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1243U - 전자레인지의 기능을 겸비한 건조기 - Google Patents

전자레인지의 기능을 겸비한 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1243U
KR20210001243U KR2020190004803U KR20190004803U KR20210001243U KR 20210001243 U KR20210001243 U KR 20210001243U KR 2020190004803 U KR2020190004803 U KR 2020190004803U KR 20190004803 U KR20190004803 U KR 20190004803U KR 20210001243 U KR20210001243 U KR 2021000124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ing
air
drying chamber
power receiving
dr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48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5139Y1 (ko
Inventor
김지현
김영일
서철웅
Original Assignee
김지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지현 filed Critical 김지현
Priority to KR20201900048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5139Y1/ko
Publication of KR2021000124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124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51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513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3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development of heat within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e.g. by fermentation or other microbiological action
    • F26B3/3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development of heat within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e.g. by fermentation or other microbiological action by using electrical effects
    • F26B3/347Electromagnetic heating, e.g. induction heating or heating using microwave energ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6Chambers, containers, or receptacles
    • F26B25/14Chambers, containers, receptacles of simple construct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마이크로파에 의한 가열과 공기의 순환에 따른 건조를 수행할 수 있는 전자레인지의 기능을 겸비한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전자레인지의 기능을 겸비한 건조기는 내부에 피건조물을 반입하는 건조실이 형성된 건조기본체, 상기 건조실로 피건조물을 반입 또는 반출하기 위해 상기 건조기본체에 형성되는 출입구, 상기 출입구를 개폐하는 출입도어, 상기 건조실의 하부로 마이크로파를 방출하도록 상기 건조기본체의 상부에 설치되는 마그네트론, 상기 건조실의 상부를 구획하여 상기 마그네트론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가 설치되는 전원수용부, 상기 전원공급장치를 냉각하기 위한 외부의 공기를 상기 전원수용부로 도입하는 공기인입구, 상기 공기인입구를 통해 상기 전원수용부로 강제적으로 공기를 도입하는 송풍팬, 상기 공기인입구로 도입된 공기를 상기 건조실로 도입하도록 상기 건조실의 상부에 공기가 유통되는 복수 개의 유통공으로 구성된 건조도입부, 상기 건조도입부를 통해 상기 건조실로 도입된 공기를 피건조물의 수분을 흡수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공기가 유통되는 복수 개의 유통공으로 구성된 배기부, 상기 전원수용부에 형성되어 상기 공기인입구를 통해 상기 전원수용부에서 상기 전원공급장치와 열교환한 공기를 외부로 바로 방출하는 방출구, 및 상기 방출구에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방출구를 개방하여 상기 공기인입구로 도입된 공기를 상기 방출구로 바로 배기하거나, 상기 방출구를 폐쇄하여 도입된 공기를 상기 건조도입부를 통해 상기 건조실로 도입하여 피건조물을 건조시키는 건조선택도어를 포함한다. 따라서, 건조와 가열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전자레인지의 기능을 겸비한 건조기{Dryer with Microwave Oven}
본 고안은 마이크로파에 의한 가열과 공기의 순환에 따른 건조를 수행할 수 있는 전자레인지의 기능을 겸비한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레인지는 마이크로파를 방출하여 마이크로파에 의해 물 분자를 활발히 운동시켜 발생하는 열에 의해 피가열물을 가열한다.
통상의 전자레인지는 가열실의 측면에 마이크로파를 방출하는 마그네트론이 설치되어 마그네트론에서 방출되는 전자기파가 가열실의 벽면에서 반사되면서 가열실의 중앙에 반입된 피가열물을 가열한다.
그러나, 전자레인지는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밀폐된 구조를 갖기 때문에 건조실 내부로 건조를 위한 공기를 제공할 수 없어 단순히 피가열물을 가열하는 기능만 수행할 뿐, 피건조물을 건조시킬 수는 없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38607호(2015.12.10.공개)의 "전자레인지 겸용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가 개시된 바가 있다.
상기한 종래의 전자레인지 겸용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는 음식물 쓰레기를 수용하도록 내부에 건조실이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어 마이크로웨이브를 방출하는 마그네트론;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수용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 측정부; 상기 마그네트론 및 무게 측정부에 연결되어, 상기 무게 측정부에서 측정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무게에 따라 상기 마그네트론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건조실과 연통되도록 케이스에 연결된 배기관; 및 상기 배기관에 설치된 배기팬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의 종래의 전자레인지 겸용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는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해 음식물 쓰레기를 가열하고 음식물 쓰레기의 무게를 측정하여 음식물 쓰레기의 건조된 정도 및 건조 완료 시점을 파악할 수 있었다.
하지만, 종래의 전자레인지 겸용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는 외기를 바로 실내로 도입하기 때문에 외기의 온도에 따라 건조성이 균일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으며, 외기의 온도가 낮을 경우, 건조실의 내부 온도가 낮아지면서 가열온도를 높여야 하기 때문에 전기의 소모가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자레인지의 기능과 함께 건조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도입되는 외기의 습기를 전원공급장치의 발열에 의해 제거하여 균일한 건조도를 갖는 공기를 건조실로 도입함으로써, 건조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전원공급장치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건조실로 반입하여 전기의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는 전자레인지의 기능을 겸비한 건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비교적 구성이 간단하여 제작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전자레인지의 기능을 겸비한 건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레인지의 기능을 겸비한 건조기는 내부에 피건조물을 반입하는 건조실이 형성된 건조기본체, 상기 건조실로 피건조물을 반입 또는 반출하기 위해 상기 건조기본체에 형성되는 출입구, 상기 출입구를 개폐하는 출입도어, 상기 건조실의 하부로 마이크로파를 방출하도록 상기 건조기본체의 상부에 설치되는 마그네트론, 상기 건조실의 상부를 구획하여 상기 마그네트론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가 설치되는 전원수용부, 상기 전원공급장치를 냉각하기 위한 외부의 공기를 상기 전원수용부로 도입하는 공기인입구, 상기 공기인입구를 통해 상기 전원수용부로 강제적으로 공기를 도입하는 송풍팬, 상기 공기인입구로 도입된 공기를 상기 건조실로 도입하도록 상기 건조실의 상부에 공기가 유통되는 복수 개의 유통공으로 구성된 건조도입부, 상기 건조도입부를 통해 상기 건조실로 도입된 공기를 피건조물의 수분을 흡수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공기가 유통되는 복수 개의 유통공으로 구성된 배기부, 상기 전원수용부에 형성되어 상기 공기인입구를 통해 상기 전원수용부에서 상기 전원공급장치와 열교환한 공기를 외부로 바로 방출하는 방출구, 및 상기 방출구에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방출구를 개방하여 상기 공기인입부로 도입된 공기를 상기 방출구로 바로 배기하거나, 상기 방출구를 폐쇄하여 도입된 공기를 상기 건조도입부를 통해 상기 건조실로 도입하여 피건조물을 건조시키는 건조선택도어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건조실로 도입되는 공기를 전원공급장치에서 발생하는 발열에 의해 건조시킴과 동시에 가열하여 건조된 공기를 건조실 내에 도입함으로써, 건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온도 차이에 따라 별도의 가열 장치로 공기를 가열하여 도입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전기의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건조선택도어의 작동만으로 건조기능과 전자레인지의 기능을 선택하여 작동할 수 있기 때문에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제작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레인지의 기능을 겸비한 건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레인지의 기능을 겸비한 건조기의 전원수용부를 절단한 평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레인지의 기능을 겸비한 건조기의 정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레인지의 기능을 겸비한 건조기의 측단면도로서, 전자레인지의 기능을 수행할 때의 작동상태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레인지의 기능을 겸비한 건조기의 측단면도로서, 건조 기능을 수행할 때의 작동상태를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레인지의 기능을 겸비한 건조기(100)는 건조기본체(1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건조기본체(110)는 내부에 피건조물을 수용할 수 있는 건조실(111)이 형성될 수 있다.
건조기본체(110)의 전면에는 피건조물을 건조실(111)로 반입 또는 반출할 수 있는 출입구(113)가 형성될 수 있으며, 출입구(113)에는 출입도어(115)가 설치되어 출입구(113)를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다.
건조기본체(110)의 상부에는 작동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135)가 수용되는 전원수용부(120)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전원공급장치(135)는 전압과 전류를 변환하는 트랜스(trance)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수용부(120)는 건조기본체(110)의 상부에 상부커버(140)를 설치하여 건조기본체(110)의 상부에 형성하거나, 건조실(111)의 상부를 격판부에 의해 구획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실시예에서는 건조기본체(110)의 상부에 전원공급장치(135)를 설치하고, 건조기본체(110)의 상부에 상부커버(140)를 덮는 형태로 전원수용부(120)를 형성하였다.
한편, 상부커버(140)에는 외부의 공기를 전원수용부(120)로 도입하여 전원공급장치(135)를 냉각시키기 위한 공기인입구(141)가 형성될 수 있으며, 공기인입구(141)에는 외부의 공기를 전원수용부(120)로 강제적으로 도입하기 위한 송풍팬(150)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건조기본체(110)의 상면 전방에는 전원수용부(120)의 내부로 도입되어 전원공급장치(135)의 열에 의해 건조되거나, 전원공급장치(135)와 습기를 교환하여 건조된 공기를 건조실(111)로 도입하는 건조도입부(117)가 형성될 수 있다.
건조도입부(117)는 복수 개의 유통공이 관통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건조도입부(117)는 전원수용부(120)에서 출입구(113)가 위치된 방향에 위치되는 건조실(111)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건조도입부(117)는 공기가 유통될 수 있는 복수 개의 유통공을 천공하는 형태로 건조기본체(110)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유통공은 하기에 설명될 마그네트론(130)에서 방출되는 마이크로파의 파장이 외부로 방출되지 않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건조도입부(117)는 파장이 11.8cm를 갖는 2,470Mh의 마이크로파를 방출하는 마그네트론(130)이 설치되기 때문에 유통공의 크기는 대략 3~3.5mm의 직경으로 3~4mm의 간격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건조실(111) 내로 방출되는 마이크로파가 건조도입부(117)를 통해 전원수용부(120)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실시예에서 건조도입부(117)는 건조기본체(110)의 상면을 전체 100이라고 할때, 출입구(113)가 위치된 방향에서 50 즉, 1/2 가량의 면적에 복수 개의 유통공을 형성하는 형태로 형성하였다.
한편, 건조실(111)에는 건조도입부(117)를 통해 건조실(111)의 내부로 도입되어 피건조물을 가열하면서 발생한 습기를 머금은 공기를 외부로 방출하는 배기부(119)가 건조기본체(110)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배기부(119)는 건조도입부(117)의 유통공과 마찬가지로 복수 개의 유통공을 출입구(113)와 마주하는 건조실(111)의 벽면 하부에 건조기본체(110)를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할 수 있으며, 배기부(119)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유통공도 건조도입부(117)에 형성되는 유통공과 마찬가지로 대략 3~3.5mm의 크기로 3~4mm의 간격을 가지도록 형성하여 파장이 11.8cm를 갖는 2,470Mh의 마이크로파가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배기부(119)는 출입구(113)와 마주하는 건조실(111)의 벽면에 건조실(111)의 벽면의 면적을 100이라할 때, 1/3의 면적에 복수 개의 유통공을 관통하여 형성하는 형태로 구성하였다.
한편, 전원수용부(120)에서 공기인입구(141)와 반대되는 방향의 상면에는 송풍팬(150)에 의해 공기인입구(141)를 통해 전원수용부(120)로 도입된 공기를 외부로 방출하는 방출구(143)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레인지의 기능을 겸비한 건조기(100)는 건조선택도어(1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건조선택도어(160)는 방출구(143)에 설치되어 방출구(143)를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다.
건조선택도어(160)는 방출구(143)를 개방하여 송풍팬(150)에 의해 공기인입구(141)를 통해 전원수용부(120)로 도입된 공기를 전원공급장치(135)와 열교환한 후 외부로 바로 배기하거나, 방출구(143)를 폐쇄하여 송풍팬(150)에 의해 공기인입구(141)를 통해 전원수용부(120)로 도입된 공기가 전원공급장치(135)와 열교환한 후 가열된 상태에서 건조도입부(117)를 통해 건조실(111)로 도입됨으로써, 건조실(111)에 반입된 피건조물을 건조시킨 후, 배기구로 배출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건조선택도어(160)는 방출구(143)를 회전하여 개폐하도록 구성하였지만, 건조선택도어(160)는 슬라이딩 이동하여 방출구(143)를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레인지의 기능을 겸비한 건조기(100)는 마그네트론(1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마그네트론(130)은 마이크로파를 방출하여 마이크로파에 의해 피건조물을 가열할 수 있다.
마그네트론(130)은 건조기본체(110)의 상부에 위치되는 전원수용부(120)에 설치될 수 있으며, 마그네트론(130)에서 마이크로파가 방출되는 전자총은 건조실(111)의 하부로 노출되어 건조실(111)의 바닥을 향해 마이크로파를 방출할 수 있다.
한편, 마그네트론(130)은 건조기본체(110)의 상부에 복수 개가 설치되어 각 마그네트론(130)마다 마이크로파를 방출할 수 있으며, 마그네트론(130)은 전원수용부(120)에 수용된 전원공급장치(135)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마이크로파를 방출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복수 개의 마그네트론(130)이 설치되고 하기에 설명할 반사판(131)에 의해 마이크로파를 반사시켜 가열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전자레인지와는 달리 회전원판을 설치할 필요가 없다.
실시예에서는 각 700W의 출력과, 파장이 11.8cm를 갖는 2,470Mh의 마이크로파를 방출하는 2개의 마그네트론(130)을 건조기본체(110)의 상부 중앙 동일선상에 전자총의 간격이 13~15cm의 간격을 가지도록 설치하였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레인지의 기능을 겸비한 건조기(100)는 반사판(131)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반사판(131)은 전자총의 하부에 설치되어 전자총에서 방출되는 마이크로파를 전자총이 설치된 상면으로 다시 반사시키는 형태로 건조실(111)의 내부에서 마이크로파가 여러방향으로 반사되면서 고르게 퍼져 피건조물을 균일하게 가열할 수 있다.
반사판(131)은 각 전자총 마다 설치될 수 있으며, 반사판(131)은 전자총의 하부에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에서 전자총에서 방출되는 마이크로파를 반사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서 반사판(131)은 전자총의 하부에 11.5mm 내지 12.5mm 간격을 두고 설치하였다.
반사판(131)은 중간 반사판(133)을 포함할 수 있다.
중간반사판(131)은 각 마그네트론(130)에서 반사판(131)에 의해 반사되는 마이크로파의 상호 간섭을 방지하도록 양측에 위치되는 마그네트론(13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양측에 위치되는 마그네트론(130) 중 어느 하나가 위치되는 방향으로 치우쳐 위치됨으로써, 양측에 위치되는 마그네트론(130)의 전방에 위치되는 반사판(131)을 통해 반사되는 마그네트론(130) 중 어느 하나만 다시 반사시켜 마그네트론(130)의 상호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반사판(131)은 내열성 판에 마이크로파를 반사시키거나, 차단시키는 도료로 도색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레인지의 기능을 겸비한 건조기(100)는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컨트롤러는 마그네트론(130)과 송풍팬(15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으며, 컨트롤러는 마그네트론(130)의 출력을 조절하여 피건조물을 가열하는 온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컨트롤러는 피건조물을 가열하는 시간을 선택하여 마그네트론(130)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컨트롤러는 마그네트론(130)의 작동 시 송풍팬(150)도 함께 작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각 구성 간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레인지의 기능을 겸비한 건조기(100)는 출입도어(115)를 개방하여 출입구(113)를 통해 건조실(111) 내에 피건조물을 반입하고, 출입도어(115)를 닫아 출입구(113)를 밀폐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건조물을 일반적인 전자레인지의 기능으로 가열할 경우에는 건조선택도어(160)에 의해 방출구(143)를 개방한다.
이 상태에서 컨트롤러를 통해 원하는 온도와 작동시간을 설정하면, 컨트롤러는 전원공급장치(135)로부터 마그네트론(130)으로 출력에 대응하는 전원을 공급하고, 마그네트론(130)의 전자총에서는 마이크로파가 방출된다.
방출되는 마이크로파는 건조실(111) 내에서 반사되면서, 건조실(111)의 내부로 반입된 피건조물을 가열한다.
이때, 양측에 위치된 마그네트론(130)에서 방출되는 마이크로파는 전자총의 앞에 위치된 반사판(131)에 반사되는데, 반사판(131)의 사이에는 중간 반사판(133)이 설치되어 어느 한 측에서 반사되는 마이크로파를 중간 반사판(133)에서 다시 반사시킴으로써, 반사판(131)에 의해 양측에서 반사되는 마이크로파가 서로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여 균일한 가열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마그네트론(130)이 작동하면, 전원공급장치(135)의 온도를 낮추기 위해 송풍팬(150)도 함께 작동하는데, 송풍팬(150)이 작동하면, 송풍팬(150)이 설치된 공기인입구(141)를 통해 전원수용부(120)의 내부로 외부의 공기가 도입되며, 도입된 공기는 전원공급장치(135)와 열교환한 후 방출구(143)를 통해 외부로 방출되면서, 송풍팬(150)이 전원공급장치(135)를 냉각시키는 일반적인 전자레인지의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전원수용부(120)로 공급된 일부의 공기는 건조도입부(117)를 통해 건조실(111)로 유입될 수는 있지만, 건조도입부(117)는 타공형태로 구성되기 때무에 저항성이 커 대부분의 공기가 방출구(143)로 방출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건조물을 건조하는 건조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건조선택도어(160)를 통해 방출구(143)를 밀폐한 상태에서 건조실(111)에 피건조물을 반입한 상태에서 컨트롤러를 통해 원하는 온도와 작동시간을 설정하면, 컨트롤러는 전원공급장치(135)로부터 마그네트론(130)으로 출력에 대응하는 전원을 공급하고, 마그네트론(130)의 전자총에서는 마이크로파가 방출된다.
방출되는 마이크로파는 건조실(111) 내에서 반사되면서, 건조실(111)의 내부로 반입된 피건조물을 전자총을 통해 반사판(131)을 통해 건조실(111) 내에서 반사되면서 피건조물을 가열한다.
이때, 양측에 위치되는 반사판(131)의 사이에는 중간 반사판(133)이 설치되어 양측에 위치되는 반사판(131)을 통해 반사되는 마이크로파 중 어느 하나의 마이크로파는 중간 반사판(133)에 의해 다시 반사되어 서로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송풍팬(150)의 작동에 따라 공기인입구(141)를 통해 전원수용부(120)의 내부로 외부의 공기가 도입되고, 도입된 공기는 전원공급장치(135)에 의해 가열되어 수분이 증발된 상태에서 방출구(143)가 건조선택도어(160)에 의해 막혀있기 때문에 건조도입부(117)를 통해 건조실(111) 내로 도입된다.
건조실(111) 내로 도입되는 가열건조된 공기는 건조실(111)을 지나면서 건조실(111)에 반입된 피건조물에서 습기를 흡수하여 피건조물을 건조시킨 후, 배기구를 통해 외부로 방출된다.
여기서, 1000W의 출력을 갖는 건조기(100)일 경우, 대략 가열하는데 소요되는 전원은 700W 정도가 소요되며 나머지 300W는 전원을 변환하는 전원공급장치(135)에서 소모되면서 일부는 열로 변화되기 때문에 전원수용부(120)에는 전원공급장치(135)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송풍팬(150)에 의해 전원수용부(120)로 도입되는 공기는 전원공급장치(135)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가열되면서 건조되어 건조실(111)로 도입될 수 있다.
물론, 마그네트론(130)에 의해 피건조물을 가열 중에 건조선택도어(160)를 통해 방출구(143)를 폐쇄하여 피건조물로 전원수용부(120)의 공기를 공급하여 가열과 동시에 건조를 수행할 수 있으며, 건조선택도어(160)에 의해 방출구(143)를 폐쇄하고 마그네트론(130)에 의해 피건조물을 건조 중에 건조선택도어(160)에 의해 방출구(143)를 개방하여 마그네트론(130)에 의해서만 피건조물의 가열도 가능하다.
본 고안의 출원인은 본 고안의 효과를 입증하기 위해 하기와 같은 시험을 수행하였다.
시험을 수행한 건조기(100)는 실시예에 따른 각 마그네트론(130)은 파장이 11.8cm를 갖는 2,470Mh의 마이크로파를 방출하는 700W의 마그네트론(130)을 2개를 설치하여 총 1400W의 출력으로 가동하였다.
제1 실험은 중간 반사판(133)에 대한 성능을 시험하기 위해 중간 반사판(133)을 제거한 상태에서, 건조기(100)능 없이 마이크로파에 의해서만 가열하도록 건조선택도어(160)를 통해 방출구(143)를 완전히 개방한 상태에서 진행하였다.
각 시험은 35분간 연속 가열하는 방식으로 시험하였으며, 시료는 생 무체를 썰어 사용하였다. 건조 후 무게는 가열된 시료를 완전히 식힌 상태에서 무게를 측정하였으며, 무게를 측정하는 저울은 ±5g의 정밀도를 갖는 전자저울을 사용하였다.
각 시험은 서로 무게를 달리하는 8개의 시료를 각각 건조 전의 무게와 건조 후의 무게 및 배기온도 및 배기습도를 측정하는 형태로 수행하였고, 배기온도 및 배기습도는 35분간 시험이 종료된 시점에서 방출구(143)에 거치하여 측정하였다.
제1 실험의 결과는 하기의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utm00001
제2 실험은 제1 실험과 동일한 조건에서 중간 반사판(133)을 설치하고, 가열성능을 측정한 것이다.
제2 실험의 결과는 하기의 표 2에 나타내었다.
Figure utm00002
제3 실험은 제1 실험과 동일한 조건에서 건조기(100)능을 수행하도록 건조선택도어(160)를 통해 방출구(143)를 밀폐한 상태에서 건조성능을 측정한 것이다(중간 반사판(133) 제거함, 배기온도와 배기습도는 35분간의 시험이 종료된 시점에서 배기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와 습도를 측정한 것이며, △T는 전원수용부(120)와 대기의 온도차임).
제3 실험의 결과는 하기의 표 3에 나타내었다.
Figure utm00003
제4 실험은 제1 실험과 동일한 조건에서 건조기(100)능을 수행하도록 건조선택도어(160)를 통해 방출구(143)를 밀폐한 상태에서 건조성능을 측정한 것이다(중간 반사판(133) 설치 함, 배기온도와 배기습도는 35분간의 시험이 종료된 시점에서 배기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와 습도를 측정한 것이며, △T는 전원수용부(120)와 대기의 온도차임).
제4 실험의 결과는 하기의 표 4에 나타내었다.
Figure utm00004
상기한 제1 실험 내지 제4 실험에 따른 결과를 표 5에 종합적으로 나타내었다.
Figure utm00005
상기한 표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외기의 도입없이 마그네트론(130)에 의해서만 가열을 제1 실험과 제2 실험에서 중앙반사판(131)이 설치된 제2 실험이 제1 실험보다 건조량이 높으며, 배기온도는 높고 습도는 더 낮기 때문에 가열성능이 더욱 향상됨을 알 수 있다.
또한, 방출구(143)를 폐쇄하여 건조실(111)로 외기를 도입하는 건조기(100)능을 수행하는 제3 실험과 제4실험에서도 중간 반사판(133)을 설치한 제4실험이 제1 실험보다 건조량이 더욱 높고, 배기부(119)로 배기되는 공기의 습도가 높기 때문에 건조성이 더욱 향상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마그네트론(130)에 의해서만 가열하는 제1 실험과 제2 실험에 대비하여 건조실(111)로 공기를 도입하는 제3 실험과 제4 실험이 건조 량과 배기온도가 높기 때문에 전기의 소모 없이도 전원공급장치(135)에 의해 공기를 가열할 수 있어 전기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건조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레인지의 기능을 겸비한 건조기(100)는 일반적인 전자레인지의 기능을 구현하면서, 외기를 건조실(111)로 도입하여 피건조물을 가열과 함께 건조시킬 수 있다.
또한, 외기를 건조실(111)로 도입 시 전원공급장치(135)에서 발생하는 발열에 의해 공기를 건조시켜 도입함으로써, 피건조물을 건조시키기 위한 건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마그네트론(130)의 하부에 반사판(131)이 설치되어 피건조물을 균일하게 가열할 수 있으며, 중간 반사판(133)에 의해 양측에 위치되는 마그네트론(130)의 상호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실시예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한 것으로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한다.
100: 전자레인지의 기능을 겸비한 건조기 110: 건조기본체
111: 건조실 113; 출입구
115: 출입도어 117: 건조도입부
119: 배기부 120: 전원수용부
130: 마그네트론 131: 반사판
133: 중간 반사판 135: 전원공급장치
140: 상부커버 141: 공기인입구
143: 방출구 150: 송풍팬
160: 건조선택도어

Claims (1)

  1. 내부에 피건조물을 반입하는 건조실이 형성된 건조기본체,
    상기 건조실로 피건조물을 반입 또는 반출하기 위해 상기 건조기본체에 형성되는 출입구,
    상기 출입구를 개폐하는 출입도어,
    상기 건조실의 하부로 마이크로파를 방출하도록 상기 건조기본체의 상부에 설치되는 마그네트론,
    상기 건조실의 상부를 구획하여 상기 마그네트론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가 설치되는 전원수용부,
    상기 전원공급장치를 냉각하기 위한 외부의 공기를 상기 전원수용부로 도입하는 공기인입구,
    상기 공기인입구를 통해 상기 전원수용부로 강제적으로 공기를 도입하는 송풍팬,
    상기 공기인입구로 도입된 공기를 상기 건조실로 도입하도록 상기 건조실의 상부에 공기가 유통되는 복수 개의 유통공으로 구성된 건조도입부,
    상기 건조도입부를 통해 상기 건조실로 도입된 공기를 피건조물의 수분을 흡수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공기가 유통되는 복수 개의 유통공으로 구성된 배기부,
    상기 전원수용부에 형성되어 상기 공기인입구를 통해 상기 전원수용부에서 상기 전원공급장치와 열교환한 공기를 외부로 바로 방출하는 방출구, 및
    상기 방출구에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방출구를 개방하여 상기 공기인입구로 도입된 공기를 상기 방출구로 바로 배기하거나, 상기 방출구를 폐쇄하여 도입된 공기를 상기 건조도입부를 통해 상기 건조실로 도입하여 피건조물을 건조시키는 건조선택도어를 포함하는 전자레인지의 기능을 겸비한 건조기.
KR2020190004803U 2019-11-27 2019-11-27 전자레인지의 기능을 겸비한 건조기 KR2004951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4803U KR200495139Y1 (ko) 2019-11-27 2019-11-27 전자레인지의 기능을 겸비한 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4803U KR200495139Y1 (ko) 2019-11-27 2019-11-27 전자레인지의 기능을 겸비한 건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1243U true KR20210001243U (ko) 2021-06-04
KR200495139Y1 KR200495139Y1 (ko) 2022-03-11

Family

ID=76376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4803U KR200495139Y1 (ko) 2019-11-27 2019-11-27 전자레인지의 기능을 겸비한 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5139Y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409A (ja) * 1997-01-10 1999-01-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子レンジ
JP2004071522A (ja) * 2002-08-03 2004-03-04 Ii Yon Hii 電磁波反射体及びこれを利用した高周波誘電加熱装置
KR200390583Y1 (ko) * 2005-04-28 2005-07-21 배영규 건조기 겸용 전자렌지
KR20090109184A (ko) * 2008-04-15 2009-10-20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다기능 전자레인지 및 그 제어방법
JP2012112619A (ja) * 2010-11-26 2012-06-14 Sharp Corp 加熱調理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409A (ja) * 1997-01-10 1999-01-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子レンジ
JP2004071522A (ja) * 2002-08-03 2004-03-04 Ii Yon Hii 電磁波反射体及びこれを利用した高周波誘電加熱装置
KR200390583Y1 (ko) * 2005-04-28 2005-07-21 배영규 건조기 겸용 전자렌지
KR20090109184A (ko) * 2008-04-15 2009-10-20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다기능 전자레인지 및 그 제어방법
JP2012112619A (ja) * 2010-11-26 2012-06-14 Sharp Corp 加熱調理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5139Y1 (ko) 2022-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627156B (zh) 无管道烘干机
US9841261B2 (en) Combination oven with peak power control
KR101194012B1 (ko) 건조장치
IE42589B1 (en) Micromave and hot air circulating oven
KR20170026696A (ko) 마이크로파 건조기 배열(排熱)을 이용하는 히트펌프 건조기와 이를 이용하는 건조방법
KR200495139Y1 (ko) 전자레인지의 기능을 겸비한 건조기
KR20150123637A (ko) 콘덴싱 방식의 세탁건조기
JP3260977B2 (ja) 加熱調理器
KR20070108298A (ko) 조리기기
CN110553477B (zh) 一种干燥箱及热流循环控制方法
CN212109261U (zh) 一种纺织品纤维含量测试样品快速烘干装置
CN211120331U (zh) 一种干燥箱
KR100975021B1 (ko) 농산물 건조기
KR20170004622A (ko) 건조기
CN211477940U (zh) 冷热冲击试验设备
KR200308144Y1 (ko) 인삼건조장치
KR102373863B1 (ko) 전자기파를 이용한 고추건조기
KR100284497B1 (ko) 전자레인지 구조
CN110553478B (zh) 干燥箱
EP4390282A1 (en) Device for generation and distribution of microwaves in rotary heat application systems
CN211120332U (zh) 干燥箱
RU2145048C1 (ru) Сушильный шкаф
KR100445256B1 (ko) 열풍건조장치
KR0168174B1 (ko) 가스오븐렌지의 식기건조장치
US20230040871A1 (en) Dehydrating apparatus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