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3673A - 곡면 오엘이디 제품의 기포불량검출 방법 - Google Patents

곡면 오엘이디 제품의 기포불량검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3673A
KR20210013673A KR1020190091340A KR20190091340A KR20210013673A KR 20210013673 A KR20210013673 A KR 20210013673A KR 1020190091340 A KR1020190091340 A KR 1020190091340A KR 20190091340 A KR20190091340 A KR 20190091340A KR 20210013673 A KR20210013673 A KR 202100136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ved
image
oled product
curved oled
reference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13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지윤
신대철
권인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브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브이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브이오
Priority to KR10201900913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13673A/ko
Publication of KR202100136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36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51Scan or imag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can signal adjustment, for detecting different kinds of defects, for compensating for structures, markings, ed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06Specially adapted optical and illumination fea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5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shape of the object to be examin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0002Inspection of images, e.g. flaw detection
    • G06T7/0004Industrial image inspec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51Scan or imag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can signal adjustment, for detecting different kinds of defects, for compensating for structures, markings, edges
    • G01N2021/8887Scan or imag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can signal adjustment, for detecting different kinds of defects, for compensating for structures, markings, edges based on image processing techniques

Landscapes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a) 카메라를 이용하여 곡면 오엘이디 제품(100)을 촬영하여 이미지(10)를 생성하는 단계;
(b) 상기 이미지(10)에서 좌우 또는 상하로 대칭되는 기준선(20)이 설정되는 단계;
(c) 상기 기준선(20)과 대칭되는 위치의 색도 또는 명암을 비교하여 불량 지점(30)을 선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곡면 오엘이디 제품의 기포불량검출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곡면 오엘이디 제품의 기포불량검출 방법{bubble defect detection method of curved OLED }
본 발명은 곡면 오엘이디 제품의 기포불량검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신 스마트폰의 경우 가장자리가 곡면인 오엘이디 제품을 사용한다. 곡면 오엘이디 생산시 제품의 불량여부를 판별하는 검사과정을 거친다.
종래의 평면 오엘이디 제품의 검사과정은 표준 이미지와 촬영된 이미지를 오버랩하여 기포로 의심되는 지점을 선정하고, 해당 지점이 주변부와 비교하여 기준 범위를 벗어난 색도나 명암인지 여부를 판별한다.
그러나 가장자리가 곡면인 오엘이디 제품을 촬영할 경우, 가장자리 부분이 그라디에이션(gradation)이 형성되기 때문에 불량 부분(기포)과 주변부의 비교가 쉽지 않다.
현재는 육안으로 곡면 오엘이디 제품의 불량 여부를 판별하고 있다.
한국특허출원 제10-2017-0084359호(유기발광소자의 불량 검출 방법 및 장치)
본 발명은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된 이미지를 이용하여 곡면 오엘이디 제품의 기포불량검출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a) 카메라를 이용하여 곡면 오엘이디 제품(100)을 촬영하여 이미지(10)를 생성하는 단계;
(b) 상기 이미지(10)에서 좌우 또는 상하로 대칭되는 기준선(20)이 설정되는 단계;
(c) 상기 기준선(20)과 대칭되는 위치의 색도 또는 명암을 비교하여 불량 지점(30)을 선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곡면 오엘이디 제품의 기포불량검출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a)단계와 상기 (b)단계 사이에 상기 이미지에서 상기 곡면 오엘이디 제품의 곡면부(21)를 분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곡면 오엘이디 제품의 기포불량검출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기준선(20)은 복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 오엘이디 제품의 기포불량검출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된 이미지를 이용하여 곡면 오엘이디 제품의 기포불량검출 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예에 따른 곡면 오엘이디 제품의 기포불량검출 방법의 순서도.
도 1은 곡면 오엘이디 제품의 평면도.
도 3은 도 2의 A-A'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곡면 오엘이디 제품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곡면 오엘이디 제품의 이미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곡면 오엘이디 제품의 이미지에서 기준선이 표시된 예시도.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써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예에 따른 곡면 오엘이디 제품의 기포불량검출 방법의 순서도이며, 도 1은 곡면 오엘이디 제품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A-A'의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곡면 오엘이디 제품의 사시도이며,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곡면 오엘이디 제품의 이미지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곡면 오엘이디 제품의 이미지에서 기준선이 표시된 예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곡면 오엘이디 제품의 기포불량검출 방법은,
(a) 카메라를 이용하여 곡면 오엘이디 제품(100)을 촬영하여 이미지(10)를 생성하는 단계; (b) 상기 이미지(10)에서 좌우 또는 상하로 대칭되는 기준선(20)이 설정되는 단계; (c) 상기 기준선(20)과 대칭되는 위치의 색도 또는 명암을 비교하여 불량 지점(30)을 선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S11은 검사용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하여 곡면 오엘이디 제품(100)을 촬영하여 이미지(10)를 생성한다. 제조시설에서 연속적으로 만들어진 곡면 오엘이디 제품(100)이 검사용 디지털 카메라에 근접하여 위치하면, 검사용 디지털 카메라에서 곡면 오엘이디 제품(100)을 촬영하여 이미지(10)를 생성한다.
S12는 상기 이미지(10)에서 상기 곡면 오엘이디 제품의 곡면부(21)를 분리하는 단계이다. 도 3과 같이, 촬영된 이미지(10)에서 가장자리는 곡면으로 인하여 색상 또는 명암이 그라디에이션(gradation)이 형성된다. 이미지(10)는 곡면부분을 별도로 분리하여 곡면부(21)를 추출한다.
S13은 상기 이미지(10)에서 좌우 또는 상하로 대칭되는 기준선(20)이 설정되는 단계이다. 기준선(20)은 하나만 설정될 수도 있지만, 여러 개 설정될 수도 있다. 기준선(20)을 중심으로 이미지(10)의 좌우, 특히 곡면부(21)의 좌우를 비교해보면 기준선(20)과 동등하게 떨어진 거리(좌우 또는 상하)는 동일한 색상과 명암을 이루는 것이 일반적이다. 만약, 동등하게 이격된 두 지점이 서로 다른 명암이나 색상일 경우 이 지점에 기포가 있어 이 곡면 오엘이디 제품은 불량이 된다.
S14는 상기 기준선(20)과 대칭되는 위치의 색도 또는 명암을 비교하여 불량 지점(30)을 판별하는 단계이다. 기준선(20)으로 이미지(10)는 완전히 대칭적 구조이다. 그라디에이션이 이루어진 곡면부(21)도 기준선(20)을 기준으로 완전히 대칭적이다. 따라서, 촬영된 이미지(10)를 기준선(20)을 중심으로 동일하게 이격된 거리 지점을 비교하면 동일한 색도나 명암을 나타낸다. 이러한 대칭적인 2곳의 위치의 색도나 명암을 비교하여 설정된 값의 범위(편차)를 벗어나면 불량이 발생했다 판단한다. 경우에 따라, 이러한 기준선(20)은 복수일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이로써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를 바탕으로 균등한 범위까지 당업자가 변형 및 추가하는 범위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곡면 오엘이디 제품(100) 이미지(10)
기준선(20) 곡면부(21)
불량 지점(30)

Claims (3)

  1. (a) 카메라를 이용하여 곡면 오엘이디 제품(100)을 촬영하여 이미지(10)를 생성하는 단계;
    (b) 상기 이미지(10)에서 좌우 또는 상하로 대칭되는 기준선(20)이 설정되는 단계;
    (c) 상기 기준선(20)과 대칭되는 위치의 색도 또는 명암을 비교하여 불량 지점(30)을 선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곡면 오엘이디 제품의 기포불량검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와 상기 (b)단계 사이에 상기 이미지에서 상기 곡면 오엘이디제품의 곡면부(21)를 분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곡면 오엘이디 제품의 기포불량검출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선(20)은 복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 오엘이디 제품의 기포불량검출 방법.
KR1020190091340A 2019-07-27 2019-07-27 곡면 오엘이디 제품의 기포불량검출 방법 KR202100136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1340A KR20210013673A (ko) 2019-07-27 2019-07-27 곡면 오엘이디 제품의 기포불량검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1340A KR20210013673A (ko) 2019-07-27 2019-07-27 곡면 오엘이디 제품의 기포불량검출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3673A true KR20210013673A (ko) 2021-02-05

Family

ID=74558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1340A KR20210013673A (ko) 2019-07-27 2019-07-27 곡면 오엘이디 제품의 기포불량검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1367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84359A (ko) 2009-01-13 2017-07-19 사이펨 에스.피.에이. C₄ 탄화수소 혼합물로부터 고순도 1-부텐을 얻는 공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84359A (ko) 2009-01-13 2017-07-19 사이펨 에스.피.에이. C₄ 탄화수소 혼합물로부터 고순도 1-부텐을 얻는 공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05552B2 (en) Visual inspection device and illumination condition setting method of visual inspection device
KR101958634B1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무라 검출 장치 및 방법
US20090290782A1 (en) Method and a system for establishing an inspection-recipe
WO2011152445A1 (ja) 太陽電池パネルのel検査装置、及びel検査方法
JP2007147442A (ja) 木材の検査方法及び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1828536B1 (ko) 패널 검사 방법 및 장치
KR101796931B1 (ko) 렌즈 어셈블리 결함 검사장치
JP2005249415A (ja) シミ欠陥の検出方法及び装置
JP2012037425A (ja) 多結晶シリコンウェーハの検査方法及びその装置
KR20210013673A (ko) 곡면 오엘이디 제품의 기포불량검출 방법
JP2005037281A (ja) 表示装置の製造方法、表示装置用基板の検査方法及び表示装置用基板の検査装置
JP2009041930A (ja) カラーフィルタの外観検査方法
JP2010008125A (ja) ガラス基板内の気泡選別処理法
JP2009264942A (ja) カラーフィルタの外観検査方法
JP2014077685A (ja) パターン欠陥検出装置およびパターン欠陥検出方法
KR102014171B1 (ko) 유기발광소자의 혼색 불량 검출장치 및 검출방법
TWI510776B (zh) 玻璃氣泡瑕疵檢測處理方法
JP2009074828A (ja) 欠陥検出方法および欠陥検出装置
TWI583942B (zh) Check the device and check the method
JP2009198395A (ja) 表面検査装置
KR102177329B1 (ko) 피듀셜 마크 인식 방법
KR20170122321A (ko) 표시 패널의 광학 검사 방법
JP2006189294A (ja) ムラ欠陥の検査方法および装置
TWI703320B (zh) 刻印檢查裝置、刻印檢查方法及物品檢查裝置
JP2006189293A (ja) スジ状ムラ欠陥の検査方法および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