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0871U - 직사각형 침전조 슬러지 제거 및 배출 장치 - Google Patents

직사각형 침전조 슬러지 제거 및 배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0871U
KR20210000871U KR2020190004150U KR20190004150U KR20210000871U KR 20210000871 U KR20210000871 U KR 20210000871U KR 2020190004150 U KR2020190004150 U KR 2020190004150U KR 20190004150 U KR20190004150 U KR 20190004150U KR 20210000871 U KR20210000871 U KR 2021000087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dge
scraping
guide wheel
floating
scr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41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4866Y1 (ko
Inventor
칭치우 천
Original Assignee
칭치우 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칭치우 천 filed Critical 칭치우 천
Priority to KR20201900041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4866Y1/ko
Publication of KR2021000087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087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48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486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2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 B01D21/04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with moving scr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18Construction of the scrapers or the driving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183Construction of the scrapers or the driving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with multiple scrap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33Discharge mechanisms for floating particles
    • B01D21/2438Discharge mechanisms for floating particles provided with scrapers on the liquid surface for removing floating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5Discharge mechanisms for the sediments

Abstract

본 고안은 직사각형 침전조 슬러지 제거 및 배출 장치를 제공하며, 여기에서 트랙의 일단에 제1 가이드 휠 프레임이 장착되고, 다른 일단에 제2 가이드 휠 프레임이 장착되고, 슬러지 스크레이퍼의 주행 휠은 상기 트랙 상에 미끄러지도록 장착되고, 상기 슬러지 스크레이퍼에는 스크레이핑 플레이트가 구비된 봉체가 피봇 방식으로 장착되고, 구동 장치에는 체인이 연동되고, 상기 체인은 상기 제1 가이드 휠 프레임, 제2 가이드 휠 프레임을 감싸며 설치되어 상기 슬러지 스크레이퍼의 양단에 고정되고, 슬러지 배출기는 수면 높이에 위치하며 슬러지 배출조, 슬러지 배출 도복 위어 플레이트(lodging weir plate), 조작 연결봉 및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슬러지 배출 도복 위어 플레이트는 가요성 연결편에 의해 슬러지 배출조에 고정되고, 상기 조작 연결봉은 슬러지 배출조 중간 구간 지점에 축부가 장착되고, 조작 연결봉의 일단은 상기 슬러지 배출 도복 위어 플레이트에 연결되고, 상기 다른 일단에는 균형추가 고정되고, 상기 모터는 조작 연결봉에 연결되고, 이를 통하여 침전조 바닥 슬러지와 침전조 표면 부유 슬러지를 배출하는 기능을 구현한다.

Description

직사각형 침전조 슬러지 제거 및 배출 장치 {SLUDGE REMOVAL AND DISCHARGE DEVICE FROM RECTANGULAR SEDIMENTATION TANK}
본 고안은 침전조 오염물 배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오염물 배출 효과가 개선된 직사각형 침전조 슬러지 제거 및 배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도시 생활오수와 공업폐수의 처리에는 일반적으로 침전조를 이용해 슬러지를 침전시킨 후 이중 체인 슬러지 스크레이퍼나 슬러지 흡수장치를 이용해 침전조 바닥의 슬러지를 제거하는 방법을 채택한다. 상기 슬러지 스크레이퍼 구조는 여러 가지 기능적인 단점이 존재하는 것을 어렵지 않게 발견할 수 있다. 주요 원인은 다음과 같다. 즉, 이중 체인 방식의 슬러지 스크레이퍼는 한 세트의 전동 체인과 한 세트의 슬러지 제거 체인(두 줄)을 이용하며, 구동 체인 휠 및 피동 체인 휠을 이용해 슬러지 제거 체인 휠 및 슬러지 스크레이핑 플레이트를 움직이고, 침전조의 바닥 및 표면에 회전식으로 운전하여 미끄러지도록 움직이며, 바닥 슬러지 및 표면 부유 슬러지를 긁어모으는데, 이러한 구조는 다음과 같은 단점이 있다. 1. 토목시공에서 높은 정밀도가 요구된다. 2. 슬러지 제거 및 흡수 사각지대가 많아 슬러지를 완전하게 긁어낼 수 없다. 3. 슬러지 배출 농도가 낮고 슬러지 양이 많다. 4. 이중 체인 슬러지 스크레이퍼는 체인이 탈락되기 쉽고, 슬러지 흡수 장치의 흡수 구멍이 막히기 쉽다. 5. 장치의 설치 난이도가 높아 설치불량으로 인한 고장이 자주 발생한다. 6. 장치 유지비용이 높고, 체인이 느슨해지면 타이트한 정도를 효과적으로 조정할 수 없다. 7. 슬러지가 한쪽으로 치우쳐 쌓이거나 침전조 바닥에 대형의 이물질이 있는 경우, 슬러지 스크레이퍼를 조작시킬 수 없다. 그 외 침전조 수면에 부유하는 슬러지를 제거하는 기능이 없어 그 실용성이 현저하게 떨어진다.
따라서 본 고안자는 다년간 축적한 관련 제품의 제조연구 및 설계의 경험을 토대로 상기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상세한 설계와 신중한 검토를 거쳐 실용성을 구비한 본 고안을 창작하였다.
본 고안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종래 기술에 존재하는 상기 결함을 극복하기 위한 직사각형 침전조 슬러지 제거 및 배출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고안은 트랙의 일단에 제1 가이드 휠 프레임이 장착되고, 상기 제1 가이드 휠 프레임에 복수의 제1 가이드 휠이 장착되고, 상기 트랙의 다른 일단에 제2 가이드 휠 프레임이 장착되고, 상기 제2 가이드 휠 프레임에 복수의 제2 가이드 휠이 장착된다. 슬러지 스크레이퍼 바닥부에 복수의 주행 휠이 장착되며 상기 주행 휠이 상기 트랙 상에 미끄러지도록 장착되고, 상기 슬러지 스크레이퍼에는 상기 트랙에 수직으로 적어도 하나의 봉체가 피봇 방식으로 장착되고, 상기 봉체는 동일한 방향을 향해 연장되며 적어도 하나의 스크레이핑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스크레이핑 플레이트는 말단에 모두 적어도 하나의 탄성편이 고정되고, 상기 탄성편은 상기 슬러지 스크레이퍼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해 경사지며 슬러지 스크레이핑 가능 각도를 형성한다. 구동 장치는 상기 제1 가이드 휠 프레임 동일측에 장착되고, 상기 구동 장치에는 체인이 연동되고, 상기 체인은 상기 제1 가이드 휠, 상기 제2 가이드 휠을 감싸며 설치되어 상기 슬러지 스크레이퍼의 양단에 고정되고, 상기 구동 장치는 상기 슬러지 스크레이퍼가 상기 제1 가이드 휠 프레임과 상기 제2 가이드 휠 프레임 사이를 이동하도록 구동하고, 상기 스크레이핑 플레이트의 탄성편을 통해 침전조 바닥 슬러지를 스크레이핑하는 효과를 형성한다. 슬러지 배출기는 상기 제2 가이드 휠 프레임 동일측에 장착되어 수면 높이에 위치하고, 상기 슬러지 배출기는 슬러지 배출조, 슬러지 배출 도복 위어 플레이트(lodging weir plate), 조작 연결봉 및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슬러지 배출조는 저면벽과 고면벽이 이격되어 개방된 형태의 직사각형 긴 띠 모양을 나타내고, 상기 슬러지 배출 도복 위어 플레이트는 가요성 연결편에 의해 슬러지 배출조의 저면벽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슬러지 배출 도복 위어 플레이트의 양측에 모두 파형판이 장착되고, 파형판은 슬러지 배출조의 양측까지 연결되고, 상기 조작 연결봉은 슬러지 배출조 중간 구간 지점에 축부가 장착되고, 축부에 의해 슬러지 배출조의 고면벽단에 피봇 방식으로 장착되고, 조작 연결봉의 일단은 상기 슬러지 배출 도복 위어 플레이트에 연결되고, 상기 다른 일단에는 균형추가 고정되고, 상기 모터는 조작 연결봉에 연결되고, 상기 모터에서 상기 슬러지 배출 도복 위어 플레이트를 구동하여 경사를 형성함으로써, 수면 부유 슬러지가 상기 슬러지 배출조에 유입된다.
본 고안의 첫 번째 주요 목적은, 구동 장치의 정방향/역방향 회전이 모두 상기 체인을 통해 상기 슬러지 스크레이퍼가 트랙을 따라 주행하도록 구동할 수 있고, 슬러지 스크레이퍼가 상기 트랙의 일단까지 주행할 때, 상기 슬러지 스크레이퍼는 상기 역방향 회전 프레임에 저촉될 수 있고, 상기 역방향 회전 프레임에서 생성되는 역방향 회전 신호를 상기 구동 장치의 회전 방향으로 변경함으로써, 상기 스크레이핑 플레이트의 탄성편이 침전조 바닥의 슬러지를 경사지도록 스크레이핑하고, 나아가 슬러지 스크레이핑 왕복 동작의 효과를 구현하도록 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은, 상기 모터가 상기 조작 연결봉을 끌어당겨 상기 균형추 중량을 상쇄하고, 조작 연결봉이 축부를 축심으로 삼아 회전하며 흔들리도록 만듦으로써, 상기 슬러지 배출 도복 위어 플레이트를 밀 수 있고, 슬러지 배출 도복 위어 플레이트가 경사지며 수면보다 낮은 상태에 놓이도록 함으로써, 수면 위에 부유하는 슬러지를 슬러지 배출조 내에 유입시킬 수 있고, 슬러지 배출조를 통해 신속하게 부유 슬러지를 배출함으로써, 수면 슬러지 배출 작업의 자동화를 구현하는 데에 있다.
본 고안의 세 번째 주요 목적은, 상기 슬러지 스크레이핑 기구는 수직 프레임을 통해 부유 슬러지 스크레이핑 수집 플레이트를 상기 슬러지 스크레이퍼 상단 지점에 가로로 장착하고, 상기 부유 슬러지 스크레이핑 수집 플레이트가 부력에 의해 수면 지점에 부유하도록 만들며, 또한 상기 강철 로프의 일단이 부유 슬러지 스크레이핑 수집 플레이트에 고정되고, 상기 강철 로프의 다른 일단은 상기 반전 프레임 지점에 연결되어, 상기 반전 프레임의 스윙 동작이 부유 슬러지 스크레이핑 수집 플레이트를 당겨 수면 하방에 침전되거나 수면에 부유하도록 만들어 부유 슬러지 스크레이핑 제거 행정을 진행하고, 부유 슬러지를 상기 슬러지 배출기 방향으로 밀어 상기 슬러지 배출기의 슬러지 제거 효과 개선을 보조하는 데에 있다.
기타 목적, 장점 및 본 고안의 신규성은 이하 상세한 설명과 관련 첨부도면을 통해 더욱 명확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을 침전조에 조립한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서 슬러지 스크레이퍼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서 슬러지 스크레이퍼의 작동 모식도 (1)이다.
도 4는 본 고안에서 슬러지 스크레이퍼의 작동 모식도 (2)이다.
도 5는 본 고안에서 슬러지 스크레이퍼의 작동 모식도 (3)이다.
도 6은 본 고안에서 슬러지 배출기 조립 위치의 모식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에서 슬러지 배출기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에서 슬러지 배출기의 작동 모식도 (1)이다.
도 9는 본 고안에서 슬러지 배출기의 작동 모식도 (2)이다.
도 10은 본 고안에서 다른 실시예의 슬러지 스크레이퍼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고안에서 다른 실시예의 슬러지 스크레이퍼의 작동 모식도 (1)이다.
도 12는 본 고안에서 다른 실시예의 슬러지 스크레이퍼의 작동 모식도 (2)이다.
도 13은 본 고안에서 다른 실시예의 슬러지 스크레이퍼와 슬러지 스크레이핑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고안에서 다른 실시예의 슬러지 스크레이핑 기구의 작동 모식도 (1)이다.
도 15는 본 고안에서 다른 실시예의 슬러지 스크레이핑 기구의 작동 모식도 (2)이다.
본 고안의 목적, 특징 및 효과에 대한 보다 자세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 도 2, 도 3 및 도 6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직사각형 침전조 슬러지 제거 및 배출 장치는 트랙(10), 슬러지 스크레이퍼(20), 구동장치(30) 및 슬러지 배출기(40)를 포함하고, 트랙(10)의 일단에 제1 가이드 휠 프레임(11)이 장착되고, 상기 제1 가이드 휠 프레임(11)에 복수의 제1 가이드 휠(111)이 장착되고, 상기 트랙(10)의 다른 일단에 제2 가이드 휠 프레임(12)이 장착되고, 상기 제2 가이드 휠 프레임(12)에 복수의 제2 가이드 휠(121)이 장착된다. 슬러지 스크레이퍼(20) 바닥부에 복수의 주행 휠(21)이 장착되며 상기 주행 휠(21)이 상기 트랙(10) 상에 미끄러지도록 장착되고, 상기 슬러지 스크레이퍼(20)에는 상기 트랙(10)에 수직으로 적어도 하나의 봉체(22)가 피봇 방식으로 장착되고, 상기 봉체(22)는 동일한 방향을 향해 연장되며 적어도 하나의 스크레이핑 플레이트(221)를 구비하고, 상기 스크레이핑 플레이트(221)는 말단에 모두 적어도 하나의 탄성편(222)이 고정되고, 상기 탄성편(222)은 상기 슬러지 스크레이퍼(20)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해 경사지며 슬러지 스크레이핑 가능 각도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스크레이핑 플레이트(221)는 이중 경사 모양으로 양쪽 말단에 모두 상기 탄성편(222)이 고정되고(뒤집힌 Y자형), 두 상기 탄성편(222)은 각각 상기 슬러지 스크레이퍼(20) 전방 및 후방을 향해 경사지며 슬러지 스크레이핑 가능 각도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봉체(22)의 중간 구간 지점에 조정 플레이트(23)가 장착되고, 상기 슬러지 스크레이퍼(20)는 상기 조정판(23)의 양단에 대응하는 양단에 모두 조정 볼트(24)가 장착되어, 상기 조정 볼트(24)를 이용해 상기 조정판(23)을 차단하여 상기 탄성편(222)의 기울어진 스윙 각도를 조정한다.
구동 장치(30)는 상기 제1 가이드 휠 프레임(11) 동일측에 장착되고, 상기 구동 장치(30)에는 체인(31)이 연동되고, 상기 체인(31)은 상기 제1 가이드 휠(111), 상기 제2 가이드 휠(121)을 감싸며 설치되어 상기 슬러지 스크레이퍼(20)의 양단에 고정되고, 상기 구동 장치(30)는 상기 슬러지 스크레이퍼(20)가 상기 제1 가이드 휠 프레임(11)과 상기 제2 가이드 휠 프레임(12) 사이를 이동하도록 구동하고, 상기 스크레이핑 플레이트(221)의 탄성편(222)을 통해 침전조 바닥 슬러지를 스크레이핑하는 효과를 형성한다. 상기 제1 가이드 휠 프레임(11)에는 체인 테이크업(takeup) 기구(13)가 장착되고, 상기 체인 테이크업 기구(13)는 적어도 하나의 테이크업 베이스(131), 적어도 하나의 작동 암(arm)(132) 및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딩 휠(133)을 포함한다. 상기 테이크업 베이스(131)는 상기 제1 가이드 휠 프레임(11)에 고정되고, 상기 작동 암(132)의 일단은 상기 테이크업 베이스(131)에 피봇 방식으로 장착되고, 상기 작동 암(132)의 다른 일단에는 상기 슬라이딩 휠(133)이 장착되고, 상기 슬라이딩 휠(133)은 상기 체인(31)을 맞닿으며 압박하고, 상기 작동 암(132)과 상기 슬라이딩 휠(133)의 중량은 상기 체인(31)의 테이크업 효과를 형성한다. 상기 제2 가이드 휠 프레임(12)에는 체인 조정 기구(14)가 연결되고, 상기 체인 조정 기구(14)는 조정 휠(141), 연동봉(142) 및 조작장치(143)를 포함하고, 상기 조정 휠(141)은 상기 체인(31)에 의해 감싸지고, 상기 연동봉(142)은 상기 조정 휠(141)과 상기 조작장치(143)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조작장치(143)는 상기 연동봉(142)을 수축하도록 구동하고, 이를 통하여 상기 조정 휠(141)이 상기 체인(31)의 타이트한 정도를 조정한다.
슬러지 배출기(40)는 상기 제2 가이드 휠 프레임(12) 동일측에 장착되어 수면 높이에 위치하고, 상기 슬러지 배출기(40)는 슬러지 배출조(41), 슬러지 배출 도복 위어 플레이트(lodging weir plate)(42), 조작 연결봉(43) 및 모터(44)를 포함하고, 상기 슬러지 배출조(41)는 저면벽(411)과 고면벽(412)이 이격되어 개방된 형태의 직사각형 긴 띠 모양을 나타내고, 상기 슬러지 배출 도복 위어 플레이트(42)는 가요성 연결편(421)에 의해 슬러지 배출조(41)의 저면벽(411)에 고정되고, 상기 슬러지 배출 도복 위어 플레이트(42)의 양측에 모두 파형판(422)이 장착되고, 파형판(422)은 슬러지 배출조(41)의 양측까지 연결되고, 상기 조작 연결봉(43)은 슬러지 배출조(41) 중간 구간 지점에 축부(431)가 장착되고, 축부(431)에 의해 슬러지 배출조(41)의 고면벽(412)단에 피봇 방식으로 장착되고, 조작 연결봉(43)의 일단은 상기 슬러지 배출 도복 위어 플레이트(42)에 연결되고, 상기 다른 일단에는 균형추(432)가 고정되고, 상기 모터(44)는 조작 연결봉(43)에 연결되고, 상기 모터(44)에서 상기 조작 연결봉(43)을 구동하고 상기 슬러지 배출 도복 위어 플레이트(42)를 구동하여 경사를 형성함으로써, 수면 부유 슬러지가 상기 슬러지 배출 도복 위어 플레이트(42)로부터 상기 슬러지 배출조(41)에 유입되어 슬러지가 배출되도록 만든다. 또한, 상기 슬러지 배출조(41)의 저면벽(411) 지점에 하나의 수위 추적 플로팅 위어(floating weir)(45)와 복수의 플로팅 배럴(floating barrel)(46)이 조립 장착되고, 상기 수위 추적 플로팅 위어(45)는 긴 띠 모양으로 상기 저면벽(411)과 서로 평행하고, 수위 추적 플로팅 위어(45)를 통해 수심을 조정하고, 상기 플로팅 배럴(46)로 행정 높이를 설정하며, 이를 통해 수위 변화가 높고 낮은 상태에서 모두 슬러지 배출 작업을 진행할 수 있고, 상기 조작 연결봉(43)의 축부(431)와 슬러지 배출조(41)의 고면벽(412) 사이에 고정 프레임(47)이 장착되고, 상기 고정 프레임(47) 지점에는 조정 나사봉(471)이 잠금 장착되고, 상기 조정 나사봉(471)에서 균형추(432)의 중량을 지탱한다.
실제 침전조 바닥 슬러지를 스크레이핑하는 상황의 경우, 도 1 내지 도 6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트랙(10)은 침전조 바닥부에 조립되고, 상기 제1 가이드 휠 프레임(11)과 상기 제2 가이드 휠 프레임(12)은 각각 상기 트랙(10)의 양단에 장착되고, 상기 구동장치(30)와 상기 조작장치(143)는 모두 침전조 외부에 장착되고, 상기 슬러지 스크레이퍼(20)의 주행 휠(21)은 상기 트랙(10)에 미끄러지도록 장착되며, 다시 상기 체인(31)이 상기 구동장치(30), 상기 제1 가이드 휠(111), 상기 제2 가이드 휠(121), 상기 조작장치(143)의 조정 휠(141)을 감싸도록 장착하여 상기 슬러지 스크레이퍼(20)의 양단에 고정하고, 이를 통해 상기 구동장치(30)의 정방향/역방향 회전이 모두 상기 체인(31)을 통해 상기 슬러지 스크레이퍼(20)가 트랙을 따라 주행하도록 구동할 수 있고, 슬러지 스크레이퍼(20)가 상기 트랙(10)의 일단까지 주행할 때, 상기 슬러지 스크레이퍼(20)는 상기 역방향 회전 프레임(15)에 저촉될 수 있고, 상기 역방향 회전 프레임(15)에서 생성되는 역방향 회전 신호를 상기 구동장치(30)의 회전 방향으로 변경함으로써, 상기 스크레이핑 플레이트(221)의 탄성편(222)이 침전조 바닥의 슬러지를 경사지도록 스크레이핑하고, 나아가 슬러지 스크레이핑 왕복 동작의 효과를 구현한다. 여기에서 상기 스크레이핑 플레이트(221)는 이중 경사 모양으로 양쪽 말단에 모두 상기 탄성편(222)이 고정되고, 두 상기 탄성편(222)은 각각 상기 슬러지 스크레이퍼(20) 전방 및 후방을 향해 경사지며 슬러지 스크레이핑 가능 각도를 형성한다. 즉, 상기 슬러지 스크레이퍼(20)가 앞 또는 뒤로 이동해 슬러지를 스크레이핑하도록 만들어, 설비 장착 비용을 줄이는 동시에 슬러지 스크레이핑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상기 봉체(22)의 중간 구간 지점에 상기 조정 플레이트(23)가 장착되어, 상기 조정 플레이트(23) 양단에 위치하는 상기 조정 볼트(24)를 조정할 수 있고, 상기 조정 볼트(24)를 이용해 상기 조정 플레이트(23)를 차단하고, 이를 통해 상기 탄성편(222)의 슬러지 스크레이핑 각도를 조정하며, 두 상기 조정 볼트(24)와 상기 조정 플레이트(23) 사이는 적절한 갭을 유지할 수 있고, 슬러지 스크레이핑 시 차단력을 통해 상기 스크레이핑 플레이트(221)가 미세한 폭의 각도로 스윙을 자동 생성하도록 만든다. 즉, 상기 스크레이핑 플레이트(221)가 이동 방향을 향해 앞으로 스윙되며, 나아가 슬러지가 상기 스크레이핑 플레이트(221) 상방으로부터 유입되는 상황을 감소시킨다.
실제 수면 부유 슬러지를 배출 및 제거하는 상황의 경우, 도 6 내지 도 9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슬러지 배출 작업을 진행해야 할 때, 모터(44)에서 상기 조작 연결봉(43)을 끌어당겨 상기 균형추(432) 중량을 상쇄하고, 조작 연결봉(43)이 축부(431)를 축심으로 삼아 회전하며 흔들리도록 만듦으로써, 상기 슬러지 배출 도복 위어 플레이트(42)를 밀 수 있고, 슬러지 배출 도복 위어 플레이트(42)가 경사지며 수면보다 낮은 상태에 놓이도록 함으로써, 수면 위에 부유하는 슬러지를 슬러지 배출조(41) 내에 유입시킬 수 있고, 슬러지 배출조(41)를 통해 신속하게 슬러지를 배출함으로써, 수면 슬러지 배출 작업의 자동화를 구현한다. 또한 상기 슬러지 배출조(41)의 저면벽(411) 지점에 수위 추적 플로팅 위어(floating weir)(45)와 플로팅 배럴(floating barrel)(46)을 장착하고, 수위 추적 플로팅 위어(45)를 통해 수심을 조정하고, 플로팅 배럴(46)로 행정 높이를 설정하며, 이를 통해 수위 변화가 높고 낮은 상태에서 모두 부유 슬러지 배출 작업을 진행할 수 있고, 과량을 배출하거나 배출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그 실용성을 향상시킨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도 10 내지 도 1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1 가이드 휠 프레임(11)과 상기 제2 가이드 휠 프레임(12)에는 모두 역방향 회전 프레임(15)이 고정되고, 상기 슬러지 스크레이퍼(20)의 봉체(22) 수량은 2개 이상이고, 각각의 상기 각 봉체(22) 지점에는 모두 반전 프레임(25)이 연결되고, 상기 반전 프레임(25) 사이는 연결봉 기구(26)에 의해 연동 관계가 형성되고, 상기 슬러지 스크레이퍼(20)의 반전 프레임(25)을 상기 역방향 회전 프레임(15)에 접촉시키면, 상기 스크레이핑 플레이트(221)가 슬러지를 스크레이핑하지 않는 상태와 스크레이핑하는 상태의 스위칭을 형성하도록 반전시킬 수 있고, 상기 연결봉 기구(26)에서 두 상기 스크레이핑 플레이트(221)의 동기화를 형성하여, 상기 슬러지 스크레이퍼(20)의 왕복 이동 거리를 제어할 수도 있고, 반전 가능한 스크레이핑 플레이트(221)를 단방향 슬러지 스크레이핑만 필요한 상황에 적용함으로써, 동일한 기술수단에 반전 설계를 더하여 또 다른 슬러지 스크레이핑 방식을 제공할 수 있으며, 도 13 내지 도 15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슬러지 스크레이퍼(20)에 슬러지 스크레이핑 기구(27)가 장착되고, 상기 슬러지 스크레이핑 기구(27)는 수직 프레임(271), 부유 슬러지 스크레이핑 수집 플레이트(272) 및 강철 로프(273)를 포함하고, 상기 슬러지 스크레이핑 기구(27)는 수직 프레임(271)에 의해 부유 슬러지 스크레이핑 수집 플레이트(272)를 상기 슬러지 스크레이퍼(20) 상단 지점에 가로 설치하고, 상기 부유 슬러지 스크레이핑 수집 플레이트(272)가 부력에 의해 수면 지점에 부유하도록 만들고, 상기 강철 로프(273) 일단은 부유 슬러지 스크레이핑 수집 플레이트(272)에 고정되고, 상기 강철 로프(273)의 다른 일단은 상기 반전 프레임(25) 지점에 연결되어, 상기 반전 프레임(25)의 스윙 동작이 부유 슬러지 스크레이핑 수집 플레이트(272)를 당겨 수면 하방에 침전되거나 수면에 부유하도록 만들어 부유 슬러지 스크레이핑 제거 행정을 진행하고, 부유 슬러지를 상기 슬러지 배출기(40) 방향으로 밀고, 나아가 상기 슬러지 배출기(40)의 슬러지 제거 효과 개선을 보조한다(도 6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음). 또한 상기 부유 슬러지 스크레이핑 수집 플레이트(272)의 양단에는 모두 부유 슬러지 차단편(274)이 연장되고, 상기 두 부유 슬러지 차단편(274)은 부유 슬러지가 부유 슬러지 스크레이핑 수집 플레이트(272)의 양단측에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데 사용된다. 상기 내용을 종합하면, 슬러지 스크레이퍼(20)가 침전조 바닥 슬러지 제거 작업을 진행할 때, 침전조 꼭대기 수면의 부유 슬러지 제거 기능을 겸비하여 작업 효율이 향상되고 그 슬러지 및 부유 슬러지 스크레이핑 및 제거 효과가 개선될 수 있다.
상기 내용을 종합하면, 본 고안은 특출한 구조적 설계와 개선된 신규한 내용을 가지며, 동시에 산업상 이용가능성과 진보성도 갖추고 있고, 어떠한 간행물에서도 개시되지 않아 신규성을 구비하므로, 특허법 관련 법규의 규정에 부합해 법에 의거하여 출원하므로, 심사관은 합법적인 특허권을 부여할 것을 요청하는 바이다.
상기 내용은 본 고안의 비교적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고안의 실시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본 고안의 청구범위를 기반으로 동등한 변경과 수식을 진행한 경우 이는 모두 본 고안의 보호범위 내에 속한다.
10: 트랙
11: 제1 가이드 휠 프레임
111: 제1 가이드 휠
12: 제2 가이드 휠 프레임
121: 제2 가이드 휠
13: 체인 테이크업 기구
131: 테이크업 베이스
132: 작동 암
133: 슬라이딩 휠
14: 체인 조정 기구
141: 조정 휠
142: 연동봉
143: 조작장치
15: 역방향 회전 프레임
20: 슬러지 스크레이퍼
21: 주행 휠
22: 봉체
221: 스크레이핑 플레이트
222: 탄성편
23: 조정판
24: 조정 볼트
25: 반전 프레임
26: 연결봉 기구
27: 슬러지 스크레이핑 기구
271: 수직 프레임
272: 부유 슬러지 스크레이핑 수집 플레이트
273: 강철 로프
274: 부유 슬러지 차단편
30: 구동장치
31: 체인
40: 슬러지 배출기
41: 슬러지 배출조
411: 저면벽
412: 고면벽
42: 슬러지 배출 도복 위어 플레이트
421: 가요성 연결편
422: 파형판
43: 조작 연결봉
431: 축부
432: 균형추
44: 모터
45: 수위 추적 플로팅 위어
46: 플로팅 배럴
47: 고정 프레임
471: 조정 나사봉

Claims (10)

  1. 트랙, 슬러지 스크레이퍼, 구동 장치 및 슬러지 배출기를 포함하되,
    상기 트랙은, 트랙의 일단에 제1 가이드 휠 프레임이 장착되고, 상기 제1 가이드 휠 프레임에 복수의 제1 가이드 휠이 장착되고, 상기 트랙의 다른 일단에 제2 가이드 휠 프레임이 장착되고, 상기 제2 가이드 휠 프레임에 복수의 제2 가이드 휠이 장착되고;
    상기 슬러지 스크레이퍼는, 슬러지 스크레이퍼 바닥부에 복수의 주행 휠이 장착되며 상기 주행 휠이 상기 트랙 상에 미끄러지도록 장착되고, 상기 슬러지 스크레이퍼에는 상기 트랙에 수직으로 적어도 하나의 봉체가 피봇 방식으로 장착되고, 상기 봉체는 동일한 방향을 향해 연장되며 적어도 하나의 스크레이핑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스크레이핑 플레이트는 말단에 모두 적어도 하나의 탄성편이 고정되고, 상기 탄성편은 상기 슬러지 스크레이퍼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해 경사지며 슬러지 스크레이핑 가능 각도를 형성하고;
    상기 구동 장치는 상기 제1 가이드 휠 프레임 동일측에 장착되고, 상기 구동 장치에는 체인이 연동되고, 상기 체인은 상기 제1 가이드 휠, 상기 제2 가이드 휠을 감싸며 설치되어 상기 슬러지 스크레이퍼의 양단에 고정되고, 상기 구동 장치는 상기 슬러지 스크레이퍼가 상기 제1 가이드 휠 프레임과 상기 제2 가이드 휠 프레임 사이를 이동하도록 구동하고, 상기 스크레이핑 플레이트의 탄성편을 통해 침전조 바닥 슬러지를 스크레이핑하는 효과를 형성하고; 및
    상기 슬러지 배출기는 상기 제2 가이드 휠 프레임 동일측에 장착되어 수면 높이에 위치하고, 상기 슬러지 배출기는 슬러지 배출조, 슬러지 배출 도복 위어 플레이트(lodging weir plate), 조작 연결봉 및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슬러지 배출조는 저면벽과 고면벽이 이격되어 개방된 형태의 직사각형 긴 띠 모양을 나타내고, 상기 슬러지 배출 도복 위어 플레이트는 가요성 연결편에 의해 슬러지 배출조의 저면벽에 고정되고, 또한, 상기 슬러지 배출 도복 위어 플레이트의 양측에 모두 파형판이 장착되고, 파형판은 슬러지 배출조의 양측까지 연결되고, 상기 조작 연결봉은 슬러지 배출조 중간 구간 지점에 축부가 장착되고, 축부에 의해 슬러지 배출조의 고면벽단에 피봇 방식으로 장착되고, 조작 연결봉의 일단은 상기 슬러지 배출 도복 위어 플레이트에 연결되고, 상기 다른 일단에는 균형추가 고정되고, 상기 모터는 조작 연결봉에 연결되고, 상기 모터에서 상기 슬러지 배출 도복 위어 플레이트를 구동하여 경사를 형성함으로써, 수면 부유 슬러지가 상기 슬러지 배출조에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전조 슬러지 제거 및 배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봉체의 중간 구간 지점에 조정 플레이트가 장착되고, 상기 슬러지 스크레이퍼는 상기 조정판의 양단에 대응하는 양단에 모두 조정 볼트가 장착되어, 상기 조정 볼트를 이용해 상기 조정판을 차단하여 상기 탄성편의 기울어진 스윙 각도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전조 슬러지 제거 및 배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 휠 프레임에는 체인 테이크업(takeup) 기구가 장착되고, 상기 체인 테이크업 기구는 적어도 하나의 테이크업 베이스, 적어도 하나의 작동 암(arm) 및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딩 휠을 포함하고, 상기 테이크업 베이스는 상기 제1 가이드 휠 프레임에 고정되고, 상기 작동 암의 일단은 상기 테이크업 베이스에 피봇 방식으로 장착되고, 상기 작동 암의 다른 일단에는 상기 슬라이딩 휠이 장착되고, 상기 슬라이딩 휠은 상기 체인을 맞닿으며 압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전조 슬러지 제거 및 배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레이핑 플레이트는 이중 경사 모양으로 양쪽 말단에 모두 상기 탄성편이 고정되고, 두 상기 탄성편은 각각 상기 슬러지 스크레이퍼 전방 및 후방을 향해 경사지며 슬러지 스크레이핑 가능 각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전조 슬러지 제거 및 배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이드 휠 프레임에는 체인 조정 기구가 연결되고, 상기 체인 조정 기구는 조정 휠, 연동봉 및 조작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조정 휠은 상기 체인에 의해 감싸지고, 상기 연동봉은 상기 조정 휠과 상기 조작장치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조작장치는 상기 연동봉을 수축하도록 구동하고, 이를 통하여 상기 조정 휠이 상기 체인의 타이트한 정도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전조 슬러지 제거 및 배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지 배출조의 저면벽 지점에 하나의 수위 추적 플로팅 위어(floating weir)와 복수의 플로팅 배럴(floating barrel)이 조립 장착되고, 상기 수위 추적 플로팅 위어는 긴 띠 모양으로 상기 저면벽과 서로 평행하고, 수위 추적 플로팅 위어를 통해 수심을 조정하고, 상기 플로팅 배럴로 행정 높이를 설정하며, 이를 통해 수위 변화가 높고 낮은 상태에서 모두 슬러지 배출 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전조 슬러지 제거 및 배출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연결의 축부와 슬러지 배출조의 고면벽 사이에 고정 프레임이 장착되고, 상기 고정 프레임 지점에는 조정 나사봉이 잠금 장착되고, 상기 조정 나사봉에서 균형추의 중량을 지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전조 슬러지 제거 및 배출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 휠 프레임과 상기 제2 가이드 휠 프레임에 모두 역방향 회전 프레임이 고정되고, 상기 슬러지 스크레이퍼의 봉체 수량은 2개 이상이고, 상기 각 봉체 지점에는 모두 반전 프레임이 연결되고, 상기 반전 프레임 사이는 연결봉에 의해 연동 관계가 형성되고, 상기 슬러지 스크레이퍼의 반전 프레임을 상기 역방향 회전 프레임에 접촉시키면, 상기 스크레이핑 플레이트가 슬러지를 스크레이핑하지 않는 상태와 스크레이핑하는 상태의 스위칭을 형성하도록 반전시키고, 상기 슬러지 스크레이퍼의 왕복 이동 거리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사각형 침전조 슬러지 제거 및 배출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지 스크레이퍼에 슬러지 스크레이핑 기구가 장착되고, 상기 슬러지 스크레이핑 기구는 수직 프레임, 부유 슬러지 스크레이핑 수집 플레이트 및 강철 로프를 포함하고, 상기 슬러지 스크레이핑 기구는 수직 프레임에 의해 부유 슬러지 스크레이핑 수집 플레이트를 상기 슬러지 스크레이퍼 상단 지점에 가로 설치하고, 상기 부유 슬러지 스크레이핑 수집 플레이트가 부력에 의해 수면 지점에 부유하도록 만들고, 상기 강철 로프 일단은 부유 슬러지 스크레이핑 수집 플레이트에 고정되고, 상기 강철 로프의 다른 일단은 상기 반전 프레임 지점에 연결되어, 상기 반전 프레임의 스윙 동작이 부유 슬러지 스크레이핑 수집 플레이트를 당겨 수면 하방에 침전되거나 수면에 부유하도록 만들어 부유 슬러지 스크레이핑 제거 행정을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전조 슬러지 제거 및 배출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 슬러지 스크레이핑 수집 플레이트의 양단에는 모두 부유 슬러지 차단편이 연장되고, 상기 두 부유 슬러지 차단편은 부유 슬러지가 부유 슬러지 스크레이핑 수집 플레이트의 양단측에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전조 슬러지 제거 및 배출 장치.
KR2020190004150U 2019-10-14 2019-10-14 직사각형 침전조 슬러지 제거 및 배출 장치 KR2004948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4150U KR200494866Y1 (ko) 2019-10-14 2019-10-14 직사각형 침전조 슬러지 제거 및 배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4150U KR200494866Y1 (ko) 2019-10-14 2019-10-14 직사각형 침전조 슬러지 제거 및 배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871U true KR20210000871U (ko) 2021-04-23
KR200494866Y1 KR200494866Y1 (ko) 2022-01-17

Family

ID=75733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4150U KR200494866Y1 (ko) 2019-10-14 2019-10-14 직사각형 침전조 슬러지 제거 및 배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4866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15450A (zh) * 2022-02-18 2022-05-20 平浩鹏 一种水利工程用集中排污沉淀装置
CN115475420A (zh) * 2022-10-26 2022-12-16 山东鲁润环保工程有限公司 浮动环流收油器和中心链条驱动型罐底刮泥机组合装置
CN116440778A (zh) * 2023-05-29 2023-07-18 江苏金陵环境股份有限公司 一种污泥处理装置及处理方法
CN116768312A (zh) * 2023-08-25 2023-09-19 山东广晟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浮筒刮渣气浮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5448U (ko) * 1999-06-23 1999-09-06 강준 넌레일식슬러지제거장치
KR200325920Y1 (ko) * 2003-06-05 2003-09-13 연 구 노 정수장의 슬러지 제거 대차
KR100973792B1 (ko) * 2010-03-05 2010-08-04 효림산업주식회사 슬러지수집용 수중대차 및 이를 채용하는 정수처리설비
KR102028841B1 (ko) * 2018-09-18 2019-11-14 이화자 슬러지 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5448U (ko) * 1999-06-23 1999-09-06 강준 넌레일식슬러지제거장치
KR200325920Y1 (ko) * 2003-06-05 2003-09-13 연 구 노 정수장의 슬러지 제거 대차
KR100973792B1 (ko) * 2010-03-05 2010-08-04 효림산업주식회사 슬러지수집용 수중대차 및 이를 채용하는 정수처리설비
KR102028841B1 (ko) * 2018-09-18 2019-11-14 이화자 슬러지 제거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15450A (zh) * 2022-02-18 2022-05-20 平浩鹏 一种水利工程用集中排污沉淀装置
CN115475420A (zh) * 2022-10-26 2022-12-16 山东鲁润环保工程有限公司 浮动环流收油器和中心链条驱动型罐底刮泥机组合装置
CN116440778A (zh) * 2023-05-29 2023-07-18 江苏金陵环境股份有限公司 一种污泥处理装置及处理方法
CN116768312A (zh) * 2023-08-25 2023-09-19 山东广晟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浮筒刮渣气浮机
CN116768312B (zh) * 2023-08-25 2023-11-07 潍坊市经济学校 一种浮筒刮渣气浮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4866Y1 (ko) 2022-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94866Y1 (ko) 직사각형 침전조 슬러지 제거 및 배출 장치
CN211863980U (zh) 矩形沉淀池刮泥及排渣设备
CN111151036A (zh) 一种污水处理沉淀刮除机构及其方法
CN114931773B (zh) 一种沉淀池絮凝搅拌刮泥设备的使用方法
CN108211475B (zh) 一种凸轮控制泥浆分离处理装置
CN108106309B (zh) 汽车循环水用冷却塔
CN211863965U (zh) 一种用于斜板沉淀池的刮泥装置及具有其的斜板沉淀池
JP2003326108A (ja) 沈殿装置
JP2007029941A (ja) 進退駆動装置
CN111926885B (zh) 一种一体化智能泵站
CN215559132U (zh) 一种气浮池刮渣机
CN215085091U (zh) 一种链板式刮泥机
KR100314498B1 (ko) 침전조의 스컴 및 슬러지 수집장치
JP3909539B2 (ja) 汚泥掻寄機
JP2009154143A (ja) 掻寄装置
CN212941633U (zh) 一种水下输送刮泥机
CN205701546U (zh) 一种载体拦网自动清洗装置
CN212440184U (zh) 用于多功能刮吸泥一体机的自动清洗装置
CN201399269Y (zh) 单轨式刮泥机的环形链条调整机构
JP3993866B2 (ja) 汚泥等回収装置
JP2603724Y2 (ja) 汚泥掻寄装置
CN206103435U (zh) 一种用于污水处理装置的清理机构
CN211411110U (zh) 一种行走式刮泥机
JP3296631B2 (ja) 汚泥掻寄機
CN218058585U (zh) 一种生物池浮泥清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