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1676A - 봉지 부재 상에 위치하는 터치 전극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봉지 부재 상에 위치하는 터치 전극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1676A
KR20210001676A KR1020190078111A KR20190078111A KR20210001676A KR 20210001676 A KR20210001676 A KR 20210001676A KR 1020190078111 A KR1020190078111 A KR 1020190078111A KR 20190078111 A KR20190078111 A KR 20190078111A KR 20210001676 A KR20210001676 A KR 202100016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electrode
link
insulating layer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81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향명
정지현
안수창
이재균
이루다
이정훈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781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01676A/ko
Priority to US16/908,294 priority patent/US11188162B2/en
Priority to CN202010580020.6A priority patent/CN112148144B/zh
Priority to DE102020116634.6A priority patent/DE102020116634A1/de
Publication of KR202100016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16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L27/323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single layer of sensing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40OLEDs integrated with touch scree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4Connections between sensors and controllers, e.g. routing lines between electrodes and connection pads
    • H01L27/3244
    • H01L51/5203
    • H01L51/5237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4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3Encapsulations
    • H10K59/8731Encapsulations multilayered coatings having a repetitive structure, e.g. having multiple organic-inorganic bila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광 소자를 덮는 봉지 부재 상에 터치 전극이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봉지 부재의 외측에 위치하는 터치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전극과 연결되는 터치 라인은 제 1 터치 링크 및 제 2 터치 링크를 통해 상기 터치 패드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1 터치 링크는 상기 제 2 터치 링크와 연결되는 제 1 단부 및 상기 터치 라인과 연결되는 제 2 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터치 링크의 상기 제 1 단부는 상기 봉지 부재와 중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사용자 또는 도구의 터치에 대한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Description

봉지 부재 상에 위치하는 터치 전극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apparatus having a touch electrode on an encapsulating element}
본 발명은 발광 소자를 덮는 봉지 부재 상에 터치 전극이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니터, TV, 노트북, 디지털 카메라와 같은 전자 기기는 이미지를 구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발광 소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각 발광 소자는 특정한 색을 구현하는 빛을 방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발광 소자는 제 1 전극과 제 2 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발광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 또는 도구의 터치를 통해 특정 프로그램을 구동하거나, 특정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발광 소자들을 덮는 봉지 부재 상에 위치하는 터치 전극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각 터치 전극은 터치 라인을 통해 터치 패드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터치 라인은 각 터치 전극과 동일한 층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자가 용량 방식의 터치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터치 라인들에 의해 사용자 또는 도구의 터치가 인식되지 않는 면적이 증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상기 터치 전극들 사이의 간격이 증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사용자 또는 도구의 터치에 대한 신뢰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용자 또는 도구의 터치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터치 라인들이 터치 전극들과 동일한 층 상에 위치하되, 상기 터치 전극들 사이의 간격을 최소화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앞서 언급한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소자 기판을 포함한다. 소자 기판의 표시 영역 상에는 발광 소자가 위치한다. 발광 소자는 봉지 부재에 의해 덮인다. 봉지 부재는 표시 영역의 외측으로 연장한다. 봉지 부재 상에는 터치 전극 및 터치 라인이 위치한다. 터치 라인은 터치 전극과 동일한 층 상에 위치할 수 있다. 터치 라인은 터치 전극과 연결된다. 터치 라인은 표시 영역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한다. 소자 기판 상에는 봉지 부재와 이격되는 터치 패드가 위치한다. 제 1 터치 링크는 표시 영역 내에 위치하는 제 1 단부 및 표시 영역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 2 단부를 포함한다. 제 1 터치 링크의 제 1 단부는 제 2 터치 링크에 의해 터치 패드와 연결된다. 제 1 터치 링크의 제 2 단부는 터치 라인과 연결된다.
터치 라인은 터치 전극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소자 기판과 발광 소자 사이에는 오버 코트층이 위치할 수 있다. 제 1 터치 링크 및 제 2 터치 링크는 각각 소자 기판과 오버 코트층 사이에 위치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터치 링크의 제 1 단부는 소자 기판과 제 2 터치 링크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소자 기판과 오버 코트층 사이에는 박막 트랜지스터가 위치할 수 있다. 박막 트랜지스터는 반도체 패턴 상에 위치하는 게이트 절연막, 게이트 절연막 상에 위치하는 게이트 전극, 상기 게이트 전극 상에 위치하는 제 1 층간 절연막, 제 1 층간 절연막 상에 위치하는 제 2 층간 절연막, 제 2 층간 절연막 상에 위치하는 소스 전극 및 소스 전극과 이격되는 드레인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터치 링크는 제 2 층간 절연막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제 2 터치 링크는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터치 링크는 게이트 절연막과 층간 절연막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봉지 부재는 제 1 터치 링크의 제 2 단부를 노출하는 터치 컨택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소자 기판 상에 위치하는 봉지 부재를 포함한다. 봉지 부재 상에는 터치 전극이 위치한다. 터치 전극은 제 1 방향으로 연장하는 터치 라인과 연결된다. 제 1 터치 링크는 봉지 부재와 중첩하는 제 1 단부 및 터치 라인과 연결되는 제 2 단부를 포함한다. 제 1 터치 링크는 제 1 방향으로 연장한다. 제 2 터치 링크는 제 1 터치 링크의 제 1 단부와 연결된다. 제 2 터치 링크는 제 1 방향과 수직한 제 2 방향으로 연장한다.
제 1 터치 링크의 제 2 단부는 봉지 부재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터치 라인은 터치 전극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터치 링크 및 제 2 터치 링크는 소자 기판과 봉지 부재 사이에 위치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터치 링크는 제 1 터치 링크와 다른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터치 링크의 제 1 단부는 터치 전극과 중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터치 전극과 연결되는 터치 라인이 제 1 터치 링크 및 제 2 터치 링크를 통해 터치 패드와 연결되되, 상기 제 2 터치 링크가 표시 영역 내에서 상기 제 1 터치 링크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터치 라인이 차지하는 면적이 최소화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터치 전극들 사이의 간격이 최소화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사용자 또는 도구의 터치에 대한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는 도 1의 I-I'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b는 도 1의 II-II'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 3b, 4a, 4b, 5a 및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이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을 참조한 이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도록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로 표시된 부분들은 동일한 구성 요소들을 의미하며, 도면들에 있어서 층 또는 영역의 길이와 두께는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덧붙여, 제 1 구성 요소가 제 2 구성 요소 "상"에 있다고 기재되는 경우, 상기 제 1 구성 요소가 상기 제 2 구성 요소와 직접 접촉하는 상측에 위치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제 1 구성 요소와 상기 제 2 구성 요소 사이에 제 3 구성 요소가 위치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는 제 1 구성 요소와 제 2 구성 요소는 당업자의 편의에 따라 임의로 명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예를 들어, 단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는 문맥상 명백하게 단수만을 의미하지 않는다면 복수의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덧붙여,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실시 예)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는 도 1의 I-I'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b는 도 1의 II-II'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2a 및 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소자 기판(1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자 기판(100)은 절연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소자 기판(100)은 유리 또는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자 기판(100)은 표시 영역(AA) 및 베젤 영역(N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젤 영역(NA)은 상기 표시 영역(AA)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 영역(AA)은 상기 베젤 영역(NA)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상기 소자 기판(100)의 상기 표시 영역(AA) 상에는 다수의 발광 소자(300)가 위치할 수 있다. 각 발광 소자(300)는 특정한 색을 나타내는 빛을 방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발광 소자(300)는 순서대로 적층된 제 1 전극(310), 발광층(320) 및 제 2 전극(3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전극(310)은 도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전극(310)은 상대적으로 반사율이 높은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전극(310)은 다중층 구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전극(310)은 ITO 및 IZO와 같은 투명한 도전성 물질로 형성된 투명 전극들 사이에 알루미늄(Al) 및 은(Ag)과 같은 금속으로 형성된 반사 전극이 위치하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발광층(320)은 상기 제 1 전극(310)과 상기 제 2 전극(330) 사이의 전압 차에 대응하는 휘도의 빛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발광층(320)은 발광 물질을 포함하는 발광 물질층(EML)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 물질은 유기 물질, 무기 물질 또는 하이브리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유기 물질로 형성된 발광층(320)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일 수 있다.
상기 발광층(320)은 발광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다중층 구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발광층(320)은 정공 주입층(HIL), 정공 수송층(HTL), 전자 수송층(ETL) 및 전자 주입층(EIL)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전극(330)은 도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전극(330)은 상기 제 1 전극(310)과 다른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전극(330)은 ITO 및 IZO와 같은 투명한 도전성 물질로 형성된 투명 전극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각 발광층(320)에 의해 생성된 빛이 해당 제 2 전극(330)을 통해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각 발광 소자(300)는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발광 소자(300)의 상기 제 1 전극(310)의 가장 자리는 뱅크 절연막(140)에 의해 덮일 수 있다. 상기 뱅크 절연막(130)은 절연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뱅크 절연막(130)은 유기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각 발광 소자(300)의 상기 발광층(320) 및 상기 제 2 전극(330)은 상기 뱅크 절연막(130)에 의해 노출된 해당 제 1 전극(310)의 일부 영역 상에 적층될 수 있다.
각 발광 소자(300)의 상기 발광층(320)은 인접한 발광 소자(300)의 상기 발광층(320)과 분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발광 소자(300)의 상기 발광층(320)은 미세 금속 마스크(Fine Metal Mask; FMM)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뱅크 절연막(140) 상에는 스페이서(140)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140)는 상기 미세 금속 마스크에 의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140)는 절연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각 발광 소자(300)의 상기 제 2 전극(330)은 상기 뱅크 절연막(130) 상으로 연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발광 소자(300)의 상기 제 2 전극(330)은 인접한 발광 소자(300)의 상기 제 2 전극(330)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2 전극(330)은 상기 소자 기판(100)의 상기 베젤 영역(NA) 상으로 연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베젤 영역(NA)에 가까이 위치하는 상기 뱅크 절연막(130)의 측면은 상기 제 2 전극(330)에 의해 덮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상기 뱅크 절연막(130)을 통한 외부 수분의 침투가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소자 기판(100)과 각 발광 소자(300) 사이에는 구동 회로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구동 회로는 게이트 신호 및 데이터 신호에 따른 구동 전류를 해당 발광 소자(300)에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구동 회로는 적어도 하나의 박막 트랜지스터(200) 및 스토리지 커패시터(29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각 발광 소자(300)의 동작이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200)는 게이트 신호 및 데이터 신호에 따른 구동 전류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200)는 반도체 패턴(210), 게이트 절연막(220), 게이트 전극(230), 제 1 층간 절연막(241), 제 2 층간 절연막(242), 소스 전극(250) 및 드레인 전극(260)을 포함할 수 있다. 각 발광 소자(300)의 상기 제 1 전극(310)은 해당 박막 트랜지스터(200)의 상기 드레인 전극(26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반도체 패턴(210)은 상기 소자 기판(100)에 가까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반도체 패턴(210)은 반도체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반도체 패턴(210)은 비정질 실리콘 또는 다결정 실리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도체 패턴(210)은 산화물 반도체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반도체 패턴(210)은 IGZO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도체 패턴(210)은 소스 영역, 드레인 영역 및 채널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채널 영역은 상기 소스 영역과 상기 드레인 영역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채널 영역은 상기 소스 영역 및 상기 드레인 영역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전도율(conductivity)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소스 영역 및 상기 드레인 영역은 상기 채널 영역보다 도전형 불순물의 함량이 높을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절연막(220)은 상기 반도체 패턴(210)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절연막(220)은 절연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게이트 절연막(220)은 실리콘 산화물 및/또는 실리콘 질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절연막(220)은 다중층 구조일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절연막(220)은 High-K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게이트 절연막(220)은 하프늄 산화물(HfO) 또는 티타늄 산화물(TiO)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전극(230)은 상기 게이트 절연막(220)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전극(230)은 상기 반도체 패턴(210)의 상기 채널 영역과 중첩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전극(230)은 상기 게이트 절연막(220)에 의해 상기 반도체 패턴(210)과 절연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전극(230)은 도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게이트 전극(230)은 알루미늄(Al), 크롬(Cr), 구리(Cu), 티타늄(Ti), 몰리브덴(Mo), 텅스텐(W)과 같은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전극(230)은 다중층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제 1 층간 절연막(241) 및 상기 제 2 층간 절연막(242)은 상기 게이트 절연막(220) 및 상기 게이트 전극(230) 상에 순서대로 적층될 수 있다. 상기 제 1 층간 절연막(241) 및 상기 제 2 층간 절연막(242)은 절연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층간 절연막(241) 및 상기 제 2 층간 절연막(242)은 실리콘 산화물 또는 실리콘 질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층간 절연막(242)은 상기 제 1 층간 절연막(241)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층간 절연막(241)과 상기 제 2 층간 절연막(242) 사이의 경계면은 명확히 구분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소스 전극(250) 및 상기 드레인 전극(260)은 상기 제 2 층간 절연막(242)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소스 전극(250)은 상기 반도체 패턴(210)의 상기 소스 영역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드레인 전극(260)은 상기 반도체 패턴(210)의 상기 드레인 영역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드레인 전극(260)은 상기 소스 전극(250)과 이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층간 절연막(241) 및 상기 제 2 층간 절연막(242)은 상기 반도체 패턴(210)의 상기 소스 영역을 노출하는 소스 컨택홀 및 상기 드레인 영역을 노출하는 드레인 컨택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스 전극(250) 및 상기 드레인 전극(260)은 도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소스 전극(250) 및 상기 드레인 전극(260)은 알루미늄(Al), 크롬(Cr), 구리(Cu), 티타늄(Ti), 몰리브덴(Mo), 텅스텐(W)과 같은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레인 전극(260)은 상기 소스 전극(250)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스 전극(250)은 다중층 구조일 수 있다. 상기 드레인 전극(260)의 구조는 상기 소스 전극(250)의 구조와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드레인 전극(260)은 다중층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스토리지 커패시터(290)는 적어도 두 개의 도전층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스토리지 커패시터(290)는 순서대로 적층된 제 1 스토리지 전극(291), 제 2 스토리지 전극(292), 제 3 스토리지 전극(293) 및 제 4 스토리지 전극(29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스토리지 전극(291)은 상기 반도체 패턴(210)과 동일한 층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스토리지 전극(291)은 상기 소자 기판(100)과 상기 게이트 절연막(22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 1 스토리지 전극(291)은 상기 반도체 패턴(210)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스토리지 전극(292)은 상기 게이트 전극(230)과 동일한 층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스토리지 전극(292)은 상기 게이트 절연막(220)과 상기 제 1 층간 절연막(241)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 2 스토리지 전극(292)은 상기 게이트 전극(230)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3 스토리지 전극(293)은 상기 제 1 층간 절연막(241)과 상기 제 2 층간 절연막(24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 4 스토리지 전극(294)은 상기 소스 전극(250) 및 상기 드레인 전극(260)과 동일한 층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4 스토리지 전극(294)은 상기 제 2 층간 절연막(242)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 4 스토리지 전극(294)은 상기 소스 전극(250) 및 상기 드레인 전극(260)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스토리지 커패시터(290)는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200)와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3 스토리지 전극(293)은 상기 제 4 스토리지 전극(294)과 다른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자 기판(100)과 각 구동 회로 사이에는 버퍼 절연막(110)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버퍼 절연막(110)은 상기 구동 회로의 형성 공정에서 상기 소자 기판(100)에 의한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버퍼 절연막(110)은 절연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버퍼 절연막(110)은 실리콘 산화물 및/또는 실리콘 질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퍼 절연막(110)은 다중층 구조일 수 있다. 상기 버퍼 절연막(110)은 상기 소자 기판(100)의 표면을 따라 연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버퍼 절연막(110)은 상기 소자 기판(100)의 상기 베젤 영역(NA) 상으로 연장할 수 있다.
각 구동 회로와 해당 발광 소자(300) 사이에는 오버 코트층(120)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오버 코트층(120)은 각 구동 회로에 의한 단차를 제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소자 기판(100)과 대향하는 상기 오버 코트층(120)의 표면은 평평한 평면(flat surface)일 수 있다. 각 구동 회로의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200) 및 상기 스토리지 커패시터(290)는 상기 오버 코트층(120)에 의해 완전히 덮일 수 있다. 상기 오버 코트층(120)은 절연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오버 코트층(120)은 유기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버 코트층(120)은 상기 베젤 영역(NA)을 향한 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전극(330)은 상기 오버 코트층(120)의 측면 상으로 연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오버 코트층(120)의 측면은 상기 제 2 전극(330)에 의해 덮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상기 오버 코트층(120)을 통한 외부 수분의 침투가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소자 기판(100)의 상기 베젤 영역(NA) 상에는 공통전압 공급라인(350)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공통전압 공급라인(350)은 상기 제 2 전극(330)과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공통전압 공급라인(350)은 상기 오버 코트층(120)의 외측에 위치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버 코트층(120)은 상기 공통전압 공급라인(350)의 일측 단부를 덮을 수 있다.
상기 공통전압 공급라인(350)은 상기 소스 전극(250) 및 상기 드레인 전극(260)과 동일한 층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게이트 절연막(220), 상기 제 1 층간 절연막(241) 및 상기 제 2 층간 절연막(242)은 상기 소자 기판(100)의 상기 베젤 영역(NA) 상으로 연장할 수 있다. 상기 공통전압 공급라인(350)은 상기 제 2 층간 절연막(242)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공통전압 공급라인(350)은 도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공통전압 공급라인(350)은 상기 소스 전극(250) 및 상기 드레인 전극(260)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통전압 공급라인(350) 상에는 적어도 하나의 댐(810, 820, 830)이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공통전압 공급라인(350) 상에는 나란히 위치하는 제 1 댐(810), 제 2 댐(820) 및 제 3 댐(8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버 코트층(120)의 측면에서 가장 멀리 이격된 상기 제 3 댐(830)은 상기 공통전압 공급라인(350)의 타측 단부를 덮을 수 있다. 상기 제 1 댐(810) 및 상기 제 2 댐(820)은 상기 오버 코트층(120)과 상기 제 3 댐(83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 2 전극(330)은 상기 오버 코트층(120)과 상기 제 1 댐(810) 사이에서 상기 공통전압 공급라인(350)과 접촉할 수 있다.
상기 댐(810, 820, 830)은 상기 오버 코트층(120), 상기 뱅크 절연막(130) 및 상기 스페이서(140)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댐(810)은 상기 오버 코트층(120)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하는 제 1 층(811), 상기 뱅크 절연막(130)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하는 제 2 층(812) 및 상기 스페이서(140)와 동일한 물질을 포함하는 제 3 층(813)의 적층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제 2 댐(820) 및 상기 제 3 댐(830)은 상기 제 1 댐(810)과 동일한 구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댐(820) 및 상기 제 3 댐(830)은 3중층 구조일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발광 소자(300) 상에는 봉지 부재(400)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봉지 부재(400)는 외부 충격 및 수분에 의한 상기 발광 소자들(30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봉지 부재(400)는 다중층 구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봉지 부재(400)는 순서대로 적층된 제 1 봉지층(410), 제 2 봉지층(420) 및 제 3 봉지층(4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봉지층(410), 상기 제 2 봉지층(420) 및 상기 제 3 봉지층(430)은 절연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봉지층(420)은 상기 제 1 봉지층(410) 및 상기 제 3 봉지층(430)과 다른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봉지층(410) 및 상기 제 3 봉지층(430)은 무기 절연 물질로 형성된 무기 절연막이고, 상기 제 2 봉지층(420)은 유기 절연 물질로 형성된 유기 절연막일 수 있다.
상기 봉지 부재(400)는 상기 표시 영역(AA)의 외측으로 연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3 봉지층(430)은 상기 제 3 댐(830) 상으로 연장할 수 있다. 상기 제 1 봉지층(410) 및 상기 제 2 봉지층(420)의 연장은 상기 제 1 댐(810)에 의해 차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제 1 댐(810), 상기 제 2 댐(820) 및 상기 제 3 댐(830)을 통해 유기 물질로 형성된 상기 제 2 봉지층(820)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봉지 부재(400) 상에는 터치 전극들(510) 및 터치 라인들(520)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전극들(510)은 사용자 또는 도구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터치 전극들(510)은 상기 표시 영역(AA) 내에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전극들(510)은 도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전극들(510)은 상기 발광 소자들(300) 중 적어도 하나와 중첩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전극들(510)은 투명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터치 전극들(510)은 ITO 및 IZO와 같은 투명한 도전성 물질로 형성된 투명 전극일 수 있다.
각 터치 라인(520)은 상기 터치 전극들(510) 중 하나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터치 라인들(520)은 상기 터치 전극들(510)과 동일한 층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터치 전극들(510) 및 상기 터치 라인들(520)은 상기 봉지 부재(400)와 직접 접촉할 수 있다. 상기 터치 라인들(520)은 상기 터치 전극들(510)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터치 라인(520)은 해당 터치 전극(510)과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각 터치 라인(520)은 상기 소자 기판(100)의 상기 베젤 영역(NA) 상으로 연장할 수 있다. 상기 터치 라인들(520)은 제 1 방향(X)으로 연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터치 라인(520)은 상기 베젤 영역(NA) 내에 위치하는 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라인들(520)의 단부들은 상기 봉지 부재(400)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터치 라인(520)은 상기 제 3 댐(830)의 표면을 따라 연장할 수 있다.
상기 제 1 층간 절연막(241)과 상기 제 2 층간 절연막(242) 사이에는 제 1 터치 링크들(600)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 1 터치 링크들(600)은 도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터치 링크들(600)은 상기 제 3 스토리지 전극(293)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터치 링크들(600)은 상기 제 1 방향(X)으로 연장할 수 있다. 상기 제 1 터치 링크들(600)은 상기 소자 기판(100)의 상기 표시 영역(AA)과 상기 베젤 영역(NA) 사이의 경계를 가로지를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제 1 터치 링크(600)는 상기 소자 기판(100)의 상기 표시 영역(AA) 내에 위치하는 제 1 단부 및 상기 소자 기판(100)의 상기 베젤 영역(NA) 내에 위치하는 제 2 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각 제 1 터치 링크(600)의 상기 제 1 단부는 상기 봉지 부재(400)와 중첩할 수 있다.
각 제 1 터치 링크(600)는 상기 터치 라인들(520) 중 하나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터치 라인(520)은 상기 제 1 터치 링크들(600) 중 하나의 상기 제 2 단부와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제 2 층간 절연막(242)은 각 제 1 터치 링크(600)의 상기 제 2 단부를 노출하는 다수의 터치 컨택홀(520h)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자 기판(100)의 상기 베젤 영역(NA) 상에는 터치 패드들(105)이 위치할 수 있다. 각 제 1 터치 링크(600)의 제 1 단부는 제 2 터치 링크들(700) 중 하나를 통해 상기 터치 패드들(105) 중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제 2 터치 링크(700)는 상기 제 1 터치 링크들(600) 중 하나의 상기 제 1 단부를 해당 터치 패드(105)에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 2 터치 링크들(700)은 상기 제 1 터치 링크들(600)과 다른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터치 패드들(105)은 상기 제 1 방향(X)과 수직한 제 2 방향(Y)으로 상기 표시 영역(AA)과 나란히 위치하고, 상기 제 2 터치 링크들(700)은 상기 제 2 방향(Y)으로 연장할 수 있다. 상기 제 2 터치 링크들(700)은 상기 제 2 방향(Y)으로 상기 표시 영역(AA)과 상기 베젤 영역(NA) 사이의 경계를 가로지를 수 있다.
상기 제 2 터치 링크들(700)은 상기 제 1 터치 링크들(600)과 다른 층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터치 링크들(700)은 상기 소스 전극(250) 및 상기 드레인 전극(260)과 동일한 층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 2 터치 링크들(700)은 상기 제 2 층간 절연막(242)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 2 터치 링크들(700)은 상기 소스 전극(250) 및 상기 드레인 전극(260)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층간 절연막(242)은 각 제 1 터치 링크(600)의 상기 제 1 단부를 노출하는 다수의 링크 컨택홀(700h)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전극들(510) 및 상기 터치 라인들(520) 상에는 터치 보호막(150)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터치 보호막(150)은 외부 충격에 의한 상기 터치 전극들(510) 및 상기 터치 라인들(52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터치 보호막(150)은 절연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터치 보호막(150)은 에폭시 또는 아크릴과 같은 유기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자 기판(100)의 상기 베젤 영역(NA) 상에는 크랙 방지 패턴(900)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크랙 방지 패턴(900)은 외부 충격에 의한 크랙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크랙 방지 패턴(900)은 다중층 구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크랙 방지 패턴(900)은 제 1 방지층(910) 및 제 2 방지층(920)의 적층 구조일 수 있다. 상기 터치 보호막(150)은 상기 크랙 방지 패턴(900)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크랙 방지 패턴(900)은 상기 터치 보호막(150)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각 터치 라인(520)이 해당 제 1 터치 링크(600) 및 해당 제 2 터치 링크(700)를 통해 해당 터치 패드(105)와 연결되되, 상기 제 1 터치 링크(600)가 표시 영역(AA) 내에서 상기 제 2 터치 링크(700)와 연결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각 터치 전극(520)이 표시 영역(AA)을 경유하여 해당 터치 패드(105)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각 터치 전극(510)을 해당 터치 패드(105)에 연결하기 위한 터치 라인들(520), 제 1 터치 링크들(600) 및 제 2 터치 링크들(700)이 차지하는 베젤 영역(NA)의 면적이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각 터치 라인(520)이 터치 전극들(510) 사이를 가로지르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상기 터치 전극들(510) 사이의 간격이 최소화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사용자 또는 도구의 터치에 대한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각 터치 라인(520)이 봉지 부재(400)의 외측에서 해당 제 1 터치 링크(600)와 연결되는 것으로 설명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각 제 1 터치 링크(600)의 제 2 단부를 노출하는 터치 컨택홀(520h)이 봉지 부재(400)를 관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a 및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제 3 봉지층(430)이 터치 라인들(520)보다 크랙 방지 패턴(900)에 가까이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터치 컨택홀(520h)의 위치에 대한 자유도가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스토리지 커패시터(290)가 제 1 터치 링크들(600)과 동일한 층 상에 위치하는 제 3 스토리지 커패시터(293)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된다. 그러나, 도 4a 및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스토리지 커패시터(290)가 버퍼 절연막(110) 상에 순서대로 적층된 제 1 스토리지 전극(291), 제 2 스토리지 전극(292) 및 제 4 스토리지 전극(294)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스토리지 전극(291)과 상기 제 2 스토리지 전극(292) 사이에는 게이트 절연막(220)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 2 스토리지 전극(292)과 상기 제 4 스토리지 전극(294) 사이에는 제 1 층간 절연막(241) 및 제 2 층간 절연막(242)이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박막 트랜지스터(200) 및 스토리지 커패시터(290)의 특성 변화 없이, 베젤 영역(NA)의 면적이 최소화되고, 사용자 또는 도구의 터치에 의한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터치 보호막(150)이 터치 전극들(510) 및 터치 라인들(520)과 직접 접촉하는 것으로 설명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터치 전극들(510)과 터치 보호막(150) 사이에 외광 반사 및/또는 명암비의 향상을 위한 구성 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a 및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봉지 부재(400)상에 터치 전극들(510)을 덮는 터치 평탄화층(160)이 위치하고, 상기 터치 평탄화층(160) 상에는 블랙 매트릭스(950)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블랙 매트릭스(950)는 각 구동 회로와 중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200) 및 상기 스토리지 커패시터(290)는 상기 블랙 매트릭스(950)와 중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발광 소자들(300)에 의해 구현되는 이미지의 품질 저하 없이, 터치 전극들(510) 사이의 간격이 최소화될 수 있다.
100: 소자 기판 200: 박막 트랜지스터
300: 발광 소자 400: 봉지 부재
510: 터치 전극 520: 터치 라인
520h: 터치 컨택홀 600: 제 1 터치 링크
700: 제 2 터치 링크

Claims (13)

  1. 소자 기판의 표시 영역 상에 위치하는 발광 소자;
    상기 발광 소자를 덮으며, 상기 표시 영역의 외측으로 연장하는 봉지 부재;
    상기 봉지 부재 상에 위치하는 터치 전극;
    상기 소자 기판 상에 위치하고, 상기 봉지 부재와 이격되는 터치 패드;
    상기 터치 전극과 연결되고, 상기 표시 영역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하는 터치 라인;
    상기 표시 영역 내에 위치하는 제 1 단부 및 상기 표시 영역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 2 단부를 포함하는 제 1 터치 링크; 및
    상기 제 1 터치 링크의 상기 제 1 단부를 상기 터치 패드와 연결하는 제 2 터치 링크를 포함하되,
    상기 터치 라인은 상기 터치 전극과 동일한 층 상에 위치하고,
    상기 터치 라인은 상기 제 1 터치 링크의 상기 제 2 단부와 연결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라인은 상기 터치 전극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자 기판과 상기 발광 소자 사이에 위치하는 오버 코트층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 1 터치 링크 및 상기 제 2 터치 링크는 각각 상기 소자 기판과 상기 오버 코트층 사이에 위치하는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터치 링크의 상기 제 1 단부는 상기 소자 기판과 상기 제 2 터치 링크 사이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소자 기판과 상기 오버 코트층 사이에 위치하는 박막 트랜지스터를 더 포함하되,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는 반도체 패턴 상에 위치하는 게이트 절연막, 상기 게이트 절연막 상에 위치하는 게이트 전극, 상기 게이트 전극 상에 위치하는 제 1 층간 절연막 사이에 위치하는 게이트 전극, 상기 제 1 층간 절연막 상에 위치하는 제 2 층간 절연막, 상기 제 2 층간 절연막 상에 위치하는 소스 전극 및 상기 소스 전극과 이격되는 드레인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터치 링크는 상기 제 2 층간 절연막 상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터치 링크는 상기 소스 전극 및 상기 드레인 전극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터치 링크는 상기 제 1 층간 절연막과 상기 제 2 층간 절연막 사이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봉지 부재는 상기 제 1 터치 링크의 상기 제 2 단부를 노출하는 터치 컨택홀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소자 기판 상에 위치하는 봉지 부재;
    상기 봉지 부재 상에 위치하는 터치 전극;
    상기 터치 전극과 연결되고, 제 1 방향으로 연장하는 터치 라인;
    상기 제 1 방향으로 연장하며, 상기 봉지 부재와 중첩하는 제 1 단부 및 상기 터치 라인과 연결되는 제 2 단부를 포함하는 제 1 터치 링크;
    상기 제 1 터치 링크의 상기 제 1 단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 1 방향과 수직한 제 2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 2 터치 링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터치 링크의 상기 제 2 단부는 상기 봉지 부재의 외측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라인은 상기 터치 전극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터치 링크 및 상기 제 2 터치 링크는 상기 소자 기판과 상기 봉지 부재 사이에 위치하는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터치 링크는 상기 제 1 터치 링크와 다른 물질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터치 링크의 상기 제 1 단부는 상기 터치 전극과 중첩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90078111A 2019-06-28 2019-06-28 봉지 부재 상에 위치하는 터치 전극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10001676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8111A KR20210001676A (ko) 2019-06-28 2019-06-28 봉지 부재 상에 위치하는 터치 전극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US16/908,294 US11188162B2 (en) 2019-06-28 2020-06-22 Display apparatus having a touch electrode on an encapsulating element
CN202010580020.6A CN112148144B (zh) 2019-06-28 2020-06-23 在封装元件上具有触摸电极的显示装置
DE102020116634.6A DE102020116634A1 (de) 2019-06-28 2020-06-24 Anzeigevorrichtung mit einer berührungselektrode auf einem verkapselungsele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8111A KR20210001676A (ko) 2019-06-28 2019-06-28 봉지 부재 상에 위치하는 터치 전극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1676A true KR20210001676A (ko) 2021-01-06

Family

ID=73747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8111A KR20210001676A (ko) 2019-06-28 2019-06-28 봉지 부재 상에 위치하는 터치 전극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188162B2 (ko)
KR (1) KR20210001676A (ko)
CN (1) CN112148144B (ko)
DE (1) DE10202011663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2216A (ko) * 2019-07-24 2021-02-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전극들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20047419A (ko) * 2020-10-08 2022-04-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CN112799550B (zh) * 2021-03-04 2024-04-09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触控显示面板及触控显示装置
WO2024029037A1 (ja) * 2022-08-04 2024-02-08 シャープディスプレイ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0117B1 (ko) * 2007-09-05 2008-06-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발광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271659B1 (ko) * 2014-08-29 2021-06-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패널 내장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
CN104391601A (zh) * 2014-11-24 2015-03-04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触控面板以及触摸式显示装置
KR102610710B1 (ko) * 2016-06-10 2023-12-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998831B1 (ko) * 2016-07-29 2019-07-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089340B1 (ko) * 2016-08-31 2020-03-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서를 가지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80028087A (ko) * 2016-09-07 2018-03-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102608954B1 (ko) * 2016-09-30 2023-12-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427667B1 (ko) * 2017-09-26 2022-08-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74754B1 (ko) * 2017-09-27 2022-03-1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구조물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148144B (zh) 2024-04-02
CN112148144A (zh) 2020-12-29
US20200409485A1 (en) 2020-12-31
DE102020116634A1 (de) 2020-12-31
US11188162B2 (en) 2021-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01676A (ko) 봉지 부재 상에 위치하는 터치 전극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JP7045441B2 (ja) 発光素子及びタッチ構造を含むタッチディスプレイ装置
KR20190036378A (ko) 터치 구조물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JP2019067755A (ja) 高熱伝導率の封止基板を含む有機発光表示装置
KR20200042752A (ko)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TWI758790B (zh) 具有觸控電極之顯示裝置
US11894506B2 (en) Display apparatus having a pad spaced away from an encapsulating element and a black matrix on the encapsulating element
KR102511044B1 (ko) 블랙 매트릭스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247825B1 (ko) 칼라 필터를 구비한 하부 발광형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20220149319A1 (en) Display Apparatus Having a Light-Emitting Device and a Touch Electrode
KR20210004356A (ko) 산화물 반도체 패턴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10012218A (ko) 터치 전극들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10080811A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KR20210086342A (ko) 산화물 반도체 패턴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00082434A (ko) 구동 회로 및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00064656A (ko) 컬러 필터들 및 차광 부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666875B1 (ko) 적어도 하나의 패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JP7378454B2 (ja) 有機発光表示装置
KR102607592B1 (ko)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US20220199715A1 (en) Display Apparatus Realizing a Narrow Viewing Angle
US20230209977A1 (en) Display device
JP2023063595A (ja) 透明タッチディスプレイ装置
KR20220075611A (ko) 발광 소자 및 뱅크 절연막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10086345A (ko) 산화물 반도체 패턴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30103711A (ko) 광학 렌즈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