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5016A - 아세틸화 목재 및 그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아세틸화 목재 및 그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5016A
KR20210005016A KR1020207030527A KR20207030527A KR20210005016A KR 20210005016 A KR20210005016 A KR 20210005016A KR 1020207030527 A KR1020207030527 A KR 1020207030527A KR 20207030527 A KR20207030527 A KR 20207030527A KR 20210005016 A KR20210005016 A KR 202100050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od
acetylated
extraction
acetylating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05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91692B1 (ko
Inventor
테오도루스 제라두스 마리너스 마리아 카펜
스테판 반 둠멜
Original Assignee
트리코야 테크놀러지스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트리코야 테크놀러지스 엘티디 filed Critical 트리코야 테크놀러지스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2100050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50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16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16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KPROCESSES, APPARATUS OR SELECTION OF SUBSTANCES FOR IMPREGNATING, STAINING, DYEING, BLEACH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OR TREAT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WITH PERMEANT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CORK, CANE, REED, STRAW OR SIMILAR MATERIALS
    • B27K3/00Impregnating wood, e.g. impregnation pretreatment, for example puncturing; Wood impregnation aids not directly involved in the impregnation process
    • B27K3/34Organic impregnating agents
    • B27K3/346Grafting onto wood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1/00Solvent extraction
    • B01D11/02Solvent extraction of sol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KPROCESSES, APPARATUS OR SELECTION OF SUBSTANCES FOR IMPREGNATING, STAINING, DYEING, BLEACH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OR TREAT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WITH PERMEANT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CORK, CANE, REED, STRAW OR SIMILAR MATERIALS
    • B27K3/00Impregnating wood, e.g. impregnation pretreatment, for example puncturing; Wood impregnation aids not directly involved in the impregnation process
    • B27K3/02Processes; Apparatus
    • B27K3/0207Pretreatment of wood before impregn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HDERIVATIVES OF NATURAL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H8/00Macromolecular compounds derived from lignocellulosic materia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And Physical Treatments For Wood And The Like (AREA)
  • Polysaccharides And Polysaccharide Derivati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목재의 아세틸화 방법을 개신한다. 아세틸화될 목재는 먼저 추출 단계를 거친다. 그 결과 추출된 목재는 특히 감소된 헤미셀룰로오스 함량을 갖는다. 이 추출된 목재는 아세틸화제와 접촉된다. 추출은 물, 아세톤, 에탄올, 메탄올 또는 아세트산과 같은 추출 유체로 수행될 수 있다. 물은 수돗물 또는 탈염수와 같은 순수한 물이거나 묽은 염 용액(예를 들어, 암모늄 옥살레이트 또는 아황산나트륨을 함유하는 물)일 수 있다. 열수 추출이 바람직하다. 생성된 아세틸화 추출 목재, 특히 목재 요소는 기존의 아세틸화 목재보다 낮은 아세틸 함량에서 바람직한 팽윤 거동을 갖는다. 목재는 목재 요소, 원목 또는 목재 베니어 형태일 수 있다.

Description

아세틸화 목재 및 그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원목(solid wood), 목재 베니어 및 목재 칩 또는 섬유와 같은 목재 요소를 포함하는 리그노셀룰로오스 재료, 이를테면 목재의 아세틸화 분야이다. 본 발명은 목재를 아세틸화 하는 방법 및 그에 의해 얻어질 수 있는 아세틸화 목재에 관한 것이다.
긴 수명을 가진 목재 기반 재료와 같은 리그노셀룰로오스 재료를 제조하기 위해 목재를 화학적으로 변형시키고, 특히 목재를 아세틸화 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따라서 재료 특성, 예를 들면 치수 안정성, 경도, 내구성 등과 같이 개선된 재료가 얻어진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언급된 목재는 목재 요소와 원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이러한 배경기술의 참고문헌은 WO 2009/095687이다. 여기서는 목재의 아세틸화를 위한 공정이 설명되어 있는데, 이 공정은 목재를 반응 압력 용기 내의 아세틸화 액체에 침지하는 단계, 함침 공정을 수행하는 단계, 과잉의 아세틸화 유체를 제거하는 단계, 불활성 유체(전형적으로 질소 가스, 비-불활성 아세트산 무수물 및/또는 아세트산을 포함할 수 있는 불활성 유체)를 용기에 도입하는 단계, 목재의 적절한 아세틸화를 일으키기 위해 가열 체제에 따라 불활성 유체를 순환 및 가열하는 단계, 순환 유체를 제거하고 아세틸화된 목재를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배경기술의 또 다른 참고문헌은 WO 2013/139937이다. 본 문헌에서는 목재, 특히 목재 요소에 대해 높은 아세틸화도를 얻는 일반적인 어려움을 해결한다. WO 2013/139937은 함침 단계에 초점을 맞추어 이를 해결한다. 높은 아세틸 함량을 달성하기 위한 추가 참고문헌은 WO 2016/008995이다. 이 참고문헌에서는 아세틸화 단계를 최적화하는 것에 초점을 두고 있다.
아세틸 함량은 궁극적으로 내구성 및 치수 안정성과 같이 유리한 목재 특성의 최우선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조치라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사실상, 종래 기술에서 현저하게 벗어나서 더 낮은 아세틸 함량으로 이러한 특성을 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발명의 개요
일 양태에서, 본 발명은 목재(예를 들어, 목재 요소의 형태)를 제공하는 단계, 목재를 추출하는 공정을 거쳐 추출된 목재(특히, 헤미셀룰로오스 감소된 목재)를 제공하는 단계, 및 추출된 목재를 아세틸화제와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목재의 아세틸화 방법을 제공한다. 이에 따라, 특히, 추출 공정은 목재를 물, 아세톤, 에탄올, 메탄올 및 아세트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추출 유체와 접촉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용매는 120 ℃ 내지 250 ℃, 바람직하게는 140 ℃ 내지 160 ℃의 온도에서 추출을 수행하기 위한 압력 및 온도를 갖는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전술한 단락에 기술된 바와 같은 방법에 의해 얻어질 수 있는 아세틸화 목재(예컨대, 아세틸화 목재 요소)를 제공한다.
특히,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다음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얻어질 수 있는 아세틸화 목재, 특히 목재 요소를 제공한다:
목재(예를 들어, 목재 요소)를 제공하는 단계,
추출 유체로서 100 ℃ 내지 250 ℃의 물을 사용하여 목재를 열수 추출 공정을 거치는 단계, 및
추출 공정으로부터 얻어진 목재를 120 ℃ 내지 200 ℃ 범위의 온도에서 아세트산 무수물, 아세트산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아세틸화 유체로 아세틸화 하는 단계.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10 내지 15 %의 아세틸 함량에서 최대 2 %의 선형 팽윤에 의해 반영된 치수 안정성을 나타내는 아세틸화된 목재 요소를 제공한다.
도 1은 아세틸 함량에 대한 목재 요소(미처리, 아세틸화, 추출 및 아세틸화된 것)의 EMC(평형 수분 함량)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는 아세틸 함량에 대한 목재 요소(미처리, 아세틸화, 추출 및 아세틸화된 것)의 선형 팽윤(접선 방향)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넓은 의미에서, 본 발명은 아세틸화될 목재 요소에서 아세틸화를 겪을 수 있는 성분의 상대적 균형을 리그닌 및 셀룰로오스로 이동시키는 현명한 통찰력에 기초한다. 따라서, 아세틸화될 목재는 먼저 헤미셀룰로오스의 추출 공정에 도입된다.
이론에 구속되는 것을 원하지 않고, 본 발명자들은 헤미셀룰로오스의 대부분이 추출되기 때문에 아세틸화가 예상치 못한 유리한 방식으로 진행된다는 것을 인정한다. 예를 들어, 추출된 목재의 아세틸 함량은 추출되지 않은 목재에 비해 상당히 낮지만 치수 안정성(수분에 따른 선형 팽윤)과 같은 특성은 동일한 수준이다. 따라서 예를 들어 14% 아세틸 함량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목재의 팽윤은 일반적으로 19% 아세틸 함량을 갖는 기존의 아세틸화 목재 요소의 팽윤과 유사하다.
본 발명의 아세틸화 목재는 더욱 흥미롭고 예상치 못한 거동을 보인다. 이것은 예를 들어 평형 수분 함량(EMC)에 반영된다. 현장에서, EMC는 간접적으로 내구성의 척도로 간주되며 EMC가 낮을수록 내구성은 높다. 본 발명의 방법의 결과, 생성된 아세틸화 목재는 표준 물질(일반적으로 19% 아세틸 함량을 가짐)보다 낮은 아세틸 함량(예를 들어, 14 %)에서 더 낮은 EMC를 갖는다.
본 발명의 추출 단계는 또한 공정상의 이점을 가져온다. 예를 들어, 선행하는 추출은, 바람직한 아세틸 함량이 더 낮을 수 있고(예를 들어, 14 %) 기존의 아세틸화에 있어서 더 높은 아세틸 함량보다 더 빨리 도달할 수 있기 때문에, 더 빠른 공정을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어, 비교하자면, 표준 재료(목재 요소)는 전형적인 19 % 아세틸 함량을 얻기 위해 130 ℃에서 4 시간이 필요하다. 해당 추출된 재료를 사용하면, 해당하는 바람직한 아세틸 함량(14 %)(유사한 EMC 값 및 치수 안정성을 얻을 수 있음)은 130 ℃에서 60 분 이내에 도달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추출 및 아세틸화되는 목재는 목재 요소 또는 원목이며 목재 베니어도 포함한다. 목재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목재 칩, 목재 스트랜드, 목재 입자일 수 있다. 그러나 놀랍게도 본 방법은 원목 또는 베니어판에 적용될 수 있다. 목재는 바람직하게는 연질 목재, 예를 들어 침엽수, 일반적으로 가문비 나무(spruce), 소나무 또는 전나무와 같은 비 내구성 목재 류에 속하거나 비 내구성 경질목재(hard wood)에 속한다. 적합한 유형의 목재는 비 제한적인 예로서 가문비나무, 시트카(sitka) 가문비나무, 해상(maritime) 소나무, 스코츠(scots) 소나무, 라디에타(radita) 소나무, 유칼립투스(eucalyptus), 붉은 오리나무(red alder), 유럽 오리나무, 너도밤나무, 자작나무, 로블롤리(loblolly) 소나무, 로지폴(lodgepole) 소나무, 피치(pitch) 소나무, 적송(red pine), 서던 옐로우(Southern yellow) 소나무, 일본 삼나무(스기), 헴록(hemlock) 나무이다. 또한 야자와 같은 외떡잎식물(monocots) 및 오동나무(Palulownia), 고무나무, 티크(teak), 단풍 나무, 오크, 화이트 오크 등과 같은 기타 경질 목재도 적합하다.
본 발명에 따라 정의된 목재 요소의 전형적인 치수는 다음 표에 주어진다.
목재 요소
 
길이(mm) 폭 (mm) 두께 (mm)
부터 까지 부터 까지 부터 까지
5 75 5 50 1,5 25
스트랜드 20 120 5 40 0,25 1,5
스플린터(슬리버) 5 75 0,15 0,5 0,15 0,5
입자 1,5 20 0,15 5 0,15 5
섬유 번들 1,5 25 0,15 0,5 0,15 0,5
섬유 1 5 0,05 0,1 0,05 0,1
일부 실시형태에서, 목재 요소는 길이 1.0 내지 75mm, 폭 0.05 내지 75mm 및 두께 0.05 내지 15mm를 갖는다.
대안적인 실시형태에서, 목재는 원목 또는 목재 베니어이며, 바람직하게는 길이 또는 폭이 8cm 이상인 것이다.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mm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목재는 폭 2cm 내지 30cm, 두께 2cm 내지 16cm 및 길이 1.5 내지 6.0m를 갖는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목재는 두께가 적어도 1mm, 너비가 20cm 내지 2.5m, 길이가 20cm 내지 6m이다.
본 발명의 방법은 원목, 목재 요소 및 목재 베니어에 현저하게 잘 적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이점은 칩, 스트랜드 또는 입자와 같은 목재 요소의 경우에 크게 나타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목재 요소는 목재 칩이다. 균일한 질량 흐름(mass flow)을 촉진하기 위해 단일 크기 범위의 목재 요소가 바람직하다. 놀랍게도, 본 발명의 방법은 또한 그러한 원목의 치수 안정성에 실질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목재 베니어, 특히 원목(예를 들어, 목재 빔, 판자 또는 보드)에 적용될 수 있다. 목재에서 헤미셀룰로오스와 같은 성분을 제거하면 목재의 완전성(integrity)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빔(beam) 또는 판자와 같은 원목 제품의 경우, 일반적으로 이러한 목재 제품의 치수는 구성 요소 제거에 의해 악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예를 들어, 목재가 원하는 직선 형태에서 더 쉽게 벗어날 수 있고, 및/또는 목재의 구조가 더 부서지기 쉽다). 그러나, 예기치 않게 아세틸화 추출 목재는 제품의 치수 안정성이 떨어지지 않고 취성이 증가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방법은 일반적으로 당해 분야에 공지된 최적화 아세틸화 공정에 따라 수행된다. 바람직한 방법은 다음 단계를 포함한다:
- 목재 요소를 제공하는 단계;
- 목재 요소의 수분 함량을 제어하고, 필요한 경우 조절하는 단계(본 발명에 따라 수행된 추출 단계의 관점에서, 목재는 일반적으로 추출의 결과로 충분히 습윤되고, 아세틸화 유체로 함침되기 전에 원하는 수분 함량으로 건조되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 목재 요소를 아세틸화 유체로 함침하는 단계;
- 목재 요소의 아세틸화를 달성하기 위해 함침된 목재 요소를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가열 단계에 적용하는 단계; 및
- 과잉의 아세틸화 유체로부터 아세틸화 목재 요소를 분리하는 단계.
이와 같이 얻어진 아세틸화 목재 요소는 추가로 직접 가공될 수 있거나(예를 들어, 아세틸화 목재 요소를 포함하는 패널의 제조가 아세틸화 공정과 인라인으로 수행되는 경우), 또는 저장 및/또는 운송을 위해 처리(예를 들어, 건조에 의해) 처리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목재는 아세틸화 유체와 접촉하기 전에, 즉, 아세틸화될 목재가 아세틸화 유체로 함침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바람직한 공정에서 추출 공정에 도입되고, 추출은 이러한 함침 전에 수행된다.
추출 단계는 목재로부터 헤미셀룰로오스를 포함하는 분획물을 추출하기 위해 수행된다. 이러한 추출은 추출액으로 적합한 용매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용매의 비 제한적인 예로는 물, 아세톤, 에탄올, 메탄올 또는 아세트산이 있다. 물은 수돗물 또는 탈염수와 같은 순수한 물이거나, 또는 묽은 염 용액(예를 들어, 암모늄 옥살레이트 또는 아황산나트륨을 포함하는 물)일 수 있다.
당 업자가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추출 단계는 헤미셀룰로오스 이외에 임의의 기타 추출물을 추출하게 되는 점에 주목한다. 이것은 본 발명에 필수적인 것은 아니라고 믿어진다. 목재의 주요 화학 성분은 리그닌, 셀룰로오스 및 다양한 헤미셀룰로오스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헤미셀룰로오스는 일반적으로 정의되지 않은 부분이며, 그의 정확한 화학적 조성은 목재 종류에 따라 달라진다. 편의상 참조를 위해, 추출 단계를 헤미셀룰로오스 추출이라고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추출 단계의 결과는 아세틸화될 목재 성분의 균형을 리그닌 및 셀룰로오스로 이동시키는 데 중요한 것으로 여겨진다. 상응하는 천연 목재의 조성과 비교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목재 요소의 헤미셀룰로오스 함량은 최대 50 %, 예를 들어 10 내지 40 %, 예를 들어 20 내지 30 %, 예를 들어 약 25 %까지 감소된다. 따라서, 아세틸화될 목재에 존재하는 셀룰로오스 및 리그닌의 상대적인 양(따라서 결과적으로 아세틸화 목재가 됨)은 각각 최대 25 %, 예를 들어 각각 5 내지 20 %, 예를 들어 각각 10 내지 15 %, 예를 들어 각각 12.5 % 증가하였다.
일부 목재 종의 화학적 조성은 다음과 같이 알려져 있다(참조: Sjostrom, E., Wood Chemistry. Fundamentals and Applications. Second edition ed. 1993, San Diego : Academic press. 292):

성분
스코츠 소나무
(Pinus
sylvestris)
가문비 나무
(Picea glauca)
유칼립투스
(Eucalyptus camaldulensis)
실버 자작나무
(Betula verrucosa)
셀룰로오스(%) 40 39.5 45.0 41.0
헤미셀룰로오스
- 글루코만난(%) 16.0 17.2 3.1 2.3
- 글루코로녹실란(%) 8.9 10.4 14.1 27.5
- 기타 다당류(%) 3.6 3.0 2.0 260
리그닌(%) 27.7 27.5 31.3 22.0
총 추출물(%) 3.5 2.1 28 3.0
목재 종의 화학 조성
바람직하게는, 추출은 열수 추출이다. 이것은 당 업계에서 잘 확립된 공정을 지칭한다. 그것의 일반적인 목적은 목재에서 추출물을 얻고 이를 바이오 기반 화학 물질로서 기타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추출된 나머지 목재에 대해 열수 추출 공정을 신중하게 적용한 후 아세틸화를 수행한다. 열수 추출은 일반적으로 100 ℃ 내지 250 ℃, 이를테면 약 120 ℃ 내지 180 ℃, 이를테면 약 160 ℃ 의 온도에서 수행된다. 이들 온도는 상승된 압력, 일반적으로 약 2 내지 8 barg, 이를테면 4 내지 6 barg, 이를테면 약 5 barg의 범위를 의미함을 이해할 것이다.
흥미로운 실시형태에서, 열수와 같은 추출 유체는 함침 공정, 특히 베델(Bethel) 함침 공정에 의해 목재 요소에 적용된다. 본 발명에서, 추출할 목재 요소를 진공 챔버에 넣고 진공을 적용하여 목재에서 공기를 제거한다. 추출 유체(예를 들어, 물)는 진공 하에서 챔버에 가해진다. 챔버를 액체로 채운 후 일반적으로 최대 250 psi (제곱 인치당 파운드), 바람직하게는 150 psi 내지 200 psi의 압력을 가할 수 있다. 목재가 다시 대기압을 받도록 압력이 제거된다. 이러한 유형의 공정은 일반적으로 최대 함침 부하를 가져오기 때문에 종종 바람직한 데, 이는 원하는 최대 아세틸 레벨과 직접 관련이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일반적으로, 적절한 가압과 함께 이루어지는 물의 가열은 함침 공정이 완료된 후에 수행된다. 추출 유체는 일반적으로 1 내지 10 시간, 예를 들어 2 내지 8 시간, 예를 들어 4 내지 6 시간, 예를 들어, 약 5 시간 동안 전술한 조건(통상 오토블레이브에서) 하에서 목재 요소와 접촉 상태를 유지하도록 허용된다. 이 회분식(batch) 추출 공정 외에, 연속 추출과 같은 대안적인 추출 공정도 이용될 수 있다.
추출 종료 후, 추출 유체에 함유된 추출물과 함께 추출 유체는 제거된다. 아세틸화 전에, 추출된 목재 요소는 일반적으로 목재 요소의 수분 함량을 제어할 수 있는 단계를 거치게 된다. 일반적으로 아세틸화 전의 바람직한 수분 함량은 15 중량 % 미만이다. 물로 추출하기에 적절한 경우, 수분 함량을 조절하는 것은 실제로 건조 단계를 포함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이러한 건조는 목재 산업에 알려진 임의의 방법에 의해 연속 또는 회분식 공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목재의 수분 함량은 8 % 미만의 값, 이를테면 0.01 % 내지 5 % 범위, 이를테면 0.5 % 내지 4 % 범위가 된다.
아세틸화 공정 자체는 당 업계에 공지된 바와 같이 액상 및/또는 기상 아세틸화 유체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전형적인 아세틸화 유체는 아세트산, 아세트산 무수물 및 이들의 혼합물이다. 바람직하게는, 사용된 초기 아세틸화 유체는 아세트산 무수물이다(아세틸화 반응의 결과로서, 아세트산이 형성되기 때문에 아세틸화 유체의 조성이 공정 동안 변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추출된 목재 요소와 아세틸화 유체와의 접촉은 다시 함침 단계(예를 들어, 아세트산 무수물 사용)를 포함한다.
흥미로운 실시형태에서, 이 함침 단계는 추출 단계와 관련하여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은 베델 유형 함침 공정을 포함한다. 그러나 함침 후 최대 아세틸화 유체 흡수가 주요 목표가 아닌 경우에, 보다 경제적인 함침 공정을 이용할 수도 있다. 목재 함침 분야의 숙련자에게 알려진 함침 공정의 예는 소위 로리(Lowry) 및 류핑(Rueping) 공정이다. 이들 공정은 초기 진공이 필요하지 않다. 그 대신, 함침 유체는 가압 하에 목재 내부에 깊숙이 압입된다. 목재 내부의 압축된 가스는 압력이 해제될 때 팽창하여 과도한 방부제가 목재 밖으로 배출된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장점은 바람직한 제품 특성을 얻기 위해 더 낮은 아세틸 함량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보다 경제적인 함침 공정을 이용할 수 있다.
흥미로운 실시형태에서, 아세틸화는 본 발명에서 기술내용을 참고로 하는 WO 2009/095687, WO 2011/95824, WO 2013/117641, WO 2013/139937, 또는 WO 2016/008995에 기재된 바와 같은 아세틸화 공정 중 어느 하나에 따라 수행된다. 예를 들어, 높은 아세틸 함량을 얻기 위해 바람직한 공정은 WO 2016/008995에 기재된 바와 같은 3 단계 공정이다. 본 발명의 장점은 아세틸화를 위한 공정 시간이 WO 2016/008995의 공정에 비해 상당히 감소될 수 있다는 것이다.
아세틸화 반응은 일반적으로 120 ℃ 내지 200 ℃, 예를 들어 160 ℃ 내지 180 ℃의 온도에서 수행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라 추출된 목재 요소에 대한 아세틸화 공정은 일반적으로 당 업계에서 기존에 최적화된 범위보다 낮은 온도 범위(예를 들어, 120 ℃ 내지 150 °, 바람직하게는 130 ℃ 내지 140 ℃)의 온도에서 당 업계에서 기존에 최적화된 기간(예를 들어, 20 분 내지 1 시간,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40 분의 기간)보다 일반적으로 짧은 기간 동안 단일 가열 단계로 수행된다. 당 업자는 주어진 반응기 장비에 대해 그리고 아세틸화될 목재의 종류에 따라 선택된 시간 및 온도 조건을 최적화 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은 이에 의해 당 업계에서 최적화된 공정보다 더 낮은 아세틸 함량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당 업자에게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 당 업자는 그에 따라 공지된 조건을 적용시킬 수 있을 것이다.
목재 아세틸화 정도를 결정할 때 두 가지 다른 접근법이 현장에 존재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하나는 WPG (Weight Percentage Gain)를 기반으로 한다. WPG는 아세틸화 처리 전후의 샘플(추출 후 목재)을 비교하고, 그 결과 첨가된 물질(및 목재에 여전히 남아있는 모든 잔류물)이 가치를 증가시킨다.
WPG는 다음 식으로 설명된다:
WPG = (M증가/M반응전 샘플) x 100 %
상기 식에서,
M은 질량을 나타내고,
M증가 = M반응후 샘플 - M반응전 샘플이다.
다른 접근법은 실제로 아세틸 함량(AC)을 측정하는 것이다. 다음 식으로 주어진다:
AC = (M아세틸/M반응후 샘플) x 100 %
일반적으로, HPLC(고압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는 목재에서 아세틸기의 비누화에 의해 얻어지는 아세테이트 이온 농도를 정량화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이로부터 아세틸화 후 아세틸기의 전체 질량은 M아세틸로 간주될 수 있다.
WPG 및 AC에 대해 상이한 결과는 다음 이론적 예를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목재 1g의 샘플이 아세틸화되고 반응 후 1.25g의 질량을 갖는다. 따라서 M아세틸은 0.25g이다. 그 결과 WPG는 다음과 같다: (1.25-1.00)/1.00* 100% = 25%. 아세틸 함량으로 계산된 AC는 다음과 같다: AC = (1.25-1.00)/1.25* 100% = 20%이다.
따라서, WPG에서 표현된 아세틸화 정도와 AC에서 표현된 아세틸화 정도를 직접 비교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AC 값은 아세틸화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선택된다.
본 발명에 따라 아세틸화에 의해 추출된 목재 요소에 대해 얻어지는 바람직한 아세틸 함량(AC)은 8 내지 16 %,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5 %, 더욱 바람직하게는 13 내지 14 %이다.
아세틸화된 천연 목재(추출되지 않은 목재 요소)와의 현저한 차이점은 이러한 낮은 비율의 아세틸 함량에서 목재 요소는 일반적으로 2 내지 8 % 더 높은, 특히 4 내지 6 % 더 높은, 가장 일반적으로는 5 % 더 높은 아세틸 함량을 갖는 아세틸화 비 추출 목재와 동일한 크기의 치수 안정성을 갖는다. 이것은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얻어질 수 있는 목재 요소와 기존 방법에 의해 얻어질 수 있는 목재 요소를 구별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방법에 의해 얻어질 수 있는 아세틸화 목재 요소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아세틸화 목재 요소는 아세틸화 이전에 수행된 추출 단계의 가시적 결과에 의해 표준 아세틸화 목재 요소와 구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얻어질 수 없는 표준 아세틸화 목재 요소는 목재의 천연 조성, 특히 아세틸화 형태의 리그닌, 셀룰로오스 및 헤미셀룰로오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얻어질 수 있는 아세틸화 목재 요소는 상응하는 천연 목재에 비해, 리그닌 및 셀룰로오스의 상대적인 양이 증가한 조성을 가짐으로써(추출물, 특히 헤미셀룰로오스를 제거한 결과) 상기 표준 아세틸화 목재 요소와 구별될 수 있다. 흥미롭게도 추출은 일반적으로 테르펜 및 기타 소나무 수지를 제거하며, 이는 목재에 더 밝은 색상을 제공할 수 있는 가능성과 같은 몇 가지 추가 이점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추가적인 양태에서, 본 발명은 목재 요소를 제공하는 단계, 100 ℃ 내지 200 ℃의 온도에서 추출 유체로서 물을 사용하여 목재 요소를 열수 추출 단계에 적용하는 단계, 및 추출로부터 생성된 목재 요소를 120 ℃ 내지 200 ℃ 범위의 온도에서 아세트산 무수물, 아세트산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아세틸화 유체로 아세틸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얻어질 수 있는 아세틸화 목재 요소를 제공한다.
흥미로운 양태에서. 본 발명의 목재 요소는 10 내지 15 %의 아세틸 함량에서 최대 2 %의 선형 팽윤에 의해 반영된 치수 안정성을 나타내는 아세틸화된 목재 요소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선형 팽윤은 실시예에 기재된 바와 같이 당 업계에 공지된 절차에 따라 결정된다. 나무의 성장으로 인해 목재에는 접선(tangential), 방사형(radial) 및 종방향(longitudinal)의 세 가지 방향/배향이 규정된다. 목재는 접선 방향으로 가장 많이 수축 및 팽윤된다. 접선 팽윤은 일반적으로 반경 방향 팽윤의 두 배이다. 종방향 팽윤은 일반적으로 접선 팽윤의 약 0.1 내지 0.2 %이므로 사실상 제로이다. 본 발명에서 선형 팽윤은 가장 큰 팽윤이므로 접선 방향으로 측정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아세틸화 목재 요소는 보드 또는 패널의 구성 요소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보드 또는 패널은 일반적으로 수지와 같은 결합제에 의해 함께 고정된 목재 요소를 포함한다. 이것은 당 업계에서 잘 확립된 기술 및 수지 재료를 의미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패널의 제조를 위한 기술에 추가로 의존하는 반면, 전술한 비교적 낮은 아세틸 함량에서 전술한 바람직한 특성을 갖는 아세틸화 목재 요소를 사용하는 이점을 추가한다. 이러한 보드, 특히 MDF(중간 밀도 섬유 보드 패널)를 제조할 때, 본 발명의 목재 요소는 유용하게 정제될 수 있다(예를 들어, 아세틸화된 목재 칩으로부터 아세틸화된 목재 섬유를 제조하기 위해). 이와 같이 정제된 아세틸화 목재 요소는 따라서 중간 밀도 섬유판(MDF) 또는 배향된 스트랜드 보드(OSB) 또는 입자 보드와 같은 보드로 변환될 수 있다. 이들 보드는 아세틸화되지 않은 목재 요소에서 파생된 보드에 비해 우수한 치수 안정성, 내구성, 자외선 및 열 전도성에 대한 안정성을 보유한다. 특히, 이들 보드는 아세틸화 목재 요소로 만든 기존 보드와 마찬가지로 이러한 특성을 갖지만 상대적으로 아세틸 함량이 낮다.
요약하면, 목재의 아세틸화를 위한 방법이 개시된다. 아세틸화될 목재는 먼저 추출 단계를 거친다. 그 결과 추출된 목재는 특히 감소된 헤미셀룰로오스 함량을 갖는다. 이 추출된 목재는 아세틸화제와 접촉된다. 추출은 이를테면 물, 아세톤, 에탄올, 메탄올 또는 아세트산과 같은 추출 유체로 수행될 수 있다. 물은 수돗물 또는 탈염수와 같은 순수한 물이거나 묽은 염 용액(예를 들어, 암모늄 옥살레이트 또는 아황산나트륨을 포함하는 물)일 수 있다. 열수 추출이 바람직하다. 생성된 아세틸화 추출 목재, 특히 목재 요소는 기존의 아세틸화 목재보다 낮은 아세틸 함량에서 바람직한 팽윤 거동을 갖는다. 목재는 목재 요소, 원목 또는 목재 베니어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음의 비 제한적인 실시예에 의해 예시적으로 설명된다.
실시예 1
라디아(Radiata) 소나무로 만든 원목 샘플이 제공되었다. 치수는 다음과 같다:
- 길이 : 100 cm
- 너비 : 14 cm
- 두께 : 2.5 cm.
열수 추출을 위해, 샘플을 용기 내의 탈염수로 함침시켰다.
이 함침을 위해 샘플을 물에 담그고 시스템을 50 mbara로 배기하고 그 후 압력을 대기로 복귀시켰다. 그 후 압력은 증가하였다. 적용된 추출 조건은 다음과 같다:
- 압력 : 2.5 Barg;
- 온도 : 135 ℃;
- 기간 : 4 시간.
이 공정 후, 시스템을 냉각시키고 물 분획을 경사분리하였다. 이어서 헤미셀룰로오스 분획물을 함유하는 나머지 물의 대부분을 제거하기 위해 젖은 목재를 진공으로 흡인시켰다. 그 후 목재는 5 wt% 이하의 수분 함량으로 열 건조되었다.
이로 인해, 추출된 원목이 생성되었으며, 여기서 헤미셀룰로오스 13 % 내지 15 %가 제거되었다. 그 후 추출된 목재 샘플에 아세틸화 유체를 함침시켜 아세틸화 하였다. 아세틸화 유체에 의한 함침은 시스템을 50 mbara로 배기하는 동안 샘플을 아세틸화 유체에 담그는 방식으로 수행되었다. 그 후 압력은 대기압으로 복귀시켰다. 적용된 아세틸화 조건은 다음과 같다:
- 92 wt% 아세트산 무수물 및 8 중량% 아세트산을 함유하는 아세틸화 유체;
- 압력 : 1.5 Barg;
- 온도 : 135 ℃;
- 기간 : 4 시간.
아세틸화 유체를 제거하고 건조시킨 후, 그 결과 왜곡, 뒤틀림 또는 팽윤 없이 현저한 기계적 완전성을 나타내는 아세틸화 원목 샘플이 되었다. 샘플의 아세틸 함량은 16 %이었다.
본 실시예에서는 추출 조건이나 아세틸화 조건이 특별히 최적화되지 않았음을 주목한다. 예를 들어, 더 높은 추출 온도(해당하는 더 높은 압력에서)가 바람직하다.
실시예 2
라디아타(Radiata) 소나무에서 샘플(50 x 50 x 5 mm3 크기)을 준비하였다. 열수 추출을 위해 샘플을 다음과 같이 탈염수로 함침시켰다. 샘플을 비이커 내의 주변 온도 물에 담근 다음 비이커를 데시케이터에 넣고 칩을 잠긴 상태로 유지하면서 배기하였다. 50 mbar(a)의 진공을 1 시간 동안 적용한 후 시스템을 대기 상태로 복귀시켰다. 그런 다음 샘플을 오토클레이브로 옮기고 과량의 물을 첨가하여 샘플을 잠기게 하였다. 오토클레이브를 닫고 배기하고 질소를 첨가하여 1 bar(g)의 압력에 도달하였다. 그 다음, 시스템을 160 ℃로 가열하고 압력을 약 5 bar(g)로 증가시켰다. 샘플은 5 시간 동안 처리되었다. 그런 다음 물을 제거하였다. 샘플을 오토클레이브에서 꺼내어 105 ℃ 오븐에서 16 시간 동안 건조하였다. 그 후, 샘플의 무게를 측정하고 추가 사용을 위해 밀봉된 백에 저장하였다.
그 다음,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샘플을 데시케이터 및 진공 하에서 10/90의 아세트산/아세트산 무수물 혼합물로 함침시켰다.
샘플을 130 ℃에서 60 분 및 150 분 동안 아세틸화 하였다. 반응 후 샘플을 물에 잠기게 하여 반응을 멈추고 아세트산 무수물을 아세트산으로 전환시켰다. 그 다음 샘플을 105 ℃ 오븐에서 16 시간 동안 건조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라디아타(Radiata) 소나무로부터 제조된 일련의 동일한 샘플이 제공되었다. 이 샘플은 추출되지 않았다. 이들을 105 ℃에서 16 시간 동안 동일한 방식으로 건조하고, 실시예 2의 샘플과 동일한 방식으로 10/90의 아세트산/아세트산 무수물로 처리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2(본 발명에 따라 아세틸화되고 추출된 목재 칩) 및 실시예 3(본 발명에 따른 것이 아닌 아세틸화된 천연 목재 칩)에서 얻어진 샘플을 20 ℃ 및 90% 상대 습도로 조절된 기후 챔버에 배치하였다. 또한, 10개의 미처리 및 비 아세틸화 샘플을 동일한 방식으로 순화시켰다.
샘플이 안정된 질량을 얻을 때까지 샘플을 기후 챔버에 유지하였다. 그 다음 샘플을 분석 저울에서 칭량하고 치수(방사 방향 및 접선 방향)를 측정하였다. 측정 후 모든 샘플을 105 ℃ 오븐에 16 시간 동안 유지하였다가 질량과 치수를 다시 측정하였다. 이러한 측정을 통해 평형 수분 함량(EMC)과 선형 팽윤을 계산하였다.
EMC에 대한 결과는 도 1에 도시하고, 선형 팽윤(접선 방향)에 대한 결과는 도 2에 도시하였다. 여기서 시험된 목재 샘플은 다음과 같이 표시된다:
▲ 추출된 아세틸화 목재(본 발명에 따른 목재);
+ 아세틸화 목재(통상은 추출되지 않음);
○ 미처리 목재.
도 1에서, 본 발명의 아세틸화 및 추출된 목재 요소에 대한 EMC는 더 낮은 아세틸 함량에서도 아세틸화되고, 추출되지 않은 표준 목재 요소에 대한 EMC보다 낮음을 알 수 있다.
도 2에서, 본 발명의 아세틸화, 추출된 목재 요소에 대해 1 내지 2 %의 바람직한 값의 선형 팽윤이 15 % 미만의 아세틸 함량에서 수득됨을 알 수 있다. 선형 팽윤의 동일한 값에 대해, 아세틸화되고 추출되지 않은 표준 목재 요소는 20 %에 가까운 아세틸 함량이 필요하다.

Claims (12)

  1. 목재를 제공하는 단계, 추출된 목재를 제공하기 위해 목재를 추출 단계에 적용하는 단계, 추출된 목재를 아세틸화제와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추출 단계는 목재를 물, 아세톤, 에탄올, 메탄올 및 아세트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추출 유체와 접촉시키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용매는 120 ℃ 내지 250 ℃, 바람직하게는 140 ℃ 내지 160 ℃의 온도에서 추출을 수행하기 위한 압력 및 온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의 아세틸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추출 유체가 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의 아세틸화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목재가 아세틸화 유체로 함침되기 전에 건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의 아세틸화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목재가 8 % 미만, 바람직하게는 0.5 % 내지 4 % 범위의 수분 함량으로 건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의 아세틸화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목재가 목재 요소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의 아세틸화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목재 요소가 목재 칩, 목재 스트랜드, 목재 입자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의 아세틸화 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목재가 원목 또는 목재 베니어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의 아세틸화 방법.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에 의해 얻어질 수 있는 아세틸화 목재.
  9. 목재를 제공하는 단계, 100 ℃ 내지 250 ℃의 온도에서 추출 유체로서 물을 사용하여 목재를 열수 추출 단계에 적용하는 단계, 및 추출에 의해 얻어진 목재를 120 ℃ 내지 200 ℃ 범위의 온도에서 아세트산 무수물, 아세트산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아세틸화 유체로 아세틸화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얻어질 수 있는 아세틸화 목재.
  10. 10 내지 15 %의 아세틸 함량에서 최대 2 %의 선형 팽윤에 의해 반영된 치수 안정성을 나타내는, 바람직하게는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따른 아세틸화 목재 요소.
  11. 목재 요소 및 바인더를 포함하는 패널로서, 목재 요소가 제 8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아세틸화 목재 요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12. 목재 섬유와 수지를 포함하고, 목재 섬유가 제 8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정제된 아세틸화 목재 요소인 중간 밀도 섬유 보드.
KR1020207030527A 2018-04-13 2018-04-13 아세틸화 목재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5916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EP2018/059562 WO2019197041A1 (en) 2018-04-13 2018-04-13 Acetylated wood and method of making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5016A true KR20210005016A (ko) 2021-01-13
KR102591692B1 KR102591692B1 (ko) 2023-10-19

Family

ID=68164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0527A KR102591692B1 (ko) 2018-04-13 2018-04-13 아세틸화 목재 및 그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20210154883A1 (ko)
EP (2) EP3774241B1 (ko)
JP (1) JP7241768B2 (ko)
KR (1) KR102591692B1 (ko)
CN (1) CN111971153A (ko)
AU (1) AU2018418814B2 (ko)
CA (1) CA3096698A1 (ko)
ES (1) ES2952147T3 (ko)
PL (1) PL3774241T3 (ko)
PT (1) PT3774241T (ko)
WO (1) WO201919704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11120B (en) * 2013-02-26 2017-06-21 Medite Europe Ltd Acetylated wood fibre
WO2024100210A1 (en) 2022-11-09 2024-05-16 Tricoya Technologies Ltd Purification of acetic acid by heteroazeotropic distillation with wate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90001A (ja) * 1985-06-17 1986-12-20 大建工業株式会社 木材の改質方法
JPH07132504A (ja) * 1993-11-10 1995-05-23 Mokuzai Seinou Kojo Gijutsu Kenkyu Kumiai 木材の改質方法
JPH07232309A (ja) * 1993-12-28 1995-09-05 Yamaha Corp 木質板の製法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94431A (en) * 1961-03-22 1963-06-18 Koppers Co Inc Process of acetylating wood
JPS62202986A (ja) * 1986-02-15 1987-09-07 アイカ▲こう▼業株式会社 改良木材の製法
US7300705B2 (en) * 2003-06-23 2007-11-27 Weyerhaeuser Company Methods for esterifying hydroxyl groups in wood
JP2007084769A (ja) * 2005-09-26 2007-04-05 Nitta Ind Corp バインダレス成形用材料及び成形体
CN103481342B (zh) 2008-02-01 2018-09-07 泰坦木业有限公司 乙酰化的木材
US8906466B2 (en) * 2009-06-25 2014-12-09 Eastman Chemical Company Esterified lignocellulosic materials and methods for making them
CA2722003A1 (en) * 2009-11-23 2011-05-23 The University Of Maine System Board Of Trustees Composite from hemicellulose extracted wood with improved performance and reduced emissions
BR112012019630B1 (pt) 2010-02-04 2020-10-20 Titan Wood Limited processo para a fabricação de um produto compósito de madeira a partir de elementos de madeira
WO2012168446A1 (en) * 2011-06-10 2012-12-13 Titan Wood Ltd. Wood fibre acetylation
US20140227742A1 (en) * 2011-09-23 2014-08-14 Archer Daniels Midland Company C1-C2 Organic Acid Treatment of Lignocellulosic Biomass to Produce Acylated Cellulose Pulp, Hemicellulose, Lignin and Sugars and Fermentation of the Sugars
CO6910042A1 (es) * 2011-09-28 2014-03-31 Titan Wood Ltd Paneles de fibras de densidad media
JP6498442B2 (ja) 2012-02-07 2019-04-10 タイタン ウッド リミテッド 木材をアセチル化する方法
CN104271229B (zh) 2012-03-21 2016-11-16 泰坦木业有限公司 用于木材改性的方法
CN102864668B (zh) * 2012-09-18 2015-03-11 北京林业大学 木质纤维素原料预处理方法
AU2013203043B2 (en) * 2013-03-15 2016-10-06 Takeda Pharmaceutical Company Limited Methods to produce a human plasma-derived igg preparation enriched in brain disease-related natural iggs
CA2955083C (en) 2014-07-16 2023-02-28 Tricoya Technologies Ltd Process for the acetylation of wood
BR112017001757B1 (pt) * 2014-07-31 2022-02-22 Koppers Performance Chemicals Inc Método para tratar um produto de madeira
EP3006645A1 (de) * 2014-10-08 2016-04-13 Ed. Heckewerth Nachf. GmbH & Co. KG Paneel
CN105367667B (zh) * 2015-11-15 2017-10-27 浙江大学自贡创新中心 同时制备不同外形特征乙酰化木质纤维材料的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90001A (ja) * 1985-06-17 1986-12-20 大建工業株式会社 木材の改質方法
JPH07132504A (ja) * 1993-11-10 1995-05-23 Mokuzai Seinou Kojo Gijutsu Kenkyu Kumiai 木材の改質方法
JPH07232309A (ja) * 1993-12-28 1995-09-05 Yamaha Corp 木質板の製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97041A1 (en) 2019-10-17
BR112020020899A2 (pt) 2021-01-26
EP3774241A1 (en) 2021-02-17
EP3774241B1 (en) 2023-05-31
PL3774241T3 (pl) 2023-10-23
JP7241768B2 (ja) 2023-03-17
AU2018418814A1 (en) 2020-11-12
AU2018418814B2 (en) 2024-05-23
JP2021527577A (ja) 2021-10-14
CN111971153A (zh) 2020-11-20
PT3774241T (pt) 2023-08-17
EP4234190A3 (en) 2023-12-06
ES2952147T3 (es) 2023-10-27
CA3096698A1 (en) 2019-10-17
US20210154883A1 (en) 2021-05-27
EP4234190A2 (en) 2023-08-30
KR102591692B1 (ko) 2023-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ilitz et al. Processes and properties of thermally modified wood manufactured in Europe
Esteves et al. Wood modification by heat treatment: A review
EP2242624B1 (en) Process for wood acetylation
Pelit et al. Effects of ThermoWood® process combined with thermo-mechanical densification on some physical properties of Scots pine (Pinus sylvestris L.)
US4606388A (en) Process for densifying low density woods
Priadi et al. Water absorption and dimensional stability of heat-treated fast-growing hardwoods
AU2015289144B2 (en) Process for the acetylation of wood
Dündar et al. Effect of heat treament on the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compression and opposite wood of Black Pine
KR102591692B1 (ko) 아세틸화 목재 및 그의 제조 방법
Despot et al. Biological durability of wood modified by citric acid
Korkut et al. The effects of high-temperature heat-treatment on physical properties and surface roughness of rowan (Sorbus aucuparia L.) wood
Zdravković et al. Dimensional stability of plywood panels made from thermally modified poplar veneers in the conditions of variable air humidity
CN113646147A (zh) 乙酰化橡胶木材制成的板材
EP0197674B1 (en) Process for densifying low density woods
Taşdelen et al. Some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maritime pine and poplar exposed to oil-heat treatment
NO813990L (no) Fremgangsmaate for dimensjonsstabilisering av pressede trematerialer
AYRILMIŞ et al. Effect of wood chip size on hemicellulose extraction andtechnological properties of flakeboard
Olarescu et al. Dimensional stabilization of wood originating from small-diameter trees through heat treatment
KR102531396B1 (ko) 압력 변화를 이용하는 왁스처리 단계를 포함하는 발수성 목재 가공방법
BR112020020899B1 (pt) Processo para a acetilação de madeira macia
Budakçı et al. Effects of Thermo-Vibro-Mechanic® Densification on the Density and Swelling of Pre-Treated Uludağ Fir and Black Poplar Wood.
Villasante et al. Simultaneous treatment with oil heat and densification on physical properties of Populus× Canadensis wood
WO2024014037A1 (ja) 改質木材の製造方法
Faruwa et al. Sorption behaviour of thermally and chemically modified selected wood species
Ibanez et al. Changes in the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Pinus taeda and Eucalyptus bosistoana wood modified by contact charr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