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8485A - 카테터 기구들을 선택적으로 전개하기 위한 디바이스들 및 방법들 - Google Patents

카테터 기구들을 선택적으로 전개하기 위한 디바이스들 및 방법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8485A
KR20210008485A KR1020207032773A KR20207032773A KR20210008485A KR 20210008485 A KR20210008485 A KR 20210008485A KR 1020207032773 A KR1020207032773 A KR 1020207032773A KR 20207032773 A KR20207032773 A KR 20207032773A KR 20210008485 A KR20210008485 A KR 202100084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heter
needle
instrument
distal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27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이클 지. 컬리
프레드릭 제이. 김
마이클 티. 하워드
에릭 델리
그레고리 알. 에베를
제프리 제이. 레시카
Original Assignee
써메디컬,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써메디컬,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써메디컬,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2100084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84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18/1492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having a flexible, catheter-like structure, e.g. for heart ab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67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distal end, e.g. tips
    • A61M25/0082Catheter tip comprising a tool
    • A61M25/0084Catheter tip comprising a tool being one or more injection 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18/1477Needle-like pro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67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distal end, e.g. tips
    • A61M25/0068Static characteristics of the catheter tip, e.g. shape, atraumatic tip, curved tip or tip structure
    • A61M25/007Side holes, e.g. their profiles or arrangements; Provisions to keep side holes unblock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67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distal end, e.g. tips
    • A61M25/0074Dynamic characteristics of the catheter tip, e.g. openable, closable, expandable or deform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105Steering means as part of the catheter or advancing means; Markers for positioning
    • A61M25/0133Tip steering devices
    • A61M25/0147Tip steering devices with movable mechanical means, e.g. pull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005Cooling or heating of the probe or tissue immediately surrounding the probe
    • A61B2018/00011Cooling or heating of the probe or tissue immediately surrounding the probe with fluids
    • A61B2018/00029Cooling or heating of the probe or tissue immediately surrounding the probe with fluids op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005Cooling or heating of the probe or tissue immediately surrounding the probe
    • A61B2018/00041Heating, e.g. defros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57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achieving a particular surgical effect
    • A61B2018/00577Ab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2018/04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the surgical action being effected by a circulating hot fluid
    • A61B2018/046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the surgical action being effected by a circulating hot fluid in liquid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2018/1405Electrodes having a specific shape
    • A61B2018/1425Need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2018/1475Electrodes retractable in or deployable from a hous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3Automatic limiting or abutting means, e.g. for safety
    • A61B2090/033Abutting means, stops, e.g. abutting on tissue or skin
    • A61B2090/034Abutting means, stops, e.g. abutting on tissue or skin abutting on parts of the device itsel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218/00Details of 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218/001Details of 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having means for irrigation and/or aspiration of substances to and/or from the surgical site
    • A61B2218/002Irrig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67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distal end, e.g. tips
    • A61M25/0082Catheter tip comprising a tool
    • A61M25/0084Catheter tip comprising a tool being one or more injection needles
    • A61M2025/0089Single injection needle protruding axially, i.e. along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catheter, from the distal ti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2/00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 A61M2202/04Liquids
    • A61M2202/0468Liquids non-physiologic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05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combined with other kinds of therapy
    • A61M2205/054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combined with other kinds of therapy with electro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6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related to heating or cooling
    • A61M2205/3653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related to heating or cooling by Joule effect, i.e. electric resistanc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Surgery (AREA)
  • Plasma & Fu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tolaryng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di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전개가능한 기구들(예, 바늘들)을 가진 카테터들은 기구가 사용 중에 의도하지 않게 전개되면 조직을 손상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에는 전개가능한 카테터 기구의 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디바이스들 및 방법들이 설명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서, 카테터는 카테터의 내부 루멘 내부에 슬라이딩되게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에 결합된 기구, 및 카테터에 결합된 후퇴 스탑을 포함할 수 있다. 카테터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가 후퇴 스탑에 접촉하도록 기구를 근위로 압박할 수 있는 기구에 결합된 편향 요소 및 기구와 선택적으로 맞물리고 그것을 원위로 압박하는 전진 메커니즘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편향 요소는 생략될 수 있고, 전개 스탑은 후퇴 스탑에 대해 원위에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들은 의도하지 않은 기구의 전개를 방지하고 기구 전개 중에 더 높은 포지셔닝 정밀도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카테터 기구들을 선택적으로 전개하기 위한 디바이스들 및 방법들
관련 출원들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인용에 의해 그 전체 내용이 본 명세서에 통합되는 "카테터 기구들을 선택적으로 전개하기 위한 디바이스들 및 방법들"이라는 명칭으로 2018년 5월 3일에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번호 15/970,543의 우선권을 주장한다.
본 개시는 일반적으로 수술 기구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수술 절차에 사용하기 위한 전개가능한(deployable) 기구들을 가진 카테터(catheter)들에 관한 것이다.
카테터들은 환자의 신체 내부의 특정 위치에 기구들 및 의약품들을 전달하기 위한 수술 절차에서 널리 사용된다. 예를 들어, 카테터들은 환자의 순환계 속으로 삽입되어 환자의 혈관을 통해 신체의 다양한 영역들(예, 심장)로 이동할 수 있다. 카테터의 사용은 환자의 신체 내부로 접근하는데 필요한 것보다 더 최소 침습적 절차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환자의 순환계의 보통의 구불구불한 경로들을 탐색하기 위해, 카테터들은 그들이 수술 부위를 향해 전진할 때 환자의 신체 외부로부터 카테터들이 조향(steer)될 수 있게 하는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카테터를 조향하기 위한 다양한 알려진 메커니즘들이 있지만, 대부분은 그 원위부로부터 환자의 신체 외부에 있는 핸들 또는 다른 제어 어셈블리까지 카테터의 측벽을 관통하여 길이방향으로 통과하는 하나 이상의 조향 케이블들의 사용을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조향 케이블들을 밀거나 당기면, 카테터를 일 방향 또는 다른 방향으로 구부러지게 할 수 있다.
카테터들은 수술 중 임의의 다양한 수술 기구들을 전달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하나의 일반적인 예는, 치료 부위에서 조직 속으로 침투하여 치료 유체, 에너지 등을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바늘과 같은 전개가능한 가늘고 긴(elongate) 몸체이다. 전개가능한 바늘은 카테터의 내부 루멘 내부에 슬라이딩되게 배치될 수 있고, 수술 부위로 전달하는 동안 카테터의 원위부로 후퇴될 수 있다. 그런 다음, 카테터가 수술 부위에 위치된 후 그것은 선택적으로 전개될 수 있다.
바늘, 다른 가늘고 긴 몸체 또는 다른 수술 기구의 선택적 후퇴 및 전개는, 예컨대, 유연하고 실질적으로 비압축성인 튜브와 같은 연결 부재를 통해 일반적으로 바늘을 환자의 신체의 외부에 있는 핸들 또는 다른 제어 어셈블리에 연결함으로써 가능하게 된다. 핸들 또는 제어 어셈블리에서 접근할 수 있는 바늘(또는 연결 부재)의 일부를 조작함으로써, 사용자는 카테터의 원위단에서 바늘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카테터에 대한 바늘의 위치는 디바이스의 근위단에서 설정된다.
이러한 디바이스들이 직면하는 한 가지 문제는, 조향 동안 카테터의 짧아짐(shortening)으로 인해 바늘, 다른 가늘고 긴 몸체 또는 다른 수술 기구의 부주의한 전개이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카테터의 조향은 카테터의 측벽을 통해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와이어들을 밀거나 당김으로써 달성된다. 이러한 작동은 카테터의 일부가 수축되거나 압축되어 방향이 변경됨으로써 전체 길이가 짧아지게 된다. 이러한 짧아짐은 카테터의 원위부를 따라 발생하지만,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카테터에 대한 바늘 또는 다른 기늘고 긴 몸체의 위치는 디바이스의 근위단에서 설정된다. 그 결과, 카테터의 원위부가 압축되어 구부러짐에 따라, 카테터의 내부 루멘 내부의 바늘의 부동(floating) 원위팁(tip)이 노출될 수 있다.
조직을 관통하도록 구성된 바늘, 다른 가늘고 긴 몸체, 또는 다른 기구의 부주의한 노출은 수술 절차 동안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출된 바늘은 카테터가 수술 부위의 위치 속으로 조향될 때 의도하지 않게 조직을 손상시킬 수 있다.
또한, 조향 동안 카테터와 바늘 사이의 상대적인 움직임 때문에, 바늘 또는 다른 가늘고 긴 몸체가 수술 부위에 위치되면 그것이 카테터의 원위단로부터 얼마나 멀리 확장되었는지를 사용자들이 정확하게 알 수 없다. 이것 역시 카테터에 대한 바늘의 위치가 환자의 신체의 외부에 있는 디바이스의 근위단에서 설정되기 때문이다. 임의의 조향이 일어나기 전에, 카테터 내부 루멘 속으로 바늘이 특정 양만큼 리세스되도록 초기에 위치가 설정될 수 있지만, 카테터가 조향 상태일 때 바늘을 전진시키는 동안 카테터의 원위단에 대해 바늘이 어떻게 움직이는지 사용자가 알 수 없다. 따라서, 예컨대, 카테터의 원위단으로부터 바늘을 특정 거리만큼 확장시키기 위해, 사용자는 수술 부위에서 바늘의 전진을 정확하게 제어할 수 없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이전의 시도들은 조향 중에 바늘 팁의 부주의한 노출을 방지하기 위해 바늘 또는 다른 가늘고 긴 몸체를 카테터 내부 루멘 내에서 더 리세스(recess)되게 만드는데 초점을 맞추어 왔다. 그러나, 이것은, 임의의 조향 메커니즘의 원위에 있고 가늘 긴 몸체 또는 기타 기구를 수용하는 카테터의 더 긴 원위부를 생성하여 카테터의 기동성을 저하시기 때문에, 문제가 된다. 또한, 수술 부위에 바늘을 위치시킨 후 바늘을 정확하게 전개시키는 문제를 해결하는데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는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려는 다른 시도들은, 카테터 속으로 뻣뻣한 서포트 와이어를 부가하여 압축률을 낮추는 것과 관련이 있었지만, 이것 역시 카테터의 조향 성능을 저하시킨다.
따라서, 카테터 바늘들 또는 다른 수술 기구들을 선택적으로 전개하기 위한 개선된 디바이스들과 방법들이 필요하다. 특히, 카테터를 조향하는 동안 이러한 기구들의 부주의한 노출을 방지하고, 수술 부위에 카테터가 위치되었을 때 그러한 기구들을 보다 정확하게 확장할 수 있는 개선된 디바이스들 및 방법들이 필요하다.
본 개시는 일반적으로 당업계의 전술한 요구들을 해결하는 것들 중에서도, 카테터 바늘들 또는 다른 수술 기구들을 선택적으로 전개시키기 위한 디바이스들 및 방법들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디바이스들 및 방법들은, 일반적으로 카테터에 결합된 후퇴 스탑(retraction stop)에 대해 바늘 또는 다른 기구의 일부가 유지되도록 전개가능한 바늘 또는 다른 수술 기구를 근위로(proximally) 편향(bias)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심지어, 카테터의 극심한 조향에도 불구하고, 카테터의 원위단에 대한 바늘 또는 다른 기구의 정확한 위치가 유지될 수 있도록, 카테터의 원위단 근처의 위치에 후퇴 스탑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디바이스들 및 방법들은, 카테터의 원위단으로부터 기구를 전개시키기 위한 편향력(biasing force)에 대해 바늘 또는 다른 기구를 원위로(distally) 선택적으로 압박할 수 있는 전진(advancing) 메커니즘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명세서에 설명된 디바이스들 및 방법들은 조향 작업 동안 카테터 내부에서 이동되는 기구의 부주의한 전개를 방지할 수 있고, 수술 부위에 카테터가 위치되었을 때 기구를 정확하게 전개할 수 있다.
일 측면에서, 카테터의 내부 루멘 내부에 슬라이딩되게 배치된 기구를 포함하는 카테터가 제공되고, 기구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protrusion)에 결합된다. 카테터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에 대해 근위에 있는 카테터에 결합된 후퇴 스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기구에 결합되고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가 후퇴 스탑에 맞닿을 수 있게 기구를 근위로 압박하도록 구성된 편향 요소가 있을 수 있다. 카테터는 기구와 선택적으로 맞물리고 카테터에 대해 기구를 원위로 압박하도록 구성된 전진 메커니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카테터는 본 개시의 범위에 속하는 다양한 수정들 및/또는 부가적인 특징들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들에서, 카테터는 카테터를 통해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제어 케이블들을 사용하여 조향가능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하나 이상의 제어 케이블들은 후퇴 스탑에 대해 근위에 있는 위치에서 종결될 수 있다. 이것은 카테터의 조향 중에 카테터의 원위부가 후퇴 스탑을 넘어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카테터의 조향 중에 원위부의 짧아짐이 발생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전진 메커니즘은 기구의 근위부에 결합된 탭(tab) 또는 기타 사용자-작동(actuated) 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탭 또는 핸들은 기구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전진 메커니즘은 기구와 선택적으로 결합하기 위한 클러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늘의 경우, 사용자가 카테터 내부 루멘으로부터 바늘을 전개시키고자 할 때, 클러치는 바늘 또는 바늘에 결합된 중간 컴포넌트와 맞물릴 수 있다. 전개가 요구되지 않을 때, 클러치는 바늘 또는 중간 컴포넌트로부터 분리될 수 있으므로, 바늘은 편향 요소에 의해 후퇴 스탑에 대해 근위로 당겨질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클러치는 핸들 조립체 내부의 카테터의 근위부 내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들에서, 전진 메커니즘은 기구를 미리결정된 거리만큼 원위로 압박하도록 선택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미리결정된 거리 증분(increment)들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카테터는 전진 메커니즘이 기구와 맞물릴 때 활성화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인디케이터 라이트(indicator light)를 포함할 수 있으므로, 기구가 카테터의 원위단로부터 연장될 수 있거나, 카테터 내부의 기구의 위치가 더 이상 편향 요소에 의해 제어되지 않기 때문에 부주의하게 전개될 수 있음을 사용자에게 경고할 수 있다. 클러치의 활성화, 탭 또는 핸들의 이동 또는 임의의 다른 종류의 전진 메커니즘의 작동시, 인디케이터 라이트가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편향 요소는 또한 핸들 조립체 내부의 카테터의 근위부에 위치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그것은 카테터의 원위단에 위치될 수 있다. 편향 요소는 다양한 형태들을 가질 수 있고, 기구 또는 기구에 결합된 중간 컴포넌트를 카테터의 근위단을 향해 밀거나 당기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가 후퇴 스탑에 접할 때 기구의 원위 팁이 카테터의 원위 팁에 근접하도록 후퇴 스탑이 위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후퇴 스탑은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가 후퇴 스탑에 접할 때 기구의 원위 팁이 카테터의 원위 팁과 동등하게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포지셔닝(positioning)은 카테터가 조향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신체를 통해 이동할 때 기구의 원위단이 조직을 손상시키지 않음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전진 메커니즘은 기구의 원위 팁이 카테터의 원위 팁에 대해 원위에 있도록 기구를 원위로 전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편향 요소는 카테터로부터 기구를 연장하기 위해 전진 메커니즘이 이용될 때까지 기구가 카테터 내부 루멘 내부에서 리세스되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는 유체가 그곳을 통해 유동할 수 있도록 그 내부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유체 채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것은 카테터의 내부 루멘이 사용 중에 체액 또는 기타 오염 물질로부터 깨끗하게 플러시(flush)되게 할 수 있다. 유체 통로들은 단일 채널 내지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 위로 연장되는 복수의 채널들에 이르는 다양한 모양들과 크기들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그 원위부 상에 형성된 후퇴 스탑을 포함하는 내부 루멘이 관통 연장되는 카테터를 구비하는 절제(ablation)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절제 디바이스는 카테터의 내부 루멘 내부에 슬라이딩되게 배치된 바늘을 더 구비하고, 바늘은 내부 루멘, 그 원위부 상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출구 포트, 및 출구 포트에 근접하고 카테터 내부 루멘 상의 후퇴 스탑에 원위로 그 외부 표면 상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절제 디바이스는 바늘의 원위부 상에 배치되고 조직을 절제하도록 구성된 절제 요소, 및 바늘에 결합되고 바늘 상의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가 카테터 내부 루멘 상의 후퇴 스탑에 맞닿도록 바늘을 근위로 압박하도록 구성된 편향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절제 디바이스는 카테터에 대해 바늘을 원위로 선택적으로 압박하도록 구성된 전진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카테터와 유사하게, 절제 디바이스는 다양한 수정들 및/또는 부가적인 특징들을 가질 수 있고, 이들 모두는 본 개시의 범위 내에 고려된다. 예를 들어, 특정 실시예들에서, 카테터를 통해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케이블들을 사용하여 절제 디바이스의 카테터들이 조향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편향 요소는 핸들 조립체 내부의 카테터의 근위부에 위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전진 메커니즘은 바늘에 선택적으로 결합되거나, 바늘에 결합된 중간 컴포넌트에 결합되는 클러치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클러치는 핸들 조립체 내부의 카테터의 근위부에 위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들에서, 후퇴 스탑은,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가 후퇴 스톱에 접할 때, 바늘의 원위 팁이 카테터의 원위 팁에 대해 근위가 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후퇴 스톱은,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가 후퇴 스톱에 접할 때, 바늘의 원위 팁이 카테터의 원위 팁과 동등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들에서, 전진 메커니즘은 바늘의 원위 팁이 카테터의 원위 팁에 대해 원위에 있도록 바늘을 전진시키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들에서, 바늘 상의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는 그곳을 통해 유체가 유동할 수 있도록 그 내부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유체 채널들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절제 디바이스는 바늘의 바늘 루멘 내부에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출구 포트에 대해 근위인 그 원위부 내부에 위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열 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가열 요소는 바늘 루멘을 통해 유동하는 유체를 가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카테터로부터 도구를 선택적으로 전개시키기 위한 방법이 제공되고, 방법은 기구에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가 카테터의 원위부에 결합된 후퇴 스탑에 맞닿도록 카테터의 내부 루멘 내부에 슬라이딩되게 배치된 도구를 카테터의 근위단을 향해 압박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방법은, 카테터 내부에서 기구의 움직임을 제어하기 위해 전진 메커니즘을 기구에 결합시키는 단계, 및 카테터에 대해 기구를 원위로 압박하도록 전진 메커니즘를 작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카테터에 대해 기구를 원위로 압박하는 것은, 기구의 원위 팁이 카테터의 원위 팁에 대해 근위에 있는 제1 위치로부터 기구의 원위 팁이 카테터의 원위 팁에 대해 원위에 있는 제2 위치까지 기구를 전진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카테터에 대해 기구를 원위로 압박하는 것은, 기구의 원위 팁이 카테터의 원위 팁과 동등한 제1 위치로부터 기구의 원위 팁이 카테터의 원위 팁에 대해 원위에 있는 제2 위치로 기구를 전진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기구가 카테터의 원위로 연장하는 다양한 거리들을 제공하기 위해 임의의 갯수의 부가적인 위치들이 포함될 수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방법은 카테터를 환자의 신체 내부의 위치로 조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것은 위에서 설명된 하나 이상의 제어 케이블들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들에서, 기구는 바늘일 수 있고, 방법은 바늘의 바늘 루멘 및 바늘의 원위부 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출구 포트를 통해 조직 속으로 유체를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들에서,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출구 포트에 대해 근위에 있는 바늘 루멘 내부에 위치된 가열 요소를 사용하여 조직 속으로 전달된 유체를 가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방법은 바늘의 원위부에 배치된 절제 요소로부터 조직 속으로 절제 에너지를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방법은 전진 메커니즘을 기구에 결합할 때, 적어도 하나의 인디케이터 라이트를 활성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인디케이터 라이트는, 기구가 카테터의 원위단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거나, 예를 들어, 카테터 조향 동안 의도하지 않은 전개가 가능하다는 피드백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카테터의 내부 루멘 내부에 슬라이딩되게 배치된 기구를 포함할 수 있는 카테터가 제공되며, 기구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에 결합된다. 카테터는 카테터에 결합된 후퇴 스탑, 및 카테터에 결합되고 후퇴 스탑에 대해 원위에 배치된 전개(deployment) 스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카테터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가 후퇴 스탑과 접촉하는 제1 위치와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가 전개 스탑과 접촉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카테터에 대해 기구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전진 메커니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측면들 및 실시예들에서와 같이, 다수의 변형들 및/또는 대체들이 가능하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예를 들어, 전개 스탑은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카테터의 측벽 내에 형성된 그루브의 원위단일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카테터는 카테터의 측벽 내에 형성된 제2 그루브의 원위단에 있는 제2 전개 스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실시예들에서, 기구의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한 기구의 회전은 그루브와 제2 그루브 중 어떤 그루브가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수용하는지 선택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그루브는 구불구불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전이(transition)에 의해 연결된 복수의 길이방향-연장 부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실시예들에서, 기구의 임의의 근위 및 원위 병진 이동은 복수의 길이방향-연장 부분들의 하나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이동시킬 수 있고, 기구의 회전은 적어도 하나의 전이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전개 스탑은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수용하기 위해 그 내부에 형성된 관통 구멍을 가진 벌크헤드(bulkhead)일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 및 관통 구멍은, 제1 방향에서 관통 구멍을 통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의 통과를 허용하고 제2 방향에서 관통 구멍을 통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의 통과를 방지하기 위한 상보적인 형상들을 가질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후퇴 스탑에 대한 전개 스탑의 위치는 조정(adjust)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들에서, 전개 스탑은 기구에 대해 카테터의 내부 루멘 내부에 배치된 중간(intermediate) 샤프트에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나사 결합 등에 의한, 카테터에 대한 중간 샤프트의 이동은, 후퇴 스톱에 대한 전개 스톱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전개 스탑은 카테터의 측벽 내에 형성된 멈춤쇠(detent)일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는 그와 정렬될 때 멈춤쇠 속으로 연장되도록 편향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카테터들은 카테터에 대한 기구의 전진 또는 후퇴의 상이한 간격들을 허용하기 위해 부가적인 전개 스탑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카테터들은 기구에 결합된 편향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테터에 대한 기구의 움직임을 제어하기 위해 후퇴 스탑과 전개 스탑 모두가 사용되는 경우, 그러한 요소가 필요하지 않지만,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임의의 특징들 또는 변형들은 본 개시의 임의의 특정 측면 또는 실시예에 다수의 상이한 조합으로 적용될 수 있다. 임의의 특정 조합의 명시 적 언급이 없는 것은 전적으로 요약에서 반복을 피하기 위한 목적이다.
위에서 설명된 본 개시의 측면들 및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함께 취해진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보다 완전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선택적으로 전개가능한 기구를 가진 카테터 디바이스의 일 실시예의 예시이다.
도 2는 선택적으로 전개가능한 기구를 가진 카테터 디바이스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카테터 디바이스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카테터 디바이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a는 후퇴된 구성에서 도 2의 카테터 디바이스의 원위단의 사시도이다.
도 5b는 도 5a의 카테터 원위단의 절개 사시도이다.
도 5c는 도 5a의 카테터 원위단의 단면도이다.
도 6a는 부분적으로 전개된 구성에서 도 2의 카테터 디바이스의 원위단의 절단 사시도이다.
도 6b는 도 6a의 카테터 원위단의 단면도이다.
도 7a는 완전히 전개된 구성에서 도 2의 카테터 디바이스의 원위단의 사시도이다.
도 7b는 도 7a의 카테터 원위단의 절개 사시도이다.
도 7c는 도 7a의 카테터 원위단의 단면도이다.
도 8a는 후퇴된 구성에서 도 2의 카테터 디바이스의 원위단의 대안적인 분리 사시도이다.
도 8b는 도 8a의 카테터 원위단의 상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2의 카테터 디바이스의 근위단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2의 카테터 디바이스의 근위단의 대안적인 부분 도면이다.
도 10a는 도 10의 카테터 근위단의 상세도이다.
도 11은 도 2의 카테터 디바이스의 근위부의 다른 대안적인 사시도이다.
도 12는 전진 메커니즘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3a는 결합해제된 구성에서 도 12의 전진 메커니즘의 정면도이다.
도 13b는 결합된 구성에서 도 12의 전진 메커니즘의 정면도이다.
도 14a는 도 2의 디바이스 내부의 결합해제된 구성에서 도 12의 전진 메커니즘의 정면도이다.
도 14b는 도 2의 디바이스 내부의 결합된 구성에서 도 12의 전진 메커니즘의 정면도이다.
도 15는 도 12의 전진 메커니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6은 전진 메커니즘 내에서 이용될 수 있는 클러치 메커니즘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7a는 결합해제된 구성에서 도 16의 클러치 메커니즘의 정면도이다.
도 17b는 결합된 구성에서 도 16의 클러치 메커니즘의 정면도이다.
도 18은 도 16의 클러치 메커니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9a는 베어링 조립체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9b는 도 19a의 베어링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20a는 결합해제된 구성에서 도 2의 카테터 디바이스의 근위부의 사시도이다.
도 20b는 결합된 구성에서 도 2의 카테터 디바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20c는 전개된 구성에서 도 20a의 카테터 디바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20d는 전개된 구성에서 도 20a의 카테터 디바이스의 대안적인 사시도이다.
도 21a는 도 20a의 카테터 디바이스의 절개 사시도이다.
도 21b는 도 20b의 카테터 디바이스의 절개 사시도이다.
도 21c는 도 20c의 카테터 디바이스의 절개 사시도이다.
도 22a는 도 20a의 카테터 디바이스의 단면도이다.
도 22b는 도 20b의 카테터 디바이스의 단면도이다.
도 22c는 도 20c의 카테터 디바이스의 단면도이다.
도 23은 선택적으로 전개가능한 기구를 가진 카테터 디바이스의 다른 실시예의 근위단의 부분 도면이다.
도 24는 도 23의 카테터 디바이스의 전진 메커니즘의 사시도이다.
도 25는 도 24의 전진 메커니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6은 도 26의 클러치 메커니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7a는 결합해제된 구성에서 도 24의 전진 메커니즘의 정면도이다.
도 27b는 연결된 구성에서 도 24의 전진 메커니즘의 정면도이다.
도 28은 카테터 디바이스 하우징 내부의 결합해제된 구성에서 도 24의 전진 메커니즘의 정면도이다.
도 29는 복수의 전개 스탑들을 구비하는 선택적으로 전개가능한 기구를 가진 카테터 디바이스의 일 실시예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30은 복수의 전개 스탑들을 구비하는 선택적으로 전개가능한 기구를 가진 카테터 디바이스의 다른 실시예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31은 복수의 전개 스탑들을 구비하는 선택적으로 전개가능한 기구를 가진 카테터 디바이스의 또 다른 실시예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32는 복수의 전개 스탑들을 구비하는 선택적으로 전개가능한 기구를 가진 카테터 디바이스의 또 다른 실시예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33은 복수의 전개 스탑들을 구비하는 선택적으로 전개가능한 기구를 가진 카테터 디바이스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34는 복수의 전개 스탑들을 구비하는 선택적으로 전개가능한 기구를 가진 카테터 디바이스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명세서에 개시된 디바이스들 및 방법들의 원리에 대한 전체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특정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설명될 것이다. 이들 실시예의 하나 이상의 예들은 첨부된 도면들에 예시되어 있다.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설명되고 첨부된 도면들에 도시된 디바이스들 및 방법들이 비-제한적인 예시적인 실시예들이고 본 개시의 범위가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의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와 관련하여 예시되거나 설명된 특징들은 다른 실시예들의 특징들과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수정들 및 변경들은 본 개시의 범위 내에 포함되도록 의도된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선택적으로 전개가능한 수술 기구들(예, 바늘들과 같은 가늘고 긴 몸체 등)를 가진 카테터들은 오늘날 의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또한, 카테터의 방향을 변경하기 위해 밀려지거나 당겨질 수 있는 카테터의 측벽을 통해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와이어들을 사용하여, 이러한 기구들을 운반하는 카테터들은 종종 조향할 수 있다. 그러나, 조향 동작은 카테터의 길이를 짧게 하고, 카테터의 원위단으로부터 바늘 또는 기타 기구를 부주의하게 돌출시킬 수 있다. 이것은 바늘 또는 기타 기구가 일반적으로 환자의 신체 외부에 있는 디바이스의 근위단에서만 카테터 본체를 기준으로 하기 때문이다. 굽어짐(bending)과 압축으로 인해 짧아짐이 발생하는 카테터의 원위부를 따라, 바늘이 자유롭게 떠다니고 종종 카테터 측벽은 이와 같은 짧아짐을 경험하지 않는다. 바늘 또는 기타 기구 팁의 카테터 원위단으로부터의 부주의한 돌출은 주변 조직을 손상시킬 수 있다.
더욱이, 카테터가 제 자리에 위치되면, 카테터의 원위단에 대한 바늘 또는 다른 기구의 위치를 정밀하게 결정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다시 말하지만, 이것은 기구와 카테터의 상대적 위치들이 환자의 신체 외부에 있는 디바이스의 근위단에서만 설정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설정은 비-조향(un-steered) 구성에 있을 때 카테터 원위단에 대한 바늘 또는 기타 기구의 정확한 위치를 나타낼 수 있지만, 조향 동안 카테터와 바늘의 원위부의 움직임은 그들의 상대적 위치들을 변경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외과 의사 또는 다른 사용자는, 바늘 또는 다른 기구의 특정 간격(예, 5mm)만큼의 디바이스의 근위단의 확장이 카테터의 원위단으로부터 기구가 실제로 그 간격만큼 확장된다고 확신할 수 없다. 바늘 또는 기타 기구가 카테터의 원위단으로부터 확장될 때 정밀도와 정확성이 부족하면, 수술 부위의 조직이 극도로 얇아질 수 있기 때문에,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디바이스들 및 방법들은, 카테터의 원위부를 따라 위치되는 바늘 또는 다른 수술 기구에 대한 기준 데이터를 제공함으로써, 선행기술의 이러저러한 단점들을 극복한다. 바늘 또는 다른 기구는 카테터의 원위부를 따라 형성된 후퇴 스탑과 인터페이스하도록 구성된 피처(feature)를 포함할 수 있으므로, 바늘 또는 다른 기구와 카테터의 원위 팁들의 관계가 알려질 수 있는 기준 위치를 생성한다. 카테터 본체 내의 임의의 유연성(즉, 조향으로 인한 있을 수 있는 짧아짐)이 기준 위치에 대해 근위로 발생하도록, 이러한 기준 위치는 임의의 조향 메커니즘에 대해 원위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기준 위치에서 카테터의 후퇴 스탑에 대해 바늘 또는 다른 기구가 당겨질 때마다, 카테터의 최-원위부를 따르는 바늘 또는 다른 수술 기구 및 카테터의 상대적 위치들은 확실하게 알려질 수 있다.
바늘 또는 다른 수술 기구 및 카테터의 상대적 위치들이 조향 작업 동안 변경되지 않도록 보장하기 위해, 바늘 또는 다른 수술 기구는 근위로 편향될 수 있다. 카테터가 수술 부위에 위치되면, 바늘 또는 다른 수술 기구는 예컨대, 클러치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바늘에 선택적으로 맞물릴 수 있는 전진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편향력에 대해 원위로 선택적으로 전진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교시(teachings)에 따른, 선택적으로 전개가능한 기구(본 실시예의 바늘)를 가진 카테터 디바이스(10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디바이스(100)는 일반적으로 환자의 신체 내부에 위치되는 원위부(102)와 환자의 신체 외부에 남아 있고 외과의사 또는 다른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근위부(104)로 구분될 수 있다. 카테터 디바이스(100)는 측벽(106)과 내부 루멘(108)을 포함한다. 원위부(102)는 측벽(106)을 통해 연장되는 케이블들(110,112)을 사용하여 조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위부(102)는 바닥 케이블(112) 상에서 근위로 당김으로써 도면의 바닥으로 향하게 된다.
가늘고 긴 몸체, 예컨대, 바늘(114)은, 카테터 원위부(102)의 내부 루멘(108)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바늘(114)은 카테터 디바이스(100)의 전체 길이로 연장할 수 있고, 또는 바늘(114)과 디바이스의 근위부(104) 사이에서 연장하는 연결 부재(116)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바늘(114)은 플랜지(flange), 리브(rib), 레지(ledge), 숄더(shoulder) 등과 같이, 그 위에 형성된(또는 연결 부재(116)의 일부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돌출부들(118)을 구비할 있다. 돌출부(118)는 카테터 내부 루멘(108)의 측벽 상에 형성되는, 대응하는 플랜지, 리브, 레지, 숄더 또는 기타 부재와 같은 후퇴 스탑(120)의 원위에 위치될 수 있다. 돌출부(118)와 후퇴 스탑(120)은, 돌출부가 후퇴 스탑을 근위로 통과할 수는 없지만, 대신에 후퇴 스탑에 맞닿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욱이, 후퇴 스탑(120)은 조향 케이블들(110,112)의 원위단의 원위에 위치될 수 있으므로, 조향 동안 후퇴 스탑(120)의 근위에서 원위부(102)의 임의의 굴곡(flexing)이 발생하는 것을 보장한다.
특정 위치들에서, 돌출부(118)가 바늘(114) 상에 형성되거나 예컨대, 연결 부재(116) 상에 형성됨으로써 바늘에 결합되고, 후퇴 스탑(120)이 내부 루멘(108)의 측벽 상에 형성되거나 예컨대, 다른 컴포넌트 상에 형성됨으로써 카테터에 결합되면, 원위에 위치된 기준 위치(121)에서 후퇴 스탑(120)에 대해 돌출부(118)가 당겨질 때마다, 바늘(114)의 원위 팁과 디바이스(100)의 원위 팁의 상대 위치가 알려지게 된다. 편향 요소(122)는 디바이스(100)의 근위단을 향해 바늘(114)과 연결 부재(116)를 압박할 수 있다. 이것은 사용 중 카테터 디바이스(100)의 전체 길이가 조향으로 인해 축소되더라도, 기준 위치(121)에서 후퇴 스탑(120)에 대해 돌출부(118)가 가압된 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카테터 디바이스(100)는 카테터에 대해 바늘(114) 또는 다른 기구를 원위로 선택적으로 압박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전진 메커니즘(124)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전진 메커니즘(124)은 다양한 형태들을 가질 수 있지만, 바늘의 전개가 요구될 때에만 바늘(114) 또는 거기에 결합된 연결 부재(116)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클러치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은 상부 클러치 부재(126)와 하부 클러치 부재(128)를 포함하는 전진 메커니즘(124)을 도시한다. 조향 작동 동안 또는 바늘(114)의 전개가 요구되지 않은 다른 시간 동안, 클러치 부재들(126,128)은 분리되어 바늘(114) 또는 연결 부재(116)(있는 경우)와 접촉이 해제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그 결과, 편향 요소(122)는 돌출부(118)가 후퇴 스탑(120)에 맞닿도록 바늘(114)을 근위로 압박할 수 있다.
카테터 디바이스(100)의 원위단으로부터 바늘(114)의 전개가 요구될 때, 전진 메커니즘(124)은 클러치 부재들(126,128)이 서로를 향해 이동하여 바늘(114) 또는 연결 부재(116)(있는 경우)를 접촉하여 단단히 파지하도록 작동될 수 있다. 그러면, 클러치 부재들(126,128)은 바늘(114) 또는 연결 부재(116)를 파지한 상태에서 편향 요소(122)의 힘에 대항하여 바늘(114)을 원위로 압박하기 위해 원위로 이동될 수 있다. 돌출부(118)가 후퇴 스탑(120)에 맞닿아 있는 동안 즉, 원위에 위치된 기준 위치(121)에 있는 동안, 전진 메커니즘(124)은 바늘(114) 또는 연결 부재(116)와 결합되기 때문에, 카테터 원위 팁에 대한 바늘의 위치를 항상 정확하게 알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완전히 후퇴된 위치에 있을 때, 바늘의 원위 팁이 바늘의 원위단과 동등해지도록 바늘(114) 및/또는 연결 부재(116)를 따라 돌출부(118)를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완전히 후퇴된 위치에 있을 때, 바늘의 원위 팁이 틈새 간격(D1) 만큼 내부 루멘(108) 내부로 리세스되도록 돌출부(118)를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틈새 간격(D1)이 이용되는 경우, 사용자는 원하는 연장 간격에 틈새 간격을 더한 값으로 전진 메커니즘(124)이 이동되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대안적으로, 디바이스의 근위부(104)의 외부 표면 상에 마킹된 그라디에이션(gradiation)들 또는 바늘 전개 간격의 다른 표시들은, 틈새 간격(D1)뿐만 아니라 연결 부재(116)의 임의의 신장과 카테터 측벽(106)의 압축을 포함하도록 보정(calibrate)될 수 있다.
바늘(114) 또는 다른 수술 기구의 사용이 완료된 후, 전진 메커니즘은 카테터의 내부 루멘(108) 속으로 바늘(114)을 다시 끌어 당기기 위해 근위로 후퇴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클러치 부재들(126,128)은 결합해제(disengage)(즉, 서로로부터 멀어지게 이동)될 수 있고, 편향 요소(122)의 힘은 돌출부(118)가 후퇴 스탑(120)에 맞닿는 기준 위치(121)로 바늘(114)을 후퇴시킬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카테터 디바이스는 여러가지 장점들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는 디바이스의 근위단 근처의 위치로부터 카테터 및 전개가능한 바늘 또는 기타 기구의 상대적 위치들의 기준잡기(referencing)와 연관된 문제들을 해결한다. 대신에, 디바이스의 원위단 근처의 기준 위치가 사용되고(즉, 조향 중에 구부러지거나 굴절되는 디바이스의 임의의 부분의 원위), 전개가능한 바늘 또는 기구는 그것이 기준 위치에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근위로 편향된다. 이것은 바늘의 위치에 관한 불확실성을 제거하고, 수술 부위에 카테터가 배치될 때 정확한 전개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선택적으로 결합가능한(engageable) 클러치를 가진 전진 메커니즘의 사용은 클러치가 결합해제될 때 바늘 또는 다른 기구의 의도하지 않은 움직임이 없음을 보장한다. 더욱이, 클러치는 작동될 때 그 임의의 부분을 단단히 파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기 때문에, 디바이스의 근위부 속으로 연장하는 바늘 몸체의 부분 또는 연결 부재 상에 특별한 인터페이스 부재를 형성할 필요가 없다. 이러한 디바이스는, 가장 극심한 조향 조작 중에도 바늘 또는 기타 기구가 의도하지 않게 전개되지 않도록 안전하게 보장할 수 있고, 카테터가 제 자리로 이동된 후 환자의 신체 외부에서 정확한 전개 제어를 제공할 수도 있다. 그러나, 특정 실시예들에서, 전진 메커니즘과 연결 부재의 결합(coupling)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결합가능한 클러치와 같은 인터페이싱 피처들이 사용될 수 있다.
물론, 도 1에 도시된 카테터 디바이스는 본 개시의 범위 내에서 고려되는 다양한 가능한 구성들의 하나일 뿐이다. 예를 들어, 돌출부(118)와 후퇴 스탑(120)은 전체적이거나 부분적인 원주 플랜지들, 숄더들 또는 레지들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범프(bump)들, 리브들, 또는 기준 위치를 넘는 바늘(114)의 부가적인 근위 이동을 중지시키기 위해 서로 맞닿을 수 있는 다른 형성물(formation)들을 포함하는 임의의 다양한 보완 형태들을 가질 수 있다. 유사하게, 바늘(114)을 근위로 압박하기 위해 사용되는 편향 요소(122)는, 디바이스의 근위부 또는 원위부를 따라 위치된 코일 스프링 또는 다른 유형의 인장 스프링이거나, 디바이스의 근위부 또는 원위부를 따라 유사하게 위치된 압축 스프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기 편향 조립체들을 포함하는 다른 알려진 형태의 편향 요소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전진 메커니즘은 다양한 상이한 구성들의 임의의 하나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진 메커니즘은 연결 부재(116)(또는, 바늘이 디바이스의 전체 길이를 연장하는 경우, 바늘 몸체) 상에 형성되어 바늘을 따라 근위로 또는 원위로 간단히 이동하는 돌출 탭 또는 핸들과 같은 매우 간단한 메커니즘일 수 있다. 그러한 구성에서, 전진 메커니즘은 충분한 간격을 가져야만 바늘(114)이 편향 요소(122)로부터의 힘에 응답하여 기준 위치(121)에 도달하기 전에 근위 스탑(예, 탭 또는 핸들이 관통하여 연장되는 디바이스 하우징에 형성된 슬롯의 근위단)에 도달하지 않도록 충분한 간격(clearance)을 가져야 한다. 이는 카테터의 원위단에 대한 바늘의 정확한 위치의 결정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다른 실시예들에서, 전진 메커니즘은 연결 부재(116) 또는 바늘(114)과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상이한 클러치 메커니즘들의 임의의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은 연결 부재(116) 또는 바늘(114)을 물리적으로 파지하는 기계식 클러치 메커니즘, 그것을 물리적으로 접촉하지 않고 연결 부재 또는 바늘 상에 힘을 부여하는 전자기적 클러치 메커니즘, 또는 당업계에 공지된 다른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편향 요소(122)의 힘에 대항하여 바늘(114)을 원위로 압박하기 위한 다양한 공지된 메커니즘들의 임의의 하나가 이용될 수 있다. 이들은 도 1과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한 길이방향 원위력(distal force)의 단순한 적용으로부터, 다양한 기어, 벨트 또는 랙 드라이브 시스템의 사용 또는 전기-작동식 솔레노이드의 사용 등에 이르기까지 범위가 다양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그 원위단에서 선택적으로 전개가능한 기구를 가진 카테터 디바이스(200)의 대안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디바이스들 및 방법들은 임의의 다양한 수술용 카테터 디바이스들과 함께 사용될 수 있지만, 디바이스(200)는 예를 들어, 사용자의 심장으로 유체 강화(enhanced) 절제 요법을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유체 강화 절제 요법은, 치료적으로 가열된 식염수(예, 약 40℃ 이상의 식염수) 또는 조직을 선택적으로 파괴하기 위한 다른 유체의 전달과 동시에 치료 에너지(예, 무선 주파수 전기 에너지)의 전달을 포함한다. 요법은 예를 들어, 심실빈맥(ventricular tachycardia)과 같은 심장 부정맥(cardiac dysrhythmias)을 포함하는 다양한 의학적 상태들을 치료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유체 강화 절제 요법에 대한 더 많은 정보는, "열 절제 시스템"이라는 명칭의 미국 특허 번호 6,328,735, "유체 강화 절제 내의 쉐이핑 요법을 위한 디바이스들 및 방법들"이라는 명칭의 미국 특허 번호 8,702,697, 및 "유체 강화 절제 디바이스와 함께 탈기된 유체를 사용하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라는 명칭의 미국 특허 공개 번호 제2012/0265199호에서 찾을 수 있다. 이러한 문헌들의 전체 내용은 본 명세서에 재인쇄된 것처럼 인용에 의해 통합된다.
디바이스(200)는 일반적으로 원위부(202) 및 유연부(flexible portion)(204)를 가진 카테터(201)를 포함한다. 디바이스의 근위부(206)는 핸들(208), 조향 제어기(210), 조향 장력 노브(knob)(211) 및 전진 메커니즘(212)을 포함한다. 디바이스의 근위단으로부터 연장하는 튜브들(214,216)은, 치료 동안 전달되고 세척을 위한 유체를 수용한다. 디바이스의 근위단에 있는 부가적인 입구(218)는 임의의 갯수의 전력 및 제어 케이블들을 수용할 수 있다.
디바이스(200)는 의도된 용도에 따라 다양한 사이즈들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들에서, 카테터(201)는 약 120cm의 길이와 약 8프렌치("프렌치"는 카테터의 사이즈를 설명하기 위해 카테터 업계에서 사용되는 측정 단위이고, 밀리미터 단위로 카테터의 직경의 3배와 동일함)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카테터는 순환계를 통하여 환자의 심장에 삽입하는데 매우 적합하다. 카테터는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 나일론 및 PEBAX®와 같은 폴리에테르아미드를 포함하는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다양한 재료들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카테터(201)는 하나 이상의 조향 케이블들을 사용하여 환자의 신체 내부의 구불구불한 경로들를 통한 조향이 가능하도록 유연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200)의 근위부(206)은 다양한 상이한 형상들과 사이즈들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들에서, 근위부(206)의 전체 길이는 약 25cm일 수 있고, 폭과 높이는 모두 약 5cm일 수 있다(위에 언급된 다양한 치수들을 감안할 때, 특히 카테터(201)의 길이와 관련하여, 도면들은 반드시 축척이 동일할 필요는 없다). 근위부(206)의 다양한 컴포넌트들은 예를 들어, 다양한 금속들과 폴리머들을 포함하는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재료들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디바이스(200)의 근위부(206)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에서, 핸들(208)의 하부 하우징(402), 상부 하우징(404), 인쇄 회로 기판(406), 카테터 조향 제어기(210) 및 전진 메커니즘(212)을 볼 수 있다. 또한, 도 4에서, 디바이스의 근위부(206)를 통해 연장되고 전개가능한 바늘(후술됨)을 전진 메커니즘(212)에 연결하는 연결 부재(408)(위에서 설명된 연결 부재(116)의 실시예일 수 있음)를 볼 수 있다. 연결 부재는 임의의 다양한 재료들로부터 형성될 수 있고, 일부 실시예들에서, 카테터(201)의 원위 팁으로부터 디바이스의 근위부(206)로 연장되는 바늘 몸체 대신에 생략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연결 부재(408)는 폴리이미드 튜브로부터 형성될 수 있고, 치료 유체 라인(214) 및 전개가능한 바늘의 바늘 루멘(후술됨)과 연통할 수 있는 내부 루멘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c는, 완전히 후퇴된(즉, 전개되지 않은) 구성에서, 디바이스(200)의 원위부(202)를 도시한다. 디바이스의 원위부(202)는 디바이스의 근위부(206)로 연장하는 유연부(204)에 결합되는 끝단부(502)를 포함한다. 끝단부(502)는 디바이스(200)의 임의의 조향 컴포넌트들에 대해 원위에 위치되므로, 조향 중에 발생하는 장력 또는 압축으로 인해 치수가 변경되지 않는다. 끝단부(502)는 그 안에서 이동되는 임의의 전개가능한 기구의 길이에 따라 다양한 상이한 길이들과 직경들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끝단부(502)는 디바이스의 작동을 돕기 위해 다양한 다른 피처들 또는 디바이스들의 임의의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끝단부(502)는 끝단부의 외측 표면에 대해 배치된 맵핑 링(mapping ring) 전극들(506)을 포함한다. 링 전극들(506)은 예를 들어, 환자의 심장 내부의 위치로 카테터를 안내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원위 팁(508)은 끝단부(502)를 덥고, 카테터(201)의 내부 루멘(511)과 연결되는 팁의 원위면 상에 형성된 개구(510)를 포함한다.
도 5b의 절단 사시도 및 도 5c의 단면도는 완전히 후퇴된 구성에서 수술 기구의 위치를 도시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수술 기구는 조직 속으로 침투하여 유체 강화 절제 요법을 전달하도록 구성된 바늘(512)이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유체 강화 절제 요법은, 식염수와 같은 치료적으로 가열된 유체와 함께 무선 주파수(RF) 전기 에너지 또는 기타 치료 에너지의 전달을 포함한다. 따라서, 바늘(512)은 바늘 루멘을 통해 흐르는 유체를 인접한 조직 속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그 원위부를 따라 배치된 하나 이상의 출구 포트들(514)를 포함할 수 있다. 바늘(512)은 카테터(201)의 유연부(204)를 통해 디바이스의 근위부(206) 속으로 연장하는 연결 부재(408)에 결합될 수 있다. 바늘 루멘은 연결 부재(408)의 내부 루멘과 연통할 수 있고, 차례로 저장소 또는 다른 외부 소스로부터 유체를 수용하기 위해 치료 유체 라인(214)과 연통할 수 있다.
바늘(512)은 다양한 상이한 재료들로부터 형성될 수 있고, 많은 상이한 직경들, 길이들, 측벽 두께들 등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바늘(512)은 약 0.4mm의 바늘 루멘 직경을 가진 25게이지의 얇은-벽의 스테인리스 스틸 바늘일 수 있다. 바늘은 치료 전기 에너지 또는 기타 에너지를 주변 조직으로 전달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절제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절제 요소는 바늘(512)에 결합된 개별 요소일 수 있거나, 일부 실시예들에서, 바늘 자체의 전부 또는 일부가 절제 요소로서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심장 벽 속으로 바늘이 전개된 후 조직 속으로 RF 에너지를 전달하기 위해, 예를 들어, 전도성(conductive) 바늘(512)은 예컨대, 입구(218)를 통과하여 연장되는 케이블을 통해, 전원 또는 다른 제어 컴포넌트들에 전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바늘(512)은 식염수(예, 정상 식염수 또는 농축 식염수 용액들), 링거 용액 또는 치료에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유체를 하나 이상의 출구 포트들(514)을 통해 인접한 조족 속으로 전달하기 전에, 식염수 등을 치료 수준으로 가열하기 위해, 내부 루멘 내부에 배치된 가열 요소(52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열 요소(520)는 예를 들어, 바늘을 통해 유체가 흐를 때 유체를 통해 RF 전기 에너지를 통과시키는 바늘(512)의 바늘 루멘 내부에 매달린 하나 이상의 와이어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들에서, 가열 요소(520)는 바늘(512)의 바늘 루멘 내에 매달린 단일 와이어일 수 있고, 바늘 루멘을 통해 흐르는 유체는 와이어와 바늘 본체 사이로 통과되는 전기 에너지에 의해 가열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가열 요소(520)는 바늘 루멘을 통해 흐르는 유체를 가열하기 위해 그 사이에서 전기 에너지를 통과시킬 수 있는 바늘(512)의 바늘 루멘 내부에 매달린 2개의 와이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와이어들은 와이어들과 바늘(512) 사이의 부주의한 접촉을 방지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들을 통과할 수 있다. 유체 강화 절제 요법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가열 조립체들에 대한 다른 정보는, 그 전체 내용이 인용에 의해 본 명세서에 통합되는, "유체 강화 절제 요법에서 유체를 가열하기 위한 방법들 및 디바이스들"이라는 명칭의 미국 특허 공개 번호 2012/0265190에서 찾을 수 있다.
바늘(512)은 카테터의 내부 루멘(511) 상에 형성된 후퇴 스탑에 접촉하고 바늘의 최-근위 위치(위에서 기준 위치로 지칭됨)를 구획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돌출부들 또는 다른 부재들을 그 위에 형성할 수 있다. 바늘 상에 형성된 돌출부 또는 다른 부재, 및 카테터 내부 루멘 측벽 상에 형성된 후퇴 스탑은, 다양한 구성들의 임의의 하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리브들, 숄더들, 플랜지들, 또는 다른 부재들은 그들이 서로 간섭하도록 바늘 및 카테터 내부 루멘 측벽의 원주 주위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2개의 컴포넌트들이 서로 접촉할 때, 바늘(512)의 원위단(513)이 카테터 끝단부(502)의 원위단(515)(즉, 카테터(201)의 원위단)과 동등하거나 그 근위에 있도록, 바늘(512) 상의 돌출부들 또는 다른 부재들 및 내부 루멘(511) 상에 형성된 후퇴 스탑이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바늘(512)은 카테터 내부 루멘(511)의 내부로 리세스될 수 있다. 또한, 특정 실시예들에서, 틈새 간격(D1)이 바늘의 원위단(513)과 카테터(201)의 원위단(515) 사이에 존재하도록, 돌출부들 또는 부재들 및 후퇴 루멘의 포지셔닝이 선택될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바늘(512)은 내부 루멘(511)의 직경과 실질적으로 유사한 외경을 가지고 그 위에 형성된 전체-원주 플랜지(516)를 포함한다. 카테터 내부 루멘(511)의 내부 측벽에 결합되는 칼라로부터 플랜지(516)에 대해 근위에 후퇴 스탑(518)이 형성된다. 바늘(512)이 전개 또는 후퇴될 때 플랜지(516)는 내부 루멘 (511) 내부에서 이동할 수 있지만, 후퇴 스탑(518)은 끈단부(502)에 대해 이동하지 않기 때문에 바늘(512)을 위한 근위 스탑을 형성한다.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늘이 완전히 후퇴된(즉, 전개되지 않은) 구성에 있을 때, 플랜지(516)의 근위면은 후퇴 스탑(518)의 원위면에 접촉한다.
도 6a 및 도 6b는 부분적으로 전개된 구성에 있을 때 디바이스(200)의 원위부(202)을 도시한다. 이 구성에서, 사용자는 전진 메커니즘(212)를 사용하여 디바이스의 근위부(206)로부터 바늘을 원위로 전진시키기 시작하였다(아래에서 더 자세히 설명됨). 디바이스의 근위단에서 연결 부재(408)의 원위 이동은 바늘(512)의 원위 이동으로 전달됨으로써, 바늘의 원위 조직-천공 팁(513)을 노출시키고 후퇴 스탑(518)로부터 플랜지(516)를 분리한다. 다시 말해서, 바늘의 원위 팁(513)이 카테터(201)의 원위단(515)에 대해 원위에 있도록 바늘(512)은 원위로 전진된다.
또한, 도 6a는 칼라(collar)를 통해 연결 부재(408)를 슬라이딩 이동시키기 위해 후퇴 스탑(518)의 칼라가 소정량의 간극으로 연결 부재(408)를 둘러싸는 것을 도시한다. 또한, 디바이스로부터 공기, 응고제(coagulant) 또는 기타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카테터의 내부 루멘(511)을 유체로 플러싱할 필요도 있다. 후퇴 스탑(518)의 내경과 연결 부재(408)의 외경 사이의 간극은 이러한 유체 흐름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플랜지(516)는 내부 루멘(511)의 직경을 가로질러 연장하도록 크기가 조정될 수 있기 때문에, 플랜지(516)를 통과하여 유체가 흐르도록 그 안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유체 채널들(602)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유체 채널들은 플랜지(516)의 원주 주변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원형 통로들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유체 통로들은 다양한 개수, 모양, 크기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슬롯 및/또는 그루브-모양 통로들은 플랜지(516)의 원주 주위로 연장되는 다양한 위치들에 형성될 수 있다.
유체 채널들(602)은 디바이스의 근위단로부터 도입되는 유체가 디바이스의 원위단으로부터 환자의 신체 속으로 플러시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디바이스를 플러싱(flushing)하게 되면, 혈액이 원위단을 통해 디바이스 속으로 들어가서 내부 루멘 내부에서 혈전을 발생(thrombosing)시키고 원위단에서 다시 나오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뇌졸중이나 기타 합병증의 유발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의 내부 루멘을 유체로 채우면, 디바이스의 원위단 밖으로 공기의 유출을 방지하여 혈전(thrombus)과 유사한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실제로, 일부 실시예들에서, 응고(clotting) 가능성을 더 감소시키기 위해, 내부 루멘을 통해 플러싱되는 유체는 헤파린과 같은 희석제(thinning agent)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c는 완전히 전개된 구성에 있을 때 디바이스(20)의 원위부(202)를 도시한다. 이러한 구성에서, 플랜지(516)의 원위면이 카테터 원위 팁(508)의 근위면에 접하도록 전진 메커니즘(212)이 최대 양만큼 원위로 연장되었다. 물론, 바늘(512) 또는 다른 수술 기구는 요법을 전달하기 위해 이러한 완전히 전개된 구성으로 연장될 필요는 없다. 오히려, 바늘(512)은 원하는 요법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간격만큼 전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들에서, 바늘은 수 밀리미터의 전체 길이를 가질 수 있지만, 치료되고 있는 조직은 이러한 전체 길이보다 실질적으로 더 얇을 수 있다. 그러한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바늘이 조직을 완전히 통과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바늘의 전체 길이의 일부만을 전개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일부 실시예들에서, 바늘(512)은 약 13mm의 전체 길이를 가질 수 있고, 완전히 연장될 때 카테터의 원위단으로부터 약 8mm만큼 연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들에서, 단지 약 4mm의 최대 연장이 바람직 할 수 있다. 또는, 더 두꺼운 조직들을 치료할 때, 최대 연장은 예를 들어, 대략 20mm보다 훨씬 더 클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들에서, 카테터 내부 루멘 내부의 바늘의 부분의 증가는 카테터 원위단을 넘어서 바늘의 부분의 강화를 도울 수 있기 때문에, 카테터 원위단를 넘어서 바늘의 최대 연장 길이를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카테터 내부의 바늘의 길이를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매우 다양한 바늘 길이들과 연장 길이들이 가능하다.
도 8a 및 도 8b는 바늘(512), 플랜지(516) 및 후퇴 스탑(518) 사이의 상호작용의 발췌 사시도들을 예시한다.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늘(512)의 근위단은 연결 부재(408)의 원위단에 결합되고, 결국 디바이스(200)의 근위부(206)의 원위단(802)에 대해 근위로 연장된다. 단일의 컴포넌트 또는 다수의 컴포넌트들의 조합일 수 있는 연결 부재(408)는, 사용자에 의해 가해지는 힘들을 바늘(512)에 전달한다. 카테터(201)를 따라 고정된 길이방향 위치를 가진 후퇴 스탑(518)은, 바늘(512)을 위한 근위 스탑을 제공하고, 바늘(512)과 카테터(201)의 상대 위치들이 알려지는 디바이스의 원위단 근처의 기준 위치를 구획한다.
또한, 도 8a 및 도 8b에는 카테터(201)의 조향을 제어하는 조향 링(804)과 조향 케이블(806)이 도시되어 있다. 특히, 조향 링(804)은 카테터(201)에 결합되고 조향 케이블(806)은 조향 링(804)에 결합된다. 조향 제어기(210)를 사용하여 디바이스(200)의 근위단으로부터 조향 케이블(806)을 밀거나 당기면, 유연부(204)가 굴곡되어 끝단부(502)의 방향이 전환될 수 있다.
전술한 유연부(204)의 굴곡은, 선행기술의 디바이스들에서, 카테터(201)의 길이를 짧아지게 할 수 있으므로, 바늘 또는 다른 수술 기구의 원위 팁의 부주의한 노출을 유발할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플랜지(516)와 후퇴 스탑(518)의 인터페이스에 의해 구획된 기준 위치는, 조향 링(804)과 조향 케이블(806)의 종료 지점의 원위에 위치된다. 따라서, 모든 굴절(deflection) 또는 굴곡(flexing)은 기준 위치에 대해 근위에서 발생한다. 플랜지(516)가 후퇴 스탑(518)에 대해 가압되어 유지되는 한, 바늘(512)과 카테터(201)의 끝단부(502)의 상대 위치는 알려질 것이다.
유연부(204)의 뒤틀림(contortion)에 관계없이 이러한 위치를 유지하기 위해, 바늘(512)은 근위로 편향될 수 있다. 플랜지(516)가 후퇴 스탑(518)에 대해 가압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바늘의 원위 전진이 요구되지 않은 모든 시간에서 편향력이 보장될 수 있다.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전진 메커니즘(212)은 편향력을 선택적으로 극복하여 수술 부위로 카테터가 이동될 때 바늘을 원위로 전진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9는 디바이스(200)의 근위부(206)의 부분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9에서, 편향 요소(902)는 전진 메커니즘(212)의 원위에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편향 요소(902)는 다양한 상이한 형태들을 가질 수 있지만, 일부 실시예들에서, 연결 부재(408)의 일부와 하부 하우징(402) 또는 상부 하우징(404)과 같은 기준 구조 사이에서 압축되는 코일 스프링 또는 다른 압축 스프링일 수 있다.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예시된 실시예에서, 편향 요소(902)는, 연결 부재(408)에 견고하게 결합된 플랜지(1006)(도 10a)와 하부 하우징(402) 상에 형성된 스탑(1102)(도 11) 사이에서 압축되는 코일 스프링이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스프링은 연결 부재(408)를 하부 하우징(402)에 대해 근위로 압박할 수 있고, 전진 메커니즘(212)은 연결 부재(408)를 파지한 상태에서 그것을 원위로 압박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므로, 스프링을 더 압축한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들에서, 예를 들어, 인장 스프링, 전자기 편향 어셈블리 등을 포함하는 다른 편향 요소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특정 실시예들에서, 예컨대, 압축 스프링 또는 다른 편향 요소가 바늘(512) 상의 플랜지(516)와 카테터(201)의 원위 팁(508) 사이의 디바이스의 원위단에 위치될 수 있는 것과 같이, 편향 요소의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인장 스프링 또는 다른 편향 요소는, 도 1에 예시된 구성과 유사하게, 디바이스의 근위단에 위치될 수 있다.
도 9에서, 근위부(206)의 원위단에 있는 표시기(indicator) 렌즈(904)를 볼 수 있다. 표시기 렌즈(904)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료로부터 형성될 수 있고, 사용자에게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인디케이터 라이트(1104)(도 11 참조)를 덮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들에서, 전진 메커니즘(212)이 연결 부재(408)에 결합될 때마다 하나 이상의 인디케이터 라이트들이 활성화될 수 있다. 이것은 바늘(512) 또는 다른 기구가 디바이스의 원위단으로부터 전진할 수도 있기 때문에, 카테터(201)의 조향이 조심스럽게 수행되어야 함을 사용자에 대한 인티케이터로서 기능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인디케이터 라이트들(1104)은 예를 들어, 발광 다이오드, 백열 전구 등일 수 있다.
도 10은 디바이스(200)의 근위부(206)의 대안적인 부분 사시도를 도시한다.도 10은 요법 및 기구 플러싱 유체 라인들(214,216)의 경로들 및 편향 요소(902)를 더 상세하게 도시한다. 또한, 도 10에서, 기구 플러싱 라인(216)으로부터 카테터 내부 루멘(511) 내부의 연결 부재(408)를 둘러싸는 환형 공간으로 유체 흐름을 향하게 하는 브랜치(branch) 베이스(1002)를 볼 수 있다. 또한, 브랜치 베이스(1002)는 하나 이상의 인디케이터 라이드들(1104)(도 11)을 위한 장착 위치로서 기능할 수 있다.
도 10a는 편향 요소(902) 및 연결 부재(408)의 근위부를 더 상세히 도시한다. 도 10a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연결 부재(408)는 그 원위단에 연결된 슬리브(1004)를 포함한다. 슬리브(1004)는 다양한 재료들로부터 형성될 수 있지만, 일부 실시예들에서, 스테인리스 스틸 또는 다른 금속과 같은 강성의 전도성 재료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슬리브(1004)는 예컨대, 에폭시 또는 다른 결합제(bonding agent)를 사용하여, 거기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없도록 연결 부재(408)에 결합될 수 있다. 슬리브(1004)는 전진 메커니즘(212)이 연결 부재(408)를 파지하기 위한 더 큰 강성을 제공할 수 있다(일부 실시예들에서, 예컨대, 아래에 설명되는 클러치 메커니즘(1301)에 의해 클램핑될 때 변형될 수 있는 재료로부터 형성될 수 있음). 또한,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재료의 전도성 특성은 하나 이상의 인디케이터 라이트들(1104)(도 11)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전기 회로를 구성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슬리브(1004)는 플랜지(1006) 또는 편향 요소(902)의 근위단에 접하도록 구성된 다른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플랜지(1006)는 편향 요소(902)가 연결 부재(408)를 근위로 편향시키는데 대항하는 작용을 하는 표면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향 요소(902)의 원위단은 디바이스(200)의 하부 하우징(402) 상에 형성된 스프링 스탑(1102)에 접촉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연결 부재(408)는 디바이스 하우징들(402,404) 및 카테터에 대해 근위로 편향될 수 있다. 201.
도 12 내지 도 19b는 전진 메커니즘(212)을 더 상세히 도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진 메커니즘(212)은 사용자가 원할 때 바늘(512) 또는 다른 수술 기구의 원위 이동을 수행하기 위해 연결 부재(408)와 선택적으로 맞물린다. 전진 메커니즘(212)은 사용자가 힘을 가할 수 있도록 연결 부재(408) 상에 형성된 단순한 탭 또는 다른 부재로부터, 작동될 때 연결 부재(408)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클러치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더 복잡한 어셈블리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시된 전진 메커니즘(212)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조작될 수 있는 상부 및 하부 작동 돌출부들(1204,1206)을 가진 클러치 하우징(1202)을 포함한다. 클러치 캡(cap)(1208)은 연결 부재(408)를 둘러싸는 전진 메커니즘(212)의 원위단를 형성한다. 원위 및 근위 회전-방지 스탑들(1210,1212)은 클러치 캡(1208)과 클러치 하우징(1202)에 각각 결합되고, 하부 하우징(402)(미도시) 내에 형성된 트랙 내부에서 라이드(ride)하도록 구성된 포스트(post)들(1211,1213)을 포함한다. 하부 하우징(402) 내에 형성된 트랙은, 회전-방지 스탑들(1210,1212)이 하부 하우징(402)에 대해 근위 및 원위로 이동할 수 있지만, 그에 대해 가로로 이동할 수 없도록, 디바이스의 세로축을 따라 연장한다. 또한, 도면에서, 하부 및 상부 하우징들(402,404)에 대한 전진 메커니즘(212)의 회전 운동을 용이하게 하는 베어링 조립체(1214)를 볼 수 있다.
도 13a 및 도 13b는 각각 전진 메커니즘(212)의 결합해제된 구성 및 결합된 구성을 각각 도시한다. 또한, 도 13a 및 도 13b는 클러치 하우징(1202) 내부의 클러치 메커니즘(1301)을 도시한다. 클러치 메커니즘(1301)은 클러치 샤프트(1306)에 의해 서로 피벗되게 결합된 제1 클러치 부재(1302)와 제2 클러치 부재(1304)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클러치 부재들(1302,1304)은,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 구성을 향해 편향되고, 제1 및 제2 클러치 부재들(1302,1304)의 외부 표면들은 각각 베어링 조립체(1214)에 접촉한다. 연결 부재(408)는 클러치 부재들(1302,1304) 사이의 공간 내에 위치된다.
도 13a의 결합해제된 구성에서. 클러치 부재들(1302,1304)은 연결 부재(408)와 접촉하지 않는다. 따라서, 전진 메커니즘(212)은 연결 부재(408) 상에 임의의 힘도 가하지 않고, 편향 요소(902)만이 연결 부재에 작용한다. 그러나, 도 13b의 결합된 구성에서. 클러치 부재들(1302,1304)은 베어링 어셈블리들(1214)에 의해 가해진 힘에 의해 서로를 향해 피벗되었다. 이러한 구성에서, 클러치 부재들(1302,1304)은 연결 부재(408)(도 13b에 미도시)와 접촉하고, 전진 메커니즘(212)을 연결 부재(408)에 결합하기 위해 그것을 집어 넣는다. 그러면, 전진 메커니즘(212)은 편향 요소(902)의 힘에 대응하여 연결 부재(408)(즉, 바늘(512) 또는 기타)를 원위로 압박(예, 작동 돌출부들(1204,1206)에 인가되는 힘을 통해)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14a 및 도 14b는 도 13a 및 도 13b의 결합해제된 구성 및 결합된 구성에서의 전진 메커니즘(212)을 각각 도시하지만, 디바이스(200)의 하부 및 상부 하우징들(402,404)과 관련된 전진 메커니즘을 도시한다. 특히, 도 14a 및 도 14b는 전진 메커니즘이 하우징들에 대해 회전할 때, 결합해제된 구성과 결합된 구성 사이에서 전진 메커니즘(212)을 이동시키는데 사용되는 하부 및 상부 하우징들(402,404)의 부분들을 도시한다.
도 14a에서, 예를 들어, 전진 메커니즘(212)은, 클러치 하우징(1202)의 대향 측면들로부터 연장하는 베어링 어셈블리들(1214)이 하부 및 상부 하우징들 내에 형성된 리세스들(1402) 내부에 존재하도록, 디바이스(200)의 하부 및 상부 하우징들(402,404) 내부에 위치된다. 리세스들(1402)은 베어링 어셈블리들(1214)이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게 함으로써, 제1 및 제2 클러치 부재들(1302,1304)이 클러치 샤프트(1306)를 중심으로 서로로부터 멀어지게 피벗되게(예, 도 16에 도시된 스프링들(1602)에 의해 가해지는 편향력으로 인해) 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구성에서, 클러치 부재들(1302,1304)은 연결 부재(408)와 접촉하지 않거나 그에 임의의 힘도 가하지 않는다. 연결 부재(408)는 전진 메커니즘(212)에 대해 근위로 또는 원위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도 14b의 결합된 구성으로 전진 메커니즘(212)을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자는 작동 돌출부들(1204,1206)에 힘을 인가함으로써 전진 메커니즘을 회전시킬 수 있다(예, 예시된 실시예에서, 도면의 반-시계 방향으로 전진 메커니즘을 회전시킴으로써). 전진 메커니즘(212)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클러치 하우징(1202)의 반대쪽으로부터 연장하는 베어링 조립체들(1214)은 리세스들(1402)을 빠져나와서 하부 및 상부 하우징들(402,404)의 편평부들(1404)로 이동한다. 이러한 이동은 베어링 조립체들(1214)을 반경방향 내측으로 가압하여, 제1 및 제2 클러치 부재들(1302,1304)이 클러치 샤프트(1306)를 중심으로 서로를 향해 회전하게 한다. 이러한 결합된 구성에서, 연결 부재가 전진 메커니즘(212)에 대해 이동할 수 없도록 제1 및 제2 클러치 부재들(1302,1304)은 연결 부재(408)에 결합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전진 메커니즘(212)은 도 14b의 결합된 구성에 있을 때 디바이스에 대한 연결 부재의 근위/원위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5는 다양한 컴포넌트들을 보다 명확하게 도시하기 위한 전진 메커니즘(212)의 분해 사시도를 예시한다. 특히, 도 15는 도 13a 및 도 14a의 결합해제 된 구성을 향해 전진 메커니즘을 편향시키는 제1 및 제2 편향 스프링들(1502,1504)을 도시한다. 제1 편향 스프링(1502)은 원위 회전-방지 스탑(1210)과 클러치 캡(1208) 사이에서 그들과 접촉되게 위치될 수 있다. 유사하게, 제2 편향 스프링(1504)은 클러치 하우징(1202)과 근위 회전-방지 스탑(1212) 사이에서 그들과 접촉되게 위치될 수 있다. 회전-방지 스탑들(1210,1212)로부터 연장되고 하부 하우징(402) 내에 형성된 트랙(미도시) 내부에서 라이드하는 포스트들(1211,1213)은 회전-방지 스탑들이 하부 하우징(402)에 대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그들이 여전히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지만). 그 결과, 제1 및 제2 편향 스프링들(1502,1504)은 전진 메커니즘(212)에 회전 편향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6은 클러치 메커니즘(1301)을 더 상세히 예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클러치 부재들(1302,1304)은 클러치 샤프트(1306)에 의해 서로 피벗되게 결합된다. 또한, 제1 및 제2 클러치 부재들(1302,1304)은 하나 이상의 편향 스프링들(1602)에 의해 개방 구성을 향해 편향된다. 제1 및 제2 클러치 부재들(1302,1304)은 디바이스 내의 다른 컴포넌트들의 사이즈, 연결 부재(408)의 크기의 등에 따라 다양한 형태들과 사이즈들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클러치 부재들(1302,1304)은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스틸,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플라스틱 또는 기타 적절한 폴리머들, 고무(예, 65A 경도계 고무), 실리콘 또는 실리콘 블렌드 등과 같이, 심지어 더 소프트하거나 더 연한(compliant) 재료들을 포함하는 다양한 재료들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클러치 부재들(1302,1304)은 연결 부재(408)를 파지하는데 도움을 주는 기계적 치차들 또는 다른 피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부재의 파지에 도움을 주기 위해 각각의 부재 상에 코일 형태(즉, 나사-형)의 기계적 치차들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클러치 부재들(1302,1304)은 전진 메커니즘(212)이 결합된 구성에 있을 때 하나 이상의 인디케이터 라이트들(1104)을 활성화시키는 전기 회로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각각의 클러치 부재는 제1 원위 전기 커넥터(1604A)와 제2 원위 전기 커넥터(1604B)뿐만 아니라, 제1 근위 전기 커넥터(1606A)와 제2 근위 전기 커넥터(1606B)를 포함한다. 각각의 클러치 부재에서, 제1 및 제2 원위 전기 커넥터들(1604A,1604B)은 서로 전기적으로 결합되고, 제1 및 제2 근위 전기 커넥터들(1606A,1606B)은 서로 전기적으로 결합되지만, 원위 및 근위 전기 커넥터들의 세트(즉, 1604A,1604B 및 1606A,1606B)는 서로 전기적으로 분리되어 있다. 또한, 제2 원위 전기 커넥터(1604B)와 제2 근위 전기 커넥터(1606B)는 클러치 부재가 연결 부재와 접촉할 때 연결 부재(408)와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전진 메커니즘(212)이 결합된 구성에 있을 때에만 하나 이상의 인디케이커 라이트들(1104)을 활성화시키는 전기 회로를 생성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인디케이터 라이트들(1104)은 제1 원위 전기 커넥터(1604A)에 전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고 전원(미도시)은 제1 근위 전기 커넥터(1606A)에 전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클러치 부재들(1302,1304)이 결합해제된 구성에 있을 때(즉, 연결 부재(408)와 접촉하지 않을 때), 하나 이상의 인디케이터 라이트들(1104)은 전원에 연결되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클러치 부재들(1302,1304)이 연결 부재(408)와 결합되어 접촉할 때, 연결 부재는 회로를 완성하고 하나 이상의 인디케이터 라이트들(1104)에 전기를 전도하기 위해 제2 원위 전기 커넥터(1604B)와 제2 근위 전기 커넥터(1606B) 둘 모두에 접촉할 수 있다. 이러한 회로가 작동하기 위해서는, 연결 요소(408)가 2개의 전기 커넥터들(1604B,1606B) 사이에서 전기를 전도할 수 있어야 하지만, 일부 실시예들에서, 비-전도성 재료들(예, 폴리머들)은 연결 부재를 형성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연결 부재(408) 주위에 배치되고 스테인리스 스틸 또는 다른 전도성 재료로부터 형성된 슬리브(1004)는, 클러치 부재들(1302,1304)과 접촉할 수 있는 연결 부재의 임의의 부분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전진 메커니즘(212)의 작동시 전기 회로의 완성은 여러 가지 다른 방식들로 사용자에게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전진 메커니즘이 결합되어 있음을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상기시키기 위해 하나 이상의 인디케이터 라이트들(1104)을 활성화시키는 것은 단지 하나의 가능한 옵션일 뿐이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회로는 제어기 또는 인용에 의해 본 명세서에 통합된 특허들 및 공개 특허들에 설명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200) 내부에 위치되거나 외부 제어기에 통합된 시스템의 다른 컴포넌트, 예컨대, 유체 강화 절제 요법 제어기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제어기 또는 기타 외부 인터페이스 디바이스는, 시각적으로, 청각적으로, 촉각적으로 또는 기타 방식으로 사용자에게 유사한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전기 회로로부터의 피드백은 요법의 전달(예, 바늘(512)로부터의 RF 전기 에너지의 전달)을 제어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예시된 실시예에서, 인디케이터 라이트들(1104)은, 바늘(512) 또는 다른 기구가 디바이스의 원위단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기 때문에, 전진 메커니즘이 결합되고 카테터 조향 작동이 조심스럽게 수행되어야 한다는 것을 적어도 사용자에게 상기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17a 및 17b는 클러치 메커니즘(1301)과 베어링 조립체(1214)의 결합해제된 구성 및 결합된 구성을 분리하여 도시한다. 또한, 클러치 부재들의 각각의 제1 원위 전기 커넥터(1604A)가 도시되었지만, 제2 원위 전기 커넥터(1604B)는 도시되지 않았다. 도 18은 도 17a 및 도 17b에 도시된 컴포넌트들을 분해하여 나타낸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들에서, 클러치 부재들(1302,1304)은 각각 연결 부재(408)(또는 그 주위에 배치된 슬리브(1004))를 단단히 파지하도록 구성된 형상을 가진 인서트(1802)를 포함할 수 있다. 인서트들(1802)은 클러치 부재들(1302,1304)과 동일하거나 상이한 재료들로부터 형성될 수 있고, 다양한 형상들과 사이즈들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예를 들어, 인서트들(1802)은 스테인레스 스틸,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플라스틱 또는 기타 적합한 폴리머들, 및 고무(예, 65A 경도계 고무), 실리콘 또는 실리콘 블렌드 등과 같은 심지어 더 소프트하고 더 연한 재료들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인서트들이 사용되는 경우, 이들은 연결 부재(408)를 파지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위에서 언급한 기계적 치차들 또는 기타 피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일 형태의 기계적 치차들(즉, 나사-형)은 연결 부재를 파지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도록 각각의 부재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9a 및 19b는 베어링 조립체들(1214)을 더 상세히 예시한다. 각각의 베어링 조립체(1214)는 클러치 부재들(1302,1304)의 하나의 외부 표면에 접하도록 구성된 베이스(1902)를 포함한다. 또한, 베이스는 볼 베어링(1906)을 안착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융기부(raised portion)들(1904)뿐만 아니라, 각각의 볼 베어링(1906)과 융기부(1904) 주위로 연장하는 하나 이상의 캡들(1908)을 포함한다. 캡들(1908)은 볼 베어링(1906)이 캡(1908) 위로 부분적으로 연장될 수 있게 하는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그 결과, 볼 베어링(1906)은 예컨대, 상부 또는 하부 하우징들(402,404)의 리세스(1402) 또는 편평부(1404)에 접할 수 있고, 전진 메커니즘(212)이 디바이스의 세로축을 따라 이동되거나 회전됨에 따라 하우징의 이러한 부분들을 따라 스무스한 이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20a 내지 22c는, 전진 메커니즘(212)이 전술한 결합해제된 구성으로부터 결합된 구성으로 이동되고 도 5에 도시된 구성으로부터 도 7에 도시된 구성으로 바늘(512)을 전진시키기 위해 이용될 때, 디바이스(200)의 근위부(206)의 다양한 도면들을 도시한다. 이러한 예시들은 디바이스(200)를 사용하기 위한 방법의 설명과 함께 아래에서 제공된다.
디바이스(200)가 사용되는 수술 절차 예컨대, 심실빈맥을 치료하기 위한 유체 강화 절제 요법 절차의 시작에서, 전진 메커니즘(212)은 도 20a, 도 21a, 및 도 2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될 수 있다. 즉, 작동 돌출부(1204)가 상부 하우징(404) 내의 개구(2001)의 근위단에 접하도록(도 3, 도 4 및 도 14의 도면들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작동 돌출부(1206)는 하부 하우징(402) 내의 개구로부터 유사하게 연장될 수 있음), 전진 메커니즘(212)은 최-근위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개구(2001)는 그 근위단에서 전진 메커니즘(212)이 디바이스에 대해 근위로 또는 원위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노치(2002)를 포함할 수 있다. 노치(2002)는 제1 및 제2 편향 스프링들(1502,1504)이 전진 메카니즘을 노치 속으로 압박하고 클러치 부재들(1302,1304)이 연결 부재(408)와 접촉하지 않는 결합해제된 구성으로 압박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도 20a, 도 21a 및 도 22a의 구성에서, 편향 요소(902)는,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516)가 후퇴 스탑(518)에 맞닿을 때까지 연결 부재(408)를 근위로 압박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플랜지가 후퇴 스탑에 접할 때(즉, 기준 위치에 있을 때), 바늘의 원위 팁(513)이 카테터(102)의 원위 팁(515)과 동등하거나 그에 대해 근위에 있도록, 바늘(512)을 따른 플랜지(516) 및 카테터(201)의 내부 루멘(511) 내의 후퇴 스탑(518)의 위치들이 선택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이들 컴포넌트들의 위치는 이러한 구성에 있을 때 바늘(512)의 원위 팁(513)과 카테터(201)의 원위 팁(515) 사이에 원하는 틈새 간격(D1)을 유지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임의의 원하는 틈새 간격이 이용될 수 있고, 일부 실시예들에서 약 2mm일 수 있다.
카테터(201)는 이러한 구성에서 환자의 신체 내부 위치 속으로 조향될 수 있다. 특히, 카테터는 예컨대, 환자의 순환계에 도입될 수 있고, 카테터를 환자의 신체를 통해 예컨대, 환자의 심장과 같은 수술 부위로 조향하기 위해 조향 제어기(210)가 이용될 수 있다. 바늘(512)의 근위 편향 및 조향 케이블(806)의 종단점에 대해 원위에 있는 플랜지/후퇴 스탑 인터페이스의 위치 때문에, 바늘은 카테터 내부 루멘(511) 내부에 안전하게 유지된다. 따라서, 제 위치로 조향될 때 카테터(201)의 유연부(204)가 아무리 심하게 굴곡되더라도, 바늘(512)이 카테터의 원위 팁으로부터 부주의하게 연장되지 않을 것임을 사용자는 확신할 수 있다.
카테터(201)가 수술 부위에서 위치로 내비게이션되면, 사용자는 도 13a, 도 14a, 도 20a, 도 21a, 및 도 22a에 도시된 결합해제된 구성으로부터 도 13b, 도 14b, 도 20b, 도 21b, 및 도 22b에 도시된 결합된 구성까지 전진 메커니즘(212)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것은 작동 돌출부(1204)(유사하게, 디바이스의 반대쪽에 있는 작동 돌출부(1206))를 노치(2002) 밖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전진 메커니즘(212)을 회전시킴으로써 달성된다. 전진 메커니즘(212)의 회전은 베어링 어셈블리들이 하우징의 리세스들(1402)로부터 편평부들(1404)로 이동되게 함으로써, 클러치 부재들(1302,1304)을 함께 가압하여 연결 부재(408)를 단단히 파지하게 한다. 또한, 슬리브(1004)는 클러치 부재들 상의 전기 커넥터들(1604B,1606B)과 접촉하고 전진 메커니즘(212)이 바늘(512)에 결합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해 인디케이터 렌즈(904)를 통해 빛을 비추는 하나 이상의 인디케이터 라이트들(1104)을 활성화시킨다.
카테터(201)의 원위 팁으로부터 바늘(512)을 전개시키기 위해, 사용자는 도 20c, 도 21c 및 도 2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진 메커니즘(212)를 원위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전진 메커니즘(212)를 이동시키면, 마찬가지로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위치를 통해 원위 방향으로 궁극적으로 도 7a 내지 도 7c에 도시된 위치로 바늘(512)을 전진시키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서, 편향 요소(902)는 도 2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되고, 전진 메커니즘(212)은 개구(2001)의 원위단 근처에 위치된다.
바늘(512)은 플랜지(516)가 후퇴 스탑(518)에 접촉하는 기준 위치로부터 항상 원위로 전진하기 시작하기 때문에, 정밀하게 제어될 수 있다. 편향 요소의 사용은, 바늘이 후퇴 스탑(518)에 대해 이동을 시작하기 전에 완화될 필요가 있는 카테터 본체 상에 약간의 압축 변형 및 연결 부재(408) 상의 약간의 장력을 부여할 수 있지만, 이것은 예컨대, 아래에서 설명되는 노치들(2004)의 위치를 설정할 때를 위해 특징화되고 보상될 수 있다. 최종 결과는, 예컨대, 5mm(앞서 설명된 편향 요소 변형을 보상하기 위해 필요한 거리 추가)만큼 전진 메커니즘(212)의 원위 방향으로의 이동은, 기준 위치로부터 원위 방향으로 5mm만큼의 바늘(512)의 이동이다. 카테터 원위 팁에 대한 바늘 또는 기타 기구의 시작 위치를 보장하지 않는 선행기술의 디바이스들의 경우에, 이러한 정밀도가 불가능하다.
바늘이 전개된 후 사용자가 자신의 손을 자유롭게 하기 위해, 개구(2001)는 특정 전개 간격들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부가적인 노치들(2004)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들에서, 노치들(2004)은, 도 20d에 도시된 바와 같이, 2mm, 5mm 및 8mm의 바늘 전개 간격들에 제공될 수 있다. 노치들은 전진 메커니즘(212)이 제1 및 제2 편향 스프링들(1502,1504)에 의해 노치들 내부의 위치로 가압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그러나, 노치(2002)와 달리, 노치들(2004)은 전진 메커니즘이 그 안에 안착될 때, 연결 부재(408)가 편향 요소(902)의 힘에 대항하여 제 자리에 고정되게 파지 및 유지되도록, 결합된 구성에서 계속 유지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노치들(2004)에 의해 제시되는 임의의 간격은 바늘(512)이 카테터(201)의 원위부로부터 연장되는 간격을 나타낼 수 있고, 완전히 후퇴된 구성에 있을 때 바늘 원위 팁과 카테터 원위 팁 사이에서 유지되는 임의의 틈새 간격(D1) 뿐만 아니라, 전술한 바와 같은 연결 부재(408) 내의 인장 및 편향 요소에 의해 부여되는 카테터 본체 내의 압축을 완화시키는데 필요한 임의의 부가적인 전진 간격을 고려할 수 있다. 임의의 갯수의 노치들은 임의의 다양한 간격들에서 제공될 수 있고, 일부 실시예들에서, 노치들(2004)은, 세트 스크류, 록킹 핀 등과 같이 전진 메커니즘(212)의 이동 및 회전 위치를 유지하기 위한 다수의 다른 공지된 메커니즘을 대신할 수 있다.
바늘(512)이 카테터(201)의 끝단으로부터 전개되어 조직 속으로 삽입되면, 사용자는 유체 강화 절제 요법의 전달을 시작할 수 있다. 이것은 저장소 또는 다른 소스로부터 치료 유체 전달 라인(214) 및 연결 부재(408)와 바늘(512)의 바늘 루멘들을 통해 유체를 펌핑함으로써 조직 속으로 유체를 전달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유체는 바늘(512)의 하나 이상의 출구 포트들(514)을 통해 조직 속으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유체는 주변 조직 속으로 전달되기 전에 바늘(512)의 바늘 루멘 내부에 배치된 가열 요소(520)(도 5c 참조)를 사용하여 가열될 수 있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가열 요소(520)는 예컨대, 유체를 통해 바늘(512)의 측벽 속으로 RF 전기 에너지를 통과시킴으로써, 고유 저항으로 인해 바늘 루멘을 통해 흐르는 유체를 가열시키는 한 가닥의 노출된 와이어일 수 있다. 전개가능한 바늘(512)과 함께 사용하기에 적합한 가열 요소에 대한 추가 세부 사항은 인용에 의해 본 명세서에 포함된 특허들 및 공개 특허들에서 이용가능하다.
또한, 유체 강화 절제 요법은 바늘(512)의 외부 표면 상에 배치된 절제 요소를 사용하여 RF 전기 에너지 또는 다른 에너지를 조직으로 전달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바늘(512)은 스테인레스 스틸과 같은 전도성 물질로부터 형성될 수 있고, 그 전체 표면은 전극으로서 활용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들에서, 바늘(512)의 일부만이 절제 요소로 사용될 수 있고(예, 바늘의 나머지 부분을 절연 재료로 덮음으로써), 또는 개별 절제 요소가 바늘에 결합될 수 있다. 절제 요소에 대한 추가 세부 사항은 위에서 인용에 의해 본 명세서에 통합된 특허들 및 공개된 출원들에서 사용할 수 있다.
수술 중에 카테터(201)의 재배치(repositioning)가 필요한 경우, 사용자는 위에서 설명한 전개 단계들을 반대로 수행하여 바늘(512)을 후퇴시킬 수 있다. 즉, 전진 메카니즘(212)은 노치(2004) 밖으로 회전되고, 근위로 이동되어 예컨대, 노치(2002)와 같은 새로운 노치로 회전될 수 있다. 바늘은 원하는 양만큼 근위로 또는 원위로 이동될 수 있고, 카테터의 조향은 언제든지 가능하다. 그러나, 바늘(512)이 전개된 상태에 있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상기시키기 위해, 전진 메커니즘(212)의 클러치 부재들(1302,1304)이 연결 부재(408)로부터 분리될 때까지, 인디케이터 라이트들(1104)은 활성화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특정 실시예들에서, 인디케이터 라이트들(1104)을 활성화시키는 신호들은, 바늘이 후퇴될 때까지 조향 제어기가 록킹될 수 있는 가능성, 바늘이 전개될 때까지 요법 개시가 방지될 수 있는 가능성 등을 포함하여 디바이스의 다른 측면들을 제어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전술한 설명은 본 개시의 특정 실시예들의 세부 사항을 제공한다. 이들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특정 특징들은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전술한 디바이스(200)는 유체와 절제 에너지를 조직으로 전달하도록 구성된 중공(hollow) 바늘(512)을 포함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임의의 수술 기구-바늘 또는 카테터의 수술 부위에 전달될 수 있는 선택적 전개에 사용될 수 있는 기타 기구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특정 편향 요소들은 한정적인 의미는 아니다. 예로서, 압축 코일 스프링(902)은 디바이스의 근위부(206) 내 보다는 카테터(201)의 원위부(202) 내를 포함하여, 디바이스(200) 내의 다양한 위치들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인장 스프링들, 전자기 바이어싱 어셈블리들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편향 요소들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전진 메커니즘(212)은 다양한 상이한 구성들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러치 메커니즘(1301)은 다수의 다른 가능한 기계적, 전기기계적 또는 전자기적 클러치 메커니즘으로 대체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피봇 클러치 부재들(1302,1304)은 연결 부재(408) 주위로 연장되고 전진 메커니즘(212)의 회전에 의해 연결 부재와 접촉하도록 가압되는 실리콘 또는 다른 유연 부재로 대체될 수 있다. 편향 요소(902)의 힘에 대항하여 원위로 바늘(512)을 이동시키기 위해 전진 메커니즘이 사용될 수 있도록, 연결 부재와 접촉시, 마찰은 유연 부재와 연결 부재(408) 사이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3 내지 28은 대안적인 전진 메커니즘(2312)을 포함하는 카테터 디바이스(2300)의 다른 실시예의 근위부를 도시한다. 디바이스(2300)는 도 9에 도시된 디바이스(200)와 유사하고, 전진 메커니즘(2312)은 연결 부재(408)를 선택적으로 파지하고 바늘 또는 다른 수술 기구를 원위로 전진시키도록 유사하게 기능한다. 그러나, 전진 메커니즘(2312)은 도 24 및 도 25에 상세히 도시된 대안적인 기계 설계를 포함한다.
전진 메커니즘(2312)은 메커니즘의 다른 컴포넌트들을 협력하여 둘러싸는 상부 클러치 하우징(2314)과 하부 클러치 하우징(2316)을 포함한다. 상부 및 하부 클러치 하우징들(2314,2316)은 메커니즘을 작동시키고 연결 부재(408)를 원위로 이동시키도록 사용자에 의해 조작될 수 있는 작동 돌출부들(2318,2320)을 포함한다. 원위 및 근위 회전-방지 스탑들(2322,2324)은 디바이스의 하부 하우징(402)(미도시) 내에 형성된 트랙 내부에서 라이드하도록 구성된 상부 및 하부 클러치 하우징들(2314,2316) 및 포스트들(2326,2328)에 결합된다. 회전-방지 스탑들(2322,2324)이 하부 하우징(402)에 대해 근위로 및 원위로 이동할 수 있지만 거기에 대해 가로로 이동할 수 없도록, 하부 하우징(402) 내에 형성된 트랙은 디바이스의 세로축을 따라 연장할 수 있다. 원위 및 근위 편향 스프링들(2330,2332)은 회전-방지 스탑들(2322,2324)(각각 포스트들(2329,2331)을 통해)의 하나 및 상부 및 하부 클러치 하우징들(2314,2316)의 하나에 결합되어, 전술한 전진 메커니즘(212)과 유사하게 결합해제된 구성을 향해 클러치 하우징들을 회전되게 편향시킨다.
도 25의 분해도는 클러치 하우징들(2314,2316) 사이에 수납된 다양한 컴포넌트들을 도시한다. 특히, 클러치 메커니즘(2501)은 상부 및 하부 클러치 하우징들(2314,2316)과 원위 및 근위 회전-방지 스탑들(2322,2324) 사이에 배치된다. 아래에서 더 상세히 논의되는 바와 같이, 클러치 메커니즘(2501)은 원위 및 근위 회전-방지 스탑들(2322,2324) 사이에서 연장되는 클러치 샤프트에 의해 서로 피벗되게 결합되는 제1 및 제2 클러치 부재들을 포함한다. 또한, 한 쌍의 베어링 샤프트들(2503)은 원위 및 근위 회전-방지 스탑들(2322,2324) 내에 형성되고 클러치 메커니즘(2501)의 제1 및 제2 클러치 부재들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을 향해 위치된 슬롯들 내에 장착된다. 베어링 샤프트들(2503)은 회전-방지 스탑들(2322)의 슬롯들 내부에서 회전하고 반경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안정화(stabilization) 샤프트들(2505)은 전진 메커니즘(2312)의 강성을 개선하기 위해 원위 및 근위 회전-방지 스탑들(2322,2324) 사이에서 연장한다.
도 26은 클러치 메커니즘(2501)을 더 상세히 도시한다. 도 18에 도시된 클러치 메커니즘(1301)과 유사하게, 클러치 메커니즘(2501)은 클러치 샤프트(2606)에 의해 서로 피벗되게 결합되는 제1 및 제2 클러치 부재들(2602,2604)를 포함한다. 또한, 제1 및 제2 클러치 부재들(2602,2604)은 클러치 샤프트(2606) 주위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편향 스프링들(2608)에 의해 개방 구성을 향해 편향된다. 전술한 클러치 메커니즘(1301)에서와 같이, 제1 및 제2 클러치 부재들(2602,2604)은 다양한 상이한 형상들과 사이즈들을 가질 수 있고, 편향 컴포넌트들의 대안적인 배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클러치 부재들(2602,2604)은 클러치 메커니즘(2501)의 작동시 연결 부재(408)와 접촉하도록 구성된 인서트(2610)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인서트(2610)는 다양한 형상들과 사이즈들을 가질 수 있고, 제1 및 제2 클러치 부재들(2602,2604)을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재료와 동일하거나 상이한 재료들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인서트가 마모되는 경우 또는 상이한 사이즈의 연결 부재(408)가 이용되는 경우 등과 같이 교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인서트(2610)는 대응하는 클러치 부재로부터 선택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클러치 메커니즘(1301)과 유사하게, 클러치 메커니즘(2501)은, 전진 메커니즘(2312)이 결합된 구성에 있을 때, 하나 이상의 사용자 피드백 메커니즘들(예, 인디케이터 라이들(1104))을 활성화시키는 전기 회로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제1 클러치 부재(2602)는 제1 전기 커넥터(2612)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클러치 부재(2604)는 제2 전기 커넥터(2614)를 포함할 수 있다. 와이어 리드들(미도시)은 포스트들(2616,2618)을 통해(각각) 제1 및 제2 전기 커넥터들에 전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인디케이터 라이트들(1104)과 전원(미도시)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 전기 커넥터들(2612,2614)은 전원을 하나 이상의 인디케이터 라이트들(1104)에 연결하는 회로 내의 스위치를 형성할 수 있다. 클러치 메커니즘(2501)이 작동되고 제1 및 제2 클러치 부재들(2602,2604)이 연결 부재(408)에 접촉할 때, 제1 및 제2 전기 커넥터들(2612,2614)은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연결 부재(408)의 전도성 재료를 통해 스위치를 폐쇄하기 위해 연결 부재(408)와 접촉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하나 이상의 인디케이터 라이트들(1104)은 클러치 메커니즘(2501)이 연결 부재(408)와 접촉할 때에만 전원이 켜질 수 있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인디케이터 라이트들(1104)의 전원 켜짐은 이러한 스위치에 의해 제공될 수 있는 피드백의 하나의 예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스위치의 개방 위치 또는 폐쇄 위치는 제어기 또는 시스템의 다른 컴포넌트와 통신될 수 있다. 그러한 제어기는 사용자에게 시각적, 청각적, 촉각적 또는 기타의 피드백을 제공하거나, 요법 전달(예, 바늘(512) 또는 다른 기구로부터 RF 전기 에너지의 전달)을 제어할 수 있다.
도 27a 및 도 27b는 클러치 메커니즘과 전진 메커니즘(2312)의 다른 컴포넌트들 사이의 상호작용과 함께, 클러치 메커니즘(2501)의 결합해제된 구성 및 결합된 구성을 도시한다. 하부 하우징(402)(미도시) 상에 형성된 트랙 속으로 연장하는 포스트(2328)(도 24 및 도 25)에 의한 회전을 근위 회전-방지 스탑(2324)이 방지하기 때문에, 도 27a 및 도 27b에 예시된 모션은 회전-방지 스탑(2324) 주위의 클러치 하우징들(2314,2316)의 회전이다. 동일한 이유로, 안정화 샤프트(2505)와 클러치 샤프트(2606)는 원위 및 근위 회전-방지 스탑들(2322,2324) 내에 형성된 리세스들 사이로 그들이 연장하기 때문에, 도면의 평면에서 이동하지 않는다. 그러나, 베어링 샤프트들(2503)은, 이러한 이동을 허용하는 회전-방지 스탑들(2322,2324) 내에 형성된 슬롯들 내부에 수용되기 때문에, 반경방향 내측 또는 외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27a의 결합해제된 구성에서, 클러치 하우징들(2314,2316)은 리세스(2702)가 각각의 베어링 샤프트(2503)와 정렬되어 베어링 샤프트가 반경방향 외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위치된다. 이러한 구성에서, 스프링들(2608)을 편향시키는 클러치 메커니즘(2501)의 힘(도 26 참조)은, 제1 및 제2 클러치 부재들(2602,2604)을 분리시키고, 베어링 샤프트들(2503)을 최-외곽 위치로 압박한다. 또한, 클러치 부재들(2602,2604)은 디바이스의 연결 부재(408)(미도시)와 접촉이 해제된 채로 남아 있다.
전진 메커니즘(2312)을 결합하기 위해, 사용자는 작동 돌출부들(2318,2320)의 조작을 통해 도 27b에 도시된 구성으로 클러치 하우징들(2314,2316)을 회전시킬 수 있다. 클러치 하우징들(2314,2316)이 회전됨에 따라, 리세스들(2702)은 베어링 샤프트들(2503)과 정렬되지 않도록 이동하고, 클러치 하우징들의 편평부(또는 심지어 돌출부)(2704)는 베어링샤프트와 정렬될 수 있다. 클러치 하우징들(2314,2316)의 이러한 회전 운동은 베어링 샤프트들(2503)을 반경방향 내측으로 이동시키고, 이는 편향 스프링들(2608)의 힘을 극복하고 제1 및 제2 클러치 부재들(2602,2604)을 서로를 향해 이동시킨다. 도 27b에 도시된 구성에서, 제1 및 제2 클러치 부재들(2602,2604) 사이에 배치된 연결 부재(미도시)는 단단히 파지될 것이다. 그러면, 사용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연결 부재에 결합된 바늘 또는 다른 수술 기구의 유사한 움직임을 수행하기 위해, 전진 메커니즘(2312)을 근위로 또는 원위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28은 하부 하우징(402), 상부 하우징(404) 및 연결 부재(408)에 대한 전진 메커니즘(2312)을 도시한다. 전진 메커니즘은 연결 부재(408)와 접촉하지 않는도 27a의 결합해제된 구성에서 도시된다. 도 28과 도 14a 및 14b의 비교에 의해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전진 메커니즘(2312)은 클러치 하우징들(2314,2316) 내에 완전히 포함되고, 클러치 부재들(2602,2604)의 이동을 수행하기 위해 하부 및 상부 하우징들(402,404)과 베어링 어셈블리들(1214) 사이의 상호작용에 의존하지 않는다.
전술한 전진 메커니즘들(212,2312)은 단지 2개의 가능한 실시예들일 뿐이다. 더욱이, 2개의 실시예들은 피봇 연결을 통해 서로를 향해 이동하거나 서로로부터 멀어지게 이동하는 클러치 부재들을 사용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클러치 부재들(1302,1304)(또는 2602,2604)은 서로로부터 선형으로 분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러치 부재들(1302,1304) 및 클러치 하우징들(1202) 상의 테이퍼진 표면은, 전진 메커니즘(212)이 회전 또는 직선 이동함에 따라, 클러치 부재들이 서로를 향해 가압되게 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들에서, 전진 메커니즘(212)은 연결 부재(408)에 대한 메커니즘의 결합 및 디바이스에 대한 메커니즘의 직선 이동을 제어하는 별도의 메커니즘들을 포함할 수 있고, 또는 단일 모션(예, 원위 이동)이 연결 부재(408)와의 결합과 원위로의 전진 모두를 야기하도록 메커니즘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교시에 따른 디바이스들은 임의의 방식의 기어링(gearing) 시스템들(예, 웜 기어 등) 및 액추에이터들(예, 솔레노이드 등)을 이용하여 전진 메커니즘의 이동을 지원하거나 완전히 동력을 공급할 수 있다.
도 29 내지 도 34는 카테터의 원위부 내부에 배치된 바늘 또는 다른 수술 기구의 원위 전진을 제한하기 위해 공지된 기준 위치들을 사용할 수 있는 전진 메커니즘들의 부가적인 실시예들을 도시한다. 따라서, 전술한 후퇴 스탑에 대해 근위로 후퇴될 때뿐만 아니라, 아래에 설명된 바와 같이, 전개 스탑에 대해 원위로 전개될 때, 카테터 내부의 바늘 또는 기타 기구의 위치는 확실하게 알려질 수 있다. 카테터의 원위단에 대한 전개 스탑들의 알려진 포지셔닝은, 기구 상에 형성된 돌출부 또는 기타 위치결정 피쳐가 전개 스탑과 접촉할 때, 카테터의 원위단를 넘어서 바늘 또는 기구의 특정 길이의 전개를 보장할 수 있다. 더욱이, 예컨대, 2mm, 5mm, 8mm 등의 다양한 길이의 기구 전개를 제공하기 위해 일련의 전개 스탑들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그러한 실시예들은 선택적으로 편향 요소를 사용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편향 요소의 부재(absence)는 편향 요소가 부여할 수 있는 연결 부재 내의 장력 및 카테터 내의 압축을 보상하기 위한 전술한 필요성을 제거할 수 있다.
도 29에 도시된 제1 실시예에서, 일련의 트랙들(2902,2904,2906)은 카테터(2910)의 내부 루멘(2908)의 측벽 내에 형성될 수 있다. 가늘고 긴 몸체(2912), 예컨대, 바늘 또는 다른 수술 기구는 내부 루멘(2908) 내부에 위치될 수 있고, 거기에 대해 이동 또는 회전되게 구성된다. 가늘고 긴 몸체(2912)는 그 외부 표면 상에 형성된 돌출부(2914)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2914)는 트랙들(2902,2904,2906)에 상보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으므로, 트랙들은 카테터(2910)에 대한 가늘고 긴 몸체(2912)의 돌출부 및 가이드의 이동을 수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근위 위치에서, 가늘고 긴 몸체(2912)는 돌출부(2914)를 트랙들(2902,2904,2906)의 어느 하나와 정렬시키기 위해 길이방향 축(L)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그러면, 가늘고 긴 몸체(2912)는 돌출부(2914)가 트랙들(2902,2904,2906)의 어느 하나에 들어가도록 카테터에 대해 전진할 수 있다. 가늘고 긴 몸체(2912)는 그 내부에 배치되는 트랙의 원위단에 의해 형성된 전개 스탑에 돌출부가 도달할 때까지 전진할 수 있다. 그 시점에서, 돌출부(2914)와 트랙의 원위단 사이의 간섭은 카테터(2910)에 대한 가늘고 긴 몸체(2912)의 추가적인 전진을 방지할 수 있다. 카테터(2910)의 원위단으로부터 특정 간격들에서 트랙들(2902,2904,2906)을 종료함으로써, 가늘고 긴 몸체는 카테터(2910)의 원위단으로부터 특정 간격들에서의 전개로 제한될 수 있다.
예로서, 그리고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트랙(2902)은 제2 트랙(2904)보다 더 짧을 수 있고 제2 트랙(2904)은 제3 트랙(2906)보다 더 짧을 수 있다. 돌출부(2914)가 제1 트랙(2902)과 정렬되도록 가늘고 긴 몸체(2912)를 근위 위치 내에서 회전시킨 후 가늘고 긴 몸체를 원위로 전진시킴으로써, 제1 트랙의 길이는 가늘고 긴 몸체가 카테터에 대해 전진될 수 있는 간격을 제한할 수 있다. 더 큰 간격이 요구되는 경우, 가늘고 긴 몸체(2912)는 근위 위치로 후퇴될 수 있고, 더 긴 트랙들(2904,2906)의 하나와 정렬되도록 회전될 수 있으며, 선택된 트랙의 끝단까지 원위로 전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가늘고 긴 몸체가 전술한 바와 같이 후퇴 스탑에 대해 근위로 후퇴될 때뿐만 아니라, 가늘고 긴 몸체가 트랙들(2902,2904,2906)의 하나의 원위단에 대해 전진되는 다양한 전개 위치들에서 모두 카테터 내부에 배치된 가늘고 긴 몸체의 상대적인 포지셔닝에 대한 확실성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임의의 조향 메커니즘에 대해 원위인 그 부분을 따라 카테터(2910)의 측벽에 트랙들(2902,2904,2906)이 형성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조향 등으로 인한 카테터의 근위 변형이 가늘고 긴 몸체가 카테터의 원위단으로부터 연장하는 간격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확신할 수 있다.
도 29는 길이가 상이한 3개의 트랙들(2902,2904,2906)을 도시한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들에서, 가늘고 긴 몸체의 전진 또는 전개의 다양한 간격들을 제공하기 위해 임의의 갯수의 트랙들이 사용될 수 있다. 카테터(2910)에 대한 가늘고 긴 몸체(2912)의 회전을 제어함으로써, 디바이스의 근위단에서 임의의 다양한 트랙들이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들에서, 노브 또는 다른 작동 피쳐가 그 근위부를 따라 가늘고 긴 몸체에 결합될 수 있고, 가늘고 긴 몸체(2912) 를 회전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늘고 긴 몸체(2912) 주위에 배치된 하우징 상의 마킹들, 멈춤쇠들, 또는 다른 식별 피쳐들은, 예컨대, 그 트랙에 의해 허용되는 원위 전진을 표시함으로써(예, 2mm, 5mm, 8mm 등), 돌출부(2914)가 정렬되는 트랙을 사용자에게 나타낼 수 있다.
도 30은 가늘고 긴 몸체(3004) 상에 형성된 플랜지(3002) 또는 다른 피쳐가 카테터(3008) 내에 형성된 상보적인 관통-구멍(3006)과 조합하여 이용되어 정확하게 키가 형성된(keyed) 방향으로 회전될 때 가늘고 긴 몸체(3004)를 선택적으로 전진시키는 제2 실시예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도 30에서, 플랜지(3002)가 구멍(3006)을 통해 전진하도록 정렬되거나 키가 형성된 위치로 가늘고 긴 몸체(3004)가 회전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회전 위치에서, 가늘고 긴 몸체는 관통-구멍(3010)을 원위로 더 넘어서 전진하는 것이 차단될 것이다. 이러한 추가적인 원위 전진을 달성하기 위해, 가늘고 긴 몸체(3004)는 관통-구멍(3006)을 통과한 후 90° 회전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길이방향 축(L)을 중심으로 다른 회전 방향들에서 키가 형성된 플랜지들과 관통-구멍들의 이러한 시스템은, 위에서 설명된 다양한 트랙들과 동일한 방식으로 카테터(3008)에 대한 가늘고 긴 몸체(3004)의 알려지고 선택적으로 제한된 전진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통-구멍(3006)의 위치가 카테터(3008)의 원위단에 대해 알려져 있고 플랜지(3002)의 위치가 가늘고 긴 몸체(3004)의 원위단에 대해 알려진 경우, 가늘고 긴 몸체가 관통-구멍(3006)에 접촉하지만 그것을 통과하지 않도록 전진될 때(예, 가늘고 긴 몸체가 관통 구멍(3006)을 통과할 수 없도록 축(L)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경우)마다, 가늘고 긴 몸체(3004)와 카테터(3008)의 원위단들의 알려진 상대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또한, 구멍(3006)의 위치는 예컨대, 그 원위부를 따라 카테터(3008)의 임의의 조향 메커니즘의 원위에 있을 수 있으므로, 카테터 조향으로 인해 카테터(3008) 및/또는 가늘고 긴 몸체(3004)의 근위로의 임의의 변형 또는 이동이, 전술한 바와 같이, 카테터와 가늘고 긴 몸체의 원위단들의 상대 포지셔닝에 영향을 주지 않을 것이다.
더욱이, 일련의 관통-구멍들(예, 구멍들(3006,3010) 등)을 카테터의 길이를 따라 그 원위단에 대해 다양한 간격들로 배치시킴으로써, 플랜지(3002)를 다양한 관통-구멍들과 선택적으로 정렬시키기 위해 가늘고 긴 몸체(3004)는 그것을 회전시킴으로써 다양한 간격들로 선택적으로 전진될 수 있다. 특정 관통-구멍과 오정렬 될 때, 가늘고 긴 몸체의 원위 전진은 관통-구멍을 둘러싸는 벌크헤드(예, 관통-구멍(3006)을 둘러싸는 벌크헤드(3007) 또는 관통-구멍(3010)을 둘러싸는 벌크헤드(3009))에 대해 플랜지(3002)를 가압하여, 전개 스탑을 형성하고 임의의 부가적인 의도하지 않은 전진을 방지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전술한 구성은 카테터에 대해 원하는 위치에 가늘고 긴 몸체를 유지하기 위해 가늘고 긴 몸체(3004)의 근위 편향과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음을 주목한다. 예를 들어, 구멍을 통해 가늘고 긴 몸체의 플랜지를 통과시킨 후, 구멍을 통한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가늘고 긴 몸체는 회전될 수 있고, 그 다음, 방금 관통 전진된 벌크헤드에 대해 플랜지를 가압하여 근위로 압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늘고 긴 몸체(3004)는 도 30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원위로 전진될 수 있으므로, 플랜지가 구멍(3006)을 통과한 후, 가늘고 긴 몸체는 구멍(3010)의 관통을 위해 그것을 정렬하기 위해 90°회전될 수 있지만, 예컨대, 편향 메커니즘에 의해 근위로 후퇴될 수 있다. 이러한 근위 후퇴는 벌크헤드(3007)와 접촉하는 플랜지(3002)를 유지하고 카테터에 대한 가늘고 긴 몸체의 위치를 유지할 것이다. 이러한 구성은 사실상 카테터의 원위부의 길이를 따라 일련의 후퇴 스탑들(위에서 설명된 스탑(518)과 유사함)을 제공한다.
플랜지(3002)와 관통-구멍들((3006,3010)의 일 실시예가 도 30에 도시되어 있지만, 임의의 다양한 다양한 구성들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플랜지(3002)는 다양한 형상들과 사이즈들의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들의 형태일 수 있고, 관통-구멍들(3006,3010)은 상보적일 수 있고 임의의 다양한 회전 위치들에 배치될 수 있다. 가늘고 긴 몸체의 그 근위부으로부터의 회전 및 원위 전진 또는 근위 후퇴를 제어하기 위해 전술한 바와 같은 액추에이터들이 사용될 수 있다.
도 31은 카테터에 대한 가늘고 긴 몸체(3106)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해 단일의 구불구불하게 형성되거나 미로 형태의 트랙(3102)이 카테터(3104)의 측벽 내에 형성된 전진 메커니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가늘고 긴 몸체(3106) 상에 형성된 돌출부(3108)는 트랙(3102) 내부에 수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돌출부(3108)가 트랙(3102)의 제1 부분(3110) 내부에 수용되면, 가늘고 긴 몸체(3106)는 카테터(3104)에 대한 회전이 방지될 수 있고, 돌출부(3108)가 트랙의 제1 부분의 원위단에 접하게 되어 제1 전개 스탑에 도달할 때까지만 원위로의 전진이 제한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트랙(3102)의 제1 부분(3110)의 원위단은 카테터의 원위단으로부터 알려진 간격에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된 간격은, 카테터와 가늘고 긴 몸체의 원위단들 사이의 상대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가늘고 긴 몸체(3106)의 돌출부(3108)와 원위단 사이의 고정된 간격과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카테터(3104)에 대해 가늘고 긴 몸체(3106)를 계속 더 전진시키기 위해, 돌출부(3108)는 트랙(3102)의 제1 전이부(3112)를 통과하도록 가늘고 긴 몸체는 회전 될 수 있다. 돌출부(3108)가 트랙(3102)의 제2 부분(3114)과 정렬되면, 돌출부가 트랙의 제2 부분의 원위단에 접하여 제2 전개 스탑에에 도달할 때까지, 가늘고 긴 몸체(3106)는 원위 방향으로 전진될 수 있다. 추가적인 원위 전진이 요구되는 경우, 가늘고 긴 몸체(3106)는 회전되어 돌출부(3108)가 제2 전이부(3116)를 통과하여 트랙(3102)의 제3 부분(3118)과 정렬되도록 이동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임의의 갯수의 트랙 부분들과 전이부들은 카테터에 대한 가늘고 긴 몸체의 다양한 단계적인 전진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카테터(3104)에 대한 가늘고 긴 몸체의 포지셔닝을 제어하기 위해, 가늘고 긴 몸체(3106)는 트랙(3102)의 각각의 부분의 원위단에 대해 전진되거나 각각의 부분의 근위단들에 대해 근위로 후퇴될 수 있다. 이것은 도 3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플랜지(3002)의 벌크헤드로의 원위 전진 또는 근위 후퇴에 대한 개념과 유사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종 결과는, 예컨대, 카테터 조향으로부터의 변형 등으로 인한 그것의 더욱 근위부를 따른 이러한 컴포넌트들 사이의 상대 이동에 관계없이, 카테터에 대한 가늘고 긴 몸체의 위치를 검증가능하게 달성하고 유지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근위 후퇴 또는 원위 전진에 대한 일련의 효과적인 후퇴 스탑 또는 전개 스탑일 수 있다.
도 32는 일련의 트랙들(3202,3204)이 카테터의 길이방향 축(L)을 중심으로 상이한 각도 위치들에서 카테터(3206)의 측벽 내에 형성되는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카테터에 대한 가늘고 긴 몸체의 움직임을 안내하기 위해, 카테터(3206)의 내부 루멘 내부에 배치된 가늘고 긴 몸체(3208)는, 트랙들(3202,3204) 내에 수용될 수 있는 가늘고 긴 몸체의 외부 표면 상에 형성된 돌출부, 키(key) 또는 다른 피처(3210)를 포함할 수 있다. 길이방향 축(L)을 중심으로 다른 각도 위치들에 트랙들(3202,3204)을 위치시킴으로써, 예컨대, 제1 트랙(3202)과의 정렬로부터 제2 트랙(3204)과의 정렬로 키(3210)를 이동시키기 위해 가늘고 긴 몸체(3208)는 어느 정도 회전할 필요가 있다. 즉, 이러한 회전 이전에, 카테터(3206)에 대한 가늘고 긴 몸체(3208)의 원위 전진은 키(3210)가 트랙의 원위단에 맞닿을 때 포지티브(positive) 전개 스탑에 도달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트랙들(3202,3204)은 임의의 조향 부분 등에 대해 원위에 위치된 카테터(3206)의 원위부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임의의 트랙의 최-원위단과 카테터의 원위단 사이의 간격은 알려질 수 있고 변하지 않는다. 키(3210)가 트랙의 원위단에 맞닿을 때, 가늘고 긴 몸체(3208)의 원위단과 카테터(3206)의 원위단 사이의 상대 위치(예, 가늘고 긴 몸체의 원위단이 카테터의 원위단을 넘어 멀리 연장하는 정도)가 알려질 수 있도록, 키(3210) 또는 다른 피처는 가늘고 긴 몸체(3208)의 원위단에 대해 유사하게 고정될 수 있다.
트랙들(3202,3204) 사이의 키(3210)의 전이(transition)는 다양한 방식으로 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이 트랙 부분들(예, 전술한 전이부들(3112,3116)과 같은)은 상이한 트랙들 사이를 연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가늘고 긴 몸체의 360°회전을 허용하고 각각의 트랙(3202,3204)과 교차하는 환형 전이부들이 마련될 수 있다. 도 32에는 2개의 트랙들만 도시되어 있지만, 카테터의 길이를 따라 임의의 개수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들에서, 주어진 전이 영역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트랙이 들어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9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구성이 사용될 수 있고, 원하는 트랙과 키(3210)를 정렬하기 위해, 가늘고 긴 몸체의 회전에 기반하여 복수의 트랙들(예, 상이한 길이 등을 가진)이 선택될 수 있다.
도 33은, 카테터에 대한 가늘고 긴 몸체(3306)의 원위 전진을 위한 포지티브 스탑을 제공하기 위해, 중간 샤프트(3302)가 가늘고 긴 몸체(3306) 위에 카테터(3304) 내부에 배치되는 실시예를 도시한다. 위에서 설명된 구성과 유사하게, 예를 들어, 카테터(3304) 내부의 알려진 위치에 가늘고 긴 몸체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카테터를 배치하는 동안 카테터의 원위단를 넘어서 가늘고 긴 몸체의 부주의한 연장을 방지하기 위해, 가늘고 긴 몸체(3306)는 고정된 후퇴 스탑(3310)과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는 플랜지(3308) 또는 그 위에 형성된 다른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 중간 샤프트(3302)는 가늘고 긴 몸체(3306)와 후퇴 스탑(3310) 주위에 배치될 수 있고, 거기에 대해 이동되어 카테터의 길이방향 축(L)을 따라 그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가늘고 긴 몸체(3306)는 샤프트(3302)의 원위단을 통과할 수 있지만 플랜지(3308)는 통과할 수 없도록, 중간 샤프트(3302)는 감소된 직경 루멘을 가진 원위단(331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결과로서, 플랜지(3308)가 중간 샤프트(3302)의 원위단(3312)에 맞닿을 때, 카테터(3304)에 대해 가늘고 긴 몸체가 원위로 전진하는 것이 확실하게 정지될 것이다. 또한, 가늘고 긴 몸체(3306)의 플랜지(3308)가 스탑에 대해 후퇴되고 가늘고 긴 몸체의 원위단이 카테터(3304)의 원위단과 정렬될 때(예,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샤프트(3302)의 원위단(3312)과 후퇴 스탑(3310) 사이의 간격(X)을 설정함으로써, 가늘고 긴 몸체가 플랜지(3308)에 맞닿아 샤프트(3302)의 원위단(3312)에 접하도록 원위로 전진할 때 동일한 거리(X)만큼 카테터의 원위단로부터 연장될 것임을 사용자는 확신할 수 있다. 물론, 다른 실시예들에서, 플랜지(3308)의 임의의 인식가능한 두께 및 예컨대, 후퇴된 상태에 있을 때 카테터(3304) 내부의 가늘고 긴 몸체(3306)의 원하는 안전 후퇴를 수용하기 위해, 도 33에 도시된 구성을 조정할 수 있다.
카테터(3304)와 후퇴 스탑(3310)에 대한 중간 샤프트(3302)의 위치는 다양한 방식으로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들에서, 샤프트(3302)의 회전이 카테터의 길이방향 축(L)을 따라 그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중간 샤프트(3302)는 카테터(3304)와 나사결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스프링이 장착되거나 고정된 폴(pawl)형 피처를 가진 일련의 멈춤쇠들을 사용하거나, 임의의 다른 공지된 구성을 사용하여, 중간 샤프트(3302)는 카테터(3304)에 대해 인덱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샤프트의 원위단(3312)과 고정된 후퇴 스탑(3310) 사이의 간격(X)에 변화를 도입할 수 있는 샤프트(3302)와 카테터(3304) 사이의 임의의 부주의한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카테터의 임의의 조향 부분에 대해 원위 위치에서 샤프트(3302)가 카테터(3304)에 인덱싱될 수 있다.
다른 구성은 도 34에 도시된다. 카테터(3404)에 대한 가늘고 긴 몸체(3402)의 위치는 카테터의 내부 루멘의 측벽 상에 형성된 일련의 멈춤쇠들(3406,3408,3410,3412)을 사용하여 제어된다. 가늘고 긴 몸체(3402)는 카테터에 대한 가늘고 긴 몸체의 위치를 유지하기 위해 멈춤쇠들(3406,3408,3410,3412)과 인터페이스할 수 있도록 그 외부 표면 상에 형성된 돌출부(3414)를 포함할 수 있다. 멈춤쇠들(3406,3408,3410,3412)의 위치들이 카테터(3404)의 원위단에 대해 알려져 있고 돌출부(3414)의 위치가 가늘고 긴 몸체(3402)의 원위단에 대해 알려져 있기 때문에, 가늘고 긴 몸체와 카테터의 원위부들의 상대 위치들은 가늘고 긴 몸체들의 각각의 멈춤쇠에 대해 알려질 있다. 또한, 돌출부를 인접한 멈춤쇠로 밀어 내기 위해 충분한 힘이 가해질 때까지 카테터(3404)에 대한 가늘고 긴 몸체(3402)의 근위 이동과 원위 이동을 방지하는 방식으로, 돌출부(3414)는 각각의 멈춤쇠와 인터페이스할 수 있다.
돌출부(3414)는 충분한 힘이 거기에 가해진 후 인접한 멈춤쇠들 사이의 전이를 가능하게 하는 다양한 구성들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돌출부(3414)는 충분한 힘이 거기에 가해질 때까지 변형에 대해 저항하기에 충분한 강성을 가진 단일의 변형가능한 재료(예, 다수의 폴리머 등)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돌출부(3414)는 스프링-볼 메커니즘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돌출부(3414)는 강성 재료로부터 형성될 수 있고, 멈춤쇠들(3406,3408,3410,3412)은 가늘고 긴 몸체의 선택적 이동을 허용하도록 충분히 변형가능한 재료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3414)는 가늘고 긴 몸체(3402)의 일측 상에 형성되거나,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늘고 긴 몸체(3402)의 반대되는 양측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들에서, 복수의 돌출부들과 멈춤쇠들은 가늘고 긴 몸체(3402)의 원주 주위에 이격될 수 있고, 또는 단일의 피처가 그 원주 주위로 환형으로 연장하여 카테터(3404) 내에 형성된 환형 멈춤쇠들과 인터페이스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들에서, 예시된 배열은 카테터(3404) 상에 형성된 돌출부가 가늘고 긴 몸체(3402) 상에 형성된 멈춤쇠들, 또는 가늘고 긴 몸체 상에 형성된 단일 멈춤쇠와 인터페이스하도록 반전될 수 있고, 다른 컴포넌트의 길이를 따라 형성된 일련의 돌출부들의 하나와 인터페이스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디바이스들은 일회 사용 후에 폐기하도록 설계될 수 있고, 또는 다수회 사용을 위해 설계될 수 있다. 그러나, 두 경우 모두, 디바이스들은 적어도 한 번 사용 후 재사용을 위해 재조정(recondition)될 수 있다. 재조정은, 디바이스 분해 단계, 특정 부품들의 세척 또는 교체 단계, 및 후속 재조립 단계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디바이스는 분해될 수 있고, 디바이스의 특정 부분들 또는 부품들은 임의의 조합으로 선택적으로 교체 또는 제거될 수 있다. 특정 부품들의 세척 및/또는 교체시, 디바이스는 재조정 시설에서 또는 수술 직전에 수술팀에 의해 후속 사용을 위해 재조립될 수 있다. 당업자는 디바이스의 재조정이 분해, 세척/교체 및 재조립을 위한 다양한 기술들을 이용할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이러한 기술들의 사용 및 결과적으로 재조정된 디바이스는 모두 본 개시의 범위에 속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디바이스들은 수술 절차에 사용하기 전에 처리될 수 있다. 첫째, 새로운 기구 또는 중고 기구가 획득될 수 있고, 필요한 경우 세척될 수 있다. 그런 다음, 기구는 살균될 수 있다. 하나의 살균 기술에서, 기구는 플라스틱 또는 TYVEK 백과 같은 밀폐 및 밀봉된 컨테이너 내에 넣을 수 있다. 컨테이너와 그 내용물들은 감마선, X-선 또는 고-에너지 전자와 같이 컨테이너를 투과할 수 있는 방사선 장(field)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방사선은 기구 상에 있고 용기 내에 있는 박테리아를 죽일 수 있다. 그런 다음, 살균된 기구는 살균 용기 내에 보관될 수 있다. 밀봉된 컨테이너는 의료 시설 내에서 그것이 개봉될 때까지 기구를 살균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당업계에 알려진 다른 형태의 살균도 가능하다. 이것은 베타 또는 기타 형태의 방사선, 에틸렌 옥사이드, 증기 또는 액체 수조(예, 냉간 담그기(cold soak))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 형태의 살균은 사용되는 재료, 전기 부품의 존재 등으로 인해 디바이스의 다른 부분들과 함께 사용하기에 더 적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인용된 모든 논문들과 문헌들은 그 전체가 인용에 의해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당업자는 전술한 실시예들에 기반하여 본 개시의 다른 특징들 및 이점들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 나타낸 것을 제외하고는 특별히 도시되고 설명된 것에 의해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100...카테터 디바이스 102...원위부
104...근위부 106...측벽
108...카테터 원위부의 내부 루멘 110,112...케이블
114...바늘 116...연결 부재
118...돌출부 120...후퇴 스탑
121...기준 위치 124...전진 메커니즘
126...상부 클러치 부재 128...하부 클러치 부재
200...디바이스 201...카테터
202...원위부 204...유연부
206...근위부 208...핸들
210...조향 제어기 211...조향 장력 노브
212...전진 메커니즘 214,216...튜브
218...입구 402...하부 하우징
404...상부 하우징 406...인쇄 회로 기판
408...연결 부재 502...끝단부
506...링 전극 508...원위 팁
510...개구 512...바늘
513...조직-천공 팁 514...출구 포트
516...플랜지 520...가열 요소
602...유체 채널

Claims (37)

  1. 카테터(catheter)로서,
    상기 카테터의 내부 루멘의 내부에 슬라이딩되게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에 결합되는 기구(instrument);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에 대해 근위에 있는 상기 카테터에 결합된 후퇴 스탑(retraction stop);
    상기 기구에 결합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가 상기 후퇴 스탑에 접촉하도록 상기 기구를 근위로(proximally) 압박하도록 구성된 편향(biasing) 요소; 및
    상기 기구와 선택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카테터에 대해 상기 기구를 원위로(distally) 압박하도록 구성된 전진(advancing) 메커니즘을 구비하는, 카테터.
  2. 청구항 1에서,
    상기 카테터를 통해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제어 케이블들을 사용하여 조종가능한, 카테터.
  3. 청구항 2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어 케이블들은 상기 후퇴 스탑의 근위에 있는 위치에서 종결되는, 카테터.
  4. 청구항 1에서,
    상기 전진 메커니즘은 상기 기구의 근위부에 결합된 탭(tab)을 포함하는, 카테터.
  5. 청구항 1에서,
    상기 전진 메커니즘은 상기 기구와 선택적으로 맞물리는 클러치를 포함하는,카테터.
  6. 청구항 1에서,
    상기 전진 메커니즘이 상기 기구와 맞물릴 때, 활성화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인디케이터 라이트(indicator light)를 더 포함하는, 카테터.
  7. 청구항 5에서,
    상기 클러치는 핸들 조립체 내부에서 상기 카테터의 근위부 내에 위치되는,카테터.
  8. 청구항 1에서,
    상기 전진 메커니즘은 미리결정된 거리만큼 상기 기구를 원위로 압박하도록 선택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미리결정된 거리 증분(increment)들을 포함하는, 카테터.
  9. 청구항 1에서,
    상기 편향 요소는 핸들 조립체 내부에서 상기 카테터의 근위부에 위치되는, 카테터.
  10. 청구항 1에서,
    상기 후퇴 스탑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가 상기 후퇴 스탑에 접촉할 때 상기 기구의 원위 팁이 상기 카테터의 원위 팁의 근위에 위치되는, 카테터.
  11. 청구항 1에서,
    상기 전진 메커니즘은 상기 기구의 원위 팁이 상기 카테터의 원위 팁에 대해 원위에 있도록 상기 기구를 원위로 전진시키도록 구성되는, 카테터.
  12. 청구항 1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는 유체 흐름을 허용하도록 내부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유체 채널들을 포함하는, 카테터.
  13. 절제(ablation) 디바이스로서,
    원위부에 형성된 후퇴 스탑(retraction stao)이 마련된 내부 루멘(lumen)이 관통 연장되는 카테터;
    바늘 루멘, 그 원위부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출구 포트,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출구 포트에 대해 근위이고 상기 카테터의 내부 루멘 상의 상기 후퇴 스탑에 대해 원위에 있는 외부 표면 상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카테터의 내부 루멘 내부에 슬라이딩되게 배치된 바늘;
    상기 바늘의 원위부 상에 배치되고 조직을 절제하도록 구성된 절제 요소;
    상기 바늘에 결합되고, 상기 바늘 상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가 상기 카테터의 내부 루멘 상의 상기 후퇴 스탑에 접촉하도록 상기 바늘을 근위로 압박하도록 구성된 편향 요소; 및
    상기 카테터에 대해 원위로 상기 바늘을 선택적으로 압박하도록 구성된 전진 메커니즘을 구비하는, 절제 디바이스.
  14. 청구항 13에서,
    상기 카테터를 통해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제어 케이블들에 의해 상기 카테터가 조향(steer)가능한, 절제 디바이스.
  15. 청구항 13에서,
    상기 전진 메커니즘은 상기 바늘에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클러치를 포함하는,절제 디바이스.
  16. 청구항 15에서,
    상기 클러치는 핸들 조립체 내부에서 상기 카테터의 근위부 내에 위치되는,절제 디바이스.
  17. 청구항 13에서,
    상기 편향 요소는 핸들 조립체 내부에서 상기 카테터의 근위부 내에 위치되는,절제 디바이스.
  18. 청구항 13에서,
    상기 후퇴 스탑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가 상기 후퇴 스탑에 접촉할 때 상기 바늘의 원위 팁이 상기 카테터의 원위 팁에 대해 근위에 있도록 위치되는,절제 디바이스.
  19. 청구항 18에서,
    상기 전진 메커니즘은, 상기 바늘의 원위 팁이 상기 카테터의 원위 팁에 대해 원위에 있도록 상기 바늘을 원위로 전진시키도록 구성된, 절제 디바이스.
  20. 청구항 13에서,
    상기 바늘 상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는 유체를 흐르게 하기 위해 내부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유체 채널들을 포함하는, 절제 디바이스.
  21. 청구항 13에서,
    상기 바늘 루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출구 포트에 대해 근위에 있는 바늘의 원위부 내부에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가열 요소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열 요소는 상기 바늘 루멘을 통해 흐르는 유체를 가열하도록 구성되는, 절제 디바이스.
  22. 카테터로부터 기구를 선택적으로 전개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기구에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가 카테터의 원위부에 결합된 후퇴 스탑에 접촉되도록, 상기 카테터의 내부 루멘 내부에 슬라이딩되게 배치된 상기 기구를 상기 카테터의 근위단을 향해 가압시키는 단계;
    상기 카테터 내부에서 상기 기구의 움직임을 제어하기 위해 전진 메커니즘을 상기 기구에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카테터에 대해 상기 기구를 원위로 압박하도록 상기 전진 메커니즘을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구 전개 방법.
  23. 청구항 22에서,
    상기 기구를 상기 카테터의 근위단을 향해 가압시키는 단계는, 상기 기구의 원위 팁이 상기 카테터의 원위 팁에 대해 근위에 있는 제1 위치로부터 상기 기구의 원위 팁이 상기 카테터의 원위 팁에 대해 원위에 있는 제2 위치까지 상기 기구를 전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선택적인 기구 전개 방법.
  24. 청구항 22에서,
    환자의 신체 내부의 위치로 상기 카테터를 조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선택적인 기구 전개 방법.
  25. 청구항 22에서,
    상기 기구는 바늘이고,
    상기 방법은, 상기 바늘의 바늘 루멘 및 상기 바늘의 원위부 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출구 포트를 통해 조직 속으로 유체를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선택적인 기구 전개 방법.
  26. 청구항 25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출구 포트에 대해 근위에 있는 상기 바늘 루멘 내부에 위치된 가열 요소를 사용하여 조직 속으로 전달된 유체를 가열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선택적인 기구 전개 방법.
  27. 청구항 26에서,
    상기 바늘의 원위부 상에 배치된 절제 요소로부터 절제 에너지를 조직 속으로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선택적인 기구 전개 방법.
  28. 청구항 22에서,
    상기 전진 메커니즘이 상기 기구에 결합될 때, 적어도 하나의 인디케이터 라이트를 활성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선택적인 기구 전개 방법.
  29. 카테터로서,
    카테터의 내부 루멘 내부에서 슬라이딩되게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에 결합되는 기구;
    상기 카테터에 결합된 후퇴 스탑;
    카테터에 결합되고 상기 후퇴 스톱에 대해 원위에 배치되는 전개(deployment) 스탑;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가 상기 후퇴 스탑과 접촉하는 제1 위치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가 상기 전개 스탑과 접촉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상기 카테터에 대해 상기 기구를 이동하도록 구성된 전진 메커니즘을 구비하는, 카테터.
  30. 청구항 29에서,
    상기 전개 스탑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카테터의 측벽 내에 형성된 그루브의 원위단인, 카테터.
  31. 청구항 30에서,
    상기 카테터의 측벽 내에 형성된 제2 그루브의 원위단에 제2 전개 스탑을 더 구비하고;
    길이방향 축에 대한 상기 기구의 회전은, 상기 그루브와 상기 제2 그루브 중어떤 그루브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수용하는지 선택할 수 있는, 카테터.
  32. 청구항 30에서,
    상기 그루브는 구불구불하고, 적어도 하나의 전이부에 의해 연결된 복수의 길이 방향 연장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기구의 근위 직선 이동 및 원위 직선 이동의 어느 하나는, 복수의 길이 방향 연장부들의 어느 하나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이동시킬 수 있고, 상기 기구의 회전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이부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이동시킬 수 있는, 카테터.
  33. 청구항 29에서,
    상기 전개 스탑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수용하기 위해 내부에 형성된 관통-구멍을 가진 벌크헤드(bulkhead)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와 상기 관통-구멍은, 제1 방향으로 상기 관통-구멍을 통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의 통과를 허용하고 제2 방향으로 상기 관통-구멍을 통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의 통과를 방지하기 위해 상보적인 형상들을 가진, 카테터.
  34. 청구항 29에서,
    상기 후퇴 스탑에 대한 상기 전개 스탑의 위치가 조정될 수 있는, 카테터.
  35. 청구항 34에서,
    상기 전개 스탑은 상기 기구 주위의 상기 카테터의 내부 루멘의 내부에 배치된 중간(intermediate) 샤프트에 결합되는, 카테터.
  36. 청구항 29에서,
    상기 전개 스탑은 상기 카테터의 측벽 내에 형성된 멈춤쇠(detent)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는, 정렬될 때 상기 멈춤쇠 속으로 연장되도록 편향되는, 카테터.
  37. 청구항 29에서,
    상기 기구에 결합된 편향 요소를 더 구비하는, 카테터.
KR1020207032773A 2018-05-03 2019-05-03 카테터 기구들을 선택적으로 전개하기 위한 디바이스들 및 방법들 KR2021000848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970,543 US11083871B2 (en) 2018-05-03 2018-05-03 Selectively deployable catheter ablation devices
US15/970,543 2018-05-03
PCT/US2019/030645 WO2019213552A1 (en) 2018-05-03 2019-05-03 Devices and methods for selectively deploying catheter instrument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8485A true KR20210008485A (ko) 2021-01-22

Family

ID=68384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2773A KR20210008485A (ko) 2018-05-03 2019-05-03 카테터 기구들을 선택적으로 전개하기 위한 디바이스들 및 방법들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11083871B2 (ko)
EP (1) EP3787716A4 (ko)
JP (1) JP2021522901A (ko)
KR (1) KR20210008485A (ko)
CN (2) CN112912120B (ko)
AU (1) AU2019262198A1 (ko)
WO (1) WO201921355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864590T3 (es) 2011-04-12 2021-10-14 Thermedical Inc Dispositivos para controlar el tratamiento ablativo
US9743984B1 (en) 2016-08-11 2017-08-29 Thermedical, Inc. Devices and methods for delivering fluid to tissue during ablation therapy
US11918277B2 (en) 2018-07-16 2024-03-05 Thermedical, Inc. Inferred maximum temperature monitoring for irrigated ablation therapy
WO2020247402A1 (en) * 2019-06-03 2020-12-10 University Of Miami Steerable guide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CN115209938A (zh) * 2020-01-15 2022-10-18 复心公司 用于定位导丝的装置和方法
KR102530566B1 (ko) * 2020-09-03 2023-05-11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웨이-포인트 기반 생체의 강내 병변부 치료물질 전달 시스템 및 웨이-포인트 경로 데이터 생성 방법
WO2022264012A1 (en) * 2021-06-14 2022-12-22 Ethicon, Inc. Method and device for intrmyocardial infusion of conductive nanoparticles
EP4252692A1 (de) * 2022-03-31 2023-10-04 Erbe Elektromedizin GmbH Elektrochirurgisches instrument mit permanentspanner
US20230380891A1 (en) * 2022-05-26 2023-11-30 Biosense Webster (Israel) Ltd. Port and depth stop and tip features for transseptal puncture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2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582135A (en) 1976-07-14 1980-12-31 Ferranti Ltd Heaters
US4424190A (en) 1982-02-22 1984-01-03 Cordis Dow Corp. Rigid shell expansible blood reservoir, heater and hollow fiber membrane oxygenator assembly
JPS62211057A (ja) 1986-03-12 1987-09-17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超音波振動処置装置
JPH01146539A (ja) 1987-12-03 1989-06-08 Olympus Optical Co Ltd 超音波治療装置
US5549559A (en) 1990-03-22 1996-08-27 Argomed Ltd. Thermal treatment apparatus
DE9190129U1 (ko) 1990-09-14 1993-07-01 American Medical Systems, Inc., Minnetonka, Minn., Us
US5190538A (en) 1991-04-22 1993-03-02 Trimedyn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ubjecting a body site to a movable beam of laterally directed laser radiation
WO1993008755A1 (en) 1991-11-08 1993-05-13 Ep Technologies, Inc. Ablation electrode with insulated temperature sensing elements
IT1251997B (it) 1991-11-11 1995-05-27 San Romanello Centro Fond Dispositivo radiante per ipertermia
JP3774477B2 (ja) 1992-02-10 2006-05-17 アロカ株式会社 手術装置
US5333603A (en) 1992-02-25 1994-08-02 Daniel Schuman Endoscope with palm rest
US5271413A (en) 1992-07-22 1993-12-21 Dalamagas Photios P Method to sense the tissue for injection from a hypodermic needle
US5437673A (en) 1993-02-04 1995-08-01 Cryomedical Sciences, Inc. Closed circulation tissue warming apparatus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in prostate surgery
US6033383A (en) 1996-12-19 2000-03-07 Ginsburg; Robert Temperature regulating catheter and methods
US5336222A (en) 1993-03-29 1994-08-09 Boston Scientific Corporation Integrated catheter for diverse in situ tissue therapy
US5403311A (en) 1993-03-29 1995-04-04 Boston Scientific Corporation Electro-coagulation and ablation and other electrotherapeutic treatments of body tissue
US5431649A (en) 1993-08-27 1995-07-11 Medtronic,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F ablation
US5449380A (en) 1993-09-17 1995-09-12 Origin Medsystem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organ ablation
US5458597A (en) 1993-11-08 1995-10-17 Zomed International Device for treating cancer and non-malignant tumors and methods
US6071280A (en) 1993-11-08 2000-06-06 Rita Medical Systems, Inc. Multiple electrode ablation apparatus
US5472441A (en) 1993-11-08 1995-12-05 Zomed International Device for treating cancer and non-malignant tumors and methods
US6641580B1 (en) 1993-11-08 2003-11-04 Rita Medical Systems, Inc. Infusion array ablation apparatus
US5536267A (en) 1993-11-08 1996-07-16 Zomed International Multiple electrode ablation apparatus
US5728143A (en) 1995-08-15 1998-03-17 Rita Medical Systems, Inc. Multiple antenna ablation apparatus and method
US5462521A (en) 1993-12-21 1995-10-31 Angeion Corporation Fluid cooled and perfused tip for a catheter
US5409487A (en) 1994-01-28 1995-04-25 Yab Revo-Tech Inc. Auxiliary tubing probe
US5573510A (en) 1994-02-28 1996-11-12 Isaacson; Dennis R. Safety intravenous catheter assembly with automatically retractable needle
US5437629A (en) 1994-04-14 1995-08-01 Bei Medical Systems Fluid delivery system for hysteroscopic endometrial ablation
US20050187599A1 (en) 1994-05-06 2005-08-25 Hugh Sharkey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ed contraction of soft tissue
US5843021A (en) 1994-05-09 1998-12-01 Somnus Medical Technologies, Inc. Cell necrosis apparatus
US6024743A (en) 1994-06-24 2000-02-15 Edwards; Stuart D.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ve treatment of the uterus
US5735846A (en) 1994-06-27 1998-04-07 Ep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blating body tissue using predicted maximum tissue temperature
US5545195A (en) 1994-08-01 1996-08-13 Boston Scientific Corporation Interstitial heating of tissue
US5609151A (en) 1994-09-08 1997-03-11 Medtronic, Inc. Method for R-F ablation
US6678552B2 (en) 1994-10-24 2004-01-13 Transscan Medical Ltd. Tissue characterization based on impedance images and on impedance measurements
US6409722B1 (en) 1998-07-07 2002-06-25 Medtronic,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creating, maintaining, and controlling a virtual electrode used for the ablation of tissue
US6030379A (en) 1995-05-01 2000-02-29 Ep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seeking sub-surface temperature conditions during tissue ablation
SE505332C2 (sv) 1995-05-18 1997-08-11 Lund Instr Ab Anordning för värmebehandling av kroppsvävnad
US20050004634A1 (en) 1995-06-07 2005-01-06 Arthrocare Corporation Methods for electrosurgical treatment of spinal tissue
US6772012B2 (en) 1995-06-07 2004-08-03 Arthrocare Corporation Methods for electrosurgical treatment of spinal tissue
US7179255B2 (en) 1995-06-07 2007-02-20 Arthrocare Corporation Methods for targeted electrosurgery on contained herniated discs
WO2003024506A2 (en) 2001-09-14 2003-03-27 Arthrocare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for treating intervertebral discs
IL122713A (en) 1995-06-23 2001-04-30 Gyrus Medical Ltd Electrosurgical device
US6689127B1 (en) 1995-08-15 2004-02-10 Rita Medical Systems Multiple antenna ablation apparatus and method with multiple sensor feedback
US6235023B1 (en) 1995-08-15 2001-05-22 Rita Medical Systems, Inc. Cell necrosis apparatus
US6669685B1 (en) 1997-11-06 2003-12-30 Biolase Technology, Inc. Tissue remover and method
US5891094A (en) 1995-09-07 1999-04-06 Innerdyne, Inc. System for direct heating of fluid solution in a hollow body organ and methods
US5653692A (en) 1995-09-07 1997-08-05 Innerdyne Medical, Inc. Method and system for direct heating of fluid solution in a hollow body organ
US6283951B1 (en) 1996-10-11 2001-09-04 Transvascular,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elivering drugs to selected locations within the body
US6090106A (en) 1996-01-09 2000-07-18 Gyrus Medical Limited Electrosurgical instrument
US6475213B1 (en) 1996-01-19 2002-11-05 Ep Technologies, Inc. Method of ablating body tissue
US5800482A (en) 1996-03-06 1998-09-01 Cardiac Pathways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linear lesion ablation
US6032077A (en) 1996-03-06 2000-02-29 Cardiac Pathways Corporation Ablation catheter with electrical coupling via foam drenched with a conductive fluid
US6419673B1 (en) 1996-05-06 2002-07-16 Stuart Edwards Ablation of rectal and other internal body structures
US6565561B1 (en) 1996-06-20 2003-05-20 Cyrus Medical Limited Electrosurgical instrument
US6620155B2 (en) 1996-07-16 2003-09-16 Arthrocare Corp. System and methods for electrosurgical tissue contraction within the spine
US6468274B1 (en) 1996-07-16 2002-10-22 Arthrocare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treating spinal pain
US5891134A (en) 1996-09-24 1999-04-06 Goble; Colin System and method for applying thermal energy to tissue
US5954719A (en) 1996-12-11 1999-09-21 Irvine Biomedical, Inc. System for operating a RF ablation generator
US5827269A (en) 1996-12-31 1998-10-27 Gynecare, Inc. Heated balloon having a reciprocating fluid agitator
US6411852B1 (en) 1997-04-07 2002-06-25 Broncus Technologies, Inc. Modification of airways by application of energy
US6272370B1 (en) 1998-08-07 2001-08-07 The Regents Of University Of Minnesota MR-visible medical device for neurological interventions using nonlinear magnetic stereotaxis and a method imaging
US6139570A (en) 1997-05-19 2000-10-31 Gynelab Products, Inc. Disposable bladder for intrauterine use
US6997925B2 (en) 1997-07-08 2006-02-14 Atrionx, Inc. Tissue ablation device assembly and method for electrically isolating a pulmonary vein ostium from an atrial wall
US6139571A (en) 1997-07-09 2000-10-31 Fuller Research Corporation Heated fluid surgical instrument
US6080151A (en) 1997-07-21 2000-06-27 Daig Corporation Ablation catheter
US6056747A (en) 1997-08-04 2000-05-02 Gynecare,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ment of body tissues
US6045549A (en) 1997-09-30 2000-04-04 Somnus Medical Technologies, Inc. Tissue ablation apparatus and device for use therein and method
US6176857B1 (en) 1997-10-22 2001-01-23 Oratec Interven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pplying thermal energy to tissue asymmetrically
US6106516A (en) 1997-10-30 2000-08-22 Sonique Surgical Systems, Inc. Laser-assisted liposuction method and apparatus
JPH11178787A (ja) 1997-12-18 1999-07-06 Olympus Optical Co Ltd 内視鏡システム
EP1042029B1 (en) 1997-12-22 2015-09-16 Celgard, LLC Device for removal of gas bubbles and dissolved gasses in liquid
US7001378B2 (en) 1998-03-31 2006-02-21 Innercool Therapies, Inc. Method and device for performing cooling or cryo-therapies, for, e.g., angioplasty with reduced restenosis or pulmonary vein cell necrosis to inhibit atrial fibrillation employing tissue protection
US6337994B1 (en) 1998-04-30 2002-01-08 Johns Hopkins University Surgical needle probe for electrical impedance measurements
US6540725B1 (en) 1998-06-04 2003-04-01 Biosense Webster, Inc. Injection catheter with controllably extendable injection needle
US6238393B1 (en) 1998-07-07 2001-05-29 Medtronic,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reating a bi-polar virtual electrode used for the ablation of tissue
US6494902B2 (en) 1998-07-07 2002-12-17 Medtronic, Inc. Method for creating a virtual electrode for the ablation of tissue and for selected protection of tissue during an ablation
US6315777B1 (en) 1998-07-07 2001-11-13 Medtronic,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reating a virtual electrode used for the ablation of tissue
US6112123A (en) 1998-07-28 2000-08-29 Endonetics, Inc. Device and method for ablation of tissue
WO2003024305A2 (en) 2001-09-14 2003-03-27 Arthrocare Corporation Electrosurgical apparatus and methods for tissue treatment & removal
US6450990B1 (en) 1998-08-13 2002-09-17 Alsius Corporation Catheter with multiple heating/cooling fibers employing fiber spreading features
WO2000009209A1 (en) 1998-08-14 2000-02-24 K.U. Leuven Research & Development Expandable wet electrode
US6208881B1 (en) 1998-10-20 2001-03-27 Micropure Medical, Inc. Catheter with thin film electrodes and method for making same
US6328735B1 (en) 1998-10-30 2001-12-11 E.P., Limited Thermal ablation system
SE9804388D0 (sv) 1998-12-17 1998-12-17 Wallsten Medical Sa Device and method for medical treatment
US6233490B1 (en) 1999-02-09 2001-05-15 Kai Technologies, Inc. Microwave antennas for medical hyperthermia, thermotherapy and diagnosis
JP2002537913A (ja) 1999-03-02 2002-11-12 アトリオニクス・インコーポレーテツド バルーンとセンサーを有する心房改質器
US6203507B1 (en) 1999-03-03 2001-03-20 Cordis Webster, Inc. Deflectable catheter with ergonomic handle
US6358273B1 (en) 1999-04-09 2002-03-19 Oratec Inventions, Inc. Soft tissue heating apparatus with independent, cooperative heating sources
US7815590B2 (en) * 1999-08-05 2010-10-19 Broncus Technologies, Inc. Devices for maintaining patency of surgically created channels in tissue
US6463332B1 (en) 1999-09-17 2002-10-08 Core Medical, Inc. Method and system for pericardial enhancement
US6529756B1 (en) 1999-11-22 2003-03-04 Scimed Life Systems, Inc. Apparatus for mapping and coagulating soft tissue in or around body orifices
US6443947B1 (en) 2000-03-01 2002-09-03 Alexei Marko Device for thermal ablation of a cavity
US20040220559A1 (en) 2000-03-01 2004-11-04 Kramer Hans W. Preparation of working fluid for use in cryotherapies
JP2004500207A (ja) 2000-03-06 2004-01-08 ティシューリンク・メディカル・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流体配給システム及び電気外科用器具コントローラ
JP4723156B2 (ja) 2000-03-31 2011-07-13 アンジオ ダイナミ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組織生検および処置の装置
FR2807827B1 (fr) 2000-04-12 2002-07-05 Technomed Medical Systems Systeme de manipulation de fluide pour appareil de therapie
US20020107514A1 (en) 2000-04-27 2002-08-08 Hooven Michael D. Transmural ablation device with parallel jaws
US6511478B1 (en) 2000-06-30 2003-01-28 Scimed Life Systems, Inc. Medical probe with reduced number of temperature sensor wires
US6405067B1 (en) 2000-07-07 2002-06-11 Biosense Webster, Inc. Catheter with tip electrode having a recessed ring electrode mounted thereon
US6477396B1 (en) 2000-07-07 2002-11-05 Biosense Webster, Inc. Mapping and ablation catheter
EP2430997A3 (en) 2000-07-13 2014-05-07 ReCor Medical, Inc. Ultrasonic emitter with reflective interface
CA2416581A1 (en) 2000-07-25 2002-04-25 Rita Medical Systems, Inc. Apparatus for detecting and treating tumors using localized impedance measurement
US6855154B2 (en) * 2000-08-11 2005-02-15 University Of Louisville Research Foundation, Inc. Endovascular aneurysm treatment device and method
CN1246052C (zh) 2000-09-06 2006-03-22 辅助呼吸产品公司 静脉输液的加热系统
US6564096B2 (en) 2001-02-28 2003-05-13 Robert A. Mest Method and system for treatment of tachycardia and fibrillation
US6666862B2 (en) 2001-03-01 2003-12-23 Cardiac Pacemakers, Inc. Radio frequency ablation system and method linking energy delivery with fluid flow
US6418968B1 (en) 2001-04-20 2002-07-16 Nanostream, Inc. Porous microfluidic valves
WO2002089686A1 (en) 2001-05-10 2002-11-14 Rita Medical Systems, Inc. Rf tissue ablation apparatus and method
US6752802B1 (en) 2001-07-09 2004-06-22 Ethicon,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prevention of endometrial hyperplasis and uterine cancer
AU2002326548A1 (en) 2001-08-17 2003-04-14 Innercool Therapies, Inc. Preparation of working fluid for use in cryotherapies
US6814730B2 (en) 2001-10-09 2004-11-09 Hong Li Balloon catheters for non-continuous lesions
US7070597B2 (en) 2001-10-18 2006-07-04 Surgrx, Inc. Electrosurgical working end for controlled energy delivery
US6603997B2 (en) 2001-11-02 2003-08-05 Michael C. Doody Probe penetration detector and method of operation
US20050267552A1 (en) 2004-05-26 2005-12-01 Baylis Medical Company Inc. Electrosurgical device
KR101205935B1 (ko) 2002-04-22 2012-11-28 마시오 마크 아우렐리오 마틴스 애브리우 뇌 온도 터널의 단부에 있는 피부에 배치하기 위한 지지 구조체
US7294143B2 (en) 2002-05-16 2007-11-13 Medtronic, Inc. Device and method for ablation of cardiac tissue
IL149706A0 (en) 2002-05-16 2002-11-10 Dolopaz Technologies Ltd Multipurpose fluid jet surgical device
EP3175880B1 (en) 2002-06-20 2018-08-15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Apparatus for shielding the tip of a catheter introducer needle
JP2004024331A (ja) * 2002-06-21 2004-01-29 Vayu:Kk カテーテル
US20040006336A1 (en) 2002-07-02 2004-01-08 Scimed Life System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RF ablation into conductive fluid-infused tissue
EP1545362A4 (en) 2002-09-05 2006-05-03 Arthrocare Corp METHODS AND APPARATUSES FOR TREATING INTERVERTEBRAL DISCS
US20060241366A1 (en) 2002-10-31 2006-10-26 Gary Falwell Electrophysiology loop catheter
AU2002952663A0 (en) * 2002-11-14 2002-11-28 Western Sydney Area Health Service An intramural needle-tipped surgical device
AT507045B1 (de) 2002-11-29 2010-04-15 Cochlear Ltd Implantierbare, gewebe-stimulierende vorrichtung
US6972014B2 (en) 2003-01-04 2005-12-06 Endocare, Inc. Open system heat exchange catheters and methods of use
JP2004275594A (ja) * 2003-03-18 2004-10-07 Terumo Corp 注射針突出量調整機構を有するカテーテル
US7025768B2 (en) * 2003-05-06 2006-04-11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blation of tissue
US20060129091A1 (en) 2004-12-10 2006-06-15 Possis Medical, Inc. Enhanced cross stream mechanical thrombectomy catheter with backloading manifold
US7235070B2 (en) 2003-07-02 2007-06-26 St. Jude Medical, Atrial Fibrillation Division, Inc. Ablation fluid manifold for ablation catheter
US7311703B2 (en) 2003-07-18 2007-12-25 Vivant Medical, Inc. Devices and methods for cooling microwave antennas
US7104989B2 (en) 2003-09-05 2006-09-12 Medtronic, Inc. RF ablation catheter including a virtual electrode assembly
US20050059963A1 (en) 2003-09-12 2005-03-17 Scimed Life Systems, Inc. Systems and method for creating transmural lesions
US20050080410A1 (en) 2003-10-14 2005-04-14 Scimed Life Systems, Inc. Liquid infusion apparatus for radiofrequency tissue ablation
US7155270B2 (en) * 2003-10-24 2006-12-26 Biosense Webster, Inc. Catheter with multi-spine mapping assembly
US7179256B2 (en) 2003-10-24 2007-02-20 Biosense Webster, Inc. Catheter with ablation needle and mapping assembly
US7207989B2 (en) 2003-10-27 2007-04-24 Biosense Webster, Inc. Method for ablating with needle electrode
NL1024658C2 (nl) 2003-10-29 2005-05-02 Univ Medisch Centrum Utrecht Katheter en werkwijze, in het bijzonder voor ablatie en dergelijke techniek.
US7282051B2 (en) 2004-02-04 2007-10-16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Ablation probe for delivering fluid through porous structure
US20050192652A1 (en) 2004-02-26 2005-09-01 Iulian Cioanta Thermal treatment systems with enhanced tissue penetration depth using adjustable treatment pressures and related methods
US7771420B2 (en) 2004-03-05 2010-08-10 Medelec-Minimeca S.A. Saline-enhanced catheter for radiofrequency tumor ablation
US7244254B2 (en) 2004-04-29 2007-07-17 Micrablate Air-core microwave ablation antennas
US7101369B2 (en) 2004-04-29 2006-09-05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Triaxial antenna for microwave tissue ablation
US20050245923A1 (en) 2004-04-29 2005-11-03 Medtronic, Inc. Biopolar virtual electrode for transurethral needle ablation
US9061120B2 (en) 2004-08-05 2015-06-23 Oscor Inc. Catheter control mechanism and steerable catheter
US20060085054A1 (en) 2004-09-09 2006-04-20 Zikorus Arthur W Methods and apparatus for treatment of hollow anatomical structures
US7412273B2 (en) 2004-11-15 2008-08-12 Biosense Webster, Inc. Soft linear mapping catheter with stabilizing tip
CA2588120C (en) 2004-11-15 2017-05-30 Biosense Webster Inc. Catheter with multiple microfabricated temperature sensors
US20060118127A1 (en) 2004-12-06 2006-06-08 Chinn Douglas O Tissue protective system and method for thermoablative therapies
US7666166B1 (en) 2004-12-27 2010-02-23 Blivic, Llc Bloodless intravenous integrated catheter
KR100640283B1 (ko) 2004-12-28 2006-11-01 최정숙 고주파 전기 수술용 전극
GB0504988D0 (en) 2005-03-10 2005-04-20 Emcision Ltd Device and method for the treatment of diseased tissue such as tumors
US8765116B2 (en) 2005-03-24 2014-07-01 Medifocu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pre-conditioning/fixation and treatment of disease with heat activation/release with thermoactivated drugs and gene products
US7942873B2 (en) 2005-03-25 2011-05-17 Angiodynamics, Inc. Cavity ablation apparatus and method
WO2006103951A1 (ja) 2005-03-29 2006-10-05 Terumo Kabushiki Kaisha 脱気モジュール付医療用送液管と、該医療用送液管を用いる医療用機器アッセンブリ及び脱気モジュール並びに送液方法
US7799019B2 (en) 2005-05-10 2010-09-21 Vivant Medical, Inc. Reinforced high strength microwave antenna
US8128621B2 (en) 2005-05-16 2012-03-06 St. Jude Medical, Atrial Fibrillation Division, Inc. Irrigated ablation electrode assembly and method for control of temperature
US8333776B2 (en) 2005-05-20 2012-12-18 Neotract, Inc. Anchor delivery system
US7621890B2 (en) 2005-06-09 2009-11-24 Endocare, Inc. Heat exchange catheter with multi-lumen tube having a fluid return passageway
US8123693B2 (en) 2005-06-20 2012-02-28 Conceptus, Inc. Methods and devices for determining lumen occlusion
US7819868B2 (en) 2005-06-21 2010-10-26 St. Jude Medical, Atrial Fibrilation Division, Inc. Ablation catheter with fluid distribution structures
US7879030B2 (en) 2005-07-27 2011-02-01 St. Jude Medical, Atrial Fibrillation Division, Inc. Multipolar, virtual-electrode catheter with at least one surface electrode and method for ablation
US8353906B2 (en) 2005-08-01 2013-01-15 Ceramatec, Inc. Electrochemical probe and method for in situ treatment of a tissue
US7416552B2 (en) 2005-08-22 2008-08-26 St. Jude Medical, Atrial Fibrillation Division, Inc. Multipolar, multi-lumen, virtual-electrode catheter with at least one surface electrode and method for ablation
CN103251451B (zh) 2005-12-06 2015-06-10 圣朱德医疗有限公司房颤分公司 用于组织消融的电极耦合评估
US8449535B2 (en) 2005-12-06 2013-05-28 St. Jude Medical, Atrial Fibrillation Division, Inc. System and method for assessing coupling between an electrode and tissue
US20070167776A1 (en) 2005-12-15 2007-07-19 Galil Medical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tecting the rectal wall during cryoablation
WO2007080578A2 (en) 2006-01-09 2007-07-19 Biospiral Ltd. System and method for thermally treating tissues
CN2885157Y (zh) 2006-03-23 2007-04-04 迈德医疗科技(上海)有限公司 可灌注式探针电极
WO2007140278A2 (en) 2006-05-24 2007-12-06 Rush University Medical Center High temperature thermal therapy of breast cancer
WO2007143445A2 (en) 2006-05-30 2007-12-13 Arthrocare Corporation Hard tissue ablation system
US7662152B2 (en) 2006-06-13 2010-02-16 Biosense Webster, Inc. Catheter with multi port tip for optical lesion evaluation
US7559905B2 (en) 2006-09-21 2009-07-14 Focus Surgery, Inc. HIFU probe for treating tissue with in-line degassing of fluid
US8728073B2 (en) 2006-10-10 2014-05-20 Biosense Webster, Inc. Multi-region staged inflation balloon
WO2008045877A2 (en) 2006-10-10 2008-04-17 St. Jude Medical, Atrial Fibrillation Division, Inc. Electrode tip and ablation system
CN100574719C (zh) 2006-12-26 2009-12-30 上海导向医疗系统有限公司 气体节流冷却式射频消融电极
US7766907B2 (en) 2006-12-28 2010-08-03 St. Jude Medical, Atrial Fibrillation Division, Inc. Ablation catheter with sensor array and discrimination circuit to minimize variation in power density
US7951143B2 (en) 2006-12-28 2011-05-31 St. Jude Medical, Artial Fibrillation Divsion, Inc. Cooled ablation catheter with reciprocating flow
US8460285B2 (en) 2006-12-29 2013-06-11 St. Jude Medical, Atrial Fibrillation Division, Inc. Ablation catheter electrode having multiple thermal sensors and method of use
US8764742B2 (en) 2007-04-04 2014-07-01 St. Jude Medical, Atrial Fibrillation Division, Inc. Irrigated catheter
US9314298B2 (en) 2007-04-17 2016-04-19 St. Jude Medical, Atrial Fibrillation Divisions, Inc. Vacuum-stabilized ablation system
US8579886B2 (en) 2007-05-01 2013-11-12 Covidien Lp Accordion style cable stand-off
US20080275440A1 (en) 2007-05-03 2008-11-06 Medtronic, Inc. Post-ablation verification of lesion size
US20080281200A1 (en) 2007-05-10 2008-11-13 Misonix, Incorporated Elevated coupling liquid temperature during HIFU treatment method and hardware
EP2200526A1 (en) 2007-09-20 2010-06-30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Hand-held thermal ablation device
US20090088785A1 (en) 2007-09-28 2009-04-02 Shinya Masuda Surgical operating apparatus
US9023030B2 (en) 2007-10-09 2015-05-05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Cooled ablation catheter devices and methods of use
US8535306B2 (en) 2007-11-05 2013-09-17 Angiodynamics, Inc. Ablation device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US8439907B2 (en) 2007-11-07 2013-05-14 Mirabilis Medica Inc. Hemostatic tissue tunnel generator for inserting treatment apparatus into tissue of a patient
US8128620B2 (en) 2007-11-13 2012-03-06 St. Jude Medical, Atrial Fibrillation Division, Inc. Irrigated ablation electrode having proximal direction flow
US8444579B2 (en) 2007-12-21 2013-05-21 St. Jude Medical, Atrial Fibrillation Division, Inc. System for delivering acoustic energy in connection with therapeutic ultrasound systems and catheters
US8273082B2 (en) 2007-12-21 2012-09-25 St. Jude Medical, Atrial Fibrillation Division, Inc. Irrigated ablation catheter assembly having a flow member to create parallel external flow
US8333762B2 (en) 2007-12-28 2012-12-18 Biosense Webster, Inc. Irrigated catheter with improved irrigation flow
EP2231002A1 (en) 2008-01-09 2010-09-29 Mayo Foundation for Medical Education and Research Mapping and ablation catheter system
WO2009094604A1 (en) 2008-01-25 2009-07-30 Anacapa Arch Associates Method and device for less invasive surgical procedures on animals
US20090254083A1 (en) 2008-03-10 2009-10-08 Hansen Medical, Inc. Robotic ablation catheter
JP2011517417A (ja) 2008-03-18 2011-06-09 サーカ・サイエンティフィック,エルエルシー 大表面積温度感知装置
US20100004595A1 (en) 2008-07-01 2010-01-07 Ethicon, Inc. Balloon catheter systems for treating uterine disorders having fluid line de-gassing assemblies and methods therefor
JP2010046200A (ja) * 2008-08-20 2010-03-04 Fujinon Corp 高周波処置具
EP2364128A4 (en) 2008-09-30 2013-07-24 Dfine Inc SYSTEM FOR USE IN THE TREATMENT OF SPINE FRACTURES
US8758349B2 (en) 2008-10-13 2014-06-24 Dfine, Inc. Systems for treating a vertebral body
US8512328B2 (en) 2008-10-13 2013-08-20 Covidien Lp Antenna assemblies for medical applications
US9757189B2 (en) 2008-12-03 2017-09-12 Biosense Webster, Inc. Prevention of kinks in catheter irrigation tubes
US20100198208A1 (en) 2009-01-20 2010-08-05 Napp Malte I Diagnostic catheters, guide catheters, visualization devices and chord manipulation devices, and related kits and methods
WO2010151619A2 (en) 2009-06-24 2010-12-29 Optogen Medical Llc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treatment of soft tissue
CN201642316U (zh) 2009-11-18 2010-11-24 南京康友微波能应用研究所 微波消融针及其微波消融治疗仪
US20110160726A1 (en) 2009-12-30 2011-06-30 Frank Ingle Apparatus and methods for fluid cooled electrophysiology procedures
US8764744B2 (en) 2010-01-25 2014-07-01 Covidien Lp System for monitoring ablation size
US10058336B2 (en) 2010-04-08 2018-08-28 Dfine, Inc. System for use in treatment of vertebral fractures
US9510894B2 (en) 2010-04-28 2016-12-06 Biosense Webster (Israel) Ltd. Irrigated ablation catheter having irrigation ports with reduced hydraulic resistance
US9943363B2 (en) 2010-04-28 2018-04-17 Biosense Webster, Inc. Irrigated ablation catheter with improved fluid flow
BR112012027708B1 (pt) 2010-04-29 2021-03-09 Dfine, Inc dispositivo médico para ablação de tecido dentro de um osso de um paciente
US9179968B2 (en) 2010-05-10 2015-11-10 St. Jude Medical Luxembourg Holding S.À.R.L. Irrigated finned ablation head
US7938822B1 (en) 2010-05-12 2011-05-10 Icecure Medical Ltd. Heating and cooling of cryosurgical instrument using a single cryogen
DK2642931T3 (en) 2010-11-22 2017-06-06 Dfine Inc SYSTEM FOR USE IN TREATMENT OF VERTEBRA FRACTURES
WO2012071058A1 (en) 2010-11-23 2012-05-31 William Joseph Drasler Venous heated ablation catheter
CN101999931B (zh) 2010-12-10 2012-11-14 上海导向医疗系统有限公司 一种覆盖可膨胀水凝胶的冷热消融探针壳体及其制备方法
US9855094B2 (en) 2010-12-28 2018-01-02 St. Jude Medical, Atrial Fibrillation Division, Inc. Multi-rate fluid flow and variable power delivery for ablation electrode assemblies used in catheter ablation procedures
US20120253188A1 (en) 2011-03-29 2012-10-04 University Of Rochester Reducing risk of complications associated with tissue ablation
ES2864590T3 (es) 2011-04-12 2021-10-14 Thermedical Inc Dispositivos para controlar el tratamiento ablativo
US20120310230A1 (en) 2011-06-01 2012-12-06 Angiodynamics, Inc. Coaxial dual function probe and method of use
WO2013147990A1 (en) 2012-03-27 2013-10-03 Dfine, Inc. Methods and systems for use in controlling tissue ablation volume by temperature monitoring
EP2838598B1 (en) 2012-04-19 2020-01-15 Fractyl Laboratories, Inc. Tissue expansion devices
US8700133B2 (en) 2012-06-18 2014-04-15 Smart Iv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monitoring catheter insertion
US10022176B2 (en) 2012-08-15 2018-07-17 Thermedical, Inc. Low profile fluid enhanced ablation therapy devices and methods
WO2014089373A1 (en) * 2012-12-05 2014-06-12 University Of Rochester Catheter with integrated transeptal puncture needle
JP6117422B2 (ja) 2013-03-15 2017-04-19 ボストン サイエンティフィック サイムド,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Boston Scientific Scimed,Inc. 開放灌注式アブレーションカテーテル
US9033972B2 (en) 2013-03-15 2015-05-19 Thermedical, Inc. Methods and devices for fluid enhanced microwave ablation therapy
US9610396B2 (en) 2013-03-15 2017-04-04 Thermedical, Inc. Systems and methods for visualizing fluid enhanced ablation therapy
AU2015236341B2 (en) * 2014-03-24 2020-03-05 Old Dominion University Research Foundation Expandable catheter devices electrode array
US9848943B2 (en) * 2014-04-18 2017-12-26 Biosense Webster (Israel) Ltd. Ablation catheter with dedicated fluid paths and needle centering insert
CA2967824A1 (en) 2014-11-19 2016-05-26 Advanced Cardiac Therapeutics, Inc. Ablatio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of using a high-resolution electrode assembly
US9844664B2 (en) * 2015-10-12 2017-12-19 Medtronic, Inc. Interventional medical systems, catheters, and subassemblies
US9743984B1 (en) 2016-08-11 2017-08-29 Thermedical, Inc. Devices and methods for delivering fluid to tissue during ablation therapy
US11918277B2 (en) 2018-07-16 2024-03-05 Thermedical, Inc. Inferred maximum temperature monitoring for irrigated ablation therap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912120B (zh) 2023-05-16
CN112912120A (zh) 2021-06-04
EP3787716A4 (en) 2022-01-05
CN116899085A (zh) 2023-10-20
US20220032007A1 (en) 2022-02-03
JP2021522901A (ja) 2021-09-02
US20190336729A1 (en) 2019-11-07
EP3787716A1 (en) 2021-03-10
WO2019213552A1 (en) 2019-11-07
AU2019262198A1 (en) 2020-11-26
US11083871B2 (en) 2021-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08485A (ko) 카테터 기구들을 선택적으로 전개하기 위한 디바이스들 및 방법들
EP3651667B1 (en) Adjustable instrument for dilation of anatomical passageway
CN107567301B (zh) 具有电外科手术用工具的可操纵微型内窥镜和拉链式导管
US8064978B2 (en) Modular catheter
US5487757A (en) Multicurve deflectable catheter
US8834453B2 (en) Steerable wound drain device
US6554794B1 (en) Non-deforming deflectable multi-lumen catheter
EP1813303B1 (en) Medical instrument including an end effector having a medical treatment electrode
JP2009522080A (ja) 脈管ガイドワイヤコントロール装置
US20170027607A1 (en) Access device and assembly comprising such device
US20150057610A1 (en) Steerable medical devices
US20130085492A1 (en) Electrophysiology catheter handle having accessible interior
KR20160103351A (ko) 카테터 및 이를 포함하는 신경차단 장치
JP6113682B2 (ja) 医療機器用ハンドルおよび医療機器
JP2021146215A (ja) 可変屈曲スパンを有する操縦可能なシース
WO2013141011A1 (ja) 医療用チューブの制御ハンドルおよび医療用チューブ装置
EP3583974B1 (en) Catheter having multiple curvatures and medical apparatus for surgery
RU2779494C1 (ru) Интерфейсный узел для соединения электрохирургического генератора и электрохирургического инструмента
JP2016067404A (ja) 医療器具
JP2005204995A (ja) 内視鏡用処置具及び内視鏡用処置装置並びに内視鏡処置具システ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