac')의 발열을 해결하기 위해 방열수단을 필수적으로 구비해야만 한다.
하지만, 종래의 경우 살균 키트에 포함된 온수 모듈의 발열부 및 구동부의 발열을 해결하기 위한 방열수단이 마련되지 않아, 발열부 및 이를 구동시키는 구동부의 성능이 저하되고, 안전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방열수단을 마련하더라도, 공냉(air cooling)에 의한 방열에 의존하는 실정이어서, 완벽한 방열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소형화된 살균 키트 내부에 별도의 방열수단을 장착하기에도 어려움이 따르는 문제도 있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10-1308124호(2013.09.06 등록)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원수가 유입되는 입수유로의 일부가 컨트롤러를 경유하도록 배치하는 간단한 방식에 의해 컨트롤러의 발열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온수탱크로 공급되는 원수를 예열시킬 수도 있는 수처리 장치용 살균키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온수탱크로 유입되는 원수를 미리 예열할 수 있어 온수탱크를 기준으로 출수온도와 입수온도의 차이를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어, 온수 생성에 유리한 수처리 장치용 살균키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에 생산된 살균키트의 입수유로의 배치를 변경하는 간단한 작업만으로도 컨트롤러의 발열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온수탱크로 공급되는 원수를 예열시킬 수도 있는 수처리 장치용 살균키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컨트롤러의 방열이 수냉식으로 이루어져, 보다 확실한 방열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수처리 장치용 살균키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송풍팬과 같은 별도의 방열수단을 구비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공간활용이 유리하고, 살균키트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는 수처리 장치용 살균키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컨트롤러에서 발생된 열기가 살균키트 내부에 잔존하거나 살균키트 밖으로 배출되지 않아, 그에 따른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수처리 장치용 살균키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컨트롤러에서 발생하는 열에너지가 대기중으로 버려지지않고, 원수를 예열하는데 쓰일 수 있어 에너지 효율 측면에서 유리한 수처리 장치용 살균키트를 제공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 장치용 살균키트는, 외부에서 공급된 원수를 필터를 통과시켜 정화시킨 뒤, 필요에 따라 냉각 또는 가열시켜 배출하는 수처리장치에 온수를 공급하여 살균시키기 위한 것으로, 외부에서 원수가 유입되는 입수유로와, 상기 입수유로를 통해 유입된 원수가 수용되는 온수탱크와, 상기 온수탱크에 수용된 물을 가열시키는 발열수단과, 상기 온수탱크의 외측에 이격 배치되어 상기 발열수단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온수모듈과, 상기 온수모듈에서 가열된 온수를 상기 수처리장치로 배출하는 출수유로를 포함하되, 상기 입수유로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컨트롤러를 경유하여, 상기 컨트롤러와 열교환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입수유로는, 외부에서 원수가 유입되는 유입부, 상기 유입부와 연결되고, 상기 컨트롤러를 경유하도록 마련되는 열교환부, 상기 열교환부와 상기 온수탱크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입부와 상기 연결부는 상호 나란하게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교환부는, 상기 유입부를 통해 유입된 물을 상기 연결부로 배출하도록 아치형으로 절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 및 상기 열교환부와 면접촉하면서, 상기 컨트롤러의 열을 상기 열교환부로 전달하는 열전달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전달부재는, 일측면이 상기 컨트롤러와 면접촉하고, 타측면에 상기 열교환부의 일부가 수용되는 수용홈을 형성하는 제1열전달부재, 일측면에 상기 열교환부의 나머지 일부가 수용되는 수용홈을 형성하고, 상기 제1열전달부재와 결합되는 제2열전달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전달부재와 상기 컨트롤러 사이에는 접착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온수탱크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입부에는, 유입된 원수의 압력을 낮추는 감압밸브 또는 유입된 원수의 흐름을 단속하는 원수밸브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에는, 상기 컨트롤러를 경유하면서 상기 컨트롤러와의 열교환이 진행된 원수의 유량을 감지하는 유량센서 또는 원수의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밸브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수유로의 단부는 상기 온수탱크의 하측과 연결되고, 상기 출수유로는 상기 온수탱크의 상측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수유로에서 분기되어, 상기 온수모듈을 우회한 뒤 상기 출수유로와 연결되는 세척유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척유로에는, 유체의 흐름을 단속하는 세척밸브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온수탱크로 유입되는 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1온도센서 또는 상기 온수탱크 내부에 수용된 온수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2온도센서 또는 상기 온수탱크에서 토출된 온수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3온도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온수탱크에는, 온수탱크에서 발생되는 증기가 배출되는 증기유로가 열결되고, 상기 증기유로에는 기설정된 허용압력 이상에서 개방되는 세이프티밸브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원수가 유입되는 입수유로의 일부가 컨트롤러를 경유하도록 배치하는 간단한 방식에 의해 컨트롤러의 발열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온수탱크로 공급되는 원수를 예열시킬 수도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온수탱크로 유입되는 원수를 미리 예열할 수 있어 온수탱크를 기준으로 출수온도와 입수온도의 차이를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어, 온수 생성에 유리한 효과도 있다.
또한, 기존에 생산된 살균키트의 입수유로의 배치를 변경하는 간단한 작업만으로도 컨트롤러의 발열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온수탱크로 공급되는 원수를 예열시킬 수도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컨트롤러의 방열이 수냉식으로 이루어져, 보다 확실한 방열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송풍팬과 같은 별도의 방열수단을 구비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공간활용이 유리하고, 그에 따른 공간 축소가 가능하여 살균키트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컨트롤러에서 발생된 열기가 살균키트 내부에 잔존하거나 살균키트 밖으로 배출되지 않아, 그에 따른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컨트롤러에서 발생하는 열에너지가 대기중으로 버려지지않고, 원수를 예열하는데 쓰일 수 있어 에너지 효율 측면에서 유리한 효과도 있다.
또한, 컨트롤러를 상부에 배치된 조작부를 근접하게 배치하여 배선을 최소화하고, 누수 등의 안전사고의 대응에도 용이한 효과도 있다.
또한, 온수살균을 물론 일반세척도 가능한 효과도 있다.
또한, 컨트롤러의 온도상승을 막을 수 있어, 컨트롤러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컨트롤러의 구동시간이 일시적으로 한정되지 않고 항시 가능할 수 있어 컨트롤러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 장치용 살균키트의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 장치용 살균키트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 장치용 살균키트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 영역을 발췌하여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하에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및 추가 등에 의해서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이하의 실시예에 첨부되는 도면은, 같은 발명 사상의 실시예이지만, 발명 사상이 훼손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미세한 부분의 표현에 있어서는 도면별로 서로 다르게 표현될 수 있고, 도면에 따라서 특정 부분이 표시되지 않거나, 도면에 따라서 과장되게 표현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외부에서 공급된 원수를 필터를 통과시켜 정화시킨 뒤, 필요에 따라 냉각 또는 가열시켜 배출하는 수처리장치에 온수를 공급하여 살균시키는 살균키트에 관한 것이다.
상기 살균키트는 수처리장치와 별도로 마련된 뒤, 수처리장치의 온수살균 시 수처리장치와 일시적으로 연결되는 분리형 타입일 수 있고, 수처리 장치의 내부에 항시 구비되는 일체형 타입일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언급되는 수처리장치라 함은, 정수기, 비데, 연수기 등을 비롯하여, 외부에서 원수를 유입한 뒤, 가열하거나 냉각하거나 정화시키는 등 원수의 상태를 변경시켜 배출하는 다양한 장치가 해당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살균키트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 장치용 살균키트의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 장치용 살균키트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 장치용 살균키트의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살균키트(10)는 외부에서 원수가 유입되는 입수유로(100)와, 상기 입수유로(100)를 통해 유입된 원수를 가열시킨 후 배출하는 온수모듈(200)과, 상기 온수모듈(200)에서 가열된 온수를 상기 수처리장치로 배출하는 출수유로(300) 및 상기 입수유로(100), 온수모듈(200), 출수유로(300)를 내장하는 케이스(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입수유로(100)는 수처리 장치에서 여과된 정수를 공급받을 수 있고, 수처리 장치를 통과하지 않은, 즉 여과되지 않은 원수를 직접 공급받을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출수유로(300)에서 배출된 온수는 수처리장치를 순환하면서 수처리장치의 배관, 밸브 등을 살균처리한 뒤 수처리장치 밖으로 배출될 수 있고, 상기 입수유로(100)를 통해 살균키트(10)로 재공급 된 후 재순환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출수유로(300)에는 출수유로(300)를 거쳐 외부로 유동하는 온수의 흐름을 단속하는 출수밸브(310)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살균키트는 유체의 순환을 위한 펌핑수단을 구비할 수 있고, 별도의 펌핑수단을 구비하지 않을 수도 있다. 만약, 펌핑수단을 구비하지 않는 경우, 원수의 수압에 의해 살균키트 내부의 유체가 입수유로(100)에서 출수유로(300) 측으로 유동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온수모듈(200)은 상기 입수유로(100)를 통해 유입된 원수가 수용되는 온수탱크(210)와, 상기 온수탱크(220)에 수용된 물을 가열시키는 발열수단(220)과, 상기 온수탱크(210)의 외측에 이격 배치되어 상기 발열수단(220)을 제어하는 컨트롤러(2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발열수단(220)은 상기 온수탱크(22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고, 온수탱크(220)의 외측에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발열수단(220)은 열선방식 또는 유도가열방식을 비롯하여 상기 온수탱크(210)에 수용된 원수를 가열시킬 수 있는 범위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온수모듈(200)의 구성으로, 온수탱크(210)로 유입된 원수는 발열수단(220)에 의해 가열될 후 온수탱크(210) 밖으로 배출되고, 배출된 온수는 수처리장치에 살균용 온수로 공급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발열수단(220)을 제어하는 컨트롤러(230), 예를 들어 트라이액(triac) 또는 PCB 등에서는 발열이 나타날 수밖에 없고, 이러한 발열현상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방열대책이 필수적으로 마련되어야 한다.
종래의 경우, 컨트롤러(230) 근처에 송풍팬(fan)을 장착하여 공냉(air cooling)에 의한 방열을 진행해 왔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방열방식으로는 완벽한 방열을 기대하기 어려울 뿐 아니라, 소형화된 살균키트 내부에 별도의 방열수단을 장착하기에도 어려움이 따를 수밖에 없었다. 또한, 뜨거운 공기가 살균키트 내부에 잔존하거나 살균키트 밖으로 배출되는 등의 문제도 있었다. 또한, 컨트롤러(230)에서 발생하는 열에너지가 대기중으로 버려지는 문제도 있었다.
반면, 본 발명의 경우, 컨트롤러(230)의 발열문제를 확실하게 해결하면서도, 컨트롤러(230)에서 발생된 열에너지를 회수하여 온수탱크(210)로 유입되는 원수를 1차적으로 예열(pre heat)시킬 수 있도록 입수유로(100)의 경로를 구성하였다.
상세히, 상기 입수유로(100)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컨트롤러(230)를 경유하도록 배치된다. 이때, 상기 입수유로(100)를 통과하는 원수는 상기 컨트롤러(230)와 열교환이 이루어지면서 예열될 수 있으며, 예열된 원수는 온수탱크(210)로 유입된 후, 온수로 가열된다. 따라서, 온수모듈(200)의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열교환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컨트롤러(230)는 수냉식으로 방열이 이루어져, 컨트롤러(230)의 발열문제도 확실히 해결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입수유로(100)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컨트롤러(230)와 직접적으로 접촉될 수 있고, 별도의 매개체에 의해 상기 컨트롤러(230)와 간접적으로 접촉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입수유로(100)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입수유로(100)는 일측에 유입구(101)가 형성되어 외부에서 원수를 유입하는 유입부(110)와, 상기 유입부(110)와 연결되고, 상기 컨트롤러(230)를 경유하도록 마련되는 열교환부(120)와, 상기 열교환부(120)와 상기 온수탱크(210)를 연결하는 연결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입수유로(100)를 통해 외부에서 유입된 원수는 유입부(110)를 거쳐 열교환부(120)로 유동하고, 열교환부(120)를 통과하면서, 열교환부(120)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된 컨트롤러(230)에서 발생하는 열에너지를 흡열하여 예열된 후, 연결부(130)를 통해 온수탱크(210)로 공급될 수 있다.
다시,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살균키트(10)의 상부에는 조작부(600)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작부(600)는 복수의 버튼을 구비하고, 상기 조작부(600)를 통해서는 사용자로부터 온수생성 등과 같은 각종 명령이 입력된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230)는 상기 조작부(600)와 연결되어, 조작부(60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발열수단(220) 및 후술되는 밸브 등을 작동시킨다. 일 예로, 상기 컨트롤러(230)는 조작부(600)에서 온수생성명령이 입력되면, 발열수단(200)을 작동(ON)시키고, 조작부(600)에서 입력된 온수온도에 맞춰 상기 발열수단(220)으로 공급되는 출력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컨트롤러(230)는 상기 조작부(600)와 인접한 살균키트(10)의 상부에 배치될 필요가 있다. 또한, 누수 등과 같은 각종 안전사고가 발생하더라도, 컨트롤러(230)가 물에 닿지 않도록 컨트롤러(230)는 살균키트(10)의 상부에 배치될 필요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컨트롤러(230)는 상기 온수탱크(210)보다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입부(110)와 상기 연결부(130)는 상호 나란하게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유입부(110)와 상기 연결부(130)는 상하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유입부(110)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물을 전달하고, 상기 연결부(130)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물을 전달한다. 상기와 같이 유입부(110)와 연결부(130)가 나란히 배치되면, 공간활용에 유리한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열교환부(120)는, 상기 유입부(110)를 통해 유입된 물을 상기 연결부(130)로 배출하도록 아치형으로 절곡된 형상을 갖는다.
일 예로, 상기 열교환부(120)는, 'U'자형, 'ㄷ'자형, 'V'자형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교환부(120)는 다수회 절곡된 형성을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열교환부(120)가 절곡된 형상을 구비하면, 상기 열교환부(120)를 통과하는 원수의 유동경로가 길어지고, 이에 따라 원수가 열교환부(120)를 통과하는 시간이 늘어나면서, 원수가 보다 많은 양의 열에너지를 컨트롤러(230)에서 빼앗을 수 있다.
또한, 열교환부(120)가 절곡된 형상을 구비하면 컨트롤러(230)와 접촉 면적이 증가되어 원수가 보다 빠르게 컨트롤러(230)의 열에너지를 빼앗을 수 있다.
결국, 열교환부(120)가 절곡된 형상을 구비하면 열교환부(120)를 통과하는 원수는 컨트롤러(230)에서 보다 많은 양의 열에너지를 신속하게 빼앗아 예열될 수 있고, 컨트롤러(230)는 보다 많은 양의 열에너지를 신속하게 빼앗기면서 확실하게 방열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130)의 단부는 상기 온수탱크(210)의 하측과 연결되고, 상기 출수유로(300)는 상기 온수탱크(210)의 상측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온수탱크(210) 내부에서 원수가 가열되면서, 대류현상에 의해 비교적 고온의 온수는 온수탱크(210)의 상측에 모이고, 비교적 낮은 온도의 원수는 온수탱크(210)의 하측에 모이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연결부(130)가 온수탱크(210)의 하측과 연결되고, 출수유로(300)가 온수탱크(210)의 상측과 연결되면, 온수탱크(210)에서 가열된 고온의 온수만 온수탱크(210)의 밖으로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수처리 장치에 고온으로 가열된 살균수 만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온수탱크(210)의 상측에는, 온수탱크(210)에서 발생되는 증기가 배출되는 증기유로(900)가 연결되고, 상기 증기유로(900)에는 기설정된 허용압력 이상에서 개방되는 세이프티밸브(910)가 구비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세이프티밸브(910)는 온수탱크(210)의 상측에도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세이프티밸브(910)는 상기 온수 탱크(210) 내에서 온수의 가열시 발생하는 증기를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온수 탱크(210)의 내부압력이 증기에 의해 과도하게 증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세이프티 밸브(910)는 설정된 압력에서 개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온수 탱크(210) 내부에서 발생된 증기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범위에서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증기유로(900)는 증기 배출이 용이하도록 상기 살균키트(10)의 외부로 연장될 수 있다. 즉, 상기 증기유로(900)의 단부에는 증기배출구(901)가 마련되며, 상기 증기배출구(901)는 살균키트(10)의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A' 영역을 발췌하여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살균키트(10)는 상기 컨트롤러(230) 및 상기 열교환부(120)와 면접촉하면서, 상기 컨트롤러(230)의 열을 상기 열교환부(120)로 전달하는 열전달부재(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열전달부재(400)는 열전도율이 높을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열전달부재(400)는 알루미늄(Al)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전달부재(400)는 단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조립체로 형성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상기 열전달부재(400)는, 일측면이 상기 컨트롤러(230)와 면접촉하고, 타측면에 상기 열교환부(120)의 일부가 수용되는 수용홈(411)을 형성하는 제1열전달부재(410)와, 일측면에 상기 열교환부(120)의 나머지 일부가 수용되는 수용홈을 형성하고, 상기 제1열전달부재(410)와 결합되는 제2열전달부재(4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열전달부재(410)와 제2열전달부재(420)는 상호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열교환부(120)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제1,2열전달부재(410,42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열전달부재(410)와 제2열전달부재(420)는 볼트 등과 같은 별도의 체결수단을 통해 체결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열전달부재(400)가 조립체로 형성되면, 상기 열교환부(120)에 손쉽게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열전달부재(400)와 상기 컨트롤러(230) 사이에는 접착층(50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착층(500)은 상기 컨트롤러(230)에 상기 열전달부재(400)를 부착시킬 수 있는 범위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발생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접착층(500)은 PET재질의 얇은 시트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실시예 따르면, 입수유로(100)의 일부가 컨트롤러(230)를 경유하도록 배치하는 간단한 방식에 의해 컨트롤러(230)의 발열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온수탱크(210)로 공급되는 원수를 예열시킬 수도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효과는 기존에 생산된 살균키트의 입수유로를 변경하는 간단한 작업만으로도 얻을 수 있다.
상세히, 기존의 살균키트(10)에서 입수유로를 제거하고, 입수유로(100)의 일부가 상기 컨트롤러(230)를 경유하도록 입수유로(100)만 일부 교체하면, 본 발명에 따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입수유로(100)를 교체하는 과정에서, 열전달부재(400)를 입수유로(100)의 열교환부(120)에 조립 방식으로 고정하고, 열전달부재(400)를 컨트롤러(230)에 접착방식으로 붙이기만 하면, 입수유로(100)를 컨트롤러(230)에 간편하게 고정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입수유로(100)의 유입부(110)에는, 유입된 원수의 압력을 낮추는 감압밸브(140) 또는 유입된 원수의 흐름을 단속하는 원수밸브(1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유입부(110)는 감압밸브(140)만 구비하거나, 원수밸브(150)만 구비하거나, 감압밸브(140)와 원수밸부(150) 둘다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감압밸브(140)는 수도꼭지 또는 수처리장치 등의 수원(水源)에서 공급되는 원수의 압력을 조절하는 열할을 한다. 즉, 외부에서 공급된 원수의 수압을 일정하게 조절한다. 특히, 원수의 수압이 지나치게 높을 경우 수압을 낮추는 기능을 한다.
또한, 상기 원수밸브(150)는 유입부(110)를 통과하는 유체의 흐름을 단속한다. 상세히, 원수밸브(150)는 개폐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원수밸브(150)가 개방되면 온수탱크(210) 측으로 원수가 공급되고, 차폐되면, 온수탱크(210) 측으로 원수공급이 차단된다.
상기 원수밸브(150)는 컨트롤러(230)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조작부(600)를 통해서 사용자로부터 온수생성명령이 입력되면, 개방되고, 온수생성종료명령이 입력되면 차폐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수유로(100)의 연결부(130)에는, 상기 컨트롤러(230)를 경유하면서 상기 컨트롤러(230)와의 열교환이 진행된 원수의 유량을 감지하는 유량센서(160) 또는 원수의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밸브(17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연결부(130)는 유량센서(160)만 구비하거나, 유량조절밸브(170)만 구비하거나, 유량센서(160)와 유량조절밸브(170) 둘다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량센서(160) 및 유량조절밸브(170)는 컨트롤러(230)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유량조절밸브(170)는 컨트롤러(230)에서 출력된 신호에 따라 내경의 개방 정도를 조절하여, 상기 연결부(130)를 통과하여 온수탱크(210)로 공급되는 원수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온수탱크(210)로 공급되는 원수 흐름을 완전히 차단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컨트롤러(230)는 상기 유량센서(160)에서 감지된 유량정보를 입력받고, 입력된 유량값에 따라 상기 발열수단(220)의 출력을 조절하거나, 상기 유량조절밸브(170)의 개방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유량센서(160)에서 감지된 유량이 기설정된 유량보다 크면, 상기 발열수단(220)의 출력을 키우거나, 상기 유량조절밸브(170)의 내경을 줄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유량센서(160)에서 감지된 유량이 기설정된 유량보다 작으면, 상기 발열수단(220)의 출력을 낮추거나, 상기 유량조절밸브(170)의 내경을 키울 수 있다.
또한, 상기 입수유로(100)의 연결부(130)에는 체크밸브(18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체크밸브(180)의 구성으로, 열교환부(120)를 거치면서 흡열이 진행된 원수가 온수탱크(210) 측으로만 유동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연결부(130)에는 온수탱크(210)로 유입되는 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1온도센서(810) 또는 상기 온수탱크(210) 내부에 수용된 온수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2온도센서(820) 또는 상기 온수탱크(210)에서 토출된 온수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3온도센서(8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온도센서(810,820,830)는 컨트롤러(230)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컨트롤러(230)는 상기 온도센서(810,820,830)에서 감지된 온수의 온도정보를 입력받고, 입력된 온도값에 따라 상기 발열수단(220)의 출력을 조절하거나, 상기 유량조절밸브(170)의 개방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컨트롤러(230)는 온도센서(810,820,830)에서 감지된 온수의 온도가 기설정된 목표온도보다 낮으면, 상기 발열수단(220)의 출력을 높이거나 유량조절밸브(170)의 개방정도를 줄일 수 있다. 즉, 온수탱크(210)로 유입되는 원수의 유량을 줄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컨트롤러(230)는 온도센서(810,820,830)에서 감지된 온수의 온도가 기설정된 목표온도보다 높으면, 상기 발열수단(220)의 출력을 낮추거나 유량조절밸브(170)의 개방정도를 키울 수 있다. 즉, 온수탱크(210)로 유입되는 원수의 유량을 늘릴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컨트롤러(230)는 온도센서(810,820,830)에서 감지된 온수의 온도가 기설정된 목표온도와 동일하면, 상기 발열수단(220)의 출력 및 유량조절밸브(170)의 개방정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살균키트(10)는 상기 입수유로(100)에서 분기되어, 상기 온수모듈(200)을 우회한 뒤 상기 출수유로(300)와 연결되는 세척유로(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척유로(700)는 온수생성이 필요없는 상황에서만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살균키트(10)는 온수살균모드와 일반세척모드를 구비할 수 있다.
먼저, 온수살균모드에서는, 입수유로(100)로 유입된 원수가 온수모듈(200)을 통과하면서 온수로 가열된 후 출수유로(300)를 통해 외부로 공급될 수 있다.
반면, 일반세척모드에서는, 입수유로(100)로 유입된 원수가 온수모듈(200)을 우회하는 세척유로(700) 통과하고, 가열 없이 출수유로(300)를 통해 외부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척유로(700)에는, 유체의 흐름을 단속하는 세척밸브(710)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세척밸브(710)가 개방되면, 입수유로(100)로 유입된 원수가 세척유로(700)로 유입될 수 있고, 세척밸브(710)가 닫히면, 세척유로(700)로의 원수의 유입이 차단될 수 있다.
일 예로, 온수살균모드에서 상기 세척밸브(710)는 닫히고, 원수밸브(150)는 개방되어, 입수유로(100)로 유입된 원수는 온수모듈(200)을 통과한 뒤 온수로 가열된 후 출수유로(30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반면, 일반세척모드에서는, 상기 세척밸브(710)는 열리고, 원수밸브(150)는 닫혀, 입수유로(100)로 유입된 원수는 온수모듈(200)을 우회하면서 가열 없이 출수유로(300)를 통해 외부로 공급될 수 있다.
10 : 살균키트 100 : 입수유로
110 : 유입부 120 : 열교환부
130 : 연결부 140 : 감압밸브
150 : 원수밸브 160 : 유량센서
170 : 유량조절밸브 200 : 온수모듈
210 : 온수탱크 220 : 발열수단
230 : 컨트롤러 300 : 출수유로
310 : 출수밸브 400 : 열전달부재
410 : 제1열전달부재 411 : 수용홈
420 : 제2열전달부재 500 : 접착층
600 : 조작부 700 : 세척유로
710 : 세척밸브 810 : 제1온도센서
820 : 제2온도센서 830 : 제3온도센서
900 : 증기유로 910 : 세이프티밸브

Claims (15)

  1. 외부에서 공급된 원수를 필터를 통과시켜 정화시킨 뒤, 필요에 따라 냉각 또는 가열시켜 배출하는 수처리장치에 온수를 공급하여 살균시키는 살균키트에 있어서,
    외부에서 원수가 유입되는 입수유로;
    상기 입수유로를 통해 유입된 원수가 수용되는 온수탱크와, 상기 온수탱크에 수용된 물을 가열시키는 발열수단과, 상기 온수탱크의 외측에 이격 배치되어 상기 발열수단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온수모듈;
    상기 온수모듈에서 가열된 온수를 상기 수처리장치로 배출하는 출수유로를 포함하되,
    상기 입수유로는, 외부에서 원수가 유입되는 유입부와, 상기 유입부와 연결되고, 상기 컨트롤러를 경유하여 상기 컨트롤러와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열교환부와, 상기 열교환부와 상기 온수탱크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 및 상기 열교환부와 면접촉하면서, 상기 컨트롤러의 열을 상기 열교환부로 전달하는 열전달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장치용 살균키트.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부와 상기 연결부는 상호 나란하게 이격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장치용 살균키트.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부는, 상기 유입부를 통해 유입된 물을 상기 연결부로 배출하도록 아치형으로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장치용 살균키트.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달부재는:
    일측면이 상기 컨트롤러와 면접촉하고, 타측면에 상기 열교환부의 일부가 수용되는 수용홈을 형성하는 제1열전달부재;
    일측면에 상기 열교환부의 나머지 일부가 수용되는 수용홈을 형성하고, 상기 제1열전달부재와 결합되는 제2열전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장치용 살균키트.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달부재와 상기 컨트롤러 사이에는 접착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장치용 살균키트.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온수탱크의 상부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장치용 살균키트.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부에는, 유입된 원수의 압력을 낮추는 감압밸브 또는 유입된 원수의 흐름을 단속하는 원수밸브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장치용 살균키트.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에는, 상기 컨트롤러를 경유하면서 상기 컨트롤러와의 열교환이 진행된 원수의 유량을 감지하는 유량센서 또는 원수의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밸브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장치용 살균키트.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수유로의 단부는 상기 온수탱크의 하측과 연결되고, 상기 출수유로는 상기 온수탱크의 상측과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장치용 살균키트.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수유로에서 분기되어, 상기 온수모듈을 우회한 뒤 상기 출수유로와 연결되는 세척유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장치용 살균키트.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유로에는, 유체의 흐름을 단속하는 세척밸브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장치용 살균키트.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탱크로 유입되는 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1온도센서 또는 상기 온수탱크 내부에 수용된 온수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2온도센서 또는 상기 온수탱크에서 토출된 온수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3온도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장치용 살균키트.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탱크에는, 온수탱크에서 발생되는 증기가 배출되는 증기유로가 연결되고, 상기 증기유로에는 기설정된 허용압력 이상에서 개방되는 세이프티밸브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장치용 살균키트.
KR1020170052731A 2017-04-25 2017-04-25 수처리 장치용 살균키트 KR1024096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2731A KR102409605B1 (ko) 2017-04-25 2017-04-25 수처리 장치용 살균키트
US16/607,281 US11148084B2 (en) 2017-04-25 2018-04-06 Sterilization kit for water treatment apparatus
MYPI2019006266A MY195826A (en) 2017-04-25 2018-04-06 Sterilization Kit for Water Treatment Apparatus
PCT/KR2018/004053 WO2018199497A2 (en) 2017-04-25 2018-04-06 Sterilization kit for water treatment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2731A KR102409605B1 (ko) 2017-04-25 2017-04-25 수처리 장치용 살균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9249A KR20180119249A (ko) 2018-11-02
KR102409605B1 true KR102409605B1 (ko) 2022-06-17

Family

ID=63918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2731A KR102409605B1 (ko) 2017-04-25 2017-04-25 수처리 장치용 살균키트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148084B2 (ko)
KR (1) KR102409605B1 (ko)
MY (1) MY195826A (ko)
WO (1) WO2018199497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3863A (ko) * 2020-12-28 2022-07-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CN113548705A (zh) * 2021-09-01 2021-10-26 中国科学院武汉病毒研究所 一种生物安全实验室连续式废水处理用热交换系统及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41022A (ja) * 1999-02-23 2000-09-08 Fuji Electric Co Ltd 水の瞬間加熱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70095A (ja) * 2000-08-29 2002-03-08 Chiyoda Manufacturing Co Ltd 病院用給水装置
US7550084B2 (en) * 2006-05-02 2009-06-23 Watts Water Technologies, Inc. Reverse osmosis water filtering system
KR101164722B1 (ko) * 2009-12-01 2012-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와 정수기의 살균 및 청소 방법
KR101143791B1 (ko) * 2009-12-03 2012-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살균장치를 가진 정수기
KR101164517B1 (ko) * 2010-02-01 2012-07-11 (주)미래휴먼기술 축열식 물끓임기의 순간냉각방식을 이용한 순환살균 냉각시스템
KR101308124B1 (ko) 2010-03-31 2013-09-12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기 내부 유로의 살균장치
US10266441B2 (en) * 2010-05-19 2019-04-23 Coway Co., Ltd Water treatment apparatus and sterilizing and cleansing method thereof
US9896360B2 (en) * 2014-05-16 2018-02-20 Sanipur S.R.L. Hot sanitary water system and method for disinfection of hot water
KR101717109B1 (ko) * 2015-02-10 2017-03-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물공급장치 살균 방법
KR101772527B1 (ko) * 2015-02-10 2017-08-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살균 시스템
KR101977033B1 (ko) * 2015-12-08 2019-08-28 웅진코웨이 주식회사 수처리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41022A (ja) * 1999-02-23 2000-09-08 Fuji Electric Co Ltd 水の瞬間加熱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9249A (ko) 2018-11-02
US11148084B2 (en) 2021-10-19
WO2018199497A2 (en) 2018-11-01
US20200384393A1 (en) 2020-12-10
MY195826A (en) 2023-02-22
WO2018199497A3 (en) 2019-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00880U (ko) 정수기
KR20110008627A (ko) 냉정수기
KR102409605B1 (ko) 수처리 장치용 살균키트
US11300333B2 (en) Cold water generation module for water treatment apparatus
KR101371980B1 (ko) 정수 가열 장치
KR101143791B1 (ko) 살균장치를 가진 정수기
KR20200047102A (ko) 워터 디스펜싱 장치
KR100993891B1 (ko) 정수기
EP1329422B1 (en) Liquid purification method and apparatus
JP2006271808A (ja) 蒸気とオゾンを用いた循環風呂の殺菌方法並びに装置
JP3236202U (ja) 飲用水殺菌装置
KR101313833B1 (ko) 정수기
KR20170068926A (ko) 탄산수를 이용한 살균 정수기
KR101012229B1 (ko) 음수공급장치의 온수냉각장치
KR102502949B1 (ko) 순간 냉온수기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KR200361789Y1 (ko) 정수기의 미생물 제거장치
KR102186631B1 (ko) 고수온 저감 기능을 갖는 해수 처리 시스템
KR20090025014A (ko) 정수기
KR101885163B1 (ko) 자외선 살균기 과열 방지 기능을 갖는 음용수 공급 장치
CN113101736A (zh) 水处理装置
KR102664150B1 (ko) 직수식 정수기
KR100993892B1 (ko) 냉온수조 분리형 정수기
KR102540181B1 (ko) 냉온 정수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19980069544A (ko) 물분배기용 온수 역류 방지 장치
KR19980072870A (ko) 물분배기의 냉각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