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4191A - 모터 - Google Patents

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4191A
KR20210004191A KR1020190080213A KR20190080213A KR20210004191A KR 20210004191 A KR20210004191 A KR 20210004191A KR 1020190080213 A KR1020190080213 A KR 1020190080213A KR 20190080213 A KR20190080213 A KR 20190080213A KR 20210004191 A KR20210004191 A KR 202100041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disposed
bus bar
terminals
insula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02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영환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802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04191A/ko
Priority to CN201980069555.2A priority patent/CN113615052A/zh
Priority to EP19876706.3A priority patent/EP3872968A4/en
Priority to JP2021547024A priority patent/JP7474267B2/ja
Priority to PCT/KR2019/013851 priority patent/WO2020085744A1/ko
Priority to US17/286,559 priority patent/US20210344251A1/en
Publication of KR202100041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41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2Auxiliary parts of casings not covered by groups H02K5/06-H02K5/20, e.g. shaped to form connection boxes or terminal boxes
    • H02K5/225Terminal boxes or connec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32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of the insulation
    • H02K3/34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of the insulation between conductors or between conductor and core, e.g. slot insulation
    • H02K3/345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of the insulation between conductors or between conductor and core, e.g. slot insulation between conductor and core, e.g. slot insul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46Fastening of windings on the stator or rotor structure
    • H02K3/50Fastening of winding heads, equalising connectors, or connections thereto
    • H02K3/505Fastening of winding heads, equalising connectors, or connections thereto for large machine windings, e.g. bar wind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62D5/0403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common housing for motor and gear box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ulation, Fastening Of Motor, Generator Win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샤프트; 상기 샤프트에 결합하는 로터; 상기 로터의 외측에 배치되는 스테이터; 상기 스테이터 상에 배치되는 버스바를 포함하고, 상기 버스바는 스테이터의 코일과 연결되는 터미널과, 상기 터미널을 절연시키는 버스바 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터미널은 축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1 터미널을 포함하고, 상기 버스바 몸체는 상기 스테이터 상에 배치되는 제1 몸체와, 상기 제1 몸체와 연결되며 축방향으로 연장된 제2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1 터미널 중 적어도 하나는 터미널 단자와 상기 터미널 단자의 일부를 감싸는 절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터미널 단자는 상기 제2 몸체를 관통하고, 상기 절연 부재는 상기 제2 몸체와 결합하는 모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모터{Motor}
실시예는 모터에 관한 것이다.
전동식 조향장치(EPS)는 차량의 선회 안정성을 보장하고 신속한 복원력을 제공함으로써, 운전자로 하여금 안전한 주행이 가능하게 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전동식 조향장치는 차속센서, 토크 앵글센서 및 토크센서 등에서 감지한 운행조건에 따라 전자제어장치(Electronic Control Unit: ECU)를 통해 모터를 구동하여 차량의 조향축의 구동을 제어한다.
모터는 스테이터와 로터를 포함한다. 스테이터는 스테이터 코어와 스테이터 코어의 티스에 감기는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스테이터는 복수 개의 스테이터 코어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스테이터 코어에는 코일이 감길 수 있다.
스테이터의 상단에는 코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버스바가 배치된다. 버스바는 대체적으로 버스바 하우징과, 버스바 하우징에 결합되어 코일이 연결되는 터미널이 포함된다. 이때, 터미널은 코일과 퓨징되어 연결된다.
터미널은 축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전원 터미널과, 상기 전원 터미널에 퓨징되어 스테이터에 감긴 코일에 연결되는 버스바 터미널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전원 터미널의 길이는 약 120mm이다. 그리고 상기 전원 터미널을 수용하는 버스바 하우징은 축방향으로 길게 연장된다. 이때, 터미널과 버스바 하우징을 인서트 사출하는 경우, 전원 터미널의 길이가 증가할수록 전원 터미널의 사출 부위에 휨 현상이 발생하거나, 전원 터미널의 위치 정확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전원 터미널을 버스바 터미널에 퓨징하는 과정에서, 퓨징 공간이 충분히 확보되지 않아 작업성이 떨어지고, 부품 간의 간섭으로 인해 퓨징 품질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실시예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전원 터미널의 위치 정확도를 높이고, 터미널 퓨징 품질을 개선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삼는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에 국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에 결합하는 로터; 상기 로터의 외측에 배치되는 스테이터; 상기 스테이터 상에 배치되는 버스바를 포함하고, 상기 버스바는 스테이터의 코일과 연결되는 터미널과, 상기 터미널을 절연시키는 버스바 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터미널은 축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1 터미널을 포함하고, 상기 버스바 몸체는 상기 스테이터 상에 배치되는 제1 몸체와, 상기 제1 몸체와 연결되며 축방향으로 연장된 제2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1 터미널 중 적어도 하나는 터미널 단자와 상기 터미널 단자의 일부를 감싸는 절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터미널 단자는 상기 제2 몸체를 관통하고, 상기 절연 부재는 상기 제2 몸체와 결합하는 모터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터미널은 이웃한 다른 하나의 제1 터미널과 단부의 높이가 서로 다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터미널은 복수의 제2 터미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1 터미널은 상기 복수의 제2 터미널과 퓨징되는 퓨징부를 포함하며, 서로 이웃한 상기 퓨징부는 높이가 서로 다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터미널 단자는 측면이 평면이며, 상기 퓨징부는 상기 터미널 단자의 하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의 제1 터미널은 측면에 제1 단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의 제1 터미널은 세 개이고, 양측에 배치되는 제1 터미널은 축방향 길이가 같고, 중앙에 배치되는 제1 터미널은 상기 양측에 배치된 제1 터미널보다 축방향 길이가 길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터미널 단자는, 상기 절연 부재와 접촉하는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에서 연장되어 단부가 상기 제2 터미널에 퓨징되는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서로 이웃한 상기 제2 영역은 축방향 길이가 상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영역 중 일부의 폭은 상기 제2 영역 중 일부의 폭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 사이에는 제2 단차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몸체 또는 상기 절연 부재는 상기 제2 단차부와 접촉하여 제1 터미널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버스바 몸체는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를 연결하는 네크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몸체는 상기 제1 몸체와 축 방향으로 오버랩되지 않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몸체는 상기 제1 몸체와 반경 방향으로 오버랩되지 않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몸체와 상기 절연 부재는 동일한 소재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버스바 몸체는 상기 제2 몸체와 상기 절연 부재의 사이에 배치되는 실링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버스바 몸체와 절연 부재를 분리 구성하여, 터미널 단자의 위치 정확도를 높힐 수 있으며, 버스바의 치수 관리에 유리하다.
실시예에 따르면, 버스바 몸체의 프레스 가공 시 스크랩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터미널 단자의 퓨징 구조를 개선하여 터미널 단자 사이의 퓨징 작업을 위한 공간을 확보함으로써, 제조 시 작업성을 높여줄 수 있으며, 버스바의 퓨징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버스바의 사시도,
도 3은 버스바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버스바의 측면도,
도 5는 터미널 단자와 제2 터미널의 퓨징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터미널 단자와 절연 부재의 단면도,
도 7은 터미널 단자의 사시도,
도 8은 터미널 단자의 단면도,
도 9는 제1관과 절연 부재의 결합 부위를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제2 몸체와 네크의 측면도,
도 11은 버스바 몸체의 측면도,
도 12는 터미널 단자 단부의 높이를 표시한 도면,
도 13는 터미널 단자와 절연 부재의 제2예를 도시한 도면,
도 14는 터미널 단자와 절연 부재의 제3예를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모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모터는, 샤프트(100), 로터(200), 스테이터(300), 버스바(400) 및 하우징(500)을 포함할 수 있다.
샤프트(100)는 로터(200)에 결합될 수 있다. 전류 공급을 통해 로터(200)와 스테이터(300)에 전자기적 상호 작용이 발생하면 로터(200)가 회전하고 이에 연동하여 샤프트(100)가 회전한다.
로터(200)는 스테이터(300)와 전기적 상호 작용을 통해 회전한다.
로터(200)는 로터 코어와, 마그넷을 포함할 수 있다. 로터 코어는 원형의 얇은 강판 형태의 복수 개의 플레이트가 적층된 형상으로 실시되거나 또는 하나의 통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로터 코어의 중심에는 샤프트(100)가 결합하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마그넷은 로터 코어의 외주면에 부착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마그넷은 일정 간격으로 로터 코어의 둘레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또는 하나의 링형 마그넷이 로터 코어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마그넷은 샤프트 축의 원주 방향을 따라 로터 코어의 상하로 생성된 홀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로터(200)는 마그넷이 로터 코어에 매립되는 IPM(Interior Permanent Magnet) 로터일 수 있다.
스테이터(300)는 스테이터 코어(310)와 인슐레이터(320)와 코일(330)을 포함할 수 있다. 인슐레이터(320)는 스테이터 코어(310)에 장착된다. 코일(330)은 인슐레이터(320)에 권선된다. 코일(330)은 로터(200)와 전기적 상호 작용을 유발한다.
하우징(500)은 로터(200)와 스테이터(30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500)은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원통형 부재일 수 있다. 하우징(500)은 내측에 로터(200)와 스테이터(300)를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한다.
버스바(400)는 스테이터(3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버스바(400)는 터미널(410)과 터미널(410)을 절연시키는 버스바 몸체(4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버스바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버스바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1에서 도시한 버스바의 측면도이고, 도 5는 터미널 단자와 제2 터미널의 퓨징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터미널(410)은 제1 터미널(411)과, 제2 터미널(41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터미널(411)은 복수 개이다. 복수의 제1 터미널(411)은 축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컨데, 제1 터미널(411)은 세 개일 수 있다. 이때, 세 개의 제1 터미널(411)은 길이가 같거나 다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양측에 배치되는 제1 터미널(411)의 축방향 길이는 같을 수 있다. 반면, 중앙에 배치되는 제1 터미널(411)은 양측에 배치된 제1 터미널(411) 보다 축방향 길이가 길 수 있다. 이때, 제1 터미널(411)의 길이는 100 내지 130mm일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제1 터미널(411)은 터미널 단자(4111)와 절연 부재(4112)를 포함할 수 있다.
터미널 단자(4111)는 축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터미널 단자(4111)의 일측은 U,V,W 상의 전원과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터미널 단자(4111)의 다른 일측은 제2 터미널(412)과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터미널 단자(4111)는 단면이 사각인 막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터미널 단자(4111)는 외면이 복수개의 평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터미널 단자(4111)의 하측면에 제2 터미널(412)과 퓨징되는 퓨징부(4111f)가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터미널 단자와 절연 부재의 단면도이고, 도 7은 터미널 단자의 사시도이며, 도 8은 터미널 단자의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터미널 단자(4111)는 제1 영역(4111a), 제2 영역(4111b) 및 제3 영역(4111c)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영역(4111a)은 절연 부재(4112)가 접촉한다. 이때, 제1 영역(4111a)과 절연 부재(4112)는 인서트 사출을 통해 결합할 수 있다.
제2 영역(4111b)은 제1 영역(4111a)에서 일측으로 연장된다. 이때, 제1 영역(4111a)의 폭은 제2 영역(4111b)의 폭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영역(4111b)은 터미널 몸체(420)를 통과한다. 이때, 제2 영역(4111b)의 단부는 제2 몸체(422)로부터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제2 영역(4111b)의 단부에는 퓨징부(4111f)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제2 영역(4111b)은 이웃한 다른 하나의 제2 영역(4111b)과 길이가 서로 다를 수 있다. 즉, 적어도 하나의 제2 영역(4112)과, 이웃한 다른 하나의 제2 영역(4112)은 길이 차이(
Figure pat00001
d)에 대응하여, 서로 인접한 제1 터미널(411)의 단부 높이도 달라질 수 있다.
제 3 영역(4111c)은 제1 영역(4111a)에서 타측으로 연장된다. 제3 영역(4111c)은 U,V,W 상의 전원과 연결된다. 이때, 제3 영역(4111c)의 폭은 제1 영역(4111a) 보다 폭이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터미널 단자(4111)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단차부(4111s)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터미널 단자(4111)는 측면에 단차부(4111s)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터미널 단자(4111)의 중앙에 돌출된 영역이 형성되면서, 단차부(4111s)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터미널 단자(4111)는 단차부(4111s)에 응력이 집중되고, 평탄도를 개선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절연 부재(4112)는 터미널 단자(4111)의 일부를 감싼다. 이때, 절연 부재(4112)는 제1 영역(4111a)에 접촉할 수 있다. 절연 부재(4112)는 인서트 사출을 통해 터미널 단자(411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절연 부재(4112)는 복수개일 수 있다. 예컨데, 절연 부재(4112)는 터미널 단자의 개수에 대응하여 세 개일 수 있다. 그리고, 절연 부재(4112)는 터미널 몸체(420)에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절연 부재(4112)는 터미널 몸체(420) 상측에 축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터미널(412)은 제1 터미널(411)의 하측에 배치된다. 이때, 제2 터미널(412)은 코일(3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터미널(412)은 복수개일 수 있다. 예컨데, 제2 터미널(412)은 세 개로 구성될 수 있다. 세 개의 제2 터미널(412)은 환형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2 터미널(412)은 터미널 단자(4111)의 단부와 접촉할 수 있다. 복수의 제2 터미널(412)은 일측에 터미널 단자(4111)과 퓨징되는 제2 퓨징부(412f)가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버스바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9는 제1 관과 절연 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0은 네크와 제2 몸체의 측면도이며, 도 11은 버스바 몸체의 측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버스바 몸체(420)는 제1 몸체(421), 제2 몸체(422), 네크(424) 및 실링부재(42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몸체(421)는 스테이터(300) 상에 배치된다. 제1 몸체(421)는 환형으로 형성된다. 제1 몸체(421)는 내부에 복수의 제2 터미널(412)이 배치된다. 제1 몸체(421)는 제2 몸체(422)와 연결된다.
제2 몸체(422)는 제1 몸체(421) 상에 축방향으로 배치된다. 제2 몸체(422)는 복수의 제1 관(4221)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1 관(4221)은 중공을 가지며, 터미널 단자(4111)가 통과할 수 있다. 이때, 터미널 단자(4111)의 단부는 제1 관(4221)의 하단보다 아래에 배치되며, 터미널 단자(4111)의 단부가 노출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관(4221)의 상단에는 절연 부재(4112)가 결합된다.
도 3 및 도 9를 참조하면, 제1 관(4221)의 단부에 절연 부재(4112)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절연 부재(4112)는 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절연 부재(4112)는 단부에서 소정 길이를 두고 단턱(4112s)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절연 부재(4112)는 단턱(4112s)에 의하여 제1 관(4221) 내부로의 삽입이 제한될 수 있다.
절연 부재(4112)와 제1 관(4221)은 분리 가능하다. 즉, 절연 부재(4112)와 제1 관(4221)은 별품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처럼, 터미널 단자(4111)의 길이에 대응하여 축방향으로 배치되는 절연 부재(4112)와 제1 관(4221)을 분리 구조로 구성하여, 버스바 몸체(420) 내의 터미널 단자(4111)의 위치 정확도를 높일 수 있으며 치수 관리에 용이한 장점이 있다.
네크(424)는 제1 몸체(421) 상에 배치된다. 이때, 네크(424)는 제1 몸체(421)와 제2 몸체(422)를 연결한다. 제1 몸체(421), 제2 몸체(422) 네크(424)는 동일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몸체(421), 제2 몸체(422) 네크(424)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실링부재(425)는 절연 부재(4112)와 제2 몸체(422)의 사이에 배치된다. 실링부재(425)는 일단부가 제1 관(4221)의 상단부에 접촉될 수 있다. 그리고 실링부재(425)의 타단부는 절연 부재(4112)의 단턱(4112s)에 접촉될 수 있다. 그리고, 실링부재(425)는 절연 부재(4112)의 하단부를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네크(424)는 상단이 하단보다 반경 방향으로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네크(424)는 제1 부재(4241)와 제2 부재(42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부재(4241)는 몸체(421)의 상면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부재(4242)는 제1 부재(4241)에 상부에 연결되어 외측 사선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에, 제1 몸체(421)와 제2 몸체(422)는 네크(424)를 통해 연결되어, 축 방향 및 반경 방향으로 오버랩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1 몸체(421)와 제2 몸체(422)는 반경 방향 및 축 방향으로 오버랩되지 않는다. 이때, 제1 몸체(421)의 반경 방향 영역(A1)은 제2 몸체(422)의 하측에 배치된다. 그리고, 제2 몸체(422)의 축방향 영역(A1)은 제1 몸체(421)의 외측에 배치된다. 이처럼, 제1 몸체(421)와 제2 몸체(422)를 최대한 오버랩되지 않게 배치시킴으로써, 제1 몸체(421)의 아래에 위치하는 제1 터미널(411) 단부의 퓨징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며, 부품 간의 공간 활용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2는 터미널 단자 단부의 높이를 표시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1 몸체(421)의 하면에서부터 터미널 단자(4111) 하면까지의 높이를 터미널 단자(4111)의 단부 높이라고 가정하면, 적어도 하나의 터미널 단자(4111)의 단부 높이(h1)는 이웃한 다른 터미널 단자(4111)의 단부 높이(h2)와 상이하다. 이때, 서로 이웃한 터미널 단자(4111)의 단부 높이 차이(
Figure pat00002
h)는 도 5에서 설명한 서로 이웃한 제2 영역(4111b)의 길이 차이(
Figure pat00003
d)에 대응한다. 이와 같이, 서로 이웃한 터미널 단자(4111)는 단부의 높이 차이(
Figure pat00004
h) 만큼 퓨징부(4111f)의 높이도 달라질 수 있다.
이처럼, 퓨징부(4111f)의 높이 차이(
Figure pat00005
h)가 발생하면서 터미널 단자(4111)과 제2 터미널(412)의 퓨징 작업을 위한 공간을 확보되어, 퓨징 작업성이 높아질 수 있으며, 버스바(400)의 퓨징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터미널 단자와 절연 부재의 연결 구조의 다른예에 관하여, 도 13 및 도 14를 참조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3은 터미널 단자와 절연 부재의 제2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4는 터미널 단자와 절연 부재의 제3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여기서, 도 1 내지 도 12에서 설명한 내용과 일치하는 부분은 중복을 피하기 위해 생략하고, 도 1 내지 도 12와 다른 부분을 위주로 설명한다.
터미널 단자(4113)(4114)와 절연 부재(4115)(4116)는 분리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터미널 단자(4113)(4114)는 절연 부재(4115)에 안착되거나, 제2 몸체(423)에 안착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터미널 단자(4113)는 제1 영역에 제2 단차부(4113s)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절연 부재(4115)에는 제2 단차부(4113s)와 접촉하여 터미널 단자(4113)을 지지하는 지지부(4115a)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지지부(4115a)는 절연부재(4115)의 내주면에서 절연 부재(4115)의 중앙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기 형상일 수 있다. 이러한, 터미널 단자(4113)는 절연 부재(4115)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이때, 터미널 단자(4113)는 지지부(4115a)의 반대측에서 지지부(4115a) 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터미널 단자(4113)의 단부에서 제2 단차부(4113s) 까지의 길이는 이웃한 다른 터미널 단자(4113)의 단부에서 제2 단차부(4113s) 까지의 길이와 상이할 수 있다. 이때, 길이 차이(
Figure pat00006
d)는 도 12에서 설명한 터미널 단자(4111)의 단부 높이 차이(
Figure pat00007
h)에 대응할 수 있다.
한편, 도 14를 참조하면, 터미널 단자(4114)는 제2 영역에 제2 단차부(4114s)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몸체(423)에는 제2 단차부(4114s) 와 접촉하여 터미널 단자(4114)을 지지하는 지지부(423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터미널 단자(4113)는 결합된 제2 몸체(423)와 절연 부재(4116)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이때, 터미널 단자(4114)는 지지부(4231)의 반대측에서 지지부(4231) 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모터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전술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내어질 것이다. 그리고 이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는 물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 가능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샤프트
200: 로터
300: 스테이터
400: 버스바
410: 터미널
411: 제1 터미널
4111: 터미널 단자
4112: 절연 부재
4112: 제2 터미널
420: 버스바 몸체
421: 제1 몸체
422,423: 제2 몸체
424: 네크
425: 실링부재

Claims (14)

  1. 샤프트;
    상기 샤프트에 결합하는 로터;
    상기 로터의 외측에 배치되는 스테이터;
    상기 스테이터 상에 배치되는 버스바를 포함하고,
    상기 버스바는 스테이터의 코일과 연결되는 터미널과, 상기 터미널을 절연시키는 버스바 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터미널은 축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1 터미널을 포함하고,
    상기 버스바 몸체는
    상기 스테이터 상에 배치되는 제1 몸체와,
    상기 제1 몸체와 연결되며 축방향으로 연장된 제2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1 터미널 중 적어도 하나는
    터미널 단자와 상기 터미널 단자의 일부를 감싸는 절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터미널 단자는 상기 제2 몸체를 관통하고,
    상기 절연 부재는 상기 제2 몸체와 결합하는 모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터미널은 이웃한 다른 하나의 제1 터미널과 단부의 높이가 서로 다른 모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은 복수의 제2 터미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1 터미널은 상기 복수의 제2 터미널과 퓨징되는 퓨징부를 포함하며,
    서로 이웃한 상기 퓨징부는 높이가 서로 다른 모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 단자는 측면이 평면이며,
    상기 퓨징부는 상기 터미널 단자의 하측면에 형성되는 모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터미널은 측면에 제1 단차부를 포함하는 모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터미널은 세 개이고,
    양측에 배치되는 제1 터미널은 축방향 길이가 같고,
    중앙에 배치되는 제1 터미널은 상기 양측에 배치된 제1 터미널보다 축방향 길이가 긴 모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 단자는,
    상기 절연 부재와 접촉하는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에서 연장되어 단부가 상기 제2 터미널에 퓨징되는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서로 이웃한 상기 제2 영역은 축방향 길이가 상이한 모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 중 일부의 폭은 상기 제2 영역 중 일부의 폭보다 길게 형성되는 모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 또는 상기 제2 영역에는 제2 단차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몸체 또는 상기 절연 부재는 상기 제2 단차부와 접촉하여 제1 터미널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모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 몸체는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를 연결하는 네크를 포함하는 모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몸체는 상기 제1 몸체와 축 방향으로 오버랩되지 않는 모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몸체는 상기 제1 몸체와 반경 방향으로 오버랩되지 않는 모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몸체와 상기 절연 부재는 동일한 소재인 모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 몸체는 상기 제2 몸체와 상기 절연 부재의 사이에 배치되는 실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모터.
KR1020190080213A 2018-10-22 2019-07-03 모터 KR20210004191A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0213A KR20210004191A (ko) 2019-07-03 2019-07-03 모터
CN201980069555.2A CN113615052A (zh) 2018-10-22 2019-10-22 马达
EP19876706.3A EP3872968A4 (en) 2018-10-22 2019-10-22 ENGINE
JP2021547024A JP7474267B2 (ja) 2018-10-22 2019-10-22 モータ
PCT/KR2019/013851 WO2020085744A1 (ko) 2018-10-22 2019-10-22 모터
US17/286,559 US20210344251A1 (en) 2018-10-22 2019-10-22 Mo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0213A KR20210004191A (ko) 2019-07-03 2019-07-03 모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4191A true KR20210004191A (ko) 2021-01-13

Family

ID=74142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0213A KR20210004191A (ko) 2018-10-22 2019-07-03 모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0419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36146B2 (en) Motor
EP3223397B1 (en) Motor
EP3614539B1 (en) Busbar, motor, and power transmission system using same
US10778060B2 (en) Motor
CN107623396B (zh) 电动助力转向电机的母线
JP7284176B2 (ja) ステータおよびこれを含むモータ
US20200244141A1 (en) Motor
US20200014273A1 (en) Stator, motor, and electric power steering device
TW200950273A (en) Electric motor
US10298082B2 (en) Insulating component of motor
EP3550701A1 (en) Cover assembly, motor and electric steering device including same
CN109891714B (zh) 旋转电机
KR20170050928A (ko) 모터용 플랜지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KR20210004191A (ko) 모터
CN113273059A (zh) 电动机
US20230132168A1 (en) Motor
JP6722332B2 (ja) モータ
EP3872968A1 (en) Motor
JP2023510693A (ja) モータ
CN112910147A (zh) 定子、马达及定子的制造方法
CN112673547A (zh) 马达
JP5144180B2 (ja) ステータの中点連結構造
WO2019082410A1 (ja) バスバーユニット、モータ及び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CN114287095B (zh) 马达
KR20240048175A (ko) 모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