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4169A - 다색 조명 장치 - Google Patents

다색 조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4169A
KR20210004169A KR1020190080141A KR20190080141A KR20210004169A KR 20210004169 A KR20210004169 A KR 20210004169A KR 1020190080141 A KR1020190080141 A KR 1020190080141A KR 20190080141 A KR20190080141 A KR 20190080141A KR 20210004169 A KR20210004169 A KR 202100041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ource
substrate
blocking film
diffusion plate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01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5959B1 (ko
Inventor
김민철
김영근
강병길
장현석
Original Assignee
후지라이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라이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후지라이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801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5959B1/ko
Publication of KR202100041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41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59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59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04Optical desig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3/00Producing particular characteristics or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means of a combination of elements specified in two or more of main groups F21V1/00 - F21V11/00
    • F21V13/02Combinations of only two kinds of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다색 조명 장치는, 내부공간을 가지며 상기 내부공간을 노출시키도록 개방된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바닥에 장착되어 상기 내부공간 내에 놓이며, 기판 및 상기 기판 상에 장착되는 복수의 LED를 포함하고 서로 상이한 색상의 빛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광원모듈; 복수의 상기 광원모듈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광원모듈을 공간적으로 분리시키는 차단막; 및 상기 내부공간을 덮어 상기 광원모듈과 상기 차단막을 보호하며, 상기 광원모듈에서 발생된 빛을 외부로 방출하는 확산판;을 포함하며, 상기 차단막은 상기 광원모듈에서 상기 확산판을 향해 돌출되고, 상기 차단막의 돌출된 선단부와 상기 확산판 사이에는 이격 거리를 갖는 색상 교차 공간이 제공되며, 상기 차단막은 단면 두께가 상기 선단부로 갈수록 작아지는 사다리꼴 형상의 단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Description

다색 조명 장치{MULTI COLOR LIGHTING APPARATUS}
본 발명은 다색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물의 외벽은 물론 사무실이나 가정 등의 천장 등에는 조명을 위해 조명 장치가 설치된다. 이러한 조명 장치에는 광원으로 엘이디(LED)가 탑재되고, 빛의 확산을 위해 투광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확산판이 장착된다.
최근에는 LED를 점등시켜 실내를 밝게 하는 기능에 더하여 다양한 색상 또는 원형과 같은 이미지를 표출함으로써 원하는 분위기를 연출하고 심미감을 느끼도록 하는 감성조명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10-1673570에서는 발현필터프레임이라는 이미지의 형상과 단일 색상의 조명의 빛을 랜덤으로 산란 및 반사함으로써 다색의 LED가 제공하는 조명의 빛에 대한 분리나 융합을 위한 조절이 아닌 일반적인 단색 빛을 랜덤으로 산란 및 반사시켜서 특정 이미지의 형태를 확산판에 표출하는 조명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이 조명장치는 발현필터프레임의 형태를 따라서 확산판에는 백색에서 산란 및 반사되는 다색의 빛이 이미지 형태에 따라 보이도록 함으로써 모양을 발현시키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조명장치의 경우 광원의 고유 색상과는 다른 백색에서 산란 및 반사되어 무작위적으로 표출되는 통제되지 못한 다색상의 효과로 모양을 발현시키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정확하게 의도해서 지정한 다색의 개별 LED가 제공하는 원천 색상에 대한 정확한 분리 및 통제라는 조건은 전혀 구현하지 못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발현필터프레임의 경우 오히려 LED 빛에 대한 간섭으로 확산판 표면 여러 곳에 암흑의 얼룩들이 발생하며 임의 산란 및 반사된 미묘한 분리색상으로 인해 일반적인 조명이 가지는 필수 조건인 사용자가 선택한 조명빛의 색상에서 나오는 중요한 심미적인 안정감을 크게 저해할 수 있다. 또한, 광원의 고유 색광과는 다른 백색광이 표출되어 모양을 발현시키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의도하는 색광 분리를 통한 다색 조명을 구현하지 못함은 물론 의도하는 분위기를 연출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특허 10-1673570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광원에서 방출되는 빛의 색상으로 상호 분리되어 표출되도록 함으로써 다색 조명을 구현할 수 있는 다색 조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의 목적은 이에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명시적으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아래에서 설명하는 과제의 해결수단이나 실시 형태로부터 파악될 수 있는 목적이나 효과도 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다색 조명 장치는, 내부공간을 가지며 상기 내부공간을 노출시키도록 개방된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바닥에 장착되어 상기 내부공간 내에 놓이며, 기판 및 상기 기판 상에 장착되는 복수의 LED를 포함하고 서로 상이한 색상의 빛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광원모듈; 복수의 상기 광원모듈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광원모듈을 공간적으로 분리시키는 차단막; 및 상기 내부공간을 덮어 상기 광원모듈과 상기 차단막을 보호하며, 상기 광원모듈에서 발생된 빛을 외부로 방출하는 확산판;을 포함하며, 상기 차단막은 상기 광원모듈에서 상기 확산판을 향해 돌출되고, 상기 차단막의 돌출된 선단부와 상기 확산판 사이에는 이격 거리를 갖는 색상 교차 공간이 제공되며, 상기 차단막은 단면 두께가 상기 선단부로 갈수록 작아지는 사다리꼴 형상의 단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차단막은 상기 확산판을 향해 연장되며 서로 마주하여 배치되는 한 쌍의 측면, 한 쌍의 상기 측면의 선단을 상호 연결하며 상기 확산판과 마주하는 끝면 및 상기 측면의 후단에서 각각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기판에 고정되는 고정면을 포함하고, 상기 측면은 상기 광원모듈이 장착된 상기 프레임의 바닥면에 대해 둔각을 이루며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면은 고정수단을 통해서 상기 기판에 고정되며,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기판을 관통하여 상기 프레임의 바닥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기판은 표면에 상기 고정면이 놓이는 위치를 안내하는 안내홈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차단막은 내부에 한 쌍의 상기 측면을 따라서 상기 끝면을 향해 함몰된 수용홈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차단막은 상기 수용홈 내에 수용되는 반사막을 포함하며, 상기 반사막은 상기 수용홈을 좌우로 이분할하는 구조로 상기 기판의 표면에 대해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수용홈의 표면에는 미세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차단막은 상기 끝면에서 한 쌍의 상기 측면 사이의 거리와 상기 이격 거리가 1:1 대응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차단막은 평면상에서 단일 폐곡선 또는 다각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차단막은 유백색 아크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광원에서 방출되는 빛의 색상으로 상호 분리되어 표출되도록 함으로써 다색 조명을 구현할 수 있는 다색 조명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다색 조명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다색 조명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도 2의 "A"영역을 확대해서 나타내는 개략도.
도 4a 및 도 4b는 각각 차단막이 기판에 고정되는 것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5는 차단막에서 빛이 반사 및 굴절되는 현상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6은 확산판의 표면에서 발광영역의 색상으로만 분리표출되어 다색 조명을 구현하는 것을 나타내는 사진.
도 7a 내지 도 7c는 차단막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8a 및 도 8b는 비교예에 따른 조명 장치의 단면을 나타내는 개략도 및 발광영역을 나타내는 조명 사진.
도 9a 및 도 9b는 비교예에 따른 조명 장치의 단면을 나타내는 개략도 및 발광영역을 나타내는 조명 사진.
도 10a 및 도 10b는 비교예에 따른 조명 장치의 단면을 나타내는 개략도 및 발광영역을 나타내는 조명 사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 '상부', '상면', '하', '하부', '하면', '측면' 등의 용어는 도면을 기준으로 한 것이며, 실제로는 소자나 구성요소가 배치되는 방향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를 설명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1)는 프레임(10), 확산판(20), 광원모듈(30), 차단막(40)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0)은 광원모듈(30)과 차단막(40)을 내부에 수용 및 장착하기 위한 내부공간(11)을 가질 수 있다. 프레임(10)은 사각형 또는 원형 등의 형상을 구현하는 측단부에서 내측으로 함몰되어 내부공간(11)을 형성하고, 전방으로 개방되어 내부공간(11)을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다.
프레임(10)은 광원모듈(30)과 차단막(40)을 지지하여 보호하는 한편 광원모듈(30)에서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할 수 있도록, 예컨대 스테인레스와 같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프레임(10)의 재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프레임(10)은 건물의 외벽이나 실내의 천장에 나사나 브라켓 등을 이용해 탈착이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확산판(20)은 프레임(10)에 장착되어 내부공간(11)을 덮을 수 있다. 확산판(20)은 광원모듈(30)과 차단막(40)을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하고 광원모듈(30)에서 발생된 빛을 외부로 확산방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확산판(20)은 유백색 아크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확산판(20)의 재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광원모듈(30)은 프레임(10)의 바닥에 장착되어 내부공간(11) 내에 놓일 수 있다. 광원모듈(30)은 기판(31) 및 기판(31) 상에 장착되는 복수의 LED(3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광원모듈(30)은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각 광원모듈(30)은 상이한 색상의 빛을 발생시키도록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광원모듈(30)이 제1 색상의 빛(L1)을 방출하는 제1 광원모듈(30a)과 제2 색상의 빛(L2)을 방출하는 제2 광원모듈(30b)로 구성되는 것으로 예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 따라서 셋 이상의 광원모듈(30)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물론, 복수의 광원모듈(30)은 상호 동일한 색상의 빛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분할구동에 따른 색상의 조합을 통해서 다양한 색상의 빛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기판(31)은 표면에 추후 설명하는 차단막(40)이 장착되는 위치를 안내하는 안내홈(33)을 구비할 수 있다.
차단막(40)은 프레임(10)에 장착되어 내부공간(11) 내에 놓일 수 있다. 차단막(40)은 복수의 광원모듈(30) 사이에 배치되어 광원모듈(30)을 공간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다. 차단막(40)은 광원모듈(30) 사이에 배치되어 좌우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광원모듈(30)의 빛을 분리시킴으로써 다색 조명을 구현할 수 있다.
도면에서와 같이, 차단막(40)은 제1 광원모듈(30a)과 제2 광원모듈(30b) 사이에 배치되어 제1 광원모듈(30a)에 의해 구현되는 제1 발광영역(LA1)과 제2 광원모듈(30b)에 의해 구현되는 제2 발광영역(LA2)으로 분리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광원모듈(30)이 두 개로 구성되어 차단막(40)이 단일로 구비되는 것으로 예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광원모듈(30)이 셋 이상으로 구비되는 경우 그에 따라서 차단막(40) 역시 다수가 내장될 수 있어 연속적인 색분리 혹은 다색의 구획으로 나누어지는 경우에도 그 사이에 차단막(40)이 위치하는 등의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서, 차단막(40)은 유백색 아크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차단막(40)의 재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서, 차단막(40)은 평면상에서 단일 폐곡선 또는 다각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다양한 구조를 통해 다양한 형태로 빛을 분리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취향을 충족시킬 수 있는 다색 조명을 구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차단막(40)이 완만한 사각형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예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을 참조하면, 차단막(40)은 광원모듈(30)에서 확산판(20)을 향해 돌출되는 구조로 구비되며, 차단막(40)의 돌출된 선단부와 확산판(20) 사이에는 소정의 이격 거리(SD)를 갖는 색상 교차 공간(MA)이 제공될 수 있다. 즉, 차단막(40)은 선단부가 확산판(20)과 접촉하지 않고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차단막(40)과 확산판(20) 사이에는 색상 교차 공간(MA)이 형성될 수 있다.
차단막(40)은 기판(31)에서 확산판(20)을 향해 연장되며 서로 마주하여 배치되는 한 쌍의 측면(42), 한 쌍의 측면(42)의 선단을 상호 연결하며 확산판(20)과 마주하는 끝면(43) 및 한 쌍의 측면(42)의 후단에서 각각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기판(31)에 고정되는 고정면(44)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단막(40)은 내부에 한 쌍의 측면(42)을 따라서 끝면(43)을 향해 함몰된 수용홈(41)을 구비할 수 있다. 측면(42)의 내면에 해당하는 수용홈(41)의 표면에는 다양한 크기와 형태를 갖는 미세 요철(45)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미세 요철(45)은 도면과 같이 눈에 보이는 형태만이 아닌 사출성형 제작에서 표면에 대한 물리적 혹은 화학적 부식가공 등에 의해 형성되어 빛의 반사에 영향을 미치는 수준의 미세 요철(45)을 포함할 수 있다.
차단막(40)의 각 측면(42)은 제1 광원모듈(30a) 및 제2 광원모듈(30b)을 향하고, 기판(31)의 표면에 대해 둔각을 이루며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차단막(40)은 단면 형상이 한 쌍의 측면(42) 사이의 간격이 끝면(43)으로 갈수록 작아지는 대략 사다리꼴 형상의 단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4a 및 도 4b에서와 같이, 고정면(44)은 고정수단(FM)을 통해서 기판(31)에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고정수단(FM)은 볼트와 너트 또는 스냅 핏 조인트(snap-fit joint)를 포함할 수 있으며, 기판(31)을 관통하여 프레임(10)의 바닥에 연결될 수 있다. 물론 고정수단(FM)은 이와 다른 구성으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고정면(44)은 기판(31)에 고정되는데 있어서 기판(31)의 표면에 구비되는 안내홈(33)에 놓여 고정될 수 있다. 작업자는 기판(31)에 구비된 안내홈(33)을 통해 차단막(40)이 장착될 위치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고정면(44)을 안내홈(33)에 위치시킨 후 고정수단(FM)을 사용해 고정시킬 수 있다. 물론 기판(31)의 표면에 안내마크를 표시하여 고정면(44)이 놓이는 위치를 안내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차단막(40)은 끝면(43)에서 한 쌍의 측면(42) 사이의 거리(WD)와 이격 거리(SD)가 대략 1:1 대응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끝면(43)에서의 측면 사이의 거리(WD)가 5mm인 경우 이격 거리(SD)도 5mm이고, 끝면(43)에서의 측면 사이의 거리(WD)가 1cm라면 이격 거리(SD)도 1cm인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차단막(40)의 선단부와 확산판(20) 사이에는 정사각의 공간 비율을 갖는 색상 교차 공간(MA)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색상 교차 공간(MA)은 차단막(4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제공될 수 있다.
대부분의 제1 광원모듈(30a)의 LED에서 발생된 제1 색상의 빛(L1)과 제2 광원모듈(30b)의 LED에서 발생된 제2 색상의 빛(L2)은 각각 확산판(20)의 표면에서 제1 발광영역(LA1)과 제2 발광영역(LA2)으로 구분되어 방출될 수 있다.
그리고, 차단막(40)에 근접한 일부 제1 광원모듈(30a)의 LED와 제2 광원모듈(30b)의 LED에서 각각 발생되어 반대쪽 발광영역으로 향하는 빛은 차단막(40)에 의해 차단되어 해당 발광영역으로 방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를 참조하면, 제2 광원모듈(30b)의 LED의 제2 색상의 빛(L2) 중 제1 발광영역(LA1)으로 향하는 빛은 대부분 차단막(40)의 측면(42)에서 반사되어 다시 제2 발광영역(LA2)으로 진행하고, 일부는 굴절되어 차단막(40) 내부로 진행한 후 미세 요철(45)에 의해 전반사를 거쳐 끝면(43)과 색상 교차 공간(MA)을 지나 확산판(20)을 통해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이는 제1 광원모듈(30a)의 LED의 제1 색상의 빛(L1)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차단막(40)의 측면(42)이 둔각으로 경사져 배치되기 때문에 측면(42)에서 반사된 빛은 수직으로 배치된 구조에 비해 보다 더 색상 교차 공간(MA) 측으로 인접하여 진행하게 된다.
그리고, 차단막(40)과 다소 이격된 소수의 제1 광원모듈(30a)의 LED와 제2 광원모듈(30b)의 LED에서 각각 발생되어 반대쪽 발광영역으로 향하는 제1 색상의 빛(L1)과 제2 색상의 빛(L2)은 차단막(40)의 끝면(43)이 LED의 확산각도(대락 120°) 이하로 내려감에 따라 차단막(40)에 의해 간섭되지 않아 색상 교차 공간(MA)에서 부분적으로 교차되거나 교차되지 않고 확산판(20)을 통해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색상 교차 공간(MA)에서 교차되는 제1 색상의 빛(L1)과 제2 색상의 빛(L2)은 지극히 일부에 지나지 않아 교차에 따른 색상 혼합 효과는 극히 미미하고, 차단막(40)의 내부에서 끝면(43)을 통과한 제1 색상의 빛(L1)과 제2 색상의 빛(L2)에 중첩됨에 따라 교차에 따른 색상 혼합 효과는 실질적으로 소멸된다.
따라서, 도 6에서와 같이, 확산판(20)의 표면에서 제1 발광영역(LA1)과 제2 발광영역(LA2)은 색상 교차 공간(MA)의 중심을 기준으로 각 발광영역의 색상으로만 서로 분리되는 것으로 표출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서 다색 조명을 구현할 수 있다. 이는 제1 발광영역(LA1)과 제2 발광영역(LA2) 사이에 암흑영역이나 비발광영역 또는 백색광과 같은 별개의 분리색상이 표출되는 것과 비교해서 보다 선명한 다색 조명을 구현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져온다. 아울러, 의도했던 감성조명은 물론 심미감에 있어서도 차이를 더욱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차닥막(40)을 확산판(20)과 같은 유백색 아크릴로 형성함으로써 광원모듈(30)이 꺼진 상태에서 차단막(40)이 확산판(20)을 통해 비치거나 보이지 않도록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c에서는 차단막의 변형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7a에서와 같이, 차단막(40-1)은 수용홈(41)을 갖지 않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단막(40-1)은 동일한 재질의 물질로 이루어진 솔리드(solid)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 7b에서와 같이, 차단막(40-2)은 수용홈(41)이 차단막(40)과 상이한 물리적 특성을 갖는 물질(40a)로 채워질 수 있다. 여기서, 물리적 특성으로는, 예를 들어, 굴절률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7c에서와 같이, 차단막(40-3)은 수용홈(41) 내에 반사막(46)을 수용할 수 있다. 이러한 반사막(46)은, 예를 들어, 수 밀리미터 또는 수 마이크로미터 정도의 얇은 두께를 가지며, 수용홈(41)을 좌우로 이분할하는 구조로 기판(31)의 표면에 대해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에서는 비교예에 따른 조명 장치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비교예에 따른 조명 장치는 각각 차단막이 없는 구조, 차단막이 확산판과 접하는 구조 및 차단막의 돌출길이가 짧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각 조명 장치에서의 발광영역이 확산판의 표면으로 표출되는 상태를 사진으로 나타내었다.
도 8a 및 도 8b에서와 같이 내부에 차단막(40)이 없는 구조에서는 각 발광영역의 색상이 서로 분리되지 않고 섞인 상태로 표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각 발광영역의 색상이 서로 분리되지 못함에 따라서 다색 조명을 구현하지 못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도 9a 및 도 9b에서와 같이 내부의 차단막(40)이 확산판(20)과 맞닿아 있는 구조에서는 확산판(20)의 표면에 차단막(40)의 두께에 해당하는 암흑영역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0a 및 도 10b에서와 같이 내부의 차단막(40)의 돌출된 길이가 짧아 확산판(20)과 많이 떨어진 구조에서는 양측 발광영역(LA1, LA2)의 중복으로 교차 영역에 각 발광영역(LA1, LA2)의 색상과는 다른 다수의 색상층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도 6에서와 같이 각 발광영역(LA1, LA2)의 색상으로만 서로 분리되는 것이 아니고, 암흑영역(도 9b 참조) 또는 다수의 색상층이 중간에 개재되는 것(도 10b 참조)으로 표출되어 다색 조명을 구현하고 있으며, 이는 본 발명에서 구현하는 다색 조명과 같이 선명하지 못하고 심미감을 감소시키는 단점을 갖는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에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조명 장치
10... 프레임
11... 내부공간
20... 확산판
30... 광원모듈
31... 기판
32... LED
40... 차단막
41... 수용홈
42... 측면
43... 끝면
44... 고정면
45... 미세 요철
46... 반사막

Claims (10)

  1. 내부공간을 가지며 상기 내부공간을 노출시키도록 개방된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바닥에 장착되어 상기 내부공간 내에 놓이며, 기판 및 상기 기판 상에 장착되는 복수의 LED를 포함하고 서로 상이한 색상의 빛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광원모듈;
    복수의 상기 광원모듈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광원모듈을 공간적으로 분리시키는 차단막; 및
    상기 내부공간을 덮어 상기 광원모듈과 상기 차단막을 보호하며, 상기 광원모듈에서 발생된 빛을 외부로 방출하는 확산판;
    을 포함하며,
    상기 차단막은 상기 광원모듈에서 상기 확산판을 향해 돌출되고, 상기 차단막의 돌출된 선단부와 상기 확산판 사이에는 이격 거리를 갖는 색상 교차 공간이 제공되며, 상기 차단막은 단면 두께가 상기 선단부로 갈수록 작아지는 사다리꼴 형상의 단면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색 조명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막은 상기 확산판을 향해 연장되며 서로 마주하여 배치되는 한 쌍의 측면, 한 쌍의 상기 측면의 선단을 상호 연결하며 상기 확산판과 마주하는 끝면 및 상기 측면의 후단에서 각각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기판에 고정되는 고정면을 포함하고,
    상기 측면은 상기 기판의 표면에 대해 둔각을 이루며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색 조명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면은 고정수단을 통해서 상기 기판에 고정되며,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기판을 관통하여 상기 프레임의 바닥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색 조명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표면에 상기 고정면이 놓이는 위치를 안내하는 안내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색 조명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막은 내부에 한 쌍의 상기 측면을 따라서 상기 끝면을 향해 함몰된 수용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색 조명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막은 상기 수용홈 내에 수용되는 반사막을 포함하며, 상기 반사막은 상기 수용홈을 좌우로 이분할하는 구조로 상기 기판의 표면에 대해 수직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색 조명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의 표면에는 미세 요철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색 조명 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막은 상기 끝면에서 한 쌍의 상기 측면 사이의 거리와 상기 이격 거리가 1:1 대응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색 조명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막은 평면상에서 단일 폐곡선 또는 다각형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색 조명 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막은 유백색 아크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색 조명 장치.
KR1020190080141A 2019-07-03 2019-07-03 다색 조명 장치 KR1023659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0141A KR102365959B1 (ko) 2019-07-03 2019-07-03 다색 조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0141A KR102365959B1 (ko) 2019-07-03 2019-07-03 다색 조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4169A true KR20210004169A (ko) 2021-01-13
KR102365959B1 KR102365959B1 (ko) 2022-02-23

Family

ID=74142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0141A KR102365959B1 (ko) 2019-07-03 2019-07-03 다색 조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595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3143B1 (ko) * 2023-02-28 2023-07-07 주식회사 알트 지하주차장 사각지대의 교통사고 방지를 위한 경고 표시장치 및 그 제어방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79649A (ko) * 2006-02-03 2007-08-08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 장치
JP2011248121A (ja) * 2010-05-27 2011-12-08 Panasonic Liquid Crystal Display Co Ltd 液晶表示装置
KR101370325B1 (ko) * 2005-12-07 2014-03-05 코닌클리케 필립스 엔.브이. 조명 모듈
KR20150065318A (ko) * 2013-12-05 2015-06-1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200479818Y1 (ko) * 2015-05-14 2016-03-09 미미라이팅주식회사 색분할 조명기능이 구비된 led조명기구
KR101673570B1 (ko) 2016-04-05 2016-11-08 주식회사 아이케이글로벌 다양한 색상과 이미지를 표출할 수 있는 조명장치
KR101839707B1 (ko) * 2016-11-15 2018-03-16 김계성 엘이디 조명등 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0325B1 (ko) * 2005-12-07 2014-03-05 코닌클리케 필립스 엔.브이. 조명 모듈
KR20070079649A (ko) * 2006-02-03 2007-08-08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 장치
JP2011248121A (ja) * 2010-05-27 2011-12-08 Panasonic Liquid Crystal Display Co Ltd 液晶表示装置
KR20150065318A (ko) * 2013-12-05 2015-06-1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200479818Y1 (ko) * 2015-05-14 2016-03-09 미미라이팅주식회사 색분할 조명기능이 구비된 led조명기구
KR101673570B1 (ko) 2016-04-05 2016-11-08 주식회사 아이케이글로벌 다양한 색상과 이미지를 표출할 수 있는 조명장치
KR101839707B1 (ko) * 2016-11-15 2018-03-16 김계성 엘이디 조명등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3143B1 (ko) * 2023-02-28 2023-07-07 주식회사 알트 지하주차장 사각지대의 교통사고 방지를 위한 경고 표시장치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5959B1 (ko) 2022-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027257A1 (en) Lighting device comprising at least one led
JP6987762B2 (ja) 照明装置およびこれを含む車両用ランプ
TW201627964A (zh) 可出現光紋圖案之電子裝置
KR20020062574A (ko) 점 모양의 광원을 구비한 조명 디바이스
JPWO2007049823A1 (ja) 面発光装置及び面発光装置における発光方法
JP2007127871A (ja) 立体表示装置
KR102264379B1 (ko) 광학 부재 및 이를 이용하는 조명 장치
JP4970172B2 (ja) 照明器具
US20180356059A1 (en) Daylighting system, daylighting method, and building
JP6045818B2 (ja) 照明装置
US20190041035A1 (en) Lighting device with sparkling effect
JP6964242B2 (ja) 照明装置および照明システム
KR101605184B1 (ko) 디스플레이 기기
KR20210004169A (ko) 다색 조명 장치
CN106062467B (zh) 照明系统
JP7197351B2 (ja) 表示装置、照明装置、導光部材及び導光構造
JP2008007002A (ja) 車室内用発光装置
JP6590275B2 (ja) 照明器具
JP2009125180A (ja) 遊技装置用の発光装置、並びに、遊技装置
JP6965618B2 (ja) 面光源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壁部材
JP5660494B2 (ja) 照明器具
JP2018056000A (ja) 照明装置
JP7165875B2 (ja) 照明用導光板及び照明装置
JP5589930B2 (ja) 照明装置
CN112285821B (zh) 灯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