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2603U - 소화기용 받침대 - Google Patents

소화기용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2603U
KR20210002603U KR2020200001648U KR20200001648U KR20210002603U KR 20210002603 U KR20210002603 U KR 20210002603U KR 2020200001648 U KR2020200001648 U KR 2020200001648U KR 20200001648 U KR20200001648 U KR 20200001648U KR 20210002603 U KR20210002603 U KR 2021000260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extinguisher
pedestal
cover
groove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16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상훈
Original Assignee
백상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상훈 filed Critical 백상훈
Priority to KR20202000016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02603U/ko
Publication of KR2021000260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260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3/0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 A62C13/76Details or accessories
    • A62C13/78Suspending or supporting dev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3/00Advertising on or in specific articles, e.g. ashtrays, letter-box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소화기용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서는, 소정의 폭과 길이 및 높이를 갖는 육면체의 받침대 몸체(110)와; 받침대 몸체(110)의 상면(120)으로부터 저면을 향하여 소정의 깊이를 갖고 소화기의 외경에 대응하는 직경을 갖는 홈으로 형성된 소화기재치홈(130)과; 상기 소화기재치홈(130) 하부에 형성되어 있고 중앙에 소정 직경의 홀이 형성된 소화기 재치부(140)와; 상기 받침대 몸체(110)의 양단 후단부에 형성되어 있고 받침대의 커버를 하측에서 체결하기 위한 하부체결홈(150)과; 상기 소화기 재치홈(150)의 상단부이고 상기 하부체결홈(150)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커버가 체결되도록 형성된 상부체결홈(160) 및 이에 결합되는 커버를 포함하는 소화기용 받침대가 제시된다.

Description

소화기용 받침대{Fire extinguisher stand}
본 고안은 소화기용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건물 등의 실내 또는 실외에 비치하는 소화기가 바닥에 접촉하지 않게 비치하고, 소화기의 비치 위치를 쉽게 알 수 있으며, 비치 장소의 미관을 해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디자인을 갖는 소화기용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건물의 실내 등에 비치하는 소화기의 받침대는 소화기 표시와 비치하는 장소의 바닥에 접촉하지 않도록 소화기를 재치시키는 용도 또는 소화기 받침대가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소화기용 받침대가 개발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10-2017-0069647호(공개일: 2017년06월21일)의 소화기 받침대가 공개되어 있다.
상기 공개발명은,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에 마련되고, 소화기를 수용하는 소화기 수용부; 상기 하우징부에 마련되고, 상기 소화기 수용부에서 상기 소화기의 수용 여부에 따른 압력값을 측정하는 압력 센서; 인근의 화재 경보기로부터 화재 발생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화재 발생 신호를 수신한 시점부터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상기 소화기 수용부에서 상기 소화기의 이탈에 따른 압력값 변화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 화재 경보 신호를 외부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화재 발생시 자동 신고 기능을 갖는 소화기 받침대의 발명이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10-2011-0136968호(공개일: 2011년12월22일)의 열감지 소화기 받침대가 공개되어 있다.
상기 공개발명은, 소화기 받침대에 열 감지 센서를 부착하여 열을 감지하면 전류를 보내주어 전구에 불이 들어오도록 하는 열을 감지하도록 하여, 불이 나서 연기가 많이 피면 잘 보이지 않았던 소화기에 불빛이 나오게 하여 혼란스럽고 일분일초가 아까운 상황에서 소화기를 더욱 빨리 찾을 수 있게 하는 발명이다.
상기 공개발명의 소화기용 받침대는 소화기용 받침대의 기능성을 강조하고 있고, 실내에 비치되는 소화기가 그대로 노출되어 실내의 미관을 해쳐 사용자들이 소화기를 눈에 보이지 않는 장소에 방치시키는 문제점을 간과한 발명들이다.
따라서, 건물 등의 실내 또는 실외에 비치하는 소화기가 바닥에 접촉하지 않게 비치하고, 소화기 위치 알림을 벽체에 별도의 표지를 붙이지 않고도 소화기의 비치 위치를 쉽게 알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비치 장소의 미관을 해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디자인을 갖는 소화기용 받침대의 고안이 요망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10-2017-0069647호(공개일: 2017년06월21일)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10-2011-0136968호(공개일: 2011년12월22일)
본 고안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건물 등의 실내 또는 실외에 비치하는 소화기가 바닥에 접촉하지 않게 비치하고, 소화기 위치 알림을 벽체에 별도의 표지를 붙이지 않고도 소화기의 비치 위치를 쉽게 알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비치 장소의 미관을 해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디자인을 갖는 소화기용 받침대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해결 수단으로서, 본 고안에서는 소정의 폭과 길이 및 높이를 갖는 육면체의 받침대 몸체와; 받침대 몸체의 상면으로부터 저면을 향하여 소정의 깊이로 소화기의 외경에 대응하는 직경을 갖는 홈으로 형성된 소화기 재치홈과; 상기 소화기 재치홈 하부에 형성되어 있고 중앙에 소정 직경의 홀이 형성된 소화기 재치부와; 상기 받침대 몸체의 정면에 형성된 소화기 형상이 표시된 소화기 표시부와; 상기 받침대 몸체의 양단 후단부에 형성된 받침대 커버를 하측에서 체결하기 위한 하부체결홈과; 상기 소화기 재치홈의 상단부이고 상기 하부체결홈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커버부가 체결되도록 형성된 상부체결홈을 포함하는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의 폭과 소화기의 높이에 대응하는 폭과 높이를 갖는 커버몸체부와; 상기 커버몸체부의 하단부를 제외한 테두리가 절곡되어 형성된 소정 폭을 갖는 날개부와; 상기 커버몸체부의 하부이고 상기 받침대의 높이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받침대의 소화기 재치홈을 덮지 않고 상측에서 감싸면서 체결되도록 돌출 형성된 받침대수용부와; 상기 받침대수용부의 중앙부위에 상기 받침대의 상부체결홈에 결합되어 받침대에 체결되도록 돌출 형성된 상부체결돌기부와; 상기 날개부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받침대의 하부체결홈에 결합되도록 돌출 형성된 하부체결돌기부를 포함하는 커버와; 상기 받침대의 하부체결홈과 상기 커버의 하부체결돌기부에 끼워지고 상기 받침대와 커버가 분리되지 않도록 결합시키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소화기용 받침대가 제시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건물 등의 실내 또는 실외에 비치하는 소화기가 바닥에 접촉하지 않게 비치하고, 소화기의 비치 위치를 쉽게 알 수 있으며, 비치 장소의 미관을 해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소화기용 받침대의 실시예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소화기용 받침대의 주요부인 받침대의 실시예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소화기용 받침대의 주요부인 커버의 실시예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소화기용 받침대의 주요부인 받침대와 커버의 체결부재의 실시예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소화기용 받침대의 주요부인 소화기표시부의 실시예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소화기용 받침대의 주요부인 소화기표시부의 이면 실시예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이하에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소화기용 받침대의 실시예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소화기용 받침대의 주요부인 받침대의 실시예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소화기용 받침대의 주요부인 커버의 실시예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소화기용 받침대의 주요부인 받침대와 커버의 체결부재의 실시예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소화기용 받침대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며의 받침대(100)는, 소정의 폭과 길이 및 높이를 갖는 육면체의 받침대 몸체(110)와; 받침대 몸체(110)의 상면(120)으로부터 저면을 향하여 소정의 깊이를 갖고 소화기의 외경에 대응하는 직경을 갖는 홈으로 형성된 소화기재치홈(130)과; 상기 소화기재치홈(130) 하부에 형성되어 있고 중앙에 소정 직경의 홀이 형성된 소화기 재치부(140)와; 상기 받침대 몸체(110)의 양단 후단부에 형성되어 있고 받침대의 커버를 하측에서 체결하기 위한 하부체결홈(150)과; 상기 소화기 재치홈(150)의 상단부이고 상기 하부체결홈(150)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커버가 체결되도록 형성된 상부체결홈(160)과; 상기 받침대 몸체(110)의 정면에 형성된 소화기 형상이 표시된 소화기표시부(170)을 포함하는 구성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커버(200)는, 상기 받침대(100)의 폭과 소화기의 높이에 대응하는 폭과 높이를 갖는 커버몸체(210)와; 상기 커버몸체(210)의 하단부를 제외한 테두리가 절곡되어 형성된 소정 폭을 갖는 날개부(220)와; 상기 커버몸체(210)의 하부이고 상기 받침대(100)의 높이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받침대(100)의 소화기 재치홈(130)을 덮지 않고 상측에서 감싸면서 체결되도록 돌출 형성된 받침대수용부(230)와; 상기 받침대수용부(230)의 중앙부위에 상기 받침대의 상부체결홈(160)에 결합되어 받침대(100)에 체결되도록 돌출 형성된 상부체결돌기부(240)와; 상기 날개부(220)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받침대(100)의 하부체결홈(150)에 결합되도록 돌출 형성된 하부체결돌기부(25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커버(200)는, 상기 커버몸체(210)의 중앙 부위에 절개하여 형성된 소화기 형상의 커버소화기표시부(260)와; 상기 커버몸체(210)의 하부에 절개하여 형성된 '소화기' 문자 형상의 소화기문자표시부(2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체결부재(300)는, 상기 받침대(100)의 하부체결홈과 상기 커버(200)의 하부체결돌기부에 끼워지고 상기 받침대(100)와 커버(200)가 분리되지 않도록 결합시키는, 'ㄷ'자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소화기용 받침대의 주요부인 소화기표시부의 실시예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소화기용 받침대의 주요부인 소화기표시부의 이면 실시예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소화기표시부(170)는, 상기 받침대(100)의 받침대몸체(110)의 정면에 부착되는 구성으로서, 사각 형상의 박판(171)에 소화기 형상(172)을 절개하여 형성한 구성이다. 상기 박판(171)의 이면(173)에는 상기 받침대몸체(110)의 정면에 형성된 홈에 삽입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돌기(174)(176)가 형성된 구성이다.
본 고안의 소화기용 받침대는 디자인성을 감안하여 다양한 색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받침대(100)와 커버(200)를 다른 색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받침대(100)와 상기 받침대(100)의 정면에 부착되는 소화기표시부(170)를 서로 다른 색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받침대(100)와 커버(200)를 분리된 것을 결합하는 것으로 설명했으나, 일체형으로 구성하는 것을 다른 실시예로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받침대(100)의 소화기표시부(170)을 결합하는 구성으로 설명했으나,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받침대의 형상 및 커버의 형상은 다양한 실시예 중 일부에 지나지 않는다.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받침대 및 커버의 다양한 형상 및 결합구조 또는 일체화된 구성이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포함되는 것은 당연하다.
100: 받침대
200: 커버
300: 체결부재

Claims (5)

  1. 소정의 폭과 길이 및 높이를 갖는 육면체의 받침대 몸체(110)와; 받침대 몸체(110)의 상면(120)으로부터 저면을 향하여 소정의 깊이를 갖고 소화기의 외경에 대응하는 직경을 갖는 홈으로 형성된 소화기재치홈(130)과; 상기 소화기재치홈(130) 하부에 형성되어 있고 중앙에 소정 직경의 홀이 형성된 소화기 재치부(140)와; 상기 받침대 몸체(110)의 양단 후단부에 형성되어 있고 받침대의 커버를 하측에서 체결하기 위한 하부체결홈(150)과; 상기 소화기 재치홈(150)의 상단부이고 상기 하부체결홈(150)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커버가 체결되도록 형성된 상부체결홈(160)을 포함하는 소화기용 받침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 몸체(110)의 정면에 형성된 소화기 형상이 표시된 소화기표시부(1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용 받침대.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100)의 폭과 소화기의 높이에 대응하는 폭과 높이를 갖는 커버몸체(210)와; 상기 커버몸체(210)의 하단부를 제외한 테두리가 절곡되어 형성된 소정 폭을 갖는 날개부(220)와; 상기 커버몸체(210)의 하부이고 상기 받침대(100)의 높이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받침대(100)의 소화기 재치홈(130)을 덮지 않고 상측에서 감싸면서 체결되도록 돌출 형성된 받침대수용부(230)와; 상기 받침대수용부(230)의 중앙부위에 상기 받침대의 상부체결홈(160)에 결합되어 받침대(100)에 체결되도록 돌출 형성된 상부체결돌기부(240)와; 상기 날개부(220)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받침대(100)의 하부체결홈(150)에 결합되도록 돌출 형성된 하부체결돌기부(250)를 포함하는 커버(200)를 더 포함하는 소화기용 받침대.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커버(200)는, 상기 커버몸체(210)의 중앙 부위에 절개하여 형성된 소화기 형상의 커버소화기표시부(260)와; 상기 커버몸체(210)의 하부에 절개하여 형성된 '소화기' 문자 형상의 소화기문자표시부(2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용 받침대.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100)의 하부체결홈과 상기 커버(200)의 하부체결돌기부(250)에 끼워지고 상기 받침대(100)와 커버(200)가 분리되지 않도록 결합시키는 체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소화기용 받침대.
KR2020200001648U 2020-05-18 2020-05-18 소화기용 받침대 KR2021000260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1648U KR20210002603U (ko) 2020-05-18 2020-05-18 소화기용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1648U KR20210002603U (ko) 2020-05-18 2020-05-18 소화기용 받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2603U true KR20210002603U (ko) 2021-11-25

Family

ID=78719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1648U KR20210002603U (ko) 2020-05-18 2020-05-18 소화기용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02603U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36968A (ko) 2010-06-16 2011-12-22 이영민 열 감지 소화기 받침대
KR20170069647A (ko) 2015-12-11 2017-06-21 진동용 소화기 받침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36968A (ko) 2010-06-16 2011-12-22 이영민 열 감지 소화기 받침대
KR20170069647A (ko) 2015-12-11 2017-06-21 진동용 소화기 받침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78328B1 (ja) 防災機器、防災機器取付構造及び機器収容箱
US5775430A (en) Electroluminescent signalling fire extinguisher
JP2018205935A (ja) 発信機及び表示灯付き発信機
US4623878A (en) Christmas tree mounted smoke detector
US8659416B1 (en) Instrument for detecting and alerting during an emergency situation
KR101768542B1 (ko) 소화기 받침대
ES2273711T3 (es) Puntos de alerta o unidades de vidrio rompible.
KR20210002603U (ko) 소화기용 받침대
US20060208920A1 (en) Door stop beacon
JP4284533B2 (ja) 壁掛け型火災警報器
KR102016028B1 (ko) 소화기 거치대
JP4473880B2 (ja) 火災報知器
JP5096119B2 (ja) 器具取付具
US4559528A (en) Ornamental vibration sensor device for burglar alarm system
JP4095228B2 (ja) 火災受信機の表示部
KR200447689Y1 (ko) 정온식 열감지기
WO2014131418A1 (en) A warning device
JP2006214711A (ja) 護身用盾
GB2370670A (en) Emergency signalling device incorporating an audible warning device
JP2018028997A (ja) 平面スイッチ
JPH09313635A (ja) 消火器載置台
KR102318593B1 (ko) Lte 통신 접속가능형 utp 활용 중계기
JP4781713B2 (ja) 警報器の設置構造
KR20150061850A (ko) 사용중 표시장치
CN218446935U (zh) 离人警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C193 Request for withdrawal (aband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