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3336A - 자율주행 차량의 브레이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자율주행 차량의 브레이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3336A
KR20210003336A KR1020190078733A KR20190078733A KR20210003336A KR 20210003336 A KR20210003336 A KR 20210003336A KR 1020190078733 A KR1020190078733 A KR 1020190078733A KR 20190078733 A KR20190078733 A KR 20190078733A KR 20210003336 A KR20210003336 A KR 202100033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xiliary brake
target deceleration
input
brake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87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5802B1 (ko
Inventor
박신기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787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5802B1/ko
Publication of KR202100033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33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58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58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ower brake systems not covered by groups B60T8/00, B60T13/00 or B60T15/00, or presenting other characteristic features
    • B60T17/18Safety devices; Monitoring
    • B60T17/22Devices for monitoring or checking brake systems; Signal devices
    • B60T17/221Procedure or apparatus for checking or keeping in a correct functioning condition of brake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00Arrangements of braking elements, i.e. of those parts where braking effect occurs specially for vehicles
    • B60T1/02Arrangements of braking elements, i.e. of those parts where braking effect occurs specially for vehicles acting by retarding wheels
    • B60T1/06Arrangements of braking elements, i.e. of those parts where braking effect occurs specially for vehicles acting by retarding wheels acting otherwise than on tread, e.g. employing rim, drum, disc, or transmission or on double wheels
    • B60T1/067Arrangements of braking elements, i.e. of those parts where braking effect occurs specially for vehicles acting by retarding wheels acting otherwise than on tread, e.g. employing rim, drum, disc, or transmission or on double wheels employing dr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1/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out power assistance or drive or where such assistance or drive is irrelevant
    • B60T11/0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out power assistance or drive or where such assistance or drive is irrelevant transmitting mechanically
    • B60T11/046Using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7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 B60T13/746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and mechanical transmission of the braking a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3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0T8/321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decel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18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brak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4Adaptive cruise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1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vehicle motion
    • B60W40/105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2210/00Detection or estimation of road or environment conditions; Detection or estimation of road shapes
    • B60T2210/30Environment conditions or position therewithin
    • B60T2210/36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2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verall vehicle dynamics
    • B60W2520/10Longitudinal spe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1/00Type of actuator operation force
    • F16D2121/18Electric or magnetic
    • F16D2121/24Electric or magnetic using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5/00Components of actuators
    • F16D2125/18Mechanical mechanisms
    • F16D2125/58Mechanical mechanisms transmitting linear movement
    • F16D2125/64Le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 Valves And Accessory Devices For Brak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율주행 차량의 브레이크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자율주행 차량의 브레이크 장치는, 핸드레버를 통해 케이블을 당김에 따라 제동력이 발생되는 보조 브레이크; 케이블을 전동식으로 당기기 위한 구동모터; 및 주 브레이크의 고장상태에 따라 목표 감속도를 기반으로 구동모터를 작동시키는 보조 브레이크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율주행 차량의 브레이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BRAKE APPARATUS OF AUTONOMOUS DRIVING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자율주행 차량의 브레이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율주행 차량에서 드럼방식의 보조 브레이크를 전륜에 장착하여 주 브레이크에 이상이 발생할 경우, 자율주행 로직에 따른 리던던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운전자의 수동 작동이 가능하도록 한 자율주행 차량의 브레이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율주행 기술은 미래의 스마트 카 시대를 열기 위한 핵심 기술로서, 주행 제어에 대한 운전자의 간섭 정도에 따라 등급이 분류된다.
미국도로교통안전국(National Highway Traffic Safety Administration; NHTSA)은 운전자 간섭 정도에 따라 복수 개의 자율주행레벨로 구분하였는데, 궁극적으로는 운전자의 간섭을 배제한 무인자동차를 추구한다.
특히, 자율주행레벨에 있어서 레벨4는 특정 도로나 구역에 대해서만 자율주행이 이루어지는 반면에 레벨5는 도로나 구역에 대한 제한 없이 완전한 자율주행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자율주행레벨4나 5의 경우, 운전자는 자율주행 차량 운전에 대한 제어권을 자율주행 차량에게 완전히 이양하기 때문에 브레이크 모듈에 비상상황이 발생하면 운전자가 개입하기 어려우며 자율주행 차량의 시스템이 스스로 대처하여야 한다.
이에, 자율주행레벨4나 5의 경우, 제동 시스템에 대한 리던던시를 확보하여 시스템의 신뢰성을 확보할 필요성이 있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1-0059488호(2011.06.02. 공개, 자동차의 전원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일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의 목적은 자율주행 차량에서 드럼방식의 보조 브레이크를 전륜에 장착하여 주 브레이크에 이상이 발생할 경우, 자율주행 로직에 따른 리던던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운전자의 수동 작동이 가능하도록 한 자율주행 차량의 브레이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자율주행 차량의 브레이크 장치는, 핸드레버를 통해 케이블을 당김에 따라 제동력이 발생되는 보조 브레이크; 케이블을 전동식으로 당기기 위한 구동모터; 및 주 브레이크의 고장상태에 따라 목표 감속도를 기반으로 구동모터를 작동시키는 보조 브레이크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보조 브레이크 제어부는, 자율주행 제어기로부터 긴급제동 상황이 입력될 경우 최대 감속도로 구동모터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보조 브레이크 제어부는, 자율주행 제어기로부터 목표 감속도가 입력될 경우 입력된 목표 감속도에 따라 구동모터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주 브레이크의 고장신호를 입력받는 고장신호 입력부; 차량의 위치를 인식하기 위한 GPS 수신부; 및 보조 브레이크를 작동시키기 위한 목표 감속도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보조 브레이크 제어부는 고장신호 입력부로부터 고장신호를 입력받은 후 GPS 수신부로부터 입력된 차량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차량속도를 산출하고, 차량속도에 따라 설정된 목표 감속도를 저장부로부터 추출하여 구동모터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보조 브레이크 제어부는, 저장부에 저장된 안전 목표 감속도에 따라 구동모터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보조 브레이크는, 차량의 전륜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보조 브레이크는, 드럼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자율주행 차량의 브레이크 장치의 제어 방법은, 보조 브레이크 제어부가 주 브레이크의 고장상태가 입력된 경우 긴급제동 상황을 판단하는 단계; 보조 브레이크 제어부가 긴급제동 상황인 경우 최대 감속도로 구동모터를 통해 보조 브레이크를 작동시키는 단계; 보조 브레이크 제어부가 긴급제동 상황이 아닌 경우, 목표 감속도의 입력을 판단하는 단계; 및 보조 브레이크 제어부가 목표 감속도의 입력을 판단하여 목표 감속도가 입력되는 경우, 목표 감속도에 따라 구동모터를 통해 보조 브레이크를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보조 브레이크를 작동시키는 단계는, 보조 브레이크 제어부가 목표 감속도의 입력을 판단하여 목표 감속도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GPS 수신부로부터 입력된 차량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차량속도를 산출하여 차량속도에 따라 설정된 목표 감속도를 기반으로 구동모터를 통해 보조 브레이크를 작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보조 브레이크를 작동시키는 단계는, 보조 브레이크 제어부가 목표 감속도의 입력을 판단하여 목표 감속도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저장부에 저장된 안전 목표 감속도를 기반으로 구동모터를 통해 보조 브레이크를 작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보조 브레이크는, 차량의 전륜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보조 브레이크는, 드럼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자율주행 차량의 브레이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은 자율주행 차량에서 드럼방식의 보조 브레이크를 전륜에 장착하여 주 브레이크에 이상이 발생할 경우, 자율주행 로직에 따른 리던던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 저비용으로 자율주행에 따른 리던던시를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핸드레버를 통해 운전자의 수동 작동이 가능하여 자율주행 고장 시 운전자의 개입이 가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 차량의 브레이크 장치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 차량의 브레이크 장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 차량의 브레이크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율주행 차량의 브레이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 차량의 브레이크 장치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 차량의 브레이크 장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 차량의 브레이크 장치는, 보조 브레이크(70), 구동모터(60) 및 보조 브레이크 제어부(40)를 비롯하여 고장신호 입력부(10), GPS 수신부(30) 및 저장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 브레이크(70)는 핸드레버(80)를 통해 케이블(75)을 당김에 따라 제동력이 발생되는 드럼 방식의 브레이크로써, 차량의 전륜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보조 브레이크(70)를 전륜에 설치함으로써 후륜에 설치한 경우보다 제동력을 높일 수 있어 페일 세이프티(fail safety)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구동모터(60)는 보조 브레이크(70)의 케이블(75)을 전동식으로 당기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보조 브레이크 제어부(40)는 주 브레이크(미도시)의 고장상태에 따라 목표 감속도를 기반으로 구동모터(60)를 작동시켜 제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여기서, 보조 브레이크 제어부(40)는 자율주행 제어기(20)로부터 긴급제동 상황이 입력될 경우 최대 감속도로 구동모터(60)를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자율주행 제어기(20)로부터 목표 감속도가 입력될 경우, 보조 브레이크 제어부(40)는 입력된 목표 감속도에 따라 구동모터(60)를 작동시킬 수 있다.
한편, 고장신호 입력부(10)는 주 브레이크의 고장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여기서, 고장신호 입력부(10)는 자율주행 제어기(20)에서 주 브레이크의 고장상태를 파악하여 출력하는 고장신호나 주 브레이크에서 고장이 발생하여 경고등을 작동시키기 위해 출력하는 경고신호를 고장신호로 입력받을 수 있다.
GPS 수신부(30)는 차량의 위치를 인식하여 위치정보를 보조 브레이크 제어부(40)에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보조 브레이크 제어부(40)는 차량의 내부 센서들로부터 차속신호가 입력되지 않을 경우,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차량속도를 산출하여 목표 감속도를 산출할 수 있다.
저장부(50)는 보조 브레이크(70)를 작동시키기 위한 목표 감속도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목표 감속도는 차량속도에 따라 설정된 목표 감속도를 포함할 수도 있고, 입력되는 센서정보가 없을 경우 차량을 안전하게 정차시키기 위해 튜닝을 통해 설정한 안전 목표 감속도를 저장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보조 브레이크 제어부(40)는 고장신호 입력부(10)로부터 고장신호를 입력받은 후 GPS 수신부(30)로부터 입력된 차량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차량속도를 산출하고, 차량속도에 따라 설정된 목표 감속도를 저장부(50)로부터 추출하여 구동모터(60)를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보조 브레이크 제어부(40)는 센서정보가 없을 경우, 저장부(50)에 저장된 안전 목표 감속도에 따라 구동모터(60)를 작동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자율주행 차량의 브레이크 장치는 운전자가 핸드레버(80)를 수동 작동시켜 케이블(75)을 당김으로써 보조 브레이크가 작동되어, 보조 브레이크 제어부(40)의 고장 시에도 물리적으로 보조 브레이크(70)를 작동시켜 차량을 정차시킬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율주행 차량의 브레이크 장치에 따르면, 자율주행 차량에서 드럼방식의 보조 브레이크를 전륜에 장착하여 주 브레이크에 이상이 발생할 경우, 자율주행 로직에 따른 리던던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 저비용으로 자율주행에 따른 리던던시를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핸드레버를 통해 운전자의 수동 작동이 가능하여 자율주행 고장 시 운전자의 개입이 가능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 차량의 브레이크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 차량의 브레이크 장치의 제어 방법에서는 먼저, 보조 브레이크 제어부(40)가 주 브레이크(미도시)의 고장상태를 판단한다(S10).
여기서 보조 브레이크 제어부(40)는 고장신호 입력부(10)를 통해 자율주행 제어기(20)에서 주 브레이크의 고장상태를 파악하여 출력하는 고장신호나 주 브레이크에서 고장이 발생하여 경고등을 작동시키기 위해 출력하는 경고신호를 고장신호로 입력받을 수 있다.
S10 단계에서 주 브레이크의 고장상태를 판단하여 고장상태가 아닌 경우에는 계속해서 주 브레이크의 고장상태를 판단한다.
반면, S10 단계에서 주 브레이크의 고장상태를 판단하여 고장상태인 경우, 보조 브레이크 제어부(40)는 긴급제동 상황을 판단한다(S20).
여기서 긴급제동 상황은 자율주행 제어기(20)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
S20 단계에서 긴급제동 상황으로 판단된 경우, 보조 브레이크 제어부(40)는 최대 감속도로 구동모터(60)를 통해 보조 브레이크(70)를 작동시킨다(S30).
보조 브레이크(70)는 핸드레버(80)를 통해 케이블(75)을 당김에 따라 제동력이 발생되는 드럼 방식의 브레이크로써, 차량의 전륜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보조 브레이크(70)를 전륜에 설치함으로써 후륜에 설치한 경우보다 제동력을 높일 수 있어 페일 세이프티(fail safety)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S20 단계에서 긴급제동 상황으로 판단되지 않은 경우, 보조 브레이크 제어부(40)는 자율주행 제어기(20)로부터 목표 감속도가 입력되는지 판단한다(S40).
S40 단계에서 목표 감속도가 입력되는지 판단하여 목표 감속도가 입력되는 경우, 보조 브레이크 제어부(40)는 입력된 목표 감속도에 따라 구동모터(60)를 통해 보조 브레이크(70)를 작동시킨다(S60).
반면 S40 단계에서 목표 감속도가 입력되는지 판단하여 목표 감속도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 보조 브레이크 제어부(40)는 GPS 수신부(30)로부터 입력된 차량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차량속도를 산출하여 차량속도에 따라 설정된 목표 감속도를 저장부(50)에서 추출한다(S50).
여기서 보조 브레이크 제어부(40)는 목표 감속도가 입력되지 않고, 센서정보의 입력도 없는 경우, 저장부(50)에 저장된 안전 목표 감속도를 추출할 수 있다.
S50 단계에서 목표 감속도를 추출한 후 보조 브레이크 제어부(40)는 목표 감속도를 기반으로 구동모터(60)를 통해 보조 브레이크(70)를 작동시킨다(S60).
또한, 보조 브레이크 제어부(40)는 안전 목표 감속도가 추출된 경우 안전 목표 감속도를 기반으로 구동모터(60)를 통해 보조 브레이크(7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율주행 차량의 브레이크 장치의 제어 방법에 따르면, 자율주행 차량에서 드럼방식의 보조 브레이크를 전륜에 장착하여 주 브레이크에 이상이 발생할 경우, 자율주행 로직에 따른 리던던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 저비용으로 자율주행에 따른 리던던시를 확보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구현은, 예컨대, 방법 또는 프로세스, 장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데이터 스트림 또는 신호로 구현될 수 있다. 단일 형태의 구현의 맥락에서만 논의(예컨대, 방법으로서만 논의)되었더라도, 논의된 특징의 구현은 또한 다른 형태(예컨대, 장치 또는 프로그램)로도 구현될 수 있다. 장치는 적절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펌웨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방법은, 예컨대, 컴퓨터, 마이크로프로세서, 집적 회로 또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로직 디바이스 등을 포함하는 프로세싱 디바이스를 일반적으로 지칭하는 프로세서 등과 같은 장치에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최종-사용자 사이에 정보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컴퓨터, 셀 폰, 휴대용/개인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및 다른 디바이스 등과 같은 통신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고장신호 입력부 20 : 자율주행 제어기
30 : GPS 수신부 40 : 보조 브레이크 제어부
50 : 저장부 60 : 구동모터
70 : 보조 브레이크 75 : 케이블
80 : 핸드레버

Claims (12)

  1. 핸드레버를 통해 케이블을 당김에 따라 제동력이 발생되는 보조 브레이크;
    상기 케이블을 전동식으로 당기기 위한 구동모터; 및
    주 브레이크의 고장상태에 따라 목표 감속도를 기반으로 상기 구동모터를 작동시키는 보조 브레이크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 차량의 브레이크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브레이크 제어부는, 자율주행 제어기로부터 긴급제동 상황이 입력될 경우 최대 감속도로 상기 구동모터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 차량의 브레이크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브레이크 제어부는, 자율주행 제어기로부터 목표 감속도가 입력될 경우 입력된 상기 목표 감속도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 차량의 브레이크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 브레이크의 고장신호를 입력받는 고장신호 입력부;
    차량의 위치를 인식하기 위한 GPS 수신부; 및
    상기 보조 브레이크를 작동시키기 위한 목표 감속도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 브레이크 제어부는 상기 고장신호 입력부로부터 고장신호를 입력받은 후 상기 GPS 수신부로부터 입력된 차량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차량속도를 산출하고, 상기 차량속도에 따라 설정된 상기 목표 감속도를 상기 저장부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구동모터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 차량의 브레이크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브레이크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안전 목표 감속도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 차량의 브레이크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브레이크는, 차량의 전륜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 차량의 브레이크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브레이크는, 드럼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 차량의 브레이크 장치.
  8. 보조 브레이크 제어부가 주 브레이크의 고장상태가 입력된 경우 긴급제동 상황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보조 브레이크 제어부가 긴급제동 상황인 경우 최대 감속도로 구동모터를 통해 보조 브레이크를 작동시키는 단계;
    상기 보조 브레이크 제어부가 긴급제동 상황이 아닌 경우, 목표 감속도의 입력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보조 브레이크 제어부가 상기 목표 감속도의 입력을 판단하여 상기 목표 감속도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목표 감속도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를 통해 상기 보조 브레이크를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 차량의 브레이크 장치의 제어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브레이크를 작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보조 브레이크 제어부가 상기 목표 감속도의 입력을 판단하여 상기 목표 감속도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GPS 수신부로부터 입력된 차량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차량속도를 산출하여 상기 차량속도에 따라 설정된 목표 감속도를 기반으로 상기 구동모터를 통해 상기 보조 브레이크를 작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 차량의 브레이크 장치의 제어 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브레이크를 작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보조 브레이크 제어부가 상기 목표 감속도의 입력을 판단하여 상기 목표 감속도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저장부에 저장된 안전 목표 감속도를 기반으로 상기 구동모터를 통해 상기 보조 브레이크를 작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 차량의 브레이크 장치의 제어 방법.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브레이크는, 차량의 전륜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 차량의 브레이크 장치의 제어 방법.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브레이크는, 드럼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 차량의 브레이크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190078733A 2019-07-01 2019-07-01 자율주행 차량의 브레이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5858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8733A KR102585802B1 (ko) 2019-07-01 2019-07-01 자율주행 차량의 브레이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8733A KR102585802B1 (ko) 2019-07-01 2019-07-01 자율주행 차량의 브레이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3336A true KR20210003336A (ko) 2021-01-12
KR102585802B1 KR102585802B1 (ko) 2023-10-11

Family

ID=74129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8733A KR102585802B1 (ko) 2019-07-01 2019-07-01 자율주행 차량의 브레이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580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73146A (zh) * 2021-05-24 2021-07-27 福建盛海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车辆自动手刹系统及控制方法
CN115009246A (zh) * 2022-06-29 2022-09-06 中车制动系统有限公司 适配既有轨道工程车制动系统的微机控制空气制动装置
KR20230105744A (ko) * 2022-01-04 2023-07-12 주식회사 화인특장 자율 주행 차량의 수동식 비상 제동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55867B2 (ko) * 1982-09-09 1988-11-04 Siemens Ag
JP2001514597A (ja) * 1997-03-12 2001-09-11 キュスター ウント コンパニー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車両用の駐車ブレーキ装置
KR20180130185A (ko) * 2017-05-29 2018-12-0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긴급 제동 준비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91180B2 (en) * 2016-02-02 2021-08-17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Brake control device for electric vehicl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55867B2 (ko) * 1982-09-09 1988-11-04 Siemens Ag
JP2001514597A (ja) * 1997-03-12 2001-09-11 キュスター ウント コンパニー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車両用の駐車ブレーキ装置
KR20180130185A (ko) * 2017-05-29 2018-12-0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긴급 제동 준비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73146A (zh) * 2021-05-24 2021-07-27 福建盛海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车辆自动手刹系统及控制方法
KR20230105744A (ko) * 2022-01-04 2023-07-12 주식회사 화인특장 자율 주행 차량의 수동식 비상 제동 시스템
CN115009246A (zh) * 2022-06-29 2022-09-06 中车制动系统有限公司 适配既有轨道工程车制动系统的微机控制空气制动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5802B1 (ko) 2023-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92011B2 (en) Autonomous driving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autonomous driving control of vehicles
CN109562764B (zh) 车辆控制装置
KR20190124122A (ko) 차량의 자율 주행 시스템의 활성화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585802B1 (ko) 자율주행 차량의 브레이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09720287B (zh) 电力供给装置和车辆
US20120265418A1 (en) Emergency Brake Assistance System for Assisting a Driver of a Vehicle when Setting the Vehicle in Motion
US11014558B2 (en) Vehicle control apparatus
US10747222B2 (en) Traveling control system
JP4671242B2 (ja) 車両制御装置
US11305785B2 (en) Driving assistance apparatus, driving assistance system, driving assistance method, and program
KR101802858B1 (ko) 자동차용 통합데이터 처리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N111572515A (zh) 无人车、无人车制动方法
US11866057B2 (en) Garage mode control unit,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US11679786B2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autonomous driving of a vehicle, system having the same and method thereof
KR20220128565A (ko) 통합 전자제동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224150B1 (ko) 차량 제동 제어 시스템
JP6634772B2 (ja) ストップランプの故障検出装置
CN112550313A (zh) 通过云计算的容错嵌入式汽车应用程序
KR102446142B1 (ko) 자율주행 차량의 브레이크 제어 장치
US11488481B2 (en) Method for assisting a motor vehicle
KR20220157128A (ko) 차량 제동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220128566A (ko) 통합 전자제동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10113463A (ko) Sbw 시스템 진단 장치 및 방법
KR102464584B1 (ko) Epb 시스템의 페일 세이프 제어 장치
KR101134919B1 (ko) 차량의 주행 제어 보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