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1262U - 다용도 이중캡 - Google Patents

다용도 이중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1262U
KR20100011262U KR2020090005634U KR20090005634U KR20100011262U KR 20100011262 U KR20100011262 U KR 20100011262U KR 2020090005634 U KR2020090005634 U KR 2020090005634U KR 20090005634 U KR20090005634 U KR 20090005634U KR 20100011262 U KR20100011262 U KR 2010001126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double cap
double
beverage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56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석
Original Assignee
김진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석 filed Critical 김진석
Priority to KR20200900056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11262U/ko
Publication of KR2010001126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126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 B65D47/08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integrally formed with the base element provided with the spout or discharge passage
    • B65D47/0809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integrally formed with the base element provided with the spout or discharge passage and elastically biased towards both the open and the closed positions
    • B65D47/0819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integrally formed with the base element provided with the spout or discharge passage and elastically biased towards both the open and the closed positions by cam action, e.g. interacting protru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5/00Ven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3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means for ve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8Arrangements of closures with protective outer cap-like covers or of two or more co-operating clos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원터치 개폐 커버 및 여러 개의 유출구가 천공되어 있는 이중캡 몸체로 이루어진 다용도 이중캡을 형성하여 음료를 따를 때 몸체 내부캡에 천공되어 있는 유출구 통해 음료가 안정적으로 따라지도록 하며, 또한 따르는 음료의 양을 조절 가능하게 하는 이중캡에 관한 것이다.
원터치, 이중캡, 유출구, 음료용기

Description

다용도 이중캡{DOUBLE CAP FOR MULTI-USE}
본 고안은 음료 용기의 다용도 이중캡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개폐커버가 원터치 방식으로 몸체에 힌지 연결되어 있으며, 이중캡으로 구성된 몸체의 내부캡 외주면 중앙부에 여러 개의 유출구를 천공하여 이 유출구를 통해 음료가 배출되도록 한 다용도 이중캡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음료 용기, 특히 대용량의 음료 용기는 뚜껑을 열어 음료를 따를 때, 용기의 목부분이 너무 길거나 음료의 양이 너무 많거나 적어 용기의 좁은 입구로 부터 음료가 급하게 쏟아져 나와 넘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기존의 음료 용기의 뚜껑은 완전 개폐 및 완전 밀폐만 가능하므로, 음료의 지속적인 음용시 용기의 뚜껑을 완전히 열어놓고 사용하거나 매번 뚜껑을 열었다 닫았다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원터치 개폐 커버 및 여러 개의 유출구가 천공되어 있는 이중캡 몸체로 이루어진 다용도 이중캡을 형성하여 음료를 따를 때 몸체 내부캡에 천공되어 있는 유출구를 통해 음료가 안정적으로 따라지도록 하며, 또한 따르는 음료의 양을 조절 가능하게 하는 이중캡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몸체 내부캡 외주면에 여러 개의 유출구가 천공되어 있는 뚜껑이 용기에 삽입된 후 원주방향으로 회전되어 잠겨지는 형태로, 이중캡을 돌려 열을 때 점층적으로 반개방 및 완전 개방이 가능하므로, 음료의 지속적인 음용시 이중캡을 반개방한 상태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이중캡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이중캡 상부에 원터치 개폐 커버가 힌지 연결되어 있어 캡 주위의 오염을 막을 수 있는 이중캡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은 음료 용기의 다용도 이중캡으로, 상부의 원터치 개폐 커버 및 이 개폐 커버와 힌지 연결된 이중캡 몸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중캡 몸체에는 내부캡 외주면 중앙부에 여러 개의 유출구가 천공되어 있고, 내부캡 내주면은 용기의 입구부와 체결되는 나선형 홈 처리가 되어 있어 이중캡 뚜껑을 돌려 열어 완전 개방 또는 반개방하여 따르는 음료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기술적인 특징을 갖는다.
추가적으로 외부캡 상부의 오목홈에 바늘구멍 크기의 미세유출구를 천공하여 음료를 따를 때 장력을 조절함으로써 음료의 분산 및 흘림을 방지할 수 있는 기술적 특징을 갖는다.
본 고안은 첫째, 이중캡 몸체의 내부캡 외주면에 여러 개의 유출구가 천공되어 있고 내부캡 내주면에 나선형 홈처리가 되어 있어, 이중캡을 돌려 열어 완전 개방하여 사용하거나 반 개봉하여 내부캡의 유출구를 통해 음료를 따를 수 있어 음료의 따르는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둘째, 본 고안의 이중캡은 이중캡 상부에 원터치 개폐 커버가 힌지 연결되어 있어 캡 주위의 오염을 막을 수 있다.
셋째, 본 고안의 이중캡은 내부캡 상부의 함몰부에 향료나 레몬 등을 끼워넣어 음료를 따를 때 향료와 자연스럽게 섞여 쉽게 칵테일을 만들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첨부된 도 1은 음료용기에 적용된 본 고안에 따른 이중캡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음료용기에 적용된 본 고안에 따른 이중캡의 개폐커버가 열려진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3은 음료용기에 적용된 본 고안에 따른 이중캡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첨부된 도 4는 본 고안의 이중캡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이중캡의 사용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이중캡 의 미세유출구를 통한 사용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이중캡 상부의 함몰부에 향료 등이 삽입된 예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에서 본 고안의 이중캡(10)은 상부의 원터치 개폐 커버(11) 및 이중캡 몸체(12)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중캡 몸체에는 내부캡(13) 외주면 중앙부에 여러 개의 유출구(15)가 천공되어 있고, 내부캡 내주면은 용기(20)의 입구부(21)와 체결되는 나선형 홈 처리가 되어 있어 이중캡 뚜껑을 돌려 열어 완전 개방하거나 사용하거나 반만 돌려 열어 반개방한 상태에서 유출구(15)를 통해 음료를 따를 수 있다.
원터치 개폐 커버(11)는 이중캡 몸체(12)에 힌지 연결되어 있으며, 일측에 개폐 커버(11)를 용이하게 열 수 있도록 하는 걸림부(18)가 형성되어 있어 캐폐 커버를 닫을 때 이중캡 몸체(12)의 오목홈과 결합한다. 또한, 걸림부(18)에는 미세유출구(16)를 개폐시키는 플러그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 이중캡 몸체(12) 상부의 오목홈(14)에 미세유출구(16)를 천공하여 음료를 따를 때 장력을 조절함으로써 음료의 분산 및 흘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중캡을 조금만 돌려 열어 유출구(15)를 약간만 개방한 후 미세유출구(16) 및 입구를 통해 음료를 아주 미량으로 따르는 것도 가능하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이중캡(10)을 완전히 돌려 잠궈 밀폐시킨 상태에서 이중캡 몸체(12)의 함몰부 내주면과 용기의 입구부(21) 끝부분이 맞물림으로써 더욱 효과적인 밀봉이 가능하게 한다.
본 고안의 이중캡의 원터치 개폐 커버(11)를 연 후 이중캡 몸체(12)를 반 정도 돌려 열어 반개방한 후 음료를 따르게 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출구(15)를 통해 음료가 배출된다. 반대로 이중캡을 돌려 완전히 밀폐시키게 되면 유출구가 음료 용기(20)의 입구부(21)에 의해 차단된다.
이와 같이, 이중캡을 돌려 열음으로서 사용자가 원하는 양 만큼의 음료를 따를 수 있도록 유출구의 개폐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이중캡 몸체(12)의 내부캡(13)의 상부에 형성된 함몰부(17)에 레몬이나 특수 향료와 같은 향료(19)를 끼워넣을 수 있어 간편하게 칵테일을 만들 수 있다.
다용도 이중 캡으로, 일반 또는 대 용량의 음료 용기나 물병으로 작은잔에 음료를 내리 부을때 또는 용기의 목부분이 너무 길거나 음료의 양이 너무 많거나 너무 적을때, 용기의 좁은 입구로 부터의 가속수압과 용기모양에 따른 경사도, 경사도내의 음료의 무게이동에 따른 울렁/울컥거림에 의한 급작스런 넘침을 방지하기위해, 기존 일반캡의 상단면을 그대로 유지하여 흘림을 방지하고 안정적으로 내리붓는 동작을 가능하게하며, 내부캡의 측면 중앙부에 여러개의 유출구를 천공하여 음료의 양적 조절이 가능하게 하였으며, 캡의 최 상단뚜껑을 원터치 개폐 커버 방식으로 디자인하고 여닫게 하여 사용과 음료보관을 편리하게 하였다.
위생적인 측면에서, 음료 용기의 공동사용으로 캡을 열고 닫을때 캡주위가 오염될수 있으므로 손잡이 부분에 이중캡을 덧씌우고 원터치 캐폐 커버를 구비하여 장시간 캡을 열어두었을 때 공기중의 먼지나 부유물을 차단하기위해 간단히 여닫을 수 있는 디자인으로 하였다.
기존의 일반캡은 한번 열면 내용물의 보존을 위해 뚜껑을 다시 돌려 닫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으나, 본 고안의 다용도 이중캡 상부의 개폐 커버를 원터치 오프너로 디자인 하여 사용과 음료의 보관이 편리하게 하였으며, 이에 더하여 기존의 방식대로 돌려닫아 완전 밀폐가 가능한 이중밀폐식으로 디자인되었다.
캡을 오픈하여 돌려 여는동작의 가감에 따라 캡 중앙면의 여러개의 유출구들이 위쪽으로 이동, 점층적으로 반개방, 개방되어 음료의 양적 조절이 가능하며, 이와 반대로 캡을 돌려 닫으면 구멍이 완전개방에서 반개방으로 좁아져 음료의 양이 줄어든다. 따라서 흘림으로 낭비되는 물이나 음료를 절약할수 있다.
뚜껑 개폐의 선택적 편리성에 있어서, 밀폐, 반개방, 개방이 가능하며 뚜껑관리가 손쉽다.
다용도 이중캡의 겉면을 투명하게 하였을때 술과 같은 칵테일을 요하는 음료는, 내리부을때 함께 섞일수 있도록 이중캡 몸체의 외부캡과 내부캡 사이 또는 내부캡 상부의 함몰부에 레몬이나 특수향료를 끼워넣거나 첨가하여 음주를 함에 있어 부가적인 깔끔하고 다채로운 시각적 효과와 음주와 칵테일을 함께할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보다 안정적인 내리붓기 동작에 추가하여 이중캡의 상단 앞면에 바늘구멍크기 미세유출구를 천공하여 용기의 밀폐기능에 더불어 내용물이 용기에서 나올때 음료의 분산됨을 방지하기위해 고이도록 하였고, 구멍크기를 알맞게 조절하여 구멍사이로 음료가 한두방울 떨어져 점성에 의해 용기의 주둥이에서 흘러나오는 음료와 서로 끌어당기는 형태로 용기의 출구낙하지점에서 합류하게하여 음료의 낙하지점을 조금이나마 입구쪽으로 끌어당겨 음료의 분산, 흘림을 방지하였다.
무의식중 밀폐용 나선이 헐거워 캡이 열려 음료의 흘림이 발생될수 있으므로, 용기 주둥이의 밀폐용 나선의 두께나 크기를 조절하거나 캡면의 나선골의 크기를 조절하여 캡을 오픈할때 무리가 가지 않는 범위내에서 단속적인 홀딩이 가능하고
캡의 사용 용도에 따라 다용도 이중캡의 길이와 높이 너비 모양, 안쪽캡 중앙면 음료 양조절 구멍의 갯수, 크기, 모양이 다변화 될수 있다.
도 1은 음료용기에 적용된 본 고안에 따른 이중캡의 사시도,
도 2는 음료용기에 적용된 본 고안에 따른 이중캡의 개폐커버가 열려진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음료용기에 적용된 본 고안에 따른 이중캡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이중캡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이중캡의 사용을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이중캡의 미세유출구를 통한 사용을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이중캡 상부의 함몰부에 향료 등이 삽입된 예시도.
10 : 이중캡 11 : 개폐 커버
12 : 이중캡 몸체 13 : 내부캡
14 : 오목홈 15 : 유출구
16 : 미세유출구 17 : 함몰부
18 : 걸림부 19 : 향료
20 : 음료 용기 21 : 입구부

Claims (2)

  1. 원터치 개폐 커버(11) 및 이중캡 몸체(12)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중캡 몸체에는 내부캡(13) 외주면 중앙부에 여러 개의 유출구(15)가 천공되어 있고, 내부캡 내주면은 용기(20)의 입구부(21)와 체결되는 나선형 홈 처리가 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용기용 다용도 이중캡.
  2. 제1항에 있어서, 원터치 개폐 커버(11)의 일측면은 이중캡 몸체(12)에 힌지 연결되어 있고 다른 일측면은 플러그가 구비된 걸림부(18)가 형성되어 이중캡 몸체의 오목홈(14) 및 미세유출구(16)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용기용 다용도 이중캡.
KR2020090005634U 2009-05-11 2009-05-11 다용도 이중캡 KR2010001126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5634U KR20100011262U (ko) 2009-05-11 2009-05-11 다용도 이중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5634U KR20100011262U (ko) 2009-05-11 2009-05-11 다용도 이중캡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1262U true KR20100011262U (ko) 2010-11-19

Family

ID=44203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5634U KR20100011262U (ko) 2009-05-11 2009-05-11 다용도 이중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11262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1466B1 (ko) * 2012-11-13 2015-02-11 윤희정 세탁볼 겸용 세제용기캡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1466B1 (ko) * 2012-11-13 2015-02-11 윤희정 세탁볼 겸용 세제용기캡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72164B2 (en) Drinking vessel with atmospheric assist valve
US7806303B1 (en) Sealable pour spout
CN101258964B (zh) 为混合食物而设计的旅行杯及其方法
KR100807212B1 (ko) 연결부재가 구비된 마개 분실방지 용기
US7931166B2 (en) Container cap
KR200265059Y1 (ko) 용기 마개
US6223792B1 (en) Funnel cap device for a fluid container
US20070164058A1 (en) Pouring apparatus for carbonated beverages in bottles
KR20100011262U (ko) 다용도 이중캡
US11700968B2 (en) Infuser container
KR200419676Y1 (ko) 액상 식품용 용기 뚜껑
US20070039980A1 (en) Pouring spout for a container including a liquid, container, method and use hereof
GB2459519A (en) Closure element for a fluid container
US2378355A (en) Glass receptacle
KR200494270Y1 (ko) 원터치식 물병마개
JP2547580Y2 (ja) 飲料缶用飲口具
KR200200551Y1 (ko) 병 뚜껑이 달린 용기
CN220563277U (zh) 用于容器的扭转封盖系统
US2011122A (en) Shaker top
KR200423236Y1 (ko) 취수구가 형성되는 병뚜껑
US20230040658A1 (en) Water Bottle
KR102334927B1 (ko) 버튼 개폐형 위생 물통
KR200212959Y1 (ko) 파우치 음료용기용 스파우트
CN209360290U (zh) 一种多功能杯具
KR20090011087U (ko) 물통의 마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