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0715U - 수납 케이스 - Google Patents

수납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0715U
KR20210000715U KR2020200001956U KR20200001956U KR20210000715U KR 20210000715 U KR20210000715 U KR 20210000715U KR 2020200001956 U KR2020200001956 U KR 2020200001956U KR 20200001956 U KR20200001956 U KR 20200001956U KR 20210000715 U KR20210000715 U KR 2021000071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om plate
plate
drawer
frame body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19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카즈노부 야마모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신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신와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신와
Publication of KR2021000071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071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066Formed panels connected without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7/00Chests; Dressing-tables; Medicine cabinets or the like;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A47B67/04Chests of drawers;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7/00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 A47B87/02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stackable ; stackable and linkable
    • A47B87/0276Stackable modular units, each consisting of a closed peripher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7/00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 A47B87/02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stackable ; stackable and linkable
    • A47B87/0284Cabinet systems consisting of stacked-and-linked uniform casings, each being a cabinet or drawer-holder, e.g. lockers, mail/file boxing systems
    • A47B87/0292Cabinet systems consisting of stacked-and-linked uniform casings, each being a cabinet or drawer-holder, e.g. lockers, mail/file boxing systems each casing having a cross-section with a closed periphery

Landscapes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Abstract

(과제) 미사용 시 좌우측판 및 후판을 접음으로써 바닥판, 좌우측판, 후판의 네 부재를 대략 평판 모양으로 접을 수 있어, 틀 본체의 부피가 커지는 것을 막고 수납 보관 공간을 경감할 수 있어 콤팩트하게 수납 보관할 수 있으며, 미사용 시의 틀 본체의 수납 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수납 케이스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틀 본체(1)와, 상판체(2)와, 인출체(3)로 이루어지고, 틀 본체의 바닥판(1a)의 윗면에 틀 본체의 좌우측판(1b·1b)이 틀 본체의 바닥판의 윗면을 따라 접힘과 동시에, 틀 본체의 바닥판의 밑면에 틀 본체의 후판(1c)이 틀 본체의 바닥판의 밑면을 따라 접힘으로써, 상판체의 상면의 전부와 후부에 오목(凹)홈부(5·5)가 형성된 틀 본체의 바닥 판의 밑면에 오목(凹)홈부에 결합 가능한 결합 볼록(凸)부(6)가 형성된 틀 본체의 바닥판의 전단부 및 좌우측판의 각 모서리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 가능한 사각 프레임 모양의 보강 틀(4)이 마련된다.

Description

수납 케이스{A STORAGE CASE}
본 고안은, 예를 들면 일반 가정에 설치되어 의류와 각종 소품류 등을 정리 수납할 때 사용되는 수납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런 종류의 수납 케이스로는, 바닥판, 좌우측판, 후판으로 구성된 전면 및 윗면이 개방된 합성수지제 틀 본체와, 틀 본체의 윗면을 덮는 상판체와, 틀 본체와 상판체로 이루어진 본체 전면의 개구부를 통해 인출 수납이 자유롭게 설치되고, 바닥판, 좌우측판, 후판, 전판으로 이루어진 윗면이 개구된 합성수지제의 인출체으로 이루어지는 구조의 것이 알려져 있다.
일본특허공보 특허제6490111호(JP 6490111, 2019.3.8. 등록)
그러나 이러한 종래 구조의 경우, 상기 바닥판, 좌우측판, 후판으로 구성된 전면과 윗면이 개방된 합성수지제의 틀 본체에 있어서, 좌우측판은 바닥판의 윗면을 따라 접이가 자유롭게 설치되고, 후판은 바닥판의 밑면을 따라 접이가 자유롭게 설치되고, 그리하여 네 부재를 대략 평판 모양으로 접을 수 있어 운반 시나 보관 시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지만, 좌우측판은 바닥판의 좌우 변부에 기립상태가 되고, 바닥판과 좌우측판은 전체적으로 コ형성이 되며, 좌우측판이 쓰러질 우려가 있어, 틀 본체 전체 기립상태의 안정성이 저하 될 수 있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불편함을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본 고안 중에서 청구항 1기재의 고안은, 바닥판, 좌우측판, 후판으로 구성된 앞면 및 윗면이 개구된 합성수지제의 틀 본체와, 상기 틀 본체의 윗면을 덮는 상판체와, 상기 틀 본체 및 상판체로 이루어진 본체 앞면의 개구부를 통해 인출수납이 자유롭게 설치되며 바닥판, 전판, 좌우측판, 후판으로 이루어진 윗면이 개구된 합성수지제의 인출체로 구성되며, 상기 틀 본체의 바닥판의 좌우 변부에 상기 틀 본체의 좌우측판이 기립상태 및 상기 틀 본체의 바닥판 윗면을 따른 도복(倒伏)상태로의 접이가 자유롭게 배치되고, 또한 상기 틀 본체의 바닥판 후변부에 상기 틀 본체의 후판이 기립상태 및 상기 틀 본체의 바닥판의 밑면을 따른 도복(倒伏)상태로의 접이가 자유롭게 배치되며, 상기 틀 본체의 바닥판의 윗면에 상기 틀 본체의 좌우측판이 상기 틀 본체의 바닥판의 윗면을 따라 접힘과 동시에 상기 틀 본체의 바닥판의 밑면에 상기 틀 본체의 후판이 상기 틀 본체의 바닥판을 따라 접히며, 상기 상판체의 윗면의 앞부분 및 뒷부분에 오목(凹)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각 틀 본체의 바닥판의 밑면에 상기 오목(凹)홈부에 결합 가능한 결합 볼록(凸)부가 형성되고, 또한 상기 틀 본체의 상기 바닥판의 전단부 및 상기 좌우측판의 각 전단부에 결합 가능한 사각 틀 모양의 보강 틀을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 케이스에 있다.
또한 청구항 2에 기재된 고안은, 상기 인출체의 바닥판의 좌우 변부에 상기 인출체의 좌우측판이 기립상태 및 인출체의 바닥판의 윗면을 따른 도복(倒伏)상태로 접이가 자유롭게 배치되고, 상기 인출체의 바닥판의 후변부에 상기 인출체의 후판이 기립상태 및 상기 인출체의 바닥판의 윗면을 따른 도복(倒伏)상태로의 접이가 자유롭게 배치되고, 또한 상기 인출체의 바닥판의 전변부에 인출체 전판이 기립상태 및 인출체의 바닥판의 윗면을 따른 도복(倒伏)상태로의 접이가 자유롭게 배치되며, 상기 인출체의 바닥판의 윗면에 인출체의 좌우측판이 상기 인출체의 바닥판의 윗면을 따라서 접히는 동시에 상기 인출체의 바닥판의 윗면을 따라 접힌 상기 인출체의 좌우측판의 윗면에 상기 인출체의 전판 및 후판이 상기 인출체의 바닥판의 윗면을 따라서 접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 케이스 있다.
또한 청구항 3에 기재된 고안은, 바닥판, 좌우측판, 후판으로 구성된 앞면 및 윗면이 개구된 상하로 겹쳐 쌓을 수 있는 복수 개의 합성수지제의 틀 본체와, 상기 겹쳐진 최상위의 틀 본체의 윗면을 덮는 상판체와, 상기 복수 개의 틀 본체 및 상판체로 이루어진 본체 앞면의 복수 개의 개구부를 통해 각각 인출 수납이 자유롭게 설치되며 바닥판, 전판, 좌우측판, 후판으로 이루어진 윗면이 개구된 복수 개의 합성수지제의 인출체로 구성되며, 상기 각 틀 본체의 바닥판의 좌우 변부에 상기 틀 본체의 좌우측판이 기립상태 및 상기 틀 본체의 바닥판 윗면을 따른 도복(倒伏)상태로의 접이가 자유롭게 배치되고, 또한 상기 각 틀 본체의 바닥판 후변부에 상기 틀 본체의 후판이 기립상태 및 상기 틀 본체 바닥판의 밑면을 따른 도복(倒伏)상태로 접이가 자유롭게 배치되며, 상기 각 틀 본체의 바닥판의 윗면에 상기 틀 본체의 좌우측판이 상기 틀 본체의 바닥판의 윗면을 따라서 접힘과 동시에 상기 틀 본체의 바닥판의 밑면에 상기 틀 본체의 후판이 상기 틀 본체의 바닥판을 따라서 접히며, 상기 상판체의 윗면의 앞부분 및 뒷부분에 오목(凹)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각 틀 본체의 바닥판의 밑면에 상기 오목(凹)홈부에 결합 가능한 결합 볼록(凸)부가 형성되고, 또한 상기 각 틀 본체의 상기 바닥판의 전단부 및 상기 좌우측판의 각 전단부에 결합 가능한 사각 틀 모양의 보강 틀을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 케이스에 있다.
또한 청구항 4에 기재된 고안은, 상기 각 인출체의 바닥판의 좌우 변부에 상기 인출체의 좌우측판이 기립상태 및 상기 인출체의 바닥판의 윗면을 따른 도복(倒伏)상태로의 접이가 자유롭게 배치되고, 상기 각 인출체의 바닥판의 후변부에 상기 인출체의 후판이 기립상태 및 상기 인출체의 바닥판의 윗면을 따른 도복(倒伏)상태로의 접이가 자유롭게 배치되고, 또한 상기 각 인출체의 바닥판의 전변부에 상기 인출체 전판이 기립상태 및 상기 인출체의 바닥판의 윗면을 따른 도복(倒伏)상태로의 접이가 자유롭게 배치되며, 상기 각 인출체의 바닥판의 윗면에 상기 인출체의 좌우측판이 상기 인출체의 바닥판의 윗면을 따라서 접히는 동시에 상기 인출체의 바닥판의 윗면을 따라 접힌 상기 인출체의 좌우측판의 윗면에 상기 인출체의 전판 및 후판이 상기 인출체의 바닥판의 윗면을 따라서 접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 케이스에 있다.
본 고안은 위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청구항 1에 기재된 고안은, 운반 시나 보관 시 등의 미사용 시에 상기 틀 본체 바닥면에 상기 틀 본체의 좌우측판을 기립상태에서 틀 본체의 바닥판을 따라 도복(倒伏)상태로 접을 수 있으며, 상기 틀 본체의 상기 후판을 기립상태에서 틀 본체의 바닥판을 따라 도복(倒伏)상태로 접을 수 있으며, 미사용 시에 좌우의 측판 및 후판을 접음으로써 바닥판, 좌우측판, 후판의 네 부재를 대략 평판 모양으로 접을 수 있고, 틀 본체의 부피 증가를 막고 수납 보관 공간을 경감할 수 있어 콤팩트하게 수납 보관할 수 있으며, 미사용 시의 테두리 본체의 수납 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바닥판, 좌우측판, 후판은 서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바닥판, 좌우 측판 등을 각각 따로 보관할 필요가 없고, 바닥판, 좌우측판, 후판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으며, 바닥판, 좌우측판, 후판을 서로 조립할 필요가 없어 구입 후 조립작업을 쉽게 할 수 있어 노인이나 간호가 필요한 사람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어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상판체의 윗면의 앞부분 및 뒷부분에 오목(凹)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틀 본체 바닥판의 밑면에 오목(凹)홈부에 결합 가능한 결합 볼록(凸)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복수 개의 수납 케이스의 쌓아올린 상태에서 상기 오목(凹)홈부와 상기 결합 볼록(凸)부의 결합에 의해 각각 상단 수납 케이스의 압쪽으로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어 겹쳐 쌓는 안정성을 높일 수 있고, 또한 상기 틀 본체의 바닥판 전단부 및 좌우측판 각 전단부에 탈착이 자유롭게 결합 가능한 사각틀 모양의 보강 틀을 설치하여 틀 본체 좌우측판의 쓰러짐을 방지하고 좌우측판의 기립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틀 본체를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2에 기재된 수납형식의 고안은 운반 시나 보관 시 등의 미사용 시에, 상기 인출체의 바닥판 윗면에 상기 인출체의 좌우측판을 기립상태에서 인출체의 바닥판 윗면을 따라 도복(倒伏)상태로 접을 수 있으며, 인출체의 바닥판 윗면을 따라 접힌 상기 인출체의 좌우측판 윗면에 상기 인출체의 전판을 기립상태에서 인출체의 바닥판 윗면에 따라 도복(倒伏)상태로 접을 수 있으며, 인출체의 바닥판 상면을 따라 접힌 상기 인출체의 좌우측판 상면에 상기 인출체의 후판을 기립상태에서 인출체의 바닥판 상면을 따라 도복(倒伏)상태로 접을 수 있으며, 미사용 시에 전판, 좌우측판, 후판을 접음으로써 바닥판, 전판, 좌우측판, 후판의 다섯 부재를 대략 평판상으로 접을 수 있어, 인출체의 부피 증가를 막고, 콤팩트하게 수납보관할 수 있으며, 미사용 시 인출체의 수납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또한 바닥판, 앞판, 좌우측판, 후판은 서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바닥판, 앞판, 좌우측판, 후판을 각각 따로 보관할 필요가 없고, 바닥판, 앞판, 좌우측판, 후판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으며, 바닥판, 앞판, 후판을 서로 조립할 필요가 없어 구입 후의 조립작업을 쉽게 할 수 있어 노인이나 간호가 필요한 사람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3에 기재된 고안은, 운반 시나 보관 시 등의 미사용 시에 상기 복수 개의 각 틀 본체의 바닥판 윗면에 상기 각 틀 본체의 좌우측판을 기립상태에서 각 틀 본체의 바닥판 윗면을 따라 도복(倒伏)상태로 접을 수 있으며, 상기 각 틀 본체의 상기 후판을 기립상태에서 각 틀 본체의 바닥판을 따라 도복(倒伏)상태로 접을 수 있으며, 미사용 시에 좌우측판 및 후판을 접음으로써 바닥판, 좌우측판, 후판의 네 부재를 대략 평판 모양으로 접을 수 있어, 각 틀 본체의 부피 증가를 막고 수납 보관 공간을 경감할 수 있어 콤팩트하게 수납 보관할 수 있으며, 미사용 시의 각 틀 본체의 수납 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바닥판, 좌우측판, 후판은 서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바닥판, 좌우측판, 후판을 각각 따로 보관할 필요가 없고, 바닥판, 좌우측판, 후판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고, 바닥판, 좌우측판, 후판을 서로 조립할 필요가 없어 구입 후 조립작업을 쉽게 할 수 있어 노인이나 간호가 필요한 사람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고, 사용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상판체 윗면의 앞부분 및 뒷부분에 오목(凹)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각 틀 본체의 바닥판 밑면에 오목(凹)홈부으로 결합 가능한 결합 볼록(凸)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여러 개의 수납 케이스의 쌓아올린 상태에서 상기 오목(凹)홈부와 상기 결합 볼록(凸)부와의 결합으로 각각 상단 수납 케이스의 앞쪽으로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어 겹쳐 쌓는 안정성을 높일 수 있고, 또한 상기 각 틀 본체의 상기 바닥판 전단부 및 상기 좌우측판 각 전단부에 각각 탈착이 자유롭게 결합 가능한 사각틀 모양의 보강 틀을 설치하여 각 틀 본체의 좌우측판의 쓰러짐을 방지하고 좌우측판의 기립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각 틀 본체를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4에 기재된 고안은, 운반 시나 보관 시 등 미사용 시에 상기 복수 개의 각 인출체의 바닥판 윗면에 상기 각 인출체의 좌우측판을 기립상태에서 각 인출체의 바닥판 윗면을 따라 도복(倒伏)상태로 접을 수 있으며, 각 인출체의 바닥판 윗면을 따라 접힌 상기 각 인출체의 좌우측판 윗면에 상기 각 인출체의 전판을 기립상태에서 각 인출체의 바닥판 윗면을 따라 도복(倒伏)상태로 접을 수 있으며, 각 인출체의 바닥판 윗면을 따라 접힌 상기 각 인출체의 좌우측판 윗면에 상기 각 인출체의 후판을 기립상태에서 각 인출체의 바닥판 윗면을 따라 도복(倒伏)상태로 접을 수 있으며, 미사용 시에 전판, 좌우측판, 후판을 접어 바닥판, 전판, 좌우측판, 후판의 다섯 부재를 대략 평판 모양으로 접을 수 있고, 각 인출체의 부피 증가를 막고 수납보관 공간을 경감할 수 있으며, 콤팩트하게 수납보관할 수 있으며, 미사용 시 각 인출체의 수납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또한 바닥판, 전판, 좌우측판, 후판은 서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바닥판, 전판, 좌우측판, 후판을 각각 따로 보관할 필요가 없고, 구입 후의 조립작업을 쉽게 할 수 있어 노인이나 간호가 필요한 사람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어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 실시의 제1형태 예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실시의 제1형태 예의 전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실시의 제1형태 예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실시의 제1형태 예의 틀 본체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 실시의 제1형태 예의 틀 본체의 바닥판과 측판의 기립상태의 부분 측단면도,
도 6은 본 고안 실시의 제1형태 예의 틀 본체의 바닥판과 측판의 접힌 상태의 부분 측단면도,
도 7은 본 고안 실시의 제1형태 예의 틀 본체의 바닥판과 측판의 분리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 실시의 제1형태 예의 틀 본체의 바닥판과 후판의 기립상태의 부분 측단면도,
도 9는 본 고안 실시의 제1형태 예의 틀 본체의 바닥판과 후판의 접이식 다다미 상태의 부분 측단면도,
도 10은 본 고안 실시의 제1형태 예의 틀 본체의 바닥판과 후판의 분리 사시도,
도 11은 본 고안 실시의 제1형태 예의 틀 본체의 측판과 상판체의 부분 측단면도,
도 12는 본 고안 실시의 제1형태 예의 틀 본체의 측판 부분 측면도,
도 13은 본 고안 실시의 제1형태 예의 틀 본체와 상판체의 분리 사시도,
도 14는 본 고안 실시의 제1형태 예의 틀 본체의 바닥판, 보강 틀 및 상판체의 측단면도,
도 15는 본 고안 실시의 제1형태 예의 보강 틀과 상판체의 분리 사시도,
도 16은 본 고안 실시의 제1형태 예의 틀 본체의 측판과 보강 틀의 평단면도,
도 17은 본 고안 실시의 제1형태 예의 틀 본체의 측판과 보강 틀의 분리 사시도,
도 18은 본 고안 실시의 제1형태 예의 보강 틀과 틀 본체의 바닥판도,
도 19는 본 고안 실시의 제1형태 예의 접힌 상태의 분리 사시도,
도 20은 본 고안 실시의 제1형태 예의 틀 본체의 접힌 상태의 설명 사시도,
도 21은 본 고안 실시의 제1형태 예의 인출체의 접힌 상태의 설명 사시도,
도 22는 본 고안 실시의 제2형태 예의 전체 사시도,
도 23은 본 고안 실시의 제2형태 예의 전체 사시도,
도 24는 본 고안 실시의 제2형태 예의 분리 사시도,
도 25는 본 고안 실시의 제2형태 예의 상단 틀 본체의 후판과 하단 틀 본체의 후판 부분 측단면도,
도 26은 본 고안 실시의 제2형태 예의 틀 본체의 후판 부분 측면도,
도 27은 본 고안 실시의 제2형태 예의 상단의 틀 본체의 측판과 하단의 틀 본체의 측판의 분리 사시도,
도 28은 본 고안 실시의 제2형태 예의 보강 틀과 틀 본체의 측판 부분 측단면도,
도 29는 본 고안 실시의 제2형태 예의 접힌 상태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29는 본 고안의 실시 형태 예를 나타내며, 도 1 내지 도 21은 청구항 1, 2의 고안에 대응하는 제1형태 예, 도 22 내지 도 29는 청구항 3, 4의 고안에 대응하는 제2형태 예이다. 
도 1 내지 도 21의 제1형태 예에서 크게 나누어, 합성수지제로 만들고 도1, 도2, 도 3과 같이, 틀 본체(1)와, 틀 본체(1)의 윗면을 덮는 상판체(2)와, 틀 본체(1) 및 상판체(2)로 이루어진 본체(D) 전면 개구부를 통해 인출수납이 자유자재로 설치되며, 바닥판(3a), 전판(3b), 좌우측판(3c·3c), 후판(3d)으로 이루어진 윗면이 개구된 합성수지제 인출체(3)로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틀 본체(1)는 도 3과 같이 합성수지제로서 바닥판(1a), 좌우측판(1b·1b), 후판(1c)으로 구성되며 전면 및 윗면이 개구된 테두리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경우, 상기 상판체(2)는 도 3, 도 11, 도 12, 도 13과 같이 합성수지제로 하여, 상기 틀 본체(1)의 윗면을 덮어 틀 본체(1)에 탈착이 자유롭게 장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판체(2)로서 목판을 합성수지제 틀로 감싼 구조의 것을 채용하기도 한다.
또한 이 경우, 상기 틀 본체(1)에 있어서, 합성수지제로 하고, 도 3, 도 4와 같이, 바닥판(1a), 좌우측판(1b·1b), 후판(1c)으로 구성되며 도 5, 도 6, 도 7과 같이 상기 바닥판(1a)의 좌우 변부에 상기 틀 본체(1)의 좌우측판(1b·1b)이 기립상태(S1b) 및 틀 본체(1)의 바닥판(1a)의 윗면을 따른 도복(倒伏)상태(T1b)로 접이가 자유롭게 배치되는 한편, 도 8, 도 9, 도 10과 같이 상기 틀 본체(1)의 바닥판(1a)의 후변부에 상기 틀 본체(1)의 후판(1c)이 기립상태(S1c) 및 틀 본체(1)의 바닥판(1a)의 밑면을 따른 도복(倒伏)상태(T1c)로 접이가 자유롭게 배치되며, 상기 틀 본체(1)의 바닥판(1a)의 윗면에 틀 본체(1)의 좌우측판(1b·1b)이 틀 본체(1)의 바닥판(1a)의 윗면을 따라 접힘과 동시에 틀 본체(1)의 바닥판(1a)의 밑면에 틀 본체(1)의 후판(1c)이 틀 본체(1)의 바닥판(1a)의 밑면을 따라 접히며, 이 경우 도 2, 도 3과 같이 상기 틀 본체(1)의 바닥판(1a)의 전단부 및 좌우측판(1b·1b)의 각 전단부에 탈착이 자유롭게 결합 가능한 단면이 コ형태인 사각 틀 모양의 보강 틀(4)을 마련하고, 상기 틀 본체(1), 보강 테두리(4) 및 상판체(2)로 이루어진 본체(D) 전면 개구부에 인출체(3)가 인출수납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상기 틀 본체(1), 보강 틀(4), 상판체(2) 및 인출체(3)에 의해 수납 케이스(K)가 형성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틀 본체(1)에 있어서는 도 4, 도 5, 도 6, 도 7과 같이 상기 틀 본체(1)의 바닥판(1a)의 좌우 변부에 전후 방향으로 4개씩, 좌우 합계 8개의 결합 오목(凹)부(1d·1d··)를 형성하고, 틀 본체(1)의 좌우측판(1b·1b)의 하부 전후 방향으로 4개씩, 좌우 합계 8개의 결합 볼록(凸)부(1e·1e··)를 형성하고, 각 결합 볼록(凸)부(1e·1e··)의 양단부에 지점 축부(1f·1f··)를 형성하고, 상기 결합 오목(凹)부(1d·1d··)의 양단부에 지점 구멍부(1g·1g··)를 형성하며, 결합 오목(凹)부(1d·1d··)와 결합 볼록(凸)부(1e·1e··)의 결합 및 지점 축부(1f·1f··)와 지점 구멍부(1g·1g··)의 축 삽입으로, 상기 틀 본체(1)의 좌우측판(1b·1b)이 기립상태(S1b) 및 틀 본체(1)의 바닥판(1a)의 윗면을 따라 도복(倒伏)상태(T1b)로 접이가 자유롭게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 경우, 도 8, 도 9, 도 10과 같이 상기 틀 본체(1)의 바닥판(1a)의 후변부 좌우 양단부에 지점 축부(1f·1f··)를 형성하고 상기 틀 본체(1)의 후판(1c)의 하부 좌우 양단부에 지점 구멍부(1g·1g··)를 형성하고, 지점 축부(1f·1f··)와 지점 구멍부(1g·1g··)의 축 삽입에 의해 상기 틀 본체(1)의 후판(1c)이 기립상태(S1c) 및 중간 위치(M)를 거쳐 틀 본체(1)의 바닥판(1a)의 밑면을 따라 도복(倒伏)상태(T1c)로 접는 것이 자유롭게 배치되며, 그리하여 상기 틀 본체(1)의 바닥판(1a)의 윗면에 틀 본체(1)의 좌우측판(1b·1b)이 틀 본체(1)의 바닥판(1a)의 윗면을 따라 접힘과 동시에, 틀 본체(1)의 바닥판(1a)의 밑면에 틀 본체(1)의 후판(1c)이 중간 위치(M)를 거쳐 틀 본체(1)의 바닥판(1a)의 밑면을 따라 접힐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이 경우, 도 14, 도 15, 도 16, 도 17, 도 18과 같이, 상기 틀 본체(1)의 바닥판(1a)의 전단부 및 상기 좌우측판(1b·1b)의 전단부에 결합부(E)를 형성하고, 바닥부, 좌우 양측부 및 상면부로 이루어진 단면이 コ형태인 사각 틀 모양의 보강 틀(4)의 바닥부, 좌우 양측부에 단면이 コ형태인 결합구부(Q)를 형성하고, 결합부(E)와 결합구부(Q)의 결합으로 바닥판(1a)과 좌우측판(1b·1b)와의 コ형상을 형태를 유지하여 측판(1b·1b)의 기립상태(S1b)를 유지하고 측판(1b·1b)의 도복을 방지하며, 동시에 상기 틀 본체(1)의 상기 바닥판(1a)의 전단부 바닥면에 걸림 갈고리부(1h)를 3개 형성하고, 상기 단면이 コ형태인 사각 틀 모양의 보강 틀(4)의 바닥부에 걸림부(1i··)를 3개 형성하여, 상기 틀 본체(1)의 상기 좌우측판(1b·1b)의 전단부에 상하 방향으로 3개씩 합계 6개의 걸림부(1i··)를 형성하고, 보강 틀(4)의 좌우 양쪽 부 내면에 걸림 갈고리부(1h)를 3개씩 총 6개 형성하여, 상기 틀 본체(1)의 바닥판(1a)의 전단부 및 상기 좌우측판(1b·1b)의 각 전단부에 사각틀 모양의 보강 틀(4)을 탈착이 자유롭게 결합하도록 구성한다.
또한 이 경우, 상기 인출체(3)에 있어서, 합성수지제로 하고 도 2, 도 19와 같이, 바닥판(3a), 전판(3b), 좌우측판(3c·3c), 후판(3d)으로 구성되며, 상기 인출체(3)의 바닥판(3a)의 좌우 변부에 상기 인출체(3)의 좌우측판(3c·3c)이 기립상태(S3c) 및 인출체(3)의 바닥판(3a)의 윗면을 따라 도복(倒伏)상태(T3c)로 접이가 자유롭게 배치되는 동시에, 상기 인출체(3)의 바닥판(3a)의 후변부에 상기 인출체(3)의 후판(3d)이 기립상태(S3d) 및 인출체(3)의 바닥판(3a)의 윗면을 따라 도복(倒伏)상태(T3d)로 접이가 자유롭게 배치되고, 또한 상기 인출체(3)의 바닥판(3a)의 앞부분에 상기 인출체(3)의 전판(3b)이 기립상태(S3b) 및 인출체(3)의 바닥판(3a)의 윗면을 따라 도복(倒伏)상태(T3b)로 접이가 자유롭게 배치되며, 도 19, 도 21과 같이 상기 인출체(3)의 바닥판(3a)의 상면에 상기 인출체(3)의 좌우측판(3c·3c)이 인출체(3)의 바닥판(3a)의 윗면을 따라 접힘과 동시에, 인출체(3)의 바닥판(3a)의 윗면을 따라 접힌 상기 인출체(3)의 좌우측판(3c·3c)의 상면에 상기 인출체(3)의 전판(3b) 및 후판(3d)이 인출체(3)의 바닥판(3a)의 윗면을 따라 접히게 된다.
이 경우 도 2, 도 19와 같이, 상기 인출체(3)의 전판(3b)의 상변부 및 하변부에 윗손잡이부(HU) 및 아랫손잡이부(HD)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경우, 상기 상판체(2)는 상기 틀 본체(1)의 윗면을 덮어 틀 본체(1)에 탈착이 자유롭게 장착되며, 도 3, 도 11, 도 12, 도 14, 도 15와 같이 틀 본체(1)의 좌우측판(1b·1b) 및 후판(1c) 상단에 탄성 갈고리부(1j)를 9개 형성하고, 상판체(2)의 뒷면에 걸림 갈고리부(1k)를 9개 형성하여, 탄성 갈고리부(1j)와 걸림 갈고리부(1k)의 걸림 작용으로 틀 본체(1)의 좌우측판(1b·1b) 및 후판(1c)을 상판체(2)에 탈착이 자유롭게 형성하고, 동시에 상기 보강 틀(4)의 상면부에 돌출 갈고리부(1l)를 3개 형성하고 상판체(2)의 이면에 끼움부(1m)를 3개 형성하여, 돌출갈고리부(1l)과 끼움부(1m)와의 끼움 작용으로 보강 틀(4)과 상판체(2)를 탈착이 자유롭게 구성한다.
부호 5·5는 오목(凹)홈부이며, 도 1, 도 2, 도 8, 도 9, 도 18과 같이 상기 상판체(2)의 윗면과 앞부 및 후부에 형성되고, 틀 본체(1)의 바닥판(1a) 밑면의 오목(凹)홈부(5·5)에 결합 가능한 전후 한 쌍의 결합 볼록(凸)부(6·6··)가 형성되어, 수납 케이스(K)의 겹쳐쌓은 상태에서 하단 상판체(2)의 오목(凹)홈부(5·5) 안에 상단 틀 본체(1)의 결합 볼록(凸)부(6·6··)가 결합 되어 수납 케이스(K)의 미끄러짐을 방지하여 복수의 수납 케이스(K·K··)의 겹쳐쌓은 상태의 안정화를 도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실시의 제1형태 예는 상기 구성과 같으므로, 틀 본체(1)는 운반 시나 보관 시 등의 미사용 시에 도 19, 도 20과 같이, 상기 틀 본체(1)의 바닥판(1a)의 윗면에 상기 틀 본체(1)의 좌우측판(1b·1b)을 기립상태(S1b)로부터 틀 본체(1)의 바닥판(1a)의 윗면을 따라 도복(倒伏)상태(T1b)로 접을 수 있으며, 상기 틀 본체(1)의 상기 후판(1c)을 도 8 및 도 9의 기립상태(S1c)로부터 틀 본체(1)의 바닥판(1a)의 밑면을 따른 도복(倒伏)상태(T1c)로 도8의 중간 위치(M)를 지나 접을 수 있으며, 상기 틀 본체(1)의 바닥판(1a)의 윗면에 좌우측판(1b·1b)이 바닥판(1a)의 윗면을 따라 접힘과 동시에 틀 본체(1)의 바닥판(1a)의 밑면에 후판(1c)이 바닥판(1a) 저면을 따라 접히며, 즉 도 20 중 (イ)·(ロ)·(ハ)·(ニ)와 같이, (イ) 사용 시의 전개 상태에서 (ニ) 미사용 시의 접은 상태로 접을 수 있으며, 사용 시에는 (ニ) 미사용 시의 접은 상태에서 (イ) 사용 시의 전개 상태로 전개할 수 있으며, 미사용 시에 좌우측판(1b·1b) 및 후판(1c)을 접어 바닥판(1a), 좌우측판(1b·1b), 후판(1c)의 네 부재를 대략 평판 모양으로 접을 수 있고, 틀 본체(1)의 부피 증가를 막아 수납 보관 공간을 경감할 수 있어 콤팩트하게 수납 보관할 수 있으며, 미사용 시의 틀 본체(1)의 수납 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또한 바닥판(1a), 좌우측판(1b·1b), 후판(1c)은 서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바닥판(1a), 좌우측판(1b·1b), 후판(1c)을 각각 따로 보관할 필요가 없고 바닥판(1a), 좌우측판(1b·1b), 후판(1c)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으며, 바닥판(1a), 좌우측판(1b·1b), 후판(1c)을 서로 조립할 필요 없고 구입 후 조립작업을 쉽게 할 수 있어, 노인과 간호가 필요한 사람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어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이 경우, 상기 상판체(2)의 윗면 앞부분 및 뒷부분에 오목(凹)홈부(5·5)가 형성되고, 상기 틀 본체(1)의 바닥판(1a)의 밑면에 오목(凹)홈부(5·5)에 결합 가능한 결합 볼록(凸)부(6·6··)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예를 들어 도시가 생략된 복수개의 수납 케이스(K·K··)를 쌓아올린 상태에서 상기 오목(凹)홈부(5·5··)와 상기 결합 볼록(凸)부 (6.6··)의 결합으로 인해 각각 상단 수납 케이스(K) 앞쪽으로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어 겹쳐 쌓는 안정성을 높일 수 있으며 , 이 경우 도 3, 도 14, 도 15, 도 16, 도 17, 도 18과 같이, 상기 틀 본체(1)의 바닥판(1a)의 전단부 및 상기 좌우측판(1b·1b)의 각 전단부에 탈착이 자유롭게 결합 가능한 사각틀 모양의 보강 틀(4)을 설치하였으므로, 틀 본체(1)의 좌우측판(1b·1b)의 쓰러짐을 방지하고 좌우측판(1b·1b)의 기립상태(S1b)를 유지할 수 있고, 틀 본체(1)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틀 본체(1)를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19, 도 21과 같이, 인출체(3)의 경우, 운반 시나 보관 시 등의 미사용 시에 상기 인출체(3)의 바닥판(3a)의 상면에 상기 인출체(3)의 좌우측판(3c·3c)을 기립상태(S3c)로부터 인출체(3)의 바닥판(3a)의 윗면을 따라 도복(倒伏)상태(T3c)로 접을 수 있으며, 인출체(3)의 바닥판(3a)의 윗면을 따라 접힌 상기 인출체(3)의 좌우측판(3c·3c)의 윗면에 상기 인출체(3)의 전판(3b)을 기립상태(S3b)로부터 인출체(3)의 바닥판(3a)의 윗면을 따라 도복(倒伏)상태(T3b)로 접을 수 있으며, 인출체(3)의 바닥판(3a)의 윗면을 따라 접힌 상기 인출체(3)의 좌우측판(3c·3c)의 윗면에 상기 인출체(3)의 후판(3d)을 기립상태(S3d)로부터 인출체(3)의 바닥판(3a)의 윗면을 따라 도복(倒伏)상태(T3d)로 접을 수 있으며, 상기 인출체(3)의 바닥판(3a) 윗면에 좌우측판(3c·3c)이 바닥판(3a)의 윗면을 따라 접힘과 동시에 인출체(3)의 바닥판(3a)의 윗면에 전판(3b) 및 후판(3d)이 바닥판(3a)의 윗면을 따라 접히며, 즉 도 21 중 (イ)·(ロ)·(ハ) 와 같이, (イ) 사용 시의 전개 상태에서 (ハ) 미사용 시의 접은 상태로 접을 수 있으며, 사용 시에는 (ハ) 미사용시의 접은 상태에서 (イ) 사용 시의 전개 상태로 전개할 수 있으며, 미사용 시에 전판(3b), 좌우측판(3c·3c), 후판(3d)을 접음으로써 바닥판(3a), 전판(3b), 좌우측판(3c·3c), 후판(3d)의 다섯 부재를 대략 평판 모양으로 접을 수 있어, 인출체(3)의 부피가 커지는 것을 방지하고 수납 보관 공간을 경감할 수 있어 콤팩트하게 수납 보관할 수 있으며, 미사용 시의 인출체(3)의 수납 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또한 바닥판(3a), 전판(3b), 좌우측판(3c·3c), 후판(3d)은 서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바닥판(3a), 전판(3b), 좌우측판(3c·3c), 후판(3d)을 각각 따로 보관할 필요가 없고, 바닥판(3a), 전판(3b), 좌우측판(3c·3c), 후판(3d)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으며, 바닥판(3a), 전판(3b), 좌우측판(3c·3c), 후판(3d)을 서로 조립할 필요없이 구입 후 조립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노인과 간호가 필요한 사람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어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2 내지 도 29의 제2형태 예는 다른예 구조를 나타내며, 상기 제1형태 예와 같은 동일한 양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하면 이 경우, 도 22, 도 23, 도 24와 같이 상기 제1형태 예와 같은 바닥판(1a), 좌우측판(1b·1b), 후판(1c)으로 이루어진 전면 및 윗면이 개구된 상하로 겹쳐 쌓을 수 있는 2개의 합성수지제 틀 본체(1·1)와, 쌓인 최상위 틀 본체(1)의 윗면을 덮는 상기 제1형태 예와 같은 합성수지제 상판체(2)와, 2개의 틀 본체(1·1) 및 상판체(2)로 이루어진 본체(D) 전면의 2개의 개구부를 통해 각각 인출수납이 자유롭게 설치되고, 윗면이 개구된 2개의 합성수지제 인출체(3·3)로 이루어지며, 상기 2개의 인출체(3·3)는 상기 제1형태 예와 마찬가지로 접이가 자유롭게 형성되며, 상기 제1형태 예와 마찬가지로 도14, 도15, 도16, 도17, 도18과 같이 상기 각 틀 본체(1·1)의 바닥판(1a)의 전단부 및 상기 좌우측판(1b·1b)의 각 전단부에 사각틀 모양의 보강 틀(4)이 탈착이 자유롭게 결합하고, 또한 이 경우 하단 의 틀 본체(1) 및 보강 틀(4)과 상단의 틀 본체(1) 및 보강 틀(4)은, 도 24, 도 25, 도 26, 도 27과 같이 상기 제1형태 예에서의 상판체(2)와 틀 본체(1)의 탈착구조와 같은 탈착구조가 채용되며, 상기 제1형태 예의 상기 도 11, 도 13, 도 14, 도 15의 구조가 채용되어, 하단 틀 본체(1)의 좌우측판(1b·1b) 및 후판(1c)의 상단에 탄성 갈고리부(1j)를 9개 형성하고, 상단 틀 본체(1)의 뒷면에 걸림 갈고리부(1k)를 9개 형성하여, 탄성 갈고리부(1j)와 걸림 갈고리부(1k)의 걸림 작용으로 하단 틀 본체(1)의 좌우측판(1b·1b) 및 후판(1c)을 상단 틀 본체(1)에 탈착이 자유롭게 형성하고, 동시에 하단의 보강 틀(4)의 윗면부에 돌출 갈고리부(1l)를 3개 형성하고, 상단 틀 본체(1)의 바닥판(1a)의 밑면에 끼움부(1m)를 3개 형성하여, 돌출 갈고리부(1l)와 끼움부(1m)의 끼움 작용으로 하단 보강 틀(4)과 상단 틀 본체(1)를 탈착이 자유롭게 구성한다.
또한 이 경우, 상기 제1형태 예와 마찬가지로 도 5, 도 6, 도 7과 같이 상기 각 틀 본체(1·1)의 바닥판(1a)의 좌우변부에 상기 좌우측판(1b·1b)이 기립상태(S1b) 및 바닥판(1a)의 윗면을 따라 도복(倒伏)상태(T1b)로 접이가 자유롭게 배치되고, 동시에 상기 제1형태 예와 마찬가지로 도 8, 도 9, 도 10과 같이 상기 틀 본체(1·1)의 바닥판(1a)의 후변부에 상기 후판(1c)이 기립상태(S1c) 및 바닥판(1a)의 밑면을 따라 도복(倒伏)상태(T1c)로 접이가 자유롭게 배치되며, 상기 각 틀 본체(1·1)의 바닥판(1a)의 윗면에 좌우측판(1b·1b)이 바닥판(1a)의 윗면을 따라 접힘과 동시에 각 틀 본체(1·1)의 바닥판(1a)의 밑면에 후판(1c)이 바닥판(1a)의 밑면을 따라 접히고, 도 28과 같이 상기 제1형태 예의 도 14, 도 15, 도 16, 도 17, 도 18과 같이 상기 각 틀 본체(1·1)의 바닥판(1a)의 전단부 및 상기 좌우측판(1b·1b)의 각 전단부에 사각틀 모양의 보강 틀(4)을 탈착이 자유롭게 결합하여 소위 2단식 수납 케이스(K)로 구성한다.
또한 이 경우, 상기 상판체(2)에 있어서는 상기 최상위의 틀 본체(1)의 윗면을 덮어 틀 본체(1)에 탈착이 자유롭게 장착되며, 상기 제1형태 예와 같은 도 11, 도 12, 도 13, 도 14, 도 15와 같이 틀 본체(1)의 좌우측판(1b·1b) 및 후판(1c) 상단에 탄성 갈고리부(1j)를 9개 형성하고, 상판체(2)의 뒷면에 걸림 갈고리부(1k)를 9개 형성하여, 탄성 갈고리부(1j)와 걸림 갈고리부(1k)의 걸림 작용으로 틀 본체(1)의 좌우측판(1b·1b) 및 후판(1c)을 상판체(2)에 탈착이 자유롭게 형성하고, 동시에 상기 보강 틀(4)의 상면부에 돌출 갈고리부(1l)를 3개 형성하고 상판체(2)의 이면에 끼움부(1m)를 3개 형성하여, 돌출 갈고리부(1l)과 끼움부(1m)의 끼움작용으로 보강 틀(4)과 상판체(2)를 탈착이 자유롭게 구성한다.
또한 이 경우, 상기 제1형태 예와 마찬가지로 도 22, 도 2, 도 8, 도 18과 같이 상기 상판체(2)의 윗면 앞부분 및 뒷부분에는 오목(凹)홈부(5·5)가 형성되고, 틀 본체(1)의 바닥판(1a)의 밑면에 전후 한 쌍씩 총 4개의 결합 볼록(凸)부(6.6··)가 형성되어, 수납 케이스(K)의 쌓아올린 상태에서 하단 상판체(2)의 오목(凹)홈부(5·5) 안에 상단 틀 본체(1)의 결합 볼록(凸)부(6.6··)가 결합하여 수납 케이스(K)의 미끄러짐을 막고 복수의 수납 케이스(K··)의 쌓아올린 상태의 안정화를 도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실시의 제2형태 예에서도 상기 제1형태 예와 마찬가지로, 각 틀 본체(1·1)는 운반 시나 보관 시 등의 미사용 시에, 도 29와 같이 상기 2개의 각 틀 본체(1·1)의 바닥판(1a)의 윗면에 상기 각 틀 본체(1·1)의 좌우측판(1b·1b)을 기립상태(S1b)로부터 각 틀 본체(1·1)의 바닥판(1a)의 윗면을 따라 도복(倒伏)상태(T1b)로 접을 수 있으며, 상기 각 틀 본체(1·1)의 상기 후판(1c)을 제1형태 예와 마찬가지로 도 8 및 도 9의 기립상태(S1c)로부터 각 틀 본체(1·1)의 바닥판(1a)의 밑면을 따라 도복(倒伏)상태(T1c)로 도 8의 중간 위치(M)를 통해 접을 수 있으며, 상기 각 틀 본체(1·1)의 바닥판(1a)의 윗면에 좌우측판(1b·1b)이 바닥판(1a)의 윗면을 따라 접히는 동시에 각 틀 본체(1·1)의 바닥판(1a)의 밑면에 후판(1c)이 바닥판(1a) 밑면을 따라 접히며, 즉 제1형태 예와 마찬가지로 도 20 중 (イ)·(ロ)·(ハ)·(ニ)와 같이, (イ) 사용 시의 전개 상태에서 (ニ) 미사용 시의 접은 상태로 접을 수 있으며, 사용 시에는 (ニ) 미사용 시의 접은 상태에서 (イ) 사용 시의 전개 상태로 전개할 수 있으며, 미사용 시에 좌우측판(1b·1b) 및 후판(1c)을 접어 바닥판(1a), 좌우측판(1b·1b), 후판(1c)의 네 부재를 대략 평판 모양으로 접을 수 있어 각 틀 본체(1·1)의 부피 증가를 막고 수납 보관 공간을 경감할 수 있어 컴팩트하게 수납할 수 있으며, 미사용 시의 각 틀 본체(1·1)의 수납보관을 쉽게 할 수 있고, 바닥판(1a), 좌우측판(1b·1b), 후판(1c)은 서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바닥판(1a), 좌우측판(1b·1b), 후판(1c)을 각각 따로 보관할 필요가 없고 바닥판(1a), 좌우측판(1b·1b), 후판(1c)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으며, 바닥판(1a), 좌우측판(1b·1b), 후판(1c)을 서로 조립할 필요 없이 구입 후 조립 작업을 쉽게 할 수 있고, 노인과 간호가 필요한 사람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어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상기 상판체(2)의 윗면 앞부분 및 뒷부분에 오목(凹)홈부(5·5)가 형성되고, 상기 각 틀 본체(1·1)의 바닥판(1a)의 밑면에 오목(凹)홈부(5·5)에 결합 가능한 결합 볼록(凸)부(6.6··)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예를 들어 도시가 생략된 복수 개의 수납 케이스(K·K··)를 쌓아올린 상태에서 상기 오목(凹)홈부(5·5···)와 상기 결합 볼록(凸)부(6.6···)의 결합으로 인해 각각 상단 수납 케이스(K) 앞쪽으로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어 겹쳐 쌓이는 안정성을 높일 수 있고, 도 24, 도 28과 같이 상기 제1형태 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각 틀 본체(1·1)의 바닥판(1a)의 전단부 및 좌우측판(1b·1b)의 각 전단부에 각각 탈착이 자유롭게 결합 가능한 사각 틀 모양의 보강 틀(4·4)을 설치하였으므로, 각 틀 본체(1·1)의 좌우측판(1b·1b)의 쓰러짐을 방지하고 좌우측판(1b·1b)의 기립상태(S1b)를 유지할 수 있고, 각 틀 본체(1·1)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각 틀 본체(1·1)를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각 인출체(3·3)에 있어서는 운반 시나 보관 시 등의 미사용 시에 도 29 및 상기 제1형태 예의 도 19, 도 21과 같이, 상기 2개의 각 인출체(3·3)의 바닥판(3a)의 윗면에 상기 각 인출체(3·3)의 좌우측판(3c·3c)을 기립상태(S3c)로부터 각 인출체(3·3)의 바닥판(3a)의 윗면을 따라 도복(倒伏)상태(T3c)로 접을 수 있으며, 상기 제1형태 예와 마찬가지로 각 인출체(3·3)의 바닥판(3a)의 윗면을 따라 접힌 상기 각 인출체(3·3)의 좌우측판(3c·3c)의 윗면에 상기 각 인출체(3·3)의 전판(3b)을 기립상태(S3b)로부터 각 인출체(3·3)의 바닥판(3a)의 윗면을 따라 도복(倒伏)상태(T3b)로 접을 수 있으며, 상기 제1형태 예와 마찬가지로 각 인출체(3·3)의 바닥판(3a)의 윗면을 따라 접힌 상기 각 인출체(3·3)의 좌우측판(3c·3c)의 윗면에 상기 각 인출체(3·3)의 후판(3d)을 기립상태(S3d)로부터 각 인출체(3·3)의 바닥판(3a)의 윗면을 따라 도복(倒伏)상태(T3d)로 접을 수 있으며, 상기 각 인출체(3·3)의 바닥판(3a)의 상면에 좌우측판(3c·3c)이 바닥판(3a)의 윗면을 따라 접힘과 동시에 각 인출체(3·3)의 바닥판(3a)의 상면에 전판(3b) 및 후판(3d)이 바닥판(3a)의 윗면을 따라 접히고, 즉 상기 제1형태 예와 마찬가지로 도 21 중 (イ)·(ロ)·(ハ)와 같이, (イ) 사용 시의 전개 상태에서 (ハ) 미사용 시의 접은 상태로 접을 수 있고, 사용 시에는 (ハ) 미사용 시의 접은 상태에서 (イ) 사용 시의 전개 상태로 전개할 수 있으며, 미사용 시에 전판(3b), 좌우측판(3c·3c), 후판(3d)을 접음으로써 바닥판(3a), 전판(3b), 좌우측판(3c·3c), 후판(3d)의 다섯 부재를 대략 평판 모양으로 접을 수 있어, 각 인출체(3·3)의 부피가 커지는 것을 방지하고 수납 보관 공간을 경감할 수 있어 콤팩트하게 수납 보관할 수 있으며, 미사용 시의 각 인출체(3·3) 수납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바닥판(3a), 전판(3b), 좌우측판(3c·3c), 후판(3d)은 서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바닥판(3a), 전판(3b), 좌우측판(3c·3c), 후판(3d)을 각각 따로 보관할 필요가 없고, 바닥판(3a), 전판(3b), 좌우측판(3c·3c), 후판(3d)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으며, 바닥판(3a), 전판(3b), 좌우측판(3c·3c), 후판(3d)을 서로 조립할 필요가 없고, 구입 후의 조립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어, 노인과 간호가 필요한 사람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어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 실시 형태의 예시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틀 본체(1)의 수, 단의 수, 크기, 상판체(2)의 형상, 인출체(3)의 개수, 보강 틀(4), 오목(凹)홈부(5), 결합 볼록(凸)부(6)의 구조 등은 용도에 따라 정해지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소기의 목적을 충분히 달성할 수 있다.
K : 수납 케이스 D : 본체
S3b : 기립 상태 T3b : 도복 상태
S3c : 기립 상태 T3c : 도복 상태
S3d : 기립 상태 T3d : 도복 상태
S1b : 기립 상태 T1b : 도복 상태
S1c : 기립 상태 T1c : 도복 상태
1 : 틀 본체 1a : 바닥판
1b : 측판 1c : 후판
2 : 상판체 3 : 인출체
3a : 바닥판 3b : 전판
3c : 측판 3d : 후판
4 : 보강틀 5 : 오목(凹)홈부
6 : 결합 볼록(凸)부

Claims (4)

  1. 바닥판, 좌우측판, 후판으로 구성된 앞면 및 윗면이 개구된 합성수지제의 틀 본체와, 상기 틀 본체의 윗면을 덮는 상판체와, 상기 틀 본체 및 상판체로 이루어진 본체 앞면의 개구부를 통해 인출수납이 자유롭게 설치되며 바닥판, 전판, 좌우측판, 후판으로 이루어진 윗면이 개구된 합성수지제의 인출체로 구성되며, 상기 틀 본체의 바닥판의 좌우 변부에 상기 틀 본체의 좌우측판이 기립상태 및 상기 틀 본체의 바닥판 윗면을 따른 도복(倒伏)상태로의 접이가 자유롭게 배치되고, 또한 상기 틀 본체의 바닥판 후변부에 상기 틀 본체의 후판이 기립상태 및 상기 틀 본체의 바닥판의 밑면을 따른 도복(倒伏)상태로의 접이가 자유롭게 배치되며, 상기 틀 본체의 바닥판의 윗면에 상기 틀 본체의 좌우측판이 상기 틀 본체의 바닥판의 윗면을 따라 접힘과 동시에 상기 틀 본체의 바닥판의 밑면에 상기 틀 본체의 후판이 상기 틀 본체의 바닥판을 따라 접히며, 상기 상판체의 윗면의 앞부분 및 뒷부분에 오목(凹)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각 틀 본체의 바닥판의 밑면에 상기 오목(凹)홈부에 결합 가능한 결합 볼록(凸)부가 형성되고, 또한 상기 틀 본체의 상기 바닥판의 전단부 및 상기 좌우측판의 각 전단부에 결합 가능한 사각 틀 모양의 보강 틀을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 케이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출체의 바닥판의 좌우 변부에 상기 인출체의 좌우측판이 기립상태 및 인출체의 바닥판의 윗면을 따른 도복(倒伏)상태로 접이가 자유롭게 배치되고, 상기 인출체의 바닥판의 후변부에 상기 인출체의 후판이 기립상태 및 상기 인출체의 바닥판의 윗면을 따른 도복(倒伏)상태로의 접이가 자유롭게 배치되고, 또한 상기 인출체의 바닥판의 전변부에 인출체 전판이 기립상태 및 인출체의 바닥판의 윗면을 따른 도복(倒伏)상태로의 접이가 자유롭게 배치되며, 상기 인출체의 바닥판의 윗면에 인출체의 좌우측판이 상기 인출체의 바닥판의 윗면을 따라서 접히는 동시에 상기 인출체의 바닥판의 윗면을 따라 접힌 상기 인출체의 좌우측판의 윗면에 상기 인출체의 전판 및 후판이 상기 인출체의 바닥판의 윗면을 따라서 접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 케이스.
  3. 바닥판, 좌우측판, 후판으로 구성된 앞면 및 윗면이 개구된 상하로 겹쳐 쌓을 수 있는 복수 개의 합성수지제의 틀 본체와, 상기 겹쳐진 최상위의 틀 본체의 윗면을 덮는 상판체와, 상기 복수 개의 틀 본체 및 상판체로 이루어진 본체 앞면의 복수 개의 개구부를 통해 각각 인출 수납이 자유롭게 설치되며 바닥판, 전판, 좌우측판, 후판으로 이루어진 윗면이 개구된 복수 개의 합성수지제의 인출체로 구성되며, 상기 각 틀 본체의 바닥판의 좌우 변부에 상기 틀 본체의 좌우측판이 기립상태 및 상기 틀 본체의 바닥판 윗면을 따른 도복(倒伏)상태로의 접이가 자유롭게 배치되고, 또한 상기 각 틀 본체의 바닥판 후변부에 상기 틀 본체의 후판이 기립상태 및 상기 틀 본체 바닥판의 밑면을 따른 도복(倒伏)상태로 접이가 자유롭게 배치되며, 상기 각 틀 본체의 바닥판의 윗면에 상기 틀 본체의 좌우측판이 상기 틀 본체의 바닥판의 윗면을 따라서 접힘과 동시에 상기 틀 본체의 바닥판의 밑면에 상기 틀 본체의 후판이 상기 틀 본체의 바닥판을 따라서 접히며, 상기 상판체의 윗면의 앞부분 및 뒷부분에 오목(凹)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각 틀 본체의 바닥판의 밑면에 상기 오목(凹)홈부에 결합 가능한 결합 볼록(凸)부가 형성되고, 또한 상기 각 틀 본체의 상기 바닥판의 전단부 및 상기 좌우측판의 각 전단부에 결합 가능한 사각 틀 모양의 보강 틀을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 케이스.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각 인출체의 바닥판의 좌우 변부에 상기 인출체의 좌우측판이 기립상태 및 상기 인출체의 바닥판의 윗면을 따른 도복(倒伏)상태로의 접이가 자유롭게 배치되고, 상기 각 인출체의 바닥판의 후변부에 상기 인출체의 후판이 기립상태 및 상기 인출체의 바닥판의 윗면을 따른 도복(倒伏)상태로의 접이가 자유롭게 배치되고, 또한 상기 각 인출체의 바닥판의 전변부에 상기 인출체 전판이 기립상태 및 상기 인출체의 바닥판의 윗면을 따른 도복(倒伏)상태로의 접이가 자유롭게 배치되며, 상기 각 인출체의 바닥판의 윗면에 상기 인출체의 좌우측판이 상기 인출체의 바닥판의 윗면을 따라서 접히는 동시에 상기 인출체의 바닥판의 윗면을 따라 접힌 상기 인출체의 좌우측판의 윗면에 상기 인출체의 전판 및 후판이 상기 인출체의 바닥판의 윗면을 따라서 접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 케이스.
KR2020200001956U 2019-09-20 2020-06-05 수납 케이스 KR20210000715U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003579U JP3224228U (ja) 2019-09-20 2019-09-20 収納ケース
JPJP-U-2019-003579 2019-09-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715U true KR20210000715U (ko) 2021-03-30

Family

ID=68763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1956U KR20210000715U (ko) 2019-09-20 2020-06-05 수납 케이스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3224228U (ko)
KR (1) KR20210000715U (ko)
CN (1) CN213786252U (ko)
TW (1) TWM608391U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90111B2 (ja) 2017-01-10 2019-03-27 株式会社伸和 収納ケース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90111B2 (ja) 2017-01-10 2019-03-27 株式会社伸和 収納ケー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224228U (ja) 2019-12-05
TWM608391U (zh) 2021-03-01
CN213786252U (zh) 2021-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90111B2 (ja) 収納ケース
US8677527B2 (en) Portable playyard with a storage unit
US9629462B2 (en) Modular drawer structure
US20170208950A1 (en) Foldable Post for Shelving Apparatus
US9701470B2 (en) Bag stand
US9474374B2 (en) Modular shelving
US8763560B2 (en) Foldable and portable shelter
US20170211604A1 (en) Shelving Apparatus
US20080060563A1 (en) Foldable desk
JP7097337B2 (ja) 収納ケース
KR20210000716U (ko) 수납 케이스
KR20210000715U (ko) 수납 케이스
JP3224229U (ja) 収納ケース
KR102503482B1 (ko) 조립식 슬라이드 수납함
JP3209523U (ja) 収納ケース
KR101090959B1 (ko) 조립식 수납상자용 지지프레임
JP5954559B2 (ja) 組立て家具
CN220734853U (zh) 一种组合式抽屉
KR960005596Y1 (ko) 절첩이 용이한 설합장
JPH08907Y2 (ja) レール一体型引出し構造
JP3010921U (ja) 組立式引き出し
JP2009285192A (ja) 折り畳み式組立棺
JP3124790U (ja) チェスト
TWM599298U (zh) 置物箱之改良結構(十五)
CN116236020A (zh) 一种可变形拉杆箱