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1642A - 층상이중수산화물 기반 흡착제의 제조방법 및 상기 흡착제를 이용한 수중 중금속이온의 제거방법 - Google Patents

층상이중수산화물 기반 흡착제의 제조방법 및 상기 흡착제를 이용한 수중 중금속이온의 제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1642A
KR20210001642A KR1020190078023A KR20190078023A KR20210001642A KR 20210001642 A KR20210001642 A KR 20210001642A KR 1020190078023 A KR1020190078023 A KR 1020190078023A KR 20190078023 A KR20190078023 A KR 20190078023A KR 20210001642 A KR20210001642 A KR 202100016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ed double
metal
double hydroxide
adsorbent
ni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80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봉
김병호
김수지
Original Assignee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780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01642A/ko
Publication of KR202100016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16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B01J20/04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compounds of alkali metals, alkaline earth metals or magnesium
    • B01J20/041Oxides or hydrox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B01J20/06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oxides or hydroxides of metal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0/04
    • B01J20/08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oxides or hydroxides of metal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0/04 comprising aluminium oxide or hydroxide; comprising bauxi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30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085Chemical treatments not covered by groups B01J20/3007 - B01J20/3078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inorganic sorb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1/00Nature of the contaminant
    • C02F2101/10Inorganic compounds
    • C02F2101/20Heavy metals or heavy metal compoun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ompounds Of Alkaline-Earth Elements, Aluminum Or Rare-Earth Metals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층상이중수산화물 기반 흡착제의 제조방법 및 상기 흡착제를 이용한 수중 중금속이온의 제거방법은 공침법을 통한 층상이중수산화물의 합성과정 중 질산염 기반의 전구체에서 3가금속에 대한 2가금속의 비율을 크게 증가시켜 합성 이후 별도의 처리과정 없이 간단하게 우수한 중금속 흡착능을 가지는 흡착제를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층상이중수산화물 기반 흡착제의 제조방법 및 상기 흡착제를 이용한 수중 중금속이온의 제거방법{Method of Preparing Layered Double Hydroxide Based Adsorbent and Method of Removing Heavy Metals in Water Using the Same Prepared thereby}
본 발명은 층상이중수산화물 기반 흡착제의 제조방법 및 상기 흡착제를 이용한 수중 중금속이온의 제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공침법을 통한 층상이중수산화물의 합성과정 중 질산염 기반의 전구체에서 3가금속에 대한 2가금속의 비율을 크게 증가시켜 우수한 중금속 흡착능을 가지는 흡착제를 제조하는 층상이중수산화물 기반 흡착제의 제조방법 및 상기 흡착제를 이용한 수중 중금속이온의 제거방법에 관한 것이다.
산업화로 인해 여러 분야에서 중금속을 함유한 다량의 폐수가 무분별하게 배출되면서 수질 오염으로 인한 환경 오염이 심화되고 있다. 특히, 식수 내 중금속 농도가 높아지게 되면 체내 축적으로 인한 다양한 질병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중금속 제거 기술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수중 중금속 이온을 제거하기 위한 방법으로 흡착, 이온 교환, 분리막, 역삼투 등 다양한 방법들이 있으며, 이 중 경제성과 적응성에 강점이 있는 흡착을 중금속 이온 제거에 적용한다. 그 중 층상이중수산화물(layered double hydroxide, LDH)는 Mg(OH)6 팔면체가 반복된 층상 구조에 3가 양이온이 치환되면서 생기는 이중층 형태를 나타내며 층 사이에는 음이온이 존재하는 구조를 가진다. 화학식 [M2+ 1-xL3+ x(OH)2]x+[(An-)n/2·mH2O]x-으로 표시되며, M은 2가 금속이고, L은 3가 금속이며, An-는 n의 원자가를 갖는 음이온이다. 가격이 저렴하고 흡착 속도가 빠르며, 환경친화적인 물질이라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한편, 하이드로탈사이트류 화합물(hydrotalcite-like compound), 음이온성점토(anion clay minerals), 층상혼합금속수화물(layered mixed metal hydroxides), 층상이중수산화물(layered double hydroxides: LDH)로 일컬어지는 층상복합수화물(layered mixed hydroxides)은 자연상태로 일부지역에 적은 량이 존재하며, 전 세계적으로 그 매장량은 2,000에서 3,000톤 정도이다. 천연의 하이드로탈사이트(natural hydrotalcite)는 항상 페닌(penninite)와 백운모(muscovite)와 같은 다른 광물들을 포함하고 있으며, 또한 중금속과 같은 불순물을 다량 함유하고 있다. 이러한 불순물의 제거 현실적으로 불가능하여 산업화가 불가능하다. 그러나 층상복합수화물은 실험실에서 쉽게 합성이 가능한 물질로 다음과 같은 일반식으로 표현된다.
M(Ⅱ)1-x M(Ⅲ)x (OH)2Xm- x/m·nH2O
x = M(Ⅲ)/{M(Ⅱ) + M(Ⅲ)}
M(Ⅱ)는 Mg2+, Ni2+, Zn2+, Mn2+ 등이고, M(Ⅲ)는 Al3+, Fe3+, Co3+, Cr3+ 등이고 Xm- 는 NO3 2-, CO3 2-, Cl- 등이며 x의 범위는 0.17< x < 0.33이다.
층상복합수화물 연구에 있어서 초기에는 주로 천연물질에 대한 구조 규명에 관한 연구를 하여왔으나 최근 20년 동안 그 합성법, 층간음이온삽입, 가교물질의 합성, 촉매활성, 열적안정성, 제산능력, 기억효과를 이용한 재수화반응들의 특성과 화학반응의 규명에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현재 LDH의 산업적 이용을 도모함에 대한 연구들이 활발히 전개되며 표면처리를 이용한 고분자내의 활용에 대한 연구와 환경오염물질의 제거를 위한 제거제로서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LDH의 제조법에는 공침법과 수열합성(hydrothermal)법이 있는데, 공침법에 의한 LDH의 제조는 수용성 염인 마그네슘 염화물 및 질산염(MgCl2, MgNO3) 등을 마그네슘원으로, 알루미늄원으로는 마그네슘과 같은 수용성 염인 염화알루미늄 또는 질산알루미늄을 수용액 상태로 사용하며 pH 하락을 막기 위하여 수산화나트륨(NaOH)수용액을 일정속도로 첨가하여 pH 9-12 범위 중 선택하여 고정한다. 반응온도는 40-100℃ 범위 중 선택하여 유지 반응 후 여과를 실시하고 탄산이온이 녹아 있는 수용액에 일정시간 교반 후 세척하여 건조한다. 이 반응의 장점은 비교적 용이한 반응조건을 가지고 있으나 용해성 음이온에 의한 과다한 세척이 요구되는 단점이 있다.
수열합성법에 의한 LDH의 제조는 난용성염인 Mg(OH)2와 Al(OH)3를 이용하여 반응을 진행하는 것으로 난용성염을 중탄산나트륨(NaHCO3)이 용해되어 있는 수용액에 슬러리화 한 후 120-180℃ 온도의 오토클레이브 반응기에서 반응하는 방법으로 반응온도와 반응시간 및 압력에 지배되는 반응이다. 반응조건의 달성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으나 반응공정이 간단하고 세척이 용이하다. 단점으로 NaOH가 생성됨으로 부산물의 발생 및 pH 상승으로 인한 수질 오염원 유발이 산업화의 문제점이다.
LDH는 주로 공침법을 통해 합성이 이루어지며, 물에 잘 녹는 질산염 형태의 전구체를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구조를 이루는 2가 양이온(M2+)과 3가 양이온(M3+)으로 마그네슘(Mg2+)과 알루미늄(Al3+)이 사용되며, 기존 중금속 이온 제거에 사용된 LDH는 Mg2+/Al3+ 비율이 2에서 3 사이의 값을 가지고 있으며, 그 자체의 중금속 흡착능은 낮은 편이다. 따라서 흡착능 향상을 위해 황화합물 기반 금속 전구체를 사용하여 별도의 음이온 교환 과정을 거쳐야 하는 제조공정 상의 어려움이 존재한다. 또한, 최근 LDH를 기반으로 한 중금속 흡착에서 층 사이의 음이온을 중금속 제거 성능이 있는 Sx 2-, MoS4 2- 등의 음이온으로 치환하여(각각 J. Mater. Chem. A,2014, 2,10280-10289; J. Am. Chem. Soc. 2016, 138, 2858-2866) 흡착능을 증진시키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흡착제 제조 과정이 복잡하고 제조단가가 비싸며, 치환되는 음이온이 환경 오염을 일으킬 수 있다는 문제점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예의 노력한 결과, 공침법을 통한 LDH 합성과정 중 질산염 기반 전구체의 M2+/M3+ 비율을 크게 증진시켜 합성 이후 별도의 처리과정 없이 간단하게 우수한 중금속 흡착능을 가지는 흡착제를 제조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수중 중금속 이온 흡착능이 우수한 층상이중수산화물 기반 흡착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중 중금속 이온 흡착능이 우수한 층상이중수산화물 기반 상기 흡착제를 이용한 중금속 이온 흡착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2가금속 질산염(M(NO3)2)과 3가금속 질산염(L(NO3)3)을 포함하고 상기 L에 대한 M의 몰비가 10~100인 질산염 전구체와 알칼리금속 탄산염을 혼합한 다음, pH를 염기성으로 조절하여 2가금속의 수산화물(M(OH)2)이 공침되어 있는 복합 금속 수산화물을 형성하는 단계; 및 (b) 상기 형성된 복합 금속 수산화물을 분리 및 세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층상이중수산화물 기반 흡착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되고, 3가금속에 대한 2가금속의 몰비가 10~100이며, 2가금속의 수산화물과 층상이중수산화물이 공존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상이중수산화물 기반 흡착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층상이중수산화물 기반 흡착제를 수중에 Cd2+, Co2+, Cr2+, Cu2+, Hg+, Ni2+, Pb2+ 및 Zn2+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중금속을 함유하는 혼합물과 접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중금속이온의 제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층상이중수산화물 기반 흡착제의 제조방법은 금속 전구체 몰비율의 조절을 통하여 층상이중수산화물 기반 흡착제의 수중 중금속의 흡착성능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층상이중수산화물 기반 흡착제의 흡착 메커니즘이 수중에 있는 Cu2+ 이온과 흡착제 표면의 Mg2+ 이온의 이온교환이라는 점을 통해, 기존에 황화합물 기반 전구체를 사용한 별도의 이온교환 과정을 생략하고 층상이중수산화물 구조 내의 마그네슘 비율을 높임으로써 수중 중금속 흡착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층상이중수산화물 기반 흡착제는 구리 제거 흡착제로도 적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층상이중수산화물 기반 흡착제의 합성 방법을 간략하게 도식화한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Mg/Al 비율에 따른 층상이중수산화물 기반 흡착제의 XRD 스펙트럼이다(○: 층상이중수산화물, ◆: Mg(OH)2-).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Mg/Al 비율 변화에 따른 층상이중수산화물 기반 흡착제의 Cu2+ 이온에 대한 흡착능(원수: Cu2+ 30 ppm (총 100 ml), 흡착제 양: 0.01 g, 접촉 시간: 24시간, 혼합 속도 및 온도: 200 rpm, 상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다른 식으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전문가에 의해서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명명법은 본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고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공침법을 통해 층상이중수산화물 기반 흡착제를 제조할 때 질산염 기반 전구체인 마그네슘 질산염과 알루미늄 질산염의 몰 비율을 10 내지 100의 범위로 증가시킬 경우 합성 이후 이온교환 등 별도의 처리 없이 단순히 전구체의 몰비율의 변화를 통해 높은 수중 중금속 흡착능을 가지는 흡착제를 제조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일 관점에서, (a) 2가금속 질산염(M(NO3)2)과 3가금속 질산염(L(NO3)3)을 포함하고 상기 L에 대한 M의 몰비가 10~100인 질산염 전구체와 알칼리금속 탄산염을 혼합한 다음, pH를 염기성으로 조절하여 2가금속의 수산화물(M(OH)2)이 공침되어 있는 복합 금속 수산화물을 형성하는 단계; 및 (b) 상기 형성된 복합 금속 수산화물을 분리 및 세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층상이중수산화물 기반 흡착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본 발명은 새롭게 합성된 층상이중수산화물 기반 흡착제를 수중 중금속 흡착제로 이용하고 그 성능을 파악하였다. 상기 합성 방법을 활용한 층상이중수산화물 기반 흡착제의 중금속 흡착 성능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보고된 바가 없으며, 기존에 보고된 다른 흡착제들에 비해 더 우수한 성능을 가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층상이중수산화물 기반 흡착제의 제조방법은 (a) 2가금속 질산염(M(NO3)2)과 3가금속 질산염(L(NO3)3)을 포함하고 상기 L에 대한 M의 몰비가 10~100인 질산염 전구체와 알칼리금속 탄산염을 혼합한 다음, pH를 염기성으로 조절하여 2가금속의 수산화물(M(OH)2)이 공침되어 있는 복합 금속 수산화물을 형성하는 단계; 및 (b) 상기 형성된 복합 금속 수산화물을 분리 및 세척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존의 층상이중수산화물 기반 흡착제 제조 시 금속 전구체로 쓰이는 Al(NO3)3와 Mg(NO3)2의 몰 비율을 변화시키면서 음이온을 공급해주는 Na-2(CO)3과 함께 증류수에서 섞어주고 용액의 pH를 10으로 유지하지 위해 NaOH 용액을 주입하면서 반응을 진행시킨다. 60
Figure pat00001
에서 하루 동안 숙성 과정을 거친 용액을 원심분리를 이용해 분리하고 증류수를 이용한 세척 과정을 진행한 후 건조하여 분말 형태의 흡착제를 제조한다.
본 발명의 층상이중수산화물 기반 흡착제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L에 대한 M의 몰비는 10~100, 바람직하게는 25~100, 더욱 바람직하게는 25~40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층상이중수산화물 기반 흡착제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에이징, 필터링 및 건조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2가금속(M)은 마그네슘(Mg), 칼슘(Ca), 스트론튬(Sr) 및 바륨(Ba)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마그네슘, 칼슘 또는 바륨을 사용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마그네슘을 사용한다.
상기 3가금속(L)은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Al)을 사용한다.
상기 알칼리금속은 리튬(Li), 나트륨(Na), 칼륨(K), 루비듐(Rb) 및 세슘(Cs)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나트륨 또는 칼륨을 사용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칼륨을 사용한다.
상기 알칼리금속 탄산염은 탄산칼륨(Na2CO3)이고, 상기 2가금속 질산염은 질산마그네슘(Mg(NO3)2)이며, 상기 3가금속 질산염은 질산알루미늄(Al(NO3)3)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층상이중수산화물 기반 흡착제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흡착제는 흡착제 내 Mg/Al 비율이 높아질수록 각 중금속에 대한 흡착능이 높아지고, 중금속에 대해 70% 이상의 높은 제거율을 보이며, 특히 Cu2+에 대한 선택도가 높아, 수중 중금속 이온 제거용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른 관점에서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되고, 3가금속에 대한 2가금속의 몰비가 10~100이며, 2가금속의 수산화물과 층상이중수산화물이 공존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상이중수산화물 기반 흡착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 다른 관점에서 상기 층상이중수산화물 기반 흡착제를 수중에 Cd2+, Co2+, Cr2+, Cu2+, Hg+, Ni2+, Pb2+ 및 Zn2+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중금속을 함유하는 혼합물과 접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중금속이온의 제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형태로서 흡착제 내 Mg/Al 비율이 각각 10 이하인 구간, 15~40인 구간, 60~100인 구간 내에서는 Mg/Al 비율이 높아질수록 각 중금속에 대한 흡착능이 높아진다. 특히, Mg/Al 비율이 40인 흡착제의 경우 Cd2+와 Hg+ 이온을 제외한 6종의 중금속에 대해 70% 이상의 높은 제거율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Cu2+에 대한 선택도가 높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는 해당 흡착제들의 구리 흡착 메커니즘이 수중의 Cu2+ 이온과 흡착제 표면의 Mg2+ 이온이 상호 교환되면서 Cu2+ 이온이 흡착제 표면에서 침전되는 과정임을 고려할 때, Mg/Al 비율이 높아짐에 따라 흡착능이 증가되는 것으로 파악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실시예 1~9: 층상이중수산화물 기반 흡착제의 제조
도 1에 나타낸 방법에 따라 층상이중수산화물 기반 흡착제를 제조하였다.
금속 전구체로 쓰이는 Al(NO3)3와 Mg(NO3)2의 몰비율을 변화시키면서(Mg/Al의 몰비율= 10:1, 15:1, 20:1, 25:1, 30:1, 40:1, 60:1, 80:1, 100:1) 음이온을 공급해주는 Na-2(CO)3과 함께 증류수에서 섞어주고 용액의 pH를 10으로 유지하지 위해 NaOH 용액을 주입하면서 반응을 진행시켰다. 60
Figure pat00002
에서 하루 동안 숙성 과정을 거친 용액을 원심분리를 이용해 분리하고 증류수를 이용한 세척 과정을 진행한 후 건조하여 분말 형태의 흡착제를 제조하였다.
층상이중수산화물 기반 흡착제의 XRD 분석
도 2는 층상이중수산화물 기반 흡착제 제조 과정에서 Mg/Al 몰 비율을 달리하여 합성한 흡착제들의 XRD 분석 결과이다. Mg/Al 비율을 달리함에 따라 Mg/Al 비율이 10 이하인 구간과 15~40인 구간, 60 이상인 구간 이렇게 크게 3가지 구조가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다. Mg/Al 비율이 10 이하인 흡착제에서는 층상이중수산화물 구조가 지배적이며, Mg/Al 비율이 15~40인 흡착제에서는 층상이중수산화물 구조와 Mg(OH)2 구조가 동시에 나타남을 층상이중수산화물의 (003)면 피크의 크기 변화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층상이중수산화물 구조에서 보이는 (003)면 피크가 사라짐을 통해 Mg/Al 비율이 60 이상인 흡착제에서는 Mg(OH)2 구조가 지배적임을 확인할 수 있다.
층상이중수산화물 기반 흡착제의 중금속 흡착능 분석
Mg/Al 비율 변화에 따른 층상이중수산화물 기반 흡착제의 중금속 8종에 대한 흡착능을 측정하여 표 1에 나타내었다.
(원수: 중금속 8종 이온 각각 10 ppm (총 100 ml 수용액), 흡착제 양: 0.03 g, 접촉 시간: 24시간, 혼합 속도 및 온도: 200 rpm, 상온)
Figure pat00003
표 1은 층상이중수산화물 기반 흡착제들의 4대 유해 중금속(수은, 크롬, 카드뮴, 납)을 포함한 8종의 중금속 흡착 성능을 확인한 결과이다. 해당 결과를 통해 흡착제 내 Mg/Al 비율이 각각 10 이하인 구간(Mg/Al 비율이 3인 MG70 포함), 15~40인 구간, 60~100인 구간 내에서는 Mg/Al 비율이 높아질수록 각 중금속에 대한 흡착능이 높아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Mg/Al 비율이 40인 흡착제의 경우 Cd2+와 Hg+ 이온을 제외한 6종의 중금속에 대해 70% 이상의 높은 제거율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Cu2+에 대한 선택도가 높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는 해당 흡착제들의 구리 흡착 메커니즘이 수중의 Cu2+ 이온과 흡착제 표면의 Mg2+ 이온이 상호 교환되면서 Cu2+ 이온이 흡착제 표면에서 침전되는 과정임을 고려할 때, Mg/Al 비율이 높아짐에 따라 흡착능이 증가되는 것으로 파악된다.
도 3은 층상이중수산화물 기반 흡착제들의 Cu2+ 이온에 대한 흡착 성능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8종의 중금속 흡착 결과에서 확인한 것과 마찬가지로 Cu2+ 이온의 경우에도 흡착제 내 Mg/Al 비율이 각각 10 이하인 구간, 15~40인 구간, 60~100인 구간 내에서는 Mg/Al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흡착능이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으며, 특히 Mg/Al이 40일 때 최대 흡착능(283 mg/g)을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층상이중수산화물 구조를 기반으로 하는 흡착제들 중에서 층상이중수산화물 구조와 Mg(OH)2 구조가 공존하는 구간에서 Mg/Al 비율을 가장 높였을 때 중금속 이온에 대한 최대 흡착능을 보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 일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9)

  1. 다음 단계를 포함하는 층상이중수산화물 기반 흡착제의 제조방법:
    (a) 2가금속 질산염(M(NO3)2)과 3가금속 질산염(L(NO3)3)을 포함하고, 상기 L에 대한 M의 몰비가 10~100인 질산염 전구체와 알칼리금속 탄산염을 혼합한 다음, pH를 염기성으로 조절하여 2가금속의 수산화물(M(OH)2)이 공침되어 있는 복합 금속 수산화물을 형성하는 단계; 및
    (b) 상기 형성된 복합 금속 수산화물을 분리 및 세척하는 단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이후에 에이징, 필터링 및 건조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층상이중수산화물 기반 흡착제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가금속(M)은 마그네슘(Mg), 칼슘(Ca), 스트론튬(Sr) 및 바륨(Ba)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상이중수산화물 기반 흡착제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가금속(L)은 알루미늄(A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상이중수산화물 기반 흡착제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칼리금속은 리튬(Li), 나트륨(Na), 칼륨(K), 루비듐(Rb) 및 세슘(Cs)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상이중수산화물 기반 흡착제의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칼리금속 탄산염은 탄산칼륨(Na2CO3)이고, 상기 2가금속 질산염은 질산마그네슘(Mg(NO3)2)이고, 상기 3가금속 질산염은 질산알루미늄(Al(NO3)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상이중수산화물 기반 흡착제의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수중 중금속 이온 제거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상이중수산화물 기반 흡착제의 제조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되고, 3가금속에 대한 2가금속의 몰비가 10~100이며, 2가금속의 수산화물과 층상이중수산화물이 공존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상이중수산화물 기반 흡착제.
  9. 제8항의 층상이중수산화물 기반 흡착제를 수중에 Cd2+, Co2+, Cr2+, Cu2+, Hg+, Ni2+, Pb2+ 및 Zn2+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중금속을 함유하는 혼합물과 접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중금속이온의 제거방법.
KR1020190078023A 2019-06-28 2019-06-28 층상이중수산화물 기반 흡착제의 제조방법 및 상기 흡착제를 이용한 수중 중금속이온의 제거방법 KR202100016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8023A KR20210001642A (ko) 2019-06-28 2019-06-28 층상이중수산화물 기반 흡착제의 제조방법 및 상기 흡착제를 이용한 수중 중금속이온의 제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8023A KR20210001642A (ko) 2019-06-28 2019-06-28 층상이중수산화물 기반 흡착제의 제조방법 및 상기 흡착제를 이용한 수중 중금속이온의 제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1642A true KR20210001642A (ko) 2021-01-06

Family

ID=74128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8023A KR20210001642A (ko) 2019-06-28 2019-06-28 층상이중수산화물 기반 흡착제의 제조방법 및 상기 흡착제를 이용한 수중 중금속이온의 제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01642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04890A (zh) * 2021-12-30 2022-06-10 南京大学扬州化学化工研究院 一种氢氧化铜纳米管及氧化铜纳米管的制备方法
KR20230028820A (ko) * 2021-08-19 2023-03-03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천연계와 합성계 점토 복합물질 기반 중금속 흡착제 및 그 제조방법
CN115814753A (zh) * 2022-11-30 2023-03-21 中国科学院东北地理与农业生态研究所 一种铁钙层状双金属氢氧化物除磷剂的制备方法
CN115947339A (zh) * 2022-12-21 2023-04-11 中国科学院南京土壤研究所 层状双金属氢氧化物改性多壁碳纳米管及制备方法和应用、PFASs污染水体的处理方法
CN116199267A (zh) * 2023-02-01 2023-06-02 中国科学院南京土壤研究所 一种利用高铁镁酸性矿井水合成的层状双氢氧化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230159958A (ko) 2022-05-16 2023-11-23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칼슘-알루미늄 층상 이중 수산화물로부터의 혼합 금속 산화물 기반의 고온 이산화탄소 흡착제 및 이의 제조 방법
CN115947339B (zh) * 2022-12-21 2024-06-07 中国科学院南京土壤研究所 层状双金属氢氧化物改性多壁碳纳米管及制备方法和应用、PFASs污染水体的处理方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8820A (ko) * 2021-08-19 2023-03-03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천연계와 합성계 점토 복합물질 기반 중금속 흡착제 및 그 제조방법
CN114604890A (zh) * 2021-12-30 2022-06-10 南京大学扬州化学化工研究院 一种氢氧化铜纳米管及氧化铜纳米管的制备方法
KR20230159958A (ko) 2022-05-16 2023-11-23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칼슘-알루미늄 층상 이중 수산화물로부터의 혼합 금속 산화물 기반의 고온 이산화탄소 흡착제 및 이의 제조 방법
CN115814753A (zh) * 2022-11-30 2023-03-21 中国科学院东北地理与农业生态研究所 一种铁钙层状双金属氢氧化物除磷剂的制备方法
CN115947339A (zh) * 2022-12-21 2023-04-11 中国科学院南京土壤研究所 层状双金属氢氧化物改性多壁碳纳米管及制备方法和应用、PFASs污染水体的处理方法
CN115947339B (zh) * 2022-12-21 2024-06-07 中国科学院南京土壤研究所 层状双金属氢氧化物改性多壁碳纳米管及制备方法和应用、PFASs污染水体的处理方法
CN116199267A (zh) * 2023-02-01 2023-06-02 中国科学院南京土壤研究所 一种利用高铁镁酸性矿井水合成的层状双氢氧化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01642A (ko) 층상이중수산화물 기반 흡착제의 제조방법 및 상기 흡착제를 이용한 수중 중금속이온의 제거방법
US11559783B2 (en) Method for producing an adsorbent material and method for extracting lithium from saline solutions using the material
KR100384256B1 (ko) 고온용으로 적합한 산화마그네슘 함유 이산화탄소 흡착제
Cheng et al. Phosphate adsorption from sewage sludge filtrate using zinc–aluminum layered double hydroxides
WO2019122398A1 (en) Lanthanide-doped layered double hydroxides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JP5463525B2 (ja) 選択吸着剤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WO2009072488A1 (ja) 陰イオン交換性層状複水酸化物の製造方法
US10786802B2 (en) Process for preparing an adsorbing material comprising a precipitating step of boehmit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nd process for extracting lithium from saline solutions using this material
JP6664631B2 (ja) リン吸着剤、吸着剤の製造方法および吸着剤を用いた吸着方法
KR102093442B1 (ko) 이산화탄소 흡착제와 그 제조방법, 이를 포함한 이산화탄소 포집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분리 방법
KR102227515B1 (ko) 제올라이트 및 그 제조방법
US20180345244A1 (en) Method for preparing an adsorbent material comprising a step of basic mixing, and method for extracting lithium from saline solutions using said material
CA2381386C (en) Process for producing mg-containing non-al anionic clay
CN109692648B (zh) 高效吸附水中硫酸根离子的吸附剂及其制备方法
CN103303996B (zh) 具有不同表面特征的活性铝氧化物除氟吸附材料的应用
Zhang et al. Removal of Cd2+ from water by Friedel's salt (FS: 3CaO· A12O3· CaCl2· 10H2· O): Sorption characteristics and mechanisms
US11554358B2 (en) Process for preparing an adsorbent material and process for extracting lithium using said material
CN103274491A (zh) 一种用镁铝水滑石吸附去除水中钒的方法
KR20150104479A (ko) 이산화탄소 포집용 흡착제 및 그 제조방법
CN104724740B (zh) 一种高纯超细氢氧化铝粉的制备方法
US20120024027A1 (en) Water purification material, water purification method, phosphate fertilizer precurs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phosphate fertilizer precursor
WO2018109823A1 (ja) ストロンチウムイオン吸着剤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2062201A (zh) 焙烧态水铝钙石吸附去除水中草甘膦的方法
JP6028652B2 (ja) フッ素イオン吸着剤の製造方法及びフッ素イオン吸着剤
JP2008029985A (ja) 陰イオン吸着剤再生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陰イオン吸着剤の再生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