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1031U - 원터치식 물병마개 - Google Patents
원터치식 물병마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001031U KR20210001031U KR2020190004450U KR20190004450U KR20210001031U KR 20210001031 U KR20210001031 U KR 20210001031U KR 2020190004450 U KR2020190004450 U KR 2020190004450U KR 20190004450 U KR20190004450 U KR 20190004450U KR 20210001031 U KR20210001031 U KR 20210001031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ouch
- container
- cover
- water
- ope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 B65D47/0857—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made separately from the base element provided with the spout or discharge passage
- B65D47/0876—Hinges without elastic bias
- B65D47/089—Hinges without elastic bias located within a flat surface of the base element
- B65D47/0895—Hinges without elastic bias located within a flat surface of the base element one part of the hinge being integral with the hinged closure and the other part with the base element, without any other additional hinge elem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1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removable closures
- B65D47/122—Threaded cap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3/00—Decoration means, markings, information elements, contents indic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원터치식 물병마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오염된 손을 주입구 또는 그 주위에 접촉시키지 않고도 사용자가 밀기만 하는 적은 가압력으로도 마개를 쉽게 개방하고 폐쇄할 수 있도록 하며, 물병에 수용된 티백 또는 얼음이 물병 배출구를 막아서 용수 배출을 제한하지 않도록 음수, 화장품과 같은 용수를 저장하는 용기의 두부 측면에 결합되도록 원통형상으로 구비되는 측면부(100);와 상기 측면부의 내주면에 상기 용기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나사선에 치합되도록 구비되는 나사선(110);과 상기 측면부(100)의 상부면을 이루며 상기 측면부(100)와 일체로 형성 배치되어 상기 용기를 밀폐하도록 구비되는 커버부(200);와 상기 커버부(200)의 중앙에서 좌 우 방향으로 배치되는 터치부(300)가 일정 깊이로 내입되어 놓이도록 소정의 폭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안착부(210);와 상기 안착부(210)의 중심 위치에서 서로 한쌍이 마주보는 형상으로 상기 안착부(210)의 길이 진행 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되되 중심에서 밖으로 진행하면서 높이가 점진적으로 낮이지도록 구비되며 상기 터치부(300)와 회동 결합되도록 원통형의 고정축(221)이 서로 가로지르도록 배치되게 구비되는 터치 고정부(220);와 상기 터치 고정부(220)에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상기 고정축(221)에 삽입되어 회동 결합되도록 중심 결합부(310)가 형성되며 상기 안착부(210)에 놓여져 사용자의 가압력으로 상기 안착부(210) 위치에서 개방과 폐쇄 상태를 서로 변경 할 수 있도록 시소 운동하며 일단은 개방날개(320)가 형성되고 상기 개방날개(320)의 대향 위치에는 폐쇄날개(330)로 구비되는 상기 터치부(300);와 상기 폐쇄날개(330)의 직하 위치에서 상기 용기 방향에 형성되는 홀 커버(340); 및 상기 홀 커버(340)의 직하에 배치되되 상기 안착부(210)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홀 커버(340)와 상하 방향으로 결합되어 상기 용기를 잠기도록 구비되는 용수 배출구(230);를 포함하는 원터치식 용기커버를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원터치식 물병마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오염된 손을 주입구 또는 그 주위에 접촉시키지 않고도 사용자의 미는 동작의 적은 가압력으로도 마개를 쉽게 개방하고 폐쇄할 수 있도록 하며, 물병에 수용된 티백 또는 얼음이 물병 배출구를 막아서 용수 배출을 제한하지 않도록 측면부, 커버부, 거름 돌출부 및 터치부가 포함되는 원터치식 물병마개를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병은 생수 또는 약수를 보관하기 위한 수단으로 많이 사용된다. 가정 및 식당에서 사용되는 물병은 물을 수용하고 개방된 일면(대개 윗면)을 갖는 물병 몸체와 물병 몸체의 개방된 일면을 덮는 뚜껑으로 이루어진다.
종래 뚜껑(300)은 도 1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병 몸체의 물이 배출되는 비교적 작은 구멍형태의 주입구(310)와 이 주입구(310)를 덮는 마개(320)를 구비한다. 마개(320)는 뚜껑(300)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져 사용자의 동작에 따라 선택적으로 주입구(310)를 개폐한다.
그런데, 종래 뚜껑(300)은 마개(320)의 끝 부분을 손가락으로 당기거나 눌러서 주입구(310)를 개폐하는 구조이므로, 사용자의 손가락이 마개(320)의 끝과 인접한 주입구(310) 또는 주입구(310)의 가장자리에 마련된 주둥이(330)와 닿는다.
때문에 사용자가 손을 씻지 않고 뚜껑(300)의 마개(320)를 여닫게 되면, 사용자의 손(특히 손가락 끝의 손톱 등)에 묻은 각종 세균이 주둥이(330) 및 주입구(310)를 오염시키고, 오염된 물질이 물과 함께 사용자에게 음용되어 식중독 등의 질병을 유발할 수 있다.
한편, 생활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사람들은 건강에 지대한 관심을 기울이게 되었고, 이에 따라 차의 문화가 커피보다는 녹차, 둥굴레차, 현미, 홍차 찻잎을 이용한 자연산 차를 즐기는 사람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며 찻잎을 이용하여 차를 즐기는 방법중 보편적인 두가지는 찻잎을 가공한 후, 티백(tea bag)에 저장하여 1회용으로 판매되는 인스턴트식이 있고, 찻잎을 직접 구입하여 전통찻잔이 다기를 사용하여 찻잎을 이용한 차를 즐기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전통찻잔이 다기를 이용하여 차를 음용할 경우에는 번거로움과 시간적인 여유가 별로 없기 때문에 쉽게 즐길 수 있는 방법이 아니어서 최근에는 빠른 시간에 차를 쉽게 마실 수 있는 티백을 많이 이용한다.
그러나 물병 속에 티백을 담겨서 우려낸 후 차를 마실 때 티백이 찻물의 흐름을 방해하게 되며, 티백을 별도로 건져내는 경우에는 티백의 효과를 모두 보지 못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여름철에 용수에 시원한 청량감을 유지하기 위하여 음용수에 얼음이 포함되는 경우에도 얼음이 용수 배출구를 막아서 용수의 배출에 방해된 경우가 발생되는 것이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 내지는 필요성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의 간단한 미는 조작만으로 물병 마개를 쉽게 개방하고 폐쇄할 수 있도록하는 원터치식 물병마개를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음수, 화장품과 같은 용수를 저장하는 용기의 두부 측면에 결합되도록 원통형상으로 구비되는 측면부(100)와 상기 측면부(100)의 내주면에 상기 용기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나사선에 치합 결합되는나사선(110)이 구비되어 기존 용기에 즉시 사용이 될 수 있는 원터치식 물병마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측면부(100)의 상부에 상기 측면부(100)과 일체로 형성 배치되어 상기 용기를 밀폐하는 커버부(200)와 상기 커버부(200)의 중앙에서 좌 우 방향으로 형성되는 터치부(300)가 놓이도록 소정의 폭 길이로 형성되는 안착부(210)로 사용이 편리하고 구조가 안정적인 원터치식 물병마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안착부(210)의 중심 부위의 양측에서 지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는 형상으로 한쌍이 돌출되는 터치 고정부(220)와 상기 터치 고정부(220)에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삽입 결합되도록 중심 결합부(310)가 형성되며 상기 안착부(210)에 놓여져 사용자의 가압력으로 상기 안착부(210) 위치에서 시소 운동하도록 일단은 개방날개(320)가 형성되고 상기 개방날개(320)의 대향 위치에는 폐쇄날개(330)로 상기 터치부(300)가 구비되어 사용자 동작이 원터치식이 가능한 원터치식 물병마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폐쇄날개(330)의 직하 위치에서 상기 용기 방향에 형성되는 홀 커버(340) 및 상기 홀 커버(340)의 직하에 배치되되 상기 안착부(210)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홀 커버(340)와 상하 방향으로 결합되어 상기 용기를 잠기도록 구비되는 용수 배출구(230)로 용수 배출을 개폐하는 동시에 티백이나 얼음으로 부터의 용수 흐름이 제한되지 않도록 하는 원터치식 물병마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용수 배출구(230)를 전체적으로 원형을 이루도록 구비되되 상기 개방날개(320)의 길이 진행 방향의 종단측으로 돌출되게 배출 가이더(231)가 형성되어 용수를 따르는 경우에 주변에 흐르지 않도록 하는 원터치식 물병마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측면과 하부면이 메쉬(241)로 구비되는 거름 돌출부(240)로 티백과 얼음으로부터의 자유롭게 용수가 배출되도록 하는 원터치식 물병마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중심 결합부(310)를 기준으로 상기 개방날개(320)와 상기 폐쇄날개(340)는 서로 외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서로 둔각이 형성되는 터치부(300)로 사용이 간편한 원터치식 물병마개를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예와 관련된 원터치식 물병마개는 먼저, 음수, 화장품과 같은 용수를 저장하는 용기의 두부 측면에 결합되도록 원통형상으로 구비되는 측면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 상기 측면부의 내주면에 상기 용기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나사선에 치합되도록 구비되는 나사선(11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면부(100)의 상부면을 이루며 상기 측면부(100)와 일체로 형성 배치되어 상기 용기를 밀폐하도록 구비되는 커버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커버부(200)의 중앙에서 좌 우 방향으로 배치되는 터치부(300)가 일정 깊이로 내입되어 놓이도록 소정의 폭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안착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착부(210)의 중심 위치에서 서로 한쌍이 마주보는 형상으로 상기 안착부(210)의 길이 진행 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되되 중심에서 밖으로 진행하면서 높이가 점진적으로 낮이지도록 구비되며 상기 터치부(300)와 회동 결합되도록 원통형의 고정축(221)이 서로 가로지르도록 배치되게 구비되는 터치 고정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 상기 터치 고정부(220)에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상기 고정축(221)에 삽입되어 회동 결합되도록 중심 결합부(310)가 형성되며 상기 안착부(210)에 놓여져 사용자의 가압력으로 상기 안착부(210) 위치에서 개방과 폐쇄 상태를 서로 변경 할 수 있도록 시소 운동하며 일단은 개방날개(320)가 형성되고 상기 개방날개(320)의 대향 위치에는 폐쇄날개(330)로 구비되는 상기 터치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폐쇄날개(330)의 직하 위치에서 상기 용기 방향에 형성되는 홀 커버(34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 상기 홀 커버(340)의 직하에 배치되되 상기 안착부(210)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홀 커버(340)와 상하 방향으로 결합되어 상기 용기를 잠기도록 구비되는 용수 배출구(2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용수 배출구(230)는 담녀의 전체가 원형을 이루도록 구비되되 상기 개방날개(320)의 길이 진행 방향의 종단으로 돌출되게 배출 가이더(231)가 더 형성되며 용액이 수용되는 상기 용기 방향으로는 소정 깊이를 갖도록 거름 돌출부(24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거름 돌출부(240)는 측면과 하부면이 메쉬(미도시)로 구비되어 얼음 또는 티백으로 인한 용수 흐름 제한을 방지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터치부(300)는 상기 중심 결합부(310)와 상기 고정축(221)을 기준으로 상기 개방날개(320)와 상기 폐쇄날개(340)는 상기 커버부(200)의 상부면에서 외측 방향으로 진행하며 점차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개방날개(320)와 상기 폐쇄날개(340)는 서로 둔각을 이루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방날개(320)와 상기 폐쇄날개(340)의 종단 위치 표면에는 사용자의 가압이 편리하도록 마찰 무늬 또는 마찰 돌기 중 어느 하나가 적어도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폐쇄날개(340)는 이면의 중심에 상기 중심 결합부(310)에서부터 종단까지 지지 가이더(341)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커버부(200)는 상기 안착부(210)의 양측에서 상기 안착부(210) 보다 더 높은 위치로 상기 커버부(200)의 저면보다 돌출되도록 커버 장식부(250)가 더 구비되어 상기 개방날개(320) 또는 상기 폐쇄날개(330)이 가압되어 눌리는 경우, 상기 커버 장식부(250)와 높이가 같아지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원터치식 물병마개를 제공하여,
첫째, 사용자의 간단한 조작만으로 물병 마개를 쉽게 개방하고 폐쇄할 수 있도록하여 물병 오염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둘째, 음수, 화장품과 같은 용수를 저장하는 용기의 두부 측면에 결합되도록 원통형상으로 구비되는 측면부(100)와 상기 측면부(100)의 내주면에 상기 용기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나사선에 치합 결합되는나사선(110)이 구비되어 기존 용기에 즉시 적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셋째, 상기 측면부(100)의 상부에 상기 측면부(100)과 일체로 형성 배치되어 상기 용기를 밀폐하는 커버부(200)와 상기 커버부(200)의 중앙에서 좌 우 방향으로 형성되는 터치부(300)가 놓이도록 소정의 폭 길이로 형성되는 안착부(210)로 사용이 편리하고 구조가 안정적이다.
넷째, 상기 안착부(210)의 중심 부위의 양측에서 지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는 형상으로 한쌍이 돌출되는 터치 고정부(220)와 상기 터치 고정부(220)에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삽입 결합되도록 중심 결합부(310)가 형성되며 상기 안착부(210)에 놓여져 사용자의 가압력으로 상기 안착부(210) 위치에서 시소 운동하도록 일단은 개방날개(320)가 형성되고 상기 개방날개(320)의 대향 위치에는 폐쇄날개(330)로 상기 터치부(300)가 구비되어 사용자의 원터치 동작이 가능해진다.
다섯째, 상기 폐쇄날개(330)의 직하 위치에서 상기 용기 방향에 형성되는 홀 커버(340) 및 상기 홀 커버(340)의 직하에 배치되되 상기 안착부(210)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홀 커버(340)와 상하 방향으로 결합되어 상기 용기를 잠기도록 구비되는 용수 배출구(230)로 용수 배출을 개폐하는 동시에 티백이나 얼음으로 부터의 용수 흐름이 제한되지 않도록 한다.
여섯째, 용수 배출구(230)를 전체적으로 원형을 이루도록 구비되되 상기 개방날개(320)의 길이 진행 방향의 종단측으로 돌출되게 배출 가이더(231)가 형성되어 용수를 따르는 경우에 주변에 흐르지 않도록 한다.
일곱째, 측면과 하부면이 메쉬(241)로 구비되는 거름 돌출부(240)로 티백과 얼음으로부터의 자유롭게 용수가 배출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여덟째, 상기 중심 결합부(310)를 기준으로 상기 개방날개(320)와 상기 폐쇄날개(340)는 서로 외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서로 둔각이 형성되는 터치부(300)로 사용이 간편하다.
한편, 본 고안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고안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고안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 내지 4 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원터치식 물병마개가 개방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3D도면이다.
도 5 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원터치식 물병마개의 용수 배출구에 배출 가이더가 구비되는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3D도면이다.
도 6 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원터치식 물병마개가 폐쇄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3D도면이다.
도 8 내지 11 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원터치식 물병마개의 중심 결합부를 설명하기 위한 3D도면이다.
도 12 는 본원 고안의 장점을 선행 기술과 비교 설명하기 위한 선 출원 문건의 발췌도면이다.
도 1 내지 4 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원터치식 물병마개가 개방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3D도면이다.
도 5 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원터치식 물병마개의 용수 배출구에 배출 가이더가 구비되는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3D도면이다.
도 6 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원터치식 물병마개가 폐쇄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3D도면이다.
도 8 내지 11 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원터치식 물병마개의 중심 결합부를 설명하기 위한 3D도면이다.
도 12 는 본원 고안의 장점을 선행 기술과 비교 설명하기 위한 선 출원 문건의 발췌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은 단지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도 1 내지 4 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원터치식 물병마개가 개방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3D도면이고, 도 5 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원터치식 물병마개의 용수 배출구에 배출 가이더가 구비되는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3D도면이며, 도 6 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원터치식 물병마개가 폐쇄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3D도면이고, 도 8 내지 11 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원터치식 물병마개의 중심 결합부를 설명하기 위한 3D도면이며, 도 12 는 본원 고안의 장점을 선행 기술과 비교 설명하기 위한 선 출원 문건의 발췌도면이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원터치식 물병마개는 음수, 화장품과 같은 용수를 저장하는 용기의 두부 측면에 결합되도록 원통형상으로 측면부(10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측면부(100)의 내주면에는 상기 용기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나사선에 치합되도록 나사선(110)이 구비되어 기존에 사용되는 다양한 용기에 적용되어 사용되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면부(100)의 상부면을 이루며 상기 측면부(100)와 일체로 형성 배치되어 상기 용기를 밀폐하도록 커버부(20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커버부(200)의 중앙에서 좌 우 방향으로 배치되는 터치부(300)가 일정 깊이로 내입되어 놓이도록 소정의 폭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안착부(210)가 구비되며, 상기 안착부(210)의 중심 위치에서 서로 한쌍이 마주보는 형상으로 상기 안착부(210)의 길이 진행 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되되 중심에서 밖으로 진행하면서 높이가 점진적으로 낮이지도록 구비되며 상기 터치부(300)와 회동 결합되도록 원통형의 고정축(221)이 서로 가로지르도록 배치되는 터치 고정부(220)가 구비되는 것이다.
즉, 도 8 및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치 고정부(220)는 상기 안착부(210)의 내부에서 물병을 시소(SEESAW)운동을 통하여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축(221)을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사용자는 손가락을 가압하여 미는 동작 만으로도 물병을 개방하고 폐쇄할 수 있는 것이다.
좀더 부연 설명하자면, 시소(SEESAW)운동을 통하여 별도로 물병을 열거나 닫기 위하여 손톱등으로 잡아 당기는 동작을 할 필요가 없어지는 것이다.
여기에, 상기 터치 고정부(220)에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상기 고정축(221)에 삽입되어 회동 결합되도록 중심 결합부(310)가 형성되며 상기 안착부(210)에 놓여져 사용자의 가압력으로 상기 안착부(210) 위치에서 개방과 폐쇄 상태를 서로 변경 할 수 있도록 시소 운동하며 일단은 개방날개(320)가 형성되고 상기 개방날개(320)의 대향 위치에는 폐쇄날개(330)로 포함되는 상기 터치부(300)가 구비되는 것이다.
즉, 이러한 구성으로 사용자는 상기 터치부(300)를 간단하게 미는 가압 동작만으로 물병을 개폐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폐쇄날개(330)의 직하 위치에서 상기 용기 방향에 형성되는 홀 커버(340)와 상기 홀 커버(340)의 직하에 배치되되 상기 안착부(210)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홀 커버(340)와 상하 방향으로 결합되어 상기 용기를 잠그도록 구비되는 용수 배출구(230)로 용수의 누액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용수 배출구(230)는,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의 전체가 원형을 이루도록 구비되되 상기 개방날개(320)의 길이 진행 방향의 종단으로 돌출되게 배출 가이더(231)가 더 형성되어 물의 따름, 즉 용수 배출이 용이해지며 누액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또한,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액이 수용되는 상기 용기 방향으로는 소정 깊이를 갖도록 거름 돌출부(240)가 더 구비되어 티백 또는 얼음등으로 부터 발생되는 용액의 흐름 제한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거름 돌출부(240)는 측면과 하부면이 메쉬(미도시)로 구비되어 얼음 또는 티백으로 인한 용수 흐름 제한을 방지하도록 구비되는 것 또한 바람직한 것이다.
한편, 상기 터치부(300)는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심 결합부(310)와 상기 고정축(221)을 기준으로 상기 개방날개(320)와 상기 폐쇄날개(340)는 상기 커버부(200)의 상부면에서 외측 방향으로 진행하며 점차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개방날개(320)와 상기 폐쇄날개(340)는 서로 둔각을 이루도록 구비되어 시소(SEESAW)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개방날개(320)와 상기 폐쇄날개(340)의 종단 위치 표면에는 사용자의 가압이 편리하도록 마찰 무늬 또는 마찰 돌기 중 어느 하나가 적어도 더 구비되어 사용상의 미끄럼짐을 방지하는 것도 바람직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폐쇄날개(340)는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폐쇄날개(340)의 이면 중심에 상기 중심 결합부(310)에서부터 종단까지 지지 가이더(341)가 더 구비되어 상기 폐쇄날개(340)가 가압되는 경우에 커버 장식부(250)의 상부면과 표면이 나란한 높이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커버부(200)는 상기 안착부(210)의 양측에서 상기 안착부(210) 보다 더 높은 위치로 상기 커버부(200)의 저면보다 돌출되도록 커버 장식부(250)가 더 구비되어 상기 개방날개(320) 또는 상기 폐쇄날개(330)이 가압되어 눌리는 경우, 상기 커버 장식부(250)와 높이가 같아지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원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단순하게 미는 가압 동작만으로도 물병을 개방하고 폐쇄 할 수 있으며, 물병 내부의 오염을 방지하며, 음수, 화장품과 같은 용수를 저장하는 용기의 두부 측면에 결합되도록 원통형상으로 구비되는 측면부(100)와 상기 측면부(100)의 내주면에 상기 용기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나사선에 치합 결합되는나사선(110)이 구비되어 기존 용기에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며, 상기 측면부(100)의 상부에 상기 측면부(100)과 일체로 형성 배치되어 상기 용기를 밀폐하는 커버부(200)와 상기 커버부(200)의 중앙에서 좌 우 방향으로 형성되는 터치부(300)가 놓이도록 소정의 폭 길이로 형성되는 안착부(210)로 사용이 편리하고 구조가 안정적이며, 상기 안착부(210)의 중심 부위의 양측에서 지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는 형상으로 한쌍이 돌출되는 터치 고정부(220)와 상기 터치 고정부(220)에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삽입 결합되도록 중심 결합부(310)가 형성되며 상기 안착부(210)에 놓여져 사용자의 가압력으로 상기 안착부(210) 위치에서 시소 운동하도록 일단은 개방날개(320)가 형성되고 상기 개방날개(320)의 대향 위치에는 폐쇄날개(330)로 상기 터치부(300)가 구비되어 사용자의 원터치 동작이 가능해지며, 상기 폐쇄날개(330)의 직하 위치에서 상기 용기 방향에 형성되는 홀 커버(340) 및 상기 홀 커버(340)의 직하에 배치되되 상기 안착부(210)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홀 커버(340)와 상하 방향으로 결합되어 상기 용기를 잠기도록 구비되는 용수 배출구(230)로 용수 배출을 개폐하는 동시에 티백이나 얼음으로 부터의 용수 흐름이 제한되지 않으며, 용수 배출구(230)를 전체적으로 원형을 이루도록 구비되되 상기 개방날개(320)의 길이 진행 방향의 종단측으로 돌출되게 배출 가이더(231)가 형성되어 용수를 따르는 경우에 주변에 흐르지 않도록 하며, 측면과 하부면이 메쉬(241)로 구비되는 거름 돌출부(240)로 티백과 얼음으로부터의 자유롭게 용수가 배출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상기 중심 결합부(310)를 기준으로 상기 개방날개(320)와 상기 폐쇄날개(340)는 서로 외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서로 둔각이 형성되는 터치부(300)로 사용이 간편해지며 외적인 미감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 본 고안은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통하여 설명하였는데, 상술한 실시 예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가 가능함은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보호범위는 특정 실시예가 아니라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도응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도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 되어야 될 것이다.
100 ... 측면부
110 ... 나사선
200 ... 커버부
210 ... 안착부
220 ... 터치 고정부
221 ... 고정축
230 ... 용수 배출구
231 ... 배출 가이더
240 ... 거름 돌출부
250 ... 커버 장식부
300 ... 터치부
310 ... 중심 결합부
320 ... 개방날개
330 ... 폐쇄날개
340 ... 홀 커버
341 ... 지지 가이더
110 ... 나사선
200 ... 커버부
210 ... 안착부
220 ... 터치 고정부
221 ... 고정축
230 ... 용수 배출구
231 ... 배출 가이더
240 ... 거름 돌출부
250 ... 커버 장식부
300 ... 터치부
310 ... 중심 결합부
320 ... 개방날개
330 ... 폐쇄날개
340 ... 홀 커버
341 ... 지지 가이더
Claims (7)
- 음수, 화장품과 같은 용수를 저장하는 용기의 두부 측면에 결합되도록 원통형상으로 구비되는 측면부(100);
상기 측면부의 내주면에 상기 용기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나사선에 치합되도록 구비되는 나사선(110);
상기 측면부(100)의 상부면을 이루며 상기 측면부(100)와 일체로 형성 배치되어 상기 용기를 밀폐하도록 구비되는 커버부(200);
상기 커버부(200)의 중앙에서 좌 우 방향으로 배치되는 터치부(300)가 일정 깊이로 내입되어 놓이도록 소정의 폭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안착부(210);
상기 안착부(210)의 중심 위치에서 서로 한쌍이 마주보는 형상으로 상기 안착부(210)의 길이 진행 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되되 중심에서 밖으로 진행하면서 높이가 점진적으로 낮이지도록 구비되며 상기 터치부(300)와 회동 결합되도록 원통형의 고정축(221)이 서로 가로지르도록 배치되게 구비되는 터치 고정부(220);
상기 터치 고정부(220)에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상기 고정축(221)에 삽입되어 회동 결합되도록 중심 결합부(310)가 형성되며 상기 안착부(210)에 놓여져 사용자의 가압력으로 상기 안착부(210) 위치에서 개방과 폐쇄 상태를 서로 변경 할 수 있도록 시소 운동하며 일단은 개방날개(320)가 형성되고 상기 개방날개(320)의 대향 위치에는 폐쇄날개(330)로 구비되는 상기 터치부(300);
상기 폐쇄날개(330)의 직하 위치에서 상기 용기 방향에 형성되는 홀 커버(340); 및
상기 홀 커버(340)의 직하에 배치되되 상기 안착부(210)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홀 커버(340)와 상하 방향으로 결합되어 상기 용기를 잠기도록 구비되는 용수 배출구(230);를 포함하는 원터치식 용기커버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수 배출구(230)는,
담녀의 전체가 원형을 이루도록 구비되되,
상기 개방날개(320)의 길이 진행 방향의 종단으로 돌출되게 배출 가이더(231)가 더 형성되며,
용액이 수용되는 상기 용기 방향으로는 소정 깊이를 갖도록 거름 돌출부(24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식 물병마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름 돌출부(240)는,
측면과 하부면이 메쉬(미도시)로 구비되어 얼음 또는 티백으로 인한 용수 흐름 제한을 방지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식 물병마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부(300)는,
상기 중심 결합부(310)와 상기 고정축(221)을 기준으로 상기 개방날개(320)와 상기 폐쇄날개(340)는 상기 커버부(200)의 상부면에서 외측 방향으로 진행하며 점차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개방날개(320)와 상기 폐쇄날개(340)는 서로 둔각을 이루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식 물병마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날개(320)와 상기 폐쇄날개(340)의 종단 위치 표면에는 사용자의 가압이 편리하도록 마찰 무늬 또는 마찰 돌기 중 어느 하나가 적어도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식 물병마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날개(340)는,
이면의 중심에 상기 중심 결합부(310)에서부터 종단까지 지지 가이더(341)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식 물병마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200)는,
상기 안착부(210)의 양측에서 상기 안착부(210) 보다 더 높은 위치로 상기 커버부(200)의 저면보다 돌출되도록 커버 장식부(250)가 더 구비되어 상기 개방날개(320) 또는 상기 폐쇄날개(330)이 가압되어 눌리는 경우, 상기 커버 장식부(250)와 높이가 같아지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식 물병마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90004450U KR200494270Y1 (ko) | 2019-11-04 | 2019-11-04 | 원터치식 물병마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90004450U KR200494270Y1 (ko) | 2019-11-04 | 2019-11-04 | 원터치식 물병마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01031U true KR20210001031U (ko) | 2021-05-12 |
KR200494270Y1 KR200494270Y1 (ko) | 2021-09-06 |
Family
ID=75916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90004450U KR200494270Y1 (ko) | 2019-11-04 | 2019-11-04 | 원터치식 물병마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94270Y1 (ko)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510978A (ja) * | 1993-06-10 | 1996-11-19 | ザ、プロクター、エンド、ギャンブル、カンパニー | 閉塞防止トグルディスク閉鎖装置 |
JP3079363U (ja) * | 2001-02-02 | 2001-08-17 | アスベル株式会社 | 冷水筒 |
KR200241106Y1 (ko) * | 2001-04-23 | 2001-10-12 | 김남현 | 물통뚜껑 |
US6394298B1 (en) * | 1999-05-10 | 2002-05-28 | Albaad Massuot Yitzhak Ltd | Dispensing cover |
KR200429385Y1 (ko) | 2006-07-24 | 2006-10-23 | 구자일 | 개폐가 용이한 물병용 뚜껑 |
KR100823398B1 (ko) * | 2007-01-11 | 2008-04-17 | 김기성 | 유출구의 개폐가 용이한 병뚜껑 |
KR200475003Y1 (ko) * | 2013-09-10 | 2014-11-03 | 우충일 | 탈착식 티필터가 구비된 텀블러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079363B2 (ja) * | 1997-07-04 | 2000-08-21 | 鹿島建設株式会社 | 免震構造部における耐火構造 |
-
2019
- 2019-11-04 KR KR2020190004450U patent/KR200494270Y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510978A (ja) * | 1993-06-10 | 1996-11-19 | ザ、プロクター、エンド、ギャンブル、カンパニー | 閉塞防止トグルディスク閉鎖装置 |
US6394298B1 (en) * | 1999-05-10 | 2002-05-28 | Albaad Massuot Yitzhak Ltd | Dispensing cover |
JP3079363U (ja) * | 2001-02-02 | 2001-08-17 | アスベル株式会社 | 冷水筒 |
KR200241106Y1 (ko) * | 2001-04-23 | 2001-10-12 | 김남현 | 물통뚜껑 |
KR200429385Y1 (ko) | 2006-07-24 | 2006-10-23 | 구자일 | 개폐가 용이한 물병용 뚜껑 |
KR100823398B1 (ko) * | 2007-01-11 | 2008-04-17 | 김기성 | 유출구의 개폐가 용이한 병뚜껑 |
KR200475003Y1 (ko) * | 2013-09-10 | 2014-11-03 | 우충일 | 탈착식 티필터가 구비된 텀블러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94270Y1 (ko) | 2021-09-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152361B2 (en) | Mug with stirring mechanism | |
CA2829798C (en) | Container closure | |
US6752287B1 (en) | Splash-proof beverage lid slide closure | |
US7913869B2 (en) | Container cap | |
CN108100447B (zh) | 具有直饮盖的瓶子 | |
KR102050965B1 (ko) | 텀블러 | |
KR102264427B1 (ko) | 내부 액세스를 가지는 분배 용기 | |
US20030102313A1 (en) | Universal beverage can cover | |
AU2015342729A1 (en) | Container with press button opening | |
KR20140127575A (ko) | 압입식 또는 나선형 뚜껑을 사용할 수 있는 텀블러 | |
US10179675B2 (en) | Dispensing container with interior access | |
KR20210001031U (ko) | 원터치식 물병마개 | |
US11700968B2 (en) | Infuser container | |
JP3210237U (ja) | お茶の香りを有するキャップ | |
JP3075175B2 (ja) | 液体容器 | |
KR200469736Y1 (ko) | 병의 개폐 조절이 가능한 병뚜껑 캡 | |
US9829362B2 (en) | Container and spout with open-position locking feature | |
KR101007511B1 (ko) | 물병 | |
CN208856143U (zh) | 一种无吸管的饮品杯盖以及饮品杯 | |
KR20100011262U (ko) | 다용도 이중캡 | |
CN207292929U (zh) | 瓶盖结构 | |
KR200200551Y1 (ko) | 병 뚜껑이 달린 용기 | |
JP3631331B2 (ja) | 飲料用注出容器 | |
KR200400841Y1 (ko) | 공기주입구가 구비된 음료용 캔 | |
KR200182113Y1 (ko) | 빨대를 내장한 캔의 구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