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1562U - 정압기의 개도율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정압기의 개도율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1562U
KR20210001562U KR2020190005337U KR20190005337U KR20210001562U KR 20210001562 U KR20210001562 U KR 20210001562U KR 2020190005337 U KR2020190005337 U KR 2020190005337U KR 20190005337 U KR20190005337 U KR 20190005337U KR 20210001562 U KR20210001562 U KR 2021000156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static pressure
differential pressure
static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53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4171Y1 (ko
Inventor
이동은
서상호
남형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Priority to KR20201900053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4171Y1/ko
Publication of KR2021000156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156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41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417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DPIPE-LINE SYSTEMS; PIPE-LINES
    • F17D5/00Protection or supervision of installations
    • F17D5/02Preventing, monitoring, or locating loss
    • F17D5/06Preventing, monitoring, or locating loss using electric or acoustic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2Special adaptations of indicating, measuring, or monitoring equipment
    • F17C13/025Special adaptations of indicating, measuring, or monitoring equipment having the pressure as the parame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DPIPE-LINE SYSTEMS; PIPE-LINES
    • F17D1/00Pipe-line systems
    • F17D1/02Pipe-line systems for gases or vapours
    • F17D1/04Pipe-line systems for gases or vapours for distribution of ga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DPIPE-LINE SYSTEMS; PIPE-LINES
    • F17D3/00Arrangements for supervising or controlling working operations
    • F17D3/01Arrangements for supervising or controlling working operations for controlling, signalling, or supervising the conveyance of a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easuring Fluid Press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정압기의 동작시 발생되는 상,하부챔버의 차압을 차압계에서 지시하여 정확하게 작업자에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신호출력선을 통해 외부로 전송함으로써, 원격에서 현장의 정압기 개도율을 감시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정압기의 개도율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정압기의 개도율 표시장치{a valve position indicator of natural gas Pressure Control Valve}
본 고안은 정압기의 개도율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정압기의 동작시 발생되는 상,하부챔버의 차압을 차압계에서 지시하여 정확하게 작업자에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신호출력선을 통해 외부로 전송함으로써, 원격에서 현장의 정압기 개도율을 감시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정압기의 개도율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LNG 운반선을 통해 수입된 액화천연가스(LNG; Liquefied Natural Gas)는 하역설비를 통해 육상기지의 저장탱크에 저장되었다가 기화설비에서 기화되어 공급관리소(governor station)로 공급된다.
기화설비에서는 천연가스의 열교환 효율과 기화설비로부터 공급관리소로의 수송밀도를 높이기 위하여, 고압, 예를 들어 약 70 bar 내외로 송출시킨다.
공급관리소로부터는 전국 각 지점의 발전소 및 도시가스사 등 천연가스 수요처로 기화가스 공급이 이루어진다.
이때, 공급관리소에서는 정압설비를 이용하여, 기화설비로부터 공급받은 기화가스를 일정한 압력으로 감압시켜 천연가스 수요처로 공급한다.
이렇듯 전국에 설치되어 있는 정압설비의 수는 백여개에 달하며(국내 기준), 여러 형태의 표준화된 정압설비들이 설치 및 운영 중이다.
또한, 청정에너지인 천연가스의 수요 급증에 따라 전국적인 가스 배관망이 확대되고 있고, 이에 정압설비의 설치 개수는 계속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정압설비는 일반적으로, 실제적으로 감압이 실시되는 정압기(regulator)와 정압기 후단에 구비되는 슬램셧 밸브(Slam Shut Valve)가 직렬로 연결되어 구성된다.
슬램셧 밸브는, 정압기의 이상 발생 등으로 정압기 후단 압력이 설정 압력 이상으로 증가한 경우 자동으로 닫힘으로써 정압기 후단 압력이 위험수준으로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천연가스 보급 전국 확대 시행에 따른 공사내 소규모 공급유량 관리소의 증가에 따라 당초 설계 유량값 이하의 공급물량이 형성되는 공급관리소가 증가함에 따라, 이에 따른 운영중인 계량설비의 최소유량값 이하가 지속 공급될 경우 미계량 및 계량오차가 발생될 수 있다. 이에, 관리소 근무자 또는 통제소에서 수동으로 단속 운전을 시행하고 있다.
공급관리소별로 도시가스사와의 라인팩에 따라 수시로 단속 운전 필요에 따라 24시간 공급 유량값을 주시해야 하는 근무자의 업무 고충이 발생하고 있으며, 자칫 공급압력 저하 및 미계량 오차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종래, 정압 관리소의 계량설비 자동 운전의 경우 도시가스사 공급 유량에 따라 계량배관 A, B, C 열 각 용량에 맞게 순차적으로 자동 운전되고 있다.
종래 천연가스 정압설비와 관련된 종래 선행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92640호 "천연가스 정압설비의 시운전 시스템"(등록일자 : 2019.06.19)에 개시된 바와 같이, 천연가스를 감압시켜 일정한 압력으로 가스 수요처로 공급하는 정압기; 상기 정압기로 공급되는 천연가스의 압력을, 상기 정압기로부터 가스 수요처로 공급되는 천연가스의 압력보다 높은 압력으로 1차 감압시키는 피더; 상기 피더에서 1차 감압된 천연가스를 2차 감압시켜 상기 정압기로 공급함으로써 상기 정압기의 개폐 정도를 조절하는 파일럿; 및 질소를 저장하는 질소 탱크;를 포함하고, 상기 질소 탱크에 저장된 질소가 상기 피더로 공급되도록 연결되는 제1 질소라인; 및 상기 질소 탱크에 저장된 질소가 상기 정압기로 공급되도록 연결되는 제2 질소라인;을 더 포함하여, 상기 정압기의 시운전시, 상기 질소 탱크에 저장된 질소를 이용하여 시운전을 실시하는, 천연가스 정압설비의 시운전 시스템이 제공된다.
기존 천연가스 정압기와 관련된 종래 선행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48334호 "천연가스 정압기의 개도 표시장치"(등록일자 : 2011.07.05)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정압기 하우징에 장착된 마운팅플레이트와; 상기 마운팅플레이트의 일측면에 장착되고, 액츄에이터로드가 상기 마운팅플레이트를 관통하여 타측면으로 돌출되어 있는 밸브개도전송기와; 상기 정압기 하우징 내부의 다이어프램에 연동되는 인디케이터로드와 상기 밸브개도전송기의 액츄에이터로드를 연결하여 인디케이터로드의 상승량에 따라 액츄에이터로드를 회동시키는 랙&피니언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기존 정압기는 원격감지시스템을 통하여 도시가스사 및 발전소의 공급 유량을 감시하여 원하는 압력을 전송기를 통해 개도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게 되어있다.
정압기의 개도 상태를 표시하는 기존의 개도율 표시장치는 링크식 구조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오작동 및 개도시점을 정확히 알 수 없는 구조로 되어 있다.
현재 정압기의 개도율 표시장치의 구조는 정압기의 Main Body에 설치되어 있는 Diaphragm의 움직이는 정도에 따라 개도율(Open/Close)을 지시하는 구조로 되어있다.
링크식 개도율 표시장치는 Diaphragm에 로드로 연결되어 있어 로드의 간극, 볼트의 조임 상태, 링크의 위치에 따라 개도율(Open/Close)이 수시로 변하는 문제점과 Diaphragm에 로드로 연결된 부분에서 가스누설 위험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기존에는 정압설비의 운전상황 감시를 위해 현장에서는 정압설비 개도 정도를 나타내는 개도 지시계(포텐티오메터)를 사용하였으며, 원격감시를 위해 정압기 다이어프램 상부 커버에 포텐티오메터를 정압기 상부에 수직으로 설치하여 정압기 상,하 움직임으로 저항값을 검출하고 신호를 변환하여 전송하고 이를 원격감시용으로 사용하고 있다.
상기한 신호 검출 및 전송방법은 미세한 상,하 움직임 및 외부 진동에 대해 민감하게 저항값이 반응하게 되어 전송오차율이 크게 발생하므로, 안정적인 설비운영에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현장근무자 및 작업자의 판단착오로 인한 계통 오조작으로 이어질 경우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92640호 "천연가스 정압설비의 시운전 시스템"(등록일자 : 2019.06.19)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48334호 "천연가스 정압기의 개도 표시장치"(등록일자 : 2011.07.05)
본 고안은 상기한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정압기의 동작시 발생되는 상,하부챔버의 차압을 차압계에서 지시하여 정확하게 작업자에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신호출력선을 통해 외부로 전송함으로써, 원격에서 현장의 정압기 개도율을 감시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정압기의 개도율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다이어프램을 기준으로 상,하부챔버로 구분되는 정압기의 동작시 발생되는 상,하부챔버의 차압을 표시하는 차압계를 구비하는 정압기 개도율 표시장치로서, 상기 차압계는 상기 상부챔버와 정압기 가스 브리드와 배관 연결된 중압가스 인입구와, 상기 하부챔버와 배관 연결되고 프리레귤레이터와 배관 연결된 저압가스 인입구를 구비하여서, 상기 정압기의 동작시 상기 상,하부챔버 내의 차압 발생을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압계는 상기 정압기의 차압 발생시 이를 외부로 출력하는 신호출력선을 더 구비한다.
본 고안은 정압기의 동작시 발생되는 상,하부챔버의 차압을 차압계로 지시함으로써, 외부 요인으로 발생되는 오차를 차단하여 작업자에게 정확한 정압기의 개도율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신호출력선을 통해 외부로 전송함으로써, 원격에서 현장의 정압기 개도율을 감시할 수 있게 되어 설비 운영 상태를 정확히 식별할 수 있는 유용한 이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정압기의 개도율 표시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이하,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본 고안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기술하기로 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사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고안에 따른 정압기의 개도율 표시장치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이어프램(220)을 기준으로 상,하부챔버(240,230)로 구분되는 정압기(210)의 동작시 발생되는 상,하부챔버(240,230)의 차압을 표시하는 차압계(100)를 구비하는 정압기 개도율 표시장치로서, 상기 차압계(100)는 상기 상부챔버(240)와 정압기 가스 브리드와 배관 연결된 중압가스 인입구(130)와, 상기 하부챔버(230)와 배관 연결되고 프리레귤레이터(320)와 배관 연결된 저압가스 인입구(120)를 구비하여서, 상기 정압기(210)의 동작시 상기 상,하부챔버(240,230) 내의 차압 발생을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정압기(210)를 기준으로 좌측(전단측) 가스 압력을 1차측 압력이라 하고, 우측(후단측) 가스 압력을 2차측 압력이라 한다.
상기 정압기(210)의 하부챔버(230)에는 1차측 압력이 작용하게 되고, 상부챔버(240)에는 2차측 압력이 작용하게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1차측 압력 가스배관은 파일럿(310)의 일측에 연결되어 자켓압력이 전달되고, 파일럿(310)의 타측에 프리레귤레이터(320)가 배관 연결되며, 파일럿(310)의 일측과 타측 사이의 내부로 2차측 압력의 가스 센싱 압력이 작용하도록 배관이 연결된다.
상기 차압계(100)는 저압가스 인입구(120)와 중압가스 인입구(130)가 메니폴드에 각각 배관 연결되고, 상기 정압기(210)의 차압 발생시 이를 외부로 출력하는 신호출력선(140)이 구비된다.
상기 신호출력선(140)은 차압계(100)측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선의 기능을 겸하도록 할 수 있다.
1차측 자켓압력과 2차측 센싱압력에 대한 차압력이 파일럿(310)의 셋팅값 보다 크면 파일럿(310)은 동작하지 않으며, 2차측 센싱압력이 정압기 가스 브리드(250)로 흘러 들어가 정압기 상부챔버(240)와 하부챔버(230)의 압력값이 동일하게 된다.
따라서 차압계(100)의 중압가스 인입구(130)와 저압가스 인입구(120)를 통해 공급되는 중압과 저압의 압력 차이는 0Kpa이고, 차압계(100)는 0%를 지시하게 된다.
2차측 센싱 압력이 파일럿(310)과 프리레귤레이터(320)의 셋팅값 보다 작으면 파일럿(310)이 동작하고, 차압계(100)의 중압가스 인입구(130)에 가스의 흐름이 생기게 되고, 이에 따라 정압기(210)의 하부챔버(230)의 내부로 가스가 유입되면서 다이어프램(220)을 들어 올려 정압기(210)가 동작하게 된다.
상기한 정압기(210)의 동작시 다이어프램(220)을 들어올리게 됨에 따라, 상부챔버(240)의 저압가스가 정압기 가스 브리드(250)를 통해 차압계(100)의 저압가스 인입구(120)로 흐르게 된다.
정압기(210)가 동작할 때는 상,하부 챔버(240,230)에 차압이 발생하게 되며 이를 운전감시용 차압계(100)를 통해 현장지시 및 신호출력선(140)으로 원격감시가 가능하다.
차압계(100)의 정압기 개도 표시는 0%는 0Kpa, 100%는 500Kpa로 설정한다
즉, 상기 정압기(210)는 동작이 정지되어 있을 경우에는 파일럿(310)의 일측 자켓압력과 타측 센싱압력 차가 발생하지 않는 반면에, 정압기(210)가 동작할 경우에는 발생되는 상,하부챔버(240,230)의 차압을 현장에서 지시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기존의 개도율 표시장치와는 달리, 정압기(210)의 동작시 발생되는 상,하부챔버(240,230)의 차압을 차압계(100)로 지시함으로써, 외부 요인으로 발생되는 오차를 차단하여 작업자에게 정확한 정압기의 개도율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신호출력선(140)을 통해 외부로 전송함으로써, 원격에서 현장의 정압기 개도율을 감시할 수 있게 되어 설비 운영 상태를 정확히 식별할 수 있는 유용한 이점을 갖는다.
100 : 차압계 110 : 매니폴드
120 : 저압가스 인입구 130 : 중압가스 인입구
140 : 신호 출력선 210 : 정압기
220 : 다이어프램 230 : 하부챔버
240 : 상부챔버 250 : 정압기 가스 브리드
310 : 파일럿 320 : 프리레귤레이터

Claims (2)

  1. 다이어프램(220)을 기준으로 상,하부챔버(240,230)로 구분되는 정압기(210)의 동작시 발생되는 상,하부챔버(240,230)의 차압을 표시하는 차압계(100)를 구비하는 정압기 개도율 표시장치로서,
    상기 차압계(100)는 상기 상부챔버(240)와 정압기 가스 브리드(250)와 배관 연결된 중압가스 인입구(130)와,
    상기 하부챔버(230)와 배관 연결되고 프리레귤레이터(320)와 배관 연결된 저압가스 인입구(120)를 구비하여서,
    상기 정압기(210)의 동작시 상기 상,하부챔버(240,230) 내의 차압 발생을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압기 개도율 표시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압계(100)는 상기 정압기(210)의 차압 발생시 이를 외부로 출력하는 신호출력선(140)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압기 개도율 표시장치.
KR2020190005337U 2019-12-30 2019-12-30 정압기의 개도율 표시장치 KR2004941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5337U KR200494171Y1 (ko) 2019-12-30 2019-12-30 정압기의 개도율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5337U KR200494171Y1 (ko) 2019-12-30 2019-12-30 정압기의 개도율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1562U true KR20210001562U (ko) 2021-07-08
KR200494171Y1 KR200494171Y1 (ko) 2021-08-20

Family

ID=76861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5337U KR200494171Y1 (ko) 2019-12-30 2019-12-30 정압기의 개도율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4171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8334B1 (ko) 2008-11-25 2011-07-14 한국가스공사 천연가스 정압기의 개도 표시장치
JP2013517982A (ja) * 2010-01-29 2013-05-20 ロベルト・ボッシュ・ゲゼルシャフト・ミ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制御可能な空圧式ブレーキブースタおよびその作動方法
KR20140034604A (ko) * 2012-09-12 2014-03-20 코원에너지서비스 주식회사 가스 압력 조절기
KR20190064048A (ko) * 2017-11-30 2019-06-10 한국가스공사 천연가스 정압설비의 시운전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8334B1 (ko) 2008-11-25 2011-07-14 한국가스공사 천연가스 정압기의 개도 표시장치
JP2013517982A (ja) * 2010-01-29 2013-05-20 ロベルト・ボッシュ・ゲゼルシャフト・ミ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制御可能な空圧式ブレーキブースタおよびその作動方法
KR20140034604A (ko) * 2012-09-12 2014-03-20 코원에너지서비스 주식회사 가스 압력 조절기
KR20190064048A (ko) * 2017-11-30 2019-06-10 한국가스공사 천연가스 정압설비의 시운전 시스템
KR101992640B1 (ko) 2017-11-30 2019-06-25 한국가스공사 천연가스 정압설비의 시운전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4171Y1 (ko) 2021-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7151B1 (ko) 가스 공급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N208457582U (zh) 一种气动紧急切断阀阀位失气保持装置
US10344237B2 (en) System and method for odorizing natural gas
CN111992071A (zh) 一种氢能源利用燃气掺混系统及氢气和天然气配比控制方法
KR200494171Y1 (ko) 정압기의 개도율 표시장치
KR101333632B1 (ko) 온압 보정기 검사 장치, 시스템 및 방법
CN201714747U (zh) 一种液压流量报警装置
KR20190038625A (ko) 교정 가능한 방식으로 가스의 양을 검출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N106838606B (zh) 一种模块化、标准化的小型lng气化站及其设计方法
KR101992640B1 (ko) 천연가스 정압설비의 시운전 시스템
CN207112356U (zh) Lng供气装置及lng供气系统
CN203757278U (zh) 一种低温液体泄漏保护装置
CN113864635B (zh) 小型储罐供气方法及系统
KR200493407Y1 (ko) 정압기의 개도율 표시장치
CN107741296B (zh) 一种带电气比例阀的压力传感器自动调试装置
KR20130052915A (ko) 정압기 전동밸브의 오동작 방지장치
CN213930425U (zh) 燃气管网智能安全控制系统
CN112729720B (zh) 一种压力管道远程自动监测系统
US2694407A (en) Safety device for fluid pressure pipe lines
CN103742752A (zh) 一种低温液体泄漏保护装置
CN103292878A (zh) 高压天然气流量计检定装置
CN206582519U (zh) 低温杜瓦瓶撬
CN216345392U (zh) 一种用于智能微管网生态链的多功能测试装置
CN217816212U (zh) 一种自动氢气加注系统装置
CN103324184A (zh) 燃气输配监控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