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2517A - 모듈 커넥터 - Google Patents

모듈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2517A
KR20210012517A KR1020190090375A KR20190090375A KR20210012517A KR 20210012517 A KR20210012517 A KR 20210012517A KR 1020190090375 A KR1020190090375 A KR 1020190090375A KR 20190090375 A KR20190090375 A KR 20190090375A KR 20210012517 A KR20210012517 A KR 202100125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hole
fastener
coupling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03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계현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903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12517A/ko
Publication of KR202100125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25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듈 커넥터이다. 모듈(10) 측의 버스바(12)에는 버스바통공(14)이 형성되고 상기 버스바(12)에 설치된 하우징(20)의 결합공간(21)에는 상기 버스바(12)의 하우징(20)이 설치된 반대쪽에서 상기 버스바통공(14)을 통해 삽입된 터미널(24)이 위치된다. 상기 터미널(24) 후단의 결합플랜지(30)는 상기 하우징(20)이 설치된 버스바(12)의 일측 표면의 반대쪽 표면에 용접되어 버스바(12)와 터미널(24)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터미널(24)의 내부를 관통하는 터미널통공(26)에 너트형태의 체결구(32)가 설치되는데, 상기 체결구(32)는 상대 커넥터(40)의 체결구(43)와 체결될 때 상기 터미널의 결합플랜지(30)가 상기 버스바(12)를 상대 커넥터(40)쪽으로 함께 이동되도록 하는 힘을 작용한다.

Description

모듈 커넥터{Module connector}
본 발명은 모듈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정의 모듈에 설치되어 외부와의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는 모듈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는 절연성 재질로 만들어진 하우징의 내부에 도전성 재질로 만들어진 터미널이 설치되어 전기적 연결을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커넥터에는 와이어와 와이어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것과 특정한 모듈에 설치되어 상대 커넥터와 결합되어 외부와의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는 것 등 다양한 종류의 커넥터가 있다.
모듈 커넥터는 예를 들면 자동차에서 사용되는 블럭이나 배터리모듈 등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기판이나 버스바 등에 장착된 상태로 사용된다. 이와 같은 모듈커넥터는 터미널이 기판 또는 버스바에 솔더링이나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된다.
이와 같이 모듈 커넥터의 터미널이 기판이나 버스바 등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대 커넥터와 결합될 때 상대 커넥터가 결합되는 토크에 의해 기판이나 버스바에 설치된 상태가 훼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상대 커넥터와 모듈 커넥터가 결합될 때 모듈 커넥터와 모듈 사이의 결합이 분리되는 방향으로 모듈 커넥터가 힘을 받기 때문이다. 즉 상대 커넥터와 모듈 커넥터가 결합할 때, 모듈의 기판이나 버스바가 모듈 커넥터와 함께 상대 커넥터쪽으로 밀착되게 힘을 받지 않고 모듈 커넥터와 모듈의 기판이나 버스바와 분리될 수 있는 힘을 받는 구조이기 때문이다.
일본공개 특허 제 2017-45622 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모듈 커넥터가 모듈에 고정된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부에 결합공간이 형성되어 모듈의 통전부재 상에 위치되는 절연성 재질로 만들어진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이 장착된 통전부재의 반대면 쪽에서 통전부재의 통공을 통해 삽입되어 상기 결합공간에 위치되고 결합플랜지가 상기 하우징이 설치된 반대쪽의 상기 통전부재의 통공 가장자리에서 결합되는 도전성 재질로 만들어진 터미널과, 상기 터미널에 형성된 터미널통공 내에 설치되고 상대 커넥터의 체결구와 체결되는 체결구를 포함한다.
상기 터미널은 내부를 관통하여 터미널통공이 형성된 원통형상으로 만들어지고 후단을 둘러 상기 결합플랜지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터미널통공의 내부에 상기 체결구의 결합부가 위치되는 내부안착단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구의 결합부는 체결구의 다른 부분보다 직경이 크게 되어 상기 터미널의 내부안착단에 위치되어 상대 커넥터의 체결구와 결합될 때 상기 터미널의 결합플랜지가 상기 통전부재에 밀착되도록 한다.
상기 체결구는 상기 터미널의 터미널통공에 상기 터미널의 후단에서 삽입되어 상기 통전부재의 반대쪽에 위치되는 상대 커넥터의 체결구와 체결된다.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통전부재의 통공에 안착되는 통공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터미널의 외면을 둘러서는 상기 통전부재의 통공에 상기 통공안착부와 함께 위치되는 통공접촉부가 형성된다.
상기 터미널의 통공접촉부에는 상기 터미널이 통전부재의 통공에 원활하게 삽입되도록 하는 결합경사가 형성된다.
상기 터미널에는 상기 통공접촉부보다 선단쪽에 상기 통전부재의 통공에 터미널이 원활하게 삽입되도록 하는 선단결합경사가 더 형성된다.
상기 통전부재는 기판이나 버스바중 어느 하나이다.
터미널을 관통하여 설치된 체결구의 선단에 핑거캡이 설치된다.
본 발명에 의한 모듈 커넥터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모듈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터미널이 상대 커넥터와 결합되는 반대쪽 면에서 모듈의 버스바에 결합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상대 커넥터와 모듈 커넥터가 결합될 때 모듈 커넥터와 모듈의 버스바 사이가 더 밀착되므로 모듈 커넥터와 모듈 사이의 결합 및 전기적 연결이 보다 견고하게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모듈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례의 내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터미널을 보인 저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례의 모듈 커넥터와 상대 커넥터가 결합되는 것을 보인 분해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모듈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례는 모듈(10)의 일측에 있는 버스바(12)에 설치된다. 물론 본 발명의 모듈 커넥터가 반드시 버스바(12)에만 설치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모듈(10)에 있는 기판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버스바(12)에는 버스바통공(1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버스바통공(14)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터미널(24)이 관통하여 설치된다. 상기 버스바(12) 대신에 기판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기판에 상기 버스바통공(14)이 통홀 형태로 형성되고 그 내면과 양면 가장자리에 패턴이 노출되어 전기적 연결을 수행할 수 있도록 된다.
하우징(20)은 절연성 재질로 만들어진 것이다. 상기 하우징(20)의 내부에는 결합공간(21)이 형성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결합공간(21)은 상기 하우징(20)을 상하로 관통하여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20)의 외면을 둘러서는 다수개의 키코드(22)가 있다. 상기 키코드(22)는 상대 커넥터(40)와의 결합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대 커넥터(40)와 모듈 커넥터의 결합 방향을 키코드(22)가 안내하고, 다른 상대 커넥터(40)가 모듈 커넥터에 결합되는 것을 키코드(22)가 방지한다.
상기 하우징(20)에는 또한 결합편(23)이 다수개 형성된다. 상기 결합편(23)은 상기 하우징(20)의 일단부 가장자리를 둘러 다수개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결합편(23)에는 상기 버스바(12)에 형성되는 결합공(도면부호 부여않음)에 삽입되는 결합돌기(23')가 돌출되어 있다. 상기 결합돌기(23')가 버스바(12)의 결합공에 삽입되어 하우징(20)이 버스바(12)에 대해 회전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하우징(20)에는 통공안착부(23")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통공안착부(23")는 상기 버스바(12)의 결합공(14) 내에 위치되는 것으로 상기 하우징(20)이 상기 결합공(14)에 대해 이동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통공안착부(23")는 링형상으로 상기 하우징(20)의 후단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20)의 내부에는 터미널(24)이 설치된다. 상기 터미널(24)은 일측이 상기 버스바(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측은 상대 커넥터(40)의 터미널(도시되지 않음)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터미널(24)은 본 실시례에서는 대략 원통형상으로 된다. 상기 터미널(24)의 내부를 관통하여서는 터미널통공(26)이 형성된다. 상기 터미널통공(26)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체결구(32)가 위치된다.
상기 터미널(24)의 터미널통공(26)의 일측 입구에는 내부안착단(2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내부안착단(28)은 도 3 및 도 4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미널통공(26) 내에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내부안착단(28)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체결구(32)의 결합부(33)가 안착되어 결합되는 부분이다.
상기 터미널(24)의 일단부에는 결합플랜지(30)가 있다. 상기 결합플랜지(30)는 상기 터미널(24)의 일단부를 둘러서 소정 길이만큼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결합플랜지(30)는 대략 링형상으로 만들어진다. 상기 결합플랜지(30)는 상기 버스바(12)에 물리적으로 결합되는 부분이다. 상기 결합플랜지(30)가 상기 버스바(12)의 결합공(14) 가장자리에 결합된다. 상기 결합플랜지(30)가 상기 버스바(12)에 결합되는 것은 용접으로 된다. 예를 들면 초음파용접으로 상기 결합플랜지(30)가 상기 버스바(12)에 결합된다. 상기 결합플랜지(30)가 결합되는 버스바(12)의 표면은 상기 하우징(20)이 설치되는 반대쪽 표면, 즉 상대 커넥터(40)와 마주보는 표면이 아닌 반대쪽 표면이다. 이와 같이 결합플랜지(30)가 상기 버스바(12)에 용접되는 면이 상대 커넥터(40)가 위치하는 반대쪽으로 됨에 의해 상대 커넥터(40)와 모듈 커넥터가 결합될 때 버스바(12)와 터미널(24)의 결합플랜지(30)가 서로 밀착되는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된다.
상기 터미널(24)의 외면에는 또한 통공접촉부(31)가 돌출되어 있다. 상기 통공접촉부(31)는 상기 버스바(12)의 결합공(14)의 내면에 접촉되는 부분이다. 상기 통공접촉부(31)가 결합공(14)의 내면에 접촉됨에 의해 전기적 연결 면적을 보다 높일 수 있다. 상기 통공접촉부(31)의 외경은 상기 결합공(14)의 내경과 같거나 약간 크게 하여 압입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상기 통공접촉부(31)의 일측을 둘러서는 결합경사(3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경사(31')는 상기 통공접촉부(31)가 상기 버스바(12)의 결합공(14)으로 보다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터미널(24)의 외면중 상기 결합경사(31')보다 더 선단쪽에는 선단결합경사(31")가 있다. 상기 선단결합경사(31")는 터미널(24)이 버스바(12)의 결합공(14)을 통과해서 하우징(20)의 내부로 잘 삽입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터미널(24)의 터미널통공(26) 내부에는 체결구(32)가 설치된다. 상기 체결구(32)는 일종의 너트이다. 상기 체결구(32)의 후단에는 상기 터미널(24)의 내부안착단(28)에 안착되어 결합되는 결합부(33)가 있다. 상기 결합부(33)의 형상은 마치 기어와 같이 다수개의 돌기가 돌출되어 있고 상기 내부안착단(28)에 압입되어 설치된다. 상기 체결구(32)는 전체적으로 대략 원통형상으로 내면에는 암나사부(3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체결구(32)는 본 발명의 모듈 커넥터를 상대 커넥터(40)와 결합된 상태를 체결하기 위한 것이다. 모듈 커넥터의 체결구(32)에 상대 커넥터(40)의 체결구(43)가 삽입되어 체결된다. 상대 커넥터(40)의 체결구(43)는 일종의 볼트이다.
상기 체결구(32)의 선단에는 핑거캡(36)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핑거캡(36)은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하우징(20)의 결합공간(21)으로 들어가서 상기 터미널(24) 등과 접촉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이다. 상기 핑커캡(36)은 절연재질로 만들어져서 상기 체결구(32) 선단에 고정된다.
참고로 도5에는 상대 커넥터(40)가 도시되어 있는데, 상기 상대 커넥터(40)의 외관을 하우징(42)이 형성하고, 상기 하우징(42)의 일측으로는 전기적으로 상대 커넥터(40)와 외부(모듈 커넥터 반대쪽)를 연결하기 위한 구성이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에는 와이어, 버스바 등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구성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상대 커넥터(40)는 모듈 커넥터와 결합되어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고, 이 결합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모듈 커넥터의 체결구(32)와 상대 커넥터(40)의 체결구(43)가 서로 체결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모듈 커넥터가 사용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하우징(20)은 상기 모듈(10) 측에 설치된다. 즉, 상기 모듈(10)의 버스바(12)에 설치되는데, 상기 하우징(20)의 결합편(23)에 있는 결합돌기(23')가 버스바(12)의 결합공에 삽입되고 상기 버스바통공(14)에 상기 통공안착부(23")가 위치되어 설치된다. 상기 결합돌기(23')는 다양한 방식으로 상기 하우징(20)이 상기 버스바(12), 즉 모듈(10) 측에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즉, 결합돌기(23') 자체의 형상으로 버스바(12)에 결합되거나, 결합돌기(23') 선단을 융착시켜 결합되게 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터미널(24)은 상기 하우징(20)이 설치된 버스바(12)의 반대쪽 면에서 상기 버스바통공(14)을 관통하여 상기 결합공간(21) 내부로 삽입된다. 상기 버스바통공(14)으로 상기 터미널(24)이 삽입될 때 상기 선단결합경사(31")와 결합경사(31')는 버스바통공(14)으로 보다 원활하게 터미널(24)이 삽입되도록 한다. 상기 터미널(24)의 결합플랜지(30)는 상기 버스바통공(14)의 가장자리에 안착된다.
상기 터미널(24)의 통공접촉부(31)는 상기 버스바(12)의 버스바통공(14) 내에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터미널(24)의 통공접촉부(31)와 상기 하우징(20)의 통공안착부(23")가 동시에 버스바통공(14) 내에 위치된다. 이는 도 3에 잘 도시되어 있다.
한편, 상기 체결구(32)는 상기 터미널(24)의 터미널통공(26)에 설치되는데, 상기 터미널(24)이 상기 버스바(12)에 장착되기 전에 미리 상기 터미널통공(26)에 삽입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터미널(24)은 상기 버스바(12)의 버스바통공(14) 가장자리 중에서 상기 하우징(20)이 설치된 반대쪽 면, 다시 말해서 상대 커넥터(40)가 위치하는 반대쪽 면에 상기 결합플랜지(30)가 용접되어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체결구(32)의 선단에는 핑거캡(36)이 장착되어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한다.
이와 같이 모듈(10) 측에 설치된 모듈 커넥터에는 상대 커넥터(40)가 결합되는데, 상기 상대 커넥터(40)의 하우징(42)의 일부가 상기 결합공간(21)으로 삽입되어 상기 터미널(24)과 상대 커넥터(40)의 터미널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와 같이 함에 의해 외부와 상기 모듈(10)이 모듈 커넥터와 상대 커넥터(40)에 연결된다.
한편, 상기 모듈 커넥터와 상대 커넥터(40)가 결합된 상태에서 체결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 상대 커넥터(40)의 체결구(43)가 모듈 커넥터의 체결구(32)와 결합된다. 즉, 상기 체결구(32)의 암나사부(34)에 상대 커넥터(40)의 체결구(43) 외면에 형성된 수나사부가 체결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체결구(32)와 상대 커넥터(40)의 체결구(43)는 서로 가까워지도록 힘을 받게 되는데, 상기 체결구(32)가 상대 커넥터(40)의 체결구(43)쪽으로 당겨지면서 상기 결합플랜지(30)가 상기 버스바(12)를 함께 이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버스바(12)는 상기 터미널(24)의 결합플랜지(30)와 상기 하우징(20)의 사이에 더 밀착된다. 즉, 상기 결합플랜지(30)와 버스바(12)가 용접되어 결합된 상태가, 모듈 커넥터와 상대 커넥터(40)의 결합 시에 더 잘 유지된다.
그리고 상기 체결구(32)의 결합부(33)도 체결구(32)의 다른 부분보다 직경이 크면서 상기 터미널(24)의 내부안착단(28)에 위치하므로 상대 커넥터(40)와의 결합시에 상기 터미널(24)이 버스바(12)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힘을 전달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모듈 커넥터가 모듈(10)의 버스바(12)에 설치되어 있는데, 위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기판에도 설치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모듈 커넥터는 모듈(10) 측의 통전부재 상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도시된 실시례에서 핑거캡(36)이 상기 체결구(32) 선단에 설치되었으나, 이는 반드시 설치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다른 구조로 상기 핑거캡(36)을 대체할 수도 있다.
10: 모듈 12: 버스바
14: 버스바통공 20: 하우징
21: 결합공간 22: 키코드
23: 결합편 23': 결합돌기
24: 터미널 26: 터미널통공
28: 내부안착단 30: 결합플랜지
31: 통공접촉부 31': 결합경사
31": 선단결합경사 32: 체결구
33: 결합부 34: 암나사부
36: 핑거캡 40: 상대 커넥터
42: 하우징 43: 체결구

Claims (9)

  1. 내부에 결합공간이 형성되어 모듈의 통전부재 상에 위치되는 절연성 재질로 만들어진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이 장착된 통전부재의 반대면 쪽에서 통전부재의 통공을 통해 삽입되어 상기 결합공간에 위치되고 결합플랜지가 상기 하우징이 설치된 반대쪽의 상기 통전부재의 통공 가장자리에서 결합되는 도전성 재질로 만들어진 터미널과,
    상기 터미널에 형성된 터미널통공 내에 설치되고 상대 커넥터의 체결구와 체결되는 체결구를 포함하는 모듈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은 내부를 관통하여 터미널통공이 형성된 원통형상으로 만들어지고 후단을 둘러 상기 결합플랜지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터미널통공의 내부에 상기 체결구의 결합부가 위치되는 내부안착단이 형성되는 모듈 커넥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의 결합부는 체결구의 다른 부분보다 직경이 크게 되어 상기 터미널의 내부안착단에 위치되어 상대 커넥터의 체결구와 결합될 때 상기 터미널의 결합플랜지가 상기 통전부재에 밀착되도록 하는 모듈 커넥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는 상기 터미널의 터미널통공에 상기 터미널의 후단에서 삽입되어 상기 통전부재의 반대쪽에 위치되는 상대 커넥터의 체결구와 체결되는 모듈 커넥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통전부재의 통공에 안착되는 통공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터미널의 외면을 둘러서는 상기 통전부재의 통공에 상기 통공안착부와 함께 위치되는 통공접촉부가 형성되는 모듈 커넥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의 통공접촉부에는 상기 터미널이 통전부재의 통공에 원활하게 삽입되도록 하는 결합경사가 형성되는 모듈 커넥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에는 상기 통공접촉부보다 선단쪽에 상기 통전부재의 통공에 터미널이 원활하게 삽입되도록 하는 선단결합경사가 더 형성되는 모듈 커넥터.
  8. 제 1 항 내지 제 7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전부재는 기판이나 버스바중 어느 하나인 모듈 커넥터.
  9. 제 8 항에 있어서, 터미널을 관통하여 설치된 체결구의 선단에 핑거캡이 설치되는 모듈 커넥터.

KR1020190090375A 2019-07-25 2019-07-25 모듈 커넥터 KR202100125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0375A KR20210012517A (ko) 2019-07-25 2019-07-25 모듈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0375A KR20210012517A (ko) 2019-07-25 2019-07-25 모듈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2517A true KR20210012517A (ko) 2021-02-03

Family

ID=74572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0375A KR20210012517A (ko) 2019-07-25 2019-07-25 모듈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12517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45622A (ja) 2015-08-26 2017-03-02 株式会社Gsユアサ 蓄電素子及び蓄電素子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45622A (ja) 2015-08-26 2017-03-02 株式会社Gsユアサ 蓄電素子及び蓄電素子の製造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90082B2 (en) Coaxial cable connector
US8137116B2 (en) Ground joint connector and wire harness including the same
JP4440160B2 (ja) コネクタ
JP6371368B2 (ja) 直角ヘッダアセンブリ
US8657621B2 (en) Connector apparatus
US8388383B2 (en) Power adaptor structure
US6257918B1 (en) Wire harness connector having a contact retention plate
US20190386432A1 (en) Connector device
CN111628321B (zh) 屏蔽端子及屏蔽连接器
WO2014147756A1 (ja) 車両側コネクタ
US4842529A (en) Connector with two-piece ground strap
CN109643873A (zh) 具有端子的电源连接器
US5791922A (en) Electric connector assembly
US6551144B2 (en) Electrical connector for connecting electrical wires to an electrical apparatus
US6305969B1 (en) Electrical continuity checker for connector
US7874858B2 (en) Connector
KR20210012517A (ko) 모듈 커넥터
KR20060124564A (ko) 암형단자 및 암형단자를 사용하는 전기 커넥터
CN112350123A (zh) 汽车高压屏蔽集成连接器
US7607945B2 (en) Connector
US11742624B2 (en) High-frequency coaxial electrical connector with shields covering cable conductors and terminals
CN214849381U (zh) 电连接器
KR20190044493A (ko)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
CN219321726U (zh) 电连接器
WO2020183909A1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