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9184A - 다기능 전자레인지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다기능 전자레인지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9184A
KR20090109184A KR1020080034503A KR20080034503A KR20090109184A KR 20090109184 A KR20090109184 A KR 20090109184A KR 1020080034503 A KR1020080034503 A KR 1020080034503A KR 20080034503 A KR20080034503 A KR 20080034503A KR 20090109184 A KR20090109184 A KR 200901091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er
cooking chamber
unit
hot air
exhaust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45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61380B1 (ko
Inventor
정길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0800345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1380B1/ko
Publication of KR200901091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91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13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13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32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 F24C15/322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with forced circ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42Devices for removing cooking fum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ooking range e.g. downdraf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4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with heat radiated directly from the heating element
    • F24C7/046Rang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2Cooling of the microwave components and related air circulation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다기능 전자레인지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발명은: 조리실을 외부와 연통시키는 유입홀 및 배기홀이 형성되는 본체부; 조리실 내부의 공기를 배기홀을 통해 배출시켜 유입홀을 통해 조리실 내부로 유입시키는 열풍순환부; 조리실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제1히터부; 및 이 제1히터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제2히터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조리실 후면으로 돌출되는 구조물이 없고, 그 결과 장치 전체가 소형화되면서도 더욱 우수한 열풍순환구조를 구현하는 장점이 있을 뿐 아니라, 종래 그릴 히터를 이용하여 우수한 열풍순환구조를 구현할 수 있으므로, 종래 다기능 전자레인지에 비해, 제조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열풍이 조리실 내부 전체를 넓고 고르게 순환되며, 이에 따라 조리실 내부의 온도분포가 균일하게 유지될 수 있게 되므로, 조리물을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가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전자레인지, 컨벡션, 히터

Description

다기능 전자레인지 및 그 제어방법{MULTI-FUNCTION MICROWAVE OVEN AND THEREOF}
본 발명은 전자레인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히터를 구비하는 다기능 전자레인지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식품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장치로서 현재까지 여러 가지 종류의 장치가 제안되어 왔다. 가장 원초적인 가열기구는 열원과 직접 접촉하는 용기가 있으며, 이러한 용기 내에 조리하고자 하는 내용물을 넣고 열을 가함으로 조리물을 요리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전기에너지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이용하는 많은 종류의 조리장치가 개발되었으며, 일례로서 마이크로웨이브를 가열원으로 이용하는 전자레인지를 들 수 있다. 전자레인지는 전기를 이용하여 마이크로웨이브를 생성시켜서 조리 대상물에 침투시켜, 내부에서 분자운동을 일으키는 것에 의하여 조리 대상물을 가열하는 조리장치이다.
일반적인 전자레인지는 마그네트론의 고주파를 조리물에 조사시켜 그 내부 및 외부를 동시에 가열하는 주방용 기구로서, 높은 열효율에 따른 조리물의 조리시간을 대폭 단축하고, 조리물의 조리나 해동 및 데우기 과정에서 영양가의 손실을 줄일 수 있으며, 또한 조리물을 용기에 저장한 채로 직접 조리하는 등의 장점으로 인해 널리 사용된다.
이와 더불어, 최근에는 단지 마그네트론에서 발사되는 2450㎒의 마이크로웨이브(microwave)를 이용하여 음식을 조리하는 단기능 전자레인지가 있고, 마이크로웨이브 외에 조리실의 상측이나 하방에 그릴히터를 구비하여 그릴의 기능을 갖는 그릴형 전자레인지나, 마이크로웨이브 외에 조리실의 후방에 컨벡션히터 및 컨벡션(convection) 팬을 구비하여 열풍을 대류시키는 오븐의 기능을 갖는 컨벡션형 전자레인지 등의 다기능 전자레인지가 있다.
도 1은 종래 컨벡션히터가 구비된 다기능 전자레인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컨벡션 어셈블리의 조립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다기능 전자레인지는, 캐비티(1) 및 이 캐비티(1) 내부에 형성되는 조리실(2)을 포함한다. 이러한 조리실(2) 후면에는, 히터의 작동에 의해 발생되는 열풍을 조리실(2) 내로 순환시켜 음식물을 골고루 익힐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컨벡션 어셈블리(10)가 구비된다.
이러한 컨벡션 어셈블리(10)에 따르면, 조리실(2) 후면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열커버(11)가 고정 설치되며, 단열커버(11)의 후면측으로는, 컨벡션 모터(12)가 지지 설치된다. 그리고, 단열커버(11)와 컨벡션 모터(12) 사이에는, 컨벡션 모터(12)에 의해 축 지지되는 팬(13)이 위치된다.
한편, 단열커버(11)의 전면측으로는, 히터커버(14)가 고정 설치되며, 이 히터커버(14)에는, 다수의 홀더(15)를 통해 다발 형상을 취하고 있는 히터(16)가 설치된다. 또한, 히터(16)의 전면측에는, 컨벡션 모터(12)에 의해 축 지지되어 회전하며 히터(16)로부터 발생된 열풍을 조리실(2) 내로 순환시키는 컨벡션 팬(17)이 축 지지된다.
상기한 종래 다기능 전자레인지에 따르면, 히터에 의해 발생된 열을 조리실 내부로 순환시키기 위하여 컨벡션 팬이 구비되고, 이 컨벡션 팬을 구동시키기 위하여 컨벡션 모터가 구비되며, 또 이 컨벡션 모터를 냉각시키기 위하여 팬이 구비됨으로써, 컨벡션 어셈블리가 조리실 후면으로 상당히 돌출되고, 그 결과 장치 전체의 크기가 상당히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조리실 후면 등으로 돌출되는 구조물이 없고, 장치 전체가 소형화될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한 다기능 전자레인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다기능 전자레인지는: 조리실을 외부와 연통시키는 유입홀 및 배기홀이 형성되는 본체부; 상기 조리실 내부의 공기를 상기 배기홀을 통해 배출시켜 상기 유입홀을 통해 상기 조리실 내부로 유입시키는 열풍순환부; 상기 조리실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제1히터부; 및 상기 제1히터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제2히터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열풍순환부는, 상기 배기홀과 상기 제1히터부 사이에 유로를 형성하며, 상기 제2히터부를 수용하는 덕트; 상기 덕트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 되는 팬; 및 상기 팬을 구동하는 구동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덕트는, 상기 배기홀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팬을 수용하는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와 상기 제1히터부를 연결시키는 연결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용부는, 그 중심이 상기 배기홀로부터 일측으로 치우치도록 배치되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히터부는, 상기 유입홀에 배치되는 제1히터; 및 상기 제1히터를 둘러싸도록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커버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커버에는, 상기 커버와 상기 열풍순환부 내부를 연통시키는 연결홀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입홀은 상기 조리실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배기홀은 상기 조리실 측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입홀과 상기 배기홀은, 전후 방향으로 서로 엇갈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조리실 측부에는, 전장실이 형성되며, 상기 배기홀은 상기 조리실과 상기 전장실 사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장실에는, 냉각팬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다기능 전자레인지는: 내부에 조리실이 형성되고, 상기 조리실 측부에는 전장실이 형성되며, 상기 조리실에는 유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조리실과 상기 전장실 사이에는 배기홀이 형성되는 본체부; 상기 전장 실에 구비되며, 상기 조리실 내부의 공기를 상기 배기홀을 통해 배출시켜 상기 유입홀을 통해 상기 조리실 내부로 유입시키는 열풍순환부; 상기 전장실에 구비되며, 상기 열풍순환부를 냉각시키는 냉각팬; 상기 유입홀을 통해 상기 조리실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제1히터부; 및 상기 열풍순환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히터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제2히터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열풍순환부는, 상기 배기홀과 상기 제1히터부 사이에 유로를 형성하며, 상기 제1히터부를 수용하는 덕트; 상기 덕트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팬; 및 상기 팬을 구동하는 구동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히터부는, 상기 유입홀에 배치되는 제1히터; 및 상기 제1히터를 둘러싸도록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커버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다기능 전자레인지의 제어방법은: 제1히터부를 작동시켜 조리실 내부를 가열하는 단계; 열풍순환부를 작동시켜, 상기 조리실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키고, 상기 조리실 내부에서 배출되어 제1히터부에서 가열된 공기를 상기 조리실 내부로 유입시키는 단계; 제2히터부를 작동시켜, 상기 열풍순환부 내부의 공기를 가열하는 단계; 및 상기 조리실 내부의 온도가 소정 온도 이상으로 상승하면 상기 제1히터부의 작동을 중지시키고, 상기 조리실 내부의 온도가 소정 온도 이하로 하강하면 상기 제1히터부를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전자레인지에 따르면, 종래 발명과 달리, 조리실 후 면으로 돌출되는 구조물이 없고, 그 결과 장치 전체가 소형화되면서도 더욱 우수한 열풍순환구조를 구현하는 장점이 있을 뿐 아니라, 종래 그릴 히터를 이용하여 우수한 열풍순환구조를 구현할 수 있으므로, 종래 다기능 전자레인지에 비해, 제조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열풍이 조리실 내부 전체를 넓고 고르게 순환되며, 이에 따라 조리실 내부의 온도분포가 균일하게 유지될 수 있게 되므로, 조리물을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가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배기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열풍 또한 열풍순환부의 작동에 의해 다시 유입홀을 통해 조리실 내부로 유입됨으로써, 열풍의 외부 유출이 차단되어 열효율이 증대되는 효과가 발생하며, 특히, 수분이 필요한 조리물을 조리하는 경우 수분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수분 유출 방지를 위한 추가적인 장치 없이도 이러한 조리물을 효과적으로 조리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열효율이 증대됨으로써, 히터의 가동시간을 줄일 수 있게 되므로, 절전의 효과는 물론, 본체부 등의 외부온도 상승을 일정 부분 줄일 수 있게 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전자레인지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 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전자레인지를 나타낸 정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다기능 전자레인지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며,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다기능 전자레인지를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전자레인지(100)는, 본체부(110)와, 열풍순환부(120)와, 제1히터부(130) 및 제2히터부(140)를 포함한다.
본체부(110)는, 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전자레인지(100)의 외형을 이루는 동시에, 내부에서 조리물의 조리를 행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서, 일반적인 전자레인지가 이에 적용될 수 있다. 본체부(110) 내부에는, 조리물이 수용되는 조리실(111)이 형성된다.
그리고, 조리실(111) 측부에는, 전장실(115)이 형성된다. 이 전장실(115)에는, 조리실(111)에 고주파를 발생시키기 위한 마그네트론(116) 및 고압 트랜스포머(117)와, 이 마그네트론(116) 및 고압 트랜스포머(117)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팬(118)이 구비된다.
또한, 본체부(110)에는, 조리실(111)을 조리실(111) 외부와 연통시키는 유입홀(112) 및 배기홀(113)이 형성된다. 여기서, 유입홀(112)은 조리실(111) 상부에 형성되며, 배기홀(113)은 조리실(111) 측부에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유입홀(112)은 후술할 제1히터부(130)가 장착되는 부분으로, 제1히터부(130)의 크기와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며, 배기홀(113)은, 조리실(111)과 전장실(115) 사이를 차단하는 격벽(119)에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배기홀(113)은, 격벽(119)의 상부에 형성된다. 이처럼 배기홀(113)이 격벽(119)의 상부에 형성되는 것은, 높은 온도를 가짐으로 인해 상승하는 조리실(111) 내 열풍이 배기홀(113) 측으로 좀 더 용이하게 배기될 수 있도록 유도하기 위함이므로, 열풍의 배기에 적합한 위치라면 배기홀(113)은, 격벽(119)의 상부뿐만 아니라 조리실(111)의 어느 위치에라도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유입홀(112)과 배기홀(113)은, 전후 방향으로 서로 엇갈리게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유입홀(112)은 조리실(111) 상부 상에서 후방측에 치우치도록, 배기홀(113)은 격벽(119) 상에서 도어(미도시)가 위치한 전방측에 치우치도록 형성한다.
열풍순환부(120)는, 조리실(111) 내부의 공기를 배기홀(113)을 통해 배출시켜 유입홀(112)을 통해 다시 조리실(111) 내부로 유입시키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조리실(111) 외측에 구비된다. 이 열풍순환부(120)는, 조리실(111) 외측에서 유입홀(112)이 형성된 부분과 배기홀(113)에 형성된 부분에 걸쳐 형성되며, 덕트(122)와, 팬(124) 및 구동부(126)를 포함한다.
덕트(122)는, 배기홀(113)과 제1히터부(130) 사이에 유로를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서, 수용부(122a) 및 연결부(122b)를 포함한다.
수용부(122a)는, 배기홀(113)이 외부와 완전히 차단되게, 배기홀(113)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대략 원통형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수용부(122a)는, 연결부(122b)와 연결된다. 연결부(122b)는, 그 일측이 수용부(122a)와 연결되며, 그 타측은 제1히터부(130)와 연결됨으로써, 수용부(122a)와 제1히터부(130)을 연결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연결부(122b)는, 전장실(115) 측부과 조리실(111) 상부에 걸쳐 형성되며, 그 일측이 격벽(119) 상에 배치되고, 그 타측이 조리실(111) 상부에 배치됨으로써, 전체적으로 굴곡진 형상을 갖게 된다.
격벽(119)의 배기홀(113)이 형성된 부분에는, 팬(124)이 구비된다. 이 팬(124)은, 덕트(122)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러한 팬(124)은, 구동부(126)에 의해 구동되는데, 구동부(126)는, 바람직하게는, 덕트(122) 외측에 장착되어 팬(124)과 축 결합함으로써, 팬(124)을 구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구동되는 팬(124)은, 조리실(111) 내부의 공기가 배기홀(113)을 통해 덕트(122)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유도하고, 궁극적으로는, 상기와 같이 덕트(122)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덕트(122) 내부 및 제1히터부(130)를 거쳐 유입홀(112)를 통해 다시 조리실(111)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수용부(122a)는, 그 중심이 배기홀(113)로부터 일측으로 치우치도록 배치되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수용부(122a)가 그 중심이 배기홀(113)로부터 일측으로 치우치도록 배치됨에 따라, 팬(124)도 역시 그 중심이 배기홀(113)로부터 일측으로 치우치도록 배치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배기홀(113)로부터 배출되는 조리실(111) 내부의 공기는, 자연스러운 흐름을 형성 하면서 연결부(122b) 내부로 유입될 수 있게 되며, 궁극적으로, 조리실(111) 내외부를 순환하는 전체 공기의 흐름이 원활히 유도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팬(124)을 구동시키는 구동부(126)는, 팬(124)과 축 결합되는 모터(미도시)를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구동부(126)는, 팬(124)을 구동시키는 과정에서 일정량의 열을 발생시키게 된다. 구동부(126)의 안정적인 작동을 위해서는, 발열된 구동부(126)를 냉각시키기 위한 구조가 요구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구동부(126)가 전장실(115)에 위치하게 되므로, 구동부(126)의 냉각을 위한 별도의 구성이 추가될 필요 없이, 전장실(115)에 구비된 냉각팬(118)에 의해 구동부(126)의 냉각이 이루어지게 된다. 비교적 소형의 팬(124)을 구동시키는 구동부(126)는, 많은 양의 열을 발생시키는 마그네트론(116) 및 고압 트랜스포머(117)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열을 발생시키게 되는바, 구동부(126)의 냉각은 냉각팬(118)만으로 충분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제1히터부(130)는, 조리실(111) 상부, 좀 더 구체적으로는, 조리실(111) 상부의 유입홀(112)이 형성된 부분에 구비된다. 이 제1히터부(130)는, 유입홀(112)을 통해 조리실(111)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제1히터(132) 및 커버(134)를 포함한다.
제1히터(132)는, 조리실(111) 상부에 형성된 유입홀(112) 상부에 배치된다. 이 제1히터(132)는, 본체부(110)를 통해 공급된 전원에 의해 가열되어 열을 발산하며, 커버(134) 내부에 수용된다.
커버(134)는, 제1히터(132) 외측에 구비되며, 제1히터(132) 및 유입홀(112) 을 둘러싸도록 본체부(110), 좀 더 구체적으로는, 조리실(111) 상부에 결합된다. 이 커버(134)는, 그 내부에 형성된 공간이 열풍순환부(120) 내부와 연통되도록 덕트(122)와 결합된다. 이를 위하여 커버(134)에는 덕트(122)와의 결합 부분에 연결홀(134a)이 형성되며, 이에 따라 커버(134) 내부에 형성된 공간과 덕트(122)의 내부 공간이 서로 연통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제1히터부(130)는, 덕트(122)를 거쳐 유입홀(112)을 통해 조리실(111)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동시에, 조리실(111) 상부에서 조리실(111) 내부 공기를 직접 가열할 수 있다. 이러한 제1히터부(130)의 예로서, 그릴 기능을 갖는 전자레인지에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그릴 히터가 적용될 수 있다.
제2히터부(140)는, 제1히터부(130)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열풍순환부(120) 내부, 좀 더 구체적으로는, 덕트(122) 내부에 수용된다. 이 제2히터부(140)는, 제1히터부(130)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출력을 갖는 히터(미도시)를 갖는다.
이러한 제2히터부(140)는, 필요에 따라 제1히터부(130)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함으로써, 공기가 덕트(122)를 통해 순환하는 동안 그 온도가 일정 수준 이하로 하강하지 않도록 공기의 온도를 유지하는 한편, 제1히터부(130)의 불필요한 연속 작동에 따른 전력 낭비를 줄이는 역할을 한다.
한편, 도 4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동부(126)의 도시를 생략하였음을 밝혀둔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다기능 전자레인지의 열풍순환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전자레인지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전자레인지의 제어방법과,이에 따른 다기능 전자레인지의 작동 관계 및 조리실 내의 열풍순환상태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전자레인지의 제어방법(S100)에 따르면, 먼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히터부(130)를 작동시켜 조리실(111) 내부를 가열하면서 조리를 시작한다(S110).
그런 다음, 열풍순환부(120)를 작동시켜, 조리실(111)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키고, 조리실(111) 내부에서 배출되어 제1히터부(130)에서 가열된 공기를 조리실(111) 내부로 유입시킨다(S120).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조리실(111) 내부에서 조리가 수행되는 동안, 구동부(126)에 의해 팬(124)이 회전하면, 조리실(111) 내부의 공기는, 팬(124)에 의해서 배기홀(113)을 통해 덕트(122) 내부로 유입된다.
이렇게 덕트(122)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팬(124)에 의해 형성된 기류에 의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히터부(130)의 커버(134) 내부에 형성된 공간으로 유입된다. 이처럼 커버(134) 내부에 형성된 공간으로 유입된 공기는, 제1히터(132)에 의해 가열되며, 이에 따라 제1히터부(130) 내부에서는 열풍이 발생된다.
이처럼 제1히터부(130) 내부에서 발생된 열풍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홀(112)을 통해 조리실(111) 내부로 유입된다. 이처럼 조리실(111) 내부로 유입된 열풍은, 다시 팬(124)에 의해서 배기홀(113)을 통해 덕트(122) 내부로 유입되고, 다시 제1히터부(130)에서 가열되어 유입홀(112)를 통해 조리실(111) 내부로 유입되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조리실(111) 전체를 순환하게 된다.
여기서, 유입홀(112) 및 배기홀(113)은,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조리실(111) 상부 및 측부에 형성될 뿐 아니라, 전후방향으로 서로 엇갈리게 형성되므로, 조리실(111) 내부에 형성되는 열풍순환기류는, 조리실(111) 내부의 상하좌우 전체에 걸쳐 넓고 고르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과정 동안, 제2히터부(140)를 작동시켜, 열풍순환부(120) 내부, 즉 덕트(122) 내부의 공기를 가열하여 준다(S130). 이에 따라, 조리실(111) 내외부를 순환하는 열풍은, 덕트(122)를 통해 순환하는 동안 제2히터부(140)에 의해 가열됨으로써, 그 온도가 일정 수준 이하로 하강하지 않도록 유지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에서, 조리실(111) 내부의 온도가 소정 온도 이상으로 상승하면 상기 제1히터부(130)의 작동을 중지시키고, 조리실(111) 내부의 온도가 다시 소정 온도 이하로 하강하면 제1히터부(130)를 작동시킴으로써, 열풍의 온도를 소정 온도로 유지한다(S140).
제2히터부(140)는, 제1히터부(130)의 제1히터(132)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출력을 가짐으로써 제1히터부(132)보다 적은 양의 전력을 소모하게 되므로, 상기와 같이 제2히터부(140)를 작동시킨 상태에서 제1히터부(130)의 작동을 조절함으로써, 열풍의 온도를 소정 온도로 유지하면서도, 제1히터부(130)의 불필요한 연속 작동에 따른 전력 낭비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 의한 다기능 전자레인지(100)에 따르면, 상기한 열풍순환구조에 의해, 열풍이 조리실(111) 내부 전체를 넓고 고르게 순환되며, 이에 따라 조리실(111) 내부의 온도분포가 균일하게 유지될 수 있게 되므로, 조리물을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가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이러한 열풍순환구조는, 본체부(110) 내부, 즉, 조리실(111) 상부와 그 외측에 덮여지는 외부케이스(미도시)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과 전장실(115)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 수용되는 비교적 작은 크기를 갖는 열풍순환부(120)와, 종래 그릴 히터 정도의 구성과 크기를 갖는 제1히터부(130)만으로 구현되는 것이다.
즉, 본 실시예의 다기능 전자레인지(100)는, 컨벡션 어셈블리(10; 도 2 참조)를 구비하는 종래 다기능 전자레인지에 비해, 조리실(111) 후면으로 돌출되는 구조물이 없고, 그 결과 장치 전체가 소형화되면서도, 더욱 우수한 열풍순환구조를 구현하는 장점이 있을 뿐 아니라, 종래 그릴 히터를 이용하여 우수한 열풍순환구조를 구현할 수 있으므로, 종래 다기능 전자레인지에 비해, 제조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배기홀(113)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열풍 또한 열풍순환부(120)의 작동에 의해 다시 유입홀(112)을 통해 조리실(111) 내부로 유입됨으로써, 열풍의 외부 유출이 차단되어 열효율이 증대되는 효과가 발생하며, 특히, 수분이 필요한 조리물을 조리하는 경우 수분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수분 유출 방지를 위한 추가적인 장치 없이도 이러한 조리물을 효과적으로 조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다기능 전자레인지(100)에 따르면, 상기와 같이 열효율이 증대됨으로써, 제1히터부(130)의 가동시간을 줄일 수 있게 되므로, 절전의 효과는 물론, 본체부(110) 등의 외부온도 상승을 일정 부분 줄일 수 있게 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과정이 진행되는 동안, 제2히터부(140)를 작동시켜 줄 수도 있다.시켜, 열풍순환부(120) 내부, 즉, 제1히터부(130)와 함께 제2히터부(140)를 작동시킴으로써, 덕트(122) 내부의 공기를 가열하여 준다(S130). 이에 따라, 조리실(111) 내외부를 순환하는 열풍은, 덕트(122)를 통해 순환하는 동안 제2히터부(140)에 의해 가열됨으로써, 그 온도가 일정 수준 이하로 하강하지 않도록 유지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에서, 조리실(111) 내부의 온도가 소정 온도 이상으로 상승하면 상기 제1히터부(130)의 작동을 중지시키고, 조리실(111) 내부의 온도가 다시 소정 온도 이하로 하강하면 제1히터부(130)를 작동시킴으로써, 열풍의 온도를 소정 온도로 유지한다(S140).
제2히터부(140)는, 제1히터부(130)의 제1히터(132)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출력을 가짐으로써 제1히터부(132)보다 적은 양의 전력을 소모하게 되므로, 상기와 같이 제2히터부(140)를 작동시킨 상태에서 제1히터부(130)의 작동을 조절함으로써, 열풍의 온도를 소정 온도로 유지하면서도, 제1히터부(130)의 불필요한 연속 작동에 따른 전력 낭비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컨벡션히터가 구비된 다기능 전자레인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컨벡션 어셈블리의 조립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전자레인지를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다기능 전자레인지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다기능 전자레인지를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다기능 전자레인지의 열풍순환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전자레인지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다기능 전자레인지 110 : 본체
111 : 조리실 112 : 유입홀
113 : 배기홀 115 : 전장실
118 : 냉각팬 119 : 격벽
120 : 열풍순환부 122 : 덕트
124 : 팬 126 : 구동부
130 : 제1히터부 132 : 제1히터
134 : 커버 140 : 제2히터부

Claims (14)

  1. 조리실을 외부와 연통시키는 유입홀 및 배기홀이 형성되는 본체부;
    상기 조리실 내부의 공기를 상기 배기홀을 통해 배출시켜 상기 유입홀을 통해 상기 조리실 내부로 유입시키는 열풍순환부;
    상기 조리실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제1히터부; 및
    상기 제1히터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제2히터부를 포함하는 다기능 전자레인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순환부는,
    상기 배기홀과 상기 제1히터부 사이에 유로를 형성하며, 상기 제2히터부를 수용하는 덕트;
    상기 덕트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팬; 및
    상기 팬을 구동하는 구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전자레인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는,
    상기 배기홀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팬을 수용하는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와 상기 제1히터부를 연결시키는 연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전자레인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그 중심이 상기 배기홀로부터 일측으로 치우치도록 배치되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전자레인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히터부는,
    상기 유입홀에 배치되는 제1히터; 및
    상기 제1히터를 둘러싸도록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커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전자레인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에는, 상기 커버와 상기 열풍순환부 내부를 연통시키는 연결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전자레인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홀은 상기 조리실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배기홀은 상기 조리실 측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전자레인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홀과 상기 배기홀은, 전후 방향으로 서로 엇갈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전자레인지.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실 측부에는, 전장실이 형성되며, 상기 배기홀은 상기 조리실과 상기 전장실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전자레인지.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장실에는, 냉각팬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전자레인지.
  11. 내부에 조리실이 형성되고, 상기 조리실 측부에는 전장실이 형성되며, 상기 조리실에는 유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조리실과 상기 전장실 사이에는 배기홀이 형성되는 본체부;
    상기 전장실에 구비되며, 상기 조리실 내부의 공기를 상기 배기홀을 통해 배출시켜 상기 유입홀을 통해 상기 조리실 내부로 유입시키는 열풍순환부;
    상기 전장실에 구비되며, 상기 열풍순환부를 냉각시키는 냉각팬;
    상기 유입홀을 통해 상기 조리실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제1히터부; 및
    상기 열풍순환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히터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제2히터부를 포함하는 다기능 전자레인지.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순환부는,
    상기 배기홀과 상기 제1히터부 사이에 유로를 형성하며, 상기 제2히터부를 수용하는 덕트;
    상기 덕트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팬; 및
    상기 팬을 구동하는 구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전자레인지.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히터부는,
    상기 유입홀에 배치되는 제1히터; 및
    상기 제1히터를 둘러싸도록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커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전자레인지.
  14. 제1히터부를 작동시켜 조리실 내부를 가열하는 단계;
    열풍순환부를 작동시켜, 상기 조리실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키고, 상기 조리실 내부에서 배출되어 제1히터부에서 가열된 공기를 상기 조리실 내부로 유입시키는 단계;
    제2히터부를 작동시켜, 상기 열풍순환부 내부의 공기를 가열하는 단계; 및
    상기 조리실 내부의 온도가 소정 온도 이상으로 상승하면 상기 제1히터부의 작동을 중지시키고, 상기 조리실 내부의 온도가 소정 온도 이하로 하강하면 상기 제1히터부를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기능 전자레인지의 제어방법.
KR1020080034503A 2008-04-15 2008-04-15 다기능 전자레인지 및 그 제어방법 KR1014613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4503A KR101461380B1 (ko) 2008-04-15 2008-04-15 다기능 전자레인지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4503A KR101461380B1 (ko) 2008-04-15 2008-04-15 다기능 전자레인지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9184A true KR20090109184A (ko) 2009-10-20
KR101461380B1 KR101461380B1 (ko) 2014-11-13

Family

ID=41552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4503A KR101461380B1 (ko) 2008-04-15 2008-04-15 다기능 전자레인지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13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1243U (ko) * 2019-11-27 2021-06-04 김지현 전자레인지의 기능을 겸비한 건조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2495B1 (ko) * 2000-11-30 2003-10-22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전자레인지의 히터시스템
KR20040068681A (ko) * 2003-01-27 2004-08-0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렌지
KR20040096037A (ko) * 2003-05-07 2004-11-16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열조리기
JP2005233601A (ja) * 2004-01-22 2005-09-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蒸気発生機能付き高周波加熱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1243U (ko) * 2019-11-27 2021-06-04 김지현 전자레인지의 기능을 겸비한 건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1380B1 (ko) 2014-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49568B2 (en) Wall-mounted type microwave oven
US6344637B2 (en) Cooling system for built-in microwave oven
US20090050619A1 (en) Electric oven with multiple broil heaters and method for preheating the electric oven
US6278098B1 (en) Microwave oven with a cooking compartment and a cooling compartment
KR20090099814A (ko) 다기능 전자레인지
JP2004162936A (ja) 加熱調理器
KR101461380B1 (ko) 다기능 전자레인지 및 그 제어방법
KR101568039B1 (ko) 컨벡션 전자레인지
KR100633173B1 (ko) 전기오븐의 전장실 구조
US7345261B2 (en) Wall-mounted microwave oven
KR100784715B1 (ko) 다수의 열풍팬을 갖는 전자레인지
JP4576296B2 (ja) 加熱調理器
CN220713699U (zh) 烹饪设备
JP2010243116A (ja) 加熱調理器
KR100596247B1 (ko) 전기오븐의 전장실 냉각시스템
JP2011080710A (ja) 加熱装置
JPH0319452B2 (ko)
KR20090071240A (ko) 전자레인지
KR19980017801U (ko) 전자렌지
KR20110020597A (ko) 컨벡션 전자레인지
KR100487348B1 (ko) 전기 오븐 레인지
KR20090099816A (ko) 전자레인지
KR20080100545A (ko) 전자레인지
CN117190256A (zh) 烹饪箱体和烹饪器具
KR200327751Y1 (ko) 컨벡션형 전자렌지의 전열히터 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