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1470U - 펜 니들 - Google Patents

펜 니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1470U
KR20210001470U KR2020200003151U KR20200003151U KR20210001470U KR 20210001470 U KR20210001470 U KR 20210001470U KR 2020200003151 U KR2020200003151 U KR 2020200003151U KR 20200003151 U KR20200003151 U KR 20200003151U KR 20210001470 U KR20210001470 U KR 2021000147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pen
hub
post
needle h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31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5497Y1 (ko
Inventor
김희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덱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덱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덱셀
Priority to KR20202000031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5497Y1/ko
Publication of KR2021000147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147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54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549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4Constructions for connecting the needle, e.g. to syringe nozzle or needle hub
    • A61M5/349Constructions for connecting the needle, e.g. to syringe nozzle or needle hub using adhesive bond or glu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2Devices for protection of the needle before use, e.g. ca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87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the body; Automatic needle inser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93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needle hub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4Constructions for connecting the needle, e.g. to syringe nozzle or needle hub
    • A61M5/347Constructions for connecting the needle, e.g. to syringe nozzle or needle hub rotatable, e.g. bayonet or screw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실시 예에 의한 펜 니들은 펜 타입 주사기 몸체와 결합하는 펜 니들(pen needle)로, 펜 니들은: 바늘과, 바늘을 파지하는 바늘 허브(needle hub)를 포함하며, 바늘 허브는, 펜 타입 주사기 몸체와 결합하는 결합 구조와 바늘의 근단부가 결합 구조 내에서 노출되고, 바늘의 원단부가 바늘 허브 표면으로 노출되도록 바늘을 파지하는 포스트(post)와, 바늘의 몸체가 수용되는 바늘 홀(hole)과, 바늘과 바늘 허브를 접착하는 접착제를 포스트 내에서 저장하는 접착제 저장부를 포함하며, 포스트로부터 방사상으로 형성되고, 주사시 사용자의 피부와 접촉하는 면적을 증가시키는 복수의 립(rib)들이 형성된다.

Description

펜 니들{PEN NEEDLE}
본 기술은 펜 니들과 관련된다.
펜 타입 주사기의 몸체에는 수 회에서 수십 회 주사가 가능한 약제가 수용되어 있다. 펜 타입 주사기는 사용자가 누르는 압력에 의하여 일정량의 약제가 인체로 주사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감염 등의 위험으로 인하여 매회 사용 마다 펜 니들(pen needle)을 교체해 가며 사용하도록 되어 있다.
펜 니들은 1회용 소모품으로, 반복적으로 재사용하거나 부주의에 의한 피부접촉 또는 찔림으로 인한 2차 감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하는 문제점이 자주 발생하고 있어서 이를 해결하기 위한 여러 가지 기능의 펜 니들이 개발되었다.
펜 니들은 당뇨병과 같이 정기적인 주사가 필요한 환자에게 간편하게 약물을 주사할 수 있는 도구이다. 그러나, 노약자 등 신체 조절 능력이 떨어지는 자가 자신의 신체에 주사를 수행하는 경우에는 주사 바늘을 피부 표면에 수직으로 침습시키지 못하여 피하에 충분히 약물이 전달되지 않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바늘과 바늘을 파지하는 바늘 허브(needle hub)를 포함하며, 바늘과 바늘 허브는 접착제로 결합되었다. 바늘 허브의 제조 공정에서 접착제가 과소 주입 혹은 과다 주입 되는 경우가 있었다. 접착제가 과소 주입되는 경우에는 작은 힘이 제공되어도 바늘이 바늘 허브로부터 분리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와 반대로 접착제가 과다 주입되는 경우에는 펜 니들 사용시 사용자의 피부와 접촉하는 면에 경화된 접착제가 흘러나와 사용자에게 좋지 않은 인상을 줄 수 있다.
본 기술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중 하나는, 상기한 종래 기술에 의한 펜 니들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펜 니들은 노약자등이 주사하여도 피하에 충분히 약물이 전달되지 않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으며, 접착제의 과소 주입에 의한 바늘의 분리를 막고, 접착제 과다 주입에 의한 접착제 유출을 해소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한 펜 니들에 의하면 바늘의 몸체를 수용하는 포스트 내에 접착제 저장부를 포함하여 접착제 부족으로 인한 바늘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누출된 접착제를 저장하는 누출 접착제 저장부를 포함하여 사용자가 접착제 누출에 의한 나쁜 사용감을 가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복수의 립에 의하여 사용자의 피부와 접촉하는 면적을 향상시켜 주사 실패를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의한 펜 니들의 분해도이다.
도 2는 바늘 허브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바늘 허브의 일부를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4(a)는 바늘과 결합된 바늘 허브를 예시한 도면이고, 도 4(b)는 종래 기술에 의한 펜 니들로 주사를 수행하는 것을 예시한 도면이며, 도 4(c)는 본 실시예에 의한 펜 니들로 주사를 수행하는 것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캡 내에 바늘을 파지하는 바늘 허브가 수납된 상태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 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상부에" 또는 "위에"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의 바로 위에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접촉하여"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개재하여"와 "바로 ~개재하여", "~사이에"와 "바로 ~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은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참조되는 도면은 설명의 편의 및 이해의 용이를 위하여 의도적으로 크기, 높이, 두께 등이 과장되어 표현되어 있으며, 비율에 따라 확대 또는 축소된 것이 아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어느 구성요소는 의도적으로 축소되어 표현하고, 다른 구성요소는 의도적으로 확대되어 표현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실시 예에 의한 일반 펜 니들의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 예에 의한 일반 펜 니들(10)의 분해도이고, 도 2는 바늘 허브(100)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의한 펜 니들은 타입 주사기 몸체와 결합하며, 펜 니들은: 바늘(200)과, 바늘(200)을 파지하는 바늘 허브(needle hub, 100)를 포함하며, 바늘 허브(100)는, 펜 타입 주사기 몸체와 결합하는 결합 구조(110)와 바늘의 근단부(210)가 결합 구조(110) 내에서 노출되고, 바늘의 원단부(220)가 바늘 허브(100) 표면으로 노출되도록 바늘을 파지하는 포스트(post, 120)와, 바늘(200)의 몸체가 수용되는 바늘 홀(hole, 130)과, 바늘(200)과 바늘 허브(110)를 접착하는 접착제를 포스트 내에서 저장하는 접착제 저장부(132)를 포함하며, 포스트(120)로부터 방사상으로 형성되고, 주사 시 사용자의 피부와 접촉하는 면적을 증가시키는 복수의 립(rib, 150)들을 포함한다.
바늘(200)은 바늘 허브(100)에 형성된 바늘 홀(130)에 삽입된다. 바늘(200)의 원단부(220)는 바늘 허브의 포스트(120)로부터 노출된다. 바늘(200)이 포스트(120)로부터 노출된 길이는 바늘(200)이 사용자 피부 아래 목적하는 깊이(d, 도 4 참조)로 침습하여 약물을 전달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된다. 일 예로, 바늘(200)이 포스트(120)로부터 노출된 길이는 3.2mm ~ 9.6mm일 수 있다.
바늘의 근단부(210)는 본 실시 예에 의한 펜 니들(10)이 펜 타입 주사기 몸체(미도시)와 결합하는 결합 구조(110) 내로 연장되어 노출된다(도 5, 200 참조). 바늘의 근단부(210)는 주사 약물이 저장된 펜 타입 주사기 몸체(미도시)에 침투할 수 있도록 날카로운 단부를 가진다.
바늘 허브(100)는 펜 타입 주사기 몸체(미도시)와 결합하는 결합 구조(110)를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 예와 같이 결합 구조(110)는 펜 타입 주사기 몸체(미도시)와 나사 결합할 수 있는 나사 부재일 수 있으며, 펜 타입 주사기(미도시)에는 이와 상응하는 나사 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은 다른 예로, 바늘 허브에 형성된 결합 구조는 펜 타입 주사기 몸체와 결합하는 돌기와 돌기에 상응하는 리세스(recess) 부재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펜 타입 주사기 몸체에는 돌기와 리세스 부재 중 다른 하나가 형성될 수 있다.
포스트(120)는 바늘이 연장된 방향으로 연장되며, 바늘(200)의 몸체를 수용한다. 포스트(120)는 바늘이 삽입된 바늘 홀(130)을 포함한다. 바늘 홀(130)을 통하여 바늘(200)이 바늘 허브(200)를 관통하며, 바늘의 근단부(210)가 결합 구조 내에 노출되고 바늘(200)의 원단부(220)가 포스트(120)의 표면으로 주사 가능하도록 노출된다.
바늘 홀(130)에는 접착제 저장부(140)가 형성된다. 바늘(200)은 접착제에 의하여 바늘 허브(100)에 결합한다. 바늘(200)과 바늘 허브(100)를 결합하는 과정에서 접착제가 과소하게 도포되면 바늘(200)이 바늘 허브(100)에서 분리될 수 있다. 약물을 피하에 주사할 때 바늘(200)이 바늘 허브(100)에서 분리되면 의료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바늘 허브(100)에는 접착제를 충분히 저장할 수 있는 접착제 저장부(140)가 형성된다. 접착제 저장부(140)는 바늘 홀(130)을 따라 접착제를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을 포함한다. 바늘(200)이 바늘 홀(130)을 통해 삽입되면 접착제 저장부(140)는 바늘(200)과 바늘 홀(130) 사이의 접촉 면에 충분한 접착제를 제공하여 바늘(200)이 바늘 홀(130)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결합을 단단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바늘(200)이 바늘 허브(10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접착제 저장부(140)는 도시된 예와 같이 내부에 접착제를 보관할 수 있도록 둥근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은 예로, 접착제 저장부는 수직, 삼각 등의 각진 형태의 요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는 접착제 저장부(140)가 바늘 홀(130)을 따라 두 개가 형성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접착제 저장부(140)는 바늘 홀(130)을 따라 하나 혹은 두 개 이상이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바늘 홀(130)의 일부를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포스트(120)의 상면(S)측으로 연장된 바늘 홀(130)에는 누출 접착제 저장부(132)가 형성된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바늘(200)과 바늘 허브(100)는 접착제에 의하여 상호 결합된다. 종래 기술에 의한 펜 니들에서 접착제가 과다 주입되는 경우에는 바늘 홀(130)에 바늘(200)을 삽입하여 펜 니들을 조립하는 과정에서 접착제가 포스트(120) 상면으로 흘러나와 경화될 수 있다. 포스트(120) 상면으로 흘러나와 경화된 접착제는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며, 불량품이라는 인식을 줄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 예에 의하면 과다 주입된 접착제가 바늘 홀(130)에서 흘러나온다 하더라도 누출 접착제 저장부(132)에 저장되며, 포스트의 상면(S)으로 넘치지 않는다. 따라서, 사용자에게 보다 향상된 사용감을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제공된다.
도 3으로 예시된 실시 예에서, 누출 접착제 저장부(132)는 음각된 원뿔 형태를 가지는 것으로 예시되었으나, 이는 실시예 일 따름으로, 누출 접착제 저장부(132)는 바늘 홀(130)에서 누출된 접착제를 저장할 수 있는 부피를 가지는 어떠한 형태라도 가능하다. 일 예로, 누출 접착제 저장부(132)는 음각된 육면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예로, 누출 접착제 저장부(132)는 바늘 홀(130)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원기둥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누출 접착제 저장부(132)에 저장된 접착제는 포스트(120)의 상면(S)으로 누출되지 않고, 누출 접착제 저장부(132)에 저장되어 경화된다.
도 4(a)는 바늘(200)과 결합된 바늘 허브(100)를 예시한 도면이고, 도 4(b)는 종래 기술에 의한 펜 니들로 주사를 수행하는 것을 예시한 도면이며, 도 4(c)는 본 실시 예에 의한 펜 니들로 주사를 수행하는 것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의한 바늘 허브(100)는 포스트(120)에서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립(150)들을 포함한다.
도 4(b)는 종래 기술에 의한 펜 니들로 주사를 수행하는 것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4(b)를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의한 펜 니들은 펜 니들의 상부 표면과 사용자의 피부(skin)가 접촉하는 면적이 작다. 따라서, 도시된 것과 같이 바늘이 사용자의 피부에 침습하는 각도가 90도를 이루지 못하고 사선으로 침습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따라서, 바늘이 피부(skin) 아래 목적하는 깊이(d)이상 침습하지 못한 상태에서 약물이 투여되어 약물 전달 효용이 감소하는 단점이 있었다.
그러나, 도 4(c)로 예시된 본 실시 예에 의하면 복수의 립(150)들은 펜 니들을 이용하여 주사시 바늘(200)이 피부에 직각으로 침습할 수 있도록 한다. 일 예로, 립(150)들은 포스트(120) 중앙에 형성된 바늘 홀(130)로부터 방사상(radially)으로 형성된다. 사용자는 모든 립(150)들의 상부 표면이 사용자의 피부(skin)와 접촉하도록 바늘(200)을 침습시키며, 립(150)들은 포스트에서 방사상으로 형성되므로 사용자는 립(150)들이 피부(skin)에 접촉하는 것을 인지하면서 주사하여 직각으로 목적하는 깊이까지 바늘(200)을 침습시켜 약물을 전달할 수 있다. 도시된 예와 같이 립(150)들은 바늘 홀(130)을 기준으로 8개가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립(150)들은 8개 초과 혹은 8개 미만으로 형성될 수 있다.
종래의 펜 니들에서 바늘(200)을 파지하는 포스트의 직경은 바늘 허브 직경의 1/3 이하였다. 즉, 종래의 펜 니들에서 바늘 허브의 직경이 12mm 인 경우에 포스트의 직경은 4mm 이하이었다. 따라서, 종래 기술의 펜 니들에 의하면 도 4(c)로 예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의 피부와 접촉하는 면적이 적어 사용자의 피부(skin)에 사선 방향으로 침습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펜 니들에서 립을 포함하는 포스트의 직경은 바늘 허브 직경의 1/2 이상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3 이상이다. 따라서, 사용자의 피부와 접촉하는 면적이 향상되어 바늘이 직각으로 사용자의 피부 아래로 침습하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캡(300) 내에 바늘(200)을 파지하는 바늘 허브(100)가 수납된 상태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캡(300)은 내부 공간에 바늘(200)을 파지하는 바늘 허브(100)를 수납한다. 캡(300)의 내부 공간은 멸균 처리될 수 있다. 캡 내부는 바늘 허브(100)가 수납된 상태에서 밀봉 스티커(미도시)로 밀봉될 수 있다.
캡(300)의 내부에는 립(150) 측벽과 상응하도록 돌기 부재(310)가 형성될 수 있다. 캡(300)의 돌기 부재(310)와 립(150)의 측벽은 서로 마찰하여 캡(300)과 바늘 허브(100) 사이 끼워 맞춤 결합을 이룰 수 있다. 일 예로, 돌기 부재(310)는 캡(300) 내부의 립(150) 측벽과 상응하는 위치에 고리 형태(annular shape)로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실시를 위한 실시예로,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펜 니들 100: 바늘 허브
110: 결합구조 120: 포스트
130: 바늘 홀 132: 누출 접착제 저장부
140: 접착제 저장부 150: 립
200: 바늘 210: 근단부
220: 원단부 300: 캡
310: 돌기 부재

Claims (5)

  1. 펜 타입 주사기 몸체와 결합하는 펜 니들(pen needle)로, 상기 펜 니들은:
    바늘;
    상기 바늘을 파지하는 바늘 허브(needle hub)를 포함하며,
    상기 바늘 허브는,
    상기 펜 타입 주사기 몸체와 결합하는 결합 구조와
    상기 바늘의 근단부가 상기 결합 구조 내에서 노출되고, 상기 바늘의 원단부가 상기 바늘 허브 표면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바늘을 파지하는 포스트(post)와,
    바늘의 몸체가 수용되는 바늘 홀(hole)과,
    상기 바늘과 상기 바늘 허브를 접착하는 접착제를 상기 포스트 내에서 저장하는 접착제 저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포스트로부터 방사상으로 형성되고, 주사시 사용자의 피부와 접촉하는 면적을 증가시키는 복수의 립(rib)들을 포함하고,
    상기 포스트의 직경은 상기 바늘 허브 직경의 1/2 이상이며,
    상기 복수의 립들은 상기 포스트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펜 니들은 상기 바늘 및 상기 바늘 허브를 수납하는 캡을 더 포함하며,
    상기 바늘 허브가 수납되는 상기 캡의 내측에는 횡 방향으로 돌출된 고리 형태의 돌기 부재가 형성되어 상기 돌기 부재는 상기 립의 측면과 끼워 맞춤 결합되고,
    상기 복수의 립들이 상기 사용자의 피부와 접촉하는 평면은 서로 평평행하며, 평평한 펜 니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늘 홀의 일 단부에는 상기 바늘 홀의 표면적에 비하여 표면적이 증가한 누출 접착제 저장부가 형성된 펜 니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누출 접착제 저장부는
    원뿔, 원기둥 및 육면체 중 어느 하나가 음각된 형태인 펜 니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펜 니들은,
    상기 캡에서 상기 바늘과 상기 바늘 허브를 수용하는 면은 멸균된 것인 펜 니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구조는,
    상기 펜 타입 주사기와 나사 결합하는 나사 결합 부재,
    상기 펜 타입 주사기 및 상기 바늘 허브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돌기 및 상기 펜 타입 주사기 및 상기 바늘 허브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된 리세스 부재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펜 니들.

KR2020200003151U 2019-12-19 2020-08-28 펜 니들 KR2004954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3151U KR200495497Y1 (ko) 2019-12-19 2020-08-28 펜 니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0805 2019-12-19
KR2020200003151U KR200495497Y1 (ko) 2019-12-19 2020-08-28 펜 니들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0805 Division 2019-03-12 2019-12-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1470U true KR20210001470U (ko) 2021-06-29
KR200495497Y1 KR200495497Y1 (ko) 2022-06-08

Family

ID=76603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3151U KR200495497Y1 (ko) 2019-12-19 2020-08-28 펜 니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5497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90098A (ja) * 2007-09-07 2009-04-30 Becton Dickinson & Co 増大された接触領域を有するペン用針ハブ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90098A (ja) * 2007-09-07 2009-04-30 Becton Dickinson & Co 増大された接触領域を有するペン用針ハブ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5497Y1 (ko) 2022-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138164A1 (en) Pen needle hub having increased contact area
JP6284595B2 (ja) 注射針組立体及び薬剤注射装置
US6843783B2 (en) Injection needle and injection apparatus
JP5667571B2 (ja) 注射針組立体及び薬剤注射装置
US10406289B2 (en) Drug injection syringe
US8021354B2 (en) Needleless injection structure
AU2010301899B2 (en) Syringe needle assembly and medication injection device
JP5719522B2 (ja) 薬剤投与器具及び薬剤注射装置
WO2011040221A1 (ja) 注射針組立体および薬剤注射装置
WO2016152958A1 (ja) シリンジホルダ及び薬液投与セット
CN102596295A (zh) 注射针组装体及药剂注射装置
JP2002177395A (ja) プレフィルドシリンジ用注射器およびプレフィルドシリンジ
KR200495497Y1 (ko) 펜 니들
KR200486337Y1 (ko) 호환성을 향상시킨 일회용 주사기 세트
WO2011040222A1 (ja) 注射針組立体及び薬剤注射装置
US20220168511A1 (en) Pen needle
JP6014395B2 (ja) 薬剤微量投与具
WO2012147415A1 (ja) 注射針組立体及び薬剤注射装置
JP5965233B2 (ja) 薬剤微量投与具
KR20180112982A (ko) 재사용이 불가능한 스마트 주사기(2)
WO2012160855A1 (ja) 注射針組立体及び薬剤注射装置
WO2012157323A1 (ja) 注射針組立体及び薬剤注射装置
JP2001104481A (ja) プレフィルドシリンジ用注射器およびプレフィルドシリン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