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9755A - 기름밤나무 유실수를 포함하는 기능성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기름밤나무 유실수를 포함하는 기능성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9755A
KR20210009755A KR1020190086716A KR20190086716A KR20210009755A KR 20210009755 A KR20210009755 A KR 20210009755A KR 1020190086716 A KR1020190086716 A KR 1020190086716A KR 20190086716 A KR20190086716 A KR 20190086716A KR 20210009755 A KR20210009755 A KR 202100097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oil
extract
minutes
seed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67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대식
고용태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유한회사 우성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유한회사 우성바이오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유한회사 우성바이오
Priority to KR10201900867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09755A/ko
Publication of KR202100097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975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05Corresponding aspects not provided for by any of codes A61K2800/81 - A61K2800/95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능성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문관과 유실수(일명 기름밤나무 또는 문관나무)에서 얻은 추출물인 오일의 유효성분을 원료구성으로 제조한 제품들에 항염증 효과, 보습효과 및 자극완화 및 피부보습 등에 시너지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색인어] 문관과

Description

기름밤나무 유실수를 포함하는 기능성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Functional composition including oil chestnut missing wate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기능성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문관과 유실수(일명 기름밤나무 또는 문관나무)에서 얻은 추출물인 오일의 유효성분을 원료구성으로 제조한 제품들에 항염증 효과, 보습효과 및 자극완화 및 피부보습 등에 시너지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우리 인체의 피부는 신체를 외부의 각종 자극으로부터 보호하는 중요한 기관으로서, 피부표면은 피지와 땀샘에서 분비되는 피지막이 각질층을 덮고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항상 부족한 수분을 보충해주고 윤기있는 건강한 상태로 유지된다.
피부는 다른 기관에 비해서 소멸과 생성이 주기적으로 활발히 일어나는 기관으로 물리적 보호와 체내 수분 손실을 막아주는 기능을 한다. 더불어 각질층의 수분함량이 20%일 때 이상적이지만 각질이 탈락되면서 외부에 노출되기 용이하게 되면서 자극에 대한 염증 및 피부질환이 유발된다.
한편 피부는 신체의 최외곽에 존재하여 인체를 보호하는 기능을 가진 기관으로서 우리몸에서 수분과 전해질 손실을 막고 외부의 이물질의 침투로부터 보호하는 것이다. 피부는 표피층, 진피층 및 피하 지방층으로 구분된다. 표피층은 각질세포로 구성되는데 표피층의 최외곽의 각질층은 물질의 투과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본 개발의 원료소재인 문관과는 무환자 나무과에 속하며 기름모과나무 또는 기름밤나무로 불리며 영하 40℃인 추운지방과 건조지역에 자생하는 중국 원산지로해발 500-1500km에서 주로 재배되고 있다. 개화기는 4-5월이며 열매기는 7-8월로 양성화이다. 열매의 직경은 4-6cm이고 종자는 타원형으로 종피는 검고 두껍다. 종피를 제거한 종자의 직경은 약 1cm정도이며, 종자에는 기름이 약 60% 정도 함유되어 있고 종자유에는 지방산, 스테롤, 토코페롤 등이 함유되어 있다.
상기의 문관과 나무에는 종자유의 효능으로서 심장질환, 고혈압, 동맥경화 등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검정시험을 통한 항산화효과, 저온압축 추출법, 극초단파 추출법, 초음파 추출법 등의 추출방법에 따른 수율 및 성분분석 등에 관한 연구가 보고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문관과 나무의 활용은 주로 종자에서 얻은 기름으로 만든 기초제나 약용비누 등이 활용되고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국제특허인 제10-2007-7007902에서 잔토세라스 소르비폴리아로 부터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과 추출공정을 제공하며, 상기추출물은 알칼로이드, 쿠마린, 당류, 단백질, 다당류, 글리코시드, 사포닌, 플라로이드 및 그 밖의 물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암을 치료하고, 뇌노화를 예방하고 기억력을 개선시켜 뇌기능을 개선시키고, 야뇨증, 빈뇨, 뇨실금, 치매, 지능박약 및 알츠하이머 병, 자폐증, 뇌 외상, 파킨슨 병 및 뇌 기능장애에의해 유발되는 그 밖의 질병을 피료하고, 관절염, 류마티스, 순환불량, 동맥경화증, 레이노증후군, 협심증, 심장장애, 관상심장 질병, 두통, 현기증, 신장장애를 치료하고, 발기부전 및 조루증을 치료하기 위하여 다방면으로 활용될 수 있다.
상기의 특징을 가진 추출물로서 제조되는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종래에는 피부보습제 등으로 피부지질성분을 혼합한 제형을 피부장벽 회복 및 강화에 이용한 경우 및 각질세포 분화를 촉진하여 피부 보습제를 개발하는 방법이 많이 이루어져 있지만, 기존 추출물 등과는 성분이 다른 본 개발 추출물로서의 제품제조 특성이달라 제품의 구성이 다르다.
A61K36/00 출원번호;10-2007-7007902
본 발명은 상기 기술한바와 같이 기존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문관과 종자유추출물 오일의 유효성분으로 항염증, 피부보습, 피부자극 완화 등의 효능 중에서 선택하여 어느 하나이상의 효과를 지닌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문관과 유실수의 종자유의 추출물을 함유하도록 하여 다양하게 제조되는 제품의 효능에 항염증 효능, 피부보습 효과, 피부자극 완화 효과 등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효과를 지니는 기능성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문관과유실수 종자유 오일을 화장료 조성물 전체중량에 대하여 0.01-99.9 중량%를 함유하는 기능성화장료 조성물이 제공된다.
상기 문관과유실수 추출오일은 유실수로부터 종자를 분리하여 분리된 종자를 세척하는 단계; 세척된 종자를 탈피 및 건조시켜 종자에 함유된 수분을5-15 중량% 범위내로 조절하는 단계; 건조된 종자를 분쇄기로 분쇄하여 분말화하는 단계; 분쇄된 종자 분말에 증기를 가하여 종자분말에 가습 및 가온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 및 가온 및 가습된 종자분말을 가업하여 착유하고 여과필터로 여과하여 순수한 오일을 획득하는 단계를 통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방법대로 제조되는 문관과 유실수 종지유를 함유한기능성 화장료 추출물은 TPA로 각종 동물실험에서 염증을 유발하는 염증 억제효과가 탁월하였으며, SDS의 피부임상실험에서도 피부의 자극완화효과가 뛰어나서 피부보습 및 피부자극 완화 기능성을 갖는 외용제 및 기능성 화장품으로 제조 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첨부된 바람직한 설명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다양한 약제학적 및 치료의학적 용도로서도 활용되는 바, 당, 테라핀, 사포게닌 및 안젤로일 그룹을 포함하는 화합물을 제공함으로서, 추출물은 알칼로이드, 쿠마린, 단백질, 다당류, 사포닌 등 외 그 밖의 물질을 포함한다. 효능으로서 뇌노화 방지, 기억력 개선, 관절염, 류마티스, 동맥경화증, 현기증 등의 치료 조성물에 활용될 수 있다.
문관과 종자유추출물은 조성되는 화장료 전체중량 대비 0.01-99.99 중량%내에서 다양하게 활용되며 추출물은 다음과 같은 단계로 이루어진다.
세척한 문관과 종자를 45-65℃ 건조장비에서 1-4시간 건조한 후 착유기를 활용하여 종자 유를 추출하여 이 추출물을 7,000-17,000rpm으로 7-17분여동안 원심분리하는 단계;
상기의 원심분리하여 추출한 종자 유를 55-65℃에서 10-15분동안 가열한 다음 55-65℃의 온수1.5%를 첨가하고130rpm으로 30분 동안 교반한 다음 침전물을 제거하고 80% 농도의 인산용액 0.25%를 첨가하고 130rpm으로 30분 동안 교반시킨 다음 침전물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의 침전물이 제거된 종자를 4500rpm에서 10-15분간 원심분리한 후 25%의 NaOH 용액 5%를 가하고 130rpm 30분간 27℃에서 교반한 다음 4500rpm으로 10-15분간 원심분리하는 단계
상기의 과정을 거쳐 추출되는 문관과 유실수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로서 종래의 화장료 보성물에 사용되는 부재료 성분을 사용하여 유연화장수, 스킨토너, 수렴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로션, 맛사지 크림, 피부외용 연고, 첩포제, 에멀젼 및 미용액 중에서 선택된 어느 나에 제형으로 제형화 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이러한 부재료 성분은 통상의 기술자가 적의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내용을 실시 예및 실험 예, 적용 예를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하며 문관나무의 종자유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다양한 조건을 참고하여 실시한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상기에서 언급한 조건에 문관과 유실수종자유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 예1]
문관나무 종자는 2017년에 국내에서 생산된 종자로 기존 원래 종자는 2010년 중국 내몽고 자치구에서 구입한 종자를 국내에서 재배한 종자 유실수이다.
상기의 종자 유실수를 세척한 다음 문관과 종자 유를 45-65℃ 건조용기에서 1-4시간 건조한 후, 착유기를 사용하여 종자 유를 얻고 이를 7,000-17,000rpm으로 7-17분 동안 원심분리한 후 다음여과지로 여과하여 문관과 유실수 종자 유를 추출하였다.
[실험 예 1]문관과 유실수 종자 유 성분분석
추출물 중 토코페롤은 햇볕에 타는 피부상처를 막아주고 피부 습진과 염증을 개선시키는 효능으로 잘 알려져 있는 성분으로, 상기 실시 예1에서 제조한 문관과유실수 종자 유에 함유된 a-토코페롤, b-토코페롤, v-토코페롤, o-토코페롤을 분석하였다.
실험방법으로는 상기 실시예 1에서 추출된 문관과유실수 종자 유에 함유된 a.b.v.o-토코페롤을 분석하기 위하여 준비되는 표준품을 헥산에 100ug/mL, 250ug/mL, 500ug/mL, 1,000ug/mL의 농도로 희석하여 사용하고, 희석된 각각의 시료 10g에 대하여 산화방지를 위해 5% pyrogallol 5mL와 50% KOH 1.30mL를 첨가하여 100rpm으로 24시간동안 균질화하였다.
시료의 산화방지를 위한질소 충전 후 밀봉하여 80℃ 항온기에서 40분간 방응하고 시료를 냉각시킨 후 3% NaCI 용액 7mL를 넣은 후 충분히 균질화하고 난후각각의 시료에 Hexane ; ethylacetate=90:10의 부피로 혼합된 혼합용매를 3mL 넣고 3번 반복 후 추출하여 질소가스를 이용하여 용매를 완전히 제거하고 hexme 7mL로 정용한 후 syringe filter 13mm, 0.50up로 여과하여 HPLC로 실험 분석하였다.
실험결과로는 상기의 문관과 유실수 종자유의 정제유에 함유된 토코페롤은a.v-토코페롤은 함량수준으로 각각25.60+-2.10과 90.70+-6.50mg/kg로 a-토코페롤의 함량은 아르간 오일보다 2배 이상 높고, 포도씨오일이나 올리브오일에 대하여는 각각30%. 38% 수준이었으며, v-토코페롤은 아르간오일과 비슷한 수준이었다.
상기의 실험결과들에서 나타난 수치로 보면 토코페롤은 햇볕에 타는 피부상처를 막아주고 피부습진과 염증을 개선시키는 효능으로 잘 알려져 있으며, 문관과 유실수종자유에 함유되어있는 토코페롤은 피부보습 및 피부자극완화 효과에 크게 기여 할 것으로 본다.
Figure pat00001
피부자극에 관하여 피부질환 및 기타질환을 나타내지 않은 건강한 성인남녀 10여명을 대상으로 인체에 대한피부자극시험을 평가한 결과, 패치를 펍포하지 않은 부위와비교하여 문관과추출물을 처리한 부위에는 자극이 유발되지 않았으며, 피부에 적용하기에 안전한 소재임을 확인하였다.
문관과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용액의 제조과정에서는 90%에탄올 65g, 폴리옥시 에틸렌 17%, 키툴로오즈 4g, 히얄론산 나트륨 3g, 비타민 E 3g, 여기에 추출물종자 유 13g 및 색소 1g을 60℃에서 혼합하여 미용액 제형의 화장료를 제조하였다.
상기의 몇 가지 시험 예에서 시험하였듯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로서 실시 예 및 시험 예 등을 참조 응용하여 해당기술의 숙련가라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등 활용제품을 제조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

  1. 추출물의 조성과정에 있어서 문관과 유실수종자유를 함유하고 추출물을 얻기 위하여 문관과 종자 유를 45-65℃ 건조오븐에서 1-4시간 건조한 후 착유기를 활용하여 종자 유를 추출함과 이 추출물을 7,000-17,000rpm으로 7-17분간 원심분리하고 추출물을 55-65℃에서 10-15분간 가열한 다음 온수 1.5%를 첨가하며 130rpm으로 30분간 교반하여 침전물 제거와 제거된 추출물을 4500rpm에서 10-15분간 원심분리한 후 25%의 NaOh용액 5%를 가하고 130rpm으로 30분간 27℃에서 교반하여 4500rpm으로 10-15분간 원심분리하는 단계의 과정
KR1020190086716A 2019-07-18 2019-07-18 기름밤나무 유실수를 포함하는 기능성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202100097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6716A KR20210009755A (ko) 2019-07-18 2019-07-18 기름밤나무 유실수를 포함하는 기능성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6716A KR20210009755A (ko) 2019-07-18 2019-07-18 기름밤나무 유실수를 포함하는 기능성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9755A true KR20210009755A (ko) 2021-01-27

Family

ID=74238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6716A KR20210009755A (ko) 2019-07-18 2019-07-18 기름밤나무 유실수를 포함하는 기능성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0975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X2007005886A (es) Composiciones farmaceuticas y terapeuticas derivadas de la planta garcinia mangostana l.
KR20130023326A (ko) 모자반, 우뭇가사리, 톳으로 구성된 해조류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알러지, 진정 및 보습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KR101387308B1 (ko) 황칠나무 발효산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1425031B1 (ko) 유자씨 및 망고씨 혼합오일을 함유하는 피부 자극완화 및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JP2001163794A (ja) ヒアルロン酸産生促進剤および皮膚外用剤
CN111481475A (zh) 一种改善女性荷尔蒙的可食性唇膏及其制备方法
KR101827771B1 (ko) 닥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62854B1 (ko) 복분자 뿌리의 활성분획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00581B1 (ko) 식물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140145278A (ko) 피부 수렴 및 탄력 효과를 갖는 승마 추출물, 산수유 추출물 및 현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01158728A (ja) ヒアルロン酸産生促進剤および皮膚外用剤
KR102049208B1 (ko) 여드름 완화 및 피지 분비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KR20020095616A (ko) 약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저자극성 화장료 조성물
KR101039532B1 (ko) 연잎, 지부자, 지골피 추출물로 구성되는 천연항균복합체를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754748B1 (ko) 느릅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5α-리덕테이즈활성 억제용 조성물 및 피지 분비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KR101350292B1 (ko) 천삼, 녹각영지, 백호은침으로 구성된 발효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638053B1 (ko) 소루쟁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자극 완화용화장료 조성물
KR20140070769A (ko) 문관나무 종자유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52510B1 (ko) 닥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의 지질 생성 억제 및 피지 분비 감소용 화장료 조성물
CN109689026B (zh) 使用包含生物活性莲提取物的组合物增加脂肪分解的方法
KR102627566B1 (ko) 병풀 추출물 및 울금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10222273A (ja) 養毛剤組成物
KR20210009755A (ko) 기름밤나무 유실수를 포함하는 기능성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20160003918A (ko)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증진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69684B1 (ko) 천연 미세침 분말과 천연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개선 및 모공축소 기능의 화장료 조성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