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0293A - 모바일 단말기, 안테나 제어 방법, 프로그램 및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모바일 단말기, 안테나 제어 방법, 프로그램 및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0293A
KR20210010293A KR1020197032848A KR20197032848A KR20210010293A KR 20210010293 A KR20210010293 A KR 20210010293A KR 1020197032848 A KR1020197032848 A KR 1020197032848A KR 20197032848 A KR20197032848 A KR 20197032848A KR 20210010293 A KR20210010293 A KR 202100102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e
flexible display
antenna
millimeter wave
mobi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28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46605B1 (ko
Inventor
펭 리
가오카이 한
팡 구오
Original Assignee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0102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02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66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66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1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ormed by a plurality of foldable display compon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62Details related to the integrated keyboard
    • G06F1/1671Special purpose buttons or auxiliary keyboards, e.g. retractable mini keypads, keypads or buttons that remain accessible at closed lapt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77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for detecting open or closed state or particular intermediate positions assumed by movable parts of the enclosure, e.g. detection of display lid position with respect to main body in a laptop, detection of opening of the cover of battery compart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8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 sending/receiving arrangement to establish a cordless communication link, e.g. radio or infrared link, integrated cellular pho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258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used with computer equipment
    • H01Q1/2266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used with computer equipment disposed inside the comput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8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formed by a conductive layer on an insulating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 H04M1/0245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using open/close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1/0268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04M1/236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including keys on side or rear 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기, 안테나 제어 방법 및 기록 매체에 관한 것으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모바일 단말기에 적용되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 구비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는 전개 상태와 수납 상태 사이에서 전환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전개 상태는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제 1 면적으로 전개한 상태이고, 상기 수납 상태는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제 2 면적으로 축소한 상태이며, 상기 제 1 면적은 상기 제 2 면적보다 크고,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엣지에는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상기 수납 상태에 있을 때, 상기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이 비작동 상태에 있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상기 전개 상태에 있을 때, 상기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이 작동 상태에 있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모바일 단말기, 안테나 제어 방법 및 기록 매체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기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모바일 단말기, 안테나 제어 방법 및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플렉시블(flexible) 디스플레이는 임의로 구부릴 수 있고 유연성이 좋다는 등의 특징이 있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는 이미 많은 모바일 단말기에 응용되고 있다. 밀리미터파는 최근 통신 발전에 있어서 핫스팟(hotspot)으로, 단 파장과 좁은 방사면 등의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밀리미터파 안테나의 양호한 수신/송신 거리를 보장하기 위해서는 하나의 밀리미터파 모듈에 복수의 밀리미터파 안테나를 배치할 필요가 있으며, 전 방향의 신호 방사 요건을 충족하기 위해서는 복수의 밀리미터파 모듈을 구비할 필요가 있다. 밀리미터파 안테나를 모바일(mobile) 단말기 내에 배치하는 것은 기술 발전의 추세이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모바일 단말기의 경우, 모바일 단말기의 사용 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전개하여 스크린 면적을 확대할 수 있고, 모바일 단말기의 휴대 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수납하여 스크린 면적을 감소할 수 있으며, 사용 환경에 따라 스크린 사이즈를 선택함으로써 모바일 단말기의 사용이 더욱 편리해진다.
그러나, 모바일 단말기의 본체는 매우 작으며,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을 수용하기에 충분한 공간이 없다.
본 발명 실시예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에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을 수용하기에 충분한 공간이 없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모바일 단말기, 안테나 제어 방법 및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상기 기술 방안은 하기와 같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모바일 단말기가 제공되며,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 구비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는 전개 상태와 수납 상태 사이에서 전환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전개 상태는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제 1 면적으로 전개한 상태이고, 상기 수납 상태는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제 2 면적으로 축소한 상태이며, 상기 제 1 면적은 상기 제 2 면적보다 크고,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엣지(edge)에는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이 구비되어 있다.
일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는 직사각형이고,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제 1 직사각형 엣지는 상기 본체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제 2 직사각형 엣지, 제 3 직사각형 엣지 및 제 4 직사각형 엣지 중의 적어도 하나의 직사각형 엣지에는 상기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직사각형은 직사각형 또는 둥근 직사각형일 수 있다.
일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는 직사각형이고,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제 2 직사각형 엣지의 중앙 부분은 상기 본체에 고정되고,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제 4 직사각형 엣지의 중앙 부분은 상기 본체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직사각형 엣지와 상기 제 4 직사각형 엣지는 평행한 2 개의 직사각형 엣지이고,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제 1 직사각형 엣지, 상기 제 2 직사각형 엣지, 제 3 직사각형 엣지, 제 4 직사각형 엣지 중의 적어도 하나의 직사각형 엣지에는 상기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직사각형은 직사각형 또는 둥근 직사각형일 수 있다.
일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은 분산적으로 구비된 적어도 2 개의 그룹이다.
일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는 각 그룹의 상기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은 적어도 2 개의 밀리미터파 안테나로 구성된 안테나 어레이(array)를 포함한다.
일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본체 내에는 제어 모듈이 더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일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상기 수납 상태에 있을 때, 상기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이 비작동 상태에 있고,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상기 전개 상태에 있을 때, 상기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이 작동 상태에 있도록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일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어 모듈은 포어그라운드(foreground) 애플리케이션의 유형에 따라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상기 수납 상태 또는 상기 전개 상태에 있도록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일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본체에는 상태 검출 유닛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상태 검출 유닛에 연결되며,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상태 검출 유닛에 의해 출력된 신호에 따라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상기 수납 상태 또는 상기 전개 상태에 있음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일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상태 검출 유닛은 상기 본체 내에 구비된 홀 센서 및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측에 구비된 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홀 센서는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상기 수납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제어 모듈로 제 1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상기 전개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제어 모듈로 제 2 신호를 출력하는 하도록 구성된다.
일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본체 내에는 안테나 스위치가 더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안테나 스위치가 제 1 스위치 상태에 있을 때, 상기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은 비작동 상태에 있고,
상기 안테나 스위치가 제 2 스위치 상태에 있을 때, 상기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은 작동 상태에 있다.
일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본체 내에는 메인 안테나가 더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메인 안테나는 메인 세트 안테나 또는 상기 메인 세트 안테나 및 다이버시티(diversity) 안테나를 포함한다.
일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본체 내에는 글로벌 포지셔닝(positioning) 시스템 GPS 수신 안테나, 와이어리스 피델리티(fidelity) WIFI 안테나 중 적어도 하나가 더 구비되어 있다.
일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본체 내에는 제어 모듈이 더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메인 안테나 및 상기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일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상기 수납 상태에 있을 때, 상기 메인 안테나가 작동 상태에 있고, 또한 상기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이 비작동 상태에 있도록 제어하고,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상기 전개 상태에 있을 때, 상기 메인 안테나가 비작동 상태에 있고, 또한 상기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이 작동 상태에 있도록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일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어 모듈은 포어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의 유형에 따라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상기 수납 상태 또는 상기 전개 상태에 있도록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일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본체에는 상태 검출 유닛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상태 검출 유닛에 연결되며,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상태 검출 유닛에 의해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상기 수납 상태 또는 상기 전개 상태에 있음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기 양태에 기재된 모바일 단말기에 적용되는 안테나 제어 방법이 제공되고, 상기 방법은,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상기 수납 상태에 있을 때, 상기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이 비작동 상태에 있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상기 전개 상태에 있을 때, 상기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이 작동 상태에 있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일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방법은,
포어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의 유형에 따라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상기 수납 상태 또는 상기 전개 상태에 있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본체에는 상태 검출 유닛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방법은,
상기 상태 검출 유닛에 의해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상기 수납 상태 또는 상기 전개 상태에 있음을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기 양태에 기재된 모바일 단말기에 적용되는 안테나 제어 방법이 제공되고, 상기 방법은,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상기 수납 상태에 있을 때, 상기 메인 안테나가 작동 상태에 있고, 또한 상기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이 비작동 상태에 있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상기 전개 상태에 있을 때, 상기 메인 안테나가 비작동 상태에 있고, 또한 상기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이 작동 상태에 있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일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방법은,
포어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의 유형에 따라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상기 수납 상태 또는 상기 전개 상태에 있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본체에는 상태 검출 유닛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방법은,
상기 상태 검출 유닛에 의해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상기 수납 상태 또는 상기 전개 상태에 있음을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기 양태에 기재된 모바일 단말기에 적용되는 안테나 제어 방법이 제공되며,
일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방법은,
상기 안테나 스위치가 제 1 스위치 상태에 있을 때, 상기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은 비작동 상태에 있는 단계;
상기 안테나 스위치가 제 2 스위치 상태에 있을 때, 상기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은 작동 상태에 있는 단계;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양태에 기재된 안테나 제어 방법을 실현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이 제공한 기술 방안에 따르면 하기와 같은 기술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플렉시블 스크린의 확장 가능한 면적을 이용하여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을 배치함으로써, 본체 공간을 점용하지 않고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을 위해 양호한 작동 환경을 제공할 수 있으며, 밀리미터파 안테나를 모바일 단말기에 양호하게 적용시킬 수 있다.
하기의 도면은 명세서에 병합되어 본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하고 본 발명에 부합하는 실시예를 표시하며 명세서와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해석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제공되는 모바일 단말기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제공되는 모바일 단말기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전개 상태에 있을 때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제공되는 모바일 단말기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수납 상태에 있을 때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제공되는 모바일 단말기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제공되는 말림 수납 구조를 구비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모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제공되는 접이 수납 구조를 구비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모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제공되는 모바일 단말기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제공되는 모바일 단말기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전개 상태에 있을 때의 모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제공되는 모바일 단말기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수납 상태에 있을 때의 모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제공되는 모바일 단말기의 안테나 스위치가 제 1 상태에 있을 때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제공되는 모바일 단말기의 안테나 스위치가 제 2 상태에 있을 때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제공되는 모바일 단말기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전개 상태에 있을 때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제공되는 모바일 단말기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제공되는 모바일 단말기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전개 상태에 있을 때의 모식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제공되는 안테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제공되는 안테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제공되는 안테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제공되는 안테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제공되는 안테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제공되는 안테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제공되는 안테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여기서,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 그 사례를 도면에 표시한다. 하기의 서술이 도면에 관련될 때, 달리 명시하지 않는 경우, 서로 다른 도면에서의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를 나타낸다. 하기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서술한 실시방식은 본 발명에 부합되는 모든 실시 방식을 대표하는 것이 아니며, 실시방식들은 다만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한 본 발명의 일부측면에 부합되는 장치 및 방법의 예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제공되는 모바일 단말기(100)의 구조 모식도를 나타낸다. 이 모바일 단말기(100)는 본체(101) 및 본체(101) 에 구비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2)를 포함하고,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2)는 전개 상태와 수납 상태 사이에서 전환하도록 구성되며, 전개 상태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2)를 제 1 면적으로 전개한 상태이고, 수납 상태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2)를 제 2 면적으로 축소한 상태이며, 제 1 면적은 제 2 면적보다 크고,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2)의 엣지에는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117)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를 종합하면, 본 실시예에 제공되는 모바일 단말기는 플렉시블 스크린의 확장 가능한 면적을 이용하여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을 배치함으로써, 본체 공간을 점용하지 않고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을 위해 양호한 작동 환경을 제공할 수 있으며,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을 모바일 단말기에 양호하게 적용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제공되는 모바일 단말기의 구조도이다. 이 모바일 단말기는 본체(101),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2) 및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수납 유닛(111)을 포함한다.
예시적으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2)는 직사각형이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2)는 제 1 직사각형 엣지(112), 제 2 직사각형 엣지(113), 제 3 직사각형 엣지(114) 및 제 4 직사각형 엣지(115) 등 4 개 연결되는 직사각형 변을 포함한다.
예시적으로, 직사각형은 직사각형 또는 둥근 직사각형일 수 있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2)의 제 1 직사각형 엣지(112)는 본체(101)에 고정되어 있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2)의 제 2 직사각형 엣지(113), 제 3 직사각형 엣지(114) 및 제 4 직사각형 엣지(115) 중 적어도 하나의 직사각형 엣지에는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117)이 구비되어 있다.
예시적으로,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117)은 분산적으로 구비된 적어도 2 개의 그룹이다.
예시적으로, 각 그룹의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117)은 적어도 2 개의 밀리미터파 안테나로 구성된 안테나 어레이를 포함한다.
도 2에서는 제 1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107), 제 2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108), 제 3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109), 제 4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110)을 포함하는 4 개의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117)이 구비되어 있다.
일 예에서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2)의 제 3 직사각형 엣지(114)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수납 유닛(111)에 고정되어 있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2)는 제 3 직사각형 엣지(114)의 방향으로 전개 또는 수납될 수 있다. 도 2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전개 상태에 있을 때의 형태를 나타내고, 도 3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수납 상태에 있을 때의 형태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의 구조도이다. 도 2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와의 차이점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2)의 제 2 직사각형 엣지(113)의 중앙 부분 및 제 4 직사각형 엣지(115)의 중앙 부분이 각각 본체(101)에 고정되어 있는 것이다. 제 1 직사각형 엣지(112) 및 제 3 직사각형 엣지(114)는 서로 대향하거나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2)의 제 1 직사각형 엣지(112), 제 2 직사각형 엣지(113), 제 3 직사각형 엣지(114) 및 제 4 직사각형 엣지(115) 중 적어도 하나의 직사각형 엣지에는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117)이 구비되어 있다.
일 예에서는 제 1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303), 제 2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304), 제 3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305), 제 4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306)을 포함하는 4 개의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117)이 구비되어 있다.
상응하게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수납 유닛은 2 개가 있으며, 각각 제 1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수납 유닛(301) 및 제 2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수납 유닛(302)이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2)의 제 1 직사각형 엣지(112)는 제 1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수납 유닛(301)에 고정되고,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2)의 제 3 직사각형 엣지(114)는 제 2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수납 유닛(302)에 고정되어 있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2)는 제 1 직사각형 엣지(112) 및 제 3 직사각형 엣지(114)의 방향(즉, 도면의 좌우 방향)으로 동시에(또는 개별적으로) 전개 또는 수납될 수 있다.
본 발명 실시예에서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수납 방식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일 예시적인 예에서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수납 및 전개 방식은 말림 수납 방식 및 접이 수납 방식 등 적어도 두 가지 방식을 포함한다. 하기에서는 도 2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제공되는 모바일 단말기를 예로 들어 두 가지 수납 방식에 대해 각각 설명한다.
말림 수납 방식 :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수납 유닛(111) 내(및/또는 본체(101))에는 릴(401)이 구비되어 있으며, 그 구조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다. 예시적으로, 릴(401)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수납 유닛(111)의 상하변에 고정된 고정축(402) 및 고정축(402)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외측 회전축(403)으로 구성된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2)의 제 3 직사각형 엣지(114)는 외측 회전축(403)에 고정되어 있으며, 외측 회전축(403)이 회전하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2)를 말아 외측 회전축(403)의 표면에 덮힌다. 사용자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수납 유닛(111)을 안쪽으로 밀거나 바깥쪽으로 당길 수가 있다. 안쪽으로 밀 때, 외측 회전축(303)을 제어하여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2)가 수납 상태가 되고, 바깥쪽으로 당길 때, 외측 회전축(403)을 제어하여 정방향으로 회전시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2)가 전개된다.
접이 수납 방식 :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2)의 제 3 직사각형 엣지(114)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수납 유닛(111)에 고정되어 있으며, 본체(101)의 측변에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수납홈(501)이 구비되고, 접이선(502)을 이용하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2)를 여러 영역으로 등분하며, 접이선(502)에 따라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2)를 순차적으로 접은 후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2)를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수납홈(501) 내로 인입하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2)의 수납을 완료할 수 있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수납 유닛(111)을 당겨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2)를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수납홈(501)로부터 인출하고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2)의 전개를 완료한다.
상기 각 실시예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본체(101)의 내부에 위치하는 제어 모듈이 더 포함되며, 이 제어 모듈은 CPU 또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일 수 있다. 이 제어 모듈은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117)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각 실시예에 기초하여,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117)에 대한 상기 제어는 하기 세 가지 형식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여 실현할 수 있다.
첫째, 소프트웨어 제어 방식.
둘째,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를 결합한 제어 방식.
셋째, 하드웨어 스위치 제어 방식.
상기 세 가지 방식은 3 개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여 하기에 개별적으로 설명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의 구조도이다. 도 2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체(101) 내에는 제어 모듈(601)이 증설되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수납 유닛(111)에는 구동 모듈(602)이 증설되어 있다. 제어 모듈(601)은 구동 모듈(602),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117)에 각각 연결된다. 구동 모듈(602)은 전기 구동 형식의 전기 기계 부품이다.
일 예에서는 제어 모듈(601)은 하기 세 가지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1. 포어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의 카테고리를 식별한다. 2. 구동 모듈(602)의 작동 및 정지를 제어한다. 3.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2)가 수납 상태에 있을 때,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117)이 비작동 상태에 있도록 제어하고,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2)가 전개 상태에 있을 때,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117)이 작동 상태에 있도록 제어한다.
구동 모듈(602)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수납 유닛(111)을 구동하여 정방향으로 회전시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2)를 전개하거나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2)를 수납할 수 있다.
일 예에서는 제어 모듈(601)에 의해 포어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의 카테고리가 게임, 비디오, 리딩 또는 기타의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 카테고리임을 식별하였을 경우, 제어 모듈(601)은 구동 모듈(602)로 제 1 명령을 송신하고, 이 제 1 명령은 구동 모듈(602)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수납 유닛(111)을 구동하여 정방향으로 회전시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2)를 전개하고,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2)가 전개 상태에 있도록 제어하는 데 사용된다. 제어 모듈(601)은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117)로 제 2 명령을 송신하고, 제 2 명령은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117)이 작동 상태에 있도록 제어하는 데 사용된다.
일 예에서는 제어 모듈(601)에 의해 포어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가 게임, 비디오, 리딩 또는 기타의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 카테고리임을 식별하였을 경우, 제어 모듈(601)은 구동 모듈(602)로 제 3 명령을 송신하고, 제 3 명령은 구동 모듈(602)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수납 유닛(111)을 구동하여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2)를 수납하고,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2)가 수납 상태에 있도록 제어하는 데 사용된다. 제어 모듈(601)은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117)로 제 4 명령을 송신하고, 제 4 명령은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117)이 비작동 상태에 있도록 제어하는 데 사용된다.
상기를 종합하면, 본 실시예에 제공되는 모바일 단말기는 포어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을 식별하는 방식으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2)의 상태를 지능적으로 제어하는 동시에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117)의 작동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특정 포어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경우, 모바일 단말기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2)를 자동으로 전개 또는 수납하여 사용자에게 양호한 사용 체험감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와 함께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117)의 작동 상태를 자동으로 전환하여 안테나 성능을 향상시키고 모바일 단말기를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의 구조도이다. 도 2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기초하여, 제어 모듈(601) 및 상태 검출 유닛(703)이 증설되어 있다. 상태 검출 유닛(703)은 홀 센서(701) 및 자석(702)을 포함한다.
예시적으로, 본체(101) 내에는 제어 모듈(601) 및 홀 센서(701)가 구비되고,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수납 유닛(111)에는 자석(702)이 증설되어 있다. 제어 모듈(601)은 홀 센서(701) 및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117)에 각각 연결된다.
제어 모듈(601)은 두 가지 기능을 구비한다. 1. 홀 센서(701)에 의해 출력된 신호를 식별한다. 2.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2)가 수납 상태에 있을 때,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117)이 비작동 상태에 있도록 제어하고,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2)가 전개 상태에 있을 때,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117)이 작동 상태에 있도록 제어한다.
상태 검출 유닛(703)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2)의 상태를 검출할 수 있다. 구체적인 방법은 하기와 같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2)가 수납 상태에 있을 때, 자석(702)이 홀 센서(701)에 근접하고 홀 센서(701)의 주위 자기장이 강화되며, 이 때, 홀 센서(701)가 제 1 신호를 출력하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2)가 전개 상태에 있을 때, 자석(702)이 홀 센서(701)로부터 멀어지고 홀 센서(701)의 주위 자기장이 약화되며, 이 때, 홀 센서(701)가 제 2 신호를 출력한다.
제어 모듈(601)에 의해 홀 센서(701)가 제 1 신호를 출력하고,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2)가 수납 상태에 있음을 식별하였을 경우, 제어 모듈(601)은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117)로 제 4 명령을 송신하여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117)이 비작동 상태에 있도록 제어한다.
제어 모듈(601)에 의해 홀 센서(701)가 제 2 신호를 출력하고,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2)가 전개 상태에 에 있음을 식별하였을 경우, 제어 모듈(601)은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117)로 제 2 명령을 송신하여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117)이 작동 상태에 있도록 제어한다.
상기를 종합하면, 본 실시예에 제공되는 모바일 단말기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상태를 식별함으로써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117)의 작동 상태를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전개 또는 수납됨과 함께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117)을 더 적절한 작동 상태로 자동으로 전환함으로써, 모바일 단말기의 안테나 성능을 향상시키고 사용자가 양호한 사용 체험감을 얻을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의 구조도이다. 도 2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체에는 안테나 스위치(901)가 증설되어 있다. 안테나 스위치(901)는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117)에 연결된다.
안테나 스위치(901)는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117)의 두 가지 작동 상태의 전환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 스위치(901)가 제 1 상태(902)에 있을 때,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117)이 비작동 상태에 있도록 제어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 스위치(901)가 제 2 상태(1001)에 있을 때,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117)이 작동 상태에 있도록 제어하고,
상기를 종합하면, 본 실시예에 제공되는 모바일 단말기는 안테나 스위치(901)의 상태를 수동으로 변경함으로써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117)의 작동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가 복잡한 사용 환경에서 작동하는 경우, 사용자는 안테나 스위치를 사용하여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117)의 작동 상태를 자율적으로 제어하여 모바일 단말기를 복잡한 사용 환경에 적응시킬 수 있으며, 모바일 단말기의 안테나 성능을 향상시키고 사용자의 사용 체험감을 향상시킨다.
상기는 모바일 단말기가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117)을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세 가지 방식이며, 예시적으로, 모바일 단말기의 본체(101) 상에는 메인 안테나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는 메인 안테나 및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117)을 동시에 제어하여 협력하거나 개별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하기에서는 우선 메인 안테나가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에 대해 설명하고 메인 안테나 및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117)을 동시에 제어하는 두 가지 방식에 대해 2 개의 다른 실시예에 의해 개별적으로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제공되는 모바일 단말기의 구조도이다. 도 2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체(101) 내에는 메인 안테나(116)가 증설되어 있으며, 메인 안테나(116)는 메인 세트 안테나(105) 또는 메인 세트 안테나(105) 및 다이버시티 안테나(106)를 포함한다. 도 12에서는 메인 안테나(116)가 메인 세트 안테나(105) 및 다이버시티 안테나(106)를 동시에 포함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예시적으로, 본체(101) 내에는 GPS 수신 안테나(103) 및 WIFI 안테나(104) 중 적어도 하나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일반적으로 본체(101)의 내부에 위치하는 제어 모듈이 더 포함되며, 이 제어 모듈은 CPU 또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일 수 있다. 이 제어 모듈은 각 안테나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실시예에 기초하여, 상기 메인 안테나(116)와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117) 사이의 작동 상태의 전환은 하기 두 가지 형식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여 실현할 수 있다.
첫째, 소프트웨어 제어 방식.
둘째,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를 결합한 제어 방식.
상기 두 가지 방식은 2 개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여 하기에 개별적으로 설명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의 구조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체(101) 내에는 제어 모듈(601)이 증설되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수납 유닛(111)에는 구동 모듈(602)이 증설되어 있다. 제어 모듈(601)은 구동 모듈(602), 메인 안테나(116) 및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117)에 각각 연결된다. 구동 모듈(602)은 전기 구동 형식의 전기 기계 부품이다.
일 예에서는 제어 모듈(601)은 하기 세 가지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1. 포어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의 카테고리를 식별한다. 2. 구동 모듈(602)의 작동 및 정지를 제어한다. 3.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2)가 수납 상태에 있을 때, 메인 안테나(116)가 작동 상태에 있고, 또한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117)이 비작동 상태에 있도록 제어하고,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2)가 전개 상태에 있을 때, 메인 안테나(116)가 비작동 상태에 있고, 또한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117)이 작동 상태에 있도록 제어한다.
구동 모듈(602)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수납 유닛(111)을 구동하여 정방향으로 회전시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2)를 전개하거나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2)를 수납할 수 있다.
일 예에서는 제어 모듈(601)에 의해 포어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의 카테고리가 게임, 비디오, 리딩 또는 기타의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 카테고리임을 식별하였을 경우, 제어 모듈(601)은 구동 모듈(602)로 제 1 명령을 송신하고, 이 제 1 명령은 구동 모듈(602)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수납 유닛(111)을 구동하여 정방향으로 회전시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2)를 전개하고,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2)가 전개 상태에 있도록 제어하는 데 사용된다. 제어 모듈(601)은 메인 안테나(116)와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117)로 제 5 명령을 송신하고, 제 5 계명은 메인 안테나(116)와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117)을 제어하여 메인 안테나(116)가 비작동 상태에 있고, 또한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117)이 작동 상태에 있도록 작동 상태를 전환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일 예에서는 제어 모듈(601)에 의해 포어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가 게임, 비디오, 리딩 또는 기타의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 카테고리임을 식별하였을 경우, 제어 모듈(601)은 구동 모듈(602)로 제 3 명령을 송신하고, 제 3 명령은 구동 모듈(602)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수납 유닛(111)을 구동하여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2)를 수납하고,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2)가 수납 상태에 있도록 제어하는 데 사용된다. 제어 모듈(601)은 메인 안테나(116)와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117)로 제 6 명령을 송신하고, 제 6 명령은 메인 안테나(116)와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117)을 제어하여 메인 안테나(116)가 작동 상태에 있고, 또한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117)이 비작동 상태에 있도록 작동 상태를 전환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를 종합하면, 본 실시예에 제공되는 모바일 단말기는 포어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을 식별하는 방식으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2)의 상태를 지능적으로 제어하는 동시에 메인 안테나(116) 및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117)의 작동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특정 포어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경우, 모바일 단말기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2)를 자동으로 전개 또는 수납하여 사용자에게 양호한 사용 체험감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와 함께 메인 안테나(116) 및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117)의 작동 상태를 자동으로 전환하여 모바일 단말기가 어느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을 사용할 때 안테나를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117)로 자동으로 전환하여 작동시키며, 모바일 단말기의 안테나 성능 및 사용자의 체험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의 구조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기초하여, 제어 모듈(601) 및 상태 검출 유닛(703)이 증설되어 있다. 상태 검출 유닛(703)은 홀 센서(701) 및 자석(702)을 포함한다.
예시적으로, 본체(101) 내에는 제어 모듈(601) 및 홀 센서(701)가 구비되고,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수납 유닛(111)에는 자석(702)이 증설되어 있다. 제어 모듈(601)은 홀 센서(701), 메인 안테나(116) 및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117)에 각각 연결된다.
제어 모듈(601)은 두 가지 기능을 구비한다. 1. 홀 센서(701)에 의해 출력된 신호를 식별한다. 2.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2)가 수납 상태에 있을 때, 메인 안테나(116)가 작동 상태에 있고, 또한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117)이 비작동 상태에 있도록 제어하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2)가 전개 상태에 있을 때, 메인 안테나(116)가 비작동 상태에 있고, 또한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117)이 작동 상태에 있도록 제어한다.
상태 검출 유닛(703)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2)의 상태를 검출할 수 있다. 구체적인 방법은 하기와 같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2)가 수납 상태에 있을 때, 자석(702)이 홀 센서(701)에 근접하고 홀 센서(701)의 주위 자기장이 강화되며, 이 때, 홀 센서(701)가 제 1 신호를 출력하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2)가 전개 상태에 있을 때, 자석(702)이 홀 센서(701)로부터 멀어지고 홀 센서(701)의 주위 자기장이 약화되며, 이 때, 홀 센서(701)가 제 2 신호를 출력한다.
제어 모듈(601)에 의해 홀 센서(701)가 제 1 신호를 출력하고,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2)가 수납 상태에 있음을 식별하였을 경우, 제어 모듈(601)은 메인 안테나(116)와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117)로 제 6 명령을 송신하고, 메인 안테나(116)와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117)을 제어하여 메인 안테나(116)가 작동 상태에 있고, 또한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117)이 비작동 상태에 있도록 작동 상태를 전환시킨다.
제어 모듈(601)에 의해 홀 센서(701)가 제 2 신호를 출력하고,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2)가 전개 상태에 있음을 식별하였을 경우, 제어 모듈(601)은 메인 안테나(116)와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117)로 제 5 명령을 송신하고, 메인 안테나(116)와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117)을 제어하여 메인 안테나(116)가 비작동 상태에 있고, 또한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117)이 작동 상태에 있도록 작동 상태를 전환시킨다.
상기를 종합하면, 본 실시예에 제공되는 모바일 단말기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상태를 식별함으로써 메인 안테나(116) 및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117)의 작동 상태를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전개 또는 수납됨과 함께 안테나를 더 적절한 작동 상태로 자동으로 전환함으로써, 사용자가 양호한 사용 체험감을 얻을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의 안테나 성능을 향상시킨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 방법이 도 7에 도시된 모바일 단말기에 적용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 방법은 하기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1501에 있어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2)의 상태를 결정하고,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2)의 상태가 수납 상태이면, 단계 1502를 실행하고,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2)의 상태가 전개 상태이면, 단계 1503을 실행한다.
단계 1502에 있어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2)가 수납 상태에 있을 때,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117)이 비작동 상태에 있도록 제어하고,
단계 1503에 있어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2)가 전개 상태에 있을 때,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117)이 작동 상태에 있도록 제어한다.
상기를 종합하면, 본 실시예에 제공되는 안테나 제어 방법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2)의 상이한 상태에 따라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117)의 작동 상태를 자동으로 전환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제어 방법을 사용하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전개 또는 수납됨과 함께 안테나를 더 적절한 작동 상태로 자동으로 전환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양호한 사용 체험감을 얻을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의 안테나 성능을 향상시킨다.
이상의 안테나 제어 방법의 실시예에서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2)의 상태를 결정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 있을 수 있으며, 예시적으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2)의 상태를 결정하는 방법은 소프트웨어 명령을 식별함으로써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2)의 상태를 식별하는 것일 수도 있고, 하드웨어를 구비하는 방식으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2)의 상태를 식별하는 것일 수도 있다.
일 예에서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2)의 상태를 감지하는 소프트웨어 방식은 제어 모듈(601)의 제어 명령을 식별함으로써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2)의 상태를 식별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예에서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2)의 상태를 감지하는 하드웨어 방식은 모바일 단말기 상에 구비된 상태 검출 유닛(703), 센서, 감지 기능을 구비하는 기계 부품 중 하나 또는 복수에 의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2)의 상태를 식별하는 것일 수 있다.
하기 두 가지 방법은 2 개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여 하기에 개별적으로 설명된다.
첫째, 소프트웨어 방식을 사용하여 안테나를 제어하는 방법.
둘째,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를 결합한 방식을 사용하여 안테나를 제어하는 방법.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며, 본 실시예에서는 이 방법이 도 7에 도시된 모바일 단말기에 적용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 방법은 하기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1601에 있어서, 포어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의 유형에 따라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2)가 수납 상태 또는 전개 상태에 있도록 제어하고,
제어 모듈(601)은 포어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가 게임, 비디오, 리딩 또는 기타의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 카테고리인지 여부를 식별한다.
상기 카테고리이면 단계 1602를 실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 1603을 실행한다.
단계 1602에 있어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2)가 전개 상태에 있을 때,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117)이 작동 상태에 있도록 제어하고,
일 예에서는 제어 모듈(601)은 구동 모듈(602)로 제 1 명령을 송신하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2)를 전개하고,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117)로 제 2 명령을 송신하여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117)이 작동 상태에 있도록 제어한다.
단계 1603에 있어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2)가 수납 상태에 있을 때,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117)이 비작동 상태에 있도록 제어한다.
일 예에서는 제어 모듈(601)은 구동 모듈(602)로 제 3 명령을 송신하고, 제 3 명령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2)를 수납하는 것을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또한, 제어 모듈(601)은 또한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117)로 제 4 명령을 송신하고, 제 4 명령은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117)이 비작동 상태에 있도록 제어하는 데 사용된다.
상기를 종합하면, 본 실시예에 제공되는 안테나 제어 방법은 포어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을 식별하는 방식으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2)의 상태를 지능적으로 제어하는 동시에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117)의 작동 상태를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포어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과 결합하여 안테나의 작동을 제어하고, 특정 포어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경우, 모바일 단말기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2)를 자동으로 전개 또는 수납하여 사용자에게 양호한 사용 체험감을 제공하며, 이와 함께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117)의 작동 상태를 자동으로 전환하여 모바일 단말기의 안테나 성능을 향상시킨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 방법이 도 8에 도시된 모바일 단말기에 적용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이 방법은 하기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1701에 있어서, 상태 검출 유닛(703)에 의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2)가 수납 상태 또는 전개 상태에 있음을 검출하고,
일 예에서는 제어 모듈(601)은 상태 검출 유닛(703)에 의해 검출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2)의 상태를 식별한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2)가 수납 상태이면, 단계 1702를 실행하고,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2)가 전개 상태이면, 단계 1703을 실행한다.
단계 1702에 있어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2)가 수납 상태에 있을 때,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117)이 비작동 상태에 있도록 제어하고,
일 예에서는 제어 모듈(601)은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117)로 제 4 명령을 송신하여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117)이 비작동 상태에 있도록 제어한다.
단계 1703에 있어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2)가 전개 상태에 있을 때,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117)이 작동 상태에 있도록 제어한다.
일 예에서는 제어 모듈(601)은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117)로 제 2 명령을 송신하여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117)이 작동 상태에 있도록 제어한다.
상기를 종합하면, 본 실시예에 제공되는 안테나 제어 방법은 상태 검출 유닛(703)에 의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2)가 수납 또는 전개 상태에 있음을 식별하여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117)의 작동 상태를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태 검출 유닛(703)에 의해 검출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2)의 상태를 이용하여 제어 모듈(601)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2)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전달할 수 있으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2)의 상태에 대한 모바일 단말기의 감도를 향상시키고, 나아가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117)에 대한 제어 정밀도를 향상시키며 모바일 단말기의 안테나 성능을 향상시킨다.
상기 안테나 제어 방법의 실시예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2)의 상태가 변화되는 경우에 대해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117)의 작동 상태를 자동으로 조정하여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117)을 적절한 작동 환경에서 작동시키고 모바일 단말기의 안테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수동 제어 방법은 하나의 실시예를 구비하여 하기에 설명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며, 본 실시예에서는 이 방법이 도 10에 도시된 모바일 단말기에 적용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이 방법은 하기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1801에 있어서, 안테나 스위치(901)의 상태를 결정한다.
안테나 스위치(901)가 제 1 상태(902)일 때, 단계 1802를 실행하고, 안테나 스위치(901)가 제 2 상태(1001)일 때, 단계 1803을 실행한다.
단계 1802에 있어서, 안테나 스위치(901)가 제 1 스위치 상태에 있을 때,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117)은 비작동 상태에 있다.
단계 1803에 있어서, 안테나 스위치(901)가 제 2 스위치 상태에 있을 때,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117)은 작동 상태에 있다.
상기를 종합하면, 본 실시예에 제공되는 안테나 제어 방법은 안테나 스위치(901)를 제어함으로써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117)의 작동 상태를 전환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모바일 단말기가 복잡한 사용 환경에서 작동하는 경우, 사용자는 안테나 스위치를 사용하여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117)의 작동 상태를 자율적으로 제어하여 모바일 단말기를 복잡한 사용 환경에 적응시킬 수 있으며, 모바일 단말기의 안테나 성능을 향상시키고 사용자의 사용 체험감을 향상시킨다.
상기 각 실시예의 모바일 단말기에 기초하여, 본 발명은 메인 안테나(116) 및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117)의 작동 상태를 전환하는 제어 방법을 더 제공하며, 이 안테나 제어 방법은 적어도 세 가지 방법을 포함한다. 따라서 하기 세 가지 작동 방법은 3 개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여 하기에 개별적으로 설명된다.
첫째, 일반적인 안테나 제어 방법.
둘째, 소프트웨어 안테나 제어 방법.
셋째,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를 결합한 제어 방법.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 방법이 도 13에 도시된 모바일 단말기에 적용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 방법은 하기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1901에 있어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2)의 상태를 결정하고,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2)의 상태가 수납 상태이면, 단계 1902를 실행하고,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2)의 상태가 전개 상태이면, 단계 1903을 실행한다.
단계 1902에 있어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2)가 수납 상태에 있을 때, 메인 안테나(116)가 작동 상태에 있고, 또한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117)이 비작동 상태에 있도록 제어하고,
단계 1903에 있어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2)가 전개 상태에 있을 때, 메인 안테나(116)가 비작동 상태에 있고, 또한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117)이 작동 상태에 있도록 제어한다.
상기를 종합하면, 본 실시예에 제공되는 안테나 제어 방법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2)의 다른 상태에 따라 메인 안테나(116) 및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117)의 작동 상태를 자동으로 전환하는 안테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제어 방법을 사용하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전개 또는 수납됨과 함께 안테나를 더 적절한 작동 상태로 자동으로 전환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양호한 사용 체험감을 얻을 수 있다. 이와 함께 모바일 단말기의 안테나 성능도 향상시킨다.
이상의 안테나 제어 방법의 실시예에서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2)의 상태를 결정하는 방법은 여러가지 있을 수 있으며, 예시적으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2)의 상태를 결정하는 방법은 소프트웨어 명령을 식별함으로써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2)의 상태를 식별하는 것일 수도 있고, 하드웨어를 구비하는 방식으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2)의 상태를 식별하는 것일 수도 있다.
일 예에서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2)의 상태를 감지하는 소프트웨어 방식은 제어 모듈(601)의 제어 명령을 식별함으로써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2)의 상태를 식별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예에서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2)의 상태를 감지하는 하드웨어 방식은 모바일 단말기 상에 구비된 상태 검출 유닛(703), 센서, 감지 기능을 구비하는 기계 부품 중 하나 또는 복수에 의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2)의 상태를 식별하는 것일 수 있다.
하기 두 가지 작동 방법은 2 개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여 하기에 개별적으로 설명된다.
첫째, 소프트웨어 방식을 사용하여 안테나를 제어하는 방법.
둘째,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를 결합한 방식을 사용하여 안테나를 제어하는 방법.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며, 본 실시예에서는 이 방법이 도 13에 도시된 모바일 단말기에 적용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 방법은 하기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2001에 있어서, 포어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의 유형에 따라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2)가 수납 상태 또는 전개 상태에 있도록 제어하고,
제어 모듈(601)은 포어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가 게임, 비디오, 리딩 또는 기타의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 카테고리인지 여부를 식별하고, 상기 카테고리이면 단계 2002를 실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 2003을 실행한다.
단계 2002에 있어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2)가 전개 상태에 있을 때, 메인 안테나(116)가 비작동 상태에 있고, 또한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117)이 작동 상태에 있도록 제어하고,
일 예에서는 제어 모듈(601)은 구동 모듈(602)로 제 1 명령을 송신하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2)를 전개하고, 메인 안테나(116)와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117)로 제 5 명령을 송신하며, 메인 안테나(116)와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117)을 제어하여 메인 안테나(116)가 비작동 상태에 있고, 또한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117)이 작동 상태에 있도록 작동 상태를 전환시킨다.
단계 2003에 있어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2)가 수납 상태에 있을 때, 메인 안테나(116)가 작동 상태에 있고, 또한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117)이 비작동 상태에 있도록 제어한다.
일 예에서는 제어 모듈(601)은 구동 모듈(602)로 제 3 명령을 송신하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2)를 수납하고, 메인 안테나(116)와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117)로 제 6 명령을 송신하며, 메인 안테나(116)와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117)을 제어하여 메인 안테나(116)가 작동 상태에 있고, 또한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117)이 비작동 상태에 있도록 작동 상태를 전환시킨다.
상기를 종합하면, 본 실시예에 제공되는 안테나 제어 방법은 포어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을 식별하는 방식으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2)의 상태를 지능적으로 제어하는 동시에 메인 안테나(116) 및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117)의 작동 상태를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포어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과 결합하여 안테나의 작동을 제어하고, 특정 포어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경우, 모바일 단말기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2)를 자동으로 전개 또는 수납하여 사용자에게 양호한 사용 체험감을 제공하며, 이와 함께 메인 안테나(116) 및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117)의 작동 상태를 자동으로 전환하여 모바일 단말기의 안테나 성능을 항시 향상시킨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 방법이 도 14에 도시된 모바일 단말기에 적용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이 방법은 하기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2101에 있어서, 상태 검출 유닛(703)에 의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2)가 수납 상태 또는 전개 상태에 있음을 검출하고,
일 예에서는 제어 모듈(601)은 상태 검출 유닛(703)에 의해 검출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2)의 상태를 식별한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2)가 수납 상태이면, 단계 2102를 실행하고,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2)가 전개 상태이면, 단계 2103을 실행한다.
단계 2102에 있어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2)가 수납 상태에 있을 때, 메인 안테나(116)가 작동 상태에 있고, 또한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117)이 비작동 상태에 있도록 제어하고,
일 예에서는 제어 모듈(601)은 메인 안테나(116)와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117)로 제 6 명령을 송신하고, 메인 안테나(116)와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117)을 제어하여 메인 안테나(116)가 작동 상태에 있고, 또한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117)이 비작동 상태에 있도록 작동 상태를 전환시킨다.
단계 2103에 있어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2)가 전개 상태에 있을 때, 메인 안테나(116)가 비작동 상태에 있고, 또한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117)이 작동 상태에 있도록 제어한다.
일 예에서는 제어 모듈(601)은 메인 안테나(116)와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117)로 제 5 명령을 송신하고, 메인 안테나(116)와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117)을 제어하여 메인 안테나(116)가 비작동 상태에 있고, 또한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117)이 작동 상태에 있도록 작동 상태를 전환시킨다.
상기를 종합하면, 본 실시예에 제공되는 안테나 제어 방법은 상태 검출 유닛(703)에 의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2)가 수납 또는 전개 상태에 있음을 식별하여 메인 안테나(116) 및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117)의 작동 상태를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태 검출 유닛(703)을 이용하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2)의 상태를 검출함으로써 제어 모듈(601)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2)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전달할 수 있으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2)의 상태에 대한 모바일 단말기의 감도를 향상시키고, 나아가 메인 안테나(116) 및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117)에 대한 제어 정밀도를 향상시키며 모바일 단말기의 안테나 성능을 향상시킨다.
상기 안테나 제어 방법의 실시예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2)의 상태가 변경되는 경우에 대해 메인 안테나(116) 및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117)의 작동 상태를 자동으로 조정하여 메인 안테나(116) 및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117)을 항시 적절한 작동 환경에서 작동시키고 모바일 단말기의 안테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명령,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세그먼트, 코드 세트 또는 명령 세트가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더 제공하고, 적어도 하나의 명령,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세그먼트, 코드 세트 또는 명령 세트가 프로세서에 의해 로드하고 실행되어 상기 각 방법의 실시예에 제공되는 안테나 제어 방법을 실현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복수"는 2 개 이상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용어 "및/또는"은 관련 객체의 연관 관계를 설명하며, 세 가지 관계가 있을 수 있음을 나타내고, 예를 들어 A 및/또는 B는 A가 단독으로 존재하고 A와 B가 동시에 존재하며 B가 단독으로 존재하는 세 가지 경우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부호 "/"는 일반적으로 전후 관련 객체 사이가 "또는"의 관계임을 나타낸다.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명세서에 대한 이해 및 명세서에 기재된 발명에 대한 실시를 통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안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당해 출원의 취지는 본 발명에 대한 임의의 변형, 용도 또는 적응적인 변화를 포함하고, 이러한 변형, 용도 또는 적응적 변화는 본 발명의 일반적인 원리에 따르고, 당해 출원이 공개하지 않은 본 기술 분야의 공지기술 또는 통상의 기술수단을 포함한다. 명세서 및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와 취지는 하기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된다.
본 발명은 상기에 서술되고 도면에 도시된 특정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그 범위를 이탈하지 않는 상황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을 실시할 수 있음에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단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Claims (24)

  1. 본체 및 상기 본체에 구비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는 전개 상태와 수납 상태 사이에서 전환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전개 상태는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제 1 면적으로 전개한 상태이고, 상기 수납 상태는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제 2 면적으로 축소한 상태이며, 상기 제 1 면적은 상기 제 2 면적보다 크고,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엣지에는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이 구비되어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는 직사각형이고,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제 1 직사각형 엣지는 상기 본체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제 2 직사각형 엣지, 제 3 직사각형 엣지 및 제 4 직사각형 엣지 중의 적어도 하나의 직사각형 엣지에는 상기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이 구비되어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는 직사각형이고,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제 2 직사각형 엣지의 중앙 부분은 상기 본체에 고정되고,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제 4 직사각형 엣지의 중앙 부분은 상기 본체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직사각형 엣지와 상기 제 4 직사각형 엣지는 평행한 2 개의 직사각형 엣지이고,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제 1 직사각형 엣지, 상기 제 2 직사각형 엣지, 제 3 직사각형 엣지, 제 4 직사각형 엣지 중의 적어도 하나의 직사각형 엣지에는 상기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이 구비되어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은 분산적으로 구비된 적어도 2 개의 그룹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
  5. 제4항에 있어서,
    각 그룹의 상기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은 적어도 2 개의 밀리미터파 안테나로 구성된 안테나 어레이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내에는 제어 모듈이 더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상기 수납 상태에 있을 때, 상기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이 비작동 상태에 있고,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상기 전개 상태에 있을 때, 상기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이 작동 상태에 있도록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포어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의 유형에 따라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상기 수납 상태 또는 상기 전개 상태에 있도록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상태 검출 유닛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상태 검출 유닛에 연결되며,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상태 검출 유닛에 의해 출력된 신호에 따라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상기 수납 상태 또는 상기 전개 상태에 있음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검출 유닛은 상기 본체 내에 구비된 홀 센서 및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측에 구비된 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홀 센서는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상기 수납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제어 모듈로 제 1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상기 전개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제어 모듈로 제 2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
  11.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내에는 안테나 스위치가 더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안테나 스위치가 제 1 스위치 상태에 있을 때, 상기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은 비작동 상태에 있고,
    상기 안테나 스위치가 제 2 스위치 상태에 있을 때, 상기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은 작동 상태에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
  12.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내에는 메인 안테나가 더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메인 안테나는 메인 세트 안테나 또는 상기 메인 세트 안테나 및 다이버시티 안테나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내에는 제어 모듈이 더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메인 안테나 및 상기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상기 수납 상태에 있을 때, 상기 메인 안테나가 작동 상태에 있고, 또한 상기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이 비작동 상태에 있도록 제어하고,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상기 전개 상태에 있을 때, 상기 메인 안테나가 비작동 상태에 있고, 또한 상기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이 작동 상태에 있도록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포어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의 유형에 따라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상기 수납 상태 또는 상기 전개 상태에 있도록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상태 검출 유닛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상태 검출 유닛에 연결되며,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상태 검출 유닛에 의해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상기 수납 상태 또는 상기 전개 상태에 있음을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
  17.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모바일 단말기에 적용되는 안테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상기 수납 상태에 있을 때, 상기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이 비작동 상태에 있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상기 전개 상태에 있을 때, 상기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이 작동 상태에 있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제어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포어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의 유형에 따라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상기 수납 상태 또는 상기 전개 상태에 있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제어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상태 검출 유닛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상태 검출 유닛에 의해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상기 수납 상태 또는 상기 전개 상태에 있음을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제어 방법.
  20. 제12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모바일 단말기에 적용되는 안테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상기 수납 상태에 있을 때, 상기 메인 안테나가 작동 상태에 있고, 또한 상기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이 비작동 상태에 있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상기 전개 상태에 있을 때, 상기 메인 안테나가 비작동 상태에 있고, 또한 상기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이 작동 상태에 있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제어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포어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의 유형에 따라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상기 수납 상태 또는 상기 전개 상태에 있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제어 방법.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상태 검출 유닛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상태 검출 유닛에 의해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상기 수납 상태 또는 상기 전개 상태에 있음을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제어 방법.
  23. 제11항에 기재된 모바일 단말기에 적용되는 안테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스위치가 제 1 스위치 상태에 있을 때, 상기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은 비작동 상태에 있는 단계;
    상기 안테나 스위치가 제 2 스위치 상태에 있을 때, 상기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은 작동 상태에 있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제어 방법.
  24.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17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안테나 제어 방법을 실현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97032848A 2019-07-17 2019-10-15 모바일 단말기, 안테나 제어 방법, 프로그램 및 기록 매체 KR1022466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10646241.6A CN112243052B (zh) 2019-07-17 2019-07-17 移动终端、天线控制方法及存储介质
CN201910646241.6 2019-07-17
PCT/CN2019/111314 WO2021007966A1 (zh) 2019-07-17 2019-10-15 移动终端、天线控制方法及存储介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0293A true KR20210010293A (ko) 2021-01-27
KR102246605B1 KR102246605B1 (ko) 2021-04-30

Family

ID=68965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2848A KR102246605B1 (ko) 2019-07-17 2019-10-15 모바일 단말기, 안테나 제어 방법, 프로그램 및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038259B2 (ko)
EP (1) EP3767427A1 (ko)
JP (1) JP7177087B2 (ko)
KR (1) KR102246605B1 (ko)
CN (1) CN112243052B (ko)
RU (1) RU2724124C1 (ko)
WO (1) WO202100796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1646025S (ko) * 2019-04-10 2021-11-08
CN114256593A (zh) * 2020-09-22 2022-03-29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及电子设备控制方法
EP4239443A4 (en) * 2020-12-04 2024-05-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WITH SCROLLABLE DISPLAY
CN112615138B (zh) * 2020-12-28 2023-12-0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及其天线控制方法
CN113193344B (zh) * 2021-04-28 2022-11-25 安徽华米健康医疗有限公司 电子设备及其天线控制方法
CN113206915B (zh) * 2021-04-28 2022-11-29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显示方法及装置、计算机可读介质和电子设备
CN113346219A (zh) * 2021-06-01 2021-09-03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和毫米波天线控制方法
CN115617122A (zh) * 2022-09-30 2023-01-1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

Citation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35217A (ko) * 2005-06-24 2006-1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외장형 터치스크린 및 이를 사용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20070043313A (ko) * 2005-10-21 2007-04-2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보조 디스플레이장치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KR20090127540A (ko) * 2008-06-09 2009-1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10049546A (ko) * 2009-11-05 2011-05-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20110082359A (ko) * 2010-01-11 2011-07-19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20001943A (ko) * 2010-06-30 2012-0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20120096723A (ko) * 2011-02-23 2012-08-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20130085528A (ko) * 2011-12-15 2013-07-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의 잠금 해제 장치 및 그 방법
KR20130127122A (ko) * 2012-05-14 2013-1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40105886A (ko) * 2013-02-25 2014-09-03 삼성전자주식회사 유연성 기능영역을 포함한 디스플레이 소자 또는 디스플레이 조립체용 안테나 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KR20170050270A (ko) * 2015-10-30 2017-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롤러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062327A (ko) * 2015-11-27 2017-06-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롤러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83404A (ko) * 2016-01-08 2017-07-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20170089664A (ko) * 2016-01-27 2017-08-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롤러블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1192B1 (ko) * 2001-09-05 2003-10-10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사특성을 조절할 수 있는 폴더형 단말기
US7558057B1 (en) * 2005-06-06 2009-07-07 Alex Naksen Personal digital device with adjustable interface
JP4489719B2 (ja) * 2006-03-28 2010-06-23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
KR100818170B1 (ko) * 2007-03-13 2008-04-02 한국과학기술원 두루마리형 유연디스플레이장치 및 이를 구비한 개인휴대정보단말기
KR101562582B1 (ko) 2008-12-30 2015-10-22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적용한 이동 단말기 및 그의 화면확장방법
KR101802522B1 (ko) * 2011-02-10 2017-11-29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터치스크린을 가지는 장치 및 복수의 터치스크린을 가지는 장치의 화면변경방법
US8711566B2 (en) * 2011-09-02 2014-04-29 Microsoft Corporation Expandable mobile device
CN103873670B (zh) * 2012-12-17 2017-04-19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控制柔性屏形状的方法及电子设备
KR102058369B1 (ko) * 2013-01-29 2019-1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용 커버
KR101727971B1 (ko) * 2014-02-21 2017-04-18 삼성전자주식회사 접철식 기기
KR102305113B1 (ko) * 2014-04-07 2021-09-28 삼성전자주식회사 안테나를 구비한 전자 장치를 위한 보조 장치
US9541962B2 (en) 2014-10-16 2017-01-1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obile computing device having a flexible hinge structure
US10254863B2 (en) * 2014-12-19 2019-04-09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CN104539764B (zh) * 2014-12-23 2018-02-16 上海摩软通讯技术有限公司 可根据使用状态自动形变的移动终端及其实现形变的方法
JP7054386B2 (ja) * 2015-10-21 2022-04-13 アロヴィア,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改良された自発的ポップアップディスプレイ機器
US10516201B2 (en) * 2016-04-11 2019-12-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polarization-agile phased-array antenna
US10418687B2 (en) * 2016-07-22 2019-09-17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millimeter wave antennas on printed circuits
CN107404552A (zh) 2017-09-05 2017-11-28 惠州市米琦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可以找钥匙的手机
US11158929B2 (en) * 2017-09-29 2021-10-26 Futurewei Technologies, Inc. Antenna placement arrangements on device with extendable display
CN107949194B (zh) * 2017-11-20 2020-05-22 珠海市魅族科技有限公司 柔性电子设备
CN108347759B (zh) * 2018-02-07 2020-06-30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柔性屏的防干扰方法及移动终端
CN108712536A (zh) * 2018-07-10 2018-10-26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
CN208637579U (zh) 2018-08-29 2019-03-2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
CN109167151B (zh) * 2018-08-29 2021-02-09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
CN109167153B (zh) * 2018-08-29 2021-03-0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天线辐射体控制方法及存储介质
CN208637578U (zh) * 2018-08-29 2019-03-2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天线组件及电子设备
CN109167154B (zh) * 2018-08-29 2020-06-16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
CN109725680B (zh) * 2018-12-25 2021-12-10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及天线控制方法

Patent Citation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35217A (ko) * 2005-06-24 2006-1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외장형 터치스크린 및 이를 사용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20070043313A (ko) * 2005-10-21 2007-04-2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보조 디스플레이장치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KR20090127540A (ko) * 2008-06-09 2009-1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10049546A (ko) * 2009-11-05 2011-05-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20110082359A (ko) * 2010-01-11 2011-07-19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20001943A (ko) * 2010-06-30 2012-0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20120096723A (ko) * 2011-02-23 2012-08-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20130085528A (ko) * 2011-12-15 2013-07-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의 잠금 해제 장치 및 그 방법
KR20130127122A (ko) * 2012-05-14 2013-1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40105886A (ko) * 2013-02-25 2014-09-03 삼성전자주식회사 유연성 기능영역을 포함한 디스플레이 소자 또는 디스플레이 조립체용 안테나 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KR20170050270A (ko) * 2015-10-30 2017-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롤러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062327A (ko) * 2015-11-27 2017-06-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롤러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83404A (ko) * 2016-01-08 2017-07-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20170089664A (ko) * 2016-01-27 2017-08-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롤러블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021017A1 (en) 2021-01-21
EP3767427A1 (en) 2021-01-20
WO2021007966A1 (zh) 2021-01-21
JP2021533582A (ja) 2021-12-02
RU2724124C1 (ru) 2020-06-22
US11038259B2 (en) 2021-06-15
KR102246605B1 (ko) 2021-04-30
CN112243052B (zh) 2021-10-22
CN112243052A (zh) 2021-01-19
JP7177087B2 (ja) 2022-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6605B1 (ko) 모바일 단말기, 안테나 제어 방법, 프로그램 및 기록 매체
KR102229913B1 (ko) 모바일 단말기, 안테나 제어 방법 및 기록 매체
CN107453040B (zh) 具有多缝隙天线的电子设备
JP7244112B2 (ja) 電子機器
CN110324480B (zh) 多屏幕折叠终端的天线切换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KR102289369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이미지를 표시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JP2021524165A (ja) 画面展開・収納ユニット及び端末
KR20210116380A (ko) 안테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20032875A (ko)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KR20220079189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220017187A (ko) 멀티 윈도우 모드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220066800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프리뷰 제어 방법
KR20210067675A (ko) 전자 장치의 상태에 기반하여 복수의 안테나를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KR20230011762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20230045834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figuring screen of display in electronic device
KR20230130505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형태를 변경하기 위한 구동 부를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KR20240003684A (ko) 센서에 대응하는 픽셀들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230137209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변형하는 모터를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KR20220078782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KR20230120024A (ko) 디스플레이의 화면의 번인 방지를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230077445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230041348A (ko) 온도를 관리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KR20240039561A (ko) 컨트롤러를 표시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N117730304A (zh) 包括柔性显示器的电子装置及其控制方法
KR20240030853A (ko) 디스플레이의 변형에 기반하여 하나 이상의 카메라들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