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2410A - Vr모듈을 이용한 전자투표방법 - Google Patents

Vr모듈을 이용한 전자투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2410A
KR20210012410A KR1020190090075A KR20190090075A KR20210012410A KR 20210012410 A KR20210012410 A KR 20210012410A KR 1020190090075 A KR1020190090075 A KR 1020190090075A KR 20190090075 A KR20190090075 A KR 20190090075A KR 20210012410 A KR20210012410 A KR 202100124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user
voting
authenti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00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12691B1 (ko
Inventor
이재영
민성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미루시스템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미루시스템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미루시스템즈
Priority to KR10201900900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2691B1/ko
Publication of KR202100124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24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26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26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230/00Voting or election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Time Recorders, Dirve Recorders, Access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두부에 작용하는 VR모듈을 이용한 전자투표방법에 있어서, 별도의 인증모듈을 통해 사용자의 인증정보를 인식하는 인증단계, 상기 인증정보를 분석하여 올바른 유권자인지 판단하고 상기 VR모듈과 연동하여 동작 여부를 조절하는 링크단계, 상기 VR모듈이 상기 인증모듈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인증정보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선거과정을 진행하는 기표단계 및 상기 기표단계에서 선택된 기표정보를 사용자에게 출력하여 확정하는 확인단계를 포함하는 VR모듈을 이용한 전자투표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VR모듈을 이용한 전자투표방법{Voting Method using Virtual Reality Module}
본 발명은 VR모듈을 이용한 전자투표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가 두부에 착용하여 가상현싱 이미지를 통해 투표를 진행할 수 있는 VR모듈을 이용한 전자투표방법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를 포함한 세계 대다수 의회민주주의 국가들은 대통령 선거, 국회의원 선거 또는 특정단체들의 대표자를 뽑는 선거 등의 다양한 선거가 국민들의 의사결정수단으로 일반화되어 있다.
따라서 세계 각국엔 다양한 선거로 인한 투표가 진행되고 있으며 많은 사람들이 투표에 참여하고 있고 이에 따라 개표시간도 많이 소요되어 개표 결과를 빨리 집계하기 위해 개표장치가 널리 보급되는 실정이다.
한편 우리나라 기초단체장 선거와 같이 도지사, 시장, 도의원, 시의원 등 여러 사람을 한 번의 투표로 뽑아야 될 경우 국가에 따라 여러 종류의 투표용지를 받아 한 번에 투표하거나 한 투표용지에 여러 사람을 투표하는 등 다양한 방법이 채택된다.
그러나, 이러한 투표에서 투표용지의 양이 많아짐은 물론 선거의 종류가 많아짐에 따라 분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투표결과의 관리 역시 쉽지 않은 문제가 있다.
또한, 선거의 진행 시 선거용지를 사용함에 따라 투표용지의 관리가 어렵고, 자칫 선거결과의 신뢰성에 문제가 발생하는 상황이 왕왕 생기고 있다.
따라서, 선거의 보안 유지를 할 수 있으며, 선거의 간소화 및 투표결과의 수집 및 집계가 용이한 기술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한국등록특허 제10-0994079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사용자가 착용하는 VR모듈을 통해 출력되는 투표화면의 보안을 유지한 채 기표정보를 입력하여 공정한 선거를 진행할 수 있는 VR모듈을 이용한 전자투표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VR모듈을 이용한 전자투표방법에 관한 것으로, 별도의 인증모듈을 통해 사용자의 인증정보를 인식하는 인증단계, 상기 인증정보를 분석하여 올바른 유권자인지 판단하고 상기 VR모듈과 연동하여 동작 여부를 조절하는 링크단계, 상기 VR모듈이 상기 인증모듈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인증정보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선거과정을 진행하는 기표단계 및 상기 기표단계에서 선택된 기표정보를 사용자에게 출력하여 확정하는 확인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기표단계는 상기 VR모듈을 착용한 상태에서 상기 선거과정의 진행을 안내하는 제1과정, 상기 VR모듈이 동작하여 사용자의 전방시야를 차단하고, 상기 투표화면을 출력하는 제2과정 및 상기 제2과정에서 출력된 상기 투표화면에서 사용자가 후보자를 선택하여 입력하는 기표정보를 수집하는 제3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과정은 사용자에게 음성 또는 시각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태로 사용자에게 상기 선거과정을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과정은 상기 투표화면의 출력 시 후보자의 배치위치가 랜덤하게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과정은 상기 사용자의 인증정보에 대응하여 해당하는 선거구의 상기 투표화면을 출력해 투표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증단계는 사용자의 인증정보가 기록된 인증수단을 별도로 발급받아 상기 인증모듈을 통해 인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선택한 상기 기표정보를 저장매체에 기록하는 기록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록단계는 상기 기표정보를 전기적 정보로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록단계는 상기 VR모듈과 별도로 구성된 인쇄모듈을 통해 상기 기표정보를 추가적으로 인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VR모듈을 이용한 전자투표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VR모듈을 착용한 상태로 사용자가 보안을 유지한 상태에서 투표화면을 확인하고, 기표정보를 입력함으로써, 선거의 신뢰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둘째, 사용자에게 출력되는 투표화면이 랜덤하게 변경됨으로써, 사용자가 기표정보의 입력 시 외부로 노출 되더라도 기표정보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투표방법에 사용되는 전자투표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전자투표장치에서 인식모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의 전자투표장치에서 VR모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1의 전자투표장치에서 인식모듈과 VR모듈이 연동하여 별도의 정보수집장치로 정보를 전달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1의 본 발명에 따른 VR모듈을 이용한 전자투표방법의 전체적인 진행과정을 나타낸 도면 및
도 6과 도 7은 도 1의 전자투표장치에서 투표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VR모듈을 이용한 전자투표방법에 대해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VR모듈을 이용한 전자투표방법에 사용되는 전자투표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전자투표장치에서 인식모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1의 전자투표장치에서 VR모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도 1의 전자투표장치에서 인식모듈과 VR모듈이 연동하여 별도의 정보수집장치로 정보를 전달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VR모듈을 이용한 전자투표방법에 사용되는 전자투표장치에 대해 살펴본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투표장치는 크게 인증모듈(100), VR모듈(200: virtual reality module) 및 인쇄모듈(300)을 포함하며, 상기 인증모듈(100)로부터 인증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VR모듈(200)이 연동하여 선거과정이 진행된다.
먼저, 상기 인증모듈(100)은 사용자의 인증정보를 인식하고 올바른 유권자인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인증모듈(100)은 후술하는 상기 VR모듈(200)과 별도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인증함으로써 상기 VR모듈(200)을 사용하여 투표를 진행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만약 상기 인증모듈(100)에서 올바른 사용자를 인증하지 않는 경우 상기 VR모듈(200)은 동작하지 않거나 선거과정을 진행하지 않고 안내 메시지만 출력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인증모듈(100)은 별도의 인증수단(20)을 통해 사용자의 인증정보를 인식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인증수단(20)은 식별코드(QR코드, Bar코드 등)나 IC칩을 가지는 카드, NFC, RF통신 또는 투표용지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인증수단(20)의 경우 투표장소에서 사용자가 본인확인 이후 진행자로부터 상기 인증수단(20)을 발급받을 수 있으며, 발급된 인증수단(20)을 상기 인증모듈(100)에 투입하거나 태그 함으로써 인증을 진행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인증수단(20)으로 지문이나 홍체 등 사용자의 생체정보가 사용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인증수단(20)으로 식별코드, IC칩, NFC, RF통신 등을 사용하거나 투표용지 또는 사용자의 생체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사용되어 상기 인증모듈(100)을 통해 올바른 유권자인지 인증을 진행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인증모듈(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태로 형성되며 일측에 상기 인증수단(20)이 투입되는 투입부(11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면에는 사용자에게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20)가 형성되고, 상기 VR모듈(200)과 연동하여 정보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13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부(120)는 관리자 또는 사용자가 입력된 정보를 확인하거나 인증결과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추가적으로 관리자가 시작을 위한 인증 및 관리자정보, 참관인정보 등의 관리정보를 입력하거나 조작할 수 있도록 터치패널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인증모듈(100)은 일측에 형성된 상기 투입부(110)를 통해 상기 상기 인증수단(20)이 투입되고, 투입된 인증수단(20)으로부터 사용자의 인증정보를 수집하여 올바른 유권자인지를 판단한다. 그리고, 올바른 유권자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인증모듈(100)은 상기 VR모듈(200)과 연동하여 선거과정이 진행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인증모듈(100)은 상기 VR모듈(200)이 선거과정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잠금 장치와 같은 역할을 수행한다고 볼 수 있다.
한편, 상기 VR모듈(200)은 선거의 진행을 직접적으로 수행하는 장치로써,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에서 시야가 확보되며 선택적으로 투표화면이 출력되어 선거를 진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VR모듈(200)은 상기 투표화면을 기반으로 입력되는 사용자의 기표정보를 수집하여 기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선거과정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VR모듈(200)은 상기 인증모듈(100)과 연동되어 선택적으로 화면을 출력하도록 구성되며, 화면의 미 출력 시 사용자가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상기 VR모듈(200)은 크게 몸체(210), 출력유닛(220), 고정유닛(230), 제어유닛(미도시)을 포함하며, 상기 몸체(210)는 상기 VR모듈(200)을 지지하는 바디를 이루며 상기 출력유닛(220) 고정유닛(230) 및 상기 제어유닛이 결합된다.
이때, 상기 몸체(210)는 일반적인 VR기기의 본체가 되며, 내부에 상기 제어유닛 및 추가적인 송수신 수단(미도시)과 배터리 등을 내장한다.
한편, 상기 출력유닛(220)은 상기 몸체(210)상에서 전방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시야 내에 위치하며, 선택적으로 상기 투표화면을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출력유닛(220)은 사용자의 눈 전방에서 시야를 감싸도록 구성되며, 일반적인 디스플레이 형태 또는 하나 이상의 렌즈로 구성되어 기 설정된 가상이미지를 출력한다. 이때, 상기 출력유닛(220)은 상기 제어유닛에 의해 선택적으로 동작하여 가상의 화면을 출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투표화면 또는 별도의 안내화면 등이 선택적으로 출력된다.
상기 고정유닛(230)은, 상기 출력유닛(220) 또는 상기 몸체(2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두부를 감싸며,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유닛(230)은 일반적인 밴드나 타이 등의 형태로 사용자의 두부를 감싸며 가압하여 상기 출력유닛(220)이 사용자의 눈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한다.
한편,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인증모듈(100)과 연동하여 상기 선거과정을 진행하며 선택적으로 상기 출력유닛(220)에서 상기 투표화면을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입력된 상기 기표정보를 기록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유닛은 크게 제어부 및 기록부를 포함하며, 제어부는 상기 인증모듈(100)로부터 인증정보를 전달받아 기 설정된 선거과정을 진행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거과정 중 선택적으로 상기 출력유닛(220)에 가상 이미지를 출력시켜 사용자가 투표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하며, 선거과정의 진행 시 상기 투표화면을 출력하여 사용자가 기표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거과정의 진행 시 선택적으로 상기 출력유닛(220)에 상기 투표화면을 출력하고, 이와 함께 별도의 음성이나 소리로 추가적인 안내를 함께 진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투표화면에서 사용자가 기표정보를 입력한 경우 입력된 상기 기표정보를 상기 기록부에 전달하며, 추가적으로 외부로 송신하도록 제어한다.
이와 같이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에서 음성을 출력하거나, 선택적으로 상기 출력유닛(220)을 통해 가상이미지를 출력 함으로써 상기 선거과정이 진행될 수 있도록 제어하고, 추가적으로 상기 기표정보를 기록 및 외부로 송신한다.
한편, 상기 기록부는 상기 VR모듈(200) 내부에 별도로 내장되며, 사용자가 입력한 상기 기표정보를 기록한다. 이때, 상기 기표정보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인증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별도의 비교정보도 함께 기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기록부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전달되는 상기 기표정보를 기록하고, 추후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외부로 전송하거나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제어부 및 상기 기록부를 포함하여, 선택적으로 사용자에게 가상의 이미지를 출력 함으로써 상기 기표정보를 입력 받아 상기 선거과정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유닛은 입력된 상기 기표정보를 수집 및 기록하고 추가적으로 상기 인증모듈(100), 상기 인쇄모듈(300)로 전송하여 상기 기표정보가 인쇄될 수 잇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VR모듈(200)은 상기 몸체(210), 상기 출력유닛(220), 상기 고정유닛(230) 및 상기 제어유닛을 기본적으로 포함하며, 상기 인증모듈(100)과 연동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출력유닛(220)을 통해 상기 투표화면을 출력 함으로써 선거과정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VR모듈(200)은 사용자가 착용하는 경우 가시모드와 가상모드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동작한다. 상기 가시모드의 경우 사용자가 VR모듈(200)을 착용한 상태에서 별도의 가상화면이 출력되지 않고 전방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는 상태로써, 사용자의 전방 시야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시모드는 상기 VR모듈(200)에서 사용자의 시야 전방을 직접적으로 확보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별도의 출력유닛(220)을 구비하여 전방의 시야를 간접적으로 확보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가시모드와 상기 가상모드는 상기 인증모듈(100)과 연동하여 상기 VR모듈(200)이 선택적으로 조절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가상모드 상태에서 상기 선거과정이 진행될 수 있다.
물론, 상기 가상모드에서 상기 인증모듈(100)로부터 상기 VR모듈(200)이 올바르게 인증을 받지 않은 경우 상기 투표화면이 출력되지 않고 단순히 안내화면만 진행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VR모듈(200)은 상기 가시모드 및 상기 가상모드 중 어느 하나가 선택하여 동적하며, 상기 가상모드 상태에서 상기 투표화면이 출력되어 사용자가 기표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입력된 상기 기표정보는 상기 VR모듈(200)에서 수집하여 기록 하며, 상기 인쇄모듈(300) 또는 별도의 정보수집장치(10)로 추가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VR모듈(200)은 상기 기표정보를 내부에 기록함과 동시에 후술하는 상기 인쇄모듈(300)에 전송하고, 추가적으로 상기 정보수집장치(10)로 전달하여 집계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인쇄모듈(300)은 상기 VR모듈(200)에서 입력한 기표정보를 출력하는 구성으로, 상기 VR모듈(200)과 별도로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인쇄모듈(300)은 상기 VR모듈(200)에 의해 선택적으로 제어될 수 있으며, 내부에 별도의 인쇄부(미도시)가 구비되어 기표정보를 인쇄한다. 이때, 싱기 인쇄모듈(300)은 별도의 인쇄용지(미도시)에 상기 기표정보를 인쇄하여 사용자에게 직접 전달하거나 또는 인쇄결과만 사용자에게 보여주고 회수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인쇄용지가 일반적인 종이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인쇄부를 통해 상기 기표정보가 직접 인쇄되어 사용자에게 배출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상기 인쇄용지가 테이프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인쇄용기가 권취되며 상기 기표정보가 인쇄되고 인쇄된 정보는 사용자에게 확인한 후 다시 권취되어 회수할 수 있는 형태가 된다.
즉, 상기 인쇄용지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인쇄결과 역시 사용자에게 직접 전달하거나 또는 결과만 확인시킨 후 회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인쇄된 상기 기표정보는 상기 인쇄모듈(300)에 의해 상기 인쇄용지에 인쇄된 후 별도로 수집되어 투표결과의 확인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쇄모듈(300)에서 사용되는 상기 인쇄용지는 상기 인증모듈(100)에서 사용된 상기 인증수단(20)이 적용될 수도 있으며, 상기 인증수단(20)을 상기 인쇄모듈(300)에 투입하여 상기 기표정보를 인쇄 함으로써, 상기 인증수단(20)과 투표용지를 일체화 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인쇄모듈(300)은 상기 인증모듈(100)과 별도의 기기로 분리 되어 구성되지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증모듈(100)과 상기 인쇄모듈(300)이 하나의 인증기록장치(1)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인쇄모듈(300)과 상기 인쇄모듈(300)이 하나의 장치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인증수단(20)이 상기 인쇄용지의 역할을 동시에 하며 상기 기표정보를 인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투표장치는 상기 인증모듈(100), 상기 VR모듈(200) 및 상기 인쇄모듈(300)을 포함하며, 상기 인증모듈(100)과 연동된 상기 VR모듈(200)을 통해 사용자만 상기 투표화면을 확인하여 상기 기표정보를 입력 함으로써 보안유지가 용이한 선거를 진행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VR모듈(200)의 다양한 실시 형태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VR모듈(200)은 크게 3가지 형태로 구분될 수 있으며, 먼저 도 3의 (a)를 살펴보면 기본적인 구성이 상술한 바와 같이 몸체(210), 출력유닛(220), 고정유닛(230)을 포함합니다. 여기서, 상기 출력유닛(220)은 상기 몸체(210)상에 고정된 상태로 사용자의 시야를 커버하며 사용자에게 가상이미지를 출력합니다.
이때, 도 3의 (a)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VR모듈(200)이 별도의 촬영유닛(240)을 더 포함하고 있습니다.
구체적으로 상기 촬영유닛(240)은 상기 출력유닛(220)과 인접하게 배치되며 사용자의 전방이미지를 촬영하여 상기 전방시야를 확보해 상기 출력유닛(220)으로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출력유닛(220)은 불투명하게 구성되어 상기 전방이미지 또는 상기 투표화면 중 어느 하나가 가상의 이미지로 출력됨으로써 스크린의 역할을 수행한다.
즉, 상기 출력유닛(220)은 불투명한 형태로 형성되어 직접 전방시야를 투영시키는 것이 아니라, 상기 가상이미지가 출력된다.
이와 같이 상기 VR모듈(200)은 상기 촬영유닛(240)을 더 포함함으로써 상기 촬영유닛(240)이 촬영한 전방시야의 이미지를 선택적으로 출력한다.
이에 따라, 상기 VR모듈(200)은 가시모드 상태에서 상기 촬영유닛(240)에서 촬영된 전방이미지가 상기 출력유닛(220)으로 출력되며 간접적으로 사용자가 전방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VR모듈(200)이 가상모드상태에서는 상기 촬영유닛(240)에서 촬영된 전방이미지가 아니라 기 설정된 가상의 이미지가 출력되어 상기 선거과정을 진행할 수 있다.
물론, 상기 VR모듈(200)이 상기 가시모드에서 상기 가상모드로 전환되는 시점은 상기 선거과정 중이 될 수도 있고 상기 선거과정이 시작되는 순간이 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VR모듈(200)의 제1실시예는 상기 출력유닛(220)이 불투명한 상태로 구성되어 상기 촬영유닛(240)에서 촬영된 전방이미지 또는 기 설정된 가상이미지 중 어느 하나가 출력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도 3의 (b)를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VR모듈(200)의 제2실시예로써, 출력유닛(220)이 틸팅 가능하게 구성되어 선택적으로 사용자의 전방 시야를 차단한다.
구체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출력유닛(220)이 상기 몸체(210)상에 고정되지 않고 틸팅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틸팅 상태에 따라 사용자의 시야 전방에 선택적으로 배치된다.
이때 상기 출력유닛(220)은 불투명하게 이루어지며 틸팅 상태에 따라 사용자의 전방 시야를 차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출력유닛(220)은 하나로 구성되어 사용자의 좌 우 시야를 동시에 차단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이와 달라 한 쌍으로 구성되어 좌우 각각 독립적으로 차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VR모듈(200)이 가시모드인 경우 상기 출력유닛(220)을 틸팅시켜 사용자의 전방시야를 확보하고, 가상모드인 경우 상기 출력유닛(220)이 사용자의 시야를 차단하며 가상이미지를 사용자에게 출력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상기 VR모듈(200)은 별도의 촬영유닛(240)이 존재하지 않고 상기 출력유닛(220)이 선택적으로 틸팅하며 사용자의 전방시야를 차단하고 상기 가상이미지를 출력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VR모듈(200)의 제3실시예를 살펴보면 도 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적인 형태는 제1실시예와 유사한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나, 상기 촬영유닛(240)이 구비되지 않고 별도의 스크린유닛(250)이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VR모듈(200)은 상기 몸체(210) 또는 상기 출력유닛(220)상에서 선택적으로 틸팅 가능한 상기 스크린유닛(25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출력유닛(220)의 전방을 선택적으로 차단한다.
여기서, 상기 출력유닛(220)은 상술한 바와 달리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렌즈로 구성되어 전방으로 투영되며 시야의 확보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출력유닛(220)은 일반적은 안경의 렌즈와 같은 형태로 전방 시야를 확보할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상기 제어유닛에 의해 가상이미지가 출력된다.
그리고 상기 스크린유닛(250)은 불투명한 상태로 구비되어 상기 스크린유닛(250)의 틸팅 상태에 따라 상기 출력유닛(220)의 전방을 차단하거나 개방 함으로써 선택적으로 사용자가 전방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즉, 상기 가시모드에서는 상기 스크린유닛(250)이 상기 출력유닛(220)의 전방을 차단하지 않고, 상기 출력유닛(220)을 통해 직접 전방시야를 확보하고, 상기 가상모드의 경우 상기 스크린유닛(250)이 상기 출력유닛(220)의 전방을 차단함과 동시에 상기 출력유닛(220)으로 출력되는 상기 가상이미지가 잘 보이도록 하는 스크린의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VR모듈(200)의 제3실시예에는 상기 출력유닛(220)이 상기 몸체(210)상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가시모드 또는 상기 가상모드에 따라 상기 스크린유닛(250)이 선택적으로 틸팅 된다.
한편, 상기 VR모듈(200)은 상술한 상기 제1실시예 내지 상기 제3실시예와 달리 상기 출력유닛(220)이 사용자의 전방시야가 확보된 상태에서 상기 투표화면이 출력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VR모듈(200)은 상기 출력유닛(220)이 사용자의 전방시야가 확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투표화면은 상기 전방시야가 확보된 상태에서 선택적으로 출력된다. 이때, 상기 출력유닛(220)이 전방시야를 확보하는 방식은, 상기 출력유닛(220) 자체가 투명한 상태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직접 전방시야를 확보하거나, 별도의 촬영유닛(240)을 통해 이미지로 전방시야가 출력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VR모듈(200)은 상기 출력유닛(220)이 상기 가상모드와 상기 가시모드가 동시에 동작하며 전방시야가 확보된 상태에서 증강현실과 유사한 형태로 사용자에게 상기 투표화면을 동시에 출력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VR모듈(200)의 다양한 형태로 적용 가능하며, 상기 가시모드 및 상기 가상모드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자의 전방시야를 확보하거나 또는 전방시야를 차단하고 가상이미지를 출력해 상기 선거과정을 진행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가시모드와 상기 가시모드가 동시에 동작하여 사용자가 전방 시야를 확보한 상태에서 상기 가상이미지가 출력되어 상기 선거과정을 진행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전자투표장치에서, 상기 VR모듈(200)은 기 설정된 설정영역을 벗어나는 경우 상기 가시모드로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VR모듈(200)은 별도의 감지수단(미도시)을 통해 기 설정된 영역 내에 위치하며, 해당 영역을 벗어나는 경우 상기 VR모듈(200)은 상기 선거과정의 진행을 중지하고 상기 가시모드로 동작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VR모듈(200)은 상기 선거과정의 진행 여부와 상관없이 설정영역을 벗어나는 경우 상기 가시모드가 동작함과 동시에 상기 투표화면의 출력이 중지되고, 이를 사용자에게 안내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선거과정의 진행 중 상기 설정영역 내에 위치하여 부정행위를 방지함과 동시에 보안을 유지할 수 있고, 추가적으로 상기 가시모드가 강제로 동작 함으로써 사용자가 전방시야를 확보해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VR모듈(200)이 상기 인증모듈(100)을 기준으로 일정 거리 이내의 반경을 상기 설정영역으로 하여 동작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이와 달리 별도의 감지수단(미도시)을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하여 상기 설정영역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VR모듈(200)은 기 설정된 상기 설정영역 내에서만 상기 선거과정을 진행하도록 구성되며, 이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가시모드가 동작 함으로써 투표의 신뢰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VR투표장치를 이용하여 진행되는 전자투표방법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도 1의 본 발명에 따른 VR모듈을 이용한 전자투표방법의 전체적인 진행과정을 나타낸 도이고, 도 6과 도 7은 도 1의 전자투표장치에서 투표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투표장치를 이용한 전자투표방법은 크게 인증단계, 링크단계, 기표단계, 확인단계, 및 기록단계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인증단계는, 상기 인증모듈(100)을 통해 사용자의 인증정보를 인식하는 단계로, 상기 인증수단(20)을 통해 상기 인증모듈(100)에 입력한다(S100).
여기서, 상기 인증모듈(1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VR모듈(200)과 별도로 구성되며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고, 상기 인증수단(20)을 통해 사용자의 인증정보를 인식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인증수단(20)은 식별코드(QR코드, Bar코드 등)나 IC칩을 가지는 카드, NFC, RF통신 또는 투표용지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증수단(20)으로 사용자의 생체정보가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인증단계 이후 상기 인증모듈(100)은 입력된 사용자의 인증정보를 분석하해 상기 VR모듈(200)과 연동하여 동작 여부를 조절하는 링크단계가 진행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링크단계는 기 설정된 정보와 상기 인증정보를 비교하고(S200), 입력된 인증정보가 올바른 유권자의 정보인지 판단한다(S300).
만약, 상기 인증정보가 올바른 유권자의 정보인 경우, 상기 인증모듈(100)은 해당 정보를 상기 VR모듈(200)에 전달하여 가시모드상태로 동학하도록 한다(S400). 그라나, 상기 인증정보가 기 설정된 유권자의 정보와 다른 경우 올바른 유권자가 아닌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VR모듈(200)과 연동해 동작하지 않도록 제어한다.
즉, 상기 링크단계는 상기 인증모듈(100)에 입력된 상기 인증정보를 통해 올바른 유권자인지 판단하고, 선택적으로 상기 VR모듈(200)과 연동해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단계이다.
이어서, 상기 기표단계는, 상기 VR모듈(200)이 상기 인증모듈(100)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인증정보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선거과정을 진행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기표단계는 사용자가 VR모듈(200)을 착용한 상태에서 선거과정의 진행을 안내하는 제1과정을 우선적으로 거친다.
이때, 상기 제1과정은 상기 인증모듈(100)과 상기 VR모듈(200)이 연동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VR모듈(200)이 가시모드 상태로 동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400). 이는 사용자가 VR모듈(200)의 착용 시 시야를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과정이 진행되며 가시모드 상태에서 사용자에게 가상모드가 진행됨을 안내하고, 이후 선거과정이 진행된다.
여기서, 상기 제1과정은 사용자에게 음성 또는 시각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태로 사용자에게 상기 선거과정을 안내하여 진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제1과정이후 VR모듈(200)이 가시모드상태에서 가상모드로 전환되어 사용자의 전방시야를 차단함과 동시에 상기 투표화면을 출력하는 제2과정을 진행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과정은 가상모드로 전환되어 기 설정된 선거과정에 따라 사용자에게 선거정보를 안내하고(S500), 이후 가상의 이미지를 출력하여 선거의 진행을 안내하며, 투표화면을 출력하여 사용자가 후보자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S600).
이때, 상기 투표화면은 VR모듈(200)이 가상모드상태에서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하기 때문에 사용자만 투표화면이 확인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VR모듈(200)이 출력하는 상기 투표화면은 상기 사용자의 인증정보에 대응하여 해당하는 선거구의 투표화면을 출력해 투표가 가능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A지역에 거주하고 있지만 B지역에 있는 투표장소에 가서 투표를 하는 경우, 인증모듈(100)에 의해 수집된 상기 인증정보를 통해 B지역에 위치하더라도 A지역의 선거에 대한 상기 투표화면을 출력 함으로써 선거장소에 제약을 받지 않고 투표를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인증정보는 상기 관리자로부터 사용자가 전달 받은 인증수단(20) 또는 생체정보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투표화면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보자의 배치위치가 랜덤하게 변경된다. 특히 사용자의 모션을 외부에서 인식 하더라도, 사용자별로 상기 투표화면에 표시되는 후보자의 배치가 상이하기 때문에 후보자의 입력에 대한 정보를 추측하기 어렵도록 한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보자가 좌측에서 번호 순서대로 배치될 수도 있고, 이와 달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번호 순서가 섞인 상태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외부에서 사용자가 투표를 진행하는 모션만으로는 어떤 후보자를 선택하였는지 확인이 불가능하다.
즉, 상기 제2과정에서 사용자에게 출력되는 상기 투표화면에서 후보자의 배치 위치가 랜덤하게 조절됨으로써 선거의 보안유지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2과정이 진행되며 사용자에게 상기 투표정보를 출력한 후 사용자가 기표정보를 입력하는 제3과정이 진행된다.
상기 제3과정은 출력된 상기 투표화면에서 사용자가 후보자를 선택하고 기표정보를 입력한다(S700).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2과정에서 출력된 상기 투표화면에서 후보자의 배치가 랜덤하게 조절되고, 이에 따라 사용자가 입력하는 기표정보 역시 랜덤하게 조절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1과정 내지 상기 제3과정을 통해 사용자가 출력되는 상기 투표화면을 확인하고, 기 설정된 선거과정을 따라 기표정보를 입력하는 상기 기표단계가 진행된다.
이어서, 상기 기표단계 이후, 사용자가 입력한 상기 기표정보를 확인하는 확인단계가 진행된다.
상기 확인단계는 상기 기표단계에서 선택된 상기 기표정보를 사용자에게 추가 출력하고, 사용자가 확인 후 선택을 확정하는 과정으로 진행되며, 이후, 기표정보의 수정이 불가능하게 기록된다(S800).
상기 확인단계에서 출력되는 상기 기표정보가 올바른 경우 후술하는 상기 기록단계로 진행되고, 만약 상기 기표정보가 올바르지 않은 경우 사용자가 취소하여 다시 상기 기표단계로 진행된다.
즉, 상기 확인단계는 입력된 상기 기표정보가 올바른지 확인하고 기표결과를 확정하는 단계이다.
이후, 상기 확인단계에서 상기 기표단계가 확정되면, 상기 VR모듈(200)은 사용자가 선택한 기표정보를 별도의 저장매체에 기록하는 기록단계가 진행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기록단계는 크게 두 가지 방식으로 상기 기표정보를 상기 저장매체에 기록하며, 상기 기표정보를 별도의 전자적 정보로 기록하는 저장과정 및 물리적인 시각적 정보로 기록하는 인쇄과정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저장과정은 상기 기록부 내에 상기 기표정보를 기록함과 동시에 상기 인증모듈(100) 및 상기 인쇄모듈(300)에 상기 기표정보를 전달하고, 추가적으로 상기 정보수집장치(10)로 상기 기표정보를 전송한다.
이때, 상기 기록부는 전자적 정보를 기록하는 매체로써, 상기 기표정보를 기록하여 추후 다양하게 전송 및 보관이 용이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인쇄과정은 상기 기표정보를 물리적인 시각적 정보로 기록하는 과정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인쇄과정은 일반적인 인쇄용지에 상기 기표정보를 인쇄하는 것으로 상기 기록단계에서 상기 VR모듈(200)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기표정보를 상기 인쇄모듈(300)에서 인쇄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VR모듈(200)을 이용한 전자투표방법은 상기 인증단계, 상기 링크단계, 상기 기표단계, 상기 확인단계 및 상기 기록단계를 포함하며, 사용자가 VR모듈(200)을 통해 기표정보의 보안을 유지함과 동시에 지역에 제한 받지 않고 선거를 진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인증모듈
200: VR모듈
210: 몸체
220: 출력유닛
230: 고정유닛
240: 촬영유닛
250: 스크린유닛
300: 인쇄모듈
10: 정보수집장치
20: 인증수단

Claims (9)

  1. 사용자의 두부에 작용하는 VR모듈을 이용한 전자투표방법에 있어서,
    별도의 인증모듈을 통해 사용자의 인증정보를 인식하는 인증단계;
    상기 인증정보를 분석하여 올바른 유권자인지 판단하고 상기 VR모듈과 연동하여 동작 여부를 조절하는 링크단계;
    상기 VR모듈이 상기 인증모듈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인증정보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선거과정을 진행하는 기표단계; 및
    상기 기표단계에서 선택된 기표정보를 사용자에게 출력하여 확정하는 확인단계;
    를 포함하는 VR모듈을 이용한 전자투표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표단계는,
    상기 VR모듈을 착용한 상태에서 상기 선거과정의 진행을 안내하는 제1과정;
    상기 VR모듈이 동작하여 사용자의 전방시야를 차단하고, 상기 투표화면을 출력하는 제2과정; 및
    상기 제2과정에서 출력된 상기 투표화면에서 사용자가 후보자를 선택하여 입력하는 기표정보를 수집하는 제3과정;
    을 포함하는 VR모듈을 이용한 전자투표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과정은,
    사용자에게 음성 또는 시각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태로 사용자에게 상기 선거과정을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R모듈을 이용한 전자투표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과정은,
    상기 투표화면의 출력 시 후보자의 배치위치가 랜덤하게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R모듈을 이용한 전자투표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과정은,
    상기 사용자의 인증정보에 대응하여 해당하는 선거구의 상기 투표화면을 출력해 투표가 가능하도록 하는 VR모듈을 이용한 전자투표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단계는,
    사용자의 인증정보가 기록된 인증수단을 별도로 발급받아 상기 인증모듈을 통해 인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R모듈을 이용한 전자투표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선택한 상기 기표정보를 저장매체에 기록하는 기록단계를 더 포함하는 VR모듈을 이용한 전자투표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단계는,
    상기 기표정보를 전기적 정보로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R모듈을 이용한 전자투표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단계는,
    상기 VR모듈과 별도로 구성된 인쇄모듈을 통해 상기 기표정보를 추가적으로 인쇄하는 VR모듈을 이용한 전자투표방법.
KR1020190090075A 2019-07-25 2019-07-25 Vr모듈을 이용한 전자투표방법 KR1023126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0075A KR102312691B1 (ko) 2019-07-25 2019-07-25 Vr모듈을 이용한 전자투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0075A KR102312691B1 (ko) 2019-07-25 2019-07-25 Vr모듈을 이용한 전자투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2410A true KR20210012410A (ko) 2021-02-03
KR102312691B1 KR102312691B1 (ko) 2021-10-15

Family

ID=74572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0075A KR102312691B1 (ko) 2019-07-25 2019-07-25 Vr모듈을 이용한 전자투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269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18876A (ja) * 2001-04-24 2002-10-31 Victor Co Of Japan Ltd 電子投票装置
JP2002366275A (ja) * 2001-06-08 2002-12-20 Victor Co Of Japan Ltd 電子投票端末
JP2003208648A (ja) * 2001-09-28 2003-07-25 Victor Co Of Japan Ltd 電子投票機利用トークン、トークン記録媒体、投票受付機及び電子投票システム
KR20060083454A (ko) * 2005-01-17 2006-07-21 대한민국(관리부서 :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위원장) 전자투개표 및 전자선거시스템
KR100994079B1 (ko) 2010-04-12 2010-11-12 미루데이타시스템 주식회사 전자개표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18876A (ja) * 2001-04-24 2002-10-31 Victor Co Of Japan Ltd 電子投票装置
JP2002366275A (ja) * 2001-06-08 2002-12-20 Victor Co Of Japan Ltd 電子投票端末
JP2003208648A (ja) * 2001-09-28 2003-07-25 Victor Co Of Japan Ltd 電子投票機利用トークン、トークン記録媒体、投票受付機及び電子投票システム
KR20060083454A (ko) * 2005-01-17 2006-07-21 대한민국(관리부서 :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위원장) 전자투개표 및 전자선거시스템
KR100994079B1 (ko) 2010-04-12 2010-11-12 미루데이타시스템 주식회사 전자개표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신문기사, Telangana TODAY, ‘Virtual Reality show to educate youth on voting’, 2018년 11월 6일 (출처: https://telanganatoday.com/vr-show-to-educate-youth-on-voting)*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2691B1 (ko) 2021-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04809A (en) Apparatus for verifying an identification card
ES2334157T3 (es) Sistema biometrico y metodo biometrico.
EP1744264B1 (en) Biometric information registration apparatus and method
US4472626A (en) Information and protection system for checks and credit cards
US7637429B2 (en) Electronic voting system and associated method
KR100952713B1 (ko) 전자투표방법 및 장치
KR20010013468A (ko) 유권자 확인 방법 및 장치
CN211878614U (zh) 一种证件自助领取终端
JP4671838B2 (ja) 現金自動取引装置
JP2013191173A (ja) 改札システム、自動改札装置および乗車券媒体
JP2003208407A (ja) 生体情報登録装置、生体情報を利用した個人認証システム、および生体情報登録方法
JP6513866B1 (ja) 本人認証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4500760B2 (ja) Icカード内認証システム
KR101095947B1 (ko) 무선통신 기반의 다기능 전자 신분증
KR102312691B1 (ko) Vr모듈을 이용한 전자투표방법
US11037389B1 (en) System controlled by data bearing records
KR20210012406A (ko) Vr모듈을 이용한 전자투표장치
JP2001067322A (ja) 個人認証システム
JPH07120417B2 (ja) 指紋照合装置
KR20080010549A (ko) 무인 대출 처리장치
JP4819632B2 (ja) 集合住宅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KR20180102242A (ko) 금융 자동화 기기의 비대면 채널 사용자 인증 방법 및 시스템
JP4811873B2 (ja) 認証装置
KR101972922B1 (ko) 다종의 nfc내장카드 및 식별코드 스캔 기능을 이용한 투표 및 개표장치
JP3566340B2 (ja) 選挙端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