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2770U - 광 모듈 및 차량 헤드램프 - Google Patents

광 모듈 및 차량 헤드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2770U
KR20210002770U KR2020217000080U KR20217000080U KR20210002770U KR 20210002770 U KR20210002770 U KR 20210002770U KR 2020217000080 U KR2020217000080 U KR 2020217000080U KR 20217000080 U KR20217000080 U KR 20217000080U KR 20210002770 U KR20210002770 U KR 2021000277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ed circuit
circuit board
optical module
spring contact
contact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70000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슈테판 미터레흐너
토마스 미터레흐너
Original Assignee
제트카베 그룹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트카베 그룹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제트카베 그룹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1000277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277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88Details of electrical connections
    • B60Q1/0094Arrangement of electronic circuits separated from the light source, e.g. mounting of housings for starter circuits for discharge la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4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1/141Light emitting diodes [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9Attachment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S41/192Details of lamp holders, terminals or conn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5/00Arrangements within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for purposes other than emission or distribution of light
    • F21S45/10Protection of ligh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5/00Arrangements within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for purposes other than emission or distribution of light
    • F21S45/40Cooling of lighting devices
    • F21S45/47Passive cooling, e.g. using fins, thermal conductive elements or open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4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with contacts abutting directly the printed circuit; Button contacts therefore provided on the printed circu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5Printed circuits including an angle between each other
    • H01R12/737Printed circuits being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each oth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H01R13/2421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using coil spr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6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other printed circuits
    • H05K3/366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other printed circuits substantially perpendicularly to each othe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9Shape and layout
    • H05K2201/09009Substrate related
    • H05K2201/09081Tongue or tail integrated in planar structure, e.g. obtained by cutting from the planar structur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9Shape and layout
    • H05K2201/09209Shape and layout details of conductors
    • H05K2201/09372Pads and lands
    • H05K2201/0949Pad close to a hole, not surrounding the hol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106Light emitting diode [LE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227Other objects, e.g. metallic pieces
    • H05K2201/10265Metallic coils or springs, e.g. as part of a connection elemen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227Other objects, e.g. metallic pieces
    • H05K2201/1031Surface mounted metallic connector el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제1 인쇄회로기판(10)과 제2 인쇄회로기판(20)을 포함하는 광 모듈에 관한 것이며, 제2 인쇄회로기판(20) 상에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21 ~ 23)이 배치된다. 제1 인쇄회로기판(10)과 제2 인쇄회로기판(20)은, 상호 간에 제1 및 제2 인쇄회로기판(10, 20)의 각각의 도체 평면들을 통해 형성되는 각도하에 배치되며,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접촉 요소(30 ~ 35)를 통해 상호 간에 전기 전도 방식으로 연결된다. 제1 인쇄회로기판(10)과 제2 인쇄회로기판(20) 사이의 각도(8)는 45°와 135° 사이이며, 바람직하게는 80°와 100° 사이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90°이다.

Description

광 모듈 및 차량 헤드램프{LIGHT MODULE AND VEHICLE HEADLAMP}
본 고안은 제1 인쇄회로기판과 제2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광 모듈에 관한 것이며, 제2 인쇄회로기판 상에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이 배치된다.
또한, 본 고안은 차량 헤드램프, 특히 자동차 헤드램프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의 차량 헤드램프들, 특히 자동차 헤드램프들 내지 광 모듈들, 특히 가변 광 분포를 생성할 수 있는 광 모듈들의 경우, 광도가 매우 강한 광원들, 대개는 고전류 LED들 또는 레이저 다이오드들의 형태인 반도체 다이오드들이 사용된다. 이 경우, 고전류 LED들의 전류 소모량은 수 암페어일 수 있다. 전기 손실을 낮게 유지하기 위해, 통전용 연결 라인들은 짧아야 하고 그 결과로 관련 있는 회로 부재들은 기하학적으로 서로 최대한 가깝게 위치해야 한다. 그러나 기하학적 근접을 통해, 매우 높은 전류가 관류하는 제1 회로 부재들에서부터 민감한 전자 컴포넌트들을 포함하는 제2 회로 부재들 쪽으로 전자기 과결합(electromagnet overcoupling)과 관련하여 의도되지 않는 외란(disturbance)에 대한 민감성이 증가된다. 이런 외란들은 의도되지 않는 것이며, 그리고 방지되거나 감소되어야 한다.
이는, 종래의 경우, 보통은, 복잡하고 비싼 차폐부들, 차폐되고 고정 납땜된 라인들, 및 차폐된 플러그인 연결부들을 통해 수행되지만, 이들은 그 외에도 필요한 큰 장착 공간 및 복잡하고 비싼 조립을 통해 단점들을 나타낼 수 있다.
더욱이, 플러그인 연결부들의 경우에는, 결과적으로 차량 헤드램프들 내지 광 모듈들의 경우 보통 필요할 수 있는 사항으로 2개의 인쇄회로기판이 상호 간에 법선으로 배치되어 있을 때, 예컨대 할당된 소켓과 플러그를 연결하는 것을 통한 조립 동안, 상대적으로 큰 힘이 인쇄회로기판들에 작용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예컨대 차량 내에서 작동 중 열적 작용을 통해, 비탄성 연결부를 통해, 예컨대 플러그인 커넥터를 통해 상호 간에 연결되어 있는 2개의 인쇄회로기판 사이에 의도하지 않는 기계적 응력들이 발생할 수 있다.
2개의 인쇄회로기판의 연결을 위한 노출된 라인들의 이용은 광 모듈에서는 보통 바람직하지 못한데, 그 이유는, 예컨대 차량의 진동을 통해 야기되어 라인들 및 인쇄회로기판들에 가해지는 의도되지 않는 기계적 하중들의 전파를 감소시키기 위해, 라인들이 보통 추가로 예컨대 케이블 타이(cable tie)들 또는 케이블 덕트(cable duct)들을 통해 고정되어야만 하기 때문이다.
본 고안의 과제는 종래 기술에서의 단점들을 극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는, 특히 자동차 헤드램프를 위한 도입부에서 언급한 유형의 광 모듈에 있어서, 제1 인쇄회로기판과 제2 인쇄회로기판이 상호 간에 제1 및 제2 인쇄회로기판의 각각의 도체 평면(conductor plane)들을 통해 형성되는 각도하에 배치되어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접촉 요소(spring contact element)를 통해 상호 간에 전기 전도 방식으로 연결되며, 그리고 제1 인쇄회로기판과 제2 인쇄회로기판 사이의 각도는 45°와 135° 사이이며, 바람직하게는 80°와 100° 사이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90°가 됨으로써, 상기 광 모듈을 통해 해결된다.
그렇게 하여, 제1 인쇄회로기판과 제2 인쇄회로기판이 간단한 방식으로 신뢰성 있게 상호 간에 연결되는 점이 달성된다. 또한, 하나 또는 복수의 스프링 접촉 요소를 통해 기계적 조립 공차들도 보상될 수 있다. 또한, 조립 동안 거의 어떠한 힘도 최초 조립된 인쇄회로기판에 작용하지 않는데, 그 이유는 조립력이 스프링 접촉 요소에 의해 흡수되기 때문이다.
스프링 접촉 요소들의 이용은, 스프링 접촉 요소가 자동화된 표준 픽앤플레이스 방법(standard pick-and-place method)을 통해 인쇄회로기판 상에 조립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바람직하다. 그렇게 하여, 가공 단계들의 개수 및 그로 인한 조립 비용은 감소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스프링 접촉 요소들에 상응하는 접촉면들은 매우 간단하게 금속화된 표면들의 형태로 인쇄회로기판 자체 상에서 제조될 수 있으며, 그리고 각각 스프링 접촉 요소에 대한 상대면(opposite side)을 형성할 수도 있는 별도의 부품들은 요구하지 않는다.
스프링 접촉 요소들과 대응하는 접촉면들의 조합은 형성된 전기 연결부를 통한 높은 전류(15암페어 이상)의 통전을 허용한다.
상기 유형의 연결부들은, 특히 저옴(low-ohm) 연결부, 예컨대 접지 연결부, 또는 전자기 간섭(electromagnetic interference)으로부터의 보호를 위한 EMC 연결부의 형성을 위해 적합하다.
제1 실시 변형예에서, 제1 인쇄회로기판은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접촉 요소의 지지를 위해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접촉면을 포함한다. 제2 인쇄회로기판 상에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접촉 요소가 배치된다.
제2 실시 변형예에서, 제1 인쇄회로기판 상에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접촉 요소가 배치된다. 제2 인쇄회로기판은,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접촉 요소의 지지를 위해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접촉면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접촉면은, 제1 또는 제2 인쇄회로기판의 바깥쪽에 위치하는 도체 평면 또는 단부면 상에, 특히 제1 또는 제2 인쇄회로기판 상에서 인쇄회로기판 재료의 구조화를 통해 제조되는 금속 표면, 또는 예컨대 갈바니화(galvanization)를 통해 적층되는 금속 코팅층을 통해 형성된다.
다수의 실시 변형예에서,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접촉면 상에 추가로 탄성 또는 유체 접촉 수단이 적층될 수 있으며, 상기 접촉 수단은, 전기 전도성이며,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접촉면과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접촉 요소를 접촉시킬 때, 전기 연결부를 통해 보다 더 높은 전류를 전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형성된 전기 연결부의 횡단면을 증가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예컨대 탄성 접촉 수단은 고무 모양의 지지 매트(support mat)일 수 있거나, 또는 배치를 위해 연결부가 다시 분리될 수 있고 그로 인해 유체 접촉 수단이 경화되거나 납땜될 수 있는 점이 무조건적으로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유체 접촉 수단은 예컨대 접착제일 수 있거나, 또는 땜납(solder)일 수도 있다. 달리 말하면,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접촉 요소의 핀(pin)의 첨단(tip) 및 적어도 하나의 접촉면을 통해, 그리고 추가로 핀과 접촉면 사이에 배치되어 있거나 핀과 접촉면을 함께 에워싸는 접촉 수단을 통해, 제공되는 연결부를 통해 보다 더 높은 전류의 흐름을 허용하기 위해, 전기 전도성 연결부의 횡단면은 증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인쇄회로기판은 적어도 하나의 광원의 제어를 위한 구동 회로를 포함한다. 이 경우, 구동 회로는 적어도 하나의 접촉면과 연결된다. 또한, 제1 인쇄회로기판은 FR4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2 인쇄회로기판은 IMS 재료로 제조된다. 고출력 발광다이오드들 또는 레이저 다이오드들을 포함할 수 있는 광 모듈의 경우처럼, 열 소산에 대한 높은 요건을 갖는 인쇄회로기판들을 위해, 알루미늄 또는 구리와 같은 금속 코어들을 포함하는 원료들이 이용된다. 이런 캐리어 재료들은 직접 결합 구리(direct bonded copper)로서도, 또는 절연 금속 기판(IMS: insulated metal substrate)으로서도 지칭된다.
헤드램프의 조밀한 구성을 위해, 바람직하게는, 제2 인쇄회로기판과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방열판(heat sink)이 포함된다. 추가로, 제1 인쇄회로기판 역시도 적어도 하나의 방열판과 연결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개선예는, 특히 자동차 헤드램프를 위해 적합한, 광 모듈용 하우징을 포함하며, 제1 인쇄회로기판을 위한 장착 공간과 제2 인쇄회로기판을 위한 장착 공간 사이에 윈도우부(window)를 포함한 전자기 차폐부가 배치되며, 상기 윈도우부를 통과해서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접촉 요소의 적어도 일부분이 돌출된다. 이 경우, 윈도우부는, 윈도우부의 테두리부가 스프링 접촉 요소들에 최대한 가깝게 닿도록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윈도우부는, 기하구조와 관련하여, 제1 인쇄회로기판 상에서 안내되는 구동 회로의 제1 전기 신호들에서부터 제2 인쇄회로기판 상에서 안내되는 광원들의 제2 전기 신호들 쪽으로, 그리고 그 반대의 경우에도 발생하는 전자기 과결합이 감소되도록 치수 설계된다.
바람직하게는, 전자기 차폐부는 광 모듈의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분을 통해 형성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과제는, 도입부에서 언급한 차량 헤드램프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본 고안에 따른 광 모듈을 포함하는 상기 차량 헤드램프를 통해서도 해결된다. 본 고안에 따른 광 모듈은 인쇄회로기판들의 특정한 배치를 통해 특히 자동차 헤드램프 내에서 이용을 위한 장점들을 나타내는데, 그 이유는 그렇게 하여 구상(conception) 시에, 그리고 설계 시에 매우 바람직한 자유도가 달성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헤드램프 내지 본 고안에 따른 광 모듈에 대해 주요 부재들을 기술하였지만, 여기서 분명한 사실은, 헤드램프가 여전히 특히 승용차 또는 오토바이와 같은 자동차에서 유효한 적용을 가능하게 하는 언급하지 않은 많은 다른 부재도 포함하고 있다는 점이다. 그러므로 명확성을 위해, 예컨대 제어 전자 시스템, 일차 광학 요소 또는 투영 광학 요소와 같은 추가 광학 요소들, 기계식 조정 장치들 내지 장착 브래킷들, 및 헤드램프 하우징의 추가 부재들은 별도로 상세하게 다루어지지 않는다.
본 고안 및 또 다른 장점들은 하기에서 첨부한 도면들에 도시되어 있는 비제한적인 실시예들에 따라서 더 상세하게 기술된다.
도 1은 광 모듈을 위한, 특히 자동차 헤드램프를 위한 본 고안에 따른 광 모듈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광 모듈의 2개의 인쇄회로기판을 아래에서부터 보고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스프링 접촉 요소를 통해 상호 간에 연결되어 있는 도 1의 광 모듈의 2개의 인쇄회로기판을 위에서부터 보고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스프링 접촉 요소의 상세도를 위에서부터 보고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광 모듈을 위에서부터 보고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제1 상태에서 도 1의 광 모듈을 아래에서부터 보고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제2 상태에서 도 1의 광 모듈을 아래에서부터 보고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제3 상태에서 도 1의 광 모듈을 아래에서부터 보고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각각 도 1에 따른 2개의 광 모듈을 포함하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 헤드램프, 특히 자동차 헤드램프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들이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특히 본 고안을 위해 헤드램프 내지 광 모듈 내에는 주요 부재들이 도시되어 있지만, 여기서 분명한 사실은, 헤드램프가 여전히 특히 승용차 또는 오토바이와 같은 자동차에서 유효한 적용을 가능하게 하는 미도시한 많은 다른 부재도 포함하고 있다는 점이다. 그러므로 명확성을 위해 예컨대 부품들을 위한 냉각 장치들, 제어 전자 시스템, 일차 광학 요소 또는 투영 광학 요소와 같은 추가 광학 요소들, 기계식 조정 장치들 내지 장착 브래킷들, 및 헤드램프 하우징의 추가 부재들은 도시되어 있지 않다.
도면들에는, 본 고안에 따른 광 모듈(1)의 일 실시예가 다양한 모습들로, 그리고 개별 부품들의 다양한 조립 단계들로 도시되어 있다.
광 모듈(1)은 제1 인쇄회로기판(10)과 제2 인쇄회로기판(20)을 포함하되, 제2 인쇄회로기판(20) 상에는 복수의 광원(21 ~ 23)이 배치된다.
제1 인쇄회로기판(10)과 제2 인쇄회로기판(20)은 상호 간에 제1 및 제2 인쇄회로기판(10, 20)의 각각의 도체 평면들을 통해 형성되는 각도(8)하에 배치되며,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접촉 요소(30 ~ 35)를 통해 상호 간에 전기 전도 방식으로 연결된다.
본 실례에서, 각각 스트립 도체들이 그 상에 배치될 수 있는, 제1 인쇄회로기판(10) 및 제2 인쇄회로기판(20)의 표면들 사이에는, 직각(8)이 존재한다. 조립으로 인해, 또는 의도되는 헤드램프의 광학적 치수 설계를 통해, 각도(8)는 예컨대 45°와 135° 사이, 또는 80°와 100° 사이, 또는 85°와 95° 사이에서와 같은 다른 값들 역시도 취할 수 있다.
스프링 접촉 요소(30 ~ 35)들은, 홀더(50) 내에서 탄지(elastic support)되는 각각 하나의 핀(40)을 포함한다. 상기 실시 변형예에서, 핀(40)은 원통형 형태를 보유하고, 핀(40)의 단부면은 매끄럽게 형성된다.
예컨대 제1 인쇄회로기판과 제2 인쇄회로기판 사이에 보다 더 평평한 평각을 제공할 수 있는 각각의 실시형태에 따라서, 예컨대 핀의 평평하거나 접시형이거나 원통형인 단부, 뾰족하거나 화살표 모양의 단부, 또는 매끄럽거나 거친 처리된 표면을 갖는 원형이거나 구상인 단부처럼, 스프링 접촉 요소의 핀의 특정한 윤곽 형성이 바람직할 수 있다. 스프링 접촉 요소로서 탄지형 볼(elastically-supported ball) 역시도 가능하다. 이와 관련하여, 추가로 바람직하게는 접촉면들 상에 추가로 탄성 또는 유체 접촉 수단이 적층될 수 있으며, 상기 접촉 수단은, 전기 전도성이며, 그리고 접촉면과 스프링 접촉 요소를 접촉시킬 때, 전기 연결부를 통해 보다 더 높은 전류를 전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형성된 전기 연결부의 횡단면을 증가시키도록 구성된다.
또한, 스프링 접촉 요소는 간단하게 구성될 수 있고 핀을 위한 홀더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예컨대 스프링 접촉 요소는, 스프링강으로 제조되어 전기 전도성의 증가를 위해 금으로 도금되며 그리고 자체는 탄력이 있는 와이어일 수도 있다. 이 경우, 바람직하게는, 스프링 접촉 요소는, 회로기판의 자동 픽앤플레이스를 위해 적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SMT 납땜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 제1 인쇄회로기판(10)은 스프링 접촉 요소(30 ~ 35)들의 핀(40)들의 지지를 위해 제공되는 복수의 접촉면(11 ~ 16)을 포함한다. 제2 인쇄회로기판(20) 상에는 스프링 접촉 요소(30 ~ 35)들의 홀더(50)가 배치된다.
접촉면(11 ~ 16)들은, 제1 인쇄회로기판(10)의 바깥쪽에 위치하는 도체 평면 상에, 예컨대 각각 제1 인쇄회로기판(10) 상에서 인쇄회로기판 재료의 구조화를 통해 제조되는 금속 표면을 통해 형성된다.
그 대안으로, 제1 인쇄회로기판 상에는, 스프링 접촉 요소들의 홀더가 배치될 수 있으며, 그리고 제2 인쇄회로기판은 스프링 접촉 요소들의 각각의 핀의 지지를 위해 제공되는 각각 하나의 접촉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런 경우에, 접촉면들은, 제2 인쇄회로기판의 단부면 상에, 예컨대 각각 제2 인쇄회로기판 상에서 갈바니화를 통해 적층되는 금속 코팅층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이런 변형예는 도면들에 도시되어 있지 않다.
제1 인쇄회로기판(10)은 광원(21 ~ 23)들의 제어를 위한 구동 회로를 포함하되, 이는 도면들에 보다 더 나은 명확성을 위해 표시되어 있지 않다. 구동 회로는 접촉면(11 ~ 16)들과 연결된다.
제1 인쇄회로기판(10)은 예컨대 FR4 재료로 제조된다.
제2 인쇄회로기판(20)은, 광원(21 ~ 23)들의 보다 더 나은 열 소산을 위해, IMS 재료로 제조된다.
도 1에는, 광 모듈(1)이 도시되어 있되, 제1 인쇄회로기판(10)과 제2 인쇄회로기판(20)은, 방열판(7) 역시도 포함하는 하우징(5) 내에 장착되어 있다. 방열판(7)은 제2 인쇄회로기판(20)과 연결된다.
그에 추가로, 방열판(7)에 의해 열 역시도 흡수될 수 있으며, 상기 열은 제1 인쇄회로기판(10)에서부터 연결된 하우징(5) 상으로 방출되고 방열판(7)을 통해 방출된다.
광원(21 ~ 23)들은 제2 인쇄회로기판(20) 상에서 확인할 수 있다.
도 2에는, 하우징이 제외된 상태로 제1 및 제2 인쇄회로기판(10, 20)을 포함하는 어셈블리가 도시되어 있다.
제1 인쇄회로기판(10)은 조립 개구부(60 ~ 63)들을 포함한다.
광원(21 ~ 23)들은 제2 인쇄회로기판(20) 상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그 외에도 제2 인쇄회로기판은 조립 개구부(70 ~ 76)들을 포함한다.
도 3에는, 다시금, 스프링 접촉 요소(30 ~ 35)들을 통해 상호 간에 연결되는, 광 모듈(1)의 2개의 인쇄회로기판(10, 20)을 포함하는 전술한 어셈블리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에서의 상세도에는, 홀더(50) 및 탄지형 핀(40)을 각각 포함한 스프링 접촉 요소(30 ~ 35)들을 포함하는 부분이 확대되어 도시되어 있다. 핀(40)은 접촉면(11) 상에서 지지된다.
후속하는 도 5에는, 헤드램프(1)의 제1 및 제2 인쇄회로기판(10, 20)이 분명하게 도시되어 있되, 도면에는 간소화되어 제1 및 제2 인쇄회로기판(10, 20)이 최종적인 배향으로 상호 간에 법선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그러나 제1 인쇄회로기판(10)과 제2 인쇄회로기판(20)은 상호 간에 연결되어 있지는 않다. 그렇게 하여, 접촉면(11 ~ 16)들에 대한 스프링 접촉 요소(30 ~ 35)들 내지 각각의 핀(40)의 할당이 도해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구동 회로로 향하는 전기 연결부를 암시하는 스트립 도체(17)들도 표시되어 있다. 구동 회로는 간소화된 도해를 위해 표시되어 있지 않지만, 그러나 제1 인쇄회로기판(10)에 의해 에워싸여 있다.
도 6에는, 제1 인쇄회로기판(10)을 위한 장착 공간과 제2 인쇄회로기판(20)을 위한 장착 공간 사이에 윈도우부(6)를 구비한 하우징(5)을 포함하는 광 모듈(1)이 도시되어 있다. 달리 말하면, 제1 인쇄회로기판(10)과 제2 인쇄회로기판(20) 사이에 윈도우부(6)를 포함한 전자기 차폐부가 배치된다. 따라서, 전자기 차폐부는 광 모듈(1)의 하우징(5)의 적어도 일부분을 통해 형성된다.
그에 추가로, 하우징(5)은 조립 장치(81 ~ 86)들을 포함하되, 조립 장치(82 및 85)들은 각각 센터링 핀(centering pin)들로서 형성된다.
도 6에는, 광 모듈(1)이, 제1 및 제2 인쇄회로기판(10, 20)이 여전히 하우징 내로 삽입되어 있지 않은 제1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도 7에는, 광 모듈(1)이, 제2 인쇄회로기판(20)이 하우징(5) 내로 삽입되어 있는 제2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센터링 핀(82, 85)들은, 제2 인쇄회로기판(20) 상의 대응하는 개구부(72 및 75)들과 상호작용하도록 구성된다.
윈도우부(6)를 통과하여서는 스프링 접촉 요소(30 ~ 35)들의 적어도 일부분이 돌출된다.
도 8에는, 광 모듈(1)이, 제1 인쇄회로기판(10) 역시도 하우징(5) 내로 삽입되어 있는 제3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스프링 접촉 요소(30 ~ 35)들은 제1 인쇄회로기판(10)과 제2 인쇄회로기판(20)을 전기 전도 방식으로 서로 연결한다.
간소화를 위해, 광원(21 ~ 23)들은 도 6 ~ 8에는 표시되어 있지 않다.
도 9에는, 2개의 광 모듈(1 및 2)을 포함하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헤드램프(100)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광 모듈(1 및 2)들은, 인쇄회로기판 배치와 관련하여 구조가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다시 말하면, 각각의 광원들을 구비한 제1 및 제2 인쇄회로기판(10 및 20)을 각각 포함한다. 헤드램프(100)에 대한 각각의 요건에 따라서, 예컨대 광학 렌즈(110 ~ 115)들의 형태로 하류에 배치되는 광학 요소들은 상이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그리고 그에 따라 광원들에 의해 방출되는 광의 상이한 광 분포들을 형성할 수 있다.
헤드램프(100)는 헤드램프 하우징(101)을 포함하며, 이 헤드램프 하우징 내에서는 두 광 모듈(1, 2)이 각각의 광 모듈 하우징(102, 103)들 내에 수용되어 있다.
광학 투명 커버(104)는, 광원들에 의해 방출된 광을 광빔(121 ~ 124)들의 형태로 투과하고 방사하도록 구성된다. 차량 내에서 그에 상응하게 장착된 헤드램프(100)는 차량 전방에 위치하는 차도를 조명하도록 구성된다.
1, 2: 광 모듈
5: 하우징
6: 윈도우부
7: 방열판
8: 각도
10, 20: 인쇄회로기판
11 ~ 16: 접촉면
17: 스트립 도체
21 ~ 23: 광원
30 ~ 35: 스프링 접촉 요소
40: 스프링 접촉 요소의 핀
50: 스프링 접촉 요소의 홀더
60 ~ 63, 71 ~ 76: 조립 개구부
81 ~ 86: 조립 장치
100: 차량 헤드램프
102, 103: 광 모듈 하우징
104: 투명 커버
110 ~ 115: 광학 요소, 렌즈
121 ~ 124: 방출되는 광, 광빔

Claims (9)

  1. 하우징(5), 제1 인쇄회로기판(10) 및 제2 인쇄회로기판(20)을 포함하는 광 모듈(1, 2)로서, 제2 인쇄회로기판(20) 상에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21 ~ 23)이 배치되는, 상기 광 모듈에 있어서,
    상기 제1 인쇄회로기판(10)과 상기 제2 인쇄회로기판(20)은, 상호 간에 상기 제1 및 상기 제2 인쇄회로기판(10, 20)의 각각의 도체 평면들을 통해 형성되는 각도(8)하에 배치되며,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접촉 요소(30 ~ 35)를 통해 상호 간에 전기 전도 방식으로 연결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접촉 요소(30 ~ 35)는 홀더(50) 내에서 탄성 지지되는 핀(40)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제1 인쇄회로기판(10)과 상기 제2 인쇄회로기판(20) 사이의 각도(8)는 80°와 100° 사이이고,
    상기 하우징(5)은 상기 제1 인쇄회로기판(10)을 위한 장착 공간과 상기 제2 인쇄회로기판(20)을 위한 장착 공간 사이에 형성된 윈도우부를 포함하고, 따라서 상기 제1 인쇄회로기판(10)과 상기 제2 인쇄회로기판(20) 사이에 배치된 윈도우부(6)를 포함한 전자기 차폐부를 형성하고, 상기 윈도우부(6)를 통과해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접촉 요소(30 ~ 35)의 적어도 일부분이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모듈(1, 2).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인쇄회로기판(10)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접촉 요소(30 ~ 35)의 지지를 위해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접촉면(11 ~ 16)을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제2 인쇄회로기판(20) 상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접촉 요소(30 ~ 35)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모듈(1, 2).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인쇄회로기판(10) 상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접촉 요소(30 ~ 35)가 배치되며, 그리고 상기 제2 인쇄회로기판(20)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접촉 요소(30 ~ 35)의 지지를 위해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접촉면(11 ~ 1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모듈(1, 2).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접촉면(11 ~ 16)은, 상기 제1 또는 상기 제2 인쇄회로기판(10, 20)의 바깥쪽에 위치하는 도체 평면 또는 단부면 상에, 특히 상기 제1 또는 상기 제2 인쇄회로기판(10, 20) 상에서 인쇄회로기판 재료의 구조화를 통해 제조되는 금속 표면, 또는 예컨대 갈바니화를 통해 적층되는 금속 코팅층을 통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모듈(1, 2).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접촉면(11 ~ 16) 상에 추가로 탄성 또는 유체 접촉 수단이 적층되며, 상기 접촉 수단은, 전기 전도성이며, 그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접촉면(11 ~ 16)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접촉 요소(30 ~ 35)를 접촉시킬 때, 형성된 전기 연결부의 횡단면을 증가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모듈(1, 2).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인쇄회로기판(10)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원(21 ~ 23)의 제어를 위한 구동 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 회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접촉면(11 ~ 16)과 연결되며, 그리고 상기 제1 인쇄회로기판(10)은 FR4 재료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모듈(1, 2).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인쇄회로기판(20)은 IMS 재료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모듈(1, 2).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광 모듈(1, 2)로서, 적어도 하나의 방열판(7)을 포함하는 상기 광 모듈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방열판(7)은 상기 제2 인쇄회로기판(20)과 연결되며, 그리고 상기 제1 인쇄회로기판(10)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방열판(7)과도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모듈(1, 2).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광 모듈(1, 2)을 포함하는 차량 헤드램프(100).
KR2020217000080U 2017-11-28 2018-10-11 광 모듈 및 차량 헤드램프 KR20210002770U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7204004.0A EP3489082B1 (de) 2017-11-28 2017-11-28 Lichtmodul und fahrzeugscheinwerfer
EP17204004.0 2017-11-28
PCT/EP2018/077729 WO2019105639A1 (de) 2017-11-28 2018-10-11 Lichtmodul und fahrzeugscheinwerfer
KR1020207016893A KR20200089288A (ko) 2017-11-28 2018-10-11 광 모듈 및 차량 헤드램프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6893A Division KR20200089288A (ko) 2017-11-28 2018-10-11 광 모듈 및 차량 헤드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2770U true KR20210002770U (ko) 2021-12-10

Family

ID=6062941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6893A KR20200089288A (ko) 2017-11-28 2018-10-11 광 모듈 및 차량 헤드램프
KR2020217000080U KR20210002770U (ko) 2017-11-28 2018-10-11 광 모듈 및 차량 헤드램프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6893A KR20200089288A (ko) 2017-11-28 2018-10-11 광 모듈 및 차량 헤드램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3489082B1 (ko)
KR (2) KR20200089288A (ko)
CN (1) CN111372815B (ko)
WO (1) WO201910563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53591A1 (ja) * 2022-09-07 2024-03-14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灯具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10186B2 (ja) * 2018-08-07 2023-01-23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回路基板組立体
DE102020212883A1 (de) * 2020-10-13 2022-04-14 Continental Automotive Gmbh Leiterplatten-Stecker-Anordnung
DE102021131126A1 (de) * 2021-11-26 2023-06-01 Delo Industrie Klebstoffe Gmbh & Co. Kgaa Leuchtenbaugruppe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Leuchtenbaugruppe
GB2616024A (en) * 2022-02-23 2023-08-30 Arrival Ltd A hinge and a joining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31219B1 (en) * 1999-03-03 2001-05-15 Kurt L. Lohss Dual-purpose glovebox light assembly and cradle therefor
DE29910417U1 (de) * 1999-06-15 1999-08-12 Sidler Gmbh & Co Reflektorleuchte
DE102004062990A1 (de) * 2004-12-22 2006-07-06 Patent-Treuhand-Gesellschaft für elektrische Glühlampen mbH Beleuchtungseinrichtung mit mindestens einer Leuchtdiode und Fahrzeugscheinwerfer
FR3003336B1 (fr) * 2013-03-18 2017-08-11 Valeo Vision Dispositifs de signalisation et/ou d'eclairage pour vehicules automobiles
CN103794902A (zh) * 2014-02-10 2014-05-14 连展科技电子(昆山)有限公司 具一体成型端子之电连接器
US9772097B2 (en) * 2014-03-27 2017-09-26 Philips Lighting Holding B.V. Efficient board to board connection
CN105526563A (zh) * 2014-09-30 2016-04-27 通用电气照明解决方案有限公司 连接器和使用该连接器的led照明设备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53591A1 (ja) * 2022-09-07 2024-03-14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灯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89082B1 (de) 2021-10-06
CN111372815B (zh) 2023-07-04
WO2019105639A1 (de) 2019-06-06
CN111372815A (zh) 2020-07-03
EP3489082A1 (de) 2019-05-29
KR20200089288A (ko) 2020-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02770U (ko) 광 모듈 및 차량 헤드램프
CN110431664B (zh) 将led元件安装在平的载体上
CN105987337B (zh) 用于机动车辆的包括两个光导和具有两个安装表面的散热器的光模块
US8366305B2 (en) Vehicle lamp
US20110180819A1 (en) Light-emitting arrangement
JP2021515397A (ja) 高出力構成部品用の電子プリント基板構成グループ
US7626212B2 (en) Light-emitting device and light source apparatus using the same
US9689558B2 (en) Attachment and lighting apparatus
JP6889592B2 (ja) 灯具
CN113677934A (zh) 包括电路板的照明装置
US11313549B2 (en) Module for motor vehicle comprising an optical element fixed to a heatsink with posts and a light source fixed to a fixing zone of a heatsink
JP2016004665A (ja) 電子装置
US11430933B2 (en) Lighting device with high flexibility in connecting electrical components
JP6509837B2 (ja) 少なくとも1つの光源を電力供給システムに電気的に接続するためのシステム
JP2017228460A (ja) 電気接続用端子構造
EP4240122A1 (en) Lighting module with interconnected pcb assemblies
US20080219023A1 (en) Printed circuit board for fitting with a punched grid
EP3434968A1 (en) Automotive electronic assembly and method
US11940111B2 (en) Lamp for vehicle
CN109424917B (zh) 灯具单元及车辆用灯具
WO2021117489A1 (ja) 灯具ユニット、及びそれを備えた車両用灯具
KR20230100617A (ko) 차량 헤드램프 모듈
EP3091275B1 (en) A method of assembling lighting devices and corresponding device
JP2021051861A (ja) 発光モジュール及び照明器具
CN109812778A (zh) 用于机动车辆的发光装置以及机动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