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4083B1 - 가구 부품 - Google Patents

가구 부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4083B1
KR100384083B1 KR10-2000-0023456A KR20000023456A KR100384083B1 KR 100384083 B1 KR100384083 B1 KR 100384083B1 KR 20000023456 A KR20000023456 A KR 20000023456A KR 100384083 B1 KR100384083 B1 KR 1003840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furniture
furniture part
carriage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3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07036A (ko
Inventor
웨버피터
Original Assignee
페카-메탈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EP99810392A external-priority patent/EP1050247A1/de
Application filed by 페카-메탈 아게 filed Critical 페카-메탈 아게
Publication of KR200100070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70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40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40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1/00Cabinets or racks specially adapted for other particular purposes, e.g. for storing guns or skis
    • A47B81/002Corner cabinets; Cabinets designed for being placed in a corner or a niche

Landscapes

  • Cabinets, Racks, Or The Like Of Rigid Construction (AREA)
  • Hinges (AREA)
  • Support Devices For Sliding Doors (AREA)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 Drawers Of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두 개의 측벽(3, 4)과, 후방벽(2)과, 상부 덮개 부품과 하부 바닥 부품으로 구성된 가구 부품에 관한 것이다. 전방면(8) 중 일 구역(7)은 이 부분과 접하는 다른 가구 부품(9)에 의해 가려져 있다. 전방면의 다른 부분은 가구 부품(1)의 내부(11)에 접근하기 위한 입구(10)를 형성한다. 이 입구를 폐쇄할 수 있는 도어 부품(12)이 안내 수단(16)을 구비한 제 1 프레임(13) 상에 장착된다. 안내 수단(16)은 수직축(18)을 중심으로 피봇 가능한 윙(19) 상에 장착된 다른 안내 수단과 협동한다. 이 수직축은 전방 측벽(4)의 전방 단부 영역에 배치된다. 저장용 칸막이(15)가 설치된 제 1 프레임(13)은 가구 부품(1)으로부터 밖으로 당겨질 수 있으며, 당겨지는 동안 가이드웨이(23)에 의해 안내되어 수직축(18)을 중심으로 피봇할 수 있다. 그리하여 가구 부품(1)의 입구(10)는 다른 저장용 칸막이(30)가 제공되어 있으며 가구 부품(1)의 후방 영역에 수용된 캐리지(28)를 차단하지 않게 되어, 캐리지는 입구 영역의 전진 밀침 위치로 이동될 수 있으며, 이로써 캐리지(28)의 저장용 칸막이(30)에 접근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구 부품{Furnishing element}
본 발명은 청구항 제 1 항의 전제부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거의 직각 코너를 형성하는 가구 부품에 관한 것이다.
주방 시설물들에는 보통 싱크대와 전열기가 부착된 덮개가 제공되어 있으며, 또한 물건을 놓을 수 있는 큰 표면뿐만 아니라 주방 사용자를 위한 작업 영역을 제공하는 하부 컵보드나 캐비닛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하부 컵보드들은 주방에서 꼭 벽에만 설치되기보다는 코너 근처에도 설치될 수 있도록 설계된다. 각각의 하부 컵보드에서 코너 영역은, 일정 각도로 형성된 각 컵보드 부품의 두 개의 후방면이 주방의 벽들에 의해 완전히 가려지며, 두 개의 전방면은 직각으로 연속된 나란한 하부 컵보드 부품들에 의해 가려지기 때문에 접근하기 곤란한 곳이다. 하부 컵보드의 코너 부품들에 대한 접근 방법은, 예를 들어 본 출원인의 이름으로 출원된 유럽특허 공보 EP-A-0 441 919에 공지되어 있다.
현대식 주방 시설물들에서는, 보통 하부 컵보드의 위쪽에서 이 하부 컵보드로부터 이격된 상부 컵보드들이 설치되어 있다. 상부 컵보드들은, 보통 하부 컵보드들과 동일한 간격,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코너 영역에서 발생하는 상술한 문제는 하부 컵보드뿐만 아니라 상부 컵보드에서도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들은 상부 컵보드의 깊이가 하부 컵보드의 깊이보다 더 낮기 때문에 상부 컵보드들에서 더 크게 나타난다. 또한, 존재하는 공간을 완전히 사용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후방벽 근처에서는, 예를 들어 후방벽 프레임을 장착할 공간이 없게 된다. 게다가, 이 상부 컵보드들이 배치되는 곳의 높이 때문에, 상부 컵보드는, 특히 키가 작은 사람의 입장에서 접근하기가 더 어렵다.
상부 컵보드의 경우에서뿐만 아니라 하부 컵보드들의 경우에, 특히 도어 부품이 외향 당김 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된 다른 가구 부품과 접하게 되고, 더구나 이러한 다른 가구 부품 자체에 돌출된 핸들을 갖는 도어 부품이 제공된다면, 제 1 프레임 상에 장착된 도어 부품을 통하여 제 1 프레임으로부터 외부로 똑바로 당길 수가 없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공간을 최적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우수한 접근 가능성을 제공하고, 도어 부품이 외향 당김 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된 다음 가구 부품에 실질적으로 접근할 때조차도 제 1 프레임 상에 장착된 도어 부품과 함께 제 1 프레임을 바깥쪽으로 당길 수 있도록 거의 직각으로 형성된 가구 부품을 설계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 제 1 항의 특징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라서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구 부품을 통하여 상술한 목적을 이룰 수 있다. 가구 부품의 깊이는 수직축을 중심으로 피봇함으로써 최적의 접근 가능성을 제공하도록, 특히 제 1 저장용 칸막이의 후방 부분에 대한 접근 가능성을 제공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수직축에 대해 고정된 가이드웨이(guideway)를 통하여, 그리고 이 가이드웨이를 따라서 도어 부품으로부터 이격된 단부 영역에서 제 1 프레임에 고정된 안내부품을 유도함으로써, 가구 부품으로부터 제 1 프레임을 당길 때, 먼저 수직축을 중심으로 제 1 프레임을 최소로 피봇하고 당김 통로의 단부에서 완전 피봇 위치로 피봇할 수 있다. 제 1 프레임 상에 매달린 제 1 저장 칸막이를 통하여 제 1 프레임으로부터 당김을 시작할 때 이러한 최소 피봇을 이루기 위해서, 도어 부품은 당김 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된 인접한 다른 가구 부품의 도어 부품으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렇게 하여, 예를 들면 다른 가구 부품 상에 장착된 핸들을 피할 수 있다.
게다가 이러한 최적의 방식을 통하여, 당김 동안 정확하게 정의된 이동 경로와 가구 부품에 대하여 제 1 프레임의 피봇을 얻을 수 있다. 잘못된 조작을 제외하고, 후방 피봇과 내향 밀침에서조차도 이동 과정을 정확하게 규정지을 수 있다.
단순하게는, 가이드웨이는 원하는 정도의 굴곡이 형성된 한 다발의 와이어로 형성되며, 안내 부품은 제 1 프레임 내에 회전할 수 있도록 삽입된 핀의 형태를 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발로 이루어진 와이어 주위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잡고 있는 리세스가 제공될 수도 있다. 이러한 설계를 통하여, 저렴한 제조와 용이한 장착이 가능한 가이드를 얻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가구 부품내의 후방벽에 평행하게 움직일 수 있는 캐리지가 장착되며, 이 캐리지에는 다른 저장용 칸막이들이 매달릴 수 있는 수직 프레임이 제공된다. 이 캐리지는 가구 부품의 코너 영역으로 뒤쪽으로 밀쳐질 수 있으며, 이로써 가구 부품의 전방 영역에 공간이 형성되고, 이 공간에는 입구가 위치하게 된다. 제 1 저장용 칸막이와 함께 제 1 프레임이 가구 부품으로부터 바깥쪽으로당겨질 때, 캐리지는 다른 저장용 칸막이와 함께 가구 부품의 입구 영역 내로 밀쳐질 수 있다. 따라서, 가구 부품의 폐쇄 상태에서 가구 부품의 후방 영역에 위치하는 다른 저장용 칸막이들의 접근 가능성은 최상으로 얻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는 앵글 레버에 연결된 안내 수단으로 이루어지며, 여기서 앵글 레버는 바닥 부품이나 덮개 부품 상에 피봇 가능하게 배치되어 연결 로드에 연결되고, 다시 이 연결 로드 자체는 제 1 프레임이 외향 피봇하자 마자 캐리지가 입구 영역 내로 이동될 수 있는 식으로 캐리지와 연결된다. 따라서, 특히 캐리지 상에 제공된 다른 저장용 칸막이들에 대하여 단순하면서 최적의 접근 가능성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는 4개의 롤러들이 제공된 캐리지로 구성되며, 이들 중 가구 부품의 후방벽에 인접하게 배치된 2개의 롤러는 가구 부품 내에서 바람직하게는 바닥 부품 상에서 후방벽과 나란하게 장착된 안내 레일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안내된다. 다른 두 개의 롤러는 가구 부품의 바닥 부품 상에서 자유롭게 구를 수 있도록 지지된다. 이로써 캐리지를 최상으로 안내할 수 있으며, 또한 매우 작은 필요 공간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후방벽에 대항하며 측벽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식으로 캐리지 상에 수직 프레임을 장착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가구 부품의 깊이를 완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제 2 프레임 상에 배치된 수직축으로 구성되며, 이 프레임은 전방 측벽에 평행하고 선형 가이드에 의해 외향 당김 방향으로 이 측벽에 대하여 움직일 수 있다. 따라서, 수직축은 가구 부품으로부터 제 1 프레임을 후퇴 및 피봇할 때 이동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저장용 칸막이와 함께 제 1 프레임이 외향 피봇될 수 있는 피봇 각도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입구의 접근 가능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제 2 프레임은 이 제 2 프레임을 외향 당김 상태에 붙잡아두고 가구 부품 내에서 제 1 프레임을 내향 밀침 및 후방 피봇하는 동안 최종 전방 밀침 위치에 이 제 2 프레임을 유지하는 잠금 장치와 협동한다. 이 잠금 장치는 제 1 프레임이 내향 밀침 위치에 도달할 때서야 비로소 풀리며, 이후에 제 1 프레임과 제 2 프레임은 가구 부품 내에서 내향 밀침 위치로 거의 맞대어 밀쳐질 수 있다. 이로써 최상의 이동 경로가 가능하다.
제 1 프레임은 바람직하게는 스냅 장치에 의해 내향 밀침 위치에 유지된다. 이 때문에, 제 1 프레임 내에 매달린 제 1 저장 칸막이와 제 1 프레임 위에 장착된 도어 부품과 함께 제 1 프레임이 가구 부품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저절로 움직이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실시예에서 상부 컵보드로서 설계되며, 후방 구석 영역 내로 이동된 캐리지와 안쪽으로 완전히 밀쳐진 제 1 프레임을 구비한 본 발명에 따른 가구 부품을 부분적으로는 단면도로서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제 2 프레임이 최종 전진 밀침 위치에 있는 도 1에 따른 본 발명의 가구 부품을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제 1 프레임이 다른 외향 당김 위치와 피봇 위치에 있는 도 2에 따른 본 발명의 가구 부품을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제 1 프레임이 완전 외향 당김 위치와 피봇 위치에 있으며 캐리지가 입구 영역으로 이동되어 있는 도 2에 따른 본 발명의 가구 부품을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도 1에 따른 위치에 있는 가구 부품의 두 개의 프레임들을 확대하여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도 2에 따른 위치에 있는 가구 부품의 두 개의 프레임들을 확대하여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도 3에 따른 위치에 있는 가구 부품의 두 개의 프레임들을 확대하여 도시한 평면도.
도 8은 도 4에 따른 위치에 있는 가구 부품의 두 개의 프레임들을 확대하여도시한 평면도.
도 9는 완전 내향 밀침 위치에 있는 가구 부품의 두 개의 프레임을 도시한 측면도.
도 10은 제 2 프레임이 완전 전진 밀침 위치에 있으며 제 1 프레임이 부분 외향 당김 위치에 있는 가구 부품의 두 개의 프레임을 도시한 측면도.
도 11은 잠금 장치가 제공되어 있는 도 10에 따른 두 개의 프레임들의 하부 영역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12는 가구 부품의 캐리지를 도시한 측면도.
도 13은 여기서는 하부 컵보드로서 제작된 본 발명에 따른 가구 부품의 다른 실시예의 일부를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4는 제 1 프레임이 완전 내향 밀침 위치에 있는 도 13에 따른 가구 부품을, 커버 부품을 생략한 채로 도시한 평면도.
도 15는 제 1 프레임이 약간 외향 당김 위치에 있는 도 14에 따른 도면.
도 16은 제 1 프레임이 거의 완전 외향 당김 위치에 있는 도 14에 따른 도면.
도 17은 제 1 프레임이 완전 외향 당김 및 완전 외향 피봇 위치에 있는 도 14에 따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가구 부품 2: 후방벽
3: 후방 측벽 4: 전방 측벽
5: 상부 덮개 부품 6: 하부 바닥 부품
9: 다른 가구 부품 10: 입구
11: 내부 12: 도어 부품
13: 제 1 프레임 14: 장착대
15: 저장용 칸막이 16: 안내 수단
17: 다른 안내 수단 18: 수직축
19: 윙 20: 제 2 프레임
23: 가이드웨이 24: 와이어
27: 도어 손잡이 28: 캐리지
29: 수직 프레임 30: 저장용 칸막이
31, 32, 33, 34: 롤러 35: 안내 레일
36: 롤러 통로 37: 안내 롤러
38: 클램프 39: 잠금 장치
40: 피봇 레버 41: 롤러
44: 스냅 장치 45: 볼트
48: 정지부 51: 볼 베어링 가이드
55: 가로대 56: 유지 클램프
57: 앵글 레버 58: 아암
59: 안내 핀 60: 다른 아암
특히, 도 1 내지 도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가구 부품(1)은 후방벽(2), 후방 측벽(3), 전방 측벽(4), 상부 덮개 부품(5), 하부 바닥 부품(6)(도 12 참조)을 포함한다. 이러한 가구 부품(1)의 전방면(8) 중 일 구역(7)은 이가구 부품과 접하는 다른 가구 부품(9)에 의해 가려져 있다. 가구 부품(1)의 전방면(8) 중 다른 구역은 가구 부품(1)의 내부(11)와 통하는 입구(10)를 형성한다. 이 입구(10)는 도어 부품(12)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여기에 도시한 가구 부품은 상부 가구 부품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그러나 특히 가구 부품의 깊이가 확장되면 하부 컵보드로서도 사용될 수 있다.
도어 부품(12)은 제 1 프레임(13)에 고정된다. 이러한 제 1 프레임(13)은, 예를 들어 금속성의 프로파일 부분으로 제작되고 직사각형 모양을 이룬다. 제 1 프레임(13)에는 이 제 1 프레임(13)에 대해 수직하게 뻗어 있으며 도어 부품(12)이, 예를 들어 나사식으로 고정되는 장착대(14)가 제공된다. 예를 들어 와이어 바스킷(wire basket)의 형태를 이루고 있는 제 1 저장용 칸막이(15)가 공지된 방식으로 이 제 1 프레임(13) 내에 걸릴 수 있으며, 이 모양을 도 1 내지 도 4에서 일점쇄선으로 나타낸다.
제 1 프레임(13)에는 이 제 1 프레임(13)을 가구 부품(1) 내로 밀칠 수 있으며 가구 부품으로부터 당길 수 있는 안내 수단(16)이 설치되며(도 4 참조). 이 수단에 대해서 이후에 더 정확하게 설명한다. 이들 안내 수단(16)은 수직축(18)을 중심으로 피봇할 수 있는 윙(19)에 고정된 다른 안내 수단(17)과 협동하며(도 4 참조), 이 수단에 대해서 이후에 더 정확하게 설명한다.
수직축(18)은 제 2 프레임(20) 내에 유지된다. 역시 직사각형 모양을 이루며 금속성의 프로파일 부분으로 제작되는 이 제 2 프레임(20)에는 가구 부품(1)의 전방 측벽(4)에 고정되는 선형 가이드(21)가 제공된다. 이 선형 가이드(21)는 이동 통로를 제한하기 위한 정지부가 공지된 방식으로 제공된 볼 베어링 가이드로서 설계될 수 있다.
도어 부품(12)에는 손잡이(22)가 제공된다. 이 손잡이(22)에 의해 제 1 프레임(13) 및 제 2 프레임(20)과 함께 도어 부품(12)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량 a만큼 바깥쪽으로 당겨진다. 이로써, 제 2 프레임(20)은 선형 가이드(21)를 통하여 전방 측벽(4)에 대해 이동한다. 이 상태에서 제 1 프레임(13)은 제 2 프레임(20)에 대해 정지한 채로 유지된다. 이와 같은 제 2 프레임(20)의 이동을 통하여 수직축(18)이 가구 부품(1)으로부터 이동된다.
제 1 프레임(13)이 도 2에 도시한 상기 위치에 도달하면, 제 1 프레임(13)은 도어 부품(12)과 함께 계속해서 바깥쪽으로 당겨질 수 있다. 이로써, 제 1 프레임(13)은 안내 수단(16)과 다른 안내 수단(17)을 통하여 제 2 프레임(20)에 대해 자체적으로 이동한다.
제 1 프레임(13)이 가구 부품(1)으로부터 조합 및 안내 운동(외향 당김 및 피봇 운동)할 수 있도록, 제 2 프레임(20) 상에 가이드웨이(23)가 장착된다. 이 가이드웨이(23)는 한 뭉치의 와이어(24)로 형성된다. 제 1 프레임(13)의 후방 단부 영역에는 핀(26)의 형태를 갖는 안내 수단(25)이 배치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 부품(12)과 함께 제 1 프레임(13)이 계속해서 바깥쪽으로 당겨지자마자, 안내 부품(25)은 가이드웨이(23)를 따라서 안내되어 진행한다. 따라서, 도어 부품(12)과 함께 제 1 프레임(13)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당겨질 때, 수직축(18)을 중심으로 강제 피봇이 이루어진다.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도어 부품(12)은, 예들 들어 다른 가구 부품(9)으로부터 돌출되어 장착된 도어 손잡이(27)를 피할 수 있으므로 조합 운동, 즉 "외향 당김 피봇" 운동이 가능하다.
도어 부품(12)과 함께 제 1 프레임(13)의 외향 당김 및 피봇은 단부 위치까지 실시될 수 있다. 도 4에 따른 설명에서는 이러한 단부 위치에 거의 도달되어 있다. 단부 위치에 도달하면, 가구 부품(1)의 입구(10)는 최상의 접근 가능성을 갖는다. 수직축(18)이 가구 부품(1)으로부터 일정량 a만큼 이동하는 동안 내내, 제 1 프레임(13)이 바깥쪽으로 피봇될 수 있는 피봇각은 90o이상이 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가구 부품(1)의 후방 코너 영역에는 캐리지(28)가 제공된다. 이 캐리지(28)에는 후방 측벽(3)과 평행하게 향하고 있는 수직 프레임(29)이 제공된다. 이 수직 프레임(29)에는 일점쇄선으로 표시한 다른 저장용 칸막이(30)가 공지된 방식으로 매달릴 수 있다. 캐리지(28)에는 4개의 롤러(31 내지 34)들이 설치된다. 두 개의 롤러(31, 32)들은 하부 바닥 부품(6)에 고정되며 후방벽(2)과 평행하게 진행하는 가이드 레일 내에서 길이방향으로 안내된다. 두 개의 다른 롤러(33, 34)들은 가구 부품(1)의 하부 바닥 부품(6) 상에서 자유롭게 구를 수 있도록 지지된다.
도 4에 기본적인 구성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 부품(12)에 매달려 있는 제 1 저장용 칸막이(15) 및 제 1 프레임(13)과 함께 도어 부품(12)이 가구 부품(1)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완전하게 피봇된다면, 캐리지(28)는 자유롭게 접근할 수 있는 입구(10) 영역 내로 전진하여 밀쳐질 수 있다. 이로써, 다른 저장용 칸막이(30)에대해 최상으로 접근할 수 있다. 특히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와이어 바스켓으로서 설계될 수 있는 제 1 저장용 칸막이(15)와 다른 저장용 칸막이(30)가 실제적인 전체 깊이와 가구 부품(1)의 실질적인 폭을 가릴 수 있으며, 이로써 공간을 최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8에서 제 1 프레임(13), 제 2 프레임(20), 안내 부품(25)을 구비한 가이드웨이(23)를 확대한 도면을 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프레임은 롤러 통로(36)에 의해 형성된 안내 수단(16)을 갖는다. 이 롤러 통로(36)들은 윙(19)에 고정된 다른 안내 수단(17)을 형성하는 안내 롤러(37)와 협동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따라서 제 1 프레임(13)은 윙(19)에 대해서 외향 당김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윙(19)은 수직축(18)을 중심으로 피봇할 수 있다. 이 수직축(18)은 제 2 프레임(20)에 고정된다. 제 2 프레임(20)은 볼 베어링 가이드(21)를 통하여 전방 측벽(4)에 연결되며, 따라서 이 전방 측벽(4)에 대하여 일정량 a만큼 전진하여 밀쳐질 수 있다(도 6 참조).
상술한 바와 같이, 안내 부품(25)으로서 역할하며 한 뭉치의 와이어(24)를 따라서 진행하는 핀(26)과 협동하여 가이드웨이(23)로서 역할하는 한 뭉치의 와이어(24)에 의해 가구 부품(1)으로부터 제 1 프레임(13)이 후퇴 및 피봇하면, 안내가 제한되어 제 1 프레임(13)으로부터 당겨지는 동안 수직축(18)을 중심으로 피봇한다. 개략적으로 도시한 클램프(38)를 통하여 제 2 프레임(20) 상에는 상응하는 굴곡이 형성되어 있는 한 뭉치의 와이어(24)가 고정된다.
제 2 프레임(20)으로 형성되거나 제 1 프레임(13)과 접하는 제 2 프레임 상에 배치된 핀으로 형성되어 있는 정지부(48)에 의해 완전 외향 피봇 위치가 제한될 수 있다.
상술한 단계들의 반대 순서에서는 제 1 프레임(13)의 후방 피봇과 내향 밀침이 얻어진다. 도 8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제 1 후방 피봇이 지배적인 운동을 이루며 그 후에 제 2 프레임(20)에 대한 제 1 프레임(13)의 이동이 운동의 주요 성분이 된다. 도 5 내지 도 8에서 확실하게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다시 한번 "외향 당김 피봇" 운동이나 각각의 "내향 밀침 피봇" 운동이 정확하게 제어되어 오조작이 발생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어 부품(12)과 함께 제 1 프레임(13)이 가구 부품(1)으로부터 후퇴하자마자, 전방 측벽(4)에 대하여 제 2 프레임(20)이 선형 가이드(21)를 통하여 이동한다. 이것은 한 뭉치의 핀(24, 26)들 사이에 임의의 마찰력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바깥쪽으로 당겨지자마자 먼저 수직축(18)이 전방 밀침 위치로 진행한다. 제 1 프레임(13)이 뒤쪽으로 피봇하며 가구 부품(1) 내로 뒤쪽으로 밀쳐질 때, 제 2 프레임과 이로 인한 수직축(18)은 전방 밀침 위치에 남아 있게 된다. 이것은 잠금 장치(39)를 통하여 이루어진다. 이 잠금 장치(39)는 도 5 내지 도 1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하부 바닥 부품의 구역에서 제 2 프레임(20)에 피봇 가능하게 고정되는 피봇 레버(40)로 구성된다. 피봇 레버(40)의 후방 단부상에는 롤러(41)가 피봇 가능하게 장착된다. 피봇 레버(40)의 전방 단부는 만곡 부품(42)을 갖는다. 제 1 프레임(13)과 제 2 프레임(20)의 내향 밀침 상태에서,만곡 부품(42)에 걸쳐서 제 1 프레임(13)이 위치하며, 이것은 롤러(41)와 함께 피봇 레버(40)가 후방 부분에서 상승된 상태에 있음을 의미한다. 제 2 프레임(20)이 전방 밀침 위치 내로 전진 이동할 때, 롤러(41)는 하부 바닥 부품(6) 상에 장착된 가로대(43)를 걸쳐서 이동한다. 제 1 프레임(13)으로부터 바깥쪽으로 계속해서 당겨져 피봇하자마자, 만곡 부품(42)은 풀리게 되며, 롤러(41)와 함께 피봇 레버(40)의 후방 부품이 스스로 내려져 가로대(43)의 전방에서 끝난다. 따라서, 제 2 프레임(20)은 도 6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 밀침 위치에서 잠겨진다.
그 결과, 제 1 프레임(13)이 가구 부품 내로 후방 피봇하며 밀쳐지는 동안, 먼저 제 2 프레임(20)이 전방 밀침 위치 내에서 정지 상태에 있게 된다. 제 1 프레임(13)이 피봇 레버(40)의 만곡 부품(42)의 구역에 도달할 때, 롤러(41)와 함께 피봇 레버(40)의 후방 영역이 들어 올려진다. 잠금 장치는 풀리고, 롤러(41)는 가로대(43)를 가로질러 구를 수 있는 데, 이것은 제 2 프레임(20)이 제 1 프레임(13)과 함께 내향 밀침 위치로 이동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어 부품(12)과 함께 제 1 프레임(13)이 저절로 내향 밀침 상태로부터 바깥쪽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 5 내지 도 8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제 1 프레임(13)에 고정된 볼트(45)가 맞물릴수 있는 하부 바닥 부품(6)에 고정된 스냅 장치(44)가 제공된다.
도 9와 도 10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후방벽(2), 상부 덮개 부품(5), 하부 바닥 부품(6)으로 이루어진 가구 부품(1) 내에는 제 1 프레임(13), 제 2 프레임(20), 윙(19)의 구조가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프레임(13)은 윙(19)에 고정된 롤러들이 구를 수 있는 롤러 통로(36)가 설치되어 있는 두 개의 안내 레일(35)을 갖는다. 마찬가지로, 핀(26)으로 설계된 안내 부품과 협동하며 가이드웨이로서 역할하는 한 뭉치의 와이어(24)를 볼 수 있다. 핀(26)은 제 1 프레임(13)과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며 한 뭉치의 와이어(24)가 놓여 있는 리세스(46)가 제공된다. 또한, 도 9와 도 10에서는 잠금 장치(39)와 가로대(43)의 배치를 볼 수 있다.
이 잠금 장치(39)는 도 11에서 다시 볼 수 있다. 제 1 프레임(13)의 영향하에서 피봇 레버(40)의 피봇팅을 볼 수 있으며, 실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은 내려앉은 상태에 있는 롤러(41)는 가로대(43)에서 접하고, 따라서 제 2 프레임(20)의 후방 밀침을 불가능하게 하며, 한편, 일점쇄선으로 표시한 피봇 레버(40)의 상승된 상태에서 롤러(41)는 잠금 위치에 해당하는 가로대(43)를 가로질러 이동할 수 있다.
도 1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캐리지(28)는 롤러(31 내지 34)들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바닥 부품(47)을 포함한다. 이 바닥 부품(47)에는 금속성의 프로파일 부분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실질적인 직사각형 모양을 이루는 수직 프레임(29)이 고정된다. 예를 들어 와이어 바스킷으로 제작된 다른 저장용 칸막이(30)는 이 수직 프레임(29) 내에 매달릴 수 있다. 롤러(31, 32)들은 후방벽(2)을 따라서 하부 바닥 부품(6) 상에 장착된 안내 레일(35)을 따라서 진행한다. 롤러(33, 34)들은 하부 바닥 부품(6) 상에서 자유롭게 구를 수 있도록 지지된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캐리지(28)는 입구(10)를 향하여 이동될 수 있으며, 이 입구는 제 1 프레임(13)이 가구 부품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당겨져 피봇될 때 손이나 가능한 경우에 다른 수단에 의해서 도달될 수 있다. 이로써, 다른 저장용 칸막이(30)에 접근할 수 있다. 제 1 프레임(13)이 여기에 매달린 제 1 저장용 칸막이(15)와 함께 가구 부품(1) 내로 다시 피봇되어 밀쳐지기 전에, 다른 저장용 칸막이(30)와 함께 캐리지(28)는 가구 부품(1)의 코너 영역 내로 뒤쪽으로 이동되어야 한다.
도 13 내지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구 부품(1)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 1 프레임(13)에는 볼 베어링 가이드(51)로서 설계된 안내 수단(16)이 제공되며, 이 수단에 의해서 제 1 프레임(13)이 상응하게 설치된 레일(52)을 따라서 이동될 수 있다. 축(18)을 중심으로 피봇 가능한 윙(19)에는 레일(52)이 장착된다. 마찬가지로, 축(18)을 중심으로 다른 안내 수단(17)이 피봇할 수 있으며, 이 수단은 두 개의 롤러(53, 54)들로 구성되고, 이 롤러들 사이에서 제 1 프레임(13) 상에 장착된 가로대(55)가 안내된다. 한 뭉치의 와이어(24)에 의해 형성된 가이드웨이가 가구 부품(1)에 고정된다. 핀(26)의 형태를 취하는 안내 부품(25)이 고정된 유지 클램프(56)가 제 1 프레임(13)의 후방 구역에 장착된다. 제 1 프레임(13) 상에는 저장용 칸막이(15)가 매달릴 수 있다.
도 14 내지 도 17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앵글 레버(57)가 가구 부품(1)의 하부 바닥 부품(6) 상에서 피봇 가능하게 배치된다. 레일(52)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유지된 안내 핀(59)과 하나의 아암(58)이 협동한다. 앵글 레버(57)의 다른아암(60)은 자체적으로 캐리지(28)에 연결된 연결 봉(61)과 관절식으로 연결된다.
제 1 외향 당김 스트래치가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은 완전 내향 밀침 상태로부터 도 15에 도시한 상태로 진행하는 동안, 핀(26)은 한 뭉치의 와이어(24)와 함께 만곡되며, 제 1 프레임(13)은 레일(52)과 함께 축(18)을 중심으로 피봇된다. 앵글 레버(57)는 실제적으로 이 상태에 머물러 있으며, 이로써 마찬가지로 캐리지는 움직이지 않는 상태로 남아 있다.
제 1 프레임(13)으로부터의 외향 당김 과정은 도 16에 도시한 상태에 도달할 때까지 계속된다. 제 1 프레임(13)에 고정된 도어 부품(12)은 다른 가구 부품(9)으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 안내되며, 이 부품 위에 장착된 임의의 다른 손잡이들은 우회된다.
도 16에 도시한 상태에서 도 17에 도시한 상태까지의 외향 당김 통로 중 비교적 짧은 마지막 부분에서, 축(18)을 중심으로 한 제 1 프레임(13)의 외향 피봇은 한 뭉치의 와이어(24)와 핀(26)을 통하여 조절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 상태 동안, 앵글 레버(57)도 또한 피봇되며, 캐리지는 이 캐리지의 저장용 칸막이(30)가 입구(10) 영역 내에 자리잡고 있는 후방 위치로 안내된다.
제 1 프레임(13)이 가구 부품(1) 내로 뒤쪽으로 피봇하고 안쪽으로 밀치는 동작은 역순서로 이루어진다.
또한, 여기서 설명한 하부 컵보드의 배치는 상부 컵보드에 대해서도 아무런 문제없이 사용할 수 있다. 이렇게 할 때는, 예를 들어 상부 커버 부품 상에 앵글레버가 장착될 수 있으며, 이로써 공간상의 잇점을 얻을 수 있다.

Claims (12)

  1. 실질적으로 직각의 코너를 형성하며, 두 개의 측벽(3, 4)들과, 후방벽(2)과, 상부 덮개 부품(5)과, 하부 바닥 부품(6)에 의해 형성되고, 전방면(8) 중 일 구역(7)이 인접한 다른 가구 부품(9)에 의해 가려져 있는 한편, 가구 부품(1)의 내부(11)에 대한 입구(10)를 형성하는 다른 구역은 도어 부품(12)에 의해 폐쇄될 수 있으며, 이때 도어 부품은 안내 수단(16)에 의해 가구 부품(1) 내로 밀려 들어가거나 후퇴할 수 있는 제 1 프레임(13) 상에 장착되고, 가구 부품(1) 내로 밀려 들어간 상태에서 제 1 프레임은 코너로부터 이격된 전방 측벽(4)과 인접하면서 실질적으로 평행하며, 상기 제 1 프레임 내에 제 1 저장용 칸막이(15)가 매달릴 수 있고, 또한 제 1 저장용 칸막이(15)의 폭은 입구(10)의 폭보다 작고, 안내 수단(16)과 협동하는 다른 안내 수단(17)이 상기 전방 측벽(4)의 전방 단부 구역에 배치된 수직축(18)을 중심으로 피봇 가능한 윙(19) 상에 장착되어 있는 구성의 가구 부품에 있어서,
    상기 수직축(18)에 대하여 고정된 가이드웨이(23)가 제공되며, 이 가이드웨이를 따라서 도어 부품(12)으로부터 이격된 단부 영역에서 제 1 프레임(13) 상에 장착되는 안내 부품(25)이 안내되고,
    상기 가이드웨이(23)는 가구 부품(1)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제 1 프레임(13)을 당길 때 외향 당김 경로의 최초 부분 동안 수직축(18)을 중심으로 제 1 프레임(13)의 최소 피봇이 이루어지며 외향 당김 경로의 마지막 부분 동안 완전 외향 피봇 위치로 피봇이 이루어지는 식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부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웨이(23)는 소망하는 굴곡이 제공된 와이어(24)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안내 부품(25)은 제 1 프레임(13) 내에 피봇 가능하게 삽입되며, 와이어(24)의 일부분이 삽입되어 적어도 부분적으로 유지되는 리세스(46)를 갖춘 핀(26)의 형태를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부품.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프레임(13)의 외향 피봇 위치는 정지부(48)에 의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부품.
  4. 제 1 항에 있어서, 수직 프레임(29)이 제공된 캐리지(28)는 후방벽(2)과 평행하게 가구 부품(1) 내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배치되고,
    다른 저장용 칸막이(30)가 상기 수직 프레임(29)에 매달릴 수 있고,
    상기 캐리지(28)가 코너 구역 내로 뒤쪽으로 밀쳐진 위치에 있을 때, 제 1 저장용 칸막이(15)와 함께 내향 밀침 상태의 제 1 프레임(13)을 위한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가구 부품(1)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당겨진 제 1 프레임(13), 도어 부품(12), 제 1 저장용 칸막이(15)와 함께, 캐리지(28)는 전방 밀침 위치로 안내될 수 있으며, 다른 저장용 칸막이(30)는 입구(30) 영역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부품.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수단(16)은 하부 바닥 부품(6)이나 상부 덮개 부품(5) 상에 피봇 가능하게 배치된 앵글 레버(57)에 연결되고, 상기 앵글 레버는 제 1 프레임(13)으로부터 바깥쪽으로 피봇하자마자, 캐리지(28)가 입구(10) 구역 내로 이동될 수 있는 식으로 자체적으로 캐리지(28)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부품.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지(28)에는 4개의 롤러(31 내지 34)들이 설치되며, 이 롤러들 중 가구 부품(1)의 후방벽(2)에 인접하게 배치된 2개의 롤러(31, 32)는 가구 부품(1) 내에 장착되어 후방벽(2)과 평행하게 연장된 가이드 레일(35) 내에서 길이방향으로 안내되고, 한편, 다른 두 개의 롤러(33, 34)들은 가구 부품(1)의 하부 바닥 부품(6) 상에서 자유롭게 굴러가도록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부품.
  7.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프레임(29)은 후방 측벽(3)을 향하는 캐리지(28)의 단부상에 배치되어 상기 후방 측벽(3)과 평행하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부품.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축(18)은, 전방 측벽(4)과 나란하게 배치되며 선형 가이드(21)에 의해 외향 당김 방향으로 전방 측벽(4)에 대하여 이동될 수 있는 제 2 프레임(20) 상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부품.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웨이(23)는 제 2 프레임(20) 상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부품.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측벽(4)에 대한 제 2 프레임(20)의 이동 경로의 단부 위치들은 정지부에 의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부품.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프레임(20)은 가구 부품(1) 내로 제 1 프레임(13)을 밀자마자 이 제 2 프레임(20)을 최종 전진 밀침 위치에 유지하는 잠금 장치(39)와 협동하고,
    상기 잠금 장치(39)는 제 1 프레임(13)이 내향 밀침 위치에 도달하려는 순간까지 풀리지 않으며,
    상기 잠금 장치(39)가 풀린 이후에는 제 1 프레임(13)과 제 2 프레임(20)이 가구 부품(1) 내의 내향 밀침 위치 내로 실질적으로 연합하여 밀려 들어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부품.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프레임(13)은 스냅 장치(44)에 의해 내향 밀침 위치 내에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부품.
KR10-2000-0023456A 1999-05-05 2000-05-02 가구 부품 KR1003840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99810392.3 1999-05-05
EP99810392A EP1050247A1 (de) 1999-05-05 1999-05-05 Schrankelement
EP00810212.1 2000-03-13
EP00810212A EP1050246B1 (de) 1999-05-05 2000-03-13 Schrankele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7036A KR20010007036A (ko) 2001-01-26
KR100384083B1 true KR100384083B1 (ko) 2003-05-14

Family

ID=26073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3456A KR100384083B1 (ko) 1999-05-05 2000-05-02 가구 부품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1050246B1 (ko)
KR (1) KR100384083B1 (ko)
CN (1) CN1153536C (ko)
TW (1) TW50309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MI20050786A1 (it) 2005-04-29 2006-10-30 Formenti & Giovenzana Accessorio per un mobile
ITBO20050305A1 (it) * 2005-05-03 2005-08-02 Taking S R L Sistema per la movimentazione di unita' in un elemento di mobile
PL1974631T3 (pl) * 2007-03-24 2009-10-30 Vauth Sagel Holding Gmbh & Co Kg Wysuwane okucie do szafki ze skośną ścianką przednią
IT1392186B1 (it) * 2008-12-12 2012-02-22 G L Di Gasperin Lorenzo Snc Apparato per l'estrazione parziale e temporanea di un carrello da un mobile d'angolo
CN102450872A (zh) * 2010-10-19 2012-05-16 蔡信展 吊柜装置
CN109043859B (zh) * 2018-09-13 2024-01-26 江苏环亚医用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洁净手术室的内腔可调式储物柜
GB2582560B (en) * 2019-03-22 2022-12-21 Nicolaou Thalis Storage system
EP3804564B1 (de) * 2019-10-10 2023-08-30 Peka-Metall AG Auszugvorrichtung für einen eckschrank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626520A5 (en) * 1978-10-09 1981-11-30 Elfa System Sa Frame inserted in a space in a kitchen cupboard and removable therefrom, for supporting objects
DE8910549U1 (de) 1989-09-04 1989-12-14 Stalder, Fritz, Burgdorf Möbeleinheit zum Aufstellen in einer rechtwinkligen Ecke eines Raumes
DE19514009A1 (de) * 1995-04-13 1996-10-17 Vauth Sagel Gmbh & Co Eckschrank zum Aufstellen in einer Raumecke
ATE201309T1 (de) * 1996-05-06 2001-06-15 Peka Metall Ag Hebelsystem zum verschieben eines in einem eckmöbelelement verschiebbar gehaltenen inneren einbauteils
DE29902660U1 (de) * 1999-02-15 1999-04-29 Yang, Oni, Taipeh/T&Ccaron;ai-pei Speichereinrichtung zur Installation in Ecken von Räum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73070A (zh) 2000-11-15
EP1050246A3 (de) 2004-05-26
CN1153536C (zh) 2004-06-16
TW503090B (en) 2002-09-21
EP1050246B1 (de) 2005-06-15
EP1050246A2 (de) 2000-11-08
KR20010007036A (ko) 2001-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08791B2 (en) Guide system for furniture parts
TWI665373B (zh) 用於家具部件的軌道配置
US4525012A (en) Locking apparatus for drawers and the like
CA2227355C (en) Basket mounting arrangement for a refrigerator
US20070262682A1 (en) Rotation and pull-out fitting for a corner cabinet
JP7271725B2 (ja) 少なくとも1つの戸をガイドするガイドシステム
JP2020518741A (ja) 扉をガイドするためのガイドシステム
KR100384083B1 (ko) 가구 부품
CN112118769B (zh) 家具或家用电器的搁架的滑动枢转机构以及家具或家用电器
JP4879638B2 (ja) 両側で引出すことのできる自立型ボックスのための引出し
CN112135550B (zh) 家具或家用电器的架子的滑动枢转机构以及家具或家用电器
KR200486241Y1 (ko) 인출식 밥통장
EP2801686B1 (en) Opening ddevice for coplanar doors
JPH085615Y2 (ja) 棚付の収納ボックス
KR100679652B1 (ko) 냉장고용 서랍식 도어장치
JP7479464B2 (ja) 引出しのための引出しガイド
EP1565894A1 (en) Packaged product vending machine
KR200341131Y1 (ko) 서랍형 공구함
JPH07124096A (ja) 洗浄機
JP3501005B2 (ja) 引出しの構造
KR101187135B1 (ko) 냉장고용 트레이 인출장치
KR200329214Y1 (ko) 코너 싱크대 선반의 슬라이딩 인출장치
JPH0318616Y2 (ko)
KR20110003607A (ko) 도어 개폐구조
KR100356561B1 (ko) 장롱의 상부 수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