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8850A - 가구 또는 가전 제품 선반의 슬라이딩-피봇팅 메커니즘 및 가구 또는 가전 제품 - Google Patents

가구 또는 가전 제품 선반의 슬라이딩-피봇팅 메커니즘 및 가구 또는 가전 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8850A
KR20210008850A KR1020207035277A KR20207035277A KR20210008850A KR 20210008850 A KR20210008850 A KR 20210008850A KR 1020207035277 A KR1020207035277 A KR 1020207035277A KR 20207035277 A KR20207035277 A KR 20207035277A KR 20210008850 A KR20210008850 A KR 202100088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ing
pivoting mechanism
coupling unit
pivot
shel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52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벤야민 벡스터몰러
다비드 크루거
아놀드 굴
Original Assignee
파울 헤티히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울 헤티히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filed Critical 파울 헤티히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Publication of KR202100088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88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6/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having one or more surfaces adapted to be brought into position for use by extending or pivoting
    • A47B46/005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having one or more surfaces adapted to be brought into position for use by extending or pivoting by displacement in a vertical plane; by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07Adjustably or detachably mounted 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37Rollers for slides or guid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50Racks ; Baskets
    • A47L15/506Arrangements for lifting rack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50Racks ; Baskets
    • A47L15/507Arrangements for extracting racks, e.g. roller suppo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6Shelves, racks or trays inside ovens; Support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4Slidable shelves
    • F25D25/025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90Constructional details of drawers
    • A47B2088/901Drawers having a lifting mechanis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10/00General construction of drawers, guides and guide devices
    • A47B2210/0002Guide construction for drawers
    • A47B2210/0029Guide bearing means
    • A47B2210/0037Roll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10/00General construction of drawers, guides and guide devices
    • A47B2210/0002Guide construction for drawers
    • A47B2210/0051Guide position
    • A47B2210/0056Guide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draw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10/00General construction of drawers, guides and guide devices
    • A47B2210/04Metal wire 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10/00General construction of drawers, guides and guide devices
    • A47B2210/17Drawers used in connection with household applia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Drawers Of Furniture (AREA)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구 또는 가전 제품(1)의 선반(4)을 가구 또는 가전 제품(1)의 본체(2)에서 가구 또는 가전 제품의 본체(2)에서 선반(9)을 꺼내어 들어 올리기 위한 가구 또는 가전 제품 선반(9)의 슬라이딩-피봇팅 메커니즘으로서, 상기 측벽(21)의 상기 평면에 평행한 제1 단부를 갖고 서로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열되고 상기 본체(2)의 상기 측벽(21)들 중 적어도 하나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피봇 메커니즘(4)의 적어도 두 개의 피봇 암(41, 42)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피봇 암(41, 42)의 각각의 제2 단부에서, 슬라이딩 메커니즘(3)의 가이드 레일(31)은 상기 가이드 레일(31)이 상기 본체(2) 내부의 하부 위치로부터 상기 본체(2) 외부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승된 상부 위치로 피봇 가능하도록, 상기 측벽(21)의 상기 평면에 평행하게 피봇 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가이드 레일(31) 내에서 선형으로 변위 가능하고 상기 선반(9)이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러닝 레일(32)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피봇 메커니즘(4)의 상승 및 하강을 보조하고, 상기 측벽(21)의 상기 평면에 평행하게 상기 슬라이드 레일(32) 상에 피봇가능하게 고정되는 레버 유닛(5)을 포함하고, 제1 커플링 유닛(7)의 적어도 하나의 커플링 요소는, 상기 커플링 요소가, 상기 슬라이드 레일(32)을 미리 정해진 피봇 위치로 변위 시킴으로써 상기 피봇 암(41, 42) 중 적어도 하나 상에서 상기 제1 커플링 유닛(7)의 상기 커플링 요소에 대응하는 대응 요소(correspondence element)와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레버 유닛(5) 상에 배열된다. 본 발명은 또한 슬라이딩-피봇팅 메커니즘을 갖는 가구 및 슬라이딩-피봇팅 메커니즘을 갖는 가전제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가구 또는 가전 제품 선반의 슬라이딩-피봇팅 메커니즘 및 가구 또는 가전 제품
본 발명은 청구항 제1항의 전제부에 따른 가구 또는 가전 제품 선반의 슬라이딩-피봇팅 메커니즘(sliding-pivoting mechanisms) 및 가구 또는 가전 제품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슬라이딩-피봇팅 메커니즘은, 예를 들어, 식기 세척기에서, 바닥 선반, 특히 식기 랙(dish rack)을 상승 및 하강시키는데 사용되며, 사용자가 직립 위치에서 선반을 로딩 및 언로딩할 수 있도록 하여 등 근육과 척추를 완화시킨다.
일반적인 슬라이딩-피봇팅 메커니즘은, 예를 들어 DE 10 2014 114 285 A1에 공지되어 있다. 여기에 개시되어 있는 슬라이딩-피봇팅 메커니즘(sliding-pivoting mechanisms)은 본질적으로 풀아웃 가이드(pullout guide) 및 인장 스프링의 도움으로 선반의 상승 및 하강을 보조하는 두 개의 피봇 레버(pivot lever)를 갖는 피봇 메커니즘(pivot mechanism)을 갖는다.
사용자에 의한 슬라이딩-피봇팅 메커니즘의 작동(actuation)은 이 경우 피봇 메커니즘의 상승 및 하강을 보조하는 레버 유닛에 의해 수행된다. 이 레버 유닛을 이용하여 선반의 더 간단한 힘-절약(force-saving) 상승 및 하강이 이미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인가되는 작동력(actuating forces)이 더 감소되는 방식으로 슬라이딩-피봇팅 메커니즘을 개량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 제1항의 특징을 갖는 가구 또는 가전제품 선반의 슬라이딩-피봇팅 메커니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기술된 목적은 청구항 제18항의 특징을 갖는 가구 및 청구항 제19항의 특징을 갖는 가전제품에 의해 또한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피봇팅 메커니즘은 측벽의 평면에 평행한 제1 단부를 갖고 서로에 대해 평행하게 이격되어 배열된 본체의 측벽의 적어도 하나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적어도 두 개의 피봇 암(pivot arm)을 갖는다.
피봇 암의 각각의 제2 단부 상에서, 슬라이딩 메커니즘의 가이드 레일(guide rail)은 상기 가이드 레일이 상기 본체 내부의 하부 위치로부터 상기 본체 외부의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승된 상부 위치로 피봇 가능하도록 상기 측벽들의 평면에 평행하게 피봇 가능하게 고정된다.
슬라이드 레일(slide rail)은 상기 가이드 레일과 관련하여 선형적으로 변위 가능하다. 선반은 상기 슬라이드 레일 상에 고정된다.
슬라이딩-피봇팅 메커니즘은 상기 피봇 메커니즘의 상승 및 하강을 보조하고, 상기 측벽들의 평면에 평행하게 상기 슬라이드 레일 상에 피봇 가능하게 고정되는 레버 유닛(lever unit)을 더 구비한다.
제1 커플링 유닛(coupling unit)의 적어도 하나의 커플링 요소(coupling element)는, 상기 커플링 요소가, 상기 슬라이드 레일을 미리 정해진 피봇 위치로 슬라이딩(sliding)시킴으로써 상기 피봇 암들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1 커플링 유닛의 상기 커플링 요소에 대응하는 대응 요소(correspondence element)와 결합될 수 있는 방식으로 레버 유닛 상에 배치된다.
슬라이딩-피봇팅 메커니즘이 통합된 이러한 레버 유닛을 사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피봇 레버와 레버 유닛의 간단한 결합은 슬라이드 레일 및 대응하는 레버 유닛을 피봇팅 또는 상승 위치로 단순히 슬라이딩시킴으로써 가능하게 된다.
선반을 상승시키기 위해 요구되는 작동력(actuating forces)은 또한 이러한 접근 방식에 의해 더욱 감소되는데, 그 이유는 제1 커플링 유닛이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위한 개별적인 작동 주행(actuating travel)에 대한 리프트 주행의 비율의 조정(adaptation)을 허용하기 때문이다.
유리한 실시 예 변형들은 종속항의 대상(subject matter)이다.
하나의 유리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커플링 유닛의 적어도 하나의 커플링 요소는, 상기 커플링 요소가, 상기 슬라이드 레일을 미리 정해진 피봇 위치로 변위 시킴으로써 상기 피봇암들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2 커플링 유닛의 상기 커피링 요소에 대응하는 대응 요소와 결합될 수 있는 방식으로 상기 슬라이드 레일 또는 상기 선반 상에 배치된다.
이는 상승 및 하강 프로세스의 보다 정확한 시퀀스 제어(sequence control)를 가능하게 한다.
또 다른 유리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커플링 유닛의 커플링 요소는 슬라이딩 또는 롤링 요소, 바람직하게는 슬라이딩 핀(sliding pin) 또는 롤러(roller)로서 설계되고, 이는, 피봇 암들 중 적어도 하나에 배열, 특히, 형성되고, 레버 유닛의 피봇 운동의 시퀀스 제어를 위해, 슬롯 가이드로서 설계된 대응 요소에 가이드될 수 있다.
슬라이딩 또는 롤링 요소로서 커플링 유닛 및 슬롯 가이드(slotted guide)의 구성요소 설계는 사용되어야 하는 복잡한 결합 없이 각각의 구성 요소의 간단한 결합을 가능하게 한다.
결합(coupling) 및 또한 분리(decoupling)는 추가적인 작동 요소(actuating element) 또는 특별한 언록킹(unlocking) 운동 없이 수행될 수 있고 따라서 결합 또는 분리의 유체 시퀀스를 가능하게 한다.
제2 커플링 유닛의 커플링 요소는 슬라이딩 또는 롤링 요소로서, 바람직하게는 슬라이딩 핀 또는 롤러로서 변형되며, 이는, 상기 피봇 암들의 적어도 하나 상에 배열, 특히, 형성되고, 상기 피봇 메커니즘의 피봇 운동의 시퀀스 제어를 위해, 슬롯 가이드로서 설계되는 대응 요소에 가이드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슬롯 가이드는 또한 피봇 암들 중 하나에 배열된 별도 요소(separate element)에 형성될 수 있다.
일 특정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커플링 유닛 및 제2 커플링 유닛의 슬롯 가이드는, 피봇 암들 중 적어도 하나 상에 배열, 특히, 형성된다.
이것은 피봇 암들 중 하나가 비교적 간단하게 설계될 수 있게 하고 상기 피봇 암들 중 다른 하나만이 슬롯 가이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게 한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커플링 유닛의 슬롯 가이드는, 제1 피봇 암 상에 배열, 특히, 형성되고, 제2 커플링 유닛의 슬롯 가이드는, 제2 피봇 암 상에 배열, 특히, 형성된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커플링 유닛의 커플링 요소는 슬롯 가이드로서 설계되며, 여기서 피봇 암들 중 적어도 하나 상에 배치되고 롤러로서 설계된 대응 요소(correspondence element)는, 레버 유닛의 피봇 운동의 시퀀스 제어를 위해 가이드될 수 있다.
레버 유닛 자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라, 제1 커플링 유닛의 커플링 요소 또는 대응 요소가 고정되는 측벽의 평면에 평행하게 슬라이드 레일 상의 제1 단부를 이용하여 피봇 가능하게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레버 암을 구비한다.
적어도 하나의 피봇 암, 풀아웃 가이드, 제1 커플링 유닛, 및/또는 레버 유닛은 여기서 상기 레버 유닛의 제어된 시퀀스가 보장되도록 설계된다. 특히, 선반을 너무 빨리 상승시키고 상기 레버 유닛을 상기 선반의 단부 위치를 넘어 너무 멀리 이동시키는 것이 방지된다.
피봇 암들 중 적어도 하나, 풀 아웃 가이드, 제1 커플링 유닛, 및/또는 레버 유닛은 유리하게는 대응하는 스톱(stop) 및/또는 가이드 영역을 갖는다.
특히, 대응하는 가이드 영역들은 레버 유닛 상에 그리고 피봇 암들 중 적어도 하나 상에 제공되어, 선반이 너무 빨리 피봇되는 것을 방지한다. 대안적으로, 가이드 영역 대신에 대응하는 요소(corresponding element)가 가이드 영역과 상호작용할 수도 있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레버 암의 레버 암 장착부에 가까운 상기 레버 암의 단부에 조인트 체인(joint chain)이 피봇 가능하게 체결되고, 상기 레버 암으로부터 이격된 단부 상에서, 롤러로 설계된 제1 커플링 유닛의 대응 요소가 회전가능하게 체결된다.
작동 레버와 슬롯 가이드 사이의 이러한 결합 링크(connecting link)의 도움으로, 작동 레버와 슬롯 가이드의 위치 및 코스(course)를 서로 분리(decoupling) 할 수 있는 가능성이 제공된다. 슬롯 가이드의 형태 설계에서, 먼저 작동 레버의 코스 및 위치가 정의될 수 있고, 후속하여 슬롯 가이드의 적절한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슬롯 가이드 및 작동 레버의 위치를 정의한 후에, 조인트 체인으로 인해, 토글 레버(toggle lever) 또는 드래그 레버(drag lever) 원리에 따라 작동하는 조인트 체인을 통해 작동 레버를 슬롯 가이드와 결합하기 위한 슬라이딩-피봇팅 메커니즘의 운동(kinematics)에는 충분한 자유도가 여전히 남아있다.
특히, 레버 암 및 커플링 유닛의 대응하는 요소 사이의 조인트 체인의 통합으로 인해, 작동 레버의 운동은, 레버 암의 일 단부 상에 체결된 핸들이 하부 선반이 상승된 상태에 위치되도록 설계될 수 있어서 하부 선반이 상승될 때 상부 선반의 위에 배치된 평탄한 선반(flatware shelf)이 여전히 당겨질 수 있다.
조인트 체인은 바람직하게는 이 목적을 위해 피봇 조인트(pivot joint)와 같이 서로 결합된 적어도 두 개의 체인 링크(chain links)를 갖는다.
본 실시 예의 변형 예에 따르면, 제2 커플링 유닛의 커플링 요소는 피봇 암들 중 적어도 하나 상에 회전 가능하게 배열된 슬라이딩 또는 롤링 요소로서 설계되고, 이는, 레버 암의 레버 암 장착부 상에 배열, 특히, 형성되고, 피봇 메커니즘의 피봇 운동의 시퀀스 제어를 위해, 슬롯 가이드로서 설계된다.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및 제2 커플링 유닛의 슬롯 가이드의 적어도 일 부분은 입구 영역(inlet region)을 갖도록 설계된다.
이것은 슬롯 가이드 내에서 롤러의 간단한 결합을 가능하게 한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커플링 유닛의 슬롯 가이드의 적어도 일 부분은 부분 원(partial circle) 형상이며, 이는 선반의 상승 및 하강 동안 정확한 시퀀스 제어를 보장한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커플링 유닛의 슬롯 가이드의 일부는 데드 센터 부분(dead center portion)으로서 설계된다.
따라서 상승된 상부 단부 위치에서 선반 고정은 레버 유닛을 데드 센터 너머로 피봇시킴으로써, 특히 이 위치에서 슬라이딩-피봇팅 메커니즘을 로킹(locking)할 필요 없이 간단한 방식으로 가능하게 된다. 이는 추가적인 로킹 요소(locking element)없이, 선반의 고정된 상부 단부 위치가 달성되고, 추가적인 해제 요소 없이 그것을 다시 남겨둘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커플링 유닛의 슬롯 가이드의 일부는 최적 작동 힘 곡선(optimal actuating force curve)에 적합한 경사를 갖는다. 이는 특히, 사용자에 의한 거의 균일한 힘의 인가로 선반을 상승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구 및 본 발명에 따른 가전 제품은 전술한 바와 같이 슬라이딩-피봇팅 메커니즘에 의해 구별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에서:
도 1은 사용가능한 공간 내로 후퇴된 하부 선반의 위치에서 식기세척기로서 설계된 가전 제품에 설치된 슬라이딩-피봇팅 메커니즘의 제1 변형 실시 예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위치에 고정된 선반을 갖는 슬라이딩-피봇팅 메커니즘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위치에서 선반이 생략된 도 1의 좌측 슬라이딩-피봇팅 메커니즘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4 내지 도 6은 슬라이딩-피봇팅 메커니즘의 상승 전에 본체 외부로 하부 선반의 변위를 완료한 후의 가전 제품 및 슬라이딩-피봇팅 메커니즘의 도 1 내지 도 3에 대응하는 도면을 도시한다.
도 7 및 도 8은 약간 변형된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딩-피봇팅 메커니즘의 도 5 및 도 6에 대응하는 도면을 도시한다.
도 9 및 도 10은 하부 선반의 약간 상승된 위치에서 도 4 및 도 6에 대응하는 도면을 도시한다.
도 11 및 도 12는 하부 선반의 완전히 상승된 위치에서 도 9 및 도 10에 대응하는 도면을 도시한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실시 예의 변형에 따른 슬라이딩-피봇팅 메커니즘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4 내지 도 16은 두 개의 슬롯 가이드가 피봇 암들 중 하나 상에 배열되는 대안적인 실시 예의 변형의 도 1 내지 도 3에 대응하는 도면을 도시한다.
도 17 및 도 18은 슬라이딩-피봇팅 메커니즘의 상승 전에 본체 외부로 하부 선반의 완전한 변위 후의 도 14 및 도 16에 대응하는 도면을 도시한다.
도 19 및 도 20은 하부 선반의 약간 상승된 위치에서 도 17 및 도 18에 대응하는 도면을 도시한다.
도 21 및 도 22는 하부 선반의 완전히 상승된 위치에서의 슬라이딩-피봇팅 메커니즘의 도 19 및 도 20에 대응하는 도면을 도시한다.
도 23은 도 14 내지 도 22에 도시된 슬라이딩-피봇팅 메커니즘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4 내지 도 26은 완전히 후퇴된 하부 선반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피봇팅 메커니즘의 추가 실시 예 변형의 도 1 내지 도 3에 대응하는 도면을 도시한다.
도 27 및 도 28은 슬라이딩-피봇팅 메커니즘의 상승 전에 본체 외부로 하부 선반의 완전한 변위 후의 도 24 및 도 26에 대응하는 도면을 도시한다.
도 29 및 도 30은 하부 선반의 약간 상승된 위치에서 도 27 및 도 28에 대응하는 사시도이다.
도 31 및 도 32는 하부 서반의 완전히 상승된 위치에 있는 가전 제품 또는 슬라이딩-피봇팅 메커니즘의 도 29 및 도 30에 대응하는 도면을 도시한다.
도 33은 도 24 내지 도 32에 따른 슬라이딩-피봇팅 메커니즘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4 내지 도 36은 완전히 후퇴된 하부 선반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피봇팅 메커니즘의 다른 실시 예 변형의 도 1 내지 도 3에 대응하는 도면을 도시한다.
도 37 및 도 38은 슬라이딩-피봇팅 기구의 상승 전에 본체 외부로 하부 선반의 완전한 변위 후의 도 34 및 도 36에 대응하는 도면을 도시한다.
도 39 및 도 40은 하부 선반의 약간 상승된 위치에서 도 37 및 도 38에 대응하는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1 및 도 42는 하부 선반의 완전히 상승된 위치에서 가전 제품 또는 슬라이딩-피봇팅 메커니즘의 도 39 및 도 40에 대응하는 도면을 도시한다.
도 43 및 도 44는 추가적인 제3 선반을 갖는 하부 선반의 완전히 상승된 위치에서 가전 제품 또는 슬라이딩-피봇팅 메커니즘의 도 39 및 도 40에 대응하는 도면을 도시한다.
도 45는 도 34 내지 도 44에 따른 슬라이딩-피봇팅 메커니즘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면의 다음 설명에서, 상부, 하부, 좌측, 우측, 전방, 후방 등과 같은 용어는 슬라이딩-피봇팅 메커니즘(sliding-pivoting mechanism), 선반(shelf), 피봇 암(pivot arms), 레버 유닛(lever unit), 풀아웃 가이드(pullout guide) 등의 각각의 도면에서 예로써 선택된 예시 및 위치에 배타적으로 관련된다. 이들 용어는 제한적인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즉, 이들 참조는 상이한 동작 위치 또는 미러 대칭 설계 등에 기인하여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피봇팅 메커니즘의 제1 실시 예 변형은 도 1 내지 도 13에 도시되어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여기서 식기 랙(dish rack) 형태의 하부 선반(9)은, 푸쉬-인(pushed-in) 하부 위치에서, 사용가능한 공간으로부터 인출되어 상향 피봇되는, 로딩 및 언로딩 위치로, 여기서 식기 세척기(1)로 설계된 가전 제품의 내부 또는 사용가능한 공간(22) 외부로 상승될 수 있다.
도 14 내지 도 23은, 도 1 내지 도 13에 따른 변형에서와 같이, 제1 피봇 레버(41) 및 제2 피봇 레버(42)가 하강된 시작 위치에서 수직으로 정렬되지 않고, 오히려 대략 20°의 각도로 전방으로 경사지는, 이러한 슬라이딩-피봇팅 메커니즘의 대안적인 제2 실시 예 변형을 도시한다.
피봇 레버(41, 42)의 이러한 경사진 정렬(angled alignment)은, 선반(9)이 상부 단부 위치에서 너무 멀리 돌출하지 않고, 하부 위치에서 더 큰 풀아웃 거리가 가능하게 되는 제1 실시 예 변형에 대한 이점을 제공한다. 따라서 하부 연장 위치에서 선반(9)으로의 접근은, 제1 실시 예 변형에서 위치와 다른 완전히 상승된 위치에서 본체(2)로부터 선반(9)의 거리 없이 개선된다. 또한, 경사진 정렬은 변경된 피봇 경로에 기인하여 레버 유닛(5)과 충돌 발생 없이 더 높은 물체들이 선반에 배치될 수 있다는 이점을 제공한다.
가이드 레일(31) 및 슬라이드 레일(32) 사이의 중간 레일을 생각할 수 있지만,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풀아웃 가이드의 안정성 및 풀아웃 가이드의 거리는 추가적인 중간 레일에 의해 증가될 수 있다.
도 24 내지 도 33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피봇팅 메커니즘의 제3 실시 예 변형을 도시한다.
도 34 내지 도 45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피봇팅 메커니즘의 제4 실시 예 변형을 도시한다.
모든 변형예들은, 가이드 레일(31) 및 그 내부에서 선형으로 변위가능한 슬라이드 레일(32)을 갖는 풀아웃 가이드(3)의 기본 구조의 특징을 공유하며, 상기 풀아웃 가이드에는 하부 선반(9)이 체결된다.
도 1, 도 14, 도 24, 및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하부 선반(9) 이외에, 그 위에 배치된 상부 선반(10)은, 여기서 식기세척기(1)로서 설계된 가전 제품의 사용가능한 공간(22) 내에 배치되고, 이는 상기 식기세척기(1)의 본체(2)의 사용가능한 공간(22) 밖으로 추가 풀아웃 가이드(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당겨질 수 있다.
또한, 가구 또는 다른 가전 제품, 예를 들어, 오븐 등과 같은 조리 기구 또는 냉장고에 배치된 하나의 선반(9) 또는 두 개의 선반(9,10)에 대해서도 동일한 배치를 생각할 수 있다.
도 1, 도 14, 도 24, 및 도 34에 더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피봇팅 메커니즘은, 여기에 도시된 식기 랙과 같은 선반(9)을 충분히 지지할 수 있도록 바람직하게는 가구 또는 가전 제품의 각각의 측벽(21) 상에 배치된다.
그러나, 원칙적으로 가구 또는 가전 제품의 사용가능한 공간에 오직 하나의 슬라이딩-피봇팅 메커니즘을 배치하는 것은, 예를 들어, 비교적 적은 운반 용량(carrying capacity)을 갖는 보드 같은 선반(board-like shelf) 등을 고정하기 위해 고려될 수 있다.
모든 변형 예들은 피봇 메커니즘(4)의 기본적인 구조의 특징을 추가적으로 공유한다. 피봇 메커니즘(4)은, 도 2, 도 15, 도 25 및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경우에 측벽(21)의 평면에 평행한 제1 단부를 갖고 서로 평행하게 이격되어 배치되고 측벽(21) 상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두 개의 피봇 암(41, 42)을 갖는다. 피봇 암(41, 42)은 측벽 장착부(43) 상의 각각의 피봇 조인트(412, 422)를 통해 측벽 장착부(43)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각각의 풀아웃 가이드(3)의 가이드 레일(31)은 피봇 조인트(411, 412)를 통해 피봇 암(41, 42)의 각각의 제2 단부에 고정된다.
제2 피봇 암(42)은, 바람직하게는 측벽 장착부(42)에, 예를 들어, 코일 스프링 또는 가스 압력 스프링의 형태의 힘 축적기(force accumulator, 6)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제2 피봇 암(42)을 피봇시킴으로써 상기 피봇 기구(4)의 상승 및/또는 하강이 상기 힘 축적기(6)에 의해 보조된다.
또한, 슬라이딩-피봇팅 기구의 모든 실시 예 변형은 피봇 기구(4)의 상승 및 하강을 보조하고 측벽(21)의 평면에 평행하게 슬라이드 레일(32) 상에 피봇 가능하게 고정되는, 레버 유닛(5)을 갖는다.
제1 커플링 유닛(7)의 적어도 하나의 커플링 요소는 레버 유닛(5) 상에 배치되어, 상기 커플링 요소는, 상기 슬라이드 레일(32)을 미리 정해진 피봇 위치로 변위시킴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피봇 암(41, 42)의 상기 제1 커플링 유닛(7)의, 커플링 요소에 대응하는 대응 요소(correspondence element)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모든 실시 예 변형은 제2 커플링 유닛(8)을 가지며, 여기서 상기 제2 커플링 유닛(8)의 적어도 하나의 커플링 요소는 슬라이드 레일(32) 또는 선반(9)에 배치되어 상기 커플링 요소는, 상기 슬라이드 레일(32)을 미리 정해진 피봇 위치로 변위시킴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피봇 암(41, 42)의 상기 제2 커플링 유닛(8)의, 상기 커플링 요소에 대응하는 대응 요소(correspondence element)와 결합될 수 있다.
각각의 커플링 유닛(7, 8)은 바람직하게는 본 명세서에서 도시된 실시 예 변형에서, 롤러(71, 81) 및 상기 각각의 롤러(71, 81)가 가이드될 수 있는 슬롯 가이드(72, 82)를 포함한다.
이 경우에, 슬롯 가이드(82)의 주요 목적은 피봇팅하는 동안 제어되지 않은 레일 이동(uncontrolled rail movement)를 방지하는 것이다.
슬롯 가이드(72)는 바람직하게는, 풀아웃 이동 중에 레버 암(51)을 가이드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딩 표면, 특히 상승 표면을 갖도록 설계되어, 상기 슬롯 가이드(72) 상의 또는 피봇 암(41, 42) 상의 레버 암(51)의 연마(grinding)이 방지된다.
대안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딩 표면(423)은 또한 도 26 및 도 33에서 예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피봇 암(41, 42) 중 하나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세 개의 제1 실시 예 변형에서, 도 2, 도 15 및 도 2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제2 커플링 유닛(8)의 롤러(810)는 슬라이드 레일(32) 상에 체결된다. 상기 롤러(81)는 상기 슬라이드 레일(32)의 후방 영역에 측벽 장착부(43)의 방향으로 상향 돌출된 롤러 장착부(35) 상의 풀아웃 방향(x)으로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든 실시 예 변형들은 레어 암(51)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슬라이드 레일(32) 상에 배치되는 레버 암 장착부(34)의 특징을 공유한다.
전방 영역(front region)에서, 레버 암 장착부는 스톱(341)을 포함하고, 상기 레버 암(51)은 그 하부 위치에서 정지하고, 이는 상기 레버 암(51)이 너무 멀리 하강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를 위해 상기 레버 암(51) 상에 대응하는 돌출부(projection) 또는 대응하는 만곡부(bend)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또한 모든 실시 예에서 레버 암(51)이 상승된 단부 위치에서 본체의 방향으로 더 멀리 피봇될 수 없는 데드 센터 영역(dead center region)을 갖는 슬롯 가이드(72)의 설계에 의해 보장된다. 따라서 레버 유닛(5)과 본체의 충돌이 방지된다.
제1 실시 예 변형의 상세한 내용은 도 1 내지 도 13을 기초로 이하에서 설명된다.
도 1 내지 도 13에 도시된 제1 실시 예 변형에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커플링 유닛(7)의 커플링 요소는, 레버 유닛(5)의 레버 암(51)의 풀아웃 방향(x)의 후방 영역에 체결되는, 롤러(71)로서 설계된다.
상기 레버 유닛(5)의 선단부(front end)는 작동 핸들(actuating handle, 52)로서 설계된다. 상기 작동 핸들(52)은 바람직하게는 선반(9)의 양측에 배열된 각각의 슬라이딩 피봇팅 메커니즘의 레버 암(51)을 연결한다.
이 예시적인 실시 예에서, 레버 암(51)은 상부 영역에서 안정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경사진 에지(angled edge, 55)를 갖는다. 상기 레버 암(51)의 상부 에지(55)는 제1 피봇 암(41) 상에 배치된 스톱(413)과 함께 가이드 영역을 형성하며, 이에 의해 선반(9)은 연장 이동 중에 피봇팅하는 것이 방지된다.
이에 따라, 제1 커플링 유닛(7)의 슬롯 가이드(72)는 피봇 메커니즘(4)의 제1 피봇 암(41) 상의 제1 피봇 암(41)의 대응적으로 넓게 구현된 섹션에서 형성된다.
또한, 슬롯 가이드(72)를 별도 부품(separate component)으로서 형성하고 그것을 피봇 암(41) 상에 체결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롤러(71)가 본체(2)의 사용가능한 공간(22)으로부터 하부 선반(9)의 풀아웃 이동동안 제2 피봇 암(42)을 지나 미끄러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2 피봇 암(42)은 롤러(71)의 설치 높이에 대응하는 피봇 암(42)의 영역에 비드(424)를 구비하여, 레버 암(51)이 상기 제2 피봇 암(42)을 타격하지 않고 제2 피봇 암(42)을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
커플링 요소와 제1 커플링 유닛(7)의 대응 요소가 서로 작동 연결(operational connection)을 설정하는, 미리 설정된 피봇 위치는, 선반(9)이 본체(2)의 사용가능한 공간(22)으로부터 상기 선반(9)이 피봇 메커니즘(94)의 도움으로 상승될 수 있는 위치로 변위되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위치에 도달하기 직전이다.
특히 도 6에 도시된 바와 ƒˆ이, 이 위치에서, 제1 커플링 유닛(7)의 롤러(71)는 상기 제1 커플링 유닛의 슬롯 가이드(72) 내로 후퇴한다. 동시에, 제2 커플링 유닛(8)의 롤러(81)는, 제2 레버 암(42) 사에 형성된, 상기 제2 커플링 유닛(8)의 슬롯 가이드(82) 내로 후퇴된다.
롤러(71, 81)를 슬롯 가이드(72, 82) 내로 간단하게 스레딩(threading)할 수 있도록, 상기 슬롯 가이드(72, 82)는 바람직하게는 각각 단부면에 원형(rounded) 또는 깔대기(funnel)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 입구 영역(73, 83)을 갖는다.
입구 영역(73, 83)은 필요에 따라 상이한 길이로 치수화될 수 있다. 따라서, 특히 도 3은 비교적 짧은 입구 영역(83)을 갖는 제2 커플링 유닛(8)을 보여주는 반면, 도 8에 도시된, 대안적인 서브변형에서, 상기 입구 영역(83)은 다소 더 길게 치수화되어, 전체적으로 선반(9)은 풀아웃 방향(x)으로 본체(2)의 사용가능한 공간(22)으로부터 다소 멀리 연장될 수 있다.
상대적으로 긴 입구 영역(3)을 갖는 슬롯 가이드(82)의 특정 형상으로 인해, 선반(9)은 피봇팅 업(pivoting up) 동안 풀아웃 방향(x)과 반대로 이동된다.
따라서, 선반(9)이 피봇팅 업하는 동안 식기세척기(1)의 도어(23) 너머로 돌출되지 않고, 슬라이딩-피봇팅 메커니즘의 하부 확장 위치에서 하부 선반(9)에 양호한 접근이 가능하게 된다.
제2 커플링 유닛(8)의 슬롯 가이드(82)는 입구 영역(83)에 인접한 부분 원(partial circle)과 같은 형상 부분을 갖는 반면 (4개의 실시 예 변형에서 모두), 제1 실시 예 변형에서 제1 커플링 유닛(7)의 슬롯 가이드(72)는, 본질적으로 수직 하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이, 그것에 대해 수직으로 각진 데드 센서 섹션이 교대로 연장되는 단부에서, 수평으로 연장되는 입구 영역(73) 상에서 연장되는 방식으로 형성된다.
슬롯 가이드(82)는 또한 직선 또는 자유형 곡선(free-from curve)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피봇팅 업 동안 슬라이드 레일(32)의 주행 경로가 필요에 따라 제어될 수 있다. 원형 경로로 형성되는 경우, 두 개의 피봇 레버(41, 42) 중 하나에만 슬라이드 레일의 고정이 발생한다.
이 데드 센터 섹션은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상부 상승 단부 위치(upper raised end positon)에서 힘을 가하지 않고 선반(9)을 홀딩하는데 사용되어, 상기 선반(9)은 사용자에 의한 추가 작동없이 이 위치에 유지된다.
슬롯 가이드(72)의 형성은 주로 최적 작동력 곡선(optimum actuating force)에 적합한 기울기를 향해 배향된다. 이 경우, 피봇 프로세스 동안 작동력은 슬롯 가이드(72)의 형태를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및 가능한 피봇 범위로 의도적으로 변경함으로써 최적화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약간 상승된 위치에 있는 식기 세척기 및 피봇 메커니즘(4)을 보여주며, 여기서 상기 제1 커플링 유닛(7)의 롤러(71)는 이미 입구 영역(73)으로부터 다음 섹션으로 진입한 반면, 제2 커를링 유닛(8)의 롤러(81)는 부분 원 형상 섹션으로의 전환에 위치된다.
제1 실시 예 변형의 상세한 설명은 이하의 도 14 내지 도 23을 기초로 하여 설명된다.
도 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변형과 달리, 도 14 내지 도 23에 도시된 변형에서, 제2 커플링 유닛(8)의 슬롯 가이드(82)는 제1 커플링 유닛(7)의 슬롯 가이드(72)와 동일한 피봇 암(41) 상에 형성된다.
레버 암(51)의 에지(55) 및 제1 피봇 암(41) 상의 스톱(413)은 또한 이 변형에서 선반(9)의 연장 동안 너무 일찍 상승되는 레버 암(51)에 대한 보호 장치를 형성한다.
또한, 피봇 암(41, 42)은, 도 14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반(9)의 하강 위치에서 수직으로 배향되지 않고, 오히려, 인출 방향에서 1 ° 내지 60 °, 바람직하게는 10 ° 내지 30 ° 각도로 경사지게 배열되며, 이는 상기 선반(9)이 상기 피봇 암(41, 42)의 수직 배열보다 식기 세척기 본체(2)의 사용 가능한 공간(22)으로부터 더 멀리 이동할 수 있게 한다.
선반(9)과 슬라이딩-피봇팅 메커니즘의 상승된 위치는 아니지만, 완전한 확장된 위치가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되어 있으며, 여기서, 제1 커플링 유닛(7)의 롤러(71)는 슬롯 가이드(72)의 입구 영역(73)에 진입하고 이에 따라 제2 커플링 유닛(8)의 롤러(81) 또한 제2 슬롯 가이드(82)의 입구 영역(83)에 진입했다.
도 19 및 도 20은 선반(9)의 약간 상승된 위치에 있는 이 슬라이딩-피봇팅 메커니즘의 제2 실시 예 변형을 도시하며, 여기서 롤러(71, 81)는 제1 커플링 유닛(7)의 슬롯 가이드(72)의 곡선 영역 및 제2 커플링 유닛(8)의 슬롯 가이드(82)의 부분 원과 같은 형상 영역에 진입한다.
도 21 및 도 22는 슬라이딩-피봇팅 메커니즘의 상승된 단부 위치를 도시하며, 여기서 롤러(71, 82)는 각각의 슬롯 가이드(72, 82)의 후단에 도달한다.
슬롯 가이드(72)는 또한 이 실시 예 변형에서 형상화되어, 상승된 단부 위치에서, 선반(9)은 추가 잠금(locking)없이 안전한 위치(secure position)에 유치되고 레버 유닛(5)을 작동시킴으로써 다시 하강될 뿐이다.
다양한 곡선 반경을 갖는 곡선으로서 슬롯 가이드(72)의 실시 예로 인해, 제1 실시 예 변형에 비해 유리한 데드 센터 영역으로 유체 전이(fluid transition)을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데드 센터 및 안전한 단부 위치 사이의 경로는 데드 센터 영역에 근접한 슬롯 가이드(72)의 개별 설계에 의해 간단한 방식으로 조정될 수 있다.
도 23은 분해 사시도에서 다시 한번 슬라이딩-피봇팅 메커니즘을 도시한다.
제3 실시 예 변형의 상세한 설명은 도 24 내지 도 33에 기초하여 이하에서 설명된다.
도 24 내지 도 33에 도시된 슬라이딩-피봇팅 메커니즘의 제3 실시 예 변형에서, 제1 커플링 유닛(7)의 슬롯 가이드(72)는 피봇 암(41, 42) 중 하나에 형성되지 않고, 오히려 레버 암(51)의 후방 단부에 형성된다. 이 실시 예 변형에서, 슬롯 가이드(72)는 커플링 요소를 나타낸다.
이에 따라 레버 암(51)의 후방 단부는 더 큰 면적을 갖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대응 요소로서 형성된 롤러(71)는 이 경우 제1 피봇 암(41)에 고정된다.
레버 암(51) 상에 배치되고 슬롯 가이드(72)로서 형성된 커플링 요소와 롤러(71)로서 형성되고 제1 피봇 암(41) 상에 배치된 대응 요소의 결합은, 따라서, 도 27 및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의 사용가능한 공간(22)밖으로 연장된 선반(9)의 위치에서 먼저 발생된다.
또한 제1 커플링 유닛(7)의 슬롯 가이드(72)는 입구 영역(73) 및 그 위에 인접한 곡선을 갖는 여기서 형성된다.
하단 선반의 확장 위치에 도달한 이후 상승하기 전에, 레버 암(51)이 상승된 단부 위치에서 거의 수직이고 롤러(71, 81)가 슬롯 가이드(72,82)의 후방 단부에 도달할 때까지, 도 29 및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속 상승동안, 커플링 유닛(7,8)의 롤러(71, 81)는 여기서 입구 영역(73,83)에 들어가고, 슬롯 가이드(72,82)의 각 곡선 영역에서 더 멀리 이동한다.
슬롯 가이드(72)는 또한 이 실시 예 변형에서 형성되어 상승된 단부 위치에서, 선반(9)은 추가 잠금 없이 안전한 위치에 유지되고 레버 유닛(5)을 작동시킴으로써 다시 하강될 뿐이다.
이 실시 예 변형의 슬라이딩-피봇팅 메커니즘의 분해 사시도가 도 33에 다시 한번 도시되어 있다.
이 제3 실시 예 변형의 롤러(71)는, 또한 선반(9)에서 풀아웃되는 동안 레버 암(51)의 에지(55)가 가이드 표면으로서 롤러(71) 아래로 연장된다는 점에서 레버 암(51)이 너무 일찍 핏봇팅 업하는 것을 방지하는 추가적인 기능을 갖는다.
도 34 내지 도 45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피봇팅 메커니즘의 제4 실시 예 변형을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피봇팅 메커니즘의 앞선 실시 예 변형들과 대조적으로, 도 34 내지 도 45에 도시된 실시 예 변형에서, 제1 커플링 유닛의 롤러는 핸들 부분(52)에서 이격되어 있는 레버 암(51)의 단부 상에 직접 고정되지 않고, 오히려 레버 암(51)의 단부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상기 레버 암(51)에 피봇가능하게 연결된 조인트 체인의 단부 상에 고정된다.
조인트 체인은, 여기서 실시 예로서 도시된, 두 개의 체인 링크(53, 54)로 로 구성되고, 이들을 바람직하게는 적절하게 형성된 굴곡부(bend)를 갖는 각진 웹(angled web)으로서 형성된다. 두 개 이상의 그러한 체인 링크를 서로 연결하여 조인트 체인을 형성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제1 커플링 유닛(7)의 롤러(71)는 예를 들어, 도 35, 도 36, 또는 도 4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체인 링크(53)으로부터 이격된 제2 체인 링크(54)의 자유 단부 상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도 36, 도 38, 도 40, 도 42, 및 도 4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커플링 유닛(7)의 슬롯 가이드(72)는, 또한 이 예시적인 실시 예에서 피봇 메커니즘(4)의 제1 피봇 암(41) 상의 상기 제1 피봇 암(41)의 대응하는 넓게 구현된 섹션에서 형성되거나 고정된다.
제1 커플링 유닛(7)의 롤러(71)는 또한, 선반(9)이 도 34에 도시된 후퇴된 위치로부터 연장된 상태로 이동하는 동안 슬롯 가이드(72) 내로 스레드되며, 그러나 도 37에 도시된 상승된 위치는 아직 아니다.
이와 동시에, 제2 커플링 유닛(8)의 롤러(81)는 또한 이 이동동안 상기 제2 커플링 유닛(8)의 슬롯 가이드(82)의 입구 영역(83)으로 가이드된다.
이 실시 예 변형예에서, 제2 커플링 유닛(8)의 커플링 요소는 제2 피봇 암(41) 상에 회전 가능하게 배열된 슬라이딩 또는 롤링 요소(81)로서 설계된다.
이 슬라이딩 또는 롤링 요소(81)는, 레버 암(51)의 레버 암 장착부(34) 상에 배열, 특히 형성되거나 고정되며, 슬롯 가이드(82)로서 설계된 대응 요소에서 피봇 메커니즘(4)의 피봇 이동의 시퀀스 제어를 위해 가이드될 수 있다.
여기서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연결된 체인 링크(53, 54)를 갖는 조인트 체인은 이 경우 토글 레버(toggle lever) 또는 드래그 레버(drag lever) 원리에 따라 작동한다.
하부 선반이 상승된 단부 위치로 이동되는 도 41 내지 도 44에 도시된 위치에서, 조인트 체인의 단부에서, 여기서 제2 체인 링크(54)의 자유 단부에서 상기 제2 커플링 유닛(7)의 롤러(71)의 배열은, 핸들 부분(52)이, 식기 세척기(1) 또는 다른 가전 제품 또는 가구에서 선택적으로 배열된 제3 선반(11)이, 예를 들어 식기 바스켓으로서 설계된 사용 가능한 공간(22)의 최상부 영역에서, 상승된 하부 선반(6)과 함께 사용 가능한 공간(22) 밖으로, 즉, 수평 방향으로 상기 핸들 부분(52) 위로 이동될 수 있는 완전히 상승된 위치에서 상승된 하부 선반의 상부 측에 충분히 가깝게 이동할 수 있게 한다.
1 식기 세척기
2 본체(body)
21 측벽(side wall)
22 사용가능한 공간(usable space)
23 도어(door)
3 풀아웃 가이드(pullout guide)
31 가이드 레일(guide rail)
32 슬라이드 레일(slide rail)
34 레버 암 장착부(lever arm mount)
341 스톱(stop)
35 롤러 장착부(roller mount)
4 피봇 메커니즘(pivot mechanism)
41 제1 피봇 레버(first pivot lever)
411 피봇 조인트(pivot joint)
412 피봇 조인트(pivot joint)
413 스톱(stop)
42 제2 피봇 레버(second pivot lever)
421 피봇 조인트(pivot joint)
422 피봇 조인트(pivot joint)
423 슬라이딩 표면(sliding surface)
424 비드(bead)
43 측벽 장착부(side wall mount)
5 레버 유닛(lever unit)
51 레버 암(lever arm)
52 핸들 부분(handle part)
53 제1 체인 링크(first chain link)
54 제2 체인 링크(second chain link)
55 에지(edge)
6 힘 축적기 (force accumulator)
7 제1 커플링 유닛(first coupling unit)
71 롤러(roller)
72 슬롯 가이드(slotted guide)
73 입구 영역(inlet region)
8 제2 커플링 유닛(second coupling unit)
81 롤러(roller)
82 슬롯 가이드(slotted guide)
83 입구 영역(inlet region)
9 선반(shelf)
10 선반(shelf)
11 선반(shelf)
x 풀아웃 방향(pullout direction)

Claims (19)

  1. 가구 또는 가전 제품의 본체(2)에서 선반(9)을 꺼내어 들어 올리기 위한 가구 또는 가전 제품 선반(9)의 슬라이딩-피봇팅 메커니즘으로서,
    상기 측벽(21)의 상기 평면에 평행한 제1 단부를 갖고 서로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열되고 상기 본체(2)의 상기 측벽(21)들 중 적어도 하나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피봇 메커니즘(4)의 적어도 두 개의 피봇 암(41, 42),
    슬라이딩 메커니즘(3)의 가이드 레일(31)은 상기 가이드 레일(31)이 상기 본체(2) 내부의 하부 위치로부터 상기 본체(2) 외부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승된 상부 위치로 피봇 가능하도록, 상기 피봇 암(41, 42)의 각각의 제2 단부에서 상기 측벽(21)의 상기 평면에 평행하게 피봇 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가이드 레일(31) 내에서 선형으로 변위 가능하고 상기 선반(9)이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드 레일(32); 및
    상기 피봇 메커니즘(4)의 상승 및 하강을 보조하고, 상기 측벽(21)의 상기 평면에 평행하게 상기 슬라이드 레일(32) 상에 피봇가능하게 고정되는 레버 유닛(5); 을 포함하고,
    제1 커플링 유닛(7)의 적어도 하나의 커플링 요소는, 상기 커플링 요소가, 상기 슬라이드 레일(32)을 미리 정해진 피봇 위치로 변위 시킴으로써 상기 피봇 암(41, 42) 중 적어도 하나 상에서 상기 제1 커플링 유닛(7)의 상기 커플링 요소에 대응하는 대응 요소(correspondence element)와 결합될 수 있는 방식으로 상기 레버 유닛(5) 상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피봇팅 메커니즘.

  2. 제1항에 있어서,
    제2 커플링 유닛(8)의 적어도 하나의 커플링 요소는, 상기 커플링 요소가, 상기 슬라이드 레일(32)을 미리 정해진 피봇 위치로 변위 시킴으로써 상기 피봇 암(41, 42)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2 커플링 유닛(8)의 상기 커플링 요소에 대응하는 대응 요소와 결합될 수 있는 방식으로 상기 슬라이드 레일(32) 또는 상기 선반(9) 상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피봇팅 메커니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플링 유닛(7)의 상기 커플링 요소는 슬라이딩 또는 롤링 요소(71)로서 설계되고, 이는, 상기 피봇 암(41, 42)의 적어도 하나 상에 배열, 특히, 형성되고, 상기 레버 유닛(5)의 상기 피봇 운동의 시퀀스 제어를 위해, 슬롯 가이드(72)로서 설계되는 대응 요소에 가이드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피봇팅 메커니즘.
  4.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커플링 유닛(8)의 상기 커플링 요소는 슬라이딩 또는 롤링 요소(81)로서 설계되고, 이는, 상기 피봇 암(41, 42)의 적어도 하나 상에 배열, 특히, 형성되고, 상기 피봇 운동의 시퀀스 제어를 위해, 슬롯 가이드(82)로서 설계되는 대응 요소에 가이드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피봇팅 메커니즘.
  5. 제3항 및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플링 유닛(7) 및 상기 제2 커플링 유닛(8)의 상기 슬롯 가이드(72, 82)는, 상기 피봇 암(41, 42) 중 적어도 하나 상에 배열, 특히,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피봇팅 메커니즘.
  6. 제3항 및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플링 유닛(7)의 상기 슬롯 가이드(72)는, 제1 피봇 암(41, 42) 상에 배열, 특히, 형성되고, 상기 제2 커플링 유닛(8)의 상기 슬롯 가이드(82)는, 제2 피봇 암(42, 41) 상에 배열, 특히,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피봇팅 메커니즘.
  7. 제1항,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플링 유닛(7)의 상기 커플링 요소는 슬롯 가이드(72)로서 설계되며, 여기서 상기 피봇 암(41, 42) 중 적어도 하나 상에 배치되고 롤러(71)로서 설계된 대응 요소는, 상기 레버 유닛(5)의 상기 피봇 운동의 시퀀스 제어를 위해 가이드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피봇팅 메커니즘.
  8.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 유닛(5)은 적어도 하나의 레버 암(51)을 구비하고, 상기 레버 암(51)은 상기 측벽(21)의 상기 평면에 평행한 상기 슬라이드 레일(32)의 제1 단부에 피봇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레버 암(51)에 상기 제1 커플링 유닛(7)의 상기 커플링 요소 또는 상기 대응 요소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피봇팅 메커니즘.
  9.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인트 체인은, 상기 레버 암(51)의 레버 암 장착부(34)에 근접한 상기 레버 암(51)의 단부에 피봇 가능하게 체결되고, 상기 레버 암(51)으로부터 이격된 단부에 롤러(71)로서 설계된 상기 제1 커플링 유닛(7)의 상기 대응 요소가 회전가능하게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피봇팅 메커니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 체인은 회전 관절식 방식(rotationally articulated manner)으로 서로 결합된 적어도 2개의 체인 링크(53, 54)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피봇팅 메커니즘.
  11. 제1항 내지 제3항 및 제9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커플링 유닛(8)의 상기 커플링 요소는 상기 피봇 암(41, 42) 중 적어도 하나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슬라이딩 또는 롤링 요소(81)로서 설계되고, 이는, 상기 레버 암 장착부(34) 상에 배열, 특히, 형성되고, 상기 피봇 메커니즘(4)의 피봇 운동의 시퀀스 제어를 위해, 슬롯 가이드(82)로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피봇팅 메커니즘.
  12.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플링 유닛 또는 상기 제2 커플링 유닛(7,8)의 상기 슬롯 가이드(72, 82)의 적어도 일부는 입구 영역(73, 83)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피봇팅 메커니즘.
  13.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플링 유닛 또는 상기 제2 커플링 유닛(7,8)의 상기 슬롯 가이드(72, 82)의 적어도 일부는 부분 원(partial circle)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피봇팅 메커니즘.
  14.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플링 유닛 또는 상기 제2 커플링 유닛(7,8)의 상기 슬롯 가이드(72, 82)의 적어도 일부는 가변 곡선 반경을 갖는 곡선(curve having varying curve radius)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피봇팅 메커니즘.
  15.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플링 유닛 또는 상기 제2 커플링 유닛(7,8)의 상기 슬롯 가이드(72, 82)의 일부는 데드 센터 영역(dead center section)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피봇팅 메커니즘.
  16.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플링 유닛(7)의 상기 슬롯 가이드(72)의 적어도 일부는 최적 작동력 곡선에 적합한 경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피봇팅 메커니즘.
  17.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9)이 완전히 연장되기 전 상기 레버 유닛(5)을 상승시키는 것에 대한 안전 장치(safeguard), 및/또는 상기 상승 및/또는 하강 동안 상기 레버 유닛(5)을 너무 멀리 피봇시키는 것에 대한 안전 장치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피봇팅 메커니즘.
  18. 가구 본체(2) 및 슬라이딩-피봇팅 메커니즘에 의해 상기 가구 본체(2)에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선반(9)을 갖는 가구로서, 상기 선반(9)은 상기 슬라이딩-피봇팅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상기 가구 본체(2)로부터 당겨지고 올려질 수 있고, 상기 슬라이딩-피봇팅 메커니즘은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하나 이상에 따라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19. 가전 제품, 특히 식기 세척기 또는 조리 기기 또는 냉장고로서,
    슬라이딩-피봇팅 메커니즘에 의해, 사용가능한 공간(23), 특히, 세척 공간 또는 조리 공간 또는 냉장 공간의 내측에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선반(9)을 갖으며, 상기 선반(9)은 상기 슬라이딩-피봇팅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가능한 공간 밖으로 당겨서 올려질 수 있고, 상기 슬라이딩-피봇팅 메커니즘은 제1 항 내지 제17항 중 하나 이상에 따라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 제품.


KR1020207035277A 2018-05-15 2019-05-06 가구 또는 가전 제품 선반의 슬라이딩-피봇팅 메커니즘 및 가구 또는 가전 제품 KR2021000885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8111672 2018-05-15
DE102018111672.1 2018-05-15
DE102018132802.8A DE102018132802A1 (de) 2018-05-15 2018-12-19 Schiebe-Schwenkmechanik einer Ablage eines Möbels oder Haushaltsgerätes und Möbel oder Haushaltsgerät
DE102018132802.8 2018-12-19
PCT/EP2019/061555 WO2019219433A1 (de) 2018-05-15 2019-05-06 Schiebe-schwenkmechanik einer ablage eines möbels oder haushaltsgerätes und möbel oder haushaltsgerä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8850A true KR20210008850A (ko) 2021-01-25

Family

ID=68419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5277A KR20210008850A (ko) 2018-05-15 2019-05-06 가구 또는 가전 제품 선반의 슬라이딩-피봇팅 메커니즘 및 가구 또는 가전 제품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1445823B2 (ko)
EP (1) EP3793407B1 (ko)
JP (1) JP7385601B2 (ko)
KR (1) KR20210008850A (ko)
CN (1) CN112118769B (ko)
DE (1) DE102018132802A1 (ko)
PL (1) PL3793407T3 (ko)
WO (1) WO201921943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9107385A1 (de) * 2019-03-22 2020-09-24 Paul Hettich Gmbh & Co. Kg Schiebe-Schwenkmechanik für eine Ablage eines Möbels oder Haushaltsgerätes und Möbel bzw. Haushaltsgerät
PL4048130T3 (pl) * 2019-10-25 2024-02-19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Zmywarka do naczyń
EP4124280A1 (de) 2021-07-30 2023-02-01 Miele & Cie. KG Verfahr- und hebemechanik
BE1029640B1 (de) * 2021-07-30 2023-03-01 Miele & Cie Hebeeinrichtung für einen Spülkorb
US11796245B2 (en) 2021-12-13 2023-10-24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Swing-up storage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15822A (en) * 1991-03-20 1992-05-26 Nichols Will E Dishwasher basket assembly including lift mechanism
US20060066189A1 (en) * 2004-09-30 2006-03-30 Steve Bond Shelf extending and lifting system
DE102012107993A1 (de) 2012-08-29 2014-03-06 Paul Hettich Gmbh & Co. Kg Schiebe-Schwenkmechanik einer Ablage eines Möbels, Möbel und Geschirrspüler
DE102014213986B4 (de) * 2014-07-17 2017-06-08 BSH Hausgeräte GmbH Haushaltsgeschirrspülmaschine
DE102014114285A1 (de) * 2014-10-01 2016-04-07 Paul Hettich Gmbh & Co. Kg Schiebe-Schwenkmechanik einer Ablage eines Möbels oder Haushaltsgerätes, Möbel und Haushaltsgerät
DE102015102390A1 (de) 2015-02-19 2016-08-25 Paul Hettich Gmbh & Co. Kg Schiebe-Schwenkmechanik einer Ablage eines Möbels oder Haushaltsgerätes, Möbel und Haushaltsgerät
DE102015102500A1 (de) * 2015-02-20 2016-08-25 Paul Hettich Gmbh & Co. Kg Schiebe- und Hubmechanismus einer Ablage eines Möbels oder Haushaltsgeräts, Möbel und Haushaltsgerät
DE102016201727B4 (de) * 2016-02-04 2018-02-15 BSH Hausgeräte GmbH Hebevorrichtung,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Hebevorrichtung und Geschirrspülmaschine
CN108882828B (zh) * 2016-04-08 2021-07-09 保罗海蒂诗有限及两合公司 用于家具或家用器具的滑动和提升机构以及具有这种滑动和提升机构的家具或家用器具
DE102016121470A1 (de) * 2016-11-09 2018-05-09 Paul Hettich Gmbh & Co. Kg Schiebe- und Hubmechanismus sowie Möbel und Haushaltsgerät
DE102016125040A1 (de) * 2016-12-20 2018-06-21 Paul Hettich Gmbh & Co. Kg Möbel, Haushaltsgerät und Hubmechanismus einer Ablage eines Möbels oder Haushaltsgerä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8132802A1 (de) 2019-11-21
US20210212459A1 (en) 2021-07-15
JP7385601B2 (ja) 2023-11-22
EP3793407A1 (de) 2021-03-24
JP2021524301A (ja) 2021-09-13
US11445823B2 (en) 2022-09-20
WO2019219433A1 (de) 2019-11-21
CN112118769A (zh) 2020-12-22
PL3793407T3 (pl) 2023-07-10
EP3793407B1 (de) 2023-03-01
CN112118769B (zh) 2022-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08850A (ko) 가구 또는 가전 제품 선반의 슬라이딩-피봇팅 메커니즘 및 가구 또는 가전 제품
US9993072B2 (en) Sliding-pivoting mechanism of a shelf of a piece of furniture or of a domestic appliance, piece of furniture, and domestic appliance
CN107205547B (zh) 家具或家用设备搁架的滑动和举升机构、家具和家用设备
US9389014B2 (en) Fitting
US11805965B2 (en) Height adjuster mechanism for a dishwasher dish rack
CN108882828B (zh) 用于家具或家用器具的滑动和提升机构以及具有这种滑动和提升机构的家具或家用器具
US8162419B2 (en) Basket lifting arrangement for a dishwasher
US20160331204A1 (en) Dishwasher with vertically adjustable dish rack
US20140346937A1 (en) Height adjuster mechanism for a dishwasher dish rack
US20170164733A1 (en) Sliding-pivoting mechanism of a shelf of a piece of furniture or of a domestic appliance, piece of furniture, and domestic appliance
US10051963B2 (en) Sliding/pivoting mechanism of a shelf of a piece of furniture or of a domestic appliance, domestic, appliance, and piece of furniture
US20080030114A1 (en) Support Arrangement And A Refrigerator Provided Therewith
CN110996721B (zh) 家具或家用电器的搁架的滑动枢转机构以及具有该滑动枢转机构的家具或家用电器
CN112135550B (zh) 家具或家用电器的架子的滑动枢转机构以及家具或家用电器
CN107249386A (zh) 家具或家用电器搁架的滑动枢转机构、家具和家用电器
US11889967B2 (en) Sliding-pivoting mechanism for a shelf of a piece of furniture or household appliance, and piece of furniture or household appliance
US20110193456A1 (en) Fitting for Corner Cabinets
CN110785109B (zh) 家用洗碗机
US11963650B2 (en) Sliding-pivoting mechanism for a rack of a piece of furniture or of a domestic appliance, and piece of furniture or domestic appliance
KR100384083B1 (ko) 가구 부품
US10660501B2 (en) Domestic dishwasher
EP3895596B1 (en) A height-adjusting device for shelves of applian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