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2640B1 - 천연가스 정압설비의 시운전 시스템 - Google Patents

천연가스 정압설비의 시운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2640B1
KR101992640B1 KR1020170163310A KR20170163310A KR101992640B1 KR 101992640 B1 KR101992640 B1 KR 101992640B1 KR 1020170163310 A KR1020170163310 A KR 1020170163310A KR 20170163310 A KR20170163310 A KR 20170163310A KR 101992640 B1 KR101992640 B1 KR 1019926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nitrogen
regulator
natural gas
fee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3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4048A (ko
Inventor
하광택
전인영
Original Assignee
한국가스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가스공사 filed Critical 한국가스공사
Priority to KR10201701633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2640B1/ko
Publication of KR201900640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40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26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26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DPIPE-LINE SYSTEMS; PIPE-LINES
    • F17D1/00Pipe-line systems
    • F17D1/02Pipe-line systems for gases or vapours
    • F17D1/065Arrangements for producing propulsion of gases or vapou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2Special adaptations of indicating, measuring, or monitoring equipment
    • F17C13/025Special adaptations of indicating, measuring, or monitoring equipment having the pressure as the parame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9/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charging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rom vessels not under pressure
    • F17C9/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charging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rom vessels not under pressure with change of state, e.g. vapori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DPIPE-LINE SYSTEMS; PIPE-LINES
    • F17D1/00Pipe-line systems
    • F17D1/02Pipe-line systems for gases or vapours
    • F17D1/04Pipe-line systems for gases or vapours for distribution of ga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DPIPE-LINE SYSTEMS; PIPE-LINES
    • F17D3/00Arrangements for supervising or controlling working operations
    • F17D3/01Arrangements for supervising or controlling working operations for controlling, signalling, or supervising the conveyance of a produ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1/00Handled fluid, in particular type of fluid
    • F17C2221/03Mixtures
    • F17C2221/032Hydrocarbons
    • F17C2221/033Methane, e.g. natural gas, CNG, LNG, GNL, GNC, PL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가스 정압설비의 시운전 시 천연가스를 사용하지 않을 수 있어, 사고 위험을 줄이고,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천연가스 정압설비의 시운전 시스템 및 시운전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천연가스 정압설비는, 천연가스를 감압시켜 일정한 압력으로 가스 수요처로 공급하는 정압기; 상기 정압기로 공급되는 천연가스의 압력을, 상기 정압기로부터 가스 수요처로 공급되는 천연가스의 압력보다 높은 압력으로 1차 감압시키는 피더; 상기 피더에서 1차 감압된 천연가스를 2차 감압시켜 상기 정압기로 공급함으로써 상기 정압기의 개폐 정도를 조절하는 파일럿; 및 질소를 저장하는 질소 탱크;를 포함하고, 상기 질소 탱크에 저장된 질소가 상기 피더로 공급되도록 연결되는 제1 질소라인; 및 상기 질소 탱크에 저장된 질소가 상기 정압기로 공급되도록 연결되는 제2 질소라인;을 더 포함하여, 상기 정압기의 시운전시, 상기 질소 탱크에 저장된 질소를 이용하여 시운전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천연가스 정압설비의 시운전 시스템 {Natural Gas Pressure Regulating Eqiupment Commissioning System}
본 발명은 천연가스 정압설비의 시운전 시 천연가스를 사용하지 않을 수 있어, 사고 위험을 줄이고,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천연가스 정압설비의 시운전 시스템 및 시운전 방법에 관한 것이다.
LNG 운반선을 통해 수입된 액화천연가스(LNG; Liquefied Natural Gas)는 하역설비를 통해 육상기지의 저장탱크에 저장되었다가 기화설비에서 기화되어 공급관리소(governor station)로 공급된다. 기화설비에서는 천연가스의 열교환 효율과 기화설비로부터 공급관리소로의 수송밀도를 높이기 위하여, 고압, 예를 들어 약 70 bar 내외로 송출시킨다.
공급관리소로부터는 전국 각 지점의 발전소 및 도시가스사 등 천연가스 수요처로 기화가스 공급이 이루어진다. 이때, 공급관리소에서는 정압설비를 이용하여, 기화설비로부터 공급받은 기화가스를 일정한 압력으로 감압시켜 천연가스 수요처로 공급한다.
이렇듯 전국에 설치되어 있는 정압설비의 수는 백여개에 달하며(국내 기준), 여러 형태의 표준화된 정압설비들이 설치 및 운영 중이다. 또한, 청정에너지인 천연가스의 수요 급증에 따라 전국적인 가스 배관망이 확대되고 있고, 이에 정압설비의 설치 개수는 계속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정압설비는 일반적으로, 실제적으로 감압이 실시되는 정압기(regulator)와 정압기 후단에 구비되는 슬램셧 밸브(Slam Shut Valve)가 직렬로 연결되어 구성된다. 슬램셧 밸브는, 정압기의 이상 발생 등으로 정압기 후단 압력이 설정 압력 이상으로 증가한 경우 자동으로 닫힘으로써 정압기 후단 압력이 위험수준으로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정압설비의 시운전, 예를 들어 작동압을 셋팅하거나, 이상 여부를 일시적 또는 정기적으로 검사하기 위해서는, 정압기 후단 배관에 설치된 차단밸브를 잠그고, 정압기를 조작하여 정압기 후단 압력을 인위적으로 상승시키면서 정압기와 슬램셧밸브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테스트하고, 작동압을 셋팅한다.
이때, 정압설비를 통한 천연가스의 흐름은 지속되어야만 하므로 정압기 후단 배관에 벤트호스를 연결하고, 정압기 후단 배관에 설치된 차단밸브를 열어, 시운전이 진행되는 동안에는 벤트호스를 통하여 천연가스를 대기중으로 배출하였다. 배출되는 천연가스는 시운전을 위해 인위적으로 압력을 상승시킨 것이므로, 적정 공급압력을 초과하여 천연가스 수요처로 공급할 수는 없다.
시운전을 위해 방산시키는 천연가스의 양은 분기당 1회 테스트 기준, 약 186Nm3에 달한다. 즉, 천연가스를 불필요하게 방산시키는 것으로 경제적 손실을 초래할 뿐 아니라, 메탄이 주성분인 천연가스를 그대로 대기중으로 방출하는 것은 환경 오염도 우려된다.
또한, 천연가스는 가연성 물질이며 폭발성을 가지며, 정압설비는 밀폐된 공간에 설치되므로, 시운전을 위해 인위적으로 천연가스를 고압으로 압축시키는 것은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다.
뿐만 아니라, 공급관리소 별로 정압설비의 용량이 다르고, 상황에 따라 시운전에 소요되는 천연가스의 정확한 물량을 산출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천연가스를 사용하지 않고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정압설비의 시운전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천연가스 정압설비의 시운전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천연가스를 감압시켜 일정한 압력으로 가스 수요처로 공급하는 정압기; 상기 정압기로 공급되는 천연가스의 압력을, 상기 정압기로부터 가스 수요처로 공급되는 천연가스의 압력보다 높은 압력으로 1차 감압시키는 피더; 상기 피더에서 1차 감압된 천연가스를 2차 감압시켜 상기 정압기로 공급함으로써 상기 정압기의 개폐 정도를 조절하는 파일럿; 및 질소를 저장하는 질소 탱크;를 포함하고, 상기 질소 탱크에 저장된 질소가 상기 피더로 공급되도록 연결되는 제1 질소라인; 및 상기 질소 탱크에 저장된 질소가 상기 정압기로 공급되도록 연결되는 제2 질소라인;을 더 포함하여, 상기 정압기의 시운전시, 상기 질소 탱크에 저장된 질소를 이용하여 시운전을 실시하는, 천연가스 정압설비의 시운전 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피더는, 다이어프램에 의해 상부 공간 및 하부 공간으로 격리되는 챔버;를 포함하고, 상기 질소 탱크에 저장된 질소가 상기 피더 내 하부 공간으로 공급되도록 연결되는 제3 질소라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질소라인을 유동하는 질소의 압력을 일정하게 조절하는 제1 밸브; 상기 제2 질소라인을 유동하는 질소의 압력을 일정하게 조절하는 제2 밸브; 및 상기 제3 질소라인을 유동하는 질소의 압력을 일정하게 조절하는 제3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정압기와 파일럿을 연결하는 하부 연결라인; 및 상기 정압기의 출구 측과 피더 및 파일럿을 연결하는 재순환 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연결라인의 압력과 상기 재순환 라인의 압력의 차압을 측정하는 차압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천연가스 정압설비의 시운전 시스템은, 천연가스를 이용하지 않고, 불활성가스를 사용하여 정압설비의 시운전을 실시할 수 있으므로, 불필요한 천연가스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어 경제적 이익 및 환경 오염 방지의 효과가 있다.
또한, 시운전에 천연가스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안전사고의 가능성을 차단할 수 있고, 그에 따른 부대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종래에는 공급관리소별 시운전 소요 시간 차이, 설비별 용량 등에 따라 시운전 소요 시간이 상이하여 방산물량을 정확하게 산출하기 어려웠으나, 시운전 장치를 별도로 구비함으로써, 수율정확도가 향상되고 원가절감 및 수익향상성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정압설비 정기점검 등 시운전의 표준을 제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연가스 정압설비의 시운전 시스템를 간략하게 도시한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동작상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도면 및 첨부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후술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기화설비로부터 이송된 고압의 천연가스를 저압으로 감압시키는 정압설비에 적용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천연가스 정압설비의 시운전 시스템은, 천연가스 뿐만 아니라, 가스를 저온으로 액화시켜 수송할 수 있는 액화가스를 기화시킨 재기화 가스에 적용될 수 있다. 액화가스는, 예를 들어, LNG(Liquefied Natural Gas), LEG(Liquefied Ethane Gas), LPG(Liquefied Petroleum Gas), 액화에틸렌가스(Liquefied Ethylene Gas), 액화프로필렌가스(Liquefied Propylene Gas) 등과 같은 액화 석유화학 가스일 수 있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연가스 정압설비의 시운전 시스템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연가스 정압설비의 시운전 시스템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연가스 정압설비를 시운전하기 위하여 적용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연가스 정압설비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천연가스 정압설비는, 정압기(regulator)(100); 피더(feeder)(200); 파일럿(pilot)(300); 및 슬램 셧 다운 밸브(slam shut down device)(미도시);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정압기(100)는, 고압의 전단압(Pu)을 설정값 범위내에서 저압인 후단압(Pd)으로 감압시켜 천연가스를 일정한 압력으로 가스 수요처로 공급하는 장치이다.
정압기(100)는, 고압(Pu)의 천연가스가 정압기(100)로 유입되는 정압기 입구(110);와 감압된 저압(Pd)의 천연가스가 정압기(100)로부터 일정한 압력으로 배출되는 정압기 출구(120);를 가진다.
정압기 입구(110)는 압력을 조정할 고압의 천연가스를 공급하는 공급처와 연결된다. 예를 들어, 정압기 입구(110)는 액화천연가스(LNG; Liquefied Natural Gas)를 기화시키는 기화설비의 출구와 연결될 수 있다. 기화설비는 예를 들어, 고압펌프 및 기화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정압기 출구(120)는 압력이 조정된 저압의 천연가스를 일정한 압력으로 공급받는 수요처와 연결된다. 예를 들어, 정압기 출구(120)는 발전소 및 도시가스사 등 천연가스 수요처와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피더(200)는, 후술하는 파일럿(300)으로 항상 동일한 압력을 공급하는 장치이다.
또한, 본 실시예의 파일럿(300)은, 정압기(100)를 제어하는 장치로서, 정압기(100)의 후단압에 따라 파일럿(300)의 후단압을 조정한다. 파일럿(300)의 후단압은 정압기(100)의 다이어프램의 하부에 작용하는 압력이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실시예의 정압기(100), 피더(200) 및 파일럿(300)의 내부에는, 유체의 경로인 챔버(chamber); 챔버를 2개의 공간으로 격리시키는 다이어프램(diaphragm); 및 스프링(spring);이 구비되며, 다이어프램의 상부 및 하부에 작용하는 압력의 균형에 의해 챔버의 개폐 정도가 조절되고, 그에 따라 각 후단 압력이 조정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천연가스 정압설비는, 정압기 입구(110)와 피더(200)를 연결하며, 정압기 입구(110)로부터 피더(200)로 유체가 유동하는 경로인 피더 공급라인(u1); 및 피더(200)와 파일럿(300)을 연결하며, 피더(200)로부터 파일럿(300)으로 유체가 유동하는 경로인 파일럿 공급라인(up1);을 포함한다.
또한, 파일럿(300)과 정압기(100)를 연결하며, 파일럿(300)으로부터 정압기(100)로 유체가 유동하는 경로인 하부 연결라인(m1); 및 파일럿 공급라인(up1)으로부터 분기되어 정압기(100)로 연결되며, 파일럿 공급라인(up1)을 유동하는 유체가 정압기(100)로 유동하거나 정압기(100)로부터 파일럿 공급라인(up1)으로 유체가 유동하는 경로인 상부 연결라인(up2);을 더 포함한다.
또한, 정압기 출구(120)와 피더(200)를 연결하며 정압기 출구(120)로부터 피더(200)로 유체가 유동하는 경로인 재순환 라인(d1); 및 재순환 라인(d1)으로부터 분기되어 정압기 출구(120)와 파일럿(300)을 연결하며 정압기 출구(120)로부터 파일럿(300)으로 유체가 유동하는 경로인 파일럿 재순환 라인(d2);을 더 포함한다.
도면에 도시하지 않은 슬램 셧 다운 밸브는, 정압기(100) 하부에 설치되며, 정압기 출구(120)와 연결되고, 정압기 출구(120) 압력이 비정상적으로 증가하면, 작동하는 일종의 안전장치이다.
이하, 상술한 본 실시예에 따른 천연가스 정압설비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피더(200)는, 피더 공급라인(u1)을 통해 피더(200)로 공급된 정압기(100)의 전단압(Pu)을, 정압기(100)의 후단압(Pd)보다 약 1.2 내지 1.5 bar 높은 압력(Pup)으로 감압시켜, 파일럿 공급라인(up1)을 통해 일정한 압력(Pup)을 파일럿(300)으로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약 1.2 내지 1.5 bar는, 파일럿(300)의 스프링(spring)(미도시)의 초기 하중(initial load)과 동일한 값일 수 있다.
이때, 피더(200) 내부의 슬리브(sleeve)(미도시)의 좌우 또는 상하 운동에 의해 피더(200) 내부의 패드(pad)(미도시)와의 간격이 조정됨으로써 감압 정도가 결정된다. 설정값(set point)이 정해지면, 즉, 피더(200) 후단압(Pup)이 결정되면 슬리브는 해당 위치에 정지하고, 설정값을 변경할 때 다시 그 위치가 조정된다.
피더(200) 내부의 다이어프램의 상부에서 작용하는 힘은 피더(200)의 후단압(Pup)이고, 하부에서 작용하는 힘은 정압기(100)의 후단압(Pd)이며, 두 압력의 균형에 따라 피더(200)의 개폐정도가 결정된다.
예를 들어, 피더(200) 내부의 다이어프램의 상부에서 작용하는 힘이 하부에서 작용하는 힘보다 작으면, 즉, 'Pup < Pd'이면, 하부에서 작용하는 힘이 더 크므로피더(200)는 더 많이 개방되어, 유체의 유량이 증가하게 되고, 피더(200)의 후단압(Pup)은 증가하게 된다.
파일럿(300)은, 설정압(Pd)에 따른 개폐 정도에 따라 조절된 압력(Pm)을 하부 연결라인(m1)을 통해 정압기(100)로 일정하게 유지시켜서 보낸다. 이때, 파일럿(300)에서 조정된 압력은, 정압기(100)의 다이어프램의 하부로 공급된다. 즉, 정압기(100)의 다이어프램의 하부에서 작용하는 힘은 파일럿(300)의 후단압(Pm)과 정압기(100)의 스프링 하중(Pr.spring)의 합이다.
파일럿(300) 내부의 챔버는, 항상 설정압(Pd)으로 채워지고, 이동부의 움직임에 따라 즉, 개폐정도에 따라 피더(200)로부터 유체를 공급받는다.
파일럿(300) 내부의 다이어프램의 상부에서 작용하는 힘은 설정압(Pd)이고, 하부에서 작용하는 힘은 파일럿(300)의 스프링 하중(Pp.spring)이며, 두 압력의 균형에 따라 파일럿(300)의 개폐정도가 결정된다.
예를 들어, 파일럿(300) 내부의 다이어프램의 상부에서 작용하는 힘이 하부에서 작용하는 힘보다 작으면, 즉, 'Pd < Pp.spring'이면, 하부에서 작용하는 힘이 더 크므로 파일럿(300)은 더 많이 개방되어, 유체의 유량이 증가하게 되고, 파일럿(300)의 후단압(Pm)은 증가한다.
정압기(100) 내부의 상부 챔버는 상부 연결라인(up2)을 통해 피더(200) 후단압(Pup)으로 채워지고, 하부 챔버는 하부 연결라인(m1)을 통해 파일럿(300) 후단압(Pm)으로 채워진다.
즉, 정압기(100) 내부의 다이어프램의 상부에서 작용하는 힘은 설정압(Pd)이고, 하부에서 작용하는 힘은 파일럿(300) 후단압(Pm)과 정압기(100)의 스프링 하중(Pr.spring)이며, 두 압력의 균형에 따라 정압기(100)의 개폐정도가 결정된다.
또한, 정압기(100)의 개폐정도는 정압기(100) 내부의 스프링 하중(Pr.spring)과 이동부의 하중의 차, 즉, 피더(200)의 후단압(Pup)과 파일럿(300)의 후단압(Pm)에 의해 결정된다.
예를 들어, 정압기(100)의 출구를 통해 가스 수요처로 공급되는 가스 유량을 증가시키고자 할 때에는, 정압기(100)의 내부 다이어프램의 하부에서 작용하는 힘, 즉, 파일럿(300) 후단압(Pm)을 증가시킴으로써 하부 챔버를 더 많이 개방시킨다. 그에따라, 정압기(100) 출구의 유체 유량이 커지고, 정압기(100) 후단압(Pd)이 높아진다. 이는, 정압기(100) 후단압(Pd)이 설정값에 도달할 때 까지 실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천연가스 정압설비는, 유체가 흐르지 않는 상태(no flow condition)에서 정압기(100)를 폐쇄하는 락-업 밸브(lock-up valve)(미도시);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천연가스의 정압설비는 스타트업(start-up), 작동 상태와 실링 등의 주기적인 점검(periodical checks) 및 유지보수(maintenance) 등 시운전을 실시하여야 하며, 별도의 시운전 장치 없이 천연가스를 정압설비로 공급하고, 시운전에 사용된 천연가스는 가스 수요처로 공급할 수 없으므로, 대기 중으로 벤팅시키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천연가스 정압설비의 시운전 시스템은, 시운전 장치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시운전 장치는, 박스 내에 설치되어 밀폐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연가스 정압설비의 시운전 장치는, 질소탱크(400); 질소탱크(400)와 피더 공급라인(u1)을 연결하며, 질소탱크(400)로부터 질소가 피더 공급라인(u1)으로 유동하는 경로인 제1 질소라인(i1); 질소탱크(400)와 하부 연결라인(m1)을 연결하며, 질소탱크(400)로부터 질소가 하부 연결라인(m1)으로 유동하는 경로인 제2 질소라인(i2); 및 질소탱크(400)와 재순환 라인(d1)을 연결하며, 질소탱크(400)로부터 질소가 재순환 라인(d1)으로 유동하는 경로인 제3 질소라인(i3);을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하부 연결라인(m1)에는 하부 연결라인(m1)의 압력 측정 스팟인 제1 지점(P1);이 구비되고, 재순환 라인(d1)에는 재순환 라인(d1)의 압력 측정 스팟인 제2 지점(P2);이 구비된다.
제1 지점(P1)은, 하부 연결라인(m1)에 제2 질소라인(i2)이 합류된 지점보다 하류에 설치될 수 있다.
제2 지점(P2)은, 재순환 라인(d1)에 제3 질소라인(i3)이 합류된 지점보다 하류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시운전 장치는, 제1 지점(P1)과 제2 지점(P2)의 압력차를 측정하여 정압설비의 정상 작동 여부 및 누설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차압계(500);를 더 포함한다.
제1 질소라인(i1)에는, 도시하지 않은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며, 제1 질소라인(i1)을 유동하는 질소의 유량 및 압력을 조절하여, 질소가 일정한 유량 및 압력으로 질소탱크(400)로부터 피더 공급라인(u1)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제1 밸브(v1); 및 제1 질소라인(i1)의 압력을 측정하는 제1 압력 트랜스미터(도면부호 미부여);가 설치된다. 제1 밸브(v1)는 제1 압력 트랜스미터보다 상류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질소라인(i2)에는, 도시하지 않은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며, 제2 질소라인(i2)을 유동하는 질소의 유량 및 압력을 조절하여, 질소가 일정한 유량 및 압력으로 질소탱크(400)로부터 하부 연결라인(m1)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제2 밸브(v2); 및 제2 질소라인(i2)의 압력을 측정하는 제2 압력 트랜스미터(도면부호 미부여);가 설치된다. 제2 밸브(v2)는 제2 압력 트랜스미터보다 상류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3 질소라인(i3)에는, 도시하지 않은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며, 제3 질소라인(i3)을 유동하는 질소의 유량 및 압력을 조절하여, 질소가 일정한 유량 및 압력으로 질소탱크(400)로부터 재순환 라인(d1)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제3 밸브(v3); 및 제3 질소라인(i3)의 압력을 측정하는 제3 압력 트랜스미터(도면부호 미부여);가 설치된다. 제3 밸브(v1)는 제3 압력 트랜스미터보다 상류에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천연가스 정압설비의 시운전을 위하여, 질소기체가 사용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질소와 같은 불활성 가스를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 '질소'라는 명칭은 불활성 가스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천연가스 정압설비의 시운전 시, 천연가스 정압설비로 천연가스를 공급하지 않고, 질소탱크(400)로부터 제1 내지 제3 질소라인(i1, i2, i3)을 통하여 질소 기체를 공급하여 시운전을 실시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질소라인(i1, i2, i3)을 유동하는 질소 기체는, 제1 내지 제3 밸브(v1, v2, v3)에 의해 일정 압력으로 유동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은 제어부는, 시운전을 실시할 때, 제1 밸브(v1) 및 제3 밸브(v3)를 개방하여, 제1 질소라인(i1) 및 제3 질소라인(i3)을 통해 질소 기체를 피더(200)로 공급한다. 또한, 제3 질소라인(i3)을 따라 유동하는 질소 기체는 파일럿 재순환 라인(d2)을 통해 파일럿(300)으로 공급할 수도 있다. 또한, 제2 밸브(v2)를 개방하여, 제2 질소라인(i2) 및 하부 연결라인(m1)을 통해 질소 기체를 정압기(100)로도 공급한다.
따라서,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천연가스 정압설비의 스타트-업을 실시할 때나, 천연가스 정압설비의 압력 설정값을 확인하거나, 재설정할 때, 천연가스 정압설비의 유지보수를 실시할 때, 주기적인 점검을 실시할 때 등 시운전 시에, 천연가스를 이용하지 않고, 질소 등 불활성 가스를 이용하여 실시함으로써, 안전사고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천연가스를 불필요하게 낭비하지 않을 수 있으며, 시운전에 사용된 불활성 가스의 유량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수율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 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 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 정압기
110 : 정압기 입구
120 : 정압기 출구
200 : 피더
300 : 파일럿
400 : 질소 탱크
500 : 차압계
u1 : 피더 공급라인
up1 : 파일럿 공급라인
up2 : 상부 연결라인
m1 : 하부 연결라인
d1 : 재순환 라인
d2 : 파일럿 재순환 라인
i1 ~ i1 : 제1 ~ 제3 질소라인
v1 ~ v3 : 제1 ~ 제3 밸브

Claims (4)

  1. 천연가스를 감압시켜 일정한 압력으로 가스 수요처로 공급하는 정압기;
    상기 정압기로 공급되는 천연가스의 압력을, 상기 정압기로부터 가스 수요처로 공급되는 천연가스의 압력보다 높은 압력으로 1차 감압시키는 피더;
    상기 피더에서 1차 감압된 천연가스를 2차 감압시켜 상기 정압기로 공급함으로써 상기 정압기의 개폐 정도를 조절하는 파일럿; 및
    질소를 저장하는 질소 탱크;를 포함하고,
    상기 질소 탱크에 저장된 질소가 상기 피더로 공급되도록 연결되는 제1 질소라인; 및
    상기 질소 탱크에 저장된 질소가 상기 정압기로 공급되도록 연결되는 제2 질소라인;을 더 포함하며,
    상기 피더는,
    다이어프램에 의해 상부 공간 및 하부 공간으로 격리되는 챔버;를 포함하고,
    상기 질소 탱크에 저장된 질소가 상기 피더 내 하부 공간으로 공급되도록 연결되는 제3 질소라인;을 더 포함하여,
    상기 정압기의 시운전시, 상기 질소 탱크에 저장된 질소를 이용하여 시운전을 실시하는, 천연가스 정압설비의 시운전 시스템.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질소라인을 유동하는 질소의 압력을 일정하게 조절하는 제1 밸브;
    상기 제2 질소라인을 유동하는 질소의 압력을 일정하게 조절하는 제2 밸브; 및
    상기 제3 질소라인을 유동하는 질소의 압력을 일정하게 조절하는 제3 밸브;를 포함하는, 천연가스 정압설비의 시운전 시스템.
  4. 청구항 1 또는 3에 있어서,
    상기 정압기와 파일럿을 연결하는 하부 연결라인; 및
    상기 정압기의 출구 측과 피더 및 파일럿을 연결하는 재순환 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연결라인의 압력과 상기 재순환 라인의 압력의 차압을 측정하는 차압계;를 더 포함하는, 천연가스 정압설비의 시운전 시스템.
KR1020170163310A 2017-11-30 2017-11-30 천연가스 정압설비의 시운전 시스템 KR1019926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3310A KR101992640B1 (ko) 2017-11-30 2017-11-30 천연가스 정압설비의 시운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3310A KR101992640B1 (ko) 2017-11-30 2017-11-30 천연가스 정압설비의 시운전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4048A KR20190064048A (ko) 2019-06-10
KR101992640B1 true KR101992640B1 (ko) 2019-06-25

Family

ID=66848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3310A KR101992640B1 (ko) 2017-11-30 2017-11-30 천연가스 정압설비의 시운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264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0486U (ko) 2019-08-21 2021-03-04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정압기의 개도율 표시장치
KR20210001562U (ko) 2019-12-30 2021-07-08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정압기의 개도율 표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823500B (zh) 2023-02-13 2023-05-05 成都秦川物联网科技股份有限公司 基于智慧燃气的燃气入户压力调控方法和物联网系统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41560A (ja) 2003-11-07 2005-06-02 Osaka Gas Co Ltd 整圧器の稼働試験方法および装置、ならびに待機用圧力設定方法
KR100840604B1 (ko) 2006-05-25 2008-06-23 주식회사 영텍 액추에이터 제어용 파일럿밸브 유닛
JP2009245112A (ja) * 2008-03-31 2009-10-22 Jfe Engineering Corp 整圧器システム
JP2010086426A (ja) 2008-10-01 2010-04-15 Osaka Gas Co Ltd 圧力コントローラ及び整圧設備
KR101048332B1 (ko) 2008-11-25 2011-07-15 한국가스공사 천연가스 정압설비 및 그 운영방법
JP2012038208A (ja) 2010-08-10 2012-02-23 Tokyo Gas Co Ltd 整圧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3038Y1 (ko) * 2010-08-19 2012-10-15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정압기 점검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41560A (ja) 2003-11-07 2005-06-02 Osaka Gas Co Ltd 整圧器の稼働試験方法および装置、ならびに待機用圧力設定方法
KR100840604B1 (ko) 2006-05-25 2008-06-23 주식회사 영텍 액추에이터 제어용 파일럿밸브 유닛
JP2009245112A (ja) * 2008-03-31 2009-10-22 Jfe Engineering Corp 整圧器システム
JP2010086426A (ja) 2008-10-01 2010-04-15 Osaka Gas Co Ltd 圧力コントローラ及び整圧設備
KR101048332B1 (ko) 2008-11-25 2011-07-15 한국가스공사 천연가스 정압설비 및 그 운영방법
JP2012038208A (ja) 2010-08-10 2012-02-23 Tokyo Gas Co Ltd 整圧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0486U (ko) 2019-08-21 2021-03-04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정압기의 개도율 표시장치
KR20210001562U (ko) 2019-12-30 2021-07-08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정압기의 개도율 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4048A (ko) 2019-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2640B1 (ko) 천연가스 정압설비의 시운전 시스템
US6953045B2 (en) Gas delivery system
US20080238101A1 (en) Gas production well secondary purpose turbine electric power generator system
CN109844397B (zh) 用于运行箱设备的方法
JP6128874B2 (ja) 液化ガス供給装置および方法
JP4886386B2 (ja) 高圧ガス供給方法
KR20090005694A (ko) 액화가스용기와 체결된 기화주입장치
US20200018443A1 (en) Hydropack system
KR101408347B1 (ko) 선박의 액체화물 증발방지 시스템 및 방법
KR101322996B1 (ko) 비상용 천연 가스 이송 장치
JP5019863B2 (ja) 天然ガス供給システム
KR102061827B1 (ko) 액화가스 재기화 시스템
KR20200001365U (ko) 배관용 퍼지장치
Medvedeva et al. Optimization of gas pressure modes in gas supply systems
CN207702118U (zh) 一种液化天然气应急供气装置
KR20160054747A (ko) Lng 재기화 플랜트 및 lng 재기화 방법
KR20230060626A (ko) 정압기 시운전 장치
KR102487006B1 (ko) Lng 재기화 시스템의 고압펌프 가압 장치
CN111500309A (zh) 干式真空泵及原油真空闪蒸处理装置
KR200496275Y1 (ko) 파이롯트 시뮬레이션 장치
CN204756436U (zh) 一种液氮快速气化装置
KR102498587B1 (ko) Lng 공급시스템의 설비관리 시스템 운영구조
Barkhatov et al. Implementation and operation of anti-pressure systems of oil pipelines
CN216477581U (zh) 一种混气装置以及燃气轮机系统
US20230032503A1 (en) System for transferring fluid and fluid transfer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