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1017U - 인버터 장착 구조체 - Google Patents

인버터 장착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1017U
KR20210001017U KR2020190004430U KR20190004430U KR20210001017U KR 20210001017 U KR20210001017 U KR 20210001017U KR 2020190004430 U KR2020190004430 U KR 2020190004430U KR 20190004430 U KR20190004430 U KR 20190004430U KR 20210001017 U KR20210001017 U KR 2021000101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verter
coupled
mounting structure
enclosure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44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4560Y1 (ko
Inventor
김동식
양천석
Original Assignee
엘에스일렉트릭(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일렉트릭(주) filed Critical 엘에스일렉트릭(주)
Priority to KR20201900044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4560Y1/ko
Priority to US17/773,656 priority patent/US20220416680A1/en
Priority to EP20883062.0A priority patent/EP4054068A4/en
Priority to CN202080075106.1A priority patent/CN114600359A/zh
Priority to PCT/KR2020/004454 priority patent/WO2021085763A1/ko
Publication of KR2021000101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101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45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456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422Printed circuit boards receptacles, e.g. stacked structures, electronic circuit modules or box like frames
    • H05K7/1427Housings
    • H05K7/1432Housings specially adapted for power drive units or power co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4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4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401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comprising clamping or extracting mea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64Earth or grounding circui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003Constructional details, e.g. physical layout, assembly, wiring or busbar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verter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립 편의성 및 내구성이 강화되며 인버터의 구조를 간소화 시킬 수 있는 인버터 장착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일 형태에 따르면, 외함 또는 벽면에 고정되며, 내부에 인버터를 수용하여 상기 인버터가 결합되는 인버터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브라켓 및 상기 브라켓의 외측에 결합되는 옵션케이스를 포함하는 인버터 장착 구조체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인버터 장착 구조체{Structure for Installing Inverter}
본 발명은 인버터 장착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립 편의성 및 내구성이 강화되며 인버터의 구조를 간소화 시킬 수 있는 인버터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전동기의 사용범위가 확대 되면서 또한 인버터의 사용도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인버터는 벽면이나 외함등에 결합되어 사용되는데, 상기 인버터에는 필요에 따라 여러 가지 장치들이 옵션으로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추가 장착물들은 옵션부라 칭하게 되는데, 이러한 옵션부는 예를 들어 상기 인버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케이블 등을 고정하여, 케이블 자체의 하중이나 여타 다른 외력에 의해 케이블 등이 탈거되거나 끊어지지 않도록 고정하는 케이블 고정 케이스 등이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의 인버터 및 상기 인버터에 장착되는 옵션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종래의 인버터(10)는 도 1 및 도 2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방열을 위한 히트싱크(20)가 구비되며, 또한 외측의 어느 일면에 케이블 고정 케이스 등의 옵션부(30)가 장착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인버터(10)는 상기 히트싱크(20)가 외함이나 벽면에 결합되어 장착되며, 상기 히트싱크(20)를 통해 접지가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옵션부(30)는 상기 인버터(10)에 복수개소 체결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옵션부(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일부가 연장된 형태의 금속편(32)이 상기 인버터(1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결합되며, 접지를 유지하기 위하여 삽입된 곳이 인버터(10) 내부의 접지패스(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이러한 접지패스(12)는 금속제로 이루어진 히트싱크(20)와도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이루어져, 상기 히트싱크(20)가 외함이나 벽면에 접촉됨으로써 접지가 이루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종래의 인버터(10)에 장착되는 옵션부(30)의 장착구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상기 옵션부(30)가 인버터(10)에 결합되므로, 옵션부(30)에 작용되는 하중이 인버터(10)에 작용되므로 인버터(10)의 강성이 높게 제작되어야 하는데, 때문에 인버터(10) 제작비용 및 무게가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인버터(10)에 부착된 히트싱크(20)가 외함 또는 벽면에 결합되는 구조로서, 히트싱크(20)가 본연의 방열의 역할 외에도 인버터(10)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담당하게 되어 하중을 견디게 제작해야 하므로 그 강성이 크도록 제작해야 하므로 제작 비용 및 무게가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셋째, 옵션부(30)가 인버터(10)와 결합하므로 접지를 위해서 인버터(10) 내부에 접지패스(12)를 형성해야 하며, 이러한 접지패스(12)는 히트싱크(20) 및 옵션부(30)와의 결합을 위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제작해야 하는데, 이렇게 인버터(10) 내부에 접지패스를 형성해야 해 인버터(10)의 설계 및 제작이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특정한 설치조건에서는 이러한 외부로 노출된 접지패스(12)가 불리하게 작용될 수도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설치가 간단하면서도, 구조가 강건하며, 인버터의 제작 및 설계를 간단화 시킬 수 있는 인버터 장착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 과제이다.
본 고안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 형태에 따르면, 외함 또는 벽면에 고정되며, 내부에 인버터를 수용하여 상기 인버터가 결합되는 인버터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브라켓 및 상기 브라켓의 외측에 결합되는 옵션케이스를 포함하는 인버터 장착 구조체가 제공된다.
상기 브라켓은, 외함 또는 벽면과 마주보도록 형성되며, 인버터가 결합되는 제1면, 상기 제1면으로부터 외함 또는 벽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인버터 수용공간의 측면을 이루도록 상기 제1면의 양 측면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평행하게 형성되는 제2면 및 상기 제1면으로부터 외함 또는 벽면을 향하여 절곡 연장되어, 외함 또는 벽면에 고정되는 고정홀이 형성된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각 제2면의 일측단부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플랜지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옵션케이스는 상기 플랜지부에 결합되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옵션케이스는, 상기 인버터의 접지단자에 장착된 접지선이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접지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 및 옵션케이스는 상기 인버터의 접지를 위해 전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면은 상기 인버터의 측면 중 일부를 노출시키도록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기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옵션케이스는, 상기 인버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케이블이 결합되는 통공이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인버터 장착 구조체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종래에는 인버터와 옵션케이스와 접촉하는 부분 및 상기 인버터와 외함이 접촉하는 부분에 모두 접지를 위한 금속구조를 배치하는 접지패스를 형성하는 설계를 해야 했으나, 본 고안의 인버터 장착 구조체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모든 인버터가 가지고 있는 접지단자를 통해 접지를 할 수 있어 별도의 접지패스를 형성할 필요가 없으므로 설계가 간단해지고, 제조단가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뿐만 아니라 위에서 설명한 요약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해서 읽을 때에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을 예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면에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출원은 도시된 정확한 배치와 수단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도 1은 벽면에 고정된 종래의 인버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인버터에 결합된 옵션케이스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옵션케이스와 인버터의 결합부의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상기 옵션케이스가 인버터의 접지패스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버터 장착 구조체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의 브라켓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4의 브라켓에 결합된 옵션케이스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접지부에 접지선이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이다.
이하 본 고안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인버터 장착 구조체의 일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인버터 장착 구조체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110)과 옵션케이스(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라켓(110)은 외함 또는 벽면에 고정되며, 내부에 인버터(100)가 결합되어 상기 인버터(100)를 수용하는 인버터 수용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외함 및 벽면은 지면과 접지가 이루어진 상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옵션케이스(120)는 상기 인버터(100)에 부가적으로 붙는 각종 옵션장치가 수용되거나 장착되기 위한 케이스로서, 상기 브라켓(110)의 외측에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옵션케이스(120)로서, 상기 인버터(100)에 전력 또는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케이블(40) 등을 고정하여, 케이블(40) 자체의 하중이나 여타 다른 외력에 의해 케이블(40)이 탈거되거나 끊어지지 않도록 고정하는 케이블 고정 케이스가 적용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옵션케이스(120)에는 상기 인버터(1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케이블(40)이 결합되어 고정되는 통공(122)이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통공(122)에는 케이블(40)을 고정시킬 수 있는 케이블 고정너트 등이 결합되어 상기 케이블(40)을 상기 옵션케이스(12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케이블(40)이 상기 옵션케이스(120)에 고정되므로, 케이블(40)에 가해지는 하중이나 외력이 상기 인버터와 케이블(40)이 결속된 부분이 아닌 상기 옵션케이스(120)에 작용될 수 있어 케이블 고정력이 강화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옵션케이스(120)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여타 다른 기능과 목적의 옵션케이스(120)가 장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상기 옵션케이스(120)가 인버터(100)가 아닌 브라켓(110)에 고정되므로 상기 옵션케이스(120)에 가해지는 하중이 인버터(100)가 아닌 브라켓(110)으로 직접 전달될 수 있어 상기 인버터(100)에 가해지는 힘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인버터(100)를 과도하게 강하게 제작할 필요가 없으며, 특히 히트싱크의 경우에는 하중이 가해지지 않는 만큼 간소화가 가능하여 보다 경량화 할 수 있다.
상기 브라켓(110)은 제1면(111)과 제2면(112) 및 고정부(113)와 플렌지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면(111)은 상기 브라켓(110)이 고정되는 외함 또는 벽면과 마주보도록 형성되며, 인버터(100)가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면(111)은 평면을 이룰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상기 제1면(111)에는 상기 인버터(100)가 결합되기 위한 나사홀 등이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면(112)은 상기 제1면(111)의 양 측면으로부터 상기 외함 또는 벽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면(111)과 함께 상기 인버터(100)가 수용되는 인버터 수용공간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면(112)은 한 쌍이 서로 마주보도록 평행하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2면(112)은 상기 인버터(100)의 측면을 모두 덮지 않고 적어도 일부는 노출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인버터(100)를 인버터 수용공간에 넣거나 탈거시킬 때 상기 인버터(100)를 용이하게 파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고정부(113)는 상기 제1면(111)의 테두리로부터 외함 또는 벽면을 향하여 절곡 연장되어 상기 외함 또는 벽면에 고정되도록 고정홀(115)이 형성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 상기 고정부(113)는 상기 제1면(111)의 테두리로부터 절곡 연장되지 아니하고 평면으로 연장될 수도 있을 것이며, 상기 고정홀(115)은 그 테두리에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홀(115)을 통해 상기 브라켓(110)을 고정하는 고정수단은 나사 또는 볼트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리벳 등의 여타 다른 고정수단도 가능할 것이다.
즉, 인버터(100)는 상기 제1면(111)에 고정되며, 상기 제1면(111)에 형성된 고정부(113)에 의해 상기 인버터(100)가 고정된 제1면(111)이 외함 또는 벽면에 고정되는 것이다.
이 때, 상기 제1면(111) 및 제2면(112)에는 방열을 위한 통기공(116)이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면(111)과 마주보는 면은 개구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인버터의 제1면(111)과 마주보는 면과 대향된 면에는 여러 가지 조작 스위치 또는 I/O패널 덮개 등이 구비되는 바, 이들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해당 면은 개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면(112)의 일측단부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플렌지부(114)를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옵션케이스(120)는 상기 플렌지부(114)에 결합되어 상기 브라켓(110)과 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옵션케이스(120)는 상기 플렌지부(114)에 나사 또는 볼트와 너트 등의 고정수단으로서 체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브라켓(110) 및 옵션 케이스(120)는 상기 인버터(100) 및 옵션케이스(120)에 장착되는 케이블의 접지를 위해 금속 등의 전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버터(100)의 접지를 위하여, 상기 옵션케이스(120)에는 접지부(1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접지부(130)에는 상기 인버터의 접지단자에 연결된 접지선(132)이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접지선(132)과 접지부(130)의 결합은 도전성 볼트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인버터(100)의 접지단자에 연결된 접지선(132)이 상기 옵션케이스(120)의 접지부(130)에 연결되고, 상기 옵션케이스(120)는 외함 또는 벽면과 전기적으로 직접 연접된 브라켓(110)과 접촉되어 있으므로, 상기 인버터(100) 내에 별도의 접지패스(12)를 형성하거나 접지패스(12)를 외부에 노출시키지 않아도 상기 인버터(100)와 상기 옵션케이스(120)의 접지가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인버터(100)는 그 내부에 필수적으로 접지단자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필수적으로 구비된 접지단자를 활용하여 접지를 함으로써 별도로 접지패스(12)를 형성할 필요가 없어질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인버터(100)의 설계를 보다 단순화 할 수 있어 설계 및 제작이 용이해질 수 있다. 또한 그에 따라 인버터(100)의 제작에 소요되는 부품의 가짓수가 줄어들 수 있어 부품비는 물론 공수가 줄어들을 수 있어 제조단가가 저렴해지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고안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인버터 110: 브라켓
111: 제1면 112: 제2면
113: 고정부 114: 플렌지부
115: 고정홀 116: 통기공
120: 옵션 케이스 122: 통공
130: 접지부 132: 접지선

Claims (7)

  1. 외함 또는 벽면에 고정되며, 내부에 인버터를 수용하여 상기 인버터가 결합되는 인버터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의 외측에 결합되는 옵션케이스;
    를 포함하는 인버터 장착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외함 또는 벽면과 마주보도록 형성되며, 인버터가 결합되는 제1면;
    상기 제1면으로부터 외함 또는 벽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인버터 수용공간의 측면을 이루도록 상기 제1면의 양 측면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평행하게 형성되는 제2면;
    상기 제1면으로부터 외함 또는 벽면을 향하여 절곡 연장되어, 외함 또는 벽면에 고정되는 고정홀이 형성된 고정부;
    를 포함하며,
    상기 각 제2면의 일측단부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플랜지부를 형성하는 인버터 장착 구조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옵션케이스는 상기 플랜지부에 결합되어 장착되는 인버터 장착 구조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옵션케이스는,
    상기 인버터의 접지단자에 장착된 접지선이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접지부가 구비되는 인버터 장착 구조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및 옵션케이스는 상기 인버터의 접지를 위해 전도성 재질로 형성되는 인버터 장착 구조체.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면은 상기 인버터의 측면 중 일부를 노출시키도록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기공이 형성되는 인버터 장착 구조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옵션케이스는,
    상기 인버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케이블이 결합되는 통공이 복수개 형성되는 인버터 장착 구조체.
KR2020190004430U 2019-11-01 2019-11-01 인버터 장착 구조체 KR2004945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4430U KR200494560Y1 (ko) 2019-11-01 2019-11-01 인버터 장착 구조체
US17/773,656 US20220416680A1 (en) 2019-11-01 2020-04-01 Inverter mounting structure
EP20883062.0A EP4054068A4 (en) 2019-11-01 2020-04-01 INVERTER MOUNTING STRUCTURE
CN202080075106.1A CN114600359A (zh) 2019-11-01 2020-04-01 逆变器安装结构体
PCT/KR2020/004454 WO2021085763A1 (ko) 2019-11-01 2020-04-01 인버터 장착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4430U KR200494560Y1 (ko) 2019-11-01 2019-11-01 인버터 장착 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1017U true KR20210001017U (ko) 2021-05-11
KR200494560Y1 KR200494560Y1 (ko) 2021-11-03

Family

ID=75715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4430U KR200494560Y1 (ko) 2019-11-01 2019-11-01 인버터 장착 구조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20416680A1 (ko)
EP (1) EP4054068A4 (ko)
KR (1) KR200494560Y1 (ko)
CN (1) CN114600359A (ko)
WO (1) WO2021085763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311475A1 (en) * 2016-04-20 2017-10-26 Solarcity Corporation Flat roof inverter rack
KR20190095734A (ko) * 2018-02-07 2019-08-16 주식회사 에이디티 단자대 전용 커버체를 갖는 인버터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79746B2 (en) * 2001-03-06 2002-11-12 Rally Manufacturing, Inc. Power inverter with collapsing mounting tabs
JP4231769B2 (ja) * 2003-11-14 2009-03-04 株式会社日立産機システム フィルタ装置、及びそのフィルタ装置が接続される電力変換装置
JP5511232B2 (ja) * 2009-06-18 2014-06-04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インバータモジュールおよびそれを用いたインバータ一体型電動圧縮機
EP2299582B1 (de) * 2009-09-18 2015-03-11 SMA Solar Technology AG Wechselrichter mit einem Gehäuse und darin angeordneten elektrischen und elektronischen Bauteilen
JP5821387B2 (ja) * 2011-08-09 2015-11-24 スズキ株式会社 車両のインバータ搭載構造
JP2013055807A (ja) * 2011-09-05 2013-03-21 Toshiba Schneider Inverter Corp インバータ装置
KR200481602Y1 (ko) * 2012-03-19 2016-10-19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실링 수단을 갖는 태양광 인버터
US9241430B2 (en) * 2013-03-15 2016-01-19 Eaton Corporation Power pole isolated heat pipe inverter assembly
JP6536256B2 (ja) * 2014-11-12 2019-07-03 日本電産株式会社 モータ
KR102075415B1 (ko) * 2018-01-29 2020-02-1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동기 구동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311475A1 (en) * 2016-04-20 2017-10-26 Solarcity Corporation Flat roof inverter rack
KR20190095734A (ko) * 2018-02-07 2019-08-16 주식회사 에이디티 단자대 전용 커버체를 갖는 인버터 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BB사 Drives ACS550 메뉴얼(2014.7.4.)*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600359A (zh) 2022-06-07
EP4054068A4 (en) 2023-12-06
EP4054068A1 (en) 2022-09-07
WO2021085763A1 (ko) 2021-05-06
KR200494560Y1 (ko) 2021-11-03
US20220416680A1 (en) 2022-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78243B2 (ja) 蓄電ユニット
KR101610901B1 (ko) 차량의 전자 제어 장치
CN111132445B (zh) 星载堆栈体及其标准化模块
KR200494560Y1 (ko) 인버터 장착 구조체
JP5723861B2 (ja) 電子機器のシールド構造
WO2017085872A1 (ja) モータ及びモータの製造方法
US9652008B2 (en) Power module
US11283198B2 (en) Cable shield connecting assembly for electrical device
US6246571B1 (en) Computer enclosure for mounting an electronic device
JP6866185B2 (ja) 制御箱、および制御箱の組み立て方法
WO2019244491A1 (ja) 電力変換装置
JP5986854B2 (ja) 半導体素子の絶縁取付け構造
JP2017189046A (ja) インバータ一体型モータ
JP7395329B2 (ja) 電力変換装置
JP6862244B2 (ja) 制御箱、および制御箱の組み立て方法
CN215867849U (zh) 一种热插拔风扇模组
CN217335837U (zh) 一种用于集成灶的拾音器
JP2021005607A (ja) 電気機器収納用箱
JP2021168310A (ja) 照明装置
JP3891942B2 (ja) 電気機器
KR20200091660A (ko) 탄성체의 결합력을 향상시킨 방진 수단을 구비한 분전반
JPH08170611A (ja) 筐体の積載取付具
JP2018207666A (ja) 電気接続箱の取付け構造
JP2004128172A (ja) 電子機器取付用マウントベース
JP2004022269A (ja) 電気部品の接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