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8347B1 - 선박의 액체화물 증발방지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선박의 액체화물 증발방지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8347B1
KR101408347B1 KR1020130107139A KR20130107139A KR101408347B1 KR 101408347 B1 KR101408347 B1 KR 101408347B1 KR 1020130107139 A KR1020130107139 A KR 1020130107139A KR 20130107139 A KR20130107139 A KR 20130107139A KR 101408347 B1 KR101408347 B1 KR 1014083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liquid cargo
control means
pressure control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7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낙현
문영식
최동규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071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83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83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8347B1/ko
Priority to PCT/KR2014/008428 priority patent/WO2015034331A1/ko
Priority to ES14841703T priority patent/ES2715670T3/es
Priority to EP14841703.3A priority patent/EP3042844B1/en
Priority to SG11201601704SA priority patent/SG11201601704SA/en
Priority to CN201480060485.1A priority patent/CN105705414A/zh
Priority to JP2016540820A priority patent/JP6244030B2/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5/1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 B63B25/16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heat-insul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2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pipe-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3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transfer at sea between ships or between ships and off-shore structures
    • B63B27/3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transfer at sea between ships or between ships and off-shore structures using pipe-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48Arrangements of indicating or measur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4Arrangement or mounting of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3/00Vessels not under pressure
    • F17C3/02Vessels not under pressure with provision for thermal insulation
    • F17C3/025Bulk storage in barges or on shi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6/00Methods and apparatus for filling vessels not under pressure with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3Fluid connections, filters, valves, closure means or other attachments
    • F17C2205/0302Fittings, valves, filters, or components in connection with the gas storage device
    • F17C2205/0323Valves
    • F17C2205/0326Valves electrically actu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3Fluid connections, filters, valves, closure means or other attachments
    • F17C2205/0388Arrangement of valves, regulators, filters
    • F17C2205/0391Arrangement of valves, regulators, filters inside the pressure vess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1/00Handled fluid, in particular type of fluid
    • F17C2221/03Mixtures
    • F17C2221/032Hydrocarb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1/00Handled fluid, in particular type of fluid
    • F17C2221/03Mixtures
    • F17C2221/032Hydrocarbons
    • F17C2221/033Methane, e.g. natural gas, CNG, LNG, GNL, GNC, PL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1/00Handled fluid, in particular type of fluid
    • F17C2221/03Mixtures
    • F17C2221/032Hydrocarbons
    • F17C2221/035Propane butane, e.g. LPG, GP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3/00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 F17C2223/01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characterised by the phase
    • F17C2223/0146Two-phase
    • F17C2223/0153Liquefied gas, e.g. LPG, GP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3/00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 F17C2223/01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characterised by the phase
    • F17C2223/0146Two-phase
    • F17C2223/0153Liquefied gas, e.g. LPG, GPL
    • F17C2223/0161Liquefied gas, e.g. LPG, GPL cryogenic, e.g. LNG, GNL, PL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3/00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 F17C2223/03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characterised by the pressure level
    • F17C2223/033Small pressure, e.g. for liquefied ga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5/00Handled fluid after transfer, i.e. state of fluid after transfer from the vessel
    • F17C2225/01Handled fluid after transfer, i.e. state of fluid after transfer from the vessel characterised by the phase
    • F17C2225/0146Two-phase
    • F17C2225/0153Liquefied gas, e.g. LPG, GP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5/00Handled fluid after transfer, i.e. state of fluid after transfer from the vessel
    • F17C2225/01Handled fluid after transfer, i.e. state of fluid after transfer from the vessel characterised by the phase
    • F17C2225/0146Two-phase
    • F17C2225/0153Liquefied gas, e.g. LPG, GPL
    • F17C2225/0161Liquefied gas, e.g. LPG, GPL cryogenic, e.g. LNG, GNL, PL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5/00Handled fluid after transfer, i.e. state of fluid after transfer from the vessel
    • F17C2225/03Handled fluid after transfer, i.e. state of fluid after transfer from the vessel characterised by the pressure level
    • F17C2225/033Small pressure, e.g. for liquefied ga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5/00Handled fluid after transfer, i.e. state of fluid after transfer from the vessel
    • F17C2225/04Handled fluid after transfer, i.e. state of fluid after transfer from the vessel characterised by other properties of handled fluid after transfer
    • F17C2225/042Localisation of the filling point
    • F17C2225/046Localisation of the filling point in the liquid
    • F17C2225/047Localisation of the filling point in the liquid with a dip tub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50/00Accessories; Control means; Indicating, measuring or monitoring of parameters
    • F17C2250/04Indicating or measuring of parameters as input values
    • F17C2250/0404Parameters indicated or measured
    • F17C2250/043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50/00Accessories; Control means; Indicating, measuring or monitoring of parameters
    • F17C2250/04Indicating or measuring of parameters as input values
    • F17C2250/0486Indicating or measuring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 F17C2250/0491Parameters measured at or inside the vess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50/00Accessories; Control means; Indicating, measuring or monitoring of parameters
    • F17C2250/06Controlling or regulating of parameters as output values
    • F17C2250/0605Parameters
    • F17C2250/0636Flow or movement of cont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60/00Purposes of gas storage and gas handling
    • F17C2260/05Improving chemical properties
    • F17C2260/056Improving fluid characteristic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65/00Effects achieved by gas storage or gas handling
    • F17C2265/03Treating the boil-off
    • F17C2265/032Treating the boil-off by recover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65/00Effects achieved by gas storage or gas handling
    • F17C2265/06Fluid distribution
    • F17C2265/061Fluid distribution for supply of supplying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70/00Applications
    • F17C2270/01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 F17C2270/0102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on or in the water
    • F17C2270/0105Sh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 Loading And Unloading Of Fuel Tanks Or Sh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LNG, LPG, 원유 등의 액체화물을 선박의 저장탱크에 적재할 때 적재배관 내부의 압력을 조절함으로써 액체화물의 적재시 증발가스의 발생을 방지 혹은 저감시킬 수 있는 선박의 액체화물 증발방지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액체화물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탱크에 액체화물을 선적할 때 액체화물의 증발가스 발생을 방지하는 선박의 액체화물 증발방지 시스템으로서, 액체화물을 저장탱크에 선적하기 위한 배관에 설치되는 압력제어수단과; 상기 배관에서 상기 압력제어수단보다 상류측에 설치되어 상기 배관의 내부압력을 측정하고, 그 측정값에 근거해 상기 압력제어수단의 개방정도를 제어하는 압력 트랜스미터와; 상기 압력제어수단을 우회하여 액체화물이 상기 저장탱크에 선적될 수 있도록 상기 배관으로부터 분기하는 우회배관; 을 포함하는, 선박의 액체화물 증발방지 시스템과, 이 시스템을 통해 선박의 액체화물의 증발을 방지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선박의 액체화물 증발방지 시스템 및 방법 {VAPORIZATION REDUCING SYSTEM AND METHOD OF LIQUID CARGO FOR A SHIP}
본 발명은 액체화물의 증발을 방지 혹은 저감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LNG, LPG, 원유 등의 액체화물을 선박의 저장탱크에 적재할 때 적재배관 내부의 압력을 조절함으로써 액체화물의 적재시 증발가스의 발생을 방지 혹은 저감시킬 수 있는 선박의 액체화물 증발방지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선박 중에서 화물선은 운송화물의 종류에 따라 나누어지는데, 액체화물을 운반하는 화물선으로는 원유를 운송하는 원유 운반선(Crude oil tanker), 석유제품을 운송하는 정유 운반선(Product carrier), 가스류를 액화시켜서 운송하는 액화가스 운반선 등이 있으며, 액화가스 운반선에는 LNG 운반선(Liquefied natural gas carrier), LPG 운반선(Liquefied petroleum gas carrier) 등이 있다. 그 밖에도 액체화물을 운송 혹은 저장하는 선박으로서 LNG FPSO, LNG FSRU, LNG FSU, LNG bunkering vessel, chemical tanker, ethylene carrier 등이 있다.
종래, LNG, LPG, 원유 등과 같은 액체화물을 저장탱크(Cargo tank)에 적재하기 위하여, 저장탱크의 위쪽에서 대략 수평으로 연장되는 공급배관과, 이 공급배관으로부터 저장탱크의 바닥을 향해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적재배관을 통해 액체화물을 저장탱크 내에 공급하였다.
그런데, 액체화물을 적재하는 도중에, 배관 내부에서의 수두차이 등으로 인하여, 저장탱크의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적재배관의 상단 내부의 압력이 액체화물의 증기압보다 낮게 형성되는 경우가 발생하여, 상당량의 액체화물이 증발, 즉 기화되는 문제가 있었다.
적재 도중에 액체화물이 기화되어 발생되는 증발가스는 저장탱크에 적재되지 못하고 액체화물의 공급처(예를 들어 육상의 LNG 혹은 정유 플랜트, Bunkering vessel, 또는 탑사이드 LNG 생산설비 등)로 다시 되돌려 보내지거나 대기중으로 방출되었다. 증발가스가 대기중으로 방출되면 환경오염의 우려가 있고, 공급처로 되돌아 가더라도 이 증발가스를 재처리하기 위한 시설 및 비용이 소모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고자 본 출원인은, 저장탱크의 상하방향으로 연장하는 적재배관의 하단에 압력제어수단을 설치하고, 적재배관의 상단 내부압력을 측정한 후 측정된 압력값에 근거하여 이 압력제어수단을 조절함으로써, 적재배관의 상단 내부압력을 액체화물의 증기압 이상으로 유지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방법은 등록특허 제 10-1012643 호에 개시되어 있다.
등록특허 제 10-1012643 호
그런데, 본 출원인의 제안 방법에 따라 적재배관의 하단에 설치된 압력제어수단을 통해 적재배관의 상단 내부압력을 증기압 이상으로 유지할 경우, 압력제어수단을 완전 개방상태로 하더라도 압력제어수단으로 인한 차압이 발생하여 액체화물의 적재에 예상보다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또한, 적재배관의 하단에 설치된 압력제어수단이 고장으로 인해 작동이 불가능하거나 적재배관이 폐쇄될 경우, 심각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저장탱크의 상하방향으로 연장하는 적재배관의 하단에 압력제어수단과 함께 우회배관 및 우회밸브를 설치하여, 적재배관의 상단 내부압력이 증기압 이상으로 유지되는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적재배관과 함께 우회배관을 통해서 액체화물을 선적하여 선적 속도를 증가시키고, 압력제어수단의 고장시 우회배관을 통해서 액체화물 선적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선박의 액체화물 증발방지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액체화물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탱크에 액체화물을 선적할 때 액체화물의 증발가스 발생을 방지하는 선박의 액체화물 증발방지 시스템으로서, 액체화물을 저장탱크에 선적하기 위한 배관에 설치되는 압력제어수단과; 상기 배관에서 상기 압력제어수단보다 상류측에 설치되어 상기 배관의 내부압력을 측정하고, 그 측정값에 근거해 상기 압력제어수단의 개방정도를 제어하는 압력 트랜스미터와; 상기 압력제어수단을 우회하여 액체화물이 상기 저장탱크에 선적될 수 있도록 상기 배관으로부터 분기하는 우회배관; 을 포함하는, 선박의 액체화물 증발방지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우회배관의 직경은 상기 우회배관이 분기하는 상기 배관의 직경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우회배관에는 상기 우회배관을 통한 액체화물의 유동을 제어하는 우회밸브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관은, 상기 저장탱크의 위쪽에서 연장되는 공급배관과, 상기 공급배관으로부터 상기 저장탱크의 바닥을 향해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적재배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력제어수단은 상기 적재배관의 하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관은, 상기 적재배관의 하단으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는 분배배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력제어수단은 밸브 또는 수차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액체화물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탱크에 액체화물을 선적할 때 액체화물의 증발가스 발생을 방지하는 선박의 액체화물 증발방지 방법으로서, 액체화물을 저장탱크에 선적하기 위한 배관에 설치되는 압력제어수단의 개방정도를, 상기 압력제어수단보다 상류측에서의 상기 배관의 내부압력 측정값에 근거해 제어하고, 상기 배관으로부터 분기하는 우회배관과 상기 우회배관을 개폐하는 우회밸브를 설치하고, 상기 우회밸브의 개방시 상기 압력제어수단을 거치지 않고 액체화물이 상기 저장탱크에 선적될 수 있는, 선박의 액체화물 증발방지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액체화물 증발방지 방법에 의하면, 상기 압력제어수단의 고장시 상기 우회밸브를 개방시킴으로써 상기 우회배관을 통하여 선적작업을 계속해서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배관의 내부압력이 액체화물의 증기압 이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우회배관의 직경은 상기 배관의 직경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액체화물 증발방지 방법에 의하면, 액체화물의 선적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져 상기 저장탱크 내의 액체화물 수위가 상승함에 따라, 상기 압력제어수단을 완전히 개방시켜도 상기 배관의 내부압력이 액체화물의 증기압 이상으로 유지될 때, 상기 우회밸브를 개방시켜 상기 배관과 함께 상기 우회배관을 통해서도 액체화물의 선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저장탱크의 상하방향으로 연장하는 적재배관의 하단에 압력제어수단과 함께 우회배관 및 우회밸브를 설치한 선박의 액체화물 증발방지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액체화물 증발방지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적재배관에 설치된 압력제어수단에 의하여 적재배관 내의 압력, 특히 적재배관의 상단 내부압력을 액체화물의 증기압 이상으로 조절하여 유지할 수 있어, 액체화물 적재시 증발가스 발생을 방지 혹은 저감시킬 수 있게 되고, 효율적인 액체화물 적재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액체화물 증발방지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적재배관의 상단 내부압력이 증기압 이상으로 유지되는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적재배관과 함께 우회배관을 통해서 액체화물을 선적하여 선적 속도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액체화물 증발방지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압력제어수단의 갑작스러운 고장시에도 우회배관을 통해서 액체화물 선적작업을 계속해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액체화물 증발방지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액체화물 증발방지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액체화물 증발방지 시스템은, 액체화물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탱크가 설치되어 있다면 어떠한 종류의 선박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액체화물 증발방지 시스템이 적용되는 저장탱크는, 반드시 액체화물을 화물로서 적재하기 위한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엔진의 연료로서 사용될 오일이나 액화가스 등을 적재하기 위한 저장탱크(즉, 연료탱크)까지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의 액체화물 증발방지 시스템은, 액체화물을 화물로써 적재하거나 연료로서 사용하는 모든 종류의 선박, 즉 원유 운반선, 정유 운반선, LNG 운반선, LPG 운반선, PC선, 액화이산화탄소 운반선, LNG RV, Oil FPSO, LNG FPSO, LNG FSRU, LNG FSU, LNG bunkering vessel, chemical tanker, ethylene carrier 등에 적용될 수 있다. 여기에서, 각종 FPSO나 FSRU 등은 일반적으로 해상 플랜트로 구분하기도 하지만, 본 명세서에서 선박이라는 개념은, 자력으로 항해가 가능한 일반적인 의미의 선박은 물론, 해상에서 부유되어 사용될 수 있는 각종 해상 플랜트까지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액체화물 증발방지 시스템은, 해상뿐만 아니라 육상에 설치되어 LNG, LPG, 액화질소, 액화이산화탄소 등의 액화가스나, 원유, 정제유 등과 같은 오일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탱크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액체화물 증발방지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체화물은, 저장탱크(1)의 위쪽에서 대략 수평으로 연장되는 공급배관(11)과, 이 공급배관(11)으로부터 저장탱크(1)의 바닥을 향해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적재배관(12)과, 이 적재배관(12)의 하단에 연통하여 대략 수평으로 연장되는 분배배관(13)을 통해 육상 플랜트, FPSO 등의 공급처로부터 저장탱크(1)에 공급되어 선적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액체화물 증발방지 시스템은, 적재배관(12)의 하부에 설치되는 압력제어수단(22)과, 적재배관(12)의 상단 내부압력을 측정하여 그 측정값에 근거해 압력제어수단(22)을 제어하는 압력 트랜스미터(Pressure transmitter)(21)와, 적재배관(12)으로부터 분기하여 압력제어수단(22)을 우회하도록 설치되는 우회배관(14)과, 이 우회배관(14)에 설치되어 우회배관(14)을 통한 액체화물의 유동을 조절하는 우회밸브(24)를 포함한다.
분배배관(13)에는 분배밸브(23)가 설치되며, 이 분배밸브(23)는 각각의 저장탱크(1)마다 하나 이상씩 설치될 수 있다. 원유 저장탱크와 같이 액체화물이 상온 상태로 저장되는 경우에는 분배배관(13)이 복수의 저장탱크를 관통하여 연장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압력제어수단(22)은 압력 트랜스미터(21)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적 신호를 수신받아 적재배관(12) 내부의 압력이 증기압(Vapor pressure) 이상으로 유지되도록 적재배관(12)의 하단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즉, 압력제어수단(22)은 적재배관 내부의 압력값에 따라 적재배관(12) 하단 개구의 개폐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적재배관 내의 압력, 특히 적재배관의 상단 내부압력이 액체화물의 증기압 이상이 되도록 한다. 따라서, 압력제어수단(22)에 의해 액체화물의 적재시 증발가스의 주요한 발생 원인이기도 한 적재배관(12)의 상단(A 부분)에 형성되는 진공의 형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압력제어수단(22)은 압력 트랜스미터(21)로부터 신호를 받아 개폐 혹은 개방정도를 조절하면서 적재배관(12) 내의 압력, 특히 도면에 A로 표시된 적재배관(12)의 상단 내부압력을 조절한다. 압력제어수단(22)으로서는 컨트롤 밸브(Control valve)나 수차(Hydraulic turbine)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압력제어수단으로서의 컨트롤 밸브는, 액체화물 내에 잠겨있는 상태에서 유압 혹은 공압에 의해 작동 가능한 밸브일 수 있다. 이 밸브는, 신호나 유압 혹은 공압의 오류 시 완전 개방 상태로 동작하도록 구성되고, 정상 운전 상태에서 안티 캐비테이션(Anti-cavitation) 기능을 가지며, 방폭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밸브는 이론적으로 등엔탈피 팽창으로 압력만 강하시키나, 압력제어수단으로서의 수차를 사용할 경우, 일을 생산해냄으로써 이론적으로 등엔트로피 팽창을 하며, 이 과정에서 압력 강하와 함께 액체화물, 예컨대 LNG의 엔탈피까지 감소시켜 밸브에 비해 더욱 저온의 액체화물을 하류에서 얻을 수 있으므로 더욱 효율적일 수 있다. 압력제어수단(22)으로 사용되는 수차는 이미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설계 조건에 맞춰 기존의 수차 중 적절한 것을 채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밸브 또는 수차와 같은 간단한 설비를 추가함으로써, 많은 시설 투자비용을 들이지 않고도 액체화물의 적재시 발생하는 불필요한 증발가스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함으로써 저장탱크(10)에 대한 효율적인 액체화물의 선적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압력제어수단(22)의 상류측에서 적재배관(12)으로부터 분기하여 압력제어수단(22)을 우회하도록 설치되는 우회배관(14)은 분배배관(13)에 연결되고, 그에 따라 공급배관(11) 및 적재배관(12)을 통해 선적되는 액체화물은 압력제어수단(22)을 거치지 않고 곧바로 분배배관(13)에 공급될 수 있다.
압력제어수단(22)이 고장으로 적재배관(12)이 폐쇄된다면, 우회배관(14)에 설치된 우회밸브(24)를 개방시켜 액체화물의 선적작업을 계속해서 수행할 수 있다. 이때, 갑자기 우회밸브(24)가 개방되면 적재배관(12)의 상단 내부압력이 낮아져 적재배관(12)의 내부에 진공이 발생할 우려가 있으므로, 우회배관(14)의 직경은 적재배관(12)의 직경보다 작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액체화물의 선적작업이 진행되어 저장탱크(1) 내의 액체화물 수위가 상승하면, 우회밸브(24)를 개방하여 적재배관(12)과 함께 우회배관(14)을 통해 액체화물의 선적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우회밸브(24)의 개방은, 우회밸브(24)가 개방되어도 적재배관(12)의 상단 내부공간의 압력이 액체화물의 증기압 이상으로 유지될 수 있을 때 이루어져야 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액체화물의 선적시 압력제어수단(22)을 완전히 개방시켜도 압력제어수단에 의한 차압 발생으로 선적 속도가 감소하는 문제를 우회배관(14)을 통해 해소할 수 있어, 선적속도의 저하를 방지함으로써 선적이 완료되는 시간을 앞당길 수 있게 된다.
이하,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선박의 액체화물 증발가스 방지 시스템의 작동을 설명한다.
저장탱크(1)의 내부에 공급배관(11), 적재배관(12) 및 분배배관(13)을 통해서 예컨대 LNG, LPG, 원유 등과 같은 액체화물을 적재하는 경우, 압력 트랜스미터(21)가 적재배관(12)의 상단 내부압력을 측정한다. 압력 트랜스미터(21)에서 측정된 압력값에 근거하여 압력제어수단(22)이 개폐되거나 혹은 개방정도가 조절됨으로써 액체화물의 선적속도가 조절되어 적재배관(12)의 상단 내부압력이 액체화물의 증기압 이상으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액체화물의 선적시 우발적으로 압력제어수단(22)에 고장이 발생하여 선적작업이 불가능하게 될 경우,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우회배관(14)에 설치된 우회밸브(24)를 개방시킴으로써 우회배관(14)을 통하여 선적작업을 계속해서 수행할 수 있으며, 우회배관(14)의 직경이 적재배관(12)의 직경보다 작기 때문에 적재배관의 상단에 공동이 발생할 우려를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액체화물의 선적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져 저장탱크(1) 내의 액체화물 수위가 상승함에 따라, 압력제어수단(22)을 완전히 개방시켜도 적재배관(12)의 상단 내부압력이 액체화물의 증기압 이상으로 유지된다면, 우회밸브(24)를 개방시켜 적재배관(12)과 함께 우회배관(14)을 통해서도 액체화물의 선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압력제어수단(22)으로 인한 차압 발생을 상쇄시킬 수 있다. 그에 따라 차압 발생으로 인해 선적속도가 느려지는 문제를 방지하여 선적작업을 신속하게 완료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액체화물의 적재 시 선적속도 및 화물적재량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발생하는 증발가스(즉 플래쉬 가스(Flash gas) 또는 휘발성 유기 화합물(VOC))를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액체화물 증발방지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체화물은, 저장탱크(1)의 위쪽에서 대략 수평으로 연장되는 공급배관(11)과, 이 공급배관(11)으로부터 저장탱크(1)의 바닥을 향해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적재배관(12)을 통해 육상 플랜트, FPSO 등의 공급처로부터 저장탱크(1)에 공급되어 선적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액체화물 증발방지 시스템은, 적재배관(12)의 하부에 설치되는 압력제어수단(22)과, 적재배관(12)의 상단 내부압력을 측정하여 그 측정값에 근거해 압력제어수단(22)을 제어하는 압력 트랜스미터(Pressure transmitter)(21)와, 적재배관(12)으로부터 분기하여 압력제어수단(22)을 우회하도록 설치되는 우회배관(14)과, 이 우회배관(14)에 설치되어 우회배관(14)을 통한 액체화물의 유동을 조절하는 우회밸브(24)를 포함한다.
적재배관(12)은 각각의 저장탱크(1)마다 하나씩 설치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적재배관(12)의 하단은 저장탱크(1)의 바닥에 가깝게 위치되지만, 바닥에 고정되지는 않는다.
압력제어수단(22)은 압력 트랜스미터(21)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적 신호를 수신받아 적재배관(12) 내부의 압력이 증기압(Vapor pressure) 이상으로 유지되도록 적재배관(12)의 하단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즉, 압력제어수단(22)은 적재배관 내부의 압력값에 따라 적재배관(12) 하단 개구의 개폐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적재배관 내의 압력, 특히 적재배관의 상단 내부압력이 액체화물의 증기압 이상이 되도록 한다. 따라서, 압력제어수단(22)에 의해 액체화물의 적재시 증발가스의 주요한 발생 원인이기도 한 적재배관(12)의 상단(A 부분)에 형성되는 진공의 형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압력제어수단(22)은 압력 트랜스미터(21)로부터 신호를 받아 개폐 혹은 개방정도를 조절하면서 적재배관(12) 내의 압력, 특히 도면에 A로 표시된 적재배관(12)의 상단 내부압력을 조절한다. 압력제어수단(22)으로서는 컨트롤 밸브(Control valve)나 수차(Hydraulic turbine)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압력제어수단으로서의 컨트롤 밸브는, 액체화물 내에 잠겨있는 상태에서 유압 혹은 공압에 의해 작동 가능한 밸브일 수 있다. 이 밸브는, 신호나 유압 혹은 공압의 오류 시 완전 개방 상태로 동작하도록 구성되고, 정상 운전 상태에서 안티 캐비테이션(Anti-cavitation) 기능을 가지며, 방폭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밸브는 이론적으로 등엔탈피 팽창으로 압력만 강하시키나, 압력제어수단으로서의 수차를 사용할 경우, 일을 생산해냄으로써 이론적으로 등엔트로피 팽창을 하며, 이 과정에서 압력 강하와 함께 액체화물, 예컨대 LNG의 엔탈피까지 감소시켜 밸브에 비해 더욱 저온의 액체화물을 하류에서 얻을 수 있으므로 더욱 효율적일 수 있다. 압력제어수단(22)으로 사용되는 수차는 이미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설계 조건에 맞춰 기존의 수차 중 적절한 것을 채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밸브 또는 수차와 같은 간단한 설비를 추가함으로써, 많은 시설 투자비용을 들이지 않고도 액체화물의 적재시 발생하는 불필요한 증발가스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함으로써 저장탱크(10)에 대한 효율적인 액체화물의 선적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적재배관(12)으로부터 분기하여 압력제어수단(22)을 우회하도록 설치되는 우회배관(14)은 압력제어수단(22)의 상류측에서 적재배관(12)으로부터 분기된 후 이 적재배관(12)과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고, 그에 따라 공급배관(11) 및 적재배관(12)을 통해 선적되는 액체화물은 압력제어수단(22)을 거치지 않고 우회배관(14)을 통해 저장탱크(1) 내에 선적될 수 있다.
압력제어수단(22)이 고장으로 적재배관(12)이 폐쇄된다면, 우회배관(14)에 설치된 우회밸브(24)를 개방시켜 액체화물의 선적작업을 계속해서 수행할 수 있다. 이때, 갑자기 우회밸브(24)가 개방되면 적재배관(12)의 상단 내부압력이 낮아져 적재배관(12)의 내부에 진공이 발생할 우려가 있으므로, 우회배관(14)의 직경은 적재배관(12)의 직경보다 작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액체화물의 선적작업이 진행되어 저장탱크(1) 내의 액체화물 수위가 상승하면, 우회밸브(24)를 개방하여 적재배관(12)과 함께 우회배관(14)을 통해 액체화물의 선적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우회밸브(24)의 개방은, 우회밸브(24)가 개방되어도 적재배관(12)의 상단 내부공간의 압력이 액체화물의 증기압 이상으로 유지될 수 있을 때 이루어져야 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액체화물의 선적시 압력제어수단(22)을 완전히 개방시켜도 압력제어수단에 의한 차압 발생으로 선적 속도가 감소하는 문제를 우회배관(14)을 통해 해소할 수 있어, 선적속도의 저하를 방지함으로써 선적이 완료되는 시간을 앞당길 수 있게 된다.
이하,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선박의 액체화물 증발가스 방지 시스템의 작동을 설명한다.
저장탱크(1)의 내부에 공급배관(11) 및 적재배관(12)을 통해서 예컨대 LNG, LPG, 원유 등과 같은 액체화물을 적재하는 경우, 압력 트랜스미터(21)가 적재배관(12)의 상단 내부압력을 측정한다. 압력 트랜스미터(21)에서 측정된 압력값에 근거하여 압력제어수단(22)이 개폐되거나 혹은 개방정도가 조절됨으로써 액체화물의 선적속도가 조절되어 적재배관(12)의 상단 내부압력이 액체화물의 증기압 이상으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액체화물의 선적시 우발적으로 압력제어수단(22)에 고장이 발생하여 선적작업이 불가능하게 될 경우,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우회배관(14)에 설치된 우회밸브(24)를 개방시킴으로써 우회배관(14)을 통하여 선적작업을 계속해서 수행할 수 있으며, 우회배관(14)의 직경이 적재배관(12)의 직경보다 작기 때문에 적재배관의 상단에 공동이 발생할 우려를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액체화물의 선적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져 저장탱크(1) 내의 액체화물 수위가 상승함에 따라, 압력제어수단(22)을 완전히 개방시켜도 적재배관(12)의 상단 내부압력이 액체화물의 증기압 이상으로 유지된다면, 우회밸브(24)를 개방시켜 적재배관(12)과 함께 우회배관(14)을 통해서도 액체화물의 선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압력제어수단(22)으로 인한 차압 발생을 상쇄시킬 수 있다. 그에 따라 차압 발생으로 인해 선적속도가 느려지는 문제를 방지하여 선적작업을 신속하게 완료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액체화물의 적재 시 선적속도 및 화물적재량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발생하는 증발가스(즉 플래쉬 가스(Flash gas) 또는 휘발성 유기 화합물(VOC))를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적재배관(12)에서 압력제어수단(22)의 상류측에 별도의 밸브(도시생략)를 설치하고, 압력제어수단(22)의 유지보수시에 별도의 밸브를 폐쇄시켜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변형될 수 있다. 이 별도의 밸브는 매뉴얼 밸브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예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 의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1: 저장탱크
11: 공급배관
12: 적재배관
13: 분배배관
14: 우회배관
21: 압력 트랜스미터
22: 압력제어수단
24: 우회밸브

Claims (9)

  1. 액체화물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탱크에 액체화물을 선적할 때 액체화물의 증발가스 발생을 방지하는 선박의 액체화물 증발방지 시스템으로서,
    액체화물을 저장탱크에 선적하기 위한 배관에 설치되는 압력제어수단과;
    상기 배관에서 상기 압력제어수단보다 상류측에 설치되어 상기 배관의 내부압력을 측정하고, 그 측정값에 근거해 상기 압력제어수단의 개방정도를 제어하는 압력 트랜스미터와;
    상기 압력제어수단을 우회하여 액체화물이 상기 저장탱크에 선적될 수 있도록 상기 배관으로부터 분기하는 우회배관과;
    상기 우회배관에 설치되어 상기 우회배관을 통한 액체화물의 유동을 제어하는 우회밸브;
    를 포함하며,
    액체화물의 선적이 이루어져 상기 저장탱크 내의 액체화물 수위가 상승함에 따라, 상기 압력제어수단을 완전히 개방시켜도 상기 배관의 내부압력이 액체화물의 증기압 이상으로 유지될 때, 상기 우회밸브를 개방시켜 상기 배관과 함께 상기 우회배관을 통해서도 액체화물의 선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선박의 액체화물 증발방지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우회배관의 직경은 상기 우회배관이 분기하는 상기 배관의 직경보다 작은, 선박의 액체화물 증발방지 시스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관은, 상기 저장탱크의 위쪽에서 연장되는 공급배관과, 상기 공급배관으로부터 상기 저장탱크의 바닥을 향해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적재배관을 포함하며,
    상기 압력제어수단은 상기 적재배관의 하부에 설치되는, 선박의 액체화물 증발방지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배관은, 상기 적재배관의 하단으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는 분배배관을 더 포함하는, 선박의 액체화물 증발방지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압력제어수단은 밸브 또는 수차인, 선박의 액체화물 증발방지 시스템.
  7. 액체화물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탱크에 액체화물을 선적할 때 액체화물의 증발가스 발생을 방지하는 선박의 액체화물 증발방지 방법으로서,
    액체화물을 저장탱크에 선적하기 위한 배관에 설치되는 압력제어수단의 개방정도를, 상기 압력제어수단보다 상류측에서의 상기 배관의 내부압력 측정값에 근거해 제어하고,
    상기 배관으로부터 분기하는 우회배관과 상기 우회배관을 개폐하는 우회밸브를 설치하고,
    액체화물의 선적이 이루어져 상기 저장탱크 내의 액체화물 수위가 상승함에 따라, 상기 압력제어수단을 완전히 개방시켜도 상기 배관의 내부압력이 액체화물의 증기압 이상으로 유지될 때, 상기 우회밸브를 개방시켜 상기 배관과 함께 상기 우회배관을 통해서도 액체화물의 선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선박의 액체화물 증발방지 방법.
  8. 삭제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압력제어수단의 고장시 상기 우회밸브를 개방시킴으로써 상기 우회배관을 통하여 선적작업을 계속해서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배관의 내부압력이 액체화물의 증기압 이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우회배관의 직경은 상기 배관의 직경보다 작은, 선박의 액체화물 증발방지 방법.
KR1020130107139A 2013-09-06 2013-09-06 선박의 액체화물 증발방지 시스템 및 방법 KR1014083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7139A KR101408347B1 (ko) 2013-09-06 2013-09-06 선박의 액체화물 증발방지 시스템 및 방법
PCT/KR2014/008428 WO2015034331A1 (ko) 2013-09-06 2014-09-05 선박의 액체화물 증발방지 시스템 및 방법
ES14841703T ES2715670T3 (es) 2013-09-06 2014-09-05 Sistema y método para evitar la evaporación de una carga líquida en un barco
EP14841703.3A EP3042844B1 (en) 2013-09-06 2014-09-05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liquid cargo in ship from evaporating
SG11201601704SA SG11201601704SA (en) 2013-09-06 2014-09-05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liquid cargo in ship from evaporating
CN201480060485.1A CN105705414A (zh) 2013-09-06 2014-09-05 用于防止船中的液体货物蒸发的系统和方法
JP2016540820A JP6244030B2 (ja) 2013-09-06 2014-09-05 船舶の液体貨物蒸発防止システム及び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7139A KR101408347B1 (ko) 2013-09-06 2013-09-06 선박의 액체화물 증발방지 시스템 및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37149A Division KR20150028697A (ko) 2014-03-28 2014-03-28 선박의 건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8347B1 true KR101408347B1 (ko) 2014-06-17

Family

ID=51133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7139A KR101408347B1 (ko) 2013-09-06 2013-09-06 선박의 액체화물 증발방지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3042844B1 (ko)
JP (1) JP6244030B2 (ko)
KR (1) KR101408347B1 (ko)
CN (1) CN105705414A (ko)
ES (1) ES2715670T3 (ko)
SG (1) SG11201601704SA (ko)
WO (1) WO201503433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6670A (ko) * 2018-11-15 2020-05-2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카고 파이핑 시스템 및 lng 로딩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429155B2 (ja) * 2020-05-08 2024-02-07 三菱造船株式会社 船舶
JP2022071534A (ja) * 2020-10-28 2022-05-16 三菱造船株式会社 浮体、液化二酸化炭素の積込方法、液化二酸化炭素の揚荷方法
KR20240065278A (ko) 2021-11-04 2024-05-14 미츠비시 조우센 가부시키가이샤 선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11425A (ja) 2001-12-06 2005-04-28 クヌートセン オーエーエス シッピング アクティーゼルスカブ 荷積柱を用いる方法および装置
KR20090123742A (ko) * 2008-07-16 2009-12-0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원유 운반선의 휘발성 유기화합물 저감 시스템 및 방법
KR101076269B1 (ko) 2009-10-08 2011-10-2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액화가스 운반선의 플래쉬 가스 저감장치
KR20130000223A (ko) * 2011-06-22 2013-01-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액상화물 저장 탱크의 휘발성 유기 화합물 저감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6908B1 (ko) * 2011-06-17 2013-03-2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액상화물 저장 탱크의 휘발성 유기 화합물 저감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11425A (ja) 2001-12-06 2005-04-28 クヌートセン オーエーエス シッピング アクティーゼルスカブ 荷積柱を用いる方法および装置
KR20090123742A (ko) * 2008-07-16 2009-12-0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원유 운반선의 휘발성 유기화합물 저감 시스템 및 방법
KR101076269B1 (ko) 2009-10-08 2011-10-2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액화가스 운반선의 플래쉬 가스 저감장치
KR20130000223A (ko) * 2011-06-22 2013-01-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액상화물 저장 탱크의 휘발성 유기 화합물 저감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6670A (ko) * 2018-11-15 2020-05-2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카고 파이핑 시스템 및 lng 로딩 방법
KR102608686B1 (ko) * 2018-11-15 2023-12-01 한화오션 주식회사 카고 파이핑 시스템 및 lng 로딩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705414A (zh) 2016-06-22
EP3042844B1 (en) 2019-02-06
ES2715670T3 (es) 2019-06-05
JP2016536209A (ja) 2016-11-24
EP3042844A4 (en) 2017-04-26
JP6244030B2 (ja) 2017-12-06
EP3042844A1 (en) 2016-07-13
SG11201601704SA (en) 2016-04-28
WO2015034331A1 (ko) 2015-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46981C1 (ru) Танкер для сжиженного природного газа с системой его погрузки и разгрузки
KR101408347B1 (ko) 선박의 액체화물 증발방지 시스템 및 방법
KR102538465B1 (ko) 액화가스추진 선박의 연료공급시스템 및 방법
KR101826685B1 (ko) 액체화물 증발 저감 시스템 및 방법
KR20090107805A (ko) 천연가스 발열량 저감방법 및 장치
NO20171222A1 (en) Low emission SVOC fueled oil tanker
KR20190008152A (ko) 액화 천연 가스 lng 탱커 트럭 운반용 바지선
KR101788744B1 (ko) 저온 가스 액화물 운반선의 기화식 하역장치 및 방법
KR20100112857A (ko) Lng가 저장되는 해상 부유 구조물과 lng 증발 가스의 배출 장치 및 방법
JP7485796B2 (ja) 液化ガス運搬船の燃料供給システム及び燃料供給方法
KR20120003894U (ko) 카고 탱크의 가스 배출 장치
KR101076269B1 (ko) 액화가스 운반선의 플래쉬 가스 저감장치
KR20150028697A (ko) 선박의 건조 방법
KR101707514B1 (ko) 액체화물 증발감소 시스템 및 방법
KR101714671B1 (ko) 액체저장탱크의 압력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20090036361A (ko) Lng 운반선의 하역시 압력 조절장치 및 상기 압력조절장치를 갖는 lng 운반선
KR20220000431A (ko) 하이브리드 화물창을 포함하는 부유식 구조물
KR20100113293A (ko) Lng 증발 가스의 배출 장치 및 방법과 lng가 저장되는 해상 부유 구조물
KR20220090811A (ko) 선박의 콜드 테스트 시스템
KR102138408B1 (ko) 선박
KR102071028B1 (ko) 부유식 구조물
KR101310320B1 (ko) 액체화물 저장탱크에서의 플래쉬 가스 저감장치
KR102215060B1 (ko) Lng 증발가스의 응축장치 및 제어방법
KR102262123B1 (ko) 액체화물 수송 시스템
KR102645626B1 (ko) 액화 천연 가스의 출하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