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0907A - 레이더 장치 및 그 조립방법 - Google Patents

레이더 장치 및 그 조립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0907A
KR20210000907A KR1020190076174A KR20190076174A KR20210000907A KR 20210000907 A KR20210000907 A KR 20210000907A KR 1020190076174 A KR1020190076174 A KR 1020190076174A KR 20190076174 A KR20190076174 A KR 20190076174A KR 20210000907 A KR20210000907 A KR 202100009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eld case
unit
housing
heat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61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상희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761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00907A/ko
Priority to CN202010163008.5A priority patent/CN111679279B/zh
Priority to US16/814,760 priority patent/US11181620B2/en
Priority to DE102020106650.3A priority patent/DE102020106650A1/de
Publication of KR202100009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0907A/ko
Priority to US17/507,625 priority patent/US11740329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02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3/00
    • G01S7/03Details of HF sub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common to transmitter and receiver
    • G01S7/032Constructional details for solid-state radar subsyste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88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3/93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anti-collision purposes
    • G01S13/931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anti-collision purposes of land vehic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02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3/00
    • G01S7/027Constructional details of housings, e.g. form, type, material or ruggednes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3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characterised by the heat transfer by conduction from the heat generating element to a dissipating bod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07Casings
    • H05K9/002Casings with localised screening
    • H05K9/0022Casings with localised screening of components mounted on printed circuit boards [PCB]
    • G01S2007/027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adar Systems Or Details Thereof (AREA)

Abstract

레이더 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레이더 장치는: 전자기파를 투과시키는 커버부와, 커버부와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되며, 전자기파를 발생시켜 커버부의 전방에 위치하는 대상체를 감지하는 측정부와, 쉴드케이스부 및 측정부가 배치되는 내측공간을 구비하며, 개구된 입구부에 커버부가 설치되는 하우징부와, 측정부와 결합되며, 측정부에서 발생되는 전자기파가 입구부로 방출되도록 전자기파를 차폐하는 쉴드케이스부와, 측정부 및 쉴드케이스부와, 쉴드케이스부 및 하우징부 사이에 배치되어 측정부에서 발생되는 열을 쉴드케이스부에서 하우징부로 전도시켜 히우징부의 외부로 방출되도록 하는 복수개의 열전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레이더 장치 및 그 조립방법{LADAR SENSOR AND METHOD FOR ASSEMBLING OF THE SAME}
본 발명은 레이더 장치 및 그 조립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의 온도를 낮출 수 있는 레이더 장치 및 그 조립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 전방의 보행자를 인식하고, 충돌 위험이 존재하는 경우 운전자에게 경고하거나 자동으로 제동 제어나 조향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충돌을 회피하는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차량 전방 물체 인식 장치에는 차량 주변의 목표물을 인식하기 위해 목표물까지의 거리, 목표물의 방향, 속도, 온도, 재질 등을 감지할 수 있는 레이더 장치가 구비되며, 레이더 장치는 목표물에 레이저를 발광하고 목표물로부터 반사된 반사광을 통해 목표물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러나, 레이더 장치의 레이더 반도체에서 발생되는 발열로 인해 내부 온도가 170도까지 올라가 레이더장치의 성능이 손상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에 대한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58072호(발명의 명칭: 차량용 레이더 장치, 공개일: 2019.05.29.)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내부의 온도를 낮출 수 있는 레이더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레이더 장치는: 전자기파가 투과되는 커버부; 상기 쉴드케이스부 및 상기 측정부가 배치되는 내측공간을 구비하며, 개구된 입구부에 상기 커버부가 설치되는 하우징부; 상기 측정부와 결합되며, 상기 측정부에서 발생되는 상기 전자기파가 상기 입구부로 방출되도록 상기 전자기파를 차폐하는 쉴드케이스부; 및 상기 측정부 및 상기 쉴드케이스부와, 상기 쉴드케이스부 및 상기 하우징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측정부에서 발생되는 열을 상기 쉴드케이스부에서 상기 하우징부로 전도시켜 상기 히우징부의 외부로 방출되도록 하는 복수개의 열전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복수개의 상기 열전도부는, 상기 측정부와 상기 쉴드케이스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측정부 및 상기 쉴드케이스부와 결합되고, 상기 측정부에서 발생되는 열을 상기 쉴드케이스부로부터 전도되도록 하는 제1열전도부재; 및 상기 쉴드케이스부와 상기 하우징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쉴드케이스부 및 상기 하우징부와 결합되고, 상기 쉴드케이스부로 전도된 열이 상기 하우징부로 전도되도록 하는 제2열전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측정부는, 상기 커버부와 마주보며, 상기 제1열전도부재가 결합되는 기판부; 및 상기 기판부에 설치되고, 상기 전자기파를 발생시켜 대상체를 감지하는 레이더반도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쉴드케이스부는, 상기 기판부의 상기 하우징부와 마주하는 면에 결합되는 클립부; 및 상기 클립부에 끼움결합되며, 상기 측정부와 마주하는 면에 상기 제1열전도부재가 결합되는 쉴드케이스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부에는 상기 제2열전도부재가 결합되는 결합홈부가 형성되는 결합부를 구비하는 것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열전도부는 경화성 페이스트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레이더 장치 제조방법은: 측정부에 제1열전도부재를 도포하고, 상기 측정부에 쉴드케이스부를 결합하는 제1조립단계; 상기 하우징부에 제2열전도부재를 도포하고, 상기 하우징부에 상기 측정부를 결합하는 제2조립단계; 및 상기 하우징부에 커버부를 결합하는 제3조립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열전도부재와 상기 제2열전도부재는 경화성 페이스트 재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조립단계는, 상기 측정부의 기판부에 상기 쉴드케이스부의 클립부를 결합하는 클립부 결합단계; 상기 기판부에 상기 제1열전도부재를 도포하는 제1열전도부재 도포단계; 및 상기 클립부에 상기 쉴드케이스부의 쉴드케이스본체를 끼움결합하여 상기 제1열전도부재에 상기 쉴드케이스본체를 접촉시키는 쉴드케이스본체 결합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쉴드케이스본체 결합단계에서는 상기 제1열전도부재가 상기 기판부와 상기 쉴드케이스본체 사이에 압착되어 자연경화되면서 상기 기판부 및 상기 쉴드케이스본체와 일체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조립단계에서는 상기 제2열전도부재가 상기 하우징부의 결합부 상에 도포되고, 상기 하우징부와 상기 쉴드케이스부 사이에서 압착되어 자연경화되면서 하우징부 및 쉴드케이스부와 일체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에는 결합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열전도부재는 상기 결합홈부 내에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레이더 장치는 열전도부가 측정부 및 쉴드케이스부와 쉴드케이스부 및 하우징부 사이 각각 배치되어 측정부, 쉴드케이스부 및 하우징부에 접촉됨으로써, 측정부에서 발생된 열이 쉴드케이스부를 거쳐 하우징부로 전도되어 외부로 방출되어 내부의 온도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열전도부재와 제2열전도부재는 경화성 페이스트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에 따라, 측정부 및 쉴드케이스부와 쉴드케이스부 및 하우징부 사이 도포되어 자연경화되면서 측정부, 쉴드케이스부 및 하우징부와 일체로 견고하게 결합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쉴드케이스부가 측정부에 결합되는 클립부와, 클립부에 끼움결합되는 쉴드케이스본체를 포함하므로, 측정부에 쉴드케이스부를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어 조립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더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더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B-B'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더 장치의 측정부에 발생된 열이 전도되어 하우징부의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더 장치의 내부 온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더 장치의 측정부에 쉴드케이스부의 클립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더 장치의 측정부에 제1열전도부재를 도포하고, 클립부에 쉴드케이스본체를 결합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더 장치의 클립부에 쉴드케이스본체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더 장치의 하우징부에 제2열전도부재가 도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더 장치의 하우징부에 측정부 및 쉴드케이스부를 결합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더 장치의 하우징부에 측정부 및 쉴드케이스부가 결합된 상태에서 커버부를 결합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더 장치의 하우징부에 커버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더 장치의 조립방법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더 장치 및 그 조립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더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더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B-B'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더 장치의 측정부에 발생된 열이 전도되어 하우징부의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더 장치(1)는 커버부(100), 측정부(200), 쉴드케이스부(300), 하우징부(400) 및 복수개의 열전도부(500)를 포함한다.
커버부(100)는 레이돔으로 전자기파가 투과된다. 커버부(100)는 측정부(200)에서 발생되는 전자기파를 흡수하거나 반사하는 등 왜곡 현상 없이 그대로 전자기파가 투과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커버부(100)는 커버본체(110)와 커버결합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본체(110)은 판 형상으로 하우징부(400)의 입구부(418)를 커버한다. 커버결합부(120)는 커버본체(110)의 외측둘레에서 후술된 하우징부(400) 측으로 연장형성되어 하우징부(400)의 단턱부(413)에 걸리도록 결합된다.
측정부(200)는 커버부(100)와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되며, 전자기파를 발생시켜 커버부(100)의 전방에 위치하는 대상체를 감지한다. 이때, 측정부(200)는 전자기파를 발생시켜 대상체를 감지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의 측정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쉴드케이스부(300)는 측정부(200)와 결합되며, 측정부(200)에서 발생되는 전자기파가 후술된 하우징부(400)의 입구부(418)로 방출되도록 전자기파를 차폐한다. 이로 인해, 커버부(100)의 전방에 위치하는 대상체를 보다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쉴드케이스부(300)는 커버부(100)와 마주보는 위치에 위치되고, 하우징부(400)의 내부에 배치되며, 측정부(200)를 향해 오목한 차폐공간을 구비한다. 이때, 측정부(200)에서 발생되는 전자기파를 차폐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쉴드케이스부(30)의 재질은 동, 동과 니켈의 합금, 알루미늄 등을 적어도 하나의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하우징부(400)는 쉴드케이스부(300) 및 측정부(200)가 배치되는 내측공간(417)을 구비하며, 개구된 입구부(418)에 커버부(100)가 설치된다.
일 예로, 하우징부(400)는 하우징부본체(410)와 커넥터부(420)를 포함한다. 하우징부본체(410)에는 내부에 쉴드케이스부(300) 및 측정부(200)가 배치되며, 커버부(100)가 결합된다. 하우징부본체(410)는 베이스부(411), 측벽부(412), 단턱부(413), 지지부(414), 고정부(415)를 포함한다. 베이스부(411)는 판 형상으로 측정부(200)와 마주본다.
측벽부(412)는 베이스부(411)의 테두리에서 연장형성되어 베이스부(411)와 함께 쉴드케이스부(300) 및 측정부(200)가 배치되는 내측공간(417)을 형성한다.
단턱부(413)는 측벽부(412)에서 외측으로 연장형성되며, 커버결합부(120)가 걸려 결합된다.
지지부(414)는 측벽부(412)에서 내측으로 돌출되어 걸림턱 형상을 가지며, 측정부(200)의 하부를 지지한다. 지지부(414)는 측정부(200)의 결합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된다. 측정부(200)의 기판부(210)의 테두리가 지지부(414)에 걸릴 수 있다.
커넥터부(420)는 하우징부(400)와 일체로 결합되며, 하우징부(400)의 내부로 돌출되는 커넥트핀(421)을 구비한다. 커넥트핀(421)은 측정부(200)의 기판부(210)의 고정홀부(211)에 삽입되며, 커넥트핀(421)의 중앙부가 고정홀부(211)에 걸리므로, 기판부(210)의 하측 이동이 저지될 수 있다(도 3 참조).
복수개의 열전도부(500)는 측정부(200) 및 쉴드케이스부(300)와, 쉴드케이스부(300) 및 하우징부(400) 사이에 배치되며, 측정부(200)에서 발생되는 열을 쉴드케이스부(300)에서 하우징부(400)로 전도시켜 하우징부(400)의 외부로 방출되도록 한다(도 5 참조).
측정부(200)가 전자기파를 발생시키면 열이 발생되고, 하우징부(400)의 내부온도가 높아지게 된다. 레이더 장치(1)의 내부온도가 170도까지 높아져 레이더 장치(1)의 성능에 이상이 발생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레이더 장치(1)에서는 열전도부(500)가 측정부(200) 및 쉴드케이스부(300)와 쉴드케이스부(300) 및 하우징부(400) 사이 각각 배치되어 측정부(200), 쉴드케이스부(300) 및 하우징부(400)에 접촉됨으로써, 측정부(200)에서 발생된 열이 쉴드케이스부(300)를 거쳐 하우징부(400)로 전도될 수 있도록 한다. 이로 인해, 하우징부(400)로 전도된 열이 외부로 방출하게 되고, 하우징부(400)의 내부온도가 낮아질 수 있다. 즉, 레이더 장치(1)의 내부온도가 낮아질 수 있다.
복수개의 열전도부(500)는 제1열전도부재(510)와 제2열전도부재(520)를 포함한다. 제1열전도부재(510)는 측정부(200)와 쉴드케이스부(300) 사이에 배치되어 측정부(200) 및 쉴드케이스부(300)와 결합되고, 측정부(200)에서 발생되는 열을 쉴드케이스부(300)로부터 전도되도록 한다. 제2열전도부재(520)는 쉴드케이스부(300)와 하우징부(400) 사이에 배치되어 쉴드케이스부(300) 및 하우징부(400)와 결합되고, 쉴드케이스부(300)로 전도된 열이 하우징부(400)로 전도되도록 한다.
측정부(200)는 기판부(210)와 레이더반도체(220)를 포함한다. 기판부(210)는 커버부(100)와 마주보며, 제1열전도부재(510)가 결합된다. 기판부(210)에는 커넥트핀(421)이 삽입되는 고정홀부(211)가 형성된다. 레이더반도체(220)는 기판부(210)에 설치되고, 전자기파를 발생시켜 커버부(100)의 전방에 위치하는 대상체를 감지한다. 이때, 측정부(200)는 전자기파를 발생시켜 대상체를 감지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의 측정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쉴드케이스부(300)는 클립부(310)와 쉴드케이스본체(320)를 포함한다. 클립부(310)는 기판부(210)의 하우징부(400)와 마주하는 면에 결합된다. 클립부(310)는 복수개로 기판부(210)의 테두리 부분에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클립부(310)는 후술된 쉴드케이스본체(320)가 결합될 수 있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가능하다.
쉴드케이스본체(320)는 클립부(310)에 끼움결합되며, 측정부(200)와 마주하는 면에 제1열전도부재(510)가 결합된다. 제1열전도부재(510)는 쉴드케이스본체(320)와 기판부(210) 사이의 간격과 동일하거나 큰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제1열전도부재(510)는 높이가 4mm 정도이고, 너비는 8mm 정도이고, 길이는 8mm 정도일 수 있다.
하우징부(400)는 쉴드케이스부(300)와 마주하는 면에 제2열전도부재(520)가 결합되는 결합홈부(416)가 형성되는 결합홈부(416)가 형성되는 결합부(415)를 구비한다. 일 예로, 결합홈부(416)의 높이 1mm 정도이고, 너비는 11mm 정도이고, 길이는 25mm 정도일 수 있다. 결합홈부(416) 내에 제2열전도부재(520)가 위치된다.
열전도부(500)는 경화성 페이스트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1열전도부재(510)와 제2열전도부재(520)는 경화성 페이스트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열전도부재(510)가 경화성 페이스트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에 따라, 측정부(200)와 쉴드케이스부(300) 사이에서 압착되어 측정부(200) 및 쉴드케이스부(300)와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측정부(200)의 기판부(210)에 도포되고, 기판부(210)에 결합된 쉴드케이스부(300)의 클립부(310)에 쉴드케이스부(300)의 쉴드케이스본체(320)가 끼움결합되면서 압착되어 도포의 너비보다 너비가 넓어지고 자연경화되어 기판부(210) 및 쉴드케이스본체(320)와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2열전도부재(520)가 경화성 페이스트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에 따라, 쉴드케이스부(300)와 하우징부(400) 사이에서 압착되어 쉴드케이스부(300) 및 하우징부(400)와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우징부(400)의 결합부(415)에 형성된 결합홈부(416)에 제2열전도부재(520)를 도포하고, 측정부(200)와 쉴드케이스부(300)를 하우징부(400) 내에 결합되면서 압착되어 도포의 너비보다 너비가 넓어지고 자연경화되어 하우징부(400) 및 쉴드케이스부(300)의 쉴드케이스본체(320)와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열전도부재(510)가 측정부(200) 및 쉴드케이스부(300)와 결합되고, 제2열전도부재(520)가 쉴드케이스부(300) 및 하우징부(400)와 결합됨에 따라, 측정부(200)에서 발생된 열이 쉴드케이스부(300)를 거쳐 하우징부(400)로 전도되어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더 장치의 내부 온도를 나타낸 그래프이이다. 그래프를 참조하면, A는 제1열전도부재(510)와 제2열전도부재(520)가 모두 없는 레이더 장치를 나타낸 것이고, B, C는 제1열전도부재(510)만 있는 레이더 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D,E,F는 제1열전도부재(510)와 제2열전도부재(520)가 모두 있는 레이더 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B는 측정부(200)의 기판부(210)에 제1열전도부재(510)가 1mm 정도 높이를 가지도록 도포된 것을 나타낸 것이고, C는 측정부(200)의 기판부(210)에 제1열전도부재(510)가 4mm 정도 높이를 가지도록 도포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D는 측정부(200)의 기판부(210)에 제1열전도부재(510)가 1mm 정도 높이를 가지도록 도포되고, 하우징부(400)에 제2열전도부재(520)가 너비 4mm 정도, 길이 4mm 정도, 높이 1mm 정도를 가지도록 도포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F는 측정부(200)의 기판부(210)에 제1열전도부재(510)가 4mm 정도 높이를 가지도록 도포되고, 하우징부(400)에 제2열전도부재(520)가 너비 8mm 정도, 길이 8mm 정도, 높이 1mm 정도를 가지도록 도포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E는 측정부(200)의 기판부(210)에 제1열전도부재(510)가 4mm 정도 높이를 가지도록 도포되고, 하우징부(400)에 제2열전도부재(520)가 너비 11mm 정도, 길이 25mm 정도, 높이 1mm 정도를 가지도록 도포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그래프를 살펴보면, 제1열전도부재(510)와 제2열전도부재(520)가 없는 A에서는 레이더장치의 내부온도가 170도까지 올라가는 것을 볼 수 있지만, B에서 D로 갈수록 열전도가 원활하게 이루어져 레이더장치의 내부온도가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제1열전도부재(510)와 제2열전도부재(520)를 통해 열이 전도되어 레이더장치의 외부로 방출하게 되어, 레이더 장치의 내부온도가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더 장치의 측정부에 쉴드케이스부의 클립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더 장치의 측정부에 제1열전도부재를 도포하고, 클립부에 쉴드케이스본체를 결합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더 장치의 클립부에 쉴드케이스본체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더 장치의 하우징부에 제2열전도부재가 도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더 장치의 하우징부에 측정부 및 쉴드케이스부를 결합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더 장치의 하우징부에 측정부 및 쉴드케이스부가 결합된 상태에서 커버부를 결합하는 도면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더 장치의 하우징부에 커버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더 장치의 조립방법 흐름도이다.
이하 도 7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더 장치(1)의 조립방법과 작동 및 효과을 설명한다.
레이더 장치(1)의 조립방법은 제1조립단계(S10), 제2조립단계(S20) 및 제3조립단계(S30)를 포함한다. 제1조립단계(S10)에서는 측정부(200)에 제1열전도부재(510)를 도포하고, 측정부(200)에 쉴드케이스부(300)를 결합한다. 제2조립단계(S20)에서는 하우징부(400)에 제2열전도부재(520)를 도포하고, 하우징부(400)에 측정부(200)를 결합한다. 제3조립단계(S30)에서는 하우징부(400)에 커버부(100)를 결합한다.
제1열전도부재(510)와 제2열전도부재(520)는 경화성 페이스트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열전도부재(510)를 측정부(200)에 도포한 후 측정부(200)에 쉴드케이스부(300)와 결합시키면 측정부(200)와 쉴드케이스부(300) 사이에서 자연경화되어 제1열전도부재(510)가 측정부(200) 및 쉴드케이스부(300) 함께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열전도부재(520) 역시 하우징부(400)에 도포한 후 하우징부(400) 내에 측정부(200)와 함께 쉴드케이스부(300)를 결합시키면 하우징부(400)와 쉴드케이스부(300) 사이에서 자연경화되어 제2열전도부재(520)가 하우징부(400) 및 쉴드케이스부(300) 함께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제1조립단계(S10)는 클립부 결합단계(S11), 제1열전도부재 도포단계(S12) 및 쉴드케이스본체 결합단계(S13)를 포함한다. 클립부 결합단계(S11)에서는 측정부(200)의 기판부(210)에 쉴드케이스부(300)의 클립부(310)를 결합한다(도 7 참조). 기판부(210)의 하우징부(400)와 마주하는 면에 클립부(310)를 납땜하여 결합한다. 기판부(210)의 커버부(100)와 마주하는 면에는 레이더반도체(220)를 납땜하여 결합한다.
제1열전도부재 도포단계(S12)는 기판부(210)에 제1열전도부재(510)를 도포한다. 기판부(210)의 하우징부(400)와 마주하는 면에 제1열전도부재(510)를 도포한다(도 8 참조). 이때, 제1열전도부재(510)를 너비 8mm 정도, 길이 8mm 정도, 높이 1mm 정도를 가지도록 도포할 수 있다.
쉴드케이스본체 결합단계(S13)는 클립부(310)에 쉴드케이스부(300)의 쉴드케이스본체(320)를 끼움결합하여 제1열전도부재(510)에 쉴드케이스본체(320)를 접촉시킨다(도 9 참조). 쉴드케이스본체 결합단계(S13)에서는 제1열전도부재(510)가 기판부(210)와 쉴드케이스본체(320) 사이에 압착되어 자연경화되면서 기판부(210) 및 쉴드케이스본체(320)와 일체로 결합된다.
제2조립단계(S20)에서는 제2열전도부재(520)가 하우징부(400)의 결합부(415) 상에 도포되고, 하우징부(400)와 쉴드케이스부(300) 사이에서 압착되어 자연경화되면서 하우징부(400) 및 쉴드케이스부(300)와 일체로 결합된다(도 11 참조).
결합부(415)는 결합홈부(416)가 형성되며, 제2열전도부재(520)는 결합홈부(416) 내에 도포된다. 이때, 결합홈부(416)의 높이 1mm 정도이고, 너비는 11mm 정도이고, 길이는 25mm 정도일 수 있다.
제3조립단계(S30)에서는 하우징부(400)에 하우징부(400)와 쉴드케이스부(300)가 결합되면, 하우징부(400)에 커버부(100)를 결합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조립방법으로 레이더 장치(1)를 조립한 후 작동시키면, 측정부(200)에서 발생된 열이 제1열전도부재(510)와 제2열전도부재(520)에 의해 쉴드케이스부(300)를 거쳐 하우징부(400)로 전도되어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이로써, 레이더 장치(1)의 내부온도가 낮아져 레이더 장치(1)의 내부온도가 높아져서 발생될 수 있는 레이더 장치(1)의 손상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레이더 장치 100 : 커버부
110 : 커버본체 120 : 커버결합부
200 : 측정부 210 : 기판부
211 : 고정홀부 220 : 레이더반도체
300 : 쉴드케이스부 310 : 클립부
320 : 쉴드케이스본체 400 : 하우징부
410 : 하우징본체 411 : 베이스부
412 : 측벽부 413 : 단턱부
414 : 지지부 415 : 결합부
416 : 결합홈부 417 : 내측공간
418 : 입구부 420 : 커넥터부
421 : 커넥터핀 500 : 열전도부
510 : 제1열전도부재 520 : 제2열전도부재

Claims (12)

  1. 전자기파가 투과되는 커버부;
    상기 커버부와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전자기파를 발생시켜 대상체를 감지하는 측정부;
    상기 쉴드케이스부 및 상기 측정부가 배치되는 내측공간을 구비하며, 개구된 입구부에 상기 커버부가 설치되는 하우징부;
    상기 측정부와 결합되며, 상기 측정부에서 발생되는 상기 전자기파가 상기 입구부로 방출되도록 상기 전자기파를 차폐하는 쉴드케이스부; 및
    상기 측정부 및 상기 쉴드케이스부와, 상기 쉴드케이스부 및 상기 하우징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측정부에서 발생되는 열을 상기 쉴드케이스부에서 상기 하우징부로 전도시켜 상기 히우징부의 외부로 방출되도록 하는 복수개의 열전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더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상기 열전도부는,
    상기 측정부와 상기 쉴드케이스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측정부 및 상기 쉴드케이스부와 결합되고, 상기 측정부에서 발생되는 열을 상기 쉴드케이스부로부터 전도되도록 하는 제1열전도부재; 및
    상기 쉴드케이스부와 상기 하우징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쉴드케이스부 및 상기 하우징부와 결합되고, 상기 쉴드케이스부로 전도된 열이 상기 하우징부로 전도되도록 하는 제2열전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더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상기 커버부와 마주보며, 상기 제1열전도부재가 결합되는 기판부; 및
    상기 기판부에 설치되고, 상기 전자기파를 발생시켜 대상체를 감지하는 레이더반도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더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쉴드케이스부는,
    상기 기판부의 상기 하우징부와 마주하는 면에 결합되는 클립부; 및
    상기 클립부에 끼움결합되며, 상기 측정부와 마주하는 면에 상기 제1열전도부재가 결합되는 쉴드케이스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더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에는 상기 제2열전도부재가 결합되는 결합홈부가 형성되는 결합부를 구비하는 것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더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도부는 경화성 페이스트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더 장치.
  7. 측정부에 제1열전도부재를 도포하고, 상기 측정부에 쉴드케이스부를 결합하는 제1조립단계;
    상기 하우징부에 제2열전도부재를 도포하고, 상기 하우징부에 상기 측정부를 결합하는 제2조립단계; 및
    상기 하우징부에 커버부를 결합하는 제3조립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더 장치 조립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열전도부재와 상기 제2열전도부재는 경화성 페이스트 재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더 장치 조립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조립단계는,
    상기 측정부의 기판부에 상기 쉴드케이스부의 클립부를 결합하는 클립부 결합단계;
    상기 기판부에 상기 제1열전도부재를 도포하는 제1열전도부재 도포단계; 및
    상기 클립부에 상기 쉴드케이스부의 쉴드케이스본체를 끼움결합하여 상기 제1열전도부재에 상기 쉴드케이스본체를 접촉시키는 쉴드케이스본체 결합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더 장치 조립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쉴드케이스본체 결합단계에서는 상기 제1열전도부재가 상기 기판부와 상기 쉴드케이스본체 사이에 압착되어 자연경화되면서 상기 기판부 및 상기 쉴드케이스본체와 일체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더 장치 조립방법.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2조립단계에서는 상기 제2열전도부재가 상기 하우징부의 결합부 상에 도포되고, 상기 하우징부와 상기 쉴드케이스부 사이에서 압착되어 자연경화되면서 하우징부 및 쉴드케이스부와 일체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더 장치 조립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에는 결합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열전도부재는 상기 결합홈부 내에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더 장치 조립방법.
KR1020190076174A 2019-03-11 2019-06-26 레이더 장치 및 그 조립방법 KR20210000907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6174A KR20210000907A (ko) 2019-06-26 2019-06-26 레이더 장치 및 그 조립방법
CN202010163008.5A CN111679279B (zh) 2019-03-11 2020-03-10 车辆雷达传感器及其组装方法
US16/814,760 US11181620B2 (en) 2019-03-11 2020-03-10 Radar sensor for vehicle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DE102020106650.3A DE102020106650A1 (de) 2019-03-11 2020-03-11 Radarsensor für ein fahrzeug und verfahren zur montage desselben
US17/507,625 US11740329B2 (en) 2019-03-11 2021-10-21 Radar sensor for vehicle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6174A KR20210000907A (ko) 2019-06-26 2019-06-26 레이더 장치 및 그 조립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907A true KR20210000907A (ko) 2021-01-06

Family

ID=74128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6174A KR20210000907A (ko) 2019-03-11 2019-06-26 레이더 장치 및 그 조립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0090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86718B2 (ja) アンテナ装置
TW202041125A (zh) 具有由自對齊托架總成固持之視覺系統總成之電子裝置
US20160033621A1 (en) Radar device, in particular for a motor vehicle
JP2018112528A (ja) カバー部材およびセンサーアセンブリ
JP2019097118A (ja) アンテナ装置
US20150171511A1 (en) Structure and Technique For Antenna Decoupling In A Vehicle Mounted Sensor
JP7416803B2 (ja) 車両用灯具及び車両
US11740329B2 (en) Radar sensor for vehicle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KR20210043321A (ko) 안테나 고정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10000907A (ko) 레이더 장치 및 그 조립방법
CN111196238B (zh) 传感器搭载构造
US11649660B2 (en) Door handle assembly, vehicle door and vehicle
US10613199B2 (en) Distance measuring apparatus
US20170215305A1 (en) Emi shield for an electronic optical device
US6817775B2 (en) Optical connector with electromagnetic noise shielding and heat radiating properties
KR20210073394A (ko) 레이더 센서 모듈
JP2020060484A (ja) レーダ装置
KR20210079629A (ko) 레이더 장치
KR20200108802A (ko) 차량용 레이더장치
KR20200115707A (ko) 차량용 레이더장치
JP7294195B2 (ja) 測距装置
CN219831370U (zh) 雷达装置
CN112285687B (zh) 雷达系统
CN217561726U (zh) 雷达装置以及车辆
US20230273295A1 (en) In-vehicle radar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