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1251U - 프레스 타발용 버튼 다이 - Google Patents

프레스 타발용 버튼 다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1251U
KR20210001251U KR2020190004810U KR20190004810U KR20210001251U KR 20210001251 U KR20210001251 U KR 20210001251U KR 2020190004810 U KR2020190004810 U KR 2020190004810U KR 20190004810 U KR20190004810 U KR 20190004810U KR 20210001251 U KR20210001251 U KR 2021000125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nch
inner diameter
insertion path
punching
button di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48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한영
박태선
Original Assignee
강한영
박태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한영, 박태선 filed Critical 강한영
Priority to KR20201900048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01251U/ko
Publication of KR2021000125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1251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5/00Ejecting or stripping-off devices arranged in machines or tools dealt with in this subclass
    • B21D45/02Ejec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8/00Shaping by press-cutting; Perforating
    • B21D28/24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 B21D28/34Perforating tools; Die hol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nching Or Pierc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프레스 타발 시 펀치(punch)와 함께 강판의 타발에 사용되는 버튼 다이에 관한 것으로서, 펀치삽입로와 스크랩 배출로가 상하로 나란히 형성되는 프레스 타발용 버튼 다이에 있어서 상기 펀치삽입로는 하단부에서의 내경이 프레스 타발용 펀치(punch)가 통과하는 가장 좁은 구간으로서 상기 펀치삽입로의 상단으로 갈수록 점차 넓어지는 내경을 갖도록 내주면이 역테이퍼면을 이루고, 상기 스크랩 배출로는 상기 펀치삽입로의 하단부 내경으로부터 연장되어 하단으로 갈수록 점차 넓어지는 내경을 갖도록 내주면이 정테이퍼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스크랩이 역취출되지 않고 하나씩 배출될 수 있다.

Description

프레스 타발용 버튼 다이{BUTTON DIE FOR PRESS PUNCHING}
본 고안은 프레스 타발 시 펀치(punch)와 함께 강판의 타발에 사용되는 버튼 다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크랩(scrap)의 역취출을 방지하기 위해 구조가 개선된 프레스 타발용 버튼 다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프레스 타발용 버튼 다이(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펀치삽입로(11)와 스크랩 배출로(12)가 상하로 나란히 형성됨으로써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강하는 펀치(1)와 함께 모재(2)로부터 절단된 스크랩(3)이 나란히 펀치삽입로(11)로 유입된다. 그러나, 스크랩(3)이 테두리에 형성되는 버(burr)로 인해 펀치(1)에 붙어 함께 상승하는 역취출 현상이 자주 발생하여 모재(2)에 찍힘이나 버튼 다이(10)에 손상을 가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해 스크랩(3)의 역취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버튼 다이(20)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안된 바 있다. 이에 의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재(2)로부터 절단된 스크랩(3)이 좁은 중간배출로(21)에 끼어 역취출이 방지되기는 하나 하나씩 배출되지 못하고 여러 개가 겹치면서 떨어지게 되는데 이때 스크랩(3)의 테두리의 버로 인해 적층된 스크랩들(3)이 서로 밀착되어 여러 개가 매달려 쌓이는 경우가 있어 펀치(1)에 대한 부하로 작용하여 모재(2)에 영향을 줄 수 있고, 결국 반복되는 내벽면의 마찰로 인해 점차 확장되는 중간배출로(21)는 마침내 제 기능을 못하고 스크랩(3)의 역취출을 다시 발생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스크랩이 역취출되지 않고 하나씩 배출될 수 있도록 개선된 프레스 타발용 버튼 다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펀치삽입로와 스크랩 배출로가 상하로 나란히 형성되는 프레스 타발용 버튼 다이에 있어서, 상기 펀치삽입로는 하단부에서의 내경이 프레스 타발용 펀치(punch)가 통과하는 가장 좁은 구간으로서 상기 펀치삽입로의 상단으로 갈수록 점차 넓어지는 내경을 갖도록 내주면이 역테이퍼면을 이루고, 상기 스크랩 배출로는 상기 펀치삽입로의 하단부 내경으로부터 연장되어 하단으로 갈수록 점차 넓어지는 내경을 갖도록 내주면이 정테이퍼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타발용 버튼 다이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펀치삽입로의 하단부 내경과 상기 펀치 사이의 틈새(clearance)는 프레스 타발 대상인 모재의 두께 대비 5~7%이고, 상기 펀치삽입로의 상단부 내경과 상기 펀치 사이의 틈새는 상기 프레스 타발 대상인 모재의 두께 대비 7~10%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스크랩 배출로의 하단으로부터 나란히 형성되되 확장된 내경을 갖는 확장배출로가 더 형성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프레스 타발용 버튼 다이에 의하면 펀치삽입로의 하단부 내경을 기준으로 이를 통과하는 스크랩은 상기 하단부 내경의 형성으로 인한 걸림턱 작용으로 인해 상승하는 펀치를 따라 함께 상승, 즉 역취출되지 못하고 아래의 점차 확장되는 내경을 갖는 스크랩 배출로를 따라 하나씩 배출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프레스 타발용 버튼 다이의 일례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도 1의 프레스 타발용 버튼 다이의 사용례를 도시한 투시도,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프레스 타발용 버튼 다이의 다른 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도 3의 프레스 타발용 버튼 다이의 사용례를 도시한 단계별 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타발용 버튼 다이를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도 5의 프레스 타발용 버튼 다이의 사용례를 도시한 투시도,
도 7은 도 6의 "A" 영역에 대한 확대도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타발용 버튼 다이(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으로부터 펀치삽입로(31), 스크랩 배출로(32) 및 확장배출로(33)가 나란히 형성된다.
펀치삽입로(31)는 프레스 타발용 펀치(punch)가 통과하는 구간으로서 그 하단부에서의 내경(D2)이 가장 좁고 상단으로 갈수록 점차 넓어지는 내경을 갖도록 내주면이 역테이퍼면을 이루어 상단부에서의 내경(D1)이 가장 넓도록 형성된다.
상기 두 내경(D1, D2)의 차이는 미세하여,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하단부 내경(D2)과 펀치(1) 사이의 틈새(clearance, C2)는 프레스 타발 대상인 모재(2)의 두께(t) 대비 5~7%일때, 상단부 내경(D1)과 펀치(1) 사이의 틈새(C1)는 상기 모재(2)의 두께 대비 7~10%이며, 이때 틈새(C1, C2) 간의 차(C1-C2)는 3%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틈새(C1, C2)가 상기 수치들보다 더 작을 경우에는 마모가 발생할 수 있으며, 상기 수치들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버(burr)가 생기는 문제가 있다.
스크랩 배출로(32)는 펀치삽입로(31)의 하단부 내경(D2)으로부터 하단으로 갈수록 점차 넓어지는 내경을 갖도록 연장되어 내주면이 정테이퍼면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펀치삽입로(31)와 스크랩 배출로(32)의 형성에 따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재(2)를 대고 펀치(1)가 삽입하는 경우 발생하는 스크랩(3)은 상승하는 펀치(1)에 붙어 역취출하는 과정에서 펀치삽입로(31)의 좁은 하단부 내경(D2)으로 인해 형성되는 내주면의 걸림턱(31a)에 걸려 펀치(1)로부터 탈락하여 아래로 떨어져 배출하게 된다.
확장배출로(33)는 스크랩 배출로(32)의 하단으로부터 나란히 형성되되 확장된 내경을 가짐으로써 탈락하는 스크랩(3)이 더욱 원활히 배출되게 해준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된 프레스 타발용 버튼 다이(30)는 본 고안의 설명을 위한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 내지 기술적 범위를 한정하기 위해 기술된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권리범위 내지 기술적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균등범위에 의해 정하여진다.
1: 펀치(punch)
2: 모재
3: 스크랩(scrap)
30: 프레스 타발용 버튼 다이
31: 펀치삽입로
31a: 걸림턱
32: 스크랩 배출로
33: 확장배출로

Claims (3)

  1. 펀치삽입로와 스크랩 배출로가 상하로 나란히 형성되는 프레스 타발용 버튼 다이에 있어서,
    상기 펀치삽입로는
    하단부에서의 내경이 프레스 타발용 펀치(punch)가 통과하는 가장 좁은 구간으로서 상기 펀치삽입로의 상단으로 갈수록 점차 넓어지는 내경을 갖도록 내주면이 역테이퍼면을 이루고,
    상기 스크랩 배출로는
    상기 펀치삽입로의 하단부 내경으로부터 연장되어 하단으로 갈수록 점차 넓어지는 내경을 갖도록 내주면이 정테이퍼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타발용 버튼 다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펀치삽입로의 하단부 내경과 상기 펀치 사이의 틈새(clearance)는
    프레스 타발 대상인 모재의 두께 대비 5~7%이고,
    상기 펀치삽입로의 상단부 내경과 상기 펀치 사이의 틈새는
    상기 프레스 타발 대상인 모재의 두께 대비 7~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타발용 버튼 다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랩 배출로의 하단으로부터 나란히 형성되되 확장된 내경을 갖는 확장배출로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타발용 버튼 다이.
KR2020190004810U 2019-11-28 2019-11-28 프레스 타발용 버튼 다이 KR2021000125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4810U KR20210001251U (ko) 2019-11-28 2019-11-28 프레스 타발용 버튼 다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4810U KR20210001251U (ko) 2019-11-28 2019-11-28 프레스 타발용 버튼 다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1251U true KR20210001251U (ko) 2021-06-07

Family

ID=76376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4810U KR20210001251U (ko) 2019-11-28 2019-11-28 프레스 타발용 버튼 다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01251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43526B2 (ja) 中空本体要素及び構成要素アセンブリ
US4543865A (en) Punch press tool for punching small holes in a strip of sheet metal, and obtaining small punched blanks
RU2295414C1 (ru) Способ малоотходной вырубки заготовки из ленты, широкого рулона или полосы (варианты)
US9789529B2 (en) Stamping slug retention recess and method
US7487703B2 (en) Dual headed punch with tapered neck
KR20220043716A (ko) 스크랩 역류방지용 버튼 다이
US7210384B2 (en) Slug pulling preventing tooling die
KR20210001251U (ko) 프레스 타발용 버튼 다이
JP2009241091A (ja) 逆テーパーパンチと面取りダイによる金属板の打ち抜き加工装置及び方法
JP2015166102A (ja) カス上がりを抑制又は防止するダイ
KR930000855A (ko) 전자 커플링용 다극 커플링 원판 형성 방법
WO2012046646A1 (ja) 抜き加工金型
CN109108152B (zh) 一种用于高速冲压加工的凹模
US3494168A (en) Forming tool
KR101857710B1 (ko) 스크랩 역류 방지용 피어싱 다이 어셈블리
US3399409A (en) Method of making a self-staking insert
JP4876804B2 (ja) シェービング加工方法
JPH05154576A (ja) プレス打ち抜き金型
JP2012110962A (ja) 金属材の抜き加工におけるカス上がり、カス詰まり防止ダイ
JP5466692B2 (ja) 抜き加工用金型
CN205270530U (zh) 引线框架模具
CN104148506B (zh) 一种消除冲压金属薄板产生波浪变形的级进模具
JP2017154153A (ja) 金型及びこれを用いたリードフレームの製造方法
JP2001198634A (ja) バーリングパンチ
CN118023389A (zh) 一种防跳料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